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술통계분석과 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한 재난안전 분야 연구의 지식구조 분석

        한동석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Most of the disaster safety studies have limitations in analyzing trends of disaster safety research as the analysis of research contents is mainly used rather than the relation of research concept. In addition, the systematic analysis of related studies is insufficient. The aim of this study is for knowledge structure analysis and research trend based on disaster safety research up to recent studies. To do this, conducted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and network analysis for the papers published in four journals from 2011 to 2015. As a results of disaster safety research within five years, first, the number of research papers, research institutes, research subjects, and research themes are increasing. Second, the disaster safety related researchers had a high proportion of the researchers who published one to ten articles and the researchers who is associated in one academic society. The collaborative research behaviors of the researchers were two co-author type and the joint research rate was 81.6%. The study group consisted of 523 researchers, with the largest study group consisting of 1,266 researchers which is 34.32% of the total. The researchers who published most papers were ‘Kyung-Sik Kang’ and ‘Moo-Jeong Park’, and the core researchers were ‘Jong-Seok Kim’ and ‘Sang-Man Jeong’. Third, the disaster safety related research institute had a high proportion of one to ten research paper publication and relate activities on one research academy. The most common type of collaborative research was independent research by organization and the rate of the joint research was only 49.1%. The study group consisted of 49 groups. The largest research group consisted of 632 research institutes, which is 92.1% of the total. The research institutes that published the most papers were’ Seoul Science and Technology University’ and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The research focused institutes are nine institution which 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Korea University’, ‘National Disaster Safety Institute’, ‘Pukyong National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Technology’, ‘Seoul City University’, ‘Inheon University’, ‘Inha University’, ‘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s Technology’. Fourth the theme of disaster safety related research was a high proportion of the research topics published in one to ten research papers and related activities on one research academy. Four research themes were the most common type of research, and 97.3% of them were collaborative. The study group consisted of 597 research groups, which consisted of 5,824 research themes, accounting for 67.9% of the total. The research topics published in the most papers are ‘AHP’ and ‘FEM’ and the research focused theme were ‘AHP,' ‘FEM,' ‘Fire,' ‘GIS,' ‘numerical analysis,' ‘RC,' ‘Safety.' Last, the trends of research topics by year are as follows: ‘FEM’, ‘FRP’, ‘GIS’, ‘numerical analysis’ in 2011, ‘Climate change’, ‘High rise building’ in 2012, ‘Forest fire’, ‘numerical analysis’, ‘RC’, in 2013, ‘Fire’, ‘Forest fire’, ‘numerical analysis’ in 2014, ‘ Debris flow’, ‘Landslide’ in 2015. This study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the knowledge structure of domestic disaster safety by research based on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and network analysis which presenting the standard point of current disaster safety research. In addition, although domestic disaster safety research has been continuously developed, there were not many previous studies that propose a comprehensive analysis which makes this research meaningful. 국민소득 수준이 3만 불이 넘어서면서 사회적으로 안전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면서 일상생활에서 CCTV 등과 같은 사고예방을 위한 활동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재난안전과 관련한 연구는 점차 증가하고 있지만 타 분야와 달리 연구동향을 파악하여 현재 상황을 파악하고 앞으로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는 연구는 거의 전무한 상황이다. 그리고 지금까지 재난안전 관련 연구의 대부분은 연구 개념의 관계에 대한 분석이 부족하여 재난안전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는데 한계점을 갖고 있어 관련된 체계적인 분석이 미흡한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현재까지의 재난안전 연구를 토대로 지식구조분석 및 연구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1년부터 2015년까지 4개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기술통계분석과 네트워크분석을 실시하였다. 재난안전 관련 지난 5년간 연구의 분석결과는 첫째, 재난안전 관련 논문은 논문 수, 연구자 수, 연구기관 수, 연구주제 수 모두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둘째, 재난안전 관련 연구자는 1∼10편을 발표한 연구자와 1개 학회에서 활동한 연구자의 비중이 높았고, 연구자들의 공동연구 행태는 2인 공저 형태가 가장 많았으며, 공동연구 비율은 81.6%였다. 연구그룹은 523개로 가장 큰 연구그룹은 1,266명의 연구자로 구성되며, 전체의 34.32%를 차지하였다. 가장 많은 논문을 발표한 연구자는 ‘강경식’, ‘박무종’이고, 중심연구자는 ‘김응석’, ‘정상만’으로 나타났다. 셋째, 재난안전 관련 연구기관은 1∼10편을 발표한 연구기관과 1개 학회에서 활동한 연구기관의 비중이 높았고, 연구기관들의 공동연구 행태는 단독기관 연구 형태가 가장 많았으며, 공동연구 비율은 49.1%였다. 연구그룹은 49개로 가장 큰 연구그룹은 632곳의 연구기관으로 구성되며, 전체의 92.1%를 차지하였다. 가장 많은 논문을 발표한 연구기관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고, 중심연구기관은 ‘강원대학교’, ‘고려대학교’, ‘국립재난안전연구원’, ‘부경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인천대학교’, ‘인하대학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등 9곳으로 나타났다. 넷째, 재난안전 관련 연구주제는 1∼10편을 발표한 연구주제와 1개 학회에서 연구된 연구주제의 비중이 높았고, 연구주제들의 공동연구 행태는 4개 연구주제 형태가 가장 많았으며, 공동연구 비율은 97.3%였다. 연구그룹은 597개로 가장 큰 연구그룹은 5,824개의 연구주제로 구성되며, 전체의 67.9%를 차지하였다. 가장 많은 논문에 발표된 연구주제는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와 ‘FEM’이고, 중심연구주제는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FEM(Finite Elements Method)’, ‘Fire’,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numerical analysis’, ‘RC(Reinforced Concrete)’, ‘Safety’ 7개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도별 연구주제의 변화 추이를 살펴보면, 2011년에는 ‘FEM(Finite Elements Method)’, ‘FRP’,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numerical analysis’, 2012년에는 ‘Climate change’, ‘High rise building’, 2013년에는 ‘Forest fire’, ‘numerical analysis’, ‘RC(Reinforced Concrete)’, 2014년에는 ‘Fire’, ‘Forest fire’, ‘numerical analysis’, 2015년에는 ‘Debris flow’, ‘Landslide’로 연구주제 변화를 확인하였다.

