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선행학습이 대학 헤어미용 교육에 미치는 영향

        김현수 남부대학교 산업정책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95

        국문초록 선행학습이 대학 헤어미용 교육에 미치는 영향 김현수 지도교수: 박철호 남부대학교 산업정책대학원 향장미용학과 현대사회는 다양한 지식과 정보가 넘쳐나고 있고 이를 습득하기위하여 고등교육이 일반화되는 상황이다. 고등교육의 일반화는 선행학습에 대한 수요를 촉발시켜 학생들은 다양한 형태의 선행학습을 경험하고 있다. 특히, 헤어미용처럼 기능을 다루는 미용의 경우에는 선행학습이 미용관련학과 실기수업에 실제로 어느 정도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가를 실증해 보는 것은 선행학습 논의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과정일 것이다. 학생과 학부모가 선행학습을 당연히 여기고 있고 그것이 사교육 시장에서 보편적인 모습으로 자리 잡아 간다면 이 현상에 대한 냉철한 검증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헤어미용 선행학습이 대학미용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광주광역시와 경기도 소재 2년제 미용학과 1학년과 2학년 중 헤어 미용을 전공으로 선택한 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인적사항 5문항, 헤어미용 선행학습현황 8문항, 헤어 미용 선행 학습의 효과 여부 11문항, 헤어미용 선행학습과 대학 미용학과의 연계성 7문항으로 총 31문항을 조사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SPSS WIN version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모집단으로서 미용헤어전공자들의 특성을 추론하여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교차분석을 통하여 카이제곱(chi-square, x²)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독립성에 대한 검증시 상호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연관성 정도를 나타내는 통계량은 두 변수가 모두 명목척도인 경우,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어지는 파이계수(Φ : Phi Coefficient), 크라머의값(Cramer's V)을 활용하였다. 현재의 학년을 기준으로 학과 실기수업 만족도에 대한 차이 여부를 검정한 결과(p>0.060), 평균값만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2학년 1.9101점, 1학년 2.0246점으로 1학년에 비해 2학년들의 학과 실기수업에 대한 만족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학습 경험 유무 집단에 따른 차이여부를 검정한 결과(p>0.880), 평균값을 중심으로 비-선행학습 집단 1.9512점, 선행학습 경험집단 1.9605점으로 비-선행학습 집단의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헤어미용 선행학습을 한 후 미용실력 향상여부를 묻는 질문에 선행학습자중 실력이 향상되었다고 응답한 비율이 1학년 43.3%이고, 2학년 81.2%이 였다(x²=26.289, P<0.000, Φ -Cramer's V=0.385). 헤어미용 선행학습의 효과 면에서는 헤어미용 선행학습으로 인한 대학 미용 교육의 이해도 측면에서 1학년의 경우에는 보통(41.6%), 거의 이해 안 된다는 응답이 50%를 차지하는 반면 2학년의 경우 보통(23.9%), 조금 이해된다는 응답이 41%, 거 의 이해 안된다는 응답은 5%(x²=75.534, P<0.000, Φ -Cramer's V=0.653)에 불과하여 1학년에 비해 2학년의 경우에 선행학습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대학진학을 목표로 헤어미용을 선행학습하는 것은 대학 헤어미용학습을 용이하게 하는 목적보다는 미용사 자격취득과 그에 따른 자신감신장에 목적을 두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본 설문에 응답한 대학교의 헤어미용 교육과정이 자격증 위주의 교육 프로그램이 아닌 미용현장실무위주로 체계화되어 있기 때문에 1학년과 2학년의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여겨진다. 이에 본 연구자는 대학교의 헤어미용 교육과정을 자격증 위주가 아닌 미용현장 실무교육과정으로 편성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본질적인 기술과 학문이 합쳐진 교육과정을 연구 개발하여야 하며 선행학습자나 비선행학습자나 똑같은 조건에서 미용 을 대학에서 다시 시작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대학교 진학 이전의 미용교육이 자격증 위주의 학습이라면 대학교의 헤어 미용교육은 자격증 취득을 목적으로 하는 선행학습과의 차별화 된 대학미용이라는 하나의 미용교육의 새로운 분야로 재 탄생시켜야 할 것으로 사료 된다.

