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紫霞 申緯의 藝術世界

        강미자 京畿大學校 傳統藝術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50671

        紫霞 申緯(1769-1847)는 朝鮮 後期에 활동한 詩書畵 三絶의 예술가로 『警修堂全藁』를 남긴 詩人이면서 畵家이기도 하였고, 傳統의 書法을 계승한 書藝家이기도 하였다 . 그는 시에 뛰어 났으며, 그림에서는 특히 墨竹을 잘 그렸고, 書는 미불과 董其昌을 힘써 배운 후 나름대로 一家를 이루어 실로 조선이 낳은 위대한 예술가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나, 아직 그의 詩書畵에 관한 종합적인 연구가 진척되고 있지 못한 상황이다. 본 논문은 신위의 예술 세계를 詩書畵 一致라는 관점에서 분석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그 문제의 고찰을 『警修堂全藁』 에 수록된 시를 통해서 그의 서화사상과 文人書論을 추출해 내어 그의 書畵作品에 어떻게 표현되었나를 밝혀내고, 이러한 藝術觀이 어떻게 詩書畵 一致라는 모습으로 그의 예술세계가 이루어졌는가를 살펴보았다. 신위는 名門世家로 이름난 平山 申氏 家門에서 태어나 높은 관직을 두루 역임하였으며, 국내적으로는 朋黨을 초월하고 국외적으로는 국경을 초월한 交遊를 하였는데, 국내의 人士로는 書畵에 영향을 미친 스승 姜世晃, 그리고 신위 보다 연하지만 朝鮮末期의 藝壇을 이끌고 간 金正喜와의 관계를 중점적으로 다루었고, 국외 人士로는 翁方綱 父子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1812년 그가 書狀官의 자격으로 중국을 다녀온 사실은 그의 생애 중 가장 중요한 사건으로 생각된다. 그가 燕行하여 당시 대학자 翁方綱과 師弟관계를 맺게 된 것은 신위의 생애에 있어서 가장 기록될 만한 일로 보아지며, 翁方綱을 비롯 翁樹昆, 吳嵩梁, 汪汝澣등과 같은 당시 중국 예술계의 거두들과 지적인 交遊관계를 맺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신위의 회화 예술세계에 관하여서는, 회화 형성과정, 회화사상, 그리고 墨竹書와 山水畵에 대한 고찰 등 회화 전반에 걸친 문제 분석이 시도되었다. 그는 畵譜와 중국의 여러 회화 작품을 臨摹하면서 자신의 화풍을 이루어 나갔으며 특히 강세황의 회화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 신위의 전형적인 墨竹畵風의 특징은 묵의 농담의 변화, 여유로운 필치, 그리고 다양한 구도의 시도등으로 요약할 수 있으며, 고고하면서도 우아한 느낌을 준다. 한편 이 시기의 산수화는 이전의 여러 倣作의 과정을 지나서 간일하고 禪적인 경지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신위의 화풍은 이후 그의 아들들(申命準, 申命衍, 申明), 그리고 許鍊, 趙熙龍, 田琦 등에게 영향을 미쳤다. 신위의 書 예술세계에 관하여서는, 書風의 形成過程과 諸書藝家들의 영향, 서예사상과 작품을 살펴보았다. 신위는 王義之體를 이상으로 여기며 『淳化閣帖』 『蘭亭帖』 등의 서첩을 臨書하면서 그의 書風을 형성하였다. 그는 왕희지 외에도 미불, 董其昌, 翁方綱의 서예의 영향을 받았다. 고리고 外形的인 美보다 人品과 內在美를 중시하였다. 申緯의 전형적인 書風은 行書에서 잘 나타나고 있으며, 획은 모두 回鋒을 취하였고 하나의 字體안에서도 획의 肥瘦의 차이가 있으며, 파임은 부드러워서 전체적으로 부드럽고 文氣가 있다. 이러한 그의 서풍은 당시 문인들 사이에서 유행하였다. 그의 서예사상의 요점은 文字香과 문인정신에 바탕을 둔 脫俗美의 重視觀, 법에 구속되지 아니하는 본심의 書法觀, 內在美의 추구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繪畵思想은 詩畵一律思想, 不求形似觀, 文氣重視觀을 말할 수 있으며, 신위의 題畵詩를 통하여 蘇戟의 畵論을 이용하여 나타낸 文人畵論을 살펴보면, 詩書書 一致思想과 不求形似의 繪畵觀과 정신세계를 중시하는 神似의 繪畵觀을 말할 수 있다. 신위는 실로 詩書畵에 능한 조선의 文人書家였으며 일관된 詩書畵觀을 실제의 書畵작품에 잘 투영시켰고 회화와 서예의 유기적인 관계에 대하여 깊이 숙고한 예술가였다. 결국 신위의 詩書畵 예술세계는 一致 一貫된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조선 후기 詩書畵 三絶로 한 시대를 풍미하였던 신위의 예술세계를 재조명함으로서 후인의 귀감으로 삼고자 하였다. Ja Ha Shin Wi(1769-1847)was a poet left <Kyung Soo Dang Jun KO>, who had led a life as a painter and calligrapher succeeding to the traditional calligraphy in the later period of Chosun Dynasty. In the later period, Jin Kyung landscape painting, a genre picture and a unique style of calligraphy appeared and in the last period, the effect of Chu Sa Kim Jung Hee prevailed. Though Shin Wi had lived through both the ages and he has occupied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art, the synthetic study in his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has not showed progress yet. This essay has been aimed to examine the Shin Wi's life of art from the viewpoint of the unification of his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Investigating this issue, I have looked into the whole situation of the world of art as well as his life of art including his artistic thought, his works and many artistic figures based on <Kyung So0 Dang Jun KO>. The 2nd chapter has looked into his life, studied background of his times and looked into the whole his family and government office life at the same time. This was indispensable because it was the basic work to know the background how his artistic thought had been formed. I have studied the formation of his artistic thought in reaction with many artistic figures at home and abroad who had affected his thought and life. In 1812,his trip to China(Yun) as a chief clerk is thought as the most important event of his life. I think his formation of teacher and disciple relation with the great scholar of Ong Bang Kang during his visit shall be most remarkable event of his life. So, after his visit to Yun , his general artistic thought in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had been changed much. In this chaper, I studied the artistic contact with Kang Se Hwang, Kim Jung Hee and their effect as well. In the 3rd chapter, first, I tried out the general analysis of his painting the progress of the formation of Shin Wi's painting, the thought of painting, a Chinese-ink painting that depicts bamboo and a landscape painting. He established his own style of painting through some pictorial magazines and Chinese painting works. Especially, he was affected by Kang Se Hwang's pictures. Shin Wi's traditional style of the Chinese-ink painting that depicts bamboo has some distinctive features, the is the change of the shading of Chinese ink, the latitude of the style of brushmanship and the attempt of diverse composition in painting. Also, this gives an impression of proud loneliness and elegance. In this chapter, second, I have arranged about Shin Wi's calligraphic thought and his works. The Art of Shin Wi was mainly based by the traditional scrapbook of writings and pictures of Wang Hee Ji in which he had pursed the beauty of spiritual world more than the external beauty. His main point of writing thought is excluding fast writing when we wrote letters, puting importance to high quality personality of the writer. and the writing of the real intention corresponds to the nature and pursues the inside beauty. And his main pictorial thought(painting thought) is the uniformed thought of poetry and painting and bamboo image deep in the heart preceding the act of painting. Also, it is the view of the thought of longing for the internal image not the external one which expresses internal world of spirit of the picture and the view of putting importance to the writing soul. Thus, I concluded the study of the world of the Art of Shin Wi who had ruled a certain age of the past with the three absolute greatness of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in the later days of Cho Sun Dynasty.

