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립유치원 유아특수교사의 특수교육대상유아 놀이기록 경험

        서지혜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1791

        본 연구는 공립유치원에서 근무하는 유아특수교사들이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실시하고 있는 놀이기록에 대한 인식, 그 과정에서 겪게 되는 경험과 어려움, 지원 요구를 탐색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재 공립유치원에서 재직 중인 유아특수교사 5명을 목적 표집하였고, 반 구조화된 면담지를 사용하여 개별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을 통해 나온 전사 자료는 연속적 비교법에 따라 범주화하여 총 5개의 상위범주와 12개의 하위 범주, 35개의 개념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특수교사들은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적용으로 새롭게 시작된 놀이기록에 대해 두려움과 막막함을 느꼈지만, 실행 과정에서 긍정적인 인식의 변화를 겪었으며 그 속에서 다양한 배움을 발견하였다. 둘째, 유아특수교사들은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놀이를 기록하고 있었으며, 혼자서 놀이를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교육공동체와 놀이 당사자인 유아가 함께 놀이를 기록하는 다양한 경험을 하고 있었다. 더불어 질 높은 놀이기록을 실행하기 위해 시행착오를 겪으며 여러 노력을 하고 있었다. 셋째, 유아특수교사들은 놀이기록을 통해 가정, 교사, 유아와 소통하고 있었으며, 누적된 기록을 유아 평가와 연계하여 활용하고 있었다. 넷째, 유아특수교사들은 놀이기록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끊임없는 노력을 하였으나 다양한 이유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다섯째, 유아특수교사들은 내실있는 놀이기록을 실행하기 위하여 행·재정적 지원과 놀이기록 자료의 개발과 보급, 교사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지원 등을 요구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공립유치원의 유아특수교사들이 놀이기록에 대한 인식과 놀이기록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겪는 경험과 어려움, 요구를 알아봄으로써 유아특수교사의 놀이기록 실행 및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 움직임 놀이가 일반유아의 장애수용태도와 발달지체유아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김민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1775

        통합교육이 보편화되면서 통합교육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해서는 구체적인 중재프로그램이 필요하며 무엇보다 일반유아를 대상으로 긍정적인 장애이해태도를 가지도록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 유아기에 형성된 장애이해태도는 성인기에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줌으로 유아기부터 장애에 대한 부정적 편견이 형성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일반유아들은 발달지체유아를 대할 때 도움을 주어야할 대상으로는 생각하지만, 함께 놀이하는 대상으로 생각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발달지체유아는 자유선택놀이시간에 친구로부터 소외되고 혼자놀이를 자주하게 된다. 이것은 발달지체유아는 통합학급에서 소외되고 위축될 수 있고 또래와 즐겁게 놀이하는 경험하지 못함으로서 자기효능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가지게 된다. 유아기에 형성된 자기효능감은 성장하면서 여러 활동과 관련하여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기 때문에 구체적이고 적합한 중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움직임 놀이’는 주로 대근육을 사용하는 큰 동작 놀이활동으로서, 체육관이나 넓은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심리운동 놀이를 의미한다. 이러한 신체움직임을 바탕으로 자아능력, 물질능력, 사회적 능력을 지원하는 놀이를 말한다(이숙정, 2013). 소그룹 안에서 또래와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움직임 놀이는 자신과 타인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므로 장애이해교육과 자기효능감 중재에 유용하다. 본 연구는 심리운동을 토대로 한 움직임 놀이가 통합학급 일반유아들의 장애수용태도와 발달지체유아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경기도 포천에 있는 G유치원 통합학급에 있는 만 5세 일반유아 10명과 발달지체유아 1명을 대상으로 움직임 놀이를 실시하였다. 움직임 놀이 중재는 6주간 주 2-3회 40분 동안 12회기를 적용하였다. 일반유아의 장애수용태도와 발달지체유아의 자기효능감에 대하여 사전·사후 변화를 검사도구를 활용하여 검증하고 유아들의 의미있는 행동을 일화기록하여 분석하였다. 중재방법으로는 움직임 놀이를 적용하였고 장애유아 통합교육 지도서를 참고로 하여 발달지체유아에게 적합하게 교수수정하였다. 연구결과는 윌콕슨(Wilcoxon) 검증 통계처리로 사전·사후 점수를 비교하였으며, 일화기록분석을 함께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움직임 놀이가 통합학급 일반유아들의 장애수용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또래 친구를 놀이대상으로 인식하는 자연스러운 교우관계를 형성하도록 한다. 둘째, 움직임 놀이가 통합학급에 배치된 발달지체유아의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자신감을 가지고 또래 일반유아들과 놀이하도록 한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움직임 놀이가 유치원 교육현장에 적용함에 있어서 의의와 시사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운동을 토대로 한 움직임 놀이를 통합학급 유아를 대상으로 장애이해수업에 활용할 수 있다. 둘째, 움직임 놀이는 발달지체유아의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줌으로 유치원교육과정 안에서 적용되어야 한다. 셋째, 교육현장에서 움직임 놀이와 같은 소그룹 형태로 다양한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합한 교육환경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연구대상의 수가 많지 않고 단기간 움직임 놀이 중재를 적용하였으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연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통합학급에 있는 유아집단을 표집하여 장기간 중재를 적용하는 연구가 요구된다.