      • 청년창업 및 일자리창출을 위한 철도역세권 공공기여부지 활용방안 연구 : 광운대 역세권을 중심으로

        서재영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unemployment and decrease of employment rate of the young people have been deteriorated due to the poor job creation by ‘growth without employment’.Accordingly, economic growth and expansion of employment become a national task and the government seeks continual policy researches and plans to crate youth jobs by means of creative economy and by expanding youth start-up and to prepare virtuous circle of growth and employment. And, universities also recognized the possibility of economic growth and job creation route by means of technical start-up. So, universities make an approach to utilize knowledge based on created knowledge and professional personnel in the university beyond the creation of knowledge itself. Thus, the needs and role of the university on technical start-up have attracted attention. 42% of the universities in Seoul City are located in Northeast of Seoul. Thus, compared with other sector, those areas have rich start-up resources in link with universities. However, as there is no start-up incubating center, this study aimed to study the general youth start-up incubating center for the creation of youth job by means of the public contributed site obtained from the construction project of Kwangwoon- Seokgye New Economic Hub. This study is on the convergence function knowledge cluster orientation instead of single functioned start-up incubating center. The core of the creative utilization of railway station district public contribution site is not to introduce simple sporadic start-up incubating center, but to form converged collective cluster of ‘expanded start-up incubating function and facility’ and technology, knowledge, industry and culture together with the venture industry. Accordingly, it is close to ‘urban leading edge mini industrial complex’ where the urban leading edge industrial complex concept is condensed. Thus, it must be continually linked with public contribution site usage = start-up incubation + R&D function + connected manufacture function + other support and derivate use. In addition, it must be promoted by public leading project not by private leading project that seeks profit maximization. The public contribution site must be used for public nature and public interest. The core use of the site must be knowledge based service industry to supply hardware and software infrastructure and to seek growth which the private sector cannot promote. Together, the cooperative support of Seoul City is necessary for this ‘Bottom up way of plan.’ A planning and bottom up approach must be made by surveying, analyzing and reflecting the local characteristics of Northeast region of Seoul in order to pursue balanced development of the city. And, in terms of reorganization of urban space structure, it needs cooperation with Seoul City government and local autonomy government. As the local growth opportunity and driving power for growth with the 3.5 million population of region, the regional unbalanced development in Seoul might deepen a new urban problem. In particular,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develop local tailored urban regeneration success case rather than general railway station district development. In this regard this study utilizes university R&D capacity model by 40% of university condensed area with its potentiality in order to commercialize such capacity and to boost local economy by means of new employment. In addition, it creates value expansion urban regeneration model by utilizing the driving force of urban regeneration with its unique regional features and potentiality. Thus, this study suggested the utilization plan of the public contribution site of the railway station district. ‘고용 없는 성장’ 지속에 따른 일자리 창출 부진으로 청년층의 실업 증가와 고용율 저하가 심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경제성장과 고용확대가 국가적인 과제가 되었고 정부는 이를 반영하여 창조경제와 청년창업 확대를 통해 청년 일자리를 창출하고 경제활성화를 통해 성장과 고용의 선순환 구조를 마련하기 위한 지속적인 정책적인 연구와 방안을 모색하게 되었으며 기술창업을 통한 경제적 수익 및 일자리 창출의 통로구축의 가능성을 대학에서 인지하고 지식의 창출에 머물던 대학에 창출된 지식과 전문인력을 기반으로 하는 지식의 활용형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학을 중심으로 하는 기술창업에 대한 니즈와 역할이 주목받게 되었다. 따라서 서울의 동북권에 서울시 대학의 42%가 입지하고 있어 타 권역에 비교해 대학을 연계한 창업수요자원이 풍부함에도 불구하고 창업지원쎈터가 없는 실정으로 광운.석계신경제거점 조성 사업에서 얻어지는 역세권 공공기여 부지를 활용을 통한 청년일자리창출을 위한 종합청년창업지원쎈터 건립에 따른 연구를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단일 기능의 창업지원센터가 아닌 융합기능의 지식형 클러스터 지향할 것이며 역세권 공공기여부지의 창조적 활용의 핵심은 단순히 점(點)적 창업지원센터도입이 아니라, ‘확장된 창업보육기능·시설’, 벤쳐기업과 함께 기술·지식·산업·문화가 융합된 집합적 클러스터가 형성되어야 한다는 연구에 목적을 두고 있다. 따라서 도시첨단산업단지의 개념이 압축된 ‘도시첨단 미니 산단’의 개념에 가까운 공공기여부지 도입용도는 창업보육인큐베이션, 연구개발기능 및 연계제조기능과 기타 지원·파생용도로 지속적으로 연계되어야 된다고 판단하며, 아울러 수익성 극대화의 민간주도가 아닌 공공주도형 사업의 추진되어야 하고 공공기여부지는 말 그대로 공공성과 공익성을 기반으로 사업이 추진되어야하며 부지에 도입되는 핵심용도는 지식기반형 서비스업종으로 민간주체가 추진할 수 없는 분야로서 공공성을 중심으로 하드·소프트 인프라를 공급하고 성장을 유도할 수 있는 사업추진이 필수적이라고 본다. 아울러 상향식 계획안에 대한 서울시의 협력적 지원 필요로 하고 서울시 동북권의 지역특성을 조사·분석·반영하여 계획을 수립하여 서울시 균형발전의 관점과 도시공간구조 재편의 관점에서 서울시와 기초자치구간의 협력이 필요로 하며 동북권의 350만 인구의 배후도시권 위상에 부합하는 지역 성장기회 및 동력 제공 필요성이강하게 대두 되는바 대도시권의 서울 내 지역불균형은 새로운 도시문제로 심화될 가능성을내재하고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특별이 일반적 역세권 개발이 아닌 지역맞춤형 도시재생 성공 사례로 육성이 절대적으로 필요로 하다고 보며 서울시 대학의 40%가 밀집한 지역고유특성과 잠재력을 도시재생의 새로운 동력으로 활용하는 모델로 대학 연구개발 능력을 기업화하고 신규고용창출로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가치확산형 도시재생모델의 가치와 함께 지역 고유특성과 잠재력을 도시재생의 원동력을 활용한, 진정한 내생적 도시재생 성공사례로 육성할 필요가 있음을 인지하고 본 연구를 통해 철도 역세권 공공기여부지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와 함께 제안을 하고자 한다.

