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항공기 Avionics Flow Balance Test 수행 연구

        서동연 경상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에서는 A 항공기 체계 개발시 해외업체에서 수행한 Avionics Flow Balance Test 및 F-16 Avionics Flow Balance Test 연구를 통하여 B 항공기 Avionics Flow Balance Test 절차 및 방법을 확립하였다. 상용 프로그램인 Flowmaster 를 활용하여 항공기 유량 오리피스 사이징 해석을 수행하여 A 항공기 Avionics Flow Balance Test 시험 결과와 비교하여 해석 모델을 검증하였고, B 항공기 Avionics Flow Balance 해석 모델을 구축하여 항공기 유량 오리피스 사이징 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을 통해 사이징된 항공기 유량 오리피스를 제작 후 시험장치에 장착하여 B 항공기의 Avionics Flow Balance Test를 수행하였다. 시험 시 실제 항전장비는 장착하지 않고, 항전장비 압력 강하 특성을 이용하여 항전장비를 시험장치에 모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 최초로 항공기 Avionics Flow Balance Test를 수행할 수 있었으며, 시험기술을 확보하였다. 확보된 기술은 향후 항공기 개발 및 항전장비 성능향상 사업 시 활용될 수 있다. 국내 수행으로 해외업체(Hamilton Sundstrand) 수행 대비 약 6억원의 시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e avionics flow balance test is to define the orifice sizes for each avionics line that result in adequate cooling flow to each avionics box over the entire flight envelope. This test is divided into two parts. The first part of the test is intended to define the test facility configuration that best matches the pressure drop characteristics of each avionics box. This test procedure is repeated as many times as necessary until the desired pressure drop characteristics is achieved. The second part of the test is intended to size the orifices for each avionics line. This test is also repeated as many times as necessary until the desired avionics flow balance is achieved. In this paper, the author attempted to define the B aircraft avionics flow balance test procedure through reviewing the A aircraft avionics flow balance test that performed by the Hamilton Sundstrand during the full scale development and the F-16 avionics flow balance test that performed by the Lockheed Martin. The avionics flow balance orifice sizing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A aircraft using a commercial program of the Flowmaster and verified by the flow balance test results performed by Hamilton Sundstrand. The avionics flow balance orifice sizing analysis for the B aircraft was performed with the verified Flowmaster model. The avionics box pressure drop simulation for the B aircraft was performed to define the test facility configuration that best matches the pressure drop characteristics of each avionics box. Also, the initial avionics flow orifices were manufactur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nd installed on the avionics flow balance test rig of the B aircraft. The avionics flow balance test was repeated as many times as necessary until the desired avionics flow balance was achieved with the error of ±10%.

      • 認證機關(從事者)에 대한 技術적 責任制度(안) 導入 必要性과 發展方向에 관한 硏究

        김영덕 경상대학교 항공우주특성화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논문에서는 대한민국 감항당국의 인증절차 및 항공 선진국의 감항인증 체계와 조직에 대하여 조사하고 국내 항공법에 의한 벌칙과 일반 제조물 책임법 등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항공기 제조사 및 인증분야 종사자에 대한 미국의 판례를 분석하였다. 또한, 인증기관(종사자)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지 않은 책임의 정의와 범위에 대하여 논하였으며, 더 나아가 가칭 기술적 책임제도(안) 도입에 대한 필요성과 그 영향성(긍정적, 부정적 모두)을 분석, 제시하여, 궁극적으로는 안전을 책임이라는 관점에서 재조명함으로써 안전에 대한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하고 정착시켜 항공분야 인증제도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 개조한 군용항공기의 감항성 제도 고찰

