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Solid lipid nanoparticles과 N-acetylhistidine glycol chitosan nanoparticles을 이용한 All-trans-retinoic acid 캡슐화에 관한 연구

        박지원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327

        The principal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d whether the solid lipid nanoparticle (SLN) and N-acetyl histidine-conjugated glycol chitosan (NAcHis- GC) nanoparticle encapsulating all-trans-retinoic acid (ATRA) can improve the chemical stability of ATRA and is an effective drug deliver system. SLN were prepared using coconut oil, as the lipid core, and curdlan, as the shell material by a dialysis method. ATRA was efficiently incorporated in SLN with 95% of drug loading efficiency. The poor aqueous solubility of ATRA was improved by incorporation using SLN.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mean size of the SLN with about 100 nm was observed up to 100 μl of lipid, but at 200 μl of lipid, the mean size of the particles was decreased to 50 nm. Transmittance of the suspension of ATRA-loaded SLN was not changed at 4℃, while the changes of transmittance of the suspension was clearly observed at 37℃. ATRA release rate was significantly delayed when ATRA was released from the SLN at 4℃. ATRA was rapidly released from the SLN at 37℃ compared with the release at 4℃. NAcHis was conjugated to glycol chitosan as hydrophobic moiety and the conjugates formed self-assembled nanoparticles with mean size of 400-500 nm due to hydrophobicity of NAcHis at neutral pH. NAcHis-GC nanoparticles were dissembled in acidic solution because the hydrophilic/hydrophobic balance are broken by the protonation of the imidazole group of NAcHis. ATRA was encapsulated in the NAcHis-GC nanoparticles by formation of ion complex and hydrophobic interaction. The electrostatic interaction between carboxyl group of ATRA and amine group of glycol chitosan was confirmed by FT-IR spectra. ATRA-loaded NAcHis-GC nanoparticles were completely suspended in aqueous solution without aggregation. The rapid degradation of ATRA by light exposure was protected by incorporation using the NAcHis-GC nanoparticles. The ATRA loading efficiency was increased as the content of NAcHis and ATRA in the nanoparticles. In the release studies, ATRA was rapidly released in environments of pH 7.4 compared with the release at pH 5.5. This results suggested that SLN and NAcHis-GC nanoparticles improved the chemical stability of ATRA and sustained the release of ATRA. Therefore, SLN and NAcHis-GC nanoparticles are a potential as a delivery system for ATRA. All-trans-Retinoic acid (ATRA)는 세포의 성장 분화, 재생, 대사 등에 관여하고 손상된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회복을 촉진하고 기미나 염증 후 과색소 침착 등의 색소병변을 호전시키는 작용을 한다. 하지만, ATRA는 외부 환경 (물, 공기, 빛)의 노출에 쉽게 분해되거나 불활성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solid lipid nanoparticle (SLN)과 N-acetyl histidine glycol chitosan (NAcHis-GC) 나노입자를 이용하여 ATRA를 캡슐화함으로써 그 안정성을 높이고 효과적 전달체로서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먼저, SLN은 코코넛 오일 (coconut oil)과 커들란, 유드라짓 (eudragit)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코코넛 오일은 24℃ 보다 낮은 온도에서 고체 상태로 존재하고 그 보다 높은 온도에서 액체 상태로 존재한다. 오일의 양에 따른 입자의 크기 변화, 안정성 측정, 온도에 따른 ATRA의 방출 경향 등을 조사하였다. NAcHis-GC 나노입자를 위해 친수성 키토산 (glycol chitosan)에 화학적으로 NAcHis를 결합시켜 양쪽성 고분자(amphiphilic polymer)를 합성하였다. NAcHis는 pH 6 이상의 수용액에서 소수성인 반면, 그 이하의 산성 조건에서는 이미다졸 그룹이 protonation 되면서 친수성으로 바뀐다. NAcHisGC와 ATRA를 용해하여 수용액상에서 투석을 통해 자가 응집 나노입자를 제조하였고, 입자의 형태 및 입자 크기 분포, 안정성 측정, 각각 다른 pH (5.5와 7.4)에서 ATRA의 방출 경향 등을 조사하였다. 코코넛 오일, 커들란, 유드라짓으로 제조된 ATRA-loaded SLN은 그 입자의 크기가 대부분 100 nm이하로 균일한 구형이었다. 첨가한 오일의 양이 50 μl와 100 μl일 때 각각 90 nm와 100 nm의 평균입자 크기를 보였지만, 200 μl를 첨가할 경우 50 nm의 평균 입자 크기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SLN에 봉입된 ATRA는 수용액에서 아무런 침전물 없이 잘 분산되었고, 나노입자는 4℃에서 투과도 값의 변화 없이 안정하게 분산 유지되는 반면 37℃에서는 투과도 값의 변화가 현저하게 나타났다. 또한, ATRA의 봉입 효율은 모두 95% 이상의 높은 효율을 보였으며, 4℃에서의 약물 방출 속도는 매우 느린 반면, 37℃에서의 방출 속도는 현저하게 증가되었다. NAcHis-GC는 수용액에서 자가 응집하여 나노입자를 형성하였고, ATRA는 glycol chitosan과의 이온결합과 NAcHis와의 소수성 상호작용에 의해 캡슐화 되었다. ATRA-loaded NAcHis-GC 나노입자는 수용액에서 침전물 없이 잘 분산 유지되었고, 광분해로부터 ATRA를 효과적으로 보호함으로써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보였다. NAcHis-GC 나노입자로부터 ATRA의 방출 속도는 합성된 NAcHis의 양과 첨가된 ATRA의 양에 따라 조절되었고, 서서히 방출되는 경향을 보였다. pH 7.4에서의 ATRA의 방출 속도는 pH 5.5에서의 방출 속도 보다 현저히 증가됨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제조한 SLN은 24℃ 보다 높은 온도에서 온도 의존적으로 ATRA를 입자로부터 방출시키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서 유용한 화장품 소재를 캡슐화하고 피부로 전달하기 위한 운반체로 유용하다. NAcHis-GC 나노입자는 ATRA의 안정성을 증가시키고, 약물을 서방출 시킬 수 있는 전달시스템으로 불안정한 소재를 캡슐화하고 전달하기 위한 운반체로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

