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원화 체계 하에서의 현대적 한약제제 분류 방안 고찰

        김지훈 원광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35

        한약(韓藥)과 한약제제(韓藥製劑)는 「약사법」에서 규정되어 사회 일반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약사법」 하위 규정에서는 상위법에서 규정된 명확한 용어 이외에 생약(生藥) 및 생약제제(生藥製劑)라는 용어를 별도로 규정하여 한약(韓藥) 및 한약제제(韓藥製劑)와 혼용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산업계 및 이해 당사자 간의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또한 「약사법」 하위 규정에 서술된 한약(韓藥) 및 한약제제(韓藥製劑)에 관한 일련의 허가 조항들은 그 수준이 다소 부족하여 신뢰받는 한약(韓藥) 및 한약제제(韓藥製劑)의 근거가 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저자는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고자 여러 선진국의 합리적인 전통의약품 제도를 참고하여 현 상황에 적용될 수 있는 한약(韓藥)과 한약제제(韓藥製劑)에 대한 새로운 개정안을 제시하고, 이를 통하여 한방(韓方) 전반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나아가 산업화와 현대화에 이바지 하고자 한다. 상위법과 하위 규정 각각에 존재하는 한약(韓藥)과 한약제제(韓藥製劑) 및 생약(生藥)과 생약제제(生藥製劑)는 그 법률적 의미상 차이가 미미하다. 따라서 우리는 하위 규정상에만 존재하는 생약(生藥) 및 생약제제(生藥製劑)라는 단어를 일괄적으로 삭제하고 이를 한약(韓藥)과 한약제제(韓藥製劑)로 일원화해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현 규정상에서 한의약의 표준화에 이바지하지 못하는 허가 항목 및 규정을 혁파하고 선진국의 합리적인 허가 항목을 차용, 이를 통하여 사회 전반에 신뢰받을 수 있는 한약(韓藥) 및 한약제제(韓藥製劑) 산업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finding a developmental solution for modernizing classification of herbal medicinal preparations in dual medical systems. Through this study, we can provide a reasonable way to make a foundation of herbal medicine for public health. Methods : We studied legal or technical terms of herbal medicinal preparations from the past regulations, and through this procedure, we could suggest clear terms for herbal preparations. We also should investigate documents for approval of herbal medicinal preparation from US, EU(European unio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Japan, so that we can use them for providing revised regulation for public health. Results : In Korea pharmaceutical affairs act, no basis of 'the medicine prepared from crude drugs' exists. But in some subordinary notifications, it is used as a means of limiting basic rights of doctor or pharmacist of Korean medicine. At the same time, in subordinary notifications, provided provisions are vague and not enough for scientific evidence of Korean medicine. Conclusions : Instead of using the term 'the medicine prepared from crude drugs', and we should use term 'herbal medicinal preparations'. And also we suggest amended regulations for approval of herbal medicinal preparation.

