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汉语“网络用语”“媒体流行语”“媒体新词语” 的考察 : 以2018年到 2021年为中心

        장아추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67

        본 논문은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중국 국가 언어자원모니터링 및 연구센터에서 발표된 "연도별 10대 인터넷 언어", "연도별 중국 미디어 10대 유행어" 및 "연도별 중국 미디어 10대 신조어"에서 40개의 어휘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단어 의미를 연구하였으며, 이 단어들의 품사와 내부 구조를 분석하였다. 또한, 한국 웹사이트에서 이 단어들에 대한 한국어 해석을 고찰하고, 한국 B 대학 중국어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이 단어들의 인식과 학습 현황을 조사하였다. 본 논문은 총 5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1장에서는 중국어 인터넷 용어, 유행어 및 신조어에 대한 선행학자들의 관련 연구 요약, 본 논문의 연구 의의, 본 논문의 연구 단어들의 출처와 분류에 관해 기술하였다. 제2장은 2018년부터 2021년까지의 40개 어휘에 대한 의미 고찰하였다. 이들 어휘에 대한 의미 풀이는 중국어 말뭉치 및 중국어 웹사이트를 검색하여 해당 단어를 포함하는 관련 예문을 수집하고, 예문을 통해 단어의 구체적인 의미를 설명하였다. 제3장에서는 이들 어휘에 대해 품사 및 구성성분에 대한 분류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黄伯荣, 廖旭东"이 편찬한 "《现代汉语》현대 중국어"를 참조하여 해당 어휘들의 품사와 내부 구조를 분석하였다. 제4장은 한국 웹사이트에서 이들 40개 어휘의 한국어 번역 및 의미 풀이를 조사하였으며, 의미설명에 대한 보충 및 수정을 하였다. 그리고 한국 B 대학 중국학과의 학생 82명을 대상으로 이들 어휘에 대한 인식과 학습 현황을 조사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이들 어휘에 대한 인식과 학습 현황에 대한 결과분석 및 학습 목표에 관한 조사 및 결과분석 등을 포함하고 있다. 5장은 본 논문의 전체적인 요약을 간략하게 정리한 내용이다. 본 논문은 중국 국가 언어자원모니터링 및 연구센터에서 2018년부터 2021에 발표된 10대 인터넷 용어, 유행어, 신조어의 의미, 품사, 구성성분 및 한국어 의미 풀이 및 한국 대학 중국어학과 학생들의 학습 현황을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중국 인터넷 용어, 유행어, 신조어 연구에 다소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

