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학교상담의 조기종결 관련변인 분석

        윤지원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75

        이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학교상담이 조기종결 되는 관련변인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첫째, 초등학교 학교상담의 조기종결사례와 합의종결사례는 상담관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초등학교 학교상담의 조기종결사례와 합의종결사례는 상담자 특성, 내담자 특성, 환경요인에서 차이가 있는가?”를 연구문제로 선정하였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83개 초등학교에 대학원에서 상담을 전공하였거나 전문상담교사양성과정을 수료한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초등학교 학교상담의 조기종결 상담자 집단과 상담지속 상담자 집단의 상담관계를 비교하기 위해서 상담협력관계에 관한 Bordin의 이론에 따라 Horvath와 Greenberg(1986, 1989)가 제작한 36문항의 자기 보고형 설문지를 김순영(1998)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상담이 조기종결되는 상담자 특성과 내담자 문제, 환경적 요인을 살펴보기 위한 내용을 추가 하였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학교상담에서 상담자와 내담자가 서로 합의한 목표를 이루기 위한 과제에 대한 이해의 일치가 조기종결과 합의 종결의 상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상담에 대한 목표 합의, 정서적인 유대, 총점은 조기종결사례와 합의종결사례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조기종결사례와 합의종결사례의 상담자의 특성 중 나이, 학력, 상담경력은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조기종결사례와 합의종결사례의 내담자의 문제로 대인관계, 가족관계, 이성관계, 진로, 학업, 성격 및 습관, 정서, 가치관, 기타 문제들 분석하였으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초등학교 학교상담이 조기종결되는 환경적 요인의 특성은 무엇인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담 의뢰인과 상담시간, 소요 상담시간, 종결까지의 상담횟수, 상담장소를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상담의 환경적인 요인이나 상담자의 특성보다 상담자와 내담자의 상담관계가 상담의 종결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여지므로 상담관계의 개선을 위해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이 연구는 조기종결사례와 합의종결사례의 상담관계의 차이와 조기종결의 상담자 특성, 내담자 특성, 환경요인의 특성을 밝혀 초등학교 학교상담의 지속을 위한 성공적으로 종결되기 위한 지침과 상담전략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학교상담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 심리적 소진과 직무몰입도의 관계

        이지혜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75

        This study was subject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interpersonal stress, burnout, and job involvement, in order to suggest an efficient method of reducing school counselors' interpersonal stress and burnout while improving their job involvement. The study examin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Interpersonal stress, Burnout, and Job Involvement in relation to the employment condition of school counselors? Second, is there a correlation between Interpersonal stress, Burnout, and Job Involvement based on the work experience of school counselors? Third, is there a correlation between interpersonal stress and burnout of school counselors? Fourth, is there a correlation between interpersonal stress and job involvement of school counselors?Fifth, is there a correlation between burnout and job involvement of school counselors? Sixth, which effect does interpersonal stress of school counselors have on burnout? Seventh, which effect does interpersonal stress of school counselors have on their job involvement?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236 school counselors across the country.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through mail or e-mail, which included 10-question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tress measurement inventory, 22-questions of burnout measurement inventory and 10-questions of job involvement measurement inventory. SPSS 19.0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of collected research materials. The result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epending on their employment conditions, regular school counselors showed highe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tress and burnout than non-regular school counselors. There was no difference in job involvement. Second, the more work experience school counselors had, the higher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tress was. Burnout and job involvement were not affected by one's work experience. Third, the higher interpersonal relationship stress school counselors had, the higher their burnout was. When the school counselors have high interpersonal relationship stress regarding seniors, colleagues, and students, their burnout level showed high as well. Fourth, the highe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tress school counselors had, the lower their job involvement was. When the school counselors have high interpersonal relationship stress regarding seniors, colleagues, and students, their job involvement was low. Fifth, the higher burnout school counselors were, the lower their job involvement was. As the constituent of Burnout which include 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and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became higher, the lower job involvement became. Sixth, the higher interpersonal relationship stress school counselors had, the higher their burnout wa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tress for seniors, students, and school parents increased emotional exhaustion. In addi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tress for colleagues, and students increased