      • HPLC-PAD를 利用한 韓藥製劑의 분석

        장순자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19

        행인과 도인에 함유된D-amygdalin은 그들의 품질관리에 있어서 사표로 된 주요성분이다. D-amygdalin은 조직독성을 일으키지 않으면서도 종양부위에서 특별하게 악성 세포를 죽일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져있다. 그러나 행인과 도인은 amygdalin뿐만 아니라 amygdalin의 가수분해효소인 emulsin도 함유한다. 게다가 amygdalin은 끓는 물속에서 neoamygdalin으로 epimer화된 것이 보고되어 있다. 그래서 amygdalin을 분석하는데에 있어서 D-amygdalin과 neoamydalin을 분리하는것이 중요한 것이었다. 지금까지는 amygdalin을 분석할때 HPLC-UV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는 행인 혹은 도인이 처방된 六安煎, 定喘湯, 桑菊飲같은 한약제제중에 복잡하게 함유되어 있는 기타 성분들부터 amygdalin을 분리하는것은 어려웠다. 전기화학검출기인 PAD은 배당체의 검출에 대해 높은 감도와 선택성을 가지고 있다. PAD는 고감도(검출한계 0.1 ~ 1.0 pmol), 선택성(수산기만을 검출)을 가지고 재현성이 좋아 유도체화가 필요없이 배당체를 검출할 수 있다. HPLC-PAD에 의한 기술적으로 개선된 분석법은 한약제제중의 amygdalin과 hesperidin, baicalin, naringin, glycyrrhizin을 높은 감도로 선택적으로 검출할 수 있었다. PAD와 UV의 결과를 비교하여 PAD가 UV보다 훨씬 좋은 감도로 검출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약제제중 六安煎, 定喘湯, 桑菊飲에 응용하였을때, amygdalin과 neoamygdalin을 복잡한 peak들과 겹치지 않게 완전분리하는 것에 성공하였다. 또, 한약제제 淸肺湯과 潤腸湯에 응용하였을 때도 amygdalin과 hesperidin, naringin, baicalin을 복잡한 peak들과 겹치지 않게 완전분리하는 것에 성공하였다. D-amygdalin in Armeniacae Semen and Persicae Semen is a major constituent to do the quality control of them. D-amygdalin had been reported to selectively kill cancer cells at tumor site without systemic toxicity. But Armeniacae Semen and Persicae Semen contain not only amygdalin but also emulsin, which is an enzyme that hydrolyzes amygdalin. Moreover it is reported that D-amygdalin is epimerized to neoamygdalin in boiling water. Therefore, the separation of D-amygdalin and neoamygdalin was important to analyze amygdalin. Until now, HPLC-UV method has been used to determine amygdalin. However, it was difficult to separate amygdalin from other constituents when Armeniacae Semen or Persicae Semen was ingredients of Chinese herbal preparations such as ‘Yook an joen’, ‘Sang guk um’, and ‘Jong chon tang’. PAD, an electrochemical detector, provides high sensitivity and selectivity to detect glycoside. It has high sensitivity (0.1 to 1.0 pmol detection limits), selectivity (detecting only hydroxyl functional groups), and good reproducibility and is able to detect glycoside directly without derivatization. Technically advanced analysis method by HPLC-PAD could detect sensitively and separate selectively amygdalin, hesperidin, baicalin, naringin, and glycyrrhizin in Chinese herbal preparation. We compared the data with PAD and UV. As a result, PAD had more sensitivity than UV. When applied to Chinese herbal preparations (Yook an joen, Sang guk um, and Jong chon tang), amygdalin and neoamygdalin were separated completely without overlapping with interference peaks. When applied to Chinese herbal preparations (Youn Jang Tang and Chong pye tang), amygdalin, hesperidin, naringin and baicalin were separated completely without overlapping with interference peaks, too.

      • 국내 주요 초본류 한약재의 재배 방법 고찰

        최수찬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8719

        죽상동맥경화증(atherosclerosis)은 고혈압, 비만,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등 만성 질환의 중요 합병증 중 하나로 최근 세계 각국에서 중요한 보건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각종 뇌혈관 및 심혈관질환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잘 알려져 있다. 도인승기탕(桃仁承氣湯)은 도인, 대황, 감초, 육계의 복합물로서, 약리작용으로는 해독작용, 면역 작용, 신장염, 전립선암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죽상동맥경화 동물 모델인 Apolipoprotein E (ApoE) knockout 마우스에 western 식이를 실시하여 도인승기탕에 의한 혈관 손상 억제 효과를 연구하였다. 12주 동안 western 식이를 실시한 ApoE KO 마우스는 높은 혈당 및 혈압을 보이는 반면 도인승기탕을 투여한 군에서는 유의한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12주 동안 western 식이를 실시한 ApoE KO 마우스로부터 분리한 흉부 대동맥에서 acetylcholine(Ach) 혈관 이완효과는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며, 이 현상은 도인승기탕 200㎎/㎏/day를 투여한 군에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그러나 sodium nitropruside(SNP)의 혈관 이완 효과는 각각의 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관 병변 억제 및 혈관의 지질 축적 억제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H&E stain 및 Oil red O stain을 시행한 결과, ApoE KO 마우스에 western 식이를 실시한 군에서 혈관 내막의 손상과 중막의 비후, 죽종 형성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도인승기탕을 12주간 투여한 군에서 현저한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마우스의 흉부 대동맥을 분리하여 혈관 수축 인자인 ET-1, 혈관 세포 유착 분자인 ICAM-1의 발현을 알아본 결과, ApoE KO 마우스에 western 식이를 실시한 군에서 그 발현 정도가 증가하였으며, 도인승기탕 투여군에서 감소한 것을 보였다. 또한 PPAR-γ 및 eNOS 발현은 도인승기탕에 투여에 의해 회복됨을 볼 수 있었다. 그러므로 western 식이를 실시한 ApoE KO 마우스에서 도인승기탕을 투여한 결과, 도인승기탕은 혈압 및 혈당 강하, 혈관 이완효과 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도인승기탕이 혈관손상 개선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향후 심혈관 질환과 같은 만성 질환의 치료에 효과적인 선도물질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Consumption of herbal medicines is widespread and increasing. Because harvesting from the wild, the main source of raw material, does not meet the demand, cultivation is a viable alternative. With rapidly developing the cultivation techniques, however, incorrect methods causes many inherent problems, e.g. phonetic variation, toxic components and contaminants. This papers newly arranges the information of main herbs concentrated on herbaceous plants and includes the problems and the solutions, which were based on a diverse consideration with accumulating from several studies, literatures and statistical data.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s that people found the correct methods for harvesting easily to acquire and likely to be handful in their own work. The result of this study presents following problems: 1.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cultivating in practice and literature is not determined. 2. the cultivation must be observed at least for 10 years with repeating, but most studies did only with 5 years. the current results might be evaluated and analysed again. This study is applied to inform the related farms of the comprehensive, suitable system and trend from the dispersed agricultural institutes of several cities. This helps also the benefit creation plan for farmers and the national health with excellent medicinal herbs.

