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호텔?관광 전공 대학생의 전공 선택 동기와 직업 선호 동기가 전공 관련 직업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허설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75

        대학의 전공은 미래의 직업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특히 호텔?관광 관련 전공은 일반 상경계열 전공들에 비해 전공과 관련된 직업이 비교적 구체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호텔?관광 관련 전공의 대학생들이 전공을 선택한 동기와 직업을 선호하는 동기가 호텔?관광 전공 관련 직업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성별과 선호 업종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실증조사를 통한 실무적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실증연구를 위한 조사대상을 호텔?관광 관련 전공 G대학교, K대학교, S대학교 3, 4학년 학생들로 선정하였다. 총 300부 중 296부를 회수하였고, 불성실 응답 및 결측치가 있는 57부를 제외하고 239부를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조사 자료에 대한 분석방법으로는 SPSS Ver 18.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구성개념간의 영향관계에 대한 가설검증을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각 변수 간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첫째, 호텔?관광 관련 전공 선택 동기 내재적 요인과 호텔?관광 관련 직업 선호 동기 내재적 요인은 호텔?관광 전공 관련 직업 선호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호텔?관광 관련 전공 선택 동기 내재적 요인, 호텔?관광 관련 전공 선택 동기 외재적 요인과 호텔?관광 전공 관련 직업 선호도간의 영향관계에서 성별이 유의하지 않은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호텔?관광 관련 직업 선호 동기 내재적 요인과 호텔?관광 전공 관련 직업 선호도간의 영향관계에서 성별은 부분적으로 유의한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호텔?관광 관련 전공 선택 동기 내재적 요인, 호텔?관광 관련 전공 선택 동기 외재적 요인과 호텔?관광 전공 관련 직업 선호도간의 영향관계에서 선호 업종이 유의하지 않은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호텔?관광 관련 직업 선호 동기 내재적 요인, 호텔?관광 관련 직업 선호 동기 외재적 요인과 호텔?관광 전공 관련 직업 선호도간의 영향관계에서 선호 업종이 유의하지 않은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호남지역 관광호텔 활성화 방안

        염순민 세종대학교 산업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75

        2012년 외래방문객실태조사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 수는 1961년 1만명, 2000년 500만명, 2010년 88만명, 2012년 11,140만명 등으로 급증하는 추세이지만, 호남을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은 2011년 3.9%에서 2012년 4.1%로 증가하는데 그쳐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또한 2011년도에 집계된 전국 관광호텔업 현황 자료에 의하면 전국 관광호텔 644개소 70,763객실 중 호남지역은 67개소 4,307객실로 전국 객실의 6.08%를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영남지역의 13.2%, 호서지역의 6.6%와 비교하여 낮은 객실 보유 비율을 보이고 있다. 객실이용률 또한 호남지역에서 국제적인 큰 행사가 있지 않는 한 해마다 감소 추세를 보였다. 이에 호남지역의 관광호텔들은 운영상의 경제적 어려움으로 휴업 또는 폐업하는 업체수가 해마다 발생하고 있고, 신규 특급호텔 등 관광호텔의 유치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이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국내관광관련 기관에서 발간되는 2008년∼2012년(5년간)의 관광호텔 현황, 관광산업 현황 등 각종 통계자료를 분석하고, 정기간행물, 전문가들의 연구용역 내용, 광주 특2급 P관광호텔 총지배인 J씨, 광주 D대학 호텔관광과 S교수, 전라남도 강진군 문화관광과 관광진흥팀 K주무관 등과 일대일 면접 내용을 참고하여 호남지역 관광호텔 실태 분석 및 호남지역의 관광호텔 활성화를 위해 개선되어야 할 점들을 조사한 뒤, 호남지역으로 국내외 관광객을 유인할 수 있는 관광 자원 및 관광 정책을 활용하여 호남 지역의 관광호텔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조사된 문제점을 두 가지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통, 호텔 및 숙박 시설 등 관광 인프라가 낙후되어있다. 막대한 자본이 필요한 사업인 만큼 자금 조달의 한계점으로 인해 인프라 구축이 어려운 실정이고, 관광객 수요 및 관광 소득에 대한 타당성 등의 부재로 민간 자본 투자가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전문 경영인들의 부재로 다양한 브랜드 호텔이나 테마형 호텔, 특색있는 객실 상품이 부족하여 효과적인 운영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고, 마케팅 전문가의 부재로 적극적인 홍보 및 영업 전략이 미비하다. 따라서 서울로 입국하는 외래관광객이나 타지역에 있는 국내관광객들의 이동과 숙박 등의 체류관광이 불편한 실정이다. 둘째, 유명 관광명소, 지역축제 및 볼거리가 부족하다. 다양한 문화자원이나 관광자원은 존재하나 타 지역의 관광자원에 비해 차별성과 특수성의 부재로 연계관광이 어려운 실정이므로, 이 또한 국내외 체류 관광객의 유입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이러한 열악한 관광 실태를 해결하고 호남지역의 관광객 유입을 위해서는 정부나 지자체, 시민들이 적극적인 관광 산업 변화에 동참하여야 한다. 기본적으로 관광 인프라 시설을 구축하고, 특색 있고 차별적인 관광 상품 개발이 필요하다. 관광객들을 맞이하기 위한 관광안내소 설치나 호텔, 음식점, 쇼핑몰의 외국어 간판, 메뉴판, 안내문 설치 등도 기본적으로 해결해야 할 일들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갑작스러운 한류 열풍으로 외래관광객들의 관심과 방문이 늘면서 범정부적으로 관광 산업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많은 관광산업 발전 계획을 세우고 예산을 편성하고 있다. 호남 지역 자체적으로도 관광도시로 만들기 위해 광주 아시아문화전당권 개발, 도심권 내의 공원 개발, 5.18민주화와 연계된 체험 공간 조성, 종교 명소화 사업, 크루즈 관광, 목포 마리나항만 조성, 서남해안관광레저도시 조성, 섬개발 프로젝트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면서, 여러 문화관광콘텐츠 상품들을 개발하고 있다. 이러한 사업들과 연계하여 그 사업에 알맞은 형태의 관광호텔을 적시 적소에 유치하도록 유도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해 부지 저가 제공과 더불어 운영 시 필요한 재정의 유연한 지원 및 각종 세제 지원 정책 수립 등 제도적 문제점들을 개선시킴으로써, 호남지역의 특급호텔 및 다양한 형태의 관광호텔 신규 유치와 기존 호텔들의 운영 활성화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관광호텔산업에 대한 고찰 : 인천광역시의 국제도시 활성화에 따라