depersonalization and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Seventh, the highe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tress school counselors had, the lower their job involvement was. In other word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tress of the school counselors regarding seniors, colleagues, and students affected their job involvement in negative way. This study showed tha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tress of school counselors increase burnout, while decreasing job involvement. The study also showed that reducing school counselors' interpersonal relationship stress results psychological stability as well as high job involvement. Such outcome suggests policies that train and support a better working condition by focusing on improv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stead of just on material circumstances. 본 연구는 학교상담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 심리적 소진과 직무몰입도의 관계를 규명하여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을 낮추고 직무몰입도를 높이는 효율적인 방안을 제시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교상담교사의 고용형태(전문상담교사, 전문상담사)에 따라 대인관계 스트레스, 심리적 소진과 직무몰입도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둘째, 학교상담교사의 상담 경력별 대인관계 스트레스, 심리적 소진과 직무몰입도는 어떠한 관계를 보이는가? 셋째, 학교상담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은 어떠한 관계를 보이는가? 넷째, 학교상담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는 직무몰입도와 어떠한 관계를 보이는가? 다섯째, 학교상담교사의 심리적 소진은 직무몰입도와 어떠한 관계를 보이는가? 여섯째, 학교상담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는 심리적 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일곱째, 학교상담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는 직무몰입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에 배치되어있는 학교상담교사 236명이었으며, 측정도구는 표준화된 설문지로 대인관계 스트레스 18문항, 심리적 소진 22문항, 직무몰입도 10문항으로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처리와 분석은 SPSS 19.0을 사용하였다. 이상을 통하여 연구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상담교사의 고용형태에 따라 전문상담교사가 전문상담사보다 대인관계 스트레스수준과 심리적 소진의 수준은 높았고 직무몰입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학교상담교사의 상담 경력이 높을수록 대인관계 스트레스 수준도 높아졌다. 심리적 소진과 직무몰입도는 경력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학교상담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심리적 소진의 수준도 높아졌다. 대인관계 스트레스의 요인 중 상급자, 동료, 학생과의 스트레스 수준이 높아질수록 심리적 소진의 수준도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넷째, 학교상담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몰입도가 낮아졌다. 대인관계 스트레스 요인 중 상급자, 동료, 학생과의 관계에서 오는 스트레스가 높아질수록 직무 몰입도의 수준은 낮아졌다. 다섯째, 학교상담교사의 심리적 소진의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몰입도의 수준은 낮아졌다. 심리적 소진의 정서적 고갈, 비인간화, 개인적 성취감 상실의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몰입도의 수준은 낮아졌다. 여섯째, 학교상담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심리적 소진의 수준도 높아졌다. 대인관계 스트레스 중 상급자, 학생, 학부모의 관계에서 오는 스트레스는 심리적 소진 중 정서적 고갈의 수준을 높였고, 동료, 학생과의 관계에서 오는 스트레스는 비인간화와 개인적 성취감 상실의 수준을 높였다. 일곱째, 학교상담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 수준이 높아질수록 직무몰입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대인관계 스트레스 요인 중 상급자, 동료, 학생과의 관계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아질수록 직무몰입도의 수준은 낮아졌다. 이 연구결과들은 학교상담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을 높이는데 영향을 주고 직무몰입도를 낮추는데 영향을 줌을 나타내 주고 있다. 학교상담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를 낮추는 것이 개인의 심리적 안정감에 영향을 줄 뿐아니라 직무 몰입도를 높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것은 물리적 환경 개선보다는 대인관계 개선을 위한 인적 환경과 관련이 있는 정책 및 지원, 연수가 필요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 학교교육과 학원교육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비교

        최영복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7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middle school students compare school education and private academy education and to provide meaningful data to improve public education by analysing how the students variations(sex, a school year, a residential districts, the period of taking private classes, the number of private classes taken) and parents variations(father's scholarship, mother's scholarship, income) effects middle school students. The problem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at do middle school students think of the overall matter(familarity toward teachers, assignment, attendance, corporal punishment, learning information, friends, joy of learning) in school and private academy, and how different are they depending on background variations(sex, a school year, a residential districts, the period of taking private classes, the number of private classes taken, father's scholarship, mother's scholarship, income)? Second, How do middle school students think of school teachers and private academy teachers, and how do the background variations effects them? Third, How do middle school students think of teaching of school and private academy, and how do the background variations effects them? Fourth, How do middle school students recognize school discipline and private academy discipline, and how do the background variations effects them?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74 students in Kangwon Province. 