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조경공간 현황 및 구성원의 환경의식 분석

        국지하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학교 숲 가꾸기 운동에 참여한 학교(시범학교)와 참여하지 않은 학교(일반학교)의 학교조경 및 구성원의 환경의식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향후 학교 숲의 바람직한 조성 및 관리방안을 모색하고, 더불어 효과적인 환경교육을 위한 개선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충주시의 초등학교 중 시범학교 4개교와 일반학교 7개교를 대상으로 학교조경의 실태를 식재현황, 식재기반의 토양환경, 시설물현황으로 구분하여 조사·분석하였으며, 학교 구성원인 학생 및 교사를 대상으로 학교 옥외공간의 인식도·만족도, 환경교육 실태 및 만족도 등의 항목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문항의 응답결과는 SPSS ver.15.0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분석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학교는 총 7개 초등학교임에도 불구하고 시범학교 4개교의 총수목 그루수보다 적은 수량을 보였으며, 그 중 낙엽활엽교목이 약 6배 이상 차이를 나타냈고, 전체적으로 교목에 편중된 경향을 나타냈다. 둘째, 시범학교는 시설물 중 놀이시설물이 가장 많고 다양했으며, 일반학교는 체육시설물이 월등히 많았으나, 관리상태에 있어서는 시범학교와 일반학교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아 파손된 시설물의 복원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식재기반의 토양환경은 시범학교와 일반학교간의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전체적으로 유기물함량이 적은 척박한 토양인 것으로 판된되어, 토양비옥도 개선 등 수목생육에 적합한 중·장기적인 계획에 의한 토양관리가 요구된다. 넷째, 학교의 옥외환경에 대한 요구도는 시범학교와 일반학교에 관계없이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시범학교 구성원이 일반학교 구성원에 비해 옥외공간의 인식도가 높았으며, 이는 녹지공간 만족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숲 조성으로 인한 옥외환경의 개선이 학생들의 식물 관찰빈도와 나무이름 인지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나, 환경교육의 실태, 교목·교화의 인지도, 교과서 식물 인지도의 분석결과 시범학교와 일반학교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점으로 미루어 볼 때, 학교 숲 조성 후 적극적인 환경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학생들의 환경의식 고취 및 교육적 효과에 큰 기대를 구하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다섯째, 연구대상지의 환경교육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한 설문조사 분석결과를 통해 시범학교와 일반학교의 교사들이 학교 옥외공간의 체험학습장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학교 조경공간에 있어서 다양한 자연요소의 도입과 환경교육적 측면에서의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desirable school forest development and management plans and elaborate improvement plans for effective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n the school landscape and member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of two group(Type A, Type B). In one group(Type A), the schools that have participated in school forest movement, in the other group(Type B), it has not been so. For this, the current status of school landscape has been examined in terms of current status of planted landscape trees, soil properties of planting base, and current status of facilities against 4 'Type A' and 7 'Type B' elementary schools in Chungju. Furthermor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gainst students and teachers in terms of the awareness and satisfaction of outdoor space and the current status and satisfac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15.0). As a result, the analysis is concluded as follows: First, 'Type B' was fewer than 'Type A' in terms of total trees quantity even though the former (7 schools) was greater than the latter (4 schools) in terms of a number of elementary schools. In terms of a number of Deciduous broadleaved trees, in particular, 'Type A' was six times higher than 'Type B'. In general, the current status planted were concentrated on tree. Second, 'facilities of play' were the most frequently and diversely used in 'Type A' schools while 'facilities of sports' were the greatest in 'Type B' schools. In terms of management and maintenance, no big difference has been observed between 'Type A' and 'Type B' schools. It appears that it's necessary to repair the damaged facilities. Third, no difference has been detected between 'Type A' and 'Type B' schools in terms of soil properties of planting base. It seems that the soil in general is barren with a lack of organic matters. Therefore, proper soil management based on mid and long-term plans (ex: Improvement of soil fertility, etc.) is required. Fourth, even though a request for outdoor environment turned out high in both 'Type A' and 'Type B' schools, 'Type A' members were higher than 'Type B' members in terms of awareness on outdoor space due to significant influence in terms of satisfaction of green space. Furthermore, the improvement of outdoor environment by school forest movemen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number of students' observation of trees and their awareness on tree name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ype A' and 'Type B' school students in terms of current status of environmental education, awareness on school trees and flowers and awareness on trees and flowers on the textbooks. Therefore, it appears that it's hard to improve student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increase educational effect unless environmental education is properly followed after school forest is developed. Fifth, according to a questionnaire survey on problem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research sites and the improvement plans, a request for experience learning site in outdoor space was high both 'Type A' and 'Type B' teachers. Therefore, it appears that school landscape space needs to be further improved in terms of introduction of a variety of natural elements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産業體의 環境애로사항 解決을 위한 環境政策에 관한 硏究

