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행정의 철학적 조명에 대한 필요성 고찰 : 행정인식론을 중심으로

        김정화 조선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67

        우리는 행정현상을 접하면서 “행정이란 무엇이며, 그것은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가? 즉 무엇을 위한 행정인가?”, “바람직한 행정은 무엇을 위해 어떻게 행해져야 되는가?” 등의 근본적인 질문에 직면하게 된다. 이와 같은 질문을 제기하고 이에 대한 답을 찾으려고 노력할 때 우리는 행정철학의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김항규, 1995: 3). 전종섭 교수(2001)는 행정학에서 철학적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행정의 목적과 활동에 관하여 깊이 생각하기 위해서라고 답하고 있다. 행정의 기본적인 지향은 도구적(instrumental)이고 합리적(rational)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행정은 완전하게 합리적이지도 않고 도구적이지도 않다. 행정실무자들은 시민을 돕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자기 자신들을 위해서 행정환경을 변화시키고 재창조하려고 한다. 반면에 학자들은 사회와 조직의 상황을 조작하고 통제하며 설명한다. 그들의 연구는 흔히 이론적인 가정하에서 시작하지만 체계적인 분석에 입각하여 그 가정과 경험적인 결론 사이의 간격을 메우고자 한다. 이와 같이 가정과 결론간의 간격을 메우고 증거를 제시하는 일이야말로 경험지향적인 학자들에게 단선적이고 전진적인 학문발전의 기회를 주며, 나아가서 그것은 실증적이며 경험적인 방법론의 중요성을 인식함으로써 실무자들과 학자들을 연계하고 통합한다. 그러나 행정학자들이 연구하는 분야는 그들에게 확신감을 주는 뚜렷한 연구기법과 방법론이 결여되어 있다는 점에서 그것들이 명확한 자연과학의 분야와는 다르다. 행정학에서는 분석을 중요시하지만 분석상의 간격, 즉 실체를 파악하기 힘든 사회현상의 이해와 무의식적인 메카니즘에 대한 분석의 어려움이 존재한다. 행정학자들은 그들이 의지할 경험적 증거가 불충분하거나 그들과 선입관과 심리적 욕구를 공유하는 사람들을 예외로 다루는 경우가 있다. 현상학자인 Husserl(1859-1938)은 지금까지 “과학은 궁극적인 진리를 파악할 수 없었다”고 믿고 모든 정신적 과정을 순수한 관찰과 이해의 대상으로 삼음으로써 그것을 파악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Husserl은 사회적 실재 혹은 사회적 현실(social reality)을 이해하는 문제에 깊은 관심을 가졌다(전종섭, 2001). 행정철학(philosophy of administration)은 행정의 본질이 무엇이고, 행정의 근본 목적을 포함하여 행정이 추구하며 실현하려고 하는 바람직한 가치는 무엇이며, 그들 가치들은 실천적 행정에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가에 관한 학문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김항규, 1995: 4). 지금까지 행정철학에 대한 연구 및 관심이 결여되어 온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다. 가장 근본적인 것은 과학주의를 행정학의 기본적인 방법론적 틀로 삼아 행정학의 연구 목적을 경험적인 행정현상에 내재하는 법칙성 내지 이론의 발견을 통해 행정현상을 설명하고 예측하는 데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과학주의적 사고는 경험적 현상에서 발견되는 법칙성, 이론의 발견에 주력하고 이를 위해 객관성(objectivity), 경험성(empiricism) 및 보편성(generality) 등을 중시함으로써 방법론적 측면에서 가치(value)와 사실(fact)을 분리하고, 행정의 연구를 사실의 측면에 한정해야 한다는 ‘가치-사실 이원론(value-fact dichotomy)' 내지 가치 중립성(value free) 원칙에 기초하고 있다. 가치 중립성의 원칙은 실증주의(positivism)의 영향에서 유래된 것이다. 이에 의하면 가치란 기본적으로 개인적 선호(personal preference)나 신념(conviction)에 근거하고 있기 때문에 합리적·과학적 연구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고 한다. 이러한 전제가 행정학의 인식론적 기초를 형성하여 행정학은 주어진 목표 가치를 능률적으로 달성키 위한 수단으로서의 기술적 분석을 강조하는 경험 지향적, 도구적 합리주의에 빠지게 되었다. 따라서 어떤 목표와 가치가 추구되어야 하는가? 등에 관한 행정철학적 차원에 대한 문제를 논의하기보다는 수단의 능률성을 강조하는 기술을 일차적인 요소로 생각하여 왔다(김항규, 1995: 4-5). 행정학이 철학적·윤리적 기초를 결여한 채 수단적 합리성에 치중하게 될 경우 그것은 어떠한 목적에도 봉사하는 도구가 되어 버린다. 올바른 행정이란 과학과 기술을 뛰어넘은 철학으로 체계지어진 것이어야 한다. 행정학에 관한 지식은 인간을 도구로 삼지 말고 목적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바람직한 행정학의 방향은 행정기술과 과학의 차원을 넘어 궁극적으로는 인간의 존엄성 확보라는 목적에 도움이 되는 행정철학적 방향이 중요하게 된다. 즉 행정학 연구에서 과학적·기술적 차원은 그것이 필요조건은 될 수 있으나 충분조건이 될 수는 없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행정인식론을 중심으로 행정철학의 개념을 더욱 명확히 하고 그 개념을 통해 행정철학의 필요성을 체계적으로 탐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행정학은 철학(philosophy)분야와 과학(science)분야, 그리고 기술(art)분야의 세 요소로 구성된다고 할 수 있다(안해균, 1986: 73). 행정철학은 행정학의 철학분야이다. 철학은 크게 이론철학과 실천철학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론철학은 가장 보편적인 원리들을 밝혀내는 연구를 하는 것이고, 실천철학은 실천(praxis)활동과 그 대상들의 궁극원리를 연구하는 것이다. 이론철학은 지각, 사유, 의식, 진리가 무엇이며 이들을 지배하는 궁극원리가 무엇인가를 묻는 이론 활동의 대상에 관한 물음을 다룬다. 그러므로 이론철학의 가장 중요한 두 가지의 분과는 인식에 관한 철학적 연구인 인식론(epistemology)과 존재에 관한 철학적 연구인 존재론(ontology)이라 할 수 있다(이길우 외, 1993:50). 한편 실천철학은 인간의 실천적 사고와 행위란 무엇이며 그 근본원리가 있는가? 그리고 그와 같은 것이 있다면 그것이 무엇인가를 연구한다. 이와 같은 실천철학의 대표적인 분과가 윤리학이라 할 수 있다. 윤리학 이외에도 이와 같은 철학적 문제를 다루는 분야가 바로 실천철학의 성격을 갖는다. 우리가 일상생활 내지 행정실무와 관련하여 쓰는 행정철학이라는 말도 이와 같은 성격을 갖는다. 철학을 이론철학과 실천철학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 것처럼 행정학도 행정이론의 철학과 행정실천의 철학으로 나누어 볼 수 있을 것이다. 행정이론의 철학은 행정학이 연구대상으로 하는 행정현상의 인식방법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고 이들의 과학 철학적 기반은 무엇인가 하는 등의 문제를 다룬다. 행정학에서 다루고 있는 여러 개념들, 예컨대 관료제라든지 조직이라든지 하는 것 등의 존재론적 의미는 무엇인가 하는 문제와 행정과정의 핵심이 되는 기본요소는 무엇인가 하는 문제 등을 다루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렇게 보아 행정이론의 철학을 구성하는 주요한 요소로서 두 가지 즉, 행정인식론(epistemology of public administration)과 행정존재론(ontology of public administration)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논문은 행정이론의 철학적 의미를 행정인식론을 중심으로 그 의미를 고찰하고, 특히 행정에 대한 전통적 연구 방법론이라 할 수 있는 논리실증주의 및 행태주의의 이론적 장점 및 단점을 과학철학의 관점에서 재해석하여 행정에 있어 과학성의 관념을 정립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행정철학에 관한 기존의 서적과 논문을 참고하는 문헌연구방법을 주 연구방법으로 채택하였다.

