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이버 아파트 네트워크 기본설계에 관한 연구

        최창근 建國大學校 2002 국내석사

        RANK : 250783

        최근 정부(정보통신부)는 사이버 아파트를 포함하여 초고속 정보통신망을 2005년까지 구축하여 각 가정당 10Mbps의 고속 정보통신 서비스를 실현한다는 계획을 발표하고, 초고속 정보통신을 활성화하므로 정보통신 선진국 진입을 위하여 "초고속 정보통신 건물 인증제도"를 발표, 현재 시행하고 있다. (1999.7 제정발표) 그러나 시행 과정에서 아파트 중앙 관리실에 있는 MDF 이후의 광케이블과 기타 공사는 건설회사에서 시공하고 중앙 관리실 MDF 이전의 광케이블 공사와 중앙관리실 LAN시설 등의 공사는 통신 전문업체로 하여금, 입주자 별도 부담금으로 시공하고 있다. (컨소 시엄 구성) 최근 아파트 분양열기 고조로 건설회사 마다 "초고속 정보통신아파트"인증 1등급이라고 선전 및 분양광고 중인데 실제는 "1등급"이 아니고 "2등급" 또는 "3등급"인 경우가 있어, 정부가 목표하는 각 가정당 10Mbps, 개인당 2Mbps 고속정보통신 서비스는 실현성에 문제점이 있다. 정부의 인증심사 기준에 중앙관리실 장비 등에 대한 것은 심사기준에 누락되어 있고 또 사생활 정보보호를 위한 대응기술, 시스템 준비 정도까지 포함하여 종합적으로 평가한 뒤 인증을 부여하여야 한다는 것이 본인의 연구 초점이다. 사이버 아파트란 광통신을 주축으로 영상과 음성, 데이터를 자유자재로 전송 처리하는 초고속 정보통신망을 이용하는 것으로 LAN 장비를 이용하여 각 세대간 통신은 물론 누구나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 설계된 아파트를 말한다. 사이버 아파트의 네트워크에는 금융, 홈쇼핑, 예약, 지역정보, 관공서, 의료서비스, 레저 생활정보 등 차별화된 콘텐츠 확보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핵심은 사이버 아파트의 현 실태와 문제점, 정부의 인증심사 기준의 미비점과 문제점, 사이버 아파트의 기능, 구성요소, 시스템 구축, 서버활용도, 장비들에 관한 것과 그리고 정부의 사이버 아파트 육성정책, 정보보호 대책과 관련업체들의 동향 등을 연구하여 요약 정리하였다. Korean government says that they have a plan to establish a very high-speed network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cluding cyber apartments by 2005, realizing a high-speed network that is capable of 10Mbps per house or 2Mbps per person, The system to approve the cyber buildings which has a high-speed network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s issuing a different classes of cyber apartment licence. Hence, many companies that construct the cyber apartments advertise that they have built the first class cyber apartments or the second class ones. But, in fact there are a lot of the third class cyber apartments. The very high-speed network that government expects looks difficult to be successful because many cyber apartments are not properly verified. Cyber apartments are considered as the apartments that users can use multimedia data such as video, audio and text to communicate each other through the LAN of the optical networks over the Internet. Users in cyber apartments want the differentiated contents such as finance, home shopping, local area information, medical information and health care. So, the certification criteria are critical to improve the quality of cyber apartments. In this paper, we first describe the state and the problems of the certification criteria for the cyber apartments which include the systems establishment, servers utilization, and other equipments. we survey trends on the policy and the information security strategy of government for the cyber apartments. Then this study proposes a new refined network design for the cyber apartments including the certification criteria and the response technology to protect the privacy.

