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경기도 초등학교 보건교사의 부장교사 임명제도와 운영 실태에 관한 연구

        김명숙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79

        Appointing a teacher as a department manager is very important at the elementary school, because the group of manager teachers carry out a lot of principal decisions and have authorities and influences as a main field. As the role of a nursing teacher being expanded, the number of manager nursing teacher is increasing gradually. All the studies on the appointment of a manager teacher, however, are for general school teachers, not for a nursing teachers. This thesis is the study on the system for appointing school teachers and nursing teachers as a department manager, which is studied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th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health education and the students’ health management . For the study, reference materials, survey, statistical data and depth interviews are used. 190 general teachers and 110 nursing teachers (total 300 teachers) working at the elementary school in Kyunggi province were participated in the survey for 5 days from August 25, 2018 to September 30, 2018. The subject of the survey was about the cognition of manager nursing teacher system and its management. The statistical data was about the status of appointing the manager teacher at the elementary school. And the conclusion of the case on the appointment of manager nursing teacher was derived by classifying the reference data of each school and depth interview data.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system of appointing the manager teachers started from 1970 by Education Dept., and it was devolved to provincial and municipal Office of Education in 1998. And now it is managed after being named the title and its official authority by school principals. Kyu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presents the qualification standard with affairs and human elements. But most of schools define the qualification as a teacher who has the first-level certificate and it has caused a structural inequality and restriction for nonsubject teachers. The appointment are proceeded by making a list by self-respect or recommendation, and appointing by the school principal. According to the survey, however, three quarters of manager teachers were appointed by the principal’s designation. Based on the conclusion, it is checked out that, for the criteria and procedure for appointing the manager teacher at the elementary school, there are some struc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general teachers and the nursing teachers. According to the survey about the cognition for the manager teacher system and its management which was categorized by three areas, there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in 14 answers among total 20 questions between the general teachers and the nursing teachers. Especially, the appointment ratio between all woman-teachers versus manager nursing teachers in Kyunggi province was 20.4 : 1. Among 300 teachers distributed by the position, the rate gap of the manager teachers between the general teacher and the nursing teacher is 24.8 times. As a result of interviewing the nursing teachers who were a manager teacher, only four nursing teachers have participated in the school planning meeting, school steering committee, etc which are the organizations making main decisions on school affairs, had authorities to carry forward the business, and taken professional leadership with cooperation of the school managers and colleagues. This result shows that appointing the manager nursing teachers can make the health and business promotion activities more effective and easier. In addition, it suggests that this is a useful case to enhance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personal sense of accomplishment. Therefore,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Kyu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should guarantee the reasonable position of the public educational staffs by innovating the realistic and effective personnel affairs. And the personnel policy of each school should be corrected the promotion system and performance-based bonus system for nonsubject teachers as instructed. And the authorities have to compensate the system and make a legal instrument to resolve the structural unfair and social discrimination. In the end, before fully implementing the 2015 revision school curriculum which will be started from March 2019, the achievement standard should be led from ‘based on teacher’ to ‘based to learner’. I want to suggest that the affairs be set up : notification of ‘Elementary school Health education curriculum’, the continuous studies for installing the Exclusive Health Care Department at school and granting qualification for the regular licensed teacher through the earlier law revision. Keyword : Health Education, Student Health Care, Nursing Teacher, Manager Teacher 초등학교에서 부장교사의 임명은 의사결정과정의 중요한 통로이며, 권한과 영향력 행사의 주요한 장(場)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보건교사의 역할변화에 따라 학교조직에서 보건교사의 부장교사 임명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부장교사 임명에 관한 연구 대상은 모두 일반교사이고, 보건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 논문은 보건교육과 학생건강관리의 제도개선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초등학교 부장교사 제도와 보건교사의 부장교사 임명에 관한 내용을 다루었다. 연구도구는 문헌자료와 설문조사, 통계자료, 심층인터뷰를 활용하였다. 설문조사는 경기도 초등학교 일반교사 190명과 보건교사 110명, 총 300명을 대상으로 2018년 8월 7일부터 9월 3일까지 26일간, 부장교사 제도와 운영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통계자료는 경기도 초등학교 부장교사의 임명실태 분석에 활용하였고, 보건교사의 부장교사 임명에 관한 사례는 단위학교의 문헌자료와 심층인터뷰 자료를 유목화 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장교사 임명은 1970년 문교부령으로 시작되었고, 1998년 교육부의 권한이 각급 시․도 교육청으로 이양(移讓)되었다. 현재는 학교별로 학교장이 명칭과 권한을 정하여 운영하고 있다. 경기도교육청은 부장교사 임명기준을 직무와 인적요소로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단위학교는 1급 정교사로 규정하여 비교과 교사들의 부장교사 임명에 제한과 구조적 불평등이 초래되고 있다. 부장교사의 임명절차는 본인의 희망과 추천에 의한 명부작성을 거쳐 학교장이 최종 임명한다. 하지만 연구에 참여한 부장교사 경험이 있는 보건교사들의 경우는 4명 중 1명은 본인 희망, 3명은 학교장 지명에 의해 임명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초등학교 부장교사 임명기준과 절차는 일반교사와 보건교사 사이에 구조적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3개 영역으로 범주화(範疇化)된 부장교사 제도와 운영에 관한 인식조사 결과, 총 20문항 중 14문항에서 일반교사와 보건교사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경기도 전체 여자교사 대(對) 보건교사의 부장교사 임명비율은 20.4배, 연구 대상자 300명의 직위별 분포에서 일반교사와 보건교사의 부장 임명비율은 24.8배 차이가 있었다. 보건교사 중 부장교사 임명 경험이 있는 4명의 대상자를 심층인터뷰한 결과는 학교 내 의사결정 기관인 기획회의와 학교운영위원회 등을 통해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함으로써 업무추진에 대한 결정 권한을 부여받고, 지원적인 관리자와 협조적인 동료들 속에서 전문가 리더십을 발휘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보건교사의 부장교사 임명이 보건교육을 포함한 다양한 건강증진활동과 효율적인 업무추진에 용이하고, 교사효능감 증진과 개인적 성취감을 획득하는 등 학교의 인적자원관리에 유용한 사례임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교육부와 경기도교육청은 실효성 있는 인사제도 혁신을 통해 교육공무원의 직무수행에 합당한 지위를 보장하여야 한다. 또한 지침에 따라 단위학교의 인사내규를 정정(正定)하는 등 비교과 교사에 대한 승진체계와 성과급제도 등에서 구조적 불공평함과 신분적 차별 해소를 위한 제도적 보완과 법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끝으로 국가교육과정을 운영하는 우리나라는 2019년 3월을 기점으로 2015 개정교육과정의 전면시행을 앞두고 있는 바, ‘교사중심 교육’으로부터 ‘학습자중심 교육’으로 이동하고 성취기준을 통해 구체화되는 보건교육의 연계성을 확보해야한다. 이에 ‘초등보건교육과정’의 고시, 정교사 자격과 표시과목의 부여, 조속한 법(法) 개정을 통한 보건교사의 직무 정립, 단위학교의 보건전담 부서 설치를 위한 후속연구를 제언한다.

