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금속표면처리기법의 분석과 시간의 은유적 표현 연구

        김선득 홍익대학교 2005 국내박사

        RANK : 248719

        Craft, according to R.G. Collingwood's aesthetic theory, is a technique, so-called a result of consciously processed work designed for obtaining the goal. Technique means an expected result, that is a 'desired purpose'. This study suggests that technical diversity for the craft expression be needed by means of expanding the craft to the art field. This study is also focused on the possibilities that craft artists in the boundary of the craft could express their creative ideas to the extreme through displaying various experimental specimens. The basic data, measured by various ways of treating metal surface with different time set, is regarded to predict the result of each work without great error, and also classified and specified to anticipate the other variables while working. This study demonstrates the researcher's own work that could be a few examples of taking advantage of metal surface treatment to express the researcher's creativity through metal and non-metal materials. In this sense, it seems to be helpful to comprehend the plastic materials and technical background of the plastic work used in the art. In doing so, abstract idea 'time' is selected as a theme of the work, 'metal surface' is chosen as the material object, and 'metal surface treatment' as the craft technique. This study is mainly focused on how metal surface can serve to express abstract idea 'time' as a part of the whole art form and the systematic research. As a concrete research work, this paper studies traditional metal craft technique. It also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and backgrounds of metal surface treatment technology which is applied by recent technical development. This paper reclassifies and systemizes the metal surface techniques according to the physical,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the techniques that would cause the same results. Then, the actually treated specimens are displayed to expand the practical possibilities of expressing the theme 'time'. To the purpose, this paper looks into the elements of plastic features and their compositions and assemblies for estimating the effectiveness. More than the above, this paper estimates color, frequency, comparison, rhythm, and tune of each technique respectively. It also looks into whether the work could reach for the ideal status ('time' to the researcher). As the additional elements for creative work, technology and practical need are to support an artist's ability to express his or her creativity. Therefore, the whole estimation is added on this study. Next, through the actual art works that show the passage of time visually, the process is explained by describing the metal surface treatment and its relation to the theme 'time'. It will help understand the process of the idea to its form. In order to support the idea above, this paper newly defines the concept of time. In addition, it analyses metal surface treatment technology of domestic and overseas artists, and observes the time which the artists have expressed in there are works, based on the newly classified concept of time. Finally, the status of the metal surface and the image that would cause in the researcher's work are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time as a theme. Time and the images of the works are compared, and the plastic techniques and the materials are assured to be studied as an essential element to develop and expand the field of plastic art. 공예는 콜링우드의 견해를 따르면 기술 즉, 의식적인 목적의 성취를 위한 수단으로부터 산출되는 의식적인 작업의 결과물이다. 기술은 기대하고 있는 결과물, 다시 말해 ‘예상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능하는 것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자는 콜링우드가 이처럼 정의한 예술과 구분되는 공예의 영역을 예술의 영역으로 확장시키는 일환으로 표현의 기술적 다양화를 제시하고자 한다. 공예의 합목적성을 유지하면서도 표현에 있어서의 다양한 실험들을 제시하여 금속공예작가들의 극대화된 상상력을 최대한으로 표현할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취지이다. 금속의 표면을 처리하는 다양한 방법들과 처리시간에 따른 결과들을 객관화시켜 자료로서의 가치를 갖도록 계량화함으로써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으며, 작업도중 일어날 수 있는 다른 변화들도 예측할 수 있도록 실험을 세분화하고 체계화하였다. 더불어 연구자 자신의 작품들을 통해 다양한 금속표면처리의 예와 작품 속에서 금속과 비금속의 조화를 보여줌으로써 재료에 구애받지 않는 작품제작의 실험들을 표현의 수단으로 이용하였다. 본 연구는 관념을 표현하는 조형의 영역을 확대해 보려는 시도의 일환으로, 조형에 활용되는 소재와 기법의 이론적 배경과 특징을 이해하고 숙지하는 것이 조형작업에 얼마나 큰 도움이 되는지를 체계적으로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서 추상적인 개념인 ‘시간’을 조형의 주제로 택하고, 조형의 질료적 대상으로 ‘금속표면’을 택하는 한편, 조형 기법으로 ‘금속표면처리 기술’을 택하였다. 본 연구는 앞서 연구한 주제, 소재, 기법들을 가지고 금속표면처리 기법의 기술적 이론화 작업과 추상관념의 시간을 금속표면에서 어떻게 표현할 수 있는가에 대한 예술작품의 형상화 연구와 체계화에 중점을 두었다. 구체적 연구 작업으로 우선 첫 번째 단계에서 전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전통금속공예기법과 최근의 기술발전에 의해 응용되고 있는 신기술 표면처리기법의 공학적 특성과 배경이론을 연구하였다. 여기에서는 금속표면처리의 기술별로 물리ㆍ화학적 특성을 살펴본 후 지금까지 알려진 금속공예표면처리 기법을 이론적으로 동일한 과정과 결과를 보여주는 금속표면처리 기술별로 재분류하고 이를 체계화하였다. 이어서 금속공예표면처리 기법별로 실제적인 시편제작을 통해 금속표면처리 기법에 잠재해있는 시간 표현 가능성과 그러한 주제를 얼마나 잘 표현해 낼 수 있는지 작품을 통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조형의 효용성을 평가하기 위한 조형적 특성요소를 분류하고 요소별로 구성인자를 정리한 다음 각 표면처리 기법들이 이러한 인자들을 어떻게 조합하고 배열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여기에 덧붙여 각 기법별로 색상부여, 반복 및 대비, 율동 및 계조 등과 같은 시각구성 능력과 표출능력을 점검하여 금속 조형이 추구하는 관념(본 연구자에게는 '시간')의 지평을 넓힐 수 있는지 여부도 평가하였다. 아울러 조형작업의 창의적 활동 지원요소로서 조형형태를 용이하게 해주는 인자이자 표현능력을 뒷받침해주는 기술성, 실용적 필요를 만족시켜줄 수 있는 재료 확보 및 작업 용이성, 창의적 조형 발상을 실현시킬 수 있는 기능성을 평가하여 봄으로써 각 기법들의 전체적인 조형성 정도를 종합평가하였다. 다음으로 시간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실제 작품을 통해 추상적 개념인 시간을 표면처리한 금속으로 형상화하는 과정을 서술하여 작품의 기술과 내용을 연관시켜 봄으로써 조형에서 추구하는 관념의 형체화(形體化)에 기여하는 금속표면처리의 위상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시간의 개념을 새로이 정의하고 세분류하는 한편 국내외 작가의 실제 작품을 선택하여 작품제작에 동원된 표면처리 기법을 분석하고 작품 속에 표현된 시간들을 새로이 분류된 시간의 각도에서 관찰하고 그 의미를 재해석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실제 연구 작품을 제작하여 연구 전 과정을 걸쳐 살펴본 이론과 시간에 대한 조형적 해석을 적용하고 비교하여 봄으로써 금속표면상태와 그에 따른 구체화된 이미지가 시간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를 제시하였다. 또한 조형기법의 공학적 이론 및 소재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가 조형영역을 확장하고 발전시키는데 필수적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 얇은 금속을 이용한 식물 표현