      • 탕전실의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김지훈 원광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719

        현재 국내 한방 의료기관의 탕전실에서 조제되는 한약은 환자에게 의약품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위생적인 한약의 조제는 안전성 측면에서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된다. 탕전실의 시설ㆍ관리기준은 현재 법령 내에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해당 법령이 조제된 한약의 위생 및 안전성을 충분히 보장할 수 없는 수준이라고 생각되어 적절한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는 설문조사, 현장방문, 관련법령 고찰의 방법을 통하여 진행되었다. 설문조사를 위해 보건복지부에 요청하여 제공받은 한방 의료기관 탕전실 기본 현황 자료를 분석하였다. 조사는 2015년 4월 10일부터 5월 19일까지 40일간 진행되었고 42곳의 응답을 받을 수 있었다. 현장방문은 2015년 11월부터 2016년 5월까지 진행되었으며 7곳의 시설을 방문하였다. 설문조사 및 현장방문 결과를 국내 의약품 및 식품 제조 시설ㆍ관리기준, 그리고 중국의 전약실(煎藥室) 관리규범과 상호 비교하였다. 그 결과로서 시설에 대하여 건축물, 공동탕전실, 조제실, 급수시설, 화장실, 보관 시설의 기준을 제시하였다. 관리에 대하여 시설관리, 조직, 기준서, 문서, 조제관리, 위생관리, 용수관리, 한약재ㆍ자재 및 조제한약의 관리, 불만처리 및 회수, 자율점검, 교육 및 훈련의 기준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done to suggest direction of regulation on management of herbal dispensaries. Methods : In this study, we surveyed 42 facilities which dispensed herbal preparations and also visited 7 facilities. In addition, we referred other laws and regulations on drugs and foods to suggest improved regulations for herbal dispensaries. Results : We suggest facility standard including location of building, water supply facility, lavatory and storage facility. And we also suggest administration standard including facility, organization, standard document, papers, supervision, sanitation, water, administration on medicinal herbs, materials and herbal medicines, complaint handling and withdrawal, autonomy inspection, education and training. Conclusions : We hope that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baseline data for regulation on herbal dispensaries.

