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규모기업집단 특성에 따른 조세부담 연구

        정남철 서울시립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2009년부터 2013년의 외부감사 대상 기업 표본에 근거하여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상 대규모기업집단 지정 계열회사의 조세부담이 비지정 일반기업의 조세부담과 상이한지 검토하였다. 또한, 대규모기업집단 지정 계열회사를 그 특성별로 구분하여 각각의 특성에 따른 조세부담의 상이성이 존재하는지 검토하였다. 특히,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대규모기업집단의 각종 특성 중 총수의 존재 여부, 공기업집단 여부 및 상장 여부에 따라 조세부담이 상이한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규모기업집단과 비지정 일반집단 소속회사의 조세부담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대규모기업집단 소속 여부는 소속회사의 조세부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대규모기업집단의 지정이 단순히 공정거래위원회가 정책 목적 달성을 위하여 지정한 인위적, 행정적 수단에 불과하여 조세부담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었음을 의미한다. 대규모기업집단내에서, 총수 있는 대규모기업집단 계열회사의 조세부담은 총수 없는 대규모기업집단 계열회사의 조세부담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 각 집단의 총수 지분율은 소속 계열회사의 조세부담과 유의한 음(-)의 관계를 보였다. 즉, 총수 있는 집단의 경우 정부, 외부 투자자 등 정보이용자에 대한 외적인 정보 효과를 의식하여 조세를 정치적 비용 등의 명목으로 부담하고 있으나, 내적으로는 총수 지분율이 높은 집단일수록 총수의 사적 이익 추구를 위한 조세부담 감소 전략을 추진하는 것으로 보인다. 공기업집단의 조세부담과 민간 영리기업집단의 조세부담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공기업집단 여부는 소속회사의 조세부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한편, 대규모기업집단내 상장 여부는 그 소속회사의 조세부담과 유의한 양의 관계를 나타냈다. 이는 총수 있는 집단이 조세부담 증가를 통한 외부 정보의 제공 수단으로 상장회사를 선택하여 제공하고, 내적으로는 외부 간섭이 적고 통제가 용이한 비상장회사를 이용하여 조세부담 감소를 추구하는 복합적인 세무전략을 추진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대규모기업집단의 상이한 특성에 따른 그 소속 계열회사의 상이한 조세부담을 구분 파악하여, 각 대규모기업집단이 어떠한 조세전략을 추구하는지 검토하였다. 이를 통하여 대규모기업집단의 특성과 행태를 이해하고, 국세청이나 공정거래위원회 등 규제당국에 실효성 있는 정책 목적 달성을 위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더불어, 총수 있는 집단이 상장회사의 조세부담을 통한 외부 정보 효과 제공 동기와는 별개로 내적으로는 통제가 용이한 비상장회사를 통한 조세부담 감소를 추구하는 복합적인 세무전략을 수행함을 밝힌데 그 의의가 있다. 주요어 : 대규모기업집단, 집단특성, 조세부담, 총수, 공기업집단, 상장 여부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 of tax burden between large business groups according to ‘The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and general groups using financial data of companies required for statutory audit between 2009 and 2013. Also,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 of tax burden in large business groups by characteristics. Especially, based on preceding research, I focused on the existence of the head of the company, whether public groups or not, and listed or not. As a resul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tax burden between companies of large business groups and general groups. Also, appointed large business groups had no effect on their tax burden. This means that the designation of large business groups is just an administrative and in artificial manner. In large business groups, tax burden of business groups with the head of the company is higher than that of business groups without the head of the company, but leader share had negative influence on the tax burden of companies. In other words, the companies with the head of the company seemed to bear tax as political expense and be conscious of external information users like investors. But, as their the head of the company shares grow larger, they seemed to seek profit for themselves internally through a tax minimization strategy. Also, the difference of tax burden between public groups and civil groups was not found, and whether public groups or not, it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on the tax burden of companies in large business groups. On the other hand, whether listed or not did not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tax burden of companies in large business groups. This means that groups with the head of the company pursued a complex tax strategy where they selected listed companie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positive external information regarding high tax burden and chose non-listed companies easy to