      • 句法歧宜現象及分析方法硏究 : 以對韓漢語敎學爲中心 = 구법중의현상 및 분석방법연구

        오영옥 釜山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07 국내박사

        RANK : 248767

        본 논문은 주로 현대중국어구법의 중의현상과 그 분석방법을 이해하기 위하여 연구한 것이다. 본 논문의 분석자료는 주로 《汉语语言学》、《现代汉语语法与研究入门》、《简明实用汉语语法教程》、《语法研究入门》등에서 수집하고 정리하여 연구근거자료로 사용하였으며, 현재 중국어학과에 재학중인 한국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중국어 중의현상의 교수를 위한 실질적인 언어자료로 활용하였다. 최근 십여 년간 해마다 수천 명의 한국 학생들이 중국어를 배우고자 중국으로 유학을 떠나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거의 모든 대학교에 중국어학과가 개설되어, 이미 180여 개 대학에 중국어학과가 개설되어있다. 뿐만 아니라, 많은 고등학교, 중학교 심지어는 초등학교에서 까지 중국어 학습을 점차 늘리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상황아래 한국에서 중국어를 배우는 많은 학생들이 중국어의 중의현상에 대하여 과연 얼마나 이해하고 또 이 방면의 어법지식은 어떠한지에 대한 의문과 함께, 중국어의 중의현상과 이에 관련된 구법지식을 학생들에게 어떻게 가르쳐야 할 것인가에 대해서도 고민하게 되었다. 그런 취지에서 본 논문은 중국어를 배우는 한국학생들에게 중국어 중의현상의 이해와 중의현상의 분석방법, 그리고 그 해소방법의 모색에 대한 연구이다. 중국어의 중의현상에 대한 연구가 중요한 이유는 중의현상의 분석을 통해 중국어의 어법현상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중의현상에 대한 연구는 중국어교수법 이외에 중국어 어법현상의 심층연구를 하는데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비록 많은 언어학자들이 옛날부터 중의현상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연구의 성과도 두드러지지만 과거의 연구는 다만 형식이나 의미의 측면에서 연구한 것이다. 그러나 교수법과 심층분석에 대한 언급은 그다지 많지 않다. 그리고 한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중국어 교수법에 대해 연구한 것은 더욱 더 보기 드물다. 이상과 같은 관점에서 볼 때, 본 연구는 나름대로의 의미가 있다. 중의현상을 설명함으로써, 한국학생들이 중국어를 배우는 과정에서 실수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학생들로 하여금 학습과정에서 비교적 특수하고 재미있는 어법현상을 이해하고 장악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중의현상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 중의현상은 반드시 같은 형식에 다름 구조(同形异构)를 전제로 하며, 형식이 다른 경우 중의현상이라고 말할 수 없기 때문에 본 연구범위에서 제외하였다. 한 개의 표층구조 두 개 혹은 두 개 이상의 심층구조가 대응하고 있기도 하고, 한 개의 언어형식에 두 개 혹은 두 개 이상의 의미를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같은 표층구조, 또는 같은 언어형식이라도 다른 여러 가지 의미가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주로 구법구조와 관련된 중의현상에 대해서 연구한 것으로 정태연구(静态研究)에 해당된다. 분석과정은 주로 본체연구, 중국어학과에 재학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로 얻어진 언어자료의 통계 및 분석, 조사결과의 분석, 연구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중의현상이 없는 문구와 중의현상이 있는 문구를 비교 분석하는 방법으로 중의현상의 해소방법을 찾아본다. 비록 정태적인 연구이기는 하지만, 본 연구를 통하여 일정한 언어환경이 없는 상황에서도 동일한 구법구조가 두 개 혹은 두 개 이상의 뜻을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설문조사 통계자료에서도 나타났지만 학생들도 이 방면의 전문지식을 배우지 않으면 자연습득은 어려운 것으로 판단되었다. 분석방법을 통한 해결방법으로 는 층차분석법(层次分析法)이 언어내부의 중의현상을 분화시킨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구법구조내부에 내포한 语义관계는 잘 드러나지 않는다. 변환분석방법(变换分析法)은 구법중의성도 나타낼 수 있고 语义관계중의성도 나타낼 수는 있지만 해석하기에는 빈약하다. 语义특정분석법은 중의현상이 조성된 원인분석에는 강한 편이지만 주관성을 띠고 있다. 语义指向分析法은 구법성분이 어법과 语义에서의 모순을 분석하여 명시할 수 있고 구법성분간 특히 간접성분간의 연계까지도 명확히 지적할 수 있다. 그러므로 구법구조와 语义구조간의 복잡한 대응관계를 비교적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중의현상의 많은 법칙에 관하여 이론과 방법에서 심도 있는 결론을 내리기에는 부족하지만 향후 더욱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팬데믹 이후 중국 ICT 산업 발전에 관한 연구

        안재성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51

        팬데믹 이후 중국 ICT 산업 발전에 관한 연구 안 재 성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실용중국어 학과 (지도교수 원 혜 련) 중국의 ICT 산업 발전은 중국 정부의 정책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제조 업 중심의 급격한 성장 이후 성장 둔화에 대한 우려와 새로운 국가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중국 정부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을 중심으로 제 조업의 고도화를 추진하기 위한 ‘중국제조 2025’ 계획을 발표하였다. 또한, 디지털 경제의 육성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국가 빅데이터 전략을 수립하고, 중국 디지털 경제 발전 전략을 지속 발표하였다. 이러한 중국 정부의 정책에 따라, 중국의 ICT 기업들은 통신 및 인터넷 시장의 빠른 성장에 맞춰서 글로벌 통신설비시장 및 스마트폰 단말기 사업 등 IT 인프라를 확장하였다. 확장된 인프라는 알리바바(Alibaba), 텐센트 (Tencent), 바이두(Baidu), 바이트댄스(Bytedance) 등 빅데이터 기반의 데 이터 센터를 운영하는 ICT 플랫폼 기업의 성장을 견인하였다. 빅데이터와 데이터 센터의 독점적 지위를 바탕으로 막대한 부와 성장을 거둔 빅테크 기업들은 중국 정부의 주요 정책 목표인 데이터 주권과 공동부유라는 사회 안정에 위협으로 인식되었다. 이에 중국 정부는 데이터 3법을 완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빅테크 기업을 대상으로 빅테크 제재를 시작하였다. 빅테크 제재의 반대편에는 정부 주도의 데이터 센터 건립계획인 동수서산 계획을 발표하였다. 중국 정부의 데이터 관련 정책의 발효 이후, ISP 민간 기업들 은 매출 및 클라우드 성장의 제한을 받았고, 정부 주도의 Telco기업들은 크게 성장하였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전후의 중국 내 주요 ISP 민간 기 업의 재무제표 등 객관적인 지표를 기반으로 회귀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이 를 통하여 중국의 ICT 산업 발전과 정부 방향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4차 산업혁명 관련 산업의 성장은 산업 정책의 기본 방향은 물론 대규모 인프라 및 데이터 수집과 관리가 요구된다는 점에서 정부 정책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중국 정부의 데이터 주권 강화 정책은 중 국 내 데이터에 대한 통제권 강화, 관련 인프라 구축 및 정부 주도의 ICT 산업 성장 등 여러 시사점을 제시한다. 특히 ICT 산업의 성장을 위해서는 대규모 데이터 센터의 효율적인 설립이 중요한데, 현재 중국 정부가 추진 중인 동수서산 계획은 선정된 지역을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가는 선택과 집 중이 필요하다. 중국 정부가 적절한 데이터 활용 정책을 통하여 ICT 산업 을 지원한다면, 향후 ICT 산업은 중국의 더욱 고도화된 성장 동력으로 활 용될 가능성이 클 것이다.

