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소기업CEO의 경영컨설팅인식에 미치는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이정출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4367

        기존의 선행연구가 대부분 중소기업의 컨설팅 필요성, 경영컨설팅 서비스 품질척도, 컨설팅 성과와의 관계에 집중되어 있었고, 중소기업 경영컨설팅 분야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논문과 자료가 많이 없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국내 중소기업 CEO들이 경영컨설팅인식에 미치는 영향이 어느 정도 있는지 살펴보고, 이를 통해 중소기업 컨설팅인식에 미치는 결정 요인이 무엇인지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개념들을 포함한 설문지를 작성하여 오프라인과 온라인으로 2009년 10월 1일부터 10월 30일까지 중소기업 CEO 대상으로 152부를 표본으로 채택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기존 선행연구와 실무적인 인터뷰에 의하여 경영컨설팅 인식에 미치는 주요요인은 경영컨설팅 경험여부와 만족도, 시장지향성(marker orientation), 자신감, 자기 효능감(seif efficacy), Miles and Snow 전략 유형 등으로 다음과 같이 요약 될 수 있다. 첫째, 경영컨설팅 경험자와 비경험자 간에 차이가 경영컨설팅 인식이 높음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컨설팅 경험자 중에서 만족도가 높은 그룹이 만족도가 낮은 그룹보다 경영컨설팅인식을 높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장지향성, 자신감,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경영컨설팅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마일즈 스노우의 전략적 분류는 그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중소기업의 특성 때문에 절대적인 영향의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을 가능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시장지향성과 자기효능감이 경영컨설팅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아울러 기업의 전략유형이 이들 관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의 상호 상관관계를 종합적으로 고려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소기업이 경영컨설팅인식에 중점을 두어야 할 특징을 밝히고 시장지향성 및 자기 효능감등이 경영컨설팅 인식에 주요 역할을 함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Previous research studies on consulting subjects have focused on mostly consulting needs, business consulting service quality measures, and the effect of consulting of small and medium business. There are not many studies available regarding business consulting for small and medium businesses.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studying and suggesting determinants of management consulting perception for small and medium business CEOs. A survey was conducted to 152 CEOs of small and medium businesses using online and offline survey metho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interviews, the major determinants of management consulting perception can be summarized as experience of business consulting and satisfactory level, market orientation, confidence, self efficacy, Miles and Snow strategic orientations. The research results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findings. First, there was almost no difference for recognizing business consulting needs between CEOs with and without business consulting experience. However, CEOs who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previous consulting results tend to recognize business consulting needs more than CEOs with low satisfaction. Second, CEOs tend to recognize business consulting needs more when they have more market orientation, confidence and self-efficacy. Third, Miles and Snow’s strategic categorization did not lead to any difference contradictory to the findings of previous research studies. This study investigated how market orientation and self-efficacy influence business consulting needs and also if a businesses’ strategic orientaion affect the consulting needs. determinants and how their interaction should be considered. Clearly, even for small and medium business, market orientation and self-efficacy paly important roles in determining consulting decision. Miles and Snow's strategic orientation has been widely used for strategic decision making. However, for our samples, it does not work well. Therefore, this study shows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size of business when we apply strategic orientation.

      • e스포츠 비즈니스의 주요 성공요인과 이용에 관한 실증연구

        이경진 영남대학교 경영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435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n overview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e-sports business at a crucial point in the era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That is, an investigation was conducted surrounding the key success factors of e-sports as a newly growing industr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ey success factors and the usage effect. In order to do this, the key success factors were extracted from interviews with e-sports experts in conjunction with a survey that was conducted to gather empirical data. The key points of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the success factors of a policy do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usage, and there is no direct relationship between policy issues related to the demonstration effect and the e-sports business. Second, some administrative success factors of the e-sports business include the distribution of e-sports in the form of franchise chain,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to prevent the excellent members of e-sports from seceding, making a good impression as a high-class sport, the frequent notice of the break­even point, and educating people on how to use the e-sports machine. Third,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excellent e-sports software was analyzed as a technical success factor of the e-sports business. Finally, there is no doubt that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facilitate the growth of the e-sports business as a new industry related to the IT industry. e스포츠가 비즈니스의 영역에서 21세기 지식정보화 사회로 편입되는 중요한 시점에서 e스포츠의 시장 환경과 규모, 산업구조와 특징들을 고찰해 보았다. 이러한 배경에 기반하여 e스포츠가 새로운 신산업으로 도약하기 위한 주요성공요인으로는 어떤 요인이 있고, 이러한 성공요인과 이용효과와는 어떤 연관 관계가 있는지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e스포츠 비즈니스에 관련된 문헌연구와 주요성공사례 분석에 기반하여 e스포츠 비즈니스를 운영중인 기업체 대표와, 전문가들의 인터뷰를 통해 주요성공요인을 새롭게 도출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통계분석 결과에서 나타난 핵심사항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책적 성공요인은 이용효과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 주도로 시행되는 전시행정적인 측면에서 실적위주의 정책들은 인위적인 요소들로서 e스포츠 이용효과와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관리적 성공요인으로서는 프랜차이즈 체인점 형태의 e스포츠 유통망 확대, e스포츠 우량회원의 이탈방지, e스포츠의 고급 브랜드 이미지 확산, e스포츠 비즈니스의 짧은 손익분기점 홍보와 e스포츠 기기 조작법 교육과 같은 항목이 주요성공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우수 e스포츠 S/W개발 및 보급, e스포츠 관련 기술교육등이 기술적 성공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실증분석된 결과는 e스포츠가 새로운 유망산업으로 도약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E-learning에서 상호작용성이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신병호 경희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234335