      • 블랙 커런트(Ribes nigrum L.)추출물을 이용한 모발염색 특성

        김민관 남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679

        블랙 커런트(Ribes nigrum) 추출물을 이용한 모발염색 특성 김민관 지도교수: 박철호 남부대학교 대학원 향장미용학과 본 연구는 블랙커런트의 안토시아닌 색소가 모발의 천연염색제로 사용 가능한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블랙커런트 추출액의 모발염색 및 색상변화는 안토시아닌의 최대흡수파장에서 염색 온도, 염색 시간 및 pH를 변화시켜가면서 관찰하였다. 매염 제로 황산제일철(FeSO4), 초산(CH3COOH), 명반[AlK(SO4)2], 황산구리(CuSO4), 황 산마그네슘(MgSO4), 황산망간(MnSO4), 질산코발트(Co(NO3)2), 탄산칼슘(CaCO3), 탄 산나트륨(Na2CO3)을 사용하여 매염 방법에 따른 모발 염색성 및 견뢰도를 측정하였 다. 연구결과 안토시아닌 색소의 최대흡수파장은 540 nm 였다. 안토시아닌 색소는 염색 온도와 염색 시간이 증가할수록 K/S 값은 증가하고, L* 값은 감소하였다. 블 랙커런트 추출액의 K/S 값은 46.141-55.927 였으며, 최적 염색 조건은 염색 온도 4 0℃, 염색 시간 20분 이었다. 블랙커런트 추출액의 pH 2.87에서 모발 염색 시 K/S 값이 48.487, a* 값이 4.39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진한 적자색이었다. 염제는 산 성에서는 a*값이 증가하고, 알칼리에서는 b*값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염방 법에 따라 선매염에서는 황산제일철, 황산마그네슘, 황산구리, 명반, 초산, 탄산나트 륨의 K/S값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후매염에서는, 황산망간, 탄산탈슘, 동시매염 에서는 질산코발트가 K/S값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세정견뢰도에서 K/S 값은 41.855-31.571 범위에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 블랙커런트 추출물은 천연염모 제로서 매염제 사용 시 모발에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어 모발 염색에 사용 가 능함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anthocyanin pigments in black currants as a natural hair colorant. The variations in color of hair dye with black currant extract were observed by varying the temperature and dyeing time and pH of the extract at the maximum absorption wavelength for anthocyanins. FeSO4, MgSO4, MnSO4, CuSO4, AlK(SO4)2, CH3COOH, Co(NO3)2, CaCO3, and Na2CO3 were used as mordants to measure hair dyeability and color fastness using the mordant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aximum absorption wavelength of anthocyanin pigments was 540 nm. For anthocyanin pigments, the K/S (dye uptake) value increased and the L* value de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and dyeing time. The K/S value of the black currant extract was 46.141–55.927 and the optimal dyeing conditions were a temperature of 40℃ and 20 min dyeing time. When the pH of the extract was 2.87, the highest K/S value was 48.487 and a* value was 4.398, resulting in a deep reddish-purple color. When the mordant was acidic, a* value increased and for alkaline mordant, b* value increased. The results of the mordant method showed that FeSO4, MgSO4, CuSO4, AlK(SO4)2, CH3COOH, and Na2CO3 have the highest K/S values in pre-mordanting phase. The K/S values were the highest in post-mordanting for MnSO4 and CaCO3, and in simultaneous mordanting for Co(NO3)2. The K/S values for washing fastness ranged from 41.855–31.571. The above results confirm that the black currant extract can be used as a natural hair dye that can be used for hair dyeing, as it can produce a variety of hair colors when used with a mordant.