      • 중국의 神과 英雄에 관한 이야기 : 中國神話故事

        김혜란 고려대학교 인문정보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35

        Chinese fairy tales start with the tale of the creation of the universe by Pan Gu. It is said that Pan Gu had been sleeping for an uncountable long time in a sort of a cosmic egg. One day he woke up from his long sleep and began his work of separating heaven and earth, suggestive of the creation of the orderly world out of the chaos and the darkness. When he had finished his work, every portion of his body became various components of this universe whereon we are living. After Pan Gu had finished the work of the creation, there appeared a capable goddess named Nu Wa, who thought that the world needed a sort of living soul to dominate all the creatures. Therefore, based on her own semblance, Nu Wa began to create intelligent little figures that could be called human beings of both male and female sex. She also innovated the marriage system for the purpose of continual proliferation and prosperity of mankind on earth. One alternative tale introduces another mythical sovereign who is called Fuxi. He was Nu Wa's brother and Nu Wa did the work of sealing the cracks of heaven with five-coloured stones to prevent the disaster of threatened flood in collaboration with Fuxi. Succeeding chapters refer to the great gods of the ancient Chinese myths such as The Yellow Emperor(Huang Di), Yan Emperor(Shennong), Zhuanxu and Shaohao. They were the sovereign gods and emperors, who had governed with power and authority over heaven and earthly world. They had been challenged by some defiant rebels such as Chi You, Gong Gong and other defiers. Among them, some heroes such as Chi You and his allied tribal leaders raised great armies against the emperors in throne, bringing fierce war between both side with resultant miserable defeat. Emperor Ku, one of another great emperor god, had subdued an uprising of a enormous scale against him in a distant borderland by means of wisdom and armed forces and had provided the foundation of the state of the ancient Chinese nation. The succeeding emperors named Yao and Shun had ruled the people, affording them benefits such as controlling the flood, great constructing businesses and had developed various welfare systems, thus providing them prosperous epoch. Followed are the tales of great ancient heroes. Yi, for example, had shot down nine flaring suns out of ten with his bow and arrows, thus reducing the damage of excessive heat by those suns. He also had killed various ferocious monsters and beasts, thus clearing the hazards of these evils. And Gun, Yu's father and descendant of heavenly emperor god, also controlled the threat of flood, but made some transgressions against god's will and therefore had been killed by emperor god. King Yu, son of Gun, had dredged new river channels as outlets of flooding water, spending a back-breaking years and many workers in the task. Another chapters tell the stories of various