      • 순천만 자생식물(매실, 노근, 함초)의 피부에 대한 유효활성 분석

        송태임 전남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327

        본 연구는 국내 청정 순천지역의 특산식물인 매실, 노근 그리고 함초의 피부에 대한 천연화장품 소재로서 이용성 증대를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추출액의 열수 추출물의 제조 시 고유향의 휘발되어 소실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온 고압 및 쿨링 시스템(hydro-distillation)을 이용한 매실 고유의 향을 함유한 최적의 증류액과 착즙액의 제조 조건을 확인한 후 유효성분 및 유효성을 분석함으로서 천연화장수와 에멀젼 소재로의 다양한 활용 가능성 확인하고자 하였다. 노근, 함초 그리고 매실의 에탄올 추출액은 각각 38.4%, 3.41% 그리고 10.0%의 수율로 추출물을 획득하였으며, 추출 방법별로 제조한 매실 추출액의 수율을 확인한 결과, 착즙의 경우 2.49%, prethanol A의 경우 10.07%, prethanol A 침지 및 소니케이션을 병행할 경우엔 5.11%의 수율을 나타냄으로서 prethanol A 침지법이 가장 효율적인 추출조건임을 확인하였다. 노근, 함초, 매실의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DPPH radical 소거능을 분석한 결과, 3종 모두에서 농도 의존적인 증가 경향을 보였고 매실 추출물의 경우는 모든 농도(31.3~1,000 μg/mL)에서 가장 유의할만한 활성을 보였으며 최대농도에서는 노근과 매실의 활성이 40.4%와 41.4%로 유사한 값을 나타냈다. 3종 식물의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4가지 용매로 분획물을 제조하여 DPPH radical 소거능을 분석한 결과, 노근의 경우엔 n-hexane과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유의할만한 활성을 보였으며 특히 250~500 μg/mL의 농도에서는 70% 이상의 소거능을 보였다. 함초의 경우에는 부탄올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500 μg/mL의 농도에서 40.7%와 49.6%로 다른 용매 추출물보다 높은 소거능을 보였으나 노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소거능을 나타냈음을 알 수 있었다. 매실의 경우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250 μg/mL 이상의 농도에서 70% 이상의 소거능을 보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볼 때 노근과 매실의 경우 전자공여능이 우수하여 항산화능이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별(125~1,000 μg/mL)로 SOD 유사활성을 분석한 결과, 500 μg/mL에서는 매실 추출물의 활성이 28.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최대농도인 1000 μg/mL에서는 오히려 노근 추출물에서 35.6%로 함초나 매실에 비하여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3종 모두에서 크게 유의할만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유기용매 분획물에서는 노근의 경우 분획물의 농도가 31.3 μg/mL일 때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활성이 9.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른 농도군(62.5~1000 μg/mL) 모두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우수한 활성을 보였다. 특히 1000 μg/mL 농도에서 59.8%의 높은 활성을 보였다. 함초와 매실의 경우에도 모두 전체적으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분획물의 농도가 125 μg/mL 이상의 농도에서는 헥산과 물 분획물에 비하여 부탄올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함초의 경우 각각 46.6%와 44.7%, 매실의 경우 각각 43.9%와 45.8%로 다소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매실의 경우 우수한 활성을 보여 산화방지와 노화억제에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매실의 폴리페놀 함량 측정 결과에 따르면, 착즙법보다는 prethanol A 추출법에서, 냉동매실보다는 청매실에서, 청매실보다는 황매실에서 훨씬 더 많은 양의 항산화물질인 폴리페놀이 용출되었다. 플라보노이드 함량분석에서는 prethanol A 추출법이 단순 착즙법보다 훨씬 많은 양의 항산화물질을 용출하였고, 냉동매실보다는 청매실에서 그 효과가 우수하였다. HPLC 분석 결과, 항산화 효능을 나타내는 chlorogenic acid, vanilic acid, rutin, quercetin 은 각각 724.63, 75.41, 20.91, 2.46 Unit으로 함유되어 있는 것을 확인되었다. 또한, 5종의 피부관련 미생물(S. aureus, S. epidermidis, P. acnes, C. albicans, M. furfur)에 대하여 항미생물 활성을 분석한 결과 노근과 함초의 경우는 5종 모두에서 항미생물 활성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매실의 경우 S. epidermidis, P. acnes, C. albicans에서 항균효과가 나타났다. S. epidermidis, P. acnes의 경우는 50 mg/mL의 추출물 농도에서부터 150 mg/mL 농도까지는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다가 200 mg/mL에서는 증가하지 않았다. C. albicans는 prethanol A 및 착즙 추출액에 의해 모든 농도범위(1~100mg/mL)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Clear zone을 형성하였고, 그 효과는 착즙 추출액보다는 prethanol A 추출물에서 더 우수하였다. 또한 100mg/mL의 농도에서는 균의 억제 투명대가 황매실에서 5.0mm로 가장 높았다. 매실추출물의 추출방법에 따른 정상세포의 세포 안정성은 착즙법과 prethanol A법 모두 모든 농도에서 안정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매실종류와 추출방법에 따른 각각의 추출액에 대한 정상세포의 세포안정성은 청매실는 청매실에서, 청매실보다는 황매실에서 훨씬 더 높았다. 인체피부세포 영향을 살펴본 결과 노근과 함초의 경우 모든 농도범위에서 특이할만한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았고 5~100ug/mL의 농도범위에서 100%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타이로신네이즈 저해 활성을 분석한 결과는 농도가 높아질수록 저해활성도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추출물들은 최고농도에서 L-ascobic acid가 62.9%의 타이로신네이즈 저해활성을 보인 반면 매실, 함초, 노근의 경우는 28.8%, 23.3%, 31.8%로 절반 이하의 낮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노근, 함초, 매실 추출물이 B16/F10 melanoma 세포내의 tyrosinase 활성도 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3종의 추출물 간에 현저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유사한 정도의 저해활성을 나타냈다. 100 μg/mL농도에서 매실이 20.40%의 tyrosinase 활성 저해 효과를 보였으며, 함초와 노근이 30%의 tyrosinase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볼 때 매실, 함초, 노근 3종 추출물 모두가 직접적으로는 타이로시네이즈 효소활성을 억제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멜라닌의 함량은 arbutin이 59.89%로 나타났으며 3종 추출물의 경우 매실이 79.89%, 함초가 72.90%, 노근이 67.70%로 나타나 3종 추출물 모두 양성대조군인 arbutin보다는 멜라닌 생성 저해효과가 낮게 나타났으나 노근 추출물이 가장 효과적으로 세포내에서 멜라닌 생성을 억제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매실향이 함유된 증류액 수득에 필요한 최적 온도 분석결과 최적온도는 100~110℃, 최적의 추출시간은 4시간으로 확인되었다. 매실 향에 대한 관능검사 실시결과, 4시간 비파쇄군, 매실 증류액(60%)과 증류수(40%)를 혼합하였을 때 최적인 상태에 가장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GC/MS에 의하여 매실 향기성분 분석결과, 매실 향기 성분으로는 benzaldehyde, acetaldehyde, ethanol, n-hexane, hexanal, γ-dodecalactone 등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매실향이 첨가된 화장수와 에멀전을 제조하였다. 따라서 매실, 노근, 함초 추출물은 피부의 산화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미백 기능성을 가진 천연 소재로의 피부미용 개선효과를 확인하였으며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치가 매우 높은 것으로 사료되었다.