handle for reducing the tax burden internally. This study figured out the different tax burden by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large business groups, in order to find out the tax planning of each group. Hereby, I think this study can guide significant implication to regulation authorities such as the National Tax Service and Fair Trade Commission for effective achievement of policy. In addi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to disclosing the status that groups with the head of the company pursue a complex tax strategy where they provide positive information effect through high tax burden of listed companies and select non listed companies easy to handle for reducing the tax burden internally. <Key words> large business groups, characteristic of groups, tax burden, the head of company, public groups, whether listed or not

      • 합병시 이월결손금 및 대손충당금 한도 초과액 승계에 관한 조세전략 사례 연구

        이호용 서울시립대학교 세무전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11

        지난 2003년 신용카드 부실사태로 인하여 신용카드회사는 거액의 손실발생과 유동성위기에 직면하여 존립이 위태롭게 되었으며, 2004년초 우리신용카드는 우리은행으로, 외환신용카드는 외환은행으로 흡수합병되었다. 두 은행 모두 합병 검토시에는 피합병법인의 이월결손금 승계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상황이었으나, 절세를 위해 우리신용카드는 추가 유상증자를 통해 이월결손금 승계요건을 충족하는 방안(1안)을, 외환신용카드는 대손충당금 손금산입 한도초과액을 발생시켜 이를 승계하는 방안(2안)을 선택하였다. 본 사례연구는 유사한 상황에서 서로 다른 절세방법을 선택한 두 회사의 사례를 효과적인 세무계획의 관점에서 비교․분석하였다. 우리신용카드 사례의 경우 우리금융지주가 우리신용카드와 우리은행의 지분율 100%를 보유하고 있어 ‘계약적 관점’ 및 ‘모든 세금’의 암묵세 관점에서 1안 선택으로 합병비율이 변경되어도 합병비율 변경이 없는 2안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명목세 측면에서는 1안이 2안보다 3,610억원 유리하였다. ‘모든 비용’의 관점에서는 1안이 유상증자 자금에 대한 기회비용이 발생되는 점에서 불리하나 그 효과는 크지 않았다. 따라서 우리신용카드는 보다 더 효과적인 세무계획을 선택한 것이다. 외환신용카드 사례의 경우 외환은행이 외환신용카드의 지분 67%만 보유하여 ‘계약적 관점’과 ‘모든 세금’의 암묵세 관점에서 합병비율이 변경되는 1안이 2안보다 불리하고, 명목세 관점에서는 1안이 2안보다 274억원 유리하였다. ‘모든 비용’의 관점에서 1안은 유상증자 자금의 기회비용이 명목세액 절감액을 초과하며, 추가적인 합병비용 증가를 초래할 수 있었다. 따라서 외환신용카드도 더욱 효과적인 세무계획을 선택한 것이다. 또한 본 사례는 계약적 관점에서 과세당국도 거래당사자 중 하나로 인식해야 하는 필요성을 보여준다. 두 사례에서 이월결손금 승계요건 중 충족하지 못한 지분율 10% 기준은 조세회피방지를 목적으로 제정된 것이나, 본 사례의 합병은 지분율 10%에 미달하지만 조세회피 목적이 아님은 분명하였으므로, 세법 개정을 통해 이월결손금을 승계하였다면 두 법인 모두 보다 더 효과적인 세무계획이 되었을 것이다. Many of Korean credit card companies were threatened with collapse due to their huge debts and deteriorating asset quality in 2003 when a credit bubble burst in Korea. In respond to liquidity problems of a credit card company, some of Korean banks were required to merge troubled credit card companies. As a result of it, Woori Banks merged Woori Credit Card and Korea Exchange Bank merged Korea Exchange Credit Card. In both cases, at the initial phase of merger, two banks was not supposed to enjoy tax benefit stemming from a transfer of net operating losses incurred by two credit card companies as both cases did not meet the conditions stated in the Corporate Income Tax Law, for net operating loss transfer to a merging entity. In order to maximize tax benefit from the merger, Woori Bank and Woori Credit Card chose to increase capital of Woori Credit Card before the merger with a view to meeting a key condition for net operating loss transfer (Option 1) and Korea Exchange Bank and Korea Exchange Credit Card selected to transfer of non-deducted bad debt reserve of Korea Exchange Credit Card, which were on purpose created from the last tax return of Korea Exchange Credit Card (Option 2). This study presents an analysis on two cases which two banks chose a different tax saving strategy in the similar situation and adopts a tax planning approach for that. In case of Woori Credit Card, Woori Financial Holding Company owned 100% share of Woori Bank and Woori Credit Card so that there is no substantial difference, from a contractual perspective as well as an implicit tax perspective of all taxes, between Option 1 entailed a change in the merger ratio and Option 2 brought no change in the merger ratio. From a explicit tax perspective, Option 