      • 미용국가자격증 취득이 자기효능감과 경력개발 및 직업선택에 미치는 영향

        이윤서 남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79

        미용국가자격증 취득이 자기효능감과 경력개발 및 직업선택에 미치는 영향 이윤서 지도교수 : 유민정 남부대학교 대학원 향장미용학과 본 연구에서는 미용국가자격증 취득이 자기효능감과 경력개발 및 직업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미용국가자격증 소지자를 대 상으로 오프라인과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총 310부 중 응답이 부 적격하거나, 연구 대상에 합당하지 않은 7부를 제외한 총 303부를 SPSS 25.0 프로 그램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성별은 여성이 236명(77.9%), 나이는 20-29세 119명(39.3%), 국가기능사 자격증 취득종류는 미용사(일반)이 231명(76.2%), 국가기 능사 자격증 취득이유는 기술을 배우고 싶어서가 112명(37.0%)으로 높게 나타났다. 미용국가자격증 취득이 자기효능감과 경력개발 및 직업선택에 미치는 가설을 검증한 결과 가설 1의 미용국가자격증 취득은 통합성, 활용성이 자기효능감에 유의 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미용국가자격증 취득의 하위요인별 통 합성, 활용성이 높을수록 자기효능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가설 2의 검증 결과 미용국가자격증 취득은 활용성, 통합성, 현장성이 경력개발에 유의미한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활용성, 통합성, 현장성이 높을수록 경력개발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가설 3의 검증 결과 미용국가자격증 취득이 직업장래성, 전공적합성, 직업혜택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활용성, 통 합성이 높을수록 직업장래성, 전공적합성, 직업혜택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으 며, 활용성이 흥미추구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미 용국가자격증 취득이 하위요인별 활용성이 높을수록 흥미추구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가설4의 검증 결과 자기효능감은 경력개발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경력개발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가설5의 검증 결과 자기효능감은 직업장래성, 전공적합성, 직업혜택, 흥미추구 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직업장 래성, 전공적합성, 직업혜택, 흥미추구도 높아지는 것으로 불 수 있다. 가설6의 검증 결과 경력개발은 직업장래성, 전공적합성, 직업혜택, 흥미추구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경력개발이 높을수록 직업장래성, 전공적합성, 직업 혜택, 흥미추구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의 미용국가자격증 취득이 자기효능감과 경력개발 및 직업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미용국가자격증 취득은 활용성, 통합성이 높을수록 자기효능감, 경력개발, 직업선택이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경력 개발, 직업선택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경력개발이 높을수록 직업선택 이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여성의 외모관심도가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 네일관리행동의 매개효과