      • 작업치료 분야 대학 교육성과의 영향요인 연구

        윤여용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51

        Occupational therapists are Medical Service Technologists and health professionals. The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at the university takes the national examination to obtain an occupational therapist's license. Collegiate education is very important to produce excellent therapists as it performs close work on the health and safety of patients. After the first occupational therapist was trained in 1969, as of 2022, 24,330 occupational therapists have been trained and quantitative expansion has been achieved. Since the scope of work was changed in 2015 due to the revision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Medical Service Technologists Act,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has expanded from medical rehabilitation to various areas covering social rehabilitation. As a result, the knowledge, skills, attitudes, and responsibilities required of occupational therapists have been strengthened, and objective confirmation of the performance of collegiate education in the field of occupational therapy is needed.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diagnose the current curriculum of universities in the field of occupational therapy an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educational performance. In this study, in order to evaluate the current curriculum of universities in the field of occupational therapy and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educational performance, individual factors(gender, age), university factors(type of education, accreditation of education, university area), and educational satisfaction(professor, curriculum, student activities, educational environment, school, department) are affecting educational performance (clinical administration management skills, clinical major skills). This study organized the first questionnaire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then organized the final questionnaire through meetings with professors and occupational therapists who have more than 15 years of experience. A total of 424 people participated in the survey for occupational therapists nationwide, including educational satisfaction(28 questions), achievement of clinical administration management skills(13 questions), and achievement of clinical major skills(27 questions).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chievement of clinical administrative management skills was divided into the achievement of clinical administrative management skills A(career common administrative management) and achievement of clinical administrative management skills B(occupational therapy administrative management), and achievement of clinical major skills was the achievement of clinical major skills A(physical intervention), achievement of clinical major skills B(client-centered functional intervention), and achievement of clinical major skills C(social participation intervention) were analyzed. The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nfluence on educational satisfaction was confirmed as age among individual factors, type of education among university factors, World Federa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WFOT) accreditation of education, and Korean Accreditation Board for Occupational Therapy Education(KABOT) accreditation of education.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who have received WFOT accreditation of education and KABOTE accreditation of education and occupational therapists who graduated from four-year universities is higher, which can confirm the effect of educational certification. Second, the effect on the achievement of clinical administration management skills and achievement of clinical major skills was confirmed as curriculum and department satisfaction among educational satisfaction. The achievement of clinical administration management and clinical major skills of occupational therapists with high curriculum and department satisfaction is higher, indicating that universities need to secure a world-class curriculum and prepare a positive image for occupational therapy. Third, among the university factors, WFOT accreditation of education and KABOTE education certification were identified as factors affecting the clinical administration management skills and clinical major skills, which are educational performance, by completely mediating curriculum, educational environment, and department satisfac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it is effective to obtain WFOT accreditation of education and KABOT accreditation of education in order to increase curriculum satisfaction at universities. Fourth, WFOT accreditation of education, KABOT accreditation of education,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have more influence on the achievement of clinical major skills than occupational therapists' clinical administration skills achievement. It can be seen that the current educational accreditation system and curriculum contents of universities in the field of occupational therapy lack basic competencies and focus more on occupational therapy knowledge and skills. Based on this, this study was able to confirm the performance factors of collegiate education in the field of occupational therapy. University education is very important to increase the achievement of clinical administration management and clinical major skills of occupational therapists, and the following implications can be suggested for effective university education. First, the government should cooperate with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to conduct qualitative management of occupational therapy university education, and make the accreditation of education system mandatory like medical personnel. In addition, for world-class educational certification such as WFOT accreditation of education, it is difficult to exceed graduation credits in three-year universities, so the unification of the four-year school system should be implemented first. Second, occupational therapists and associations need to develop the latest guidelines considering the knowledge, skills, attitudes, and responsibilities required as occupational therapist jobs expand from medical rehabilitation to social rehabilit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a curriculum that can improve the achievement of clinical administration management skills in refresher and extension course for occupational therapists. In addition, active promotion should be carried out to improve the positive image of occupational therapy. Third, universities in the field of occupational therapy should develop and operate curriculums, including basic vocational competencies, and establish a good educational environment. In addition, universities that do not have WFOT accreditation of education and KABOTE accreditation of education should be actively certified. Finally,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confirming the effect of educational satisfaction, in that it was not studied for graduates at the same time, and in that it consisted only of large classification areas in constructing achievement of clinical administration management skills. In addition, it has limitations in not including many factors that affect educational performance and no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university in the concept of educational satisfaction. However, this study confirmed the necessity of certification systems such as WFOT and KABOTE accreditation of education in the influencing factors of collegiate education performance in the field of occupational therapy. It can contribute to research and policy improvement in the field of occupational therapy in that it is a leading study that confirms that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education is an important factor in improving clinical administration management and major skills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future studies, it is thought that more rich meanings and implications can be derived if a comparative study is conducted targeting occupational therapy graduating college students and occupational therapists who graduated at the same time. 작업치료사는 의료기사이면서 보건의료인력 전문가이다. 대학에서 작업치료(학)과를 졸업한 이후 국가시험을 통해 작업치료사 면허증을 취득하여 바로 환자의 건강과 안전에 대해 밀접한 업무를 수행하는 만큼 우수한 치료사를 배출하기 위해서 대학교육은 매우 중요하다. 1969년 제1호 작업치료사가 배출된 이후 2022년 현재 24,330명의 작업치료사가 배출되어 양적 팽창을 이루었다. 작업치료사들이 근무하는 일자리는 2015년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개정으로 업무범위가 변화된 이후, 의료재활에서 사회재활을 아우르는 다양한 영역으로 역할이 확대됨에 따라 작업치료사에게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 책임 등이 강화되었으며, 이에 따라 작업치료 분야 대학 교육의 성과에 대한 객관적인 확인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작업치료 분야 대학교육의 현재를 진단하고 교육성과의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교육성과를 작업치료사 임상행정관리 능력 및 임상전공 능력 성취도로 설정하고, 개인요인(성별, 연령), 대학요인(학제 유형, 교육인증, 대학 지역) 및 교육 만족도(교수, 교육과정, 학생활동, 교육환경, 학교, 학과)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는 문헌고찰을 통해 1차 설문내용을 구성한 후 15년 이상 경험이 있는 작업치료(학)과 교수 및 작업치료사와 회의를 통해 최종 설문 내용을 구성하였다. 설문은 교육 만족도(28개 문항), 임상행정관리 능력 성취도(13개 문항), 임상전공 능력 성취도(27개 문항)로 전국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총 424명이 참여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임상행정관리 능력 성취도는 임상행정관리 능력 성취도A(직업공통 행정관리), 임상행정관리 능력 성취도 B(작업치료 행정관리)로 구분했으며, 임상전공 능력 성취도는 임상전공 능력 성취도A(신체적 중재), 임상전공 능력 성취도B(내담자 중심 기능적 중재), 임상전공 능력 성취도C(사회참여 중재)로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 및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개인요인 중 연령, 대학요인 중 학제 유형, WFOT 교육인증, 국내 교육인증으로 확인되었다. WFOT 교육인증 및 국내 교육인증을 받은 작업치료사와 4년제 대학을 졸업한 작업치료사의 교육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교육인증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임상행정관리 능력 성취도와 임상전공능력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교육 만족도 중 교육과정과 학과 만족도로 확인되었다. 교육과정 및 학과 만족도가 높은 작업치료사의 임상행정관리 능력 및 임상전공 능력 성취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대학에서는 세계적 수준의 교육과정에 대한 확보 및 작업치료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 마련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대학요인 중 WFOT 교육인증 및 국내 교육인증은 교육 만족도 중 교육과정, 교육환경, 학과 만족도를 완전매개로 하여 교육성과인 임상행정관리 능력 및 임상전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대학에서 교육과정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WFOT 교육인증 및 국내 교육인증을 받는 것이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넷째, WFOT 교육인증 및 국내 교육인증, 교육 만족도가 작업치료사의 임상행정관리 능력 성취도 보다 임상전공 능력 성취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어, 현재 작업치료 분야 대학의 교육인증제도 및 교육과정 내용에서 기초역량은 부족하고 작업치료 지식이나 기술 등에 더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작업치료 분야 대학교육 성과요인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작업치료사의 임상행정관리 능력 및 임상전공 능력 성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대학교육은 매우 중요하며, 효과적인 대학교육을 위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정부는 보건복지부와 교육부가 연계하여 작업치료 대학 교육에 대한 질적 관리를 실시하고, 의료인과 같이 교육인증 제도를 의무화해야 한다. 또한, WFOT 교육인증 등 세계적 수준의 교육인증을 위해서는 3년제 대학에서는 졸업이수 학점이 초과하기에 어려움이 있어, 4년제로 학제 일원화를 먼저 시행해야 한다. 둘째, 작업치료사 및 협회는 작업치료사 일자리가 의료재활에서 사회재활을 아우르는 다양한 영역으로 역할이 확대됨에 따라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 책임 등을 고려한 최신의 지침을 개발해야 한다. 또한, 작업치료사 보수교육 등에 임상행정관리 능력 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실시할 필요가 있으며, 작업치료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 향상을 위해 적극적인 홍보를 실시해야 한다. 셋째, 작업치료 분야 대학은 직업기초역량을 포함하여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운영해야 하며, 좋은 교육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또한, WFOT 교육인증 및 국내 교육인증을 받지 않은 대학은 적극적으로 인증을 받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교육 만족도 효과를 확인함에 있어 같은 시기 졸업생을 대상으로 연구하지 못한 한계점과 임상행정관리 능력 성취도를 구성함에 있어 대분류 영역만으로 구성한 점, 또한 교육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요인을 포함하지 못하고 교육 만족도 개념에 각 대학의 특성을 고려하지 못한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작업치료 분야 대학 교육성과의 영향요인에 있어 WFOT 및 국내 교육인증 등 인증제도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작업치료사의 임상행정관리 및 전공 능력 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대학 교육 만족도가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한 선도적 연구라는 점에서 작업치료 분야 연구와 정책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 추후 연구에서 작업치료 졸업반 대학생과 같은 시기 졸업한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비교연구하면 더욱 풍부한 의미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 정보화 시대의 보건행정학 교과 과정 연구

