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병원 중국어 홈페이지 오류 분석 : - 대전선병원 홈페이지를 중심으로 -

        장위룡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7 국내석사

        RANK : 249711

        医院中文网站误译分析 - 以大田宣医院中文网站为中心 - 张 卫 龙 忠南大学校 大学院 中语中文学科 韩/中语通翻译专业 (指导教授 禹埈浩) 本研究以大田宣医院中文网站为中心,对医院中文网站上出现的韩中翻译错误进行了调查。通过对三星首尔医院、首尔峨山医院、建国大学医院、忠南大学医院、大田宣医院和大田乙支大学医院等韩国有名的大型综合医院中文网站的调查发现,其中忠南大学医院和大田宣医院的中文网站与韩文网站内容的对应度较高,内容也较为丰富;而其他几个大型综合医院的中文网站则普遍存在只有中文菜单名而没有中文内容、整体内容与韩文网站的对应度不高和信息量少等问题。另外通过对韩国365mc吸脂医院和丽得姿皮肤医院等韩国有名的美容整形医院中文网站的调查发现,这些专科医院由于其特殊性和针对性,一般都比较重视中文网站的翻译质量,而且会有中国工作人员,所以相应地这些医院的中文网站比较完善,整体译文质量也比较高。 大田宣医院和忠南大学医院都是比较有名的综合医院,中文网站的内容也较为丰富。其中忠南大学医院中文网站相对来说翻译质量较高,而大田宣医院的翻译质量不够理想。因此笔者将大田宣医院选为研究对象,而在研究过程中,将忠南大学医院中文网站作为主要参考的韩国医院网站,具体分类分析时也列举了一些忠南大学医院的典型例子。 笔者在大田宣医院中文网站上发现问题时,首先在中国最大的搜索引擎“百度”上搜索和调查相关资料,琢磨合适的修改方案,然后在汉语词典或者专业用语资料(包括相关词典、教材等)中对初步的修改方案进行进一步确认,最后,为了保证修改方案符合医院的实际情况和特有习惯,笔者又参考了北京协和医院和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的网站。 本文第二章先对大田宣医院中文网站上所出现的词汇方面的误译进行了分析。分析主要从以下六个方面入手:专业术语、外来词、汉字词、不恰当的词语选择、不恰当的词语搭配以及错别字。其中,专业术语方面主要有韩国惯用的专业术语在中国不常用甚至不用的例子;这种错误往往是由于译者医学术语方面的专业知识不足或对中国的医疗环境不了解而导致的。要避免这种错误就要求译者在开始翻译之前,必须有一定的医学术语专业知识基础,同时也要对中国的医疗环境做一些必要的了解。外来词方面的问题主要有一些英语表达方式在中文网站中未经翻译直接用英语原文标示的例子;对于外来词,汉语一般来说不会直接引用原文,而是使用在汉语中与之对应的汉语词。作为译者应该注意汉语的这一特点,遇到外来词时要耐心查验一下汉语中是否存在相应的词语或说法,然后决定要采取的翻译方法。汉字词方面的问题主要有直接将一些汉字词按照韩国的意义和用法用到中文网站中的问题;对于汉字词的翻译,首先要求译者要有充分理解韩语原文的能力,然后要求译者要有足够的能力来选择合适的词语来进行翻译,用自然的汉语表达方法使译文更自然流畅。不恰当的词语选择方面,主要有一些韩语和汉语中虽然都存在,但是在汉语中这些词语的具体意义和用法已经发生了很大变化,从而需要进行相应修正的例子;这就要求译者在选词时充分考虑到词语的多义性特点,根据文本的种类、句子的意思和结构以及词语的感情色彩来进行正确选词。不恰当的词语搭配方面主要有一些因不考虑汉语的搭配习惯和搭配条件或规则等问题而造成的误译例子;译者需要熟练掌握韩中两国语言,形成良好的语感。最后,在错别字方面,主要有一些因为两个汉语词语的发音非常相似或者完全相同而造成误译的例子,以及按照韩国发音不经确认就直接标注出汉字从而造成误译的例子,还有繁体字和简体字混用的情况。出现错别字的的几个很大的原因就是粗心、注意力不集中和没有去查找相关的资料,仅凭想当然就进行翻译。“勤能补拙‘,唯有集中精力勤快地查词典、找资料、时常检查自己的翻译结果才能最大限度地减少错别字的出现。 第三章从句法的角度出发,从句子结构(谓语、定语和状语等方面出现的问题)、语序、标点符号(逗号、句号、顿号的使用方面出现的问题)、不恰当的语体以及其他病句等五个方面入手,对研究对象中所出现的错误进行了分析,并提出了修改方案。其中句子结构方面,主要有一些谓语缺失、定语不完整、做状语的介词词组使用不当的例子;语序方面主要有一些谓语被放到宾语之后、时间状语或地点状语被放到动词之前的例子;如果译者的汉语基本功不够扎实,很容易出现上述翻译错误。因此作为译者,必须注意对汉语语法知识的学习。标点符号方面主要有句号、逗号、顿号以及间隔号方面出现问题的例子,这一点也需要译者注意中韩两国标点符号方面的异同点,尽量摆脱母语的干扰,以目的语的语言习惯为基准来进行翻译。不恰当的语体方面主要有医院对患者的称呼问题以及某些一般用在口语中的词语出现在网站内容中的例子;这一点要求译者有较高的专业素养,能够根据文本的特点正确选择适合用在口语中或用在书面语中的词语。最后其他病句中主要有一些不符合逻辑或者不符合语法的例子;这一点除了要求译者精力高度集中、积极参考各种相关资料来查找合适的表达方式以外,通过专业有效的校对也可以很大程度上发现这一类的错误。 第四章在前面研究分析的基础上,对研究对象中出现各种问题的原因以及相应的修改方案进行了总结,并对相关领域的翻译过程中应该注意的一些问题提出了一些建议。 当前还没有较为系统、专业、准确度高、符合中国国情的医疗用语词典或医疗翻译用语词典,令人感到非常遗憾。由于研究对象中的错误太多,而值得信赖、可以参考的资料又不多,所以笔者只能挑选了部分比较有代表性的误译进行了分析和修改。论文中还有很多不完善的地方,但是希望能够为提高医院网站的韩中翻译质量提供一点参考。今后,笔者仍会继续关注韩国医院中文网站内容的改善方案方面的研究。