1 is more favorable by 360 billion Korean Won, whereas Option 1 is slightly less favorable owing to an opportunity cost arising from the increase of capital from an all cost perspective. Consequently, this study concludes that Woori Credit Card was successful in choosing a more favorable tax planning strategy associated with the merger. In case of Korea Exchange Credit Card, Korea Exchange Bank owned 67% share of Korea Exchange Credit Card so that Option 1 subject to a change in merge ratio is less favorable from a contractual perspective and an implicit tax perspective of all taxes. On the other hand, Option 1 is favorable by 27.4 billion Korean Won from a explicit tax perspective. In Option 1, an opportunity cost resulting from an increase of capital exceeded a reduction in explicit tax amount if analyzed from an all cost perspective. Also there would have been an increase of the merge cost if Korea Exchange Bank had chosen Option 1. In this regard, Korea Exchange Credit Card is believed to choose more favorable tax strategy in connection with the merger. Additionally, this case study suggests that a tax authority should be considered as one of participants in transaction. As a matter of fact, the conditions provided in the Corporate Income Tax Law for a transfer of net operation loss of merged entity were creat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tax evasion using a merger of entity with net operating loss. So, it is likely that tax revision to change its conditions for transfer of net operating loss was acceptable as mergers in both cases was not designed to enjoy tax benefit by a transfer of net operating loss. Their tax planning related to mergers would have been more effective if they had been able to utilize net operating losses from two merged credit card companies.

      • 국제 이동성 인력의 주식매수선택권 및 연금소득 과세제도 연구

        박수진 서울시립대학교 세무전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95

        A Study on Tax Issues of Global Mobile of highly skilled workers with Compensatory Stock Options and Pensions The individual income tax system has been regarded as a relatively domestic issue since personal income tax systems are considered closer to sovereignty; personal income tax policies generally reflect the social and political aspirations of the country. As such, personal income tax systems remain more or less localized. When locally-based taxes are applied to a global situation, inconsistencies and gaps are bound to exist, resulting in barriers to the global mobility of highly skilled human capital. Whether a tax rule is ‘good’ or ‘bad’ is generally assessed in accordance with some well-accepted tax criteria such of equity, efficiency, and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Barriers such as increasing undue tax compliance costs and tax payments may occur which can affect the tax equity, tax efficiency and overall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because of the inefficient integration of national tax laws in the contest of cross border situations such as in the case of globally mobile employees. The tax treatment of compensatory stock options in the cross-border context raises many challenging questions with respect to : (a) timing mismatch - the tax policies adopted taxation upon grant, lapse of vesting, exercise, or the ultimate sales of the underlying stock; (b) character mismatch - characterization of the benefits as employment income versus a capital gain; and (c) the territorial source of benefit. For the employee, these may result in double taxation of the same economic income, and there is the risk that the option benefit may not be taxed in any country of any government. Many pension issues relate to mismatches resulting from differences in the general tax policy that states adopt with respect to retirement savings. Tax incentives do exist with respect to pension