      • 吳昌碩의 書藝術 硏究

        신윤자 京畿大學校 傳統藝術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50671

        吳昌碩이 태어나기 전후의 中國은 여러 戰亂을 겪은 격동의 시대로 근대화 과정을 거치면서 對內外的으로 매우 불안한 시기였다. 이러한 혼란과 대변혁은 文化藝術의 전반에도 일어나게 되었다. 明末부터 19세기 중엽을 전후로 중국 학계에는 考證學이라는 實用主義의 새로운 學風이 발흥하였다. 이와 더불어 學者들의 '文字獄'으로 인해 帖學이 쇠퇴하고 碑學이 발전하게 되었는데 이러한 시대 분위기에 부응하여 金石學이 성행하게 되였다. 金石學의 발전은 畵藝와 篆刻연구에 획기적인 융성을 가져오게 하였는데, 魏 · 晉시기에 '二王'이라 불리는 王羲之(303-361) · 王獻之(344-386) 父子중심의 法帖보다는 碑刻에 눈을 돌리는 書人들이 많아지게 되었다. 더불어 院元(1796-1850)의 『南北書派論』과『北碑南帖論』의 學說을 이어받은 包世臣(1775-1855)이 『藝舟雙楫』을 저술하여 다시금 북비의 장점을 고취시키게 되었다. 이러한 예술적 풍조는 옛것의 모방에 얽매이지 않고 고전에 대한 독자적 해석을 통해 전혀 새로운 것을 탄생시켰는데 吳昌碩의 <石鼓文>이 바로 그것이다. 오창석은 <石鼓文> 을 바탕으로 예술적으로 높은 경지에 이르렀는데 그의 詩는 함축적이면서 해학적인 정취가 넘쳐나 독립된 작품으로써도 손색이 없었으며 그의 繪畵는 書藝와 篆刻의 章法을 구도법에 적용하여 생동감이 살아나도록 하는 묘취가 있었다. 그의 繪畵作品에 나타난 用筆法은 <石鼓文>의 임서를 통해 얻어낸 中鋒用筆과 張旭, 懷素 등의 草書에서 체득한 호방한 필치로 그림을 그린 것이다. 그리고 用墨法 또한 書藝의 運筆에 기초한 자유로운 用墨法으로 寫意的 화풍을 보여주었다. 채색에 있어서는 근대적 풍모의 원색계열을 사용하였고, 구도법은 전각의 장법을 많이 이용하여 全面構圖를 써서 虛實相生의 효과를 얻어내고 대각선 구도를 취하여 생동감을 표현하였다. 또 그의 篆刻은 훈고학을 체계적으로 학습하여 역대 문자학자들의 저서들을 독파하고 문자의 변이과정과 변화하는 기본법칙을 간파하였다. 그리하여 그의 인장에 오른 글자체의 구성은 『說文』의 규범을 지키면서도 변화무쌍하였다. 특히 그의 書藝는 평생에 걸친 <石鼓文>연구를 통해서 다른 사람들이 따를 수 없는 그만의 독창적인 풍격을 형성하게 되었다. 기교를 안으로 감추고 강직함과 부드러움을 조화시킨 그의 석고문자의 가장 큰 장점은 한 폭 한 폭의 작품이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변화의 묘미를 느끼게 한다는 점이다. 그가 이러한 경지에 도달할 수 있었던 것은 그의 부단한 古法의 연구와 창조의 정신이 바탕이 되었기 때문이다. 오창석은 옛것에 대한 연구를 게을리 하지 않고 古典을 꿰뚫어 그 원류를 찾아 명확히 이해하여 독창적인 자신만의 예술세계를 구축하였다. 오랜 書法과 篆刻의 연마에서 나온 필치로 모든 예술을 통합시켜 虛實相生의 조화를 이끌어 냈으며, 대담하고 개성적인 구도와 힘찬 필력 등이 기초가 되어 詩 · 書 · 畵 · 篆刻의 경지를 이룩할 수 있었다. 이러한 오창석의 예술적 성취는 많은 文人墨客들로 하여금 그의 예술적 풍모를 추종하게 하였고 한국과 일본 등지에서도 크게 유행하였으며 수많은 예술가들에게 큰 감동과 영향을 주게 되었다. China at the time before or after the birth of Wu Changshi was a period of disturbance having suffered from many wars. In addition, the society was very unstable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experiencing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This chaos and great innovation influenced the entire area of culture and arts. Since the end of Ming dynasty (明) until the period before and after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there had developed a new school of pragmatism so called Evidential Scholarship (考證學) in Chinese academic world. Along with this development, the study of the calligraphies engraved on hardwood board (or hardwood slab, 帖學) was declined due to "Literary Persecution" (文字獄) and, instead, the study of the calligraphies engraved on the stone tablets (碑學) was advanced. Matching with such a contemporary atmosphere of the society in those days, Bronze-Stone-Scholarship (金石學) become prevail. The development of Bronze-Stone-Scholarship brought a significant prosperous of the study on the art of calligraphy as well as the seal script (篆刻), and there were more professional calligraphers who turned their interests into the inscriptions of stone tablets rather than to the exemplary text regarding rules of writing engraved on hardwood board mainly focused on Wang Xizhi (王羲之, 303-361) and his son, Wang Xianzhi (王獻之, 344-386) who were called "Two Calligrapher Sages" in the era of Wei and Jin(魏, 晉). And Po Se Sin (包世臣, 1775-1855), who succeeded to the principles of Juan Yuan (院元, 1796-1850), the author of two books, titled, "Treatise of South and North Calligraphy School," 『南北書派論』 and "Treatise of Northern Stone and Southern Hardwood," 『北碑南帖論』, wrote a book, titled, Yejussangjeup (藝舟雙楫, a commentary on ancient rules of brush writing, etc.) and promoted the merits of Northern stone tablets again. This artistic trend didn't merely rely on imitation of old models, but made a completely new art come into existence through means of interpreting the old texts independently, and it is thus that Stone Drum Script (石鼓文) of Wu Changshi is one of that kind. Wu Changshi attained a higher level of artistic quality based on the Stone Drum Script (石鼓文) and his poem can stand any comparisons as an independent and original art works with full of sentiments and romantic touch carrying implicit and humorous aspects. His paintings emit a mythical flavor that revives dynamic sensation having applied the rule of being natural and of maintaining harmonious posture (章法) which used in calligraphy and seal carving. The way of using brush appeared in his painting works is rooted in the authentic method of using brush that mastered from a long time practice with the Stone Drum Scripts and he applied his virile brush works that learned from Full Cursive Script of Zhang Xu (張旭) and Huaisu (懷素) to his paintings. And his way of using ink is a free style based on the principle of calligraphy works, and in his paintings, he tended to depict the spirits and contents inside of the object rather than its forms or exterior appearance. In coloring, he used a kind of primary colors that give a modern taste, and concerning composition, he obtained an effect of interrelations between truth and falsehood by using a technique to combine distinct elements to form a whole, having employed the authentic method being used in seal carving, and also by taking diagonal composition, he expressed a sense of vividness. His seal carvings exhibit the facts that he had studied the text-based semantics (훈고학) systematically and read through the writings of the graphologists and examined carefully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of the compound characters and principles of its changes. Therefore, the composition of compound characters carved on his seal features very complex set of patterns observing the rules of the etymological dictionary (說文). Specifically, through his life long study in Stone Drum Script, Wu Changshi established his own original style of brush writing which others are unable to follow through. The greater merit of his seal script calligraphy, which reveals a harmony between strength and tenderness having hidden the techniques inside, is that each and every one of screens makes the viewer feel a mysterious sensation of changes. The reason he could have reached such a higher level of maturity is because his ceaseless efforts for study in the old versions of brush writings and his spirit of creativity were laid as the foundation. Wu Changshi penetrated into the knowledge of the classics without being indolent on studying old scripts and versions and he sought to capture the origin or etymology of the subject script and tried to understand it clearly, so that he was able to establish his own original world of arts. Having integrated all arts with his brush works, which are the results of his hard workings with the rules of writing and seal carvings for a long period of time, he elicited a harmony of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truth and falsehood, and on the basis of carefree, unrestrained and individual composition, and also exuberant and virile brush workings, he could have attained a state of mastery of poem, calligraphy, painting and seal carving. Such an achievement of arts attained by Wu Changshi made many literati-painters follow his style of arts and his techniques were once prevailed in Korea and Japan, etc. and his arts gave numerous artists greater impressions and influences.

      • 檀園 繪畵가 後代에 미친 影響

        신정자 京畿大學校 傳統藝術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50671

        檀園 金弘道(1745-1806?)는 우리나라 山水畵의 정형을 이루는 양식을 창조해 낸 예술적 거장으로 여러 연구를 통해 높이 평가되고 있다. 단원 김홍도가 이러한 평가를 받는 이유는 당대적 화단에서 큰 주류를 이루며 널리 유행하던 觀念的인 畵風에서 탈피하여 관념성을 초월한 獨自的 畵風을 형성 하였으며 한국적이고 자연스러운 감흥을 줄 수 있는 회화세계를 창조하였다는 것에 커다란 의미가 있다고 할 것이다. 韓國繪畵史에서 김홍도가 갖는 중요성은 작품에서 나타나는 藝術性과 獨創性 그리고 자연스러운 한국적 미감의 발현을 들 수 있다. 더불어 자연의 아름다움을 충분히 관찰하고 사생한 결과 사실정신을 바탕으로 형성된 實景山水畵는 소재의 성격상 문화사적인 의미도 크다. 이처럼 단원 김홍도는 文化 · 藝術史的으로 중요한 화풍을 창조해 내었기에 당대를 풍미할 수 있었으며 조선후기에는 회화사에서 특이할만한 새로운 방향의 업적들을 남긴 시대로 기록 될 수 있었다. 檀園 金弘道가 활동하던 시기는 英祖(1725-1776)와 正祖(1777-1800)의 치세를 중심으로 정치적 안정과 경제적 번영을 바탕으로 문화적으로도 큰 발전을 이룩한 시기이다. 회화에 있어서도 역사에 남을 훌륭한 업적들이 이루어졌던 시기이기도 한 것이다. 18세기 초의 대표적 산수화가로 謙齋 鄭敾(1676-1759)이 있지만 주로 眞景山水畵에 一家를 이루었던데 반하여 단원 김홍도는 山水畵는 물론 風俗 · 人物 · 花鳥등 기타 모든 분야에서 뛰어난 기량을 발휘하였다. 특히 산수화에 있어서는 韓國山水의 전형을 이루는 양식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단원 김홍도는 화가로서 누구보다도 높이 평가되고 있어, 그의 그림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는 것이다. 朝鮮時代의 繪畵는 중국화풍의 모방 형식에 그치고 있으나 英 · 正祖시대에는 傳統的이고 古典的 畵法에서 벗어난 새로운 畵法과 技法의 변화로 새로운 회화관이 나타났다. 양반사회에서 존중되던 中國畵帖의 모방에서 벗어나 한국의 자연을 표현하려는 진경산수화가 나타나고, 서민생활과 사대부의 생활을 그린 풍속화가 출현하였다. 이러한 것은 기존의 전통방식에서 벗어나는 시기이며 새로운 회화가 추구되었다. 조선전기 회화가 중국의 宋 · 元代 미술의 모방으로 형성되었다면 후기의 회화는 明 · 淸代의 미술을 소화하면서 보다 뚜렷한 한국적 · 민족적 · 자아의식을 발견하며 형성된 회화의 시대로 볼 수 있다. 후기에 이르러 진경산수의 발생은 우리나라 실경에 알맞은 독자적인 기법을 창조하고 한국적인 회화의 발생을 가져오고 있는 것으로 회화사적인 의의로 볼 때 큰 업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조선시대 후기 회화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단원 김홍도의 독특한 회화가 완성 될 수 있었던 시기별 작품의 동향과 특징을 중심으로 작품과 관련하여 고찰하고 진경산수와 풍속화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후기 회화에 있어서 단원 김홍도의 진경산수를 계승하여 새롭게 변화시킨 진경산수의 형성과정과 후기화단에 미친 그의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고 풍속화와 더불어 산수화가로서 예술이 차지하는 회화적 의미를 연구하고자 한다. 단원은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山水 · 人物 · 翎毛 · 花鳥 등 모든 분야에 뛰어났던 조선후기의 대표적 화가로 회화의 발전에 기여한 공은 대단히 크다고 할 수 있다. 檀園 金弘道의 작품 중에서도 가장 큰 업적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한국적인 화풍을 풍속화에서 창출하여 영향을 주었으며 조선시대 우리의 문화와 역사의 이해를 돕는데 절대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점이다. 회화에서 표현해야 할 時代性 · 記錄性 · 事實性을 나타내었고 그 위에 창의성 · 뛰어난 구도와 필력 · 해학성을 곁들여 속되게 느껴지기 쉬운 풍속화를 격조 높은 예술 세계로 표현해 내었다. 또 사고력과 과장법 등에 의해 독창성과 개성을 나타냈다. 우리의 자연현상과 생활상을 꼼꼼하게 관찰하고 작품에 담긴 이치와 정신을 터득하여 예술성 높은 작품을 한 화가이기도 하다. 이와 같이 단원의 회화세계를 고찰함에 있어 진경산수가 한국적 화풍으로 확립 될 수 있었던 시대적인 배경과 회화에 대한 가치관 · 화원에 대한 의식 등의 문제를 살펴 보았다. 그리고 단원의 작가적 성장과정과 아울러 雅號를 사용하기 시작하는 시기의 시대적 변화와 작품에 반영되는 예술정신을 분석하여 보니 그의 화풍은 객관적이고 사실적이며 기법에서 중국이나 前 시대와는 다른 독창적 화풍을 형성하였고 시대를 초월한 예술본연에서 볼 때 시사 하는 바가 많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檀園 金弘道의 진경산수와 풍속화에 내재된 예술관의 흐름과 시대적 배경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예술세계는 시대의 흐름에 편승하지 않고 작가의 의식과 철학을 담아내어 향후 본인의 작품에 있어서도 새로운 방향성을 모색하는 계기로 삼고자 한다. Danwon Kim Hong-do (1745-1806?) is evaluated as a masterpiece that created a style of painting of mountains and rivers through various studies. The reason why he is evaluated as such is that he escaped from the mainstream of the art style at that time and created original style transcending ideality and giving Korean-like and natural inspiration. The importance that Kim Hong-do has in Korean Painting History is due to artistry, originality and embodiment of natural Korean beauty. Additionally, 'Silgyeongsansuhwa' (Real landscape painting) based on reality spirit resulted from the observation and speculation of natural beauty has importance in cultural history for the perspective of subjects. As such Danwon could created an important painting style in the perspective of cultural and artistic history, he could command the times and the late Chosun could be recorded as the times with the achievements to show the new direction to the painting history. The times he actively painted were in the reign of King Yeongjo (1725-1776) and Jeongjo (1777-1800) when political stability and economic prosperity were in place. In paintings, they made the remarkable achievements in paintings as well. Although there was Gyeongjae Jeong Seon (1676-1759) as the representative painter of mountains and rivers in early 18^(th) century, he focused on the paintings of mountains and rivers only based on the real landscape (Jingeyong Sansuhwa). On the other hand Danwon Kim Hong-do showed his excellent capabilities in Portraits & Painting of Flower and Birds as well as Painting of Mountains and Rivers. Especially in the paintings of mountains and rivers he created the typical style for Korean paintings of mountains and rivers. In this point, he is evaluated as the most excellent painter and we need to study his paintings. Although paintings in Chosun were limited to the imitation of Chinese paining styles, in the era of King Yeongjo and Jeongjo, there was new style painting escaping from the traditional and classical painting style. They used new painting techniques and skills in the new style. There were Jingeyong Sansuhwa expressing Korean nature escaping from the imitation of Chinese paintings and Folk Paintings (Pungsokhwa) showing the life of public and nobilities. It was the time to escape from the traditional methods and new types of paintings were pursued. If the paintings in early Chosun were based on the imitation of Song and Yian, the paintings in late Chosun were original ones based on more Korean-like, ethnic and self-reliable concepts and styles through full digestion of art in Ming and Qing. In late Chosun, the Jingyeong Sansuhwa introduced original techniques to describe our real landscape and created Korean-like paining. It is a big achievement in the history of Korean paintings. Accordingly, paintings of Danwon that occupied very important place in the history of art in late Chosun were reviewed focusing on the trend and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when his original painting style could be completed, and then Jingeyong Sansuhwa and Pungsokhwa were studied. In this study, the process of Jinggyeong Sansuhwa's development in late Chosun by succeeding to Danwon's Jinggyeong Sansuhwa and his influence on the art in late Chosun were reviewed. The meaning that he had in the history of painting not only as Pungsokhwa Painter (Pungsokhwaga) but also as Sansuhwa Painter. Danwon is the representative painter in late Chosun who showed excellencies in the paintings of Mountains & Rivers, Portraits, Spirits and Flowers & Birds as widely known. He contributed much to the development of the paintings. The biggest achievement he made was that he created Korean traditional painting style in his Folk Paintings. He helped us to understand our culture and history in Chosun. His paintings expressed the times, could be invaluable records and described reality at that time. On the above merits his creativeness, excellent configuration and brushing skills and humors were added and made his Folk Paintings as high quality art. His paintings have originality and personality due to his thinking capabilities and use of exaggeration. He is the artist who observed natural phenomena and the lives of people in details, perceived the principles and spirits of the works and showed high artistry in his paintings. In this study, the backgrounds of Danwon's paintings when Jingyeong Sansu was being established as the original Korean painting style, the sense of value regarding paintings, and the perception on the Hwawon were reviewed when reviewing the world of art of Danwon. When analyzing the chronological changes and artistic spirits shown in his painting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Danwon as an artist and the use of 'Aho', his painting style was objective, realistic and original unlike those in China or in the past. It is very important whe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art that it transcends over the times. This article reviewed and analyzed the trend of sense of art internalized in Jingyeong Sansu and Pungsokhwa of Danwon Kim Hong-do. By comparing and analyzing his paintings, this study aims to show the consciousness and philosophy of the artist who did not follow the trend of the times but established his won world. Through this, I would like to establish a new orientation for my own art works.

