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개발도상국의 도시빈곤과 KOICA의 도시개발 원조사업에 관한 연구 : Post 2015 SDGs를 바탕으로

        방설아 서울시립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51759

        전 세계 인구의 급격한 증가와 유례없는 도시화로 인해 아시아 및 아프리카 개발도상국의 도시빈곤 문제가 심화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하여 국제사회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며, 새천년 개발목표 MDGs 이후의 국제사회의 개발 전략인 Post-2015 개발 의제에서도 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즉, 지속가능한 개발 목표를 통하여 도시화 및 도시 문제에 대하여 포괄적이고, 안전하며, 복원력있는 지속 가능한 도시 만들기를 전략에 포함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개발도상국의 경제성장과 사회복지 향상을 위한 한국의 공적개발원조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가 변화하는 도시화 및 도시 문제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으며, 도시개발을 위하여 적절한 비율의 원조를 지원하고 있는지 비교 분석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의 중점협력 26개국의 도시화 및 도시 빈곤 현황을 분석하였고, 분석 결과를 통해 검토 대상 7개국을 선정하였다. 분석 방법은 첫째로, 국가 빈곤선에 대한 도시빈곤 인구, 농촌빈곤 인구 그리고 도시슬럼 인구 비교를 하였고, 둘째로, 2009년부터 2013년까지 5년간 형성된 KOICA의 도시개발 사업 비율 분석하였다. 셋째는 국가협력전략 CPS(Country Partnership Strategy)의 도시개발 전략 연계성을 국가별로 검토하였고, 결론적으로 국가 빈곤인구에 대한 도시슬럼 인구비와 KOICA도시사업 지원율를 비교 분석하여 한국의 무상원조가 도시화 및 도시빈곤 문제에 어느 정도 대응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8개의 새천년개발목표에 도시에 대한 직접적 지원 전략은 없었으나, Post-2015 개발의제에서는 핵심 목표 중의 하나로 ‘도시에 대한 도전’을 포함하며, 구체적 해결 방안과 세부 전략까지 언급하고 있다. 지금도 진행 중이며, 앞으로 분명히 직면할 전 지구적 도시 문제에 대한 대응과 도시 빈곤 퇴치를 위해 한국의 ODA사업도 문제를 인식하고, 도시개발 전략을 수립하여야 할 시점이다. 이를 위하여 ODA와 같은 개발협력 분야와 도시 분야의 융합적 시각으로 현안을 바라보며, 변화하는 패러다임을 읽고 대응할 수 있는 가치 촉구의 필요 측면에서 본 연구가 갖는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Current trends of rapid urbanization - with over half of the world's population now living in cities, and 90% of urban growth taking place in developing countries - coupled with recent global economic problem, growing urban poverty, and rising consequences of climate change have created the need for such strategic readjustment. To reflect on this trend of international society, UN has prepared Post-2015 agenda which will be following MDGs (Millenium Development Golas) after 2015year and it includes strategies to make the city inclusive, safe, resilient and sustainable. Purposes of this theses are to compare and analyse how KOICA's ODA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which for economic growth and improving social welfare in developing countries, copes with urbanization changes and urban problems. To accomplish these purposes, it is analysed to present urbanization issues and urban poverty state upon priority recipient 26 countries and selected 7 analysis target countries based on the result. Methodologies of analysis are ① The comparison of urban and rural poverty ratio at national poverty line, and urban slum population ratio ② KOICA's urban development aid projects ratio during five years in 2009 to 2013 years ③ The connectivity with urban development strategy and CPS(Country Partnership Strategy ) by each country. As a result, it is the comparison with urban slum ratio at national poverty population and urban project budget ratio among KOICA's total project budget for 5 years and the analysis how KOICA has responded now on being faced urbanization and urban poverty. The urban strategy is directly stated i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of Post-2015 agenda although it was not contained MDGs. Furthermore there are detailed urban development targets in SDGs. Now is the time to convert the recolonization on urban poverty issues and to establish the strategy for urban development projects in order to overcome confronted urban problems and to reduce urban poverty. In terms of these integrated thoughts with development cooperation and urban issues play an essential part in changing a paradigm of urbanization.