        김선영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19

        식물은 인간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으며 인간이 의식주를 해결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인간의 삶이 윤택해지자 사람들은 삶을 영위하기 위한 식물이 아니라 아름답기 때문에 소유하고 싶은 미적인 대상으로 보았으며 식물과 식물 사이에 어떤 연관성이 존재하는가에 대한 학문적 관심을 가졌다. 즉 생활기반을 다지기 위한 식물로서만이 아니라 학문적 관심과 예술적 영감의 대상으로 인간의 미의식과 예술의식에 비유적 또는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며 중요한 소재가 되었다. 인간의 창의적인 활동인 예술에 있어서도 식물의 외적인 아름다움뿐만 아니라 내적 가치를 부여하며 식물의 이미지를 재현하고 표현해 갔다. 현대의 공예가들은 도구를 다루는 손의 섬세한 능력과 인간의 상상력을 통해 나올 수 있는 독특한 형태를 만들고자 노력한다. 생활공간에서 필요한 소품에서부터 인간의 몸에 착용되는 장신구까지 다양한 공예품을 통해 자신의 경험과 감정을 예술적으로 표현해가고 있다. 현대 공예가들은 쓰임과 형태에 따라 재료의 선택의 폭을 확장해 가고 있으며 또한 다양한 재료들이 사용되고 있는 만큼 재료를 다루는 방법도 새롭게 해석해 나가고 있다. 따라서 재료의 선택과 기법은 작가의 정체성을 찾는 것과 연결되어 공예가들에게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금속은 충격에 의해 견고성을 가지며 섬세한 작업이 가능한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갖춘, 금속공예가들에겐 자신을 표현하는데 가장 중요한 재료이다. 학부 때부터 금속의 물리적 성격과 미적 조형성에 대해 공부한 나는 금속의 다양한 물성들을 숙지할 수 있는 시간을 통해 익힌 숙련된 기술을 바탕으로 금속을 다루는 나만의 방법을 모색하여 작업으로 연결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는 연약하여 쉽게 훼손되는 여린 식물이지만 생명의 번식과 변화를 추구하는 강한 생명력이 함축되어있는 자연 속의 식물에서 영감을 받아 장신구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식물의 성격은 유연하고 구부러지기 쉬운 얇은 금속의 성격과 유사하다. 얇은 금속은 그 자체로 힘이 다소 부족하지만 가공을 통해 강도를 증가 시킬 수 있으며, 이는 연약한 식물 속에 존재하는 생명의 강인함을 상징적으로 담고 있으며 더 나아가 얇은 금속판은 다양한 질감을 표현하기에 유리하다고 생각했다. 이를 표현하기 위해 0.3mm 이하의 얇은 금속을 이용해 주로 판금작업을 통해 표현하였다. 식물이 가진 자연스러운 곡선과 양감을 망치성형을 통해 표현하고 여러 형태의 정을 이용한 가늘고 그물 같은 복잡한 식물의 잎맥과 마치 확대된 표면 같은 질감을 반복하여 식물의 연약함 속에 잠재하는 생명의 강인함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또한 잎이나 줄기의 유기적인 형태의 중첩을 통해 생태적 형상을 재구성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비교적 크기에 제한이 없고 가벼운 장신구로 표현이 가능하였다. 충격에 의해 단단한 물성을 갖게 되는 금속판을 통해 표현된 식물을 사람의 몸에 착용되어 하나의 예술로 승화되는 작은 조형물인 장신구로 제작하고자 하였다. 작업을 통해 착용자와 관람자가 금속의 다양한 변형의 가능성을 흥미롭게 바라보길 기대하며 더불어 거친 자연에서 자라는 식물의 연약함 속에 존재하는 견고한 생명체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기를 희망한다.

      • 금속과 옻칠을 혼용(混用)한 장신구 연구

        정정은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19

        현대 장신구는 착용자의 치장 욕구 해소와 작품을 제작하는 작가의 표현 욕구를 모두 충족시키고자 한다. 기존의 일반적인 장신구 재료인 금속과 함께 개성을 살릴 수 있는 다양한 재료의 혼용으로 새로운 장신구가 속속 나타나고 있듯 장신구는 사회의 흐름에 따라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으로 볼 때 옻칠은 기존과 차별화된 장신구를 제작하기 적합한 재료라 할 수 있다. 옻칠의 풍부한 색감과 장식기법과 함께 금태칠(金胎漆)기법, 여러 형태로 가공한 금속 재료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금속과의 결합을 시도하였다. 또한 선행연구를 통해 시행착오를 겪었던 옻칠 개체와 금속 개체를 접합하는 방법을 해결함으로 새로운 조형성을 얻을 수 있었다. 그 결과 곡선미의 형태를 중심으로 총 7점의 작품을 브로치(Broach), 펜던트(Pendant), 반지(Ring) 세 가지 품목으로 전개하였다. 본 연구는 장신구 개념의 변화에 따라 장신구 제작에 있어, 일반적인 재료인 금속과 다른 공예재료의 결합에서 얻을 수 있는 다양한 효과를 창출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장신구에 있어 재료의 혼용에서 오는 장점을 알고, 금속에 옻칠을 다양한 방법으로 혼용하여 나타나는 조형적 표현의 가능성을 제시, 기존과 차별화된 현대적이고 세련된 장신구를 제작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옻칠을 장신구의 재료로 사용하여 나타나는 장점을 통해 보다 대중적이고 친근한 장신구 재료로 옻칠의 사용 범위를 넓히는데 목적이 있다. 금속과 옻칠이 결합된 장신구 개발이 현대인들이 추구하는 자신의 개성을 표출하는 장신구로의 발전을 기대하며, 장신구의 재료로 옻칠을 사용하여 옻칠의 사용범위를 확장하고 시장 활성화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Modern ornaments try to meet both the desire dissolution of a wearer's adornment and a creator's desires to express him[her]self. Like new assortments of ornaments are appearing one after another with the mix of diverse materials that can make the most of personality together with the existing ornamental material-metal, ornaments are demanding changes in accordance with the social stream. Viewed as such phenomena, Ottchil is a kind of material suited for making ornaments distinct from the previous ones. This researcher attempted at the combination with metal using a technique of varnishing metal with Ottchil and processed metallic materials in diverse forms, Together with the impression of a color and decorative technique of Ottchil. In addition, this researcher could get a new design characteristic by finding a solution to the method of connecting the individual for Ottchil with the metallic individual, which made the precedent research works undergo trial and error. As a result, centering on curvaceous forms, this research developed the three items-a broach, pendant and ring. This research, in the making of ornaments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concept of ornaments, took a look at a variety of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from the combination of crafts materials different from general metallic materials. In such wise, being aware of the merit from the mix of materials in ornaments, and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design representation appearing by mixing the Ottchil with metal in diverse ways, this researcher is going to create modern and refined ornaments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ones. Furthermore, this research is aimed at widening the using scope of Ottchil as a more popular and intimate ornamental material through the merits appearing with the use of the Ottchil as a material of ornaments. This researcher is going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the revitalization of Ottchil market by expanding the applications of Ottchil by using Ottchil as a material for ornaments while hoping the development of ornaments combined with metal and Ottchil will be an impetus to the progress in the ornaments that express one's own personality which modern people tend to pursue.