goddesses and great women, who had enriched and furnished the life of earthly people. Jing Wei, for example, was the daughter of Yan Emperor and perished at a young age in the East Sea. After her death she chose to assume the shape of a bird in order to exert revenge upon the sea by bringing stones and small twigs from the mountains nearby over the sea in an effort to fill it up. She claims that she will proceed her work, however long it may last. Another daughter of Yan Emperor had helped Yu Emperor to control the flood, and her body had been transferred to Mountain Wu after death. Jian Di, Qi‘s mother, took a bird egg and gave birth to Qi, who had established Yin Chinese nationality, one of ancient Chinese tribes. Qi became the outstanding master of agriculture of ancient China. The daughter princess of Emperor Ku exerted the courage to marry a gallant and wise hero for the filfilment of emperor's proclamation , thus exalting the worth of keeping faith for his people. 우리 민족과 예로부터 밀접한 교류가 있어왔던 중국의 문화에 대해 공부해보고자 중국어 번역학과에 입문한 이래, 여러 과목을 공부하면서 그리고 교수님들의 강의를 들으면서 중국의 언어문화에 대해 많은 것을 배우게 되었다. 그러는 가운데 중국문화 특히 중국의 정신문화의 모태이자 시원이 되는 것이 중국의 고대 신화인 것을 알게 되어 중국 고대 신화의 문을 두드리고 싶은 소망이 생기게 되었다. 그리하여 교수님의 지도로 袁珂선생의 《中國神話故事》의 내용을 하나하나 짚어가며 우리말로 옮겨가면서 중국 고대 신화의 연원이 너무나 오랜 시간과 어마어마한 범위에 걸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등장인물들의 다양성에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袁珂선생의 《中國神話故事》는 盤古에 의한 천지개벽설화로부터 시작되는 창세 신화가 앞머리에 등장한다. 반고는 혼돈과 암흑으로부터 하늘과 땅을 나누고 세상의 새벽을 연다. 이어서 女媧에 의한 인류창조 이야기와 女媧-伏羲에 의한 홍수 극복과 새로운 인류번성의 이야기로 전개된다. 女媧는 흙덩어리로 사람을 창조했을 뿐 아니라 오색돌로 하늘을 막아 홍수도 예방해 주었다. 다음으로 炎帝, 黃帝 등 上帝들의 등장으로 天上의 신들에 의한 우주세계와 인간세계의 통치 이야기로 이어지며 顓頊, 少昊, 炎帝등 分權的 천제들과 이들 天帝들에 叛旗를 들고 대항한 共工, 刑天 등 도전자들과 천상과 지상의 패권을 두고 다툰 夸父, 蚩尤등과의 戰爭 이야기로 이어나간다. 여기에서 상제 등 제왕들의 절대왕권과 통치권이 강조되고 도전자들의 無謀함과 패배를 설명하고 있다. 다음으로 帝嚳 高辛王의 이야기로 邊方에서 일어난 房王의 반란을 盤瓠로 하여금 平定하게 하고 나라의 기반을 튼튼하게 다졌으며 여러 부족이 번성하는 기초를 닦게 하였다. 이어서 堯임금, 舜임금, 그리고 禹임금등이 등장하였는데 이들 帝王들은 治水 등 國民을 위한 커다란 사업과 각종 災難救濟에 능력을 발휘하는 爲民除害의 聖君들로 나타나 풍요로운 上古時代의 治世를 묘사하고 있다. 이어서 神弓 羿 및 여러 영웅들이 등장하여 흉포한 괴수나 특수한 위난상황을 해결해나가는 이야기가 전개되는데, 특히 羿는 神弓으로서 여러 종류의 괴물들을 퇴치하고 열개의 太陽 중 아홉 개를 활로 쏘아 제거하여 극심한 더위와 가뭄을 해결해 주는 영웅인데, 나중에 몇 가지 실수를 범한다. 또한 鯀은 天帝의 후손으로서 사람에게는 홍수 다스림 등 좋은 일을 하지만 천제의 뜻에 어긋나는 결과 죽임을 당하며 그 아들 禹는 아버지의 뜻을 이어가며 백성을 돌보는 훌륭한 제왕으로 활약한다. 여기에서 신화적 요소를 實存했던 역사로 만들어가는 중국 신화의 特色을 엿볼 수가 있었다. 다음으로 인간세상을 유익하고 풍요롭게 만든 여러 女神들과 부족의 시조를 낳은 여인들의 이야기가 나오는데 炎帝의 딸 女娃는 죽어서 精衛라는 새로 변해서까지 바다를 메우고자 하는 열망을 버리지 않는 집념을 보이고, 瑤姬라는 여인은 禹임금의 치수사업을 積極 도와주고 죽어서는 험한 뱃길을 지켜주는 무산의 산봉우리가 되었다 한다. 중국신화중의 여인들은 때로 남자보다 더 큰 염원과 자애로 큰 일들을 해내는데, 이들 여인들은 애증의 생활속에서 경우에 따라 엄청난 일을 해내기도 한다. 즉, 제비알을 먹고 殷族의 시조인 契를 낳은 戎族 추장의 딸 簡狄이 있고, 有邰氏의 딸 姜嫄은 巨人의 발자국을 호기심에 밟고 살덩어리를 낳아 내다 버렸다가 禽獸들의 행동을 보고 다시 거두어 집에 데려와 棄라는 이름을 주고 길러서 周族의 시조가 되게 만들었다. 棄는 후에 五穀과 각종 果實의 재배법을 가르쳐 농업의 기초를 다지게 한 堯舜임금시대의 后稷이다. 또한 高辛王의 공주는 叛亂首魁 房王의 머리를 가져온 龍狗 盤瓠에게 시집감으로서 국왕의 臣民에 대한 언약의 실천과 사람사이의 信用의 소중함, 그리고 大義를 위해서는 여인으로서 자신의 일신의 安逸을 희생할줄 아는 진정한 용기를 보여줌으로서 이들 여인들과 부족시조 이야기는 중국문화의 포용성과 다양성 그리고 進取的이고 發展的인 力量을 말해준다고 할 수 있다.