      • 항만과 도시의 연계성을 고려한 녹색항만(Green port) 구축방안연구

        이태동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1759

        The current many metropolises has the exchange trace of the man of the mankind and goods. And one area is this important role the port. The man and goods flocking due to the function of the port got to build the city. And the port function generated the added-value, that is another additional, and the important intermediary which gets to grow as the metropolis came to the port. The traditional aspects of port continued to 20 century before. But the port attribute showed the aspect of transition as the development of the transportation technology of the navigation light and transport technique, and etc. after 20 century as 'the cargo-only' and 'the massification / enlarging' and 'the fossil fuel recycling'. And 'the port around environmental contamination, 'the local resident indifference', and 'the port around falling behind',that is the harbors environment problem of the port region, got to happen by the factor which the environment according to this is negative. The discussion on the world greenhouse gas regulation got to proceed with the climate change anger according to the fossil fuel consumption of the mankind in the improving of environment necessity of this port. And subject of this regulation and correspondence came to the port. The aspect of the solution of environment problem in the city and port dimension and dealing with climate change are revealing the tendency that it is similar. The eco-friendly city in the prevention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improvement dimension, environment-friendly port concept including the air quality about the city and port, quality of water, and etc. were drawn in the first stage. And while the demand for the dealing with climate change happened after 1,990~2,000`s on a full scale, the green port which the dealing with climate change and sustainable notion of development unites to the existing harbors environment problem solving was drawn. The construction project the green port is progressing world. And the business related to this with is proceeded in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and level of association including IMO, IAPH, PIANC, and etc. and the green por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of each area and port according to the area, nation, and port is hosting the construction project variously. In this study, the Green port construction project which it is among the world progress was investigated prior to against LA / LB port, Rotterdam port, and port of the Singapore etc. identity total 9 places. The major harbors were propelling the various businesses through this investigation in order to conclude the greenhouse gas exhaustion and traditional port problem. And it was focusing much efforts and had ties with the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 including the this effect is the traditional port problem air quality, water pollution, in which and etc. and is pushing forward strongly and especially, moreover, was the alternative business of the fossil fuel through the introduction including new and renewable energy, and etc. investigated in connection with the greenhouse gas exhaustion. In this way, the greenhouse gas, environmental load, energy / recycling of resource, and scene / green the green port for each port sorted the construction project based on the spatial domain with each sectional according to the single business (Z1~Z3) and associated business (R1~R3) and detailed technique. And the technology was classified as H / W and soft ware according to the physical element reflection or not of the technology. And the construction project the current green port was trying to check whether it was distributed over any place according to the spatial domain. Or not. Through this, Z 3 (the city single) area and R 3 (the port-city link) area where there is the association nature was pushing ahead with the business related to new and renewable energy installation isoenergetic / recycling of resource much. And with promote the business including the hydrophile,that is the requirement of the community, security of the green area, and etc. on the laser trabeculoplasty it was analyzed in addition. In this way, it converted again to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sustainable port guideline for the port administrator' making the item in PIANC and the public trust was trying to be secured. The survey which the analyzed green port hangs out the construction project on 1,2 rounds was carried out.By using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HP), the shipping-port divided into the expert and city-building expert you and the first investigation investigated and analyze the importance which the green port for each detail business is right for the construction. As to the second investigation, the local resident and city-port was trying to appreciate the preference of the Green port construction project of the expert. In the case of the investigation result expert military, and the importance which is high in the energy field which is very relevant to the greenhouse gas exhaustion, that is the circle purpose of the green port, revealed the preference. And moreover, it was concerned about the hydrophile and security of the green area in the viewpoint with the city. On the other hand, the interest which is high in the solution of the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that is the traditional port problem, was displayed. And subsequently, it was concerned about the hydrophile and green area security. Moreover, because of recognize the adaptation problem as the grade of rank like the existing harbors environment problems, it was analyzed as one in which the change of the awareness is needed for the response efficient of the dealing with climate change-related regulation which is being strengthened. Accordingly, the new green port concept and detail business which did and has 'joint management system', 'the improving of environment (the existing solution of environment problem implication)', and detail section of 'the stability / marketability' was presented. Moreover, after fitting to the concept of the new green port and securing the linkage method of the port and city through the network configuration of the port and city and interchange, the business management according to PDCA cycle according to the laser trabeculoplasty was presented. Keyword : Green port, Eco port, port, port, city, relation 현재의 많은 대도시는 인류의 사람과 재화의 교류흔적이며, 이러한 주요한 역할을 한 영역이 항만이다. 항만의 기능으로 인하여 모여드는 사람과 재화는 도시를 형성하게 되었으며, 항만기능은 또 다른 파생적인 부가가치를 발생시켜 항만은 대도시로서 성장하게 되는 중요한 매개체가 되었다. 전통적인 항만의 모습은 20세기 이전까지 지속되었으나, 20세기 이후 항공 등의 교통기술 및 운송기술의 발전 등으로 항만속성은 ‘화물전용화’, ‘대량화/대형화’, 및 ‘화석연료화’의 변화양상을 보였으며, 이에 따른 환경 부정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항만지역의 항만환경문제인 ‘항만주변 환경오염’, ‘지역주민 무관심화’, ‘항만주변 낙후화’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항만의 환경개선 필요성에 인류의 화석연료소비에 따른 기후변화심화는 전 세계적인 온실가스 규제에 대한 논의가 진행하게 되었으며, 항만 또한 이러한 규제 및 대응의 대상이 되었다. 도시 및 항만차원에서의 환경문제해결 및 기후변화대응의 양상은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초기에는 도시 및 항만에 대한 대기질, 수질 등의 환경오염방지 및 개선차원의 친환경 도시, 친환경 항만 개념이 도출되었으며, 1990~2000년대 이후에 본격적으로 기후변화대응에 대한 요구가 발생하면서 기존의 항만환경 문제해결에 기후변화대응 및 지속가능한 발전 개념이 결합한 녹색항만(Green port)이 도출되었다. 녹색항만 구축사업은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IMO, IAPH, PIANC 등의 국제기구 및 협회차원에서도 이와 관련된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지역, 국가, 항만별로도 각 지역 및 항만의 특성을 고려한 녹색항만 구축사업을 다양하게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진행 중에 있는 녹색항만(Green port) 구축사업을 LA/LB, 로테르담 항, 싱가포르 항 등 총 9곳의 항만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이 조사를 통하여 주요 항만들은 온실가스 배출과 전통적인 항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특히 온실가스 배출과 관련해서는 신재생에너지 등의 도입을 통한 화석연료의 대체사업을 많이 주력하고 있으며 또한 이러한 효과가 전통적인 항만문제인 대기질, 수질 오염 등의 환경오염문제와도 연계가 되어서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렇게 조사된 항만별 녹색항만 구축사업을 공간적 영역을 기준하여 각 영역별로는 단독사업(Z1~Z3)와 연계사업(R1~R3), 세부기술별로는 온실가스, 환경부하, 에너지/자원순환, 경관/녹지 구분하였으며, 기술의 물리적 요소 반영여부에 따라 H/W, S/W로 기술을 분류하였으며, 현재의 녹색항만 구축사업이 공간적 영역별로 어떠한 곳에 분포가 되어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도시와 연계성이 있는 Z3(배후도시단독)영역과 R3(항만-배후도시연계)영역에서는 신재생에너지 설치 등 에너지/자원 순환과 관련된 사업을 많이 추진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지역사회의 요구사항인 친수, 녹지공간의 확보 등의 사업을 장기계획으로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이 되었다. 이렇게 분석된 사항을 PIANC(국제수상교통시설협회)에서 만든 ‘항만운영자를 위한 지속가능한 항만 가이드라인’의 분류체계로 다시 변환하여 공신력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분석된 녹색항만 구축사업을 1,2차에 걸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조사는 계층화 분석법(AHP)을 사용하여 세부사업별 녹색항만 구축에 맞는 중요도를 해운-항만 전문가 및 도시-건축 전문가 군으로 나누어서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2차 조사는 지역주민 및 도시-항만 전문가를 대상으로 녹색항만(Green port) 구축사업의 선호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사결과 전문가 군의 경우 녹색항만의 원 취지인 온실가스 배출과 연관성이 높은 에너지 분야에 높은 중요도 및 선호도를 보였으며, 또한 도시와의 관점에서는 친수, 녹지공간의 확보에 관심을 보였다. 반면 지역주민들의 경우 전통적인 항만문제인 환경오염문제의 해결에 높은 관심을 보였으며, 이어서 친수, 녹지공간 확보에 관심을 보였다. 또한 조사결과 기후변화대응 및 적응 문제를 기존 항만환경문제들과 같은 위계로 인식하고 있었기에 강화되고 있는 기후변화대응관련 규제의 효율적인 대응을 위하여 인식의 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따라 ‘기후변화대응 및 적응’을 기반으로 하고 ‘통합관리체계’, ‘환경개선(기존 환경문제 해결 포함)’, ‘안정성/시장성’의 세부부문을 가지는 새로운 녹색항만개념과 세부사업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새로운 녹색항만의 개념에 맞추어서 항만과 도시의 네트워크 구성 및 교류를 통하여 항만과 도시의 연계방안을 확보후 장기계획에 따른 PDCA사이클에 따른 사업운영을 제시하였다.