      • 판금기법을 활용한 퓨터기물 제작연구

        김동현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19

        A pewter is an alloy consisting primarily of tin. It is a material that mankind has dealt with since ancient time. Especially in the West, it was widely used in metal work as a tableware material to replace the silver in post-Medieval Europe and the post-Colonial United States. Britannia metal is a type of pewter that appeared in the 19th century, has the most widely used alloys ratio in the manufacture of modern pewter products, and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In addition to traditional casting processe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anufacture various types of products because additional metalworking techniques can be applied. In Korea, the pewter has been mainly used in the manufacture of souvenirs and inexpensive jewelry based on casting process, and few cases are related to the production of vessels using silversmithing techniques. The researcher began his research on the pewter with the possibility of the application of silversmithing techniques and the production of metal vessels in mind. In order to find a specific ways to utilize the pewter, which is relatively unfamiliar in Korea,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and cases of application were investigated first. As a technical experiment, hammer forming was mainly used to produce metal vessels. Chapter 1 revealed the feasibility and applicability of pewter research related to contemporary metal crafts in Korea through explanations of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The sources of the main references were revealed in the method and scope of the research, and the definition and history of the pewter, materials and techniques, and the research of the works were summarized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text. Chapter 2 introduced the terms and physical and chemical definitions of the pewter and summarized the changes of pewter in the history.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tals that make up the pewter were identified, their effects on alloys were explained,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ommon metals used in metalworking were compared and analyzed. Chapter 3 focused on the history of the pewter, mainly in the history of Europe. In Roman Britain and the Middle ages, in addition to the interpretation of reference, photographs of artifacts released by accredited museums were used as examples, in modern age, the photographs of relatively well-organized publications, along with museum materials were used as examples. Especially for the present data, researcher have referred to various materials and internet websites, citing examples of contemporary metalsmiths, designers, and companies that have been engaged in activities related to pewters since the 20th century. Chapter 4 described the fabrication and manufacturing process of pewter sheet for the production of pewter vessels using silversmithing techniques. The detaile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ewter sheet using the alloy ratio of Britannia metal, which is currently the most representative type of pewter, has been describ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explanation was given focusing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ewter and other metals and precautions. Furthermore, the tools used for works were drawn up based on the experiment of researcher considering the current metal working situation in Korea. In Chapter 5, the work study,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presented the pewter vessels using the silversmithing techniques focusing on the hammer forming and the following aspects were emphasized. First, in terms of formativeness, the image of the line borrowed from nature and organic that has been used in the entire works so far was utilized. Second, in terms of the form and structure of the vessels,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pewter were considered and attempted to minimize the defects in function and structure. Third, examples of specific technique application in the working process of the work study are explained in depth based on the contents and photographs described in the previous chapter. Although the pewter has been used for a long time, it is relatively unfamiliar in Korea and rarely used in the field of contemporary metal crafts by means of hammer forming techniques. However, in this study, the pewter can be applied to most of common silversmithing techniques, so it can be used in various metal crafts area. Currently, it is difficult to vitalize the pewter as a material in a short period because the pewter sheet is not distributed as ready-made products in Korea. However, in conclusion, modern pewter, which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such as Britannia metal, is well suited for the contemporary metal crafts with both aesthetics and practicality. Further research that can be considered based on this study includes the development of various practical objects with human safety of pewter and metal objects for interior using its unique material properties. 퓨터는 주석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이다. 인류가 고대부터 다룬 재료이며 특히 서구에서 대중적으로 활용하여 중세 이후의 유럽과 식민지시대 이후의 미국에서 은을 대체하는 식기류의 재료로 금속공예분야에서 널리 활용하였다. 브리타니아 메탈은 19세기에 등장한 퓨터의 일종으로, 현대의 퓨터제품 제조에 가장 널리 쓰이는 합금비율을 갖고 있으며 인체에 무해하다. 또한 전통적인 주조 방식 이외에 추가적인 금속공예기법의 적용이 가능하여 다양한 형식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퓨터는 우리나라의 경우 주로 주물기법에 의존하여 기념품과 저가 장신구의 제작에 활용되어 왔으나 판금기법을 활용한 금속기물의 제작과 관련된 사례는 드물다. 연구자는 판금기법의 적용과 금속기물 제작에 관한 재료적인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퓨터의 연구를 시작하였다. 우리나라에서 비교적 생소한 재료인 퓨터의 구체적인 활용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우선 물리·화학적인 특성과 활용사례를 조사하였으며 기법적인 실험을 통해 망치성형기법을 주로 활용한 기물을 제작하였다. 1장에서는 우리나라 현대금속공예와 관련된 퓨터 연구의 당위성과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연구 방법과 범위에서는 주요 참고자료의 출처를 밝히고 본문의 순서에 따라 퓨터의 정의와 역사, 재료와 기법, 작품연구에 대해 요약 서술하였다. 2장에서는 퓨터의 용어 및 물리·화학적인 정의를 밝히고 시대에 따른 퓨터의 변화를 정리하였다. 퓨터를 구성하는 각 금속의 특성을 살펴보고 합금에 미치는 영향을 기술하였으며 금속공예에서 주로 활용하는 타 금속과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였다. 3장에서는 주로 유럽을 중심으로 하는 퓨터의 역사를 기술하였다. 로만 브리튼과 중세에서는 참고자료의 해석 이외에 공인된 박물관에서 공개한 유물의 사진 자료를, 근대에서는 박물관 자료 이외에 비교적 정리가 되어있는 출판 서적의 사진 자료를 예시로 하였다. 특히 현대에서는 20세기 이후 퓨터와 관련된 활동을 지속하고 있는 현대금속공예 작가와 디자이너, 기업의 예를 들었다. 4장에서는 판금기법을 활용한 퓨터 기물을 제작하기 위한 판재의 제작과 가공 기법을 설명하였다. 현대사회에서 가장 대표적으로 활용하는 퓨터의 종류인 브리타니아 메탈의 합금비율을 활용하여 판재를 제작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서술하였으며 가공기법에 있어서는 타 금속재료와 차이가 있는 부분과 주의사항에 중점을 두었다. 또한 제작에 활용한 도구는 현재 우리나라의 작업환경을 고려하여 연구자의 실험을 바탕으로 정리하였다. 5장에서는 앞에서의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망치성형기법을 중심으로 하는 연구자의 판금기법에 의한 퓨터작품을 제시하였다. 작품의 제작에서는 다음과 같은 측면에 중점을 두었다. 첫째, 조형적인 측면에서 지금까지 연구자의 작품 활동 전반에 사용하고 있는 유기적이며 자연으로부터 차용한 선의 이미지를 활용하였다. 둘째, 기물의 형태와 구조에 있어 퓨터의 물리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기능과 구조의 결함을 최소화하려 하였다. 셋째, 작품연구의 제작과정에서 구체적인 기법 적용의 예시가 되는 부분은 앞장에서 설명한 내용과 사진 자료를 바탕으로 심도 있게 해설하였다. 퓨터는 오랫동안 활용된 재료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 비교적 생소한 재료이며 망치성형기법을 통한 현대금속공예에서의 활용사례가 드물다. 그러나 이 연구를 통해 살펴 본 바로는 일반적인 판금기법의 대부분이 적용 가능하여 금속공예 분야의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퓨터의 판재가 기성품으로 유통되지 않으므로 단기간에 활성화하기 어렵지만 결론적으로 브리타니아 메탈과 같이 인체에 무해한 현대의 퓨터는 심미성과 실용성을 겸비하는 현대금속공예의 작품 제작에 매우 적합하다. 이번 연구와 관련하여 현대 퓨터의 인체 안정성을 바탕으로 하는 다양한 실용 기물의 개발과 고유의 재료적인 특성을 활용한 실내 금속오브제의 제작이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이 논문의 연구를 위해 선행한 연구논문 '김동현(국민대학교 대학원), 강연미(교신저자,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금속공예학과 교수), 「퓨터의 판금기법과 활용 - 기물제작을 중심으로(Silversmithing & Utilization for Pewter - focused on vessel making」,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18권 4호(통권 82호), 2017년 8월' 은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18권 4호(통권 82호)에 게재하였으며 그 내용이 본문에 포함되어 있음을 밝힌다.

