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젠더 인식적 체육교육론 탐색 : 인문적 체육교육과 하나로 수업 모형의 가능성

        장효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체육과 교육과정 전반의 젠더 인식 재고하여 성 평등한 체육교육의 실천을 논의하기 위해 체육과 교육과정을 문서와 현장이라는 두 차원에서 살펴본다. 인문적 체육교육과 하나로 수업은 우리의 체육과 교육과정 이념 아래에서 등장한 것으로 체육과 교육과정의 한 실제로 간주한다. 이에 두 차원의 체육과 교육과정이 학교체육에서의 성 차별을 해소하는 데 근본적으로 요구되는 젠더의 이해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탐색하여, 젠더 인식이 내재된 체육교육의 논의를 시도하는 연구이다. 문제제기로는 학교 체육현장의 여학생 소외 현상으로 인해, 전인교육의 목표가 사실상 남학생 절반에 그치기에 온전히 실현되지 못함을 들었다. 이에 체육과 교육과정은 전인교육이라는 목표를 성 평등한 관점에서 재 개념화하려는 시도가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 스포츠와 체육교육에 뿌리 깊게 이념화 된 남학생 중심적인 시선을 개선해야 한다. 이때의 개선은 학습자를 생물학적 존재(sex)가 아닌, 사회적 존재(gender)로 이해하는 젠더 인식의 개념화로 가능하다. 다양한 생김새만큼이나 다양한 특성으로서 성별을 이해할 때, 여학생 소외의 기반이 해체되어 온전한 전인교육이 실천 가능한 것임을 주장한다. 이러한 논의가 체육과 교육과정 내에서 진지하게 고려되기 위해서, 좋은 사례로써 오늘날 학교 현장에서 실천되는 인문적 체육교육과 하나로 수업 모형의 특징을 분석한다. 인문적 체육교육과 하나로 수업이 학습자와 교사의 젠더 인식을 개선하는 특징을 분석하여 젠더 인식적인 체육교육에 관한 논의를 심화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다음의 세 가지 연구 주제를 선정하였다. 1) 체육과 교육과정의 젠더 인식은 어떠한가? 2) 인문적 체육교육과 하나로 수업의 젠더 인식 개선 가능성은 무엇인가? 3) 젠더 인식적인 체육교육의 모습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1)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적 관점에서 체육과 교육과정은 성별구조를 재생산하는 비교육적인 젠더 인식을 내재하고 있었다. 둘째, 체육과 교육과정은 지속적인 개정을 통해 성 평등한 방향으로 개선되는 중에 있다. 그러나 평등한 체육수업의 예로써, 젠더를 생물학적 성별로 환원하는 인식을 드러냈고, 성 평등한 교육 목표를 축소하여 서술하는 소극적 태도는 한계로 지적된다. 연구 문제 2)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문적 체육교육은 전인성과 재현성으로 젠더 인식을 개선할 수 있다. 둘째, 하나로 수업 모형은 ‘터’와 ‘패’의 운영을 통해 운동장의 공간적 성격을 재 개념화하고, 학습자의 기대 역할을 부여하면서 성별 구분에서 벗어난 채 젠더 인식을 개선하는 특성을 보였다. 인문적 체육교육은 전인교육의 목표와 전인상을 구체화함으로써 다양한 학습자의 등장을 예고하고, 다양한 학습 내용과 글쓰기를 통해 그동안 체육수업으로부터 소외된 여학생들의 목소리를 재현시킴으로써 전인의 다양성을 실재화 하고 있었다. 하나로 수업의‘터’는 공간을 물리적으로 새롭게 구획함으로써 기존의 남학생 상징을 해체하고, 공간과 관계하는 젠더 인식 형성에도 개선하는 영향력이 있었다. ‘패’는 패 안에서의 기대 역할을 수행하는 학습자의 젠더 인식뿐만 아니라, 패를 운영하는 교사의 젠더 고정관념을 해체하는 데 영향력이 있었다. 연구 문제 3)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젠더 인식적인 체육과 교육과정은 실천을 목적으로 개선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문서와 현장에서의 변화가 필요하다. 첫째, 문서는 생물학적 성과 사회적 성을 구분하는 데 혼선을 막기 위한 ‘젠더’를 직접 표기하며 문법을 전환해야 한다. 둘째, 현장에서는 현재 신체활동 가치영역 중 ‘도전’영역에서 ‘젠더 크로스’적인 체육수업과 같은 의도적인 체육이 시도되어야하고, 인문적 체육교육과 같은 대안적인 체육수업을 통해 혼성수업 또는 분리수업이라는 이분법적 관점으로부터 탈피하는 데에 도전해야 한다. 향후 젠더 인식적인 체육교육 논의를 확대하기 위해 다음의 네 가지 영역에서의 연구를 제언한다. 1)젠더 인식 개선을 위한 체육 교육 모형 개발, 2)남학생 체육 연구, 3)체육 교사 젠더 인식 연구, 4)동성 간 젠더 불평등 연구이다. We have witnessed that girl’s participation in school physical education has been marginalized largely because of socially embedded idea of gender binary within Confucianism culture. In 2007, as NCPE(National Curriculum for Physical Education) was revised into value-centered physical activity, the time has come to deconstruct the hierarchy of gender in physical education. Drawing on feminism, post-structuralism, and critical theories,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ies of Humanities-Oriented Physical Education(HOPE) and Hanaro Teaching model as gender-inclusive approaches for Physical Education in Korea. The findings show that we need new rhetoric and concepts for gender-inclusive physical education to stray from gender dichotomy. Since the Hanaro teaching model and HOPE provide various forms of physical education inclusive both influence on gender perspectives of teachers and students. It can be argued that the features of HOPE revealed reconstructing (a) wholepersonship and (b) reproducibility, the Hanaro teaching model emphasized rethinking (c) spatiality and (d) role expectation. HOPE and the Hanaro teaching model, new and alternative perspectives for gender, suggest two significant recommendations. First, the NCPE needs to materialize gender-inclusive approach in document by using the term ‘gender’ instead of ‘sex’. Second, the NCPE has to include diverse voices in terms of enhancing girl’s narrative embedded in schools. This will extend the room for stimulating critical discussions of the gender-inclusive approach in Physical Education.

      • 고등학교 체육교사의 체육과 교육과정 실행 전문성 탐색

        이유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8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internalization OF high school PE teachers' curriculum implementation and PE classes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factors that affect PE curriculum implementation, curriculum implementation types, and curriculum implementation expertise.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for this are: First, what is high school PE teachers' PE curriculum implementation process and the state of implementation expertise? Second, what a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high school PE teachers' PE curriculum implementation? Third, what are the high school PE teachers' PE curriculum implementation types? This study utilized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and was conducted over a total of 17 months from July 2021 to November 2022. The research participants are selected as 12 incumbent high school PE teachers in consideration of the diversity of experiences related to the curriculum.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nline questionnaires, in-depth interviews, and on-site documents, and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process of descrip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suggested by Wolcott(1994). In order to secure the authenticity of the research, the triangular verification method, review among members, and consultation among peers were used, and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compliance with research ethics. The results of the study through the above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high school PE teachers implemented the PE curriculum according to the stages of understanding, planning, implementing. And the high school PE teachers' curriculum implementation expertise at each stage wa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nine aspects. First of all, in the understanding stage, the expertise of knowing the contents of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understanding the teacher's role in the curriculum, and critically understanding the curriculum was revealed. Next, in the planning stage, the expertise of communicating with surroundings(fellow teachers, students, etc.), utilizing the materials of the national curriculum(achievement standards, subject goals, etc.), and developing their own curriculum was revealed. Lastly, in the implementation stage, the expertise of connecting curriculum and classes, making efforts to create good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looking back on one's own classes was revealed.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are four dimensions of individual, relationship, environment, and subject as factors influencing the implementation of PE curriculum by high school PE teachers. On the individual level, experience factors related to curriculum, such as textbook writing, national curriculum development, and participation in curriculum-related training, and teachers' educational philosophy factors, such as cultivating whole sports peaple, and student-centered classes, were included. The relational dimension included factors of positive/negative relationships with fellow teachers and factors of participation in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within and between subjects. The environmental dimension included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sports facilities, teaching aids, and the number of hours of PE classes, as well as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student tendencies and COVID-19. Curriculum factors included PE curriculum factors, such as the effect of curriculum revision and reflection of field voices, and good or bad factors of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such as the obligation for implementing the curriculum and the stepping stones of lifelong physical education. Third,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f the PE curriculum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high school PE teachers' physical education implementation types were divided into three types: ‘Curriculum trusting type', 'Curriculum selecting type', and 'Curriculum apathy type'. First, the 'Curriculum trusting type' recognized that the curriculum was the bible of class as a national agreement and the cornerstone of the future learning. Second, the 'Curriculum selecting type' recognizes that although the PE curriculum is a large frame of class, the teacher-level curriculum is more important, and this type of teachers select and utilize the necessary parts of the PE curriculum. Lastly, the ‘Curriculum apathy type’ recognized that the PE curriculum is a nominal thing and a seperated theory from the field. And this type of teachers had classes free from the curriculum, and sometimes used the curriculum to look back their classes. As a discussion that integrate these results, first, it wa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expertise of PE curriculum implementation as a overall process that includes learning, practicing, developing, and reflecting on the curriculum. Second, according to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it wa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look at not only teachers but also the environment, learners, subjects and curriculum from a wide perspective in order to plan substantial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Third,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perspective proposed by Snyder & Zumwalt(1992) and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type in this study, and found that the ‘Curriculum apathy type’ is revealing the negative side of the duality of the curriculum enactment perspective. Lastly, as for the suggestions for field practice, first, it is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supports at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stage and the in-service teacher education stage to develop expertise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and class quality of high school PE teachers. Second,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gap with the field by paying more attention to the voice of the field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curriculum. Third, it is necessary to critically accept the educational goals and contents presented by the PE curriculum in high school PE classes, and to shed light on the fidelity perspective of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are: First, it is necessary to research the effects of high school PE teachers' curriculum execution on students. Second,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he research subjects, compare the meaning of high school PE curriculum implementation wi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levels, and present specific measures.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체육교사의 체육과 교육과정 실행에 영향을 미친 요인과 교육과정 실행 유형, 그리고 교육과정 실행 전문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고등학교 체육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및 수업 내실화에 기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로는 첫째, 고등학교 체육교사의 체육과 교육과정 실행 과정과 실행 전문성의 모습은 어떠한가? 둘째, 고등학교 체육교사의 체육과 교육과정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고등학교 체육교사의 체육과 교육과정 실행 유형은 무엇인가? 이다. 본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2021년 7월 ~ 2022년 11월까지 총 17개월에 걸쳐 진행되었다. 연구참여자는 교육과정 관련 경험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현직 고등학교 체육교사 12명을 선정하였다. 질적 자료는 온라인으로 이루어진 사전 질문지와 심층 면담, 현지 문서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Wolcott(1994)가 제시한 기술, 분석, 해석의 과정을 거쳐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진실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삼각검증법, 구성원 간 검토, 동료 간 협의를 활용하였으며 연구의 윤리를 준수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체육교사는 이해, 계획, 실행의 단계에 따라 체육과 교육과정을 실행하고 있었으며, 각 단계에서 드러나는 고등학교 체육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전문성을 9가지의 모습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우선, 이해 단계에서는 체육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알고,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역할을 이해하며, 교육과정을 비판적으로 이해하는 전문성의 모습이 드러났다. 다음으로, 계획 단계에서는 주변(동료 교사, 학생 등)과 소통하고, 교육과정의 재료(성취기준, 영역 등)를 활용하며, 나만의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전문성의 모습이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실행 단계에서는 체육과 교육과정과 수업을 연결하고, 좋은 체육수업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자신의 수업을 되돌아보는 전문성의 모습이 드러났다. 둘째, 고등학교 체육교사의 체육과 교육과정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개인, 관계, 환경, 교과라는 네 가지 차원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개인적 차원에는 교과서 집필, 교육과정 개발, 교육과정 관련 연수 참여 등 교육과정 관련 경험 요인과 진선미 스포츠인 양성, 학생 중심 수업 등 교사의 체육수업 철학 요인이 포함되었다. 관계적 차원에는 동료 교사와의 긍정적·부정적 관계 요인과 교과 내·교과 간 교사학습공동체 참여 요인이 포함되었다. 환경적 차원은 체육시설, 수업용 교구, 체육수업 시수와 같은 물리적 환경 요인과 학생들의 성향, 코로나-19와 같은 사회적 환경 요인이 포함되었다. 교과적 요인은 교육과정 개정의 파급력, 현장의 목소리 반영 등의 체육과 교육과정 요인과 교육과정 실행 당위성과 평생 체육의 디딤돌 역할과 같은 요인이 포함되었다. 셋째, 체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교육과정 실행의 특징에 따라 고등학교 체육교사의 체육과 교육과정 실행 유형은 ‘교육과정 신뢰형’, ‘교육과정 취택형’, ‘교육과정 냉담형’의 세 가지로 분류되었다. ‘교육과정 신뢰형’은 교육과정이 수업의 공통된 합의점이자 미래의 초석으로서 수업의 바이블이라고 인식하였으며, 이 유형의 교사들은 교과서를 기반으로 체육과 영역 및 성취기준을 준수하며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었다. ‘교육과정 취택형’은 체육과 교육과정이 수업의 큰 틀이지만, 교사수준 교육과정이 더욱 중요한 것이라고 인식하였으며, 이 유형의 교사들은 체육과 교육과정의 필요한 부분을 취사선택 하여 활용하고, 현실과 타협하며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었다. ‘교육과정 냉담형’은 체육과 교육과정이 유명무실의 것이자 현장과 별개의 것으로 인식하였으며, 이 유형의 교사들은 교육과정으로부터 자유로운 수업을 하고, 교육과정은 가끔 되돌아보는 정도로 활용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한 논의로는 첫째, 체육과 교육과정 실행 전문성을 교육과정에 대한 학습, 실행, 개발, 그리고 반성까지 포함하는 총체적인 과정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둘째, 교육과정 실행 영향요인에 따르면, 교육과정 실행이 내실화되기 위해서는 교사뿐만 아니라 환경, 학습자, 교과 및 교육과정까지 넓은 시야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셋째, Snyder & Zumwalt(1992)가 제시하는 교육과정 실행 관점과 본 연구에서 발견한 교육과정 실행 유형을 비교 및 분석하고, ‘교육과정 냉담형’은 교육과정 생성 관점이 지닌 양면성 중 부정적인 측면이 드러나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장 실천을 위한 제언으로는 첫째, 고등학교 체육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및 수업 내실화를 위해 전문성 함양을 위해 예비교사교육 단계와 현직교사교육 단계에서 다양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 있어 현장의 목소리에 더욱 귀를 기울임으로써 현장과의 괴리를 줄일 필요가 있다. 셋째, 고등학교 체육수업 현장에서 체육과 교육과정이 제시하는 교육적 목표와 내용을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교육과정 실행의 충실 관점에 대해 재조명할 필요가 있다.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는 첫째, 고등학교 체육교사의 교육과정 실행이 학생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연구 대상을 다각화하여 고등학교 체육 교육과정 실행이 어떠한 의미를 지닐 수 있는지 초·중학교 급과 비교하고,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 초등학교에서의 건강교육은 얼마나 건강한가? : 초등체육 건강 활동 지도의 내실화를 위한 교육학적 탐색