      • 개발도상국의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을 위한 적정도시디자인 연구

        채수호 서울시립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51759

        The world is witnessing an irreversible trend of urbanization in both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and Asia and Africa are projected to account for 90% of growth in urban population until 2050. Urbanization in the developing world is bringing about ecological and economic changes that compel global attention. As a result sustainable urbanization has emerged not as an issue of individual countries with a rapid urban development but as a global issue that requires global actions. Urbaniz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is beset by a range of challenges, including urban sprawl, heavy reliance on vehicles, climate change and inequality. These problems are not essentially different from what have been experienced by advanced countries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Then, why do developing countries go through the same trial and error that was experienced by advanced countries? This study looks at the cause from three different angles. Firstly, the urban development process is oriented toward advanced countries. Secondly, there exists a misperception about the urban progress. Lastly, the urban development tends to be mainly led by the growth of automobile industry. The study also examined the need for a changed perception from growth-oriented development to development that fosters human development and brings happiness to people. A new approach that takes into account the capacity and values of developing countries needs to be developed. This study proposes a model of appropriate urban design as a way to put urban development in developing countries on a sustainable path. The study introduced the concept and practices of appropriate urban design, which include transition and sharing of modes of transportation, transitional urban movements, pro-poor urban design and smart service for urban development. By analyzing these models, the study drew up five strategies for realizing appropriate urban design. By applying the five strategies in Mekele urban development plan of Ethiopia, the study sought opportunities for improv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appropriate urban design. The study attempted to complement an existing urban development process, overcome limits of urban growth and induce sustainable development of developing countries to figure out alternatives to existing development models that can lead shared growth and co-prosperity. It is hopeful that this study’s model can be utilized in urban development projects and assessed based on its outcomes and achievements. This way, this model can continue to be upgraded and complemented. Based on this study, the author will continue to study on concrete and practical models that can be utilized in real urban development projects by drawing up detailed strategies that reflect diverse geography and conditions of developing countries. 세계적인 도시화의 추세 속에 향후 2050년까지의 90% 이상의 도시 인구 성장은 아시아와 아프리카에 집중될 전망이다. 특히 개발도상국의 급격한 도시화는 전 지구의 생태적, 사회적, 경제적 변화에 주목할 만한 영향을 예견하고 있다. 따라서 개도국의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은 해당 국가뿐만 아니라 전 지구 공동체의 우선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그러나 현재 개발도상국의 도시화 현황을 살펴보면 도시스프롤과 차량에 대한 의존도 심화, 기후변화, 불평등 등 다양한 부작용을 발생시키고 있으며 이는 그동안 선진국의 개발과정에서 겪었던 문제들과 크게 다르지 않은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시행착오 반복의 주요 원인을 선진국 중심의 개발방식과 도시의 진보에 관한 편향된 오해, 자동차 산업 위주의 발전 측면에서 살펴보았으며 개발도상국의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을 위한 과제로 성장 위주의 개발에서 인간개발과 행복의 가치 개발로의 패러다임 전환의 필요성을 이야기 하였다. 또한 개발도상국의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을 위해서는 그들의 역량과 가치 기준을 고려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도상국의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을 위한 대안으로서 ‘적정도시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적정도시디자인의 개념에 대한 설명과 함께 이를 구체화하기 위하여 적정도시디자인의 사례 모델로 UN이 제시한 지속가능한 도시계획의 5가지 원리와 도시 내 이동수단의 전환 및 공유, 전환도시운동, 취약지구 개선을 위한 도시디자인, 개발도상국형 스마트 서비스 개발을 소개하였다. 또한 사례를 통하여 적정도시디자인을 실현하기 위한 전략으로 첫 번째 혁신적 융복합성, 두 번째 자립형 도시구축, 세 번째 포용적 경제성장, 네 번째 수평적 의사결정과 참여, 다섯 번째 내재적 역량과 아름다움의 추구 이상 다섯 가지를 도출하였다. 이 다섯 가지 전략을 근거로 적정도시디자인의 실제 적용 방안 및 가능성을 실험해 보고자 과거 참여했던 동아프리카에 위치한 에티오피아의 메켈레시 도시계획 프로젝트에 접목시켜 적정도시디자인 측면의 개선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본 연구는 적정도시디자인을 통하여 기존의 도시개발 방식을 보완하고 도시의 성장의 한계를 극복하여 개발도상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유도하며 미래의 공존을 위한 대안을 찾아 나아가고자 함에 의의가 있다. 향후 다양한 도시개발 사례에 적용되어 그 성과 및 효과성 등이 평가되기를 기대하며 그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기를 바라는 바이다. 본 연구를 시작으로 앞으로 다양한 지역과 조건에 따라 적용 가능한 세부 전략 및 응용 방안을 마련하여 실제 도시개발 프로젝트에 접목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대안을 지속적으로 연구해 보고자 한다.

      • '건설(도시계획)엔지니어링 업체'의 관점에서 본 해외신도시개발 진출시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심병준 서울시립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51759

        국내 건설시장은 지속적으로 축소되는 반면, 해외 건설시장은 매년 5% 이상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UN에 의하면 세계적으로 향후 20년간 매년 30만 명 규모의 신도시가 250여 개 필요한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러한 개발수요는 눈부신 경제발전과 다양한 신도시개발 경험을 갖고 있는 우리나라 건설 관련 업계에게 많은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되나, 우리 기업들은 오래 전부터 해외도시개발을 추진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업들이 난항을 겪거나 무산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 최근 해외도시개발은 국내 건설시장의 침체 상황을 타개할 수 있는 대안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엔지니어링은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인식되어, 그 동안 해외도시개발에 따른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많은 연구와 대책이 활발하게 제시되었다. 그러나, 해외신도시 사업을 직접 수행하는 건설엔지니어링 업체가 겪고 있는 문제점과 한계를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대책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내 건설엔지니어링 업체가 해외신도시개발 진출에 있어 나타난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건설엔지니어링 업체의 실정을 고려한 실질적인 개선방안을 도출함으로서, 향후 해외신도시개발 활성화를 도모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재 국내 ‘건설엔지니어링 업체가 수행하고 있는 업무영역’ 및 해외도시개발의 다양한 유형 중 ‘해외신도시’ 분야를 연구범위로 설정하고, 선행연구 등 문헌조사와 해외사업 수행 경험을 토대로 해외사업에 따른 문제점을 4개 분야의 총 13개 항목으로 도출하였으며, AHP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우선적으로 개선해야 할 문제점을 선정하였다. 또한, AHP 설문조사 결과 가장 중요한 문제점으로 나타난 커뮤니케이션 능력, 전문기술자(팀 리더), 현지 네트워크, 정보 내용 및 수준, 가격제안서 작성 등 5개 항목에 대해 건설엔지니어링 업체의 임원급 전문가를 대상으로 개별 면담을 통해 개선사항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건설엔지니어링 업체의 해외신도시개발에 따른 문제점을 해외업무 절차에 따라 체계화 하고 문제발생의 원인 및 내용을 구체화 하였으며, 해외신도시개발을 추진함에 있어 가장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문제점에 대한 우선순위를 선정하는 한편, 건설엔지니어링 업체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개선사항을 제시하였다. 주요어 : 건설엔지니어링업체, 해외신도시개발, 도시분야, 해외입찰절차, 기술제안서, 가격제안서, 핵심인력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is steadily downsizing, while the overseas construction market is growing by more than 5% each year. According to the United Nation(UN), it is estimated that about 250 new cities of 300,000 people are needed every year for the next 20 years. This development demand is expected to provide many opportunities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Korea, which has shown a remarkable economic growth and various new city development experiences. However, despite the fact that Korean companies have been promoting overseas city development for a long time, they are still suffering from carrying out overseas projects or failing the project etc. Recently, overseas urban development is regarded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depressing situation in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Engineering service is recognized as a high value-added industry, and many researches and measures are being actively developed to improve the problems in overseas urban development. However, there has not been enough analysis of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urban engineering firms that directly carry out overseas new city projects, and to study practical and concrete measures needed to solve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blems in entering into overseas new city development market for Korean urban engineering firms and to develop a way to enter into overseas market for Korean urban engineering firms in order to create a steppingstone to success in overseas new city development market in the future. To accomplish this, the research range of study is set as ‘scope of work performed by urban engineering firms’ in Korea and ‘overseas new town’ among various types of overseas urban development. Based on the literature survey, precedent research and previous experience of overseas project, the problems related to carry out overseas project are deduced to 13 items in 4 areas and the problems that should be improved first are finally selected by conducting the AHP survey. In addition, the Five most important problems are identified as a result of AHP survey. Which problems are communication ability, high -qualified professional engineer(team leader), local network, information contents and level, and preparation of financial proposal. Regarding these Five problems, the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xecutives of urban engineering firms in order to find out improvements on this issues. According to the work procedures for overseas projects, this study is to systemize the problems caused by the Korean urban engineering firms when they carry out overseas project for new town development. Also, it is to build priorities for the problems that should be solved most urgently in the development of overseas new town and to specify the causes and contents of the problems. Lastly, this study proposes practical improvements to urban engineering firms. Key words : urban engineering firm, overseas new town development, urban engineering field, international bidding procedure, technical proposal(TP), financial proposal(FP), key staff