        백범진 동국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75

        The purpose of this study Hospitality and Tourism Hotel Industry in Incheon to the activation of an international city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ourist hotels in Incheon International City for Industry Analysis and activated according to the tourist hotel industry vision to present and future challenges is intended. In this study, research and reference material body through the study of long-term supply of tourist hotels in Incheon absolutely necessary that were analyzed.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ata, in 2012 the country foreign entrants million in 1114 showing an increase of 12.5% ​​average, and the property has a 2,012 foreign tourists stay at this hotel by 73.4 percent per year is. Hotel accommodation in the national tour of 683 basis points in 2012, 74,737 rooms, and a total of 46 places of Incheon Tourist Hotel rooms and approximately 4110, but the city as an international tourist hotels characterization and vision, considering a lot of the supply lacks. Also be extended for the period of stay of tourists and tourist accommodation form of long-term-stay tourism because of changing form or in the form of holiday accommodation tourism is expected to grow. In this study, activated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city of Incheon Tourist Hotel Industry to the activation of the hotel properties and hospitality of the city's international status as an international city, Incheon, analyzes the development of the hotel and hotel for the vision and future challenges presented . First, the global trend of tourism demand and determine the status of supply and demand, compared to the lack of tourist hotels to find out the actual situation for the absorption of the future demand for tourism in conclusion stressed the need for supply. Second, as an international city, Incheon, but the charm of the city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to promote the level of support is needed. Further to other cities to prevent the outflow of tourists in order to absorb Incheon, Incheon, but to raise the attractiveness of the elements for the mega event and tourism development and will be developed. Third, compared to the weak domestic tourism infrastructure of Incheon, Incheon Tourist Hotel industry has pointed out the problems, thereby tourist accommodation types to meet various tourism infrastructure development to induce them to support the institutional framework was presented as a way to raise . Fourth, as an international city of Incheon, Incheon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eign investment and emphasize the importance of activation, subsequent collaboration with the government and with the support of the local government tax incentives and regulatory reform as a way to propose. Given such a situation, the national tourism demand and large events in Korea to attract foreign domestic tourists and foreign tourists due to an increase in the supply of tourist hotels along with should be. The cosmopolitan city of Incheon, enabling hospitality services of the hotel need improvement. Incheon as an international city,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situation that is gradually evolving. For example, the 2014 Incheon Asian Games, promoted as an international business center and gradually established for business purposes as well as foreign nationals and tourists to business requirements have to absorb. Commensurate with its status as an international city thus improving the quality of service that may be required. The future as an international city, Incheon Hotel hospitality can be pursued in the long term for the activation of a tourist hotel facilities open, service quality improvement, and tours and various administrative policies will need to be determined. Incheon is also promoting projects is expected to be accompanied. Thus, for this empirical research will also must be parallel. 이 연구의 목적은 인천광역시의 숙박업과 관광호텔산업의 활성화를 위하여 국제도시의 특성을 반영한 인천광역시의 관광호텔산업에 대한 분석과 국제도시 활성화에 따른 관광호텔산업의 비전 및 향후 과제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참고 자료 조사와 본문 연구를 통해 장기적으로 인천광역시 내 관광호텔의 공급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각종 통계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2년도 우리나라 외국인 입국자는 1,114만 명으로 평균 12.5%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으며, 외국인 관광객이 체류하는 시설은 2012년도 기준 73.4%이 호텔을 이용하고 있다. 전국 숙박시설 중 관광호텔은 2012년 기준 683개소, 74,737객실이며, 인천광역시는 총 46개소의 관광호텔과 약 4,110객실을 보유하고 있으나, 국제도시로서의 특성화와 비전을 고려하면 관광호텔이 공급이 많이 부족한 상황이다. 또한 관광객의 숙박 체류기간도 연장되고 있으며 관광객의 형태도 체류형으로 변하고 있기 때문에 장기 관광 형태나 휴일 숙박관광의 형태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천광역시의 국제도시 활성화에 따른 관광호텔산업의 활성화를 위하여 국제도시의 특성과 호텔 숙박업의 현황을 분석하여 국제도시로서의 인천광역시의 호텔 숙박업 발전에 대한 비전과 향후 과제에 대해 제시하였다. 첫째, 전세계적인 관광수요 증가 추세와 현황을 파악하여 수요에 비해 부족한 관광호텔 공급 실태를 알아보고 향후 관광수요의 흡수를 위한 공급의 필요성을 결론에서 강조하였다. 둘째, 국제도시로서 인천만의 도시 매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 더 이상 다른 도시로의 관광객 유출을 막고 인천으로 흡수하기 위해서는 인천만의 매력을 상승시키기 위한 메가 이벤트와 관광요소를 개발하고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셋째, 국내에 비해 취약한 인천의 관광 인프라를 인천 관광호텔산업의 문제점으로 지적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숙박관광형태에 부합하기 위하여 다양한 관광 인프라 개발을 유도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을 방안으로 제시했다. 넷째, 인천의 국제도시로서의 특성을 통한 인천의 외국인 투자 활성화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했으며, 이에 따른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협력과 지원으로 세제혜택과 규제개혁을 방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이 같은 상황을 감안해서 국민관광수요와 한국의 외국인 유치를 위한 대형 행사 등으로 인한 국내 관광객과 외국인 관광객의 증가에 따라 관광호텔의 공급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인천광역시의 국제도시 활성화에 따른 호텔 숙박업의 서비스 향상이 필요하다. 인천광역시는 국제도시로서의 특성에 따라 점차 발전해 가고 있는 상황이다. 예를 들어 2014인천아시안게임과 국제비즈니스센터 설립 등의 추진은 점차 내국인 비즈니스 용도뿐만 아니라 외국인 비즈니스 및 관광객까지 흡수할 수 있는 요건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국제도시로서의 위상에 걸맞은 서비스의 질적 향상이 필수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는 인천광역시가 국제도시로서의 호텔 숙박업 활성화를 위해 장기적으로 추진될 수 있는 관광호텔의 시설개설, 서비스 질 향상 및 관광 상품과 각종 행정정책수립이 필요할 것이라 판단된다. 또한 인천시 홍보 프로젝트 등이 동반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를 위한 실증적 연구 또한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 미·중·일 외래관광객의 한국호텔수요결정요인