        박미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831

        본 연구의 목적은 현직교사 및 초등학생이 초등체육 건강 활동을 어떻게 인식하고 실천하는지, 그리고 그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건강교육 내실화를 위하여 어떤 시사점을 찾을 수 있는지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1) 초등학교 체육의 건강 활동에 대해 교사는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2) 초등학교 체육의 건강 활동에 대해 학생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3) 초등학교 체육에서 건강 활동은 어떻게 실천되고 있는가? 4) 초등학교 체육에서 건강 활동의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5) 건강교육 내실화를 위한 초등학교 건강 활동 지도의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구성주의 패러다임에 입각한 질적 사례 연구의 방법으로 2015년 3월부터 2017년 2월까지 총 24개월간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심층면담, 비참여수업관찰, 현지문서, 문헌고찰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유목적적 표본추출(purposeful sampling)의 방법으로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였다(Patton, 2008). 연구 참여자는 현직교사 12명과 초등학생 24명이며, 수집된 모든 자료는 기술, 분석, 해석의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제시하는 나선형 자료 분석의 방법에 따라 귀납적으로 분석하였다(Creswell, 2007). 질적 연구의 진실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연구 문제에 따른 자료 수집원을 다원화하였고, 연구 참여자의 검토 및 동료들과의 협의를 실시하였으며, 윤리적으로 타당한 절차에 따라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연구자가 소속된 대학의 연구윤리심의위원회(IRB, institutional review board)의 심의를 거쳤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얻은 연구 결과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 교사들은 체육교과 밖에서도 존재하는 건강이라는 광대한 개념에 대해, 체육교과 안에 자리하고 있는 건강 활동 영역에 대해, 그리고 실제 건강 활동 수업으로 좁혀가며 조금씩 상이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 연구 참여 교사들은 평생 건강의 기반, 의무교육의 궁극적 가치, 생활 속 실천의 영역과 같이 건강이라는 개념 자체는 초등교육과 관련 지으며 긍정적인 것으로 인식하였다. 2) 하지만 건강 활동은 타 영역의 기반, 스포츠교육의 수단적 위치, 지식의 영역으로 인식하며 궁극적인 건강의 개념이 체육 교과 속에서 보조적인 모습으로 축소되어 나타났다. 3) 실제 건강 활동 수업에 대한 교사 인식은 체력, 보건, 안전의 세부 내용에 따라 분리된 형태로 드러났으며 PAPS로 대체되는 체력 수업, 설 자리를 잃은 보건 수업, 현장감 없는 안전 수업으로 교육개선이 필요한 영역임이 입증되었다. 둘째, 연구 참여 학생들은 초등학교 4학년과 6학년, 남학생과 여학생의 여부에 따라 작은 인식의 차이를 보이기도 하였다. 하지만 대체로 건강이라는 개념 자체에 대해, 체육교과서로 만나는 다섯 가지 신체활동 영역 중의 하나인 건강 활동에 대해, 그리고 실제 건강 활동 수업에 대해 다른 인식을 보였다. 1) 연구 참여 학생들은 건강의 개념을 체격 및 체형이나 스포츠 수행능력 또는 가치덕목처럼 신체‧정신‧사회적 건강 중 하나의 부분에 치중하여 인식하였다. 2) 하지만, 학생들에게 건강 활동은 체육교과의 다른 영역에 비해 소외된 모습으로 무인식, 인지 활동, 필요악의 영역으로 인식되어 건강교육에 대한 중요성에 비해 흥미는 미흡한 불균형한 모습이었다. 3) 이러한 연구 참여 학생들의 인식은 건강 활동 수업에서도 체력, 보건, 안전의 내용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 건강 활동 지도의 내실화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셋째, 초등체육 건강 활동의 실천 양상을 목표, 내용, 방법, 평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1) 목표 측면에서는 현재의 건강과 미래의 건강 또는 정규 교육과정과 정과 외 체육활동 사이에 미합의 목표가 나타났으며, 체력, 보건, 안전의 세부 내용 중 일부만 추구하는 한정적 목표로 건강 활동이 실천되었다. 2) 내용 측면에서는 일상생활 준비용 체력지도라는 긍정적인 내용과 교내행사 대비용 체력지도라는 부정적인 내용이 서로 상충하는 양상이었다. 3) 방법 측면에서는 게임 중심의 체력 지도와 훈련 중심의 체력 지도가 지도 교사나 교육과정 운영 시기에 따라 혼재되어 나타났다. 4) 평가 측면에서는 결과 중심의 평가, 태도 중심의 평가로 건강 활동의 학습 내용은 부분적인 수준에서 평가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초등체육 건강 활동 수업의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생태학적 관점에서 미시, 매개, 거시적 요인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1) 미시적 요인으로는 건강 활동 수업의 실천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학생과 교사가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학생의 교과인식과 교사의 다양성 및 전문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매개적 요인으로는 미약한 입지의 나열식 교육과정과 학교 관리자 및 학부모의 교육관이 드러났다. 3) 거시적 요인으로는 학교문화와 교육정책이 거론되었으며, 세부적으로는 개인주의 및 성과주의 학교문화와 교사연수 및 아웃소싱 관련 교육정책이 건강 활동 수업의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건강교육 내실화를 위해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개선방안은 교사교육의 강화, 교육적 정체성의 강화, 교육과 정책의 연계성 강화이다. 1) 교사교육의 강화로는 잘 가르칠 수 있도록 배우는 예비교사교육과 체육교과에 대한 긍정적인 마음을 불러일으키는 신체 활동 가치 중심의 현직교사교육이 모색되었다. 2) 교육적 정체성의 강화로는 건강 활동에 대한 철학과 정체성을 탐색하며 건강 활동의 방향을 정립해나가고 건강 활동의 가치를 명료화하는 개선방안이 탐색되었다. 3) 교육과 정책의 연계성 강화로는 학교교육을 아우르는 건강교육과 학교교육을 고려하는 건강정책이 개선방안으로 도출되었다. 위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살펴보면, 첫째, 건강에서 건강 활동 및 건강 활동 수업으로의 교사 인식 변화는 전반적으로 축약의 모습을 띄고 있으며, 국가수준교육과정의 하향식 개발로 인하여 문서적 교육과정의 의도가 교사들에게 제대로 파급되지 못했거나 미흡한 교사교육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건강에서 건강 활동 및 건강 활동 수업으로의 학생 인식 변화 속에서 학생이 건강 활동에 대해 가지는 왜곡이 발견되었으며 건강교육 내실화를 위해서는 학생들의 오개념은 줄여 나가고, 학생들이 이미 건강교육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던 것처럼 긍정적인 부분은 더욱 발현될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셋째, 건강 활동의 실천이 목표, 내용, 방법, 평가의 측면에서 교육과정에 온전히 충실한 형태로 나타나지 않았다는 것은 교육과정에 고시된 건강 활동의 교육적 의미가 학교 현장으로 잘 전달되지 못한 것으로 해석된다. 넷째, 초등체육 건강 활동 지도의 내실화를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살펴본 미시적‧매개적‧거시적 차원의 다양한 요인간의 원활한 의사소통과 조율이 전제되어야 한다. 다섯째, 건강 활동 영역에 대한 교육적 정체성을 강화하고, 건강을 잘 가르치기 위한 교사의 역량을 키우는 교사교육을 실천함과 동시에 교육과 정책의 연계성을 높이는 다양한 측면에서의 동반될 때 초등체육 건강교육의 내실은 현실화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토대로 향후 건강교육의 실천을 위한 측면에서 제언하면, 첫째, 건강교육 내실화를 위한 교사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 둘째,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내에서 건강 활동에 대한 일관성, 통합성, 정체성을 되찾기 위한 노력이 수반되어야 한다. 셋째, 건강교육의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정책을 종합적으로 바라보는 안목이 필요하다. 넷째, 건강 활동의 지도가 본래의 교육적 의도대로 실천되어야 한다. 후속 연구를 위한 측면에서 제언하면, 첫째, 건강 활동의 교육과정 운영 및 실행에 관한 장기적,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학생들이 건강 및 건강 활동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오개념은 무엇이며, 어디에서 연유하게 되는지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셋째, 건강 활동의 지도와 관련된 교사의 지식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넷째, 건강 활동을 잘 지도하기 위한 수업모형에 대한 관심이 촉구된다.