      • 차량-도로 간 통신 기반의 교통신호제어 기법에 관한 연구

        심우석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767

        차량 검지시스템은 도로 상에 설치되어 정보를 획득하고, 교통신호제어에 이용할 수 있는 교통정보로 처리하여 출력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정확한 교통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것은 다양한 교통 환경에서 교통정체를 줄이고 교통신호를 제어하는데 반드시 필요하다. 도로 상의 교통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된 대부분의 차량 검지시스템은 고가의 설치비용, 한정된 검지영역, 일기 조건으로 인한 검지오류, 복잡한 감지 알고리즘 등의 단점으로 인해 충분한 교통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신호 현시(Signal Phase)란 교차로 상에서 교통신호의 조합을 의미한다. 즉,한 주기(Cycle) 중에서 동시에 진행하는 교통류에 할당된 시간구간을 말한다. 교통신호제어 기법은 이러한 신호 현시의 지속시간(Duration Time)을 결정하여 교통신호를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기법이다. 기존 교통신호제어 기법은 한정된 교통정보의 이용, 복잡한 신호제어 알고리즘, 검지영역 전체 차량 수 정보에 따른 현시 지속시간 결정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교통 혼잡을 효과적으로 해결하지 못하고 도로 상의 차량대기시간을 증가시키는 단점을 가진다. 게다가 대부분의 기법이 매우 제한적인 도로 환경을 대상으로 제안되었기 때문에 실제 교차로 환경에 적용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교차로 상의 차량대기시간을 줄이고, 정확하고 상세한 교통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새로운 차량 검지시스템인 차량-도로 간 통신 기반의 차량 검지시스템을 제안한다. 또한 검지시스템으로부터 획득한 교통정보를 바탕으로 새로운 교통신호제어 기법인 구역 분할 기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차량 검지시스템은 차량과 센서네트워크 사이의 통신을 통하여 교통정보를 획득한다. 센서네트워크는 교차로 주변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센서노드들로 구성되며, 모든 차량은 RF 송수신기, GPS 수신기를 내장한 텔레매틱스 단말기를 장착하고 있다. 차량에 설치된 텔레매틱스 단말기는 교차로 주변 교통상황을 추정하기 위해 무선통신을 통해 노드들에게 유용한 교통정보를 제공한다. 제안하는 구역 분할 기법은 최적의 신호 현시 지속시간을 구하기 위해 모든 구역의 차량 밀도를 검사한다. 각 구역은 센서 노드가 가지는 검지영역을 의미하고, 교차로 주변의 도로는 각 센서노드들에 의해 구역별로 구분된다. 교차로 상에 차량의 대기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직진 차량과 같은 직진류 차량뿐만 아니라 좌회전 차량, 우회전 차량과 같은 회전류 차량정보도 이용한다. 구역 분할 기법은 신호 현시 순서의 결정방식에 따라 고정된 신호 현시 순서를 가지는 고정형 신호 현시(FSP : Fixed Signal Phase) 기반의 교통신호제어 기법과 차량 밀도에 따라 신호 현시 순서가 선택되는 선택형 신호 현시(SSP : Selective Signal Phase) 기반의 교통신호제어 기법으로 구분된다. 교통신호제어 기법의 성능평가는 고정시간 교통신호제어 기법, Gomide,Mamdani가 제안한 퍼지 교통신호제어 기법과의 실험을 통해 이루어졌고, 실험결과 FSP가 기존 신호제어 기법에 비해 평균대기시간이 최대 65.1%, 평균 지체시간이 최대 64.5%, 비용함수가 최대 60.7% 개선된 결과를 보였다. FSP와 SSP의 성능을 비교한 결과는 차량 발생 수가 거의 일정할 경우에는 비슷한 성능을 보였고, 차량 발생 수가 일정하지 않을 경우에는 SSP가 FSP에 비해 뛰어난 성능을 보였다. A vehicle detection system is a device that collects traffic information around an intersection. In general, exact traffic information at real time is needed for a traffic signal control to minimize traffic jams under various road circumstances. Most of existing vehicle detection systems mainly use to obtain traffic information on the road cannot provide sufficient traffic information to control traffic signals effectively due to high installation cost, limited detection area, detection error by weather condition and so on. A signal phase is a light combination of traffic signals at an intersection. A signal control scheme determines the transition among signal phases and the time that a phase lasts for, which is called phase duration time. Using the traffic information obtained by the vehicle detection system, a signal control scheme controls the signal phase duration time. The existing signal control schemes do not resolve the traffic congestion effectively and increase the average vehicle speed in the urban road since they use restricted traffic information, complicated signal control algorithm, phase duration time decision by whole area vehicles number information and so on. In addition, most of them have a difficulty of being adapted to real road because they assume very restricted road environment. In this paper, a new vehicle detection system with a zone division signal control scheme is proposed to provide correct and detail traffic information and decrease the vehicle’s waiting time at the intersection. The vehicle detection system obtains traffic information in a way of vehicle-to-roadside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and sensor network. The sensor network is composed of sensor nodes deployed at a regular interval around the intersection. Vehicles have telematics terminals with a RF module and a GPS receiver. The telematics terminal in a vehicle offers useful information to sensor nodes to estimate the traffic condition around the intersection via wireless communication. The zone division signal control scheme inspects the vehicle density at every zone to get an optimal phase duration time. The zone is a detection area covered by a sensor node and thus, a road around intersection is divided into several zones due to several sensor nodes deployed around the intersection. It exploits the information of left-turn and right-turn vehicles as well as straight-going vehicles to minimize the waiting time of vehicles at an intersection. The zone division signal control scheme is divided by FSP(Fixed Signal Phase) and SSP(Selective Signal Phase) according to decision method of signal phase order. In this paper, we compared the proposed signal control scheme with pre-timed signal control scheme, Gomide’s fuzzy signal control scheme and Mamdani’s fuzzy signal control scheme.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zone division signal control scheme reduces the average vehicle waiting time, the average delay time and cost function by up to 65.1%, 64.5% and 60.7% compared to the existing signal control schemes. Keywords : Vehicle Detection System, Traffic Signal Control Scheme,Vehicle-to-Roadside Communication, Sensor Network, Signal Phase

      •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통제성향 평가 방안에 대한 연구 =xA Study on the Evaluation Method of Control Propensity for the Critic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한조형 강원대학교 산업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767