      • 대학부설 한국어교육원의 교육서비스 만족도 연구

        김예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언어연수생을 대상으로 대학부설 한국어교육원의 교육서비스가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어 교육원에서 한국어를 학습하는 언어연수생들을 중도탈락 없이 지속적으로 교육원에 잔류시키고 상급학교로의 진학을 통해 학습을 지속할 수 있게 유도하기 위해서는 언어연수생들의 교육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를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한국어교육원의 교육서비스 중 교수와의 관계성은 언어연수생 교육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한국어교육원 교육서비스 중 교육의 질은 언어연수생 교육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3. 한국어교육원 교육서비스 중 교육시설 및 환경은 언어연수생 교육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4. 한국어교육원 교육서비스 중 교직원과의 관계성은 언어연수생 교육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5. 한국어교육원 교육서비스 중 행정서비스의 질은 언어연수생 교육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하여 경기도 수원에 위치한 K대학부설 국제교육원에 재학 중인 중국과 베트남 언어연수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장미내(2016)의 교육서비스 품질 설문지와 하호정(2012)의 교육만족도 설문지를 토대로 중국어, 베트남어, 영어로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는 온라인 조사와 지면 조사를 동시에 진행하여 응답을 수집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부설 한국어교육원의 교육서비스, 즉 선생님과의 관계가 좋을수록, 교육의 질이 높을수록, 교육시설 및 환경이 좋을수록, 교직원과의 관계가 좋을수록, 행정서비스의 질이 높을수록 교육만족도가 높았다. 이 중 학생들의 교육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교육시설 및 환경’이었다. 둘째, 교육서비스 품질에 대해서는 중국 국적의 학생들이 베트남 국적의 학생들에 비하여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교육서비스 품질 인식은 남자가 여자보다 교수와의 관계성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교 진학을 목적으로 공부하는 집단은 교육의 질을 상대적으로 더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학원 진학을 목적으로 공부하는 집단은 교육의 질을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국 국적의 응답자가 베트남 국적의 응답자보다 교육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언어연수생 응답자들의 한국어교육원에 대한 요구사항 중에서 ‘한국인과 만나는 기회 확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위와 같은 언어연수생의 인식을 참고하여 대학부설 한국어교육원의 양적·질적 향상을 위한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언어연수생의 교육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교육시설 및 환경’에 대한 대학의 적극적이고 아낌없는 투자가 필요하다. 주요어: 언어연수생, 교육만족도, 교육서비스 The purpose of this study, regarding Korean language institutes attached to the universit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educational services o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to suggest actions for qualitative growth. The research questions set up to achieve these goals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How does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in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 affect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language trainees? Research Question 2. How does the quality of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 affect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language trainees? Research Question 3. How does the educational facilities and environment in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 affect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language trainees? Research Question 4. How does the relationship with the staff in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 affect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language trainees? Research Question 5. How does the quality of administrative services in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 affect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language trainees? Using the above research objectives, a survey of Chinese and Vietnamese language trainees attending K-university International Education Institute located in Suwon, Gyeonggi-do, was conducted. The survey was translated into Chinese, Vietnamese, and English based on the Education Service Quality Questionnaire by Jang Mi-nae (2016) and the Education Satisfaction Questionnaire by Ha Ho-jung (2012). The survey collected responses by conducting online and in-person surveys simultaneously.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better the educational service of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 attached to the university, the higher the satisfaction rating. That is higher quality of education, better educational facilities and environment, better relationships with the staff, and higher quality of administrative services resulted in higher satisfaction rating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on students’ educational satisfaction was “Educational facilities and environment.” Second, the students of Chinese nationality had a more positive perception of the quality of educational service compared to those of Vietnamese nationality. In relation to teachers, male respondents perceived the quality of educational service according to sex more positively than female respondents. Groups studying for university admissions perceived a lower quality of education, while those studying for graduate school perceived a higher quality of education. Third, respondents of Chinese nationality demonstrated higher education satisfaction than those of Vietnamese nationality. Fourth, expanding opportunities to meet Koreans was of the highest importance to in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s of language trainees’ respondents. In recognition of the language trainees’ responses, it is necessary to make concrete and practical efforts to make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improvements to the quality of the University’s Korean language institute.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invest earnestly and generously in educational environment and facilities which would have the greatest impact on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language trainees. Key Words: Language trainee, Educational Satisfaction, Educational Services

      •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미술대학 입학시험 준비실태에 대한 분석적 연구

        김인숙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1993 국내석사

        RANK : 249663

        一般系 高等學校에서 실시하는 현행 미술교육과정은 미술대학이 추구하는 專門性 탐구의 교육과정이 아니라 보통교육 즉, 전인교육의 일환으로 실시되는 교육이다. 그리고 일반계 고등학교에 근무하는 미술교사의 수는 미술계열의 대학을 진학하고자 하는 학생들을 지도하기에는 절대적으로 부족한 형편이다. 따라서 미술대학의 입학시험이 요구하는 수준에 일반계 고등학교의 정규적인 敎育課程으로서는 부합되기 어렵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현행 미술계열대학의 入學試驗制度를 분석하고 이와 관련하여 현행 一般系 高等學校에 재학하는 학생 중 미술계대학의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의 입학시험 준비실태를 분석,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 파악된 內容은, 1. 현행 미술계대학의 入學試驗制度는 美術敎育의 본질에 비추어 볼 때, 일반계 고등학교의 美術科敎育과는 교육목표상 차이가 있다. 2. 현행 미술계대학의 入學試驗制度는 다른 국가들과 비교하여 볼 때도 손색이 없는 제도였다. 따라서 현재 제기되는 美術大學입학시험을 둘러싼 문제는 제도의 운영상의 문제에서 기인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3. 현행 미술계대학을 지망하는 一般系 高等學校 학생들의 입학시험 준비실태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미술과 교육의 목표 상, 一般系 高等學校의 美術敎育課程은 美術大學의 입시준비에 적합하지 않았으며 이러한 이유로 하여 一般系 高等學校에 재직하는 미술교사는 입시를 위한 실기지도를 직접하지 못하는 형편이며 학생들도 미술학원에 의존하는 현실이었다 둘째, 美術大學 입학전형에 있어서 교사나 학생들 대부분은 실기반영의 비율을 보다 높이기를 원하고 있었다. 세째, 현행 공통실기과목으로 실시하는 석고소묘에 대해서는 거의 대부분의 교사나 학생들이 제도적 개선을 필요로 하고 있다. 설문분석결과, 이 경우 대학의 자율에 실기시험제도를 맡기든가 석고 이외의 대상을 소묘하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네째, 대학에서 실기과목에 대한 출제 예상문제를 발표하는 것에 대해서는 찬성하는 쪽보다는 반대하는 쪽이 많았으며 이러한 제도상의 문제는 대학 자율에 맡겨야 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다섯째, 실기시험의 횟수를 증가하는 것에 대해서는 대다수의 교사와 학생이 찬성하고 있으며 실기대회 성적을 입시에 반영하는 것도 찬성하는 쪽이 보다 많았다. 이 경우 특히 수도권 지역의 학생들의 찬성도는 다른 집단과 비교할 때 두드러졌다. 여섯째, 一般系 高等學校에 재학하는 미술계대학 지망생들의 월 평균 학원비는 31만5천원이고 재료비는 5만5천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사교육비에 대한 학부모의 부담감은 적지는 않으나 대부분의 부모들은 이를 내색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本 硏究에서는 이상의 理論的, 實態分析的 硏究를 土臺로 다음과 같은 몇가지 提言을 하고자 한다. 첫째, 藝能系列의 學級 編成이 반드시 필요하다. 둘째, 藝能系列의 學級 編成과 관련하여 實技指導를 전담할 수 있는 美術專門 敎師의 數를 늘리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세째, 實技試驗은 大學自律에 맡겨져야 한다. 네째, 實技試驗의 反映 比率과 實施回數를 늘려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상과 같은 내용의 제언은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자칫 소외되기 쉬운 예능계열 지망학생들에게도 관심을 갖고 배려해 줄 수 있는 계기 마련에 도움이 되어야 하겠다. The current art curriculum in the general high school is purposed to help students being 'the whole man'. The current art college's educational goal is to train the art experts. On observ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art curriculum in the general high school and the current art college's educational goal, the current system of art college enterance test has many problem. Therefore this study is purposed to analyze the current art college enterance test system and to grasp the realities of th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preparing for the art college enterance test. The study is divided two parts. The one part consist of the literature research conceptualizing the current art college enterance test system. The other part consist of the survey on the realities of the general high students' preparing for the art college enterance test with questionair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urrent test system for art college enterance has different goals from those of art education in the general high school. Second, the current test system for art college enterance is good in itself but has many problems in it's operation. Third, the realities of th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preparing the art college enterance test are as follows: 1. Because of the goal of the art education in the general high school, most of students who hope to enter the art college depend mainly upon the private art institutions. 2. Most of students and teachers hope to rise the ratio of performance test. 3. The plaster figure as a current sketch test's object is mostly rejected by students and teachers. 4. Most of students and teachers hope to assign the performance test's decision-making right to the art colleges. 5. Most of students and teachers approve of rising the performance test times. 6. It is revealed that students who hope to enter the art college in general high school spend 315,000 won on the private art institutions, 55,000 won on the matter for art monthly. In conclusion, I would like to suggest as follows: First, It is absoulutely needed to form the class for students in the general high school who hope to enter the art college. Second, In the above context, It is needed to increase the number of the expert teachers for art performance. Third, It should be permitted that art colleges could administer the performance test autonomously. Fourth, The ratio and the number of performance test in the art college enterance test should be increased. Finally I hope that the study would help to improve the system of art college enterance test.