      • 스마트시티 수준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비기술적 요소의 검증 : 아세안 스마트시티 네트워크 (ASCN) 대표도시에 대한 시사점

        장준수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1759

        스마트시티는 급격한 도시화로 인한 여러가지 도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선진국뿐만 아니라 개발도상국 또한 스마트시티를 적용하려고 한다. 한편, 우리나라는 그동안의 압축 성장 결과 풍부한 신도시 개발 경험과 함께 ICT(정보통신 기술) 등 첨단 기술 보유 및 인프라를 갖추고 있어 스마트시티 추진에 유리한 조건을 갖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근래의 침체된 건설시장의 부흥과 우수한 기술 활용을 위해 스마트시티 개발의 해외 진출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도 있다. 스마트시티를 원하는 개발도상국, 특히 아세안 스마트시티 네트워크(ASEAN Smart Cities Network, ASCN)도시와의 파트너십을 위해서는 먼저 해당 도시의 스마트시티 정도(smartness)를 파악한 후 그에 대한 맞춤형 협력 개발을 추진해야 한다. 해당도시 파악을 위해서는 근래에 발표된 스마트시티 인덱스 평가항목별 측정치를 분석해보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글로벌 스마트시티 인덱스(Index)로 평가한 ASCN 도시는 싱가포르, 방콕, 자카르타를 제외하고는 찾아보기가 어렵다.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가 아세안국가의 스마트시티 조성사업에 파트너로서 진출하기 위하여 신흥국에 적용 가능한 스마트시티 인덱스 평가항목을 구성해 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필요한 기술외적인 요인은 무엇인지를 선진국의 사례 등을 통해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에 접근하기 위해서 먼저 문헌분석을 통하여 스마트시티 인덱스(Index)로 평가해보았던 대륙별 대표도시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기술부문과 인적, 사회, 환경, 제도 부문 등 기술 외적 부문에서 각종 도시개발 관련 지수를 수집하였다. 이후 수집한 선진 대표도시의 스마트시티 인덱스 평가 값과 도시개발 관련 지수 평가 값의 상관관계를 분석해보았다. 이 분석으로 스마트시티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선진도시의 비기술적 분야인 인적, 사회, 제도, 환경 분야에서 공통된 특성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스마트시티 인덱스가 각각 어떤 부분에 초점이 맞춰있는지 실증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관관계가 비교적 높게 나오는 지수들만 열거하여 평가 값을 표준화한 후 신흥국 ASCN 대표도시를 평가해보고 스마트시티 수준과 기존 특성을 비교해보며 진단하였다. 우리나라가 신흥국 ASCN 도시의 스마트시티 조성사업의 파트너로서 활동하려면 스마트시티의 목표와 정도를 해당 국가의 환경과 현실을 고려하여 수립해야 한다. 또한 신흥국에서 미래 세대를 위해 지속가능하며 시민 모두가 행복한 도시를 지향하는, 스마트시티 목적의 철학과 비전을 염두에 두고 스마트시티를 조성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스마트시티 기술 인프라 조성과 함께 비기술적 분야에서도 개혁에 준하는 도시혁신이 함께 병행될 때 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스마트시티를 조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도시 혁신을 위해 ASCN 신흥국의 서로 다른 수준과 환경에서도 적용가능한 공통적인 비기술적 요소로서 다음의 네 가지를 도출하였다. 첫째, 인적 자원 배양, 둘째, 부패인식의 고취, 셋째, 효율화된 시민 아이디어 참여기반의 거버넌스 구축, 넷째, 미래 환경을 고려한 에너지 전환정책 실행이다. 이 연구가 스마트시티 조성을 위한 ASCN 대표도시별 기술 외적인 수준을 살펴봄으로써 그에 맞는 맞춤형 전략을 수립하고 파트너십을 발휘하는데 기여할 것을 기대해본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ormulate smart city index evaluation framework that can be applied to emerging countries in order for Korea to advance as a partner in the smart city creation project of ASEAN countries. To this end, we seek to identify factors other than technology in the following steps. First, We selected some cities to represent each continent, and these cities were evaluated using the smart city index through literature analysis. Next, we collected indexes related to various urban development in the technical field and in non-technical fields such as human resources, society, the environment, and institutional fields. Afterwards,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mart city index score and urban development index score in representative cities. Through this analysis, we were able to understand the common characteristics that exist in the non-technical fields of developed cities such as human resources, society, institution, the environment, which affect the level of smart cities. With analysis, we were able to verify empirically the focus of smart city index. Furthermore, Only indexes with relatively high correlation were selected, and the scores of each item of the representative cities of ASCN in emerging countries were standardized, and the smart city level was evaluated and compared to each other. For Korea to act as a partner in the smart city creation project of ASCN cities in emerging countries, the goal and degree of smart cities must be established in consideration of the environment and reality of each country. Smart cities should be developed with a philosophy and vision for the purpose of the smart city in mind that is sustainable and allows all citizens in the future generations of emerging countries to be happy. For this, we will be able to build a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smart city when urban innovation, which is equal to reform, is done side by side in non-technical fields along with the creation of technical infrastructure of smart cities. For such urban innovation, we have derived the following four as common non-technical factors that are applicable on different levels and in different environments in ASCN emerging countries: in order, they are cultivation of human resources, promotion of corruption perception, establishment of governance based on the participation of efficient civic idea, and the implementation of energy transition policies in consideration of future environments. We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establishing customized strategies and demonstrating the partnership accordingly by looking into the non-technical level per each ASCN representative city for the creation of smart cities.