      • 전자기장을 이용한 알루미늄 합금 스크랩 내 Fe 금속간화합물의 제거 연구

        정주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19

        Research studies on aluminum scrap recycling are currently on the rise because of the high price of primary aluminum. Moreover, energy loss from aluminum recycling is about 5% compared with that for primary aluminum. In the process of aluminum scrap recycling, the contamination of iron in aluminum melt results in the decreasing fluidity of the melt and ductility of the final product. Excessive iron in aluminum melt produces needle-shaped beta-AlFeSi intermetallic compounds during solidification. The presence of beta-AlFeSi intermetallic compounds can be harmful in the extrusion process because of increasing the extrusion pressure. As a common process, those compounds change from the needle-shaped to the globular-shaped alpha-AlFeMnSi intermetallic compounds through the addition of manganese to the aluminum melt. Those phases settle down during the solidification process, and then such is cut. Note, however, that the efficiency of iron elimination is very low. Our previous study reported that EMS can help the alpha-AlFeMnSi intermetallic compounds form easier and faster and settle down at the bottom of the aluminum melt through the centrifugal force of E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the efficiency of iron elimination in aluminum melt scrap, EMS current, holding temperature, and time of melt as well as the ratio of manganese to iron were controlled. And not removed Fe in aluminum scrap through previous study is controlled morphology of Fe containing intermetallic compound during Electromagnetic Casting (EMC) with EMS. The iron elimination method by sedimentation controlling the morphology of iron containing intermetallic compounds as inducing EMS to aluminum melts with excessive iron and the iron harmless method by controlling the morphology of iron containing intermetallic compounds as inducing EMS on EMC,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obtained. 1. Phase Analysis result via Pandat, when the manganese puts the aluminum melts with excessive iron, the volume fraction of needle shaped Fe containing intermetallic compound is reduced. 2. In case that aluminum melts with excessive iron are kept at 680OC, the efficiency of iron elimination in aluminum melts is no improvement even thought time goes by. 3. In case of EMS, the time is reduced 6 times than natural sedimentation to gain similar efficiency of iron elimination in aluminum melts. It shows the effect of causing EMS to Fe containing intermetallic compound that crystallization speed increases and it moves to the surface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centrifugal force because of low electric conductivity of that. 4. The best efficiency of iron elimination in aluminum melt was 67.129%with EMS induced at 660 OC for 4 minutes. 5. It gains uniform casting structure and reduces bad effect of iron because broken Fe containing intermetallic compound moves to the surface, in case of EMS to aluminum melts with excessive iron on EMC. 환경 규제 및 에너지 절약의 일환으로 제품의 경량화가 더욱 요구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대표적인 경량 소재인 알루미늄의 수요는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산업의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알루미늄 생산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몇 가지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다. 과거에는 풍부하고 저렴한 에너지,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알루미늄 소비, 풍부한 원광석 때문에 알루미늄 산업의 수요를 충족시키는데 별 무리가 없었다. 오늘날 수요량 증대에 따른 산업 오염, 고가의 에너지, 값비싼 원자재 등을 해결하기 위해 친환경, 고효율 에너지, 스크랩 재활용 등의 기술적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알루미늄 스크랩 재활용이 활성화되면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알루미늄 스크랩을 이용해 지금을 제작 할 경우, 원광석을 이용해 제작할 때의 5%가량의 에너지만 소비된다. 알루미늄 스크랩을 통한 친환경, 에너지 고효율, 재활용 등의 상당한 경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알루미늄 스크랩에는 외부 불순물, 합금 원소, 고정용 부품, 미숙한 분류 기술 등의 이유로 여러 가지 불순물들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철은 알루미늄 스크랩의 대표적인 불순물로써 알루미늄 응고 시 침상의 β-AlFeSi 금속간화합물을 형성해 압출시 압출압 상승을 야기해 압출성 저하 및 압출재의 기계적 특성을 떨어뜨리므로 스크랩 재활용을 위해서는 철 제거가 매우 중요하다. 현재 알루미늄 스클배 내 탈철법으로는 자력 분별법, 중력 편석법, 온도구배법, α-고용체법, 금속간화합물법 등이 연구되고 있다. 특히 망간을 첨가하여 침상의 β-AlFeSi 금속간화합물을 구상의 α-AlFeMnSi로 변태시킨 후 자연침강시켜 철 집중부를 제거하는 금속간화합물법이 각광을 받았으나, 장시간 용탕을 유지하여 침강시켜야 하므로 환경오염 및 비용 증대의 부담 등의 이유로 산업화되기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 다라서 현재 알루미늄 스크랩은 순 알루미늄으로 희석되어 저품질의 잉곳으로 제작되거나 폐기되는 등 스크랩 활용도가 낮다. 본 연구에서는 금속간화합물법에 전자기교반을 접목시켜 철 제거 공정 시간 및 제거 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하였으며, 실험실 규모의 실험을 통해 증명하였다. 또한 용탕에 잔존하는 철을 주조 과정 중 전자기교반을 인가시켜 형상을 제어하여 무해화 할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증명하였다. 과량의 철을 포함하고 있는 알루미늄 스크랩 용탕에 전자기교반 전류를 인가하여 철계 금속간화합물의 형상을 제어하면서 침강시키는 탈철법 실험과, 전자기 주조 중 전자기교반을 인가하여 철계 금속간화합물의 형상을 제어하여 철을 무해화시키는 실험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Pandat을 통한 상해석 결과 과량의 철을 포함하는 알루미늄 용탕에 망간을 장입하면 침상의 철계 금속간화물의 정출률이 감소한다. 과량의 철을 포함하는 알루미늄 용탕을 680℃에서 자연침강 할 경우, 시간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철 제거효율이 향상되지 않는다. 전자기교반을 이용한 경우, 자연침강과 유사한 철 제거효율을 얻는 시간을 6배 단축시켰다. 이는 전자기교반에 의한 철계 금속간화합물의 정출속도가 증가하고, 이의 낮은 전기전도도로 인해 원심력의 반대 방향인 표면부로 이동되었기 때문이다. 알루미늄 용탕에 전자기교반 전류를 660℃에서 4분간 인가한 경우, 철제거 효율이 67.1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과량의 철을 포함하는 알루미늄 용탕으로 전자기 주조시 전자기 교반을 인가하면 등축정의 균일한 주조조직의 확보가 가능하며, 침상의 철계 금속간화합물이 깨져 표면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철의 악영향이 감소될 것이다. 이 전자기교반을 통한 금속간화합물 생성법은 공정 시간 단축을 통한 환경오염 및 경제성 측면에서 우수한 철 제거법이며, 특히 제거효율이 높으므로 스크랩 정제 및 재활용 공정 개발에 큰 도움을 줄 것이라 기대한다.