        곽령 남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7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nail care behavior on the impact of appearance concern on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or the empirical analysis, a total of 351 copies were used for women with nail care experience living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Jeollanam-do, and Jeollabuk-do. For the analysis of the study, the collected data used the SPSS ver, 25.0 program.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validity, and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calculated to verify reliability. We looked into appearance interest, nail care behavior,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o determine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and the Duncan test was used as a post-hoc test method.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hypothesis, and 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 of nail care behavior. Research results: First, the overall interest in appearance was found to be 3.86 points. Relatively, interest in appearance was high in those in their 50s or older, enrolled/graduated from graduate school, income of more than 3 million won, and average monthly appearance management cost of more than 300,000 won. Second, overall nail care behavior was found to be 3,43 points. Differences in nail care behavior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average monthly income and average monthly appearance care costs. Nail care behavior was found to be relatively high in those with an average monthly income of more than 3 million won and average monthly appearance care costs of less than 200,000 to 300,000 won. Third, overall self-esteem was found to be 3.86 poin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steem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level of education. Relatively, self-esteem was found to be high in those attending/graduated from graduate school. Fourth, the overall interpersonal relationship was scored at 3.75 points.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Hypothesis 1, which states that interest in appearance will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nail care behavior,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a woman's interest in appearance, the higher her nail care behavior. Sixth, as a result of analyzing hypothesis 2, which states that interest in appearance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self-esteem,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a woman's interest in appearance, the higher her self-esteem. Seventh, as a result of analyzing hypothesis 3, which states that interest in appearance will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a woman's interest in appearance, the higher he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Eighth, as a result of analyzing hypothesis 4, which states that nail care behavior will have a positive (+) effect on self-esteem,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a woman's nail care behavior, the higher her self-esteem. Ninth, as a result of analyzing hypothesis 5, which states that nail care behavior will have a positive (+) effec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a woman's nail care behavior is, the higher he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re. Tenth, as a result of analyzing Hypothesis 6, which states that nail care behavior will mediate the effect of interest in appearance on self-esteem, it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Eleventh, as a result of analyzing Hypothesis 7, which states that nail care behavior will mediate the effect of interest in appearance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t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Summarizing the above results, it has been proven that nail care behavior is capable of not only external care, but also internal care such as self-esteem and social care such a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is result aim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nail care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nail-related industry. 여성의 외모관심도가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네일관리행동의 매개효과- 곽령 지도교수 : 박철호 남부대학교 대학원 향장미용학과 본 연구는 여성의 외모관심도가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네 일관리행동의 매개효과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습니다. 실증분석을 위해 광주광역시 및 전라남・북도에 거주하는 네일관리를 해본 경험이 있믐 여성을 대상 으로 총 351부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의 분석을 위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 하여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타당성 검증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 고, 신뢰도 검증은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외모관심도와 네일관리행동, 자아존중감, 대인관계에 대해 알아보고, 조사대상자 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 및 일원 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정 방법으로는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각 변수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의 검증을 위하여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고, 네일관리행동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3단계 매개회귀분석(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전반적인 외모관심도는 3.86점으로 나타났 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외모관심도 차이는 연령, 교육정도, 월 평균 소득, 월 평 균 외모관리비용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먼저 연령에 따라서는 50대 이상, 교육정도에 따라서는 대학원 재학/졸업, 월 평균 소득에 따라 서는 300만원 이상, 월 평균 외모관리비용에 따라서는 30만원 이상의 경우 상대적 으로 외모관심도가 높게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반적인 네일관리행동은 3,43점으 로 나타났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네일관리행동 차이는 월 평균 소득, 월 평균 외 모관리비용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월 평균 소득에 따라서 는 300만원 이상, 월 평균 외모관리비용에 따라서는 20 〜 30만원 미만의 경우 상 대적으로 네일관리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반적인 자아존중감은 3,86 점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아존중감 차이는 교육정도에 따라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교육정도에 따라서 대학원 재학/졸업의 경우 상 대적으로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반적인 대인관계는 3,75점으 로 나타났다. 다섯째, 외모관심도가 네일관리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1을 분석한 결과 여성의 외모관심도가 높을수록 네일관리행동도 높아지는 것 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외모관심도가 자아존중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2를 분석한 결과 여성의 외모관심도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도 높아지는 것으 로 나타났다. 일곱째, 외모관심도가 대인관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3을 분석한 결과 여성의 외모관심도가 높을수록 대인관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 났다. 여덟째, 네일관리행동이 자아존중감애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4 를 분석한 결과 여성의 네일관리행동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 타났다. 아홉째, 네일관리행동은 대인관계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5를 분석한 결과 여성의 네일관리행동이 높을수록 대인관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 다. 열째, 네일관리행동은 외모관심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할 것이다 는 가설 6을 분석한 결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한번째, 네일관리행동은 외모관심도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할 것이다는 가설 7을 분석한 결과 부 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네일관리행동이 외면적인 케어 뿐만 아니라 자아존중감과 같은 내면적 케어 및 대인관계와 같은 사회적 케어 까지 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이 결과는 네일케어의 중요성을 각인시키고 네 일관련 산업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 코로나19(COVID-19) 발생 이전·이후 바디화장품 사용실태 및 구매행동 연구