      • 식물성지방산비누의 건조기간 및 첨가제에 따른 물리화학적 특성의 변화

        이성희 전남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327

        친환경적인 생활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합성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생활용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식물성을 주성분으로 하는 천연성분제품이 다양하게 생산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천연비누의 사용 역시 증가하고 있으나 그 동안의 연구는 식물성지방산 비누의 사용성과 성분의 유효성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으로 천연성분이 혼합된 식물성지방산 비누의 수분 증발 및 경도강화를 위한 건조과정에 따른 물리화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상태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합성세안제와의 차별화를 위한 천연비누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으며 비누의 건조기간 동안 첨가제(Tea tree Essential oil, TiO2)에 따른 pH와 표면장력, 임계미셀농도(CMC), 세정력 및 Lavender Essential oil(E.O)의 휘발성을 비교·관찰하고자 하였다. 비누 제작시 건조 환경은 프랑스에서 200년 이상 이어온 천연비누 건조방식인 자연건조법을 적용하였으며 E.O의 휘발성은 Lavender E.O의 향 성분인 Linalool과 Linalyl acetate를 GC-MS로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식물성지방산비누는 첨가제의 혼합여부와 상관없이 건조 2~12주까지 pH 8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표면장력 측정 결과 모든 시료에서 건조 4주째 농도 0.012%에서 CMC point가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임계미셀농도(CMC) 측정 결과 역시 모든 시료가 건조 4주째 12.5mg/L로 CMC가 가장 낮게 나타났고 B시료(식물성지방산비누+TiO2)와 C시료(식물성지방산비누)는 12주까지 동일한 수치를 유지하였다. 초음파 세척기와 침전법을 사용한 세정력 측정 결과 모든 시료가 건조 3~4주에 제거효율이 상승하는 특징을 보였다. 비누의 건조기간에 따른 휘발성 분석 결과 Linalool과 Linalyl acetate 성분 모두 TiO2를 혼합하지 않은 비누가 건조 12주까지 잔류 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건조 20주까지 잔류하는 향의 주성분은 Linalool 성분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 결과 상온에서 2일 정도 지속성을 갖는 Lavender E.O을 식물성지방산비누와 혼합하여 제조시 20주(5개월)동안 향이 비누에 존재하고 있었으며, 비누 건조 4주째 세정력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장내 미생물로부터 Collagenase 발굴 및 천연비누의 개발

