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업의 문화마케팅 전략으로서의 조형예술 협찬에 관한 연구

        진정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 논문은 문화 마케팅을 전략으로 한 기업의 조형예술 지원에 관한 연구이다. 최근 신문, 잡지, 방송 등 여러 대중매체를 통해 ‘메세나’, ‘아트 마케팅’, ‘기업의 예술공헌활동’ 등으로 기업의 다양한 문화예술의 지원 활동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기업의 문화예술 지원은 다양한 분야에 활성화되어 있지 못하며 특히 조형예술 분야의 지원은 미미한 상태이다. 또한 기존의 지원에 대한 조사와 연구도 부족한 상황이다. 이 같은 문제의식을 제기하여 기업과 문화예술이 상호호혜적인 관계로 발전된 문화 마케팅 전략으로서의 기업의 지원을 본 논문의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사례 연구로 국내의 조형예술 행사에 지원한 기업의 협찬 활동을 분석해 봄으로써 앞으로 기업의 조형예술 지원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문화 마케팅은 기업이 문화예술과의 접목을 통해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문화예술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가치도 높여주는 경영 활동이다. 즉, 기업이 문화예술을 마케팅 전략의 핵심적인 수단으로 활용하는 것을 가리키며, 가장 기본적인 방법으로 후원이나 협찬 활동을 통해 문화예술을 지원하고 있다. 기업의 문화예술 지원은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기업이 사회로부터 얻은 이익의 일부를 다시 환원하는 사회적 책임론이 대두되면서 사회 공헌의 활동으로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기업이 아무런 대가를 바라지 않는 자선적인 기부로 출발하였으나, 사회ㆍ경제의 변화에 따라 현재는 기업의 일방적인 기부 행위를 넘어서 기업과 문화예술의 동반자적 관계가 강조되고 있다. 문화예술 분야는 국가의 공적 지원이나 기업과 개인의 지원을 필요로 한다. 전 세계적으로 국가의 공적 지원이 점차 줄어 들고 있어, 문화예술 단체의 자체적인 수익 사업활동과 기업이나 개인의 사적 지원이 상대적으로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국가의 문화예술 분야의 예산이 타 분야에 상대적으로 적을 뿐만 아니라, 미국이나 유럽과 같이 사회적으로도 기부 문화가 거의 없어 문화예술 단체는 재정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게다가 조형예술 분야는 공연예술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업의 지원에 의한 효과가 적다는 인식 때문에 기업으로부터 지원도 적은 상황이다. 기업의 문화예술 지원의 형태는 협찬과 후원으로 나눌 수 있으며, 특히 협찬은 기업의 문화예술 지원의 가장 중요한 방법이 되고 있다. 협찬은 협찬 지원의 내용에 따라 현금, 물품, 인력 등으로 이루어진다. 협찬은 광고게재나 홍보 등의 직접적인 반대급부를 전제로 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미지 제고나 PR 효과를 얻고자 하는 기업의 마케팅 활동의 일환으로 활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협찬을 중심으로하여 최근 국내 조형예술 행사의 사례를 조사하였다. <2004년 광주비엔날레>, <서양미술 400년展>과 <밀레와 바르비종파 거장展>, <날아가는 돼지문화열차>와 <과학문화열차>등 최근에 열린 총 5개의 조형예술 행사와 기타 갤러리와 미술관의 조형예술 전시를 대상으로 하여 기업의 협찬 활동을 분석하였다. 이들 행사에 협찬한 기업은 공통적으로 각 행사에 현금 협찬과 현물을 지원하였고, 반대급부로서 행사 관련 포스터, 입장권 등의 인쇄물을 통한 광고나, 행사장 주변에서 자사의 홍보 및 제품의 프로모션 등을 통해 마케팅 효과를 얻었다. 그러나 기업의 문화예술의 협찬은, 지원 대상이 다양화 되지 못하고 일부 인기 행사에 편중되거나, 기업의 홍보 효과에 치우친 프로그램과 내용에 대한 기업의 압력 등에 의해 예술의 자질을 저해할 수 있다는 문제점과 우려가 제기되었다. 그러나 기업의 문화예술 지원은 문제점보다는 기업과 문화예술이 훌륭한 파트너 관계임을 자각하고 앞으로 더욱 적극적으로 활용되어야 한다. 기업의 조형예술 지원 활성화를 위해 기업은 첫째, 담당부서를 설치하여 체계적인 지원이 이루어지도록 해야하며, 둘째로 장기적인 문화 마케팅 전략을 세워 지속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기업의 목적과 업종 그리고 기업이미지에 부합하면서 자사의 경영 자산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문화예술 단체도 기업의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적극적인 인식 제고의 변화를 통해, 훌륭한 기획과 함께 마케팅의 요소를 활용해야 할 것이다. 나아가 국가적으로 이에 관한 법률과 제도를 정비하고, 관련 분야의 연구와 인력 개발 등의 여건을 마련해야 한다. This study is a research about supports to art made by companies that have a strategy for culture marketing. Recently many reports are being made about various forms of assistance from corporate enterprises toward cultural activities, yet those forms of assistance from the corporate enterprises has not widely spread throughout various art fields, and the research and studies for existing forms of assistance is still insufficient. This essay has focused on corporate supports as a strategy of culture marketing, developed by a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entities and art. In addition, I attempted to find a measure to activate corporate support by means of analyzing sponsorship to domestic visual art from corporate enterprises. Culture marketing means management to increase and improve values of art by grafting corporate business into art. Soto speak, enterprises utilize art as a key measure of marketing strategy, basically through sponsorship or promotion. The corporate support for Art has been originated from 1960's to 70's in Europe and U.S, with emerging social responsibility of corporate enterprises asking payback some of their profits to society. In the early days, it was a kind of custom for corporations to donate without expecting anything in return, but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society and economy, corporations and art have been developing cooperative relation, unlike a one-sided support from corporate entities. Art needs official support from government or assistance from corporations and public. It is an increasing trend worldwide that offici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is steadily decreasing. Meanwhile, almost every Art association has its own profitable business or is finding increasing sources of supports from enterprise and public. To be more specific to our country, the official budget for Art in Korea is not very high, and moreover, there is no social foundation for donation to the field of Art. Therefore, a lot of art associations in Korea find it difficult to survive due to poor financial assistance. In addition, the supports for visual art field are even less because of a prevalent perception that this field doesn't have much commercial effect. Corporate assistance can be classified into sponsoring and support, out of which, sponsoring is the more common one. According to the terms of sponsorship, aid can be made by cash, commodities or manpower. Most of sponsorships are made on the basis of direct compensation for advertisements or PR, and hence it is applied to improve the corporation's image or get PR effect as a type of marketing. Accordingly, I have researched about cases of current visual arts in terms of sponsorship. And I have analyzed types of corporate sponsorship for the subject of latest five visual art performances. All sponsorship have been made by cash or goods from each corporation, and the compensations were advertisements through prints like posters and tickets, or marketing effect through PR in event halls and product promotion. But the sponsorship for cultural marketing from corporate enterprises are limited to few famous events and It's been predicted that too much pressure from sponsoring corporations to event programs may bring negative effect toward artistic values. Hence, we need to acknowledge that corporate entities and Art should be good partners, and promote positive supports from enterprises. For this purpose, corporate entities are recommended to form related departments and provide more systematic support to Art. Secondly, a long-term strategy for cultural marketing is required to promote continuous support rather than one-time aid. Last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support programs in order that support for art successfully matches with improving corporate image and to help enterprises to utilize business properties positively. On the other hand, the Art associations also need to apply marketing strategy to attract more support by the means of positive business mind and outstanding planning. In addition to that,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regulations and systems for more tax deductions in order to activate cultural marketing and build a foundation.

      • 기업의 조형예술 지원 현황 및 사례에 관한 연구

        이지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775

        현재 유럽이나 미국 등 문화 예술의 선진국에서는 예술 분야에 대한 공공 지원의 비율이 감소하는 현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대신에 예술 단체의 자체 수입을 늘리고 기업과 개인으로부터 민간 지원을 개발하여 공공 지원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도록 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예술 후원의 주체로서 기업의 위치는 더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다. 나아가 이들 국가에서는 예술 지원이 기업의 마케팅, 홍보 또는 사회적 책임 등에서 당연한 부분으로 여겨지며 크고 작은 많은 기업들이 이 분야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에 비해 한국의 경우 아직 기업의 예술 지원이 활성화 되어 있지 못하며 지원 동기가 다양하지 못하고 지원의 전문성과 다양성이 결여되어 있다. 특히 조형예술 분야의 지원은 공연예술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극적이고 미미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이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국내 기업 예술 지원 현황을 통해 그 특징과 문제점을 도출하여 이에 반하는 국내의 성공적 사례를 찾고자 하였고, 선진국의 예술 지원 현황 및 사례를 고찰하여 상호 이익을 도모하는 방향의 기업과 조형예술의 파트너십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먼저 혼재되어 사용되고 있는 기업 예술 지원을 일컫는 여러 개념들을 정의하고 그 역사에 대해 미국과 유럽 국가, 일본, 한국 별로 정리하였으며 이를 통해 앞으로의 기업 예술 지원의 추세를 추측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기업이 예술을 지원하는 이유와 그 필요성에 대한 이론적 탐구를 통해 기업의 예술에 대한 지원을 증대시키고 그 관계를 돈독히 하기 위한 제언의 토대로 삼았다. 기업 지원이 활성화된 선진국의 경우 예술을 지원하는 동기가 대체로 다양한 편이었는데 한국의 경우는 기업 이미지 제고 측면에만 집중되어 있는 현상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국내 기업 예술 지원이 다양한 형태를 갖지 못하는 문제점과도 연결되고 있다. 이어서 한국의 기업 예술 지원 현황 자료를 토대로 지원 주체별 구분인 기업의 개별적, 기업재단, 기업메세나협의회, 문예진흥원으로 분류하여 분석하고, 특히 조형예술 분야에 대한 기업 지원의 특징과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에 반하는 성공적인 국내 사례를 조사하여 인터뷰를 통해 얻은 자료를 바탕으로 지원 내용과 결과를 제공하였다. 또한 영국, 미국, 일본의 기업 예술 관련 지원 기구의 역할과 운영 프로그램을 조사하고, 이를 이용한 기업 조형예술 지원의 성공적인 사례를 찾아 국내 기업 조형예술 지원의 제언을 위한 바탕으로 삼았다. 본 연구는 기업이 조형예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전의 후원자와 수혜자라는 일방적이고 소극적인 관계의 지원 방법에서 벗어나 다양한 지원 동기를 가지고 적극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상호 이익을 도모하는 파트너로서 관계를 맺는 방향을 추구하고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제안으로 기업 전시회의 운영, 기업 미술품 컬렉션 활용, 현금 이외의 다양한 기술이나 인력 지원, 직원 혜택을 위한 지원을 외국 사례를 바탕으로 제언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프로그램의 운영을 위해서는 먼저 지원 목표와 취지를 설정하고 이에 상응하는 지원 절차와 운영, 평가, 예산 책정 등의 지원 정책을 수립하고 체계적인 행정 시스템을 갖추어 전문 부서와 전문인을 사용하여 지속적이고 일관성 있는 지원을 하기를 제언하였다. 나아가 예술을 지원하고자 하지만 이러한 전문적 지원 프로그램이나 시스템을 운영을 하는 것에 무리가 있는 기업을 위해서 예술계에서도 적극적인 기업 예술 지원을 유도하는 시스템을 운영할 것을 제시하였다. Nowadays, funds for the arts from public sectors shows downward trend in advanced countries such as UK, France, Germany and the United states. The governments are implementing the policy for art organizations to improve their revenue and become less dependent on public supports by creating new sources of fund from corporates and individuals. The role of firms in this area is getting more important. This study examines various cases across UK, Japan and the United States where companies play an active role in supporting the arts. And it compares them with our county's one which is developing status unlike them, based on the research done by Korean Business Council for the Arts and Korea Cultural Policy Institute. It will cover the biggest single project for the visual arts from Hana bank, Credit Lyonnais Korea, POSCO in Korea. With cases of advanced countries, this study come to conclusion that the arts and corporates should form productive relationship in order to both can benefit from it. This study suggests that efficient partnership and the way of enhancing relationship between business and visual arts. First of all, it is important for corporates to realize what kinds of benefits arts can bring to corporates as sponsors. Some compaines still do not recognize importance of partnerships with visual arts. Secondly, corporates have to build specialized supporting the arts program. It is desirable to develop various programs fit for individual firms. Thirdly, corporates have to establish the policy with precise goal and mission, to build organized system of supporting the arts. Finally, the majority of business support the arts expects to receive more suitable benefits in return for corporates. Therefore, the arts organizations have to develop multiple benefits for corporates and build supporting program for partnership between business and the visual arts.