contributions, however, these tax-favorable pension plans must meet strict conditions set forth in the tax legislation, which was designed for local employees: services performed outside Korea are generally recognized and pension entitlements are not transferable across the border. Foreign pension plans are not recognized for Korean tax purposes. As a consequence, globally mobile employees are unable to benefit from the generous tax subsidies for retirement savings with respect to such foreign pension plans. This paper discusses the cross border tax implications concerning the global mobility of highly skilled workers by analyzing tax treatments in Canada, the United States and Japan to demonstrate the extent of barriers that inevitably exist in the realm of global mobility of human capital. The results show that cross-border tax, the compensatory stock option issues, and pension issues are not only important to the mobile employees, but also to their employers and the government. Policy recommendations which are guided by the principle of efficiency and equity, are made on how such barriers can be removed or reduced This paper suggests specific reform measures that can be unilaterally implemented as well as incorporated into bilateral treaty negotiations in order to minimize undue tax barriers faced by globally mobile employees moving in and out of Korea . First, there exists a special flat tax rate that can be applied for inbound foreign workers currently working domestically, and can be used if a more favourable tax outcome results when compared against the tax outcome under the progressive tax rate system. However, alternatively, it would be a consideration to reintroduce the previous ‘special foreigner deduction’ rate as it seems to be somewhat more effective. In addition, when considering such scale of inbound foreign workers we have working domestically, instead of the special foreigner flat tax rate, an alternative would be to perhaps revise or add to the existing legislation with respect to the foreign engineer exemption (perhaps broadening the scope of criteria/occupational areas) which could ultimately increase the possibility for the application of exemption for foreign workers in Korea. Conversely, for Korean nationals who work overseas who face changes in one’s cultural surroundings, lifestyle patterns, changes in expenditure levels for accompanying dependents etc whilst working overseas, tax legislation that enables the application of certain tax deductions to ensure the resulting taxable income level remains reasonable for such individuals and maintaining the individual’s tax bearing capacity to a reasonable level should be considerations in the formulation of tax legislation/policy. Second, with respect to the taxation of compensatory stock options, the Individual income tax law may be amended by adding a source rule that allocates the source of the benefit arising from compensatory stock options on the basis of the physical place of service performed by the employee during the period of time relevant to the option. Also, to the extent that tax barriers arise from the lack of co-ordination between Korean tax law and foreign tax laws, the best approach to reduce such barriers may be through the process of treaty negotiation in order to foster integration of domestic tax law. Third, with respect to pension plans, specific reform can be unilaterally implemented as well as incorporated into bilateral treaty negotiations in order to minimize undue tax barriers faced by globally mobile employees moving in and out of Korea on the pension issues enabling the principle of tax equity, efficiency and overall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to be achieved. 소득세제는 영토 내 주권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고 국가의 사회 · 정치적인 현안에 의해 중대한 영향을 받게 된다고 보는 경향이 있다. 