253 were selected from 2 middle schools in Wonju to represent urban area, and 218 from Jeongseon Middle School in Jeongseon to represent rural area, who are taking private classes. Based on Kim Joo Hee's questionnaire(2004), the instrument used for this study was made up of 35 questions about overall matters of school and public academy, recognition of teachers, teaching, and discipline. To analyze students recognition of school education and private academy eduation, SPSSWIN/PC 14.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differnce between students and parents variation, t-test and F-test were utilzed. For further verification, Scheffe was us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or overall matters of education, students have more positive view on private academy education(24.34) than on school education(23.63). However, by subfactor, students were more permissible for school corporal punishment and had more responsibility for school assignment than in private academies. Secondly, the students have a more positive view on private academy teachers(36.25) than on school teachers(32.72). Third, students take more positive view on private academy teaching(33.92) than on school teaching(30.01). Finally,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school discipline(25.68) and private academy discipline(25.33).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학교교육과 학원교육의 전반적 사항과 교사, 교과수업, 생활·인성지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학생변인(성별, 학년, 지역, 학원수강기간, 수강과목 수)과 학부모변인(부 학력, 모 학력, 소득)에 따른 인식차이를 분석함으로써 학교 현장에서 양질의 교육서비스를 제공하고 보다 나은 개선방향을 모색하여 공교육이 활성화될 수 있는 유의미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들은 학교교육과 학원교육의 전반적 사항(교사에 대한 친밀감, 과제, 출석, 체벌, 학습정보, 교우, 배움의 즐거움)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배경변인(성별, 학년, 지역, 학원수강기간, 수강과목수, 부학력, 모학력, 소득)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 둘째, 중학생들은 학교교사와 학원교사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배경변인(성별, 학년, 지역, 학원수강기간, 수강과목수, 부학력, 모학력, 소득)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 셋째, 중학생들은 학교교과교육과 학원교과교육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배경변인(성별, 학년, 지역, 학원수강기간, 수강과목수, 부학력, 모학력, 소득)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 넷째, 중학생들은 학교의 생활·인성지도와 학원의 생활·인성지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배경변인(성별, 학년, 지역, 학원수강기간, 수강과목수, 부학력, 모학력, 소득)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도시 학교로 강원도 원주시에 소재하는 2개 중학교에서 학원교육을 받고 있는 학생 253명을 표집하고, 농촌학교는 강원도 정선군에 소재하는 2개 중학교에서 학원교육을 받고 있는 학생 218명을 표집 하여 모두 474명이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는 김주희(2004)의 질문지를 토대로 하여 학교·학원 교육전반 내용, 교사에 대한 인식, 교과수업에 대한 인식, 생활·인성지도에 관한 내용으로 질문지가 구성되어져 있으며 총 36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항목에 대한 수준은 Likert 5점 척도를 사용하여 학교교육 및 학원교육에 관해 표현하도록 구성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WIN/PC 14.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학교·학원 교육에 대한 인식을 평균(M)과 표준편차(SD)를 산출하고 학생의 일반적인 특성인 성별, 학년, 거주 지역, 학원기간, 수강 과목 수, 부모의 일반적인 특성인 아버지학력, 어머니학력, 소득에 따른 인식차이를 t-검증과 F-검증에 따른 분석, 사후 평균차이 검증을 위해 Scheffe 방법을 사용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교육과 학원교육의 교육전반에 대한 인식비교 결과 학교교육(23.63)에 비하여 학원교육(24.34)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하위요인에서 과제에 대한 책임감이나 체벌허용정도는 학교가 학원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왔다. 교우 관계에서의 즐거움이 학교가 학원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왔다. 반면에 교사에 대한 친밀감과 출석에 대한 책임감, 학습정보의 도움정도와 배움의 즐거움은 학원에서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과제에 대한 책임감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고, 1학년 학생들이 2,3학년보다 높으며, 도시가 농촌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왔다, 학원수강기간이 3-5년 미만인 학생들이 1-3년 미만인 학생들보다 학교 과제에 대한 책임감을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왔다. 학교 출석에 대한 책임감은 농촌학생들이 도시 학생들보다, 수강과목이 1과목인 경우가 4과목 이상에 비해 강하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학교에서 교우관계의 즐거움은 농촌 학생들이 도시 학생들보다 높게 나타났고, 어머니의 학력이 대졸인 경우가 중졸에 비해 학교교사에 대한 친밀감과 학교 과제에 대한 책임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출석에 대한 책임감과 학생 체벌에 대해서는 소득이 하인 경우 상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한편 학원교사에 대한 친밀감은 학원수강기간이 길수록, 과목 수 3과목을 수강하는 학생들이 높았다. 학원과제에 대한 책임감은 1학년이 높았고, 학원에서의 체벌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았다. 학원수강기간이 길수록, 3과목일 경우 학원의 학습정보가 도움이 많이 되는 것으로 느끼고 있었다. 학원에서의 교우관계의 즐거움과 배움의 즐거움은 여학생이 높은 편이고 학원수강기간이 길수록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원교사에 대한 친밀감은 소득이 높을수록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교와 학원의 교사에 대한 인식비교 결과 학교교사(32.72)에 비해 학원교사(36.25)에 대하여 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학교에서 교사가 학생들과 친밀하다고 느끼고, 교사가 교과목에 대한 풍부한 지식을 갖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1학년 학생들이 2,3학년 학생들에 비해 학교교사가 이해하기 쉽게 가르친다고 나타났다. 성적에 대한 책임감은 3학년 학생들이 2학년 학생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학생에 대한 이해심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1학년학생들이 2학년 학생들보다 크다고 느끼며, 학교교사에 대한 존경심은 도시가 농촌보다 높았다. 학교교사에 대한 존경심은 어머니의 학력이 고졸과 대졸인 경우 중졸에 비해 높았다. 학원교사에 대한 인식은 수강과목이 3과목인 학생이 학생에 대한 친밀감과 애정을 많이 느끼고 있으며 학원교사가 이해하기 쉽게 가르친다고 하였다. 