      • 웰빙(well-being) 생활을 위한 금속식기 디자인 개발방안 연구 : 재료의 유해성 분석 중심으로

        김홍규 한양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248719

        The contemporary society, while having attained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economic prosperity through the era of industrialization and information digitalization, is experiencing threat to its health due to accumulation of various noxious ingredients originating from heavy metal, atmospheric pollution and instant food. Even the material of tableware, which cannot be omitted from and comes in contact with human being most easily and frequently in daily life environment, is exposed to noxious materials such as chemical additives. These noxious materials induce disorder of central nervous system and various cancers. If toxic material accumulates in the body, symptoms such as indigestion, skin rash, eczema, muscle aches, fatigue and headache manifest frequently. Accumulation of noxious material will cause male to be prone to grout and females to suffer sever menstrual pain along with swelling of body during menstruation. Due to such changes, people living in the contemporary society became very interested in the health of oneself and their families. As such, interest on Well-being is increasing rapidly along with changes in life style. Although it is most important to intercept noxious material to the body at its source in sustaining "Well-being life", we have thus far been negligent on the aspect of the material used for tableware, having put focus only on formative and functional aspect of tableware. Furthermore, there have not been any researches related to well-being metallic tableware among research or development of tableware. This Study attempts to discover various problems in the tableware that are noxious to human body, reflect such findings to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tableware, and meet the demands and interests of consumers on well-being by establishing processes including manufacturing of well-being metallic tableware by adding well-being elements to the functional and formative aspects when designing tableware. Such research has added purpose of establishing foundation for designing of metallic tableware, which is helpful to health. With regards to the research method, fundamental survey was conducted by deciding on substantive analysis on the basis of the information gathered from literatures. Direction for development was decided by analyzing the results acquired through interview survey of specialist group on the basis of the survey material collected and on the basis of the material obtained from literature and experiment. Proposal on the means of solution, along with the characteristics of well-being metallic tableware material, has been presented by categorizing and analyzing the tableware materials that are harmful or harmless to human body through same method. Review of consumer survey on well-being tableware for each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indicates that higher the age bracket, greater the interest and preference towards purchasing on Well-being. Generally,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group illustrated greater interest and preference towards Well-being. The research outcome shows that the consumers in the contemporary society wish to pursue more prosperous, convenient and stable life and the trend in the consumption of purchasing products is changing into the trend of purchasing well-being products related to health or improvement of daily life environment even if at greater cost. Changes in the purchasing pattern are also continuing into changes in the value system and life style of taking Well-being importantly. Such changes illustrates the gradual changes from the production process that put importance on productivity, reliability and functionality of tableware design to well-being design elements such as pleasantness, convenience and diversity. This signifies that the direction for well-being design must consider not only fulfillment of simple satisfaction but also convenience in usage by consumers at the same time. Initially, consumers are satisfied with simple owning of the product. However, they gradually come to prefer tableware with outstanding function and quality of the product, as the next stage. Eventually, tableware must be convenient in usage, and satisfy even the susceptibility image that it is helpful to user’s health. The core issue that can overcome the issues of quality, functionality and cost is Well-being. One must be aware of the fact that the direction of such product development is focusing on improvement of function and quality along with improvement of environment for human life. The outcome of the research illustrated that, although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degree, several materials among the tableware materials used generated toxic material or environmental hormone such as cadmium, toluene and plasticizer. When the tableware comes in contact with hot food, these noxious ingredients may dissolve. Some of the noxious material to human being was found in tableware using metallic material such as enamel, aluminum, and Teflon-coated tableware and recycled material. Tableware for food items and cooking impart close influence. In order to solve such problems, tableware must be designed with material appropriate for its application, using