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소상공인의 창업컨설팅이 고객만족과 서비스 품질 및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박문정 광운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75

        A goal that maintain and develop continuous start-up according to Entrepreneurial performance of small business owner has been making effort in a wide variety of aspect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actual founder themselves. In particular, founders go to length to keep the foundation of their long-term and uncertainty including those of start-up Education, the government's support system and the market and customer relationships. This study sought to obtain a functional role in which start-up successfully continue by removing uncertainties factor in all foundation that founder themselves would like to start a business through the start-up consulting, which means they write up a business plan with all their Entrepreneurial Competency before and after the start-up, and then through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it presented that significant success factors of startup through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e pre-researchers based on the core facto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art-up on the small business founders. However, It doesn't work very well or it doesn't achieve as a successful start-up factor, so they were struggling to maintain additional startup, closing business and career change after startup. However,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Response which try to apply entrepreneurship consulting and system and factor through startup Characteristics, and they who have a Mind and Capability derived much higher performance than founder that has not been receiving a consultation. Studies in the result of measuring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on the performance of the startup, have brought to the light that they have not continually been developed and have not sustained business in the long-term rather than people who have educated startup consulting. Even though they are full of Qualifying Conditions including the variety of support, education, and financial benefits about the startup. In addition, although it attempted to start a business by covering everything the founder characteristics in the preceding study, and various know-how and factors such as start-up items, education and support, but failed to succeed in starting a business. The reason why it can be carefully mentioned that the failure to start a business does not lie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under and many other factors, such as the technology of the start-up or the support system and education. This is because the founder faces the reality of the harsh situation that they have no choice but to give up their business in a flash. although they are properly prepared for startup and despite preparation for it in advance, many founders have been driven out of business. Second, considering that this study does not show up as a factor of successful start-up through various issues and developmental factors, it is necessary to have expertise in start-up and consider the various risk factors and challenging situations to properly cope with the founder's own capabilities and professional opinions and guidance. Thereby, startup period and type of business with business plan and consulting that prior to the startup is able to continue it by utilizing professional consulting agency or consulting support systems so that improvement of customer satisfaction and quality of service after the start-up. The performance of a start-up can be seen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founder himself and