        김우현 계명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에서는 산업체의 환경기술지원 제도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안을 마련하기위하여 지역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염색과 도금 제조업 분야에서 환경문제로 가장 많은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이들 산업체는 대부분 50인 이하의 중소기업이었다. 환경오염 물질을 배출하는 산업체 대부분이 환경처리 및 환경규제가 기업 활동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50인 이상 중소기업은 스스로 환경문제 해결능력이 높은 반면 50인 이하 영세한 중소기업은 환경관련 교육 및 홍보 자료가 매우 부족하고, 환경 개선의지가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 되었다. 50인 이상 중소기업에는 새로운 환경관련 처리기술 소개 및 전문 기술인 교육 위주로 기술지원하고, 사전 예방적 관리 방안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기술지원 하는 반면, 50인 이하 영세한 중소기업에는 실질적인 현장 처리 운영방법에 대한 사후 처리 관리 방안에 중점적으로 기술지원 하는 것으로 제안된다. 기업의 자발적인 참여 의식 유도하고, 지역산업체로부터 높은 호응도를 얻기 위하여 정부, 지자체, 정부산하 환경관련 단체 등을 통한 적극적인 홍보 전략이 필요하다. 기업환경기술지원 제도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정부, 지자체, 정부산하 환경관련 기관 지역 대학, 지역산업체, 지역 연구소등 여러 환경단체 기관으로부터 인프라를 구축하여 연구조사관련 장비 및 환경관련 전문 기술인력 pool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상호 협력 체제를 강화하여 지역산업체 환경문제 해결을 극대화시키다. 기업환경기술지원 제도를 지역산업체로부터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법적, 제도적 관리 방안을 마련함으로서 산업체로부터 환경문제 해결에 더욱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한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at manufacturing industry of dyeing and plating suffer from difficulties in environmental problems through survey local industries to set up the supporting systems of environmental technologies. These industries were small and medium enterprise of less than 50 employees. And we researched that almost Industries that discharge environmental pollutant are largely influenced by environmental treatments and regulations in company activities.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which is above 50 are investigated that solvable ability of environmental problem is high themselves whereas paltry small and medium enterprise have few environmental education and public information data and have very low will of improving environmental problems. In the former case, we proposed to support technology of new treatment process, education for experts, preventive management plans. Otherwise, we suggested to support technology of after treatment and management plans in actual fields. We need active strategies of public information to guide voluntary participation of industries and get agreement of local industries. To activate the supporting system of industrial environment in a practical manner, we maximize solution of environmental problems in local industries as we construct infrastructure from associated environmental institutions like government, a local self-governing body, environmental institutions of an affiliated organization in government, local universities, local industries, local laboratories, reinforce mutual co-operational systems efficiently to apply equipments related research and investigation and pool of environmental experts. To guide voluntary participation in the supporting system of industrial environment in local industries, we drive more positive, active and voluntary participation in settlement of environmental problems from local industries as we constitute legal and institutional management plans.

      •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으로서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지속성에 관한 연구

        이병연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19

        점점 복잡해지고 있는 환경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환경교육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사회환경교육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은 NGO인데 많은 한계를 갖고 있다. 최근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기업으로 하여금 환경교육 프로그램에 관심을 갖고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요소를 찾고자 하였다. 5개 기업의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최고 경영자의 의지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업은 이를 통해 이미지를 개선할 수 있다고 답하였다. 기업의 지속적인 활동을 유도하기 위하여 최고 경영자를 위한 환경교육의 기회가 확대되어야 한다. Environmental problems became more serious and complex and even their impacts were used to expand beyond national borders to be a global phenomena. In order to solve these environmental problems, systematic and continuous, environmental education is absolutely necessary. Currently NGOs take up most of the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but here has many limitations. Meanwhile, the companies has enough facilities, information, capital, and since they can be primary players of critical environmental education. However, they also experienced many difficulties in keeping high quality EE programs in a sustainable manner. This study found 5 companies who maintai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for the last 10 years or longer and tries to identify factors that made those companies to be such long-run program holders. As a result, the Chief Executive's commitment to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was found to be most critical factor for the sustainability of those programs and the expectation on enhancement of company image was picked up as an important factor. Company, their ongoing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are most important to be operating as the CEO is being prepared for the head of environmental education.