        21세기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정보기술의 발전과 인터넷의 확산은 비즈니스를 혁신적으로 변화시키고, e-learning으로 대변되는 교육 패러다임 자체를 변화시키고 있다. 선진 각국들은 이미 e-learning 산업을 국가역량 및 산업경쟁력 강화에 매우 중요한 고부가가치의 지식산업으로 인식하고, e-learning 시장에 큰 관심을 갖고 산업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이와 같은 환경에서, 최근 e-learning 산업이 급성장함에 따라, 정보기술, 교육공학 분야를 중심으로 e-learning이 많이 연구되어 왔지만, 앞으로는 경영학 분야에서 연구가 더욱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e-learning에서 상호작용성(interactivity)이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실증 연구하는 것이다. 연구는 먼저 문헌연구를 통하여 e-learning의 상호작용성 구성요인을 사용자 통제, 반응성, 개인화, 연결성의 4가지를 확인하였다. 연구모형은 정보기술의 수용 및 채택에 대하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모델인 기술수용모델(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을 적용하여 개발하였다. 이 모형에서 TAM은 지각된 재미를 신념변수로 추가하여 일부 수정되었으며, 상호작용성 구성요인들은 TAM의 외부변수로 하였다. 실증연구는 e-learning 사이트를 사용한 경험이 있는 318명의 학생 및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SPSS windows 12.0과 AMOS 5.0을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된 사용자 통제는 지각된 유용성(perceived usefulness)에, 지각된 반응성은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사용용이성(perceived ease of use)에, 지각된 개인화는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재미(perceived playfulness)에 각각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호작용성 구성요인들은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용이성, 지각된 재미를 매개로 하여 사용의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각된 개인화는 상호작용성 구성요인 중에 가장 중요하며, 사용의도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재미는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용이성, 그리고 사용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요인인 것이 실증되었다. 즉, 지각된 재미는 지각된 개인화에 대한 매개 역할 뿐만 아니라, 사용의도에 직접 및 간접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TAM의 주요 변수들의 관계가 모두 유의한 것으로 실증되었다. 즉, 지각된 사용용이성이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의도에, 지각된 유용성은 사용의도에 각각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TAM이 e-learning에서 적용 가능한 유용한 모델임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 e-learning 사이트의 사용의도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4가지 요인은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재미, 지각된 개인화, 지각된 사용용이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e-learning과 관련이 있는 조직들에게 상호작용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e-learning에서 개인화, 재미, 유용성, 사용용이성이 왜 중요한지, 그리고 상호작용성을 제고시키기 위하여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대하여 이론 및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끝으로 우리나라의 향후 e-learning과 관련 산업의 발전을 위하여 두 가지의 정책적인 제안을 하고자 한다. 첫째, 정부는 e-learning을 통해 교육개혁을 실현하고, 국가경쟁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국가정책 목표를 “세계 최고수준의 e-learning 국가가 되는 것”에 두고 이것을 국가전략 차원에서 추진할 것을 제안한다. 둘째, 정부는 e-learning과 관련 산업을 국가전략 차원에서 추진하기 위하여 대통령이 업무를 직접 관장해서 강력하게 추진하고, 국방부는 미래전쟁전략 구현 및 군 인적자원개발을 위해 e-learning의 발전에 적극 참여할 것을 제안한다. In the information knowledge based society of the 21st century,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spreading of Internet have changed the aspects of business space innovatively and is reforming a paradigm of education itself called e-learning. Advanced countries have alread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e-learning business as a high-value added knowledge industry, which can strengthen the national competence and industrial competitiveness. They have been focusing on e-learning market and have expanded its areas. Recently, as the e-learning industry rapidly developed, e-learning has been studied especially in the field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education engineering, however, more focus in the field of business administration is nee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s of interactivity on intention to use in e-learning. At first, through literature study, this research confirmed that the components of interactivity are user control, responsiveness, personalization, and connectedness. This research appli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which is the most widely used model in acceptance and adop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this model, TAM is slightly modified by adopting perceived playfulness as the belief variable and the components of perceived interactivity as the exogenous variable. The empirical study has conducted a survey from 318 students and office workers, who have experiences in using e-learning sites, then analyzed the collected data by using SPSS windows 12.0 and AMOS 5.0. The significant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research has shown that perceived user control has a positive influence on perceived usefulness(PU), perceived responsiveness on PU and perceived ease of use (PEOU), and perceived personalization on PU and perceived playfulness(PP). Secondly, the components of interactivity have an indirect effect on intention to use with PU, PEOU and PP acting as an intermediary. Especially, perceived personalization was proven to be the most important component of interactivity and has a very significant indirect influence on intention to use. Thirdly, PP has direct influence on PU and PEOU and is also an important component influencing intention to use directly. In other words, PP does not only act as an intermediary for perceived personalization, but also has a very significant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on intention to use. Fourthly, the relation between PEOU and PU, the main variables of TAM, the relation between PEOU and intention to use, and the relation between PU and intention to use have shown that they have a significant connection between them, respectively. This means that TAM is a very useful model, which can be also applied in studying the field of e-learning. Fifthly, the major four factors that influence intention to use in e-learning sites are PU, PP, perceived personalization, and PEOU.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interactivity to the e-learning related organizations and provided manageri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of why personalization, playfulness and usefulness are important in e-learning and what one should do in order to promote interactivity. Lastly, we would like to propose two policie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Korean e-learning industry. Firstly, in order to reform the education system and reinforce national competitiveness through e-learning, the government should set an objective of national policy to be "the best e-learning nation in the world" and promote them at the national strategic level. Secondly, in order to promote the e-learning and related industry at the national strategic level, the president should directly control and strongly promote the project. Also,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should actively participate in e-learning development for future warfare strategy and military personnel resource development.