      •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컴퓨터 언어중재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발화능력에 미치는 효과

        성말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1759

        1.결론 본 연구는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겸퓨터 언어 중재 프로그램이 발달지체 유 아의 발화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이를 위하여 발 달지체 유아의 언어발달특성에 따른 컴퓨터 중재 프로그램이 발화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의 결과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컴퓨터 언어 중재 프로그램은 발달지체 유아의 발화능 력을 향상시켰다.발화 능력 수준에 있어서 각 회기마다 차이는 있으나 긍적 인 변화를 보였으며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컴퓨터 중재 프로그램이 그림,단어 동영상,음성등의 시청각적 자극이 발달지체유아의 발화능력 수준 향상에 효 과적이었다. 2.제언 본 연구와 관련된 문헌,이론적 배경 및 관련연구들 그리고 연구결과 등을 토대로 하여 보다 더 발전된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본 연구의 결과가 한 명이라는 제한된 연구대상을 상대로 짧은 연구 기간 동안 실시되었으므로 대상 유아수와 기간을 더 늘려서 장기간 동안의 효 과를 측정해 볼 필요가 있다. 둘째,본 연구의 결과에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중재를 하는 동안 유아가 집 중력이 많이 향상되었고 그리고 글자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면서 유치원수업 중에 글자와 그림을 매치하는 활동을 하고 있다는 담임교사의 말을 빌어 읽기 지도와 쓰기지도에 대한 효과도 알아볼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ntends to select a language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whole language approach and verify its effect in order to support the utterance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who are considerably slow at acquiring language competence and have short concentration in general. The concrete goal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ffect of a computer language intervention program using multimedia on the speaking abilit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The study method is single-subject research design with one child, and the study design is AB design. PEP-R was used to measure language ability in the pretest. As an experimental tool, a CD-ROM composed of the whole language education program called “Kiki that Rides on a Banana” was operated in the computer to measure the utterance rate and score with its word cards. As a result, the subject maintained the average utterance rate of 36.6% for six basic sessions, and the average utterance rate improved up to 75% during the intervening period of total 20 sessions. However, the reason why the average utterance rates were decreased in the 18th and 24th sessions was that they included some difficult words for children to enunciate. Spending a month of a pause after the completion of the intervention, the subject maintained the average utterance rate of 73.3% or more. The result of this article shows that the computer language intervention program using multimedia can be one of the factors to improve the speaking abilit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The audio-visual stimuli including multimedia pictures, word movies, and voice we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speaking abilit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However, this study result is hard to be generalized because its study subject was limited to only one child for a short period of time.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for follow-up studies to increase the number of subject children and the period of time in an effort to measure the effect for a long period.