the relationship on the hypothesis between consulting after the start-up. Third, the average of consulting will soon give the founder’s intentions and additional of potential capabilities regarding management, and the effects of controlling their mind or strengthening their capability, including the concepts of consulting trusted and received, will have a profound impact on customer’s satisfaction and quality of customer service is satisfying by the hypothesis Therefore, it is able to be seen that consulting, which appeared at the beginning and after the start-up of the founder himself, has a profound impact on the success factors and performance of the start-up. For this reason, it will be a successful start-up and achievement for small business when apply the variables of existing research that contain factors and the use of the consulting support system for entrepreneurs of the Korea Small Business Corporation and consulting contents of consulting experts with professional knowledge. The intention of this way is to eliminate uncertainty around developmental factors. 소상공인 창업자의 창업에 따른 창업의 성과에 지속적인 창업을 유지, 발전시켜 나가기 위한 노력은 정부와 관련의 기관 및 실제적인 창업자 자 신에 이르기까지 아주 다양한 측면에서 노력하여 왔다. 특히 최근에는 창 업자들이 창업의 교육과 정부의 각종 지원제도 및 시장과 고객 등의 관계 를 포함한 창업의 불확실성과 장기적 차원의 창업유지를 위한 노력을 아 끼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소상공인 창업자가 창업 이전과 이후에 자신이 가진 모든 창 업역량을 통하여 사업계획서를 작성하고 이후에 창업컨설팅을 통하여 창 업자 자신이 창업하고자 하는 모든 창업의 불확실성의 요인을 제거하여 창업을 성공적으로 지속해 나가고자 하는 핵심적 이슈를 얻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소상공인 창업자들이 가진 창업의 핵심적인 요인과 창업특징으로 본 선행연구자에서의 분석 및 해석의 내용들을 통하여 추후에 창업에 확 실한 성공적 요인으로 제시하고자 하였으나 이렇다 할 창업의 성공적인 요인들로 크게 작용하지 못하거나 큰 성과를 거둘 수 없어 창업 이후에 폐업이나 전업 및 추가적인 창업의 유지에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밝힌 창업자의 창업특성과 창업자들이 가진 마인드 와 역량을 통한 창업컨설팅의 제도와 컨설팅의 요인들을 적용하여 창업을 시도한 결과 창업이후의 나타난 고객들의 반응과 제품에 나타나는 서비스 의 품질은 컨설팅을 받지 않은 창업자들보다 훨씬 높은 성과를 도출하였 다. 연구결과 나타난 창업의 성과에 있어 재무적, 비재무적인 성과를 측정 해 본 결과 창업컨설팅을 받은 창업자들 보다 창업에 관한 각종의 지원과 교육 및 금융의 세제 혜택을 포함한 요건을 갖추었음에도 불구하고 장기 적인 창업의 유지 및 발전을 계속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말하는 창업자들의 특징과 창업자들이 가진 갖가지 의 노하우와 창업아이템 및 교육과 지원 등의 요인들을 총망라하여 창업 을 시도하였으나 창업에 성공하지 못한 것은 창업자의 특징과 창업의 기 술이나 지원제도 및 교육 등의 기타 여러 요인에 있는 것이 아니라는 점 을 조심스럽게 언급해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사전에 창업을 위한 준비를 철저히 했음에도 불구하고 폐업을 하는 창업자들이 속출하고 있으며, 창 업을 제대로 준비하여 창업하였다 해도 순식간에 창업을 포기해야만 하는 아픈 현실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 말한 창업의 각종 이슈와 발전적인 요 인들을 통한 성공적 창업의 요인으로 나타나지 못함에 착안하여 창업자들 이 갖는 역량과 창업의 아이템 보다는 창업자들의 자만심이나 자기만이 가진 경영방법이 아닌, 창업의 시작과 창업이후에 계속되지는 각종 위험 요인과 도전적인 상황 등에 있어 적절하게 대처해 나가기 위해서는 창업 자 자신의 역량과 창업컨설팅의 전문적인 의견과 창업지도가 필요할 것이 라고 보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말하는 소상공인 창업자들의 창업시 기와 창업의 업종 및 창업이전에 사업계획서와 창업컨설팅을 통하여 창업 을 시작한 창업자들이 창업이후에 계속적인 고객만족과 서비스품질의 개선을 위하여 전문적인 컨설팅 업체나 컨설팅지원제도를 활용함으로써 지 속적인 창업을 계속할 수 있었다. 창업의 성과는 창업자 자신과 창업이후 에 컨설팅의 관계로 설정한 가설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컨설팅의 정도는 곧 창업자 자신의 의도와 경영에 관한 추가적인 역량의 확신을 줄 것이라는 점에서 창업자 자신이 컨설팅을 신뢰하고 받 은 컨설팅의 내용을 포함하여 마인드를 컨트롤 하거나 역량을 강화하는 가운데 얻어지는 효과는 창업의 성과 즉, 고객만족과 서비스품질에 지대 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설정한 가설을 만족시키는 유의한 결과를 얻었 다. 따라서 창업자 자신이 갖는 창업초기와 창업이후에 나타난 컨설팅을 창업의 성공적인 요인과 성과부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소상공인 창업자들이 창업이후 지속적인 창업의 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요인과 창업의 성공요인으로 도출된 선행연구들의 변수를 적용하 여 창업자 자신의 역량에 창업컨설팅과 창업자의 마인드를 강화해 줄 수 있는 지속적인 컨설팅 지원제도를 추가적으로 활용해 나가는 것이야말로 창업초기와 창업이후에 성공적인 창업성과로 나타날 것이라는 점에서 소 상공인진흥공단의 창업자 컨설팅 지원제도의 활용과 전문적인 식견을 가 진 컨설팅 전문가들을 통하여 창업 이전과 이후에 있어, 불확실성을 제거 하고 성공적인 창업의 성과를 통한 발전적인 요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직업전문학교의 창업교육서비스품질과 정부 창업지원 정책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창업의지, 창업효능감을 매개변수로