        이정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 논문은 수많은 호텔산업관련 연구 중에서 우리나라에 입국하는 외래관광객의 상위순을 이용하여 일본, 미국 및 중국 등 주요 송출국 외래관광객들의 행태가 거시경제변수들에 의해서 어떻게 영향을 받고 있는 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이들 주요 송출국 외래관광객들의 국내호텔수요의 행태에 대한 특징을 찾아볼 것이며, 이를 토대로 하여 주요 송출국 외래관광객 유치를 위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는데에 주요 목적을 두었다. 첫째, 본 논문은 월별자료를 사용함으로써 주요 송출국 외래관광객들의 국내호텔수요에 따른 계절성을 파악하기 어려웠으나, 분기별 자료를 수집·사용하여 분석하여 보는 것도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우리나라를 방문하는 주요 송출국의 국민소득의 대용변수로 각국의 산업생산지수를 사용하였으나, 1인당 GDP 또는 전체 GDP 총량을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 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본 논문에서는 주로 양적 변수만을 갖고서 호텔수요함수를 추정하였으나, 외환위기를 전후로 한 정책적 구조변화에 따른 질적 변수를 사용하여 추정하지 못한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점 등을 고려하여 충분한 검토가 요구된다.국 외래관광객들의 행태가 거시경제변수들에 의해서 어떻게 영향을 받고 있는 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이들 주요 송출국 외래관광객들의 국내호텔수요의 행태에 대한 특징을 찾아볼 것이며, 이를 토대로 하여 주요 송출국 외래관광객 유치를 위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는데에 주요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관광수요함수와 호텔수요함수 등을 참고로 하여 본 논문의 추정모형을 설정하였으며, 가성회귀와 자기상관문제를 불식시키고자 로그-차분방정식을 이용하였다. 또한 주요 송출국인 미국, 일본 및 중국 등의 1990년 1월 ~ 2001년 12월까지의 (단, 중국은 1994년 1월부터) 주요 변수에 대한 자료를 갖고서 코크란-오컷 반복추정방법(Cochane-Orcutt Estimation Method : CORC)으로 우리나라 호텔수요의 모형을 추정하여 보았다. 추정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를 방문하는 주요국 관광객의 호텔수요의 주요 변수에 대한 단기 및 장기탄력성을 분석한 결과 두 가지의 중요한 특징을 찾아볼 수 있었다. 첫번째는 송출국별 관광호텔의 소득탄력성에서 찾을 수 있었다. 즉, 일본인 관광객이나 중국인 관광객의 호텔수요는 비탄력적으로 추정 및 계산되어 호텔수요를 보통재로 인식하고 있는 반면 미국인 관광객의 호텔수요는 탄력적으로 추정 및 계산되어 사치재로 인식하고 있다는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두 번째는 송출국별 관광객의 호텔수요의 탄력성을 검토한 결과, 미국인 관광객의 우리나라 호텔수요함수로부터 제시된 탄력성의 절대값이 일본인 관광객이나 중국인 관광객의 우리나라 호텔수요함수로부터 제시된 탄력성의 절대값보다 크게 나타나고 있다는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우리나라를 방문하는 주요국 관광객들의 호텔수요의 단기 소득탄력성은 미국을 제외하고 비탄력적으로 추정되었으며, 장기탄력성은 일본과 미국에서 탄력적으로 계산되었다. 따라서 단기적으로 우리나라 호텔수요는 일본관광객과 중국관광객에게 있어서 보통재로 인식되고 있는 반면 미국관광객에게는 상대적으로 사치재로 인식되어지고 있다고 판단된다. 본 논문의 한계점으로는 자료부족 등 상당히 제약적인 상황하에서 우리나라를 방문하는 주요 송출국 외래관광객들의 국내호텔수요의 행태를 다루었으나, 다음과 같은 점에서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첫째, 본 논문은 월별자료를 사용함으로써 주요 송출국 외래관광객들의 국내호텔수요에 따른 계절성을 파악하기 어려웠으나, 분기별 자료를 수집·사용하여 분석하여 보는 것도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우리나라를 방문하는 주요 송출국의 국민소득의 대용변수로 각국의 산업생산지수를 사용하였으나, 1인당 GDP 또는 전체 GDP 총량을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 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본 논문에서는 주로 양적 변수만을 갖고서 호텔수요함수를 추정하였으나, 외환위기를 전후로 한 정책적 구조변화에 따른 질적 변수를 사용하여 추정하지 못한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점 등을 고려하여 충분한 검토가 요구된다. This thesis is to study the tendency of Korean hotel demand of foreign tourists from major sending countries such as U.S., Japan and China by examining high rank order of foreign tourists who visit Korea, but there exist restricted conditions such as lack of data.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make an improvement as following. First, it would be desirable to collect and analyze quarterly data because it was difficult to understand seasonality depending on major foreign tourists domestic hotel demand by using monthly data as I did in this study. Second, each countrys exponent of industrial production was used as the substitute variable of national income of major sending countries, however, it would be better to use GDP per person or the entire GDP total amount. Third, the function of hotel demand was presumed with quantitative variable for the most part in this study, but it has some limitations such as not using quantitative variable in accordance with change of political structure before and after the foreign exchange crisis. Therefore, more detailed study will be necessary after considering these limitations. In this thesis, I intend to understand how macro economic variables affect tendency of foreign tourists. I will study characteristics on the tendency of domestic hotel demand by foreign tourists from major sending countries as well. The main object of this study is to propose political alternative plans and induce foreign tourists. To meet this object, I established the presumed model based on the existing tourism demand function and hotel demand function and used Log-Difference-Equation to remove Spurious Regression and Autocorre lation in this study. I also estimated the model of Korean hotel demand. I collected the data on main variables of major sending countries such as U.S., Japan and China from January, 1990 to December, 2001 (in case of China, from January, 1994) and I used it to estimate the model of Korean hotel demand with Cochane-Orcutt Estim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estimated result, I found two important characteristics after analyzing short-term and long-term elasticity about main variables of hotel demand of foreign tourists who visit Korea from major countries. The first characteristic is that the income elasticity of tourist hotels per each tourist sending country. That is, the hotel demand of Japanese or Chinese tourists are estimated and calculated inelastically, so the hotel demand is regarded as common goods On the other hand, the hotel demand of U.S. tourists is estimated and calculated elastically and the hotel demand is regarded as luxury goods. The second one is that the absolute value of U.S. tourists presented from the hotel demand function of Korea is greater than that of Japanese or Chinese tourists presented from the hotel demand function of Korea. Moreover, the short-term income elasticity of hotel demand of Korea visiting tourists from major countries was estimated inelastically except for U.S. and the long-term elasticity was calculated elastically in case of Japan and U.S. Therefore, I concluded that the Japanese and Chinese tourists regard the hotel demand of Korea as common goods in a short-term period, however, the U.S. tourists consider it as luxury goods relatively. This thesis studies the domestic hotel demand of foreign tourists who visit Korea from major sending countries, for example, U.S., Japan and China under the extremely restricted condition such as lack of data. Consequently, there should be improvements as following. First, it was difficult to understand seasonality depending on the domestic hotel demand of foreign tourists from major sending countries by using monthly data in this thesis, so tit would be better to collect and use the quarterly data to analyze. Second, the exponent of industrial production of each country was used as the substitute variable of the national income of three major sending countries, but it would be desirable to use GDP per person or the entire GDP total amount. Third, the quantitative variable was mostly used to estimated the hotel demand function and yet, the qualitative variable was not considered and estimate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political structure before and after the foreign exchange crisis. Therefore, there should be more specific study by considering those limitations in the future.

