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음악교육학 석사학위 논문 경향 분석 연구 : 국내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중심으로

        채규조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연구는 문헌 정보의 홍수 속에서 음악학도들에게 필요한 자료를 신속 정확하게 찾는데 느끼는 곤란함과 자료검색을 위한 2차 자료의 필요성에 부응하여 음악교육 연구의 정보자료로서 음악교육 문헌관계 석사학위 논문의 총람을 작성하고 이를 장르별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1993년부터 2002년 2월까지 제출된 국내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석사학위 논문 333편의 논문 총람과 내용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333편의 장르별 연구경향은 14개의 장르 중에서 음악교육론 영역과 국악교육영역에 각각 67편(20.1%)으로 가장 많은 연구를 보였다. 이는 본 연구의 대상 논문 작성자들 대부분이 초등교육에 몸담고 있는 교사로서 좀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음악교육을 하기 위한 노력의 표출로서 음악교육학적 측면에서 음악교육방법을 연구해 보려는 시도를 엿볼 수 있다. 또한 최근 들어 서양식의 음악교육을 답습해온 이제까지의 교육에서 탈피해 우리의 것을 바로 알고자 하는 국악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기조를 반영하여 국악교육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장르별-연도별 연구경향의 전체적인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전국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논문이 발표되기 전인 1998년까지의 장르별 연구 비중을 살펴보면 음악교육론(28편), 성악교육(14편), 국악교육(14편), 작곡교육(11편), 교육과정(10편)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국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논문이 발표되는 1999년에는 국악교육 9편, 성악교육 7편, 음악교육론 3편으로 국악교육이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 이후 2002년까지의 장르별 연구 비중을 살펴보면 국악교육(49편), 음악교육론(39편), 성악교육(30편), 교육과정(23편), 감상교육(19편)의 순으로 나타났다. 1999년 이후 국악교육의 연구논문이 가장 많이 발표된 데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연구논문의 연구대상 시기인 6차 교육과정 때부터 국악교육에 많은 관심과 영역이 할애되었고 7차에 이르러 초등음악의 50% 가까이를 차지하고 있어 국악교육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여진다. 1992년부터 1998년까지 1편도 제출되지 않았던 피아노 교육관련 논문과 불과 2편만이 제출되었던 음악 교육 평가 영역이 1999년 이후 피아노 교육이 총 7편, 음악 교육 평가 영역이 11편으로 많이 증가되었다. 또한 어느 영역에도 소속되지 않는 새로운 영역의 논문들도 1999년 이후 10편이 발표되었다. 셋째, 장르별-학교별 연구경향의 전체적인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음악교육론 영역에 가장 많은 논문이 제출된 학교는 부산교육대학교, 서울교육대학교, 인천교육대학교, 청주교육대학교였으며, 음악재능교육영역에 가장 많은 논문이 제출된 학교는 진주교육대학교였다. 성악교육 영역에 가장 많은 논문이 제출된 학교는 공주교육대학교, 전주교육대학교였으며, 작곡교육 영역에 가장 많은 논문이 제출된 학교는 대구교육대학교였다. 국악교육 영역에 가장 많은 논문이 제출된 학교는 광주교육대학교, 부산교육대학교, 인천교육대학교, 춘천교육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였다. 이를 토대로 살펴보면 학교에 따라서 장르별로 비중을 두어 연구하는 영역이 다름을 알 수 있다. 또한 서울교육대학교와 한국교원대학교의 경우는 14개 영역 중 종교음악교육, 유아교육, 특수교육의 특수한 영역을 제외하고는 고른 연구의 경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교원대학교에서 처음으로 초등음악교육전공의 연구 논문이 발표된 이래 전국의 11개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에 초등음악교육전공이 개설되고 논문이 발표되면서 양적, 질적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essay is to provide a general view of master's theses related to music education as a valuable source of music research and to analyze it according to the music genre. It is helpful for music researchers to find necessary information easily in the plethora of music materials and to resolve the difficulty of information searching. This research investigated a total number of 333 master's theses related to music subjects in elementary school, which was published in Korea from 1993 to February 2002.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research trend by a genre showed that 14 categories among 333 thesis were closely associated with music education and traditional Korean music that were composed of 67 thesis(21.1 %). This revealed that most research was done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t can be a good indication that teachers attempt to do systematic and scientific research of music education. It can be interpreted as a trend of avoiding imitating Western style of music education and higher interests in traditional Korean music. Second, the general analysis according to the genre and annual publication showed that 28 thesis were about special areas of music education with 14 being about vocal music, 11 about writing music, and 10 about music curricula before theses of music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were published in 1998. The theses relevant to music educa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at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started to be published in 1999. Nine theses were about traditional Korean music, seven on vocal music and three on music education. The trend of genre from 1999 to 2002 showed that 49 theses were made in the area of traditional Korean music, 39 about music education, 30 on vocal music, 23 about music education, and 19 concerning how to listen to music. It is believed that much interests in Korean music started at the 6th music curriculum contributed to the abundance of theses related to traditional Korean music, which comprised of roughly 50 % of 7th music curriculum. There was no thesis at the area of piano education from 1992 to 1998 and only two thesis at the area of music evaluation. However, since 1999 seven theses of piano education were published and eleven on music evaluation. Third, general analysis of this research proved that Busan, Seoul, Inchon, and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shed most theses of music education, and Ji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shed a lot of theses related to talented music education. Gongju and Jeo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shed most theses associated with vocal music. T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had most theses about writing music. Kwangju, Busan, Incheon, Chunche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order had more theses connected with traditional Korean music. This result illustrated the fact that different college explored different genre of music. Seoul and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had a tendency of studying a variety of spheres among fourteen areas except fields of religion, kindergarden, and special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thesis demonstrated that the amount of research exploring elementary school music was increased in the aspect of quality and quality at the eleve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inc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shed their first master thesis.