      • 207종 한약 메타놀 추출물과 활성한약이 포함된 19종 한약방제의 1,1-Dipheny1-2-Picry1hydrazy1 라디칼 소거작용

        김민산 순천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19

        노화 및 각종 질병들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가 활성산소에 의한 것으로 밝혀져 있다. 천연 항산화 작용을 갖는 한약 연구를 위하여 207종의 한약에 대하여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검색하였다. 이 중에서 활성이 강한 10종의 한약이 포함된 19종 한약방제에 대해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검토하였다. 1. DPPH radical 소거활성 실험에서 207종 한약 추출물 중 50 ㎍/mL 농도에서 90%이상 강한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보이는 한약은 가자, 황금, 백합, 소목, 빈랑, 조각자, 오배자, 율피, 지구자, 현지초, 초두구, 대황, 지유, 유백피 및 고련피 등 15종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구등, 연자육, 보골지, 속단, 후박, 단삼, 영실, 촉초, 화피, 육계, 대계, 구척, 양강 및 적작약 등 14종이 80%이상의 높은 소거활성이 있음을 관찰하였다. 그 다음으로 추출물 중 10 ㎍/mL 농도에서 80%이상 소거활성을 나타내는 한약은 가자, 빈랑, 소목, 율피, 연자육, 오배자, 지유 및 화피 등 8종이 측정되었다. 그리고 유백피, 육계, 대계 및 양강 등 4종이 60%이상의 소거활성 효과가 확인되었다. 2. 207종 한약 추출물 중에서 50 ㎍/mL와 10 ㎍/mL 농도 동시에 비교적 강한 DPPH radical 소거활성 효과가 있는 10종 한약의 IC_(50)을 측정한 결과, 오배자가 3.58 ㎍/mL, 유근피가 4.16 ㎍/mL, 소목이 4.61 ㎍/mL, 화피가 5.37 ㎍/mL, 육계가 5.46 ㎍/mL, 빈랑이 5.59 ㎍/mL, 가자가 6.38 ㎍/mL, 지유가 6.61 ㎍g/mL, 연자육이 11.92 ㎍/mL 및 대계가 17.04 ㎍/mL로 나타났다. 3. DPPH radical 소거활성 실험에서 활성이 강한 10종의 한약이 포함된 한약방제 추출물을 50 ㎍/mL 농도에서 실험하였다. 80%이상 높은 소거활성을 보이는 한약방제는 부연산, 삼신환, 가자산, 가미사물 탕, 지유산, 화피산, 유백피탕, 목향빈랑환 및 고영산 등 9종으로 관찰되었다. 그리고 부연산과 삼신환의 추출물은 10 ㎍/mL 농도에서 모두 80%이상의 DPPH radical 소거활성 효과가 나타났으며, 5 ㎍/mL 농도에서도 모두 70%이상의 DPPH radical 소거활성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오배자가 주약으로 구성되어 있는 부연산과 삼신환이 가장 높은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가진 한약방제로 밝혀졌으며, 이 두 한약방제의 강한 소거활성 작용은 방제를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한약에 대한 DPPH radical 억제율에 비례하여 나타난다고 사료된다. One or the most important causes about aging and some kinds of diseases is revealed by natural antioxidants. The scavenging effect of 207 oriental medicines and 19 oriental medicine prescriptions on DPPH radical was screened to search natural antioxidants. 1. The scavenging effect of 207 oriental medicines on DPPH radical were obtained as follows. At a concentration of 50 ㎍/mL, the remarkable inhibitory effects (>90%) were observed in methanol extracts of the Terminalia chebula (fruit), Scutellaria baicalensis (root), Lilium lancifolium (bulb), Caesalpinia sappan (heartwood), Areca catechu (seed), Gleditsia sinensis (spine), Rhus chinensis (gall), Castanea crenata (fruit skin), Hovenia dulis (seed), Geranium thunbergii (whole plant), Alpinia katsumadai (seed), Rheum palmatum (root), Sanguisorba officinalis (root), Ulmus pumila (root skin), and Melia azedarach (bark) respectively. And the conspicuous inhibitory effects (>80%) were viewed in methanol extracts of Uncaria rhynchophylla (branch), Nelumbo nucifera (seed), Psoralea corylifolia (fruit), Dipsacus asper (root), Magnolia officinalis (bark), Salvia miltiorrhiza (root), Rosa multiflora (fruit), Zanthoxylum piperitum (fruit skin), Betula platyphylla (bark), Cinnamomum cassia (bark), Cirsium japonicum (whole plant), Cibotium barometz (rhizome), Alpinia officianrum (rhizome), and Paeonia lactiflora (root). Next, at a concentration of 10 ㎍/mL, the distinguished activities (>80%) were exhibited in methanol extracts of Terminalia chebula, Areca catechu, Caesalpinia sappan, Castanea crenata, Castanea crenata, Nelumbo nucifera, Rhus chinensis, Sanguisorba officinalis, and Betula platyphylla seperately. And then, the moderate activities (>60%) were showed in methanol extracts of Ulmus pumila, Cinnamomum Cassia, Cirsium japonicum, and Alpinia officianrum. 2. The 10 oriental medicines having strong scavenging activity against DPPH radical measured IC_(50) values. The results run as follows. IC_(50) values of Rhus chinensis was 3.58 ㎍/mL, followed by Ulmus pumila, Caesalpinia sappan, Betula platyphylla, Cinnamomum Cassia, Areca catechu, Terminalia chebula, Nelumbo nucifera, Sanguisorba officinalis, and Cirsium japonicum. Their IC_(50) values was 4.16 ㎍/mL, 4.61 ㎍/mL, 5.37 ㎍/mL, 5.46 ㎍/mL, 5.59 ㎍/mL, 6.38 ㎍/mL, 6.61 ㎍/mL, 11.92 ㎍/mL, and 17.04 ㎍/mL, respectively. 3. The scavenging effect of 19 oriental priscriptions on DPPH radical were obtained as follows. At a concentration of 50 ㎍/mL, the remarkble scavenging effects (>80%) was observed in methanol extracts Buyeonsan, Samsinhwan, Gajasan, Kamisamultang, Ziyusan, Hwapisan, Mokhyangbinlanghwan, Yubaekpitang and Koyoungsan. The principal ingredient of them is Rhus chinensis, Rhus chinensis, Terminalia chebula, Terminalia chebula, Sanguisorba officinalis, Sanguisorba officinalis, Areca catechu, Ulmus pumila and Sanguisorba officinalis, respectively. And at a concentration of 10 ㎍/mL, the strong scavenging activities (>80%) only were showed in Buyeonsan and Samsinhwan. Lastly, at a concentration of 5 ㎍/mL, the strong scavenging activities (>70%) were also observed in Buyeonsan and Samsinhwan. Therefore, Buyeonsan and Samsinhwan that Rhus chinensis is main medicine, were showed the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 약사법상 한약제제의 정의 중 한방원리의 의미에 대한 고찰