      • 미술 비평을 통한 한국 근현대 미술 감상지도 방안 : 고등학교 미술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오혜석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오늘날 우리는 수많은 시각적 정보의 홍수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디지털 시대가 기존 아날로그 시대의 패러다임을 완전히 거부한 새로운 기술체계를 구축했듯이, 현대미술 또한 기존의 전통적인 가치기준을 거부하고 새로운 미적 가치기준을 창조하고 있다. 최근에는 포스트모던 미술, 페미니즘 미술, 다원 문화주의 등 다양한 미술문화가 현대미술이라는 테두리 안에 공존하며 생성과 소멸을 반복하고 있다. 이러한 복잡한 현대미술은 이에 대한 사전 지식 없이 그저 보기만 해서는 이해하기 힘들다. 현대미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가치체계를 가져야 하며 작품을 읽어내기 위해서는 비평적 안목을 필요로 한다. 다시 말해 대중매체를 포함한 모든 시각정보들을 이해, 평가, 선택하는 일이 현대사회에서는 더욱 중시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오늘날 미술교육의 목표는 전문작가 양성이 아닌 미술에 대한 비평적 시각을 가지고 미술문화를 향유하는 시각적 안목을 육성하는데 있다고 할 것이다. 미적 사고는 교사에 의해 일방적으로 주입되거나 개념에 대한 이해의 측면만을 강조하기보다는 학생들의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참여가 수반되어야 한다. 그러나 근래에 와서 미술 감상 지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달라지고 있지만 실제 교육현장에서는 이러한 필요성을 반영한 효율적인 감상지도가 구체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특히, 한국 근현대 감상 교육은 매우 미약한 실정이다. 학생들이 시각예술의 향유자로서 미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가지기 위해서는 먼저 동시대 한국 미술에 대한 비평적 안목이 우선시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학교에서의 한국 근현대미술 감상교육은 미술계의 흐름을 교육과정에 반영하면서, 학생들이 미술을 삶과 무관한 것으로 여기지 않고 미술을 생활이나 사회와 연계시켜 현실세계를 파악하기 위한 비평적 사고력을 형성하는 통로가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학생들의 미적 사고를 기르기 위해서 주체적, 능동적 사고 과정을 촉진시키는 수업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교사는 학생들이 발견하고 해결해야 할 미적 체험의 문제를 착상하고, 학생들을 ‘능동적이고 자발적인 미적 사고’로 유도하도록 구체적으로 미리 구상해야 한다. 또한 학생들에게 제공되는 한국 근현대 미술 감상 학습내용은 미술품이 지닌 미적 가치뿐만 아니라 사회적, 역사적 가치에 대한 탐구가 함께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미술 감상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교육현장에서 미술비평을 활용한 감상지도를 함으로써 현대사회의 수많은 시각적 정보에 대하여 올바른 가치 판단과 선택의 능력을 갖도록 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비평의 방법을 활용하여 한국 근현대 미술 감상의 수업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제 2장 에서는 감상과 미술비평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감상교육에 있어서 미술비평이 갖는 교육적 의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감상수업에서 미술비평 과정을 적용하는 방안과 비평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인 글쓰기에 대해 고찰하였다. 제 3 장에서는 한국 근현대 미술의 전개와 흐름에 대해 알아보고 감상수업에서 한국 근현대 미술 지도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현행 한국 근현대 미술 감상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감상영역을 중심으로 교과서를 분석해 보았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근현대 미술 감상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그 동안의 연구를 바탕으로 수업지도안의 실제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문헌 연구의 방법에 한정한 탓으로 실제 현장에서의 효율성은 검증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실제적인 활용을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이 논문을 토대로 하여 효율적인 감상지도방법에 접근해 가는 계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 유아기 자녀교육과 양육신념에 대한 어머니와 아버지의 인식 비교