        방행례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327

        (국문초록) PART I 최근 들어 펩티드소재는 고부가가치 향장품 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천연 펩티드를 개발하기 위하여 일반 식품원료로 등재되어 건강식품 소재로 이용되고 있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장내로부터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를 발굴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장내로부터 단백질가수분해효소를 생성하는 2가지 균주(G02, G13)를 분리하였다. 16S RNA sequencing 결과 G02균주는 Aeromonas encheleia 로, G13균주는 Aeromonas rivipollensis 로 규명되었다. 상기의 균주는 카제인 zymography에서 3가지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 활성을 보였다. 3가지 효소 활성은 각각 A: 63KDa, B: 40KDa, C: 20KDa 위치에서 나타났다. 한편 단백질저해제를 이용한 실험에서 A 효소는 EDTA 에 의해 저해되는 것으로 보아 Metalloprotease 일종으로 사료된다. 또한 B 효소는 Peptide mass fingerprinting 결과 Collagenase 임이 규명되었다. 향후 해당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의 유전자와 단백질을 확보하여 향장품 소재로 활용하고자 한다. PART II 고가의 천연비누를 경제적으로 생산하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비누 제조과정에서 향의 발향제어 보조제로 β-CD를 이용하여 향기 성분을 포집시키고 향기 성분의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향기비누 제조과정에서 향기 성분 표준물질로 p-Cymene과 Terpinolene을 0.02% 사용하였고, 시험군에는 β-CD를 첨가하였다. 비누 제조 후 건조하는 과정에서 향기 성분의 잔존량을 가스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비누에 잔존하는 향기 성분의 농도는 0주째 p-Cymene은 대조군 1410.5㎍/L 실험군은 3699.7㎍/L, 1주째 대조군은 177.5㎍/L 실험군은 482.6㎍/L측정되었고, 2주째 대조군 99.5㎍/L 실험군 268.9㎍/L으로 측정되어 약 2.7배 잔존량을 확인하였다. Terpinolene은 대조군892.1㎍/L 실험군은 2208.4㎍/L, 1주째 대조군은 109.6㎍/L 실험군은 277.7㎍/L, 2주째 대조군은 57.4㎍/L로 실험군은 158.91㎍/L로 2.5배 높은 잔존량을 확인하였다. 한편 비누의 무게 변화를 측정한 결과 대조군(-)과 실험군(+)에서 유의미한 무게 변화의 차이는 관찰할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비누제조 시에 첨가한 β-CD의 향기 성분 포집 효과로 사료되며, 값비싼 천연정유를 함유하는 비누제조 시에 정유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고 향의 지속시간을 늘릴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효과는 기타 다양한 천연화장품의 제조 시에 향기 성분 보조제로서 β-CD의 응용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Abstract PART I Recently several peptides are used in development of various premium cosmetics. In order to developing collagen peptides, putative collagenase were screened from the intestine of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larvae in this study. First of all, the microorganisms producing protease were isolated from the intestine of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larvae. Among the strains producing protease in solid agar plate containing 2% skim milk, two strain showing big clear zone were selected and identified as Aeromonas encheleia and Aeromonas rivipollensis via 16S RNA sequencing. These two strains showed three activity bands on the zymography. The molecular weight of the bands were 63KDa (A band), 40KDa (B band) and 20KDa (C band) respectively. The A band was inhibited by addition of EDTA suggesting that A band is a putative metalloprotease. The B band was matched with a bacterial collagenase via peptide mass fingerprinting. For development of collagen peptides for cosmetics, cloning of the collagenase is under study. We believe that these proteases would be useful for production of collagen peptides and development of various premium cosmetics. PART II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s of beta-Cyclodextrin(beta-CD) on the level of flavor compounds in manufacturing of soap. As a flavor component, 0.02% of para-Cymene and Terpinolene were added in the control group. Additionally beta-CD was added into experimental group. The remaining flavor compounds were determined in the soap after 2weeks drying. The concentration of remaining para-Cymene at 0, 1 and 2 weeks were each 1410.5㎍/L, 177.5㎍/L, 99.5㎍/L in the control group and 3699.7㎍/L, 482.6㎍/L, 268.9㎍/L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ing approximately 2.7-fold higher residual amount after 2 weeks of drying. Additionally, the concentration of remaining terpinolene showed approximately 2.5-fold higher residual amount in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2 weeks of drying. While the total weight of soap were not different significantly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These data could be resulted in the effects of β-cyclodextrin that capture the flavor components in the soap. Furtherm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beta-CD is useful to develop various natural cosmetics containing expensive essential oil.

      • 피부상태 분석진단을 위한 소셜미디어 및 인공신경망 기반의 피부상태 관리정보시스템 SCMIS 개발

        김형훈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327

        피부상태의 진단과 관리는 뷰티산업종사자와 화장품산업종사자에게 그 역할을 수행함에 있어서 매우 기초적이며 중요한 기능이다. 정확한 피부상태 진단과 관리를 위해서는 고객의 피부상태와 요구사항을 잘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피부상태 분석 및 진단을 위해 소셜미디어의 빅데이터 정보분석과 인공신경망을 활용한 피부상태 유형 진단을 지원하는 피부상태 관리정보시스템 SCMIS를 개발하였다. SCMIS는 소셜미디어 기반의 피부상태 분석에 필요한 빅데이터기반 피부상태분석시스템 SCAS와 화장품 및 뷰티산업 분야에서 고객의 피부상태 진단에 활용할 수 있는 피부상태 진단시스템 SCDS로 구성된다. SCAS는 소셜미디어 인스타그램으로부터 피부상태 분석에 필요한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텍스트 정보 중심의 핵심 정보를 분석하고 추출한다. 텍스트 정보를 대상으로 핵심단어의 단순빈도분석, 상대빈도분석, 동시출현분석, 상관성분석을 통해 피부상태 진단을 위한 분석정보를 추출한다. 또한 SCAS의 분석정보는 산포도, NetworkX, t-SNE 및 클러스터링 등의 다양한 시각화 결과로 제시하여 피부상태 진단 및 관리에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SCDS는 SCAS의 피부상태 분석정보를 학습 데이터로 활용하여 고객의 피부상태를 지능적으로 진단 및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SCDS는 딥러닝 기계학습 방법인 인공신경망 기술을 사용하여 자동적으로 피부상태 유형을 진단하는 인공신경망 AnnTFIDF 모델을 빌드업 하였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피부상태관리정보시스템 SCMIS은 화장품 및 뷰티산업 분야의 피부상태 분석 및 진단 관리 과정에서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한 지능화된 도구이다. SCMIS는 소셜미디어 기반의 미래지향적 사회환경에 적합하고, 4차 산업혁명시대의 급변하는 화장품 및 뷰티산업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이 될 것이다. 또한 화장품 및 피부미용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를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새로운 기술 트렌드인 맞춤형 화장품제조와 소비자중심의 뷰티산업기술 수요를 해결하기 위한 기초 연구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Diagnosis and management of skin condition is a very basic and important function in performing its role for workers in the beauty industry and cosmetics industry. For accurate skin condition diagnosis and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skin condition and needs of customers. In this paper, we developed SCMIS, a skin condition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that supports skin condition type diagnosis using social media big data information analysis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for skin condition analysis and diagnosis. SCMIS is composed of the big data-based skin condition analysis system SCAS required for skin condition analysis based on social media and the skin condition diagnosis system SCDS that can be used to diagnose the skin condition of customers in the cosmetics and beauty industries. SCAS collects big data necessary for skin condition analysis from Instagram social media, and analyzes and extracts core information centered on text information. Analysis information for skin condition diagnosis is extracted through simple frequency analysis, relative frequency analysis, co-occurrence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of key words for text information. In addition, the analysis information of SCAS can be presented as various visualization results such as scatter diagram, NetworkX, t-SNE, and clustering, so that it can be efficiently used for skin condition diagnosis and management. SCDS is a system for intelligently diagnosing and managing the skin condition of customers by using the skin condition analysis information of SCAS as learning data. SCDS built-up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TFIDF model that automatically diagnoses skin condition types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technology, a deep learning machine learning method. The skin condition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SCMIS developed in this paper is an intelligent tool that can be used efficiently in the skin condition analysis and diagnosis management process in the cosmetic and beauty industries. SCMIS will be a system that is suitable for the social media-based future-oriented social environment and can respond to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of the cosmetics and beauty industr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addition, it will be used as basic research data to systematically identify users' needs for cosmetics and skin care, and to solve new technological trends, such as customized cosmetics manufacturing and consumer-oriented beauty industry technology demand.