        김미정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코로나19 팬데믹(Pandemic, 세계적 대유행)이 엔데믹(Endemic, 풍토병으로 굳어진 감염병)으로 들어서며 우리는 바이러스와 함께 생활하고 있다. 코로나19의 장기화는 사회 전반에 걸쳐 많이 변화를 가져왔으며, 특히 국내 화장품 산업에서 색조화장용과 두발용 제품류의 생산실적 감소세, 기초화장류와 인체세정용 제품류는 증가세로 이에 대한 각 분야의 연구가 급증하고 있다. 반면, 위생과 청결을 중요시하는 인식의 재고로 손세정제와 그에 따른 보습제 사용이 늘어나고, 집에서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지며 바디화장품과 바디케어 제품의 소비는 증가하는 추세이나 그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발생이 바디화장품 사용실태와 구매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검증하고자 국내 20~50대 여성을 대상으로 2023년 3월 7일부터 14일까지 온라인 모집 공고문을 통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WIN 25.0 프로그램으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30대, 사무직종사자, 월평균소득 200~300만원 미만, 피부타입과 바디피부타입 건성이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다. 건조가 바디피부의 가장 큰 고민이며, 연령이 낮을수록 트러블을 고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초용제품류로 바디로션, 인체세정용제품류로 바디워시를 선호하였으며, 개인의 위생과 청결을 위해 바디화장품을 사용하며, 연령이 높을수록 핸드워시와 핸드로션의 사용이 증가하였다. 둘째,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바디화장품의 구매행동으로 인터넷에서 월평균 3~5만원 미만 자발적 의사로 구매하였으며, 바디피부에 관심도는 20대, 40대 이상, 30대 순으로, 사무직 종사자, 피부타입 복합성과 바디피부타입 건성이 각각 가장 높게 나타났다. 20대는 가격, 기능/효능/사용감, (전)성분/안전성/향을 피부타입을 복합성은 후기/추천/판매량에 대해 구매 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코로나19 이전과 이후에 따른 바디화장품의 구매행동의 차이는 구매 고려요인으로 코로나19 이전 기능/효능/사용감, 이후는 (전)성분/안전성/향, 바디피부 관심도가 더욱 증가하였다. 주로 인터넷에서 구입하였으나, 코로나19 이전은 오프라인(H&B스토어)에서, 이후는 온라인(인터넷)에서 각각 구매비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월평균 구매 금액은 3~5만원 미만이며, 코로나19 이후 10만원 이상 응답이 2배 이상 증가하여 코로나19로 인해 바디화장품에 대한 관심도가 더욱 높아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코로나19 이전과 이후에 따른 바디화장품의 제품 품질의 만족도는 코로나19 이후가, 구매 장소에서의 서비스 만족도는 이전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온라인에서 구매 비율이 증가했던 코로나19 이후에 낮아진 것으로 추측된다. 다섯째, 코로나19 이전과 이후 바디화장품의 사용실태와 구매행동에 따른 만족도는 코로나19 이전에는 체취방지용제품류, 이후는 인체세정용제품류가 높게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코로나19 이후 TV 라디오 인터넷 광고를 통한 구매의사를 결정, 오프라인 H&B스토어에서 월평균 3만원 미만의 구매에 만족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회적 재난으로 인해 위생관념이 더욱 높아졌으며, 시대적 흐름에 따라 개인의 취향을 중요시 여기는 만큼 바디피부를 위한 화장품이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코로나19 이후 화장품산업 전반의 변화에 따른 바디화장품의 사용실태와 구매행동을 이해하고, 바디화장품 시장의 성장과 경쟁력 강화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With the transition of the COVID-19 pandemic, a global outbreak, to an endemic state, we are now living with the virus. The prolonged presence of COVID-19 has brought about significant changes across society, particularly impacting the domestic cosmetics industry. There has been a decrease in the production of color cosmetics and hair care products, while skin care and personal hygiene products have seen an increase. As a result, research in these respective fields has experienced a rapid growth. On the other hand, there has been an increased awareness of hygiene and cleanliness, leading to a rise in the usage of hand sanitizers and accompanying moisturizers. As people spend more time at home, there is also a growing trend in the consumption of body cosmetics and body care products. However, research on these specific areas has been largely neglected. In this study, the aim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COVID-19 outbreak on the usage patterns and purchasing behavior of body cosmetics among women aged 20 to 50 in South Korea. To accomplish thi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7th to 14th, 2023, targeting women in this age group through a recruitment notice.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 25.0 software.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regard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those in their 30s working in office jobs with a monthly income of less than 2-3 million won showed the highest distribution in terms of dry skin type and dry body skin concerns. The younger age groups expressed more concerns about skin troubles. They preferred body lotions as basic products and body washes as body cleansers. As age increased, the use of hand washes and hand lotions also increased. Secondly, based on the purchasing behavior of body cosmetic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 respondents voluntarily purchased body cosmetics online, with a monthly average spending of less than 30,000-50,000won. Among the age groups, those in their 20s, followed by those aged 40 and above, and then those in their 30s, showed the highest interest in body skin care. Office workers and individuals with combination skin type and dry body skin type were the most prominent groups. In their purchasing decisions, people in their 20s considered price, functionality/efficacy/texture, and (all) ingredients/safety/fragrance, while those with combination skin type considered reviews/recommendations/sales volume. Thirdly, the differences in purchasing behavior of body cosmetics before and after COVID-19 were observed. The factors considered before COVID-19 were functionality/efficacy/texture, while after COVID-19, (all) ingredients/safety/fragrance and interest in body skin care increased. The majority of purchases were made online, but before COVID-19, offline (H&B stores) had a higher purchase rate, whereas after COVID-19, online (internet) had a relatively higher purchase rate. The monthly average spending was less than 30,000-50,000 won, but after COVID-19, there was an over 2-fold increase in responses indicating spending over 100,000 won, indicating a higher level of interest in body cosmetics due to COVID-19. Fourthly, the satisfaction level with the quality of body cosmetics after COVID-19 was lower, while the satisfaction level with the service at the purchase location was higher before COVID-19.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increased proportion of online purchases after COVID-19. Lastly, the satisfaction level based on the usage patterns and purchasing behavior of body cosmetics before and after COVID-19 showed that before COVID-19, satisfaction was higher for products related to body odor prevention, while after COVID-19, satisfaction was higher for body cleansing products. Additionally, after COVID-19, it was found that TV, radio, and internet advertisements influenced purchasing decisions, and there was higher satisfaction with purchases of less than 30,000 won at offline H&B stores. Due to the social disaster, hygiene consciousness has increased even more, and in line with the trend of the times, there has been a growing number of body cosmetics that prioritize individual preference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usage patterns and purchasing behavior of body cosmetic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in the overall cosmetics industry after COVID-19, and hopes to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the growth and competitiveness enhancement of the body cosmetics market.