well-being material that is harmless to human body. If aluminum tableware material is manufactured in unified format by using stainless steel, and if Teflon coated or enamel tableware uses advanced composite material such as zirconia or carbon nanotube, the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well-being metallic tableware, with their disadvantages being supplemented. Furthermore, manufacturing of well-being metallic tableware must be made possible through acquisition of law material for metallic tableware, development of production and manufacturing process, and development process of usage, as well as legal and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In summarizing the analysis of such research, it was concluded that the product development must be checked in its design and production process in order to ensure that appropriate materials are selected and processed, and absence of harmfulness in the completed products. Furthermore, education on application methods for the users is necessary. We have passed from the era in which whatever was manufactured were sold, through the era that placed importance only on functionality and performance, into an era in which health of the consumers is considered important and only the products that satisfy the susceptibility of the consumers can survive. Tableware design, with generalization of advancement in function and production technology, must also consider, in its direction for production, well-being elements including environment and health. If one is passive towards or fail to adapt to such changes, then it shall remain as product ignored by consumers. Accordingly, well-being metallic tableware design must minimize the impact the material has on the human body by analyzing the issue needs from the viewpoint of consumers, and manufacture well-being metallic tableware by seeking means of and putting efforts in conveniently and safely designing tableware that can satisfy the susceptibility of the consumers. 현대사회는 기술혁신과 경제적인 풍요를 얻은 반면 중금속과 대기오염, 인스턴트식품 등으로 각종 유해물질이 체내에 쌓이게 되어 건강을 위협받고 있으며, 생활환경에서 가장 쉽고 많이 접하는 식기 재료도 화학첨가물 등 유해물질에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유해물질들은 불임, 중추신경장애는 물론 각종 암을 유발하며, 체내에 독소가 쌓이면 소화불량, 피부발진, 습진, 근육통, 피로, 두통 등의 증상이 자주 나타나게 된다. 유해물질이 축적되면 남성들은 통풍 등에 걸리기 쉽고, 여성들의 경우에는 월경 때 심한 생리통과 함께 몸이 붓게 된다.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현대인들은 자신과 가족의 건강에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으며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와 더불어 웰빙에 관심이 점차 고조되고 있다. 여러 질병을 유발하는 인체 유해물질을 원천 차단하는 것이 '웰빙생활'에서 제일 중요하지만 우리는 식기의 형태적인 면과 기능적인 면에 치우쳐 재료적인 면에 소홀 하였다. 더욱이 그동안 식기 연구나 개발 중 웰빙 금속식기에 관계된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체에 유해한 식기의 여러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를 식기 개발과정에서 반영하고, 더불어 식기디자인을 할때 기능성이나 형태적인 면에서도 웰빙적인 요소를 부가함으로써 웰빙 금속식기 제작에 이르기까지의 프로세스를 구축하여 웰빙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와 관심에 부응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건강에 도움이 되는 금속식기 디자인을 위한 기반 구축의 목적도 갖고 있다. 연구방법은 문헌자료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기초로 실증분석 자료를 정하여 기초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수집한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전문가 집단 방문조사 등 실무에서 취득한 정보들을 문헌자료와 실제 실험을 중심으로 결과를 분석하고 개발방향을 정하였다. 인체에 유해한 식기재료와 무해한 재료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구분하고 분석하여 웰빙 금속식기 재료의 특성과 더불어 해결방안을 제안을 하였다. 웰빙 식기에 대한 소비자 조사를 개인 특성별로 살펴보면, 연령대가 높을수록 웰빙에 대한 관심 및 구매에 대한 선호가 높고, 일반적으로 고학력이거나 수입이 많을수록 웰빙에 대한 관심 및 선호도가 높았다. 조사결과 현대 사회의 소비자들은 삶을 보다 풍요롭고 편리하며 안정적인 생활을 추구하고자 하며,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성향도 많은 비용을 지불하더라도 건강이나 생활환경 개선과 관련 있는 웰빙 상품을 구매하려는 경향으로 점차 변하고 있었다. 구매 패턴의 변화 또한 웰빙을 중시하는 가치관과 생활양식의 변화로 이어지고 있었으며, 이러한 변화는 식기디자인의 생산성(生産性), 신뢰성(信賴性), 기능성(機能性)을 중요시 하던 제조공정에서 쾌적성(快適性), 편리성(便利性), 다양성(多樣性)등 웰빙 디자인 요소로 점차 변화 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웰빙 디자인 방향을 단순한 만족감 충족만이 아니라 소비자의 사용 편의성 부분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처음에는 단순히 제품을 소유하고 있는 사실만으로 만족하지만, 다음 단계로 제품의 기능과 품질 등이 우수한 식기를 선호 하게 되며 최종적으로 식기는 사용이 편리하고 건강에 도움이 되는 감성 이미지까지 만족 시킬 수 있어야 한다. 품질과 기능 그리고 비용문제를 넘어설 수 있는 핵심과제가 웰빙 이며, 이러한 제품 개발방향은 성능과 품질 개선과 아울러 인간생활 환경 개선에도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연구실험결과, 식기 재료 중 다수의 재료에서는 정도의 차이가 있지만 인체에 유해한 카드늄, 톨루엔, 가소제 등 독성물질이나 환경호르몬이 발생하였으며, 뜨거운 음식에서는 이러한 유해성분이 녹기도 하였다. 금속재료에서는 법랑이나 알루미늄 재질, 테프론 코팅식기, 재생재료를 이용한 식기 등에서는 일부 인체유해 물질이 검출되었으며 음식물과 조리용 식기는 밀접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식기는 반드시 사용 용도에 적합한 재질로 디자인을 하여야 하며 인체에 무해하다고 판명된 재료를 사용하여야 한다. 알루미늄 식기 재료는 스테인리스 스틸 등을 사용하여 일체형으로 제작하고, 테프론 코팅식기나 법랑식기는 지르코니아 소재나 탄소나노튜브 등 첨단 복합소재로 제작하면 단점이 보완되어 웰빙 금속식기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금속식기 원료취득과 제조가공, 생산, 사용의 개발프로세스 개발과 법적, 제도적 보완을 통해 웰빙 금속식기 제작이 가능 하도록 하여야 한다. 연구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제품개발은 적절한 재료를 선택하고 가공하며, 완성제품에서도 유해성이 나타나지 않도록 디자인 및 생산 프로세스에서 체크되어야 하며, 사용자의 사용법에 관한 교육도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만들면 팔리던 시대에서 기능(機能)이나 성능(性能)만을 중요시하는 시대를 거쳐 현재 소비자의 건강을 중시하고 감성(感性)에 맞는 제품만이 살아남을 수 있는 시대로 점차 변하고 있으며, 식기디자인 역시 기능이나 제작기술은 첨단 보편화되어 앞으로의 제작방향은 환경이나 건강을 포함하고 있는 웰빙적 요소를 고려해야 하며, 이러한 변화에 소극적이거나 적응하지 못하면 소비자들에게 외면 받는 제품으로 남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웰빙 금속식기 디자인은 소비자의 입장에서 니즈(needs)문제 분석을 하고, 재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하며, 우리에게 감성적 만족을 줄 수 있는 식기를 편리하고 안전하게 디자인하려는 노력과 방법을 모색하여 웰빙 금속식기를 제작 하여야 한다.