      • 소비자의 독특성 욕구와 인지 욕구가 중소기업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 및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명근 서울産業大學校 産業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34335

        소비자들의 제품이나 브랜드의 구매를 위한 의사 결정은 개인의 특성에 따라 그 형태를 달리한다. 따라서 각 개인의 다른 특성이 제품의 구매와 브랜드에 대한 선호에 있어서도 유 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는 많은 연구자들의 끊임없는 관심의 대상이 된지 오래이다. 그러나 이러한 개인적 특성이 대기업 대비경쟁 열위에 있는 중소기업의 제품 및 브랜드에 호의적인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개인 특성 변수인 독특성 욕구와 인지 욕구의 높고 낮음에 따라 중소기업 브랜드에 대한 태도 및 구매 의도, 선호도에 있어 차이가 있는지 알아 보고자 한다. 즉, 독특성 욕구가 높은 집단의 경우 자신의 독특함을 표현할 수 있는 제품이라면 그것이 중소기업 브랜드라도 구매 의도나 선호도가 높을 것이며 인지 욕구가 높은 집단에서는 제품의 물리적 속성이나 기능적 편익 등에 대한 복잡한 사전 정보 탐색 과정을 거침으로 해서 품질과 기능에 있어 문제가 없다면 중소기업 브랜드에 대한 구매 의도와 선호도가 역시 높을 것이라 추측할 수 있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에서 사용된 독특성 욕구와 인지 욕구 척도를 이용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 독특성 욕구와 인지 욕구 성향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을 구분하였다. 이러한 집단의 구분을 통해 전체 중소기업 브랜드에 대한 태도와 개별 중소기업 브랜드의 구매 의도, 선호도를 측정하였다. 측정에 사용된 중소기업 브랜드는 현재 중소기업의 시장참여가 활발한 지갑/벨트, 구두, 가구 세 제품 군의 개별 브랜드를 통해 조사하였으며 이를 통해 소비자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중소기업 브랜드에 대한 태도에 있어 차이가 있는지를 집단 간 t-test를 통해 실증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독특성 욕구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중소기업 브랜드에 대한 구매 의도가 지갑/벨트, 구두, 가구 세 제품 군 모두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선호도에 있어서는 조사 대상 브랜드 모두에서 유의한 결과가 나왔다. 선호도 조사에서는 단순 브랜드 선호가 아닌 각 브랜드 마다 5가지 속성 조합을 통해 조사를 하여 측정한 결과이다. 마지막으로 개별 중소기업 브랜드가 아닌 전체 중소기업 브랜드에 대한 태도를 물어본 결과 4개의 하위 요인 중 품질인식과 지원 의도에서 독특성 욕구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더 호의적임이 밝혀졌다. 이는 개별 브랜드에 대한 언급이 없이 전체 중소기업에 대한 태도를 물어본 결과로써 아직까지 중소기업에 대한 전반적 태도가 대기업 또는 유명 개별 브랜드에 비해 호의적이지 못함을 시사하고 있다. 두 번째, 인지 욕구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에서의 중소기업 브랜드에 대한 구매 의도와 선호도 등에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나 지갑/벨트제품 군과 가구 제품 군에서 인지 욕구가 낮은 집단에서 대기업(유명) 브랜드에 대한 구매 의도와 선호도가 더 높게 나와 직접적 가설의 지지는 이뤄지지 않았으나 타인 의존적이며 복잡한 사전 인지 과정 없이 일반적으로 유명하거나 대중적인 브랜드를 선호하는 인지 욕구가 낮은 집단의 성향이 본 연구를 통해 다시금 입증 되어 인지 욕구가 높은 집단에서 낮은 집단 보다 중소기업 브랜드에 대한 태도가 더 높을 것임을 간접적으로 보여주었다. 또한 전체 중소기업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도 4개의 하위 요인 중 중소기업 지원의도에서만 유의한 결과가 나와 전체 중소기업 브랜드에 대한 조사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게 발생하지 않았다. As the consumers' decision-making over purchase of certain products or brands is differentiated by their personalities, whether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consumer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urchase of products and the brand preference has long been the research topic among researchers. However, it is hard to find out studies about whether the unique characteristics have a favorable influence on the products and brands of medium-and-small businesses, which are relatively in the lower position in a competition with conglomerates. So, the present study intends to examine if the degrees of need for uniqueness and need for cognition, which are consumers' personality variables, differentiate the consumers' attitude toward, purchase intention of and preference for medium-and-small business brands. It was assumed by the present study that the consumer group with higher degree of need for uniqueness would show more purchase intention of and higher preference for even medium-and-small business brands if the products could express their uniqueness, and that the consumer group with higher degree of need for cognition would show more purchase intention of and higher preference for medium-and-small business brands if no errors were found in the qualities and functions of the products after the complicated preliminary research into physical properties and functional benefits of the products.