      • 서울의 도시화 초기과정에서 민간부문의 역할과 기여 : 1960-70년대 서울 민관협력 특성을 중심으로

        최봉준 서울시립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51759

        In the middle of global urbanization, in particular, developing countries have been rapidly urbanized, which causes a number of problems including urban poverty, lack of infrastructure such as road, water and sewage, insufficient housing, city hygiene, traffic, natural disaster, environmental pollution and social inequalities. In case of a developing country, nevertheless, they cannot deal with the urbanization properly due to their government’s or public insufficient financial resources, and limited capacity. Hence, it has been consistently said that the urbanization should be managed through the private sector and private participations are required in various ways. Even though Korea suffered from the similar problems to ones the developing countries have currently had, they utilized the private sector to overcome public financial resources and limited capacity. Especially, the private participation cases played a great role to boost urbanization in Seoul by constructing city infrastructure for its development in 1960s. A public sector sets and offers infrastructure as a rule. In general,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are in charge of setting the infrastructure and finical resources come from taxes as a finance program. If there is an infrastructure cost caused by a development project, it is a rule that a beneficiary or a person who brings out the cost will pay. There is also a case although the infrastructure has to be built as a finance program for a public need, it will be completed through private participations. Among private participations, private procurement is a way that a private sector delivers and deals with capital for infrastructure establishment instead of a public sector. The private enterprise secures benefits through fare to use the infrastructure during a limited time instead and it will belong to a public sector later. Private procurement in Seoul was slightly different in the 1960s and 70s. In the time, since there were no sufficient financial resources in Seoul in comparison with rapidly increasing population and the scale of the town, there was no way to secure insufficient infrastructure except private procurement, which is identical with current state of developing countries. Seoul encouraged private entrepreneurs to participate in a development project and infrastructure establishment to solve the problem. Mostly, infrastructure such as roads, railroads and parks with a private participation are built by the private sectors and they secure benefits through operating revenue for the related facilities, entrance fee and usage fee. On the other hand, Seoul link development projects that are close or connected with infrastructure establishment including roads the city needs as one project, which enables the city to reinvest in infrastructure with benefits from the development projects. One of the representative cases is a complexed apartment with stores in the downtown of Seoul. Particularly, in case of one set with river maintenance and a project to cover river, it was managed with a way to build the complexed apartment on the top of the covered river after the river maintenance and the project with private financial resources. In the case, a public sector owns the facilities related to the river and a private sector needs to pay occupation and use fee to use the river area accordingly. This case with a project to cover a river and a complexed apartment built is for Ahhyeon river, Seontongmool river, Seongbuk river, Hongjea river, and Euljiro Ditch. As for Sewoon Arcade and Nagwon Arcade, they are a case to tear down illegal built structures, build roads and manage a complexed apartment building project. The project can be considered as a type of ‘PPP(Public-Private Partnership)’. The private sector to had taken part in the procurement project for the private investment, and to present a construction enterprise played a significant role to urbanize Seoul. The biggest role the private sector handled was to manage liability for risk. While it occurs a higher chance for profits by connecting a development project with infrastructure in comparison with general private investment project or an infrastructure project as the existing PPP type, the project should be performed with consideration whether the development project will succeed for a business structure linked with a development project. The private company was also in charge of funds supply. It is a significant characteristic of a private procurement project or PPP project, and the project way Seoul performed was not happen in the 1960s and 1970s. It is, nevertheless, meaningful that Korean private company had a partnership with a public sector including Seoul and participated in infrastructure actively for the first time without foreign aids for postwar recovery. Besides, it is worth that complex three-dimensional structure or city development for multi purposes according to a business structure connected a development project and with infrastructure, which contributed to efficiency of land usage in the downtown as a private role. It is significant not to cause problems such as damaging fairness and choosing untitled companies caused by a back-scratching alliance of government and businesses that happened in the middle of selecting a private company in the past. This study is expected to offer one private participation case to a developing country in the middle of urbanization Korea or Seoul went through in the 1960s and 1970s with Seoul’s experience with private investment procurement project, that is ‘PPP project connected with Private Development’. Keyword : Seoul, Urbanization,1960s,PPP,Private Investment,Public Private Partnership,Infrastructure,Development 전 지구적 도시화가 진행 중인 가운데 특히 개발도상국의 급격한 도시화가 진행 중이며 도시화로 인하여 도시 빈곤, 도로·상/하수도 등 기반시설의 부족, 주택부족, 도시 위생, 교통, 자연재해, 환경오염, 사회적 불평등 문제 등이 야기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발도상국의 경우 정부 또는 공공의 재원 부족, 역량 한계 등으로 도시화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민간부문을 활용하여 도시화에 대응하여야 한다는 의견이 지속적으로 제시되는 한편, 다양한 방식으로 민간부문의 참여가 요청되고 있다. 한국은 도시화 초기, 현재 개발도상국의 도시와 유사한 문제를 겪고 있었으나 공공의 재원 및 역량 부족을 극복하기 위하여 민간부문을 활용하였다. 그 중에서도 특징적으로 1960년대 서울 도심 내 개발에 있어 민간 참여 사례는 각종 도시 기반시설의 구축에 있어 역할을 담당하며 서울의 도시화를 촉진하는 데에 일조하였다. 기반시설은 공공 부문이 설치하여 공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주로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국민의 세금으로 충당하여 재정사업으로 추진한다. 그러나 개발사업에 의하여 기반시설 소요가 발생할 경우 그 비용을 수익자 또는 원인자가 부담하도록 하는 원칙이 적용되기도 한다. 또는 공공의 필요에 의하여 재정사업으로 기반시설을 구축하여야 하나 민간의 참여를 이끌어내어 추진하는 경우도 있다. 민간의 참여 방식 중에서도 PPP(Public Private Partnership) 또는 민간투자사업으로 대표되는 민자 유치 사업은 기반시설 구축에 소요되는 자본을 공공이 아닌 민간 부문이 조달하여 추진하는 대신 민간 사업자는 기반시설의 사용료 등을 통하여 수익을 확보하고 정해진 기간 동안 운영하다가 공공부문에 다시 소유권을 귀속시키는 방식으로 추진된다. 1960-70년대 서울에서의 민자 유치는 앞서 언급한 일반적인 PPP나 민간투자사업과 달리 민간 사업자로 하여금 기반시설 구축이라는 목표를 위하여 개발사업을 연계하여 추진하도록 하였다. 해당 시기 서울시는 급증하는 인구와 시가지 규모에 비하여 재원이 충분하지 않았으므로 민자 유치 외에는 부족한 기반시설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이 없었다는 점에서는 현재 급격한 과정에 있는 개발도상국의 현실과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일반적인 민간 참여형 기반시설 사업은 도로, 철도, 공원 등 기반시설을 민간이 개설하고 해당시설의 운영 수입 혹은 입장료, 이용료 등을 징수하여 투자 비용을 회수하고 수익을 확보하는 경우가 대부분인 반면, 서울시는 서울시가 필요로 하는 도로 등의 기반시설 개설과 인접하거나 연접한 부지의 개발사업을 하나의 사업으로 묶어 개발사업에서 창출된 수익을 기반시설에 재투자할 수 있게 하였다. 대표적인 사례로 서울 도심 내 지어진 상가아파트를 들 수 있다. 특히, 하천정비 및 복개사업과 함께 추진된 상가아파트의 경우 민간이 재원을 투입하여 하천 정비 또는 복개를 추진한 후 복개 상부에 상가아파트를 지어 분양하는 방식으로 추진되었다. 이 경우 하천 관련 기반시설은 공공에게 소유권이 귀속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하천부지를 민간이 사용함에 따라 점용료를 납부하기도 한다. 아현천, 선통물천, 성북천, 홍제천 등의 하천복개 및 을지로6가 주변 구거복개와 그와 연계된 상가아파트 건설이 이에 해당한다. 세운상가와 낙원상가의 경우는 기존 도시계획시설로 지정된 도로 부지에 자리한 무허가 건축물 밀집지를 철거하고 도로를 개설함과 동시에 연접 부지 또는 도로 상부에 상가아파트 사업을 추진한 사례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사업을 일종의 ‘개발사업 연계형 PPP 사업'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앞서 언급한 민간자본 유치 사업에 참여하였던 건설기업으로 대표되는 민간 부문은 서울시가 도시화에 대응하는 데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고 볼 수 있다. 민간 부문이 수행하였던 가장 큰 역할은 위험 분담의 역할이었다. 개발사업과 기반시설 사업을 연계함으로써 일반적인 민간투자사업이나 PPP 형태의 기반시설 사업에 대비하여 보다 높은 수익의 가능성이 생긴 반면, 개발사업의 특성 상 사업 단계별로 다양하게 노출되어 있는 수많은 위험요인들 역시 민간 사업자가 부담하여야 했기 때문이다. 재원 조달의 역할 또한 민간 기업이 기여한 역할로 볼 수 있다. 이는 민자 유치사업 또는 PPP의 주요한 특성으로서 본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범위의 사업에서만 발견되는 역할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시기가 전후 복구에서 막 벗어나 해외 원조가 아니라 처음으로 국내의 민간 기업이 적극적으로 서울시 등으로 대표되는 공공과 파트너를 이루어 기반시설 구축에 참여하였기 때문에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개발사업과 기반시설이 연계된 사업구도에 따라 필연적으로 입체 복합개발 또는 다목적성을 지닌 도시개발이 이루어졌다는 것과 그 결과 도심 내 토지이용의 효율화에 기여하였다는 것을 또 다른 민간의 역할로 조명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과거 민간사업자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일종의 정경유착에 의한 공정성 훼손, 부적격한 사업자 선정 등의 문제는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서울의 민간자본 유치사업, 즉 ‘개발사업 연계형 PPP 사업'이 보다 적극적인 민간의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수단으로, 급격한 도시화 과정에 있는 개발도상국에게 있어 참고하여 적용할 수 있는 민간 참여의 사례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주요어 : 도시화, 1960년대, 민간, 민자유치, 민간자본, PPP, Public Private Partnership, 기반시설, 개발사업