      • 화장품 소재개발을 위한 해양 홍조류 에탄올 추출물의 유효성 평가

        김세율 전남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327

        본 연구는 4종의 국내 자생 해양 홍조류 꼬시래기(Gracilaria verrucosa), 꼬물 꼬시래기(Gracilaria vermiculophylla), 돌가사리(Chondracanthus tenellus), 불등 풀가사리(Gloiopeltis furcata)에 대한 천연 유래 기능성 화장료 소재로써의 가능 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95%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여 각각의 홍조류에 대한 항 산화 활성과 항미생물 활성, 항염활성을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 드 함량은 각각 27.79±15.15∼66.94±6.12 mg/g과 4.60±0.88∼8.08±1.04 mg/g의 범 위로 나타났으며 불등풀가사리에서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각각 66.94±6.12와 8.08±1.04 mg/g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꼬시래기, 꼬물꼬시래 기, 불등풀가사리의 SOD 유사활성은 32.10±5.07∼71.95±1.92, unit/mg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돌가사리가 121.76±1.92 unit/mg로 가장 높은 SOD 유사활성을 나타 내었다. APX의 활성은 불등풀가사리가 가장 낮은 APX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SOD 유사활성과 동일하게 돌가사리 에서 6.13±0.68 unit/mg으로 가장 높은 APX 활성을 나타내었다. CAT 활성은 꼬시래기, 꼬물꼬시래기, 돌가사리에서 각 각 0.35±0.13 unit/mg, 0.40±0.11 unit/mg, 0.25±0.07 unit/mg의 활성을 나타내었 으며, 4종의 홍조류 추출물에서 SOD 유사활성과 APX 활성과는 다르게 불등풀 가사리 에탄올 추출물에서 0.66±0.11 unit/mg으로 가장 높은 CAT 활성을 나타 내었다. DPPH radical 소거능을 농도별로 확인한 결과 대조군과 4종의 홍조류- vi - 추출물 모두 농도 증가에 따라 활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하였으며, 4종 홍조류 에탄올 추출물 모두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된 BHT보다는 DPPH radical 소거활성이 현저하게 낮았으나 최고농도인 100 mg/mL에서 불등풀가사리 가 9.05±4.20%로 가장 높은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활성산소(ROS) 생성 억제 평가에서는 세포에 추출물을 전처리 하지 않고 자외선만 조사된 세포에서는 형 광 강도가 강하게 발색되었지만 G. verrucosa, G. vermiculophylla, G. furcate 을 전처리 한 뒤 자외선을 조사한 세포에서는 형광강도가 약하게 발색됨을 확인 하였다. 또한, 4종류의 홍조류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별로 각각 3종의 그램 양성 균과 3종의 그람 음성균에 대한 MIC와 MBC를 측정한 결과 4종류의 홍조류 에 탄올 추출물은 실험균주에 대하여 0.4 ∼ 6.25 mg/mL의 MIC를 나타냈으며 그램 양성균의 경우 S. aureus에 대하여 가장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낸 꼬시래기와 불 등풀가사리의 MIC는 각각 동일하게 1.25 mg/mL로 나타났으며 M. luteus에 대 하여 가장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낸 불등풀가사리의 MIC도 유사하게 1.25 mg/mL로 나타났다. S. epidermidis에 대하여 가장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낸 꼬 시래기의 MIC는 0,625 mg/mL로 그램 양성균에서 가장 강한 항균활성을 보였다. 4종의 홍조류 에탄올 추출물은 그램 음성균에서 더욱 강한 항균활성을 보였다. E. coli는 꼬시래기(0,625 mg/mL), P. mirabilis는 꼬물꼬시래기(0,4 mg/mL), P. acnes는 꼬시래기(2.5 mg/mL)가 각각 가장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그 중에서 P. mirabilis의 MIC가 0.4 mg/mL로 전체에서 가장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4종의 홍조류의 MIC는 꼬시래기 추출물이 가장 강한 항균스펙트럼을 보였다. 4 종류의 홍조류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최소사멸농도(MBC)는 0.4∼6.25 mg/mL 범위의 MBC를 나타냈으며, 꼬시래기와 꼬물꼬시래기의 공시균주에 대한 MBC 가 각각 1.25∼5, 0.8∼6.25 mg/mL로 가장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마우스 대식세포인 RAW 264.7과 대표적인 정상피부세포 HEKn에 대한 LPS로 유도된 염증세포 모델에서의 항염증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RT-PCR과 Western blot analysis를 이용하여 주요 인자들의 mRNA 발현과 단백질 발현을 정상군과 비교 분석하였다. RAW 264.7 cell에서는 4종 홍조류 추출물 모두 250 ug/mL의 농도 까지 90% 이상 생존함으로써 HEKn 세포에서는 꼬시래기와 돌가사리는 250 ug/mL의 농도에서, 꼬물꼬시래기와 불등풀가사리는 125 ug/mL의 농도에서 98%- vii - 이상 생존함으로써 세포독성이 나타내지 않았다. LPS로 유도된 염증세포모델에 서 홍조류 에탄올 추출물의 iNOS, COX-2와 TNF-α, IL-1β 생성에 미치는 영향 을 알아본 결과 iNOS 생성이 추출물의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 으며 특히 100 ug/mL 추출물 농도에서 꼬시래기가 63.6%가 가장 높게 iNOS 생 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COX-2 역시 4종 추출물 모두에서 85% 이상 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염증성 사이토카인TNF-α의 발현도 꼬물꼬시래기와 불등풀가사리가 각각 73.9%와 71.2% 억제하였고, IL-1β는 꼬시래기는 87.7%, 꼬 물꼬시래기는 93.6%, 불등풀가사리는 94.7%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00 ug/mL의 추출물 농도에서 LPS에 의해 iNOS와 COX-2 단백질 발현이 강하게 유도되었으나, LPS에 추출물을 전처리한 세포에서는 발현량이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꼬물꼬시래기와 불등풀가사리 추출물을 처리한 세포 에서 염증인자의 단백발현이 현저히 억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NF-kB의 발현 양상도 LPS 처리시에는 현저히 증가되었으나 전처리 후에는 그 활성이 현 저히 억제되었다. HEKn cell에서는 COX-2 생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으며 특히 100 ug/mL 추출물 농도에서 LPS 단독 처리군에 비해 불등 풀가사리가 73.9% iNOS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MMP-2 역시 동일하게 불등풀가사리가 73.9%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NF-α와 IL-1β 의 발현은 꼬시래기에서 각각 47.8%와 41.7%로 가장 강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 다. 