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es, the present study firstly conducted a survey using the criteria of need for uniqueness and need for cognition that were employed in the previous studies, and divided the subjects into two groups, a group with higher need for uniqueness and a group with lower need for uniqueness, and again into two groups, a group with higher need for cognition or a group with lower need for cognition. Then, for each group, the attitude toward overall medium-and-small business brands was measured as well as the purchase intention of and the preference for particular medium-and-small businesses. The particular medium-and-small business brands listed in the survey were for products of wallets & belts, shoes and furniture in which medium-and-small businesses are actively involved, and t-test were employed between groups in order to see if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ttitude toward medium-and-small business brands according to the consumers' personality. The major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group with higher need for uniqueness showed more purchase intention of small-and-middle business brands in all products of wallets & belts, shoes and furniture compared with the group with lower need for uniqueness. In the case of wallets & belts, although only two brands out of the four listed in the survey showed significant results, it seems reasonable to consider the hypothesis supported, given that the other two brands could be regarded as famous brands because they obtained the highest mark in actual brand awareness. Regarding the preference, all the brands listed in the survey showed significant results. The results were obtained by examining each brand through the combination of its five properties not by measuring simple preference for the brand. With regard to the attitude toward overall medium-and-small business brands, the group with higher need for uniqueness was found more favorable to the quality recognition and the intention to support, which are two sub-factors out of all four in the survey, compared with the group with lower need for uniqueness. Since the question about the overall medium-and-small businesses was given without referring to particular medium-and-small business brands, the answers suggest that the overall attitude toward the medium-and-small business brands is not favorable than the one toward conglomerates or particular famous brands. Second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urchase intention of and the preference for medium-and-small business brands between the group with higher need for cognition and the group with lower need for cognition. However, in the case of the products of wallets & belts and furniture, the group with lower need for cognition showed more purchase intention of and preference for conglomerate and famous brands. This proved the tendency of the consumer group with lower need for cognition, which is being dependent on others and preference for famous or popular brands without complicated preliminary research process, and indirectly indicated that the group with higher need for cognition would have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medium-and-small business brands than the group with lower need for cognition. In ad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attitude toward overall medium-and-small business brands, with significant results from only the intention to support medium-and-small businesses out of four sub-factors.