        이미자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자녀교육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어머니와 아버지의 유아기 자녀교육과 양육신념에 대한 인식을 비교함으로써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교육과 지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기 자녀교육에 대한 어머니와 아버지의 인식은 차이가 있는가? 1) 유아기 일반적인 자녀교육에 대한 어머니와 아버지의 인식은 차이가 있는가? 2) 유아기 자녀교육의 지식에 대한 어머니와 아버지의 인식은 차이가 있는가? 3) 조기 교육에 대한 어머니와 아버지의 인식은 차이가 있는가? 2. 유아에 대한 어머니와 아버지의 양육신념은 차이가 있는가? 1) 인성/학습중심 양육신념에 대한 어머니와 아버지의 양육신념은 차이가 있는가? 2) 성숙/환경주의 양육신념에 대한 어머니와 아버지의 양육신념은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수원시와 안산시에 소재한 사립유치원과 민간어린이집 그리고 국공립어린이집에 다니는 자녀가 있는 어머니 205명과 아버지 187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그 결과를 분석했다. 각 문항에 대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양육신념에 대해서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교차분석과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첫째 연구문제인 유아기 자녀교육에 대한 어머니와 아버지의 인식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아기 일반적인 자녀교육에 대한 어머니와 아버지의 인식을 비교한 결과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유아기 자녀교육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정서 및 사회성발달로 어머니가 아버지 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자녀교육에서 가장 강조되어야 할 항목에 대한 인식으로 아버지는 인생관에 어머니는 대인관계에 좀 더 비율이 높았다. 가정에서 자녀교육비가 차지하는 정도에 대한 인식에서는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교육비 지출면에서 부족함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존재가 가장 필요한 시기는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유아기로 일치하나 다음으로 어머니는 젖먹이 시기를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아버지는 사춘기 및 청년기에 아버지의 존재가 더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자녀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부모의 역할에 대한 인식에서는 어머니는 정서적 안정감을 주는 일을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아버지는 올바른 가치관을 형성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유아기 자녀교육의 지식에 대한 어머니와 아버지의 인식차이를 비교한 결과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유아기 자녀를 교육시키면서 궁금한 점과 곤란한 점을 어머니가 더 많이 느끼고 있었고 자녀교육을 시키면서 궁금한 점이나 곤란한 점의 해결방법으로 어머니는 다른 부모나 친지와 상의하는 경우가 아버지보다 많고 아버지는 스스로 판단하여 결정 하는 경우가 어머니보다 많았다. 또한 자녀교육에 관한 지식 습득 기회는 아버지보다 어머니가 더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조기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능력에 따라 필요하다’라고 하여 일치하였으며 조기교육을 시키는 적절한 시기에 대해서는 어머니는 다소 어린 연령에 조기교육을 시키는 것이 적절하다고 인식하였고 아버지는 다소 높은 연령에서 조기교육을 시키는 것이 적절하다고 인식하여 차이를 보였다. 조기교육내용 선호도에서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피아노교육을 가장 선호하였고 영어는 남아 여아 상관없이 모두 시키고 싶어 하는 것으로 일치된 의견을 보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인 유아에 대한 어머니와 아버지의 양육신념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성/학습중심 양육신념에 대한 어머니와 아버지의 양육신념을 알아본 결과 연구대상 어머니와 아버지는 지적 성취나 학습을 강조하기 보다는 인성을 많이 강조하는 신념을 가진 것으로 일치된 의견을 보였다. 성숙/환경주의 양육신념에 대한 어머니와 아버지의 양육신념을 알아본 결과 연구대상 어머니와 아버지는 유전적인 요인을 중시하는 성숙주의보다 부모나 외부의 영향력을 중시하는 환경주의 중심의 양육신념을 가진 것으로 일치된 의견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보면, 유아기 자녀교육과 양육신념에 있어서 어머니와 아버지는 부분적인 차이를 보였으나 많은 부분 일치된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의 일치된 양육신념과 태도가 자녀의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자녀의 바람직한 교육과 지도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wareness of mothers and fathers, who perform vital roles in child education, on child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and parenting belief in an attempt to assist parents with preschool children to provide better education and guidanc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in this study: 1.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view of child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between mothers and fathers? 1)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view of general child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between mother and fathers? 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knowledge on child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between mothers and fathers? 3)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view of early education between mothers and fathers? 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parenting belief between mothers and fathers? 1)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personality/learning-centered parenting belief between mothers and fathers? 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maturational/environmentalistic parenting belief between mothers and fath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05 mothers and 187 fathers whose children attended private kindergartens and private, public and national daycare centers in Suweon and Ansa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4.0 program.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and percentage for each item were obtained, and another statistical data on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acquired to evaluate their parenting belief. Crosstabs and independent-samples t-test were utili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way the mothers and fathers looked at child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was checked to address Research Question 1. And there was partial differences between the views of the two about general child education. The mothers attached more importance than the fathers to the development of emotion and sociability. As for what should be most stressed in child education, the fathers gave more weight to life view, and the mothers put more value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ncerning the weight of child education spending, the mothers found themselves to be more pressed for money than the fathers. In regard to the time when children were most in want of parents, both groups cited early childhood. But the mothers attached the second most importance to a suckling period, whereas the fathers considered children to be in more need of fathers in puberty and adolescence. As to the most crucial parent role in child education, the mothers found it important to give emotional stability, and the fathers deemed it vital to let children build the right value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ir views of knowledge on child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they had a different opinion in part. The mothers were more curious about child education and faced more difficulties. As to how to satisfy their curiosity or get rid of difficulties, the mothers had a more discussion with other parents or relatives than the fathers, and the latter made a more judgment on their own than the former. The fathers had more opportunities to acquire knowledge on child education than the mothers. Regarding the necessity of early education, both groups agreed that competent children should receive early education. As for the right time for early education, the two groups took a different view. The mothers considered it advisable for children to receive it at an early age, whereas the fathers believed older children were more eligible for that. In terms of preference for different sorts of early education, both groups had the most preference for piano lessons, and they also wanted to offer English education to their children regardless of child gender. The mothers and fathers were compared in terms of parenting belief to address Research Question 2. In the event of personality/learning- centered parenting belief, both groups had a personality-oriented belief rather than stressed intellectual achievement or learning. In relation to maturational/environmentalistic parenting belief, both groups had an environmentalistic-oriented parenting belief rather than a maturational one, which respectively accentuated the influence of parents or the outside world and genetic factors.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ed that the mothers and fathers took the same view of child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in large part and had the same parenting belief, though there were some partial intergroup gaps. The findings had a lot of implications for ideal child education and guidance in that the same parenting belief and attitude of parents had a favorable impact on child development.

      •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아 반편견 교육에 대한 인식

        권진주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유아들은 어린 시기부터 서로 다른 사람들의 신체적 능력, 외모, 언어, 성 등에 있어서의 차이를 인식한다. 그리고 사회적 규범과 편견의 영향을 받은 가치관은 이미 어린시기에 형성된다. 따라서, 유아기에 실시되는 반편견 교육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사회적 통합은 장애에 대하여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는 것에 있어 보다 효과적이고, 변화에 대해서도 큰 거부감이 생기지 않는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는 비장애아와 장애아에 대한 편견을 없애고,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실시하기 위해 유아들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예비교사들의 인식이 예비교사의 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예비교사 변인에 따라 장애아 반편견 교육에 대한 인식은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예비교사 변인에 따라 장애아 반편견 교육 실시방법은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3. 예비교사 변인에 따라 장애아 반편견 교육 지도내용별 중요도에 대한 인식은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4. 예비교사 변인에 따라 장애아 반편견 교육 자료 활용은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 대상인 예비교사 257명은 대학교 및 보육교사교육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이다.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공통된 문항을 발췌하였고, 일반적인 편견과 선입견에 관련된 항목을 제외하고 장애인에 관련된 항목만을 선정하여 유아교육기관에 맞게 수정하여 최종 완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장애아 반편견 교육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χ2 검증과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아 반편견 교육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교육기관에 따라 반편견 교육에 대한인지는 3년제, 4년제 학생 모두 강의·세미나로 인하여 월등하게 인지를 하고 있었으나, 보육교사교육원 학생들은 그에 비해 강의·세미나를 접하는 경로가 부족하여 강의·세미나와 주변지인으로 알게 된 경로가 비슷하였다. 그리고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반편견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고, 특수교육수강 및 실습 경험이 있는 교사가 받지 않은 교사에 비해 장애아 반편견 교육의 인식과 필요성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둘째, 반편견 교육의 실시 방법은 교육기관, 학과, 특수교육수강 유무, 교육경험 유무, 실습경험 유무에 상관없이 대그룹 또는 소그룹 형태로 만3세부터 주2회-3회로 연중 실시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반편견 교육의 지도별 중요도에서 4년제 학생들은 장애아에 대해 이해하는 수준이 매우 높았다. 그리고, 장애아 반편견 교육지도 및 실습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비장애아와 장애아를 동일시하여 수업하기를 원하였다. 넷째, 반편견 교육에 대한 자료 활용은 4년제 학생들이 종전 교수·학습계획안 활용 여부, 각종 연수자료 참고여부, 일반 시사 자료집(신문·잡지) 참고 여부의 경우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육학과학생과 특수교육수강이나 실습을 한 응답자들은 지도 자료집 및 모든 운영방법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반편견 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법, 접근법 등에 관한 실증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유아교육기관 예비교사를 위한 국가 차원의 반편견 교육의 교육과정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반편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유아교육과정에 어떻게 통합하고 어떻게 유아들에게 교육시킬 것인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Infants recognize difference in physical ability, appearance, language, and gender from a very young age. Also, values influenced by social norm and prejudice form during their early stages of life. Therefore, social integration achieved through the anti-bias education that takes place in early childhood is effective in forming positive attitude toward disability and helps children to have no repulsion toward changes. This study was intended to eliminate prejudice against non-handicapped and handicapped children, and to identify how awareness of preservice teachers, who can affect children, differ according to the variable of preservice teachers to conduct successful integrated education. The established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Research problem 1. Is there difference in awareness toward anti-bias education of the disabled according to the variables of preservice teacher? Research problem 2. Is there difference in implementation methods of anti-bias education of the disabled according to the variables of preservice teacher? Research problem 3. Is there difference in importance by contents of anti-bias education of the disabled according to the variables of preservice teacher? Research problem 4. Is there difference in utilization of anti-bias education materials of the disabled according to the variables of preservice teacher? 257 preservice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students who are enrolled in college and child care education center.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extracted common items by reviewing precedent studies, and completed the final questionnaire by selecting and modifying items related to the disabled excluding items related to general bias and prejudice to fi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The collected data has been analyzed using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and conducted χ2 test and ANOVA analysis to investigate awareness of preservice teachers toward anti-bias education for disabled. The analysis results and discussion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investigating awareness towards anti-bias education for disabled by educational institution, students in both 3-year and 4-year colleges had superior understanding by lecture and seminar, but students in training institutes for child care teachers learned through similar routes as lecture, seminar, and acquaintances because they have limited access to lecture or seminar by comparison. Also, most of the respondent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anti-bias education, and teachers who took special education classes and have practical experience considered awareness and necessity of anti-bias education for disabled importantly compare to the teachers with no experience. Secondly, they responded that conducting anti-bias education 2~3 times a week throughout the year in big group or small group format from 3 years of age regardless of the type of educational institution, department, class status in special education, existence of education experience, and existence of practical experience is most appropriate. Thirdly, for importance by instruction of anti-bias education, students in 4-year college had very high understanding level of disabled children. Also, respondents who had anti-bias education guidance and practical experience for disabled children wanted to run classes by identifying non-handicapped children with handicapped children. Fourthly,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use of data on anti-bias education as lesson plan of previous professors, various training material references, and general news materials(newspaper·magazine) for students in 4-year college. Students in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who took or practiced special education responded that all guide and operating methods are necessary. Empirical studies on effective teaching methods and approach for anti-bias education would have to be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curriculum of national anti-bias education would have to be developed for preservice teach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Also,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anti-bias education program and investigating how it should be integrated into early childhood curriculum and how it should be educated to children would have to be carried out.