      • 미불의 書藝 硏究

        이남례 京畿大學校 傳統藝術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50671

        미불의 예술관과 그의 서예작품이 지닌 서예사적 위상에 대해서는 많은 선학들에 의해 주목을 받으며 오늘날까지 꾸준히 연구가 지속되어왔다. 그러나 미불의 예술성을 높이 평가하는 사실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의 예술세계를 엄밀히 분석 검토하는 작업은 오히려 소홀히 되어왔다 그러므로 그에 대한 새로운 연구 방법을 모색하고 미불의 서예작품이 지닌 예술사적 위상을 정확히 할 수 있는 객관적 시각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런 점에서 본 논문에서는 北宋의 시대·사회적인 배경을 연관시켜 미불의 창작과정을 고찰함으로 서예작품 중에 나타나는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것은 당시 작가가 살았던 시대적 상황과 가계·성장과정·교우관계 등이 서예작품 전반에 투영되어 예술관으로 표출되기 때문이다. 미불은 안진경의 글씨를 시작으로 여러 사람의 글씨를 배웠으며 특별히 二壬 등 晋代의 글씨를 좋아하여 자신의 서재를 寶晋齋라 하였으며, 徵宗때에 書畵學博士가 되었다. 그리고 蘇軾·黃庭堅등과 일생동안 교제했으며, 宋 三大家라 불렸다. 미불은 唐代와는 다른 참신한 예술의 길을 개척하는 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면서 '尙意' 서풍을 발전시켰으며, 아름다운 자연을 묘사하기 위하여 '米點法'을 창시하였다. 그는 많은 서예작품을 수집하고 臨摹와 鑑識에도 뛰어나 이름을 떨쳤고 좋지 못한 작품과 바르지 못한 論書에 대해서는, 새로운 서예 창작 방법론과 비평론으로 비판을 함으로써 서예 이론을 계승 발전시켰다. 이와 같이 미불은 임모를 하되 모방에 그치지 않고, 그 작품들의 장점만을 취하여 '刷字'라고 일컫는 자기만의 독특한 작품세계를 형성하였다. 옛 사람의 것을 배우되 결코 그들의 법에 얽매이지 않으려고 한 사상은 매우 고귀하고 가치 있는 일로, 이러한 그의 예술관은 오늘날 서예작품을 접하는 사람들에게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 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시대를 뛰어넘는 작가란 전통을 답습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자신의 창의성과 개성을 더하여 후대의 작가들이 계승할 수 있는 새로운 시대의 품격을 만들어 가야 한다. 미불은 바로 이러한 점을 고루 갖춘 진정한 예술가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그가 한 시대를 뛰어넘는 작가로 오늘까지 인정받는 이유는 천부적인 재주를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평생 동안 매우 근면하였으며, 일가를 이룬 후에도 끊임없는 노력으로 자신이 세운 목표를 향해 전진하였던 순수한 예술가이기 때문이다. 미불의 이러한 점은 오늘이라고 해서 다르지 않으며 오히려 현대의 작가들이 본받아 자신의 작품세계를 구축하는데 본보기로 해야 할 것이다. 그럼으로써 필연적으로 작가들이 부딪치게 되는 문제점들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므로 타인의 작풍에 대한 연구와 성찰 法古創新의 노력을 통해 서예 작품의 예술적 가치를 높이는 창작활동이 전개되어야 한다고 본다. MiFu's artistic view and his paintings and calligraphy had been noticed by senior scholars and his works have been studied up till now. Though we have admired his brilliant character of art in paintings and calligraphy, his world of art has been carelessly analyzed and examined.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see his historical stand through a new method of research. Thus, this study analyzes MiFu's features in his works and considers the process of his creation by considering the society and daily life during his time. Generally, it is fact that one's growing and learning process, friendships, and social backgrounds are deeply projected on his thought, philosophy, and artistic view in his works. MiFu started to learn Jin-kyeong Ahn's writing at the age of 7, and became a doctor of paintings and calligraphy. He was so fascinated with the writing style of Hee-jee Wang and Heon-jee Wang that he named his library Boshinjae. He developed 'Szngui' style in calligraphy, playing a decisive role in cultivating the new artistic way different from the style of Dang dynasty. He created his own style in landscape painting by using 'Mijeombup', a unique kind of drawing method which is used to draw landscapes by dotting on paper. He liked to collect a variety of paintings and calligraphy. He was good at appreciating as well as imitating masterpieces. MiFu introduced a new creative method during his time by criticising severly the bad works and books. Thus he succeeded and developed the field of paintings and calligraphy. MiFu took merits from tradition, but didn't imitate them. He created his own unique artistic world. He tried to learn the thoughts and the world of his seniors. However, he didn't want to be a follower like a servant. He wanted to create and think of new ideas. His artistic view moves and captures those of us who are interested in his paintings and calligraphy. This study shows that MiFu was a genuine artist and master in the field of paintings and calligraphy. To become a master, one should create 'originality' based on the merits and traditions of one's seniors, and then create a unique style in one's life or one's era. MiFu had all these qualities. He diligently and steadily tried to attain his goal throughout his life. In other words, he is a person that we can use as a model to obtain our goals. In conclusion, we should take MiFu's example and use it to help us overcome and solve the drawbacks we face in our works. In addition, we should have sense in criticising our works. We should continuously strive to further the artistic value of our paintings and calligraphy.