        최근 사이버 공격에 따른 피해는 국가와 민생 그리고 사회적 안보에 막대한 영향을 끼칠 정도로 그 파급력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대국민 서비스를 위한 사회기반시설의 중요도가 높아짐에 따라 사이버 공격의 대상과 파급효과가 날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는 국가 기반시설에 대한 1차적인 피해를 넘어 금융, 사회적 인프라에 대한 심각한 2차적 피해로 직결될 수 있다. 기반시설에 대한 사이버 공격과 그에 따른 피해사례는 국내 뿐 아니라 국외에서도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제어시스템의 경우 과거에는 물리적 폐쇄망에 위치하여 물리적, 논리적 공격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안전하게 인식되었으나 최근에는 정보통신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휴대용저장매체, 스마트폰 등의 전자기기가 정보통신기술과 결합되어 기반시설에 대한 사이버 공격 가능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기반시설을 대상으로 한 사이버 침해사고는 국가의 중요시설인 원자력·수력·통신·금융 등 전 분야에 걸쳐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른 피해는 막대한 경제적 손실 뿐 아니라 인명사고까지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정부는 2001년 국가 차원의 대책으로 정보통신기반 보호법을 제정함과 동시에 보호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시설을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을 지정하여 매년 취약점 분석·평가와 더불어 중장기 보호대책을 수립·적용하는 등의 중점적인 관리를 수행하고 있다. 보호대책의 경우 대책의 적정성 여부를 매년 정기적으로 검토하고 부족한 사항을 보완하여 적용하고 있는데, 보호대책 수립을 위해 사전에 수행되어야 하는 업무가 정보보호 수준 평가이다. 정보보호 수준 평가는 다수의 통제분야, 통제항목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수준 평가 결과는 정량적으로 표현된다. 그러나 현행 평가방식은 단순히 기반시설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보호 수준만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어, 정보보호 수준에 대한 다양한 동인(Driver)에 대해 판단하거나 측정할 수 없고 이는 보호대책의 방향성을 제시하거나 품질 강화를 위한 요구사항에 대해서도 해답을 제시하기에 한계로 작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현 상황을 극복하기 위하여 기반시설을 바라보는 새로운 측정 지표와 이를 적용할 수 있는 평가 모델이 필요하게 되었고, 이를 구현하고자 기반시설 취약점 분석·평가 항목과 IT거버넌스 프레임워크인 COBIT 5.0 그리고 정보보호 수준 평가 모델을 상호 연구, 보완하여 새로운 통제성향 평가 모델을 개발하였다. 신규 개발한 통제성향 평가 모델의 경우, COBIT에서의 정보의 7가지 통제기준의 의미와 사전적 의미 등을 고려하여 기반시설에 적용 가능하도록 이를 재정립하였고 기반시설 취약점 분석·평가에 활용되는 “12개 통제분야, 54개 통제항목, 89개 세부 점검항목” 별 재 정립한 통제평가 지표를 대입하여 각 점검항목에 대한 적용 타당성 여부가 검토·평가되도록 절차화하였다. 또한 연구 개발한 통제성향 평가 지표의 적합성과 평가 방법의 신뢰성 그리고 내용의 완성도를 검증하기 위해 실제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을 운영하고 있는 관리기관 6곳을 대상으로 평가 지표의 실효성을 검증하였고, 검증 결과를 토대로 현행 기반시설 정보보호 수준평가 모델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평가방식과 개선 방향성에 대한 실증적 근거를 제시하여 기반시설의 정보보호 수준을 이루는 동인에 대해 더 명확한 이해가 수반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In recent years, cyber attacks have expanded their ripple effects at such an alarming pace that they have tremendous impacts on the nation, people's livelihood, and social security beyond the level of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With the rising importance of social infrastructure in services for people, in particular, the targets and ripple effects of cyber attacks are expanding day after day. The resulting consequences can cause serious secondary damage to the financial and social infrastructure beyond the primary damage to the national infrastructure. There have been ongoing reports about cyber attacks to infrastructure and its damage cases both home and abroad. In case of control systems, in particular, they were located inside a closed physical network and thus considered to be relatively safe from physical and logical attacks. The recent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s, however, incorporated those technologies into electronic devices such as portable storage media and smartphones and gradually raised the possibility of cyber attacks to infrastructure. Cyber attacks to infrastructure can happen to major national facilities across all the fields including nuclear energy, water power, communication, and finance and lead to human casualties as well as considerable economic loss. Reacting to those developments, the government enacted Act on the Protec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s a national-level countermeasure and designated maj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facilities as facilities that would need protection in 2001, conducting a vulnerability analysis and assessment annually and taking intensive measures including the establishment and application of mid- and long-term protection plans. They regularly review the feasibility of protection plans every year and supplement them for their lacking aspects before application. One of things that should be done before making a protection plan is to evaluate the information security level. An information security level evaluation consists of multiple control areas and items and presents its outcomes in quantity. The current evaluation approaches, however, remain at the level of measuring only the overall information security level of infrastructure, thus being unable to assess or measure the various drivers of information security level and posing limits to the directionality of protection plans or requests for higher quality. There was a need for a new measurement indicator for infrastructure and an evaluation model to apply it to overcome the current situation, and this study set out to develop a new control tendency evaluation model by investigating and supplementing analysis and assessment items of infrastructure vulnerability, COBIT 5.0, an IT governance framework, and an information security level evaluation model to implement them. The newly developed control tendency evaluation model was reestablished to make the seven information control criteria in COBIT applicable to infrastructure by taking their meanings and definitions in the dictionary into consideration. It then underwent the proceduralization stage to review and assess the applicable validity of each check item by entering the reestablished control evaluation indicators for the 12 control areas, 54 control items, and 89 detailed check items used in the analysis and assessment of infrastructure vulnerability. In addition, an interview was conducted on the usefulness of the new control tendency evaluation indicators with some project managers that assessed the information security levels of maj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in order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evaluation model. Furthermore, the information security control tendency evaluation model was tested based on the information security level evaluation results of six agencies designated as maj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If the new evaluation model is used to reproduce the meanings inherent in the information security level evaluation scores and utilize them as new indexes or expanded and converted into an evaluation model on which the characteristics of control tendency are reflected, a more profound understanding of an agency's information security level will follow. It will help to take a further step toward the fulfillment of essential goal of information security.