      • 호텔관광산업의 직업결정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박서아 세종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9775

        호텔관광산업의 직업결정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호텔관광산업은 다른 산업보다 인적 의존도가 높다는 점에서 인적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호텔관광기업에서 고객과 직원간의 상호작용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직원의 태도와 행동은 고객만족이나 고객 충성도에 직결되는 서비스품질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호텔관광 종사원들의 서비스 태도와 행동에 따라 매출은 물론 고객만족, 고객 충성도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호텔관관기업들의 인적자원은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잠재적 호텔관광산업의 인력인 호텔관광산업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 직업을 선택할 때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인들이 어떤 것이 있는지 탐색하고, 행동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 통제들이 직업을 선택하는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요인들 간의 인과관계 고찰을 통해 호텔관광산업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인적자원 방안에 대한 시사점 제시에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에 따라 호텔관광산업의 직업에 관심이 있는 서울, 경기, 충청지역의 2년제, 4년제 대학의 호텔관광경영학과 학생들을 설문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조사방법은 편의표본추출법을 통해 실시하였다. 배포된 총 430부의 설문지 중 총 403부가 회수되었으며, 이 중 유효표본 302부를 본 연구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과학분석에 널리 쓰이는 SPSS18.0과 AMO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분석, 신뢰도 분석, 탐색 및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의 검증을 위하여 구조모형분석을 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인턴십 경험 여부와 학교의 유형의 차이가 직업결정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추가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한 결과, 호텔관광산업의 이미지가 직업을 결정하고자 하는 직업 결정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행동에 대한 태도 즉 자신이 호텔관광산업의 직업을 결정하는 것에 대한 자신의 태도가 직업 결정의도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자신의 주변사람(친구나 가족 등)의 의견은 자신이 직업결정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신이 인지한 호텔관광산업의 직업을 결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행동이나 능력들은 직업 결정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과 관련된 부수적인 이익이나 직업의 환경요인들은 직업을 결정하는 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인턴십의 경험 유무와 학교 유형(2년제, 4년제)에 따라 호텔관광산업의 직업결정요인과 직업결정의도에 어떠한 조절효과를 미치는지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제시할 수 있는 추가분석이 요구되어진다고 판단되었고, 분석결과 측정동일성 차원에서의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측정동일성이 충족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생들의 인턴십 경험 여부가 직업결정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인턴경험의 유무에 따른 직업선택속성의 편차를 검증하기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인턴경험의 유무에 따라 호텔관광산업을 통한 자아실현의 가능성을 다르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턴십 경험이 없는 학생들의 경우, 호텔관광산업이 개인의 자아실현 가능성에 상대적으로 낮은 기대를 하고 있지만, 인턴경험이 있는 학생들의 경우,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기대를 형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턴경험의 유무에 따라 호텔관광분야의 직업선택에 대한 개인의 태도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유형에 따른 직업선택속성의 편차를 검증한 결과, 호텔관광산업에 대한 4년제 대학의 학생의 이미지가 2년제 대학 학생이 가지고 있는 이미지보다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업무차원에서 누릴 수 있는 여행 및 할인과 같은 다양한 혜택에 있어서도 4년제 대학 학생들과 2년제 대학 학생들 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그리고 행동에 대한 태도와 인지된 행동통제 항목에 있어서 4년제 대학 학생들과 2년제 대학 학생들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임으로써 4년제 대학 학생들이 직업탐색을 하는 데 있어서 보다 계획적이고 합리적으로 대응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직업선택요인이 호텔관광산업 취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진로장벽의 조절효과

        신아현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775

        국문초록 호텔관광산업은 대표적인 인적서비스 산업으로 이를 무시할 경우 만족도와 평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COVID-19로 정체성을 위협받는 경영난 속에서 상당한 비용지출을 차지하는 인건비를 줄여야 하지만, 전문 서비스 인력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이 호텔관광산업의 딜레마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호텔관광산업의 고급인력 확보와 유지를 통한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 호텔관광산업의 잠재인력이자 가장 많은 전공자가 배출되는 전문대학 호텔관광계열 대학생이 직업선택에 있어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탐색하고, 진로장벽의 조절효과를 검증해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호텔관광산업 인적자원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실제 취업 준비를 하게되는 호텔관광계열의 졸업반 학생을 대상으로 수도권 5개 전문대학을 표본으로 직업선택요인, 호텔관광산업 취업의도, 진로장벽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2020년 9월 한달간 550부를 배포하였고, 총 535부가 회수되었으며 분석에 부적합한 표본을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509개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가설 검증에 앞서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 결과 독립변수인 직업선택요인은 2개의 요인으로 분류되었고, 첫 번째 요인은 내적성장 및 직업이미지, 두 번째 요인은 외적근무환경으로 명명하였다. 종속변수인 호텔관광산업 취업의도는 하나의 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신뢰도분석결과 각각의 신뢰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장벽의 각각 변수를 진로장벽이 높다고 지각하는 표본집단과 진로장벽이 낮다고 지각하는 표본집단을 더미변수로 구분하여 두집단간의 영향관계 차이가 존재하는지 알아보고자 더미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독립변수의 두 요인인 내적성장 및 직업이미지와 외적근무환경은 모두 호텔관광산업 취업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제적 어려움, 지식기술 부족, 학점, 인턴십 경험 더미변수는 호텔관광산업 취업의도에 유의한 음(-)의 회귀계수를 보고하여, 경제적 어려움과 지식기술 부족을 높게 지각하고, 학점이 낮거나, 인턴십 경험이 전무한 학생들은 그렇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직업선택요인이 호텔관광산업 취업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가 낮은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장벽과 관련한 변수 중 대인관계 어려움, 신체적 열등감, 외국어(영어, 일본어, 중국어)능력의 더미변수는 비유의한 회귀계수를 보고하여 집단간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앞선 더미회귀분석에서 진로장벽과 관련한 변수들 중에서 직업선택요인과 호텔관광산업 취업의도 영향관계에서 집단간 차이가 있다고 밝혀진 경제적 어려움, 지식기술 부족, 학점, 인턴십 횟수와 독립변수인 내적성장과 직업이미지의 상호작용항을 도출하여 세부적인 조절효과분석을 실시한 결과, 내적성장 및 직업이미지가 호텔관광산업 취업의도에 미치는 영항관계에서 경제적 어려움과 지식기술 부족은 유의한 음(-)의 회귀계수를 학점은 유의한 양(+)의 회귀계수를 보고하였고, 인턴십 횟수는 비유의한 회귀계수를 보고하였다. 이는 내적성장 및 직업이미지와 호텔관광산업 취업의도 영향관계에서 경제적 어려움과 지식기술부족을 높게 지각할수록 영향관계가 낮아지고, 학점이 높은 학생일수록 영향관계가 높아지는 것을 의미하며, 인턴십 횟수는 내적성장 및 직업이미지요인과 호텔관광산업 취업의도 영향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조절변수 경제적 어려움, 지식기술 부족, 학점, 인턴십 횟수와 독립변수인 외적근무환경의 상호작용항을 도출하여 세부적인 조절효과분석을 실시한 결과, 외적근무환경이 호텔관광산업 취업의도에 미치는 영항관계에서 경제적 어려움과 지식기술 부족은 유의한 음(-)의 회귀계수를 보고하였고, 학점은 유의한 양(+)의 회귀계수를 인턴십 횟수는 비유의한 회귀계수를 보고하였다. 이는 외적근무환경과 호텔관광산업 취업의도 영향관계에서 경제적 어려움과 지식기술 부족을 높게 지각할수록 영향관계가 낮아지며, 학점이 높은 학생일수록 영향관계가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인턴십 횟수는 외적근무환경이 호텔관광산업 취업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더미변수를 통한 회귀분석과 상호작용항을 투입한 조절회귀분석간의 해석에 차이를 가져온 인턴십횟수 변수에 대한 조절효과 존재여부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Chow의 회귀계수 차이검정을 실시하여 강건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내적성장 및 직업이미지가 호텔관광산업 취업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인텁십경험은 1% 수준에서 회귀계수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더미변수를 통한 조절회귀분석 결과와 일맥상통하는 것으로 인턴십 경험을 통해 학생들은 호텔관광산업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게 되고, 호텔관광산업에 대해 적성의 적합도를 판단하는 좋은 계기가 되어 호텔관광산업 취업의도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발휘하지만 이는 인턴십 경험의 유무에만 차이가 있을 뿐 인턴십 경험을 많이 한다고 해서 호텔관광산업 취업의도가 높아지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었다. 주요어 : 직업선택요인, 호텔관광산업 취업의도, 진로장벽