      • 영아반 영어교육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비교

        안현주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에서는 영아반 영어교육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을 비교하고자 한다. 영아반 영어교육에 대한 실태, 필요성, 교수-학습방법, 만족도, 문제점 및 개선방향에 대해 살펴보고, 영아반 영어교육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차이를 고찰해 보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영아반 영어교육의 실태는 어떠한가? 2. 영아반 영어교육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에는 차이가 있는가? 1) 영어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에는 차이가 있는가? 2) 영어교육의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에는 차이가 있는가?   3) 영어교육의 만족도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에는 차이가 있는가? 4) 영어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에는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교사와 부모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는데, 교사는 경기도에 위치한 평택시, 오산시, 화성시, 수원시, 용인시, 의왕시의 어린이집 영아반을 맡고 있는 담당교사 139명이다. 부모는 경기도에 위치한 평택시, 오산시, 화성시, 수원시, 어린이집에 등원시키고 영어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영아의 부모 186명이다. 교사와 부모는 서로 연관되어 있지 않으며 각각 조사하였다. 연구도구는 영아반 영어교육의 실태와 교사와 부모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한 설문지이다. 사용된 설문 문항 구성은 선행연구 배미숙(2010)의 연구를 참고하여 연구문제에 맞게 수정⋅보완하였고 내가 직접 만든 문항도 추가하여 재구성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3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빈도, 점수, 백분율, χ2(Chi-square)검정, t-test(검정), 일원 분산분석(One-way ANOVA), Duncan 사후검정을 사용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반 영어교육의 실태에 대해 알아본 결과, 영어교육을 실시한다가 79.1%, 실시하지 않는다가 19.42%로 나타났다. 이는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대부분의 영아들이 영어교육을 받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영아반 영어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차이를 알아본 결과, 영아반 영어교육의 필요성, 영어교육이 필요하지 않은 이유, 영어교육을 실시하는 중요한 계기에 대해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영아반 영어교육이 필요점에선 부모의 인식이 더욱 높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부모가 영어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반대로 교사는 과반수 넘게 영어교육이 필요하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영아반 영어교육의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차이를 알아본 결과, 영아반 영어교육에 적합한 영어교사, 영어교육의 주 횟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영어교육에 적합한 교사로 교사와 부모 모두 한국인 영어교사를 가장 높게 선호하였고 영어교육의 주 횟수로는 교사와 부모 모두 주 2회가 가장 적합하다고 인식되고 있었다. 넷째, 영아반 영어교육의 만족도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차이를 알아본 결과, 영어교육의 만족도, 영어교육이 불만족스러운 이유, 영어교육이 만족스러운 이유, 영어교육의 평가방법, 영어교육에 대한 영아의 흥미도, 영어교육의 효과, 영아들이 영어교육에 소극적인 이유 등 거의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영어교육의 만족도에서 교사와 부모 모두 영어교육에 대해 만족하고 있었고, 교사보다 부모의 만족도가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하는 이유를 살펴보면, 교사와 부모 모두 영어에 대한 흥미와 동기유발로 인식하고 있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반면 영어교육이 불만족스러운 이유로 영아의 영어능력 향상 미비가 교사와 부모 모두 가장 높게 나타났고, 영어교육의 평가에 대해서는 교사와 부모의 인식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는데 부모는 수업 시 영아가 겪는 어려움을 적절히 파악하였는지 여부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교사는 교육과정, 수업매체, 수업절차 등이 효과적이었는지의 여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영어교육의 효과로 교사와 부모의 인식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는데 교사는 영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부모는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말을 영어로 말하려고 한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영아반 영어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을 알아본 결과, 영어교육의 문제점, 영어수업 시 가장 큰 어려움에 대해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영어교육의 문제점으로 교사와 부모 모두 영아의 실제 영어 활용기회 부족을 가장 높게 인식했고 영어수업 시 가장 큰 어려움으로 흥미와 관심이 없어 집중하지 못하는 영아들의 지도를 교사와 부모 모두 가장 높게 꼽았다. 종합해보면, 유아기에서 영아기까지 영어교육의 연령이 더욱 낮아졌고 부모는 영어교육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져 가는데 영아반 영어교육의 현장에서는 문제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가 바라보는 시각과 교사가 바라보는 시각에 차이가 있음으로 영어교육에 대해서 제고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eacher’s DISC behaviors type and teaching strategy for problematic behaviors in young Children (3 ~ 5 years old)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DISC behaviors typ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teaching strategy for problematic behaviors according to the teacher’s DISC behaviors type. In this regar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1. What is the status of English education in infants? 2.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teacher and parent's perception of English education in infants? 1)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parents about the need for English education? 2)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parents about teaching-learning methods in English education? 3)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perception of satisfaction with English education? 4)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parents about the problems and directions of English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eachers and their parents, 139 teachers in charge of infant classes at day care centers in Pyeongtaek, Osan, Hwaseong, Suwon, Yongin and Uiwang,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The parents are 186 parents of infants who attend schools in Pyeongtaek, Osan, Hwaseong, Suwon and daycare centers in Gyeonggi Province and provide English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are not related to each other and were investigated separately. The research tool is a questionnaire designed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English education in infants and the awareness of teachers and parents. Based on the study by Bae Mi-sook (2010), the questionnaire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 and the questionnaire that I made myself was reconstructed by adding it. Analysis of the data was made using the SPSS 23 statistical package to use frequency, score, percentage, Δ2 (Chi-square) test, t-test, one-way ANOVA, and Duncan post-test. The research results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blem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status of English education in the infant class showed that 79.1% did not do so, and 19.42% did. This means that most infants who attend daycare centers are receiving English education. Second, finding out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about the need for English education in infa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eed for English education in infants, the reason why English education was not necessary, and the important opportunity for English education. If you look at this in detail, parents are more aware of the need for English education in infants. Most parents recognize that English education is necessary, and on the contrary, more than half of the teachers recognize that English education is not necessary. Third,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parents abou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English education in the infant clas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weeks of English teaching and English education in the infant class. Both teachers and parents preferred Korean English teachers the most, and in terms of the number of weeks, both teachers and parents were considered the most suitable teachers for English education twice a week.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about the satisfaction of English education in the infant clas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most all areas, such as satisfaction in English education, reason why English education is unsatisfactory, evaluation method of English education, infant interest in English education, effectiveness of English education, and reason why infants are passive in English education. If you look at this in detail, it turns out that both teachers and parents were satisfied with English education in terms of satisfaction with English education, and their parents were more satisfied with English education than teachers. Looking at the reasons for being satisfied, both teachers and parents have most often recognized interest in English and motivation. On the other hand, both teachers and parents showed the highest lack of improvement in English proficiency for the reasons of dissatisfaction with English education, and in the evaluation of English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showed different perceptions of whether or not they had properly grasped the difficulties of infants in class, and teacher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effectiveness in the curriculum, the medium of classes, and the procedure. Also, the effects of English education showed different perceptions of teachers and parents, who showed the highest level of interest in English, and parents tried to speak the language they often use in their daily lives in English. Fifth,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oblems of English education and the biggest difficulties of English class was found in the results of the survey of teachers and parents' perception of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English education. As a problem with English education, both teachers and parents recognized the lack of actual English skills in infants, and both teachers and parents cited the highest level of guidance from infants who are not interested or interested in English as the biggest difficulty in English classes. In sum, the age of English education from infancy to infancy has been further lowered and parents are increasingly interested in English education, and there are many problems in the field of English education in the infant class. Differences in the way parents look and the way teachers look suggest the need to improve English education.