      • AHP를 이용한 중·고등학생의 이러닝 콘텐츠 구매 요인 간의 중요도 연구

        이명주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4335

        E-learning has changed the paradigm of education and been spreading very quickly. Especially, the e-learning use rate in secondary school students is about half as much again as general users and is still growing and growing. This higher user rate and the huge financial success of Megastudy lead many competitors to join the e-learning business fields. However, even in these highly competitive e-learning business environment,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these subjects. In this study, I was interested in the investigation of factors that secondary school students consider when they choose e-learning providers and in finding out that how do these factors influence on the customer satisfactions. In particular, in oder to derive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se factors in choice situation, I use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in which emphasizes hierachical structures. Since AHP uses hierachical structure, I use three factors such as reputation, interaction, and sales promotion at the higher level. These three factors are the major influences on the choice of a provider. At the lower level, reputation is divided into lecturer, reputations of textbook, site, and operator. Comments on class, sample lecture, recommendation of bulletin boards are the components of interaction. Sales promotion includes mileage offering, discount, the payment of outside gift card, and free gift as sub-structure components. In this study, I made questionnaire about these relevant concepts and conducted surveys using 275 respondents. Since the consistency of relative importance factors is most important criteria, I use 146 respondents for obtaining the weight using Expert Choice AHP program. The results show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the choice of e-learning is reputation, followed by interaction, and sales promotion. At the lower level, lecturer's reputation, recommendation by friend, the reputation of textbook, free gift, sample lecture, comments on class, the reputation of site, discount, recommendation by bulletin board, the reputation of operator, the payment of outside gift card, mileage, recommendation by consultant are ranked in terms of the degree of importance. When it comes to satisfaction measures using Likert 7-point scale by consumption factors, the order of importance is as follows: reputation, interaction, and sales promotion. However, the order of importance is different from that of higher level when it comes to buying situation. Satisfaction of comments on class is the highest, followed by the reputation of lecturer, sample lecture, the reputation of site, recommendation by friend, the reputation of textbook, recommendation by bulletin board, the reputation of operator, recommendation by consultant, mileage, free gift, the payment of outside gift card. Meanwhile, the order of factors: the reputation of lecturer, the reputation of site, sample lecture, recommendation by friend, mileage vari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future buying factors might arise. This study will be very helpful for e-learning businesses to understand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purchasing factors. As shown in the results, weights derived based on the hierachical structure is not the same as those without pre-determined structure. Therefore, it shows that practitioners should make efforts to gain insights on the consumer decision process and underlying theoretical meanings. 이러닝이 교육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며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중·고등학생의 이러닝 이용은 전체 이용자에 비하여 약 1.5배 높은 이용률을 보이며 더욱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높은 이용률과 선도 업체 메가스터디의 대대적인 성공에 힘입어 여러 업체에서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이러닝 사업을 펼치고 있으며, 각 업체들은 시장을 선점·확대하기 위하여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치열한 시장 환경에도 불구하고, 중·고등학생의 이러닝 이용에 관한 마케팅 관점에서의 연구는 크게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고등학생만을 대상으로, 이들이 이러닝 콘텐츠를 구매할 때 고려하는 요인을 알아보고, 요인 간의 중요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이들 요인이 만족도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요인 간의 중요도 측정에는 의사결정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요인을 계층적으로 분류한 후, 각 요인들을 쌍대비교하여 가중치를 산출하는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를 이용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하여 이러닝 콘텐츠를 구매할 때 고려하는 요인으로 명성, 상호작용, 판매촉진의 3개 요인을 추출하여 AHP의 계층1에 배치하였다. AHP의 계층2는 세부항목으로서, 명성의 세부항목으로 강사의 명성, 교재의 명성, 사이트의 명성, 운영기업의 명성을 추출하였고, 상호작용의 세부항목으로 수강평, 샘플강의, 게시판에서의 추천, 친구의 추천, 상담원의 추천을 추출하였다. 판매촉진에는 마일리지 적립, 할인, 외부 상품권 결제, 사은품 지급을 세부항목으로 추출하였다. 이렇게 계층화된 요인들에 대하여 쌍대비교하는 설문지를 작성하여, 현재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이고 이러닝을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275부 중, 신뢰성이 검증된 146부의 설문지를 대상으로 AHP 분석프로그램인 expert choice를 이용하여 중요도를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중·고등학생이 이러닝 콘텐츠를 구매할 때 고려하는 요인의 중요도는 명성, 상호작용, 판매촉진 순으로 높았다. 세부항목에서는 강사의 명성, 친구의 추천, 교재의 명성, 사은품 지급, 샘플강의, 수강평, 사이트의 명성, 할인, 게시판에서의 추천, 운영기업의 명성, 외부 상품권 결제, 마일리지 적립, 상담원의 추천 순으로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매 요인에 의한 만족도 분석에서는 구매 요인의 중요도와 마찬가지로 명성, 상호작용, 판매촉진 순으로 높았다. 하지만 세부항목에서는 구매 시점의 중요도와는 상이한 결과를 보였는데, 수강평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이어서 강사의 명성, 샘플강의, 사이트의 명성, 친구의 추천, 교재의 명성, 게시판에서의 추천, 운영기업의 명성, 상담원의 추천, 할인, 마일리지 적립, 사은품 지급, 외부 상품권 결제 순으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강사의 명성, 사이트의 명성, 샘플강의, 친구의 추천, 마일리지 적립은 향후구매요인의 有無에 따라서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중·고등학생만을 대상으로 구매 요인의 중요도를 산출함으로써, 이들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에 합리적인 판단 기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기존의 연구들이 구매 요인으로 포괄적이고 추상적인 개념을 이용한 데 반하여, 본 연구는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세부 요인을 추출함으로써 연구 결과를 현업에 바로 적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경영 교육용 기능성 게임의 현황 및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정대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4335