      • 大學組織의 效率的 運營을 위한 業務 프로세스 改善 : 大學의 受講申請 業務를 中心으로 한 改善 案 提示

        김성용 光云大學校 經營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문요약 대학행정체제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시대적 변화에 부응하고자 하는 노력은 대학간의 경쟁 체제로의 환경 변화와 함께 주요한 관심이 되고 있다. 특히 대학체제의 존속을 위협하는 제 요소들인 학생수의 감소, 대학운영비의 증가, 제도적 변화와 개혁 요구, 연구 및 자구 노력 지원금 확보를 위한 경쟁 등의 도전을 감수해야만 한다. 근간에 주목을 받고 있는 대학경영 에서의 잘못된 경영은 인적인 요인 못지 않게 기본적인 행정체제의 결함에서 비롯된다는 견 해들이 대두되고 있어 대학행정체제의 효율화 방안은 다분히 구조적 경영과 과정적 경영으 로 구분되어 분석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학이 직면하고 있는 사회 경제적인 도전에 대처하 기 위하여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조직설계, 시간에 기초한 경쟁개념의 도입을 구현하여야 한 다. 이에 현재 광운대학교의 학사업무중 교무과의 업무를 살펴보고 개선이 요구되는 수강신 청업무를 중심으로 효율적이고 신속한 업무 서비스로 보다 학습자 중심의 교육체제로의 전 환에 도움이 되고자 수강신청 업무 프로세스 개선에 관한 방안을 고찰하였다. 특히, 현행의 수강신청 체제에서 발생하고 있는 교과목 번호 오기, 강의시간 중복, 폐강·분반에 따른 수 강정정 신청, 학점초과 신청 등으로 인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전산화(ON-LINE)에 의한 수강신청 시스템으로 개선을 도모하고자 하며 이로 인하여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업무 처리로 대학 학사업무의 효율성을 제고하고자 한다.

      • 대학 기부금 모금을 위한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이한섭 광운대학교 경영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대부분의 국내 대학교들은 기부금 모금에 있어서 기부자의 저변이 취약하고 정기적 기부보다는 비정기적 1회성 기부가 큰 비중을 차지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기부자의 기부행위에 대한 시각 또한 기존의 순수한 이타행위로부터, 기부금의 대가로 대학으로부터 특권이나 이익 또는 명예를 얻는 교환행위로 바뀌고 있다. 이에 따라 기부자가 대학으로부터 무엇을 원하고 대학은 무엇을 제공할 수 있는가를 이해하는 것이야말로 대학 간 경쟁심화 상황에서의 기부금 모금전략의 수립에 있어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요소임을 시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 기부금 모금을 위한 마케팅 전략을 주제로 국외와 국내의 대학 기부금 모금 마케팅 사례분석을 토대로 대학의 효율적인 기부금 모금을 위한 마케팅전략을 연구하였다. 미국의 Harvard대학과 Yale대학은 기부금 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이 학생등록금 수입을 상회하는 안정적인 수입구조를 가지며, 기부금 모금방법의 다양화, 각종 법적 절차 간소화와 면세혜택으로 자국의 기부문화 저변 확대에 기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수도권 지역 3개 대학을 중심으로 살펴 본 국내의 경우, 수입구조에서 학생등록금 수입 의존도가 크고, 기부금 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적으며 기부액은 최상위 대학에 집중되고 있다. 이에 기부문화의 확대와 기부금액의 증가를 위한 구체적 마케팅 전략으로 첫째, 대학기부금 전담부서를 우선 마련하고 둘째, 기부자 시장을 세분화를 통해 각 세분 시장의 특성을 파악하고 셋째, 지속적인 관계 마케팅을 통해 기부금 유치 활동을 전개하여야 한다. 대학은 기부자에게 기부에 대한 보상으로 이익, 명예, 또는 기타 다양한 특권을 제공하여 장기적 전략적 파트너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수혜기관 또는 기부금 관리기관의 대외 신뢰도를 높이고, 기부자로 하여금 기부금의 사용용도 또는 수혜기관을 지정하게 하며, 기부금에 대한 경제적 혜택을 강화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인 마케팅 방법으로, 대학의 UIP(University Identity Program) 프로그램에 따른 대학 마스코트나 엠블렘을 기부금 모금 마케팅에 활용하는 방안이나 인터넷 기부금 모금 사이트를 만들어 학교홈페이지, 동문회 홈페이지 등과 연계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는 기부금 모금 활동에 대한 더 높은 홍보 효과 뿐 만 아니라 기부금에 대한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여 준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후원의 집 제도와 산학협력에의 기부금 유치 등을 통한 기부대상을 확대 하는 방법도 고려 해 볼 수 있다. 학교는 지역으로부터 받은 후원을 지역사회 지원 사업에 활용하는 선순환을 통해 이미지 재고는 물론 지역사회 마케팅으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기존의 비영리기관의 기부금모금에 한정되어 있던 기부금 모금의 연구를 대학기관의 경우에 구체화하여 실질적 마케팅 방안을 제시한 것이 첫 번째 공헌점이다. 두 번째로 대학에서 진행하는 여러 분야의 마케팅에 기부금 마케팅을 통합적으로 적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기부금 마케팅 방안을 연구하였다. 세 번째는, 대학의 기부금 모금에 대한 국내 연구자들의 관심을 촉진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Most domestic universities have problems to raise money: The network for donation is weak and irregular donation takes bigger portion than regular one. Furthermore, donators’ perspectives about the action of contribution has been changing from charitable behavior to beneficial behavior which gain privilege, profit or honor as a cost of donation. According to this shifting, understanding what donators want and what universities can provide for them is the most considerable requisite to build up the strategy for fund-raising. Moreover, the study for structured fund-raising is required because of competition of universities. At this point, this research studied the marketing strategy for universities’ fund-raising by case studying about the marketing plan which is for domestic and international universities. Harvard and Yale have the stable income system which amount of fund-raising income is more than tuition income and they offer various opportunities - diversifying ways to contribute, simplifying legal processes, exempting from taxation- which causes the expansion of donation. In the case of three domestic universities which is in the Metropolitan area, they generally depend on the tuition but the amount contribution is absolutely tiny. Besides, most donations are centralized in higher universities. There are three marketing strategies for expanding donation or increasing the amount. First, set up the department which is in charge of fund-raising. Second, be aware of all specific characters in detail after specializing in the contribution market. Third, marketing with ongoing relationships activities should be deployed. It is important for universities to keep systematic long-term the partnership with donators via providing benefit, honor or various privilege as compensation. Furthermore, universities need to increase the trust to the department and to let donators choose the use or the receivers. They also should search the way to strengthen up the financial benefit to contribution. The method to use mascots or emblems at fund-raising marketing is required. Otherwise the way to connect between fund-raising website and official school website or alumni website is recommended. It does not have only advertising effect on fund-raising activities, but also increasing the integrity and trusty about contribution. Further, the supporting organization in communities and the way to expand the people targets who receive via cooperating with companies. Universities can use it to reform their impression via positive circulation to apply the supporting from communities to communities. It also can be used as marketing in societies. The first contribution of his research is that it suggests universities the practical marketing strategy which was limited for non-profit organization’s donation. Secondly, it studied more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by applying contribution marketing to various marketing which progress in universities. Thirdly, it can be the opportunity which promotes researchers’ interest about fund-raising of universities.