어머니의 학력이 고졸인 경우 중졸에 비해 학생에 대한 친밀감이 높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부모의 학력이 대졸인 경우 중졸이나 초졸에 비해 학원교사가 이해하기 쉽게 가르치는 것으로, 성적에 대한 책임감은 소득이 상인 경우가 하인 경우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학교와 학원의 교과수업에 대한 인식비교 결과 학원교과수업(33.92)에 대한 인식이 학교과수업(30.01)에 비하여 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학교교과수업에서의 개인차 고려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고, 1학년 학생들이 2,3학년 학생들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으며,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학교 수업활동에 흥미가 높고, 학교에서의 개별지도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고, 1학년 학생들이 3학년 학생들에 비해 높았으며, 도시가 농촌보다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평가를 통한 학업수준이해와 평가를 통한 장·단점 수정, 평가의 질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학년, 지역, 학원수강기간, 수강과목수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학원교과수업에서는 3과목을 수강하는 학생들이 4과목이상 수강하는 학생들보다 공부하는 양이 적당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3과목을 수강하는 학생들이 1과목이나 4과목이상 수강하는 학생들보다 학원의 과제가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학원수강기간이 5년 이상 된 학생들이 1년 미만인 학생들보다 학습교재 선정과 수업내용이 도움을 많이 주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개별지도 면에서 도시가 농촌보다, 4과목이상이 1과목보다 학원에서의 개별지도가 잘 이루어지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생활·인성 지도에 대한 비교 결과 학교(25.68), 학원(25.33)으로 학교의 평균이 조금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학교에서 폭력상황에서의 해결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고, 1학년 학생들이 2학년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도시가 농촌보다 높게 나타났다. 집단 따돌림의 해결은 도시가 농촌보다 높으며, 이성교제에 대한 고민과 가정문제에 대한 고민상담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친구갈등에 관한 상담은 남학생이, 1학년 학생들이, 도시가 농촌보다 높게 나타났다. 성적에 대한 고민상담은 도시지역의 학생들이 높았다. 학원에서의 생활인성지도는 기본 생활습관지도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고, 이성교제에 대한 고민 상담은 3과목 수강하는 학생들이, 가정문제에 대한 고민상담은 남학생들과 3과목을 수강하는 학생들이 높게 나타났다. 친구갈등에 대한 상담은 남학생과, 수강과목 3과목과 4과목 이상 수강하는 학생들이, 성적에 대한 고민상담은 학원수강기간이 5년 이상 된 학생들과, 3과목 수강하는 학생들이, 외모에 대한 고민상담은 3과목을 수강하는 학생들이, 진로상담은 수강과목이 3과목과 4과목이상인 경우 잘 이루어진다고 나타났다. 소득수준은 중인 경우 폭력상황에서의 해결과 집단 따돌림의 해결이 높게 나타났고, 가정문제에 대한 고민 상담과 친구갈등에 대한 상담, 성적에 대한 고민 상담, 진로상담 모두 소득이 중인 경우와 상인 경우가 높게 나타나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학원에서의 상담활동이 잘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특성화고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전공 관련 내재가치의 조절효과

        이유진 충북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75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among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nd to determine the moderating role of intrinsic value in relation to a major on this relationship. For this purpose, the 2nd and 3rd grade students of agriculture vocational high school in Chungcheongbuk-do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a study and participated in the survey. Data from 365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JAMOVI 1.6.23.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background variables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subjects to the study,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s among the main variables. Additionally,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a major realated intrinsic valu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academic self-efficacy, intrinsic value, and school adjustment. Second, the regression analysis verified that the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on school adjustment varies depending on the level of intrinsic value related to their majors. Specifically, the higher the academic self-efficacy when the intrinsic value related to the major perceived by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e greater the effect of higher school adjustment. On the other hand, when the level of intrinsic value related to the major was low, the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on highly recognizing school adjustment was not significant. These finding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major-related intrinsic value by confirming that the academic self-efficacy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effect on school adjustment ar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level of intrinsic value related to their majo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ed ways to increase the intrinsic value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related to their majors in order to amplify the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on their school adjustments. 본 연구는 학교생활적응에 특성화고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를 살펴보고,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를 전공 관련 내재가치가 유의하게 조절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충청북도에 소재한 농업계 특성화고 2학년 및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대상은 총 365명이고, 응답 자료는 JAMOVI 1.6.23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인 특성화고 학생들의 배경 변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적 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변인 간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전공 관련 내재가치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의 주요 변인인 학업적 자기효능감, 내재가치, 학교생활적응 간에 모두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회귀분석 결과 특성화고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가 전공 관련 내재가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구체적으로, 특성화고 학생들이 지각하는 전공 관련 내재가치가 높을 때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정적효과가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공 관련 내재가치의 수준이 낮을 때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특성화고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가 전공 관련 내재가치 수준에 따라 조절됨을 확인함으로써 전공 관련 내재가치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특성화고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적응을 높이는 효과를 증폭시키기 위해 특성화고 학생들의 전공 관련 내재가치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