      • Healthy community planning을 위한 도시지역 초등학교 옥외공간 녹지 및 보행환경에 대한 연구

        전은정 계명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8719

        In the process of attempting ‘Healthy City Planning’ among advanced countries, great efforts have been made to give an integrated approach to 'Agenda 21' and 'Health for all people'. It is a general trend that the European Healthy City Network in WHO and AFHC (Alliance for Healthy Cities) have been expanded on a large scale and the large number of affiliated cities has also increased since the initiation of KHCP (Korea Healthy Cities Partnership) in 2006. In this paper, the definition of Healthy Community is the process of making efforts to show high-quality life and upgrade the quality of life not just through establishing environment that benefits wellbeing in close contact with local facilities and resources within the community, but also through having all local members participate in consistent physical activities for a healthy lifestyle. Healthy Community Planning is similar to Healthy Setting Approach and the analysis of its effectiveness into open space green and the project of improving walking environment conditions to utilize elementary schools' facilities showed a positive impact upon the quality of life and health improvement by way of local residents' Activity Living. The research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hysical environment of cities has an indirect impact on the behavior of local residents. The availability of elementary schools as community facilities is highly important due to the fact that they guarantee easy access and are open to the general public. Most of all, the green school project makes it possible to bring out a huge usage effectiveness if there is improvement of tree planting project and degree of facilities. Second, the scale of outdoor space in elementary schools and location of facilities can have a huge influence on the way they are utilized. It has been observed that soccer and baseball are the most favorable sports in elementary schools where playgrounds are spacious and lawn grounds and physical education-related facilities are well equipped. On the other hand, it has been detected that relaxation, conversation, waiting, and walking are desirable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s where large forest, walking roads, and resting places are well established. Third, ‘elementary outdoor space tree planting project’ and ‘school zone installation project for elementary school road route’ had a meaningful impact on the perception of local residents' spatial & psychological walking conditions. School tree planting and facilities' extension along with the quantitative enlargement and qualitative upgrading of green land makes it possible to induce the improvement of walking conditions. Most of all, safety and mobility through 'lawn playgrounds' projects, and environmentalism and scenery through the projects of 'designing school forest' and 'school parks' has influenced walking environment conditions. Fourth, according to the research that analyzed the level of urban residents' physical activities, 46.6% showed regular workout and 50.1% showed with a willingness to start physical activities if workout space and facilities had been prepared. The most preferable physical activities by local residents are walking, strolling, jogging and soccer, and most of them are available in the outdoor space of schools. Fifth, based upon the factor analysis of city residents' health conditions, the level of EQ-5D 'Symptom/Discomfort' and 'Insecurity/Frustration' was rather low. However, EQ-5D showed a high level among residents utilizing elementary schools equipped with school tree planting project and satisfactory facilities. Lastly, with regard to urban space planning, the stronger the physical workout is, the better the level of physical conditions is, and the more desirable the walking environment conditions are, the higher the regular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is. The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school outdoor space and walking environment conditions of school road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for local residents' physical activities and health, and had an indirect effect upon the health level of quality life and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For the purpose of introducing Healthy Community Planning, I'd like to firmly propose the integration of 'Healthy City Daegu' with the establishment of school tree planting project, school zone build-up project and healthy city regulations through the leg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선진국을 중심으로 건강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Agenda 21’과 ‘Health for all people’을 통합적으로 접근하는 ‘건강도시계획’이 시도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 유럽지역 건강도시네트워크와 서태평양 지역 건강도시 연맹 가입도시가 점차 많아지고, 우리나라에서도 2006년 대한민국건강도시협의회가 발족되면서 건강도시에 가입하는 지자체가 늘고 있다. 본 연구에서 Healthy Community는 지역사회 안에서 지역의 시설과 자원을 연계하여 건강에 도움이 되는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지역구성원 모두가 건강한 생활양식으로서 지속적인 신체활동을 실천하게 하여 높은 삶의 질을 나타내거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Healthy Community Planning을 위해 초등학교 옥외공간 녹지 및 보행환경개선 사업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학교녹화 및 보행환경개선사업과 학교시설 개방은 지역주민의 활동적 생활을 이끌어내고, 삶의 질과 건강증진에도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도시의 물리적 환경은 지역주민의 행동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준다. 초등학교는 접근성이 양호하고 방과 후 개방되어 있으므로 커뮤니티 시설로 활용성이 충분하다. 향후 학교녹화사업으로 녹지와 시설수준이 개선되면 건강한 생활터로서 초등학교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둘째, 초등학교 옥외공간의 규모와 시설배치는 지역주민의 이용행태에 영향을 주었다. 운동장이 넓고 특히 잔디운동장과 체육시설이 많은 학교에서는 축구, 야구를 가장 많이 하고, 수목이 많고, 산책로와 휴게시설 잘 조성된 학교에서는 앉아서 쉬기, 대화하기, 기다리기, 산책로에서 걷기운동, 산책 등 행동이 관찰되었다. 셋째, 초등학교녹화사업과 스쿨존설치사업은 지역주민의 공간·심리적 보행환경 인식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특히 ‘잔디운동장’ 사업은 안전성과 이동성을 향상시키고, ‘학교숲가꾸기’와 ‘학교공원’ 사업은 환경성과 경관성을 향상시켰다. 넷째, 지역주민의 평소 신체활동 수준은 46.6%는 ‘평소에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고, 50.1%는 ‘운동공간과 시설이 마련된다면 운동을 시작’하려는 의지가 있었다. 지역주민이 선호하는 신체활동 유형은 걷기/산책, 조깅, 축구가 가장 많았고, 모두 초등학교 옥외공간에서 실천 가능한 유형이었다. 다섯째, 지역주민의 건강상태는 EQ-5D 5개 영역 중에서 ‘통증/불편감’과 ‘불안/우울’이 다소 낮았다. 학교녹화 및 시설이 양호한 초등학교에서 학교 이용자의 EQ-5D가 높으므로, 초등학교 옥외공간 녹화사업은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지역주민의 신체활동 강도가 강할수록 건강이 향상되고, 보행환경이 양호할수록 규칙적인 신체활동 참여가 많았다. 상관분석에서, 초등학교 옥외공간 녹지특성과 통학로 보행환경은 지역주민의 신체활동과 건강에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삶의 질(EQ-5D)과 주관적 건강상태(EQ-vas)에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Healthy Community Planning을 위하여 도시공간계획 측면에서 초등학교 녹화사업은 더욱 활성화되고, 초등학교 주변 보행환경은 안전하고 이동이 용이하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 입학 전형에 따른 환경교육과 재학생의 학교 활동 및 진로 탐색 비교 연구