      • 초임교사의 체육 교육과정 실행 전문성 개발을 위한 협력적 탐구공동체의 실천 과정과 효과 탐색

        장경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초등 초임교사의 체육 교육과정 실행 전문성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다수의 초임교사를 대상으로 그들이 필요로 하는 체육 교육과정 관련 실행 맥락을 살펴보고, 이를 기초로 단위 학교의 협력적 탐구공동체 운영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첫째, 체육 교육과정의 전문적 실행을 위한 초임교사의 요구는 무엇인가? 둘째, 초임교사의 체육 교육과정 실행 전문성 개발을 위한 협력적 탐구공동체는 어떻게 구성 및 운영되는가? 셋째, 초임교사의 체육 교육과정 실행 전문성 개발을 위한 협력적 탐구공동체 참여는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넷째, 초임교사의 체육 교육과정 실행 전문성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이다. 연구 방법은 질적 연구의 전통을 바탕으로 구성주의 패러다임과 참여적 실행연구 패러다임을 취하였다. 질적 연구 방법론은 사례 연구로서 2015년 3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총 22개월 동안 실행연구 순환 모형(Kemmis & McTaggart, 1988)에 의거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 교사는 경력 5년 미만의 초임교사 20명으로 이들을 대상으로 사전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고, 그 중 연구자와 같은 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10명과 함께 13개월 동안 협력적 탐구공동체를 운영하였다. 질적 자료는 심층 면담, 수업 관찰, 현지 문서, 현장 일지를 통해 수집되었으며, 자료 분석은 기술, 분석, 해석(Wolcott, 1994)에 따라 단계적, 순환적, 귀납적으로 이루어졌다. 질적 연구의 진실성을 높이기 위해 다각도 분석, 연구 참여자의 검토, 동료 간 협의를 활용하였으며, 연구 윤리 규정을 준수하였다. 이상의 연구 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과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 교육과정의 전문적 실행을 위한 초임교사의 요구는 수업 관리하기, 알고 가르치기, 직접 해보기, 서로 나누고 배우기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주제는 교직 입문기에 겪게 되는 체육 수업 관련 어려움과 결부되어 나타난 것으로 연구 참여자들은 탐구공동체 참여를 통해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수업 관리하기’는 체육 교육과정 실행의 기초적 성격을 띠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알고 가르치기’는 교육과정 실행의 중추를 이루는 내용과 방법적 측면에 있어서의 요구로 도출되었다. 또한, 신체활동을 매개로 하는 체육 교과의 특성상 직접 몸으로 움직이며 참여하는 학습 경험에 대한 요구인 ‘직접 해보기’는 기존의 교사 전문성 개발 연구를 보완할 수 있는 컨텐츠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서로 나누고 배우기’는 자신들이 배우고 있는 것, 가르치고 있는 것에 대하여 나누고 함께 모여 공부할 수 있는 기회를 얻는 것에 대한 요구였다. 공동체 학습에서 참여자의 요구를 확인하는 것은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 방향성 및 내용을 설정하기 위한 필수적인 절차로써 수용될 필요가 있다. 둘째, 협력적 탐구공동체 프로그램은 초임교사의 요구와 기초적인 정보들을 바탕으로 하여 13개월 동안 총 12회차에 걸쳐 운영되었다.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는 초등 현장의 다양한 맥락을 고려하여 체육 교육과정을 이해, 해석하고 반성적, 비판적으로 실행하여 궁극적으로는 교육과정 실행 전문성을 개발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프로그램의 구성 원리는 탐구공동체의 속성과 지향성을 담아 자율적 참여성, 상호적 관계성, 실천적 통합성, 공동체적 책무성, 반성적 탐구성 등 총 5가지로 제시하였다. 탐구공동체 프로그램의 내용 범주는 크게 ‘생각하는 교육과정’ 즉, 교육과정 문서와 이론, 이슈에 대한 워크숍 방식의 학습 과정과 ‘움직이는 교육과정’ 즉, 실제 몸으로 움직이며 신체활동과 마이크로티칭 등을 경험해 보는 과정으로 구성하였다. 한편, 프로그램의 참여 빈도는 3주에 1회씩 수요일 오후 시간을 150분간 할애하였고, 학습 내용은 ‘2009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의 학년군별, 영역별 주제를 선정하여 워크숍의 방식으로 진행하였으며, 수업 지원을 위해 연구 참여 교사의 체육 수업을 멘토링의 형식으로 지원하였다. 셋째, 협력적 탐구공동체의 참여 효과는 체육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이해와 지식이 실행과 어떠한 관계를 맺으며 발현되고 있는가라는 물음에 주목하면서, Cochran-Smith와 Lytle(1999)의 ‘지식-실천의 관계’를 분석틀로 정하여 세 가지 차원에서 설명하고자 하였다. 형식적 지식 차원에서 교육과정 실행 전문성은 교육과정에 대한 이념적, 문서적 의도와 내용을 이해하게 된 것과 연관이 깊은 것으로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제시된 다양한 신체활동을 인식하고 적절한 것을 선별해 내는 감식안 갖기, 다양한 체육과 내용지식 습득하기, 교육과정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친숙하고 긍정적인 인식으로 전환하기 등이 주요 주제로 도출되었다. 실천적 지식 차원에서는 알고 있는 지식을 실천 행위로 전환하는 것과 관련된 것으로 지식과 실천의 간극 좁히기, 교육과정 변주하기, 그리고 보다 적극적인 관점에서의 재구성으로써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에 도전하기 등이 주요 주제로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생성적 지식 차원에서는 교육과정 실행에 대하여 보다 확장되고 변형된 관점을 형성하게 된 것과 관련되는 것으로서 체육이라는 렌즈 안에서 아이들을 발견하게 됨으로써 체육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주체와 관심에 대한 인식이 변화된 점, 교육과정이 지향하는 인간상과 목표를 체육 교과안에서 실현하게 된 점, 그리고 개인적 교육관을 체육 안에서 수용 및 적용하게 된 점이 주요 주제로 드러났다. 넷째, 협력적 탐구공동체는 교사의 학습이 일어나는 과정, 그리고 결과를 발생하는 요인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Clarke과 Hollingsworth(2002)의 전문적 성장의 상관 모델(IMPG)을 분석틀로 설정하였다. 먼저 IMPG에서 상정한 네 가지 영역인 개인 영역, 외부 영역, 실행 영역, 결과 영역을 본 연구의 수행 맥락인 협력적 탐구공동체의 특징에 맞도록 재개념화하였다. 이어서 행위와 반성을 매개로 성립되는 IMPG 영역 간 관계 탐색을 통해 탐구공동체 내에서의 교사의 성장이 직선적 형태나 순차적 변화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 영역 간 양방향의 인과 관계가 고려된 성장망(growth network)의 패턴으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는 교사의 성장이 일회적으로 그치는 것이 아닌 장기간의 성장의 토대가 된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학교 맥락이 탐구공동체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함으로써 IMPG 안에서의 교사의 학습을 뒷받침하고자 하였다. 학교 맥락적 요인으로는 관리자 및 동료 교사의 맥락, 공동체 구성원 간의 호혜적 환경, 공동체를 지원하는 촉진자 요인 등이 도출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한 종합적 논의는 첫째, 초임교사를 위한 협력적 탐구공동체의 구성과 운영은 구성원의 상태를 정확하게 진단하고 요구를 파악하여 프로그램을 구안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하되, 공동체 학습은 전적으로 함께 이야기를 나누는 호혜적 학습 환경, 실제 수업 사례를 바탕으로 한 현장 친화적 학습에 근거해야 한다. 둘째, 체육 교육과정 실행 전문성은 궁극적으로 교사의 지속적 전문성 개발을 위한 유용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으며 동시에 미래 교육환경의 변화 및 교육과정 자율화에 발을 맞추는 출발점이 될 수 있다. 셋째, 단위 학교 교사 공동체는 위계 문화보다는 동등한 집단 문화를 선호하는 교직 문화의 특성에 부합하여 상호보완적 성장을 도모할 수 있으며, 학교의 교육활동과 연장선상에서, 그리고 1년 이상의 장기적 관점에서 접근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교사교육 및 정책을 위한 제언은 첫째, 교과 리더십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각 교과별 전문가(subject leader)의 양성이 필요하다. 둘째, 초등교사 양성기관의 체육 교과 관련 커리큘럼을 보완·정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초임교사를 위한 형식적, 비형식적 차원의 전문성 개발 활동이 증가될 필요가 있다. 넷째, 초등교사의 체육 교육과정 실행, 나아가 체육 수업 전문성 제고를 조력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첫째, 단위 학교 공동체에 관한 연구는 교직문화 연구, 교육행정 연구, 교사 리더십 연구, 조직 효율성 연구와 결합하여 보다 세부적인 논의를 이어나갈 필요가 있다. 둘째, 교사 공동체 연구에서 리더 또는 촉진자의 역할을 규정하고 특성을 밝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교사교육 관련 연구에서 전문적 성장의 상관 모델(IMPG)의 적합성을 규명하고 한국의 맥락에서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하는 연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넷째, 교사의 체육 교육과정 실행이 학생의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심도 있게 고찰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 예비체육교사교육에서 인성 교육의 양상 및 개선 방안