      • 실의 물성을 조형화한 청색 자수 연구

        조경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775

        This study evaluated the work that combined colors and materials and was sculpted through embroidery from th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points of view. It approached and identified the concept of color, important in plastic arts, from the scientific, philosophical, and art history aspects, and also discussed its relationship with materials. Additionally, this study tried to secure the certainty of blue, a subjective and emotional color, by examining the changes in the meaning of blue expressed as the main color in the target work. Lastly,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embroidery that appeared in the formative works of the researcher and reveal the artistic value of it by evaluating the concept and patterns of modern embroidery that changed and expanded. Color cannot be simply defined or understood as an objective entity with physical characteristics, but rather should be seen as a holistic existence understood in various viewpoints and contexts. Human beings can perform the act of "seeing" as vision is formed through light, and through this light, distinguish the size, movement, distance, shape, and color of an object. Isaac Newton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light and color scientifically and objectively and systematically revealed how things had colors, and thus came to view light and color as inseparable substances. Goethe rather examined color from a phenomenal perspective, and he related and described it in a wider range, such as scientific, artistic, and psychological perspectives. His theory, which started with the premise of acknowledging the existence of light and eyes, holds his ground that “color is induced by the reaction between internal light and external light in the human eye, and it evokes unique emotions through vision and influences emotions.” Artists in the 20th century raised the status of color to an expressive subject, gave meaning to color, and praised pure color. Kandinsky also developed his theory, paying attention to the spiritual and symbolic meaning of color in this context. Moreover, Chevreul reveal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lor and color while paying attention to color's visual effect as well as its physical shape. As a result, when we recognize that colors have organic characteristics with the possibility of change and it is not a fixed concept, color can serve as an excellent emotional formative language in plastic arts. In addition, color has an inseparable relation with materials. The coexisting colors and materials have become a subjective and independent existence, beyond its instrumental meaning, especially different from the concept and status of contemporary arts. In plastic arts, materials embody color and maximize the symbolism and meaning of color or give it a new meaning at the same time. Therefore, as the material is the truth that represents the artist's view of the world and emotions, the meaning of it has become more important. Out of the different colors,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blue. Blue is interpre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imes and cultures, and its changing meaning, value, and symbolism are understood within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pigment. In terms of blue color that appeared in the formative arts, blue expresses gloomy and sad emotions in Picasso's Blue Period and it is a color that represents the hard life of alienated and poor people. Yves Klein considered blue as a color derived from the sky and the sea and recognized the infinite space filled with energy embraced by the blue sky as blue monochrome. Kim Whanki, an abstract artist, accepted blue from a different angle than Picasso and perceived it as a clear and transparent blue that came from the communion with nature and an artist's feelings. Moreover, Louise Bourgeois and Suh Do Ho respectively characterized blue as a color that represents an escape from our everyday lives and a color that explains the cultural background of Korea. Since the visual and emotional power of blue is strong, as clearly shown above, it can be explored as a formative language that can convey the artist's emotions and formative aesthetics. It has expanded the boundary of plastic art while removing the division between domains and mixing media and materials in contemporary art, which operates on the principle of breaking down boundaries. The substances, objects, and expressive techniques that have not drawn attention until now are applied on the screen, and in this tre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extiles have been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medium for expressing existential experiences, tactile images, and sensibility and have been presented more actively. Contemporary embroidery also joined this trend and sought ways to transform the form while emphasizing artistic purity and aesthetic value. As a result, various materials, techniques, and manufacturing processes of crafts that have been discriminated against and neglected by mainstream arts have drawn attention as new artistic expression media. In this background, the value of women's handicrafts and textile arts, including embroidery, regarded as inferior arts are being re-evaluated. Particularly, as feminine art such as traditional embroidery and quilting has interacted with soft textile materials to occupy a new position in contemporary art, it has begun to expand the function and meaning of embroidery. This study tried to focus on the formative sensibility that is formed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color and material, particularly by taking an emotional approach through yarn, a fiber material that exudes a warm sensibility and visual and tactile softness. Fiber is a material that has lived with the human race through life and death and is indispensable and important for human beings. Especially, in plastic art, fiber can be a good source of inspiration to draw new forms and rich equivocality because it has variable and contingent elements. The flexible and non-deterministic properties of textiles have broadened the scope of creation because it helps artists to create unpredictable results. To maximize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yarn, the yarn is stacked and expressed in a dummy manner. The dummy is a concept related to temporality, a form made by behaviors destroying tradition and, on the other hand, transforming into a functional form that preserves values to have a meaning. Therefore, the researcher conducted sculpting by combining vivid colors and the unique properties of the yarn while stacking blue yarn, twisting, and embroidering with it with the intent to propose a new formative expression form in the process. In addition, the researcher utilized the physical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yarn to express the vividly emerging uniqueness of the resulting color. Moreover, it was formed with the concept of embroidery encompassing both flat and three-dimensional shapes and sought a new linear expression in the structural space. It aims to present a new perspective and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the domain in the field of modern embroidery, which is establishing new meanings and values through this. 본 논문은 색채와 물질을 결합하고 이를 자수를 통해 조형화한 작품을 이론적·방법론적 측면에서 고찰한 연구로서 조형예술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색채의 개념을 과학·철학·미술사적 측면에서 파악하고, 물질과의 관계성을 논한다. 다음으로 연구 작품에서 주된 색채로 표현되는 청색의 의미를 고찰하여 주관적이고 감성적인 조형 요소로서 청색의 개연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변화하고 확장하는 현대 자수의 개념과 양상을 고찰하며, 이를 통해 연구자의 작품에 나타난 자수의 조형적 특성을 탐구하고 예술적 가치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색채는 물리적 특성을 가진 객관적 실체로 단순하게 정의되거나 이해될 수 없으며, 다양한 관점과 맥락 속에서 이해되는 총체적 존재다. 인간은 빛을 통해서 시각이 형성되어‘본다’라는 행위를 할 수 있고, 이 빛을 통해서 대상의 크기, 움직임, 거리, 형태와 색채를 구분할 수 있다. 아이작 뉴턴은 이러한 빛과 색채의 관계를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방법으로 연구하여 사물이 색채를 갖게 되는 방식을 체계적으로 밝혔고, 빛과 색채를 분리할 수 없는 실체로 보았다. 괴테는 색채를 현상적 측면에서 보았고, 과학·예술·심리적 관점 등 광범위한 범위에서 연관지어 서술하였다. 그의 이론은 빛과 눈의 존재에 대한 인정을 전제로 시작되었는데 “색채는 인간의 눈에서 내부의 빛과 외부의 빛의 반응으로 유발되고, 시각을 매개로 특유의 정서를 불러일으키며 감정에 영향을 미친다.”라고 주장하였다. 20세기의 예술가들은 색채를 표현의 주체로 승격시키며, 그 자체에 의미를 부여하고 순수함을 찬양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칸딘스키는 색채의 정신적이고 상징적인 의미에 주목하며 자신의 이론을 전개하였다. 슈브뢸은 색채의 물리적인 형상과 더불어 시각적인 효과에 주목하여 색채 간의 관계성을 밝혔다. 이처럼 색채가 고정된 개념이 아닌 변화의 가능성을 내포한 유기적인 것임을 인지한다면 조형예술에서 더할 나위 없는 감성적 언어로서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색채는 물질과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 있다. 특히 현대 미술에서 색채와 물질은 개념과 위상이 바뀌어 도구적 의미에서 벗어나 주체적이고 독립적인 존재가 되었다. 조형예술에서 물질은 색채를 구현함과 동시에 색채의 상징성과 의미를 더욱 풍요롭게 확장시키거나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기도 한다. 결국, 물질은 예술가의 세계관과 감정을 대변하는 실체로 그 의미가 더욱 중요해졌다. 본 논문은 색채 가운데 청색에 주목하였다. 청색은 시대와 문화에 따라 다르게 해석되며, 변화하는 의미와 가치, 그 상징성은 안료의 역사적 맥락 안에서 이해된다. 이른바 피카소의 청색 시대(스페인어: Periodo Azul)에 주로 사용된 파란색은 작가 자신의 우울하고 슬픈 감정과 더불어 소외되고 가난 사람들의 고단한 삶을 나타낸다. 이브 클렌의 파란색은 하늘과 바다에서 비롯된 것이며, 에너지가 가득한 무한의 공간인 하늘을 파란색 모노크롬이라고 생각했다. 추상화가 김환기는 피카소와는 다른 각도에서 파란색을 바라보고, 자연과의 교감과 작가의 정서에서 나오는 맑고 투명한 푸르름으로 인지하였다. 그리고 섬유와 파란색을 결합한 루이스 부르주아와 서도호는 각각 일상의 도피를 은유하는 색채와 한국의 문화적 배경을 설명하는 색채로 파란색을 제시한다. 이처럼 파란색이 지니는 시각적이고 감성적인 힘은 강력하기에 예술가의 감성과 조형적 심미성을 전달할 수 있는 조형 언어로서의 가능성을 타진해 볼 수 있다. ‘경계 허물기’로 작동하는 현대 미술은 영역의 구분이 없어지고 매체와 재료가 혼용되면서 그 영역이 확장되었다. 전통적으로 주목받지 못한 물질과 오브제, 표현기법을 받아들였고, 이러한 흐름 속에 섬유의 물성은 실존적 경험과 촉각적인 부드러움, 그리고 감수성을 표현할 수 있는 독자적인 매체로 가치를 인정받았으며 더욱 적극적으로 제시되었다. 현대 자수도 이와 같은 흐름에 합류하였고 예술적 순수성과 미적 가치를 강조하며 형식의 변환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주류 미술에 밀려 차별받고 등한시되었던 공예의 다양한 재료와 기법, 제작 과정들이 새로운 예술적 표현 매체로 주목받게 된 배경 속에서 저급한 미술로 취급받던 여성의 수공예 작업, 자수를 포함한 섬유예술의 가치가 재평가되었다. 특히 전통 자수와 퀼트 등과 같은 ‘여성미술’은 부드러운 섬유 재료와 상호작용하며 현대예술에서 새로운 위치를 차지하며 자수의 기능과 의미를 확장시키게 되었다. 본 논문은 색채와 물질의 상호 작용을 통해 형성되는 조형적 감성에 집중했으며 물질 중에서도 따스한 감성과 시각적·촉각적 부드러움이 근저를 이루는 실이라는 섬유 소재를 통해 감성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섬유는 인간의 생(生)과 사(死)의 순간을 함께한 물질로 인간에게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매체다. 특히 조형예술에서 섬유는 가변적이고 우연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어 새로운 형태와 풍부한 다의성을 끌어낼 수 있는 좋은 영감의 원천이 된다. 유연하고 비결정적 구조를 지닌 섬유의 물성은 예술가가 예측할 수 없는 결과물을 창출하게 하며 창작의 영역을 넓혔다. 실의 물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실을 쌓아 더미의 방식으로 표현하였다. 더미는 시간의 개념이 포함된 개념으로, 형식이 전통 파괴적인 행위로 이루어져 있고 가치들을 보전하는 기능적인 형태로 변모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에 연구자는 청색의 실을 쌓고, 꼬고, 수를 놓으면서, 생동하는 색채와 실의 고유한 물성을 결합하여 조형화하는 과정을 전개하였고 그 과정에서 새로운 조형적 표현 형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실의 물성과 구조적 특성을 활용하여 고유한 결과 색채가 강력하게 대두될 수 있도록 표현하였다. 이와 더불어 평면과 입체를 아우르는 자수의 개념으로 조형화하며, 구조적 공간에서의 새로운 선적 표현을 모색하였다. 이를 통해 새로운 의미와 가치를 정립해 나가는 현대 자수 영역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 그 범위를 확장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 교회 공간을 위한 도자조형 연구 : 창세기의 창조과정을 시각화하여