      • 收臧用 木家具의 門에 關한 硏究 : 開閉方法에 따른 門의 分類

        한정희 京畿大學校 傳統藝術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50671

        木家具는 傳統 藝術品 中에서 他分野의 어느 工藝品보다도 製作에 있어서 理性的 判斷이 要求된다고 볼 수 있는데 그것은 生活 속의 備品으로서 實用을 優先으로 한 作品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눈에 보이는 感覺的인 裝飾 등은 次善이 되어짐으로서 다른 傳統工藝品들이 藝術 作品으로서 사랑 받고 選好되었을 때에 木家具 部門은 매우 消極的인 眼目으로 다루어지는 傾向을 보이기도 하였다. 그러나 家具는 우리의 衣, 食, 住生活 全般과 깊은 聯關을 갖고 있는, 우리와 가장 親近한 工藝品이라고 말할수 있다. 겉으로 보아서는 無心한 듯 만들어진 器物이지만 人爲的인 裝飾性이 排除된 채로의 簡潔한 線과 面의 適定한 比例 配分을 通한 아름다움은 韓國 傳統文化의 一特徵으로 자리잡으면서 지금까지 그 脈이 그대로 이어져 올수 있었던 것이다. 오늘날 전통에 대한 認識이 새롭게 變化되어지는 趨勢에 따라 이 방면에 대한 硏究도 持續的인 關心 속에서 深度있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본다. 朝鮮朝 목가구의 연구 範圍는 매우 넓지만 여러 角度에서 살펴보아져야 한다는 意志를 갖고 收藏 용도로 제작된 가구 중에서 특히, 實用의 役割로서의 主軸이 되고있다고 생각되는 門部分에 대한 방향으로 關心의 촛점을 맞추게 되었다. 그러나, 鑑賞用이 아닌 實用品으로 使用되어짐으로 말미암아 온전한 保存品의 數量이 적다는 것과 木材質이라는 限界로 인하여 時代가 오랜 傳貰品이 남아 있지 않아 接近의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日帝時代에는 外國 文物의 流入과 함께 日本 木器의 使用이 늘자 우리의 전통가구에서는 볼 수 없었던 '단스'라 불리우는 서랍장이라는 목가구가 나타나는가 하면, 오늘날에는 '아파트'라는 新住居空間으로서의 큰 變化로 말미암아 西洋式의 가구가 大擧 등장함으로 이러한 것들이 전통가구의 不在現狀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溫突과는 다른 煖房施設의 차이와 그로 인한 溫濕度의 差異 등이 發生되면서 그러한 人爲的인 空間에서는 목가구의 保存이 어렵다는 限界點이 전통가구의 不在現狀의 한 原因이 된것이다. 急變하는 時代일수록 전통의 소중함은 더욱 일깨워져야 한다는 생각으로 古美術品 部門에 대한 論文에 臨하게 되었으며, 그 중 특히 전통 목가구에 대한 本質的인 면을 다루어 용도에 의해 發生 되어지는 開閉方式에 따른 가구에의 門을 分類하여 機能性이라는 實利的인 側面을 살피는데 重點을 두고자 하였다. 門은 가구의 前面에서 線과 面의 布置 排列에서 큰 面積과 比重을 차지하고 있고 또 實用 器物이라는 기능적인 면에서 중심역할이 遂行되고 있으므로 收藏 內容物에 맞추어 合理的인 開閉 方式을 우선적으로 選擇하여 사용하였다. 즉, 용도에 따라서 어떤 形態인가, 어느 位置에 어느 크기로 制作 되었으며 어떤 장식으로 美를 追加하였는가, 또 사용자나 가구의 놓여지는 雰圍氣와 位置에 따라서 門의 제작은 어떤 影響을 받고 있는 가를 이 論文에서 分析해 보고자 한다. 博物館의 所藏品을 觀覽하고 競賣市場에서 流通되고 있는 古家具와 또 직접 門을 열고 닫아 볼수 있는 與件이 許諾되어진 고미술 商街에서 그 陳列品을 만져 보면서 調査 硏究 하였으며, 關係 論文과 木工藝에 대한 專門 書籍과 함께 고미술 全般의 關聯 參考 書籍을 통하여 資料를 蒐集하였다. 寫眞은 實際 撮影의 어려움으로 전문 서적의 圖版을 이용하였고 說明이 必要한 部分은 未洽하나마 직접 그림을 그려 提示하였다. 이와 같이 가구의 門에 대하여 기능적인 것과 함께 그 특징적인 것을 살펴 본다면 우리 나라 고미술품 속에 드러나 있는 전통 문화와 自然에 대한 理解와 함께 전통 목가구에 대한 올바른 解釋에 不足하나마 一助를 加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The wooden furnitures are required more reasonal judgement in manufacturing than other objects of industrial arts among the traditional arts. Because they are made as daily necessities rather than works of art. Those qualities of the wooden furniture do not always need artistic decorating, which has made themselves less attractive to people and also less evaluated with a prejudiced view as works of art than any other objects of industrial arts. However, it is the most familiar industry art considering their deep relation with the food, clothing and habitation of our daily lives. Although it seems to be very shapelessly made, its unique beauty can be part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by being made without artificial decorations but with the appropriate proportion and simple lines and facets. Therefore, its traditional style has been kept still now. I think studies of the traditional wooden furniture have been constantly done according to the newly changed trend in Korean tradition. I focus especially on the doors among wooden furniture made in Chosun Dynasty. Since they were made for practical use and of the wood, they are rarely in a good state of preservation, which made my approach on this study very difficult.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the increase of the use of Japanese wooden furnitures and the influence of other cultures brought some changes to Korean traditional furnitures such as 'Dans', a drawer. And also, a change of Korean's main form of houses into 'apartments' has made the traditional furnitures gradually disappear. I have confidence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protect the tradition especially in this rapidly changed time. With this point, I try to study the wooden furniture and have focus on a function of the traditional door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opening and shutting system. The door takes an important stand in the arrangement and the function. I try to research how the form of the doors was changed according to their use, how big they were made according to their location, what decorations were attached to them and what influences on a manufacturing process were made according to their location. Therefore, this thesis must help the traditional wooden furniture to be correctly evaluated and Korean culture and nature indwelling in Korean traditional art properly understood by studying a function and characters of the doors.