        정형일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직업전문학교에서 창업교육을 받는 예비창업자의 창업성과 영향요인인 창업교육서비스품질, 정부 창업지원정책과 창업의지, 창업효능감이 예비창업자의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모형으로 가설을 구축하였고 설정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서울과 경기지역에 있는 5곳의 직업전문학교 창업교육을 수강하는 예비창업자 217명을 대상으로 실증적 분석을 하였다. 실증연구의 결과로는 첫째. 창업교육서비스품질과 창업의지 사이에서는 공감성은 창업의지에 유의한 영향이 없었지만 확신성과 신뢰성은 유의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창업교육서비스품질과 창업효능감 사이에서는 공감성과 확신성은 창업효능감에 정(+)의 영향이 있었고, 신뢰성은 부(-)의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업지원정책과 창업의지 사이에서는 정부 자금지원이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이 있었고, 창업컨설팅은 부(-)의 영향에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창업지원 정책이 창업효능감의 사이에서는 정부 자금지원은 창업효능감에 부(-)의 영향이 있었고, 컨설팅 지원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창업교육서비스품질과 창업성과의 사이에서는 공감성이 재무적성과와 비재무적성과에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확신성과 신뢰성에서는 재무적성과와 비재무적성과 모두에게 유의하게 나타났다. 여섯째. 창업지원정책과 창업성과에 사이에서는 정부 자금지원이 비재무적성과에 정(+)의 영향을 재무적성과에는 부(-)의 영향을 미쳤으며, 컨설팅 지원은 재무적성과와 비재무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곱 번째. 창업교육서비스품질, 창업지원정책과 창업성과 사이에서 창업의지의 매개역할 중 공감성은 재무적성과와 비재무적성과 모두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 번째, 창업교육서비스품질, 창업지원정책과 창업성과 사이에서 창업효능감의 매개역할 중 공감성이 재무적성과에는 매개효과가 존재하지 않으나, 비재무적성과에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약하자면, 교육기관은 교육과정에서 창업교육서비스품질을, 정부에서는 지원정책을 학습 단계, 창업단계별로 구분하여 체계적이고 현실적인 지원정책이 필요하고, 1:1 맞춤 정책으로 예비창업자의 창업의지와 창업효능감을 높여 창업성과에 도움이 되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교육기관에서는 창업교육의 향상되는 교육서비스품질을 제공하는 데 활용되고 정부 부처에서는 효율적인 지원정책의 방향성을 잡아가는 데 참고 자료로 활용하는 지표를 제공하는 역할에 공헌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formulated research hypothesis based a model that is designed to explain the effects of quality of startup training service, government support policies for startups, entrepreneurial intentions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on performance of startup business of those who are taking startup courses at vocational schools. Based on review of precedent studies, the model has been verified by conducting empirical analysis on 217 would-be entrepreneurs currently taking courses at five different vocational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The study found; first, among different quality aspects of startup training services, empathy was identifie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whereas assurance and reliability exhibited significant impa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second, analyzing correlation between quality of startup training service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empathy and assurance had positive impact o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with reliability having negative impact. third, reviewing relationship between startup support policie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financial support resulted in positive impa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when startup consulting showed negative impact on such intentions. fourth,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tartup support policies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financial support exhibited negative impact o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consulting support showed positive impact. fifth, exploring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startup training service and startup performance, empathy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impact on both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with clear impact identified of assurance and reliability on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sixth, understanding impact of startup support polices on startup performance, financial support had positive impact on non-financial performance and negative impact on financial performance, and consulting support had positive impact on both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seventh, exploring to see whether impact of quality of startup training service and startup support policies on startup performance was mediated by entrepreneurial intentions, empathy did not show mediating effect on both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eight, understanding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if there is any, on variables above, empathy did not have mediating effect on financial performance but showed a some level of mediating effect on non-financial performance. In summary, vocational institutions are required to enhance quality of startup training services they offer whereas the government needs to provide more systemized and pragmatic support for would-be entrepreneurs based on their training levels and startup stages. Tailored supports befitting needs of future entrepreneurs can help improve entrepreneurial intentions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leading to better performance of startups. This study aims to help vocational schools to upgrade quality of training courses and provide reference to relevant government authorities to implement more efficient support programs for startups.