        임현진 원광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19

        한약제제(韓藥製劑)는 「약사법」 상 한약(韓藥)을 한방원리를 이용하여 제조한 의약품으로 정의되어 있다. 따라서 의약품으로서의 한약제제(韓藥製劑)가 인정받기 위해서는 그 근간이 되는 한방원리에 대한 정의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행 「약사법」에서는 한약(韓藥)과 한약제제(韓藥製劑)에 대한 정의만이 존재할 뿐, 한방원리에 대한 정의는 존재하고 있지 않다. ‘한방원리’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내리기 위해서 역사적으로 충분히 오랜 기간 동안 발전해온 대한민국(大韓民國)의 한방원리를 검토해 보았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약사법」 상 한약(韓藥)의 배합(配合) 및 제조(製造) 방법과 관련된 한방원리를 선행 연구자들의 연구와 수 종(種)의 문헌 자료를 참고하여 정리해 보고 이를 현대 과학 이론과 결부시켜 이해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대한민국(大韓民國) 한약제제(韓藥製劑)의 근간이 되는 한방원리를 사기오미론(四氣五味論를)?삼품분류법(三品分類法)?장부귀경론(臟腑歸經論)?포제(?製)?약대론(藥對論)?군신좌사론(君臣佐使論)?사상체질의학(四象體質醫學)?삼인제의(三因制宜) 등으로 구체화 시킬 수 있었으며 한약제제(韓藥製劑)는 지속적으로 시대 수준에 맞춰 발전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해당 한방원리의 수준도 현대 과학적인 수준에 뒤떨어지지 않았고, 한약제제(韓藥製劑)는 한약(韓藥)의 배합(配合) 및 제조(製造) 방법의 측면에서 한방원리를 기반으로 현대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필요에 따라 더욱 확대되고 연구?개발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 In Pharmaceutical Affairs Act, herbal medicinal preparations are defined as a medicine made by korean medicine principles. but in the Act, Korean medicine principles are too vague and no additional explanation exists. Thus, there is a request to explain what is Korean medicine principl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implication of Korean medicine principles in definition of herbal medicinal preparations. Methods : With regard for definition of Korean medicine principles, we referred to the domestic and foreign regulations and the literature about the history of herbal medicinal preparations. As a result, the meaning of Korean medicine principles were historically examined from various angles. Results : Through this study, we studied the Korean medicine principles from the past medical history. Due to the broad definition of Korean medicinal principles, we tried to outline general ideas of medicine principles first. Thus, we searched that scientific medicine principles did exist in the past. We also found that we had scientific formulations which could be used in this modern society. In the end, we found that numerous medicine principles which include ‘Four qi and five flavors theory’, ‘Processing of medicinals’, ‘Yin and yang theory’, ‘Five phases theory’, ‘Meridian entry of viscera and bowels theory’, ‘Top, medium, low grade drug theory’, ‘Couplet medicinals theory’, ‘Sovereign, minister, assistant and courier theory’, and so on. Conclusions : After this study, we found innumerable principles used from the past. These principles were broad and could be used as modern scientific principles. Based on these facts, we concluded that Korean medicine principles are enough to be applied for modern principles and make Korean herbal medicinal preparations be effective for countless diseases.