        고형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75

        Arts have progressed building close relationships with religion. In Christianity, arts maintained an important position as a means of religious expressions. Great musicians expressed their faith with beautiful melodies while representative medieval painters delivered the biblical messages by factual visualization. In the middle ages, churches spread the gospel and conveyed the biblical stories with paintings on the ceilings and stained glasses, sculptures on the outer walls or pillars of the church buildings, which helped people visualize the stories in the Bible for them to have faith and assurance of salvation. Theology of plastic arts in Christian art during the middle ages was unable to progress since the Protestants (Reformed Christian Churches), allowing Martin Luther’s Reformation in 1517, emphasized worship focused only on Words and Sermons while criticizing all forms of arts were considered heresies. As Christian arts went through its transformation Christian churches also made changes in accordance with evolving environments and worship cultures of the recorded history. However, Church art has been unable to cope with such environmental changes. People in the Modern society live in the world of a variety of cultures and, as a result, their cultural desires were heightened. Hence, the contemporary Christian art, freed from traditions, formality and systems, needs to be transformed in harmony with artistic trends of people in the modern era unlike the past Church art, created for evangelical purposes. In addition, Christian churches’ plastic art works must be in harmony with the changing worship environments and faithfully reflect church functions of missions, education, voluntary service, and fellowship. The author has in this paper an objective of creating beautiful ceramic sculptures for the contemporary churches so that they may not only help conveying the biblical messages to people accustomed to the Christian environment but also edifying the church itself. This research paper has the following contents. First, this paper researched the relationship between arts and religion followed by investigation of the positive functions and influence on faith by the church plastic art works. Second, this paper researched how plastic art works made its progress in the churches from the perspectives of western medieval church arts. Third, this paper researched the significance and artificial beauty of modern church space and, then, investigated and analyzed currently existing art works in the representative church space. Fourth, this author surveyed the leaders and saints of the contemporary churches on their views of currently existing art works in the churches. Finally, the author created ceramic plastic art works for the church based on the aforementioned results of the research and survey work. The author made use of the clay as work material, which is a part of God-created nature. The creating procedure of art works in this paper was intended to visualize the creation processes described in the Genesis chapter of the Old Testament with those creatures by God, the one and only God in Christianity, as the main theme. To this end, the author used expression techniques of the contemporary abstract art and the coiling method for free formation changes in constructing the final works. The author also used combination of white clay mixed with paper clay and other mixture of different types of clay. Glaze, pigment added slip were also used for improved completeness of the art works. 과거로부터 예술은 종교와 밀접한 연관을 맺으며 발전해왔다. 기독교에서 예술은 신앙표현의 수단으로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였다. 위대한 음악가들은 아름다운 선율로 자신의 신앙을 표현하였고 중세의 대표적인 화가들은 성경의 메시지를 사실적으로 시각화하여 복음을 전달하였다. 중세의 교회는 성경의 이야기를 교회의 천장화나 스테인드글라스, 건축의 외벽과 기둥에 조각하여 복음을 전파하였고 사람들로 하여금 실제로 경험하지 않은 성경 속 이야기를 믿음으로 받아들이는데 도움을 주었다. 1517년 마틴 루터(Martin Luther)의 종교개혁으로 인해 프로테스탄트 교회(개신교)에서는 아무런 형상 없이 말씀과 설교 중심의 예배가 강조되었고 예술을 우상숭배라 비난하였기 때문에 신학에 있어서 조형예술의 발전을 이루지 못하였다. 기독교에서 예술이 이와 같은 변화과정을 거쳤듯이 교회 역시 각 시대의 환경과 예배 문화에 따라 변화되어 왔다. 하지만 교회에 있어서 조형 예술은 이러한 환경적 변화에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현대사회의 사람들은 다양한 문화를 가진 세상에서 살고 있고 또한 문화적 욕구도 높아졌다. 따라서 과거의 교회 미술이 복음 전파에 의의를 두고 제작되었다면 관습과 제도로부터 자유로워진 현대의 교회 미술 역시 현대인의 예술적 취향에 어울리도록 변화되어야 한다. 또한 현대 교회의 예배환경에 어울리는 조형예술품이어야 하고 교회가 지향하는 선교, 교육, 봉사, 친교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 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자는 오늘날의 현대교회를 위한 아름다운 도자 조형물을 제작하여 기독교적 환경에 익숙한 사람들에게 성경의 메시지를 전달함과 동시에 교회를 더욱 숭고하고 아름답게 만들고자 본 논문을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첫째, 예술과 종교의 관계를 살펴보고 교회의 조형예술이 신앙에 미치는 긍정적 기능과 영향을 연구하였다. 둘째, 교회 안에서 조형예술작품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 서구 중세시대의 기독교미술을 바탕으로 연구하였다. 셋째, 현대 교회공간의 의미와 조형미를 연구하고 실제 교회 공간에 설치되어 있는 예술작품사례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넷째, 오늘날의 현대교회를 섬기는 목회자들과 기독교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교회 안에 설치되어 있는 예술작품의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마지막으로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자연의 일부 인 흙을 재료로 삼아 앞에서 조사한 것들을 바탕으로 하여 교회를 위한 도자 조형 예술작품을 제작 하였다. 본 연구 작품의 조형과정은 기독교의 유일신인 하나님의 창조물을 주제로 하여 구약성경의 창세기에 나타난 창조과정을 시각화였고 제작 방법에 있어서 현대 추상 미술의 표현기법을 사용하였다. 소지는 백색을 띠는 자기소지에 종이를 섞어 만든 페이퍼 클레이와 조합토를 사용하고 안료를 섞은 화장토와 기존의 유약을 사용하여 작품의 완성도를 높였다.