      • 懷素의 書藝에 關한 硏究

        김순자 京畿大學校 傳統藝術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50671

        중국은 전통적으로 문자에 대한 관심과 자부심은 다른 어느 민족보다 중요시했고 자랑스러워했다. 그들은 자국의 문자인 한자를 정보의 신속한 편리성 등을 요구하는 시대적 요청에 따라 각종 서체를 출현시켰다. 중국에서의 서예발전은 각 시대별로 활동한 서예가들의 창조적 예술활동을 통해 이루어졌는데, 唐中期에 이르러 활동한 狂草의 懷素가 있다. 여기에서는 이러한 懷素가 어떻게 나타나게 되었는지 그 시대배경을 조명해 보고, 동시에 그의 일생을 추적하면서 그가 진정한 서예가로써 거듭나는 과정을 통해 당대 서예의 한 특징적인 면을 살펴보았다. 특히 그의 서예 특정 및 예술정신의 발로과정을 살펴보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러한 관점하에서 쓰여진 내용은 다음과 같다. 懷素가 살았던 시대는 「貞觀의 治」 이후의 盛唐期였다. 이 시기에는 경제가 번영하면서 외국과의 교역이 빈번해 졌고, 특히 실크로드를 통한 이국적인 禮俗과 服裝·音樂·舞踊·美術·宗敎 등 제방면에서의 문화가 들어와 당나라 文化로 화하면서 최고의 극성기에 달하였다. 그러한 사회적 변화는 예술적인 면에서의 성격도 변화시켜 이전과 비교해서 점점 더 호방해지고 웅휘함이 깊어지게 되었다. 이러한 기풍은 서예계에도 미쳐 서예의 풍격도 새로운 모습을 띠기 시작했다. 즉 格律을 완비하려는 경향에 대해 반발하며, 그러한 반발은 흉금의 서정을 자유스럽게 표현하려는 경향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그러한 가운데 나타난 서예계의 변화로써 초서와 행서가 유행하게 되었고, 결국에는 狂草라는 새로운 형태의 서예가 나타나게 되었다. 또 다른 사상적 기반은 禪宗의 영향이었다. 선종은 그동안 예술세계에서 제한된 폐쇄적 취향을 탈피하는 계기를 가져다주었는데, 懷素는 바로 이런 시대에 살았던 인물이었다. 특히 회소는 어릴 때부터 출가하여 불교에 몸을 담았으므로 그의 예술정신은 당시의 禪風을 그대로 받아들였던 것이다. 이러한 환경에서 나타난 그의 예술인생은 대체로 3단계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제1단계(737-768)는 30여 년간 서예를 연마하는 혹독한 시련기였다. 이 시기는 또한 자신의 예술세계를 창조해 나갔던 시기이기도 하다. 제2단계(769-798)는 이러한 자기 노력에 의한 성취에 만족하질 못하고 배움을 찾아 객지를 떠돌던 시기이다. 그 주요 대상지는 長安과 洛陽이었다. 그는 장안에서 張旭의 제자인 金吾兵曹錢塘 □?을 찾아 스승으로 모시고 장욱의 초서 필세를 배워 일취월장하였다. 그리고 洛陽에 가서는 顔眞卿을 만났다. 그는 안진경으로부터 서예에 대한 진정한 가르침을 받고 크게 깨달아 자신의 서예 세계에 몰입했다. 제3단계(798-?)는 건강을 돌보지 않았던 바람에 병이 들게 되어 고향인 零陵으로 돌아와 지내던 시기이다. 이 때의 懷素는 서예계에서 이미 자신의 일가를 이룬 서예가였다. 그의 만년의 글씨는 냉정하고 고요하며 담백한 심미적 정취로 한 차원 높은 예술의 경지를 이루었다. 회소의 서체는 시대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이지만, 전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성을 나타냈다. 즉 마치 미치광이가 휘갈겨 쓴 것 같은 狂逸的인 筆勢, 깨지고 마른 필봉으로 휘둘러 서체의 선을 가늘게 하여 힘차게 써내려 간 瘦療枯折한 초서, 찰나적으로 한 번 생각하고 신속하게 써 내려가는 飛動有神的 用筆, 그리고 龍蛇飛騰하게 쓰면서도 古意法道에 준거하였다는 점이다. 이러한 특성을 가진 회소의 초서는 今草와 狂草,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그의 금초는 氣息上에서 은연중에 온화하고 우아한 바를 기조로 삼았다. 이에 비해 그의 狂草는 "마음으로 글을 쓴다."는 말처럼 붓을 대기 전에 뜻을 먼저 세우고, 그 뜻을 글씨로 나타냈다. 이렇듯 그의 글씨는 서단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를 5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첫째는 새로운 서체를 창신 했다는 점에서 이 분야의 조사로 받들어질 수 있다는 점이고, 둘째는 서예의 예술성을 승화시켰다고 하는 점이다. 세 번째는 서예가로서의 전형을 구현해 주었다는 점이고, 네 번째는 조형예술과 표현예술의 개척자라는 점이다. 다섯번째는 서예사에 있어서 狂草의 최고봉에 이르렀다는 점이다. 이러한 위치에 올라 선 懷素는 당대의 많은 사람들에게 초서의 묘미를 알게 해주었고, 그러한 상황은 그의 예술정신을 흠모하여 계승하고자 하는 서예가들을 많이 배출하여, 이후 초서가 보편화하는데 크게 기여 했다. 당 이후 五代의 楊凝式이 懷素의 서예를 계승했고, 宋대에는 歐陽脩·蘇軾·黃庭堅 등이 회소의 서예에 심취하였다. 그러한 영향으로 인해 당대 사람들은 회소류의 글씨를 배우는 것이 서예의 목표로써 유행되기도 하였다. 특히 북송의 古文家들은 회소의 진가를 인정하면서 그의 예술정신을 추종하여 전통 서예의 인습화를 타파하고 서예에 었어서의 예술적인 창작의 길을 개척하는 선구자가 되기도 하였다. 明대 문인들도 懷素의 서체를 좋아하여 狂草로 쓴 작품을 많이 남겼으며, 이러한 조류는 오늘날까지도 이어져 현대서예가 추구하는 한 특징인 조형적 미의 창출에 중요한 정신적 자원으로써 활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懷素의 狂草에서 볼 수 있는 造形性·表現性·創意性·藝術性 등의 특징이 현대인이 추구하는 새로운 서예의 출현을 가져다 줄 수 있는 典據가 될 수 있다는 점을 본 논문은 제시하려 한 것이다. Chinese has been proud of their literals traditionally and considered their characters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nations. With such viewpoints of Chinese people, Chinese characters had been spread over neighbor countries and had a great impact upon their cultures. As a result, a unique cultural zone based on Chinese literals had been formed in East Asian region. It had been so influential to Korea and Japan that it still has been remaining effective until today. Accordingly there lies a very long historical background with traditions of and interests in calligraphy among three nations, Korea, China and Japan. Because of China with its influences of literals, various styles of Chinese calligraphy could have been created and developed as the ages turned. Such creations and developments in styles of calligraphy had been appeared responding to the cultural backgrounds of each era in accordance with a need for obtaining information faster and for becoming more convenient. And entering into Southern and Northern Dynasty, there was a movement that had tried to adorn and to redirect brush calligraphy as a pure art. This tendency had been reached at its peak in Tang(O´D) Dynasty. As an artist and Master Calligrapher who was successful reaching the highest peak of his career, Huai-Su(u¨a~a´E`) is mostly reputable with his extreme cursive script. In this dissertation, I tried to light up the background of the ages how Huai-Su could have been successful in his career and at the same time, by tracing his life I tried to discover the true values of calligraphy as an art in that era with reviews of the process of his reborn as a genuine Calligrapher. Also I focused on his characteristics of calligraphy and his thoughts about the arts. With the concepts of study described as above, this dissertation was written and it can be excerpted as follows. The period Huai-Su lived was the most flourishing age of Tang Dynasty after Tae Zongs (÷(1/4)ðO´) rule. In this time, foreign trades were prevail among the nation along with developments of economy. Particularly aliens customs and manners, costumes, music, dances, paintings and religions and many other cultures from foreign countries were flew into the country through the silk road and assimilated with Tangs cultures and so it could have been progressed up to a high point in Chinese civilization. Such social changes had also brought changes into aesthetic and artistic areas and the art of Chinese calligraphy had become more unrestrained style, and also virile and exuberant in the works full of feeling and vigor. These characters had affected to calligraphers and a new style of Chinese calligraphy had begun to evolve. This was a kind of repulsive action against the trends that was to enforce moral precepts and normative laws upon society. This repelling power had been transformed into artistic activities that tried to practice a carefree and wild untrammeled style without having any fixed directions in the course of expressions of own minds and thoughts. In the interim, the style of calligraphy had been changed into semi-cursive or cursive script and as the result, a new art of calligraphy, the wild cursive script bordering upon madness, had appeared. Another aspect of such changes had been derived from Zen(a`E´) Buddhism. Zen Buddhism had brought a momentum to get rid of a closed posture that limits creative activities in artistic world, and Huai-Su was a character who had lived in the golden age of Zen Buddhism. Under the circumstances, Huai-Su had left his family in his early days and eventually taken tonsure and become a Buddhist and during his pastime away from studying Buddhist Scriptures and Zen, he loved to practice calligraphy very much. His aesthetic and artistic sentiments had been molded under the environments of Zen Buddhism that was inevitable for him but to accept. With consideration of such social backgrounds, his life with the art of calligraphy can be divided into in general 3 stages. The first stage (737-768), the first 30 years of his life, was a period with severe sufferings. Because his family was so poor that he must have had departed his home to relieve a burden of a mouth. But he had stuck to his works with calligraphy despite his difficult situations so that it enabled him to obtain a highly qualitative level of calligraphy. It was a stage in which he strived to achieve his own artistic world. The second state (769-798) was a period that he had to move to Changan(ı´Þa¨I`) because he was not happy with what he had achieved by his own efforts. His purpose of travel to Changan was to learn more about calligraphy, but not to study for Buddhism. So, Huai-Su had put his heart and soul into his works with cursive script. He served Wu Dong a pupil of the master calligrapher Chang-Xu (ı´a˚e´ı¨), as his mentor and learned brush techniques and strokes of Cang-Xu(ı´a˚e´ı¨), from him. During this period his qualities of calligraphy had made a rapid progress. He had also traveled to Luoyang (N ̄a~a˚O ̄) and met Yen Zhenging(a¨O^o`ØI`I¨). He had learned from Yen Zhenqing and realized how to find his own state of calligraphy and since then he had been absorbed in the developments of his own style of calligraphy. The third stage(798 - ?) is an age of retreat in his home town due to his illness. He had not taken care of his health well. At this stage Huai-Su was in the transcendental state of the worldly matters and this mental status had been directly reflected on his works of calligraphy. His cursive scripts used to be wild in its strokes depicting a certain madness and queer or eccentric atmospheres even with exhibitions of some angers. However his works in this period had been changed into ones that were with purity and simple and temperate displaying a leisurely manner with comforts. Likewise, he had been risen above the world with enlightened spirits of art of calligraphy maintaining a postures of simple and pure and aesthetic sentiments. Huai-Su style varies slightly depending upon the ages, however it can be distinguished by four characters. Firstly, His wild and excessive exuberant strokes of brush are notable. This is one of the most attractive points of Huai-Sus calligraphy, and it designates his works in wild cursive style. It is so wild and unrestrained that it is just like brushwork played under a state of madness. This is the reason why his calligraphy is being dubbed as Wild Cursive Script. Secondly, his calligraphy is a dry and haggard cursive script with noble character. The characteristic of cursive script is unrestrained move. Huai-Su didnt want to be restrained or bound whatsoever with his carefree and wild cursive script. So Huai-Su worked on his calligraphy with a dry and cracked brush making lines slim in unrestrained and virile manner full of vigor. Thirdly, his brush techniques and the movement of stokes suggest a great speed. He gives an instant thought on the subject character just once. He thinks in a flash at the beginning and stops thinking at the end. And he comes out to be alive momentarily and fade away immediately. With this dancing, he moved his brush. This way of his expressions through the art of calligraphy must have been impossible without speed. Fourthly, he had observed established laws and traditional criteria in his writings with brush, Even though his calligraphy looks like in some way a wild movements played with brush, if you see it with a broad view, it has, therefore, a balance between left and right and sense of regularity and every character was written with natural curves and connected as smoothly as a flow of water so that it never gives any impressions of artificial made. It had been possible for him to achieve this high state of art of calligraphy because he had worked with brush on the basis of the traditional laws and norms of calligraphy. Huai-Sus cursive script can also b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One is limited cursive script and another is wild cursive script. His limited cursive script features tacitly a warm and elegant feeling especially on the top of breathing spot of character. These underlying tones are completely different ones from the wild cursive script that generates unrestrained and virile and carefree images. These characters create a harmonized atmosphere that brings a peace in mind exhibiting a feeling non-aggressive and a feeling that does not come from offensive strength. Meanwhile, Huai-Su has a different proposition in writing the wild expressive style, that is Writ it with mind. Huai-Su holds the brush first and puts it in front of his mind and moves the rush according to the drift of his mind. Accordingly Huai-Sus art of calligraphy have to be greatly weighted in the calligraphy world of the Orient. His works are being highlighted with the following 5 aspects. First, by the fact that he created a new style of calligraphy, he should be regarded as the great master in this criterion. Second, he had upgraded the artistic values of calligraphy. Third, he had accomplished a life that can be a model for all calligraphers throughout the centuries. Fourth, he is a pioneer for formative art and the art of expression. Fifth, he stands high in the criterion of wild cursive script. Huai-Sus art of calligraphy have influenced to great many people following to the ages. As an example, whenever there had some repelling movements against existing calligraphy styles that prevailed through the ages, calligraphers had tried to find a solution from the wild and expressive cursive style by Huai-Su. Likewise, the spirit of art of Huai-Su can surely be an exemplary episode among calligraphers. It should not be neglected the fact even in the todays world of calligraphy which emphases the visual sense that Huai-Sus sprite of art of calligraphy insinuates some important things.