        유경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99

        2009개정 교육과정은 전 교과목에서 인성을 강조해야하며 체육교과 역시 목표, 내용, 방법, 평가의 전 영역에서 전 방위적으로 인성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하지만 교육부는 학교체육에서 인성교육이 잘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며 그러한 주된 원인으로 체육교사를 지목하였다. 교사의 질은 교사교육의 질과 직결된다. 따라서 체육교사가 인성을 가르치지 않는 이유는 예비체육교사교육에서 인성교육을 체계적으로 받지 못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예비체육교사교육에서 인성교육의 양상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체육교사가 인성교육을 실천하기 위해 예비체육교사교육에서 인성교육을 강화하기 위함이다. 사례연구로 진행된 본 연구의 대상은 사범대학교로서 전통이 있으며 임용합격률이 높은 다섯 학교를 선정하여 각 학교의 스포츠 교육학 교사교육자와 체육교사를 희망하는 3~4학년 예비교사 2명을 추천받아 총 5명의 교사교육자와 10명의 예비체육교사로 선정하였다. 자료는 개방형설문지와 심층면담으로 수집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방법을 통해 교사교육의 구성요소인 교사교육자와 예비체육교사의 인식적 측면, 교수-학습적 측면, 교육과정적 측면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예비체육교사교육에서 인성교육의 양상을 살펴보면, 먼저 인식적 측면은 예비체육교사교육에서 ‘인성교육을 강조해야 한다.’는 인식과 예비체육교사교육에서 ‘인성교육을 강조할 필요가 없다.’는 인식이 양립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교수-학습적 측면은 학습화, 사회화, 운동화로 나타났다. 학습화는 이야기, 영상, 사례를 통해 인성이 필요한 이유를 머리뿐만 아니라 마음으로 이해시키고 질문, 글쓰기, 인문소양을 통해 자신의 인성을 되돌아보게 하여 성찰시키는 것이다. 사회화는 협동학습, 토론을 통해 성찰한 인성을 실천할 수 있도록 하며 인간관계 속에서 교사교육자가 예비체육교사에게 관심 갖기, 관계 맺기, 용기 갖기, 본보기 되기를 실천하여 예비체육교사의 인성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운동화는 스포츠 인문적 활동, 인성을 강조한 체육수업모형을 적용하여 운동과 함께 인성을 함양하도록 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교육과정적 측면은 교양과목, 전공과목, 교직과목으로 구분되었다. 교양과목은 다양한 학문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전공과목은 체육교사전문성을 교직과목은 교사전문성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예비체육교사교육에서 인성교육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먼저 인식적 측면은 인성이 변하지 않을 것이라는 고정관념, 지식과 인성이 분리된 사고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교수-학습적 측면은 학습화 부족, 사회화 부족, 운동화 부족으로 나타났다. 학습화 부족은 교육내용에 인성이 포함되지 않아 교육방법으로 이해시키기와 성찰시키기가 활용되지 않았다. 사회화 부족은 학습자 중심이 아닌 교수자 중심으로 수업이 진행되어 실천시키기가 활용되지 않았다. 또한 교사교육자가 인성보다는 지식에 중점을 두어 좋은 인성의 본보기보다 잘 가르치는 교사의 본보기를 보여주었다. 운동화 부족은 운동을 통해 스포츠 문화 속으로 입문시키기보다 더욱 정교한 운동기능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육과정적 측면의 문제점은 분리교육과 무늬만 위원회로 나타났다. 예비체육교사교육은 교사로서의 지식, 기능, 태도를 따로 가르치며 소수과목에서만 태도를 가르쳤다. 이러한 문제를 다루는 교육과정 위원회는 인성의 개념이 모호하다는 이유로 아무런 대책도 마련하지 않았다. 셋째, 예비체육교사교육에서 인성교육의 개선방안을 살펴보면, 먼저 인식적 측면은 인성교육을 통해 자연스럽게 인성의 필요성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교수-학습적 측면은 모든 수업에서 학습화와 사회화를 활용하며 특히 실기수업에서 운동화를 활용한다. 학습화를 위한 방법으로 인성요소 명료화, 인성개념 설명, 영상, 질문, 글쓰기 과제, 인문적 활동 등이 있다. 사회화를 위한 방법으로 협동학습, 토론, 역할부여, 현직교사와 면담, 학생 지도록 작성, 좋은 인성의 본보기 등이 있다. 운동화를 위한 방법으로 스포츠 문화로 입문, 인성을 강조한 체육수업모형(책임감 모형, 스포츠교육모형, 하나로 수업모형)적용 등이 있다. 마지막으로 교육과정적 측면은 체육교사론, 현장참관, 배운 이론을 실천할 수 있는 과목, 교사로서의 지식, 기능, 태도를 모두 배울 수 있는 과목을 개설한다. 예비체육교사교육에서 인성교육을 위한 교육 및 연구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성을 강화하기 위한 예비체육교사교육은 교사교육자에게 인성교육방법을 제공, 모든 과목에서 교사로서의 지식, 기능, 태도를 통합하여 가르칠 수 있도록 과목을 개설, 교수-학습 동안 적극적인 학습화, 사회화, 운동화의 활용 등이 있다. 둘째, 예비체육교사교육에서 인성을 강화하기 위한 후속연구는 예비체육교사교육에서 인성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과정과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연구, 교사교육자를 위한 인성교육에 대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연구가 필요하다.

      • 중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의 분석을 통한 체육수업의 개선방안

        박우호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99

        국문초록 중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의 분석을 통한 체육수업의 개선방안 박 우 호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과 본 연구는 해방이후부터 2007년에 발표된 개정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체육교육과정과 관련된 내용들을 분석해보고 이를 통하여 앞으로 중등학교의 체육수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학교에서 체육교육이 제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의 분석을 통한 체육수업의 개선방안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렸다. 첫째, 체육교육이 제자리를 찾아가기 위해서는 체육교육에 관한 정체성이 확립되어야 한다. 둘째,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기 위하여 체육수업은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셋째, 결과중심의 단조로운 평가방식에서 탈피하여 다양한 평가도구들이 활용될 수 있는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변화하는 수업환경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체육교사의 적극적인 역할모색이 필요하다. 이러한 결론을 바탕으로 체육교육이 스스로 반성하고 변화를 주도할 수 있다면 최근 교육계의 교육과정 개정에 관한 논의와 예체능 교과의 평가방식 전환에 대한 논란은 오히려 우리에게 새로운 도전의 기회가 될 수 있다. 또한 지금의 위기상황이 전화위복이 되어 체육교과의 정상적인 운영과 가치의 극대화를 재고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M. A. Thesis The Method of Improvement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by Analyzing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n Secondary School Park, Woo-Ho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Yeungnam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Kim, Dong-Kyu) ABSTRACT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right way that physical education in school has to head for by analyzing all of the curriculum since the Liberation and indicating the direction that physical education class in Secondary School is going to proceed. The result of this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the identity of physical education has to be established to set it back into place. Second, various kinds of teaching method should be applied to induce students' interest. Third, diverse assessment tools should be used to move away from result-based evaluation. Finall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need positive attitude to search for a role of accepting rapid-changing education environment. Based on this conclusion, current controversial issues on curriculum revision and evaluation method change in arts and physical education can be an opportunity to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f the physical education can reflect itself and lead the transition.