        강정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51

        20세기 후반부터 급속하게 발달한 정보화의 영향은 이미 사회에 미치는 그 파급 효과가 매우 크다. 정보의 교류, 획득, 사용은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과 함께 수많은 변화를 안겨 주고 있다. 보건 의료 분야도 이러한 영향으로부터 예외 일 수 없다. 단적으로, 보건 의료 전문인 양성 과정 또한 그렇다. 따라서, 21세기 정보화 시대에 알맞은 보건행정학 교과 과정을 위해서는 현 교과 과정의 평가와 개선 방향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보건행정학과 학부 교과 과정과 대학원 교과 과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학부 교과 과정에서는 전공 교과목에 대한 유용성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자료는 2000년 10월 27일부터 11월 13일 까지 우편 설문과 그룹 설문 방법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전수는 170명이었으며 응답은 100명이었다. 이외에 1983년도 이후에 학부 과정 개설 교과목 자료와 국내외 대학 개설 교과목 및 교수님 서면 인터뷰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보건행정학 관련 학과의 교육 목표는 정보화시대에 맞게 다음과 같이 수정할 수 있다.「보건의료현장에서 건강을 관리하고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 정보기술 활용 능력을 기반으로 하여 사회·자연과학 지식의 관련 이론과 방법론을 체계적으로 섭렵한 인력을 배출하는 것」이다. 2. 학부과정 전공 교과목의 유용성 설문조사에서는 대부분의 교과목이 보건의료 현장에서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들은 정보화 시대에 알맞게 교과 과정을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답했다. 3. 대학원 과정의 전공 교과목은 국내외 타 대학원과 비교하여 그 수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화 시대에 보건행정학 전공 이수자들이 종사해야 할 분야로는 ‘보건교육자 및 연구원’으로 나타났다. 교과 과정의 개선 방안으로는 다음과 같다. 1. 학과 차원의 중점 분야 선택하고 장기 발전 계획을 설립, 추진한다. 2. 전공 교과목 선정에 신중을 기하고 필수 과목의 폭을 넓힌다. 3. 컴퓨터 교과목을 확대하여 그 활용 능력을 배양한다. 4. 각 교과목의 문제점을 설문 조사를 중심으로 개선한다. 5. 대학원 교과목을 늘려서 다양한 세부 분야를 연구하도록 독려한다. 위와 같은 개선 방안은 교과 과정을 다양한 측면 즉, 학습 시설 및 장비와 기타 교육 여건을 고려하지 않고 전공 교과목 및 설문 조사 위주의 자료를 중심으로 한 것이다. Society of Information Age is influenced by interchange, acquisition and use of information related digital. Fields of health care cannot be excluded from this current. It is a matter of grave concern related Dept. of Health Administ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nd improve curriculum in the Dept. of Health Administration. To accomplish this purpose in this study, analysis has two parts: undergraduate and graduate course curriculum. Data was used in this various ways for analysis. Surve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utility of subjects with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who are registering and graduates from Dept. of Health Administration in Yonsei university in two ways: mailing and grouping survey. The number surveyed was 170 and 100 of them was used. At same time, curriculum related Health Administration from domestic and overseas universities was collected.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Educational goal related Dept. of Health Administration is modified properly. 2. Utility of major subjects is preferable but respondents answered that curriculum must be improved. 3. Curriculum of graduate courses have a slender number of major subjects relatively to those of other domestic and overseas universities. It will be required to set plans for improving utility of current curriculum as follows: 1. It must be established and driven long-term development plan 2. It pays special attention to select out major subjects. 3. Subjects related computing must be increased and used in practically. 4. Problems found from each subjects must be improved. 5. Increasing to various major subjects in undergraduate courses curriculum will encourage to students in studying major fields in detail.

      • 대학 조직 구성원의 성과 인식에 관한 비교연구 : 국립대학과 사립대학 행정조직 비교

        이현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35

        In modern society, it is difficult to meet the demands of the human resources of universities, for example, by sustained population decline, active education market opening exchanges abroad, competition between universities and expansion of career choice. In addition, the crisis of social reproduction which was caused by the burden of educational expenses, the increasing of household debt and remarkably diminished fertility rate leads to the huge deficiency of university educational demand. Therefore, in order to survive in the competition of survival that is intensified by the sudden decrease in human resources and financial difficulties resulting from such rapid changes in human resources, the university has adopted internal and external strategies such as competition between universities and reforms carried out by university itself. In particular, the government implemented restructuring of universities, such as the reduction of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and the unification of dismissing undergraduate and undergraduate departments. In such an environment, the university is in a hurry to tackle the problems of structural adjustment and lack of human resources. Accordingly, administrative systems should be improved in order to enable more efficient education activities for staff and students, and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manage human resources and organizations. Moreover, in order to overcome the crisis,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entir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In general, the administration of universities are made through interactions between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performance, members' actions, work, and technology. The efficiency and aspects underlying the change in university structure, such as the above-mentioned restructuring of universities and the survival strategies of universities, can be considered to be in agreement with "management of performance", which is a new management paradigm in the 21st century. It is time to make changes into high performance organizations by improving efficiency of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university administrative organization members. Accrodingly, through the preliminary study was preceeded to collect the factors that affect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as variables. Those are Job Satisfaction, Communication,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Leadership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ir effect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were examine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of national universities and private universities. The research method used the survey method. In the case of the uncertainty, questionnaire consisted of Likert-type 5-point scale except for the items that aske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number of questions consisted of 46 questions.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collected by a visit by the author from November 1, 2017 to November 30. The total number of distributed questionnaires was 200, 154 of which were collected. The analysis used for this analysis was 153. Collected by questionnaire were analysed through statistical methods. First,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of each variable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d variables. Second, frequency analysis was used to understand the universal trends in the data. Then the independent sample t test and one - way ANOVA wer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of variables. In addi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the degree of influence of independent variables on dependent variables, and the factors that are relatively influentia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members of universities and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recognized that job satisfaction, communication, and leadership had a significant impact on organizational outcomes. However, it was not found that public service motiv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recognition of job satisfaction and communica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organizational outcomes of national universiti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of national and private universities. It was recognized that leadership has affection to the organizational outcomes of private universities and this indicates that national universities and private universities had different results. The consequences of this study show the proper improvement plan to overcome the crises to the universities which were faced to the declining human resources and finance difficulties. In particular, the universities make their own perspective to exceed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by reforming their system and organization based on this study. 현대 사회는 지속적인 인구 감소, 국외로의 활발한 교육시장 개방 및 교류, 대학 간 경쟁구도, 진로 선택의 폭 확대 등으로 대학의 인적자원 수요를 충족시키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더해 교육비 부담과 증가하는 가계부채, 출산율 하락으로 표현되는 사회적 재생산의 위기가 대학교육에 대한 거대한 초과수요를 빠르게 소멸시키고 있다. 따라서 대학에서는 인적자원의 급격한 감소와 이에 따른 재정난으로 치열해지는 생존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대학 간 경쟁, 대학 자체적으로 실시하는 개혁 등의 내·외부적 전략을 취하고 있다. 특히 정부에서는 대학구조조정, 즉 행정조직 축소, 취업률이 저조한 학과나 정원 미달인 학과의 통폐합 등을 시행하였다. 이러한 환경에서, 대학에서는 구조조정 및 인적자원의 수요 부족에 대한 대비책 마련이 시급하다. 세부적으로 교직원 및 학생들이 더욱 효율적인 교육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행정 제도들을 개선해야 하며, 인력의 전문화 및 조직의 체계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또한 위기의 극복을 위해 대학 운영의 근간이 되는 행정조직 차원의 변화가 요구되며, 보편적으로 대학 행정조직의 변화는 조직의 구조와 성과, 구성원들의 행위, 업무, 기술 등과 같은 요소들의 상호 작용을 통해 이루어진다. 앞서 언급한 대학구조조정, 대학의 생존전략 등 대학조직 변화의 기저에 위치한 효율성이란 측면은 21세기의 새로운 경영 패러다임인 ‘성과관리’와 일맥상통한다고 할 수 있다. 대학의 인적자원 확보 및 경쟁력 확대를 위해 행정조직의 효율성을 높임으로써 고성과 조직으로의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대학 행정조직 구성원들의 조직성과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선행 연구를 검토한 후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변수로 측정하였다. 독립변수로 직무만족, 커뮤니케이션, 공직봉사동기, 리더십을 선정하여 종속변수인 조직성과에 대한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국립대학 및 사립대학의 행정조직 구성원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설문조사방법을 사용하였다. 설문의 구성으로는 인구구성학적 특성을 묻는 문항들을 제외하고 모두 Likert식 5점 척도로 하였다. 문항의 수는 모두 4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지는 2017년 11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조사자가 직접 방문하여 배포 및 회수하였다. 총 배부된 설문지는 200부이며, 회수된 설문지는 154부이다. 이 중 분석에 사용된 설문은 153부이다. 설문으로 수집된 자료는 통계분석기법을 통하여 연구에 사용되었다. 먼저, 측정 변수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각각의 변수에 대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자료에 대한 보편적인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사용하였다. 그 후 변수들의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사용하였다. 또한 각 변수들 간의 관계,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와 그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영향이 큰 요인을 모두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대학 행정조직 구성원들은 조직성과에 직무만족, 커뮤니케이션, 리더십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공직봉사동기의 경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립대학과 사립대학의 행정조직 구성원을 나누어 분석한 결과, 국립대학의 경우 직무만족과 커뮤니케이션이 조직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식함을 알 수 있었다. 사립대학의 경우 리더십이 조직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국립대학과 사립대학이 상이한 결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대학 행정조직의 성과 향상을 위한 방향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대학생의 공직동기 요인에 관한 연구