      • 동화 듣기 후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발달지체유아의 어휘 및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서미자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1759

        본 연구는 동화 듣기 후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발달지체 유아의 어휘 및 언어 표현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B도시의 특수기관에 있으면서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발달지체 유아 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이들을 선별하기 위하여 K-WPPSI 검사, 사회성숙도 검사를 실시하여 선정하였다. 발달지체 유아의 어휘력을 검사하기 위하여 동화 8권에 나오는 어휘 50개를 선별하여 선정하였다. 어휘별 내용을 보면 어휘와 언어표현으로 구분하였으며 명사 31문항, 동사 5문항, 부사 8문항, 형용사 4문항, 감탄사 2문항으로 구성 되었다. 유아의 어휘 및 언어표현 검사를 위해 연구자가 제작한 어휘 카드를 사용하였다. 이야기 이해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임영심(1994)의 연구에서 사용한 Morrow(1991)의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홍여찬(2003)재인용. 본 연구는 사전 검사를 거쳐 6주 동안 매주 4회 총 24회 30분간 훈련을 하여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만4세, 5세 발달지체 유아 3명을 대상으로 동화를 들려주고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어휘와 언어표현 및 이야기 이해도 변화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유아어휘, 언어표현 및 이야기 이해도 변화에서 세 명의 유아가 향상을 가져 왔으며 A유아가 가장 많은 변화를 가져왔고 다음으로 B유아, C유아 순으로 변화를 보였다. A유아의 어휘, 언어표현 및 이야기 이해도의 변화를 살펴보면 동화를 듣고 이야기 꾸미기 활동을 하기 전에는 책에 흥미도 많지 않고 질문에 대답을 구체적으로 하기보다는 “몰라요”라는 말로 자주 했으나 활동 후에는 동화책을 좋아하고 스스로 책을 가까이 하며 읽어달라고 하고 동화 속에 나오는 그림을 보고 자신의 생각을 언어로 표현하고, 동작으로 표현하며 크레파스로 책속에 나오는 인물이나 동물 등 그리고 싶은 것들을 그림으로 표현하려고 하였다. 질문을 해도 좀 더 적극적으로 대답하려는 태도를 볼 수 있었다. 이야기 꾸미기 활동을 통해 어휘, 언어 표현력 변화에서 세 유아 중 가장 많은 효과를 볼 수 있었다. B유아의 어휘, 언어표현 및 이야기이해도의 변화를 살펴보면 동화 듣기 후 이야기 꾸미기 활동을 하기 전에는 다른 유아들과 활발히 지내기는 하지만 의사소통이 어려워 다툼이 많았다. 스스로의 생각과 고집으로 이끌어 가려는 것들이 대부분이었다. 활동 후에는 그림으로 표현하여 동화 속에 나온 ‘악어’, ‘새’를 말하며 동작표현을 아주 좋아했다. 예를 들면 ‘빙글빙글’,이라는 말과 몸으로 돌며 아주 잘 하였다. 그렇지만 언어로 표현 하는 것은 조금 발달을 보였다. 이야기 이해도의 변화는 아주 미약하게 발달 되었다. 계속적인 반복활동으로 이야기 꾸미기를 하면 긍정적인 반응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C유아의 어휘, 언어표현 및 이야기 이해도의 변화를 살펴보면 동화 듣고 이야기 꾸미기 활동을 하기 전에는 수줍음이 많고 낯가림이 심하여 타인과 어울리는데 시간이 필요하였다. 연구 활동을 하기 전에 연구자와의 만남에서도 마찬가지였지만 동화 듣기 후 이야기를 꾸미는 활동을 할수록 친숙함이 생기면서 명랑해지고 질문에 자신이 알고 있으면 대답도 하였다. 특히 얼굴을 당기며 ‘쭈욱쭈욱’ 하는 표현을 아주 좋아했다. 유아의 어휘 와 언어표현 부분에서 조금 높은 향상을 보였고 이야기 이해도 부분에서도 사전검사에서는 잘 이해하지 못하였는데 사후검사에서는 빨간 부채와 하얀 부채의 이름을 말하며 이해도의 향상을 조금이나마 보였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볼 때 A, B, C 유아가 어휘 및 언어표현에서 뚜렷한 향상을 보여주었다. 특히 B유아 C유아는 동사 표현의 몸동작 표현을 좋아했고 언어와 함께 시범을 보이면서 활발하게 표현을 하였다. A유아는 모든 부분에서 많이 향상이 되었고 동화책에 관심도가 현저히 높아졌다. B유아와 C유아는 어휘이해도 변화에서는 효과가 미약하였다. 특히 추론부분에서는 응답이 미흡하였다. 이는 B, C유아들이 어휘이해 과제가 조금 그들의 발달 보다 어려웠을 수도 있고 아직도 더 많은 활동이 필요하다고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정영실(2001)의 연구에서 그림책 듣고 다시 말하기 활동이 언어 능력향상에 효과가 있음에서도 일치 한다고 할 수 있으며 김순자(2000) 이야기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실험집단이 크게 향상된 결과와 일치 하였다. 유아들이 이야기를 꾸며보고, 인물을 선정하여 그들 간의 의미 있는 관계를 찾아보거나 변화시켜 봄으로써, 어휘력, 이야기, 감각, 쓰기와 짓기, 모국어에 대한 이해력 등과 같은 언어능력이 발달할 수 있다고 시사한 강문희 와 이혜상(1997)의 견해와도 맥을 같이하고 있다. 또한 윤혜진(1993)은 이야기 꾸미기 활동 방법에 있어 교사의 질문이 포함된 이야기 꾸미기를 한 집단이 유아의 언어와 창의성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여 주었으며 신금호(1999)는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뿐 아니라 언어표현력을 신장시킨다고 하였다. 