      • 한 초임교사의 교육대학원에서의 학습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김은지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55

        이 연구의 목적은 초임교사였던 연구자가 한 교육대학원에서의 학습경험을 자문화기술지를 통해 서술함으로써 교사 재교육기관의 교육을 통한 초임교사의 전문성 발달과 그 의미를 해석하는 데 있다. 연구결과 및 결론을 간략하게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초등학교 초임교사였던 연구자가 교육대학원에 진학한 동기는 첫째, 교사 전문성의 신장과 학문적 욕구 해소라는 내재적 가치 실현 둘째, 자격증 취득 등을 위한 발령대기 상황의 대비책이라는 외재적 가치 실현을 위함이었다. 다음으로 한 교육대학원에서의 학습경험이 초등학교 초임교사였던 연구자의 전문성 발달에 미친 영향과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초임교사였던 연구자는 교육대학원 학습경험을 통해 교육적 경험을 하고 교육자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 초임교사였던 연구자는 반성적 실천가로서의 교수 전문성을 발달시킬 수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초임교사였던 연구자는 교육대학원 학습경험을 통해 학교교육에 대한 가치 변화가 일어났고, 초등학교 초임교사로서의 정체성과 역할에 대한 성찰을 하였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 초임교사였던 연구자는 의미관점의 발달을 겪을 수 있었다. 셋째, 초등학교 초임교사였던 연구자에게 교육대학원은 전문적 자본 발달의 장(場)이었다. 또한 연구자는 교육대학원에서 동료교사와 함께 학습하는 과정을 통해 동료교사에 대한 인식이 “함께 수업을 듣는 사람”에서 “교육에 관하여 함께 고민하고 성장하는 사람”으로 전환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하였다. 첫째, 교육대학원의 구성원들은 현장교사들이 교육대학원에서 전문적 자본을 개발 및 확장할 수 있도록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대학원은 현장교사들의 학습경험이 그저 ‘학위 취득을 위한 시간 때우기’에 머물지 않도록 교사 재교육 목적과 기능에 충실한 교육과정과 수업을 전개해야 한다. 셋째, 교육대학원은 단위학교나 지역교육청의 인적 및 물적 자원을 보다 적극적으로 공유하여 교육대학원 교육프로그램의 학문성과 현장전문성을 확대 및 심화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한 교육대학원에서의 학습경험을 초임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연결함으로써 교육대학원의 교사 재교육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연구의 결과는 교수 전문성 신장을 위해 교육대학원에 수학 중이거나 진학을 희망하는 현장교사들에게 교육대학원에서의 학습경험을 이해하고, 성찰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써 기여할 있을 것이다.