또한, 100 ug/mL의 추출물 농도에서 LPS에 의해 iNOS와 COX-2 단백질 발 현이 강하게 유도 되었으나, 추출물을 전처리한 세포에서는 그 발현량이 억제됨 을 확인하였다. 특히 불등풀가사리 추출물을 처리한 세포에서 염증인자의 단백발 현이 가장 두드러지게 억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HEKn 세포에서 LPS 자극에 의해 NF-κB 발현양상은 LPS 처리시에는 NF-kB 발현이 현저히 증가되었으나 추출물의 전처리에 의해 그 활성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4종의 국내산 해양 홍조류 꼬시래기, 꼬물꼬시래기, 돌 가사리, 불등풀가사리의 에탄올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피부상재 균에 대하여 비교적 높은 항균효과를 가지고 있을 뿐만아니라 염증유전자들을 제어하는 효과가 있어 향후 피부염증 관련 항염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이용가치 가 있을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bioactive substances of ethanol extracts from domestic marine red algae G. verrucosa, G. vermiculophylla, C. tenellus, and G. furcata, and to evaluate their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As a result, the contents of total polyphenols and flavonoids were higher than other red algae, with total polyphenols and flavonoids of 8.08±1.04 mg/g and 66.94±6.12 mg/g, respectively. In the SOD-like activity, in 4 species of red algae, C. tenellus showed the highest activity of 121.76±1.92 unit/mg. Ascorbate peroxidase (APX) activity showed the highest activity of 6.13±0.68 units/mg in stone agar, similar to SOD-like activity as a result of H2O2 scavenging activity. The catalase (CAT) activity of G. furcata was the highest of 0.66±0.11 unit/mg among the four red algae extracts. All four red algae extracts showe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t 100 mg/mL, G. furcata showed the highest activity of 9.05±4.20% and G. vermiculophylla followed by the high activity of 8.09±6.16%. In addition,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ability of- 57 - the extract to inhibit the production of active oxygen (ROS), it was confirmed that it has inhibitory ability in G. verrucosa, G. vermiculophylla, and G. furcate.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s of four types of red algae showed MIC of 0.4 to 6.25 mg/mL for the experimental strains. In the case of S. epidermidis, The G. verrucosa showed the strongest antibacterial activity in gram-positive bacteria at 0,625 mg/mL. Ethanol extracts of four types of red algae showed stronger antibacterial activity in gram negative bacteria. The MIC of 4 types of red algae showed the strongest antimicrobial spectrum in the extract of G. verrucosa. MBC for the ethanol extracts of four types of red algae was found to be in the range of 0.4 to 6.25 mg/mL, MBCs against the experimental strains of G. verrucosa and G. vermiculophylla showed the strongest activity at 1.25 ∼ 5 and 0.8 ∼ 6.25 mg/mL, respectively. From these results, ethanol extracts of domestic marine red algae G. verrucosa, G. vermiculophylla, C. tenellus, and G. furcata have high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ethanol extracts from the four marine red algae were investigated in RAW 264.7 cells and HEKn cells. Both cells did not show cytotoxicity to the four red algae extracts. In the LPS-induced inflammatory cell model, iNOS production de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with respect to the extract. At the extract concentration of 100 µg/mL, G. verrucosa(63.6%) showed the highest inhibitory activity. COX-2 also showed an inhibitory effect of 85% or more in the four extracts. TNF-a and lL-1B showed the strongest inhibitory activities in the G. vermiculophylla(73.9%) and the G. furcata(94.7%), respectively. In HEKn cells, COX-2 produc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t 100 μg/mL extract concentration, in the case of iNOS and MMP-2, the most potent inhibitory effect was shown by the G. furcata(73.9%), and in both TNF-α and IL-1β, G. verrucosa extract showed the strongest inhibitory effects at 47.8% and 41.7%, respectively. As- 58 - a result of this, the ethanol extracts of domestic marine red algae G. verrucosa, G. vermiculophylla, C. tenellus, and G. furcata are not cytotoxic and contain effective substances with high anti-inflammatory effects, making them a functional natural material for cosmetics and pharmaceuticals. Taken together, ethanol extracts from the domestic marine red algae G. verrucosa, G. vermiculophylla, C. tenellus, and G. furcata, showed high antioxidant, antibacterial activities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suggesting they are considered very promising candidates for functional cosmetics