      • 二十世纪韩国的现代中文小说翻译研究 : 以中国大陆、台湾、香港为中心

        장진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95

        This study examines how modern Chinese fiction from 1925 to 2001 was received in Korea and explores its relationship with Korean politics, culture, and social transformations. During the pre-liberation period, Korea was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experiencing extensive control in all aspects, including translation. As a result, the scale of Chinese fiction translation was small, with only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novels by specific authors being translated. In the post-liberation period, both Korea and China became divided, and amid the Cold War situation, they ideologically opposed each other. Therefore, the translation of modern Chinese fiction in Korea was also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se circumstances. From the 1980s onwards, with the collapse of the Cold War system, the implementation of China's reform and opening-up policies since the late 1970s,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establishment of democracy in Korea, and the normalization of China-Korea diplomatic relations in 1992, the influence of ideologies diminished, and a new era of translating diverse and open works began. The translation of modern Chinese fiction in 20th century Korea has gone through significant turning points and exhibited various patterns of reception according to the era. This study reflects on the political and social situations in Korea, China, and Taiwan as backgrounds. To conduct the research, previous studies on modern Chinese fiction translated in 20th century Korea were reviewed, and data was collected and organized directly. The compiled data was presented in a table format, categorized by year (and within each year, by author), with six key elements: year, original work, translated work, author, translator, and publisher. The statistical data thus obtained was examined fo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different periods. In particular,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analysis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translating modern Chinese fiction in Korea, considering the collective features originating from the translation background, period-specific phenomena, and characteristics related to publishing forms. In this study, modern Chinese fiction translated in 20th century Korea is divided into three periods: the colonial period (1925-1945), the Cold War period (1946-1979), and the opening-up period (1980-2001). According to existing records, the first introduction and translation of modern Chinese fiction in Korea occurred in 1925. Therefore, the starting year for the first period, the colonial period, was determined as 1925. However, before 1945, Korea was under Japan's colonial rule and faced censorship of the media, preventing people from freely using the Korean language. Meanwhile, China was in a state of ongoing war. Therefore, the translation of modern Chinese fiction at that time stemmed from the intellectual interest in China under Japanese rule and the desire to awaken and encourage young Koreans through literature. The works translated under such harsh publishing conditions were mainly published in newspapers or magazines, and most of them were the works of Lu Xun (鲁迅). The translators were individuals who had an interest in Chinese literature or were involved in revolutionary activities in China, which also encompassed literary activities. Additionally, due to the widespread Japanese language education under Japanese rule, many translated works of Chinese fiction, despite being originally in Chinese, went through Japanese translations and were then translated into Korean, resulting in "intermediate translations”(중역본). The second period spanned from 1946 to 1979. Korea experienced liberation, but due to political turmoil and ideological struggles between the left and right factions, the Korean War broke out in 1950, resulting in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1960s and 1970s, Korea witnessed economic growth, but politically, it remained under military dictatorship. During these 30 years, Korea underwent simultaneous struggles of ideological confrontation and the pursuit of freedom and democracy. In the second period, the translation of works by Taiwanese authors and ideologically biased works related to mainland China dominated the scene. The number of translated works significantly increased, but there existed ideological biases in terms of subject matter. Chinese fiction translated during this period was heavily influenced by the economic downturn of the pre- and post-war market, leading to many publications in the form of “collected works”(전집). Additionally, the re-emergence of Lin Yutang(林语堂)'s translations in the 1950s and 1960s and the translation of Lu Xun's works in the 1970s were distinctive examples that demonstrated the profound influence of ideology on translation. As we enter the 1980s, the dismantling of the Cold War regime led to a new sta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China, marking the opening period for the translation of modern Chinese fiction. In 1987, Korea underwent a transition to a democratic society, and in 1992, China and Korea officially established diplomatic relations. Furthermore, in 1993, a Chinese book and culture exhibition was held at Yonsei University in Seoul. During this period, the creative and publishing environment significantly improved, and the number of translations of modern Chinese fiction reached 422, surpassing the combined total of the previous two periods. In terms of subject matter, translations expanded beyond ideological constraints, encompassing a variety of novels by mainland Chinese authors, as well as those from Hong Kong and Taiwan. These translations developed along two trends: genre fiction from Taiwan and literary fiction from the mainland. Additionally, the influence of dramas and films, due to the development of mass media, also extended to the realm of fiction translation and publishing. The emergence of professional translators of Chinese fiction demonstrated the