      • 주름을 소재로 한 도자조형연구

        김주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9759

        도자예술에서 소지와 소성, 즉 재료와 기술은 절대적인 요소로 인간이 다루는데 많은 제약과 한계가 있다. 이러한 제한으로 인해 도자예술의 조형방법과 표면장식 기법은 여전히 기존의 방법에 많이 의존하고 있다. 특히 어떠한 제작방법을 사용하더라도 불에 의한 소성 과정을 거쳐야하기 때문에 도자작품은 일정 수준 이상의 두께가 유지되어야 하고 대부분 폐쇄된 공간의 형태로 표현된다. 도자작품은 닫힌 형태로만 존재하며 안을 들여다 볼 수 없어 외관상 보이는 것이 전부이다. 본 논문은 위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기술적 제약으로 인한 도자작품의 폐쇄된 형태의 개방과 표면장식의 다양화를 모색하는 도자예술의 조형화 연구이다. 연구자는 기술적 제약의 해결책으로 주름이 가지고 있는 잠재적 힘에 주목하고 주름을 표현의 소재로 선정하였다. 소재로 선정된 주름의 이론적 배경과 연구자의 작품 제작방법을 설명하여 새로운 도자예술 조형 방법을 연구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본 논문의 구조는 ‘형식’과 ‘내용’으로 나뉘는데 이는 들뢰즈가 주름을 물질의 주름과 영혼의 주름으로 나누는 것과 동일하다.‘형식’의 영역인 물질의 주름은 폐쇄적인 공간의 개방과 유기적인 선의 표현 확대에 관한 도자예술의 조형방법과 표면장식기법에 관한 연구의 논거이며,‘내용’의 영역인 영혼의 주름은 접힘과 펼침을 키워드로 하여 보이지 않는 잠재성과 가능성을 조형화한 연구작품의 주제이다. 먼저 연구의 소재로 사용된 주름의 이해를 위해 라이프니츠와 들뢰즈의 주름 이론에 대해 고찰하고 주름의 여러 가지 특징에 대해 서술하였다. 이와 함께 예술작품과 건축물에서 나타난 주름이론의 사례들을 살펴 이론의 이해를 도왔고, 이를 토대로 연구 작품의 이론적 근거를 형성하였다. 라이프니츠와 들뢰즈는 모든 존재는 내적인 힘을 통해 잠재적 가능성을 펼치며 스스로 새로운 특이점을 만들면서 끊임없이 접힘과 펼침을 통해 변화한다는 생명론적 세계관을 제시한다. 이러한 생명론적 세계관은 본 연구의 전개구조와 연계된다. 물질의 주름인 연구 작품 전개는 공간의 개방화와 유기적인 선의 표현확장으로 나누어 진행된다. 우선적으로 개방적 공간에 대한 설명과 연구 작품에서 나타난 공간의 변화과정을 살펴보고 이를 표현한 연구 작품의 진행과정을 서술하였다. 이와 동시에 유기적인 선의 확장에서부터 시작되어 주름(입체화된 선)의 묘사(description)화, 실제(reality)화, 개체(entity)화까지의 주름의 표현방법에 대한 연구 전개과정을 작품을 통해 설명하였다. 또한 주름이 더 이상 표면장식의 도구가 아닌 조형의 주체가 되는 주름의 개체화까지의 과정을 단계별로 분석하고 연구하여 이를 점진적으로 발전시켰다. 더불어 실제 작업을 통해 주름을 조형화시킬 수 있는 주름의 재료와 종류를 실험하여 연구 작품의 표현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개체화된 주름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인 개체화된 주름을 중첩, 집적, 접힘과 펼침으로 결합시키는 방법을 실험하고 이를 주름이 지닌 잠재성과 가능성을 표현한다. 이러한 주름표현양식의 점진적 발전은 형식을 연구하는 물질적인 주름의 표현을 나타낸 것이며 주름이 끊임없이 변화하는 존재라고 이야기하는 생명론적 사유와 연관된다. 들뢰즈는 세계를 실재인 잠재성과 허구인 가능성으로 구분하고, 세계를 잠재성을 현실화시키고 가능성을 실재화시키는 접힘과 펼침의 연속인 주름으로 보았다. 본 연구자에 있어서 영혼의 주름인 작품의 내용은 보이지 않아도 존재하는 잠재성과 가능성이다. 우리의 눈에 보이지 않지만 실재하는 힘을 주름의 잠재성과 연관시키고, 도자작품의 조형화로 현실화시켰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그 동안 도자예술에서 표면장식으로만 사용되던 주름을 독자적 형태로 조형화하였으며, 이러한 개체화된 주름을 이용한 조형화는 도자예술의 mass개념의 닫힌 형태를 volume개념의 열린 형태로 개방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또한 타 재료와 소지의 결합을 이용하여 도자예술의 특징인 소성에 의한 물리적 변화를 통해 자연스러운 형태미를 표현할 수 있었다. 연구자에게 도자예술은 주름의 사유에서 말하는 스스로 생명력을 지니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존재이다. 각각의 작업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자각하여 해결하고 새로운 잠재적 특이점을 만들어 다음 작업으로 넘어가는 생명력 있는 주름인 것이다. 본 연구자에게 도예 작업은 잠재적인 힘을 통해 계속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연속적인 주름이다. In ceramic art, porcelain body and firing property―in other words, material and technique―are absolutely necessary lements, with a number of constraints and limitations for human handling as they are essentially soil and fire. Due to these constraints and limitations, the form of expression and surface decoration technique for ceramic artists are still dependent on conventional methods. Owing to its characteristic of having to undergo a firing process regardless of any production method, the objet of ceramic art must maintain a certain level of thickness and is expressed in the form of closed space. The objet's space exists in the exterior only, with its innards hidden from view. With these problems in mind, this thesis is concerned with how to turn ceramic art into a formative art form by opening up closed spaces and diversifying surface decorations that have become that way due to technical constraints inherent in ceramic art. The author selected "folding" as a medium of expression by taking notice of its power to address the technical constraints. The main objectives of this thesis are to explain why the folding was selected as the means of addressing the problem and what its theoretical derpinnings are, based on the author's own artworks, thereby suggesting ways to transform ceramic art into a form of formative art. Organization of this thesis is divided into "form" and "content," which is analogous to what Deleuze did with the folding that he said is divided into the folding of the matter and the folding of the soul. The folding of the matter, one related to the form, is related to the study of the form of expression in ceramic art involved in opening up of closed spaces and expanding organic line of representation. As for the folding of the soul, one belonging to the sphere of content, it is concerned with the study of making the invisible potential and possibility materialize with furling and unfurling of the soul's folding as the main theme. In order to understand better the concept of folding, which is the main theme of this thesis, the author examined the theories of folding as advocated by Leibniz and Deleuze, with the description of many features of folding. It was followed by instances of folding theories as expressed in artworks and architectural designs to help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ories, which together become a theoretical foundation to begin with the explanation of the author's own artwork. Leibniz and Deleuze proposed a world view that all the living things in the universe are connected with each other in their souls and physical matters, with so many other things not present laying dormant until present out in the world through their own internal force. This kind of vitalism is intimately related with the logic of this study. The description of the folding of the matter is undertaken by dividing it into opening up of spaces and the expansion of organic line of representation. Above all, the explanation on the open space and how the concept of the open space has changed over time are made, with the description on artworks that took advantage of these elements. It was followed by an account of the way foldings are expressed, from the expansion of organic line of representation to the description of foldings (three-dimensional lines), and to turning these into reality and entity, all based on examples from real artworks. In this way, foldings are no longer a tool of surface decoration but the main component of formative art. The whole process of the folding becoming an entity is analyzed for individual stages and evolved steadily, thereby deriving individualized foldings that can be used as a means of expressing formative art. The individualized foldings are then experimented with various ways including overlaying, piling, furling, and unfurling, and then are explored with ways to make what's invisible visible through formative art. The gradual evolution of the folding's expression forms is related with the folding of the matter that is concerned with the study of form, as well as with the philosophy of vitalism that argues foldings are the entity that changes constantly over time. With the potentiality and possibility of existence as keywords, the artwork whose main theme is the folding of the soul made use of individualized foldings derived from the study of the open space of ceramic art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folding into something tangible in its bid to turn itself into a formative art form. Through efforts described so far, the author could make foldings an independent form of art from a simple tool of surface decoration in ceramic art. The formative artwork that takes advantage of the individualized foldings indeed contributed meaningfully to opening up the closed space and turning the concept of mass into the concept of volume. In addition, it brought out the natural beauty through the physical modification through kiln firing, one of the most notable features of ceramic art, by way of combining materials with porcelain body. As far as the author is concerned, ceramic art is something that changes its forms and shapes constantly, just like life forms in the universe. Foldings in one stage of ceramic production can be changed into something else in the next by the intervention of the workman, turning them into an organic form that undergoes a series of transformations indefinitely. To the author, the art of pottery is a sequence of foldings that changes incessantly through the potential force within.