      • 孫過庭의「書譜」硏究

        손동준 京畿大學校 傳統藝術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논문은 唐 전반기 孫過庭 「書譜」의 이론 및 예술성에 관한 총체적인 조명을 목표로 연구되었다. 나아가 中國書藝史에서 창작과 이론의 '雙絶'로 칭송 받고 있는「書譜」의 가치를 재정립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시작에서 제기하였던 문제점들에 대한 견해를 종합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孫過庭의 書藝觀이 형성된 배경과 「書譜」의 저작이 어떠한 영향 관계에서 이루어졌는지 밝혀보았다. 「書譜」의 배경으로는 唐 전반기 六朝의 예술정신이 계승되고 있던 상황아래 학문교양의 다면화·종합화가 이 시기의 커다란 특징이었다는 것과 唐 太宗이 「王羲之傳論」을 저술 한 후 唐 전반기에 '尊王'의 서풍이 성립되었다는 것에서 왕희지의 서예를 고전의 전형으로 하여 그 가치를 찾는 것이 孫過庭에게는 우선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어서 그의 인적사항은 자세히 전하는 기록이 없어 단정 지울 수는 없었지만 「書譜」의 寫記와 史籍을 근거로 하여 이름은 過庭, 字는 虔禮, 본관은 吳郡, 관직은 率府錄事參軍에 이르렀고 40대 후반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하여 그의 생평에 관한 의문을 조금이나마 해소해 보았다. 「書譜」는 二王을 중심으로 하는 전통적 書藝觀에 입각하여 서예 이론의 모든 영역에 기초와 체계를 확립하였다고 평가된다. 이런 점에 염두하여 「書譜」의 서예관을 書體論·創作論·風格論·抒情論·批評論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과정에서 「書譜」의 著作(687) 동기가 唐 전반기 書藝에 관한 論著가 체계와 독창성이 미흡한 점을 비판하며 행해진 것임을 알았다. 여기서 주목하는 바는 그의 논술이 단순히 제작상의 기준을 제시하는데 그치지 않고, 서예 창작의 방법론에 대한 수준 높은 견해를 명확히 밝히고 있다는 점이다. 그 조건으로는 각종 서체를 兼修 할 것을 요구하며 예술활동의 다각성을 주장하였다. 「書譜」에 있어서 文과 質·傳과 博·獨과 兼의 논의가 그것이다. 아울러 내면적 深化를 매우 강조하면서 인간의 본질을 파악하고, 哀樂·好樂 등 마음의 움직임을 표현하는 정신의 예술임을 밝히고 있다. 孫過庭의 예술사상은 「書譜」에서 일관되게 心을 중시한 서예를 전개하고 있다. 손과정이 강조한 心의 표현이란 천지의 心, 즉 造化의 根源과 일치시키는 것이었다. 그는 창작을 실현할 수 있는 기법을 습득한 뒤에, 내적 범주로서의 정신적 範型을 목표로 삼아, 그것을 서예에 적용시킨다. 그 조건으로 心手雙暢을 제시하며 인력의 作爲를 부정하는 道家 철학을 이어받아 無爲의 體得 즉 초월적 경지를 강조하였다. 이러한 견해에서 桑弘羊의 神算과 ?丁解牛의 고사를 통해 창조적 자유란 개념과 접촉하여 道를 얻음과 같은 진정한 자유 경지를 서예에 적용시켰다. 여기서 손과정은 기법의 완숙을 통해 道를 깨달아야 붓이 마음먹은 대로 응하는 入神의 경지에 들어갈 수 있다고 하였으며 이 경지에 이른 것을 精熟의 서예라고 정의하였다. 손과정이 唐 전반기 서예가로 볼 때 당시 제왕이면서 왕희지의 절대적 신봉자였던 唐 太宗의 영향은 절대적이었다. 이러한 상황아래 손과정은 당시 서예의 나아갈 바에 대한 정확한 진단 속에 본인의 이상적 書藝觀을 부각시켜 王書의 형식을 재창조 할 수 있었다. 그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왕희지의 절대적 신봉자였던 당 태종의 <屛風書>와 손과정의 「書譜」, 그리고 王羲之의 <初月帖> 을 비교하여 보았다. 그 결과 당 태종의 경우 왕희지의 법을 수용 하는데 있어 形似에 치중하는 경향이 많음을 알 수 있었고 대조적으로 「書譜」는 왕희지의 서풍과 비슷하면서도 비슷하지 않는 면을 쉽게 찾을 수 있었다. 여기에서 손과정의 초서가 한편으로 왕희지를 중심으로 출발했지만 形似보다는 神似를 추구하여 당 전반기 草法과는 다른 성향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당 전반기 초서 풍격인 玄秘함에 흐르지 않고 초서의 예술에 있어 반드시 具象 외에, 象을, 韻 외에 韻을 찾는 예술 풍격을 강구하여 새로운 風格을 창조한 것을 알 수 있었다. 孫過庭의 「書譜」에 대한 평가를 통해서는 王羲之의 법을 근본으로 하여 이룬 독자적인 성취가 후대에 모범으로 인식되고 있다는 것과 「書譜」가 지니고 있는 한계와 성과를 살필 수 있었다. 그 요지를 보면, 예술적인 측면에서 「書譜」는 왕희지의 고법을 재창조하여 四賢을 잇는 명서가들의 경지에 비견되는 등 높은 극찬을 받으며 서예가의 모범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론적인 측면에서는 「書譜」가 작가의 깊은 체험에서 이루어진 그의 이론이 무한한 가치가 있다는 것을 후세 사람들에게 인지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평가를 통해 손과정의 서예와 이론이 고법에 대한 관심을 확대시키고 이해를 심화시키는 데에 중요한 계기가 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를 통해 손과정의 「書譜」가 서예사에서 중요한 저작물이 되는 까닭이 文과 墨의 兼修를 중시했던 중화미의 사상과 나누어 생각할 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런 점에서 「書譜」는 이론과 창작의 雙絶로 칭송될 수 있었으며 또한 서예사에서도 그 가치를 높게 평가를 받을 수 있었다. This report studied 「SeoBo(書譜)」 of Son Kwa-Jeong(孫過庭), a representative writing in the early stage of Tang(唐) Dynasty, focused on its theories and arts comprehensibly. Furthermore, this study arranged the values shown in 「SeoBo(書譜)」, which have been praised as 'Ssang Jeol(雙絶; two nodes)' in the history of Chinese calligraphy. Finally, the opinions about those questions pointed out at the beginning of this report were comprehensibly summed up as follows; Above all, the historical background on which Son Kwa-Jeong(孫過庭) formed his conception or view of calligraphy and the circumstantial relations on which 「SeoBo(書譜)」was written were examined. 「SeoBo(書譜)」 was produced under the historical circumstances in which the arts spirit of Yukjo(六朝; six dynasties) was being succeeded by that of the early stage of Tang Dynasty; the major character during this period was diversity & synthesis of knowledge and culture. The fact that the style of calligraphy, Jonang(尊王; reverence to kings)' was built at the early stage of Tang(唐) after Taejong(太宗), king of Tang wrote 「Wang hee-ji jeonron(王義之傳論; Wang hee-ji's statements)」 tells that Son Kwa-Jeong(孫過庭) regarded Wangheeji's calligraphy style as a classical model, and accepted its values. His personal information have not been handed down, so that any specific details cannot be ensured except for his name, Kwa-Jeong(過庭), the name as a calligrapher or pen name, Geon-rye(虔禮), and his family origin, Okun(吳郡), and he might raised to the government post, Solburoksachambyeon(率府錄事參軍), and he is predicted to have died in his late 40s. These approximate information in the above was based on the chronological records and the record of writer's family registration of 「SeoBo(書譜)」. It is though that 「SeoBo(書譜)」 of Son Kwa-Jeong(孫過庭) follows the traditional calligraphy conception focusing on Leewang(二王) in establishing the foundation and systematic structure of calligraphy theories' all areas. Based on the above facts, this study examined the calligraphy conceptions shown by 「SeoBo(書譜)」 from the theoretical viewpoints suchas calligraphic style(書體論), originality(創作論), convention & standard(風格論), delineation of feeling(抒情論), and critique(批評論). After this research, it was known that the motive that produced 「SeoBo(書譜)」(687) was a criticism against lack of originality and inadequate structure in calligraphy-related writings at the early stage of Tang Dynasty. One important point, here, is the fact that his statements not only suggested proper standards of calligraphy work but also clarified high-leveled values and opinions about calligraphy creation methodology. And he demanded to practice and train various calligraphic styles and do artistic activities from various viewpoints, which statement indicates the logic of Mun(form; 文) & Jil(質; contents), Jeon(傳; message) & Bak(博; communication), and Dok(獨; independence) & Kyeom(兼; attainment of Nirvana or spiritual awakening) as shown in 「SeoBo(書譜)」. Furthermore, he stressed deepened internalization, and asserted sublimating calligraphy as a spiritual art that seizes human nature and expresses human mind such as sorrow(哀), pleasure(樂), affection(好), and hatred(惡). Son Kwa-Jeong(孫過庭) developed his artistic ideology of calligraphy focusing on the mind(心) with consistency in 「SeoBo(書譜)」. The idea of expressing the mind(心) that Son Kwa-Jeong(孫過庭) meant an agreement with the mind(心) of the nature, namely, the root of universal harmony. He acquired the art of realizing creation, then, adopted a spiritually universal model for the inner category as a target, and applied it to his calligraphy. He insisted on Simsussangchang(心手雙暢; unconstrained communication of two hearts) for its necessary condition. Son Kwa-Jeong(孫過庭), here, succeeded to Taoistic philosophy that denied human actions, adopted it as a standard of value, and stressed a transcendental state of inactivity. Form this viewpoint, he applied the concept of real creative freedom or Nirvana attainment to his calligraphy art through folklore of Po Jeong haewoo(包丁解牛). The most sublime stage of calligraphy can be attained only by the awareness of Do(道; Confucian truth or faith) that enables artists to perfect a spiritual maturity(精熟). Son Kwa-Jeong(孫過庭) was a calligrapher at the former period of Tang Dynasty, so that Taejong(太宗) who was the king of Tang and a believer in Wangheeji surely had the most important influence upon him. Under these circumstances, Son Kwa-Jeong(孫過庭) suggested an exact direction that calligraphy of those days should follow, and re-created Wangheeji's art(草法; grass style) applying his own concepts of calligraphy art. In order to know the direct reasons, this study compared <Byeongpongseo(屛風書); calligraphy written on folding screens)> of Tang Taejong who was a believer in Wangheeji, Son Kwa-Jeong(孫過庭)'s 「SeoBo(書譜)」, and Wangheeji's <Chowalcheop(初月帖; the first moon records)>.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e fact that Tang(唐) Taejong(太宗) put value on Hyeongsa(形似; imitating shapes) in his accepting Wang hee-ji's art, on the contrary, 「SeoBo(書譜)」 had both similarity and dissimilarity simultaneously to Wang hee-ji's calligraphy style. One noticeable point is, here, that even though Son Kwa-Jeong(孫過庭)'s Choseo(草書; cursi e style or grass hand) began at Wangheeji's art(草法; grass style), his art preferred pursuing Sinsa(神似; pursuing or imitating the mysterious spirit) to emphasizing Hyeongsa(形似; imitating shapes), which indicated a different grass style from that of the early period of Tang Dynasty. On the other hand, Son Kwa-Jeong(孫過庭)'s art didn't believe in Hyeonbi(玄秘; abstruse mystery orsecret), instead, his cursive style(草書) considered a different artistic style that seeks for a formative appearance(韻) existing outside concreteness(具象) and rhyme(韻) existing outside rhyme(韻), which was a new calligraphy style. The assessment of Son Kwa-Jeong(孫過庭)'s 「SeoBo(書譜)」 in both those days and these days told that its individual achievement based on Wangheeji's art(草法; grass style) is recognized as a model style by his after ages' people, and made it possible to examine limits and outcomes that 「SeoBo(書譜)」 has. Summing up these studies, 「SeoBo(書譜)」 recreated Wangheeji's old art(草法; grass style) in the artistic side, so that he is highly praised that he succeeded to the Four Main Calligraphers(四賢), nevertheless, his calligraphy is criticized that the calligraphic style is restrictive and artistic diversity is insufficient. It is certain that these assessments of Son Kwa-Jeong(孫過庭)'s calligraphy works and calligraphy theories became an important chance to make people understand as well as concern about old calligraphic styles. Also, taking a look of the theoretical side, the theory suggested by 「SeoBo(書譜)」 and formed through writer's practical experiences helped people of after ages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practical experiencs. This study proved the fact that the importance of Son Kwa-Jeong(孫過庭)'s 「SeoBo(書譜)」 is closely related with Sinocentrism that lays stress on united combination(兼修) of Mun(文; form or text) and Muk(墨; Chinese ink). Conclusively, 「SeoBo(書譜)」 should not only be praised as 'SsangJeol(雙絶; two nodes)' of theory and creation but also be evaluated highly in the history of calligraphy.