      • 호텔의 불평행동처리가 고객의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관광객을 중심으로 -

        최영철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75

        현대의 시대보면 고객은 소비의‘왕’이 아니고, 기업 존립의 이유이자 전부라고 할 수가 있다. 현대의 고객이 호텔의 업무 서비스 관련된 상당한 지식은 소유하고 있다는 경우가 많으며, 그리고 고객이 고품질의 서비스를 받기를 기대를 할 것이다. Chep & Ridgge(1992)은 ‘만약에 제공서비스를 실패하였을 경우가, 고객부터 신뢰를 얻을 수 있다는 최선에 수단은 실패되는 서비스가 회복을 위하고 호텔들이 노력이’라고 강조를 할 수가 있다. 고객의 서비스품질과 기대치는 불일치를 때문에 불만족은 느끼하고 불만들은 표출을 하는 경우가, 그 서비스 실패를 발생하는 경우 그것은 적절히 처리하고 고객이 만족은 회복을 시키고, 그리고 많이 나아는 신뢰정도가 얻은 것이 할 수가 있느냐 하는 것을 호텔 경영하는 기업들이 유념해야할 제일 중요한 과제이다. 그리고 진정으로 고객만족을 경의의미는 이해하고 이를 실천하고 호텔들이 드문 실정이다. 그리고 이 연구가 많은 호텔 같은 기업들의 고객들이 불평처리가 과정에 대한 고객인식 호텔의 대해 사후 행동과 신뢰에 미치고 있는 관계를 분석하고 그거보다 실질적으로 호텔의 경영의 도움이 줄 수가 있다. 본 연구의 조사 목은 불평처리과정에 대한 고객의 인식이 호텔에 대한 만족도에 미치는 향과 사후 행동, 즉 재방문의도와 관계단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호텔을 이용할 때 불편한 요인이 생기며, 그 불평에 대해 불평이 제기해보는 경험이 있는 한국에 방문 고객들을 대상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불평에 대해 처리후의 고객들의 만족도는 어떻게 영향을 하는지 파악하고 있으며 장기적인 고찰을 할 때는 고정적인 고객들을 확보함으로써 경쟁이 있는 호텔들보다 우선고려를 가지고 있는데 분석의 목표를 둘 수가 있다. 본 연구는 호텔의 불평처리를 구성하고 있는 특성들을 분석하고 적합한 구성요인을 파악하여 이들이 중국 관광객들의 만족도 몇 사후행동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호텔의 발전과 중국관광객들이 유치한 호텔마케팅 활동에 대해 유용한 정보를 제시하고자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호텔의 불평처리가 중국 고객들의 만족도 몇 사후행동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 하에 호텔의 불평처리를 형성하는 특성들이 중국 고객들의 만족도 몇 사후행동에 어떻게 작용하며, 인적 서비스 수준에 따라 어떻게 작용과 관련성을 파악함으로써 중국고객들에게 호텔의 좋은 불평처리를 제공하여 호텔마케팅 차별화의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존의 문헌조사를 배경으로 연구의 모형과 가설을 실정하였으며, 설문지를 통해 분석을 위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한국 호텔에 방문한 중국 고객들을 대상으로 3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회수된 350부 중에서 불성실과 마구잡이로 응답한 설문지는 심한 15부, 제외한 335부를 최종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 통계적 특성의 분석결과 전체 335명 중 먼저 표에서 보면 응답한 사람 중에 남자는 123명(36.7%), 여자는 212명(63.2%)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낮은 비율은 나온다. 결혼상황방면에 기혼이 95명(28.4%), 미혼이 240명(71.6%)으로 나오고 있다. 연령상에 차의를 비교하면 20대는 103명(31.2%)으로 제일 많이 나오고 있고, 30대 90명(26.9%), 40대 80명(23.9%), 50대 64명(19.1%)으로 나온다. 그리고 설문에 대답한 사람들의 직업이 따라 검사의 결과는 보면 기업자는 82명(24.5%)랑 사업사가 82명(24.5%)으로 같은 비율로 나오고 있으며 기관단체 12명(3.6%), 자영업 33명(9.9%), 학생 61명(18.2)%, 그리고 마지막은 기타 직업을 당업자 65명(19.4)으로 나오고 있다. 다음은 월평균 소득은 200-300만원은 37.1%로 제일 많이 나오고 있으며, 200만원 미만 33.1%, 300-300만원 16.1%, 500만 이상 11.3%, 400-500만원이 2.4%의 순수로 나오고 있다. 그 다음은 방문 한 고객의 방문 회수를 분석 결과는 1회가 112명(33.4%), 4-5회 32명(9.6%), 6회 이상이 20명(6.1%), 2-3회 171명(51.31%)로 제일 높은 비율은 결과로 나오고 있다. 입주이유의 표본 분포는 여행은 40%, 줄장이 25.4%, 휴양이 18.2%, 가타이유 16.4%의 수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호텔의 불평처리는 중국 고객들의 만족도 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문 중에 제출한 호텔의 불평처리에 3개 특성은 중국 관광객들의 만족도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력이 있었다. 특히 호텔의 불평처리에 특성 중에 호텔의 불평처리에 상호작용공정성은 중국 관광객들의 만족도에 영향력이 가장 높다. 즉 호텔의 불평처리가 개선하면 중국 관광객 만족도 유의적으로 상승하는 경향이 있었고 게다가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왔다. 셋째, 중국 관광객들의 만족도는 사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문 표에 통해서 중국 관광객들의 만족도은 사후행동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력이 있었다. 중국 관광객들의 만족도가 상승하면 중국 관광객들의 사후행동을 유의적으로 더 상승하는 경향이 있었다. 넷째, 호텔의 불평행동은 사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중에 제출한 호텔의 불평행동 3개 특성은 재방문의도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력이 있었다. 호텔의 불평처리에 특성 중에 호텔의 불평처리에 절차공정성 사후행동에 영향력이 가장 높다. 즉 호텔의 불평처리가 개선하면 중국 관광객들의 사후행동을 유의적으로 더 상승하는 경향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호텔의 불평행동가 중국 관광객들의 만족도 몇 사후행동 간에는 대부분의 요인들이 유의적인 정(+)의 상관관계를 밝혀진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정리해서, 호텔의 불평처리에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을 특성으로 중국 관광객들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선행변수로 나타났다. 더 중국 관광객들의 만족도는 사후행동에 영향도 미치게 된다. 이로 보면 한국 호텔에 대해 다음 시사점을 제시한다. 서비스 실패에 대한 적절한 대응은 2차적인 만족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장기적인 고객 관리와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고객의 불평사항은 호텔을 이용한 동안에 발생할 수 있다. 불평처리가 잘되어 만족하게 된 고객은 오히려 호텔서비스 구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고객의 불만에 관해 최선을 다하였을 경우 이는 호텔에 대한 신뢰도 증대로 직결된다. 불평처리 처리 성공여부는 기존 고객은 물론 잠재적인 고객의 유치에 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으로 판단할 때 불평처리의 진행은 해당고객의 호텔 서비스 완료시점 직전에 완결되어 야 하며 관련고객의 사후관리로 연결 되어야 함이 명백하다. 마지막은 호텔의 불평처리가 중국 관광객들의 만족도 몇 사후행동을 상승시키기 위해서 중국 관광객들의 즐거운 마음과 유람과정이 더 게 방법을 탐구해보는 것도 중국 관광객들의 만족도 상승의 큰 도움이 될 것 같다. 주요어: 호텔의 불평행동 만족도 사후행동 중국관광객