        이태우 부산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35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ublic service motivation of university students, not service-in public servants. It used public administration-learning experience, public service examination-preparing experience, volunteering experience, religious activity experience, and school year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as dependent variable. Using these variables, the hypotheses were made and tested by the various statistical methods in order to elucidate the factors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The level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for the public administration major-learning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for the public administration selective-learning student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tudents of public administration-learning and the students of public administration non-learning in the simple comparison of learning and non-learning of public administration. These imply that the curricular major-learning of public administration can play a greater role in the elevation of the level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The level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for public service examination-preparing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for the non-examination -preparing students. This suggested that the experience of examination preparation can play a greater role in the elevation of public service administration. The importance of informal volunteering was confirmed because of the higher significance in informal volunteering. This empirical evidence imply that the students must have more informal volunteering than formal volunteering to elevate public service motivation. In the future, the effectiveness of volunteering must be studied on the basis of volunteering and non-volunteering unlike the present study. In this study, the more religious activity the students had, the higher the level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didn't become. The analysis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between the religious activity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In the future, the study of difference has to be made based on religion-believing and non-religion of students unlike the present study. Conclusively, this study presented the meaningful results that two educational experiences-public administration major-learning and public service examination -preparing could elevate the level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of university students. 본 연구는 현직공무원이 아니라 대학생의 공직동기에 관한 것이다. 대학생은 대부분 대학 재학 중에 직업선택 과정에서 공직을 선택하게 되고 공무원이 되면 대학생의 공직동기를 그대로 가지고 가서 공직을 수행하게 된다. 이처럼 공무원의 공직동기는 대학생의 공직동기와 밀접한 관련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대학생의 공직동기를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고 의미가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 공직동기에 대한 연구는 주로 현직공무원을 대상으로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행정학 학습 경험, 공무원시험 준비 경험, 봉사활동 경험, 종교활동 경험, 학년을 독립변수로 하고 공직동기를 종속변수로 사용하여 가설을 설정하고 그 가설을 여러 가지 검증방법으로 검증함으로서 대학생의 공직동기 요인을 규명하였다. 대학생의 공직동기 요인 탐색에서 행정학 학습 경험 중에서도 전공수강 학습의 유용성이 부각되었다. 행정학을 전공과목으로 수강하여 행정학을 공부한 행정학과 대학생의 공직동기가 행정학을 비전공 선택과목으로 수강하여 공부한 타과 대학생보다 공직동기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정학을 학습한 학생과 행정학을 학습하지 않은 학생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이것은 행정학을 학습하더라도 전공으로 하는 것이 공직동기 형성에 더 큰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대학생의 공직동기 요인 조명에서 공무원시험 준비 경험의 효용성이 제시되었다. 공무원 시험을 준비한 경험이 있는 학생은 공무원시험을 준비한 경험이 없는 학생보다 공직동기가 더 높았다. 이것은 공무원시험 준비 경험이 행정학 전공 경험처럼 공직동기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거의 모든 공무원은 공무원시험 준비를 하고 소정의 공무원시험을 치루고 합격하여 공무원이 된다는 현실에서 현직에 근무하는 공무원은 대학생 때 시험 준비 과정에서 형성된 높은 공직동기를 가지고 입직한다는 것을 암시해 준다. 현실적으로 행정학을 전공한 행정학과 대학생은 행정학을 전공으로 학습하면서도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는 학생이 많은 집단이다. 그러므로 앞으로는 행정학을 전공하면서 동시에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는 학생 즉 행정학 전공+공무원시험 준비 경험 학생으로 대상을 압축시켜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대학생의 공직동기의 요인 규명에서 봉사활동 중 공식적인 봉사활동보다 유의성이 더 높은 비공식적인 봉사활동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 대학생은 공식적으로 하든 비공식적으로 하든 봉사활동을 많이 하면 할수록 공직동기가 더 높아졌지만 비공식적 봉사활동은 공식적 봉사활동보다 유의성이 더 높았다. 이러한 경험적 실증적 증거는 대학생은 공직동기를 높이려면 공식적인 봉사활동도 해야 하지만 비공식적 봉사활동을 더 많이 해야 한다는 것을 함축하고 있다. 본 연구는 봉사활동에서 봉사활동 정도를 측정하여 봉사활동 변수의 효용성을 검증하였으므로 앞으로 봉사활동 유무에 의한 변수의 효용성을 조명할 필요가 있다. 대학생은 종교활동을 많이 하면 할수록 공직동기가 더 높아지지 않았다.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종교활동은 종속변수인 공직동기에 유의미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종교활동 정도에 관한 연구만 진행하였으므로 종교에 관한 연구를 종합적으로 실행하지 못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앞으로 대학생의 공직동기 요인 연구에서 종교유무에 의한 공직동기 차이를 규명해야 할 것이다. 봉사활동과 종교활동이 공직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부분에서는 대학생의 공직동기는 영향관계 형태에서 공무원의 공직동기와 같은 형태를 보였다. 일반적으로 공무원의 공직동기 요인 연구에서 거의 모두 봉사활동은 정(+)의 관계로 나타나났다. 종교활동에 대해서는 미국에서의 연구는 주로 정(+)의 관계로 나타나지만 국내 연구에서는 미국과는 달리 유의미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왔다. 이러한 영향관계 패턴은 본 연구에서도 입증되었다. 본 연구에서 봉사활동은 정(+)의 관계로 종교활동은 유의미한 영향이 없는 관계로 나나났다. 이런 점에서 대학생의 공직동기와 공무원의 공직동기가 다르지 않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Perry(1997)가 새로운 변수의 확장 차원에서 제시한 교육경험 변수로 행정학 학습 경험 변수와 공무원시험 준비 경험 변수 두 가지를 발굴하고 사용하여 두 경험이 각각 대학생의 공직동기를 높이는 효용성이 있다는 좋은 결과를 얻는 성과가 있었다.