      • 대학의 창업교육 체계화를 위한 창업학 교육과정 개발 모형 연구

        목영두 中央大學校 大學院 2011 국내박사

        RANK : 249727

        Since economic uncertainties continue to exist worldwide following the global financial crisis, economic revitalization through entrepreneurship has become an extremely important subject of discussion. Entrepreneurship became a slogan for personal, organizational and national success, and it has become a significant topic of discussion among policy makers, educators and business persons. Entrepreneurship resulting from systematic education has become an alternative means of resolving the high unemployment caused by the global economic downturn. Keeping pace with these environmental changes, a greater number of universities are establishing entrepreneurship courses. However, since the introduction of an entrepreneurship curriculum is still being formulated, the shortage of professors and effective teaching materials limits the program’s effectiveness. Universities that conduct systematic entrepreneurship education will graduate potential entrepreneurs and promote the development of related learning. Considering the immaturity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is study proposes a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a mixed-methodology that addresses entrepreneurship knowledge and skill, subject details systems, and entrepreneurship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The details and scope of major research carried out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nsidering that this study is being conducted during the initial phase of introducing entrepreneurship, it attempts to establish the core concepts of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s and the scientific identity of entrepreneurship. Second, this study develops and uses questionnaires to uncover the detail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based on preceding studies, and conducts Delphi surveys after selecting a group of researchers lecturing on subjects related with entrepreneurship at universities and a group of executives in entrepreneurship consulting as the two focus groups in determining the master curriculum of entrepreneurship. The study derives entrepreneurship knowledge and skill factors needed in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of universities through Delphi surveys, telephone and qualitative interviews, and develops AHP questionnaires that assess the importance of each factor. The Delphi surveys are then conducted on the above-said two groups using the developed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rive relative importance of the main category and the entrepreneurship knowledge and skill factors, the sub-factors of each area. Third, this study develops questionnaires to deduce entrepreneurship subjects based on preceding research, and conducts Delphi surveys on the two focus groups equal to the respondents to the questions regarding the details of subj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sent common primary courses, compulsory, and optional major courses needed to design the entrepreneurship course curriculum of universities. Fourth, this study presents general curriculum development models and entrepreneurship curriculums through the use of the results of the above-said Delphi surveys. This study is composed of an initial curriculum development phase, curriculum development direction establishing and organizing phase, and the curriculu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phase. The proposed model provides a foundation where the curriculums and subjects needed for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at universities can be systematically designed. Fifth, to systemize entrepreneurship education at universities, this study proposes that this study be linked with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vided by high schools, graduate schools, and social educational systems. This study proposes a model for developing school subjects, entrepreneurship subject system, and the entrepreneurship curriculums needed for the systemization of a university’s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doing so,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a framework needed for the scientific development of the entrepreneurship program which is still in the initial introduction phase. In addition, this study will provide practical suggestions on the design of curriculums linked with the schools’ strategy directions when the university establishes entrepreneurship subjects and opens a major course in entrepreneurship in the future.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전 세계적으로 경기의 불투명성이 존재하고 있는 가운데 창업을 통한 경제 활성화가 매우 중요한 논제가 되고 있다. 창업은 개인, 조직, 나아가 국가적 성공을 위한 슬로건이 되었고, 창업은 정책 입안자, 교육자, 사업가 등 모두에게 화두가 되고 있다. 창업은 경제구조의 변화로 인한 고용 없는 성장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이 되고 있다. 따라서 체계적인 교육을 통한 잠재적인 창업가 육성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환경변화를 반영해 대학에서도 창업관련 과목을 개설하는 학교의 수와 개설과목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창업학 도입 초기 단계여서 교수요원의 부족, 교육과정의 개발 및 교재 개발의 미흡 등으로 인해 대학의 창업교육은 체계적인 교육에 한계를 지니고 있다. 대학이 창업교육의 주체가 되어 체계적인 창업교육을 실시한다면 잠재적인 창업가를 육성하고 관련 학문의 발전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증연구가 어려운 창업학 도입 초기 단계임을 고려해 통합적 연구방법을 통해 대학의 창업교육에서 필요한 교과내용, 교과목 체계 및 창업학 교육과정 개발 모형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진행한 주요 연구의 내용과 범위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창업학 도입 초기 단계에서의 연구임을 고려해 창업학 연구에 필요한 Entrepreneurship 및 Entrepreneur 등의 핵심 개념을 정립하고, 창업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검토한다. 둘째,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창업학 교과내용 도출을 위한 설문지를 개발하고, 대학에서 창업학 관련 과목을 강의하는 연구자 그룹과 창업학 석사과정을 이수하고 현업에서 창업교육 및 컨설팅 업무를 수행하는 실무 전문가 그룹을 두 개의 포커스 그룹으로 선정하여 델파이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설문조사와 전화 인터뷰, 질적 면담 등을 통해 대학의 창업교육에서 필요한 창업지식ㆍ기술요인을 도출해 내고, 각 요인별 중요도를 평가할 수 있도록 설계된 AHP 설문지를 개발한다. 개발된 설문지를 상기한 두 개의 그룹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분류 영역 및 각 영역별 하위요인인 창업지식ㆍ기술요인의 상대적 중요도를 도출한다. 셋째,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창업학 교과목을 도출하기 위한 설문지를 개발하고, 교과내용에 대한 설문 대상자와 동일한 두 개의 포커스 그룹을 대상으로 델파이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의 창업학 교과목 체계를 설계하는데 필요한 공통기초과목, 전공필수 교과목, 전공선택 교과목에 적합한 창업 교과목을 제시한다. 넷째, 본 연구는 일반적 교육과정 개발 모형과 상기한 설문조사 결과 등을 활용해 창업학 교육과정 개발 모형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 개발 기초 단계, 교육과정 개발 방향 설정 및 조직 단계, 교육과정 개발 및 적용 단계로 구성된다. 제안 모형은 대학의 창업교육에서 필요한 교과내용, 교과목 등이 체계적으로 설계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다섯째, 본 연구는 대학의 창업교육 체계화를 위해 대학의 전후방에 위치한 고등학교 및 대학원, 나아가 사회 교육으로서의 창업교육과도 연계시킬 것을 제언한다. 본 연구는 이상과 같이 대학의 창업교육 체계화를 위해 필요한 교과내용, 창업학 교과목 체계 및 창업학 교육과정 개발 모형을 제안함으로써 도입 초기 단계에 있는 창업학의 학문적 발전을 위한 기틀을 마련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또한 향후 대학에서 창업학 과목을 개설하고, 창업학 전공을 개설할 때 학교의 전략방향과 연계된 교육과정 설계에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이다.