      • 고등학교 체육교사의 체육수업전문성 탐색 : 교사의 인식, 개발 노력, 저해요인 및 극복조건

        홍진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6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physical education professionalism of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development efforts to foster physical education teaching professionalism in high school, and to explore obstacles and overcoming conditions in the process.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 for this purpose is: First, what is the physical education teaching professionalism of high schools recognized by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econd, what efforts do P.E. teachers make to develop the professionalism of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ird, what are the obstacles to the development of physical education professionalism in high school and the conditions for overcoming it? The research method is a qualitative narrative study based on the interpretivism paradigm, and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12 months from July 2020 to June 2021. The 15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high schools who were studied used "purposive sampling" to obtain more information about the teaching professionalism of physical education in high schools. The criteria for selecting research participants were first selected as teachers who have been in high school for more than three years. Second, they considered whether they have developed physical education expertise through activities such as physical education teacher learning community(TLC), and graduate courses. Finally, we tried to secure diversity of research participants by considering gender, career, and region. Finally, a total of 15 research participants were selected, including five teachers in their 10th or younger year, five teachers in their 11th and 15th year, and five teachers in their 16th or older.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combining face-to-face or remote and local documents, and analyzed through the process of descrip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e data presented by Wolcott (1994). In an effort to enhance the trustworthiness of the study, I actively utilized triangulation, member checks, and peer debriefing, and was approved by CITI research ethics program and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IRB. The results and discus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hysical education professionalism of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as derived from three aspects: ‘Curricular professionalism’, ‘Career and guidance prefessionalism’and ‘Life-linked professionalism’. Curricular professionalism was subdivided into‘Ideological dimension’ of “clear teaching philosophy”, ‘Documentary dimension’ of “understanding curriculum documents”, and ‘Practical dimension’ of “learner-centered teaching”. The ideological dimension of curricular professionalism was embodied in sharing the philosophy of teachers' classes with students, clearly presenting the rules of classes, and documentary level curricular professionalism with clear understanding of national level, regional level, and school level curriculum documents. The practical dimension of curricular professionalism was appearing as learners becoming the main body of class management and emphasizing learners' inner motivation. Secondly, career and guidance professionalism was re-divided into “professionalism of physical education career” and “prefessionalism of observation and recording”. “professionalism of physical education career” was found to be a professionalism to practice physical education for all students, as well as students who pursue a career path, and “prefessionalism of observation and recording” was found to be a professional ability to evaluate and record students' qualitative capabilities. Thirdly, “life-linked professionalism” was subdivided into “Physical Education in Life: Link to Sports in Life” and “Life in Physical Education: Link Sport value into Life”. In order to link physical education classes to student’s whole life, the participating teachers tried to give students a positive image of physical education, provide life-long sport activities, and practice classes in conjunction with local sports resources. It also sought to address the value of life contained in sports activities, transfer it to the lives of students, and to promote the full-fledged growth of students by looking at sports as a culture and teaching them as a “whole person”. Second, efforts to develop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professionalism have been shown within each professionalism in a total of four dimensions, based on formal-unformal dimensions(Akiba, 2012) and personal-social dimensions. Formal-personal efforts to develop curricular professionalism included “graduate studies” and “participating training programs”at the formal-social dimension, “curriculum study” at the formal-social dimension, “non-formal-personal efforts” and “student opinion reflection” at the informal-social dimension. For formal and personal efforts to develop career and guidance professionalism, “writing materials or entrance examinations”. “Exploring information on entering schools” such as participating in lectures, “sharing examples of students recording” and “experience homeroom teacher of 3rd level classes” were being conducted in formal and social efforts. Unformal and personal efforts for life-linked expertise were being made by “teachers as role models”, “study in various fields,” and “participation in daily sports.” Third, the conditions for overcoming the obstacles and limitations of the development of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professionalism were subdivided into three aspects: Endemic, Institutional, and Personal. First, endemic obstacles consist of intra-PE factors and extra-PE factors. Intra-physical factors such as “difficulty in consulting with fellow teachers” and “simple and decontextual evaluation”, and extra-physical factors such as “school culture focused on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ubjects” and “interference of school manager”. It recognized that “cooperation with fellow teachers” and “improvement of the education professional system” were necessary as conditions to overcome this obstacles. Second, institutional obstacles included “school athletic club administrative work”, “problems in curriculum system”, and “temporal and spatial constraints” such as facilities and class hours. Overcoming conditions to improve institutional disruptions included “reduction of administrative work”, “appropriate compensation”, “expansion of facilities and equipments”, and “utilization of spare time”. Personal obstacles were revealed to be “deteriorated mannerism and willpower” and “difficulty in work-family compatibility”, and conditions for overcoming were recognized as “stimulation of fellow teachers” and “personal efforts to harmonize home and work” were recognized. Summarizing the discussion so far, first of all, this study takes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derives professionalism in consideration of the context of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not of general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particular, career and guidance professionalism and life-linked professionalism are the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Second,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pecifically presents the professional elements that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need to have in order to understand intuitively and apply them easily to actual teaching practice and improvement. Finally, as a suggestion for field practice, First, sharing and exchange of teaching experience and opinions through cooperative activities such as teacher learning communities(TLC) should be activated in order to develop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ing professionalism and overcome obstacles in the process. Second, among the aforementioned obstacles, institutional, administrative, policy and institutional changes must be made because it is difficult for individual teachers to change. Third, in-service teacher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in high schools to develop physical education teaching professionalism suitable for the context of high schools. As a suggestion for follow-up research, First,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improve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order to continue a positive attitude toward physical activity formed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in high schools. Second, research is needed to verify how it works in real teaching situations when developing and practicing the professional elements presented in this study. Third, since the study was conducted only on general high schools, it is necessary to study how physical education professionalism in various types of high schools. 본 연구는 고등학교 체육교사의 체육수업전문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고등학교에서의 체육수업전문성 함양을 위한 개발 노력과, 그 과정에서의 저해요인 및 극복 조건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첫째, 고등학교 체육교사가 인식하는 고등학교에서의 체육수업전문성은 무엇인가? 둘째, 고등학교 체육수업전문성 개발을 위해 어떠한 노력을 기울이는가? 셋째, 고등학교 체육수업전문성 개발의 저해요인과 극복을 위한 조건은 무엇인가? 이다. 연구 방법은 해석주의 패러다임에 근거한 내러티브 연구로 2020년 7월부터 2021년 6월까지 총 12개월 동안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인 15명의 고등학교 체육교사는 고등학교의 체육수업전문성에 대한 보다 풍부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목적 표집(purposive sampling)을 활용하여 모집하였다. 연구 참여자 선정의 기준은 첫째, 고등학교에서 3년 이상 재직 중인 교사로 선정하였으며, 둘째, 체육수업연구회, 체육교과연구회, 스포츠교육 대학원 과정 등의 활동을 통해 체육수업전문성을 개발한 경험이 있는지 여부를 고려하였다. 마지막으로 성별과 경력, 지역을 고려하여 연구 참여자의 다양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최종적으로 10년차 이하 교사 5명, 11~15년차 교사 5명, 16년차 이상 교사 5명 총 15명의 연구 참여자가 선정되었다. 연구 자료는 대면과 원격을 병행한 개별 심층 면담과 현지 문서를 통해 수집되었으며, Wolcott(1994)이 제시한 자료의 기술, 분석, 해석의 과정을 거쳐 분석하였다. 연구의 진실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으로 삼각 검증, 연구 참여자 간 검토, 연구자 동료 간 협의를 적극 활용하였으며, CITI 연구윤리교육과 서울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IRB)의 심의를 승인받아 연구의 윤리 규정을 준수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체육교사의 체육수업전문성은 ‘교육과정 전문성’, ‘진로진학 전문성’, ‘삶 연계 전문성’의 세 가지 측면으로 도출되었다. 첫 번째로 도출된 교육과정 전문성은 다시 ‘뚜렷한 수업 철학’의 이념적 수준, ‘교육과정 문서에 대한 이해’의 문서적 수준, ‘학습자 중심의 수업 운영’의 실천적 수준으로 세분화되어 나타나고 있었다. 이념적 수준의 교육과정 전문성은 교사의 수업 철학을 학생과 공유하고, 수업의 규칙을 명확하게 제시하는 것으로 구체화되었고, 문서적 수준의 교육과정 전문성은 국가 수준, 지역 수준, 학교 수준의 교육과정 문서에 대한 명확한 이해로 구체화되었다. 실천적 수준의 교육과정 전문성은 학습자가 수업 운영의 주체가 되고, 학습자의 내적 동기를 강조하는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두 번째로 도출된 진로진학 전문성은 ‘체육진로교육 전문성’과 ‘교과세특기록 전문성’으로 다시 구분되었다. ‘체육진로교육 전문성’은 체육 관련 진로를 희망하는 학생뿐만 아니라,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체육진로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전문성으로 나타났으며, ‘교과세특기록 전문성’은 일시적인 관찰이 아닌, 꾸준한 관찰과 기록을 통해 학생의 진로와 연계하여 학생의 정성적 역량을 평가하고, 기록할 수 있는 전문성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세 번째로 도출 된 체육수업전문성인 삶 연계 전문성은 ‘삶 속의 체육: 생활체육으로의 연계’와 ‘체육 속의 삶: 체육활동과 삶의 연계’로 세분화되었다. 연구 참여 교사들은 생활체육과 체육수업의 연계를 위하여 고등학교 체육수업을 통해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체육의 이미지를 심어주고, 생활체육 종목 중심으로 수업 내용을 선정하며, 지역사회의 체육활동 자원과 연계하여 수업을 실천하고자 하였다. 또한 체육활동 속에 담긴 삶의 가치를 다루고, 이를 학생들의 삶에 전이시키고자 하였으며, 스포츠를 하나의 문화로 바라보고 총체적으로 가르침으로써 학생의 전인적 성장을 꾀하였다. 둘째, 고등학교 체육수업전문성의 개발을 위한 노력은 각각의 전문성 안에서 형식적-비형식적 차원(Akiba, 2012)과 개인적-사회적 차원을 기준으로 총 4개의 차원으로 구분되어 나타났다. 교육과정 전문성의 개발을 위한 형식적-개인적 차원의 노력으로는 ‘대학원 공부’와 ‘연수’가, 형식적-사회적 차원의 노력으로는 ‘교육과정연구회’, ‘체육수업연구회’와 같은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이, 비형식적-개인적 차원의 노력으로는 지속적인 ‘수업 성찰’과 ‘학생 의견 반영’이, 비형식적-사회적 차원의 노력으로는 동료 교사와의 일상적 소통 속에서의 ‘수업 아이디어 공유’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진로진학 전문성 개발을 위한 형식적-개인적 차원의 노력으로는 진학지도자료를 집필하거나 입시요강 설명회에 참여하는 등의 ‘진학정보 탐색’이, 형식적-사회적 차원의 노력으로는 ‘세특작성 예시 나눔’과 ‘체대입시연구회’ 같은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이, 비형식적-개인적 차원의 노력으로는 ‘고3 담임 경험’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삶 연계 전문성을 위한 비형식적-개인적 차원의 노력으로는 ‘롤 모델로서의 교사’와 ‘다양한 분야의 공부’, ‘생활체육에의 직접적 참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셋째, 고등학교 체육수업전문성 개발의 저해요인과 저해요인 극복을 위한 조건은 풍토적 요인, 제도적 요인, 개인적 요인의 세 가지 측면으로 세분화되었다. 풍토적 저해요인으로는 ‘동료교사와의 협의의 어려움’, ‘단순하고 탈맥락적인 평가’와 같은 ‘체육교과 내적 요인’과, ‘입시과목 위주의 학교 문화’, ‘관리자의 간섭’과 같은 ‘체육교과 외적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조건으로는 ‘동료교사와의 협력’과 ‘교육전문직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제도적 저해요인으로는 ‘학교 운동부 업무’와 ‘교육과정 운영의 문제점’, 시설 및 수업 시수와 같은 ‘시공간적 제약’이 나타나고 있었다. 제도적 저해요인을 개선하기 위한 극복 조건으로는 ‘행정업무의 감축’, ‘적절한 보상’, ‘시설 및 교구의 확충’, ‘자투리 시간의 활용’이 제시되었다. 개인적 저해요인으로는 ‘매너리즘과 의지 저하’, ‘일-가정 양립의 어려움’이 드러나고 있었으며, 극복을 위한 조건으로는 ‘동료교사의 자극’과 가정과 업무의 조화를 위한 ‘개인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연구의 결과를 종합한 논의로는 첫째, 본 연구는 고등학교 체육수업의 특성을 고려한 연구로, 일반적인 체육수업의 전문성이 아닌, 고등학교 체육수업의 맥락을 고려한 전문성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특히 진로진학 전문성과 삶 연계 전문성은 고등학교 체육수업의 특징이 가장 잘 드러난 전문성 요소라 할 수 있다. 둘째, 현장의 교사가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실제 수업 실천과 수업 개선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하여 고등학교 체육교사가 갖추어야 할 전문성 요소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현장 실천을 위한 제언으로는 첫째, 고등학교 체육수업전문성을 개발하고, 그 과정에서의 저해요인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교사학습공동체와 같은 협력적 활동을 통한 수업 나눔과 의견 교환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둘째, 앞서 제시되었던 저해요인 중 제도적 저해요인은 교사 개인이 변화하기 어렵기 때문에, 행정적, 정책적, 제도적 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고등학교에 근무하는 체육교사를 대상으로 고등학교의 맥락에 적합한 체육수업전문성을 개발하기 위한 현직교사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첫째,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형성한 체육활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고등학교에서 이어나가기 위해 고등학교 체육수업의 개선을 위한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전문성 요소를 개발하고 실천하였을 때 실제 수업 상황에서 어떠한 효과를 발휘하는지 검증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일반고, 인문계고만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기 때문에 특목고, 특성화고와 같은 다양한 유형의 고등학교에서의 체육수업전문성은 어떠한 모습으로 나타나는지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 중국 예비체육교사 인성교육 전문성 함양 현황 및 개선 방안 탐색 : 교육부 직속 사범대학을 중심으로