        김미희 경상대학교 항공우주특성화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11

        Since DAPA enacted the "Military Aircraft Flight Safety Certification Act" in August 2009, it has modified and improved the relevant procedure and system to develop military aircraft and to boost the domestic market. Military aircraft could freely fly and be modified before 2009, but now it must pass the well-established airworthiness certification test for flight and export to another country. Typical operational aircraft is continuously modified at the structure, system or component level. This modification is, however, subject to a safety check and the corresponding certification procedure and system, even if the original aircraft passed the airworthiness certification test. This thesis first introduces the current certification procedure and system being adopted by Republic of Korea Air Force (ROKAF) for aircraft modification, and checks if ROKAF’s current certification procedure and system have sound capability of decision-making with regard to the safety of modified aircraft. This check is based on the comparison to the standard procedure, MIL-STD-882, being adopted by the Department of Defense in the US. Then, this thesis makes two constructive proposals that may help to improve ROKAF’s certification procedure and system after revisiting previously performed aircraft modification cases in Korea. One of the proposals is the need of introducing a dedicated department in charge of risk analysis. Although the current certification procedure and system allow for systematic risk analysis, this risk analysis must be more formal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standard procedure (MIL-STD-882) and continuously improved by the dedicated department. Another proposal is the promotion of a user-oriented decision-making system which accommodates the aspect of human engineering. There was a case in which a design improvement proposal on a power control unit for reducing pilot’s mistakes could not be accepted because of the absence of a proper decision-making system. It will be useful in the future if a scientific decision-making system, such as making use of questionnaires, can be established for assisting in the safety analysis.

      •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한 장기 체공 무인 항공기에 대한 연구

        안일영 한국항공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11

        점차 대두되고 있는 환경문제와 화석연료의 고갈문제로 인해 세계 각국에서는 친환경적인 대체 에너지원을 개발하는데 주력하고 있고, 풍력, 조력, 지열, 바이오에너지, 태양에너지 등 다양한 에너지원을 미래의 에너지원으로 이용하기 위해서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다. 항공우주분야에서도 이러한 추세를 바탕으로 적은 연료로 오랫동안 비행이 가능하도록 높은 연료효율의 항공기를 개발 중이고, 나아가 태양광 발전을 이용하여 장기 비행이 가능 하도록 연구 중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태양광 발전을 이용하여 기존의 무인항공기의 체공시간을 비약적으로 발전시키고, 나아가 영구비행이 가능할 수 있는 비행체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들을 수행하였다. 기존의 화석연료를 이용하는 항공기는 연료의 양에 따라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시간이 결정이 되지만,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하여 화석연료가 가지는 재충전이 불가능한 단점을 보완하고 따라서 긴 체공시간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장기체공 태양광 무인항공기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무인항공기의 공력, 구조, 동력시스템, 태양광 발전시스템, 제어 시스템이 모두 최적의 효율을 나타내어야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장기 체공 무인 항공기를 계발하기 위해서 기체의 공력 설계와 동력시스템,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고, 최종적으로 설계된 태양광 무인항공기를 바탕으로 실제 태양광 무인항공기를 제작 및 비행시험을 수행하였다. 비행 시험 결과 제작된 태양광 무인항공기는 기존의 배터리의 용량만으로 비행할 수 있는 체공시간을 넘어 장시간에 비행에 성공 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장기 체공 무인 항공기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각 시스템 구상 및 설계시 연구 자료로 많이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 군용항공기 유지감항 제도 발전에 대한 고찰