        최유진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19

        Recently environmental pollution or degradation such as climate change, nuclear power plant collapse, and particulate matters have been getting more serious, and as the results, the quality of individual life as well as sustainability of our society have been under risk. As a fundamental approach against environmental problems,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has been recognized, especially for children and adolescent. Environmental education has been taught as an separate subject in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s since 1995, and then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 Dept.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College of Education, there must be a great amount of effort not only to improve the quality of environment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but also to select right students who are better prepared or talented, and more enthusiastic, and concerned with environment and environmental education. For the last couple of years, no environment teacher has been employed by private schools or governmental institute of education, it becomes more important for the environment teacher education profession to better understand students’ motivations, characteristics, satisfaction, and ideas of future career development by the admission types since those understandings could be base for the evaluati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new curriculum for environment teachers. This study was aimed at comparing , analyzing and understanding career searching and school learning activities of environmental education major students by the admission types. For these purposes, a series of data collection, questionnaire surveys and statistical analysis have been adopted to 2016 and 2017 applican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who have entered through admission officier type (hereafter, admission officier group) decided their major or career earlier, more active in school learning and career searching behavior, and more positive for the future of environmental education area their than the students who have entered through non-admission afficier type (hereafter, non-admission officier group). The admission officier group seemed to have higher level of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environmental education activities even though they could not be a teacher. Based on these results, some suggestions including various career introduction programs for highschool students, distinguished career development and intern programs at social EE areas for EE major students by the admission types. For better judgement and decision making, additional studies and continuing survey are needed since there are only 35 students in the admission officier group for the last 5 years and very few students graduated to have jobs. 최근 들어 기후변화, 핵발전소 붕괴, 미세먼지 등 지역적, 지구적 수준에서 환경오염과 환경훼손이 더욱 심해지고, 이로 인해 개인의 삶의 질과 사회적 지속가능성이 위협을 받고 있다. 환경교육은 환경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한 가장 근본적인 접근법으로서, 특히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환경교육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부족할 것이다. 환경을 독립과목으로 가르치고 있는 우리나라의 중등학교에서 환경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준비된 양질의 환경 교사를 양성하고 이들을 임용하여 가르치도록 해야 한다. 환경교육과는 양질의 환경교사 및 환경교육 전문가를 양성할 책임이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양성과정을 잘 만들고 운영하는 것 못지 않게 환경교육에 대해 관심이 있고 적성에 맞는 학생을 제대로 선발해야 한다. 특히 최근 몇 년간 환경 전공 교사가 임용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환경교육과에 지원하고 입학한 학생들의 동기, 특성, 관심도 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사범대학 환경교육과의 환경교사 양성과정을 평가, 개발, 보완하는 노력은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는 2016년 현재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환경교육과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학 동기, 대학생활 만족도, 진로 계획 등을 조사하고, 입학전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6년에 입학사정관 전형으로 지원한 학생들의 자기소개서와 학교생활기록부를 분석하고, 2017년에 입학사정관 전형으로 응시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추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입학사정관 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이 진로 결정 시기가 더 빠르고, 진로 결정 과정에서 동아리 활동과 관련 도서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으며, 대학에서의 활동도 더 자발적이고 교사가 되지 못하더라도 환경교육을 계속 고려하겠다는 의지가 높았다. 비입학사정관 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의 지원동기가 환경교사가 아닌 다른 교과의 ‘교사가 되기 위해서’가 월등하게 높은 반면, 입학사정관 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은 환경교사가 되고자 하는 의지가 더 높았고, 교사가 아닌 환경교육 관련 직업에도 관심을 더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진로 탐색 프로그램(동아리 활동, 독서 자료 포함)과 정보가 가능한 일찍 제공되어야 하고, 입학 전형에 따라 차별화된 양성과정과 면담지도가 제공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다만 아직 입학사정관 전형으로 입학한 학생의 수가 많지 않고 대부분의 입학생이 아직 재학 중인 상황이기 때문에 보다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앞으로 몇 년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Emergy 분석법의 환경관리회계 적용에 관한 연구