      • 금속증착에 의한 Al₂O₃의 곡강도 변화 및 Inconel과의 확산접합에 관한 연구

        황하룡 檀國大學校 大學院 1995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에서는 접합방법의 개량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알루미나 세라믹에 활성금속인 Ti, Zr과 비활성금속인 Cu의 단층, 다층 및 복합층을 증착 시켰을 경우 알루미나 자체의 기계적인 특성인 곡강도(Modulus of Rupture)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알루미나에 Ti 및 Zr을 증착시킨 후 1000℃∼1100℃ 에서 30분 및 3시간 동안 진공(10^(-5) torr) 열처리한 후 전단시험을 통하여 금속 증착후 알루미나와 Inconel 600과의 확산접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각 물질의 증착에 따른 표면 및 파면분석을 S.E.M., E.D.S., X.R.D.분석을 통하여 곡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비활성금속인 Cu를 증착한 경우에는 알루미나와 반응성과 접합특성이 나빠서 곡강도는 증착되지 않은 시편과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활성금속인 Ti과 Zr을 증착한 경우에는 평균 곡강도가 각각 220 MPa, 233 MPa로서 증착전과 비교하여 29%, 25%의 곡강도 감소가 있었다. 곡강도 변화는 Ti/Al_(2)O_(3), Zr/Al_(2)O_(3), Ti-cu cosputtering/Al_(2)O_(3), Cu/Ti/Al_(2)O_(3), Ti/Cu/Al_(2)O_(3), Cu/Al_(2)O_(3)의 순으로 곡강도 저하가 감소하였는바 이는 증착층과 알루미나 계면에서의 반응성과 접합성이 좋은 활성금속 Ti 성분의 양이나 두께가 이와 같은 순으로 감소하는 것과 연관된다. 활성금속 Ti과 Zr을 증착한 경우는 잔유응력 감소로 인해 증착하지 않은 것과 비교하여 접합력의 증가와, 알루미나와의 반응성 증가로 접합온도의 저하를 가져온다. 접합된 모든 시편이 알루미나 부분에서 파괴가 일어나는 바 열팽창계수 차이로 인한 잔류응력 때문일 것으로 판단된다. The various metals were sputter coated onto alumina ceramics and diffusion bonded to Inconel 600 metal par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etal coating on the mechanical property of alumina and bonding strength. A three-point bending test and a shearing test were employed for the evaluation of modulus of rupture(MOR) strength and bonding strength, respectively. Also SEM, EDX and XRD were used to study the morphology and structure at the interface. It was found that the copper coating did not change MOR strength of alumina due to the nonwetting behavior of Cu on Al_(2)O_(3). However, the reactive metals coating such as Ti and Zr caused noticeable reductions in averaged MOR strengths due t o the interface reaction between coating metals and alumina substrate after heat treatment at 1000℃ for 30 min under 10^(-6) torr. The reaction products were found to be TiO and Ti_(3)Al for Ti coating. It was found that Ti , Zr, Ti-Cu cosputtered, Cu/TI, Ti/Cu and Cu coatings reduced MOR strength of alumina in the order listed. This was correlated with the amount of Ti at coating/alumina interface associated with a reactive metal coated layer on segregation of Ti during heat treatment. And also alumina metallized with Ti and Zr metal was diffusion bonded to Inconel 600 at 1000~1100℃ under MPa for 0.5~3 hour in 10^(-5)torr vacuum. The higher bonding strength and lower joining temperature was obtained with reactive metals coating compared to that of noncoated sample. This improved joining behavior was attributed to enhanced interface reaction and reduction in residual thermal stress. The reaction product were found to be Ti_(3)Ni and TiNi_(3) for Ti coating, and Al_(2)Zr_(3) and Ni_(7)Zr_(2) for Zr coating, respectively. From these experimental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role of reactive metals coating such as Ti and Zr on alumina was a controversial issue. In the care of diffusion bonding the metalization with reactive metal give a beneficial effect in bonding character. However, the reactive metal coating decreased the mechanical property of alumina. Therefore a compromise should be considered for employing metal coating in ceramics.

      • 금속장식기법에서 자연 유기재료(有機材料)를 활용한 조형디자인 연구 : 비단벌레 표면장식을 중심으로

        김도형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19

        이 연구는 금속공예기법 가운데 금속표면에 장식을 연출하는 기법 연구로서, 자연 유기재료(有機材料)를 이용한 전통기법을 연구하고 이를 조형작품에 활용함을 목적으로 한다. 금속장식은 인류역사와 함께 다양한 방법들이 계승 발전되어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게 되었으나 다른 한편으로 금속표면에 도구와 재료를 이용한 질감효과나 색상을 입히는 금속표면 장식 효과에 주력함으로써 자연 유기재료를 이용한 장식방법은 제한적으로 시도되어왔다. 그런데 이 가운데 신라시대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비단벌레 장식기법은 자연색상 표현을 통해 심신(心身)의 만족을 얻을 수 있는 한국 고유의 독자적 기법으로서, 본 연구는 이를 금속과 결합하여 현대적인 방법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따라서 연구자는 금속장식의 역사적인 배경을 연구하고, 장식기법에 사용된 다양한 국내외 작품 기법 사례를 통해 현대적인 연구방법을 도출한다. 또한 자연 유기물 가운데 하나인 비단벌레 재료의 의미적인 특성과 그 쓰임에 따른 적용 사례를 신라시대의 전통기법을 예로 들어 자연 고유 색상을 유지하고 심리적 만족을 얻을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서론에서는 본 연구의 문제 제기와 연구계획, 연구 목적을 기술하고, 비단벌레 장식기법의 조형적 접근방법을 서술한다. 다음으로 장식의 일반적 개념과 금속장식기법의 역사적 배경을 문헌을 통해 살펴보고, 장식기법에 관한 국내외 작가의 작품사례를 분석한다. 그리고 신라시대의 전통기법인 비단벌레 기법을 유물의 복원과정으로 제시한 전통적인 사례와 비단벌레의 현대적 적용사례를 통하여 비단벌레를 활용한 조형디자인 방법을 연구한다. 본 연구의 핵심인 마지막장은 위의 연구에 기반한 연구자의 작품 분석으로, 작품의 의도 및 제작과정을 통해 비단벌레 기법의 현대적 활용 가능성을 탐구한다. 이에 궁극적으로 본 연구가 비단벌레 금속 표면장식 기법 연구에 보탬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This study is supposed to research a method among metal techniques directing decoration on the surface on metal. The study is aimed at applying the method to modeling art works, investigating traditional methods by using organic materials Metal decoration has been developed and succeeded in accordance with human history as various ways, which facilitates divers expression. On the other hand, the methods with organic material have been tried restrictively by focusing on the decoration for metal surface or texture effect with tools and materials. Jewel beetle decoration technique assumed to be used in Silla Dynasty is Korean unique technique to gain satisfaction for body and soul through natural color. The study presents to apply the technique with metal as modern way. Thus the researcher investigate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metal decoration and draws modern research method through cases of various internal and external techniques for decoration techniques. Jewel beetle, one of the natural organic matters, will show the meaning features of Jewel beetle material applied cases according to use with traditional technique in Silla Dynasty to maintain natural unique color and obtain psychological satisfaction. The methods are as in following. In introduction, suggestions, research plan, the aim of research and modeling approach method of Jewel beetle decoration technique will be described. Next, the general concept of decoration, historical background of metal decoration technique and decoration technique based on arts works created by Korean artists will be analyzed. Furthermore, the study shows traditional cases presenting Jewel beetle decoration technique which is traditional technique in Silla Dynasty as a restoration process of relic and modeling design method applied by Jewel beetle through modern application cases of Jewel beetle. The last chapter, as a core of the study, reveals modern application possibility of Jewel beetle through the intention of art works and process with the researcher's arts works analysis based on study. The study is ultimately expected to be a part of studies on metal surface decoration technique.