      • 趙之鎌의 篆刻藝術 硏究

        이시규 京畿大學校 傳統藝術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논문은 晩淸의 전각 대가 趙之謙의 篆刻을 연구한 것이다. 전각사는 奏漢代와 明淸代를 고봉으로 삼고 있는데, 진한대의 인장은 당시 인장이 발달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여건 하에서 형성된 것이고, 명청대는 전각에 대한 문인들의 애호와 청대 정치와 관련한 학술사조에따른 고고학의 발달과 깊은 관련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여건 하에서 예술에 대한 천부적 자질을 타고난 조지겸은 짧은 예술 생애에도 불구하고 위대한 업적을 남길 수 있었다. 그의 서예와 회화, 전각은 후대에 잘 알려져 많은 영향력을 주었다. 그의 서예는 청대 중기 금석학, 훈고학의 발달에 따르는 비학발흥에 힘입어 북위해서체와 예서체에 특히 뛰어났고, 이른바 '逆入平出, 萬毫力'의 이상을 실현하였다. 회와는 화훼를 중심으로 인물화와 산수화에도 조예가 깊었으며, 大寫意 文人畵의 대가였다. 그는 당시 다른 전각가들 처럼 진한인을 학습한 깊은 뿌리 위에 명청대의 각 유파인장의 장점을 받아들이고, 宋元代의 圓朱文印의 특징을 흡수하여 자신의 전각을 이루었다. 그의 전각은 엄격한 법도를 지키면서도 다양한 字法을 구사하였다. 白文印은 이른바 '빽빽한 곳은 바람이 통하지 않도록 하고, 성긴 곳은 말이 달릴 수 있게 한다.'는 포치의 원리를 십분 표현하여, 광결주경한 선질로 渾厚茂密한 풍격을 이루었고, 朱文印은 瘦勁한 필획으로 流麗한 풍격을 나타내었다. 특히 시대적 조류에 따라서 鄧石如의 印從書出論을 발전시켜 印外求印의 사상을 제창하고, 자신의 전각 창작의 방식으로 삼았다. 이러한 것은 전각의 印文과 邊款에 잘 나타나 있는데, 당시 출토된 奏詔版, 權量, 전와, 碑刻, 帛布, 鏡銘 등 고기유물의 문자를 인장에 入印하였을 뿐만 아니라, 邊款에 南北朝의 造像記이나 漢代의 畵像石 등의 도형을 과감하게 도입하는 등 새로운 국면을 창출해 내게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그의 심미관과 창작들은 후세 전각가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고, 전각 발전사에 신기원을 세웠던 것이다. 전각사에서 '印外求印論'과 함께 커다란 공적으로 기록되는 것이 '변관의 영역 확대'이다. 원래 변관은 해서로 관지를 기록하는 것에 불과했었는데, 조지겸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변관에 다양한 서체를 쓰거나 그림을 새겨 넣는 등 다양한 형식으로 변관을 하나의 예술 표현 공간으로 자리매김하였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깊이 있게 접근하였다. 이 두 가지 관점은 서로 유기적 관계를 가지고 있으면서, 후대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특히 전각예술 절정기의 주역이면서 풍격면에서도 확연하게 다른 吳昌碩과 黃士陵에게 많은 영향을 준 것은 그의 예술이 凡常하지 않음을 반증하고 있다. 이 논문은 '法古創新'에 대한 인식을 다시 한번 환기시키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즉 예술의 소재는 멀리있는 것이 아니라 가까이에 있고, 이미 있던 것에 있고, 평범함에 있음을 말하고 있다. 주변의 모든 자연적, 인공적 요소들은 모두 예술창작의 소재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것들을 어떻게 나의 것으로 수용하느냐 하는 것이 창작의 성패를 가름하는 요소가 된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engravings of Cho Ji-gyem, an engraving master during late Chin China. The origins of engraving may be traced back to Quin/Han China and Ming/Ching China. During the former age, engraving developed under various favorable conditions for seals, and during the latter age, engraving developed under the auspice of the literary class and in association with development of archaeology. Cho Ji-gyem who was an inborn artist could produce a great achievement despite his short life as artist. He admitted the advantages of various seals developed during Ming/Ching China based on the deep root of Quin/Han China seals. Moreover, he absorbed the tradition of round red seals developed during Sung/Yuan China to create his unique engraving style. His engraving conformed to some strict rules but featured diverse letter styles. His white engraving reminds us of the principle "tight parts do not allow for any wind, while the loose parts allow horses to run through." The result was a bright, clean, strict and diligent quality as well as a luxurious and tight style. Meanwhile, his red seals looked stern but smooth. In particular, Cho Ji-gyem followed the current of his age. He developed Dung Haeng-yeo's principle "seal should follow letters", and championed the thought of "pursuit of seal outside seal", presenting himself as source of engraving and influencing his followers deeply. Such a thought is apparent in the letter tablets and changes. In the history of engraving, another achievement beside "pursuit of seal outside seal" may be "expansion of letter changes". Originally, letter changes meant recording some square styles on paper. However, Cho Ji-gyem surmounted such a limit to use diverse letter styles or even engrave figures on seals. After all, he established letter changes as an artistic expression. In this study, these two-fold achievements are reviewed in depth. They were related with each other, affecting the later engraving. The great artistic quality of his engraving may well be eloquently proved by the fact that Oh Chang-sik and Hwang Sa-rung both of whom represented the climax of the engraving art but distinguished themselves clearly from him were influenced much by him. It was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that 'innovation should be based on tradition'. The sources of art are not far away from us but near us. They may be found in existing things and therefore, must be ordinary. Thus, it is important to carefully review and accommodate the things around us and thereby, re-create them.