      • 치매 예방·치료 한약의 연구동향 및 산업화 현황 고찰

        김현정 圓光大學校 2015 국내박사

        RANK : 248719

        목적 : 본 연구에서 치매의 예방 혹은 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한약에 대한 연구동향과 산업화 현황에 대한 객관적 근거를 고찰하고자 한다. 방법 : 치매 예방 및 치료, 인지기능 개선에 관련된 한약의 연구동향을 체계적 고찰을 통해 탐색하였다. 국내 한약의 연구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전통 의학 정보 포털 사이트 오아시스 검색 서비스를 이용하여 311편의 논문을 검색하였으며 선정 기준에 따라 40편의 논문을 수집하였다. 또한 실제 활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산업화된 의약품과 건강기능식품의 허가 현황을 조사하여 서술적으로 고찰하였다. 결과 : 수집한 40편의 논문은 동물 및 사람 대상의 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하였으며 중재약물로 복합 처방이 사용된 경우가 많았다. 중재약물로 많이 사용되는 한약재는 석창포, 원지, 인삼, 당귀, 천궁, 백복신 등이 추출되었다. 또한 치매 치료제로 사용되는 한약(천연물) 의약품은 은행잎(Ginkgo biloba) 제제가 있었으며 그 외 임상시험 승인을 받은 물질은 후박(Magnolia officinalis rehd. et wills) 추출물, 살리실산 유도체, 참당귀(Angelica gigas) 추출물, 현삼(Scrophularia buergeriana) 추출물 등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한약(천연물) 소재 건강기능식품으로 홍삼, 은행잎, 참당귀추출분말, 당귀등추출복합물, INM176 참당귀주정추출분말, 홍삼농축액, 피브로인 효소가수분해물(누에고치), 녹차추출물?테아닌 복합물, BT-11원지추출분말 및 인삼가시오갈피등 혼합추출물이 조사되었다. 결론 및 제언 : 치매 예방 및 치료한약의 연구에 있어서 개척할 분야가 많으며, 이에 대한 한약의 가능성과 강점을 확인하였다. 향후 치매 예방 및 인지기능 개선에 유효한 예방 한약에 대하여 지속적 연구와 안전성?유효성에 대한 근거 중심의(Evidence Based) 제품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is to review the objective evidence about research trends and industrialization status on oriental medicine for preventing dementia 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Methods: Research trends related to dementia prevention and treatment,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were explored through a systematic review. In order to identify research trends of domestic oriental medicine, 311 papers were searched and 40 papers were collected depending on the selection criteria by using the traditional medicine information portal site oasis search service. Also, in order to find a real utilization, the permission status of health functional food and industrialized medicine and medical supplies was investigated and reviewed descriptively. Results: Of 40 papers collected, only a few of them have studied animals and human beings and complex prescription has been used with mediating drugs in many cases. As medicinal herbs mainly used as mediating drugs, Acori Gramineri Rhizoma(석창포), Polygalae Radix(遠志), Ginseng Radix Alba(人參), Angelicae Gigantis Radix(當歸), Cnidii Rhizoma(川芎), Hoelen Cum Radix(茯神) etc. were selected. In addition, an oriental medicine(herbal medicine) used as a therapeutic agent for dementia includes Ginkgo biloba medicine and other clinically approved substances were investigated to be Magnolia officinalis rehd. et wills extract, salicylic acidderivatives, Angelica gigas extract, Scrophularia buergeriana extract etc. Also, extract mixtures such as red ginseng, Ginkgo biloba, Angelica gigas extract powder, Angelica gigas and mixture extracts such as INM176Angelica gigas alcohol extracts powder, red ginseng concentrate, fibroin enzyme hydrolysate(cocoon), green tea extract?theanine mixture, BT-11Polygalae Radix extract powder and ginseng?Acanthopanacis Senticosi Radix et Rhizoma and mixture extracts. were investigated as health functional foods using oriental medicines(herbal medicines).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It was found that there are many fields to be explored in research of oriental medicine for dementia prevention and treatment and the possibilities and advantages of oriental medicine about it were also identified. In the future, it is considered that preventive oriental medicine effective in preventing dementia and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should be continuously studied and evidence based products for safety and effectiveness need to be developed.

      • Metabolism of flavonoid rhamnoglucosides and chondroitins by gut microflora and cloning of α-L-rhamnosidase and chondroitinase ABC

        방서현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8687

        한약은 다양한 약물학적인 효과로 인해 한국에서 많이 사용 되고 있다. 대부분의 한약이 경구로 섭취되기 때문에 한약의 다양한 성분은 흡수되기 이전에 장내 미생물에 의해 대사 된다. 많은 한약 성분의 대사체들이 원래의 성분보다 더 약효가 뛰어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장내 미생물과 한약 성분을 대사시킬 수 있는 효소에 대한 연구는 한약의 효과를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Rutin, poncirin과 같은 flavonoid rhamnoglucosides 는 다양한 한약에서 발견되며 이들은 항암,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들의 대사에 대해 이해하기 위해 우리는 100명의 사람 대변 샘플을 통해 rutin과 poncirin의 대사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α-L-rhamnosidase 의 활성은 개인마다 매우 다르게 나타났다. Flavonoid rhamnoglucosides의 대사에 대해 좀 더 알아보기 위해 대사 효소인 α-L-rhamnosidase를 사람의 대변에서 분리한 B. dentium에서 cloning 하였고 이를 발현, 정제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B. dentium의 α-L-rhamnosidase gene은 2,673개의 뉴클레오타이드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크기는 약 100 KDa 이었다. 또한 이 효소는 다른 당에 붙어 있는 rhamnose만 제거할 수 있으며, 비당체에 바로 붙어 있는 rhamnose는 제거하지 못했다. Chondroitin sulfate 는 대표적인 보양약인 녹용에서 발견된다. 하지만 녹용의 chondroitin sulfate는 size가 매우 크기 때문에 아주 적은 양만이 흡수되며, 대부분은 장내 미생물에 의해 분해 된 후 흡수된다. 따라서 녹용의 약효나 부작용을 이해하기 위해서 사람의 장내 미생물인 B. stercoris HJ-15로부터 chondroitinase ABC를 cloning 하였고, 이를 발현시켰다. B. stercoris HJ-15의 chondroitinase ABC는 3,090개의 뉴클레오타이드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크기는 약 110 Kda 이었다. 또한 발현시킨 chondroitinase ABC는 chondroitin sulfate A, dermatan sulfate, chondroitin sulfate C를 분해시킬 수 있었다. 이 논문에서 많은 한약에 존재하는 flavonoid rhamnoglucosides, chondroitins의 대사와 그의 대사 효소인 α-L-rhamnosidase, chondroitinase ABC에 대해 다루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flavonoid rhamnoglucosides 와 chondroitin 을 함유하는 한약의 약효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 Effects of herbal medicines including Cinnamomi Cortex on activity of several cytochrome P450 isoforms : 계피를 포함한 한약재의 cytochrome P450 약물 대사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박혜정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8687