      • 유비쿼터스 時代의 韓國的 네트워크 中心戰(NCW)에 관한 硏究

        노보환 강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50751

        The strengths and power from the information age has changed the conventional way of war by creating a speed and effect that could have been inconceivable during the industrial age. NCW, which operates by connecting all the battle elements in the battlefield to a network system, will make the battlefield space more visible through digital processing. As a result it has increased the space in ground, naval, air, space and cyber, eliminating the distinction between front and rear line, made reconnaissance and strike possible with long-range precision guidance missiles, changing the war environment and linking up all war assets into a network node. NCW is the new system that has been created to meet the demands of the change in the new war paradigm and it is also the innovative demands for the military in the information revolutionary age. By using the data processing ability from the computer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is connected to the network, NCW concept 'assures accurate information sharing to elements of combat power which in fact enhances the efficiency of the military.' As a result the NCW has a characteristic of establishing and accurate strike system that will show the will of our friendly forces and collection and sharing real-time information. In a need to adapt to the battle environment during the information age, NCW was researched by U.S forces, starting from the end of the 1990s by which the incumbent Bush Administration has also selected Sebrosky and Garuska who are the advocates of NCW to apply their system to the 2001 Afghanistan war and the 2003 Iraqi War. These new concepts are the core for the changes of U.S forces after 9.11. Following this trend, the ministry of defense in Korea has announced the 'Military Reform 2020' vision in an effort to convert the current quantitative manning military system to a qualitative technology oriented military system that focuses on information technology, by 2020. Starting from this year, the Ministry of Defense is carrying out its reform by acquiring real-time battlefield control, command and control ability, and advanced weaponry in order to construct a digital military through NCW. Throughout the days, the Korean Military Forces have reflected this new war paradigm during times to increase military power through automated information system. Consequently, they have accelerated in introducing and developing various IT applied military system and also miximized efficiency through the system integration and mutual operations. As you can see, IT is now the heart for military operations and has brought innovative changes and created new values throughout our society. Our military should know that the IT sector is the most important way to enhance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especially by promoting and applying IT throughout the military will change the quality of the system, achieve digital integration, increase intelligence, and also in the long run bring an age of the digital self-reliance defense. All these countries in the world are now establishing this NCW system that is suitable to their countries ability and situation. United Kingdom is following the NEO (Network-Enabled Operation) model whereas Canada and Australia is pursuing the NEC(Netwo가-Centric Capability) model. But currently, the Korean Forces not only lack the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models, but also the need for the system. In order for the proper establishment of the NCW, we should try to induce basic directions for the actualization, which in fact provides an important meeting to us by a stream of processes that discern our military capability. Through these processes we can objectively discern our military capability, and through these discerned abilities, we can objectively discern our military capability, and through these discerned objects, which will be the foundation, we could find the roadmap of successfully implementing NCW. Here are some steps we neeed to carry out. First, we need to establish a future battlefield control system that will enhance our command and control system of the Joint Chief of Staff(JCS) and all other military forces. Secondly, in order to establish a new generation telecommunicated system, which is the foundation of NCW, we need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observation surveillance system that includes a Korean strategy data link, satellites and a National Defense telecommunication network. Thirdly, establish all type of standards or a communication system that will secure a mutual operative function between weapons. On fourth, we need to acquire vital technologies such as an efficient informational collection system, early warning and surveillance system, imagery sensor, and imagery signal processing and satellites. On fifth, we need an integrated strike system that will get us ready to counter any unexpected threats from the future, which makes it essential to establish a multilayered defense system that will cover upper and lower layer for defense. Lastly, we need to establish a support system that will make the right decisions at the right time. This research is about National Security Strategy for the Ubiquitous Era, which is considered as a solution to actualize NC. We need to check the battlefield environment change for the Era and also confirm the military application of Ubiquitous computing. In addition we also need to see how the concepts of NCW develop as well as provide solutions on how our military forces could effectively establish and promote KCW plans for the future. For the success of 'Military Reform 2020,' and the early establishment of Korean NCW, we need much interest and effort. Furthermore, if we take the steps and solutions that I've provided, I guarantee that the system itself will operate smoothly, and in the long run bring a new paradigm for our National Security Strategy. 정보화시대의 전력을 이용한 새로운 전쟁방식은 산업화시대에는 상상할 수 없었던 속도와 효과를 창출하였다. 전장의 모든 전투요소를 네트워크 체계로 연결하여 작전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중심전은 전투력의 핵심 구성기능인 네트워크화된 전장 환경 공유로 전장공간을 디지털 프로세싱으로 가시화시키고 지상, 해상, 공중 및 우주 사이버공간등으로 확대하여 전ㆍ후방구별이 따로 없으며 장거리 정밀유도무기에 의한 정찰 및 타격을 가능케 했으며, 이러한 전쟁환경의 새로운 변화로 모든 전투자산은 네트워크노드가 되었다. 네트워크 중심전(NCW : Netwrok Centric Warfare, 이하 NCW)은 바로 이러한 요구에 의해 등장한 전쟁패러다임 전환이며 “정보혁명”시대에 요구되는 새로운 군사혁신의 요구이다. NCW는 ‘컴퓨터의 자료처리 능력과 네트워크로 연결된 통신기술능력을 활용하여 전투력 구성요소들에게 정보공유를 보장함으로써 군사력의 효율성을 향상한다는 개념’으로 실시간으로 정보를 수집하고 공유하며 우군의 의지를 전달 할 수 있는 정밀 타격체계의 확립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NCW은 정보화시대에 변화하는 전쟁환경에 적응하기 위하여 1990년대 후반부터 미군들에 의해 연구가 시작되었고 現 부시 행정부에서 NCW 주창자인 세브로스키와 가르스트카를 발탁하여 2001년 아프가니스탄 전쟁과 2003년 이라크 전쟁에 적용하는 등 9·11테러 이후 미군변화의 핵심을 이루고 있는 새로운 개념이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우리 국방부는 병력위주의 양적 군 체계를 2020년까지 정보, 기술중심의 기술 집약형 질적 군 체계로 전환하기 위하여 ‘국방개혁 2020’ 비전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국방부는 올해 실시간 전장관리 및 지휘통제능력, 첨단무기체계 등을 확보하는 국방개혁에 본격 착수하여 NCW에 의한 디지털 군 건설을 추진 중에 있다. 그동안 한국군은 전력강화를 위한 자동화 정보체계 사업시 새로운 전쟁 패러다임을 반영하여 다양한 IT적용 군사체계 도입 및 연구개발을 가속화시켰으며 시간이 흐를수록 체계간의 통합과 상호운용성의 특성으로 효율성을 극대화시키려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정보기술(IT)은 전쟁수행의 핵심수단이 되었으며 또한 국가 사회전반에 걸쳐 혁신적 변화와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이에 우리군은 IT분야를 국가 경쟁력 향상의 가장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하고 특히 IT의 국방적용을 통해 군사력의 질적 변환과 고 집적화, 디지털 통합화, 지능화된 디지털 자주국방시대를 구현 할 수 있도록 추진하고 있는 것이다. 오늘날 세계의 각 국가들은 자국의 능력과 상황에 적합한 방법으로 NCW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영국은 NEO(Network-Enabled Operation) 모형을 캐나다와 호주는 NEC (Network-Centric Capability) 모형을 추구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군의 경우 NCW 체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가 부족 할 뿐만 아니라 그 필요성에 대한인식의 저변확대가 미흡한 상태이다. 따라서 한국의 여건에 타당한 NCW개념 정립을 위해 한국적인 의미에 대한 접근에서부터 한국적 NCW실현을 위해 요구되는 기본방향을 도출하고 한국군의 능력을 식별하는 일련의 과정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객관화된 능력을 식별하고 식별된 능력을 토대로 이를 NCW 구성요소에 비추어 한국적 NCW체계 구현을 위한 핵심능력을 재 조명함으로써 한국적 NCW 실현을 위한 로드맵을 얻을 수 있고 이를 통해 한국적 NCW의 수행 기반구축을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첫째로 미래의 전장관리체계 구축으로 합참 및 육·해·공군 지휘통제체계를 개선하고 정보 통합체계 성능개량으로 효율적인 전장관리체계를 구축하며 둘째로 NCW의 핵심 기반체계인 차세대 정보통신기반체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상호연동성이 보장된 차세대 국방정보통신망 구축 한국형 전술데이터 링크 확보 및 인공위성을 이용한 통신감시 정찰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셋째로 각 무기체계간의 상호운용성을 확보토록 각종표준 또는 통신체계를 확보하며, 넷째로 효율적인 정보수집체계와 조기경보 및 감시체계 그리고 영상센서 高 해상 영상신호처리 및 위성체계등 핵심 기술 확보가 필요하다. 다섯째로 타격체계의 통합운용으로 미래 불특정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하층 및 상층방어 체계의 다층방어체계가 구축되어야하며 마지막으로 의사 결정권자의 적시정확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지원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비쿼터스시대의 국가안보전략으로 한국적 NCW 구현을 하나의 대안으로 판단하고 유비쿼터스 시대의 전장 환경변화와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군사적 활용을 확인하고 NCW의 개념 발전경과 및 각국의 NCW 구축현황을 살펴본 다음 우리군이 추진해 나가야 할 한국적 NCW을 효율적으로 수행 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 할 수 있도록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국방개혁 2020’의 목표인 정보·기술 중심의 기술 집약형 질적 군 체제구축을 위하여 한국적 NCW 조기구축에 보다 높은 관심과 적극적인노력이 이루어져야하며 또한 여기서 제시된 개선방안의 체계적인 구축 및 효율적인 운영과 더불어 최고관리자의 지속적인 관심이 함께 이루어 진다면 새로운 패러다임의 국가안보전략은 성공적으로 추진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사전 뜻풀이말에서 추출한 의미정보에 기반한 동형이의어 중의성 해결 시스템