      • 입체선에 의한 자수드로잉 연구

        차수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9759

        본 논문은 입체선(立體線)에 의한 자수드로잉(embroidery drawing)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로서, 그 이론적 배경과 본인의 연구작품 분석을 통해 새로운 형식의 조형표현을 제시하고 예술적 가치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20세기 이후 현대예술의 한 장르로서 독자적으로 발전한 자수와 드로잉의 이론적 배경과 상관성을 분석하여 자수드로잉의 개념을 연구하고, 이를 구성하는 입체선에 의한 조형적 특성을 탐구하였다. 자수드로잉이란 작가의 의도에 따라 변형된 선재를 입체선으로 사용하여 자수기법에 의해 표현하는 드로잉이다. 입체선은 다양한 실의 변형과 재료의 혼합에 의해 굵기, 색상, 질감 등의 요소가 다변하는 물질적인 선으로서, 가늘고 긴 모든 선재 형태의 입체적인 선을 의미한다. 자수조형에서 각기 다른 꼬임과 굵기 변화에 따른 실의 변형에서 비롯된 입체선은 작가의 의도에 따라 창의적으로 만들어지는 결과물이며 선의 변형이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업적으로 생산되는 실이나 줄과 같은 일반적인 선재와는 구별되는 개념이다. 자수와 드로잉은 인간의 내면과 정신세계를 표현하는 행위라는 공통 범주에 있다. 이런 의미에서 서로 다른 장르의 융합으로서 자수드로잉은 작가의 의도를 예술로 변환하는 표현 형식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주요하게 다뤄질 부분은 이러한 자수드로잉의 개념과 조형적 특성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자수드로잉의 이론적 배경과 미술사에 나타난 여러 표현 양상을 고찰하고 이를 연구작품으로 제작하여 분석하는 방식으로 전개하였다. 본 연구자는 자수드로잉에서 표현되는 입체선의 개념을 논하기 위하여 모더니즘 이후 평면으로부터 해방된 선의 확장된 개념에 주목하였다. 이는 20세기 초 꼴라주를 시작으로 시도된 것으로 일루전(illusion)에 의한 입체감이 아닌 종이나 실과 같이 실재하는 물질적인 선을 제기하였다. 이러한 선의 개념은 화면의 확장을 가져왔으며, 이는 현대미술뿐 만 아니라 공예의 오브제화에 의해 섬유예술에서도 발견된다. 본 연구에 의하면 자수와 드로잉은 공예와 회화로 분류되지만 20세기 현대예술의 다각적이고 개념적인 새로운 표현을 향한 흐름에서 그 맥을 같이한다. 따라서 두 장르가 결합을 이루게 되는 상관성으로서 현대드로잉의 탈장르화와 현대자수의 입체조형성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먼저 현대드로잉(contemporary drawing)은 독립된 표현장르로서 다른 매체와 혼성을 이루는 상호의존적인 특성이 있다. 이는 20세기 평면과 입체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매체간의 확장이 이루어지면서 예술가의 주관을 시각화하는 도구로서 드로잉이 부상한 것과 관련이 있다. 한편 1960년 공예의 오브제화 경향에 따라 조형예술로 발전한 현대자수는 섬유예술의 역사와 디자인사의 흐름을 같이 한다. 우리나라 현대자수는 해방 이후 역사적 배경과 한국현대미술의 발전과정에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세계미술의 동향과는 구별되는 특징이 있다. 특히현대자수는 근대 이후 한국 여성의 예술활동과 시대상을 반영하며 변천을 이루었으며, 하나의 독립된 장르로서 자수조형으로 발전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한국의 현대자수를 중점적으로 하여 현대자수의 입체조형성을 고찰한다. 조형적인 측면에서 입체선에 의한 자수드로잉은 크게 입체선에 의한 표면의 확장, 입체선에 의한 행위, 그리고 시간의 축적에 의한 과정성으로 나누어 진다. 자수드로잉의 선은 자수기법에 의해 크게 점의 선화와 선의 면화에 의해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평면 위에 그려져 화면 속에 종속되는 선과 다르게 입체선은 자수기법에 의한 독립된 선의 표현으로 부조 및 공간까지 확대될 수 있다. 자수드로잉에서 수를 놓은 반복적인 행위는 몸과 마음이 일체가 되는 깊은 몰입을 일으켜 자신과 작품이 하나되는 물화(物化)를 이룬다. 이러한 감정이입은 감정을 표출하고 정신의 정화를 통해 치유의 작용을 일으킨다. 마지막으로 자수드로잉은 자수 고유의 기법적 특성에 의해 다른 드로잉 매체보다 시간 단위요소가 길어 시간의 축적과 과정성이 나타난다. 이는 작업 과정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작가의 감정과 의도의 변화가 그대로 반영되는 기록적 특성과 입체선의 중첩에 의해 전후 관계가 발생하게 되어 나타나는 시간의 추이와 축적을 의미한다. 또한 자수드로잉은 자수의 기법적 특성에 의한 시간의 상대성과 주관적인 재해석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특징에서 자수드로잉의 시간성은 불연속적이고 상대적인 것이다. 이러한 입체선에 의한 자수드로잉의 조형적 특성을 바탕으로 본인은 연구작품을 제작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크게 세 단계로 나누어 점진적으로 발전한 연구작품은 화이트헤드와 동양사상에서 비롯된 유기체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한 생성과 소멸의 순환성과 우주에너지를 주제로 표현되었다. 설치형식의 자수드로잉과 압축된 공간에서의 자수드로잉 연구를 통해 자수조형의 확장된 표현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입체 공간적인 표현은 실의 입체성과 자수의 드로잉적인 특성을 중점적으로 극대화시킨 입체선의 굵기변화에 의한 자수드로잉 표현으로 귀결되었다. 본 연구자는 입체선에 의한 자수드로잉 연구를 통해 자수의 미적 표현과 더불어 평면과 입체를 아우르는 확장된 현대드로잉으로서 자수조형의 새로운 표현 형식을 제시하고, 실험적인 형태의 선적 표현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자수조형의 독창적인 표현을 활성화시키고 더 나아가 한국자수의 발전과 현대미술의 새로운 드로잉 표현을 조성하는 데에 기여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uggest the novel means to show the lines of embroidery drawing plastically by expressing in three-dimensional structure. It aims to find the artistic value by study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art and the analysis based on my research works. This thesis examines the concept of embroidery drawing by analys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s and interrelationship between embroidery and drawing. Despite the fact that embroidery sculpture is an independent genre of contemporary art, the lack of awareness of its individual expression and value lead up to examine such deficiency in this thesis. It aims to observe the characteristics of plastic features of three-dimensional lines which comprise the embroidery drawing. Embroidery drawing refers to a drawing by using the embroidery techniques with three-dimensional lines which can be seen as a spatially existing thin-and-long line. The three-dimensional line stands for a string existing in real space through transformation of various threads with mixed materials. The three-dimensional lines, originated from the transformation of threads depending on different twists and variation in thickness in embroidery sculpture arts, are the products made creatively with the artist’s intentions. Therefore it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typical line elements, such as industrial threads, wire or ropes, as a different material which can be transformed into other various ways. Both embroidery and drawing represents the essential expression of idea and minds of human being. It shares the same root in the stream towards the conceptional and experimental expression of the contemporary art in the 20th century. Thus, it seperately analyzes the interrelationship of deconstruction of the contemporary drawing and the dimensional formativeness of the embroidery sculpture which resulted by the combination of two genres. In this sense, embroidery drawing can be considered as means of expression which translates the artist’s intent into artistic gesture and the new form of drawing. First the contemporary drawing, as the independent genre of expression, has the interdependent characteristic which can be mixed with other mediums. This tendency was achieved in the dilation of meaning of lines. The line in the plane broken free from that illusory surface into real space. This movement is also found in soft sculpture of modern fiber art. In fiber art, tread is used not only as an element of construction but also as an independent objects. Hence this dissertation attempts to make the three-dimensional lines as a product applied by embroidery technique. Meanwhile the embroidery sculpture, having been developed as one of the plastic art according to the tendency of the object in craft in 1960, runs together with the history of textile art and design. The Korean modern embroidery was affected by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liberation and Korean Civil War in 1950. Consequently,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Korean modern embroidery has the distinctive features which is different from the usual stream of the global art. Therefore this thesis examines embroidery drawing based on the various materials and embroidery techniques of Korean embroidery. From the plastic aspect, the embroidery drawing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e extension of surface by the three-dimensional line, the gesture by the three-dimensional line, and the procedural trait by the accumulation of time. First, lines of embroidery drawing are made mostly out of the line-work by dots and the plane-work by line as an embroidery techniques. The thickness of three-dimensional line, distinguished from the general lines drawn on a flat surface which belongs to the picture, can be extended to the relievo and the space through the expression of independent lines. Secondly, the repetitive tasks of embroidering in embroidery drawing instigates the deep involvement where the physical and mental body coincide into, then the self and its piece of art become united together. This empathy creates healing actions by the expression and the purification of the spirit. Finally, the embroidery drawing demonstrates the accumulation of time and the procedural trait as it requires comparatively longer hours than other drawing techniques due to its uniqu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embroidery. Generally the impression and intention of the artist tends to develop and change during the process of the work. Such process can be preserved into the work as time advances and records the reiteration of the three-dimensional lines. As a result, the work represents the progress of work and accumulation of time. From this characteristics, embroidery drawing can be regarded as discontinuous and relative. Based on the plastic quality of embroidery drawing by three-dimensional lines, this thesis produced the series of art works and provides its analysis. This piece of research art, seperated into the three-tiered steps and gradually developed, comprises the embroidery drawing and installation with three-dimensional line as the subjective line of artist made. It is expressed from flat surface to spatial space on the theme of the creation and destruction of the energy in the universe through the organic perspective on the world. This could lead to its own creative formativeness of embroidery by the machine and hand embroidery, encompassing the expression of plane-surface and spatial expression without any limitations of space. This thesis attempts to present the new form of expression in embroidery sculpture as the extension of contemporary drawing which deals with the plane and spatial level along with the esthetic of embroidery. Further it seeks for the experimental form of the linear expression through the research into three-dimensional line. As a result, it aims to make the creative expression of embroidery sculpture more vitalize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in the Korean embroidery and establishment of a new expression of drawing in the contemporary art.

      • 입체주의 조형양식을 통한 인체 도자 조형 연구

        오진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59

        인간의 삶에 있어서 가장 뜻 깊은 활동 중의 하나라고 볼 수 있는 것은 문화예술 활동이다. 그 예술의 표현대상으로서 인체는 동서고금을 통하여 인간의 창작의지를 표출시키는 가장 중요한 모티브로 존재해 왔으며 거기에 담겨져 있는 정신적 실체의 표출은 형이상학을 추구하는 예술에 있어서의 궁극적인 목표이기도 하다. 이러한 예술의 표현대상으로서의 인체는 모든 미술 분야, 특히 회화나 조각에서 인체를 소재로 예술작품이 끊임없이 나오고 있으며, 사실적인 인체 표현에서부터 추상적 인체표현에 이르기까지 많은 시도를 통해 변화했다. 특히 20세기 전반의 큰 혁명이었던 입체주의의 인체 표현은 대상에 대한 분해, 형의 왜곡, 다시점(多時点)을 통한 종합적 파악, 그리고 대상의 모든 면을 화면 위에 재조합하고 기하학적 평면으로 환원하여 면의 분할을 함으로서 인체 표현에 있어 과거의 사실적인 표현과는 또 다른 미술의 관점과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인체 표현에 있어 과거의 사실적인 표현보다는 대상을 분석하여 재조립함으로서 인체를 표현한 20세기 미술사조인 입체주의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자의 주관적인 해석으로 다양하고 생동감 있는 이미지 표현에 중점을 두어, 흙의 표현과 물성을 살릴 수 있는 도자 조형 예술로 표현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인간과 조형예술과의 관계를 통해 인체를 구상함에 있어 어떤 정신적 의미를 부여하여 진정한 예술대상으로 승화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고, 각 시대의 특징에 따른 예술의 특징과 인체 조형물을 조사하여 소재로서의 인체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알아보았다. 인체 표현의 연구과정으로 입체주의의 개념과 전개 그리고 조형양식에 대한 객관적 설명에 충실하였고 기존 작가들의 작품 사례를 통하여 인체 표현의 다양성과 더불어 독창적 연구가 되도록 하였다. 작품의 조형과정에서는 우리 주위의 다양한 삶 속의 인물들과 그들이 살아가면서 느끼는 희,노,애,락의 다양한 감정들을 다루었으며 이를 이론적인 입체주의 조형양식에 입각하여 본 연구자의 주관적인 심상에 의해 표현하였다. 작품 제작 시 작품의 성격에 따라 균열방지와 성형강도를 높이고자 석기질 점토를 사용하였으며, 성형방법으로는 입체주의 느낌을 살릴 수 있는 판 성형 기법과 부분적으로 코일링 기법을 병행해서 사용하였다. <작품 1, 2, 3, 4, 6, 7, 9, 10>은 초벌 전 작품에 테라시질라타(Terra Sigillata)를 발라주어 회화적인 느낌을 내주었으며, 그 중<작품 3, 4, 7, 10>은 차분한 느낌과 흙의 자연스러운 질감 표현이 강조되도록 초벌 후 산화철과 이산화망간을 물과 섞어 붓으로 바른 후 물 스폰지로 전체적으로 닦아주고 투명유를 얇게 분무 시유하였다. 유약은 흑색, 청색, 붉은색 계열을 사용하여 3차원 공간과 시각적 효과를 표현하려고 노력하였다. 일부 기물에 유약의 발색을 높이기 위하여 화장토를 바르기도 하였다. 소성은 0.3㎥ 전기가마에서 900℃까지 8시간 동안 1차 소성 한 후, 2차 소성은 0.3㎥ 전기가마에서 1250℃를 마침 온도로 10시간 동안 산화염 소성을 하였다. <작품2, 8>은 중화도 유약을 사용하여 0.3㎥ 전기가마에서 1250℃로 1차 소성한 후, 1050℃를 마침온도로 10시간 동안 2차 소성하였다. 작품에 따라 1250℃에서 3차 소성함으로서 작품의 완성도를 높였다. 도자 조형 작품 10점을 제작 한 후 얻은 결론은 입체주의라는 미술 사조를 통해 덩어리로서의 인체 표현이 아닌 흙 판을 가지고 인체를 표현함으로서 공간의 확장, 다시점(多時点)을 통한 시각적인 효과로 인체의 무한한 표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입체주의 조형양식을 적용한 인체 작업을 통해 사물의 구조적 파악과 그 속에 내포된 본질적 원리를 형식 속에 부여할 수 있는 구사력에 대한 경험을 함으로서 막연하고 아무 내용도 없는 추상이 아니라, 형식과 내용의 구조를 갖춘 작업을 전개해 나갈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또한 다른 미술에서도 흥미를 갖는 흙의 자유로운 표현성을 통해 도자예술의 무한한 조형창작의 가능성을 알게 되었다. 이에 인체의 형태를 통해 다양한 시도와 그 조형적 특성을 살린 입체 도자 작업들이 앞으로 많은 발전이 있기를 후진에게 기대해 본다. The ability to create art is one of the most precious gift given to human beings. Ideas and expressions are always sought after to create an original artwork. For this the human body has been an important motif for creative intentions both in the past and present, and also in the west and east. The mental reality embedded in the human figure is metaphysically expressed with an ultimate art objective. In all genres of art, the human body has been a great resource for producing interesting expressions, particularly in painting and sculpture. New expressions continue to be produced and they vary from realistic to abstract interpretations, bringing changes through countless attempts by artists. Cubism, which brought about a revolutionary change in the 20th century, made possible new expressions and conceptions in art. Cubism disassembles, distorts and allows the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understanding of space. All perspective related to a single subject is reconstructed and separated geometrically, and therefore expressions differ from those presented in the past. For this study, ceramic works were made based on cubist art. The human body is expressed in the cubist form based on the diverse art styles of the 20th century. This study is a subjective expression of that. It has moved away from realistic interpretation of the human body and has worked to understand clay as an expressive material. Cubist expressions become more organic and plastic because of the material. For background research cubism was studied in relation to the human body. The different art expressions presented by history has been observed to understand the mental aspects behind artworks. Many expressions using similar conceptions were used as examples for this study. Subjective emotional experiences concerning happiness, pleasure and sadness, and so on have been included in the works. Depending on the effective of the work, different making techniques were used. For discipline and controlled expressions, the slab-building technique was applied, while for more organic expressions, forms were made with the coiling method. In order to produce a cracked image and also for strength, stoneware clay bodies were used. For <Works 1, 2, 3, 4, 6, 7, 9, 10>, terra sigillata was applied before the first firing. This was done to produce a painting effect. After the first firing on <Works 3, 4, 7, 10>, the surface was brushed with iron and manganese oxides. These were completed with a transparent glaze. Overall, glazes of black, blue, red were used for three-dimensional effects. On some pieces, the surface was first treated with engobes for a more vivid color range. The works were fired in a 0.3㎥ electric kiln, to 900℃ (first firing). This took 8 hours. The second glaze firing was also conducted in a 0.3㎥ electric kiln. This reached 1250℃ in 10 hours. The firing was oxidized. <Works 2, 8> were applied with a low-temperature glaze but this was fired firstly at 1250℃, then secondly at 1050℃, and the firing took 10 hours. Some works were fired more than 2 times, depending on the aesthetical effect of the work. The clay pieces for the study were made using slabs and relief-work, without simply using the clay as a mass. Works were approached with a variety of visual effect observed from multitudes of angles. Cubist expressions and styles were incorporated, simultaneously as working with the human body as the main subject matter. The attempt produced infinite possibilities. The forms are constructive and not simply abstract. Furthermore, clay proved to give abundance of expressions and ideas as it is a flexible material. Through this study, more works based on different art expressions prove to be possible in clay. It hopes to contribute to future works based on similar subjects.