      • 도시정책 공유를 위한 외국공무원 초청연수 성과평가방법 개선방안 연구 : -서울시인재개발원 초청연수를 중심으로-

        이선배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1759

        서울시 공무원 교육기관인 서울시인재개발원은 서울시 ODA 사업의 하나로서 2008년부터 외국도시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단기초청연수를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서울시인재개발원에서 추진되고 있는 외국도시공무원 단기초청연수가 본래의 시행취지와 목적에 맞게 바람직하게 운영되고 있는지, 초청연수의 성과가 무엇이고, 바람직한 초청연수의 성과 평가 방법은 무엇인지에 대한 고찰과 논의는 충분히 이뤄지고 있지 않다. 이러한 배경에서 서울시인재개발원 외국도시공무원 초청연수 시행의 근간이 되는 ODA의 이론과 서울시 정책공유 및 정책수출에 대한 개념을 검토하여 서울시 인재개발원 단기초청연수의 시행의의와 목적에 대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또, 서울시인재개발원 외국도시공무원 초청연수 참가자의 데이터와 참가자의 연수과정에 대한 평가데이터를 분석하여 서울시인재개발원 단기초청연수의 성과평가방법 개선에 있어서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서울시인재개발원 초청연수의 효율을 제고하고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초청연수 사업의 의의와 성격을 서울시 ODA 사업으로 명확히 재정립하고 평가 방법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때 서울시 우수 정책의 해외진출이나 서울시 네트워크 확대와 같은 구속성 ODA가 아닌, 서울시민의 국제사회에의 기여와 역할수행 이라는 보편적 ODA 취지를 그 목적으로 해야 할 것이다. 또한 보다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초청연수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체계적인 계획을 수립하며, 객관적 평가방법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서울시인재개발원 초청연수에서 시행하고 있는 Kirkpartick 4단계 평가모형의 3단계 현업적용도 평가 평균은 4.8로서 매우 높은 수준에 속한다. 그러나, 서울시 우수정책의 해외진출 현황에 보고된 해외도시 정책이전 사례와 서울시인재개발원 초청연수의 참가도시를 비교하였을 때 상관관계의 연관을 지을 수 있는 연수는 분석의 대상이 된 66건 중 3건에 불과하였다. 요컨대, 정책이라는 학습과제는 단기간에 적용하여 성과를 창출하고 검증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초청연수의 성과평가 방법에 있어, 연수의 효율을 제고하고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서울시인재개발원 초청연수의 효율을 제고하고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검토된 정책이전(Policy Transfer)의 분석틀과 학습전이(Learning Transfer)이론 및 OECD DAC의 평가모형을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가장 바람직한 평가모형이 될 수 있다. Seoul Human Resource Development Center, SHRDC is a training institution for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public officials. Since 2008, SHRDC is conducting short term international policy training program targeted for foreign officials as an Seoul’s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program. However, critical review and discussion on the training program’s outcome & effectiveness, also proper evaluation method have been almost lacked or neglected. Having mentioned that, this study aims to provide insight for the improvement of SHRDC International Policy Training evaluation method by analysis of participants data as well as the survey of the participants on the program. Also, this study aims to highlight and to review the purpose and meaning of the program, by reviewing related theories such as Dolowitz & Marsh’s policy transfer theory, Kirkpatrick’s evaluation and learning transfer theory, and OECD DAC’s theory on ODA and etc. In order to improve sustainable momentum and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t is highly appropriate to redesign its evaluation mechanism and methodology as well as to redefine the purpose and meaning of the program as the integral part of Seoul’s local government level of ODA effort Also, at this time, the purpose of the program shall be aimed to Seoul and its citizens’ contribution to global community and commitment for global community’s advancement not shall not be lopsided to rather tied hence coercive policy transfer of Seoul’s policy or expansion of Seoul’s network among global community. It is important to focus on the strategic long term venues and objective evaluation measures which will enable SHRDC‘s international policy training program to be equipped with more legitimacy, effectiveness and sustainability. On the Likert scale of 5, 5 being the highest, Kirpartick’s Level 3 Behavior evaluation index is 4.8 for the research targeted 66 SHRDC’s international policy training program. However, actual statistic shows that only 3 programs are actually contributed actual policy transfer of the participant learned Seoul’s policy. This is to say that the result of current SHRDC’s Kirpartick’s Level three Behavior evaluation method does not properly imply actual measurement of the training’s outcome and it can be said that the evaluation result is arbitrary hence not appropriate to said that the. index correctly reflect the outcome and performance measurement of the training program. On the basis of this study report, in order to improve sustainable momentum and effectiveness of the SHRDC’s international policy training program, evaluation measure or instrument for the training needs to be redesigned and shall imply and reflect reviewed theories such as Dolowitz & Marsh’s policy transfer theory, Kirkpatrick’s evaluation and learning transfer theory, and OECD DAC’s theory on ODA