이미향(2002) 동화 듣고 이야기해보기 활동이 유아의 말하기 태도와 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도 동화 듣기 후 이야기해 보기 활동이 유아의 말하기 능력과 태도가 향상되었다는 것과 일치를 보여주며 홍여찬(2003) 동화 듣고 다시 말하기 활동이 발달지체 유아의 어휘력 및 이야기 이해도에 미친 효과에서도 향상되었음을 시사해주어 이 연구와 일치된다. 그러나 발달지체 유아들의 발달에 따라 다양하게 연구주제가 정해지어 연구를 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느껴진다. 의사소통 문제가 있는 발달지체 유아에게는 본 연구 주제가 적절하지 못하거나 유아의 장애정도에 따라 그 결과를 달리 나타날 수 있음을 의미하기에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후속 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3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실시하였기에 일반화 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 보다 다양한 연구대상을 늘려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6주의 실험기간 동안 이루어진 것으로 연구기간이 너무 짧기 때문에 장기간 실험기간을 통해 이야기 해보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과 언어이해의 향상을 검증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 대상의 발달 장애정도를 고려하여 비교 연구해 보아야 할 것이며, 언어 연령이 같은 일반 유아와 비교 연구해 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중심으로 한 결론은, 발달지체 유아들이 동화듣기 후 이야기꾸미기 활동이 언어적으로 표현하는 기회를 제시하는 중재도구가 될 수 있다. 또한 적절한 어휘를 선택지도 할 경우, 발달지체 유아들도 다양한 언어표현을 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발달 지체유아들의 어휘와 언어표현 및 이야기 이해도는 동화듣기 훈련과 스스로 이야기 꾸미기 활동에 따라 향상 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effects of the story making activity after listening to fairy-tales on the vocabulary and language expression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The selected subjects were three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who were four or five years old and goingto the nursery in 'B' city. The screening tools of subjects were K-WPPSI and Social maturity scale. Vocabulary assessment of the subjects was performed by fifty proper vocabulary for this study in eight fairy-tales. This study was conducted intervention exercise toget 30 minutes, 4 times every week during six weeks after basicvocabulary count of pre-test and then post-test in the same way like pre-test. The evaluating items were vocabulary change, language expression change, and story comprehension change.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 In children vocabulary change child A increased 56%, child B 42% and child C 38%.In language expression change child A increased 62%, child B42% and child C 32%.In story comprehension change all the children increased 19%. All the children improved significantly vocabulary and language expression and showed poor improvement of story comprehension. Child A increased interest in fairy-tales. Conclusively the story making activity after listening to fairy-tales could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tool to develop vocabulary and language expression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Also teaching proper vocabulary to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produce various language expression.Therefore vocabulary, language expression and story comprehension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can be improved by training for story making activity after listening to fairy-tales.