        허정 울산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50751

        동형이의어는 문장에서 그와 함께 사용된 단어들에 의해서 그의 의미를 확정지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형이의어의 중의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사전의 뜻풀이말에서 의미 정보를 추출하고, 이 의미 정보를 확률 통계적 방법에 적용하여 동형이의어의 중의성을 해결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사전의 뜻풀이말에서 동형이의어를 포함하고 있는 뜻풀이말을 구성하는 체언류(보통 명사)와 용언류(형용사, 동사)를 의미 정보로 추출한다. 의미 정보는 1차 의미 정보와 2차 의미 정보로 구분하는데, 1차 의미 정보는 의미 분별할 단어와 표제어가 의미적으로 상-하의어 관계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상-하의어 관계는 깊이 1의 의미 계층구조로 자료 부족 문제를 완화시키기 위한 의미 정보의 확장에 유용하다. 비교적 중의성이 자주 발생하는 9개의 동형이의어 명사를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학습에 이용된 데이터로 정확률을 실험하는 내부 실험의 결과, 체언류와 용언류의 가중치를 0.9/0.1로 주는 것이 가장 정확률이 높았다. 외부 실험은 국어 정보베이스와 ETRI 코퍼스를 이용하여 1,796문장을 실험하였는데, 평균 80.73%의 정확률을 보였다. Homonyms are disambiguated by semantic information of other words in the sentence used with the homonym. This paper proposes a homonym disambiguation system using statistical semantic information extracted from definitions in dictionary. The semantic information consists of nouns and predicates that are used with the homonym in definitions. The semantic information is classified into two types. One has hyponym-hypernym relation between title word and head word (homonym) in definition. The relation is one level semantic hierarchy and can expand to overcome the problem of data sparseness. The other is extracted from definitions in which the homonym is used for defining other words. Nine homonyms are examined. Using the training corpus(definitions), we decide the weights for noun and verb are 09 and 01. respectively which affect the accuracy of homonym disambiguation. The homonym disambiguation system results the average precision of 80.73% on 1,796 untraining sentences from Korean Information Base I and ETRI POS corpus.