그 결과 소득세제를 국내적인 문제로만 간주하고 국제적 이동을 하는 고급인력에게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과세제도상 문제점을 간과할 수 있다. 국내적인 상황만을 고려하여 설계된 현행 우리나라의 소득세제는 국외거주 근로자 및 국내거주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차별적인 조세정책 적용 등으로 과세기반의 침식 및 국내 거주 근로자와 국외 거주 근로자간의 조세 형평성을 침해할 수 있다. 국제적 이동을 하는 근로자가 받는 주식매수선택권에 대한 과세는 ①과세시점의 차이(timing mismatch), ②소득구분의 차이(character mismatch), ③원천지 결정기준의 차이(source mismatch) 라는 요인이 단독 또는 결합하여 이중과세가 발생할 수 있다. 국외 거주 기간 중에서도 본국(home country)의 연금제도에 계속적으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용주가 부담하는 연금부담금은 파견국(host country)의 세법에 의해 근로소득으로 과세될 수 있으며, 근로자가 부담하는 연금부담금은 소득공제가 허용되지 않는다. 연금제도에서 운용기간동안 발생하는 수익이 파견국에서 과세되어 연금제도에 부여된 조세혜택이 상실되는 효과가 발생하거나 이중과세(또는 이중면세)가 나타날 수 있다. 세계화의 진전으로 인한 다국적 기업의 등장과 생산 활동의 국제화 추세에 따라 국제적 이동을 하는 고급인력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이들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보상기준이 계속적으로 소개되고 있다. 국내적인 상황만을 고려하여 설계된 현행 우리나라 소득세제로 인하여 납세의무자 본인뿐만 아니라 기업들의 과다한 조세협력 비용 및 조세부담의 증가를 초래하여 조세 공평성을 침해하고, 고급인력의 국제적 이동을 저해하여 조세 효율성을 저해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문제의식을 가지고 본 논문을 집필하게 되었으며, 본 논문에서는 고급인력의 국제적 이동과 관련된 우리나라의 현행 소득세제를 검토하여 주식매수선택권 과세체제와 연금제도 과세체제하에서 발생하는 이중과세(또는 이중면세) 문제점을 알아본다. 그리고 OECD 모델조약과 주요국들의 사례를 통해 다음과 같이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국내 거주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과세특례는 현행 단일세율 분리과세 방법 대신에 과거 외국인 소득공제 방법을 재도입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해외 우수 인력의 유입을 고려한다면 단일세율 분리과세 방법이 아닌 현행 외국인기술자에 대한 소득세의 감면규정을 보완하여 해외 우수 인력의 적용 범위를 확대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국외에 근로를 제공하는 근로자에 대해서는 해외 근무라는 특수한 상황을 고려하여 담세력에 영향을 미치는 주관적인 요인을 과세소득에 반영할 수 있도록 소득공제 방법을 도입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주식매수선택권으로 발생하는 이중과세 경감을 위하여 소득세법상 주식매수선택권 과세제도 규정 도입과 조세조약 개정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국가 간 연금제도에 대한 조세조약 상 규정 반영 및 소득세제의 개정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고급인력의 국제적 이동으로 인하여 근로자가 직면하게 될 수 있는 과도한 조세부담 및 조세협력 비용을 경감할 수 있다면 국내 내국인 근로자와의 비교했을 때 유사한 담세력에 대응되는 조세부담으로 근로자간의 조세공평성을 실현할 수 있으며, 나아가 고급인력의 국제적 이동에 걸림돌이 될 수 있는 과도한 조세비용을 방지함으로써 조세 효율성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 자본거래 관련 증여세 과세제도에 관한 연구

        김정일 서울시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79

        현행 상속세및증여세법은 2003년 12월 30일 세법상 별도의 “증여의 개념”을 창설하여 증여세 과세대상을 포괄적으로 규정하여 확대하였고, 종전에 열거하던 증여의제 규정을 증여재산가액 계산에 관한 예시규정으로 전환하여 국민의 법적 안정성과 예측가능성을 제고하면서 민법상 증여의 형태가 아니더라도 사법상의 형식이 무엇이든 사실상 재산의 무상이전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증여세 과세대상임을 명문으로 규정하여 변칙적인 상속·증여에 대해서는 사전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되었다. 최근 태광그룹의 편법증여 사태가 사회적인 이슈로 떠오른 이후 증여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다시 한 번 커지고 있다. 편법 증여 방법은 나날이 진화하고 있는데, 최근엔 비상장사를 동원한 증여방식이 주류를 이룬다. 일부 기업들이 활용하는 증여 방법은 자녀들을 대주주로 구성한 계열사를 설립하고 창업주의 모기업 지분을 계열사에 증여하는 방식과 또다른 방법은 자녀들을 대주주로 구성한 계열사를 설립하고 계열사에 일감을 몰아주고, 이로써 신설법인이 자금력을 확보하여 기존 법인의 지분을 양수해 기존 법인에 대한 지배력을 확보하는 방식 등이다. 그러나 이러한 사례의 경우 새로운 증여의 개념에 의하여 증여세 과세대상에는 해당하는 것이나 예시규정으로 열거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어느 시점을 기준으로 어떠한 가액을 증여재산가액으로 하여 증여세를 과세할 지가 불분명한 문제가 있다. 앞으로 자본거래관련 조세회피 문제와 이에 대응한 과세관청의 대립은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자본거래를 통하여 증여세를 회피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과 이에 대해 정당한 과세권을 행사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작업일 것으로 판단되어 이 논문을 집필하게 되었다. 이를 위하여 자본거래관련 증여세 과세제도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출발로 하여 현행 과세제도에 대해 살펴보고, 최근 보도자료 등을 통하여 조세회피 사례를 유형별로 분석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현행 자본거래 관련 증여세 과세규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이 요약하였다. 자본거래유형별 과세요건을 통일화하고 일정기간 증여재산을 합산시키는 방법을 통하여 과세유형간 형평성을 제고하고 조세회피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과세대상요건과 증여과세가액 기준이 다른 경우 불합리한 결과가 발생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고 비상장법인의 합병시 1주당 평가액의 기준일을 합병계약일의 재무제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았다. 