      • 현실요법 상담이 초등학생의 사회성 및 학교적응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김종숙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 연구는 현실요법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사회성 및 학교적응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된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현실요법 상담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은 참여하지 않은 초등학생들에 비해 사회성이 유의하게 높아질 것이다. 가설 2. 현실요법 상담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은 참여하지 않은 초등학생들에 비해 학교적응력이 유의하게 높아질 것이다. 가설 3. 초등학생의 사회성과 학교적응력은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을 것이다.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횡성의 ㅎ초등학교 6학년 중 연구 참여를 희망하는 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사회성 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Greshman & Elliot(1990)이 개발한 SSRS 학생용 설문지를 문성원(1997)이 우리 실정에 맞게 적용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학교적응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임정순(1993)과 전호택(1993)의 검사지를 유윤희(1994)가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현실요법 상담 프로그램은 Sullo, L. A. and Sullo, R. A.(1990)의 'I am Learning to be happy‘를 우리 실정에 맞게 수정․ 번안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한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고 가설3을 검증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실요법 상담에 참여한 실험집단 초등학생이 통제집단의 초등학생에 비해 사회성의 하위요인 전체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둘째, 현실요법 상담에 참여한 실험집단 초등학생이 통제집단 초등학생에 비해 학교적응력이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현실요법 상담을 받은 실험집단 초등학생의 사회성과 학교적응력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따라서 현실요법 상담은 초등학생들의 사회성과 학교적응력을 높이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검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reality-therapy group counseling program on the social skills and school adjustment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hypothesis set up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Hypothesis 1> After applying the Group Counselling program based on Reality Therapy, there will be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ocial skill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ose of the controlled group. <Hypothesis 2> After applying the Group Counselling program based on Reality Therapy, there will be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chool adjustment abi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ose of the controlled group. <Hypothesis 3> Social skills and school adjustment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ll have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0 sixth grade students at H elementary school in Hoengseong who hop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Social skills Rating System(SSRS)-for students which Moon Seongwon(1996) translated, the corrected work of Greshman & Elliot(1990)'s Social skills Rating System as the method of social skills and the school adjustment ability scale developed by Im Jeongsun(1993) and Jeon Hotaek(1993) and adapted by You Younhee(1994). I adapted this program based on 'I am Learning to be happy- which was translated and reformed in korea - created by Sullo, L. A. and Sullo, R. A.(1990). It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10 times ; twice a week and 60 minutes at a time. The controlled group was given no treatment except a series of tests such as pre-post test. ANCOVA was applied to prove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hypothesis 3.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or the whole sub-factors of social skill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reality therapy group counseling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led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was exposed to the reality therapy group counselin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hool adjustment ability post test than the controlled group that wasn't. Third, there was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between social skills and school adjustment abi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reality therapy counseling. Therefore, it verified that reality therapy counseling had positive effects on improvement of social skills and school adjustment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강원도 중등학교의 보건실 상담실태 및 상담요구 분석