      •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의 초등음악교육전공 석사학위 논문 경향 분석

        권미경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의 석사학위 논문의 총람을 작성하고 각 학교별로 논문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석사학위 논문의 경향을 학교별로 파악하여 음악교육연구자들에게 유용한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최종적으로는 국내 초등음악교육계의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국의 11개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의 2005년 8월부터 2008년 2월까지 석사학위논문 248개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논문을 연구영역과 연구방법을 기준으로 각 학교별 논문의 경향을 분석하였다. 연구영역의 분류기준은 음악교육역사, 음악교육철학, 음악미학, 음악심리, 음악교육과정, 음악교재, 음악교수?학습방법, 음악교육공학, 음악교육평가, 음악교사교육, 음악특기적성, 국악, 다문화음악, 기타의 14개 영역이다. 그리고 연구방법은 역사연구, 기술연구, 실험연구, 문헌연구의 4가지를 기준으로 하였다. 학교별 논문을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은 논문을 발표한 학교는 53편의 논문을 발표한 경인교대였으며, 모든 영역을 연구한 학교는 없었으나 11개 영역을 연구한 학교로 경인교대가 해당되었다. 연구방법에서는 경인교대, 부산교대, 청주교대에서 네 가지 연구방법을 모두 사용하였고, 나머지 학교들은 2개 이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하였다. 가장 많이 연구된 연구영역은 음악교수?학습방법이며 가장 많이 사용된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의 방법이다. 대다수의 논문들이 교육적 아이디어를 적용하여 지도안을 구안하는 형식을 취하였다. 저조한 연구를 보이는 영역으로는 음악교육역사, 음악교육철학, 음악미학, 음악교육평가의 영역이다. 그리고 역사연구의 방법이 가장 적게 사용된 연구방법이었다. 따라서 초등교육음악계의 발전을 위해서라도 저조한 연구를 보이는 영역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며, 논문들의 흐름을 전체적으로 볼 수 있는 체계적인 분류기준의 정립이 필요하다. 그리고 지속적인 연구를 위해서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자료를 공개적으로 제시하는 각 교육대학교의 교육적 아량이 요구된다. This study makes pandect of master these in the field of the music education of the graduated school in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analyzes them.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understanding the tendency of theses in a master degree according to the national universities, showing useful data to the music education researchers and eventually contributing to internal elementary music education development. This thesis is based on 248 theses of the graduate schools in 11 national universities which were written from August, 2005 to January, 2008. It focuses on the theses trend in each university, using the criteria of the study scope and the study method. The study scopes use 14 areas: history of the music education,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music aesthetics, music psychology, processes of music education, music textbooks, music teaching methods, learning methods, engineering of music education, evaluation of music education, education of music teachers, the special ability of music, Korean classical music, multi-cultural music and other areas. The study method uses 4 kinds: history study, skill study, experiment study and documentary records study. Findings on analysis reveals that Kyengin Education University has published the highest amount of theses. It also shows that there is no university which has a thesis covering the 14 areas. However, Kyengin Education University has the theses which cover 11 areas. Some these of the Education University of Kyengin, Busan and Cheungju use 4 study methods and the others use at least 2 and more study methods. The most popular study scopes are music teaching methods and learning methods and the highest used study method is the documentary records. Most of the these use the study method using educational ideas and making a guidance plan. The least study scopes are history of the music education, philosophy of the music education, music aesthetics and evaluation of the music education. The least study method is history study. All in all, the research of the least study scopes should be progressed for the purpose of the development in the field of the elementary music. It is also essential to set the systematic classified criteria in order to understand the tendency of theses. It is, moreover, required that each university shows broad mind to allow researchers to access useful materials openly.