        서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51

        체육은 인성교육의 큰 바탕이 되는 교과다. 체육이 인성교육의 바탕이 되기 위해서는 먼저 체육교사의 인성교육이 선행되어야 한다. 체육교사의 직업사회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예비체육교사 시기가 중요하다. 예비체육교사 시기의 인성교육 전문성에 대한 전반적 이해는 인성교육의 큰 바탕으로서 체육교과의 시발점을 탐색하는 데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는 중국의 예비체육교사 인성교육 전문성 함양의 현황을 살펴보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중국 교육부 직속 사범대학을 사례로 인성교육 전문성 함양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내용, 방식, 영향요소를 자세하게 살펴본다. 연구문제는 세 가지다. 첫째, 중국 교육부 직속 사범대학 예비체육교사들의 인성교육 전문성 함양은 어떤 내용과 방식으로 이루어지는가? 둘째, 중국 교육부 직속 사범대학 예비체육교사들의 인성교육 전문성 함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중국 교육부 직속 사범대학 예비체육교사교육에서 인성교육 전문성 함양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은 무엇인가? 연구방법은 질적 패러다임에 근거하여 복합사례연구방법론을 선택하였다. 2018년 7월부터 2020년 6월까지 총 23개월 간 연구를 수행하였다. 3개의 교육부 직속 사범대학 체육교육과를 연구 사례(이하 “ㄱ대학”, “ㄴ대학”, “ㄷ대학”으로 지칭)로 하여, 유목적적 선정 방법에 따라 체육교사교육자 8명, 예비체육교사 11명, 현직체육교사 3명을 최종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자료는 문헌 분석 및 사례 조사, 면담, 비참여 관찰, 현지 문서, 개방형 설문지를 통해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 및 해석으로는 NVivo11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Stake(1995)의 범주적 집합(categorical aggregation), 직접 해석(direct interpretation), 패턴 만듦, 자연주의적 일반화(naturalistic generalization) 절차를 충실히 따랐으며, 코딩 단계에서는 Struass(1987)가 제시한 개방형 코딩, 축 코딩, 선택적 코딩의 단계를 준수하였다. 연구의 진실성 확보를 위해 삼각검증, 연구 참여자 검토, 동료 간 협의를 거쳤다. 이상의 연구 과정을 통해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되었다. 첫째, 예비체육교사 인성교육 전문성 함양의 내용과 방식은 다음과 같다. 사례로 연구한 3개 대학 전부에서 인성교육 전문성 함양 내용으로 교육철학 및 신념, 개인 도덕적 품성, 교과 인성교육 실천이 강조되었다. ㄱ대학에서는 이에 더하여 애국지(爱国志)가 추가되는 특성을 보였다. 함양 방식은 3개의 대학이 각각의 특색을 드러냈다. ㄱ대학의 함양 방식은 교육과정, 사상정치식 수업(课程思政), 인성친화적 환경 조성, 체험활동으로 나타났다. ㄴ대학의 함양 방식은 교육과정, 국가교사자격증시험, 체험활동으로 나타났다. ㄷ대학의 함양 방식은 교육과정, 민족전통체육, 사상정치식 수업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체육교사 인성교육 전문성 함양의 영향 요인은 다음과 같다. ㄱ대학에서는 인적 요인으로 교사교육자, 전공 종목 지도교수, 지도원, 동기 및 기숙사 친구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환경 요인으로는 정부 요인, 사회 요인, 학교 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ㄴ대학은 인적 요인으로 교사교육자, 교육실습 멘토지도교사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체험활동 요인으로는 국제 및 국내 학회 참석, 교육실습 프로그램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환경 요인으로는 물리적 환경 조성, 정의적 환경 조성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ㄷ대학은 인적 요인으로 교사교육자, 예비체육교사 자기반성, 기숙사 친구, 학과 관리자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체험활동 요인으로 사회봉사 활동, 당원 활동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교육과정 요인으로 복수전공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예비체육교사 인성교육 전문성 함양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먼저 문제점으로는 체육교사교육 표준체계, 교사교육자, 교육과정 실행, 예비체육교사의 인성교육 실천 역량 함양 부족, 예비체육교사의 반성적 수업 성찰 능력 함양 부족, 인성교육 평가 실행의 어려움이 탐색되었다. 개선 방안으로는 체육교사교육 표준체계 개발 및 인성교육 전문성 추가, 교사교육자에 대한 노력 경주, 교육과정 개선, 예비체육교사 인성교육 실천 역량 함양 강화, 예비체육교사 반성적 수업 성찰 능력 함양 강화, 예비체육교사 인성 평가 실행, 가정 학교 지역사회 인성교육 공동체 문화 풍토 구성으로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최초로 인성교육 전문성의 개념으로 접근한 경험적 연구로서 비도덕 교과 교사교육에서 예비교사의 인성교육을 수행하는 중요성을 강조하는 교육적 의미를 갖는다. 연구 결과 바탕으로 예비체육교사 인성교육 전문성 함양 과정에 중국 사회의 특징으로 인한 중앙집권적 하향하달식 교육 시스템과 중국 맥락의 인성교육 개념(대덕육과 소덕육) 그리고 ‘사상정치식 수업’이 현재 예비체육교사 인성교육 전문성 내용 함양의 저해 요인으로 작동될 수 있는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하향하달식 교육 시스템에서 대덕육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사상정치식 수업이 순수한 도덕 교육 즉 소덕육(배려, 정의, 겸손) 함양의 저해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숙고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중국 맥락에서의 인성교육 저해요인을 이해하는 훌륭한 교사교육자가 각 교과목 유형의 연계성과 통합성을 고려하여 예비체육교사의 인성교육 전문성을 함양해야 한다는 중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교육부 직속 사범대학 인성교육 전문성 함양의 내용은 특정 인성교육 전문성 영역에 편중되어 있어 인성교육 전문성 영역을 충분하고 균형 있게 다루지 못하고 있다. 특히 인성교육 실천 영역을 제대로 다루지 못하고 있다. 둘째, 예비체육교사 인성교육 전문성 함양은 인성교육과 학습에 관한 이론적 틀과 다양한 구체적 실천 방법이 요구된다. 셋째, 예비체육교사 인성교육 전문성 함양은 유기적으로 운영되는 프로그램 내에서 가르치는 교사교육자의 솔선수범이 가장 중요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아래와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인성교육 전문성 함양을 실행하는 주체자인 교사교육자를 위해 체육교과에서의 인성교육 중요성과 방법에 대한 인지가 요구된다. 둘째, 인성교육을 중심으로 한 체계성과 연결성이 높은 프로그램의 구성과 운영이 아주 중요하다. 셋째, 체육교사 인성교육 전문성 함양을 위한 정책적 도움과 지원이 요구된다. 또한 후속 연구를 위해서는 체육교육철학에 대한 탐구를 바탕으로 한 체육교육의 목적 재정립, 실제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연구 진행, 더욱 풍부한 사례 연구를 위한 기타 교육부 직속 사범대학을 포함한 연구가 필요하다. This thesis explores how expertise in the character education of pre-service PETE at colleges of education in China is accomplished, determines what factors influence this education, identifies the issues with the current state of education, and explores methods for improvement. The first point of inquiry is: What are the curricula and teaching methods used in the cultivation of expertise in the character education of prospectiv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t Chinese universities under the Ministry of Education? Second, what factors influence the cultivation of expertise in the character education of pre-service PETE at colleges of education under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ird, what are the problems and how can we improve the cultivation of expertise in the character education of prospectiv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t universities under the Ministry of Education?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a qualitative case study over a period of 23 months from July 2018 to June 2020. The study included three different schools of physical education overseen by the Chinese Ministry of Education. Using purposeful selection methods, 8 educators of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s, 11 pre-service PETE, and 3 incumbent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Data was collected via literature analysis and case studies, interviews, non-participant observation, local documents, and open questionnaires. The data analysis and analysis phase utilized NVivo 11 and faithfully followed the categorical aggregation, direct interpretation, patterning, and naturalistic generalization procedures outlined in Stake (1995). The coding phase followed the open, axial, and selective coding phases outlined in Strauss (1987). In order to ensure the veracity of the research, triangulation, participant review, and peer-to-peer consultation were also conducted. The findings from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ith regards to the curricula and methods used for cultivating the expertise of character education for pre-service PETE, we found that the curricula for School 1 included: pedagogy and beliefs, patriotism, personal moral character, and practicing character education. School 2’s curricula included: pedagogy and beliefs, personal moral character, and practicing character education. And for School 3, the curricula were: pedagogy and beliefs, personal moral character, and practicing character education. With regard to the teaching methods used for cultivation, we found that School 1 used the following methods: curriculum, ideological and political education in curriculum, creating an environment friendly to individuality, and hands-on activities. For School 2, these were: curriculum, the national teacher’s certification examination, and hands-on activities. And the methods used by School 3 included: curriculum, traditional ethnic sports, and ideological and political education in curriculum. Seco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ultivation of character education expertise for pre-service PET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human factors for School 1 were: instructor educators, academic advisors, mentors, fellow students, and dormitory friends. The environmental factors for School 2 were: governmental factors, social factors, and school factors. For School 2, the human factors were: teacher educators and teacher training mentors. Hands-on activity factors included: attending international and domestic conferences and educational training programs. Environmental factors included the physical and political environments. For School 3, the human factors were: teacher educators, pre-service PETE’ self-reflections, dormitory friends, and department managers. For hands-on activity factors, these included community volunteer activities and political party activities. Third, the problems and measures for improving the cultivation of the character education expertise of pre-service PET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oblems that were identified are: the standardization system for the education of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s, teacher educators, curriculum execution, lack of practice in character education for pre-service PETE, lack of quality reflection in self-reflection classes for pre-service PETE, and difficulties in evaluating the instruction of character education. With regard to ways education might be improved, several measures were identified. These included: development of a standardized system for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improvement of character education expertise; increased effort by teacher educators; improvements in the curriculum; increasing the opportunities to practice character education for pre-service PETE; increasing the ability of prospectiv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o reflect in class; character evaluation for pre-service PETE; and the composition of the culture climate of the character education in the home school community. In summary, this study is the first empirical study that has approached the concept of character education, and as such, has significance in that it emphasizes the role of character education in the education of prospective educators in amoral subjects. Secondly, we conclude that the top-down education system of a centralized power could act as a hindrance to the cultivation of expertise character for current pre-service PETE. Third, the curriculum structure for character education is mainly designed for political purposes, so the curriculum for cultivating pure virtue is insufficient. The effects on the cultivation of pure virtue by character cultivation conducted via ideologically and politically driven courses must be taken into account. Fourth, we conclude that curriculum is a key factor for the cultivation of expertise of character for pre-service PETE, and that human factors are the main factors. Furthermore, the most significant among human factors is the lack of expertise of teacher educators in the education of character—the main problem being that the curriculum is not linked to the cultivation of character education by the instructor. An ideal teacher should teach implications of teaching methods that consider the connection and integration of each subject.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made. First, for the cultivation of character education of teacher educators, it is suggested that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character education in physical education and the methods of character education be required. Second, we present the importance of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programs with high systemization and connection as it relates to character education. Third, it is suggested that policy and funding be provided for the cultivation of expertise in character development education for pre-service PETE. Lastly, as a suggestion for further academic research, we urge for a reaffirmation of the purpose of physical education, as well as research into the execution and development of programs and continuous research that includes other departments of education under the Ministry of Education.