      • 人間性 回復을 위한 組織構想 : 批判的 行政理論

        신환철 全南大學校 大學院 1995 국내박사

        RANK : 248735

        본 연구는 관료제조직에 의해 훼손된 인간성을 회복시키고 더 나아가 관료제조직을 인간 본연의 자유스런 모습을 그대로 지켜나갈 수 있는 인간적 조직으로 재구성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해방적 관심을 표명하고, 이해와 해석을 바탕으로 한 실천을 강조하는 비판적 행정학자들(여기에는 비판적 현상학자와 급진적 행정학자 포함)의 주관주의적 인간관(존재론)과 인식론(방법론)을 수용한다. 또한 관료제의 대안적 조직을 구상하려는 본 연구의 창조적인 작업은 그들의 연구결과에 관한 문헌을 객관적·주관적으로 해석하는 문헌연구를 통해 이루어진다. 관료제를 인간적 조직으로 재구성하려는 실천적인 노력은 우리 가까이 있는 관료제 조직의 잘못된 부분에 대한 철저한 비판을 통해서만 가능해진다. 비판의 무기를 사용하여 관료제를 해체하는 가운데 창조적·윤리적인 인간의 본성을 훼손시키는 조직적 특성을 발견하게 된다. 도구적 합리성을 강화하는 조직규범, 계층제적 구조, 닫힌 구조와 닫힌 학습과 같은 관료제의 조직적 특성에 대한 열린 비판은 인간적 조직을 모색하는 출발점이 된다. 인간성 회복의 실천적 전략으로서 인간적 조직은 주류 행정학의 객관적 관점과는 전혀 다른 주관주의적 관점에서 인간을 도구적 기능인으로 전락시키는 관료제의 비인간화 과정을 철저하게 비판함으로써 가능해진다. 관료제에 대한 열린 비판이 독단론에 빠지지 않기 위해서는 인간적 조직으로 재구성되어야 한다. 조직성원과 조직구조의 보다 근본적인 개혁을 통한 인간적 조직만이 열린 비판의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보다 철저한 비판을 토대로 이루어지는 관료제의 근본적인 개혁은 구조기능주의 관점에서 이루어지는 수정주의식의 개혁이 아니라 주관주의 행정학의 관점에서 현상학과 급진적 구조주의 및 기능주의까지 비판적으로 통합시키는 차원에서의 인간적 조직을 가정하고 있다. 그러나, 조직의 실체를 형상화하는 작업에 주저하는 비판적 행정이론의 관점으로서는 구조적인 처방보다는 개인적 차원의 개혁에 촛점을 맞추고 있다. 관료제를 인간적 조직으로 재구성하기에 앞서 조직성원들에게 조직속에서 잃어버린 주체의식을 되찾아 줄 뿐만 아니라 그들의 닫힌 마음을 열게하여 사랑하는 감정이 상호간에 이입되는 공동체의식을 불어넣어 주는 개인에 대한 개혁작업이 필요하다. 끊임없는 의미의 해석과 그것을 바탕으로 한 자기성찰과 실천의 계속성을 주창하는 행위기술에 근거한 인간적 관리 또한 사고의 경직화와 마음의 폐쇄를 방지하는데 필요한 인간에 대한 계몽적 접근이다. 인간에 대한 교육과 계몽을 중시한 개인적 차원의 개혁은 타율과 통제 및 이성에 의해 지배되는 조직세계를 인간적 조직으로 정화하는 촉매제 역할을 한다. 그러나 거대한 관료제의 비인간화하려는 조직적 특성을 제거하기에는 여전히 한계가 있다. 개인에 대한 개혁못지 않게 구조적 개혁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관료제에 대한 재구성만이 훼손된 인간성을 회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간의 자발적인 본성을 보장할 수 있다. 관료제의 부정이나 거부보다는 그것에 대한 전환된 인식을 통해 인간들의 조직으로 재구성하는 근본적 개혁작업은 비판적 행정이론의 한계를 극복하는 일이면서 그것을 원용하는 본 논문의 제약을 벗어버리는 일이다. 인간적 조직으로 관료제를 재구성하기 위한 구조적 차원의 개혁은 조직을 구성하는 개개인들이 중심이 되어 운영되는 작업부서들을 기능인들의 노동의 장소에서 창조적인 일을 해나가는 자율적 인간들의 공동체적 작업장으로 전환시키는 일부터 출발한다. 공동체 구조로서 자율성을 확보한 활동층은 조직내의 다른 공동체 구조와 느슨한 연결 구조를 통해 더 큰 공동체적 조직을 형성해 나간다. 공동체간의 개방성을 전제로 한 느슨한 연결체제는 업무자체를 조직전체의 흐름에서 수행되어가는 하나의 의미있는 과정으로 조직을 재편성한 것으로 수평적인 조직구조의 탄생을 의미한다. 또한 그것은 완성된 조직이 아니라 완전한 인간의 해방을 쫓아가는 미완성의 잠정적 조직으로 스스로 배우고 고쳐나가는 학습적 구조를 갖는다. 비판적 행정이론의 관점을 원용하여 관료제조직을 재구성하여 만든 인간적 조직은 두가지 형태로 그 모습을 보인다. 그 하나는 지배적 개념의 계층제 구조가 사라진 상태에서 합의적 의사결정구조가 조직의 가장 기본적인 단위인 공동체적 작업층에서 출발하여 느슨한 연결고리를 통해 조직전체로 연결되는 과정중심의 수평적 조직이다. 다른 하나는 관료제에 대한 기존의 인식 - 상·하의 지배관계에서 완전히 벗어나 계층을 상호의 과정을 연결하는 고리로서 뿐만 아니라 인간적인 신뢰를 바탕으로 한 지도의 개념으로서 조직내부의 구조가 뒤바꾸어진 "역 피라밋"의 인간적 조직이다. 공동체로서의 인간적 조직은 조직의 절대적 명령에 따라 기계처럼 개인이 움직이는 그런 조직과는 전혀 다른 개인의 윤리적 판단에 따라 개인적 책임하에 영웅적인 행동을 수행해가는 윤리적 조직이다. 이런 조직에서는 윤리적 행위를 위한 도덕적 표준으로서 민주주의적 풍조가 새로운 조직윤리로서 관료주의 풍조를 대신한다. 조직성원 개개인들의 윤리적 판단과 행위의 권리를 수용하는 윤리적 조직은 개인의 도덕적 인격을 기꺼히 받아들여 인격의 성숙을 촉진시키는 방향으로 조직을 운영한다. 개인적 차원의 개혁을 통해 되찾은 윤리적 행위의 주체자로서의 인격을 구조적 차원의 개혁을 통해 수용해가는 윤리적 조직이야말로 열린 비판의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그것은 어떠한 비판에도 열려있고, 시대정신의 반영인 윤리적 표준의 변화에 따라 고쳐나가는 학습조직이라는 점에서 정당화의 절대화에서 비껴 서 있다. This dissertation is aimed at restoring the humanity damaged by the bureaucratic organization, and to reconstruct the human organization so that the innate nature of humanity is emphasized. Critical theory research emphasizing praxis and liberating concerns and subjective research analysis contribute to the creative work of devising an alternative organization to bureaucracy. Practical effort to reconstruct bureaucratic organization into a more "human" one can be possible through the critical analysis of the negative aspects(inner problems) of bureaucratic organization around us. While criticizing bureaucracy, we can discover "inhuman"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a norm of instrumental rationality, hierarchical structure, and closed structure and learning. A design of "human organization" as a practical strategy of human liberation can be made on the basis of subjective ontology and epistemology quite different from objective ones, and a radical critique of the inhumanizing process which degenerates humans into mere technician. This work(dissolving the inhumanized bureaucracy by means of open critique) would never indulge in critical absolutism. The radical reform of bureaucracy through critique is aimed at dialectically synthesizing structural-functionalism into critical perspective instead of a revisionalized reform of bureaucracy. In this critical perspective, individual approach focused on the enlightment of the individual is more valued than the structural prescription. Before restructuring the bureaucracy into "human organization", it is important for the individual not only to refind the lost subject in the organization, but also to make his heart open. Individual approach inspiring a communal consciousness and mutual respect in the mind of members of organization is an important prerequisite. Action skill in continuous reflection and praxis is an enlightened approach necessary for preventing the rigidity of thought and the closing of the heart. Although the individual approach can be a catalyst for purifying the bureaucratic organization controlled by instrumental rationality, it is still difficult to get rid of the dehumanized organizational situation of bureaucracy. The structural approach is required for human organization. The human organizations, however, which are designed through structural and individual approach can not only restore the damaged humanity but also acquire the justification of open critique. The creative work of designing the human organization,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he bureaucracy rather than the refusal of it, would overcome the limit of the critical theory of public administration. The reconstruction of the human organization begins with the change of its operating core: from the individual technician's working place to the communal place of ethically-minded workers doing creative work. The autonomous operating core as a communal structure comes to organize the larger community. The loosely coupled systems of microcosm and macrdcosm presupposes the openness between the working units of community and means the rebirth of the flat organization; this structures the whole organization into meaningful process in which work itself is linked in the whole flow of organization. Also human organization as a learning organization, which is open to any critique, fosters the complete liberation of the human being. "Human organization" suggested in this dissertation as a practical alternative to bureaucracy shows two kinds of shapes: One is a horizontal (flat) organization in which the autonomous operating core is connected with the whole structure by means of process and loosely linking systems, under the premise of which hierarchical control is disappears. The other is an inverted organization in which the inner pyramid structure of organization is reversed, and the hierarchy is newly comprehended as the idea of linking the lower levels with the upper on the basis of trust and mutual respect. The human organization as a community is an ethical organization securing the individual's heroic action and his personal responsibility according to individual ethical judgement. In this organization, democratic ethos substitutes for the bureaucratic ethos as a moral standard for ethical action. Ethical organization ensuring the individual's right of moral judgement and action secures the justification of critique by moving the organization towards accepting the moral character of individual and promoting the maturity of that character.