      • 신도시 개발계획 수립 시 적용가능한 탄소저감 계획요소 도출 및 탄소배출에 미치는 효과 분석 : 화성 동탄신도시를 대상으로

        박원신 서울시립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51759

        최근 관심을 받고 있는 이상기후는 기후변화의 주요 현상 중 하나이고, 도시 내 탄소배출은 기후변화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도시는 건설에서부터 운영까지 다양한 시점에서 지속적으로 탄소를 배출한다. 물리적인 도시 건축물, 시설물 등은 도시의 특성 상 한번 건설하면 다시 되돌리기 어렵기 때문에, 도시의 탄소배출을 저감하려는 노력은 도시를 건설하는 첫 단계인 개발계획 단계에서부터 고려하여야 효율성이 높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도시 건설 시 토지이용계획을 수립하는 개발계획 단계에서 적용할 수 있는 탄소저감 계획요소를 도출하고, 화성 동탄신도시를 대상으로 탄소저감 계획요소를 적용하였을 때 탄소배출량을 산정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 신도시 개발계획 수립 시 적용할 수 있는 탄소저감 계획요소는 선행연구와 관련 계획기준을 고찰하여 90개의 예비지표를 선정한 후 그 중 유사항목을 통합 조정하여 24개의 계획요소를 도출하였다. 이렇게 도출된 24개의 계획요소는 신도시 개발사업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도시계획 및 단지설계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하여 공사비의 부담이 작은 「경제성」, 기술적 난이도가 낮아 적용이 용이한 「적용성」, 탄소저감 효과가 클 것으로 생각되는 「민감성」의 3개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 계획요소에 대한 중요도를 평가하였다. 이 결과 경제성으로 분류된 계획요소들의 중요도는 낮게, 민감성으로 분류된 계획요소들의 중요도는 높게 나타났다. 탄소배출에 미치는 효과는 탄소배출 원단위 설정, 분석대상 신도시 선정, 개발시나리오 설정, 탄소배출량 산정 및 효과분석의 4단계로 진행하였다. 탄소배출 원단위는 IPCC 가이드라인 및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가계, 산업, 교통, 폐기물, 흡수원으로 온실가스 배출원 유형을 분류하고 각각에 대한 원단위를 설정하였다. 탄소저감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대상 신도시는 1, 2기 신도시에 대한 탄소배출량을 비교분석한 후 세대당, 단위면적당 탄소배출량이 가장 많은 화성 동탄신도시를 선정하였다. 탄소배출량 산정을 위한 개발시나리오는 도시계획 및 단지설계 기술사 집담회를 통하여 각 계획요소별 탄소저감 요인을 도출한 후 9개의 시나리오를 설정하였다. 탄소배출량 산정 및 효과분석은 화성 동탄신도시를 대상으로 탄소저감 계획요소를 적용하기 전과 개발시나리오를 적용한 후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이 결과 경제성 유형과 민감성 유형의 탄소저감 효과는 크지 않고, 적용성 유형은 계획요소 중 세대수 감소가 포함되어 있어 탄소저감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신도시의 한정된 입지적, 공간적 범위에서 부지면적의 추가확보를 통하여 얻을 수 있는 탄소저감 효과가 크지 않고 둘째, 인구밀도의 하향 조절은 각 세대에서 발생하는 전기, 냉난방, 승용차 이용등과 연동하여 탄소배출량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가장 효과가 크며 셋째, 신도시 계획 시 대중교통 이용률 확대 또는 승용차 이용률 축소를 국가정책 목표에 맞추는 것은 탄소저감 효과가 크지 않고 넷째, 신도시 개발에 참여하고 있는 설계 전문가들이 탄소저감 계획요소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는 점이다. Recently a strong interest has been put on abnormal climate, which is one of the major phenomena of climate change, and carbon emissions in cities are known to be the major cause behind climate change. Cities continuously produce carbon at various points from construction to operation. Efforts to reduce carbon emissions in cities are highly effective if considered from the stage of development planning, the first stage of city construction, because physical city buildings and facilities are difficult to reconstruct once they have been built. In this study, the carbon reduction factors that can be applied at the stage of development planning for construction of the new city are derived, and effects on the carbon reduction are confirmed when the carbon reduction factors are applied to the Hwasung Dongtan New City. The 90 carbon reduction factors that can be applied to a new city development plan were selected from preliminary studies and related planning criteria, and 24 factors were derived by coordinating similar items among them. Through an expert survey, the 24 factors derived from these were classified into 3 types; ‘economic efficiency’ for an option with a low construction cost, ‘applicability’ which means easy to apply because of low technological difficulty, and ‘sensitivity’ for effective carbon reduction methods. As a result, the importance of factors classified as ‘economic efficiency’ is low and the importance of factors classified as ‘sensitivity’ is high. The effect on carbon emissions are proceeded in four steps: derivation of the carbon emission unit, selecting the new city to be analyzed, setting the development scenario, estimating carbon emissions and analyzing the effect. Carbon emission unit is classified into household, industry, traffic, waste, and sink as a source of GHG emissions by considering IPCC guidelines and previous research. Hwaseong Dongtan New City was chosen as a case study chosen to analyze the Carbon Reduction Effects, as it has the largest carbon emission per unit area and per household when compared and analyzed the carbon emissions for the 1 and 2 generation new towns. In the scenario for estimating carbon emissions, nine scenarios were set after deriving carbon reduction factors for each planning factor through a meeting of city planning and design engineers. Carbon emission estimation and effect analysis were carried out before applying the carbon reduction plan factor to the Hwasung Dongtan new city and after applying the development scenario. As a result, the carbon reduction effect for the ‘economic efficiency’ and the ‘sensitivity’ type are considered to be less effective while the ‘applicability’ type has the highest carbon reduction effect, as it includes the decrease of the number of household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carbon reduction effect obtained by securing additional site area in the limited area of ​​new towns and spatial areas is not significant. Secondly, the downward adjustment of population density is the most effective option because it reduces carbon emissions by linking with the electricity, air-conditioning, use of passenger cars, and so on. Thirdly, it is not effective to reduce the carbon emission by expanding the public transportation utilization rate or reducing the passenger car utilization rate in the new city planning to meet the national policy goal. Fourthly, design experts participating in the development of new cities have lack of understanding on carbon reduction plan elements.