      •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3학년 과학교과서 화학영역의 STS 내용 분석

        구본경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8종의 중학교 3학년 과학교과서 화학영역의 STS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우선 과학 교과서에서 화학 단원을 선정하여 그 중 STS 내용이 차지하는 비율을 살펴보고, Yager의 STS 과정의 필수 구성요소, SATIS 프로그램의 학습 활동 유형별로 비교․분석하여 교과서에 STS 관련 내용이 어느 정도 반영되고 있으며 어떤 형태로 반영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별로 STS 내용의 포함 정도를 분석한 결과 8종의 중학교 3학년 과학 교과서에서 화학영역의 STS 내용은 평균 12.6%의 지면을 차지하고 있다. 출판사별로는 최저 7.4%에서 최고 16.2%의 STS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둘째, Yager의 STS 교육과정의 필수 구성 요소에 따라 분석한 결과 대부분 과학의 응용성(20.4쪽, 33.0%)과 지역사회와 관련성(18.1쪽, 29.3%)에 관련된 내용들이었으며 협동작업, 직업인식, 사회적 문제에 관한 내용의 비율은 적었다. 셋째, SATIS의 활동 영역에 따라 분석한 결과 조사활동(15회, 35.7%)이 가장 많았으며 문제해결 및 의사결정(11회, 26.2%), 실제활동(7회, 16.7%) 순으로 나타났다. 그 외의 영역들의 활동은 부족한 편이다.