      • 중국 결혼적령기 남·여의 가치관 및 세태 분석을 통한 인구문제 고찰 : 드라마 《咱們結婚吧》의 인물분석을 중심으로

        이현덕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35

        중국 결혼적령기 남・여의 가치관 및 세태 분석을 통한 인구문제 고찰 –드라마 ≪咱们结婚吧≫의 인물분석을 중심으로- 이 현 덕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실용중국어학과 (지도교수 장 호 준 ) 세계 인구의 5분의 1을 차지하는 거대한 나라 중국은 세계에서 출산율이 가장 낮은 국가이기도 하다. 저출산·고령화 현상은 생산가능인구수를 감소시키고, 노인부양으로 인한 가계저축과 정부재정의 침식 등으로 경제전반의 활력을 떨어트리는 요인이 된다. 2017년 5월,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는 급속한 고령화를 이유로 중국의 국가신용등급을 하향조정하기도 했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드라마 ≪咱们结婚吧≫에 나타난 결혼적령기 남·여의 가치관 및 세태를 분석하고 그 내용을 토대로 인구문제의 원인을 찾는다. 이어 출산율 반등에 성공한 선진국 사례연구 등을 통해 중국 인구문제 해결을 위한 통찰력을 얻고자 한다. 드라마 속 구직과정, 만혼, 불륜, 이혼과 재결합 과정 중에서 드러나는 각양각색의 인물들의 반응을 통해 개인의 삶과 결혼, 가족에 대한 현대 중국인들의 시각을 읽어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진행한 문헌·역사연구, 드라마 ≪咱们结婚吧≫의 등장인물분석 및 키워드 분석을 종합해 볼 때, 출산율 감소현상은 인구정책뿐만 아니라 자본주의적 경제체제 아래 전개된 산업화·도시화 과정에서 생존을 위해 변모해 온 개개인의 실용주의적 가치관과 아직 그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사회구조·계급(성·지위)인식 간 충돌과도 무관하지 않다. 드라마는 ‘생존’이라는 화두 앞에서 개인주의적 현대인에게 비혼(非婚)이 하나의 선택지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한편 진정한 행복은 영혼의 짝과의 결합을 통해 평범하고 소박한 행복을 꿈꾸는 것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일상에서 이루어지는 관계를 통해 친밀감을 느끼고 신뢰가 쌓여 자연스럽게 동반자적 감정을 갖게 되는 사랑이 아름다운 것임을 말하고 있다. 결혼과 비혼, 개인과 공동체, 가족에 대한 관점이 바뀌면서 비혼주의자가 늘고 있다. 그렇지만 상황에 의한, 비자발적인 비혼주의자가 늘어나는 것은 아닌지 경계할 필요가 있다. 비혼이 현실에 좌절한 3포(연애·결혼·출산) 세대의 대안 없는 선택이 되지 않도록 사회가 변모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인구문제는 일자리·복지·양성평등·육아 인프라 구축 등 각 분야별 정책의 통합적 추진을 통한 사회구조적 문제의 해결과 동시에 구성원들의 인식개선 노력을 통해서 적절한 해결책을 찾을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Key word: 인구정책, 결혼, 출산, 결혼공포증, 비혼, 출산장려정책, 자녀 A Study on the Value Views on Marriage among Male and Female in Contemporary China - Based on an analysis of the Characters in Drama ‘Zanmen Jiehunba’- by Lee Hyun Deok Department of Practical Chinese Graduate School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Sponsored by Professor : Chang, Hojun China, a huge country which accounts for one-fifth of the world’s population, also has the lowest fertility rate in the world. The low birth rate, in conjunction with population ageing, has led to the declining of working-age population ratio and affected its economic vitality due to the increasing fiscal burdens and household savings reserved for the support of the elderly people. In May 2017, an international credit rating agency, Moody’s downgraded China’s sovereign credit rating on the grounds of its rapid population ageing. This study, based on an analysis of the values and social conditions regarding marriage reflected in ‘Let’s Get Married 咱们结婚吧’, a popular Chinese TV drama, examines the causes of Chinese contemporary population problems, on the one hand, and explores the policy implications by comparatively reviewing the cases of advanced countries which have successfully recovered fertility rate. Through the reactions of various characters during the process of finding a job, marriage, affair, divorce and reunion, the modern Chinese views of individual life, marriage and family can be read. According to the review of the literature, historical research, character analysis and keyword analysis of the drama ‘Let’s Get Married - 咱们结婚吧’, the declining fertility rate is related to not only population policy, but conflict between pragmatic values of individuals transformed for survival in the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developed under the capitalist economic system and social structure and class such as gender and social status. In the topic of “Survival”, non-marriage can be an option for modern people. Nevertheless, it emphasizes that those who seek true happiness were those who dreamed of ordinary and simple happiness through the soulmate union. The number of non-married people is increasing as the view of marriage and non-marriage, individual and community, and family changes.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hether involuntary non-marriage increases by circumstances. Society should change so that the non-marriage can not become an option without an alternative to the generation, those who give up dating, marriage, and having kids. This study indicates the population problem needs to be viewed with the social structure problem and improvement awareness efforts through the integrated implementation of policies such as job, welfare, gender equality, and childcare infrastructure. Key word : population policy, marriage, birth rate, fear of marriage, unmarried, childbirth encouragement policy, children