      • 우연과 추상의 알고리즘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이준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43

        본 논문은 근대적인 추상 회화에서 예술가의 정신성을 강조하는 형이상학적 미학을 거슬러, 기계적인 알고리즘에 의해 완성되는 기하학적 추상 회화의 뜻하지 않은 조형미와 그 예술적 의의에 대해 논한다. 역사적으로, 추상 회화의 대표적인 창시자 칸딘스키가 주창한 추상 이론은 '회화에 있어서의 정신적인 것에 관한' 것이었으며, 실제적인 대상의 구속에서 벗어난 예술가의 조형적 자유와 즉흥성을 예찬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한편 기하 추상 회화의 선구자 중 한 명인 몬드리안은 직선, 직각, 삼원색의 원초적 조형 요소로 환원되는 최소한의 형과 색으로 회화의 순수주의와 유토피아니즘을 추구하였으며, 말레비치가 회화에서 거의 모든 장식적 요소가 사라진 <검은 사각형>이나 <흰색 위의 흰색>을 그릴 때에도 그는 그것이 무한한 절대적 심연을 표현한다는 믿음을 갖고 있었다. 이러한 추상 회화의 형이상학적 계보는 1950년대 미국에 이르러 그 위상을 달리 하는데, 회화에서 언어적, 상징적 의미를 소거하고 그 조형성을 절대시하는 그린버그식 형식주의의 등장이 하나이며, 다른 하나는 회화적 표현이 예술가의 무의식을 드러낸 것이라고 보는 초현실주의적 시각의 보편화였다. 이후 추상 회화는 다양하게 진화하였으나, 크게 나누어 추상 회화를 바라보는 두 가지 접근, 즉 형식주의적이고 미학적인 접근, 또는 내면적이고 철학적인 접근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그러나 이 논문에 실린 본인의 작업들은 이러한 추상 회화의 대표적인 이념들을 부정하고 새로운 예술적 관점을 수립하고자 하는 의도로 만들어졌다. 본인의 작품들이 일차적으로 부정하는 것은 예술가적 주관성이다. 창조성이나 독창성이라고도 불릴 수 있는 이 개념은, 예술가가 작품 전체를 통솔하고 자신의 의도에 걸맞게 그만이 가진 능력에 따라 모든 부분을 구성한다는 믿음이다. 본인의 회화는 예술가의 조형적 의지와도, 내면적 갈등의 표현과도 무관하게 산술적인 알고리즘, 즉 임의의 숫자에 기반한 기계적 절차에 의해서 만들어진다. 먼저 회화의 크기를 정하고, 그에 따른 수리적인 절차를 고안한다. 대강의 가능성은 예측할 수 있지만, 결과적으로 어떤 그림이 될 지는 예상할 수 없다. 그렇다고 자신의 즉흥적인 기분에 의해서 색과 형을 결정하는 것도 아니며, 오로지 수립한 절차에 임의의 숫자를 발생시켜 형태를 정하고, 산업 색상표에서 무작위로 추출한 색상으로 화면을 구성한다. 여기서 예술가는 스스로 만든 질서를 수행하는 수행자에 불과하다. 그 질서란 객관적인 수치에 입각한 단순한 조형적 방법론이고, 그 방법론에 따라 실제 조형을 결정하는 것은 임의의 숫자, 즉 우연성이다. 작가는 모종의 게임을 고안하고 그것을 실행한다고 볼 수도 있는데, 많은 게임이 그러하듯 그 과정에 우연적인 값, 주사위가 동원된다. 예술가는 게임의 규칙을, 주사위의 결정을 따르는 자이다. 질서의 수행 구조는 예술가의 미적 감각이나 주관적인 결정을 개입시킬 틈을 최소화하도록 꽉 짜여져 있다. 즉, 결정하는 것은 예술가가 아니다. 결정자는 우연이고, 예술가는 우연이 작동하는 구조를 고안하는 자이다. 이러한 구조적 결정은 회화적 표면에 간접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서, 실질적으로 어디에 무엇이 그려질 지는 사실상 우연이 결정한다. 또한 본인의 작업은 예술의 형이상학적 의미론에 대항하여 의미 없음을 추구하며, 회화 본연의 개념적인 성격을 강조한다. 혹자는 이를 형식주의라고 부를 지도 모르겠지만, 본인에게 회화적 형식이란 미적 추구 또는 조형적 의지의 반영이 최소화된 표면으로, 한 명의 예술가가 가진 고유의 미학적 성취를 논하는 형식주의 비평과는 그 성격이 다르다. 이는 산술적인 절차가 예술가의 미적 감각에 선행할 뿐더러, 그 작품의 실행보다도 선행하여 눈에 보이지 않는 추상적 질서로 존재한다는 점에서 솔 르윗의 벽화들과도 닮아 있다. 또한 작품에 작용한 우연성은 예술가 외부로부터 주어지는 것으로서 내면의 반영이라고 할 수 없으며, 그 어떤 인간적 가치도 표상하지 않는다. 단지 회화를 지배하는 것은 통제된 확률이 가져오는 무표정한 평형감각일 뿐이다. 그리고 이것이 바로 유토피아니즘에 그 뿌리를 두고 있는 선대의 추상 회화들과 결별하는 지점이다. 제1세대 추상 회화는 예술가들에게 이상적인 세계를 향한 도약으로써 기능했다. 그러나 본인의 작업은 예술의 추상성에서 정신성을 제외시키고, 의미론적인 표상을 거두고, 유토피아니즘에 작별을 고한다. 해석의 여지를 남기지 않는 반-의미를 추구하는 본인의 그림에 의미가 있다면, 그것은 숫자다. 그리고 이러한 무의미에 아무런 형이상학적 가치도 부여하지 않고자 한다. 그러나 ‘의미 없음’이 곧 ‘의도’나 ‘의의’가 없음을 뜻하는 것은 아니며, 역사적으로 있어왔던 추상회화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동시에 우연성의 체계적인 개입을 통해 기존의 추상 회화들과는 차별성을 갖는 ‘알고리즘 회화’가 갖는 의의를 밝힌다. My works in this study aim to establish a new artistic standpoint by opposing the reigning ideologies of abstract painting. Briefly, my works defy artistic subjectivity. This concept of subjectivity, also called creativity or originality, holds that an artist controls all of the work and configures each part of the work with conscious purpose based on the artist's intrinsic ability. My paintings are made according to a numerical algorithm, a sort of mechanical procedure based on random numbers, and this has nothing to do with an artist's expression of interiority. Once a painting's size is decided, a mathematical procedure is designated. Forms and colors are not even decided by my own caprice but by designated procedures, namely, random numbers and random colors from industrial color charts. The artist is merely performer of the order. The artist designs a game and plays it, and like many games, dice, with their contingent numbers, accompany the process. The artist simply follows the rules of the game and the 'decision' of dice. The order's productive system is tight enough to avoid an artist's aesthetic taste or subjective decisions. In short, the decision maker is not the artist. It is chance, and the artist is the one who designs how the stochastic process works. This systemic decision works only indirectly on the painterly surface. My works pursue 'meaninglessness,' as opposed to metaphysical semantics, in art, and stress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 of painting itself. Some might call it Formalism, but in my case, the painterly form is a surface where aesthetic pursuit and willfulness are minimized, so it cannot be the same as the Formalism focused on an artist's own aesthetic achievement. My works resemble Sol LeWitt's wall drawings in that numerical procedure trumps the artist's own aesthetic taste. Moreover, contingency in my works is external to the artist, so it cannot be a mirror of the artist's interiority and does not represent any human value. The only thing that dominates the paintings is an impassive equilibrium from the controlled probability. This is the distinguishing point from previous abstract art rooted in utopianism. The first generation of abstract painters believed their art functioned as a leap to the ideal world. However, my works exclude mentality in abstract art, banish semantic symbols, and bid farewell to utopia. If my paintings quest for anti-meaning had meaning, it would be numbers. I would not grant any metaphysical value to this meaninglessness. Nevertheless, 'meaninglessness' does not necessarily mean 'purposelessness.' This study clarifies the purpose of "Algorithm Paintings" not only as inherited from historical abstract paintings but as distinguished from them by a systemic process of chance.