        장현숙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박사

        RANK : 248719

        Notwithstanding the widespread belief that environmental accounting system is a practical scheme indispensable for enhancing corporate sustainability, little progress has been made on a study pertaining to aggregate methods that integrate interaction of environmental and economic systems. In light of this, this study aims at establishing the conceptual framework of emergy cost accounting (ECA), a new accounting system from ecological point of view. The study also aims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ECA as a means to manage corporate production and consumption activities under an integrated system inclusive of environment and economy. These allowed the study to form the groundwork for the establishment of scientific and practical accounting system that enables sustainable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decision making of businesses. Accordingly, the study finds the solution for objective measurement of internalization of externality in the emergy theory and further provides a method for measuring environmental cost. As a result of analyzing cognitive change in corporate environment, it was found out that economic standpoint could be branched off into environmental and social perspectives and that environmental decision-making based on such existing standpoint is insufficient in assessing the effect of environmental improvements. On the contrary, this study proved that rational decision could be derived through eco-environmental perspective as such perspective could provide a singular measure of cost required for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the consumption of environmental resources on a basis of emergy analysis value. According to existing energy unit applied generally at present, the quantity of energy unit consumed by case corporations is determined largely by coal, natural gas and electricity by the highest rank. The outcome of ECA analysis tells a different story. According to ECA analysis, the level of emergy contribution declined in order of iron ore, coal and limestone. This attests to the fact that, when comparing energies based on the same energy unit regardless of their different capacity, the value of energy contributing to an enterprise cannot be appropriately assessed. Whereas the conventional cost accounting does not specify waste disposal cost as it is assimilated into product cost, the holistic analysis of case study corporations using ECA estimated the reuse value and energy recovery value of a by-product at 26 trillion Em₩ and 25.9 trillion Em₩ respectively. In particular, environmental cost data with regards to by-products classified by different processes serves as well-grounded information in weighing the benefits of disposal against reuse through investment in terms of managing by-products. This thesis ascertained such fact as it proved the value of a by-product at 0.7432 trillion Em₩ when ECA was applied in coke manufacturing process. EYR and ELR enables comparison between interrelated enterprises and serves as useful data in assessing the systemic improvement through annual and monthly comparisons. It must be kept in mind, however, that ECA could provide useful data for enterprises that put great emphasis o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f global conservation and ecological value of natural environment as one of important corporate management but that ECA is meaningless to those with less emphasis on such values. Nonetheless, sustainability management data from ECA enables internal corporate analysis from a new ecological perspective and paves the way for realizing sustainable business practices of corporations. 환경회계시스템은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실천방법이라는 것과 그 필요성에는 많은 공감이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환경 및 경제시스템의 상호작용을 통합적으로 감안한 전체적인 시스템 관점에서의 구체적인 실천방법 등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태적 관점에 기초한 새로운 회계시스템인 emergy 원가회계(emergy cost accounting; ECA)의 개념적인 틀을 구축함과 동시에,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는 생산 및 소비활동이 환경과 경제를 아우르는 통합적인 시스템 하에서 관리되어 질 수 있는 방안으로 ECA의 적용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기업의 지속가능한 환경관리 및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과학적·실질적인 회계시스템 구축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에 외부성의 내부화에 대한 객관적 측정의 어려움에 대한 답을 emergy 이론에서 구하고, 시스템 생태학이론에 입각한 환경원가측정법을 제안하였다. 기업의 환경에 대한 인식변화를 분석한 결과 경제적 관점에서 협의의 환경적 관점, 사회적 관점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이러한 기존의 관점에 의한 환경관련 의사결정은 환경개선의 효과를 제대로 평가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생태환경적 관점에 기초할 경우 환경보전에 소요된 비용과 환경자원의 소비량을 emergy 분석값에 기초하여 단일척도로 도출함으로써 합리적인 의사결정 지원이 가능함을 보였다. 또한 현재 기업에서 일반적인 에너지 단위로 평가되는 것에 의하면 사례기업의 에너지원이 석탄, 천연가스, 전력의 순으로 사용량 순서가 결정되는 것과는 달리 ECA를 통한 분석결과는 철광석, 석탄, 석회석의 순서로 emergy 기여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서로 다른 에너지들을 그 능력에 대한 고려 없이 단순히 동일한 에너지 단위로 나타낸 후 비교하게 되면 각 에너지가 기업에 기여하는 가치를 제대로 평가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한편 전통적 원가계산에서는 폐기물처리비도 제품원가에 흡수되어 명시되지 않는 것에 반해, ECA를 이용한 사례기업의 전사적인 차원에서 분석결과 부산물의 재이용 가치와 에너지 회수 가치가 각각 8조 1,000억 엠원과 3조 8,800억 엠원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공정별 부산물에 대한 환경원가정보는 부산물의 처리방법에 있어서 투자를 통한 재활용이 더 이익을 주는지 처분하는 것이 더 이익인지를 판단하는데 근거자료가 된다. 이러한 사실은 코크스 제조 공정에 ECA를 적용해 본 결과 부산물의 가치가 5,400억 엠원으로 평가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Emergy 생산비와 산업시스템 평가를 위해 개발된 공식인 환경부하비 평가는 동일 계열의 다른 기업과의 비교가 가능하며 시스템에 대한 년도별, 월별의 비교평가를 통해 시스템의 개선성과를 파악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단, ECA는 지구환경보전에 대한 사회적 책임과 자연환경의 생태적 가치를 경영의 중요한 목적으로 삼는 기업에게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상대적으로 그렇지 못한 기업에서는 그 활용성이 떨어질 수 있다. 그러나 ECA에 의한 지속가능경영 정보는 지구환경의 생태적 측면까지 고려하는 새로운 관점에서 기업 내부 분석을 가능하게 하여 기업의 지속가능경영 실현을 위한 토대를 구축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녹색금융 활성화 방안 연구