주권상장법인의 증자시 ‘증권의 발행 및 공시등에 관한 규정’에 의하여 경제정책적 목적으로 할인 발행하는 경우 실궐주 발생시 예외규정을 두고, 제3자배정 유상증자시 평가기준일의 경우 이사회결의일을 기준으로 하여야 함을 제시하였다. 감자시 구체적인 사례를 통하여 이익분여액 계산식의 미비점과 합리적인 과세를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주식 상장에 따른 이익의 증여규정 적용시 매각이 제한된 주식의 경우 과세 이연의 필요성과 정산의 차이로 인한 불평등 문제가 있을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또한 그 밖의 이익의 증여 등 계산시 거래관행상 정당한 사유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충분히 예시하여야 함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최근 조세회피 사례를 통한 현행 과세제도의 개선방안과 관련해서는 비상장사 지분 헐값 증여 후 일감 몰아주기나 유망 신사업 넘기기를 통한 조세회피 행위를 규제하기 위한 명확한 법 규정이 필요하다는 것과 상장기업의 지분을 자녀가 대주주로 있는 계열사에 넘기기를 통한 조세회피 행위도 증여세를 과세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특정법인과의 거래를 통한 이익의 증여 규정에서 자녀가 대주주로 있는 계열사가 결손법인의 대주주인 경우 그 계열사의 대주주인 자녀에게 증여세를 부과하도록 보완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 부실채권 투자기구(Vehicle)의 과세제도 검토 : 비등록유동화거래를 통한 부실채권투자를 중심으로

        김형준 서울시립대학교 세무전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79

        As the non-performing loans ratio of domestic economic banking facilities increased due to effects of global financial crisis triggered by the U.S. sub-prime mortgage crisis in 2008 and real estate economic slowdown in Korea, in the economical situation that the social interest about financial security of banking facilities increased, ABS system as measure to treat non-performing loans of banking facilities efficiently still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However, unlike in the past, the subject using ABS dealing is changing. The banking facilities as asset holdings had important part in the progress of establishing SPC, participating in decision-making, disposition & management of backed basic asset in the past, but recently non-performing loans investor is acting that role. Under the K-IFRS accounting system which is needed to be introduced compulsorily from 2011, the self-ABS publication structure which was used by existing banking facilities is not recognized as true sale, so the banking facilities should sale the non-performing loans as outright sale for sales effect in the books or the uplifting actual financial security as results. In the case of registered asset backed by the ABS Act, considering SPC is pass-through entity company(Conduit) as financing measure, and the fact that it was introduced for the political purpose to deal the non-performing loans of banking facilities when the initial ABS Act was introduced, so tax system which hinders vitalizations of ABS system was improved by resolving double taxation problem after deducting the sum by calculating business income for the year when SPC distributes more than 90 % of the profit available for dividend. On the other hand, if the banking facilities which sales non-performing loans does not guarantee 20 days of minimum time required necessary for the procedure for asset backed based on ABS ACT to fixer by change in user of ABS dealing, the fixer of non-performing loans can't register asset backed by ABS Act so consequently, SPC which was established by the procedure of unregistered asset backed will face with double taxation. That is because of the regulation for the application of dividend-paid deduction when only it is relevant to ABS dealing based on ABS Act in the corporate tax Act. The ABS Act has the characteristics of support act for the securitization transactions. Even though the actuality of non-performing loans investor is same to the securitization transactions in the ABS Act, but the investment was conducted through vehicle based on the law except ABS Act rather than vehicle based on ABS Act, so the disadvantage from tax can be irrational. If the non-performing loans vehicle with the characteristic of paper company is handled in the same with general companies, the taxation problem could be occurred. First, tax burden should be distributed equitably depending on the