      • 기능성 향장제품 개발을 위한 에션셜 오일의 항산화 및 항균 효과 비교

        김연심 남부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문초록 기능성 향장제품 개발을 위한 에션셜 오일의 항산화 및 항균 효과 비교 김연심 지도교수 : 유민정 남부대학교 대학원 향장미용학과 본 연구는 아로마 테라피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20종의 에션셜 오일에 대한 항산화 효과, 피부와 두피에 존재하는 미생물에 대한 항균효과 그리고 구강에 존재하는 미생물에 대한 항균 효과를 측정하여 향장소재로 다기능을 갖는 제품 개발에 서로 시너지 역할을 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연구하였다. 오일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DPPH 라디컬 소거능과 ABTS 라디컬 소거능을 측정한 하였다. DPPH 라디컬 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 Arborvitae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ABTS 라디컬 소거능 Rosermary가 가장 우수하였다. 오일의 항균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Staphylococcus epidermidis, Staphylococcus aureus, Propionibacterium acnes, Streptococcus mutans, Streptococcus sobrinus, Escherichia coli, Pityrosporum ovale, Malassezia furfur, Candida albicans, Trichophyton mentagrophytes의 항균효과를 측정하였다. 오일의 paper disc diffusion method를 통한 S. epidermidis에 대한 항균활성 측정 결과 Oregano, Arborvitae, Myrrh가 가장 우수하였다. S. aureus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Oregano, Arborvitae, Orangr가 가장 우수하였다. P. acnes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Oregano, Arborvitae, Myrrh가 가장 우수하였다. S. mutans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Oregano, Arborvitae, Myrrh가 가장 우수하였다. S. sobrinus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Oregano, Arborvitae, Vetiver가 가장 우수하였다. E. coil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Oregano, Myrrh, Arborvitae가 가장 우수하였다. P. ovale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Oregano, Lemongrass, Arborvitae가 가장 우수하였다. M. furfur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Oregano, Arborvitae, Myrrh가 가장 우수하였다. C. albicans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Oregano, Arborvitae, Vetiver가 가장 우수하였다. T. mentagrophytes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Oregano, Arborvitae, Myrrh가 장 우수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 20종 오일은 항산화 및 10종의 균에 대한 항균효과도 우수하였으며. 특히 20종 오일 중 Oregano, Arborvitae가 가장 우수하였다.