      • 관광객의 경험 및 신뢰가 만족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중저가 호텔을 중심으로

        런치안치안 동명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775

        중국의 빠른 경제 발전으로 관광의 소비량도 해마다 증가함으로써 숙 박은 경제 관광과 레저관광의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고 있다. 중국 호 텔산업 등급분포를 보면 대부분의 호텔 시설이 중저가형 시설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다양한 유형의 관광객으로 인해 호텔업계와 시장 간의 수 급 불균형이 발생함으로써, 시장에는 관광객 수요에 맞는 호텔 숙박시설 이 필요하다. 일찍이 현대 사회가 서비스 중심의 시대에서 경험 중심의 시대로 변화할 것이라고 예견한 바 있다. 경험에 대한 중요성은 제조품 과 같은 유형의 상품들이 거래되는 기존의 산업구조뿐만 아니라 무형의 서비스 상품이 거래되는 관광산업에서도 강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중저가 호텔에 대한 관광객의 경험, 관광객 신뢰, 관광객 만족 그리고 관광객 충성도간의 구조적 영향관계를 규명함으로 써 중국 중저가 호텔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며 아울러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 고자 함이다. 이를 위한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 및 본 연구와 관련된 이론들을 바탕으로 중국 중저가 호텔 을 이용한 중국 관광객들의 경험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둘째, 관광 객의 경험을 세부적으로 구분하여 각 요인이 신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분석한다. 셋째, 관광객의 경험이 만족, 충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조사한다. 넷째, 신뢰가 관광객 충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 치는지 동시에 관광객 만족이 관광객 충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조사한다. 본 연구는 중국 중저가 호텔을 방문한 중국관광객을 대상으로 하여 관광 객 경험, 관광객 만족, 관광객 신뢰, 관광객 충성도간의 어떤 구조적 영향 관계에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들의 영향관계를 실증 분석 하여 결과를 요약하면 앞서 실증된 가설에 의하여 다음과 같다. 첫째, 중저 가 호텔 방문한 관광객의 경험은 관광객 만족에 정(+)의 유의적인 영향요 인이 됨을 확인하였다. 둘째, 중저가 호텔 방문한 관광객의 경험은 관광객 충성도에 정(+)의 유의적인 영향요인이 됨을 확인하였다. 셋째, 중저가 호 텔 방문한 관광객의 경험은 관광객 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저가 호텔 방문한 관광객의 만족은 관광객 신뢰에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중저가 호텔 방문한 관광객의 만족은 관광객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중저가 호텔 방문한 관광객의 신뢰는 관광객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호텔의 경우 고객을 유지하고 고객 만족, 신뢰 및 충성도를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사회는 순수한 제품 및 서비스 마 케팅에서 경험 마케팅으로 변화하고 있다. 관광객 경험은 관광객 신뢰, 관광객 만족 및 관광객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 서 호텔 산업에서 관광객의 경험은 매우 중요하다. 관광객에게 최고의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호텔의 감각적 경험, 감성적 경험, 인지적 경험 및 행동 경험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호텔에 대한 관광객 만족, 관광객 신뢰 및 관광객 충성도를 달성하기 위해 최선의 시설과 서비스를 바탕 으로 관광객에게 최고의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이 요구한다. 기본 적으로, 예를 들어, 호텔 외관, 호텔 로비, 호텔 직원 서비스, 객실 위 생, 객실 시설, 객실 내부 장식, 객실 가성비 등은 관광객에게 최고의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최고의 수준이 요구된다. 둘째, 가장 기본적이고 필수한 시설과 서비스를 보장하는 경우 몇 가 지 세부 사항에서 호텔의 장점을 확립하기 위해 노력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항상 중요시 하지 않는 측면, 고객 불만 처리 속도와 호텔 직원 서비스 친절도, 객실에서 비싸지 않지만 행복감을 향상시키는 작은 항 목의 준비할 필요가 있다. 고객을 유지하기 위해 다른 호텔과 차별화된 자기호텔만의 우수한 경험 프로젝트를 만들기 위해 노력이 요구한다. 관광객의 만족을 촉진하고 관광객의 신뢰를 얻어 마침내 이 호텔에 대 한 관광객의 충성도를 달성하고 오래된 고객과 시장 평판을 홍보하여 좋은 호텔 이미지를 얻고 보다 좋은 시장 점유율을 달성할 수 있다. 셋째, 관광객 만족과 관광객 신뢰는 모두 관광객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호텔 경영자는 관광객이 호텔을 방문하 는 전 과정에서 관광객의 전반적인 만족도에 주의를 기울이고 호텔 하 드웨어 시설과 직원 서비스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관광객의 만족을 향 상시켜 관광객의 신뢰를 얻고 마침내 특정 호텔에 대한 관광객의 충성 도를 달성하고 단골 고객을 유지하며 단골 고객 홍보를 통해 더 나은 시장 평판을 얻는다. With the rapid economic development of China, the consumption of tourism also increases year by year, so accommodation is becoming an important part of economic tourism and leisure tourism. If you look at the rating distribution of the Chinese hotel industry, you can see that most of the hotel facilities are mid- to low-end facilities. However, due to the imbalance between the supply and demand of the hotel industry and the market due to various types of tourists, the market needs hotel accommodations that meet the demand of tourists. Toffler (1970) predicted early on that modern society would change from a service-oriented era to an experience-oriented era. The importance of experience can be emphasized not only in the existing industrial structure in which tangible goods such as manufactured goods are traded, but also in the tourism industry in which intangible service goods are traded (Jaekwan Park, 2011). Since it is also an economic outcome with an irreplaceable competitive advantage, it can be used as a major strategy that greatly affects the behavioral intentions of tourists in the future by creating a special tourism experience (Fernandes & Cruz, 2016).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mid-priced hotels in China and to strengthen competitiveness by examining the structural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ourists' experience, tourist trust, tourist satisfaction, and tourist loyalty.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is study for this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preceding studies and theories related to this study,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Chinese tourists using mid-priced hotels in China. Second, we analyze the influence of each factor on trust by classifying the experiences of tourists in detail. Third, we investigate how tourists' experiences affect satisfaction and loyalty. Fourth, how trust affects loyalty and how satisfaction affects loyalty is investigat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tructural influences of tourist experience, tourist satisfaction, tourist satisfaction, and tourist loyalty among Chinese tourists who visited mid-priced hotels in China.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of these influence relationships are summarized as follow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reviously tested hypothese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erience of tourists visiting mid-priced hotels was a significant positive (+) influencing factor on tourist satisfaction.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erience of tourists visiting mid-priced hotels was a significant positive (+) influencing factor on tourist loyalty. Third, it was found that the experience of tourists visiting mid-priced hotels had a positive (+) effect on tourist trust.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satisfaction of tourists who visited mid-priced hotels had a positive (+) effect on tourist trust. Fifth, it was found that the satisfaction of tourists who visited mid-priced hotels had a positive (+) effect on tourist loyalty. Sixth, it was found that the trust of tourists who visited mid-priced hotels had a positive (+) effect on tourist loyalty.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we would like to suggest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for hotels, retaining customers and maintaining customer satisfaction, trust and loyalty are very important. Society is also changing from pure product and service marketing to experiential marketing. The tourist experience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tourist trust, tourist satisfaction and tourist loyalty. Therefore, the tourist experience is very important in the hotel industry. In order to provide the best experience for tourists, the hotel's sensory experience, emotional experience, cognitive experience and behavioral experience should be focused on. Efforts are required to provide the best experience for tourists with the best facilities and services to achieve tourist satisfaction, tourist trust and tourist loyalty to the hotel. Basically, for example, hotel exterior, hotel lobby, hotel staff service, guest room hygiene, room facilities, room interior decoration, room cost performance, etc. are required to the highest standards to provide the best experience for tourists. Second, efforts are required to establish the merits of a hotel in a few details when ensuring the most basic and essential facilities and services. For example, it is necessary to prepare small items that are not always important, such as the speed of handling customer complaints and the friendliness of hotel staff service, which are not expensive in the room, but improve the sense of well-being. Efforts are required to create an excellent experience project unique to the hotel that is differentiated from other hotels in order to retain customers. It can promote the satisfaction of tourists and win the trust of tourists, finally achieve the tourists' loyalty to this hotel, and promote the old customers and market reputation to get a good hotel image and better market share. Third, it was found that both tourist satisfaction and tourist trust had a positive effect on tourist loyalty. Hotel managers should pay attention to the overall satisfaction of tourists in the whole process of tourists visiting the hotel, and do their best to provide hotel hardware facilities and staff services. Improve the satisfaction of tourists, win the trust of tourists, and finally achieve the tourists' loyalty to a specific hotel, retain regular customers, and gain a better market reputation through the promotion of regular customers.