        안상천 경상대학교 항공우주특성화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711

        Since the enactment of the "Act on the Certification of Flight Safety of Military Aircraft" in 2009, the Republic of Korea Air Force(ROKAF), along with the Defense Acquisition Program Administration, has achieved the current achievements in the field of technology interception in a short period of time. However, in the field of continuing airworthiness system over the life cycle of aircraft, we are currently working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prior to 2009 and have prepared this paper for the change in recognition of the personnel concerned and for the development of the system. First, this paper introduces the procedure and system on the certificate of airworthiness and confirms the recent trends of the air-developed country's airworthiness certificate system. In addition, improvements are identified by checking DOC 9760 for the international civil aviation(ICAO) body's airworthiness personnel requirements, and by cross-reparing and analyzing the status of continuing airworthiness of the U.S. Air Force and Australian Armed Forces, both civil aviation and aviation advanced countries, with the continuing airworthiness system of the Republic of Korea Air Force. Then, on the development of military aircraft continuing airworthiness, this paper makes suggestions on the two main issues. This provides suggestions for the balanced development of personnel, as well as the provision of "Technical Airworthiness" centered on certification at the aircraft production stage, "Continuing Airworthiness" at the operational stage. Recognizing that the main elements of the Air Force's maintenance control are the fleet-related personnel who check and fly aircraft on a daily basis, the introduction of systems such as specialized and disaggregated task regulations on aircraft continuing airworthiness through maintenance and control officers in frontline maintenance departments and the determination of airworthiness through industrial and academic collaboration will be a useful way to develop the "Continuing Airworthiness" sector.

      • 공중기동기 동승근무자를 활용한 군용항공기 감항성 유지 방안에 관한 고찰

        김남일 경상대학교 항공우주특성화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711

        Ever since the concept of military aircraft airworthiness certification has been developed, the concept of military aircraft airworthiness certification has expanded from the concept of technology airworthiness that is applied to aircraft research, development, acquisition and modification to continuing airworthiness that occurs in the operation stage after the development and acquisit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analyzes and compares the advanced certification systems of the U.S. and U.K. and those of Korea to suggest what to be taken for maintaining airworthiness of domestic military aircraft by the air crew who is currently contributes to continuing airworthiness. By way of clarifying laws and regulations regarding maintenance of airworthiness which lacks specificity, and through enforce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laws, this study sheds light on securing the reliability of the military airworthiness certification system. Secondly, it describes the maintenance of airworthiness by expanding use of aircrew, which is essential for the operation of military aircraft. If there is a change in performance due to a change in the function and shape of a military aircraft, military checks the flight safety of a military aircraft through test flights. And to expand the utilization of air crew who carry out tasks related to maintenance of aircraft airworthiness, such as test flight,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military aircraft’s maintenance airworthiness. Finally, it suggests reforming the air crew education system and carry out periodical education and qualification management thoroughly, and train professional expert according to types of aircraft. As air crew executes test flights, flight mission performance, flight planning and train younger students, the characteristics and understanding of the maintenance of airworthiness in the operation of military aircraft can be enhanced and consequently they contribute to the building of safety and reliability of military aircraft. As the study of airworthiness certification of Military Aircraft has been developed since 2009, this paper is able to suggest the right direction to facilitate domestic military airworthiness maintenance task and make the certification system and regulation take a step forward. Moreover, proposal and development direction in this study, the need for the specificity and clarity of the regulations, air crew's proper utilize and positioning, and developing the training procedures for the air crew, leads to expanding the concept of military aircraft airworthiness certification. Also, It builds the safety and reliability of military aircraft through the development of airworthiness maintenance work by increasing the understanding of managers and workers who perform airworthiness maintenance work and I hope thus leap forward into Korea's aviation advancement.