      • 초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한 전통 회화 지도방안

        이희욱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23

        성취기준은 교수·학습의 실질적인 기준으로서 각 교과목에서 가르치고 배워야 할 내용과 그러한 내용 학습을 통해 학생들이 성취해야 할(또는 보여 주어야 할) 능력 및 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준거이다. 임재일, 「초등교육과정 성취기준에 준거한 가르쳐야 할 주요 개념 추출 연구」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초등교육학과, 2014, p.3. 미술 교과의 성취기준은 미술과 교육과정의 목표를 실현할 수 있도록 설정한 구체적인 현장 교육활동의 근거라고 이해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전통 미술과 문화와 관련한 미술과의 목표나 성취기준은 존재하는지 살펴보도록 한다.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는 ‘성격’과 ‘교과 역량’과 같은 상위체계에서 전통문화에 관한 내용을 직접적으로 언급하고 있지만, 이를 명시적으로 뒷받침하는 성취기준은 없다. 물론 전통문화와 관련된 교과서의 내용과 대응시킬 수 있는 성취기준은 존재하나, 미술과 교육과정의 상위체계에서 전통문화를 언급한 점을 고려한다면, 전통문화와 관련된 직접적인 성취기준이 없다는 것은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의문을 바탕으로 아래와 같은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전통 회화와 성취기준의 개념을 탐색하여, 연구의 목적을 뚜렷이 하였다. 초등학교에서 다루어지는 전통문화 관련 내용 중 특히, 전통 회화의 기법과 양식 및 주제와 해당 성취기준에 이해와 탐색을 통해 연구의 기반을 마련한다. 둘째, 전통 회화와 관련된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분석하여, 전통 회화교육의 당위성을 마련한다. 또한 전통 회화의 주제에 대한 접근보다, 표현재료와 표현 방법과 같이 제작과 관련한 부분에만 집중된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핵심 개념 및 내용 요소의 문제점을 짚어본다. 셋째, 교과서의 전통 회화 관련 단원의 내용을 분석한다.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바탕으로 마련된 내용을 기준 삼아 교과서를 분석하고, 전통 회화 관련 내용을 제대로 담아내고 있는지 확인한다. 넷째, 미술 교과서와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분석하여 내용을 골라 뽑은 후 이에 전통 회화와 관련한 수업의 요소를 더하여 기존의 수업모형을 통해 적용하거나, 전통 회화 수업의 흐름을 제안한다. 전통 회화와 관련한 기법이나 그 내용을 단편적으로 암기하는 수업보다는 다양한 성취기준과의 결합을 통해 전통 회화의 중요성을 알 수 있도록 한다. 구영란, 「전통 미술의 통합적 감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2004, p.15. 다섯째,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마련된 교수, 학습 지도안과 수업자료를 활용하여 수업을 실연하고, 결과물을 바탕으로 효과에 대해 고찰한다. 성취기준과 전통 회화, 두 가지 핵심적인 키워드를 바탕으로 수업을 조직하여 실행하였고, 이를 통해 얻어지는 학생작품과 피드백을 바탕으로 효과성에 대해 검증하였으며 내용은 아래와 같다. 첫째, 많은 수의 학생들은 전통 회화 수업에 대해 어려운 수업이라는 편견이 있었다. 그 내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물으면 재료에 대한 어려움 이상으로, 무엇을 어떻게 그려야 할지 막막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전통 회화 수업의 목적을 명확히 하고, 다양한 수업 요소와의 결합을 통해 양질의 미술 수업으로 나아가는 데 기반을 마련할 수 있었다. 둘째, 전통 회화에 대한 우수성과 독창성을 강조하여 자긍심을 강조하는 수업의 형태 이은미, 「초등학생을 위한 전통 회화 이해 방안 연구」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박물관 및 미술관교육전공, 2016, p.70. 와, 표현재료와 기법에 대한 지나친 강조는 학생의 흥미를 잃게 하였다. 오히려, 학생들은 전통 회화의 표현재료와 기법을 활용하여, 미술 교과 내의 흥미로운 소재를 활용하여 수업하는 행위에 흥미를 느꼈다. 즉, 전통 회화와 관련한 내용이 목적이 된다기보다 목적을 달성하는 데 전통 회화의 내용이 도구화되어, 흥미롭게 접근하였다. 쉽게 그 내용을 익혔다. 셋째, 전통 회화에 대한 심리적인 거리감이 크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전통 회화 관련 수업은 다양한 이유로 학교 현장에서 원활하게 운영되지 않는다. 이러한 관계 안에서 학생들은 자연스럽게 전통 회화와 멀어지게 되고, 전통문화에 대해 학습할 기회를 상실하며 이는 전통에 대해 거리감을 느끼는 하나의 이유로 작용했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은 전통 회화의 주제나 표현기법에 대한 학습이 난도가 그리 높지 않고, 이를 통해 전통 미술, 전통문화와 관련된 내용을 학습하는 행위가 가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하여 본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의 행위는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이루어지지만, 수업의 전체적인 방향과 흐름은 교사의 주도로 이루어진다. 전통 회화 수업과 관련하여 교사는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전통 회화 관련 근거를 바탕으로 표현기법과 주제에 관심을 가지고 그 내용을 익히기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또한 교과서를 수업의 절대적인 자료로 여기지 않고,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전통 회화 수업을 구안해보는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인다면, 전통 회화 수업을 통해 성취할 수 있는 목적을 넘어, 전통문화의 가치에 대해 인식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 한국 영화·영상산업 발전 방안 연구 : 전주영화제작소를 중심으로