      • 초등학생 스포츠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체육 친화적 학급운영 실행연구

        최재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51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스포츠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체육 친화적 학급운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실행연구를 통해 학교 현장에 적용 후, 그 효과를 탐색하고 스포츠 리터러시 함양에 미친 요인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초등학생 스포츠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체육 친화적 학급운영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성되고 실천되는가, 둘째, 체육 친화적 학급운영을 통해 함양된 스포츠 리터러시는 학생들에게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셋째, 학생들의 스포츠 리터러시 함양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무엇인가로 설정하였다. 연구는 질적 연구의 방법으로 2018년 2월부터 2019년 7월까지 총 17개월 동안 진행되었다. 연구의 절차는 선행연구 및 문헌 분석, 연구 주제 선정, 연구 문제 형성, 연구 계획 수립, 연구 참여자 선정, 자료 수집, 자료 분석, 해석 및 결론 순으로 이어졌다. 연구 참여자는 정규 교육과정 중에 이루어지는 연구이므로 연구자가 지도하는 학급의 모든 학생들이며, 그 중 유목적 표집법을 사용하여 신체활동 참여 및 수준이 다양한 남학생 5명, 여학생 4명 총 9명을 연구 주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개방형 설문조사, 심층면담, 참여관찰, 현지문서(체육 일기, 체육 감상문, 체육 활동지) 등으로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범주분석의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 후 구성원 간 검토, 동료 간 협의, 삼각 검증법을 거쳐 연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에게 윤리적인 문제와 불이익이 발생하지 않도록 연구윤리를 유의 및 준수하며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초등학생 스포츠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체육 친화적 학급운영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6가지 구성 원리를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1)내용적 측면으로는 통합성과 다양성의 원리, 2)실행적 측면으로는 연계성 및 지속성의 원리, 3)참여적 측면으로는 자율성 및 협동성의 원리가 적용되었다. 이와 같은 원리를 기반으로 학급운영의 주요 요소인 수업, 생활, 환경에 맞는 각 프로그램이 개발되었고 서로 연계되어 실행될 수 있도록 하였다. 1)체육 중심 융합 수업은 주제 기반 설계 모형을 기반으로 체육 영역별 프로젝트 수업으로 구성되었으며, 체육 교과를 중심으로 체육 영역 내 통합, 체육과 타 교과 간 융합, 체육과 창의적 체험활동과의 연계를 통한 다양한 서사적 체험이 가능하도록 교육과정 재구성 과정을 거쳤다. 2)체육 중심 학급 생활은 ①체육 아침활동, ②체육 문학활동, ③체육 모둠활동의 세부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으며 각각 운동능, 운동지, 운동심의 실천 및 촉진이 가능하도록 계획되었다. 3)체육 친화 학급 환경 프로그램은 ①스포츠 자료터, ②스포츠 학급문고, ③스포츠 게시판의 세부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으며 각각 운동능, 운동지, 운동심의 함양을 지원하도록 계획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생활과 환경 프로그램은 모두 체육 중심 융합 수업과 연동 되도록 구성되었다. 둘째, 체육 친화적 학급운영을 통해 함양된 스포츠 리터러시의 효과는 1)전인적 차원의 발달이며 이는 ①능향유의 실천, ②지향유로 심화, ③ 심향유를 통한 성장의 모습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능향유의 실천 모습은 운동 참여시간의 증대, 높아진 운동기량, 다양해진 운동 참여 방법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지향유로의 심화 모습은 운동에 관한 지식 증가, 운동을 활용한 지식의 습득, 운동을 통한 지식을 생산하는 모습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심향유로의 성장은 체육에 관한 흥미와 관심 증가, 체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 체육을 통한 내면의 성장 모습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스포츠 리터러시 함양의 또 다른 효과는 2)문화로서의 체험 증가이다. 이는 ①교실 문화로 공유되는 체육, ② 교실 밖으로 전이되는 체육의 모습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교실 문화로 공유되는 체육은 학생들이 틈새 시간을 체육 활동으로 주로 보내는 모습을 통해서, 체육으로 하나가 되는 공동체 모습을 통해 확인되었다. 교실 밖으로 전이되는 체육의 모습은 초등체육이 가지고 있는 낭만의 성격을 넘어 배움의 길로 체육을 발전시키는 모습, 체험을 넘어 문화생활로서 향유되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스포츠 리터러시 함양의 마지막 효과는 3)체육 친화적 학급운영 속에서 성장하는 공동체의 모습이다. 체육 친화적 학급운영 동안 학생들 간, 학생과 교사 간 지속적 교류를 통해 강한 유대감이 형성되었으며, 이는 동반 성장을 이끄는 강력한 힘이 되었다. 그러한 유대감 속에 학생들은 학급운영의 주체와 배움의 주체로 성장할 수 있었으며, 교사는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진행을 통해 교육과정의 개발자, 학습의 촉진자로 한 단계 성장할 수 있었다. 셋째, 학생들의 스포츠 리터러시 함양에 영향을 미친 체육 친화적 학급운영 요인은 1)개인별로 다양화되는 교육목표, 2)지속적이고 다양한 기회가 주어지는 교육방법, 3)결과가 아닌 도전의 과정을 중시하는 교육평가, 4)도전을 자극하고 지원하는 교육환경, 5)나를 지켜보고 함께하는 학급친구, 6)자율성을 지원하고 신뢰 있는 담임교사로 총 6가지 요인이 나타났다. ‘개인별로 다양화되는 교육목표’는 학생들이 개개인의 수준에 맞는 다양한 목표를 설정함으로써 지속적 참여가 일어날 수 있도록 하였다. ‘지속적이고 다양한 기회가 주어지는 교육방법’은 수업, 생활, 환경이 서로 연계된 가운데 장기간 지속적으로 도전할 수 있고 다양하고 자율적인 참여가 가능하게 하여 학생들의 능동적 참여를 촉진하였다. ‘결과가 아닌 도전의 과정을 중시하는 교육평가’는 단발성이 아니라 수업, 생활, 환경과 연계하여 지속적인 참여 속에서 평가 받을 수 있도록 하여 학생들의 동기를 부여했다. ‘도전을 자극하고 지원하는 교육환경’은 수업에서 학습한 것들을 생활 속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하여, 지속적 경험과 창의적 경험으로 이끌었다. ‘나를 지켜보고 함께하는 학급친구’는 때로는 경쟁자로서 발전을 촉진하고, 때로는 동반자로서 협동하여 공동체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마지막으로 ‘자율성을 지원하고 신뢰 있는 담임교사’는 학생과 교사 사이에 강한 라포 형성을 가능하게 하고, 학생들의 주체적 참여를 보장해 스포츠 리터러시의 함양을 지원하였다. 마지막으로 체육 친화적 학급운영의 개발 및 실천 측면과 후속연구를 위한 측면에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개발 및 실천적 측면에서는 첫째, 체육 중심 융합수업 개발을 위한 교사 연구 협의체가 필요하다는 점, 둘째, 체육 친화적 학급운영을 위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 셋째, 체육 친화적 학급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담임교사의 철저한 준비와 학교의 협조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다음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적 측면은 첫째, 건강, 도전, 표현 영역 중심의 융합수업에 대한 연구가 더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 둘째, 다양한 학년과 배경을 가진 대상으로도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는 점, 셋째, 스포츠 도서에 대한 보다 체계적이고 분석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 넷째, 교과서의 틀에서 벗어나, 각 학교 학생들에게 맞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a physical education(PE)-friendly class management program to cultivate the sport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pply it to the field of school through action research, investigate its effects, and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cultivation of sport literacy.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set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how is a PE-friendly class management program organized and practiced to cultivate the sport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what kind of effect does sport literacy cultivated through PE-friendly class management have on students? and third, what factors have impacts on the cultivation of students' sport literacy? Employing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study was conducted for total 17 months in February, 2018~July, 2019. The research procedure went through analyzing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selecting a research topic, formulating a research question, making a research plan, selecting participants, collecting data, analyzing data, interpreting findings, and reaching a conclusion. Since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e course of a regular curriculum, the investigator selected total nine students from his class through purposeful sampling. They included four boys and five girls that varied in the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and level. Data was collected with an open-ended survey, in-depth interview, observatory participation, and field document(PE journals, PE reports, and PE activity sheets). Collected data was put to the inductive categorical analysis with efforts made to ensure research validity and reliability through inter-peer review, inter-colleague consultation, and triangulation. In addition, the investigator paid attention to and observed the research ethics during the study so that the participants would not suffer any research problems or disadvantage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 PE-friendly class management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six organizational principles to cultivate the sport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1) the principles of integration and diversity in the aspect of content, 2) the principles of connection and continuity in the aspect of implementation, and 3) the principles of autonomy and collaboration in the aspect of participation. Based on these principles, the investigator developed a program each fit for lessons, life, and the environment, which are the major elements of class management, and designed the programs in a way that they could be connected together in the implementation process. 1) PE-centric fusion lessons underwent the curricular reorganization process so that they could provide various narrative experiences through the integration of other subjects within the area of PE around the PE subject, fusion between PE and other subjects, and connection between PE activities and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based on a topic-based design model. 2) PE-centric class life was comprised of smaller programs including ① PE-based morning activities, ② PE-based literature activities, and ③ PE-based group activities each of which was planned to enable the practice and facilitation of sport competence, knowledge, and disposition, respectively. 3) A PE-friendly class environment program was comprised of a ① sports data site, ② class library for sports, and ③ sports bulletin board each of which was planned to support the cultivation of sport competence, knowledge, and disposition. Both the life and environment program were organized to be connected with PE-centric fusion lessons. Secondly, sport literacy cultivated through PE-friendly class management had effects on 1) development at the whole person level, which was confirmed through ① practice of enjoyment of sport competence, ② reinforcement toward the enjoyment of sport knowledge, and ③ growth through the enjoyment of sport disposition. Specifically, the practice of enjoyment of sport competence was confirmed in the increased hours of participation in exercise, improvement of exercise skills, and various methods of participation in exercise. Reinforcement toward the enjoyment of sport knowledge was confirmed in the increased knowledge about exercise, acquisition of knowledge based on exercise, and production of knowledge through exercise. Growth through the enjoyment of sport disposition was confirmed in the increase of interest and concern about physical education, changes to the perceptions of physical education, and internal growth through physical education. Another effect of sport literacy cultivation was observed in 2) increased experiences as culture, which were confirmed in ① physical education shared as part of the classroom culture and ② physical education transferred to the outside of the classroom. Specifically, students usually spend a break on PE activities and became one community through physical education in physical education shared as part of the classroom culture. In physical education transferred to the outside of the classroom, they developed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along the path of learning beyond its romantic nature and enjoyed it as part of their cultural life beyond physical education. The last effect of sport literacy cultivation was found in 3) community growth in PE-friendly class management. During PE-friendly class management, continuous exchanges among students and between students and their teacher resulted in strong fellowship, which became a powerful force to promote their shared growth. In such fellowship, the students were able to grow into the subjects of class management, and the teacher made growth to the next stage through research and introspection while preparing and implementing a program. Thirdly, there were total six factors of PE-friendly class management to affect the cultivation of sport literacy among students: 1) goals of education diversified according to individual needs, 2) methods of education enriched by narrative experiences, 3) integrated evaluation of education in a process, 4) environment of education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practice, 5) peers being closer to each other through continuous participation, and 6) permissive teacher to support autonomy. In "goals of education diversified according to individual needs," students were encouraged to set various goals according to their levels for continuous participation. In "methods of education enriched by narrative experiences," students were able to participate in various and autonomous ways based on connections between life and the environment, which facilitated their active participation. In "integrated evaluation of education in a process," evaluation moved away from one-time events toward connection with lessons, life, and the environment so that the students could be assessed in their continuous participation. In the "environment of education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practice," students were supported to practice what they learned in lessons in their life in various ways. In "peers being closer to each other through continuous participation," students were encouraged to develop as competitors to each other and work together as partners during the long project, thus forming strong fellowship and cultivating their community capabilities. A "permissive teacher to support autonomy" enabled strong rapport with the students and ensured their independent participation, thus supporting the cultivation of sport literacy. Finally, the study made the following proposals in the development and practice of PE-friendly class management and for follow-up study: in the development and practice of PE-friendly class management, it is first needed to form a consultative group for teachers' research to develop PE-centric fusion lessons; second, it is also needed to provide institutional supports to run a PE-friendly class; and third, there should be the homeroom teachers' thorough preparation and the school's collaboration to run a PE-friendly class. In the future, follow-up study will first need to do research on fusion lessons around the areas of health, challenges, and expressions; second, follow-up study will have to cover subjects of various grades and backgrounds; third, follow-up study should conduct more systematic and analytical research on books about sports; and fourth, activities should be structured in a way that is appropriate for students, away from textbook contents.