      • GPS 항법 정보 기반의 3차원 복수 항공기 추적 및 식별

        유경호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11

        항공관제시스템은 항공기 운항지역에서의 항공기 간 충돌과 항공기-장애물 충돌을 사전에 방지하고 운항 효율을 촉진하기 위해 필요한 시스템이다. 그러나 통신 용량의 한계, 지상장비의 정밀도 부족, 시스템 호환성 부족 등의 이유로 증가하는 항공 교통량과 항공안전을 대비한 차세대 항공관제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현재 운용중인 레이더 기반 감시정보에 차세대 감시 장비를 도입한 위성항행시스템 CNS/ATM (Communication, Navigation, Surveillance/Air Traffic Management)에 대한 전 세계적인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차세대 감시망의 핵심은 ADS-B (Automatic Dependent Surveillance-Broadcast) 시스템으로, 위성항법시스템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을 이용하여 항공기의 위치 파악 및 관제를 수행하는 것이다. GNSS를 이용하면 항공기의 3차원 위치를 계산할 수 있으며 이는 기존 레이더 시스템에 비해 보다 정확한 위치 정보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3차원 속도 정보는 감시망 내에서 비행하는 항공기를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성항법시스템의 항법 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공간에서 운항중인 항공기를 추적하고 식별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항공기의 위치 추적 및 기동 변화의 감지를 위한 IMM (Interacting Multiple Model) 기반의 하이브리드 필터를 구현하였다. 또한 레이더를 이용하는 2차원 형태의 기존 항공관제 문제를 3차원으로 확장시켰으며, 이를 위한 비선형 필터를 설계하였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GPS 도움의 3차원 공간에서 비행하는 항공기 위치 추적과 기동 변화 감지 그리고 복수 항공기의 식별 성능을 평가하고 분석하였다. Air Traffic Control (ATC) is a service provided by ground controllers who direct aircraft on the ground and in the air. The main purpose of ATC systems is to separate aircraft to prevent collisions, to organize and expedite the flow of air traffic, and to provide information and other support for pilots when able. To maintain vitality of Civil Aviation, it has to be ensured that efficient, safe, secure and environmentally sustainable air navigation is available at the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levels. This requires the implementations of a CNS/ATM (Communication, Navigation, Surveillance/Air Traffic Management) system that allows maximum use of enhanced capabilities provided by technical advances. The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has played the major role to change the scenario of the aviation industry and some of the forthcoming technology is being developed based on GPS technology for accurate position information. Also, ADS-B (Automatic Dependent Surveillance-Broadcast) is becoming a key concept of new surveillance system. GNSS can provide more accurate position information of aircraft than radar-based tracking system. And three-dimensional velocity information can be used in identifying an aircraft. This thesis presents GPS-aided three-dimensional multiple aircraft tracking and identification algorithm. Interacting Multiple Model (IMM) based hybrid estimation method was used for aircraft tracking and flight mode estimation. Non-linear filter was designed for estimation of the nonlinear dynamic model. Three-dimensional multiple aircraft tracking and identification was implemented using Multiple-Target Tracking and Identity Management (MTIM) algorithm based on GPS navigation information.

      • 소형항공기 항공안전규정의 실속 인증을 위한 전산유체역학 적용 연구

        서종무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11

        항공우주기술 및 산업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서 항공기 개발에 적용되는 기술도 고도로 발전하여 복잡해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설계/개발자의 새로운 기술에 대한 적응의 어려움 및 과중한 업무로 인해, 설계과정에서의 사소한 실수나 오류가 증가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문제는 복잡한 설계과정에서 사소한 실수나 오류가 재설계로 인한 설계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고, 또한 항공기의 안전성을 심각하게 저해할 수 있다. 따라서 설계과정에서의 항공기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최신 설계-인증 기술의 개발이 중요시 되고 있다. 설계과정에서의 오류나 실수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설계과정에서 인증규정을 고려한 ‘설계-인증통합기술’을 개발하는 연구가 현재 진행 중이다. ‘설계-인증통합기술’개발은 설계단계에서부터 미연방항공청(FAA)의 감항인증규정인 FAR를 고려하여, 설계자의 실수를 사전에 차단함으로서 재설계에 따른 설계비용을 최소화 시키고, 항공기의 안전성을 확보하는데 목적이 있다. 미연방항공청의 감항인증규정 중 소형항공기를 위한 규정이 FAR Part 23인데, 이 규정에서는 이착륙과 순항비행, 실속과 같은 다양한 비행환경에서의 항공기의 감항 여부를 규정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설계단계에서 항공기 인증여부를 적용할 수 있도록 전산유체역학을 이용한 전기체 해석을 통해, 설계 항공기가 FAR 23 규정 중 항공기의 실속속도와 관련된 규정(FAR 23 Subpart B Flight §23.49 Stalling Period)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해석절차를 수립하였다. 항공기 주변의 유동장의 특성 및 설계항공기의 공력특성 분석을 위해 3차원 Navier-Stokes 방정식 코드를 이용하였고, 난류 유동장에 대한 해석을 위하여 k-w Shear Stress Transport(SST) 모델을 사용하였다. 해석형상에 대한 다양한 받음각, 옆미끄럼 각에서의 정적 공력해석을 통해 다양한 공력 및 안정성 계수 값을 도출하였고, 이를 일련의 분석과정을 통해 실속여부를 예측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많은 노력과 계산시간이 필요한 동적해석(Dynamic Analysis)을 수행하지 않고도 동적해석에 비해 적은 계산시간이 필요한 정적해석(Static Analysis)을 이용하여 항공기의 실속여부를 예측할 수 있었다.