      • LTE-D2D 차량 네트워크에서 정보 전달 방법

        심용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751

        최근 차량 간 통신 기술인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Vehicular Ad-hoc Networks, VANET)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동적으로 움직이는 차량 환경의 특성상 차량 간 통신은 무선 링크를 통해 이루어진다. 현재 차량 간 통신을 위해 제안된 표준 차량 통신 프로토콜인 IEEE 802.11p는 한 홉 전송을 수행하기 때문에 차량 환경에 효율적인 정보 전송을 수행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논문은 차량 환경에서 효과적인 정보 전달을 위해 무선 근거리 통신 중 하나인 LTE-D2D 기술을 사용한 차량 네트워크를 제안한다. 이때 전송 메시지 형태는 이름 기반 정보 메시지를 사용한다. 일반 차량 노드는 요청하는 메시지를 중간 매개 노드인 대형 차량 노드로 전송한다. 즉, 차량 간 정보 전달을 위해 각각의 LTE 기지국의 셀 안에 위치한 일반 차량 노드가 대형 차량 노드에게 정보를 요청하고 대형 차량 노드는 일반 차량 노드가 요청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경우 LTE-D2D 방식으로 연결을 맺어 응답해준다. 요청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거나 직접통신 중인 일반 차량 노드와 거리가 멀어져 직접 통신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직접통신을 하고 있는 인접 대형 차량 노드에 정보를 요청하거나 LTE 기지국을 통한 통신으로 자연스럽게 전환된다. 성능 분석은 수식적 모델링을 기반으로 셀룰러 네트워크와 제안된 LTE-D2D 기반 차량 네트워크에서의 패킷 전달 시간에 따른 데이터 처리율을 비교하였다. LTE-D2D 기술을 적용한 차량 네트워크 구조를 통해 차량 통신의 정보 전달의 커버리지를 향상시킬 수 있고 중간 노드인 대형 차량 노드에 프록시 서버의 기능을 하여 LTE 기지국이 받는 부하를 줄일 수 있다. Recently Vehicular Ad-hoc Network(VANET) which is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 to vehicle has been researched. Since vehicles move dynamically in the vehicle environment, vehicle communication has been performed on the radio link. Current IEEE 802.11p which is suggested for vehicle to vehicle communication supports one hop communication. Thus, it has a limitation to carry out efficient data dissemination. In this thesis, we suggest LTE-D2D based vehicle ad-hoc network to provide efficient data dissemination in the vehicle environment. In this network architecture, we use name based message with IP packet options. We put the intermediate vehicle node called ‘super vehicle node’ and each normal vehicle in the cell requests to the super vehicle node. If the super vehicle node has the data requested by normal vehicle, they transfer the data directly to the normal vehicle node. and If they has not the data or move beyond the communication range with the vehicle which communicate directly, they ask to near super vehicle node on direct communication or transit LTE communication. Performance analysis is based mathematical modeling. We compare LTE cellular network to LTE-D2D based vehicle network according to data processing rate according to packet delivery time. As a result, we can improve coverage of data dissemination through proposed network architecture and reduce load of LTE eNodB through intermediate node which has proxy function.

      • 위치정보와 영상정보 전송 시스템

        손기원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751

        Mobile Internet services, such as HSDPA and Wibro, start with the 3rd generation mobile network commercial service. The 3G services have not improved than the existing services, because 3G services have not developed on a level with it. On the other hand, the current TPEG services are in its early stages. These services collect traffic information from GPS chips or RF chips on bus or taxi, and send traffic information to TPEG service. Finally users receive this traffic information. TPEG is not only services just color lines but also receives limited traffic information because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concentrates on the down town. In this paper, these 3G services problems and the TPEG service problems can be solved using real-time video and location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My proposal uses web camera, GPS receiver, UMPC and the 3G mobile communications modem. HSDPA, 와이브로의 서비스를 시작으로 제3세대 이동통신망이 상용화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하지만 3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는 아직 사용자에게 기존의 서비스보다 향상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이동성지원 및 전송방식 측면에서의 발전은 이루었지만 그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다른 한편으로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TPEG은 서비스의 초기 단계로 버스나 택시에 GPS칩이나 RF칩을 장착해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에게 정량화된 방식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3세대이동통신망의 서비스 문제점과 기존의 TPEG 서비스의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 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다수의 차량으로부터 영상과 위치정보를 전송 받을 수 있는 테스트 베드를 구축 하였다. 제안된 서비스는 웹 카메라와 GPS수신기, UMPC, 3세대이동통신을 할 수 있는 모뎀을 이용하여 전송하며 일반적인 웹브라우저가 설치된 컴퓨터에서 수신한다.