      • 대학도서관 예산의 운용실태와 그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신규 지방 국립대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배금표 광운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1992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문요약 오늘날의 대학도서관은 도서관자료의 증가와 정보 전달수단의 전문화로 인하여, 그 기능이 과거보다 다양화되어 대학의 핵심기관으로서 전반적인 대학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대학도서관의 예산상의 제약, 출판물의 폭발적 증가, 물가상승, 연구관심분야의 급속한 변화등의 현실대문에 도서관 경영자는 도서관 내외로부터 보다 합리적인 경영에 대한 요청을 받고 있다. 즉, 주어진 여건하에서 도서관 본래의 기능을 다하는 한편 보다 내실있게 성장하는 도서관 운영을 위한 모색이 기대되는 것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이 연구는 대학도서관 예산 운용실태를 검토 분석하고, 대학도서관 예산의 바람직한 편성 및 확보방안과 상대적으로 낙후되어 있는 지방대학 도서관의 내실화를 위한 발전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을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의 예산편성 및 확보에 있어 그 실태를 알아보고, 둘째, 대학도서관 예산편성 및 운영에 있어 타당성과 적실성 있는 방법을 모색해 보며,셋째, 한정된 예산으로 지방 대학도서관 여건을 보완하여 연구 및 학술정보센타로서의 기능을 다하기 위한 도서관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도서관 조직이나 규모를 고려 1990-91년 종합대학 승격으로 비교적 일정하게 지원을 받아 발전해온 지방 국립대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이루어 졌다. 현황조사는 기존자료 정리분석과 설문지를 통한 조사방법을 병행하였다. 조사결과 우선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의 장서구성 현황은 단지 量的기준만을 설정해 놓은 대학설치 기준령에 도달하기 위하여 양적구성에 급급함으로써 대학의 학문적 성장과 요구에 기여하기에는 매우 빈약한 상태에 있음이 밝혀졌다. 뿐만아니라 도서관 예산의 절대규모의 부족, 예산운용의 무계획성등 예산편성 및 운영의 문제점들도 나타났다. 대학도서관의 현황을 볼 때 이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의 내실화를 위해 다음과 같은 노력들이 필요하다고 인식되었다. 첫째, 대학도서관 예산편성시 현실성이 있어야 하며 면밀한 계획하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도서관측은 타당성있는 예산내역을 미래발전 계획과 현실적 근거를 통해 요구하여야 하며,대학당국도 도서관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도서관이 대학의 심장부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게 예산의 확대지원등의 전향적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대학도서관 예산은 대학예산중 차지하는 비중을 높여야 함 교육부 대학 설치기준령의 기준, 입법이념등을 살려 이를 철저히 시행해야 한다. 셋째, 도서관예산을 배정할 때 대학됴서관 기능을 충분히 고려하여 배정해야 한다. 학술정보센타로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자료의 주제별현황, 교육과정, 대학원유무, 자료의 이용빈도, 신설학과, 전공과목수, 교수와 학생수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예산을 배정하도록 한다. 이러한 단기적 노력 뿐만 아니라 급격히 다가오고 있는 미래 정보화시대에 도서관은 보다 적극적으로 대비해야 한다. 도서관의 정보체계화가 궁극적으로는 가장 효율적인 도서관 운영의 길이라고 보여지며 이를 위한 대비방안으로 다음과 같은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첫째, 온라인 정보검색시스템의 도입이다. 둘째, 전산화에 대비 정보자료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이다. 셋째, 도서관자료의 마이크로 필름화이다. 넷째, 도서관의 근거리통신망(LAN)의 설치 및 지역별 상호협력을 통한 相互貸借제도이다. 한정된 예산으로 도서관을 운영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이러한 한정된 예산으로 도서관 경영의 합리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결국 조속한 대학도서관의 정보 체계화가 시급함이 이 연구에서 밝혀졌다. The function of university libraries of today becomes more and more various due to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methods. University libraries thus becoming the core institution which affect great influence on the overall aspects of university. However, library managers are facing strong request for efficient management from inside and outside of the library. This request come from the situation of bounded budget, explosive publications, inflation, and the drastic change of concerns in disciplines. Therefore, libraries of today are required to perform its original function as well as to bring fruitful development. At this time point, this study tries to identify the present status of local university libraries’ budgeting and to search for the strategies for development to cope with information age. The content of this study can be abstract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tries to identify the present status of university library budgeting. Second, this study tries to search for the effective away of university library budgeting. Third, this study tries to suggest the strategy for university library development within given budget.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focused on the libraries of the university which were supported equally from Ministry of Education since their development from college to university in 1990-1991. Present status of library budgeting was examined through two methods: document analysis and questionnaire method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 that university libraries have tried to fultill mere the quantitave standards suggested in the “decree for college facility standards.” And the qualities of library resources are very poor. Furthermore, many defective practices in budgeting process such as short-sighted budgeting are discovered. As the result of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effective way of university library budgeting. First, university library budgeting should be based on reality and careful plan. Library should require resonable amount of budget along with future development plan and realistic supporting data. The university headquarter should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library and should make positive effort such as more allocation of university finance for library for the appropriate functioning of library as the heart of university. Second, the proportion of library budget to the whole university budget should be hightened and original purpose of the “decrees for college facility standards.” should be followed. Third, in the university budget making process, allocation for library budget should be made in the full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 of library in university.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 as “the information center for discipline”, the followings should be considered in budget allocation: the number of resources in each subject: curriculum; the presence of graduate school; the level of resource utilization; the number of new department; and the number of faculties and students. In addition to these short-term effort, university libraries should prepare positively for forth-coming information age. It seems that information systematinization is the best way for effective library management, and the followings are suggested as the counter measures of the information systematization. First, university libraries should import on-line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Second university libraries should build databases. Third, university libraries should import condensed micronized-data systems. Fourth, university libraries should install LAN system between main and branch libraries and mutual borrowing and lending system within a local network. It is not easy to manage a college library with limited budget. It is found that the information systematization is required for the efficient library management within the bounded amount of budget.