      • 中國에서《三字經》의 發展狀況 硏究

        가춘휘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35

        중국은 유구한 역사를 거치며 많은 교육경험을 축적하였고 또한 고유의 민족 교육 전통을 형성해 왔다. 그중에서도 아동교육용 경전은 중국 문화의 중요한 구성 부분으로서 깊은 문화적 전통을 담고 있으며, 동시에 세계 각지에 널리 퍼져 세계 문명에 심대한 영향을 미쳤다. 최근 몇 년 동안 중국 문화의 유행과 함께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한자를 배우기 시작했다. 그리고 한자 교육을 위한 여러 교재 가운데, 국제적으로 널리 알려진 《三字經》을 빼놓을 수 없다.중국인들은 예로부터 교육 문제를 특히 중시해 왔다. 중국 역사상 가장 유통량이 많은 책은 아동교육용 교재로, 《삼자경》, 《百家姓》, 《千字文》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이 책들은 대대로 사라지지 않고 전해지며, 아동 계발 경전으로서 중국인들의 어린 시절의 기억 속에 자리 잡고 있다. 《삼자경》은 700여 년 동안 사용되다가 《백가성》, 《천자문》과 호흡을 맞춰, 송원시대 이래로 널리 알려진,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식자교재(識字敎材)이다. 《삼자경》은 1000여 자에 불과하지만 내용이 풍부하고, 중국 전통 문화의 인륜의리, 충효예의, 역사, 철학, 천문 지리 등 폭넓은 지식을 두루 포함하고 있다. 그래서 예로부터 민간에서는 “《삼자경》을 숙독하면 천고의 일을 알 수 있다”는 말이 전해진다. 《삼자경》은 편집 형식도 독특해 중국 전통 계발 교육의 지혜와 교재의 특색을 잘 보여준다.《삼자경》은 중국인들에게 낯설지 않은 전통 문화 경전이지만, 사실 처음 몇 마디를 외울 수 있을 정도로 인상적이지는 않으며, 구체적인 내용과 그 가치를 아는 사람도 많지 않다. 그러나 중국어 기초 교육에 관한 이론적인 연구이든 실천적인 수업이든 중국의 전통 교재와 그 안에 담긴 유익한 경험을 경시해서는 안 된다. 중국의 독특한 문화 배경에서 만들어진 《삼자경》은 중국에서 널리 알려진 아동 계발 교재로서 간단하고 이해하기 쉬운 것 같지만 사실 아동 교육용 식자 교과서일 뿐만 아니라 다목적의 독서본이기도 한다.본 논문의 주요한 연구목표는, 중국 고전 몽학 교재인 《삼자경》에 대한 연구를 통해 해당 전적의 내용과 내적 구성을 살펴보고, 나아가 중국에서의 《삼자경》의 발전 상황을 검토함으로써 《삼자경》이 시대별로 어떤 위상을 가졌는지를 이해하는 것이다. 中國曆史以及文化悠久,數千年來,積累了豐富的教育經驗,形成了獨特的民族教育傳統。其中蒙學經典是中國文化的重要組成部分,承載著深厚的文化傳統,同時在世界各地得到了廣泛的傳播,對世界文明產生的深遠的影響。近年來隨著中國經濟實力和國際地位的提升,有越來越多的外國人主動學習漢字及中文。那麼對於漢字啟蒙就不得不提到《三字經》這本已經走向國際的蒙學讀物了。中國人自古以來就特別重視教育問題。可以說,中國曆史上流通量最廣的書,應該還是數蒙學教材,尤其是《三字經》《百家姓》和《千字文》,這是曆代經久不衰的蒙學經典,是上千年來中國人的童年記憶。作爲蒙學教材,《三字經》流傳使用長達700多年,在使用過程中和《百家姓》《千字文》配合,是宋元以來社會上廣泛流傳的一套合理有效的識字教材。它雖然只有千餘字,但內容豐富完備,具有廣博的知識內涵,其內容取材典範,包括中國傳統文化的人倫義理、忠孝節義、曆史、哲學、天文地理等等,因此,古人有說:“熟讀《三字經》,可知千古事。”編寫方式也獨具特色,體現了我國傳統識字教學的智慧和教材的特色。雖然《三字經》對於中國人而言並不是陌生的傳統文化經典,然而事實上不少人除了對頭幾句印象深刻甚至能背誦之外,對其中的具體的內容和價值卻知之甚少。關於漢語的基礎教育,不管是理論上的研究還是實踐上的教學,都不能忽視中國傳統教材以及有益經驗。在中國獨特文化背景下編寫的《三字經》作爲中國流傳甚廣的兒童啟蒙讀物,看似簡單易懂,實則蘊含著大智慧,它不單是童蒙的識字課本,更是一部多功能的啟蒙書,值得認真研究。本次論文的課題主要圍繞《三字經》在中國和韓國的發展情況,通過對蒙學讀物《三字經》的深入研究,剖析這部經典作品的內在結構以及版本的更迭,了解它的在中國的曆史發展過程。同時對比《三字經》在中國以及韓國的發展情況,來解析如何更好地進行基礎漢字教育。