        최미랑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7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ctual state and need of the counseling which a secondary school health teacher who works in Kangwon Province recognizes, and to collect the basic information needed to activate the counseling activities in the school health care room. In order to achieve such purpose, I researched with a questionnaire which includes 27 questions for all the 105 high school and junior high school health teachers in 16 Cities and Guns in Kangwon Province(Chunchon, Wonju, Gangnung, Sokcho, Yangyang, Donghae, Taebaek, Samcheok, Hongchon. Hoengseong, Yongwol, Pyeongchang, Jeongson, Cheolwon, Hwacheon, Yanggu, Inje, Goseong). I classified the researched data according to ages, educational experience, school grades, regions, and the number of classes, got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each question, and analyzed by t verification, F verification, χ2 verif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ounseling of secondary school health teachers was highly recognized. The necessity of the counseling activity in rural school health care room was more highly recognized than that in urban school health care room(P<.05). Schools which had more than 10 classes and less than 21 showed more interests in the counseling activities than the schools which had less than 11 classes and the ones which had more than 20 did(P<.05). The effectiveness of the counseling in the school health care room was well recognized. Additionally, the rural schools, and the schools which have more than 11 classes and less than 21 classes and the ones which had less than 11 classes showed more satisfaction of the counseling activities than the urban schools and the schools which had more than 20 classes did. However, the health teachers' self-satisfaction of their counseling activity was not great, compared to the degree of the necessity, interest and effectiveness of the counseling activity. Also, the major worry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school health teachers perceive was problem behavior for junior high school health teachers, on the other hands, the studying matters for high school health teachers. Secon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on the actual state of secondary school health care room, the average number of the students visiting health care room per day was 31-40(33.3%), and as the health teacher was younger or has short career, or the school was in and urban area, the students visited more.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students' participation in counseling in the school health care room is usual, and the majority of the health teachers(60.9%) counseled more than twice a week. The most popular counsel topic was health problem, the second most one was psychological, mental problem, and the third most one was problem behavior. About the time for counseling, most students(72.4%) visited the school health care room when they had free time, and many students(45.7%) participated in counseling on their own because they wanted. Additionally, the health teachers in their 50s showed more difficulties in guiding students' problems than the one in their 30s or 40s did(p<.05), and the high school teachers showed more difficulties compared to the junior high school teachers(p<.05). The represented factor which obstructed the health teachers' counseling was excessive work and lack of time(50.5%). The health teachers had training course experience about counseling. In most of the case, the channel of the acquirement of counseling techniques was through their teaching experience(37.1%), and the teachers who had longer educational experience and who were older were more likely to acquire the counseling techniques through the teaching experience. The research showed that more than half of the teachers(69.6%) had counselled with the parents about their children's problems 2-3 times a year. The teachers asked help from outside organizations to deal with the problems only when it was necessary(62.9%). Thir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on the secondary school health teachers' expectation and needs about counseling, the teachers showed a great inclination to get training courses about counseling. Most of them wished to participate in one year professional counseling training courses(33.3%), and it was mainly an opinion of the health teachers in their 30s. The teachers preferred to learn the counseling techniques the most among other educational subjects(50.5%), and they considered various training courses(28.6%) and various experience(25.7%) the most important factors which are needed to have a counseling with students. Most teachers had an inclination to get help from outside organizations, and to get education about counseling psychological, mental problems(52.4%).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decrease in the burden about health teachers' work(such as miscellaneous business) was ranked first as a way to facilitate the counseling in school health care room, the enough counseling training courses and education about the counseling for health teachers was ranked second, and the system in which students can ask help from experts in the field or organizations for special counseling so that they can get appropriate help was ranked the third. 