      • 痲藥類 犯罪의 副作用에 關한 硏究 : 大麻 犯罪를 中心으로

        이영제 光云大學校 情報福祉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마약류라 함은 인체의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로 장기간 사용하면 사용자가 의존성이나 금단증상이 생기는 물질이다. 이러한 마약류는 형법상 특별법인 마약류관리에관한법률에 적용 받는다. 즉, 향정신성의약품, 마약, 대마가 여기에 해당한다. 또한 마약류는 아니지만 이와 유사한 환각작용을 일으키는 유해화학물질인 접착제(본드)와 부탄가스 등도 마약류와 다름없이 인체에 미치는 해가 크다. 이런것들에 의해 발생되는 여러 문제를 단속기능상 마약류 범죄 또는 마약류사범이라 한다. 본 연구는 마약류관리에관한법률상 마약, 향정신성의약품, 대마 범죄 중 대마초 흡연 사범에 대한 부작용에 대해 연구했다. 대마가 인체에 미치는 작용 중 특징은 정신적 긴장감이 없어지고 몽상적인 도취감에 졸음이 강하게 오며 흥분작용이 강하고 고성방가 또는 폭력을 행사하게 된다는 것도 본 연구를 통해 알았다. 그래서 대마의 남용이 심한 사회일수록 끔찍한 폭력사건이 증가한다고 것도 입증할 수 있었다. 이러한 개념들은 대마초 흡연자도 분명히 범죄 이외에 환자라는 양면적인 개념이 포함되고 있다.(전경수: 마약류 투약 범죄자 대체의료교정 적용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 이러한 범죄는 범죄자 측면의 교정보다 환자라는 대체의료교정을 수용할 수 있는 제3의 의료교정 시설이 필요했다. 이러한 교정은 대마초 흡연이 국민건강에 부작용이 있기 때문이다.(육창수외: 대마의 부견과 부작용에 관한 연구, 경희경희대학교) 그리고 대마초는 약리학적으로는 분명히 향정신성 의약품이나 마약이 아닌 비의료용 환각성 물질이기 때문에 마약류관리에관한법률을 적용시켜 마약류 사범으로 처벌하는 것 보다는 다른 법을 제정하여 처벌하는 것에 대해서도 이유가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결국 이러한 사실에서 각국은 물론 대마초 사용자들이 마약범죄라는 거창한 논리에서 벗어나려는 의식 범죄관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의식을 불식시키기 위해서는 기존의 유사환각물질인 톨루엔, 환각성 물질 사범에 준하는 대체법을 제정하는 방안을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이다. 즉 환각성 물질범죄에 적합한 법률을 제정 시행함으로서 마약범죄자라는 죄명에서 벗어날 수 있는 대체입법 방안을 모색한 것이다. 이는 마약류에관한법이 아닌 다른 법을 제정하여 처벌하므로써 마약사범이 아니라는 국민 정서에 만족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무엇보다 이러한 대마는 향정이나 마약에 의한 중독자와 같이 현재의 일반 교도소에서 수용하는 것 보다 환각물질 중독이라는 측면에서(전경수(2003), 광운대학교, 대체의료교정 연구) 대체교정이 필요하다는 것도 제시했다.