        문병용 전주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23

        Since 2000, the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was held in Jeonju, the film and video industry in Jeonju has undergone many changes every year. Related organizations in the film and video industry such as Jeonju Film Commission, Jeonbuk Independent Film Association, and Jeonju Public Media Center Young Shimi have been established to conduct film-related projects, educational programs, and small screenings. Through the achievements of these projects, the Jeonju Cinecomplex opened on May 19, 2009 in the location of Wansan Health Center in Jeonju-si, instilling new changes and vitality in the film and video industry in the region, establishing the Jeonju Independent Cinema House. Even the plan is being materialized. Starting from the program planning manager of Jeonju Digital Independent Cinema, Jeonju Cinecomplex in the early days of its opening in 2009, based on the experience and data experienced while actually operating and managing the Jeonju Cinecomplex to date, the progress of the projects that have been carried out over the past 10 years and what was the outcome. Looking back from an objective perspective, from the establishment of the Jeonju Independent Cinema House what the Jeonju Cinecomplex should prepare for the film and video industry in the Jeonju region before its establishment, and based on its years of experience in operation and its role after its establishment. We want to come up with an efficient plan.

      • 持續可能한 都市再生 推進方案에 關한 硏究 : 全州市를 中心으로

        李容直 전주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23

        지속적으로 경제가 성장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일자리를 찾아 도시로 집중하기 시작하였다. 2013년 국토교통부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전국적인 도시화율은 91.04%로 나타났다. 도시화는 단순히 도시인구 증가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주민의 의식구조, 생활양태와 아울러 지역의 경제사회구조, 문화, 기반시설 등 다양한 측면에 걸친 복합적이고 다양한 변화 현상을 포괄하고 있다. 지속적인 도시화로 인하여 도시환경 악화와 도시기능의 상실과 같은 부정적인 문제에 직면하게 됨으로서 도시재생과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주시 구도심 지역에 쇠퇴가 심각한 상황임을 인지하고 구도심 지역을 중심으로 도심재생을 위한 가로환경정비 및 주거환경정비사업, 전통시장 활성화사업 등의 실태분석과 지금까지 전주시가 추진했던 도시재생사업의 내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사업의 추진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실현 가능한 도시재생 정책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0년부터 전주시에서 추진했던 도시재생사업과 2011년 4월부터 실시된 전주도시재생테스트베드 연구 사업의 내용을 조사하여 분석하고 전문가, 대학교수, 전주 도시재생테스트베드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추진방안 모델 제시를 위한 설문조사 및 AHP분석을 실시하여 분석결과에를 토대로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추진방안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추진 방안의 중요도에 있어서 대분류 항목들 간 상대적 중요도에서 도시재생 재원확보가 0.323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세부항목 별로는 도시재생 추진체계 항목에서 산․학․관 협력 네트워크가 0.3583으로, 도시재생 개발 주체 항목에서는 마을기업 및 사회적 기업이 0.3319로, 도시재생 선도 사업 항목에서는 한옥마을이 0.3544로, 도시재생 인력확보 항목에서는 코디네이터 육성이 0.5184로, 도시재생 재원확보 항목에서는 국․도비 확보 0.3969로 높게 나타났다.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추진 방안 모델의 19개 세부항복별 중요도 순위를 나타내는 복합가중치를 살펴보면 국․도비 확보가 0.0164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코디네이터 육성이 0.00710, 민간자본 유치가 0.00592, 도시재생채권이 0.00524, 산․학․관 협력 네트워크가 0.00404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중심으로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추진을 위한 방안으로 다음과 같은 3가지의 정책적 제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추진을 위해서는 안정적인 재원확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정부차원의 도시재생기금 신규 조성 및 도시재생 채권 발행을 위한 TIF제도 도입 방안 모색, 정부차원에서 우선적으로 국비를 투자하여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한 후 민간자본유치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는 시스템 구축, 커뮤니티 매칭펀드 제도 도입 방안 모색 등이 필요하다. 둘째, 전문가 AHP분석 결과, 많은 전문가들은 아직까지 지역주민들의 역량부족으로 자력재생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중간지원조직 육성이 필요하다. 도시재생지원센터를 조직하여 센터 중심으로 주민들과 함께 사업을 추진하고, 추진과정에서 행정기관과 협력 관계를 구축하여 원활하게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며 도시재생사업 추진에 있어서 지역의 전문가들과 마을기업, 협동조합 등이 도시재생사업의 추체로서 활동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 등의 제도적 장치 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추진을 위해서는 행정기관에 도시재생 전담부서 설치가 필요하다. 이에 우리나라에서도 본격적인 도시재생사업이 각 지방자치단체별로 실시될 것이며 국토교통부에서는 도시재생 선도지역을 선정하고 본격적인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이 지속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방안을 전문가 AHP분석을 결과를 토대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 일제강점기 전주지역 학교의 항일운동에 대한 중·고등학생들의 인식연구