본 연구는 강원도지역에 근무하는 중등학교 보건교사가 인식하는 보건실 상담실태와 상담요구를 분석하여 보건실에서의 상담활동을 활성화하는데 기초자료를 수집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강원도 16개 시·군(춘천, 원주, 강릉, 속초, 양양, 동해, 태백, 삼척, 홍천, 횡성, 영월, 평창, 정선, 철원, 화천, 양구, 인제, 고성)에 소재하는 전체 중·고등학교 보건교사 105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27문항을 만들어 조사하였다. 조사된 자료는 연령별, 경력별, 학교급별, 지역별, 학급수별로 분류하여 각 문항별로 빈도도수와 백분율을 구하여 t검증, F검증, χ2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학교 보건교사의 상담에 대한 인식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실의 상담활동에 대한 필요성은 농촌이 도시에 비해 더 많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P<.05), 상담활동에 대한 관심은 학급수가 11-20학급 이하가 10학급 이하, 21학급 이상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P<.05), 보건실에서의 상담활동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상담활동의 만족도는 농촌이 도시에 비해 그리고 10학급 이하와 11-20학급 이하가 21학급이상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P<.001). 그러나 상담활동의 필요성, 관심도, 효과에 비해 상담활동에 대한 보건교사 스스로의 만족도는 높지 않았다. 또한 보건교사가 인식하는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가장 많은 고민은 중학교 보건교사는 문제행동을, 고등학교 보건교사는 공부·학업문제를 가장 많이 고민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중등학교 보건실의 상담 실태를 조사한 결과 보건실 하루 평균 이용 학생은 31-40명(33.3%)으로 연령과 경력이 낮을수록 도시지역일수록 보건실을 이용하는 학생들이 더 많았다. 보건실 상담에 대한 학생의 참여도는 보통정도로 상담횟수는 과반수이상(60.9%)의 보건교사가 주 2회 이상은 상담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담의 내용 1순위는 건강문제를, 2순위는 심리·정신적인 문제를, 3순위는 문제행동으로 나타났고 상담이용 시간대는 시간이 나는 대로(72.4%)가 가장 많았고, 학생들이 스스로 원해서 상담하는 경우(45.7%)가 많았으며, 학생의 문제를 지도하기 어려웠던 경우는 50대가 30대, 40대에 비해(p<.05), 고등학교가 중학교에 비해(p<.05) 지도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교사의 상담활동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과다한 업무로 상담할 시간이 부족(50.5%)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교사의 상담과 관련된 연수경험은 있었으나 상담기술의 습득경로는 교직경험을 통하여(37.1%) 습득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는 연령과 경력이 많을수록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1년간 학생문제로 보호자와 상의한 경험은 과반수이상(69.6%)이 2-3회 이상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담활동 시 외부기관과의 연계정도는 꼭 필요한 경우만 이루어지는(62.9%)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등학교 보건교사의 상담에 대한 기대와 요구에 대한 조사 결과 상담관련 연수를 받고 싶은 의향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상담연수의 참여는 1년 과정 전문상담 연수(33.3%)를 원하였으며 특히 30대 보건교사에게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상담 받고 싶은 교육내용으로 상담기법(50.5%)이 높게 나타났으며 학생 상담시 갖추어야 할 가장 중요한 소양영역으로 다양한 연수(28.6%), 다양한 경험(25.7%)을 해야 한다고 보았다. 외부기관의 도움을 받고 싶은 의향은 대체적으로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도움 받고 싶은 내용으로는 심리·정신적인 문제(52.4%)가 가장 많았다. 보건실 상담이 활성화되려면 1순위로 보건교사의 업무에 대한 부담(잡무 등)이 감소되어야 하고 2순위로 보건교사에 대한 충분한 상담 연수와 교육이 필요하다로 하였고 3순위로 학생들이 적절한 도움을 받도록 전문가 또는 전문기관에 의뢰할 수 있는 체계가 갖추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 초등학교 상담활동의 실태 및 학교 상담에 대한 교사의 인식

        이팔헌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의 상담활동의 실태 및 학교상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분석을 통해 학교상담에 대한 문제점을 진단하고, 학교상담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 초등학교 상담활동 실태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나. 초등학교 학교상담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다. 초등학교 학교상담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 52개교에 근무하고 있는 400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지는 김세희(2001), 이학수(2001), 정창교(2003)의 설문지를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하고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초등학교 교사 개인에 대한 인적사항 3문항, 초등학교 상담활동의 실태에 대한 교사의 인식 17문항, 학교상담에 대한 교사의 인식 11문항, 학교상담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교사의 인식 6문항 등 총 37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자료 분석은 성실히 응답한 359부의 설문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SPSS WIN 12.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고, 백분율로 산출하여 전체적인 경향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상담활동 실태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서 대부분의 교사들은 학생 및 학부모와 상담을 하고 있으며, 교사의 관찰과 판단에 따라 상담이 이루어지고 있고, 상담유형은 개별상담의 방식을 주로 사용했고, 방과 후 학급 교실에서 10~20분 이내의 시간을 활용하여 상담활동을 전개하고 있었다. 상담내용은 교우문제가 대부분이었고, 교사들은 상담결과에 대해 만족하고 있고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상담에 대한 인식 교육을 실시하여 보다 실질적이고 효율적인 학교상담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초등학교 학교상담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서 교사들에게 상담기법에 대한 인지정도를 높게 할 필요가 있고, 가장 요구되는 자질로는 이해와 배려심을 들었으며, 모든 교사들이 학생 생활지도에서 상담활동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대부분의 교사들은 상담자의 역할을 고민 해결자로 인식하고 있었고, 학생이나 학부모와 상담할 때 상담실이 필요하며, 학교상담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장의 교사에 대한 상담역할 기대도 적극적인 편이며, 상담연수 참여 의향이 높은 것을 볼 때, 상담연수를 개설하여 상담에 대한 전문적인 자질과 소양을 기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셋째, 초등학교 학교상담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서 대부분 교사들은 초등학교에도 전용상담실의 설치가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학교 상담활동의 주요 저해 요인으로는 수업시수 및 업무과다를 들었다. 교사들은 희망하는 교사에 한해 상담연수를 받는 것을 통해 상담자를 확보 하는 방안을 제시하였고, 상담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개선점으로는 교사들의 업무 감축 및 행정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며, 바람직한 학교상담의 방향으로는 초등학교에 전문 상담교사를 배치하고 행?재정적으로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본다.