      • 지방공공부문 부채비율과 대내외적 지표 간의 상호 영향에 관한 연구 : 수도권 도시개발공사 사례를 중심으로

        김성인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1759

        지방자치제가 정착되는 가운데 지역 공공서비스를 공급하는 지방공기업 및 지방자치단체 출자·출연기관은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지방분권에 따른 지역복지 증진, 지역경제 활성화 욕구가 커지면서 지방공기업의 사업범위는 향후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선진국 대부분이 고령화를 겪는 입장에서 복지지출에 의한 중앙 및 지방정부의 부채의존 지향적 재정지출은 점진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중앙정부 교부금 등에 의존하는 지방정부와 지방공기업의 재정관리 및 부채증가는 예측하기 어려운 외부적 충격요인 발생 시 중앙정부를 직접적으로 재정위험에 빠뜨릴 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기존 지방재정, 재정위기, 지방도시개발공사 관련 선행연구들은 비교적 제한된 시점 하에서 지역인구, 지방정부 예산 증감 등 미시적이고 특정분야에 집중된 지표를 통해 지방정부와 지방공기업 간의 재정적 상관성을 분석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지방 재정건전성에 관련된 선행연구와 현장사례를 다각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도시개발공사의 부채비율과 대내외적 지표들간의 중기적 상관관계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수도권 도시개발공사와 관련된 2003년부터 2017년까지의 다양한 시계열 데이터를 구축하고 분석함을 통해 한정된 기간 및 데이터로 진행된 선행연구들의 자료 추출 기간 및 범위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수도권 도시개발공사의 부채비율 대비 경제·사회·정책적 지표의 상관도와 선형관계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유로존 재정위기 이후 행정안전부 등 중앙정부가 지방공기업 재정건전성을 지속적으로 관리해 온 것에서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반해, 지방정부의 부동산개발사업 등을 대부분 위탁받아 수행하는 종속적 관계로 인해 수도권 도시개발공사의 부채비율과 다수의 재무적 지표는 대규모 신도시 및 택지개발사업이 마무리되던 2010년대 이후 점진적으로 유사한 증감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간과되어 온 지방공공부문 부채와 증감 영향요인들 간의 관련도를 분석하고 실증연구의 시발점이 되는데 의의가 있다. 향후 대내외적 환경과 시점의 변화에 따라 연구의 대상과 방법을 변화시킨다면 높은 재정건전성이 요구되는 지방 공공부문의 합리적 재정운영 및 위기대응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Amid the establishment of the local administrative system, the number of local public enterprises and local governments that provide local public services continues to increase. As the desire to promote local welfare and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by decentralizing the business scope of local public corporations is expected to expand further in the future. With most of the developed countries aging,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debt-dependent fiscal spending is expected to gradually expand. In particular, increased financial management and debt growth of local and local governments, which rely on central government subsidies, such as Korea, may act as a direct source of financial risk for the central government in the event of unpredictable external shocks. In this study, prior studies and field cases related to local financial soundness were extensively reviewed. In addition, it focu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debt ratio of Sudogwon urban development corporations and the medium-term internal·external indicators. This study was designed to supplement the data extraction period and scope of prior studies conducted with limited time and data through the establishment and analysis of various time series data related to Sudogwon urban development corpora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governments' liabilities and factors affecting growth and is the starting point for specific case studies. I expect that changing the subject and method of research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internal and external circumstances and timing will help rational financial operation and crisis response of local public sectors that require high fiscal soundness.

      • 신도시 경관디자인 형성을 위한 개발기법 적용방안 연구 : 행정중심복합도시 토지공급방식 사례를 중심으로

        박현옥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1759

        Many developing countries running rapid urbanization have studied Korean new towns characterized by public leading, planed city, speedy construction period, high density and so on. Recent trends of Korean new town TOD(Transit oriented development) and compact city have a strong influence on landscape of the city. Elements of building such as mass, height, elevation, and access represent a huge part of forming city landscape, and these elements are contained district unit plan. As most buildings for living and commerce are constructed by private sector, however, it is hard to expect that the view intended by urban design plan blend with the real landscape. Private construct considering only business profit have hindered the city landscape and even have dropped the whole image of the new town. To minimize adverse effect to the city landscape by private sector construction, this study would show that land supply method affect city landscape. Korean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is used an example that has been attempted a various land supply method to study the urban landscape design. To research, land supply method are classified into 8 sectors as "the way of plan + the way of land sale" - 1) land replotting 2) urban unit plan + competitive bidding 3) design competition of block + contract with the winner 4) design competition of neighborhood + direct construction of project owner 5) master plan of neighborhood + design competition(and the winner has the right) 6) master plan + competitive bidding 7) guideline by block architect and competitive bidding 8) design competition and competitive bidding of individual lot(for detached housing site). Analysis indicators to measure differences of 8 land supply methods are building landscape, residential landscape, city landscape, specialized landscape, economic feasibility, planning period, action means. Expert survey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city landscape in differences to the land supply method.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make the better use of the developing counties caused mass housing provision under rapid urbanization. It would suggest varied land supply method to create surpassing landscape, not standardized. Moreover, this research would be expected to contribute to improving Korean new town model competitiveness in the business of developing new town. 한국형 신도시는 공공주도의 계획도시, 빠른 건설기간, 높은 인구밀도 등이 특징이며 급격한 도시화가 진행되는 개발도상국들의 벤치마킹 대상이 되고 있다. 대중교통중심도시와 컴팩트시티를 지향하는 최근 한국형 신도시의 트렌드는 도시의 경관에도 큰 영향을 끼친다. 도시경관을 형성하는데 있어 공동주택 등의 건축물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하여 건축물의 높이, 매스, 입면 등 다양한 방식으로 도시경관을 조절한다. 하지만, 주거와 상업 등 도시를 이루는 대부분의 건축물은 민간이 건설하기 때문에 계획이 의도하는 대로 도시경관을 창출하기가 어렵다. 사업성을 중시하는 민간건축물들은 오히려 도시경관을 저해하고, 신도시 전체 이미지를 하락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민간건축영역의 도시경관에 대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토지공급방식에서 적용하는 다양한 개발기법을 통하여 도시경관디자인을 형성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으며 다양한 토지공급방식이 이루어지고 있는 행정중심복합도시의 토지공급사례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토지공급방식을 1)환지 방식, 2)지구단위계획 수립 후 일반공급, 3)블록별 설계공모 4)생활권별 설계공모 후 사업시행자 직접건설, 5)생활권별 마스터플랜 수립 후 설계공모, 6)생활권별 마스터플랜 수립 후 일반공급, 7)BA 가이드라인 수립 후 일반공급, 8)설계공모 후 개별필지 일반공급(단독주택)의 8가지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토지공급방식에 따라 도시경관디자인이 어떻게 다른가에 대한 분석지표로는 건축경관, 단지경관, 도시경관, 특화경관과 경제성, 계획기간, 실행수단 등으로 분류하여 행정중심복합도시 토지공급 실증사례를 중심으로 조사하고 장단점을 분석하였으며 상대적 비교분석 결과를 보완하기 위해 전문가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이러한 토지공급방식의 다양한 개발기법에 대한 분석결과는 신도시의 개발환경에 따라 획일적인 도시경관이 아닌 우수한 도시경관디자인을 창출 할 수 있는 다양한 토지공급방식 적용을 제안할 수 있다. 급격한 도시화로 주택의 대량공급이 예상되는 고밀도의 개발환경 등에서 활용 가능할 것이며 향후 신도시개발 사업에 있어서 한국형 신도시개발 모델의 경쟁력을 제고 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