        강민지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23

        History education is an educational activity that helps students to develop the right historical values and attitudes by teaching knowledge about the past. Therefore, one of the important goals of history education is for students to understand the lessons that the past gives to the present by understanding what happened in the past. Through this, students who learn history can think about the problems which they encounter with the current starting point, and they can infer the future that might unfold. According to this educational goal, we analyzed how much present students know about the anti-Japanese movement in Jeonju which was carried out by students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and suggested educational application plan accordingly. The schools that played the key role in anti-Japanese movement in Jeonju at that time were Kijun Girls' High School, Shinheung High School, Jeonju High School, Jeonju Agricultural School, Jeonju Girls' High School, and Jeonju Buk Middle School. Kijun Girls' High School and Shinheung High School are Christian schools, and they led a 3.13 rally in Jeonju. They demonstrated in 1930 after being affected by the Gwangju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in 1929. Afterwards, they opposed shrines and protested by closing down schools willingly. Jeonju High School and Jeonju Agricultural School protested against Japan through several strikes. They occurred due to reasons such as discrimination between Korean and Japanese students, suppression of Japanese teachers, and the reorganization of school system. Eventually, these strikes culminated in the revelation of resistance against Japan. Jeonju Girls' High School also protested against Japan through socialistic organizations and activities, and Jeonju High School changes its name to Jeonju Buk Middle School afterwards, and at this time, Japan plundered numerous human resources and material resources by reason of war. At this point of time, teachers and students of Buk Middle School forecasted the collapse of Japan and developed anti-Japanese spirit. Most present students are not aware of the anti-Japanese movement in Jeonju, but the recognition rate of 3.13 movement in Kijun and Shinheung High School was relatively high. As we analyzed its reason, these schools were commemorating the past facts through annual 3.13 revival events. Through this, we can think about the importance of school education, and students also choose school education as the method to learn history most efficiently. There are three educational application plans. First plan is improvement of 3.13 revival event that is being carried out in Kijun and Shinheung High School now. We suggested students from other schools participate in this event and a new approach to the revival play which is performed every year. Second, we suggested opening a History Olympiad by joining up schools and regions, thus raising students' interest in history and utilizing the first one for developing additional educational material. Third, we suggested opening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historical site and monument tour event' in regions. Currently, there are 4 monuments in Jeonju that commemorate the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which are 'Kim In-jeon Minister Monument Memorial,' 'Jeonju 3.1 Independence Movement Monument Memorial,' 'Jeonju 3.1 Independence Movement Birthplace Memorial,' and the 'Jeonbuk Independence Movement Monument.' Most present students were not aware of these monuments, but through this, we can raise students' interest in the monuments, deepen students' learning about the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and learn history animatedly. Students have low awareness of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but most of them recognized the necessity of this knowledge. Therefore, if these application plans are reflected and active education is provided, we will be able to raise students' right perspective of viewing history, just like the goal of all history education which was mentioned earlier.