revitalization of the Chinese fiction translation and publishing market. Moreover, starting from the 2000s, some illustrated fictions and web fictions have also been translated into Korean. This new situation signifies significant changes in the translation of 21st-century Chinese fiction, the reading environment for readers, and the publishing industry. In this essay, it has been clearly demonstrated that the translation of modern Chinese fiction in 20th-century Korea was greatly influenced by the social and political atmosphere of the country. To illuminate this, the essay examined the translation activities related to revolutionary discourse from the early 20th century to the pre-liberation period, the ideologically biased translations from the onset of the Cold War regime until the late 1970s, and the diverse restrictions and translations that moved beyond ideological biases from the 1980s to the pre-2000s. By analyzing these characteristics from a chronological perspective, the essay provided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overview of the translation of modern Chinese fiction in 20th-century Korea, and contemplated its historical and contemporary significance, thus exploring the translation context of Korean modern Chinese fiction from a synchronic viewpoint. Furthermore, this research anticipates contributing to the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the translation practices of modern Chinese fiction in 20th-century Korea. 本文旨在结合韩国现代政治、文化和社会变革与翻译之间的关系,探讨二十世纪现代中文小说在韩国内的接受情况。在光复以前,韩国在各个方面都受到日本帝国主义的殖民控制,这对中文小说的翻译产生了影响,导致小说的翻译量较少,只有某些作家的小说被相对较多地翻译。光复后,韩国和中国分别陷入分裂状态,冷战时期两国在意识形态上对立使得韩国内的现代中文小说翻译也表现出偏向性特点。然而,从七十年代末开始的改革开放,八十年代冷战体制的逐渐崩溃以及韩国的民主化,乃至1992年中韩建交等变化,减少了韩中意识形态对立,开启了一个新的、开放的小说翻译时代。如此,20世纪韩国的现代中文小说翻译经历了许多曲折,并随着时代的变化展现出不同的接受态势。 本文在考虑韩国、中国和台湾的政治、社会和文化背景的基础上,探讨了韩国中文小说翻译的发展过程。为此,笔者考察了二十世纪韩国的现代中文小说翻译相关既往研究结果,并直接收集和整理了相关资料,即二十世纪韩国得翻译现代中文小说作品。笔者将这些翻译小说按照年份排序,并对小说的年份、原作名称、译作名称、作者、译者以及出版机构进行标记制成表格。然后,以此为基础,综合、系统地分析了各时期的重要现象、特点以及它们所具有的整体意义。 本文将二十世纪韩国的现代中文小说翻译情况分为三个时期进行分析,即殖民期(1925-1945年)、冷战期(1946-1979年)和开放期(1980-2001年)。 该研究基于现有研究的依据,将第一个时期“殖民期”的起始年份设定为1925年。然而,在1945年之前,韩国人民由于日本的殖民统治和新闻审查制度,无法自由使用韩语,而中国则一直处于持续的战争状态。因此,当时朝鲜的知识分子翻译和介绍同样受到日本侵略的中国的文学作品,以唤醒和鼓励朝鲜青年。在当时恶劣的出版环境下,翻译的作品主要以报纸或杂志连载的形式出现,其中大部分是鲁迅的作品,翻译者们不是专业翻译家,而是热爱中国文学或在中国从事革命和文学活动的知识分子。此外,由于当时朝鲜广泛普及了日语教育,这一时期翻译的小说有许多是经过日语译本翻译成韩语的“重译本”。 第二个时期指的是从1946年到1979年。韩国在1945年迎来光复,但由于国际冷战局势的紧张以及韩国国内左右翼斗争导致的政治混乱,1950年韩半岛爆发了韩国战争,造成了韩半岛的南北分裂。在六、七十年代,韩国实现了经济上的增长,但政治上仍然持续着军事独裁的状态。在这个时期,韩国同时进行着意识形态对立和争取自由民主的斗争。第二时期的翻译以台湾(及香港)作家带有反共倾向的作品为主,穿插有一小部分大陆新文学运动时期作家的作品。这一时期虽然翻译作品的数量大幅增加,但在主题方面存在着意识形态的偏向性。在这个时期,由于战后市场的不景气,翻译的中文小说大多以“全集”形式出版。此外,五、六十年代对林语堂作品的翻译以及七十年代对鲁迅小说的再翻译,是意识形态对翻译产生影响的典型现象。 第三个时期从1980年到2001年,笔者定义这一时期为“开放期“,这一时期韩国和中国之间关系进入了新的阶段。1987年,韩国实现了民主社会转型,1992年,韩国和中国正式建立外交关系,第二年,韩国延世大学就举办了中国图书文化展览会,以此为开端,这一时期,文学作品的创作和出版环境都得到了极大改善,翻译的现代中文小说数量超过了前两个阶段的总和,达到了422种。在主题上摆脱了意识形态的限制,涵盖了大陆作家、台湾和香港作家的多种题材的小说的翻译。这一时期的翻译形成了“大陆——严肃文学”和“台湾——大众文学”两种不同的翻译倾向。此外,随着大众媒体的发展,电视剧和电影的影响力也在小说翻译出版领域体现出来,而专业中文小说翻译家的出现证明了中文小说出版市场的活跃。此外,从2000年开始,一些绘本小说和网络小说也被翻译成韩语。 如上所述,本文希望探明韩国的政治、社会和文化氛围对二十世纪韩国现代中文小说翻译的重大影响。本文概述了韩国从二十世纪初到光复前期与革命论述相关的翻译、从光复后到七十年代末期具有浓厚冷战意识形态偏向性的翻译、以及从八十年代到二十一世纪交接时期超越意识形态的多样化和丰富的翻译,并对这些翻译情况进行了历史性和实践性的研究。本文通过对二十世纪韩国现代中文小说翻译活动的具体而系统的整理,期待为二十世纪韩国对中文文学的翻译接受史乃至韩国对外国文学接受史的描述做出贡献。 본 연구는 20세기 현대 중문 소설이 한국내에서 어떻게 수용되었는지를 밝히고, 그것이 한국의 현대 정치, 문화, 사회 변혁과 어떤 영향 관계를 지녔는지 탐구했다. 해방 이전 한국은 모든 측면에서 일본의 통제를 받았으며, 이는 중문 소설 번역에도 영향을 미쳐, 소설의 번역량이 적었고 특정 작가의 소설만 비교적 많이 번역되었다. 해방 이후 한국과 중국은 각각 분단 상태가 되었고, 냉전 상황에서 이념적으로 대립하여 한국 내 현대 중문 소설 번역 또한 편향적인 특징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70년대 말 시작된 개혁개방, 80년대 이후 냉전체제 붕괴와 한국의 민주화, 1992년 한중 국교의 정상화 등 변화로 인해 한중간 이념대립이 줄어들고 새롭고 개방적인 작품의 시대가 열렸다. 이렇듯 20세기 한국의 현대 중문 소설 번역은 많은 변곡점을 거쳐 발전해왔고, 시대에 따라 다양한 수용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는 한국, 중국, 대만의 정치, 사회, 문화적 배경을 고려하면서, 한국의 중문 소설 번역의 발전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20세기 한국에서 번역된 현대 중문 소설에 대한 선행 연구 결과를 검토하고, 관련 자료를 직접 수집, 정리하였다. 정리된 자료는 년도, 원작명, 역작명, 작가, 역자, 출판 6가지 내용을 년도별로 구분하여 표로 작성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정리된 자료를 기초로 각시기별 중요한 현상과 특징, 그리고 그것이 지니고 있는 총체적인 의의를 종합적,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20세기 한국의 현대 중문 소설 변역 양상을 세 시기로 구분하여 분석했다. 식민기(1925-1945), 냉전기(1946-1979), 개방기(1980-2001)가 그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 근거하여, 제1기 ‘식민기’의 시작 년도를 1925년으로 설정했다. 그러나 1945년 이전, 한국 국민은 일본의 식민 통치와 언론 검열 제도로 한국어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었고, 중국은 지속적으로 전쟁 상태에 놓여 있었다. 따라서 당시 조선의 지식인들은 일제의 침략 아해 있던 중국의 문학을 번역, 소개하여 조선 청년들을 일깨우고 격려하고자 했다. 당시 열악한 출판환경 하에서, 번역된 작품들은 주로 신문이나 잡지에 연재되었는데, 그것들은 대부분 루쉰(鲁迅)의 작품이었고, 역자들은 전문 번역자가 아니라, 중국 문학 애호자나 자나 중국에서 혁명과 문학 활동을 병행하던 지식인이었다. 또한 이 시기 조선은 일본어 교육이 보편화되어 있어서 일본어 역본을 거쳐 한국어로 번역된 ‘중역본’이 많았다. 제2기는 1946년부터 1979년까지를 말한다. 한국은 1945년 해방을 맞이하였지만, 좌우익의 투쟁에 따른 정치적 혼란으로 인해 1950년 한국전쟁이 발발했고, 이는 한반도의 남북 분단을 초래했다. 1960, 70년대 한국은 경제적인 성장을 이룩했지만 정치적으로는 여전히 군사 독재 상황이 지속되었다. 이 기간 동안 한국에서는 이념적 대립과 자유 민주주의를 위한 투쟁이 동시에 진행되었다. 제2기에는 대만 작가의 작품과 이념적 편향성이 강한 중국 대륙 관련 작품에 대한 번역이 주를 이루었다. 번역 작품의 수는 크게 증가했지만 주제에 있어서는 이념적인 편향성이 존재했다. 이 시기에 번역된 중문 소설은 전후 시장 불황의 영향으로 인해 ‘전집' 형태로 많이 출판되었다. 또한, 1950년대와 1960년대의 린위탕(林语堂) 번역과 1970년대의 루쉰 소설의 재번역은 이데올로기가 번역에 미친 깊은 영향을 잘 보여준다. 제3기인 1980년부터 2001년까지는 현대 중문 소설 번역의 개방기로, 한국과 중국 간의 관계가 새로운 단계로 진입하였음 반영한다. 1987년 한국은 민주 사회로 전환되었고, 1992년에는 중국과 한국이 공식적으로 외교 관계를 맺었으며, 이듬해 연세대학교에서 중국 도서 문화 전시회가 개최되었다. 이 시기에 창작 및 출판 환경이 크게 개선되어, 번역된 현대 중문 소설의 수가 이전 두 시기의 합을 초과한 422종에 이렀다. 주제에 있어서도 이념적인 제약에서 벗어나 대륙 작가와 홍콩, 대만 작가의 다양한 소설들이 번역되었다. 특히 이 시기의 번역은 대만의 대중문학번역과 대륙의 순수문학 번역의 경향을 보여주었다. 게다가 대중 매체의 발전으로 인해 드라마와 영화의 영향력이 소설 번역 출판에도 나타났고, 전문 중문 소설 번역가들의 등장은 중문 소설 출판 시장의 활성화를 입증하였다. 또한 2000년대 이후로는 일부 삽화 소설과 웹 소설도 한국어로 번역되었다. 위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20세기 한국의 현대 중국 소설 번역이 한국의 정치, 사화, 문화적 분위기에 큰 영향을 받았음을 명확히 밝혀내고자했다. 본 연구는 20세기 초반부터 해방 이전까지를 혁명 담론과 관련된 번역으로, 해방 이후부터 70년대 말까지를 냉전적 이념의 편향성이 짙은 번역으로 그리고 80년대부터 2000년대 직전까지를 이념에서 벗어난 다양하고 풍부한 번역으로 개괄하여, 그 특징을 다각적으로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통시적인 관점에서 20세기 한국의 현대 중문 소설 번역 활동을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그 역사성과 현장성을 고찰함으로써 20세기 한국의 중문 문학 수용사, 더 나아가 한국의 외국 문학 수용사 기술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중문 글로벌 브랜드 네이밍의 인문학적 분석