      • 행정학과 대학생의 공직동기 연구

        오정현 광운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35

        우리사회에서 공무원의 범죄와 이로 인해 공무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공무원의 자질논란과 윤리적 선발을 위하여 공직동기 이론이 관심을 받고 있다. 공직동기 이론은 조직구성원의 부패, 조직의 성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정부에서는 공직동기의 배양과 공직동기를 고려한 인재개발이 요구된다. 행정학과는 공공성에 대한 이해와 공공정책, 공익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을 목표로 하고 있다. 따라서 행정학과 대학생들은 잠재적인 행정인으로서 공공부문에 적합한 능력과 자질 나아가 공직동기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행정학과 대학생의 저조한 공직진출이라는 문제의식하에서 공직동기와 외재적 동기간의 관계, 공직동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복합적인 요인들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서울소재 행정학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증적 분석을 통해 성별, 학년, 봉사경험여부, 희망진로 등의 다양한 특성을 기준으로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일반사회화요인, 조직사회화 요인, 인구통계학적 요인이 공직동기와 어떠한 영향관계를 갖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이 몇 가지 주요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응답자들의 공직동기 수준보다 외재적 동기의 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공직을 희망하는 행정인은 동정심, 자기희생과 같은 이타심과 함께 급여, 복리후생제도와 같은 외재적 동기도 중요시하게 여기고 있었다. 이는 ‘공직동기가 높은 개인은 외재적 동기가 낮게 나타난다’는 공직동기 연구의 가설적 전제와는 다른 연구결과이다. 둘째, 행정학 전공과 공직동기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직동기와 행정학 지식이 갖는 유사한 배경에도 불구하고, 학년의 상승에 따른 공직동기의 증가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봉사경험과 부모의 역할은 응답자의 공직동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봉사경험이 있는 집단은 없는 집단에 비하여 공직동기가 높게 나타났으며, 부모의 봉사정도, 동정심, 자기희생은 자녀의 동정심과 자기희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우리사회에서 성별에 따라 요구하는 기대가 다르게 나타나며 이러한 기대가 공직동기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여성의 공직동기가 남성의 공직동기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동정심과 같은 하위개념에서 차이를 보였다. In the our society, negative perceptions of public servants are increasing because of crime and corruption of them. Therefore, public service motivation theory has attracted attention for solution of public servants selected. Public service motivation is concerned with corruption and performance of organizations, Government need a rational personnel administration. The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provieds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public interest, publicness, public policy. Hence, public administration undergraduates as potential public servants are required suitable ability in the public sector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This research analyzes empirically public service motivationextrinsic motivation relationships and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In this study, focus was given to differences between groups based on various characteristics of sex, grade, volunteer experiences, etc. Also this research focused relationship of public motivation to general socializatio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and demographic factors. This study has some interesting finding. First, public service motivation level is lower than extrinsic motivation. For students who wanted to work for the government were important both public service motivations such as compassion, self-sacrifice and extrinsic motivations such as pay, job security. This result is different from existing literature that "Individuals with higher public service motivation has a lower extrinsic motivation". Second, public service motivation is not relevant to public administration's training. Despite the fact that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public administration's training are very similar, public service motivation did not increase with grades. Third, volunteer experiences and parental influence has meaningful on public service motivation. Group volunteer experience with public service motivation was higher than the group without. And volunteer experiences, compassion, and self-sacrifice of parents have influenced children's motivations. Forth, in gender, women's public service motivation is higher than men's motivation. This result can be interpreted that role expectations in society are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 한국 행정연구의 연합학문성 연구 : 한국행정연구원의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윤치중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35

        This study focused on multidisciplinary approach that Lasswell(1971) has emphasized, analyzes the structure of collaborative research in public administration through report of think tank that produces prescribing and practical knowledge in society. For the data collection, 181 report from 2012 to 2016 of collaborative research and 222 researcher's major field of study information collected from one of the government think tanks,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KIPA). KIPA is one of most competitive think tank in social science field. For the analysis, 2-mode type data were collected. When a number of researchers participated in one study, it was assumed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he researchers which is major fields of study.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was used to figure out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field. The result of social network analysis shows that many researchers who have same major field of study participated in one research. The density of the network was 2.094, which is higher than 1. It means there is a lot of reflexible tie which is, a number of researchers with the same major field participated one research. Indeed, public administration has most highest reflexible tie level of 136, it means more than two researchers who majored in public administration participated in same collaborative research. The other characteristics of collaborative research, almost disciplinary could be connected by one or two steps. It means the public administration and the public policy has highest centrality in interdisciplinary research network. As a result of social network analysis, the public administration and the public policy has highest level in degree centrality, betweenness centrality and closeness centrality. This result indicates that multidisciplinary approach is not secured in the study of public administration field, even though the collected data could be biased by using the result of KIPA. However, the result of analysis shows that the public administration has role as a bridge connecting other disciplinary even though there is a few interdisciplinary study. The difficulti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data collection for analysis, it is difficult to collect same level of researchers' the field of study. The National Reserach Foundation of Korea defines interdisciplinary study as a study that more than two middle classification level of study field combined work together in one research. Althoug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wo institutions, it was difficult to obtain data at the middle classification level for all researchers' major fields. In addi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government think tank research, there are research projects that require multidisciplinary and research projects that do not require multidisciplinary. however, it was difficult to find out literature review on the standards to separates these project. If the classification of research project is preceded according to the criteria then the result of analysis could give more accurat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ollaborative research. Lastly, if the concept of multidisciplinary approach could be extended to concept, research methods, etc. the, it would produce meaningful result. 본 연구는 Lasswell(1971)이 제시한 정책학 연구의 특성 중에서 연합학문성에 초점을 두고 사회에 처방적이고 실용적인 전문지식을 생산하는 싱크탱크의 연구결과보고서를 통해 공동연구 및 학제 간 연구의 형태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을 위해 정부산하 싱크탱크 중 하나인 한국행정연구원의 2012년부터 2016년까지 181개의 공동연구 연구결과보고서를 통해 각기 다른 전공분야를 가진 222명의 연구원 정보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전공 분야가 어떻게 공동연구에 참여하고 있는지 확인하고자 함에 있기 때문에, 정부산하 싱크탱크 중 특정 분야를 연구 대상으로 하는 싱크탱크는 연구대상에서 제외하였고, 사회과학분야 싱크탱크 중 경쟁력이 가장 높았던 한국행정연구원의 연구결과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한국학술재단은 전공 분야 분류표에 의해 중분류 이상의 수준에서 이루어지는 연구를 학제 간 연구로 제한하였기 때문에, 자료수집 단계를 통해 수집된 전공분야는 한국학술재단에서 제시한 연구 분야 분류기준에 따라 중분류 수준으로 전환하여 공동연구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분석을 위해서 2-mode 형태의 자료를 수집하였는데, 하나의 연구에 다수의 연구원이 참여하면 연구원간, 즉 전공 분야간 관계가 있는 것으로 관계를 설정하고 사회연결망 분석을 통해 한국행정연구의 연합학문의 구조적 특징을 확인하였다. 사회연결망 분석결과 공동연구 연결망의 특징은 한 연구에 같은 전공분야를 가지 연구원이 다수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결망의 밀도는 2.094로 1보다 높은 값이 나왔는데, 이는 Reflexible Tie 즉, 같은 전공분야를 가진 다수의 연구자가 한 연구에 공동으로 참여한 결과로 볼 수 있다. 실제로 행정학은 Reflexible Tie가 136으로 높게 나타났는데, 대부분의 연구에서 행정학이 전공분야인 연구원들이 하나의 연구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른 연결망의 특징은 1단계, 2단계를 통하면 대부분의 노드들, 즉 전공분야가 연결되는데 이는 행정학과 정책학의 중앙성이 높기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연결망의 중앙성을 측정하는 지표인 연결중앙성, 인접중앙성 그리고 사이중앙성에서 정책학과 행정학이 압도적으로 높은 중앙성을 나타냈다. 이는 한국행정연구원이라는 싱크탱크의 연구결과보고서를 중심으로 분석이 이루어진 특성을 감안할지라도 Lasswell(1971)이 제안한 정책학 연구의 연합학문성 측면에서 그 다양성이 확보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하지만 그 빈도수가 적을 지라도, 행정학은 복합학적 응용학문(박순애, 2015)으로써 학 전공분야의 중심에 위치하여 공학과 인문사회학을 연결하는 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행정연구의 연합학문성을 확인하기 위해 이루어지 본 연구의 한계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정부산하 싱크탱크 중 한국행정연구원의 연구결과보고서를 중심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공동연구에 참여한 연구자의 이름과 소속을 바탕으로 한국연구자정보 홈페이지와 한국행정학회 홈페이지를 통하여 2차 자료 수집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두 기관의 정보는 연구자 개인이 입력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전공 분야의 수준을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정부산하 싱크탱크 연구의 특성상 연합학문성이 필요한 연구와 그렇지 않은 연구과제가 있는데 그 기준에 대한 선행연구를 찾아보기 어려웠다. 정부과제의 특성을 분류하고 그 기준을 제시하여 연구결과보고서를 분류하는 작업이 선행된다면 연합학문의 구조적 특징을 더욱 확실 하게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그리고 연합학문성을 전공분야에 한정하지 않고, 방법론, 이론 등 그 개념을 확대하여 분석이 이루어지면 의미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敎育行政職의 人事制度 改善 硏究