        Herbal medicines, major parts of traditional medicines, are used with increasing frequency on a worldwide basis and many patients take both herbal medicines and prescription medicines. Herbal medicines usually contain a number of pharmacologically active constituents including flavonoids, coumarins, saponins, glycosides, and alkaloids, all of which may potentially participate in herb-drug interaction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otential of drug interaction with herbal medicines was investiga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24 herbal medicines commonly used in Korea on seven human CYP450 (CYP1A2, CYP2C8, CYP2C9, CYP2C19, CYP2D6, CYP3A4, and CYP2E1) activities, we evaluated them with fluorometric enzyme inhibition assay with cDNA-derived enzymes in microsomes prepared from baculovirus-infected insect cells and calculated the IC_(50) values. And then, Cinnamomi Cortex, the most potent inhibitor, was investigated by examining its activity on seven major CYP isoforms, including CYP1A2, CYP2A6, CYP2C8, CYP2C9, CYP2C19, CYP2D6 and CYP3A4 in human liver microsomes by LC/MS/MS. To evaluate the effects of Cinnamomi Cortex on cytochrome P450 expression in vivo, rats were orally treated with Cinnamomi Cortex and its main constituents (cinnamic acid, cinnamaldehyde) for 7 consecutive days and determined CYP450 expressions in rat liver microsomes using western blotting. Angelicae dahuricae Radix, Angelicae gigantis Radix, Cinnamomi Cortex, Cyperi Rhizoma, Glycyrrhizae Radix, Polygoni multiflori Radix, and Scutellariae Radix showed inhibitory activity with IC_(50) values below 30 ㎍/㎖ for one or more the cDNA human CYP450 isoforms. Of the herbal extracts tested, Cinnamomi Cortex was the potent inhibitor of CYP isoforms. Water extract inhibited the metabolic activities CYP1A2 (IC_(50) value, 41.5 ㎍/㎖) and ethanol extract inhibited the metabolic activities CYP1A2 (IC_(50) value, 15.1 ㎍/㎖), CYP2C9 (IC_(50) value, 20.1 ㎍/㎖), and CYP2D6 (IC_(50) value, 38.4 ㎍/㎖). In pooled human liver microsomes, both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Cinnamomi Cortex showed inhibitory effect on CYP-catalyzed reactions. CYP2C8 (IC_(50) value, 57.3 ㎍/㎖) is most potently inhibited by water extract among the tested CYP isoforms, followed by CYP3A4 (IC_(50) value, 100.0 ㎍/㎖). And ethanol extract of Cinnamomi Cortex also exhibited potent inhibition on CYP2C8 (IC_(50) value, 99.7 ㎍/㎖). The CYP1A2 contents in hepatic microsomes of rats treated with Cinnamomi Cortex at 2 g/kg/day and 4 g/kg/day significantly de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than control groups. The CYP2C11 contents in hepatic microsomes of rats treated with Cinnamomi Cortex 4 g/kg/day significantly decreased than control groups. The CYP450 contents of rats treated with cinnamic acid (48.4 mg/kg/day) and cinnamaldehyde (11.4 mg/kg/day)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with control groups. Thu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Angelicae dahuricae Radix, Angelicae gigantis Radix, Cyperi Rhizoma, Glycyrrhizae Radix, Polygoni multiflori Radix and Scutellariae Radix may have the potential of herb-drug interactions via inhibition of CYP450 enzymes in vitro. Furthermore, high dose of Cinnamomi Cortex is able to induce murine liver CYP-catalyzed drug metabolism enzymes in vivo. Therefore, clinical studies of possible interactive medicines should be carried out and causality between interaction and specific constituent should be elucidated. 