taxable capacity, the taxpayer is needed to be treated equally for the various tax law concerned so the tax system must be established in order to avoid invasion of principle of neutrality and impartiality between taxation and tax correspond with taxable capacity but the effect of jurisdiction is different by usage of legal system for SPC related to taxation problem of non-performing loans vehicle, so this causes bring difference in taxation can be recognized as undesirable. The application of deduction provision of SPC in the corporate tax act is based on precondition of legal form as ABS Act, so if the non-performing loans investor chooses the unregistered asset backed dealing unavoidably, it will be influenced by tax so the distortion status in resource allocation and competitive order will occur. This is undesirable state in terms of neutrality of tax. Second, the investment risk of the non-performing loans investor who is selected as successful bidder will not reduced or lapsed even though the status was transferred to vehicle. Nevertheless, it will be influenced by whether the earning rate of investor use vehicle for effects of tax, as results, the investors' failure of investment can be very unreasonable. In addition, in terms of ability-to-pay as one of the general principles of tax, the added economic value does not occur, but the additional cost as tax will occur for the vehicle as simple conduit role. Therefore, if the economic facts and legal form does not match, it is desirable to taxation only for investor based on the principle of taxation by the economic reality. Third, the most important discussed issue about taxation problem of SPV is that if the SPV is a corporate formation, then will it be targeted as taxation of corporate tax in the formative term of having corporate veil. This is just simple vehicle as the paper company which exists in the books which is established and managed for the special purpose as the non-performing loans vehicle, and it is about things that what status can be granted for the SOC as legal measure for distinguishing investment assets from the inherent account of investor investment assets. Even if the non-performing loans vehicle has a corporate veil, the actuality is only the conduit for the smooth investment of the non-performing loans investor. Therefore, granting corporate tax to vehicle which is established for the investor when he/she was selected for the fixer of the non-performing loans from the public sales program of the non-performing loans is relevant to the double taxation, so it is desirable. The taxation of company real entity unit about the non-performing loans vehicle should be completed for more efficient taxation in the fairness aspects in order to avoid distortion of competitive system, so the following improvement measure was proposed. First, even if there is not establishment company act about adjustment of double taxation about PFV, but the application will be possible by the requirements of certain condition, so if the non-performing loans vehicle meets certain requirements, then it will apply Article 51, clause 2 of corporate tax act. And, it will be treated each pass-through entity in terms of actuality, and real entity in terms of the formal aspect, and the partnership is possible to measure double taxation perfectly even though it is the corporate types, and the partner of the same line which the loss occurred can deduct with other business income by being distributed for the deficiency, and the partnership taxation of the corporate company in our country that the taxation meets the general results of business is completed is limited in the specialized business(general partnership & limited partnership), so the application scope is suggested to be expended to small scaled stock corporation with weak real entity of corporation. 