      • 항공기 인증과 정비가 감항성에 미치는 영향

        이임주 경상대학교 항공우주특성화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11

        Since Korea is still in the initial stage of an airworthiness certification system of military aircraft which is strongly necessary to secure the flight safety and to promote the export of military aircraft, there are not many related researches to consult in this topic and especially aviation mechanics don't realize the importance of airworthiness as well as maintenance which is one of the core factors of continuous airworthines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wo different objectives. One is to arrange achievements and changes after the enforcement of a related law, and the other one i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airworthiness and maintenance actions currently taken by ROKAF. To investigate the certification system of civil aircraft, this study compared the structure, functions and process of FAA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which plays a role as the U.S. airworthiness authority, with those of Office of Civil Aviation of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which functions as a Korean airworthiness authority. Besides, to perform the research on the certification system of military aircraft, this study examined the US Navy and Army as well as the USAF and compared their airworthiness certification systems with the Korean airworthiness certification system of military aircraft. This thesis will be considered really valuable as a first research conduct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maintenance and airworthiness in Korea. Since it is the first thesis published after the enforcement of Act on the Airworthiness Certification of Military Aircraft, this thesis is useful enough to arrange all the achievements and changes made from the time of law enforcement to the present.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is thesis, the author of this study intensively reviewed other research materials, and through the comparison with the U.S. Airworthiness Certification System, as one of the most advanced countries in the field of aviation. This study attempted to suggest a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for the present Korean airworthiness certification system of military aircrafts. Consequently, this study plays an important role in helping aviation mechanics realize the effect of their maintenance actions as the main agent on continuous airworthiness, by reinterpreting airworthiness with principal maintenance actions taken by ROKAF. Moreover, this study made an effort to develop the field of airworthiness certification in Korea, by suggesting requirements to be additionally reviewed by ROKAF in the initial stage of an airworthiness certification system of military aircraft.