        송병수 전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35

        교육은 한 인간의 자아실현과 국가의 장래를 만드는 인재육성의 활동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하는 교육행정은 인적·물적 많은 요소들이 투입된다. 이 중 한 위치를 차지하며 지원봉사활동을 하는 교육행정공무원들의 비중은 날로 높아져 가고 있으며 교육의 본질을 찾아갈 수 있도록 하는 일이 교육 행정공무원이 해야 할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라남도교육청 산하 초·중·고등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교육행정공무원들의 근무여건은 아주 열악하다. 이 열악한 근무환경에 따른 임용, 승진, 전보, 보수 면에 대한 인사제도의 현황과 실태를 파악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여 개선점을 찾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드러난 문제점들은 이원적인 조직체계로 인한 행정직 공무원의 소외감, 교육을 우선시 함에 따른 보수 및 각종 제조건 등이 열악 하였다. 이러한 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첫째, 교육행정직의 임용에 있어 대학교의 사범계학과에 교육행정학과를 설치하여 교사자격증을 가진 자를 대상으로 채용하여야 한다. 둘째, 신규채용자는 일정기간의 연수와 실무를 통하여 초등학교에 배치하여야 한다. 셋째, 전라남도교육청만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교육부의 획일적인 정원배정 방식이 개선되어야 한다. 넷째, 농·어촌 학생들에게 양질의 교육서비스를 제공하여 돌아오는 농·어촌 건설에 노력하여야 한다. 다섯째, 학교와 교육청간의 순환근무제를 실시하여 교육행정의 특수성에 입각한 기본급과 수당의 지급 등 처우개선이 요구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전라남도교육청의 6-9급 공무원을 대상으로 하여 전국으로 일반화하는데는 일정부분 한계가 있다. 아울러 인사제도의 다른 요소 즉 연금, 신분안정, 후생복지, 교육 등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Education is an activity for self-realization of a person and making him or her a person which can contribute to future-building of a nation. Educational administration which is a function for achieving such goals requires investment of considerable material and human resources. Relative importance of public officials who are engaged in support and service activity which is a part of such process is growing daily and their mission is to make education be restored to its essence. nevertheless working conditions of public officials serving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for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s under office of education, Southen Cholla province is very po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atus of personnel management including hiring, promotion, transfer, remuneration under such unimpressive working condition and draw out problems and find out measures for improvement. problems revealed in this study included sense of alienation of public officials in administrative functions due to dual organizational set-up and discrimination in salaries and various other benefits resulting from emphasis on teaching. For resolving such problems first, in connection with hiring public officials at university department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faculty of law should be installed and those who are qualified to become teachers should be hired. Second, newly-hired should be assigned to primary schools after a certain period of training and practical experience. third, in view of special condition of office of Education, Southen Cholla province the system of uniform assignment of limited number of personnel should be avoided. fourth, good quality educational service should be provided to students at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people moving in from outside. Fifth, it is necessary to enforce good service system between schools and office of education and improving treatment in terms of basic pay, allowance etc. considering special nature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But this study is confined to Grade 6-7 officials at office of Education, Southen Cholla province for this reason there is a certain limitation to generalize it for all parts of the country. at the same time further study in wage, job security, employees benefit and education which are elements different from personnel management should be undertaken in future.