        안동규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8719

        The Republic of Korea has embraced green growth as a new paradigm for national development, with an aim to better respond to the global calls for greenhouse gas (GHG) reduction, seek solutions to fossil fuel depletion and create new growth engines in a low-growth economy. Green growth is defined as environmentally friendly economic progress achieved through, for example, saving and efficient use of energy and other resources to mitigate climate change and minimize environmental degradation;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of clean energy sources and green technology to secure new growth engines and create job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look into the present status of green finance, a locomotive for green growth, and find strategies for its development. This study particularly focuses on the point that clear recognition of environmental risks by the providers of green finance, i.e. financial institutions, within the international framework for capital regulation would motivate private companies, the main players in GHG reduction efforts, to accelerate their endeavor. This means that vitalization of green finance will contribute to GHG reduction not only directly, but also indirectly: the international capital regulation, one of the substructures of green finance, can serve as a supplementary tool to the Kyoto mechanism to enforce compulsory reduction targets at a time when the mechanism is facing a growing possibility of falling apart. In addition, the author argues for the need to provide institutional supports in such forms as tax and accounting benefits and carbon trading, as soon as possible to foster green finance. From the perspective of financial institutions, green finance can be defined as a financial service that allows them to contribute to green growth and environmental risk management through better allocation of resourc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hile offering a new source for profit generation. This definition encompasses the following three points: financial support for green growth to pursue environmental improvement beyond a harmony between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fulfillmen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s tighter management of environmental risks by financial institutions themselves encourages their counterparty, i.e. corporations, to strengthen their environmental risk management, in turn; and a new income source in the form of novel financial products and a carbon market. The thesis pays a particular attention to the functions of the Basel Capital Accord, an international regulation on banks' equity capital. The Accord, governing all banks engaged in cross-border settlement transactions, changed the definition of equity capital in accounting to accommodate the concept of risk weighted assets, and thereby urged the financial institutions to improve their financial soundness. Since the Accord regulates individual banks through financial supervisory bodies of each country, it makes banks thoroughly manage credit risk of their counterparties and other various risks stemming from their financial operations, and consequently ensures a global financial safety net to facilitate efficient resource allocation of the global economy. Should the capital regulation mechanism expand in scope and apply across all financial areas including brokerage and insurance services, it shall reap much greater results. However, the Basel Capital Accord in the current form lacks clear recognition of environmental risks and GHG reduction obligations. Environmental risks can be categorized as follows: direct risk where a financial institution has to take a corporate client?s environmental liability directly regardless of the institution?s fault; indirect risk where environmental risk burdens a company and undermines its repayment capability; and reputational risk where a financial institution?s reputation is negatively affected due to its transactions with a company that causes environmental pollution. In this study, the author asserts that the global financial regulation can act as a supplementary tool to enforce GHG reduction targets if a new Basel accord requires financial institutions to quantify and recognize environmental risks, as the requirement would encourage financial institutions to ensure that their corporate clients minimize their environmental risks and reduce GHG emissions. The assertion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companies will strive to lower their environmental risks in accordance with their economic needs (profit maximization), reputational needs (reputational risk management to ensure business continuation) and sustainable management needs (prevention of future loss) to achieve two most important management goals?creating profits and fulfilling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This regulation-based mechanism, when set in motion, will accelerate GHG reduction efforts by businesses without regard to a survival of the Kyoto mechanism, a market-oriented GHG reduction method that is now standing on the brink of collapse. In addition, this will bring in a whole new system where market-oriented and regulation-based mechanisms supplement each other to promote GHG reduction. However, to make this happen, the domestic taxation and accounting systems need to be revamped to meet the global standards.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also provide clear policy directions to minimize confusion, institutionalize environmental risk management guidelines and introduce a domestic carbon market. 우리나라는 기후변화에 따른 전 지구적 합의인 온실가스 감축 대응과 화석연료 고갈에 대한 대안 모색, 그리고 저성장기의 새로운 성장동력 마련을 위해 녹색성장을 국가경제발전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설정하였다. 녹색성장이란 에너지와 자원을 절약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기후변화와 환경훼손을 줄이고, 청정에너지와 녹색기술의 연구개발을 통하여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며,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해 나가는 등 경제와 환경이 조화를 이루는 성장으로 정의되었다. 이 논문의 목적은 녹색성장의 견인차라 할 수 있는 녹색금융의 현황을 살펴보고 발전방안을 모색해 보기 위하여 작성하였다. 특히 녹색금융의 운용 주체인 금융회사에 대한 국제적 자본규제의 틀 속에 환경리스크를 명확히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 온실가스 감축의 주체인 기업들로 하여금 온실가스 감축을 촉진시킬 수 있다는 점에 초점을 두었다. 이는, 녹색금융의 활성화가 온실가스 감축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뿐만 아니라, 녹색금융의 하부구조인 국제자기자본규제가 교토체제 붕괴 가능성 고조에 따른 온실가스 강제감축의 새로운 보조 기제로서 일정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 논문의 핵심적 제언이다. 또한 녹색금융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조세, 회계, 탄소시장 조성 등 제도적 뒷받침이 조속히 마련되어야 한다는 점도 기술하였다. 녹색금융은 금융회사의 관점에서 볼 때, "지속가능발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자원을 배분함으로써 녹색성장 지원과 환경리스크 관리를 동시에 추구하는 한편, 녹색상품 거래를 통하여 새로운 수익창출을 도모하는 금융"이라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첫째, 환경보존과 경제발전의 조화를 넘어서 환경개선을 기반으로 하는 녹색성장을 지원하는 금융의 관점, 둘째, 금융회사 자신의 환경리스크를 철저히 관리하는 것이 금융거래 상대방인 기업의 환경리스크 관리를 촉진하여 기업과 금융회사가 함께 사회적 책임을 이행한다는 관점, 셋째, 탄소시장 등 금융의 상업적 기능을 통하여 녹색금융이 새로운 수익원이 될 수 있다는 관점이 모두 수용된 것이다. 이 논문은 금융회사, 특히 은행에 대한 자기자본규제를 위한 국제협약, 즉 BIS협약의 기능에 주목한다. 국제결제에 참여하는 모든 은행들이 준수하여야 하는 BIS협약은 회계적 자기자본의 정의를 리스크를 감안한 자산 대비 자기자본이라는 개념으로 변경함으로써 은행의 건전성 확보를 유도하는 협약이다. 이 협약은 각국의 금융감독기관을 통하여 개별은행에 대한 규제로 작용하는바, 은행은 이 규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거래기업의 신용리스크는 물론 은행이 금융기능을 수행함에 따라 발생하는 각종 리스크를 철저히 관리하게 되고, 궁극적으로 국제적인 금융안전망 확보를 통한 국제경제의 효율적 자원배분 기능을 원활히 수행토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자본규제 메커니즘이 증권 및 보험감독 등 모든 금융영역으로 확대되는 경우 그 효과는 더욱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현재의 BIS자기자본 규제의 틀 속에는 아직 온실가스 감축의무를 포함한 환경리스크에 대한 명확한 인식이 결여되어 있는 실정이다. 환경리스크는 금융회사의 과실여부에 관계없이 기업의 환경책임을 금융회사가 직접 부담하게 되는 직접위험과 기업의 환경리스크 부담에 따라 상환능력이 악화되는 간접위험 등 환경신용리스크와, 환경오염에 따라 기업의 명예실추가 금융을 제공한 명예도 실추시킬 수 있는 평판위험, 즉 환경운영리스크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주장하는 바는 이러한 환경리스크를 BIS의 자기자본 규제에 최대한 계량적으로 인식하도록 규정함으로써 거래기업 또한 온실가스 감축의무를 포함한 환경리스크를 최소화하도록 유도한다면 국제적인 금융규제가 온실가스감축을 강제하는 보조적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는 기업이 수익증대를 위한 경제적 목적, 생존과 직결되는 평판리스크관리, 미래 손실을 예방하려는 지속가능경영 니즈에 따라 환경리스크를 낮춤으로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수익창출이라는 경영목적을 달성할 것이라는 당위에 근거한다. 이러한 메커니즘이 작동하게 되면 최근 붕괴의 위기를 맞고 있는 시장기반 온실가스 감축 방식인 교토메커니즘의 존속여부와 관계없이 기업의 온실가스 감축이 촉진되는 결과가 올 수 있을 것이다. 즉, 시장기반과 규제기반의 온실가스 감축 메커니즘이 보완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새로운 체제의 도입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메커니즘이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조세제도, 회계제도등이 국제적으로 정비되어야 할 것이며, 우리나라도 정책혼선 등을 조속히 정리하고 환경리스크 관리기준 및 탄소시장 개설 등 제도적 장치 마련을 서둘러야 할 것이다.