      • 소상공인 창업지원 사례연구 : 하이서울 창업스쿨을 중심으로

        문구선 호서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249711

        A small and medium enterprise means a medium, small enterprise and a small & micro business. But a small & micro business differs with a medium enterprise on a scale and a form of operation, and is different with a small enterprise because it is operated on one's own account. A small & micro business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account for nearly 87% of a total enterprise in Korea and its weight on Korea economy is very high though it is paltry in appearance. However, it seems that politic consideration for a small & micro business is not enough even though there are many supporting systems for a medium enterprise. For ten years, politic consideration and supporting for a small & micro business have increased since many issues of a small & micro business come up and are discussed. But, also, the disutility due to poor progress of the industry for domestic demand and the high weight of a small & micro business comes up. So this report studies a systematical supporting system for a small & micro business. Especially this study makes an analysis of Hi Seoul Starting A Business School achieved recognition as a model of a supporting system for a small & micro business and presents the course of development of a supporting system through the survey of the founder's demands. The outcome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port analyzes general conditions, statistical data and problems of a small & micro business and the foreign policies to support a small & micro business. Second, the study classifies the operation system of Hi Seoul Starting A Business School into three sections, educational program operation, support for commercialization and stabilization, and tries to grasp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success of starting a business. It is significant as the foundation model of the supporting system of starting a business. Third, it studies trends in starting an enterprise and needs of the small & micro business through the analysis of applications of applicants for Hi Seoul Starting A Business School. Moreover, it checks problems of Hi Seoul Starting A Business School and draws the solution through the survey of the founder and the School graduates. Finally, this study proposes the course of development of the supporting system of starting a business by means of the innovation of the founder and supporting system. Generally, people believe that the success of starting an enterprise depends upon the passive facts like items, funds and so on. However the opinion that the success depends upon the founder is persuasive gradually. Therefore, we have to recognize a system of education in starting a business as the public infrastructure and consider how we frame a policy at the national level and carry out it effectively.

      • 창업을 준비하는 중장년의 우유부단함이 실패의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 공적자의식과 외부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중심으로

        정윤희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의 목적은 창업을 준비하는 중장년의 우유부단함이 실패의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론에 근거하여 창업가 실패의 두려움에 대처하기 위한 전략 변인으로 중장년의 우유부단함을 설정하였다. 우유부단함과 중장년 예비 창업자의 실패의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공적자의식과 외부의 부정적 평가의 영향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모델을 검증하기 위해 45세~64세의 중장년 예비 창업가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총 221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우유부단함이 창업실패의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SPSS 26.0과 AMOS 26.0 그리고 PROCESSmacro 4.0.1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유부단성은 공적자의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우유부단성은 외부의 부정적 평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우유부단성은 창업 실패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공적자의식은 외부의 부정적 평가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다섯째, 공적자의식은 창업 실패의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외부의 부정적 평가는 창업 실패의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우유부단성 및 창업 실패의 두려움이 기존 다수 연구에서의 부정적인 측면 외에 긍정적인 측면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데 이론적 기여점이 있다. 본 논문의 실무적 시사점은 창업을 준비하는 우유부단한 중장년 창업가의 실패의 두려움 해소를 위해 코칭교육프로그램과 컨설팅, 인식의 전환을 위한 실무정책 중심의 공익광고 및 캠페인 등의 공공정책을 지원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처럼 본 연구는 우유부단성과 실패의 두려움에 대한 긍정적 재해석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verify the effect of indecisiveness of middle-aged people preparing to start a business on their fear of failure. Based on the theor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middle-aged indecisiveness was set as a strategic variable to cope with the entrepreneur's fear of failure. As a factor influencing indecisiveness and the fear of failure of middle-aged prospective entrepreneurs, the effects of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negative external evaluation were also verified.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of this study, a total of 221 copi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by conducting a survey targeting middle-aged prospective entrepreneurs aged 45 to 64 years old. SPSS 26.0, AMOS 26.0, and PROCESSmacro 4.0.1 were used to verify whether indecisiveness affects the fear of entrepreneurial fail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decisivenes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ublic self-consciousness. Second, it can be said that indecisivenes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external negative evaluation. Third, indecisiveness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the fear of entrepreneurial failure. Fourth, public self-consciousness can be seen as affecting negative evaluations from the outside. Fifth, public self-consciousness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the fear of entrepreneurial failure. Finally, it was found that negative evaluation from outside influences the fear of entrepreneurial failure. This paper has a theoretical contribution in that it empirically verified that indecision and fear of entrepreneurial failure include positive aspects in addition to negative aspects in many existing studies.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thesis are the need to support public policies such as coaching education programs and consulting,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and campaigns centered on practical policies to change awareness to relieve the fear of failure of indecisive middle-aged entrepreneurs preparing to start a business. We would like to provide an indication that As such,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firmed positive reinterpretation of indecisiveness and fear of failure.