      • 고등학교 유형별 학생들의 특성에 따른 마음챙김 정도와 학교상담기대의 관계

        박소영 충북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유형별 학생들의 특성에 따라 마음챙김과 학교상담기대가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살펴보고, 더 나아가 고등학생들의 마음챙김 정도에 따른 학교상담기대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고등학교 유형별로 학생들의 학교상담 경험 유무 및 자발성 여부는 차이가 있을 것인가? 2) 고등학교 유형별로 학생들의 특성(성별, 학년, 상담경험 유무, 상담자발성 여부)에 따라 마음챙김 정도는 차이가 있을 것인가? 3) 고등학교 유형별로 학생들의 특성(성별, 학년, 상담경험 유무, 상담자발성 여부)에 따라 학교상담기대는 차이가 있을 것인가? 4) 고등학교 유형별로 학생들의 마음챙김과 학교상담기대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 C시의 고등학생 492명이 참여하였으며, 이들의 마음챙김과 학교상담기대를 측정하기 위해 질문지가 실시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사용하여 분석되었고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학교유형 간 학교상담 경험 유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일반고등학교의 경우 상담에 자발적인 학생이 특성화고등학교의 경우 비자발적인 학생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생의 학교유형 간 마음챙김 정도에는 하위 요인(주의집중, 비판단적 수용, 현재자각, 탈중심적 주의) 중에서 ‘현재자각’ 요인에서만 일반고등학교 학생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일반고등학교의 경우 마음챙김에 남·여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특성화고등학교의 경우 ‘탈중심적 주의’ 요인에서만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학년에 있어서는 두 학교유형 모두에게서 마음챙김이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담경험 유무에 있어서는 두 학교유형 모두에게서 상담경험이 없는 학생이 상담경험이 있는 학생보다 마음챙김의 정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상담자발성 여부에 있어서는 두 학교유형 모두에게서 마음챙김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등학교 유형 간 학생들의 학교상담기대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있어 두 학교유형 모두에게서 학교상담기대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고등학교의 경우 9개의 하위 요인(수용성, 직면성, 지시성, 공감성, 진실성, 호감성, 전문성, 신뢰성, 구체성)에서 1학년이 3학년보다 기대감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3개 하위 요인(직면성, 지시성, 구체성)에서는 2학년도 3학년보다 기대감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반면 특성화고등학교의 경우 학년에 따른 학교상담기대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담경험 유무와 자발성 여부에 있어서는 두 학교유형 모두에게서 학교상담기대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고등학교 유형별로 마음챙김과 학교상담기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일반고등학교의 경우 마음챙김 총점과 학교상담기대 총점 간에 유의한 상관이 있게 나타났다. 반면 특성화고등학교의 경우 마음챙김 총점과 학교상담기대 총점 간에 유의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감정치유를 위한 공감소통 집단상담이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의 의사소통 및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효과

        박태진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 연구에서는 강원학생교육원 Wee스쿨에서 제공하는 공감소통 집단상담이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의 의사소통능력 및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강원도 춘천시 강원학생교육원 Wee스쿨에 위탁된 중․고 남학생 15명을 연구 대상자로 설정하였으며, 위탁된 학생들은 강원도 내 중․고등학교에서 심리적,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의 의사소통능력 및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주요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의사소통능력의 향상 효과를 검증한 결과, 강원학생교육원 Wee스쿨의 집단상담은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조절 능력의 향상 효과를 검증한 결과, 강원학생교육원 Wee스쿨의 집단상담은 정서조절능력 향상에 일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긍정적 정서 및 부정적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프로그램을 통해 긍정적(PANAS-PA) 정서의 향상 보다는 부정적(PANAS-NA) 정서의 감소에 효과적이었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Wee스쿨에서 제공하는 공감소통 집단상담이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의 의사소통능력, 정서조절능력 및 긍정적 정서 및 부정적 정서(PANAS) 조절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현재 강원학생교육원의 Wee스쿨은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의 심리 관련 기능의 향상을 목적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본 프로그램의 효과성은 잠정적, 임상적으로만 확인이 되어 왔으며, 그 효과에 대한 경험적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수행한 실증분석을 통해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의 의사소통능력 및 정서조절능력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검증한 것은 본 연구의 의의라고 평가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verify the effects of group counseling for sympathy and communication provided by Wee School of Kangwon Students Educational Institute on communica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of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To this end, this study selected 15 middle․high school boy students consigned to the Wee School of Kangwon Students Educational Institute in Chuncheon-si, Gangwon-do for research subjects, and the students were struggling in school life in middle․high school in Gangwon-do by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ccording to the result of verifying the effects on communica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of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main result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verifying the improvement effects of communication ability, it was identified that the group counseling of Wee School of Kangwon Students Educational Institute has improvement effect on communication ability. Second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verifying the improvement effects of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he group counseling of Wee School of Kangwon Students Educational Institute had some effects on improving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hirdly,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effects on positive emotion and negative emotion, the program was more effective on reducing negative(PANAS-NA) emotion than improving positive(PANAS-PA) emotion. This study identified from the results that group counseling for sympathy and communication provided by Wee School has positive effects on communication ability,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nd regulating positive emotion and negative emotion(PANAS) of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Wee School of Kangwon Students Educational Institute has developed various program and is applying them today to improve psychological functions of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However,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has only been verified tentatively and clinically, and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s has not been made. Therefore, verifying the positive effects on communication ability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of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can be considered a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