      • 항공 배출가스 저감 목표를 고려한 국내 항공 배출가스 관련 제도/기술적 동향 연구

        이정언 경상국립대학교 항공우주특성화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11

        유엔 기후회의에서 지구 온난화를 막기 위해 2015년 파리에서 이른바 파리 협정을 체결하였는데, 그 내용은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평균 온도 상승폭 섭씨 2도 이하라는 목표 설정과 거기에 추가로 1.5도 이하로 넘지 않도록 노력하자는 것 이였다. 이런 기후 변화의 큰 요소가 되는 부분을 꼽자면 제트 연료 연소 과정에서 배기가스로 인해 생성되는 CO2, NOx 및 H2O와 같은 배출물이다. 그 중에서 가장 큰 영향이 되는 배출물은 두가지인데, 첫째로 순항 시 발생 되는 배기가스 내부에 존재하는 이산화탄소(CO2)이다, 이 이산화탄소는 지상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와 마찬가지로 기후변화에 매우 안좋은 영향을 주고 있다. 둘째로는 질소산화물(NOx)인데, 이 질소산화물은 대류권의 순항고도에서 발생하여 오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지상에서 발생하는 질소 산화물 배출량보다 더 기후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이와 같이 항공기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는 기후변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런 배출가스를 항공기 기술이나 운영부문에서 획기적인 개선을 통하여 줄이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국제항공분야의 기후변화 대응책은 산업 내부의 혁신에 의존하기 보다는 외적인 연계를 통한 인류의 전반적인 기후변화 대응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타 산업의 배출가스 저감으로 생성 된 배출권이나 CDM(Clean Development Mechanism)등으로 산출된 배출권을 구매하여 항공부문의 초과 배출을 상쇄하는 전략을 고려할 수밖에 없다1. 그래서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에서 2016년에 결의한 국제 항공을 위한 탄소 상쇄 및 감소 제도(CORSIA, Carbon offsetting and reeducation scheme for international aviation)이 2021년부터 시행됨에 따라 우리나라는 이런 배출가스에 대한 관리 규정 마련 및 배출량 산정과 배출 가스 저감 기술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강해졌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대응 지수(Climatechange performance index)는 2021년 기준 61위 중 53위, 매우 미흡(Very low)로 평가 받고 있다. 또한 국제 항공 분야의 환경 대책에 따라가지 못하고 이를 위한 기준 및 기술 개발에 대한 때문에 국내 항공 부문에 대한 효과적이고 적절한 배출가스 기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항공 분야의 배출가스 기준, 그리고 배출 가스 저감 기술 현황과 현재 항공 분야에서 날이 다르게 바뀌는 미국, 유럽과 같은 항공 선진국의 배출가스의 대응 및 배출가스 기준, 배출량 산정과 그리고 배출가스 저감 기술에 대한 분석 고찰을 통하여 국내 배출가스 기준의 배출량 산정 방법과 같은 기준 보완 및 그리고 수소 항공기와 같은 배출가스 저감 기술에 대한 발전 방향에 대한 고민 및 앞의 관련 제도, 배출가스 저감 기술에 대한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2050년까지의 국내 배출가스 배출량 산정 및 배출가스 저감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신기술 적용 후 예상되는 배출량을 비교, 검토하여 향후 배출가스 저감 목표를 달성 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United Nations Climate Conference signed the so-called Paris Agreement in Paris in 2015 to prevent global warming. Here, the goal is to increase the average global temperature by 2 degrees Celsius or less compared to before industrialization, which calls for efforts to not exceed 1.5 degrees Celsius. Some of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is climate change are emissions such as CO2, NOx and H2O produced by jet fuel combustion. There are two main areas that have the greatest impact, first CO2, which is present in the emissions of cruising, is having a very bad effect on climate change, as is CO2 generated on the ground. Second, nitrogen oxides (NOx), which occur at cruising altitudes in the troposphere and directly affect ozone, have a greater climate impact than nitrogen oxide emissions on the ground. The emissions from these aircraft are affecting climate change a lot. Because it is difficult to reduce emissions through significant improvements in aircraft technology and operations, the international aviation climate change countermeasures have to keep pace with humanity's overall climate change response rather than relying on internal innovation. Thus, the International Aviation Program for Carbon Offsetting and Reduction (CORSIA) for International Aviation (ICAO) was implemented in 2021, raising the need for management regulations for these emissions and developing emission reduction technologies. However, Korea's Climate Change Performance Index is ranked 53rd out of 61st place as of 2021, and is considered very low. In addition, due to the lack of environmental measures in the international aviation sector and the development of standards and technologies for this purpose, research on effective and appropriate emission standards for the domestic aviation sector is needed. This paper supplements standards such as emission standards, emission standards, emission calculation, and emission reduction technologies in advanced aviation countries such as the U.S. and Europe, and concerns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emission reduction technologies. I would like to suggest a way to achieve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