      • 아토피 피부염 상재균인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아로마오일의 성장 저해 효과에 관한 연구

        양기숙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327

        This study investigated that antibiotic effect of aroma oils on Staphylococcus aureus, which exists in the skin suffering from atopic dermatitis. Aroma oils such as Chamomile, Tea tree, and Eucalyptus having the antibiotic effect on S. aureus were selected by a disc diffusion method. To retardate the volatility and diminish the toxicity of the aroma oil, encapsulation technique using alginate and carboxymethylscleroglucan (CMSG) beads was employed. Inhibition effect of the aroma oil on the growth of S. aureus depended on the concentration of the oils. In the aroma oil-loaded beads, the antibiotic effect on the bacteria increased with the treated weight of the beads. The Chamomile-loaded beads showed the most effective antibiotic property, while the inhibition effect on the growth of the bacteria was not observed in the Eucalyptus-loaded beads. S. aureus did not proliferate completely in the amount above 0.8 g of the Chamomile-loaded beads and 1.0 g of the Tea tree-loaded beads. 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alginate and CMSG beads in the antibiotic effect on S. aureus did not observed in all the tested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aroma oils and the aroma oils-loaded beads may inhibit the growth of S. aureus in the skin suffering from atopic dermatitis. Therefore, alginate and CMSG-algiante bead contain- ing the aroma oils may be used for preventing the proliferation of S. aureus in atopic dermatitis and as the therapeutic systems in a biomedical and health care fields.

      • 까마중 추출물의 활성성분 분석 및 급성염증 유발 억제 효과 연구

        염영은 전남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327

        본 연구에서 까마중 전초와 열매 추출물을 얻기 위해 용매로 증류수와 80%(v/v) 에탄올 용액을 사용하였고 80℃에서 2시간 30분 동안 추출하였다. 까마중 추출물은 2번의 여과를 거쳐 원심분리와 농축 과정을 한 후 동결 건조로 분말화 하였고 이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까마중 추출물의 유용 성분들을 분석하였고, 세포독성과 nitric oxide (NO) 생성 억제 효과를 평가하였다. 80%(v/v) 에탄올로 추출한 까마중 열매 추출물은 농도 1 mg/ml에서 80%이상 세포생존율을 보였고 0.125 mg/ml, 0.25 mg/ml, 0.5 mg/ml에서 90% 이상의 세포 생존율을 보였다. Lipopolysaccharide (LPS) 처리로 유도된 RAW264.7 세포의 NO 생성은 까마중 열매 추출물을 각각 0.125 mg/ml, 0.250 mg/ml, 0.500 mg/ml, 1.000 mg/ml 농도로 처리한 후 4.1%, 16.1%, 61.0%, 그리고 79.8%로 감소했다. 마우스 귀에 급성 염증을 유발하고 80%(v/v) 에탄올로 추출한 까마중 열매 추출물의 염증 억제효과를 평가하였다. 12-O-tetra decanoylphorbol-acetate (TPA)를 처리한 후 마우스의 귀는 부종과 홍조가 관찰되었고, TPA만을 처리한 마우스 귀와 비교해 보면 까마중 열매 추출물을 처리한 후 마우스의 귀 염증증상은 현저하게 완화되었다. 마우스 귀의 조직을 면역 염색하여 관찰한 결과 까마중 열매 추출물을 처리한 귀의 조직은 정상에 가까운 상태로 부종이 감소하고 염증증상이 완화됨을 확인하였다. 까마중 열매 추출물의 염증 개선 효과를 활용하여 필름형태의 입욕제를 제조하였다. 까마중 열매 추출물이 함유된 필름형 입욕제는 40℃ 물에서 물리적인 혼합 없이 쉽게 용해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통해 까마중 열매 추출물은 항염증 효과를 가지며 항염증 물질로의 개발 가능성을 보인다고 판단된다.