      • 환경교육 실시효과 분석 및 제언에 관한 연구 : 대구지역 중학생을 중심으로

        윤선정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환경교육 실시효과 분석 및 제언에 관한 연구로서 환경교육 실시유무에 따른 두 집단을 대상으로 조사대상자의 특성과 환경에 관한 태도, 실천 및 지식간의 차이를 비교·분석하였고, 환경실천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으며,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향후, 학교 환경교육의 추진방향을 설정하는데 있어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먼저, 두 집단 조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환경에 관한 태도, 실천 및 지식의 차이를 살펴보면 첫째, 성별에 따라서 환경교육을 실시한 집단에서는환경지식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남자가 여자보다 환경지식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생활정도에 따른 차이에서는 두 집단 모두 생활정도가 높을수록 환경태도와 실천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다. 둘째, 주거형태에 따른 차이에서 두 집단 모두 아파트에 거주하는 학생들의 환경지식이 단독주택이나 기타 다른 주택에 거주하는 학생들에 비해 약간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그 차이는 통계학적으로는 유의하지 않고 있으며, 학교성적에 따른 차이에서는 사후검증 결과 두 집단 모두 학교성적이 높을수록 환경태도, 실천 및 지식에 있어서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환경문제 인식경로에서는 일상생활의 TV 및 라디오 등과 같은 대중매체로 부터 환경에 관한 정보를 많이 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경인식에 따른 차이에서는 두 집단 모두 환경태도, 실천 및 지식 모두에서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환경교육 실시유무에 따른 두 집단간의 환경에 관한 태도, 실천 및 지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환경교육을 실시한 집단이 환경태도, 실천 및 지식에 있어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환경실천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환경실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친환경 및 재활용, 환경참여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현재 시행되고 있는 중학교 환경교육이 환경실천에 영향을 주는데 많은 부족함을 갖고 있으며, 학생들이 환경에 대한 관심을 유발하는 측면에 있어 매우 미흡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학교 환경교육의 궁극적 목표인 환경에 대한 책임 있는 환경실천을 지닌 시민 양성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 제언이 요구되어 진다. 첫째,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근원적 대안으로서 환경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 학교 환경교육에 대한 새로운 정책이 요구된다. 둘째, 환경실천을 지닌 시민 양성을 위해서는 학교 환경교육이 친환경 및 재활용을 위한 교육, 지식습득의 교육이 아닌 체험을 바탕으로 하는 환경참여, 환경을 먼저 생각하고 환경보전의 필요성을 인지하기 위한 환경실천 교육이 우선 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환경교육은 지식습득이 중요한 교육목적이 아니라 사람의 태도변화나 실천에 궁극적 목표를 두고 있으므로 환경교과 실천위주의 학문이 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며, 이에 맞는 교육내용과 교수방법의 개발도 같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on the effect of environment education and suggestions compare two different groups?one with environment education and the other without it?and analyzes how the groups? characteristics affect their attitudes towards environment, behavior and understanding of the target groups as well as the effect of the education. It also presents suggestions for future environment education based on the research. In this research, we found the target groups behave differently towards environment depending on their characteristics: firstly, gender difference. The subjects demonstrated different level of understanding of environment when educated in men and women groups with men showing higher level of understanding of environment. Also, those from well-heeled family, both in men and women, behaved more environmental consciously. Secondly, type of living. Both men and women living in apartments were more environmentally savvy compared to those living in different types of residence. However, the difference is not based on statistics. Also, the understanding of environment and behavior are better for those performing better in schoolwork. Thirdly, access to environmental issues. Generally, the groups get access to environmental issues through media such as television and the radio. Statistical difference was found in the two groups equally in level of environmental consciousness through behavior, practice and knowledge. When it comes to the effectof environment education on environmental friendly behavior, practice and knowledge, statistical difference was also found with the group provided with environmental education recorded higher in environmental behavior, practice and knowledge. Lastly, factors that affect environmental practice. Environmental friendliness, recycling and pre-environmental participation are positive factors for environment practice. The research has found that the current environment education at middle school still has fell short of encouraging pre-environmental practice for students and failed to bring environmental consciousness to them. Therefore, the research has made the following suggestions in order to encourage more pre-environmental practice in students which is the primary go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at school. First, new education policies are needed as environment education is considered an alternative solution to environment problems more and more. Second, school education must emphasize pre-environmental practice and active participation rather than merely teaching environmental subjects to them to make students more environmentally responsible. Third, environment education is not merely about knowledge and it must be focused on behavioral change and actual practice. To this aim, further research on ways to inspire students environmentally must be followed and thus appropriate teaching and education contents.