        원경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논문은 중문(中文) 글로벌 브랜드 네이밍(Global Brand Naming)을 인문학적인 차원에서 분석하고 이해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인문학 고전사상인 공자(孔子)의 정명론(正名論)과 유가적(儒家的) 사유를 기본 텍스트로 삼고, 안티테제(antithesis)인 장자(莊子)의 언어관을 『莊子』내편(內篇)에서 부분적으로 차용하여 인문학적 분석의 근거를 보완하였다. 공자와 장자의 언어관은 본질적으로 달라서 두 사상을 양행(兩行)하는 것은 표면상 모순이지만, 정반합(正反合)의 방식을 통해 논거의 새로운 합일을 꾀할 수 있었다. 100대 글로벌 기업의 중문 네이밍 사례에서 정명의 질서와 유가적 특성을 찾아내고 비교하여, 중문 글로벌 브랜드 네이밍(Global Brand Naming)의 인문학적 본질을 정리하였다. 또한 장자의 언어관에서 보완한 분석을 바탕으로 중문 글로벌 브랜드 네이밍의 인문학적 속성을 분류하였다. 인문학적 분석에 따르면 중문 글로벌 브랜드 네이밍의 본질은 정명의 질서인 독자적 정체성, 구별된 자의성, 궁극의 목적성의 영향을 받은 아이덴티티(Identity), 스페셜리티(Speciality), 파이널리티(Finality)의 특성을 갖는다. 그리고 중문 글로벌 브랜드 네이밍의 기법들은 장자적 사유와 방법론의 특성에 따라 그 속성인 현실성, 가능성, 유동성, 개방성, 무한성 등과 공통점을 갖는다. 인문학적 분석의 결과, 중문 글로벌 브랜드 네이밍은 철학, 문학성, 문화화의 인문학적 구성요소를 지녔다. 이 세 가지 요소들은 정(正)과 반(反)의 방법론을 통한 합(合)의 결과로서, 중문 글로벌 브랜드 네이밍을 인문학적 소산이자 중국의 문화로 확정한다. 본 논문의 분석과 그 결과를 통해 현대 중국문화의 현주소를 확인하고 미래를 전망할 수 있길 기대한다.

      • 1940년대 중국어교재 『中國語基礎讀本』,『(新編)中國語敎本』연구 : 『中語大全(1934)』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신정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95

        本論文從中國語敎育史觀點出發,把『中語大全』(1934) (李祖憲 著) 為基本依據教材,分析『中國語基礎讀本』(1948) (金泰明著)、『(新編)中國語敎本』卷一~三(1948~49) (尹永春著),研究了1930年到1949年在國内中國語敎育方面所出現的教育法及教材裏呈現的語言學特徵。 其内容如下: 第一章,序論裏説明了本論文的研究動機和研究目的,敍述了各章節的研究範圍和研究方法。 第二章,考察了1937年前後國内的私設學術講習會中國語講習的衰落,整理了韓民族的中國内地及滿洲的留學情況。調查了從解放以後到1949年在高級中學校的中國語教育情況和與中華民國的公費留學生交流及私設學院的中國語教育情況。 第三章,查看了『中國語基礎讀本』的書旨事項、幽默、禮節、新潮語及當時新呈現的文化詞彙。還把本底本和『中語大全』的語法解釋當中的語法分類進行了比較,摘要了解放以後中國語語法術語的特點。 第四章,介紹了民族教育的收益者-『(新編)中國語敎本』的作者,闡明了本底本教材是在國内第一次得到文教部檢定的教科書。通過考察本底本的内容、新潮語及表示精神文化的詞彙,闡明了與日局時期所變換一新的有實用性的文化教材的轉換。通過跟『中語大全』的韓語文字註音的比較,考察了本底本教材在收容注音符號標記過程中的特點。 第五章,根據上述研究 第一,中國語教材自然要著重于當代所需要的實用性,卻同時也要具備高尚的精神文化内容和作爲一個韓國人的自豪。 第二,中國語教材充分地説明漢中語法的共同之処和不同之処,明確應用韓語子母的優點。 본 논문은 중국어 敎育史 관점에서 李祖憲의 『中語大全』 (1934)을 비교 교재로, 金泰明의 『中國語基礎讀本』(1948), 尹永春 의 『(新編)中國語敎本』 卷一~三(1948~49)을 분석하여, 1930년 부터 1949년까지의 민족 교육에 의한 韓民族의 중국어 교육 특성과 교재에 나타난 언어학적 특징을 알아 본 것이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제 1 장 서론에서는 본 논문의 연구 동기와 연구 목적을 밝히고 각 장에서 다룰 연구 범위 및 방법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제 2 장에서는 1930년대 국내 중국어 강습의 특성과 그 퇴조에 대해 고찰하였고, 또 韓民族의 중국 ∙ 만주 유학 상황을 정리하였다. 이어 광복 직후 1949년까지 高級中學校에서의 중국어 선택 여부와 中華民國과의 관비 유학생 교류 및 사설학원에서의 중국어 교육을 알아보았다. 제 3 장에서는 『中國語基礎讀本』의 서지 사항, 유머와 예절 내용, 신조어 및 문화 어휘를 살펴 보았다. 또한 본 저본의 文法을 『中語大全』의 품사 분류 양상과 비교하여, 해방 후 중국어 품사 인식의 특징을 요약하였다. 제 4 장에서는 『(新編)中國語敎本』의 서지사항을 알아 보고, 민족 교육의 수혜자 尹永春이 지은 본 저본이 중등학교 외국어과 교과서로써 처음 문교부 검정필을 받은 중국어 교재임을 밝혔다. 이어 글의 종류와 내용 분류, 신조어 및 문화 어휘의 특징 고찰을 통하여, 일제강점기와는 달라진 중국어 실용성과 본격적인 문화 중국어 교재로의 전환을 규명하였다. 그리고 注音符號 수용 전과 후의 어음 표기 특징을 『中語大全』 한글註音과의 비교를 통해 살펴 보았다. 제 5 장은 앞장에서 연구한 내용을 토대로 이하의 결론을 내렸다. 첫째, 중국어 교재는 시대가 필요로 하는 실용성과 함께 올바른 정신 문화와 한국인의 자긍심을 알리는 역할을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어법 내용에서 중국어 품사의 분류는 한국어 품사 분류와 비교하여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명히 해 줄 때 비로소 학습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셋째, 학습자의 명확한 중국어 어음 습득을 위해서 한글 자모의 우수성을 응용할 가치가 있다.