      • 통합환경에서의 도우미 역할부여가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박현주 대구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51743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helper roles on the social interaction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integrated environments. The first research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find out if there is any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ir peers in social interactions for helper roles. The second research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f the improved social interactions through helper roles would be maintained and/or generalized to non-classroom settings. The subjects are three male children, ranged from four to six years of age. Intervention was conducted with a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participants. Selected roles for this study are for the participants to ring the bell of the school to inform others that the class is over, to provide others in the classrooms with snacks, and to hand out the materials necessary for the task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elper roles showed be increased social interaction on between the three boys and their peers with non-disabilities. Second, the improvement of social interaction was generalized to non-classroom settings, and maintained four-weeks after the procedure.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conferring classroom helper roles can be a useful and feasible intervention for enhancing social interaction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peer acceptance is warranted. Help roles can be effective alternatives to the existing problems with regards to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of intervention of social interactions, and assumption of time and effort of teacher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other words, natural social interactions between children can be maintained and generalized without additional efforts of teacher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since help roles do not require, due to the nature of intervention, instructions of teacher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or prompt and reinforcement which are all performed in classroom settings. Therefore, the findings of the study will provide current teacher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ith easy, practical, and effective intervention to improve social interactions between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peers.

      • 사회극놀이가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기술향상에 미치는 효과

        서경신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1743

        The abilit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who are able to adequately interact with peers, indicates the degree that they can be accepted to a social group, and it demonstrates their potential for social integration when they grow up as being adults. However, the social skills of many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have not been smoothly realized with peers due to a defect in actual social skills; thus, they need an appropriate intervention program. In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issue of social skills with peers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the study performed small group social drama play as an intervention program for helping these children improve social skills. This study looked into the effect of small group social drama play on the cooperation, self-assertion, and self-controlling behavior skills, which are the sub-areas of social skill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For this, the study selected 2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in preschool exclusively in charge of G disability located in B District, Daegu, and 1 peer child, as research subjects through a pre-observation and an interview with a homeroom teacher, and had them participate in small group social drama play. In order to discover the society index of children, the study conducted a social maturity test and a developmental test of Portage before the research. For the observation of social skills, the study was based on observation criteria partly excerpted from the sub-area of the social skills area in the social skills rating system by Gresham and Elliott (1990), adapted and modified by Kim Hyang Ji (1996), designated behaviors the researcher intended to observe by classifying them as 3 observation items of cooperation, 2 observation items of self-assertion, and 4 observation items of self-control, and modified and complemented them partly suited to this research. The study used the ABAB reversal design, and the small group social drama play activity lasted for 6 weeks. The activity was performed 3~4 times a week, totaling 21 sessions. During the intervention period through social drama play, the study observed the occurrence rate of social skills, analyzed them by session, and graphed them. As a result, the occurrence rate of cooperative skills, self-assertion skills, and self-controlling skills, which are sub-areas of social skill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has increased. When summarizing the above results, the intervention of small group social drama play may be effective for enhancing social skill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nd of peers. Therefore, concerning the utilization of active social drama play by teachers, it would be necessary to seek methods to utilize the play as an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 for improving the social skill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during activities with peers.

      • 촉각훈련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상동행동에 미치는 효과

        이미경 대구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5172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raining program for tactile sensation on the change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stereotype behaviors. The subjects were two five-year-old boy and girl who were autistic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The training program for tactile sensation was applied among sense integration activities by learning materials of early treatment for autistic children ( Kang Ui Hong, Bo In Chung and Sang Bok Lee, 1998). As a method, single subject AB design was executed in the periods of foundation, arbitration and maintenance for 38 times and visual analysis was used by observing and recording the frequency of stereotype behaviors.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training program for tactile sens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had an effect on the decrease of frequency of stereotype behaviors regarding behaviors. Second, the training program for tactile sens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had an effect on the decrease of frequency of stereotype behaviors regarding language. Third, the training program for tactile sensation for autistic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had a greater effect on the decrease of frequency of stereotype behaviors regarding behaviors than stereotype behaviors regarding language. The suggestions as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ge distribution of the subjects and place in this study was confined to generalization. Therefore, further study of verification on the effect of various age groups and places is needed. Second, further study of the level of stress that stereotype behaviors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has on the families and the level of stress after the arbitration of training program for tactile sensation is needed actively.