      • 방한 무슬림 관광객의 호텔 선택 속성에 관한 연구 : 동남아시안과 중앙아시안 무슬림을 중심으로

        김민선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75

        Abstract Hotel Selection Attributes of Muslim Tourists in South Korea : Focused on Southeast and Central Asian Muslims Kim Minsun Department of Hospitality and Tourism Management The Graduate School Sejong University The international tourism market is paying attention to the rapidly growing Muslim tourism market as a new blue ocean, along with a steadily growing Muslim population. Following this trend, Korean tourism market is also focusing on Muslim tourists as the next-generation market. According to the current status of Muslim tourists in Korea, the number of Muslim tourists visiting Korea is rising steadily due to the recent Korean Wave and the development of the medical industry, combined with the Muslim tourists' desire for a new destination. However, despite Muslims having their unique lifestyle belongs to their religion, Korean tourism market is still lack of facilities which is able to attract Muslim tourists. Among the many options required for travel, hotel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option in traveling, because it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during the journey. However, hotels in Korea, there is a very lack of Muslim-friendly facilities. This study shows the current status of the Muslim tourism market in Korea and its problems, as well as what parts will be needed for the development of Muslim-friendly products and facilities.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 the hotel selection attributes, which are important to Muslim tourists when choosing hotels, and find out which combination of hotel selection attributes are valuable to Muslims. In this study, empirical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prior research on Muslim tourists and hotel selection attributes to identify the research problem. The empirical research was conducted by dividing into pilot and main surveys through the snowballing method. The pilot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based on the attributes of expert interviews and relative studies. Based on the important attributes derived from the pilot survey, this survey showed 16 profile of hotel attributes combination through the fractional factorial design. The target of survey responses were Muslims who have nationalities of Southeast Asian and Central Asian countries. The Surveys was conducted during the period from Oct. 14, 2019 to Nov. 24, 2019, for 40 days. A total of 151 surveys were distributed and 125 of them were used as the final analysis data for this study. Statistic analysis using spss 22.0 shows the combination of hotel selection attributes for Muslim Tourists through a conjoint analysis. A concordant analysis of 125 respondents showed that hotel prices (38.38%) were the highest for each attribute, followed by hotel halal food (23.845%), cleanliness (15.471%), location (14.380%), and free wifi (7.925%). According to the utility of each property level, the moderate level of room cleanliness was the highest level of utility. Regarding the location of the hotel, the the location nearby subway station was little higher than other levels, and the price level was preferred to 25%, ₩30,600. The availability of free wifi in the hotel was more beneficial. Overall, the result can be expected that even the room cleanliness is moderate, Southeast Asian and Central Asian Muslim tourists will choose the hotel if the hotel offers a range of Halal food options, free wifi and the location nearby the subway station with a low-cost. However, except the attribute of price level, the other attributes had higher standard error values than utility estimates, indicating that only the importance of the attributes for price level has reasonable estimates. Keywords : Muslim tourism, Islamic tourism, Hotel selection attribute 국문초록 최근 국제 관광시장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인구수와 더불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무슬림 관광시장을 새로운 블루오션으로 보고 주목하고 있다. 