      • UV젤 네일 시술로 손상된 손톱에 대한 네일 트리트먼트의 소비자 만족도 연구

        최수진 전남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327

        본 연구는 UV젤 네일의 잘못된 관리와 부주의로 인해 손상된 손톱을 회복시키기 위해 네일숍에서 효과적인 관리 방법으로 제안하는 네일 트리트먼트 시술이 손상된 손톱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자들의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UV젤 매니큐어로 손상된 손톱의 회복을 위해 사용하는 UV젤 영양제, 일반 영양제, 무 처치 등의 회복력을 살펴보고 네일 트리트먼트 시술의 소비자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연구와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실험연구를 위해 전문적으로 네일 관리를 받지 않는 비교적 건강한 피 실험군 20대 여성 2명을 선정하여 UV젤 매니큐어를 2주 간격으로 시술과 제거를 4회 반복하여 인위적으로 손톱에 손상을 입힌 뒤 왼손 검지, 중지, 약지 순으로 UV젤 영양제, 일반 영양제, 무 처치를 시술하고 2주간 유지 후 아세톤을 사용해 제거한 후 손톱의 자유연(Free edge)이 시작되는 부분을 가로, 세로 약 2mm씩 잘라 채취하여 전자주사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을 사용해 채취한 손톱을 200배 확대 촬영하여 손톱표면의 변화를 형태학적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실험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UV젤 매니큐어로 손상된 손톱에 UV젤 영양제와 일반 영양제의 회복력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 영양제는 UV젤 영양제보다 층간 분리현상에 빠른 개선을 보이지 않았으나, 6주차부터는 표면의 층간 분리현상이 개선되었으며, 8주차에는 안정적인 형태를 보였다. 그리고 UV젤 영양제는 6주차까지 표면의 거칠기가 개선된 상태를 보였으나, 8주차에는 약간의 층간 분리현상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실험 전 보다는 개선된 상태를 보였다. 셋째, 무 처치한 손톱의 경우 UV젤 영양제와 일반 영양제에 비해 더딘 회복력을 보였다. 다음으로 네일 트리트먼트의 소비자 만족도를 살펴보기 위해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네일숍 7곳을 대상으로 2016년 9월 5일부터 2016년 9월 20일까지 총 15일간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자료의 데이터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22.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통해 빈도분석 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응답자 중 UV젤 네일 시술의 경험이 있는 사람이 197명(98.5%)으로 나타났으며, UV젤 네일 시술을 한 달에 1번 이하 받는 사람은 102명(51.8%)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UV젤 매니큐어 시술 중 아트를 한다고 응답한 사람은 103(52.3%)으로 가장 많았으며, UV젤 매니큐어 시술 이유는 광택이 좋다는 4.52점으로 나타났다. UV젤 매니큐어 시술의 불편한 점은 지우기 힘들다는 4.22점으로 나타났으며, UV젤 네일을 지울 때 네일숍에서 지우는 사람은 151명(76.6%)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UV젤 매니큐어 시술 후 네일 손상 경험은 181명(92%)이 손톱 손상을 경험하였으며, 네일 손상 유형으로는 손톱이 얇아진다 4.3점으로 가장 많이 느끼고 있다. 그리고 네일 손상 경험 후 대처방법으로는 네일 트리트먼트제를 사용하여 시술한다. 111명(48%)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네일 트리트먼트 시술 경험이 있는 사람은 165명(91%)으로 나타났으며, 네일 트리트먼트 손상 개선 효과가 있다. 라고 응답한 사람은 111명(72%)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네일 트리트먼트 선택 시 네일리스트 권유에 따른다. 4.61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네일 트리트먼트 시술 후 경험한 효과로는 손톱 층이 벗겨지지 않는다. 3.63점으로 나타났으며, 네일 트리트먼트 시술 불만족으로는 회복 기간이 길다. 3.38점으로 나타났다. 네일 트리트먼트 시술에 만족한다. 라고 응답한 사람은 151명(92%)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만족하는 응답자 중 타인에게 권유한다. 라고 응답한 사람은 134명(81%)으로 나타났다. 반면, 11명(11%)은 타인에게 권유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만족은 하나 만족지수가 높지 않다고 추론할 수 있다. UV젤 네일 시장은 급격히 성장, 발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서 손상된 네일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네일숍을 방문하는 고객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유행에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 자기 개성을 표현하고자 하는 요구(need)가 높다. 그리고 건강한 손톱을 유지하고자 하는 욕구 또한 높으며, 네일리스트의 전문성을 믿고 따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네일숍에서는 건강한 손톱 관리를 위해 네일관리 서비스에 관한 연구를 지속함으로써 손상된 손톱의 다양한 유형에 따른 적합한 네일 트리트먼트 관리를 통해 고객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그리고 네일리스트는 손상된 손톱 상태와 시술 방법에 따라서 적절한 네일 트리트먼트제를 추천하여 건강한 손톱 관리를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야 하며, 고객들에게 네일 트리트먼트제 인식을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 아크릴 스캅춰를 이용한 네일의 형태학적 교정

        진남숙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327

        교조증은 의학적으로나 미용학적으로 뚜렷한 대처방법이 아직까지 거의 없는 형편이고, 조내생증은 의학적으로는 치료나 수술적 방법인 침습적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 반면, 미용학적으로는 교정이나 개선의 방법을 다양하고 구체적으로 기술한 바 없는 것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용적 측면에서 교조증, 교조증과 유사모양을 가진 못생긴 손톱, 그리고 조내생증의 증상을 가진 20~40대 사이의 여성 3명을 선정 후, 아크릴 스캅춰를 시술하기전과 시술한 뒤 8주후의 네일 플레이트의 길이변화를 버니어캘리퍼스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 형태적 변화 및 교정에 대한 심리적 변화를 관찰 및 조사하였다. 그 결과 교조증 여성 시술대상과의 아크릴 스캅춰 시술 전, 후 다섯 손가락에서 네일 플레이트 길이의 변화를 측정하였을 때, 엄지 22.94%, 검지 38.70%, 중지 21.47%, 약지 38.59%, 소지 14.29%가 길어졌고, 교조증은 아니지만 미용적으로 교조증과 흡사한 모양의 짧고 평평하며 못생긴 손톱의 여성 시술대상자는 아크릴 스캅춰 시술과 함께 핀칭 과정을 더하여 주었다. 엄지 21.59%, 검지 41.23%, 중지 29.08%, 약지 47.06%, 소지 16.41%로 길어졌고 평평한 손톱이 C커브가 조금더 생겨 손톱의 아치형태가 살아난 것을 육안으로 개선 및 교정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짧고 못생긴 손톱에서 개선 및 교정효과가 우수한 것은 교조증의 손톱보다는 손톱의 원형이 살아남아 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조내생증 여성의 엄지발톱에 아크릴 스캅춰 시술 전, 후 발톱의 C커브 내부 넓이가 시술 전 왼발톱이 2.97mm, 오른발톱이 2.78mm로 C커브 내부의 넓이가 넓어져 발톱이 살을 누르는 형태가 완만해졌음이 육안적 관찰로 알 수 있어 조내생증의 교정 및 개선의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아크릴 스캅춰 시술로 교조증을 개선하고, 평평하고 못생긴 손톱을 모아주고 개선시켜 주며, 파고드는 발톱을 시술후 즉각적 또는 시술완료 후 증상을 완화 및 교정 시켜준 것이 확인된바, 단순 교조증 개선만이 아닌 여러 문제성 네일의 교정 등 네일 산업 발전 및 네일 미용교육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