        급속하게 변화하는 경영 환경 속에서 기업들은 단순히 지식이 많은 인재보다 전문성과 합리성을 갖추고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인재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그런데 기존의 전통적인 강의 및 사례 중심의 경영 교육에서는 합리성, 전문성, 창의성을 갖춘 실용적인 인재를 육성하기가 쉽지 않다. 이러한 경영 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체험 중심의 교육, 게임 기반의 교육 등 다양한 교육 방법과 교육도구들이 개발되었으나, 국내의 경영 교육은 이러한 교육 방법이나 교육 도구들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지 못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 국내를 비롯한 해외의 많은 기업 및 대학들이 새로운 경영 교육의 도구로서 경영 교육용 기능성 게임을 주목하고 있다. 경영 교육용 기능성 게임은 개발 목적에 따라 경영 시뮬레이션 게임, 경영 에듀테인먼트 게임, 오락용 경영 게임으로 구분되며, 많은 연구들에서 이러한 세 가지 유형의 경영 교육용 기능성 게임을 활용한 교육이 다른 교육 방법에 비해서 교육 효과가 매우 높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입증하였다. 이에 해외에서는 경영 교육용 기능성 게임을 활용한 교육이 활성화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경영 교육용 기능성 게임에 대한 인식 및 이해가 부족하고, 경영 교육용 기능성 게임이 다양하지 못하며, 게임을 활용한 체계적인 교육 방법이 부족하기 때문에 경영 교육용 기능성 게임을 활용한 교육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국내에서 경영 교육용 기능성 게임 기반의 교육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이들 세 가지 요인들을 해결하기 위한 체계적인 발전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 및 해외의 경영 교육용 기능성 게임들과 개발 방법, 교육 방법, 활용 실태 등의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국내에서 향후 경영 교육용 기능성 게임을 어떻게 활성화시키고 발전시킬지에 대한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 공공기관 지방이전을 활용한 e-산업클러스터 구축방법론에 관한 연구