      • 東學의 合理性 理論에 대한 硏究 : 베버의 觀點과 對比하여

        조대현 京畿大學校 1994 국내박사

        RANK : 248735

        이 글은 동학사상이 지니고 있는 근대성 내지는 합리성의 이미지를 서구적 합리성, 즉 서양 근대성에 대한 막스 베버의 분석과 비교하여 보는 것을 주제로 한다. 합리성은 그 개념 자체가 대단히 애매모호한 것이며 상황에 따라 다의적 혹은 상대주의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것이, 현대적 합리성 이론의 시조라 할 수 있는 베버에서부터 최근의 허버트 사이몬에 이르기까지 반복적으로 지적되어 왔다. 합리성은 그 순수한 논리적 형식에 있어서는 오직 하나뿐인 합리적 기준이나 상태를 상정할 때에만 성립할 수 있는 개념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구체적 현실에서 사람들이 합리적이라고 생각하는 내용들은 항상 인간적, 역사적 제약에 의해 규정되어 왔다는 것이 베버를 비롯한 가치다원주의자들의 공통적인 해석이다. 베버의 설명처럼 합리성의 현실적 내용은 각 시대의 사회·문화적 특수성과 역사적 경험을 바탕으로 하지 않고는 이해되기 어려운 것이다. 실재의 인간들이 합리성을 판단하는 기준은 그가 속한 사회의 문화적 가치체계로부터 공급되는 것이며, 다시 그 가치체계를 성립시킨 것은 그 사회의 역사적 경험이겠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떤 사회가 가지고 있는 합리성의 개념은 합리성에 관한 하나의 절대적 범주이기보다는 만일 조건이 변화한다면 바뀔 수도 있는 일종의 ‘이론’이라고 이해하는 것이 더 타당할 것이다. 각 사회가 발전시켜 온 합리성 이론이 서로 다를 수 있는 것이라면, 그리하여 미국인들이 일반적으로 합리적이라고 생각하는 내용과 한국인들이 합리적인 것으로 이해하는 내용이 서로 다를 수 있다면, 그 차이를 비교해 보는 것도 대단히 유익한 작업이 될 것이다. 만일 베버의 주장처럼 이 차이가 사실이라면 미국 행정학자들과 한국의 행정학자들은 비유하자면, 합리성이라는 같은 개념을 두고도 동상이몽의 처지에 빠져 있을 수도 있는 것이다. 또 한국의 행정학자들이 학문적으로 서양인들과 동일한 합리성의 개념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도, 행정학자가 아닌 한국인들 일반이 가지고 있을 합리성의 개념은 서양과 다른 것일 수 있다. 아마도 현대 한국인들이 사용하고 있는 개념은 서구적 개념과 한국 전통의 관점이 혼합된 것일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개념적 차이가 한국의 행정현실과 행정학 연구에 미치는 긍정적 혹은 부정적 영향은 대단히 클 것임에 틀림없다. 한국 행정학이 이 영향을 의식적으로 통제할 수 있기 위해서는 우선 그 차이를 확인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서구적 변용이 본격적으로 가해지기 이전에 존재하였던 한국 고유의 합리성 이론을 동학을 통해 찾아보려고 하였다. 그리고 여기에서 확인된 합리성에 관한 한국적 이론을 서양 근대사회에서 발전한 합리성 이론에 대한 베버의 분석결과와 대조하여 보았다. 베버는 서양 근대사회가 이룩한 합리성의 한 형태를 그 발생과정과 특이성, 한계 등에 비추어 연구하였다. 이 과정에서 베버는 서양사회가 목적-수단 합리성과 형식합리성을 일면적으로 강조하는 방향으로 발전하였다고 진단하였다. 베버의 합리화론은 이러한 서양 특유의 합리성이 발전하게 된 계기와 원인을 추적하였다. 합리화에 있어 베버는 종교적 관념의 역할에 특히 주목하였다. 베버는 서양의 근대적 합리성이 발달하게 되는 정신적 기반은 프로테스탄티즘이었다고 해석하였다. 베버에 의하면 역사적으로 중국사회가 서구와는 구별되는 합리성의 한 형태를 발전시킨 것은 유교와 도교의 종교적 에토스에서도 그 원인을 찾아볼 수 있다. 베버는 중국의 유교가 이념적으로 가치합리성과 실질합리성을 중시한 것으로 보이지만, 실세계에서는 도교의 주술적 비합리성과 타협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고 논평하였다. 그러나 베버는 유교가 실현하고자 하였던 동양적 합리성의 이념이 서구적 합리성의 한계에 대해 하나의 대안적 처방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인정하였다. 본 논문은 동양적 합리성의 이론이 지니는 이러한 대안적 성격을 동학사상 속에서 추적해 보고자 하였다. 이 글은 프로테스탄티즘과 서양 근대의 합리성에 대한 베버의 분석과 동학사상을 통해 구체화되고 있는 동양적 합리성의 이론을 비교해 보는 연구전략을 취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들은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첫째, 한국인들이 역사적으로 발전시켜 온 합리성의 이론과 서양 근대의 합리성 이론은 내용적으로 서로 다른 특질을 나타내고 있다. 둘째, 합리성의 비교를 위한 베버의 범주들은 동양적 합리성의 이론을 적절히 포착해 내는 데에는 부적합하다. 셋째, 동양적 합리성은 相補性과 陰陽論的 사고방식, 氣哲學的 순환의 원리, 도덕합리성, 동양적 휴머니즘의 요소 등을 혼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넷째, 동학사상을 통해 구체화되고 있는 神人合一의 정신과 지상천국의 이념은 한국사상사의 유구한 전통을 계승한 것으로서, 합리성에 관한 한국 특유의 이론의 한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 다섯째, 동학사상 속에 반영되고 있는 한국적 합리성의 이론은 근대적 합리성의 한계에 대한 하나의 대안적 모형이 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여섯째, 동학의 합리성 이론은 한국 행정학의 학문적 방향을 설정하는 데 있어 몇 가지 유익한 시사점을 던져 주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유학을 비롯한 동양사상이 근대적 합리성의 발전에 유익하지 못한 영향을 미쳤다는 베버의 논평과 달리, 동학은 동양사상을 기초로 하였으면서도 한국인들의 근대적 각성과 합리적 인간형의 출현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이해된다. 동학의 합리성 이론은 전통사상의 요소와 근대성이 반드시 서로 상충하는 것만은 아님을 보여주고 있다. 동학은 한국의 전통사상들과 서민들의 일상적 지혜 등을 흡수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 사상적 지향과 사회적 효과에 있어서는 근대적 성격을 지닌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더 나아가 동학의 합리성 이론은 근대적 합리성의 한계에 대한 처방의 모색에 있어서도 참고할 만한 특성들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은 동학사상 속에「易」의 상보적 사고방식과 음양론적 개념, 종합화의 원리 등이 도입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학사상은 상보적 합리성과 음양론적 합리성, 종합적 합리성 등을 여러 가지 형태로 표현하고 있다. 동학의 중심교리인 侍天主는 휴머니즘적 지향성을 나타내고 있다는 것이 학자들에 의해 빈번히 지적되어 왔다. 동학은 음양 상보성과 소통합리적 사고방식 등을 통해 휴머니즘적 성격을 띠는 侍天合理性의 경지를 교리적으로 체계화하였다고 말할 수 있다. 동학사상이 구현하고 있는 합리성 이론의 최고의 형태는 시천합리성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합리성의 다른 기준들과 달리 시천합리성은 실질적으로 정의된 개념이다. 여기에는 일정한 궁극적 가치체계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시천합리성은 신인합일을 최고의 가치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신인합일주의는 그 하위 범주로서 동양적 인본주의와 평등사상, 공동체 정신 등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Rationality is one of the basic ideals in Public Administration. So, the way we understand the meaning of rationality is of great importance to the theory and practice of Public Administration. In essence, rationality is a concept of having only one ideal status. But it is rarely possible to define the ultimate meaning of rationality. This thesis adopted the theory of rationality from Max Weber as a theoretical model. In social sciences, with regard to the way of dealing with rationality, there are two polemical points of view in modern sociology: absolutism and relativism. Absolutists assume only one absolutely rational status. But the relativists assert that there cannot he absolutely rational knowledge, and we can only approach the human rationality under the conditions of social and historical realities of the times. This thesis studied the theory of rationality from the viewpoint that is derived from a dialectical synthesis of absolutism and relativism. This point of view, which may be called 'dialectical approach', was elaborated by Ru¨diger Bubner, who is a philosopher in modern Germany. Max Weber suggested that Occidental concepts of rationality and Oriental concepts of rationality differ in quality. By means of wide ranging comparative analysis of Occidental and Oriental civilizations, Weber pursued the differences in courses, mechanisms and peculiarities of rationalization process between modern Western society and Oriental society. According to Weber, the types of rationality that have been advanced especially in modern Europe are purposive rationality in individual behavior and. formal rationality in social dimensions. In the modern age, Occidental societies developed into the societies of instrumental-formal rationality. On the other hand, the Oriental societies, including China, developed a kind of substantive rationality based on Confucian morality. Now, the point is the process of Oriental rationalization, that resulted in societies which is very irrational in formal standards. As compared to this, formal rationality of modern Europe had offered favorable conditions for the development of rational capitalist system. Max Weber's social thought is a synthesis of three parts, which consists of economic explanations on the social base, religious ideological analysis of the super-structure and the theory of domination in social system. Therefore we may call Weber's perspective on society as 'a compound eyed view'. In the pre-modern era, Oriental societies had more positive conditions for the capitalism than Occidental societies, in respects of economic base and social structure. The reason why, in spite of the unfavorable conditions, only Western societies developed the rational capitalism in modern times is that a combination of religious ethos in Protestantism with capitalist economic system made better condition for the development of formally rational culture in Western societies. Chinese Confucianism has developed no less rational spirit than Protestant ethic. However, unlike the Protestantism showing the 'selective affinity' for capitalist system, Confucianism of China had a selective affinity for the patrimonial domination system of Oriental societies. Due to these facts, Weber commented, development of modern capitalist system in China was retarded. Weber diagnosed Occidental rationality, which is based on formal rationality, as accompanying strict limits. Formal rationality is in conflict with substantive rationality. And in modern societies irreconcilable conflicts are in progress, in the criteria of substantive rationality. Weber was pessimistic about the future of Occidental rationality. He had a deep sympathy for the life of human being in the modernized world who cannot but make a contradictory choices of living. Weber thought of Oriental rationality as an alternative to the limits of Occidental rationality. Because, in Weber's analysis, Oriental rationality have entirely different principles and ideological foundations from those of the Occident. Getting a clue from Weber's observations on the Western and Eastern rationality, this thesis traced Oriental rationality to its origin, contents and plans for the future. In this process, this thesis analyzed chiefly the Dong-Hak thought. As Gary G. Hamilton pointed out, Weber's study of Oriental society raised fundamentally negative questions on Chinese society and positive questions on Western societies. Weber made every effort at looking for the things that existed in Occidental societies, but not in China. Weber observed the Oriental societies in the standpoint of an European. This thesis is an attempt to study Oriental societies from the viewpoint of the Orientals. Accordingly, this thesis paid special attention to the task of finding the factors that were in Oriental societies, but not in the Occident. This thesis tried to show the contemporary values of Oriental rationality, which are embodied in Dong-Hak thought, in a comparative perspective to the analysis of Max Weber on the Occidental rationality. It seems that Weber set up six categories of rationality. Weber defined purposive rationality(ends-means rationality) and value rationality in individual behavior, formal rationality and substantive rationality in social dimension, and subjective rationality and objective rationality in the social scientific dimension. But the fact that Weber's categories of rationality are insufficient for the tools of illuminating the characteristics of Oriental rationality was proved by an analysis of the theory of rationality in Dong-Hak thought. So, in this thesis, an attempt was made to design some new categories of rationality. The most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of Oriental theory of rationality is the principle of complementarity. Historically, both Western and Oriental thought have developed the concept of equilibrium. But while the concept of equilibrium in western thinking was, as it were, centered on the equilibrium by offset(balance of rival), to the contrary, the Oriental concept of was based on the principle of complementary equilibrium(balance in harmony). If we can characterize the Occidental rationality as bipolar rationality, we may also define the Oriental rationality as complementary rationality. Complementary rationality is a kind of synthetic rationality. It may be able to conceptualize the analytical rationality in opposition to the concept of synthetic rationality. It is the principles of Yin and Yang(the negative and the positive) in the Science of Divination(the Science of Changes 易學) that had a great influence over the development of the. complementary way of thinking. So, the Oriental rationality may be called the Yin-Yang rationality. From Yin-Yang rationality we can distinguish some more sub-categories of rationality, that is to say Yin rationality and Yang rationality. On the other hand, the Oriental thought elaborated a method of thinking, that can be called communicative rationality, by the concepts of Qilogy(氣學). Western concepts of rationality differ from Eastern concepts in the fact that the former stressed the utilitarian side of rationality and the latter pursued the moral side of rationality. Dong-Hak inherited the philosophical tradition pursuing the unity of God and man, from the ancient Korean thought. By the spirit of God-man unity Dong-Hak elevated the Korean humanism to the highest stage in the world. In this sense, the theory rationality in Dong-Hak is a theory of humanist rationality. Humanistic rationality is the antonym of instrumental rationality which has been censured by the critical theorists of Frankfurt School. Dong-Hak is a thought that seems to embraced all the principles of Oriental rationality. The philosophical foundations that make moral and intellectual excellence for the Dong-Hak thought is the ideal of 'Si-Cheon-Ju'(means enshrine God). In short, this thesis concluded that the theory of rationality in Dong-Hak is founded on, so to speak, Si-Cheon ration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