      • 겹쳐진 기(器)들이 만들어 내는 공간

        김윤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18

        무언가를 담기 위해 인간이 고안한 사물인 기(器)는 오랜 시간 동안 다양한 재료와 형태로 제작되었다. 역사적으로 기의‘담다’라는 의미는 단순한 물리적 기능의 수행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그 이상의 의미로 그것의 제작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그것은 제작자와 재료, 그리고 그것의 기능에서 파생된 의미의 확장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다. 그렇다면 금속공예가에게 기는 어떠한 의미로 해석 될 수 있는 대상일까? 제작자와 재료, 그리고 사물의 특성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작품을 제작하고자 한다면, 먼저 그 재료의 특성을 파악해야 할 것이라 생각했다. 금속기가 지니고 있는 특성 중의 하나는 ‘반사성’이다. 금속 표면을 연마하면 거울과 같이 반사하는 표면질감을 얻을 수 있는데, 이것은 오랜 시간 동안 금속을 대표하는 성질로 사람들에게 인식되었다. 또한 앞서 언급했듯‘담다’라는 의미는 기를 전제로 만들어진 말인 만큼, 그 둘의 관계는 매우 밀접하게 상호 영향을 끼치고 있다. 때문에 나는‘반사성’이라는 금속의 대표적 특성과 기의‘담다’라는 의미에서 중요 요소를 추출한다면 내가 만들고자 하는 작품을 제작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다. 앞서 언급했듯이 무언가를 담기 위해 고안된 그릇은 그 특성 때문에 겹치거나 포개기에 용이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우리는 흔히 그릇을 사용하지 않을 때 겹치거나 포개어서 보관하는데, 이러한 기물의 겹쳐진 공간은 담을 수 있는 공간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담길 수 있는 공간이 되기도 한다. 이곳은 닫힌 공간이면서도 열린 공간이기도 하다. 그러한 이유로 ‘겹치다’를 하나의 구체적 작업 요소로 추출하였다. 또 하나의 구체적 작업 요소는 앞서 언급했던 금속의 물리적 특성인 ‘반사성’이다. 금속 기물의 공간이 서로를 반사한다면 앞서 언급했던 겹쳐진 공간의 특성과 ‘담다’의 의미를 더욱 부각시킬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다. 겹쳐진 기의 공간에서 반사가 이루어 지려면 기 내부에 반사하는 면(거울면)과 반사되는 면(대상면)이 동시에 존재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금속기물의 한 쪽 면을 법랑기법으로 처리 하였다. 이는 반사면 안에 금속 외의 재료로 만들어진 그릇의 이미지가 담겨지기를 의도한 것이다. 비단 법랑의 이미지일 뿐 아니라, 관람자 혹은 작품이 놓인 공간도 반사 될 수 있다. 기물과 기물 사이의 공간과 그 주변의 풍경이 반사를 통해 수용-소통되고 있으며, 이는 금속의 반사를 통해 기물의 ‘담다’라는 의미가 확장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렇게 확장된 공간은 서로를 담을 수 있으며, 그 경계를 모호하게 만든다. 물리적으로 무언가를 담기 위해 제작한 기물이라는 공간에 그 이상의 것이 담길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러한 이미지의 구현을 통해 연구자는 금속의 물리적 특성인 반사가 기물의 공간에 새로운 해석 가능성을 제시하기를 바란다.

      • 금태칠 기법의 현대적 활용에 의한 금속 작품 제작 연구

        고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18

        현재까지 전해져 내려오는 많은 공예의 기법 중에서도 금속공 예와 옻칠공예는 둘 다 오래된 역사와 전통을 가지는 분야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두 가지 공예 기술의 결합으로 금속 기물 에 옻칠을 하는 금태칠이라는 공예기법이 생겨났다. 청동기 시대 에 중국에서 최초로 시작된 것으로 알려진 금태칠 기법은 한국, 중국, 일본 등 옻칠이 주로 생산되는 지역을 중심으로 발전을 거 듭해왔다. 또한, 금태칠기는 금속재료의 견고함과 옻칠도막의 방 식성 등 두 가지 장점이 있기 때문에 현대공예가들의 작품제작 에도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의 주제는 위와 같은 금태칠기의 역사와 활용 사례를 한국, 중국, 일본의 유물과 한국의 현대공예작품 등을 통해 알아 보고, 그 연구의 결과로서 금태칠 기법을 활용한 금속 기물을 제 작하는 것이다. 논문의 구성을 살펴보면 첫 번째로 서론에서는 금속재료가 갖는 색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금속작품의 표면에 옻칠을 입히는 금태칠 기법을 연구하기로 한 배경과 연구동기, 그리고 연구방법 및 범위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본론에서는 첫째, 가장 오래된 금태칠기 유물이 발견된 것으로 알려진 중국을 시작으로 한국과 일본의 금태칠기 유물을 차례로 소개하였고, 둘째 다양한 옻칠 기법이 작품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한, 중, 일의 과거 유물에서부터 현대공예가의 작품에 이 르기까지 살펴보았다. 세 번째로, 한국의 현대 금속공예가 중에 ii 서 금태칠 기법을 작품제작에 활용하고 있는 두 명의 작가 사례 를 알아보았다. 작품연구는 주로 금속공예 기법으로 형태를 제작하는 조형 연 구와 옻칠공예 기법으로 색과 무늬를 표현하는 표면처리 연구, 두 가지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본격적인 작품 제작을 시작하기 전에 금속과 옻칠이 잘 결합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금태칠 기 법의 샘플 연구를 선행하였고 이를 토대로 작품 제작에 활용하 고자 했다. 금속공예 기법 면에서는 주로 판금성형과 은땜접합을 이용하여 형태를 완성하였다. 이후 완성된 금속 작품에 부분적으 로 옻칠을 함으로써 금속과 옻칠 두 가지 재료의 색과 질감대비 를 강조할 수 있는 기물을 제작하고자 하였다. 결론에서는 금태칠 기법을 활용하여 기물을 제작하며 얻을 수 있었던 기능적, 조형적 성과에 대하여 서술하고 이 기법이 금속 공예가들의 작업에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하여 논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본 논문의 연구를 진행하면서 미진했던 부분 과 앞으로의 과제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Lacquer crafts and metal crafts both belong to the craft fields with long history and rich connotation. In the field of metal crafts, there is a kind of crafts that is used to brush lacquer on metal objects, which is the metal made lacquerware. Although the technology of metal made lacquerware has a long history, it has not been paid much attention since ancient times. With the slow pace of urban life, natural lacquers from nature and metal products tha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become popular. Moreover, in the field of handicraft all over the world, the metal made lacquerware has also attracted the attention of a 64 number of artists who specialize in making metal made lacquerware. Consequently, my research is conducted on this topic of studying the history and current situation of metal made lacquerware, analyzing the lacquer crafts and techniques, and making metal made lacquerware works. In the course of the study, the history and status quo of metal made lacquerware have been understood firstly, then compare the history and status quo of China, Japan and South Korea, as well a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echniques. Because the metal made lacquerware crafts lies between the metal crafts and the lacquer crafts, there exists a present situation that neither the metal craft artists nor the lacquer crafts artists understand both the crafts thoroughly. Thus, after studying the historical and present situation as well as the techniques, the paper aims to refine the technique from the lacquer crafts and apply it to the metal crafts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