      • 소재의 중첩을 통한 슬래시(Slash)기법의 조형성 연구

        신경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743

        This paper is a study for self-expression through repeated formative language of regular lines and faces using the slash technique to stack, stitch, and cut overlapped fabrics. The researcher's work involves not only the visual repetition of lines and faces, but also the process originates in the repetitive action.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the slash method, the principle and structure of repetition at the macroscopic level and the meaning of repetitive action are discovered and analyzed from a subjective viewpoint followed by the identification of works created through repetitive processes. Lines, faces, repetitions, and overlapping appear as powerful expression elements in the slash technique. In the researcher's work, lines, planes, repetitions, and overlapping appear as proportions, harmony, rhythm, sense of space, and perspectival characteristics, which play the role of formative language in the composition of the work. Rudolf Arnheim's Gestalt psychology indicates that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powers hidden in the inner side become an essential way of internal expression and can be defined as the characteristics of totality and simplicity. Humans can grasp the tendency of humans to perceive forms as the most stable structur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stalt visual-perceptual theory, and can use basic forms such as balance, arrangement, direction, spacing, and width as guidelines in their works. This study systematically explores the concept of self and examines the meaning of self-expression and repetitive actions with a view to finding the self in the inner side by deriving tranquility, joy, and comfort, which are the fundamental concepts pursued by the researcher, in the state of freedom from all ideas and thoughts with extreme concentration through performative repetitive actions. Contemporary artists understand repetitive actions as a new art expression method and are showing parts of visualizing various aspects of the true self through various art media. In this context, the researcher believes that the positive effect and inner tranquility of human beings can be aroused by making human beings face their self through voluntary repetitive actions based on the unconscious. Through repetitive works, this researcher intends to explore the self in the performance dimension, and in that process, formatively embody the characteristic aspects utiliz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textile medium. To that end, the slash technique was used as a method of making works. The expression method of this technique has important characteristic elements such as the shapes and structures of fabrics, coloration, and arrangement. The shape of the slash emphasizes the formativeness of the lines and plays a decorative role. In the case of structures, three-dimensional and spatial expressions play an important role according to the number of overlapping, and since colors appear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oloration and arrangement method in the slash expression method, the order and method of arranging the fabric become an important element. Using the slash technique, visual and psychological emotions were delivered with lines and faces in various methods and many methods were tried to express the self in the inner side through the work process of repetition and overlapping. Silk organza, which can be expressed in relief as the layered edges are delicately unraveled when slashed, was used as the material of the work. Silk organza, a natural material, is a human-friendly and emotional material, and it was a material suitable for expressing the strength inherent in softness and the inner side of human beings more deeply when it was overlapped. Colors interact with human psychology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certain images and creatively expressing thoughts. To the researcher, achromatic colors can be said to be colors that can effectively express the order of life, tidying up, extremely rational inner self-awareness, and psychological tranquility. When fabrics are overlapped, gradations appear through color arrangement. It will be used to confirm the fact that it is a relational expression of colors and through the relationships as such, not only the image in the inner side will be enhanced but also mental tranquility, psychological differences, and repetitions will be metaphorically expressed. The formative works with different slash directions produced through the process as such express the repeatability, comfort, and stability of the straight lines applied to the slash technique, and the sense of depth is revealed between the trimmed layers of fabrics, and the works express the energy condensed into straight lines developed while being transformed from the traditional slash technique. Depending on the direct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slash, the unique properties of the fabric are revealed and expanded into an infinite space so that a new structure is completed. The power felt from the lines can be said to be an expression of an extended space of free energy, including movement, heat, tension, and a high degree of sense of restraint. The overlapping of achromatic gradations and heavy fabrics between the incised lines, repeated countless times, is an expression of a new sense of space and depth and is a process of amplifying energy. Since the arrangement of translucent fabrics is an important formative element in the slash technique, it can be seen that the works are express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olors of the fabric placed on the top. As an expression method for perspective three-dimensional paintings, repetition is used as a formative element that gives visual unity. The researcher expressed emptiness through the process of cutting out the fabric within the repeated rectangular frames. Achromatic translucent fibers were overlapped into many layers and cut into square shapes thereafter so that the perspective square layers were continuously harmonized with a view to expressing relational communication with the inner side. Using perspective, a sense of space was added to the slashed square shapes, and a visual sense of unity was given using the repetition of colors. The rectangular frames provided diversity through repetition with subtle differences within strict regularity and unity, were used as an element of visual images, and are extending the spectrum of expression methods from partial repetition to the full repetition. The works created through the structurization of translucent materials express the filling by overlapping many layers of fabrics through the process of stacking them layer by layer. New visual images are created while the layered fabrics are fixed. Repeated patterning expressed with fixing is achieved and another dense form is made along the layers. To the researcher, overlapping is not a simple stacking, but a process of filling himself, and an effect to express the unconsciousness inherent in it was obtained. An attempt was made to expre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through stacking, and three-dimensional expressions and techniques were studied to give new changes.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such, structural expression methods into three-dimensional spaces were discovered in the process of imaging the repetition and overlapping of lines and surfaces in various ways using the slash technique, and the possibility to add the depth of fiber formation and the fact that the foregoing methods can be used in works in diverse method were identified. In addition, the possibility of the foregoing methods as a new modern formative language was presented with new exploration and attempt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lashes in textile art have a new formativeness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and enable a wide variety expressions of forms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repetitive actions in the process of producing the researcher's work are a process of inner tranquility and communication and contain the accumulation of performance and time and performance. 본 논문은 중첩된 직물을 쌓아 올려 바느질하고 잘라내는 슬래시기법을 이용해 규칙적인 선과 면의 반복된 조형요소를 통해 자아표현을 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자의 작업은 선과 면의 시각적 반복뿐만 아니라 반복행위에서 비롯된 과정이 함께 내포되어 있다. 슬래시 방법을 도입하는 과정에서 거시적 차원의 반복 원리와 구조 및 반복행위의 의미를 발견하고 이를 주관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반복과정을 통해 이루어진 작품의 속성에 대한 규명으로 이루어졌다. 선, 면, 반복과 중첩은 슬래시 기법에서 주된 표현 요소로 나타난다. 연구자의 작업에서 선, 면, 반복과 중첩은 비례, 조화, 리듬, 공간감, 투시도법적 특성과 연결되며 이는 작품 구성에 있어서 핵심적 조형언어의 역할을 한다. 루돌프 아른하임(Rudolf Arnheim)의 게슈탈트 심리학은 내면에 숨겨진 신체적·심리적 힘이 본질적인 자신의 내적 표현방법이 됨을 전체성과 단순성의 특징으로 정의하고 있다. 인간은 게슈탈트 시·지각 이론의 특성에 의하면 인간이 가장 안정된 구조로 지각하려는 경향을 파악하여 균형, 배열, 방향, 간격, 넓이 등의 기본적인 형식을 작품에서 지침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보았다. 본 연구는 자아의 개념을 체계적으로 탐구하고 자아표현의 의미와 반복적 행위의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연구자가 추구하는 근본적 개념을 수행적 반복행위를 통해 고도로 집중된 무념무상의 상태에서 평온과 희열, 편안함을 도출하여 내면의 자아를 찾고자 하였다. 현대 미술가들은 새로운 예술의 표현방식으로 반복적 행위를 이해하고, 진정한 자아의 다양한 면모를 시각화하는 일환들을 여러 예술 매체를 통해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연구자는 무의식에 기초를 둔 자발적인 반복행위를 자아와 마주하게 함으로써 인간 행위의 긍정적 효과와 내면적인 평온을 일으킬 수 있다고 보았다. 반복 작업을 통해 수행 차원에서 자아를 탐구하고 그 과정에서 섬유 매체의 고유한 특성을 활용하여 그 특징적 면모를 조형적으로 구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작품 제작 방법으로 슬래시기법을 사용하였다. 이 기법의 표현방법은 직물의 형태와 구조, 배색과 배열이 중요한 특징적 요소이다. 슬래시의 형태는 선의 조형성을 강조한 것으로 기하학적인 장식성을 지닌다. 구조는 중첩된 개수에 따라 입체적이며 공간적 표현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슬래시 표현방식에서 배색과 배열방식에 따라 색이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직물 배열의 순서와 방식이 중요한 요소가 된다. 슬래시기법을 사용하여 선과 면을 시각적, 심리적 감정에 대해 다양한 방법으로 전달하고자 반복과 중첩의 작업과정을 통해 내면의 자아를 표현하기 위해 여러 방법을 도입하였다. 작품의 소재는 슬래시 하였을 때 레이어 된 가장자리가 섬세하게 올이 풀려 부조적 느낌이 도드라지는 실크 오간자(oganga)를 사용하였다. 천연소재인 실크 오간자는 인간 친화적이고 감성적인 소재로, 중첩되었을 때 부드러움 속에 내재된 강인함과 인간의 내면을 보다 심층적으로 표현하기에 적합한 소재이다. 색채는 인간의 심리와 상호 작용하며 일정한 이미지를 형성하고 생각을 창조적으로 표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연구자에게 무채색은 삶의 질서, 정리정돈 및 이성적인 내면의 자아 인식과 심리적 평온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색이라 할 수 있다. 직물을 중첩할 때 색 배열을 통해 그라데이션으로 효과를 드러낼 수 있는데 색과 색의 관계적 표현이라는 사실을 확인하고 이러한 관계를 통해 자아와의 소통을 전달하고 차분하면서 이성적인 내면의 이미지를 상승시킬 뿐만 아니라 정신적 평온과 심리적 차이와 반복을 은유적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작된 슬래시 방향에 따른 조형화 작품은 슬래시기법에 적용한 직선의 반복성과 편안함 안정감을 표현하고 겹들의 트리밍된 사이로 깊이감이 드러나며 작품에서는 전통적인 슬래시 기법에서부터 변형, 발전되면서 직선으로 응축된 에너지를 표출한다. 슬래시의 방향과 변형에 따라 직물 고유의 물성이 드러나 무한공간으로 확장 시켜 새로운 조형물이 완성된다. 선에서 느껴지는 힘은 움직임, 열기, 긴장감, 고도의 절제감에 이르기까지 자유로운 에너지의 확장된 공간으로서의 표현이라 할 수 있다. 수없이 반복되어 절개된 선들 사이로 무채색 그라데이션과 직물의 중첩으로 인한 무게감은 새로운 공간과 깊이감의 표현이며 에너지를 증폭시키는 과정이다. 슬래시기법에서 반투명 소재의 직물 배열은 중요한 조형요소가 되기 때문에 가장 위에 올린 직물의 색에 따라 다르게 표현되는 것을 볼 수 있다. 투시도법적 입체화 표현방법으로는 시각적 통일성을 주는 조형요소로 반복을 사용하였다. 반복된 사각형의 프레임 안에서 잘라내는 과정을 통해 비움이 드러나난다. 무채색 반투명 섬유를 이용해 여러 겹으로 중첩한 다음 사각 형태로 잘라 투시도법적 사각 층이 연속적으로 어우러지게 하였으며, 이러한 방식을 통해 내면의 관계적 소통을 표현하였다. 원근법을 이용해 슬래시한 사각 형태에 공간감을 더하고 색의 반복을 통해 시각적 통일감을 주었다. 사각형 프레임은 엄격한 규칙성과 통일성 안에서 미묘한 차이가 있는 반복으로 다양성을 유도하여, 시각적 이미지의 변화요소로 사용하였으며 부분적 반복 방식에서부터 전체의 반복으로 이어져 표현방식의 스펙트럼을 확장시켜 나갔다. 겹(裌)에 의한 구조화로 이루어진 작품은 겹겹이 쌓아 나가는 과정을 통해 여러 겹의 직물들이 겹쳐짐으로써 채움을 표현하였다. 겹겹이 쌓은 직물은 고정되면서 새로운 시각적 이미지를 만든다. 고정을 통해 표현된 반복적 패턴화는 겹을 따라 또 하나의 밀집된 형태를 만들어낸다. 중첩은 단순한 쌓기가 아니라 나를 채워가는 과정으로, 그 안에 내재돼 있는 무의식을 표현하는 효과를 기대하였다. 쌓기를 통해 소재가 가지고 있는 특성을 표현하려 하였으며 입체적인 표현과 기법을 연구하여 새로운 변화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슬래시기법을 사용한 선과 면의 반복과 중첩 작업을 다양한 방식으로 이미지화하는 과정에서 3차원적 공간으로의 구조적 표현방법을 발견하고 섬유의 조형적 깊이를 더 할 수 있는 가능성과 다양한 방법으로 작품에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새로운 탐구와 시도로 현대 조형언어로써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섬유예술에서의 슬래시는 새로운 조형성과 미적 특징을 가지고 재료의 특성뿐만 아니라 형태에서도 매우 다양한 표현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자는 작품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반복적 행위에서 오는 내적 평온을 느꼈으며 작품과의 소통의 과정으로서 수행과 시간의 축적성을 담아내는 것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다양한 슬래시기법의 조형성 연구를 통해 지속적인 발전과 확장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다양한 시각적 표현을 구현하였다. 따라서 슬래시기법의 조형성에서 출발한 본 연구가 새로운 섬유 조형 작업에 발전 계기가 되고, 새로운 조형 예술작업으로의 확장 가능성과 향후 작품의 다변화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그 의의를 둔다.