      • 대학생의 자원봉사활동 경험이 사회복지의식에 미치는 영향

        권영순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23

        자원봉사활동은 현 사회의 인적·물적 자원 부족을 보완해 줄 수 있는 중요한 활동으로 사회가 복잡해질수록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복지의식은 집단에서 상호연대 등을 통해 인간성을 회복하고, 책임감을 강화하며, 사회 구성원을 소중히 여기고, 집단을 위해서 자신을 희생할 수 있는 복지의식으로 이기주의와 개인주의가 팽배한 이 시대에 필요성이 증대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갈수록 중요성이 커지는 자원봉사활동과 복지의식에 대하여 대학에서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대학생에 복지의식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자원봉사활동 실태와, 자원봉사활동 참여동기,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와 복지의식과는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유의표집 하여 대학교 재학 중인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2014년 10월 7일부터 11월 7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각 변인들의 기본적인 특성을 알아보고자 빈도분석 및 기술적 통계를 실시하였다. 또한 복지의식의 상관관계와 대학생의 복지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산출하기 위해 독립변수를 4단계로 분류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빈도분석을 통한 인구사회학적 요인의 특성을 살펴보면 성별은 여자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인구사회학적 요인의 특성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년, 종교, 가족경제수준은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빈도분석을 통한 대학생의 자원봉사활동 경험 실태에서 자원봉사활동의 경험유무에 관한 사항에 대해 살펴보면 경험이 있다가 없다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대학에서 관련 수업을 들은 경험은 없다가 있다 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대학생의 자원봉사활동 경험과 대학에서 들은 관련수업과는 아무런 연관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복지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1단계, 2단계, 3단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모델 4에서는 모델 3의 변인에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의 7가지 하위영역을 투입한 결과, 사회적 교환욕구 만족도가 가장 영향력이 높은 변인으로 나타났다. 대의적 참여동기(B=0.206, p<.01), 사회적 교환욕구만족도(B=0.273, p<.01)은 전체 복지의식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대학생의 성별이 여자일수록, 대의적 참여동기가 높을수록, 사회적 교환욕구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사회복지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자원봉사활동을 활성화시키고 사회복지의식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대학생들의 자원봉사지속의지, 대의적 참여동기, 사회적 교환욕구만족도를 높여 주는 방향으로 봉사활동이 진행되어야 한다. 또한 자원봉사활동 참여동기 하위 요인 중 의미가 크게 나타나는 대의적 참여동기에서 “자원봉사활동이 훌륭하게 여겨지기 때문”, “지역사회에 무언가 환원하고 싶어서”, “자원봉사활동이 가치가 있기 때문”, “자원봉사활동이 더 나은 사회를 만들기 때문”, “자원봉사활동이 사회전반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라는 자기 자신뿐만 아니라 사회전반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봉사자의 따뜻한 마음을 살리고 자원봉사만족도 하위 요인 중 의미가 크게 나타난 “나의 활동이 미래에 보상을 받게 될 것”이라는 사회적 교환 욕구와 “내가 하는 일을 통해 주위로부터 인정이나 존경을 받고자 하는” 사회적 인정욕구를 만족시켜 주는 방향으로 자원봉사활동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Volunteering is a society becoming increasingly more important as an important activity that could complicate complement the lack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of the current society. Welfare of humanity in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is regained through mutual solidarity, strengthen accountability, and community members consider carefully, there is a need in this day and age, and selfishness and individualism as welfare consciousness can sacrifice himself for the population increase is widespread can be said to be. This study is a growing and increasingly important volunteer work and welfare ordinance targeting college students enrolled at the university with respect to population factors affect the welfare conscious college students and sociological factors and volunteer status, volunteer activities, participation motivation, resources volunteer satisfaction and well being conscious and examined to investigate whether any associations. Note that the sampling for this purpose by targeting college students attending the University of 300 people from October 7, 2014 to November 07, the survey was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tilizing SPSS 18.0 statistical program,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 variables. In additio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classify the arguments in Step 4 to calculat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well being conscious of the college. In summar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frequency woke demographic factors through analysis revealed that women with higher gender, population characteristics and sociological factors've shown to exhibit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grade, religion, family economic status was not significant. Second, the reality of college students volunteering experience through frequency analysis to look for information about the presence or absence of volunteering experience is not got overwhelming experience were higher compared to. The relevant class at the University experience showed that it is not overwhelmingly high compared to. As a result, the relevant class and are volunteer activities at the university and the college experience can be seen that there is no connection. Third, as a result of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social consciousness, Step 1, Step 2, a statistically significant was found in step 3. Finally, Model 4, the results put the seven sub-regions of volunteer satisfaction on three variables of the model, social exchange needs satisfaction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were high. Motivation enemy units (B = 0.206, p <.01), social exchange needs satisfaction (B = 0.273, p <.01) was found on a positive effect on the whole welfare consciousness. Therefore, the more the sex of the college girl, one higher participation motivation,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social needs were exchanged to affect social welfare consciousness. Above enable the volunteer college students through the study and in order to improve the welfare of their volunteer commitment ceremony continued, representative participation motivation, social exchange needs to be a volunteer orientation should be conducted to enhance the satisfaction. "Because the volunteer to be considered good." In addition, volunteer participation motivation means significantly sub factors of participation in the single motive appears, "I wanted to do something to reduce the community", "This is because the value of volunteering", "volunteering is due to make a better society," "resources, because they volunteer to help the society", as well as make use of their own desire to be warm hearted volunteers to help society. Volunteer satisfaction of the meaning of sub factors appeared largely socially accepted way to satisfy the desire "to receive the recognition and respect from around through what I do." "My work will receive compensation in the future," the social exchange needs, as will be volunteering should be conducted.

      • 강점을 활용한 코칭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구직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