      • 유아특수교육전공 일반유치원교사의 통합학급 운영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특수교육대학원 석사과정생의 경험을 중심으로

        이현숙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5471

        본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로 통합학급 경험이 있는 일반유치원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적용 및 요구가 유아특수교육전공 석사과정을 통하여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그들의 목소리를 통해 생생하게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통합교육 경력 5년 이상인 일반유아교사로 유아특수교육전공 석사과정 중에 있는 특수교육대학원생 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 연구 참여자 일지를 통하여 내러티브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연구자 또한 연구 일지를 통해서 연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 절차를 따라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고, 연구의 신뢰도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질적 연구 전문가에게 검토를 받았으며, 연구 결과의 해석이 왜곡되거나 오해되는 부분은 없는지 연구 참여자들에게 보여줌으로써 진실성을 확인받았다.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유치원교사는 유아특수교육전공 석사과정을 통해 통합교육 교사로서의 교육철학을 가지게 되었다. 일반유치원교사는 유아특수교육 전문적인 지식 습득을 통해 장애유아에 대한 마음을 이해하게 되었으며, 유아교육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유아특수교육에 관한 전문지식을 현장에 적용함으로써 일반유아와 장애유아 모두를 위한 교육과정 계획 수립을 위해 노력하는 모습으로 변화되고 있었다. 둘째, 일반유치원교사는 유아특수교육전공 석사과정을 통해 유아특수교사와의 협력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통합교육 초기에 일반유치원교사는 통합학급 교사로서 동등한 위치가 아니라 유아특수교사가 하는 대로 이끌려가거나 방관자적인 태도를 보였으나, 유아특수교육전공 석사과정을 통해 유아특수교사와 전문적인 지식을 공유함으로써 함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동반자적 관계가 되어가고 있었다. 이러한 변화는 일반유치원교사와 유아특수교사 모두가 통합학급의 담임교사로서 장애유아뿐 아니라 일반유아 모두를 위한 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셋째, 일반유치원교사는 유아특수교육전공 석사과정을 통해 장애유아 학부모에게 교육전문가로서의 담임교사 역할을 할 수 있는 적극성을 가지게 되었다. 일반유아교사는 통합초기에 학부모와의 상담에 소극적이었으나, 유아특수교육전공 석사과정을 통해 장애유아 학부모들과 특수교육에 관한 내용을 공유하였으며, 장애유아 학부모와의 상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또한 일반유아교사는 유아특수교사와 학부모 상담 내용을 공유하여 장애유아를 위한 교육공동체로서 성장하고 있었다. 넷째, 일반유치원교사는 유아특수교육전공 석사과정을 통해 효과적인 통합교육 실행방법을 다양한 관점에서 이야기할 수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일반유치원교사 전체를 대상으로 연수가 이루어진 후 통합학급 교사가 되는 방안과 교사의 교직생애주기별 연수 및 유아특수교육을 전공한 통합교육 경력교사의 강사활용 방안 그리고 지역네트워크를 활용한 협력지원 방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은 유아교육과 유아특수교육 전문가들의 공동연구를 통해 지식의 융합에 기반을 둔 통합교육 방안 마련을 제안하였다. 내러티브로 구성한 2명의 교사 이야기는 유아특수교육전공 석사과정을 고민하는 교사들에게 통합학급 교사로서 또는 유아교사로서 유아특수교육전공 석사과정이 어떠한 변화의 힘을 이끌어내는지 간접경험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이들의 이야기는 통합학급 교사로 하여금 통합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도록 하는데 시사점이 있다고 생각하며, 효과적인 통합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실제적인 방안을 마련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