      • 가변성과 상호관계성의 시각화 연구 : 프로세스 아트를 중심으로

        성시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43

        This study is about researching visualization of formative artwork, utilizing the principle of energy generation. The term ‘process’ can be recognized through the observation of structural and mechanical principle in Theo Jansen <Strandbeeest> moving sculpture series, which shows moving and changing of materials. And the process can be divided into variability and correlation and researches the method of formative work implement with material combining experiment in a visualization study. In prior research, understanding process art concept and analyzing works of process art artists are progressed. Furthermore, after realizing the physical properties variation, the experimental characteristic of process art comprehends into changing process. Since the 1960’s when the process art appeared, formative art characteristic of material has become as importance factor. In this era, experimental characteristic represented, deriving unconventional and unprecedented idea, or displaying new form art. And this can grasp as a concept of substance change, thinking of variability and correlation, exploring how artists express this concept in their works with the process of their art formative experiment. It can be interpreted as a flex, movement and changing process, so add to it, material combination test basing on theory examples of materials used in research works implements. This study is classified into theorical thought and art formative experiment. In aspect of theory, it asserts process art concentrates on process about change of material property, and link to consideration of substance change, which helps to be able to realize the novel expression way and flow of changing art history into experimental characteristic in process art. This art is mentioned along with the term anti-form and indeterminacy as a new form art. It emphasizes the process out of the previous existed art form, so comparatively it has separated formative art form. After understanding the process art concept and story, it shows the variation of shape, focusing on the property of material, so that changes in physical properties can be explained. With the mentioned above, process art is recognized and classified into variability and correlation and considered about these two notions in conjunction. Variability of substance can interpret in terms of superficial change from materials and ingredient, and correlation is awareness of change occurring in the new attempt and, it can analyze with the social background that between 1960s to 1970s physical and dynamical participation is included. Thus, it makes it possible to understand the artists constantly embodied and created new concept and visually how they show the substance change in art formative. And this research allows to explore the change and correlation. Also, 3artists Robert Morris, Richard Serra, Eva hesse who belongs in process art is analyzed with their works. On the works of Robert Morris, his work shows shape change caused by material’s temper such as felt, and Richard Serra attempts to make production process include into range of artwork componence with diverse method like scattering or showing material chemical reaction change. Additionally, Eva Hesse’s works visualizes combination of materials with her idea and create expression of visual activity using materials instability. Following the thinking of process art, it conduces study into visualization experiment for the research of formative work. In this study, to understand meaning of ‘changing process’, it conducts researching the theorical contents of flux and substance creation process basing on the definition about movement. And there are two ways of creation process transition and concrescence. Also, changing process can express into principle of energy generation and continuity. In the theory of magnetic fundamental principle, this theory applies as a reference image to produce researching formative sculpture. Lastly, it proceeds to conduct an experiment for materials, and it describes reaction of materials, comparing with the example of result studied about materials used in this study. In conclusion, the thesis completes with the explanation of researcher’s artwork, describing the materials, technique, and forms. Through this research, 3 results are deduced. First, the term ‘process’ can be grasped with the flex and sustainability. Second, in the material experiment, observing the combined materials, it connects into visualization attempt, and it causes recognizing the formative structure and formative law. Last, substance change can be considered into variability and correlation, and it is studied as an art formative utilizing the principle of energy generation. So, it, is verified that this study is for the interpreting the changing process. It was opportunity to express inner thoughts in sentences, as well as, it will continue to explore what researcher wants to convey, looking forward to the development of expression. 본 연구는 물질 생성의 개념과 힘의 생성 원리를 활용한 조형 작품 시각화 연구이다. 테오 얀센의 <Strandbeest> 시리즈의 조형 작품에서 기계 구조 원리를 관찰하며 ‘과정’에 대한 용어를 인식하였다. 그의 작품의 원리에서 소재의 움직임과 변화를 인지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가변성과 상호관계로 나누어 살펴보고, 조형 작품 구현 방법을 탐구한다. 시각화 연구에서는 소재 결합 실험을 통하여 작품 연구를 진행한다. 선행 연구에서 프로세스 아트(Process Art)의 개념을 고찰하고, 작가들의 작품을 통하여 물질 개념을 이해하고 이로써 물질의 실험성을 변화하는 과정으로 탐구하고자 한다. 프로세스 아트가 출현한 1960년대 이후 예술은 소재의 조형성을 중요시 여겼다고 한다. 이 당시의 예술은 이전에 없는 개념을 파생하거나 새로운 형식의 예술을 보여주어 실험성을 갖추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특징을 가변성과 상호관계성으로 분류하여 물질 변화의 개념으로 해석한다. 이어서 프로세스 아트 작가들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조형 실험 과정을 살펴보고 당시 예술의 특징을 분석하며 가변성과 상호 관계성에 대한 구현 방식을 탐구한다. 조사한 사례에 대하여 유동, 움직임으로 해석하고, 변화하는 과정에 대하여 이해하고, 작품에서 사용한 재료의 반응과 이론 사례를 탐구하며 소재 결합을 시도한다. 본 연구의 내용은 이론적 고찰과 조형 실험으로 나누어진다. 이론적 고찰에서는 미술사의 프로세스 아트에서 논의되는 재료의 속성 변화에 대한 과정을 살펴보며 물질 변화에 대하여 생각해 보고자 한다. 이는 프로세스 아트의 새로운 표현 방법을 인식할 수 있고, 이러한 특징은 프로세스 아트를 실험 정신으로 변화하는 미술의 흐름으로 이해해 볼 수 있게 해준다. 미술사에서 프로세스 아트는 반형태와 비결정성이라는 용어를 기반으로 새로운 예술 형태로 논의된다. 기존 예술의 형식적인 구현 방식에서 벗어나 과정을 중요하게 여기고, 비교적 분리된 양식으로 작품을 구현하는 예술사조로 분석할 수 있었다. 프로세스 아트의 흐름을 이해하고, 재료의 성질에 집중하는 특징을 살펴볼 수 있었으며 형태적 변화에 대한 관찰에서 물성 변화 과정을 해석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프로세스 아트의 특징을 가변적 성격과 상호 관계성으로 인지하고 두 개념을 연결 지어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재료와 소재의 표면적인 변화를 시점으로 물질의 가변성을 이해할 수 있고 상호 관계성은 새로운 시도에서 발생하는 인식 변화로 이해하고자 한다. 이러한 점은 1960년에서 1970년 사이에 진행된 프로세스 아트가 육체적인 역동, 참여 까지도 작품으로 도입하기 시작했다는 배경으로 이해해 볼 수 있었고, 예술가는 상상력과 함께 새로운 개념을 끊임없이 창출하고 구현했음을 인지할 수 있었다. 나아가 시각적으로 어떻게 물질 변화를 조형화하고 있는가에 대하여 분석하고, 이러한 내용은 변화와 관계성을 탐구할 수 있게 해준다. 프로세스 아트의 이론적 고찰에 이어 작품의 조형 연구를 위하여 시각화 실험을 진행하였다. 시각화 실험에서 작품 조형 연구를 위하여 적용되는 개념을 고찰하고자 움직임의 용어 해석을 기반으로 유동과 구체화 과정 물질 생성 과정에 대한 이론 사례를 이해하며 물질 생성은 이행과 합생이라는 두가지 방식으로 분류하며 작품 구현 방법을 탐구하였다. 그리고 작품에서 활용한 기초 자석의 원리에 대한 이론 사례와 관련 이미지를 참조하고, 사용한 소재에 대한 이론을 이해하고 활용 방법을 탐구하며, 물질 변화에 대한 조형 표현 연구로 연결하였다. 다음으로, Ⅳ장에서 연구한 조형 작품과 작품 분석을 하며, 작품의 소재와 기법, 형태에 관한 내용을 서술하며 본 연구를 마친다. 연구에서 탐구 내용을 통하여 세가지 연구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과정’의 용어에 집중하며 진행한 물질에 대한 개념을 유동성과 지속성으로 파악해 볼 수 있었다. 둘째, 소재의 실험에서 소재 혼합 시도와 반응을 관찰하며 개념의 시각화 시도를 하였고, 조형 구성 방식과 법칙을 인식할 수 있었다. 셋째, 이론 연구를 토대로 물질 변화에 대하여 인식할 수 있었으며 이를 가변성과 상호관계성으로 고찰하며 힘의 생성 원리를 활용한 조형 연구를 진행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