        박미윤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강점을 활용한 코칭 프로그 램을 개발하여 실시하고, 구직효능감,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 하는데 있다. 현재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진로, 취업프로그램과 코칭 프 로그램이 있지만 이 프로그램은 자신의 강점을 확인하여 구직효능감을 향 상시키고 강점을 활용한 구직서류 작성으로 진로준비행동을 구체화하고 적극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 여 서울소재의 전문대학 취업게시판과 홈페이지를 통해 프로그램을 홍보 하여 진로나 취업고민이 있는 재학생들을 실험집단 8명, 통제집단 7명을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사전검사 실시 후 강점을 활용한 코칭 프로 그램을 총 6회기 실시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2주 후 1회기 진행과 추후검사를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7명으로 구성하여 사전검사, 사후검사 및 추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강점코칭프로그램 효과검증을 위한 측정도구는 구직효능감 검사와 진로 준비행동 검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과 연구문제의 검증은 기술 통계 분석, 빈도분석, 신 뢰도 검증, 독립표본 t-test, 대응표본 t-test, 혼합 변량 분석(Mixed ANOVA)등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 Windows 12.0을 이용하 였다. 이 연구결과를 통해서 얻은 결론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점을 활용한 코칭프로그램이 전문대학생의 구직효능감 향상에 미 치는 효과는 일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와 평균 점수의 상승이 확인 됨에 따라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강점을 활용한 코칭프로그램이 전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향상에 미치는 효과는 일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와 평균 점수의 상승이 확 인됨에 따라 긍정적인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코칭 종료 후 효과의 지속성은 구직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의 사후- 추후검사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일정 부분 코칭의 효과 는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적은 표본수와 한정된 대상 등의 한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학문적으로는 첫째, 본 연구는 긍정심리학을 기반으로 한 강점을 활용한 코칭 집단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한 집단 코칭 프로그램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강점을 활용한 코칭 집단 프로그램을 대학생에게 사전 부터 사후, 추후검사까지 진행한 연구이다. 현재 대학생과 구직자를 대상 으로 하는 진로, 취업프로그램들이 운영중이고 사후결과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코칭이라함은 잠시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동안 의 효과가 목표가 아니라 장기적으로 피코치가 자신의 잠재력을 찾아 긍 정적인 변화와 성장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의미가 있기 때문에 그런 점 에서 사전, 사후 뿐 아니라 추후검사까지 진행하여 코칭의 장기적인 효과 를 살펴봐야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일정상 2주후 추후검사를 사용하였지만 시간적 여유가 된다면 보다 장기적인 코칭의 효과를 검증해봐도 될 것이다. 이 연구의 사전, 사후, 추후 검사 결과를 보면 강점을 활용한 코칭 프로 그램을 참여한 실험집단이 그렇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구직효능감, 진로준비행동 점수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여주었으며 이는 강점코칭프로 그램이 취업을 준비하는 대학생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aching program that utilizes strength and to verify the efficiency that influences job-seeking 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For now, there are job assistance programs and coaching programs for college students. However, this program exists to improve job-seeking efficacy by checking one's strong points, and to materializ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y preparing a resume that makes full use of the strength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program is advertised through several colleges' career boards and home pages. Then eight students are selected for experimental group and seven are selected for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racticed a one-on-one individual coaching program six times for an hour and twenty minutes and took a test after a pretest. After two weeks, the group was provided one part of the process and a post test. The control group was composed of 7 people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is program, and they practiced the same tests as the previous group. A job-seeking efficacy test and a test of behaviors of preparation for career were used for proving the effects of the strength-coaching program. This study's data analysis and investigation implemented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credibility verification, t-test for independent samples, t-test for dependent samples, and Mixed ANOVA. They used SPSS Windows 12.0 for processing statistics. The conclusions and discussions through this study's result are as followed. First, the efficiency of an one-on-one coaching program that utilizes strengths is confirmed that it influences positive effects on increasing college students' job seeking efficacy as some meaningful differences of statistical data. Afterwards, increases of the average scores were proved. Second, the efficiency of the coaching program that utilizes strengths is confirmed that it influences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college students' behaviors of preparation for career as some meaningful differences of statistical data. Afterwards, increases of the average scores were proved.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effects' sustainability after the coaching, the effects of coaching lasts after the program ends a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final test and the post test were not meaningful in terms of job seeking efficacy and behaviors of preparation for career. Nevertheless, this study has a small number of samples and limited objects. This research has meaningful results and implications as followed. Firstly, this study proves the effectiveness of a coaching group program utilizing strengths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Second, this study practices the group coaching program using strengths for college students from the pretest to the final test and the posttest. For now, several job assistance programs are operated for college students and job seekers. Also, researches regarding the final result are being carried out. Coaching is not only for the purpose of the effects during participation in a program for a while, but also to find out one's potential to be able to change and improve one's self positively. In that sense, the post test as well as the pretest and the final are needed to discover the effects of long term coaching In this study, the post test was used only in 2 weeks because of the program's schedule. However, long-term coaching can be proved if it is possibl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tests,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bett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erms of job seeking efficacy and behaviors of preparation for career. That is to say, the coaching strength program has positive influence on college students who are looking for a job Finally, the suggestion based on this study for future investigation is made.

      • 유산소성 운동이 비만 여자대학생의 체력, 신체조성 및 혈청지질에 미치는 영향

        이종곤 광운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일상생활에서 운동습관이 없는 비만 여자대학생을 15명을 대상으로 12주간의 에어로빅댄스 운동프로그램이 비만 여자대학생의 체력, 신체조정 및 혈청지질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12주간의 에어로빅댄스 운동 후 가슴둘레, 넓적다리둘레, 하리/엉덩이 둘레 비율는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체중, 윗팔둘레, 복부둘레, 허리둘레, 엉덩이둘레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었다(* p<0.05). 2. 12주간의 에어로빅댄스 운동 후 악력은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윗몸일으키기, 앉아서 윗몸 앞으로 굽히기에 있어서 유의하게(* p<0.05)증가하였다. 또한 12주간의 에어로빅댄스 운동 후 HRrest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O2max, HRmax, Emax에 있어서 유의하게(p<0.05) 증가 하였다. 3. 12주간의 에어로빅댄스 운동 후 체수분량, 그리고 신체질량지수는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체지방률, 체지방량, 제지방량에 있어서 유의하게(* p<0.05)증가하였다. 4. 12주간의 에어로빅댄스 운동 후 LDL-C는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TC, TG은 유의하게(* p<0.05) 감소하였으며, HDL-C는 유의하게(* p<0.05) 증가하였다. 이상을 종합하여 보면 일상생활에서 운동습관이 없는 비만 여자대학생 15명을 대상으로 12주간의 에어로빅댄스를 실시한 결과 체력, 신체구성, 및 혈청지질이 긍정적으로 개선되었고, 이와 같은 긍정적인 변화는 장기간의 활발한 운동 습관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has operated 12 weeks of aerobics to 15 obese girl students. We have analyzed physical strength, assistance of making body, and serum. Here is the result. 1. After 12 weeks of aerobics, measures in waist, thigh, chest, and the buttock decreased, but there was no attentive difference. But in weight, measure in upper arm, belly, waist, and buttock had attentive difference. (P<0.05) 2. After 12 weeks of aerobics, there was no attentive difference in grasping power, but there was attentive difference in sit up, and bending while sitting. (P<0.05) Also after 12 weeks of aerobics, HRrest didn't make any attentive difference. But VO2max, HRmax, VEmax showed attentive increase. (P<0.05) 3. After 12 weeks of aerobics, quantity of water in body, mass of body has decreased but there was no attentive difference. However there was attentive increase in amount of body fat, percentage of body fat, and number of body fat. (P<0.05) 4. After 12 weeks of aerobics, LDL-C decreased but there was no attentive difference. But TC, TG has attentively (P<0.05) decreased, and HDL-C has attentively (P<0.05) increased. Here is the result after all of the study. After 12 weeks of aerobics from obese girls whose practice of exercise is not so much, physical strength, organization of body, and serum has positively increased. These positive change has shown usefulness of daily exercise.