      • 웹 서비스 기반의 모바일 RFID 네트워크 서비스

        백일우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50751

        최근의 정보통신 분야에서 최대의 화두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이다. 다양한 분야에서 도입되고 있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가장 근본이 되는 기술은 모든 사물을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는 객체 인식 기술이다. 이중 RFID는 다량의 정보를 보유할 수 있는 tag를 삽입 또는 부착함으로써 객체간의 정보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차세대 정보 기술이다. 현재 RFID는 물류 유통을 위한 지능형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서비스 제공이 시작 되었으며, 다양한 제조 업체에서 시범적으로 운영하면서 실제 이익을 얻고 있다. 또한 RFID의 향후 발전 가능성을 인지한 각 국가들과 다양한 협회에서 RFID 시장의 주도권을 잡기 위해 협회를 설립하여 연구 중이다. RFID 관련 연구 중에서 현재 가장 중요한 이슈는 기존의 휴대폰 단말기에 RFID 기능을 탑재하여 다양한 서비스 방식을 제공하고자 하는 모바일 RFID 이다. RFID에 대한 연구는 크게 인터넷을 이용하는 EPC 네트워크와 이동통신망을 이용하는 모바일 RFID 네트워크로 나누어지며 각각 독립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EPC 네트워크는 EPCglobal이 제안한 것으로 현재 RFID와 관련한 사실상의 표준이다. EPC 네트워크는 현재 VeriSign과의 협약을 통해 EPC 네트워크를 이용한 물품에 대한 지능형 공급망을 구축하여 월마트와 질레트 등의 회사에서 이용하고 있다. 모바일 RFID 네트워크는 세계 최대의 이동통신 사용률을 가진 국내에서 가장 먼저 연구 되어 현재 모바일 RFID 포럼을 통해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표준이 제안되고 있다. 또한 SKT와 KTF 등의 실제 이동통신사와의 협약을 통해 상용화 서비스를 계획 중이다. 그러나 현재 RFID 네트워크의 서비스는 몇 가지 문제점이 존재한다. 첫 번째로 두 RFID 네트워크의 서비스는 모두 한정적이다. EPC 네트워크의 경우 주요 서비스 대상이 제품 제조 회사와 물류 유통 회사로 제한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제한이 따르며 적용 가능한 서비스도 한정적이다. 모바일 RFID 네트워크는 사용자가 핸드폰을 사용하는 모든 사용자로 확대가 가능하지만 제공되는 서비스의 대상 역시 물품으로 한정되어 단순 물품 정보를 획득하는 서비스만 제공하고 있다. 이로 인해 모바일 RFID 네트워크는 현재의 인터넷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없다. 두 번째로 모바일 단말기는 제약성과 무선 환경의 대역폭 제한으로 다양한 서비스 제공이 힘들다. 이로 인해 현재의 모바일 RFID 네트워크에서는 인터넷에서와 같은 수준의 정보를 획득할 수 없다. 모바일 단말기는 메모리, 저장 공간, 배터리, 화면제한 등의 물리적 제약성 때문에 서비스를 위한 오버헤드가 큰 처리과정에 대해 민감하며 새로운 서비스 제공 시 모바일 단말기의 물리적 또는 소프트웨어의 변경 및 추가가 불가피하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들이 요구된다. 우선 기존의 제한적인 서비스를 벗어나 개인화된 정보를 위한 모바일 네트워크의 고유 서비스 방식인 Closed Service Model과 EPC 네트워크와 연동을 통한 Open Service Model를 제시한다. 이동단말은 한 개인에게 귀속된 물품으로 본래의 기능인 개인 확인 및 정보에 RFID 리더와 태그 기능을 추가하여 물품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개인정보 제공 및 획득이 모두 가능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Closed Service Model에 초점을 두었다. Closed Service Model은 외부망 연동과 상호운용성을 고려할 필요 없이 이동통신사업자 독자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모바일 RFID 네트워크 고유 서비스 모델이다. 두번째 모바일 RFID 단말기의 성능 향상을 위해 기존의 EPC 네트워크의 단말에서의 처리 기능을 가지는 모바일 RFID 네트워크 만의 구성요소인 Service Agent를 제안한다. Service Agent는 모바일 RFID 단말기를 대신하여 처리 과정을 담당함으로써 단말기는 물리적 제한성을 극복할 수 있다. Service Agent는 서비스 대부분의 처리과정을 담당하는 서비스 제어 포인트 역할을 함으로써 서비스 제공자는 이를 이용하여 보다 다양하고 효율적으로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네트워크 모델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서비스를 연구 및 분석하여 사람 중심의 시나리오로써 개인 신상에 대한 Profile, 관심있는 물품에 대한 Interest, 자주가는 장소 및 위치에 대한 Visit의 3가지 Feature를 도출하였다. 이 Service Feature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서비스의 제안과 관리가 가능한 네트워크의 구성 및 구현을 위해 Web Service 방식을 이용하였다.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존 IS 정보 획득방식과 웹 서비스의 차이를 분석하고 비교를 통해 Web Service를 이용한 서비스의 추가 및 확장이 더욱 효율적임을 보인다. Web Service를 이용한 구성은 서비스 제공 시 보다 모바일 단말기의 의존성을 줄일 수 있으며, 서비스 조합 및 추가에 용이하다. 본 논문은 모바일 RFID 네트워크에서 다양한 종류의 개인화된 정보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는 네트워크 모델과 새로운 구성요소인 Service Agent를 포함한 네트워크 아키텍쳐를 제시한다. 이로부터 실제 서비스의 기본이 되는 Service Feature를 도출하고 효과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 Web Service를 이용하여 모바일 RFID 네트워크 서비스를 구현 및 시험한다.