      • 초등교원 임용고사에 대한 교육대학교 재학생의 인식

        오영식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23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and analysis students' attitude of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oward recruiting system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Therefore these following questions have been set up. First, attitude toward application of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cond, attitude toward recruiting system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competition rate Third, attitude toward first test and second test Fourth, attitude toward university grade and current incentive points Fifth, attitude toward separate recruiting by region and separate recruiting by gender Based on previous research, a 28 questions survey has been made with advises from guiding professor to solve those problem up there. 600 students of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Jeollanamdo, Jeollabukdo, Chungchungnamdo have taken the survey,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by the question have been set up. First, attitude toward application of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ere as follows : Students of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ink primary factor such as employment stabilization, persuasion, working better than mission of education, showing their talent. Second, attitude toward recruiting system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competition rate were as follows : Recruiting system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competition rate is below 1.2:1. This is below another career competition rate, but the group is same quality. for this reason 1.2:1 competition is not low competition rate. Recruiting system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competition rate is imposed a burden on many students. The Ministry of Education must have conversation with students. Because reasonable competition rate is necessary for the negotiation. Third, attitude toward first test and second test were as follows : At the first test, important subject is curriculum of education. Recruiting system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need a necessary conditions that are talent, specialty. Current recruiting system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is necessary for suitability, justice, objectivity at the evaluation At the first test, pedagogy and curriculum of education are preserved the present state of allotted points, problem amounts, test styles. Because transformation has confusion. Curriculum of education is necessary for test style, problem amounts. At the second test, essay writing examination, interview, practical examination are preserved the present state of evaluative field. Allotted points, test styles are standardized because regional different test styles and regional different allotted points are caused confusion at the second test. The second test must have justice and objectivity. Fourth, attitude toward university grade and current incentive points were as follows : University grade is preserved the present state. Incentive points are standardized at all region. Regional incentive point is necessary for reduction and standardization. Fifth, attitude toward separate recruiting by region and separate recruiting by gender were as follows : Regional recruiting opinion is negative response. The Ministry of Education are necessary for project and system avoid regional partial examinee. As situation of disproportional female teachers, female students want the present state but male students want expansion of male teachers. regional and gender separate recruiting is produced different response. 본 연구는 초등교원 임용고사에 대한 교육대학교 재학생의 인식 실태를 조사·분석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육대학교 지원 동기에 대한 의견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교원 임용고사의 적정 경쟁률에 대한 의견은 어떠한가? 셋째, 1차 시험과 2차 시험에 대한 의견은 어떠한가? 넷째, 대학성적반영과 현행 가산점에 대한 의견은 어떠한가? 다섯째, 소재지별 모집과 성별 분할 모집에 대한 의견은 어떠한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지도교수의 조언을 얻어 28문항의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이를 전라남도, 전라북도, 충청남도에 소재한 교육대학교 재학생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연구문제 중심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교 지원 동기에 대한 의견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대학교에 진학하는 학생들은 교직에 대한 사명감, 재능의 발휘 등과 같은 교육이 가지고 있는 내재적 요인보다는 직업의 안정성, 주위의 권유, 취업이 잘 되어서 등과 같은 교육이 가지고 있는 외재적 요인에 의해 지원 동기가 결정되었다. 