      • 《說文解字》'重文'硏究

        김유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9695

        中國文字 즉 漢字는 유구한 역사와 더불어 生成․發展․淘汰의 과정을 거치며 발전 변화해 왔다. 이 한자는 사물의 모양을 형상화한 상형의 단계에서 출발하여, 점진적으로 부호화하여 체계화된 造字방법으로 변천하였는데, 이러한 변천과정 중에서 許愼이 체계화한 六書의 분류법칙은 획기적인 문자구조의 법칙을 확립하기에 이르렀다. ≪說文解字≫는 漢字의 字形․字音․字義에 대한 최초의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硏究書로 중국 문자의 연구에 必須的인 指針書이다. 특히 中國 文字 연구의 일환으로 ≪說文解字≫에 관한 연구는 가장 우선된 작업이자 核心的 요소이며, 그 가운데 한자의 字形 構造를 밝혀 造字원리를 규명해 내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문자학적인 측면에서 ≪說文解字≫에 수록된 ‘重文’은 매우 커다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古文字와의 연관관계 또한 至大하다. 이에 本稿에서는 古文字와 ≪說文解字≫에 수록된 표준 자형 및 ‘重文’을 비교 분석하여, 자형 및 자의를 해설하고, 한자의 本形·本音·本義와 한자자형의 구성 원리 및 한자의 변천과정을 밝혀내는데 주력하고자 한다. ‘重文’이란, 許愼의 ≪說文解字≫에 標準 字體로 수록한 正篆 이외에 重出하는 문자를 일컫는다. ≪說文解字≫에서의 ‘文’의 의미는 文字의 略稱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重’이란 ‘重文’의 略稱으로, 標準 字體로 제시한 正篆과 字音과 字義가 완전히 같고, 字形만 다른 글자로서, 正篆을 해설 다음에 덧붙여진 모든 字體에 대한 統稱이다. 許愼은 ≪說文解字≫에 수록된 ‘重文’의 數가 1,163字라고 밝히고 있다. 이를 本稿에서는 각 字體의 특성을 고려하여 ‘古文’ 및 ‘奇字’· ‘籒文’· ‘篆文’ 및 ‘小篆’· ‘俗’ 및 ‘今文’· 或體(‘或’·‘又’·‘亦’)등으로 분류 하였으며, 또한 당시 書面上에 수록된 문자이거나, 혹은 당시에 일반적으로 통용되던 글자를 通人들이 수록하여 사용한 문자들을 ≪秘書≫· 律令· ≪春秋傳≫· ≪尙書≫· ≪禮經≫· 諸子書· 通人說· ≪秦刻石≫文 및 別外등으로 분류하여 분석하고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자형적 특성을 古文字와의 비교연구를 통하여 漢字가 가진 字形 構造 및 한자의 변천과정을 총체적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造字된 漢字 가운데, 형성자가 80%를 차지하고 있으므로, ‘重文’에서도 성부 편방을 호환하여 造字된 자형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것은 당연한 것이며, 특히 形聲字가 造字법칙의 主流를 이루게 되자 본래의 形聲이 아닌 글자들도 同調化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또한 ‘古文’의 자형이 ‘重文’의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것은 당시의 정치 사회적인 상황이 ‘古文’의 자형을 중요시하여 古文派의 우세한 지위를 점하기 위한 동기가 있었을 것으로 본다. 이상에서와 같이 中國文字 즉 漢字가 表形文字 단계에서 表意文字 단계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說文解字≫는 교량역할을 하였는데, 여기에 수록된 ‘重文’의 중요성은, 古文字와의 비교 연구과정에서 그 중요함이 더욱 확연하게 드러났다. 古文字와의 연관성을 토대로 연구된 ‘重文’ 자형은 漢字 자형의 本源을 확립하고, 지금에 이르기까지의 후기 문자에 미친 영향 역시 지대함을 立證할 수 있었다. 이를 교량으로 앞으로도 계속하여 추구되는 한자의 변화 과정 역시 부단한 발전과 성장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hinese letters,in other words, Chinese characters developed and evolved as it went through the process of creation, development, and weeding outalong withits longhistory.TheseChinesecharactersstartedofffrom thestageofpictographthat embodiedashapeofanobject,andevolvedintoasystematiccoinage?methodafter graduallybecominganencoding.Duringthistransitionprocess,theclassificationrule ofsixtypesofhandwriting?whichHeoshinsystematizedcametoestablisharuleof an epoch-making character structure.‘Shuowenjiezi’was the first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study on the character shape,sound,and word meaning of the Chinesecharacter,which isan essentialguidelineforstudying Chinesecharacters. Especially,thestudyabout‘Shuowenjiezi’asapartofstudiesonChinesecharactersis ahighpriorityworkaswellasakeyelement,andIthinktheworkofclarifyingthe charactershapeofChinesecharacters,anditmustbeprecededbycloselyexamining thestructureofChinesecharactershapestructure. In a ideographicalaspect,‘thecompound sentence’included in ‘Shuowenjiezi’ takes up a very large percentage,and its correlation to ancient characters is significant. Duetothis,inthispaper,Iwouldliketointerpretcharactershapesand its meaning by performing a comparative analysis ofancientcharacters,standard charactershapescontainedin‘Shuowenjiezi,’and‘compoundsentence,’andfocuson clarifying theoriginalform,sound,andmeaning ofChinesecharacters,organization principle of Chinese character shapes,and the transitional process of Chinese characters. ‘Compound sentence’referstocharactersthatarisein succession otherthan thestandardcharacter?which isincludedin‘Shuowenjiezi’asastandardcharacter shape. The meaning of'wen’in ‘Shuowenjiezi,’was used as a abbreviation of characters.Furthermore,‘compound’?isashortabbreviationof‘compoundsentence?’ and a characterwhich are characters thatis completely same with the character soundandcharactermeaningwithstandardcharacter?presentedasastandarditself with justdifferences in its character shape,which is a common name for all charactershapesaddedafterthenarrationofstandardcharacter? Heo shin clarified that the number of ‘compound sentence?’contained in ‘Shuowenjiezi’is1,163characters. Inthispaper,IhaveclassifiedChinesecharacters into ‘ancient characters’ and ‘奇字’, ‘籒文’, ‘篆文’, ‘小篆’, ‘俗’ and ‘今文’· 或體(‘或’·‘又’·‘亦’)by taking intoaccountthecharacteristicsofeachcharactershapes, and conductsanalysisby classifying characterscontainedon lettersatthetimeor charactersgenerallyusedatthetimeby通人whoincludedthem in≪秘書≫·律令· ≪春秋傳≫·≪尙書≫·≪禮經≫·諸子書·通人說·≪秦刻石≫文and別外. Through this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various character shape characteristicsandancientcharacters,wewereabletocomprehensivelyanalyzethe transitionalprocess of character shapes and the transitionalprocess of Chinese characters. Sincecoinedcharacterstakesup80% ofcoinedChinese,itisobvious that character shapes coined by being compatible with component of Chinese charactertakes up a large percentage even in Chinese characters.Especially,as coined characters became the mainstream ofrule ofcoinage,a situation occurred whereevencharactersthatwasnotoriginallyformedlikethatevensynchronization. Furthermore,the character shapes of ancient characters that takes up a large percentageofcompound sentence,and weview thatthesocio-politicalsituation at thetimelaysstressonthecharactershapeofancientcharacters,andthattherewas amotivetotakeoverasuperiorpositionofthescholarofancientcharacter. As seen from above,‘Shuowenjiezi’played the role ofa bridge during the processwhen Chineseletters,in otherwords,Chinesecharacterstransitioned from the stage ofa characterofform? to characterofmeaning? The importance of compoundsentenceincludedhererevealsmoreclearlyitsimportanceintheprocess ofcomparativestudy with ancientcharacters.‘compoundsentence’charactershapes studied based on the correlation with ancientcharacters established the origin of Chinese character shapes,and itwas able to prove thatthe impactithad on charactersin latterperiodstothepresentwassignificant. Withthisserving asa bridge,IanticipatethatthetransitionalprocessofChinesecharacterscontinuously pursuedinthefuturewillalsogrow anddevelopceaselessly. 中國文字即漢字是具有悠久的歷史, 並經過字體形成·發展以及淘汰等過程而發展演變過來的.這種漢字起初以模仿事物的形狀出發,逐漸演變發展成為以符號為體系的造字方法,在這種演變發展過程中,許慎創立的六書分類法則可以說是一種劃時代的文字構造法則.≪說文解字≫作為最早綜合而又系統地研究漢字字形,字音和字義的書籍,是研究中國文字時不可缺少的經典著作.特別是作為研究中國文字的重要一環,本人認為應優先並重點研究≪說文解字≫,尤其是闡明漢字字形的構造規律並總結出造字原理是首要任務. 從文字學角度來看,收錄于≪說文解字≫中的“重文”佔有很大的比重,與古文字也有著密切的聯繫.為此本文就古文字和≪說文解字≫中收錄的標準字形跟“重文”進行比較分析,解剖其字形及字義,著力於闡明漢字的本形· 本音和本義,乃至漢字字形的構成原理以及漢字的演變過程. 所謂“重文”是指在許慎的≪說文解字≫中,除了以正篆標示的標準字體以外,另以其它字形所收錄的文字.以“重文”的簡稱“重”來標示的文字,在字音和字義上與以正篆標示的標準字體完全相同,只是字形不同而已.在對正篆進行解說後,附帶說明的所有字體統稱為“重文”. 許慎表示收錄于≪說文解字≫中的“重文”數達1163個.本文根據各字體的特徵將其歸類為“古文”以及“奇字”·“籒文”·“篆文”·“小篆”·“俗”·“今文”·“或體(‘或’·‘又’·‘亦’)”等.並將當時的書面語文字, 一般通用文字和通達人士收用文字按照≪秘書≫·律令·≪春秋傳≫·≪尙書≫·≪禮經≫·諸子書·通人說·≪秦刻石≫文以及類外進行了分類分析. 通過將各種字形的特徵與古文字的對比研究,可以對漢字具有的字形構造以及漢字的演變過程進行整體性的分析.所造漢字中,形聲字占80%,在重文中,互換聲符偏旁所造的字形自然也占大多數.特別是形聲字在造字法則中占主導地位後,部分原來非形聲的字也向形聲字靠齊了.本人認為古文的字形之所以在重文中佔有相當的部分,是因為在當時政治環境下,希望通過提高古文字形的地位而使得古文派佔有優勢. 由此可見,中國文字即漢字在由表形文字階段發展到表意文字階段過程中,≪說文解字≫起到了橋樑作用.其中收錄的重文,其重要性在與古文字的比較研究中,顯得十分明確了.以與古文字的相關關係為前提研究整理出來的重文字形,已成為漢字字形的根基.對至今的後起文字產生了巨大影響.并以此為動力,漢字今後也將會不斷發展下去.