      • 심혈관 질환 예방을 위한 심층 신경망 기반 헬스 빅데이터 처리 기법

        유현 상지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50751

        In modern society, the aging population is rapidly increasing, is rapidly aging, thus the need for personal health and preventive management of chronic diseases, and the demand for customized information to sustain much healthier life are increasing also. Especially, the chronic diseases, such as the heart disease and the diabetes, are increasing in all age groups, so it is necessary to control such chronic diseases continuously using a healthcare system. In order for the healthcare system to continuously control the risk factors of the personal cardiovascular disease, it is required to establish the database based on the disease history and the basic dietary information in the fast period, and the database based on the pattern of the biometric activity in the current situation. The disease history and the dietary information can be acquired with a PHR(Personal Health Record), and the recent biometric data can be collected using IoT in a huge amount.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big data based on the health records can provide the basis for the real-time determination of the risk factors for the personal cardiovascular disease. The data mining system for processing the health big data has been remarkably progressed as it is developed to the intelligent system. However, for ensuring that the intelligence system is implemented with an efficient operation,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basically, further the external elements including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including the data preprocessing, the association mining and the distributed computing process for operating the big data should be properly configured. Particularly, the tools and methods for the data preprocessing is critical to the accuracy and the response performance of the various data processing including the image analysis and the sound analysis of the intelligent system.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mplement a deep neural network model with more reality in which the data preprocessing may be more effectively conducted by the association mining and the cycle analysis from the personal health records, a kind of static health big data, and the biometric data, a kind of dynamic health big data, and the distributed computing system may be established by applying the edge computing model. The PHR(Personal Health Record) is used as the static health big data. In order to analyze the association and the differentiation between the general popular group and the disease group using the PHR basic data, it is necessary to select the items having the significant association, further, for this, the multivariate analysis algorithm is required. For applying the algorithm, the PHR related to the same type of the health behavior and the dietary habits is collected from the patients focusing on the selected items. In addition, for analyzing the PHR similarity between the selected items and the patients, the Minkovsky distance generalized from the analytical geometry to the Euclidean geometry is applied. A risk group with a high degree of the similarity with the cardiovascular disease is created according to the proximity to the Minkovsky’s distance, and the risk factors for the cardiovascular disease are predicted by the similarity estimation between the risk group and the individual. The biometric data, a kind of the dynamic health big data is collected based on the sensor data of the IoT devices as a big data scale, so the big data processing technology are required to acquire, analyze and integrate the sensor information related to the individual body and his/her environment. One of the typical basic data for analyzing and the estimating the big data processing technology is the heartbeat data, one of the time series biometric data. This is the most basic biometric data as for using the dynamic health data. Using the fast Fourier transformation as the preprocessing for the frequency analysis of the heartbeat rate, and reducing the data from the frequency ratio data of the power spectrum extracted, the most efficient model is established. The semantic interpretation of the preprocessed data is performed based on the Deep Neural Network which is useful for analyzing and estimating the feedback data among the neural network algorithms.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deep neural network algorithm includes the input layer, the hidden layer and the output layer, and the model between nodes is configured using the gradient descent. This model is useful for learning from the input data and for developing the approximate function which can be evolved. Using this, the risk situations may be informed to the individual. This paper further includes a health care model using the edge computing method for saving the processing costs and improving the response time. In this paper,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odel is evaluated by using the data processing cost reduction ratio and MAE, F-measure statistics. As the comparative results, the PHR data reduction ratio of 1/33 is acquired by using the multivariate statistical method, the ECG data reduction ratio of 1/32 is established by using the fast Fourier transformation and the cumulative frequency ratio method. In addition, the F-measure result shows the accuracy of 83.83%, the response delay improvement of 59.95% is acquired by applying the edge computing model. From the evaluation results, it is confirm that the combination of the edge computing model and the deep neural network is used as the technology for distributing and processing a big data computing tasks, and becomes the effective system for reducing the response delay tim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e technology for implementing the smart health care system which provides more personalized and more applicable information with higher satisfaction and enhanced performance. 현대 사회는 급속한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개인별 건강 및 만성질환 예방적 관리의 필요성과 건강한 삶을 지속하기 위한 맞춤형 정보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대표적인 만성질환인 심장질환 및 당뇨병은 전 연령층에서 질환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헬스케어 시스템을 통한 관리가 필요하다. 헬스케어 시스템이 개인 심혈관 질환 위험 요소를 지속적으로 판단하기 위해서 과거시점의 병력과 식생활 기초 데이터가 필요하며, 현시점의 생체활동 패턴 데이터가 필요하다. 과거 병력과 식생활 패턴은 PHR (Personal Health Record)로 취득할 수 있으며, 최근의 생체활동 데이터는 IoT를 활용해 대량으로 취득할 수 있는 환경이 갖추어지고 있다. 이러한 각각의 헬스 빅데이터에 대한 종합적 분석은 개인의 심혈관 질환 위험요소를 실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 헬스 빅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데이터 마이닝 시스템은 지능형 시스템으로 확대되면서 눈부시게 발전하고 있다. 하지만 지능형 시스템의 현실적인 구현은 기본적인 신경망 시스템의 구현뿐만 아니라 데이터 전처리, 연관관계 분석 및 빅데이터 규모의 연산량을 소화하기 위한 분산처리 등 신경망 외부 요소가 올바르게 구성되어야 효율적인 처리가 가능하다. 특히 전처리의 내용과 방식은 지능 시스템의 이미지, 음향 분석 등 다양한 데이터 처리의 정확도와 응답성능에 결정적 요소이다. 본 논문은 정적 헬스 빅데이터인 개인건강기록과 동적 헬스 빅데이터인 생체 정보 데이터의 연관관계 분석과 주파수 분석을 통해 효율적으로 전처리하고, 에지 컴퓨팅 모델을 응용한 분산 시스템의 구현으로 보다 현실적인 심층 신경망 모델을 구현하도록 한다. 정적 헬스 빅데이터는 PHR 기초 데이터를 사용해 일반인 그룹과 심혈관환자 그룹의 연관성, 차별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유의관계가 있는 항목의 선별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다변량 분석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알고리즘의 적용을 위해 선별된 항목을 중심으로 사용자로부터 동일한 형태의 건강행태 및 식이습관에 관련된 PHR을 수집한다. 선별된 항목과 사용자별 PHR 유사도 분석을 위해 해석기하학에서 유클리드 기하학으로 일반화한 민코프스키 거리를 변형해 적용한다. 민코프스키 거리의 근접에 따라 심혈관 질환자와 높은 유사도를 가지는 위험그룹을 생성하고 그룹과 사용자 간 유사도를 통해 심혈관 질환 위험 요소를 평가한다. 동적 헬스 빅데이터인 생체 정보 데이터는 IoT 디바이스의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빅데이터 규모의 방대한 자료가 수집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한 인체와 환경에 관련된 센서 정보의 획득, 분석, 통합을 위한 빅데이터 처리 기법이 필요하다. 기법의 분석과 평가를 위한 대표적인 기초데이터는 시계열 생체 정보인 심박동 데이터이다. 이는 동적 헬스 데이터로 사용하기에 가장 기본적인 생체 정보이다. 심박동 수치의 주파수 분석을 위한 전처리로 고속 푸리에 변환을 이용하며, 추출된 파워 스펙트럼의 주파수별 비율 데이터를 활용해 데이터를 축소하고 효율적인 모델을 구축한다. 전처리된 데이터의 의미 해석을 위해 신경망 알고리즘 중 피드백 데이터를 분석하고 평가하는데 유용한 심층 신경망 을 기반으로 한다. 심층 신경망 알고리즘의 내부 구성은 입력층, 은닉층, 출력층으로 설계하고, 경사하강법을 이용해 노드간의 모델을 구성한다. 이러한 모델은 입력 데이터를 학습하고, 진화하는 근사함수를 개발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되며,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위험 상황을 알려준다. 또한 논문에서는 연산비용 감소와 응답 시간의 성능 개선을 위해 에지 컴퓨팅 모델을 활용한 헬스케어 모델을 별도로 구성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모델의 성능 평가를 위해 데이터 연산 비용 감소 비율과 MAE, F-measure를 사용해 평가한다. 비교 결과 다변량 분석을 통해 1/33로 PHR 데이터를 축소하였으며, 고속 푸리에 변환과 누적 빈도 비율방식의 사용으로 1/32로 ECG 데이터 감소가 이루어졌다. 또한 F-measure의 결과 83.83%의 정확도를 나타냄을 확인하였으며, 에지 컴퓨팅 모델을 적용해 59.95%의 응답 지연 개선을 이루었다. 평가 결과를 통해 에지 컴퓨팅 모델과 심층 신경망 기술의 결합은 빅데이터 규모의 컴퓨팅 작업을 분산해 처리할 수 있는 기법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응답 지연시간을 감소시키는 효과적인 체계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보다 개인화되고 융통성 있는 결과를 생성하면서도 현실화된 성능으로 만족도가 높고 효과적인 스마트 헬스케어를 구성할 수 있는 기반 기술로 활용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