최근 한약제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서양 약물치료와 병행하여 한약 추출물 등이 이용되고 있는 많은 예를 볼 수 있다. 한약은 flavonoids, coumarins, saponins, glycosides와 같은 여러 약리학적 활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약물대사효소에 의한 약물상호작용이 일어날 가능성을 내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약재의 약물상호작용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먼저 한국에서 흔히 사용하고 있는 24 종의 한약재를 대상으로 대사물 형광 분석법을 이용하여 주요 7 종의 CYP 동효소의 지표 기질 대사에 대한 억제능을 IC_(50)을 구하여 평가하였다. 桂皮를 CYP 동효소의 가장 유력한 억제 한약재로 선택하였고 인체 간 마이크로솜에 CYP 약물대사 효소의 지표 약물과 桂皮 추출물을 첨가하여 생성된 대사물을 LC/MS/MS를 이용하여 효소에 대한 억제정도를 확인하였다. 생체 내에서의 桂皮의 CYP 효소에 대한 억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흰쥐에 桂皮와 桂皮의 주요 성분인 cinnamic acid, cinnamaldehyde를 7일간 경구 투여하고 흰쥐의 간에서 마이크로솜을 분리하여 마이크로솜 내의 CYP450 발현을 western blotting을 이용하여 알아보았다. 24 종의 한약재에 의한 7종의 CYP 동효소 지표 기질 대사에 대한 억제능을 검색한 결과 白芷, 當歸, 桂皮, 香附子, 甘草, 何首烏, 黃芩 추출물의 IC_(50) 값이 한 가지 이상의 CYP450 동효소에서 30 ㎍/㎖ 이하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 여러 가지 CYP 동효소 억제 효과를 나타낸 桂皮를 가장 유력한 한약재로 선택하였는데 桂皮 물 추출물은 CYP1A2의 IC_(50) 수치가 41.5 ㎍/㎖ 이었으며,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CYP1A2의 IC_(50) 수치가 15.1 ㎍/㎖, CYP2C9의 IC_(50) 수치가 20.1 ㎍/㎖, CYP2D6의 IC_(50) 수치가 38.4 ㎍/㎖으로 나타났다. 인체 간 마이크로솜을 이용한 in vitro 실험에서는 桂皮 물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에서 CYP2C8의 활성을 억제하였고 물 추출물의 IC_(50)은 57.3 ㎍/㎖, 에탄올 추출물의 IC_(50)은 99.7 ㎍/㎖이었다. 흰쥐 간 마이크로솜에서의 CYP450 발현을 관찰한 in vivo 실험에서는 桂皮 2 g/kg/day, 4 g/kg/day을 처리한 흰쥐의 그룹에서 CYP1A2의 발현이 유의하게 억제되었고 4 g/kg/day을 처리한 흰쥐의 그룹에서 CYP2C11의 발현이 유의하게 억제되었으나 cinnamic acid (48.4 mg/kg/day)와 cinnamaldehyde (11.4 mg/kg/day)를 처리한 흰쥐의 그룹에서는 유의성 있는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실험 결과, in vitro에서 白芷, 當歸, 香附子, 甘草, 何首烏, 黃芩의 CYP 약물대사 효소의 억제로 인한 약물상호작용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桂皮의 경우 in vivo에서 정상적인 범위의 복용량은 약물 상호작용을 일으키지 않지만 고용량의 복용은 약물상호작용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상호작용은 桂皮의 주요 성분인 cinnamic acid와 cinnamaldehyde가 아닌 다른 성분의 영향이라고 생각되며 향후 그 성분을 찾아 인체 내에서의 약물상호작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식치(食治)에 응용되는 독성 한약재 연구

        신자람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87

        There were a lot of researches on food therapy. But studies of food therapy using toxic medicinal materials were incomplete. In this article, the Korean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specified ’Note toxic medicinal herbs 21 items’ and the 83 kinds of toxic medicinal materials in the Chinese Pharmacopoeia 2015 edition were investigated for food therapy. As a result, toxic medicinal materials for food therapy were 37 kinds. Of these, medicinal materials that correspond to "the raw materials that can not be used for food " in the Korean Food Standards Codex were 16 species other than Pharbitidis Semen, medicinal materials that correspond to "the raw materials that can be used for food" were the other one kinds of Artemisiae Argyi Folium. And medicinal material that corresponds to "the raw materials that can be restrictively used for food" was Cnidi Fructus. Medicinal materials that were not listed in the Korean Food Standards Codex were the 17 species other than Meliae Cortex. In order to apply toxic medicinal materials to food therapy effectively and safely, uniform criterion for the toxicity classification of medicinal materials is needed. And continuous studies on the pharmacology and toxicology of medicinal materials are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