      • 일제강점기 중국어교재 「中語大全」의 어휘분석과 사회문화 연구

        정선영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논문은 일제강점기 시대(1910~1945)에 간행된 중국어교재 『中語大全』(1934)의 어휘분석 연구 및 『中語大全』을 통해 당시 사회문화상을 살펴보았다. 제1장에서는 본 논문의 연구 동기와 연구 목적 및『中語大全』작가, 판본소개, 책의 구성에 관해 서술하였다. 제2장에서는 『中語大全』어휘를 연구하였다. 연구는 현대 중국어와 비교했을 때, 차이를 보이는 특정 어휘에 국한하였고, 품사별로 나누어 심도있게 연구하였다. 게다가 『中語大全』뿐만 아니라 동시대에 쓰여진 중국어회화교재에 쓰인 어휘를 함께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마지막으로『中語大全』의 자형상의 특징 분석까지 함께 연구하였다. 제3장에서는 『中語大全』을 통해서 근대성의 상징, 사회문화, 결혼, 여성, 정치, 경제, 의생활과 식생활 등 전 영역에 걸쳐 그 당시의 사회상을 살펴보았다. 『中語大全』상에서 출현한 예문을 위주로 당시 사회상을 살펴봄으로 생동감과 흥미를 유발했을 뿐만 아니라, 그 당시 상황을 증명할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한층 객관화 시켰다. 제4장에서는 앞에서 연구한 것을 토대로 당시의 어휘와 사회상을 총체적으로 정리하였다. Analysis of the vocabulary and social culture research on Chinese Language Textbook "Zhong Yu Da Quan(中語大全)"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is paper studies the social culture through the analysis on the vocabulary in Chinese Language textbook『Zhong Yu Da Quan(中語大全)』 (1934) and 『Zhong Yu Da Quan(中語大全)』published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10-1945) Part 1 of this thesis research discusses research motives, purposes, writers, of 『Zhong Yu Da Quan(中語大全)』, introduction of editions, and structure of the textbook. Part 2 studies the vocabulary of 『Zhong Yu Da Quan(中語大全)』. Research was limited to specific vocabularies that show difference when compared with modern Chinese, and research was categorized by parts of speech in depth. In addition, this research also comparatively analyses the vocabulary in not only 『Zhong Yu Da Quan(中語大全)』 but also in the Chinese painting, textbook written in the same period. This research also includes characteristics analysis on the form of the character in『Zhong Yu Da Quan(中語大全)』. Part 3 of this research looks at the overall society of that era in all areas such as the symbol of modernism, the social culture, marriage, women, politics, economy, clothing habits and dietary life through 『Zhong Yu Da Quan(中語大全)』. By observing the social phenomenon using the examples appeared in 『Zhong Yu Da Quan(中語大全)』, it not only brings vibrance and interest but also aims to objectify the research by providing the evidence to prove the situation in that era. In part 4 of this research, the vocabulary and social phenomenon are organized in overall based on the previous study.