      • 문학 텍스트를 통한 국어과 인성교육 프로젝트 수업 모형 개발 연구 : 자유학기제의 프로젝트 수업을 중심으로

        김영선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63

        Character education can be most desirable when it is performed in the whole social context of home, school and local community. Considering that complex social change and expansion of individualism (or egoism) make both family and society lose their educational functions. So now the role of school is getting more important than before. In this situation, teachers should have confidence in character education in order to perform key roles as a character cultivation guide for students. They also should aim at not temporary events but systematic and sustainable character education ; not knowledge-oriented but practice-oriented character education. Of course, the possibilities of character education are not found only in some particular subjects. Rather the approaches for character education should be explor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ject. Under the premise that practice-centered character education using literature texts can cultivate students’ character, This thesis basically seeks to find some clues of character education through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first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larify the concept of character and character education and to reveal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The second purpose of the thesis is to experiment whether project-based lessons using literature texts can make a meaningful difference in character development. The subjects of this experiment are the 1st grade students of Imok Middle School which is implementing ‘free semester system’. The thesis clarified three problems by preceding research analysis. First, most studies about Korean character education are focused on developing activities that can be used for character education, but they are short-term and temporary activities. This is why the thesis tries to explore effective character guidance within ‘free semester system’ in order to develop intensive and sustainable teaching-learning models. Second, preceding researchers of character education have pursued student-centered classes with the strong belief in character education and educational efficiency. They are still focused on content-based instruction and emotional sensitivity in literature. This approach makes it difficult to internalize character virtues because overlooking practical elements may be a barrier to cultivating character. For this reason, this thesis tries to design a new teaching-learning model that emphasizes practical elements. Third, qualitative character evaluation scheme lacks systemicity and objectivity. If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cultivating character, using scientific and objective evaluation tools to verify their research would be of great educational significance. So the thesis attempted to use a quantitative evaluation scheme and also a qualitative evaluation using an objective tool so as to secure objectivity and reliability of the research. In order to recognize the limits of preceding research analysis and to prepare solutions, the thesis proposed a Korean language teaching model based on literature texts and a sustainable long-term character education model. It is intended to help students internalize what they explore through lessons and apply it to their real life. It also tried to enhance subjectivity and authenticity of the research by using a quantitative evaluation scheme as well as a qualitative one using a scientific and objective tool. From the whole context of the research, Chapter 2 examined and redefined the concepts of character and character virtues by investigating materials and literature studies, It also examined the needs of character education in the aspects of national competitiveness, prevention and measures of school violence, realization of curriculum, integration of content areas in the Korean language, and effective implementation of ‘free semester system’. Then it renamed the national character education policies in a periodical order and described the characteristics and achievements of each period. The research fou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lements of character in terms of ‘characteristics’, ‘purpose’, ‘content’, ‘teaching-learning method’ and ’evaluation’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also examined the recovery of humanity, the values of life, the understanding of social community, the enhancement of imagination so as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literature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Chapter 3 employed an experimental research metho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f Chapter 2. Based on the conceptual analysis of character education, the researcher designed a character project model of the Korean language as an experimental tool, and then experimented a teaching-learning model to the experimental group. The researcher carried out a three stage, (development- implementation-result) research process by analyzing the results. In the development stage of a teaching-learning model, the researcher examined the suitability of core performance standards, embedded literature in the textbook, secondary student development and character virtues. The research described in detail the character project model which is composed of 4 stages : ‘Empathize – Communicate – Share – Reflect’. The researcher also described the teaching content and methodology in detail by providing lesson plans and activity sheets. In the implementation stage of a teaching-learning model, A lesson outline with various activity materials was provided according to a series of evaluation stages (including evaluation sheets) for student, teacher, and summative evaluation. As an experimental stage, the final stage of the teaching model implementation divided the evaluation scheme into a quantitative, a qualitative and a summative one, and then examined the efficiency of the teaching-learning model, and finally measured the students’ achievement level In chapter 4, the researcher reflected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and clarified the directions of the following research in a summary. The appendix includes KEDI character evaluation tools that were used in the research. After a series of research implementation stages, the research verified the efficiency of the teaching-learning model by analyzing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summative evaluation results with the students’ class reviews, The result shows that the project-based teaching-learning model of the Korean language based on ‘free semester system’ made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development of students’ right character. Another contribution of the research is that it contributed to enhancing the needs of character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expanding a horizon of literature education by exploring a new character education program as well as a practical and sustainabl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인성교육은 가정, 학교, 사회 모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이상적일 것이다. 하지만 오늘날의 복잡한 사회 변화와 개인주의(또는 이기주의)의 만연으로 인해 가정과 사회가 그 교육적 기능을 상실한 상태임을 감안할 때, 이제 인성교육의 주체적 역할 수행은 ‘학교’가 담당해야 하고, 이로 인해 인성교육 지도 측면에서의 ‘학교’의 역할은 더 커질 수밖에 없다. 그 속에서 교사는 학생들의 인성 함양 안내자로서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인성교육에 대한 확신을 가져야 하고, 일회성 교육이 아닌 체계적ㆍ지속적인 인성교육, 지식 전달 위주가 아닌 실천 중심의 인성교육으로 나아가는 것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 물론 인성교육 가능성은 특정 교과에만 담겨 있는 것이 아니며, 각 교과의 특성에 맞추어 방법적 측면에 대한 고민이 이루어져야 하겠지만, 본 연구는 인성교육의 실마리를 국어교육에서 찾고자 하였으며, 문학 텍스트를 활용한 실천 중심의 교수ㆍ학습이 인성 함양을 가져다 줄 수 있을 것이라는 전제 하에 그 방안을 마련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성과 인성교육의 개념에 대한 천착을 바탕으로 국어교육과 인성교육과의 상관성에 대하여 탐구하는 것을 일차적인 연구 목적으로 삼았으며,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하여 현재 자유학기제를 시행하고 있는 〇〇중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문학 텍스트를 활용한 프로젝트 수업을 실시하여 학생들에게 바른 인성 함양 여부를 실험하는 것을 이차적 목적으로 설정하고, 여러 선행 연구들을 살펴본 결과 기존의 인성교육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문제점을 찾을 수 있었다. 첫째, 국어과 인성교육 연구는 대부분 인성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몇 가지 활동을 개발하는 연구가 대부분이었는데, 그것은 대부분 단기적ㆍ일시적인 것이어서 학교 현장에서 지속적ㆍ장기적으로 실천하는 데 도움이 될 만한 교수ㆍ학습 모형 개발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인성교육에 대한 집중적ㆍ지속적인 수업 프로그램을 설계하기 위해 자유학기제를 활용한 효율적인 인성 지도 방안을 모색하게 되었다. 둘째, 인성교육 선행 연구자들은 인성교육의 필요성과 교육적 효율성에 대해 확신을 갖고 학생참여형 수업을 지향하고 있었으나, 여전히 문학에 대한 내용 학습과 정서적 감화에 치중하는 경우가 많아 인성 덕목을 내면화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인성교육은 그 특성상 실천적 요소가 중요한 만큼 인성 덕목 학습 후 자발적인 실천 과정을 통해 인성요소를 자신의 삶에 적용함으로써 습관화ㆍ내면화해야 하는데, 이런 실천적 요소가 간과됨으로써 학생들의 인성 함양에 한계가 있다고 판단되어 본 연구에서는 실천적 요소를 강조하는 새로운 수업 설계를 시도하였다. 셋째, 선행 연구에서 실시한 정성평가 위주의 인성 평가는 체계성과 객관성이 많이 부족하다고 판단되었다. 물론 인성이 갖는 특수성으로 인해 인성교육 평가는 정성평가 위주로 이루어지는 것이 타당하다고 할 수도 있지만, 인성 함양이라는 목표 하에 연구를 실행하였다면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연구의 효율성을 검증해 보는 것이 교육적 의의가 크다고 판단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효율성 검증을 위해 기존의 정성평가와 함께 객관적인 평가도구를 활용한 정량평가를 시도함으로써 연구의 객관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선행 연구의 한계점을 인식하고 해결책 마련을 위해 선행 연구 분석을 기초로 하여 문학 텍스트를 중심으로 한 국어과 인성교육 프로젝트 모형을 개발하여 지속적ㆍ장기적으로 인성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ㆍ학습 모형을 구안하고, 수업 과정에 학생들의 자발적인 인성 덕목 실천 과정을 포함시킴으로써 수업을 통해 탐구한 것을 자신의 삶에 적용해 보도록 하여 인성을 내면화 하도록 하였으며, 정성평가뿐 아니라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검사 도구를 활용한 정량평가를 시도하여 연구의 객관성과 신뢰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본고의 흐름을 살펴보면, Ⅱ장에서는 자료 조사 방법과 문헌 연구 방법을 바탕으로 인성과 인성 덕목의 개념을 살펴보고 인성과 인성 덕목을 재정의 하였으며, 인성교육의 필요성을 국가 경쟁력 강화, 학교폭력 예방과 대책, 교육과정 실현, 국어과 영역 간 통합적 연계, 자유학기제의 효과적 정착 등의 다섯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국내 인성교육 정책을 시기별로 구분하여 새롭게 명명하고 각 시기별 특성과 성과를 기술하였다. 또한 국어과 교육과정과 인성교육과의 상관성 밝히기 위해 국어과 교육과정의 ‘성격’에 제시된 인성요소, ‘목표’에 반영된 인성요소, ‘내용’에 반영된 인성요소, ‘교수ㆍ학습 방법 및 평가’에 반영된 인성요소로 구분하여 관련성을 탐구하고, 문학교육과 인성교육 간의 상관성에 대하여 고찰하기 위해 인간성 회복, 삶의 가치 숙고, 사회 공동체 이해, 상상력 고양 등의 네 가지 측면에서 살피고 그 내용을 상술하였다. Ⅲ장에서는 앞 장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 실험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인성교육에 대한 기본 개념 탐구 결과를 바탕으로 실험 도구인 국어과 인성교육 프로젝트 수업 모형을 구안하고, 실험 집단을 대상으로 수업 모형에 대한 실험을 실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3단계의 연구과정을 실천하였다. 수업 모형 개발 단계에서는 문학 텍스트 선정 기준에 대해 핵심 성취기준 부합 여부, 교과서 수록 여부, 중학생 발달 단계와의 적합성 여부, 인성 덕목 포함 여부 등에 대해 하나하나 살펴보았고, ‘공감하기’ ⇒ ‘소통하기’ ⇒ ‘공유하기’ ⇒ ‘성찰하기’의 4단계로 구성된 ‘문학 텍스트를 통한 인성교육 프로젝트 수업 모형’에 대해 자세하게 서술하였다. 또한 수업 지도 계획, 교수ㆍ학습 지도안 제시 및 연구자가 개발한 활동지를 제시하여 수업 내용 및 방법에 대한 계획을 구체적으로 서술하였다. 수업 모형 실행 단계에서는 수업 실행 개요를 제시하고 구체적인 수업 실행 내용을 각종 활동 자료를 통해 제시하였으며, 학생평가, 교사평가, 종합평가로 이어지는 일련의 수업평가 계획을 밝히고, 수업평가를 위해 연구자가 활용한 각종 평가지를 제시하였다. 수업 모형 실행 결과 단계에서는 설문조사와 체크리스트법을 활용한 실험연구 단계로 본 연구의 실천 과정에서 실시한 평가를 정성평가, 정량평가, 종합평가로 구분하여 제시하고, 평가 결과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 활용한 수업 모형의 효율성을 검증하고 학생들의 성장 수준을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본문 내용을 간략하게 요약함으로써 연구 결과의 가치 및 의의를 돌아보고 제언을 통해 연구자의 향후 연구에 대한 방향을 밝혔으며, 부록에는 본 연구에서 활용한 KEDI 인성검사 도구를 수록하였다. 일련의 연구 실행 후 정성평가, 정량평가, 종합평가 등의 평가 결과 및 학생들의 수업소감문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 활용한 수업 모형의 효율성을 검증한 결과, 자유학기제를 기반으로 한 ‘문학 텍스트를 통한 국어과 인성교육 프로젝트 수업 모형’이 학생들의 바른 인성 함양에 기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본고를 통해 학교교육에서의 인성교육의 필요성을 제고하고 국어과 교육과정과 인성교육과의 상관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으며, 지속적ㆍ실천적인 인성교육을 위한 국어과 인성교육 교수ㆍ학습 모형을 구안ㆍ실천하여 새로운 인성교육 방안을 모색하고 문학교육의 외연을 넓혔다는 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 어린이집 원장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 감수성 관계 연구