둘째, 초등교원 임용고사의 적정 경쟁률에 대한 의견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다른 직업에 응시하는 경쟁률에 비하면 낮은 경쟁률이지만, 교육대학교에 진학하는 학생은 동질 집단 학생이라는 것을 감안할 때 상당히 높은 경쟁률이다. 따라서 많은 학생들이 경쟁률을 의식하며 부담을 갖고 응답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초등교원 임용고사의 경쟁률은 1.2:1 이하를 원하는 응답이 50% 이상을 이루었다. 셋째, 1차 시험과 2차 시험에 대한 의견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차 시험에서 중요한 과목은 배점이 많은 교육과정으로 나타났으며, 임용고사가 평가하는 영역에서 교원의 자질, 전문성, 재능을 중시하고 있지만, 평가의 적합성, 공정성, 객관성을 마련해야 하고, 현재 이루어지는 임용고사의 평가는 적정하지 않다고 응답하였다. 1차 시험의 교육학과 교육과정은 시험 유형에 대하여 배점, 문항수, 출제 방식은 현재 상태를 유지하자는 의견이 많았다. 교육과정의 경우는 출제방식을 객관식을 포함하는 형태로 원하고 있었다. 2차 시험에서 실시하는 논술, 면접, 실기의 경우 평가해야할 영역에서 현행 유지에 많은 응답을 하였다. 2차 시험의 경우에는 지역마다 시험 유형은 동일화 할 필요가 있으며, 가능하다면 배점도 동일화해야 하는 응답이 많았다. 1차 시험과 2차 시험 중에 1차 시험이 공정성과 객관성을 많이 확보한다고 응답하였다. 넷째, 대학성적반영과 현행 가산점에 대한 의견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임용고사에 반영하는 대학성적반영은 현행유지의 응답이 많았지만, 가산점의 경우에는 가산점의 기준을 전국적으로 동일화 하자는 응답이 많았다. 임용시험에 반영하고 있는 지역 가산점의 경우에도 축소하자는 의견을 포함해서 동일화 하자는 응답이 많았다. 다섯째, 소재지별 모집과 성별 분할 모집에 대한 의견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등교원 임용고사에서 지역별, 성별 수급 계획을 용이하게 하기위한 모집 방식으로 소재지별 모집에 대한 의견에 대하여 부정적인 응답이 많았다. 여교사의 편중현상에 대하여 여학생은 현행 유지에 남학생은 남교사 확충에 많이 응답하였고, 교육대학 입학의 과정에서도 남녀 분할 모집에 관해 남녀가 서로 다른 입장의 응답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원을 양성하는 과정인 교육대학교 재학 기간에 학생들의 지원동기를 생각하는 교육과정이 이루어져야 하며, 초등교원 임용고사의 실시에 있어서 학생들의 의견이 반영되는 과정을 거쳐 적정한 경쟁률을 유지해야 할 것이다. 둘째, 임용고사의 실시 기관은 평가 결과를 수험자가 수긍할 수 있도록 적합성, 공정성, 객관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교육과정의 경우는 출제방식을 객관식을 포함하는 형태로 해야 할 것이다. 2차 시험의 경우에는 지역마다 유형과 배점이 달라서 준비하는 어려움이 있으므로, 시험 유형과 배점을 동일화 할 것이다. 현행 2차 시험을 실시함에 있어서 시험결과 평가에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셋째, 초등교원 임용고사에서 활용하고 있는 현행 가산점은 전국적으로 동일화하여 혼동을 축소시킬 필요가 있다. 넷째, 교육 당국은 적정한 제도로서 지역별로 편중되는 응시인원을 고려하여 왜곡 되지 않은 초등교원 수급계획을 세워야 하며, 교사 선발 및 교대 신입생 선발에 대해서도 남녀 분할 모집에 관해 남녀가 서로 다른 입장을 가지고 있어 서로의 이해관계를 해결할 수 있는 장기적 제도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 한국어 초급 교재 문법 목록 비교 연구 :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에 따른 교재를 중심으로

        고아라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grammar list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2017) establish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is reflected in the textbook for beginners of Korean universities. To this end, the grammar items presented in the elementary Korean textbooks at Kyunghee University, Korea University, and Yonsei University were compar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grammar list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2017), and the basic sentences of each textbook were analyzed through the basic sentence patterns presented by Hyeonkyung Yoo et al.(2018). First, this study identified the realization of grammar items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of three universities before and after 2017, when he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was developed. It was confirmed what kind of changes it brought before and after the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grammar rating list of he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is partially reflected through two versions in each textbook. First, grammar items that were not presented in previous textbooks were reflected in textbooks after the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Second, the grammar items previously presented in different grades were presented according to the grades in the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Through the above research results, it was possible to suggest two points of improvement for the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for Korean Language. First, it is the unity of the curriculum and the evaluation institution. Because the curriculum and the evaluation institution are different, educational institutions have no choice but to follow the evaluation standards. Even though the curriculum institution which is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presents an international-level curriculum and present grammar items with reasonable reasons. Therefore, the curriculum and evaluation should be conducted on the same line. Second, providing sentences used in beginner’s textbooks should provided from simple sentences of basic Korean sentences, to complex sentences. It is desirable to recommend in the curriculum so that textbooks could reflect the proced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