      • 中文 인터넷 광고문안에 대한 수사학적 고찰

        김예선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79

        從1980年到現今的中國現代修辭學在向廣度和深度進軍方面取得了?大的成就, 形成了中國現代修辭學史上的又一個高峰. 本論文通過這樣中國現代修辭學考察, 了解了中文因特?廣告文案的修辭體系. 接近了特別從只要因特?廣告文案運用客觀的語言體系, 才能發揮出衆的表現能力的觀點. 主要地中國廣告的對象是有强大購買力的女性, 敏感與流行的年輕人, 及突變的社會的現代人. 廣告文案是爲了?這樣群衆意見溝通的一種接觸工具. 利用只有一個文案, ??多人公開的約定, 應該履行約言. 那?在寫作廣告文案過程中一定?必要徹底的盤算, 還有爲了盤算的公式就是正確的語言選擇的. 首先在語言選擇上, 爲了取得了極大的廣告效果, 全面地具體地査明了修辭手段中詞語的選用. 因特?空間就是虛擬世界, 四子成語是爲了克制這樣過度的浸?與幻想, 常常使用的中國人的慣用語. 考察了這樣四子成語實質的用處. 還有推論作出敏感與流行的因特?空間要的特定形態的詞語的活用, 細看了因特?廣告文案的常用單語和基本單語的應用. 修辭格給廣告文案起到了灌輸生命力的作用, ?用法的形式多樣了. 本論文透析了兩種廣告文案的修辭格, 先把意味表現修辭格分爲比喩?象徵?誇張?婉曲等4種了, 又把形式表現修辭格分爲反復?排比?設問?疑問? 省略等5種了. 對於中文因特?廣告文案的修辭學的考察是有助於人們深刻認識漢語與漢語活動, 進一步體驗與感受到中國文化韻味與雋永魅力, 提高運用漢語能力. 綜觀硏究中文因特?修辭的主要目的不在於掌握一種知識, 而在於提高語言修養, 提高綜合運用語言的能力, 這種修養的提高, 能力培養, 只有經過不斷的開拓修辭學的硏究領域才能獲得. 中國의 現代 修辭學은 1980년대에 들어 지금까지 20여 년간 최고의 繁榮期를 맞고 있으며 앞으로도 그러할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中國 現代 修辭學을 통해 中文 인터넷 廣告文案의 修辭體系를 알아보았다. 인터넷 廣告文案이 객관적인 언어체계를 運用했을 때 뛰어난 표현 능력을 발휘 할 수 있다는 것을 관점으로 접근하였다. 주로 中國 廣告의 對象은 구매력이 강한 女性이나, 유행에 민감한 신세대 그리고 격변하는 사회의 현대인이었다. 廣告文案은 이러한 대중과의 의사 소통을 위한 일종의 교제 도구이다. 文案 하나만으로 많은 사람과 공개적인 약속을 하고 그 약속을 지켜야만 한다. 그러므로 廣告文案 작성 과정에 있어 반드시 철저한 계산을 필요로 해야 하는데, 그 계산을 위한 공식이 바로 정확한 언어의 선택이고 修辭法인 것이다. 먼저 언어 선택에 있어 廣告의 效果를 극대화하는 修辭手段으로 單語의 선택 이용을 전면적이고 구체적으로 밝혀 보았다. 인터넷 廣告文案인 만큼 대중에게 사이버 공간의 지나친 환상을 자제시키기 위해 자주 사용되고 있는 四字成語의 실질적인 쓰임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유행에 민감한 인터넷 공간에서 원하는 특정형태의 單語들의 활용을 추론하기 위해, 인터넷 廣告文案에서 자주 쓰이는 常用單語와 基本單語의 應用을 살펴보았다. 修辭法은 廣告文案에게 생명력을 불어넣는 작용으로, 그 용법도 매우 다양하다. 본 고에서는 廣告文案의 修辭法을 意味表現의 수사법으로 比喩, 象徵, 誇張, 婉曲 등 네 가지로 분석하였고, 形式表現의 修辭法으로 反復, 排比, 設問, 疑問, 省略 등 다섯 가지로 분석하였다. 모두 아홉 가지로 나누어 상세히 살펴보았다. 中文 인터넷 廣告文案에 대한 修辭學的 考察은 中國人의 言語運用 감각을 명확하게 이해하는데 결정적 도움을 준다. 또한 앞으로 인터넷을 접속하는 것만이 실시간 변화 발전하는 中國을 현실감 있게 받아들일 수 있다는 전제하에 이와 같은 中文 인터넷 廣告文案의 修辭學 연구를 시도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가 직접적인 인터넷 클릭 이전의 매개체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에 의의를 두었다. 역시 본 修辭學 연구는 中國語를 빌어 中文 인터넷의 문을 두드리는 누구에게나 現代 中國語의 실질적이고 깊이 있는 탐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끝으로 본 논문이 中文인터넷 廣告文案의 修辭學的 考察로서 처음 시도되는 연구인지라 비교적 다각도로 넓게 수사 내용을 다루었다는 것을 밝힌다.