        이숙아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어린이집 원장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 감수성이 인구 통계학적 특성(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 다문화경험)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분석해 보고 어린이집 원장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 감수성의 관계는 어떠한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어린이집 원장들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 다문경험)에 따라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어린이집 원장들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기관유형, 연령, 학력, 경력, 다문화경험)에 따라 다문화 감수성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어린이집 원장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 감수성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소재 가정 어린이집, 민간 어린이집, 국·공립 어린이집 원장 200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 하였다. 자료 수집은 온라인 설문지와 설문지 병행을 통해 이루어졌고 연구를 통한 자료 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첫째, 연구에 사용된 어린이집 원장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 감수성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Cronbach ɑ 계수를 산출 하였다. 둘째, 어린이집 원장들의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의 평균 및 표준편차 등 기술 통계치를 산출하였다. 셋째, 어린이집 원장들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 감수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 또는 F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 그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 사후검증으로 Duncan을 실시하였다. 넷째, 각각의 연구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어린이집 원장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 감수성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원장들의 다문화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 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어린이집 원장의 경력에 있어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16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원장이 1-5년의 경력 원장보다 다문화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이 확인 되었다. 어린이집 원장들의 다문화교육 태도에 대한 인식 수준은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어린이집 원장의 다문화교육 연수경험의 유무에 있어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문화교육 연수를 경험한 원장이 다문화교육 연수를 경험하지 않은 원장 보다 다문화교육에 대해 긍정적인 관점을 더 가지고 있었다. 둘째, 어린이집 원장들의 다문화 감수성 평균과 원장들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연령, 경력, 학력, 기관유형, 다문화교육 연수경험)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원장들의 다문화 감수성 수준은 보통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어린이집 원장들의 경력과 학력에 있어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16년 이상의 경력 원장들과 11-15년 경력 원장들이 1-5년 경력 원장 보다 다문화 감수성 수준이 높은 것으로 확인 되었고, 대학원졸 이상의 원장이 2-3년대 졸 이하의 원장들보다 다문화 감수성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린이집 원장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 감수성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어린이집 원장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은 다문화 감수성 전체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어린이집 원장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이 높아질수록 다문화 감수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린이집 원장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이 다문화 감수성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 결과, 유의한 영향력이 나타났고 어린이집 원장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은 다문화 감수성을 증가시키는 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위 요인별 영향에 대해서는 어린이집 원장들의 다문화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상호작용 참여도, 문화차이 존중도, 상호작용 주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어린이집 원장들의 다문화교육 태도에 대한 인식은 문화차이 존중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어린이집 원장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 감수성에 대한 연구를 분석해보고자 했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어린이집 원장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의 연구에서 어린이집 원장들의 다문화교육 필요성과 태도에 대한 부분적인 인식 연구를 했기 때문에다양한 변인에 대한 연구가 다소 부족 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관련하여 어린이집 운영자로서 원장들이 실질적으로 느끼는 다문화교육을 위한 요구들이 무엇인지, 어린이집에서 다문화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어린이집 원장들의 역할이 어떻게 다문화교육 실천과 연결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도 함께 살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어린이집 원장들을 대상으로 다문화 감수성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추후 연구에서는 유치원 원장들을 포함한 연구가 필요하며 예비 어린이집, 유치원 원장들의 다문화 감수성 증진을 위한 다양한 연수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한다. 셋째, 다문화교육은 지식적으로 다가가기 보다는 정서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다문화 감수성 교육이 유아교육 현장에 필요하다. 따라서 어린이집 원장들의 정서와 관련한 질적 연구 등 더 깊이 있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미루어 볼 때 어린이집 원장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다문화 감수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노력, 프로그램의 개발과 방법들이 연구되어야 하며 무엇보다 국가적인 지원과 정책이 확보 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awarenes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multicultural susceptibility depending 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stitution type, age, education, career, multicultural experience) of principals of nursery schools.  Moreover,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awareness o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multicultural susceptibility of the principal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set up. First, are there differences in awareness of multicultural education depending 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stitution type, age, education, career experience, and multicultural experience) of the principals of nursery schools? Second, are there differences in multicultural susceptibility depending 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stitution type, age, educational background, career experience, multicultural experience) of the principals of nursery schools? Thir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warenes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multicultural susceptibility of the principals of nursery schools? This study selected 200 principals from home-based childcare centers, private,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in Seoul-Kyonggi metropolitan area.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nline and offline questionnaires. Data analysis using SPSS 22.0 was conducted as follows. First, the Cronbach 's ɑ coefficient was calculated to examine the reliability of the tools that were used to measure the awarenes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multicultural susceptibility of the principals of nursery schools. Second, the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multicultural susceptibility and the awareness of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calculated. Third, the t - test or the F - 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awarenes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multicultural susceptibility depending 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principals of nursery schools. Duncan was used as a post - test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Fourth,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research variabl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warenes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multicultural susceptibility of nursery principa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cognition level of the principals on the need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hig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only between the groups of principals with 1-5 years versus more than 16 years of experience where the latter group was more likely to think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is necessary. The recognition level of the principals on the attitude multicultural education is significantly hig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only between the groups with versus without the experience in multicultural education. The principals who experienced multicultural education had more positive view on multicultural education than the principals who didn’t. Second, the average level of multicultural susceptibility and differences among the demographic groups (age, career, education, institutional type, experie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of the principals were investigated.  The level of multicultural susceptibility of the principals was higher than usual.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groups of principals with 1-5 years versus 11-15 years of experience where the latter group exhibited higher level of multicultural susceptibility. It was also found that the group of principals with higher education (above graduate level) exhibited higher level of multicultural susceptibility.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warenes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multicultural susceptibility of the principals was examined. As a result, the awareness of multicultural education by the principal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overall multicultural susceptibil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higher the awareness of the principals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the higher the multicultural susceptibility. Moreover, the awareness of multicultural education was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multicultural susceptibility, which is confirmed as a factor to increase the latter.  In more detailed analysis by sub-factors, the awareness of the necess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was found to influence the degrees of interaction engagement, respect for cultural differences, and interest on interaction. It was also found that the awareness 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ttitude has influence on the degree of respect of cultural differ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warenes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multicultural susceptibility of the principals of nursery school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First, in the study of the awarenes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mong the principals of the nursery schools, there was a lack of research on numerous variables because of the partial study on the necessity and attitude of multicultural education among the principals. In the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needs fo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hat the principals perceive in the field and how multicultural education is actually carried out in the day care centers. Second,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the multicultural susceptibility of nursery principals. In future research, research involving kindergarten principals will be needed, and various training programs should be systematically implemented to improve the multicultural susceptibility of principals of preschools and nursery schools. Thir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educate about multicultural susceptibility that can have emotional impacts rather than intellectual influences. Therefore, follow-up research is desired such as investigating the emotion of the principals.  Last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study and develop various programs for enhancing awarenes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improving multicultural susceptibility. Above all, national support and policies should be secured for the success of these effo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