      • 외식 프랜차이즈 창업자의 리더십이 직무만족과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방광석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11

        외식 프랜차이즈 창업자의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은 구성원 직무만족과 재무적 성과 창출에 핵심적 요소이다. 세계은행 산하 국제 금융공사(IFC)의 발표를 보면 현재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창업하기가 어려운 나라로 나타나고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직장인의 약 90% 정도가 창업을 생각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외식업 창업을 선호하는 가운데 외식 프랜차이즈 창업이나 외식 프랜차이즈 가맹점 창업을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 우리나라 창업 시장의 현실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창업 시장의 현실적 요구와 관련하여 외식 프랜차이즈 창업에서 성공을 거두고 지속적으로 성장 발전하기 위해서는 많은 성공요인 중에서 리더십이 중요한 성공요인이라고 보았으며, 이와 관련 리더십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고 프랜차이즈 창업자의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재무적 성과로 대표되는 기업성과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 것인지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통하여 가설을 검증하며 이러한 연구 자료를 통하여 외식 프랜차이즈 예비창업자나 현재 경영하고 있는 프랜차이즈 창업자 모두에게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데서 출발하였다. 변혁적 리더십은 최근 연구가 활발한 리더십이론으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기업구성원의 직무만족과 기업성과에 거래적 리더십보다는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도 외식프랜차이즈 산업에 있어서도 과연 그러한 연구결과가 일치할 것인지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통하여 검증을 하게 된 것이다. 외식프랜차이즈 산업에 있어서도 창업자의 변혁적 리더십이 기업발전에 중요한 요소인 것이 확인되었으며, 실증분석 결과 창업자의 리더십에는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이 모두 필요하며 적절하게 상호 보완되는 것이 바람직 한 것이나, 지속적인 성장발전을 위해서는 외식프랜차이즈 창업자의 변혁적 리더십이 더 한층 발휘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는 것이다. 2006년9월 산업자원부와 한국프랜차이즈협회에서 발표한 2006년 중소유통업 발전을 위한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프랜차이즈 기업의 생존과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첫째 가맹본부의 규모(총점포수)와 역사(가맹사업기간)이며 둘째 기업공개여부, 경쟁력, 가맹점에 대한 계속지원, 가맹점 만족도, 직영점비율이며, 셋째 브랜드 인지도, 가맹본부와 가맹점 매뉴얼 보유 수, 교육훈련 회수, 수퍼바이저 수, 로열티 부과여부 등이며 그 밖의 중요 요소로는 운영시스템, 지원시스템, 관리시스템, 물류시스템 등으로서 나타나고 있는바, 이러한 중요한 요인의 바탕에 흐르고 있는 뿌리 가운데 하나가 리더십이라고 보며 특별히 변혁적 리더십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보아 외식프랜차이즈 창업희망자나 현 경영자 모두에게 변혁적 리더십의 훈련 및 역량개발을 적극적으로 제시하는 것이다.

      • 창업가 역량이 지속가능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창업멘토링 활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오현주 중앙대학교 창업경영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11