      • 중등체육교사는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가? : 중등체육교사의 평가 이해, 실행, 해석 및 활용 탐색

        김대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5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n-depth the evaluation comprehension, implementation, interpretation and utilization of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o find out how assessment literacy appear. The research question to investigate this are : First, how do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comprehension the assessment? Second, how do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mplement assessment? Third, how do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terpret and utilize the assessment results? Fourth, what are the difficulties in comprehension, implementation, interpretation, and utilization the assessment? Based on the social constructivist paradigm, the researcher conducted a qualitative case study to investigate the assessment literacy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For a total of 12 months from January 2022 to December 2022, research was conducted in four stages: theoretical exploration, research design, research progress, and results organization. The research participants consisted of 12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elected through a collection of purposeful sampling based on the criteria of teaching experience, gender, participation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and school level. The data collected through pre-open questionnaires, in-depth interviews, and local documents went through descrip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processes. For the truthfulness of the research, triangulation, member check, and peer debriefing were used. Also, the researcher complied with the research ethics and followed Institutional Review Board(IRB) regulati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revealed during the above research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comprehended the assessment as a "white paper" that determines classes, a "priming water" that draws up knowledge, and a "compromise plan" between ideals and reality. First of al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understood that the assessment plan was a white paper that determined what and how much they would teach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It was revealed that physical education teachers did not plan classes and plan assessments, but planned assessments first, and based on this, they planned what content they would deal with in the classes and how many hours they would deal with. Next, Theachers comprehended it as a priming wa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physical education assessment, students naturally flow into sports culture, and teachers improve their teaching and learning skills by improving their own classes. Finally, assessment was comprehended as a compromise plan to adjust the gap between the curriculum and the school site. In order to conduct assessment for learning that examine students' ability, knowledge, and mental aspects and examine their growth processes, it has been revealed that this process is a finding consensus considering various factors that can affect assessment. Second, the assessment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as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plans, applications, and roles. First, When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lanned the assessment, They yield a decision of the assessment-related content to their fellow teachers as much as possible, and actively considered the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space, equipment, and weather. Unlike other subject teachers, physical education teachers have been found to prioritize the external environment for consultation and class with their fellow teachers while planning assessment. Next, the assessment application utilized various evaluation methods and tools recorded in sentences and numbers. However, it was used differently from the original purpose, and the assessment criteria were ambiguous, making it difficult to grasp the students' abilities. Finally, it was found that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imultaneously play the role of supervisor and assistant while applying assessment. To ensure fairnes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evaluation, teachers worked to provide equal conditions and at the same time acted as assistants to ease tensions so that students could achieve good results. Third, the assessment interpretation and utilization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ere found to be meaningless interpretation, delivery without communication, and utilization without students. First, the assessment management, which looks at the cross-section of student movement skills, and the giving of high basic scores led to a meaningless interpretation of the assessment results. Next, meaningless interpretation results led to indifference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and various results obtained through assessment were changed to scores and unilaterally delivery to students without any special communication. Finally, they found that the assessment results were used as self-supervision materials to improve teachers' classes and were valuable experiences to cultivate teacher’s assessment literacy, but they were not used enough for learning. Fourth, the difficulty of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the process of reorganizing the curriculum, negotiating for teaching and learning, and compromising for assessment management. First, the universal and ambiguous curriculum should be reorganized at the level of teachers in accordance with the environment of the school and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This gives teachers responsibility and burden at the same time as the autonomy of reorganization, and teachers eventually reduce the curriculum through arbitrary interpretation. Next, they go through a negotiate process considering various factors that could affect classes and assessment. The research found it difficult to find a negotiations to satisfy all factors, such as peer teachers and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students' ability, knowledge, and mental capacity, validity and objectivity. Finally, the intention was given instead of meaning for the assessment operation, and the assessment focused on assessment application rather than assessment interpretation and utilization was compromised. This led to a phenomenon of putting the cart before the horse in class and assessment, fading the meaning of interpretation and utilization of the assessment results, and making it difficult to educational meaning. The discussion of the abov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comprehend the assessment as an AFL concept as the essence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such as white papers, invitations, and compromises, which differed somewhat from existing studies in that teachers's perception of physical education is limited to tests or measurements. Second, research was found that the assessment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howed some functional and outcome-oriented assessment practices identified in existing studies to ensure objectivity and fairness. However, in the course of the assessment plan and application, physical education teachers discussed how to maximize their assessment literacy by facing various and contradictory options such as the school environment, assessment methods and tools, and the role of supervisor and assistant. Third, research was found that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did not recognize interpretation and utilization as an important part of assessment. Since interpretation and utilization of assessment is the core of a virtuous cycle of curriculum, teaching·learning, and assessment, it was discussed that teachers need to improve their perception and share practical examples. Fourth, the reason for the difficulty in assessment physical education teachers came from the link between curriculum, teaching·learning, and evaluation. Therefore, from the stage of developing the curriculum to the stage of assessment,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to prepare for measures to reduce responsibility and burden, And recognize and implement the importance of interpretation and utilization of assessment. The suggestions for field practice based o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revitalize the activities of teachers' learning communities in schools and among schools under the theme of assessment. Secondly, the school culture and atmosphere in which teachers can individually and autonomously demonstrate their assessment literacy must be expanded.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specific and applicable data on the implementation and the utilization of the assessment results. Recommendations for follow-up research by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assessment literacy of students in relation to physical education assessment. Second, research on how physical education teachers cultivate and develop assessment literacy is needed. Third, in-depth research on the assessment interpretation and utilization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s needed.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체육교사의 평가 이해, 실행, 해석 및 활용을 심층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평가소양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 문제는 첫째, 중등체육교사는 평가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 둘째, 중등체육교사는 평가를 어떻게 실행하고 있는가? 셋째, 중등체육교사는 평가 결과를 어떻게 해석하고 활용하는가? 넷째, 중등체육교사의 평가 이해, 실행, 해석 및 활용에 어려움은 무엇인가? 로 설정했다. 사회구성주의 패러다임에 입각해 체육교사의 평가소양을 알아본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실천적 성격을 띤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2022년 1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총 12개월간 이론적 탐구, 연구 설계, 연구 진행, 결과 정리의 4단계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연구참여자는 교직 경력, 성별, 교원학습공동체 참여 여부, 학교급이라는 선정기준에 따른 유목적적 표집을 통해 선정된 12명의 체육교사들로 구성되었다. 사전 개방형설문, 심층면담, 현지 문서 등을 통해 수집한 자료는 기술, 분석, 해석의 과정을 거쳤다. 연구의 진실성을 위해 삼각검증법, 구성원 간 검토, 동료 간 협의를 활용했고 연구 윤리를 준수했다. 이상의 연구 과정을 통해 밝힌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체육교사는 평가를 수업을 결정하는 ‘백서’, 소양을 퍼 올리는 ‘마중물’, 이상과 현실의 ‘절충안’으로 이해했다. 먼저, 체육교사들은 평가계획서가 곧 체육수업에서 ‘무엇을’, ‘얼마나’ 가르칠 것인가를 결정하는 백서로 이해했다. 이는 체육교사들이 수업을 구상하고 평가를 계획하는 것이 아니라, 평가를 먼저 계획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업에서 어떤 내용을 다룰지, 몇 차시를 다룰지 구상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다음으로, 교사와 학생의 교수·학습을 위한 마중물로 이해했다. 체육평가를 통해 학생은 자연스럽게 스포츠 문화로 유입되고, 교사들은 자신의 수업을 개선함으로써 교수·학습역량을 끌어올리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교육과정과 학교 현장 사이의 괴리를 조절하는 ‘절충안’으로 이해했다. 학생들의 능·지·심 측면의 학습과 성장 과정을 살펴보는 교육적 평가를 실천하기 위해 학교 환경과 평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며 합의점을 찾아가는 과정으로 드러났다. 둘째, 중등체육교사의 평가 실행은 계획, 적용, 역할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체육교사들은 평가를 계획하면서 동료 교사에게 평가와 관련된 내용을 최대한 양보하여 결정하고, 공간, 기구, 날씨 등 외부환경을 적극적으로 고려하였다. 이는 다른 교과 교사와 달리 체육교사는 평가를 계획하면서 동료 교사와의 협의, 수업을 위한 외부환경을 가장 우선으로 고려한다는 것이 드러났다. 다음으로 평가 적용에서는 글과 숫자로 기록되는 다양한 평가 방법 및 도구를 활용하였다. 하지만, 본래의 취지와 다르게 활용되거나, 평가 기준이 모호하고, 학생 역량의 단면을 파악한다는 어려움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체육교사는 평가를 적용하면서 감독관의 역할과 조력자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평가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교사는 학생들에게 동등한 조건을 제공하려고 노력했고, 동시에 학생들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긴장을 이완시키고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애썼다. 셋째, 중등체육교사의 평가 해석 및 활용은 의미 없는 해석, 소통 없는 전달, 학생 없는 활용으로 드러났다. 먼저, 학생 운동소양의 단면을 보는 평가 운영과 높은 기본 점수의 부여는 평가 결과의 의미 없는 해석을 초래했다. 다음으로, 의미 없는 평가 결과는 학생과 교사의 무관심으로 이어졌고, 평가를 통해 얻은 다양한 결과물은 점수로 변화되어 별다른 소통 없이 학생에게 일방적으로 전달되었다. 마지막으로, 평가 결과는 교사의 수업을 개선하는 자기 장학의 자료로 활용되고 교사의 평가소양을 함양하는 귀중한 경험이 되고 있음을 발견하였으나, 학생의 학습을 위한 활용은 부족함이 나타났다. 넷째, 중등체육교사의 평가소양 실천의 어려움은 교육과정의 재구성, 교수·학습을 위한 절충, 평가 운영을 위한 타협의 과정에서 나타났다. 먼저, 보편적이고 모호한 교육과정을 학교 현장의 환경과 학생들의 특성에 맞게 교사 수준에서 재구성해야 한다. 이는 교사에게 재구성의 자율성과 동시에 책임과 부담을 주고, 교사는 결국 자의적 해석을 통해 교육과정을 축소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수업과 평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면서 절충의 과정을 거친다. 동료 교사와 외부환경 요인, 학생들의 능·지·심 역량, 타당도와 객관도 같이 평가와 관련된 다양한 요인을 모두 만족시키기 위한 절충안을 탐색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고 있음이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평가 운영을 위해 교육적 의미 대신에 교사의 의도를 부여하고, 해석 및 활용보다 실행에 집중한 평가로 타협하였다. 이는 수업과 평가의 본말전도 현상을 일으키고 평가 결과에 대한 해석과 활용의 의미를 퇴색시키면서 교육적 의미의 평가 실천을 어렵게 만들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체육교사는 평가를 백서, 마중물, 절충안과 같이 체육수업의 본질로서 학습을 위한 평가(AFL)의 개념으로 이해하고 있었으며, 이는 기존의 연구에서 교사의 체육 평가에 대한 인식이 시험 또는 측정에 머물러 있다는 점과 다소 차이점이 있음을 논의하였다. 둘째, 중등체육교사의 평가 실행은 객관성과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기존의 연구에서 밝힌 기능과 결과 중심의 평가 실행이 어느 정도 나타나고 있음이 드러났다. 하지만, 체육교사들은 평가 계획과 적용의 과정에서 동료 교사와 학교 환경, 글과 숫자를 활용한 평가 방법, 감독관과 조력자 역할이라는 다양하고 모순된 선택사항을 마주하며 자신의 평가소양을 최대한 발휘하고 있음을 논의하였다. 셋째, 중등체육교사는 평가 해석 및 활용을 평가의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평가의 해석 및 활용은 교육과정-교수·학습-평가의 선순환을 이루는 연결고리의 핵심이므로 교사들의 인식개선과 현장 적용 및 실천 사례 등의 나눔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넷째, 중등체육교사의 평가 실천에 대한 어려움 원인은 교육과정-교수·학습-평가의 연결고리에서 나타났다. 따라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단계부터 현장에서 평가를 운영하는 단계까지 교사들이 책임과 부담을 덜고, 평가의 해석 및 활용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실천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 따른 현장 실천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를 주제로 한 학교 내, 학교 간 교원학습 공동체 활동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둘째, 교사가 개별적이고 자율적으로 평가소양을 발휘할 수 있는 학교 풍토와 문화가 확대되어야 한다. 셋째, 평가 실행과 평가 결과 활용에 대한 구체적이고 적용 가능한 자료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 따른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평가와 관련하여 중등학생들의 평가소양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체육교사가 평가소양을 어떻게 함양하고 발전시켜나가는지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중등체육교사들의 평가 해석과 활용에 관한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