      • 中國語와 韓國語의 主語 比較 硏究

        김광호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79

        学习中文的韩国人非常自然地使用着"主语""谓语""宾语""定语""状语""补语"等术语。当然韩文中也有着与此相等的专用名词。但是中文资料的韩文翻译本中我们常常会发现以上术语在翻译上的不一致现象我们不禁会问"为什么会出现这样的情况呢?""中文的语法术语与韩文的语法术语不一样吗?""中文的主语是按照什么进行定义的?""韩文的主语和中文的主语又有什么样的差异?""按照同一概念定义的用语在中文和韩文中为什么会不一样呢?"等等。 我们根据词的语法功能将词分为"名词""代词""动词""形容词""数词""量词""副词"等种类。我们首先对"中文翻译成韩文时做主语的词类是否一致?"这一问题进行了比较考察。按照词组的内部结构我们将词组分为"主述结构""述宾结构""偏正结构""述补结构"。这些词组在担当主语时,中文、韩文在意义上,内部结构上是否相对应是我们进行的第二个比较研究问题。按照主语的语义我们分出"施事主語""受事主語""結果主語""对象主語""系事主語""原因主語""材料工具主語""處所主語""時間主語"等类型。本论文中将以上部分翻译成韩文并进行了对应对比,以观察两者是否一致。最后对語用層面的话题定义,话题与主语间的关系进行了整理,并根据这些标准对韩文与中文中的话题一致性,主语和话题间的一致性,不一致时的差异等问题进行了比较研究。最后得出了以下结论。 通过对主语的定义考察, 我们可以知道, 中文里行动者与行为之间的关系并不能成为主语的判断标准。这一点与韩国语中把动作或者情况变化的主体定义为主语的判断标准有着明显的不同。 通过对动词谓语句中的主语担当品词和词组的考察, 我们可以知道,中文主要是根据语序进行主语判断, 因此中文的主语品词和词组与韩文时而相对应, 时而不相对应, 不能形成统一的对等关系。 我们根据语义和成为主语的条件进行考察,可以知道中文的主语类型中,与韩文相一致的类型有施事主语, 受事主语(被动句), 結果主语(被动句), 系事主语以及原因主语。中文中的主语判定标准是以句子中的谓语为基点,根据语序进行判断。因此即使与谓语无直接关系的句子成分也能因为在句中的位置被判断为主语。 语用学平面的主题与句法平面的主语是不同平面的概念,因此对中文的主语判断标准没有产生影响 문장 분석을 할 때 ‘主语’, ‘谓语’, ‘宾语’, ‘定语’, ‘状语’, ‘补语’등은 가장 기본적인 성분으로 인식되며 중국어와 한국어에 모두 존재하는 술어 명사이다. 중국어는 기본적인 동사술어구문의 어순이 ‘S+V+O’이고, 한국어는 ‘S+O+V’로 서로 다르다. 전체적인 어순은 다르나 중국어의 주어와 한국어의 주어는 같은 위치에 놓인다. 같은 위치에 놓이는 주어는 서로 대응이 되는가? 중국어 문장을 번역하다 보면 중국어의 주어와 한국어의 주어는 대응하는 것도 있고 대응하지 않는 것도 있음을 누구나 경험하게 된다. 어째서 대응하지 않는가? 본 논문은 중국어 문장과 이에 대응하는 한국어 문장의 인식에 있어 중국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입장에서 상기 용어를 표현상의 동일함으로 중국어와 한국어에 혼용해 적용하여 생겨나는 모순의 이유를 고찰하였다. 主語에 대한 정의 고찰을 통하여 행위자와 행위의 관계가 주어 판단의 기준이 아님을 알 수 있었고, 동작이나 상태변화의 주체를 주어로 해석하는 한국어와 다른 기준을 갖고 있음을 고찰하였다. 중국어의 동사성술어문에서 주어가 되는 단어(詞)의 품사와 구(詞組)를 주로 비교하였다. 중국어는 어순에 의해 주어를 판단하기 때문에 주어의 品詞와 주어 句는 한국어와 대응되기도 하고 대응되지 않기도 하며, 문장의 의미상 내용보다 먼저 형태적 특징인 어순을 주어 판단 기준으로 적용하기에 한국어와 일관된 대응이 이루어지지 않음을 고찰하였다. 중국어 주어의 類型 중 한국어와 의미(語義)및 주어의 조건이 부합하는 類型은 施事主語, 受事主語(被動句), 結果主語(被動句), 系事主語, 原因主語이다. 중국어는 주어의 선택 기준이 문장에서 술어를 기점으로 어순에 의거하기에 술어와 직접적인 관계가 아닌 성분도 위치에 의해 주어로 판단함을 고찰하였다. 담화화용층위의 주제 개념은 층위를 달리하여 판단하는 개념으로 중국어의 주어 자격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고찰했다.

      • 甲骨文 數詞·量詞 硏究

        고은숙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63

        殷墟甲骨文在殷商時代最初使用的一種書面語言.甲骨文是現在可以利用的最原始的漢語資料, 句子也是比較完整的. 學習和硏究甲骨文字, 特別是利用甲骨文解釋商代歷史, 不只是要辨識單字, 更重要的是能溝通句讀.句子沒有讀通, 對字和句子的意義不甚了然就貿然作種種臆測和推斷, 必然會産生望文生義或牽强附會的弊端.但溝通句讀幷不是輕而易擧的事, 首先要對卜辭的文法有一大體的了解. 現代中文的語法中的基本特徵早在商代甲骨文中, 就已輕具有了.名詞·代詞·動詞·形容詞·副詞·連詞·介詞·數詞·量詞 等 各種詞類, 在甲骨文中已經出現過.文章中的詞類的各種作用, 位置和現代中文詞類的作用, 基本上是一樣的.也就是說殷商時代的語言和現代的語言基本的形式, 看上去是一致的. 可以推測出現代漢語是從殷商時代就有的語言, 相互有着緊密的關聯.通過對古代中文語法規則的硏究可以發現, 現在我們使用的語言里存在着許多語法的根源, 通過這些古代漢語語法形態和現代中文語法的形態, 也可以知道, 他們都是相互聯系的. 在本論文里古代漢語, 特別是被稱爲商代語言的甲骨文, 把數詞和量詞單獨地分開進行分析和整理硏究的. 本論文主要的內容是, 以商代甲骨文作爲硏究對象, 來考察數詞和量詞的種類及活用, 同時在甲骨文中探索現代漢語量詞的源泉.由上而知量詞是從古代漢語演變到現代漢語, 他們都是互相聯係的.幷且, 還要闡明的是商代人的思惟里表露出數字的槪念.對數詞和量詞起到了甚 樣的影響, 甲骨文的數詞可以分爲基數和序數兩大部分.他們雖然有時間和空間的差異, 但從數的槪念上來看基本上和現代沒有區別. 甲骨文通過數詞硏究, 可以推測出商代人更重視 殷墟 甲骨文은 殷商時代에 사용되던 口語를 기초로 한 書面言語이다. 甲骨文은 현재 이용할 수 있는 最古의 중국어 자료이고, 비교적 완전한 문장을 이루고 있다. 甲骨文字를 연구할 때, 중요한 것은 문장을 통독할 수 있는 능력이다. 한 문장을 확실하게 이해하지 못하면 字와 문장에 대한 뜻이 분명치 않아서 문자만 보고 뜻을 풀이하게 되거나, 혹은 억지로 맞추는 폐단이 생겨나게 된다. 그러나 문장을 통독한다는 것은 간단한 일이 아니어서, 우선 卜辭의 문법에 대한 대체적인 이해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현대 중국어 어법 가운데 몇몇 기본적인 특징은 商代 甲骨文중에 이미 형성되었는데, 名詞·代詞·動詞·形容詞·副詞·連詞·介詞·數詞·量詞 등 각종 품사는 갑골문 중에 이미 등장하며, 문장 중에서의 각종 품사의 작용과 위치 또한 현대 중국어 품사의 기능과 기본적으로 같다. 즉, 殷商時代의 언어와 현재의 언어가 그 기본적인 형식에 있어 일치를 보이는데, 현대 중국어는 최소한 殷商時代의 언어로부터 일맥상통하게 발전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古代 中國語의 어법규칙을 밝히는 작업은,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 속에 살아 작용하는 수많은 어법현상의 근간을 밝히는 것이 되며, 이를 통해 古代 中國語 어법현상이 현대 중국어 어법현상과 전혀 무관하지 않음을 밝힐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古代 中國語, 특히 商代의 언어라고 할 수 있는 甲骨文의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