        최근 지속가능 경영발전의 중요성이 지속하여 대두되고 있지만 인적, 재정적 자원이 제한된 창업 기업은 무엇보다도 창업가의 역량이 가장 중요한 자원으로 자리하며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지속가능 경영에 영향을 미치는지 고려할 필요성이 나타난다. 이때 우리나라 창업환경은 정부와 지자체 중심의 창업 지원 시스템이 구축되어 자금, 교육, 컨설팅 등 창업 단계별, 분야별, 지역별로 다양한 지원이 이뤄지고 있는데, 창업 멘토링은 멘토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창업 기업을 지원하여 비교적 적은 예산으로도 창업 기업의 실패를 줄일 수 있는 측면이 나타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창업가 역량이 창업 멘토링을 활용하여 지속가능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서는 설문지를 구성하여 중소벤처기업부 산하의 창업진흥원과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에서 지원하는 예비창업패키지, 초기창업패키지, 창업성공패키지(청년창업사관학교), 창업도약패키지 등의 창업 기업 육성프로그램에 참여한 창업 기업의 창업가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설문지 수집은 해당 설문조사 진행 간 창업가에게 변수에 관한 충분한 설명과 이해를 통해 양해를 구하여 자기 기입법에 따라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또한, 설문지의 배포와 회수 방법은 직접방문, E-mail 등을 활용하여 온/오프라인 방식이며 설문조사 기간은 2023년 3월 10일부터 5월 4일까지이다. 해당 기간동안 설문지는 약 1,000부를 배포하여 창업가를 중심으로 190부를 회수한 후 불성실한 12부를 제거하고 178부를 연구에 활용하였다. 설문자료는 도출한 측정요인을 중심으로 리커트 7점 척도로 구성되었으며 분석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SPSS 28.0 통계패키지를 활용하여 수집된 연구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관하여 분석한다. 둘째, 설문자료에 대한 기술통계량을 파악하여 평균, 왜도, 첨도 등을 검토하여 정규성에 관한 검토를 한다. 셋째, Smart PLS 4.0 통계패키지를 활용하여 외부측정모델을 검정한다. 외부측정모델 검정 간에는 교차요인적재량를 통한 변수의 변별타당도와 내적일관성 검토를 위한 신뢰도, 수렴타당도를 파악한다. 넷째, 구조모델 검정을 시행한다. 구조모델 검정은 예측타당도 검정, GoF(Goodness of Fit) 모형적합도 검정, 판별타당도 검정을 시행한다. 다섯째, 구조방정식 모델링 검정을 시행하여 변수 간의 직접효과와 간접효과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고 연구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가 역량은 멘토링 활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업 멘토링 활용은 경제적 성과와 지역환경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업가 역량은 지속가능 경영성과 중 사회적 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경제적, 지역환경 성과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창업가적 역량은 경제적 성과, 지역환경 성과에 대하여 창업 멘토링 활용을 매개하여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recent times, there has been a growing recognition of the significance of sustainable management development. However, for start-up companies that possess limited human and financial resources, the most crucial asset is the entrepreneur's capacity. It becomes essential to examine whether this capacity influences the management of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 the context of South Korea, the start-up ecosystem relies on the establishment of a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centered support system, offering various forms of assistance such as funding, education, and consulting tailored to different stages of start-up development, sectors, and regions. This comprehensive support network has the potential to mitigate the risks of start-up failure, even when operating on a constrained budget. Consequently,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entrepreneurial competency on sustainable management performance through the utilization of entrepreneurship mentoring.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distributed to entrepreneurs participating in various start-up fostering programs such as the preliminary start-up package, initial start-up package, Youth Start-up Success Package (Youth Startup Academy), and start-up leap package. The entrepreneurs were given a comprehensive explanation of the survey variables, and their consent was obtained prior to completing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using both online and offline methods, including direct visits and email. The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March 10 and May 4, 2023. Out of the approximately 1,000 questionnaires distributed, 190 were collected from entrepreneurs. After excluding 12 incomplete or insincere responses, a total of 178 valid respons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survey data utilized a 7-point Likert scale and focused on derived measurement factors. The data analysis process was as follows. First,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ample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8.0 statistical package. Seco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examined, including mean, skewness, and kurtosis, to assess the normality of the survey data. Third, the Smart PLS 4.0 statistical package was employed to test the external measurement model. This included assessing discriminant validity through cross-factor loadings, evaluating reliability for internal consistency, and confirming convergent validity. Fourth, a structural model test was conducted, which encompassed a predictive validity test, GoF (Goodness of Fit) model fit test, and discriminant validity test. Fif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to explore the direct and indirect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and present the research findings. The study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t was observed that entrepreneurial competency positively influenced the utilization of mentoring. Second, the use of entrepreneurship mentoring demonstrated a positive impact on economic performance and regional environmental performance. Third, while entrepreneurial competency directly affected social performance as part of sustainable management performance, it did not directly influence economic performance or regional environmental performance.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entrepreneurial competency had a mediating effect on economic performance and regional environmental performance through the utilization of entrepreneurship mentoring.