      • 탈모원인을 이용한 두피관리가 탈모예방 관리 및 개선 효과에 미치는 영향 : 광주지역 중심으로

        이경화 남부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문초록 탈모원인을 이용한 두피관리가 탈모예방 관리 및 개선 효과에 미치는 영향 이 경 화 지도교수: 최선은 남부대학교 대학원 향장미용학과 본 연구는 탈모원인을 이용한 두피관리가 탈모예방관리 및 개선 효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는데 목적으로 광주 지역 두피 관리샵 이용고객 143명을 대상으로 실증조사 결과 다음과 같이 분석되었다. 탈모 원인별 두피관리가 예방에 미치는 영향에서 첫째, 환경적 원인과 신체적 원인이 식생활요법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둘째, 물리적 원인과 환경적 원인이 대체의학요법에 유의적인 영향과 셋째, 물리적 원인과 환경적 요인이 두피클리닉 요법에 적합한 예방관리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냈다. 이 같은 결과는 탈모현상에 따른 발생인자가 물리, 화학, 환경, 신체적 조건에 따라 탈모발생이 다르고 이에 따른 예방관리 효과로서 특정요법만이 아닌 대상에 따라 적합한 관리요법을 선택활용 해야 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소비자 관점에서 두피관리예방을 위한 처방요법에 대한 획일적이거나 두피클리닉을 우선으로 한 처방관리에 중점을 두었으나 이 같은 본 연구 결과를 통해볼 때 식생활요법과 최근 급격한 관심을 받고 있는 대체의학요법 및 처치 방법이 다양해지고 있는 두피클리닉에 이르기까지 선별적으로 처방관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올바른 두피관리를 위해 화학적 원인과 신체적 원인의 경우 퍼머, 염색, 비누나 샴푸 등 화학성 원료를 바탕으로 한 약품 부작용 등으로 가려움증이나 각화현상 등의 탈모촉진에 의한 손상은 두피클리닉이 아닌 필수 영양분의 섭취를 통해 혈액을 통한 처치가 요구된다. 그리고 물리적 환경적 원인에 기인한 경우에도 자신의 두피에 맞는 방지제품을 도포해 주거나 마사지를 해줌으로써 탈모를 예방하게 하고 대체의학요법에서도 신경을 안정시켜 헤어토닉의 사용이나 아로마오일 등을 두피에 발라서 안정시키는 아로마향으로 모발의 큐티클을 감싸 관리 예방과 보호에 적합하게 활용하여할 것이다.

      • 향수의 이미지 특성이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안채윤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63

        향은 인류가 탄생됨과 동시에 인간의 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면서 깊게 자리를 잡아오고 있는 필수품으로 최근 조사에 의하면 우리나라 여성의 약 72%가 일상적으로 향수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날 정도로 범용적인 제품이며 최근에는 신세대들의 향수 소비가 늘면서 국내 화장품 회사들의 자사브랜드 개발 노력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가 향수를 구매하는데 있어서 향수제품이 가지고 있는 제품 품질 및 가치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으며 그에 대한 선행변수로서 향수제품이 갖는 이미지 특성이 소비자가 느끼는 향수제품의 품질과 가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감성적 도구로서의 향수가 아닌 향수제품 자체에 대한 소비자의 행동을 연구하고 향수제품의 개발과 판매를 위한 이슈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향수의 이미지 특성 중 상쾌성과 현대성은 향수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된 품질과 지각된 가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극성과 낭만성은 모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각된 품질과 지각된 가치는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영향력은 지각된 가치보다는 지각된 품질이 더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두 가지 면에서 시사 하는 의의를 가지고 있다. 첫째, 향수의 이미지 특성을 통한 소비자의 품질지각을 실증적으로 연구하였다. 둘째, 소비자가 갖는 향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지각된 가치보다는 지각된 품질임을 실증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오늘날의 소비자들은 브랜드를 보고 향수를 구매하던 과거의 행동과는 다르게 품질에 중점을 두고 제품을 선택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계기로 향수를 제조하거나 판매하고자 하는 기업들은 과거 파워 브랜드에 의존하던 영업방식에서 벗어나 제품의 품질을 소비자에게 지각시켜야만 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Fragrance has been an essential part of people's life and, according to a recent survey, about 72% of Korean women use perfume on a daily basis. The number of consumers who purchase perfume is increasing and Korean cosmetics companies are actively developing their own bran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product quality and value of perfume on purchase intention, and, as an antecedent,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regarding the effect of image characteristics of a perfume on the quality and value of perfume perceived by consumers, in order to study consumer behaviors towards perfume as a product and find issues related to development and sales of perfumes. The result shows that refreshingness and modernity influence perceived quality and value of perfume, while stimulation and romantic quality did not have an effect. Also, the perceived quality and value had an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with the former being more influential than the latt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wo aspects: First, it is an empirical study of consumers' quality perception based on image characteristics. Second, it verifi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that perceived quality is more influential than perceived value on perfume purchase intention of consumer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onsumers today, unlike consumers in the past who purchased perfume based on the brand, focus on quality when choosing a perfume. This study can help perfume companies realize the importance of having consumers perceive good quality of the product rather than relying on brand power.