        원문호 동의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34319

        본 연구는 공공부분의 이전정책의 강도가 수도권의 밀집해소와 지방 경제발전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이것을 위하여 에이전트 기반 지방이전 모형이 구축되었다. 전국을 수도권을 포함해서 4개의 영토로 구분하고 지방이전 모형을 현실세계의 제약사항과 조건들과 유사하게 설정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수도권으로의 순인구 유입률을 감소시키고 지방 경제를 발전시키려는 공공기관 지방이전 정책의 효과가 매우 미미한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지방이전 정책 대신 교육수준의 향상이나 고품질의 지식/기술의 축적과 같은 지방 혁신정책을 사용했을 때 그 효과가 훨씬 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방이전 정책은 지방자치시대와 그 지방의 핵심역량을 위한 장기 전략을 시작하는 상징일 뿐이다. 그 지방의 인구유출을 막고 지역경제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지방 규제개혁, 교육수준의 제고, 고품질의 지식과 기술의 축적이 필수적이다. 지방 혁신정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특정 기업이나 기관의 힘으로는 달성하기 어려우므로 산업차원의 접근이 필요하다. 따라서 산업전체의 힘을 규합할 수 있는 정보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고 본 연구는 이것을 e-산업클러스터로 정의한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정보화라는 특화된 부분을 담당하는 공공기관이 지방이전 정책을 활용하여 지방혁신을 이끌어낼 수 있는 6개의 특화 전략방향을 도출하였다. 그것은 교육정보화 산업정보의 공유, 산업 고유위험에 대한 대비, 유관기관 협업지원, e-마케팅 기능 강화, 가상연구소 운영,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이다. 또 교육정보화 유관기관들과의 인터뷰 결과 6개의 협업과제를 발굴하였는데 그 내용은 지방교육청의 정보화전략 계획수립 컨설팅, 교육정보화정책의 테스트베드 공동운영, 미래학교 시범교실 설치 및 공동운영, 교육정보화 데이터의 제공 및 공동연구 활성화, 교육계 및 학계의 인적교류를 통한 현장지식 및 전문지식 공유, 교원연수 고도화 프로그램의 개발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이렇게 도출된 특화 전략방향과 협업과제를 교육정보화 e-산업클러스터 구축에 반영하기로 하고 여덟 개의 주요 기능을 설계하였다. 그것은 교육정보화 통합 DB구축, 교육정보화 사업지원, 교육정보화 협업지원, e-마켓플레이스, e-마케팅, 교육정보화 인재관리, 가상연구소 ROI분석, 보안 및 프라이버시 분석보고 기능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8개의 기능들을 중심으로 구체적인 입력정보와 프로세스 및 산출기능을 세부적으로 분석하여 설계하고 정보시스템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교육정보화 e-산업클러스터 정보계획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e-산업클러스터의 기본설계가 지방혁신을 이끄는 산업클러스터의 구현과 활성화에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공급사슬망 단계에 따른 그린경영 활동에 관한 연구 : 한국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황호중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4319

        제 목 : 공급망관리 단계에 따른 그린경영 활동에 관한 연구 : 한국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본 연구는 공급망관리(SCM) 단계에 따라 그린경영 활동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한국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증적 연구를 진행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기존문헌 연구에 기초하여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한 후 공급망관리를 활용하고 있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면담조사 및 설문지를 실사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을 발견하였다. 첫째, 중소기업의 그린경영에 대한 인식이 그린경영 활동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그 행동은 기업 안에서 실천할 수 있는 그린경영 활동이던지 그린경영을 계획하고 정책을 만드는 장기적 행동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중소기업의 그린SCM의 프로세스별 활동이 상호 연관성이 있는지 분석 하고자 하였으며 분석 결과 그 활동이 같은 범주에 있는 그린 구매활동과 그린 생산 활동은 그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측정 되었고, 또한 유통 물류 활동에 있어서 수배송과 재사용, 물류활동과 재사용 그리고 물류활동과 수배송 활동에도 그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같은 범주에 속한 활동끼리 그 연관성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중소기업의 회사의 위치 즉 구매, 생산에 가까운 활동을 하는 기업과 유통 물류 활동을 하는 기업이 그린SCM 활동별 차이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분석 하였으며, 분석 결과 중소기업의 활동이 구매, 생산 등의 제조 활동을 하는 기업 보다는 유통, 물류, 수배송 등의 활동을 하는 기업들이 좀 더 그린 SCM활동을 보다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는 것을 확인 하였으며, 구매, 제조의 생산 활동 보다는 물류, 재사용, 수배송 활동 등의 유통 활동에서 그린SCM 활동이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확인 하였다. 이는 중소기업들이 제품의 생산을 위한 단계 보다는 유통하고 수배송 하는 부분에서 그린 경영에 대한 압력을 보다 많이 받고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 성장정체 기업의 특성에 관한 연구