한국의 관광시장 역시 중국 관광객에게 크게 의존하다 다소 침체기를 겪고 있어 무슬림 관광객을 차세대 시장으로 눈 여겨 보게 되었고, 이에 무슬림 관광시장에 대한 대응 정책의 개발과 활성화를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방한 무슬림 관광객의 현황을 보면, 무슬림 관광객의 새로운 여행지에 대한 열망과 더불어 최근 한류 열풍과 의료산업의 발전으로 방한 무슬림 관광객의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무슬림은 그들만의 고유한 종교적 생활 습관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관광 시장은 무슬림 관광객 유치를 위한 전반적인 대응 정책이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특히 여행의 시작에서 끝까지 함께하며, 여행 중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휴식에 큰 영향을 미치는 호텔의 경우, 무슬림 친화적인 속성을 포함한 시설이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한국의 무슬림 관광시장의 현황과 그 문제점을 알아보고, 무슬림에 대한 인식 제고와 더불어 무슬림 친화 상품과 시설의 개발을 위하여 어떠한 부분이 필요할 것인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호텔 선택 속성 중 방한 무슬림 관광객의 호텔 선택 시 중요하게 고려되는 호텔 선택 속성을 분석하여 중요한 호텔 속성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그 중요 속성을 어떻게 조합을 해야 무슬림에게 가치 있는 호텔 조합을 제시해 줄 수 있을지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는 지나치게 의존도가 높은 중국 관광객 인바운드 시장에서 벗어나 시장다변화를 요구하는 한국 관광시장의 현 시점에서 필요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하여 무슬림 관광객과 호텔 선택속성에 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실증적 연구를 하였다. 실증적 연구는 눈덩이 표집방법을 통하여 예비조사와 본 조사로 나누어 진행하였으며, 예비조사는 전문가 인터뷰와 선행 연구의 속성을 바탕으로 예비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본 조사는 예비설문에서 도출된 중요 속성들을 바탕으로 부분요인설계를 통한 16개의 속성의 합 프로파일을 도출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으며, 동남아시아와 중앙아시아 국가의 국적을 가진 무슬림을 대상으로 2019년 10월 14일에서 2019년 11월 24일까지 총 40일에 걸쳐 설문조사를 하였다. 총 151부가 회수되었으며, 이 중 125부가 본 연구의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통계분석은 spss 22.0을 사용하였으며, 컨조인트 분석을 통하여 호텔 속성의 합을 파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 응답자 125명에 대한 컨조인트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각 속성별 설문결과의 상대적 중요도는 호텔의 가격(38.378%)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는 호텔 내 할랄음식(23.845%), 청결도(15.471%), 위치(14.380%), 무료와이파이(7.925%) 순으로 나타났다. 세부 속성별 수준별 효용을 보면 객실 청결도는 보통수준의 청결상태가 가장 높은 효용으로 나타났고, 호텔 내 할랄음식 보유는 아침부페, 할랄음식점, 호텔 상점 내 할랄음식 보유가 가장 높았다. 호텔의 위치에 관하여는 지하철역의 근접함이 다른 수준들에 비하여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가격 수준의 경우 25% 수준인 30,600원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텔 내 무료 와이파이 제공여부는 제공하는 것에 관한 효용이 더 높았다. 종합하여 보면, 객실 청결도가 보통의 수준이어도 호텔 내 다양한 할랄 음식의 옵션과 무료 와이파이가 제공되고 지하철역 부근에 위치하고 있으며 가격이 저렴한 호텔일 경우 동남아시안과 중앙아시안 무슬림 관광객이 그 호텔을 선택할 것이라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하지만 속성 중 가격을 제외한 나머지 속성들은 유틸리티 추정값 대비 표준 오류값이 다소 높게 나타난 바, 가격에 관한 속성의 중요성만 합리적인 추정치를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주요어 : 무슬림관광, 이슬람관광, 호텔선택속성

      • 호텔 서비스품질이 중국 FIT관광객 고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여행관여도의 조절효과

        주사근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 연구는 중국 FIT관광객을 대상으로 한국 호텔서비스품질이 어떻게 평가하는지를 바탕으로 한국 호텔서비스품질이 중국 FIT 관광객 고객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호텔기업은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관광사업 중 큰 역할을 맡기고 있다. 호텔 서비스에 관련된 연구를 통해 중국 관광객들이 한국 호텔에 투숙동안 필요한 요구를 파악하고 한국을 재방문율이 높이도록 도움이 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여행 관여도를 조절변수로 도입해서 관광객들의 여행관여도에 따른 호텔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도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목적이다. 본 연구는 FIT관광객, 호텔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도, 여행관여도에 관한 이론적 배경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2가지 가설을 설정하고 설정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 시내에 있는 특급호텔을 이용하는 경험이 있는 중국 FIT관광객에게 설문지 450부를 배포하였으며 회수된 438부, 그 중에 401부의 설문지를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요인분석 및 신뢰도를 분석하고, 설정된 가설에 대해서 다중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토대로 서비스 품질은 유형성, 신뢰성, 응답성, 확인성, 공감성 5가지로 나누어서 조사하고, 각 요인이 중국 FIT관광객의 고객만족에 대하여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연구가설1을 설정하였다. 다음은 호텔서비스 품질과 고객만족도의 관계 간에 여행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가설2를 설정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한 중국관광객들이 주로 쇼핑하기 편하고 볼거리가 많은 명동, 동대문시장, 남대문시장, 인사동등 서울 시내에 있는 호텔을 이용경험이 있는 중국 FIT관광객만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지 450부를 배포하였다. 그 중 연구에 맞는 401부의 표본자료를 본 연구에 사용하여 실증분석에 활용했다. 호텔 서비스 품질는 요인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5가지의 요인은 유형성, 신뢰성, 확인성, 응답성, 공감성이라는 요인 명을 정하였으며 고객만족과 여행관여도는 각 1개 요인으로 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호텔 서비스 품질의 하위요인 유형성, 신뢰성, 확인성, 응답성, 공감성 모두가 중국 FIT 관광객 고객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호텔 서비스품질이 중국 FIT 관광객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여행관여도의 조절효과 연구 결과에서는 신뢰성, 확인성, 응답성, 공감성이 고객만족도간의 영향관계에서 여행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유형성이 고객만족도간의 영향관계에서 여행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