      •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및 의사소통능력 증진을 위한 그룹코칭 프로그램의 효과

        박수정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및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해 실시한그룹코칭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그룹코칭이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2. 그룹코칭이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3. 그룹코칭의 효과는 그룹코칭 종료 후에도 지속하는가? 본 연구를 위해 서울시에 위치한 K대학교 대학생 중 실험집단 7명, 통제집단 7명을 선정하였다. 그룹코칭 프로그램은 학년별 유사성과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4명과 3명씩 2그룹으로 나누었고, 실험집단은 매주 1회, 2시간씩 7회차를 GROW모델을 기반으로 진행하였다. 그룹코칭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사전, 사후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4주 후 Follow-up 1회 차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대인관계능력은 Warner(2007)가 개발하고 국내의 (주)PSI컨설팅이 번안하여 활용하고 정태영(2010)이 대인관계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만든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또한, 의사소통능력은 허경호(2003)가 Rubin(1991)의 의사소통 구성요소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제작한 포괄적 대인 의사소통능력 척도(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GICC)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해 사전, 사후, 추후 검사를 하였으며, 자료분석과 연구 문제의 검증은 기술통계분석,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 독립표본 t-test, 일원피험자내 ANOVA,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 등을 실시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Window용 Ver. 17.0k를 이용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룹코칭이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으며, 평균 점수의 상승이 확인됨에 따라 그룹코칭이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그룹코칭이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으며, 평균 점수의 상승이 확인됨에 따라 그룹코칭이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그룹코칭 종료 후 효과의 지속성은 사전과 추후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사후와 추후 검사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추후 점수가 사전, 사후 대비 상승함에 따라 그룹코칭 종료 후에도 효과가 지속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적은 표본 수와 한정된 대상 등의 한계가 있음에도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학문적으로는 첫째, 코칭심리 이론을 바탕으로 그룹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사전, 사후, 추후까지의 효과성을 규명. 둘째, 청년 실업률이 높아져 가고 있는 가운데 기업에서 대학생들에게 요구하는 대인관계역량 및 의사소통역량을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그룹코칭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규명. 셋째, 그룹코칭 프로그램 진행을 위한 사전, 실행, 사후 프로세스 중 사후 프로세스에서의 구체적인 실천 행동을 제시. 넷째, 사전, 사후, 추후 설문을 통해 대학생들에게 그룹코칭 프로그램 효과의 지속성이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실무적으로는 첫째, “그룹코칭이 효과가 있는가?”에 대한 물음에 긍정적인 해답을 제시. 둘째, 코칭을 다양한 방면으로 활용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 셋째,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및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해 실무적으로 적용 가능한 프로그램을 제시. 넷째, 본 연구의 절차와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각 교육기관 및 현장에서 가이드라인을 제공. 다섯째, 그룹코칭의 효과 성 검증을 위한 조사상의 범위 및 효과성 해석 기준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미래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 group coaching program conducted to improve undergraduates’ interpersonal skills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1. Does group coaching affect undergraduates’ interpersonal skills? 2. Does group coaching affect undergraduates’ communication competence? 3. Do the effects of group coaching last even after the completion of the group coaching? For the research, this study organized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ith seven undergraduates from K University located in Seoul for each group. For the group coaching program,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four and three, in consideration of the similarities by grades and interaction. 7 sessions of group coaching were performed on them once a week and two hour per time, and afollow-up coaching was performed after 4 week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pre- and post-test were executed and a follow-up test was performed after 4 weeks. And the measurement tools used for this study are as below: for interpersonal skills, the one developed by Warner (2007) and then translated and utilized by PSI Consulting, Corp. was used, and the questionnaire designed by Jeong Tae Yeong (2010) to measure interpersonal skills was used. Also, for communication competence, this paper employed an inclusiv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GICC) devised by Heo Gyeong Ho (2003) based on Rubin (1991)’s advanced research on the components of communication.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pre-test, and follow-up test, and data analysis and answer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were made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smaple t-test, paired-sample t-test. one-way within-subjexts ANOVA, and mixed ANOVA. All these statistical analyses used SPSS for Windows Version 17.0k.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s of group coaching on undergraduates’ interpersonal skills. Because the average score increased, group coaching affected the undergraduates’ interpersonal skills positively. Seco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s of group coaching on undergraduates’ communication competence. Since the average score increased, group coaching affected the undergraduates’ communication competence positively. Third, regarding the durability of effects after the completion of group coaching, pre- and follow-up tes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However, post- and follow-up tests indica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nd since the follow-up test score increased more than the pre- and post-test scores, the effects continued even after the completion of the group coaching.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like a small number of samples or limited subjects; however, it has its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as follows: From academic aspects, first, based on the psychology theory of coaching, this article developed a group coaching program and examined its pre-, post-, and follow-up effectiveness. Second, in the midst of the increase of youth unemployment, companies demand undergraduates to be equipped with interpersonal and communication capacities. And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a group coaching program targeting undergraduates. Third, this article suggests the concrete practical behavior in the post-process among the pre-, post, and follow-up processes to conduct the group coaching program. Fourth,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s the durability of a group coaching program’s effects on undergraduates through pre-, post-, and follow-up surveys. And from practical perspectives, first, this study provides positive answers to the question of “Is group coaching effective?”. Second, it suggests the ground to the use of coaching in various ways. Third, this paper proposes a practically applicable program in order to improve undergraduates’ interpersonal skills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Fourth, it provides a guideline to be used in educational institutions or actual spots of education as presenting the research procedures and methods. Fifth,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group coaching, it provides the criteria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and also the range of research. Lastl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gives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