      • 환경친화적 골프장 조성에 관한 골프장 내장객의 인식조사 및 선리치골프장 사례연구

        이상걸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19

        도시는 산업화 도시화가 진전되고 경제 성장의 결과, 개인의 소득증대와 여가시간의 증가로 인해 인간의 레저, 관광 욕구가 증대되었다. 국내 골프수요는 05년 이용객수가 1800여만명에 이르러 최근 5년간 평균 10% 이상 증가율을 보이고 있으며, 골프인구는 340만명에 이르고 있다. 따라서 골프는 특권계층의 전유물이 아닌 대중 스포츠로 자리 매김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제규모, 국토면적, 인구 등을 감안 하더라도 외국과 비교할 때 골프장 수가 현저히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골프가 대중 스포츠로 자리매김 함에 따라 늘어가고 있는 신규 골프장의 조성시에 훼손된 자연환경의 복원과, 자연과 함께 하고자 하는 현대인의 욕구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골프장에 대한 이용자 인식 실태를 조사하고 실제 조성된 친환경 골프장의 사례연구를 통하여 환경친화적 골프장을 조성 하고자 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함에 있다. 골프장에 대한 이용자 인식 실태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골프장이 지역개발과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고, 국토의 효율적 활용에 기여하고 있다고 인지하고 있었으며, 주변 환경을 보존하고, 대중적 골프장이 많이 건설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어 자연환경보전에 관심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골프장과 환경오염과의 관계에서 골프장 건설에 따른 환경파괴에 대해서 그렇지 않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이는 기존에 골프장이 야기해 온 환경문제와 골프장과 환경간에 대중들이 느끼는 부정적 시각과는 다소 거리가 있는 것으로 보여 진다. 셋째, 환경친화적 골프장 조성에 관한 문항 중 환경친화적 골프장의 필요성에 과한 질문에서 대부분의 응답자가 긍정적으로 응답하였으며 환경친화적 골프장 설계시에는 앞에서도 언급 했듯이 골프장내에 생태연못 조성과 자연 그대로에 가까운 골프코스 설계 및 조경수목의 자생식물화를 위한 환경친화적 조경설계에 관심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현제 조성중인 골프장으로 대상으로 골프장 조경계획, 골프장 내 관계용수 공급 방안, 생태연못 조성의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골프장 조경설계에 있어서 골프 코스 설계와 조경설계의 분리가 아닌 코스설계자의 의도를 충분히 반영하고도 기존림을 훼손 하지 않아도 될 수 있는 구상을 조경설계자는 제시해야 하며, 골프장 내 수목 식재 계획 시 공간별·기능별 식재 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골프장 내 관계용수 공급 방안은 저류지에 유입되는 우수량 및 오수처리량과 저류지에서 유출되는 증발량과 관개용수 사용량을 고려하여 과거 10년간의 기상자료를 이용 저류지의 물수지를 분석한 결과 관개용수의 사용량은 저류지의 저류수를 사용하더라도 충분한 양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골프장내 생태연못 조성 시 수초대를 조성하여 수질을 정화하는 방법을 활용하고 대상지가 가진 특성과 여건을 최대한 활용하여 습지나 계류를 계획하는데 있어서 환경친화적인 계획의 접근과 생태적인 조성을 고려하였으며, 계류와 계류사이의 저류지내 부유분수를 설치하여 부유분수가 분사 및 파동형성 작용을 통하여 저류수를 순환시킴으로써 녹조현상, 동결, 악취, 바닥찌꺼기 등의 문제점을 효과적이면서 안전하게 정화할 수 있도록 조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조성 중인 대상지를 중심으로 대상지 환경에 맞는 골프장 조성 기법을 연구 적용하였지만 이것이 우리나라의 다양한 지형에서 조성되고 있는 골프장에 대한 환경친화적 골프장의 조성 지표가 될 수 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따라서 환경친화적 골프장에 대한 다양한 조성 기법이 연구,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골프장 조성 후 골프장 관리에 따른 환경친화적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사료된다. The desire for leisure activities and tourism has been increasing in Korea due to higher incomes and increased free time resulting from industrialization, urbanization, and rapid economic growth. In 2005, there were 3.4 million golfers and the demand for golf facilities reached 18 million, averaging a 10 percent of increase in the previous 5 years. While playing golf is not just a sport for the privileged class anymore, the number of golf courses is remarkably less than other foreign countries with comparable economic size, population, and land space. This research is to provide basic data to build environment-friendly golf courses with a case-study of an actual eco-friendly golf course, the Sun Rich Country Club, and to determine golfers’ satisfaction through a survey of their awareness of golf courses.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respondents answered that golf courses contributed to development of local areas and communities, and are efficient usage of land space. In addition, they agreed with building more public eco-friendly golf courses and were interested in preserving ecosystems around golf courses. Secondly, respondents disagreed over the issue of environmental destruction in building golf courses. This showed different views between golfers and the public who understood existing golf courses destroyed the environment and created pollution in surrounding areas. Thirdly, most respondents gave positive answers to questions concerning the necessity of eco-friendly golf courses. Moreover, they were interested in eco-friendly landscape architecture in golf courses, such as building ecological ponds, leaving untouched nature, and placing native plants. This research performed a case-study of a golf course currently being built and its plans for landscape architecture, irrigation systems, and ecological ponds. Results of the case-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landscape architecture, designers need to suggest how to preserve existing plants under the master plans to build golf courses, and prepare a specific plan for placing spatial and functional plants. Secondly, regarding a plan for irrigation systems, an irrigation reservoir was enough for required water supply, which was analyzed by a 10-year database of inflow of rainfall, naturally vaporized water, sewage process, and amount of water usage. Thirdly, regarding a plan for ecological ponds, aquatic plants were used as a water purifier in swamps and streams established in natural environmental conditions featuring eco-friendly and ecological development. Additionally, floating fountains for water circulation should be placed in the reservoir located between streams to resolve several problems efficiently and safely, such as green algae, freezing, odor, and sludge. In conclusion, this research focused on a golf course currently being built where suitable methods were applied to particular configurations of the ground. However,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can not be applied overall to golf courses as a standard index when it comes to being eco-friendly. Therefore, various approaches toward building eco-friendly golf courses should be researched and developed case by case, as well as continuous eco-friendly maintenance for existing cour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