      • 近代 韓國山水畵의 考察 : 卞寬植·盧壽鉉의 作品을 中心으로

        김은주 京畿大學校 傳統藝術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50671

        회화를 연구할 때 기법이나 양식의 화법을 연구하기 보다는, 작가가 어떠한 방식으로 자신의 체험과 정서를 표현해 낼 수 있었는지에 대한 연구가 있어야 한다고 본다. 조선 후기 謙齋 鄭敾의 출현 이전엔 중국 산수화의 인상을 씻지 못한 문인·사대부의 묵적이었으나 정선이후에 와서 우리 산야를 직접 사생한 진경산수화가 성립되었는데, 이것이 진정한 전통 수묵산수화의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예술이 인간의 체험을 반영한 것이라면 한국의 예술적 특성은 이러한 자연관에서 연유된 미적 감성과 생활표현의 한 양상이라 할 수 있으며, 회화에서 다른 장르에 비하여 산수화가 주류를 이루게 된 것도 자연에 대한 한국인의 이러한 정신세계와 무관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자연관은 역대 산수화가들에게 그대로 투영되어 나타나고 있으며, 20세기초 卞寬植과 盧壽鉉의 작품에서도 역시 이와 같은 면모가 드러나고 있다. 그들은 한국의 산천을 두루 체험하고 사생함으로써 자신의 감정을 자연에 투영시키고자 하였고, 또한 그들만의 독특한 필법과 준법으로 한국 산천의 특성을 회화화하는데 주력하였다. 변관식의 특징은 적묵과 파선으로 볼 수 있는데, 그의 적묵법과 파선법은 여백을 배제하고 자연의 본질에 가까워지려는 의지의 소산이며, 자연의 본연을 나타내는 대지의 기본색으로 파악되고 있다. 그는 극히 자연스러운 풍치속에 자신의 감정을 화폭에 담기 위해서 노력했으며, 이것이 자연에 대한 끊임없는 애착과 표현의식을 보여주는 한 예일 것이다. 암울한 시대를 거치면서도 뛰어난 현실감각과 사경양식을 통해 자신의 화풍을 구축하였다는 사실은, 주위의 현실을 체험으로 극복하고 자연에 대한 순수한 조형의식을 보여주는 진경정신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진경정신을 바탕으로 정선이후 진경산수화의 경지를 이루어 놓았다는 점에서 소정 예술의 진면목과 만날 수 있다. 노수현의 예술세계는 속세를 떠나 마음의 산수를 찾아 노니는 정신세계였다고 할 수 있다. 그에게는 예술가로서의 때묻지 않은 평온함이 있으며, 筆은 곧고 먹색은 투명하리 만치 담백하다. 또한, 뛰어난 재능의 바탕위에 끊임없이 노력하고 성실히 작품제작에 몰두하는 태도를 보여준 모범적인 대가이다. 그는 전통화법을 충실히 섭렵하고 부단한 시도와 개성적인 특징을 구축하려는 노력으로 근대회화를 이룩하였다. 자연의 골격을 중심으로 한 엄격한 화면 구성과 불필요한 것들을 제거해 나감으로써 화면구성의 간결함으로 오히려 시원한 여백의 공간미를 느끼게 한다. 이렇듯, 그는 현대를 연결하면서도 독특한 작품세계를 구축한 중요한 작가였다. 이들 작가가 쌓아올린 예술성은 한국 회화사적 입장에서 볼 때 자기의 개성을 확립하여 동시대와 후대의 많은 사람들로부터 예술적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이로써 서구적 조형의식만을 현대적인 것으로 인식하고 전통의 계승은 진부하다는 잘못된 의식이 범람했던 때에 근대화단의 대표적 작가였던 변관식과 노수현의 예술세계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한국화의 새로운 가능성에 보탬이 되고자 한다. 본 논문은 민족적인 전통을 계승하면서 한국화풍을 창출해낸 변관식과, 노수현 회화에 나타난, 요인에 대해 일상적인 체험들과 자연주의를 지향하는 가운데 자신들의 독창적인 화풍을 완성할 수 있었던 변모들을 연구하였다. 또한, 그들에 관한 그들에 관한 많은 문헌과 선행 연구된 결과들을 분석하고 특히 사계산수화를 중심으로 비교연구하여 전통과 현대의 만남, 한국화의 새로운 방향모색 등 오늘이 한국회화가 당면한 문제들에 접근 하고자 하였다. 한국회화의 독창성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근대회화의 대표라 할 수 있는 변관식과 노수현을 연구한 바 진경산수를 조형적으로 어떻게 표현하느냐 하는 것과 독창성이라는 그들의 작품에서 보면 두 가지 면을 모두 조화시켰다고 볼 수 있다. 변관식은 화면전체를 묵을 충분히 사용함으로 화면 전체가 중묵의 필세로서 입체감을 나타내 주고, 노수현은 화면전체를 공간감을 이용해 의형·의인화한 표현을 볼 수 있다. 이렇게 볼 때 이들의 실경산수는 한국 산천이 가지고 있는 무한한 잠재력을 시사해 주고 있으며, 전통을 이해하고 한국적인 산수화의 정립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이 논문에서 미비한 부분들은 앞으로 다른 연구자들에 의해 보완되기를 바란다. I think, cultural studies on how painters can express their own experience and emotion should be more important than research in apparent technique or pattern in expressing paintings through history. before Jeong Seon (called Gyeomjae) appeared in late Chosun dynasty, Chinese landscape painting drawn by high literary officials have been leading the painting culture those days when pictures were mostly painted by ink. After he made his appearance, however, real landscape painting in which Korean nature is directly sketched was established. It is a true Korean landscape painting in ink. suppose experience of human being is expressed in art, artistic feature of Korea is one phase of both aesthetic sensibility and life expression resulted from such a view of nature. Spiritual world of Korean people is in close connection with the nature. That is why landscape painting is the main stream compared with other genres in paintings. former landscape painters have expressed such a view of nature as it was. In early 20thcentury, that viewpoint of nature was easily found in drawings painted by Byeon Gwan-shik (called Sojeong) and Noh Su-hyeon (called Shimsan) as well. They have tried to express their feelings into the nature by going through Korean mountains and rivers and sketching them on first hand. In addition, they concentrated energy on picturiz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nature through their own unique technique of calligraphy. Sojeong specialized in three elements such as ink, wavy line and brown. It is said that ink and wavy line used by him exclude space and are close to the essentials of the nature, and brown is a basic color of the earth that should return to true nature. In particular, he made every effort at expressing his feelings into picture through most natural scenic beauty, which shows Korean people have continuous love and expression on the nature. Over dark and gloomy times, he expressed his style of drawing through excellent sensitivity for the reality and real landscape painting, which is resulted from Jingyeong (real landscape) Spirit by which he overcame facing reality through experience and showed pure formative consciousness of the nature. His ability of art can be taken into high consideration in that another stage of real landscape painting has been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at Jingyeong spirit after Gyeomjae did. It is said that spiritual world of Shimsan means mental mountain and river away from the world in search of imaginary landscape. His paintings include unstained simplicity as an artist, and his style of calligraphy is straight and ink color is really mild. Based on talented ability, furthermore, he is a typical master who continued to make his efforts and be faithfully absorbed in paintings. Shimsan deeply dug intotradition of paintings in Chosun dynasty and he completed his self-identification through constant attempts and efforts at winning individual fame since then. by composing strict picture and removing unnecessary things based on the frame of the nature, the simplicity of outline creates cool beauty of space instead. like this, he is an important person connecting late Chosun dynasty to the modern times in art history, showing hope and model to appreciator and researcher as true and conscientious artist. This study aims to research into routine experience and their own unique style of picture in search of naturalism reflected in paintings drawn by Byeon Gwan-shik and Noh Su-hyeon who not merely preserved national tradition but also created Korean style of picture. In terms of Korean painting history, artistry made by the two painters reflects their own personality and evokes artistic sympathy from many people in next generation as well as the same period. In addition, when wrong way of thinking - only western formative consciousness is modern- prevails, I hope comparison and analysis of artistic spirit of both Sojeong and Shimsan, the representative painters of modern painting circle, will be helpful to new possibility of Korean paintings. Therefore, on how tradition can be in harmony with modern times and how we should develop tradition, I would like to analyze many documents and precedent data on Byeon Gwan-shik and Noh Su-hyeon, and put them together based on landscape paintings of four seasons in order to bestow real meaning upon research in direction of Korean paintings.

      • 王鐸의 書藝 硏究 : 長條幅 連綿 行草書 中心으로

        유해동 京畿大學校 傳統藝術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50655

        王鐸(1592-1652)은 명말청초에 連綿 行草書를 가지고 일세를 풍미한 서예가로써 낭만파 중에서도 저명한 서예가의 한 사람으로 활약했다. 그러나 그가 이 시대에 활동한 일련의 서예가들 가운데에서도 뚜렷한 예술적 개성을 잘 보여주었음에도 불구하고 명나라와 청나라 두 조정에 사역했다는 도의적인 결함 때문에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고 폄하되어 왔다. 왕탁의 연면행초 서풍은 일본 서단에 대단히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일본 서가들에 의해 추앙되어지게 되었다. 일본 전후(1945년)의 서단에 왕탁의 서풍을 연구하는 열기가 크게 일어났으며 지금은 큰 세력을 가진 유파를 형성하였다. 또한 최근 중국대륙의 서단에 일고 있는 서법열풍 속에서도 왕탁의 서법은 전에 없던 긍정과 호평을 받고 있는데, "神筆王鐸" "後王勝前王" 등으로 일컬어지면서 청장년 작가들을 중심으로 왕탁 서풍의 유행을 통한 이른바 "王鐸熱"을 만들어 가고 있다. 본 논문은 왕탁 서법예술의 精華라 할 수 있는 연면 행초서 중에서도 長條幅 작품 중심으로 작품 감상 및 書美分析에 초점을 두어 연구해 보고자한다. 본 논문의 구성은 모두 여섯 장으로 구분하였는데, 제 1장은 서론이며 제2장에서 생애 및 서예사적 배경과 學書過程을 고찰하여 그의 家系와 관직생활의 전반적인 상황과 살펴보았으며, 아울러 서예가로서의 學書觀과 交友關係를 살펴보고자 한다. 제 3장에서는 본 연구의 핵심으로서 왕탁 서법의 서미분석을 통하여 이해하기 쉽게 도판도 삽입하여 입증하고자 노력을 구하였다. 왕탁 서예 작품중 장조폭 감상의 기반으로서 이번에는 감각적인 입장을 주축으로 하는 제작태도의 고찰을 시도해 보았다. 특히 여러 가지 연면 기법에 대해서 자세히 실제의 예를 들어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다음 제4장에서는 왕탁의 장조폭 연면 행초서의 작품을 통한 감상과 분석을 시도해 보았다. 이것은 그의 예술사상과 심미관을 형성하게 된 배경을 알기 위한 기초작업으로 필수적이라 생각된다. 제 5장에서는 왕탁 서예에 대한 평가 및 후대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제 6장에 결론으로서 얻은 것은 주로 연면·변형에 대해서 객관성을 나타낼 수 있다는 것으로, 즉 이치에 맞는 문자의 연속적인 변형을 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글씨를 써내려 가다가 먹을 다시 묻혀 쓰는 것과 章法面에서 行間과 字間의 아름다움을 왕탁의 서법예술에서 촉진 시켰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Wangtak(1592-1652) was one of famous calligraphers in the romantic school during the end Ming-dynasty & the early Ching-dynasty, when Yonmyunhaengchoseo (連錦行草書 one of very cursive styles of writing Chinese characters) swayed the time. Even though he showed a more noticeable individualityin the area of calligraphy than any other calligraphers who worked at that time. He was accused of a moral defect that hw worked for both Ming-dynasty and Ching-dynasty, and he was not approved but underestimated with a biased view. Wangtak's calligraphical style, Yonmyunhaengchoseo (連錦行草書)had a great effect on the calligraphy schools of Japan, furthermore, he was respected by many Japanese calligraphers. After the second world war(19451, there was a big enthusiasm t o study and follow Wangtak's style in Japanese calligraphy schools, which have grown as a main stream showing a great influence at the present years. Also, in the western part of China, Wangtak's calligraphical style is being paid a great attention to by new followers, which has never been a phenomenon before; his style is called "Sinpilwangtak (神筆王鐸 ), "Hoowangseungjeonwang (後王勝前王) ", and the young generation and the generation of middle age are following his style and forming a new trend called "fever of Wangtak (王鐸熱)". This study tried to examine his works done in Jangchopok(長?),out of all works in Yonmyunhaengchoseo (連錦行草書), the quintessence ofWangtak's calligraphical art, focusing on appreciation of works and analysis on beauty of characters(書美). This study consists of six chapters; the first chapter is a introduction, the second chapter examined Wangtak's life, historical background of his calligraphy, the process of his studying and mastering calligraphy, his family, a s well a s general circumstances of his life a s an official, in addition, his view of studies and calligraphy(學書觀) and associates were checked up. The third chapter discussed t h e main topic of this study; the beauty of characters written by Wangtak was analyzed, and demonstrated with illustrations of his plates a s supporting evidences. Then, his. work-attitude emphasizing sensuous view based on appreciation of works in Jangchopok (長條福) was examined. Particularly, his technique connecting line smoothly (蓮綿技法) was explained with demonstrative examples. The fourth chapter tried to appreciate and analyze his works through his works by Jangchopok Yonmyunhaengchsseo (長條福 蓮綿行草書). It is a fundamental job to know the background that formed his artistic idea and esthetical view. The fifth chapter focuses on evaluating Wangtak' calligraphy and his influences upon the next generations. The sixth chapter resulted in a conclusion that his smooth connection and transformation present objectivity, in other words, his writings can change successively according with the principles. Also, the final conclusion is that Wangtak developed and promoted new calligraphical techniques of re-dipping the brush in the Chinese ink while writing, or creating beauty of space between lines, which shows a very romantic side, particularly in his writings' forms and appearances. The meaning of 長條福 蓮綿行草書 is 'cursive calligraphy with long length, wide width, and smooth connection'. The meaning of 神筆王鐸 is 'the God's paint brush and king's studies. The meaning of 後王勝前王 is 'the following king is superior to thepreceding k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