      • 효율적인 중국어교학을 위한 착별자 유형 분석

        강영미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35

        Ever since diplomatic relations were normalized in August 1992,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many students have become interested in learning Chinese. More and more universities have opened Chinese-related departments to keep pace with this trend. However, many students who decide to major in Chinese without any basic knowledge of Chinese characters but curiosity, interest and desire have found it difficult to study successfully. Chinese characters are ideograms. In other words, when Chinese characters were first made, they represented shapes and not symbols marking pronunciations of words. Even though ideograms have lost their original characteristics over thousands of years, Chinese characters still remain as ideograms distinguishing meaning with a words shape. This characteristic has brought confusion to the use of characters. If the three factors of a Chinese character, shape, sound and meaning, cannot be recognized accurately, this can be a major cause of error formation. Wrongly-written characters have a cause and rule as to why the mistake was made. If causes and rules are revealed, it is not difficult to reduce errors. This research aims at discovering the cause of creation of character errors made by learners who are studying Chinese as a foreign language and then analyzing types of character errors to find out ways to study Chinese more effectively. For this research, a words test was conducted four times in a "Modern Chinese Language" class, a major for the sophomore year in the Department of Chinese Studies at the College of International Studies in Keimyung University, during the second semesters of 2008 and 2009. Then, all mistakes the tests were collected. Wrongly written characters were divided into nine categories: too many or too few strokes, radicals and character components; character-shape error of some part in an independent-style letter capable of generating a new character; wrong combination of character components of some part in a combined-style letter capable of dividing into a character, etc. (wrongly-written words without knowledge of the principle of making characters). Wrongly-written and mispronounced characters were categorized into 6 types: similar character shapes of two letters; similar character shapes and same sound of two letters; similar character shapes and sounds of two letters; similar character shapes of character components or one part of character; similar meaning of two letters, etc. This research studied wrongly-written and mispronounced characters by students studying Chinese and classified them into various types to help them understand character structure and use appropriate letters. The research shows that a new way of education is needed to realize and to prevent the present condition of wrongly-written and mispronounced characters and suggests a more effective way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to reduce wrongly-written and mispronounced characters. 1992년 8월 한‧중 국교 정상화이후 인적‧물적 교류가 활발해 짐에 따라 많은 학생들의 중국어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었다. 대학교도 이러한 상황에 발맞추어 중국과 관련된 많은 학과가 개설되었으며 학생들의 진학하고자 하는 욕구도 날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한자와 簡體字에 대한 기본 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호기심과 흥미, 의욕만 가지고 중국어를 선택한 학생들은 공부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호소한다. 중국어는 표의 문자이다. 수량의 방대함과 복잡한 筆劃 외에도 字形 자체만으로 발음을 명확하게 표시할 수 없다. 중국어의 이러한 특성은 한자의 形‧音‧義의 3요소를 확실하게 인식하지 못하여 문자사용에 많은 혼란을 가져다주었으며 錯別字를 생성하는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錯字는 錯字가 생기는 원인과 규칙이 있고, 別字는 別字가 생기는 원인과 규칙이 있다. 원인을 찾고, 규칙을 알면 錯別字를 줄여나가는 것은 어렵지 않을 것이다. 본 연구는 외국어로서 중국어를 학습하는 자들을 대상으로 錯別字 생성의 원인을 살펴보고, 이를 통하여 보다 효율적인 중국어교학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錯別字에 대한 유형분석을 진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08학년도 2학기와 2009학년도 2학기, 계명대학교 국제학대학 중국학과 2학년 전공교과목 『현대중국어문법』 시간을 통하여 매 시간 단어테스트를 진행하였으며, 각 10회에 거친 테스트 결과 발생한 오류를 모두 취합하였다. 錯字는 筆劃의 增加와 減少, 部件의 增加와 減少, 偏旁의 增加와 減少, 獨體字에서 자형 일부에 오류가 생긴 경우, 合體字에서 편방의 일부가 잘못 결합된 경우, 其他(造字原理를 잘 몰라서 글자를 잘못 쓴 경우)의 9가지로 분류하였다. 別字는 두 글자의 字形이 서로 비슷한 경우, 두 글자의 字形이 서로 비슷하고 讀音이 같은 경우, 두 글자의 字形과 讀音이 서로 비슷한 경우, 편방이나 部件의 字形이 비슷한 경우, 두 글자의 뜻이 비슷한 경우, 기타 등 6가지로 통합 분류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어 교육을 받고 있는 학생들에게 중국어의 문자 체계를 이해시키고 바른 글자 사용을 위해 그들을 대상으로 錯別字를 조사하여 錯別字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錯別字의 현황을 인식하고 이를 방지할 수 있는 교학방법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지하였고, 이에 향후에는 錯別字 발생을 줄일 수 있는 보다 효율적인 중국어 교학 방법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聞一多 散文選