      • 여성의 퍼스널 컬러 인식이 뷰티관리행동 및 이미지메이킹에 미치는 영향

        김서은 남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63

        퍼스널 컬러 인식이 뷰티관리행동 및 이미지메이킹에 미치는 영향 김서은 지도교수 : 박철호 남부대학교 대학원 향장미용학과 본 연구는 여성의 퍼스널 컬러 인식이 뷰티관리행동 및 이미지메이킹(내적이미 지: 자아존중감, 외적이미지: 외모만족도, 사회적이미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광주광역시 및 전라남・북도에 거주하는 퍼스널 컬러 진단을 받아 본 경험이 있는 여성을 대상으로 304부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의 분석 을 위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도구에 대한 타당성과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으로 Cronbach's α 계 수를 산출하였다. 퍼스널 컬러 인식, 뷰티관리행동 및 이미지메이킹에 대해 알아보 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test, 일원변량분석 및 Duncan test(post-hoc)를 실시하 였다. 퍼스널 컬러 인식, 뷰티관리행동 및 이미지메이킹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 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퍼스널 컬러 인식이 뷰티관리행동 및 이미지메 이킹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퍼스널 컬러 인식 과 이미지의 관계에서 뷰티관리행동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3단계 매개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퍼스널 컬러 인식이 뷰티관리행동에 미치는 영 향을 알아본 결과 퍼스널 컬러 인식이 높을수록 뷰티관리행동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퍼스널 컬러 인식이 이미지메이킹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퍼 스널 컬러 인식이 높을수록 이미지메이킹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뷰티 관리행동이 이미지메이킹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헤어관리행동, 메이크업관 리행동이 높을수록 내적이미지(자아존중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헤어관리 행동, 네일관리행동이 높을수록 외적이미지(외모만족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 다. 헤어관리행동, 네일관리행동이 높을수록 사회적이미지(대인관계)도 높아지는 것 으로 나타났다. 넷째, 뷰티관리행동은 퍼스널 컬러 인식과 이미지메이킹 간의 관계 에서 부분매개 조건을 충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여성의 퍼스널 컬러 인식은 뷰티관리행동 및 이미지메이킹에 영향을 미쳐 뷰티관 리행동에 필요한 제품의 마케팅 및 판매 시 여성 소비자 개인별 퍼스널 컬러에 맞 는 접근이 필요하며, 퍼스널 컬러가 여성의 자존감을 높이고 사회성을 향상시키는 데도 기여함을 시사한다. 또한 헤어관리행동 및 메이크업관리행동은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 반면, 헤어관리행동 및 네일관리행동은 외모만족도와 대인관계를 향상 시켜 개인별 관리행동에 따른 성향을 파악하는 것 또한 제품의 마케팅 및 판매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퍼스널 컬러가 뷰티관리행동의 매개효과를 통하여 이미지메이킹에 영향을 미치므로 마케팅 시 개인별 퍼스널 컬러를 적용한 뷰티 시 연행사가 유효함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