      • 제조업 창업기업 평가지표에 관한 연구

        지기철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11

        최근 창업기업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창업기업의 투자 및 육성에 관한 연구가 전세계적으로 심화되어가고 있는 추세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경우 창업기업의 투자와 관련된 연구가 아직은 많이 부족하다. 따라서 창업기업의 정의 및 특성과 국내 창업기업의 현황을 살펴보고, 투자평가기준 등을 중심으로 국내 신용평가기관들의 창업기업 평가지표를 참조하여 한국적 실정에 적합한 창업기업 평가지표를 합리적으로 도출 하고자 한다. 창업기업의 투자에 대한 성공 평가는 일반기업에 비해 예외적이고 복잡하며 타당성을 확보하기 또한 상대적으로 더 어렵다. 왜냐하면 창업기업들은 일반적으로 지금까지 생각하지 못했던 신기술 개발 또는 새로운 영업기법 등의 개발에 목적을 두고 있기 때문에 미래 수익성 및 장래성에 근거한 기업의 가치평가가 이루어져야 하는 반면, 그 역사가 매우 짧기 때문에 가치평가를 실증 분석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추정하기가 어렵고 따라서 기존의 평가방식으로는 평가 자체가 불가능하거나 무의미한 경우가 많이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여러 가지 기업가치 평가모형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초기 투자액에 비해 현재의 이익이 미미하고 무형자산 비중이 높은 창업기업의 특성을 고려할 때 어떠한 기업가치 평가모형이 가장 적절한가를 살펴보고, 나아가 과거 창업기업의 기업가치 평가에 있어서 비재무적지표에 대한 초석을 마련하고, 비재무적 가치평가를 위한 평가지표개발 프로세스의 지침을 제공하기 위해 비재무적 가치평가 지표를 설계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창업을 하고자 하는 기업가에게 투자관계지들의 생각과 투자에 대한 평가지표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성공적인 창업을 수행하기 위함과 투자기관(창업투자화사 등)들이 향후 국내 창업기업의 기업가치평가시 크게 영향을 주는 비재무적 가치를 균형있게 반영하여 평가함으로써 창업기업 투자타당성 평가시 판단 오류를 최대한 줄이게 될 것으로 기대 된다.

      • 퇴직자 창업교육과 기업가적 특성이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익중 中央大學校 産業創業經營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249711

        최근 베이비붐 세대의 본격적인 은퇴를 앞두고 고령화와 조기퇴직의 환경이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정부는 고용 대책의 일환으로 이들의 전문성 및 사회적 네트웍크를 활용하고 고용을 높이기 위하여 창업 육성 정책을 본격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창업교육에 대한 단행본, 선행연구논문, 정부 간행물, 웹사이트 등의 고찰을 통한 문헌적 연구방법과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적 조사연구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조사목적과 연구범위를 고려하여, 창업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창업의지에 미치는 결정요인을 검증해 봄으로써 창업의지를 높일 수 있는 창업교육 프로그램의 결정요인이 무엇인지를 확인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크게 두가지로 진행 하였다. 첫째, 창업가 특성요인 및 창업교육 프로그램의 이론적 고찰을 검토하였고, 둘째, 국민은행 퇴직자에게 진행된 창업교육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창업교육 프로그램의 만족도, 기업가적 특성, 실무위주 창업교육 특성이 창업의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실증적 분석결과를 간략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창업교육 만족도, 기업가적 특성, 실무위주 창업교육 특성은 모두 창업의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퇴직자 창업의지를 높이는 방안으로 창업역량 및 기업가 정신을 높일 수 있는 전문 창업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퇴직자가 보유한 기술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희망업종에 따라 지속적으로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실무위주의 심화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퇴직자 창업교육이 나아가야할 방향의 기초를 제공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에 대한 다양한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Recently in Korea, under jobless growth period, the social phenomenon of sudden aging and early retirement, together with youth unemployment, brought a big impact. Moreover, as baby-boom generation of about 7 million people had entered a main retirement aging, that will lead to shortage of production manpower and job seeking of senior generation with retirement age. Also participation and interest about entrepeneurship had increased gradually. This study has attempted to identify the critical factors affecting the willingness of business start-up by the educational programes for retired employees who participated in educational program of Kookmin Bank business start-up program. The research has been made by examining the documents to find out the factors affecting the willingness of business start-up and formulating a research model with hypothesis. To verify each hypothesis, an field research and analysis were implemented with the retired employees. Actual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satisfaction of such education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willingness of business start-up. Secondly, the entreprenship of each pers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willingness of business start-up. Thirdly, practice based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willingness of business start-up. The research implies that the effects of educational program are highly affected by the satisfaction of program and the practice based education. Therefore a preparation for designing the business start-up program based on the analysis of peresonal background has to be made. This can make the participants expertise when they start up the business. To have this kind of systematic and professional program in place, colleges, industries, govermental departments have to be neworked closely to keep the overall management including a joint research, development of programs and operation. Finally, this present study has suggested proposals for various implications, limitations of study, and future research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