        신정희 고려대학교 인문정보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35

        論 文 抄 錄 文學은 어느 나라의 언어로 된 것이든 魅力의 對象이 아닐 수 없다. 처음에는 論語구절에 끌려 中國古文을 공부해 보고 싶었고, 이것은 곧 中國 古詩에 대한 감탄으로 이어졌다. 漢詩구절에 압축된 많은 哲學, 思想과 風光은 점점 더 中文學에 대한 공부를 흥미롭게 해주었다. 그러면서도 한편으로는 우리와 사상과 이념을 달리 했던 중국의 현대 문학이 好奇心의 對象이 되었다. 古代漢語에서 現代漢語로 변화되면서 문학은 어떤 식으로 표현되었을까? 激動時期의 中國 現代文學은 어떻게 表出되고 있는가? 등은 항상 궁금 했었다. 中國語 飜譯學科에 입문한 이래 飜譯 실력이 짧았던 관계로 現代文學에 대한 感興을 그다지 알지 못했다. 교수님의 指導 下에 聞一多선생의 散文을 번역하면서 現代文學의 깊이를 體驗하며 새삼 놀랐고, 古文을 대하면서 느꼈던 感興을 現代文學에서도 느낄 수 있었던 뜻 깊은 시간이 된 것 같다. 聞一多선생의 散文集을 통해 中國文學의 전반적 흐름을 살펴 볼 수 있었다. 詩 三百篇으로부터 시작되어 唐朝에서 사실상 成長을 이루었다고 할 수 있는 傳統文學에 대한 方向을 提示하고 있다. 껍질을 벗고 外來의 좋은 점을 솔직히 받아들일 것을 권하며, 特權階層인 士大夫의 專有物이었던 詩文學의 限界性에 대한 대안으로 小說의 방향으로 폭을 넓힐 것을 주장한다. 아직까지 현란한 修飾語로 우리나라의 思想을 支配하고 있다고도 할 수 있는 儒敎의 思想이 聞一多선생에게는 신랄한 批評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에게 있어 儒敎 思想은 封建體制를 위해 씨앗을 뿌렸고 封建體制를 위해 깃발을 흔들며 함성을 지른 것이다. 孔子의 사상은 僞善의 道德이다. 儒敎는 상전에게는 칼이 되어 마음대로 휘두르게 하고 아랫것에게는 처지에 만족하며 忍耐할 것을 要求하는 旣得權者의 道德이다. 이러한 道德은 결국 身分社會, 家父長 意識, 强制秩序, 女性差別의 결과를 가져온다. 이러한 모든 것은 儒家 자신들의 地位를 確保하고자 하기 위함이었다. 이런 식으로 살찌우고 나면 景觀 좋은 별장으로 老子가 되어 숨어버린다. 이렇게 隱遁하는 老子는 사기꾼이다. 儒家의 가장 큰 피해자는 下人과 女性이다. 下人은 이미 해방이 되었지만 일부 女性은 자신조차 解放의 必要性을 깨닫지 못하고 있다. 진정한 女性解放으로, 길들여진 女性이 아닌 女性本性의 女性이 되길 바라고 있다. 男性에게 從屬된 女性이 아닌 徹底하게 解放된 진정한 女性으로, 姿態가 아름다운 여자이기보다 쓸모 있는 여자가 되어 중국의 未來文化를 領導하기를 바라고 있다. 여성이 모범이 되고 龜鑑이 되기를 바라고 있는 것이다. 중국 격동의 시기인 五. 四시기는 중국인들의 자랑이다. 그 시기의 청년들의 激情과 鬱憤, 高潮된 사회분위기, 知識人들의 고뇌와 呼訴는 大衆的 呼應을 얻었으며 生命까지도 아까와 하지 않았던 사회적 분위기로, 가식적 결과는 그다지 크지 않았던 五. 四운동은 중국 近現代史의 흐름을 바꾸었으며 중국이 半植民地 상태로부터 벗어나 民族主義에 立脚한 近代國家로 변화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중국의 지식인들은 五. 四운동을 계기로 중국의 進路에 대한 確信을 가질 수 있었으며 중국의 미래에 대한 다양한 展望 등을 提示하고 있다. 그 시대의 사람은 그 시대의 말을 하라. 郭沫若은 중국 現代詩歌史에서 첫 자리에 추대되는 시인으로 五. 四시대의 새 詩風을 개척하였으며 《女神》이 그의 代表作이다. 그는 어려서부터 학습했던 古典文學의 浪漫主義 정신의 영향으로, 세상에 대한 분노와 시대에 대한 근심 등을 시에 表出하였다. <鳳凰涅槃>은 영원히 죽지 않고 更生하는 中國을, <晨安>은 중국의 서광이 비치고 있는 아침을, <天狗>를 통하여 구 전통을 파괴하고자하는 등 당시의 暗黑과 封建的 束縛에서 벗어나려는 강렬한 時代精神을 잘 표현하고 있다고 평가하였다. 반면 郭沫若은 조국은 사랑하였지만 조국의 문화는 사랑하지 않았다. 그의 작품에 中國的 色彩가 부족함을 批評한 구절이다. 당시 文學 言語가 舊文學에서 탈피하여야 하지만 西歐文學의 盲目的인 模倣은 곤란하다. 新文學의 건설은 舊文學의 土臺위에 새롭게 지어야 한다고 강하게 주장하고 있다. 지식인의 애국은 情緖的 愛國이 아닌 理智的 愛國이여야 한다며 中國 現代文學史의 巨木을 勇敢하고 辛辣하게 批評하고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現代文學의 깊이를 느낄 수 있었던 기회를 주신 교수님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