        양희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34319

        A study on domestic venture companies has been discussed since the early 1980s but revitalization of the venture boom could be begun only after 1998 According to the Small &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domestic venture company was started from 304 companies in 1998 and at the end of July 2010. Its figure was increased rapidly to 21,731. in connection with this numerical rapid growth of venture businesses, a study on venture companies is also conducted diversely. Especially with regard to Venture Success Factors, programatic researches to draw out successful features of venture firms has been discussed through many approaches based an empirical study. However according to the study by Lee Jang-woo and Lee Sung-hun professor in 2002, in reality, there are more venture businesses that have failed or have been barely maintaining the current status than those that succeed stay in the market. In the US. even though the survival rate of venture business supported by venture capital is 65 to 85 percent, 20% of those ventures failed to provide adequate revenue. According to the Small &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survey in 2007, 10% of the domestic venture companies responded that they are stagnant ventures themselves. This paper deals with failure factors of stagnant or failed ventures in Korea.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s to deriv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venture business failure compare to features of unsuccessful or stagnant ventures for those of highly growing venture firm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ree aspects. firstly, it helps academic field by providing factors of the growth congestion. Based on this, it is affordable to contribute various areas substantially by providing strategic direction for the second contribution. Finally, by suggesting a promotion policy for venture enterprises at a stagnant period, this research aims for supporting suffered ventures from poor conditions. In this study, all small and medium firms are classified as stagnant businesses and non-stagnant businesses according to the company's financial information. In order to collect the company's financial information, 310 target ones listed companies in KOSDAQ of 13731 firms conducted venture census in 2008 were selected. Of all these sample firms, excluding 20 venture companies that haven't not yet been officially released accurate financial information, a total of 290 sample data were analyzed. As a result, 107 stagnant business and 183 non-stagnant busines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SPSS statistical programs with T test. This research consists of precedent study's review ;literature review, and empirical analysis. First of all, in the literature Review,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venture business is analyzed. Secondly, the status and stagnation growth of venture firms has been discussed. Next, the theories and characteristics of growth stage of venture business are investigated. Finally, literature review is researched as precedent study on growth trends and growth stagnant causes. On the basis of literature review, the empirical analysis was performed as focusing 3 major characteristics. To begin with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ompanies,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three kinds (corporate history, export share, employees) are discussed. Also for financial characteristics, return on equity and return on assets were used as an indicator of profitability. Additionally, total asset turnover and inventory turnover indices are chosen as the activity time. Finally, the absorption ability of companies between stagnant businesses and non-stagnant businesses is compared by analyzing how long it takes to be listed on KOSDAQ and R&D to sales ratio.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growing stagnation is determined by the company's age, return on equity (ROE), return on assets(ROA), and how long it takes to be listed on KOSDAQ. 1997년 10월 정부에서는 “벤처기업의 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을 제정함과 동시에 지속적으로 국가경제에 미치는 영향력과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벤처기업에 대해 창업자금 지원제도, 벤처창업 및 경영관련 여러 컨설팅 사업 등 다양한 지원정책이 지속적으로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벤처붐은 기하학적인 수로 급증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추세에 발맞추어 국내 벤처에 관련된 연구들이 최근 들어 성공요인에 초점이 맞추어져 진행되었으나 현실적인 문제와는 동떨어진 부분이 존재한다. 실제 상황에서는 기업의 성공보다는 실패 혹은 겨우 명맥만 유지하는 경우가 더 많다. 그 주된 이유는 기업의 성공과 성과에만 초점을 맞추어 연구가 활발히 진행이 되었으며, 최근에는 기업의 실패요인에도 눈을 돌리고 있지만 성장의 정체라는 기준의 모호함과 성장 정체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들이나 그 요인들의 연관성에 대한 명확한 규명이 되어 있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정체기에 도태되어 있는 기업을 연구하기 위한 연구모집단의 수를 확보하는 일 자체도 쉽지 않았기 때문이었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정체기업 육성의 중요성에 비추어 성장정체에 영향을 주는 정체요인을 실증적으로 찾아내는 연구는 매우 절실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체기업과 비정체기업간의 차이에서 벤처기업의 성장정체에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국내 벤처기업의 성장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를 기초로 하여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가설에 대한 실증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일반적 특성 중에서 기업나이가 많을수록 성장정체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의 재무적 특성 중에서 수익성 지표로 사용되는 자기자본이익률, 총자산이익률이 낮을수록 성장정체에 영향을 주는 반면, 활동성 지표로 사용되는 총자산회전율, 재고자산회전율은 성장정체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의 흡수능력 중에서 코스닥 상장소요기간이 오래 걸릴수록 성장정체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율이 높다고 하여 기업이 성장을 하는 것은 아니라는 결론을 보였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의 결과가 시사하는 점을 볼 때, 특히 성장정체에 대한 연구가 상당히 부족하고 미흡한 국내 현실을 감안해 볼 때 향후 성장정체의 요인 도출과 정체기업의 재성장에 큰 도움이 되리라 여겨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