2008년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의 부실로 촉발된 세계 금융위기의 영향 및 국내의 부동산 경기 침체 등으로 국내 금융기관들의 부실채권 비율이 상승함에 따라 금융기관의 재무건전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재차 쏠리고 있는 경제상황에서, 금융기관들의 부실채권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자산유동화제도는 여전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과거와 달리 자산유동화거래를 이용하는 주체에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과거에는 유동화전문회사를 설립하고, 의사결정에 참여하고, 유동화 기초자산의 처분․관리 등의 과정에 자산보유자인 금융기관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나, 현재는 부실채권 투자자가 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2011년부터 의무적으로 도입해야 하는 K-IFRS 회계제도 하에서는 기존에 금융기관이 이용하여 오던 자체 ABS 발행구조가 진정매각으로 인정되지 않아, 금융기관이 장부상 매각 효과 및 실질적인 재무건전성 제고를 위해서는 부실채권을 완전매각방식으로 대외에 매각하여야 하는데 기인한다. 자산유동화법에 따른 등록유동화의 경우 유동화전문회사가 자금조달수단으로서 도관회사라는 점과 최초 자산유동화법 도입시 금융기관의 부실채권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정책적 목적에 따라 도입된 점을 고려하여 유동화전문회사가 배당가능이익의 100분의 90이상을 배당할 경우 그 금액은 당해 사업연도의 소득금액계산에 있어서 공제하도록 함으로서 이중과세문제를 해결하여 자산유동화제도의 활성화를 저해하는 과세제도를 개선하였다. 반면, 자산유동화거래의 이용주체 변화로 부실채권을 매각하는 금융기관이 부실채권 매수자측에 자산유동화법에 근거한 유동화절차를 진행하는데 필요한 최소 소요기일 20일을 보장하지 않을 경우 부실채권 매수자는 자산유동화법에 따른 등록유동화를 하지 못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비등록유동화 절차에 따라 설립된 유동화전문회사는 이중과세(double taxation)에 직면하게 된다. 이는 법인세법상 자산유동화법에 근거한 자산유동화거래에 해당하여야 배당소득공제를 적용하도록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자산유동화법은 유동화거래를 지원하기 위한 지원법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부실채권 투자자가 여러 가지 제약으로 자산유동화법상 유동화거래와 실질이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자산유동화법에 근거한 투자기구가 아니라 자산유동화법 외의 법에 근거한 투자기구를 통하여 투자를 실행한 결과 조세상의 불이익을 받게 된다면 불합리하다고 할 수 있다. 명목회사의 성격을 지니는 부실채권 투자기구를 일반회사와 동일하게 취급할 경우 과세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첫째, 조세의 부담은 담세력에 따라 공평하게 배분되어야 하며, 각종의 조세법률관계에 있어서 납세당사자들은 평등하게 취급되어야 하기 때문에 담세력에 상응하는 과세와 조세의 공평 내지 중립성의 원칙이 침해되지 않도록 조세제도가 이루어져야 함에도 부실채권 투자기구의 과세문제와 관련하여 SPC로서 어떠한 법적제도가 이용되는가에 의해 사법상의 효과가 다르게 되고, 이로 인하여 과세상의 차이를 가져오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할 수 있다. 법인세법상 자산유동화전문회사의 소득공제 규정 적용은 자산유동화법이라는 법형식을 전제조건으로 하기 때문에 부실채권 투자자가 비등록유동화거래를 부득이하게 선택할 경우 조세부담의 영향을 받게되어 자원배분의 왜곡 현상과 경쟁질서의 왜곡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조세의 중립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상태가 된다. 둘째, 부실채권 투자자가 낙찰자로 선정됨과 동시에 부담하는 투자위험을 투자기구에 지위를 이전하였다 하여 감소하거나 소멸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투자기구에 부과되는 세금의 영향으로 투자자의 수익률이 투자기구를 이용하는지 여부에 따라 영향을 받게 되고, 그 결과 투자자의 투자실패를 초래하는 것은 매우 불합리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세금의 일반적인 원칙 중 하나인 응능부담 측면에서도 추가적인 경제적 부의 창출이 발생하지 않고, 단순 도관체 역할을 하는 투자기구에 세금이라는 추가적인 비용만을 발생케 한다. 이에 경제적 사실과 법적 형식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경제적 실질에 따라 과세한다는 원칙에 의거 투자자에게만 과세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SPV에 대한 과세문제에서 가장 중요하게 논의되는 점은 SPV가 법인형태를 취하는 SPC인 경우에 이를 법인격을 가지고 있다는 형식적인 측면에서 보아 법인세의 과세대상으로 삼을 수 있는가라는 것이다. 이는 부실채권 투자기구라는 특별 목적을 위하여 설립․운영되는 장부상으로만 존재하는 명목회사로서 단순한 투자기구에 불과하며, 투자대상자산을 투자자의 고유계정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세워진 법적 수단인 SPC에 대하여 조세법상 어떠한 지위를 부여할 것인가라는 것이다. 부실채권 투자기구가 비록 법인격을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그 실질은 부실채권투자자가 투자행위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도관체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투자자가 부실채권 공개매각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부실채권 매수자로 선정이 확정되었을 당시 필요에 의하여 설립된 투자기구에 법인세를 부과하는 것은 투자자에게 이중과세에 해당하므로 부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부실채권 투자기구에 대하여 기업실체 단위의 과세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과세가 더 효율적이면서 공평성 관점에서도 경쟁질서를 덜 왜곡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는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우선,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PFV)에 대한 이중과세조정에 대하여 설립 근거법이 없음에도 일정한 요건을 충족하면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는 사실에 비추어 부실채권 투자기구 또한 일정한 요건을 충족할 경우 법인세법 51조의 2를 적용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그리고, 실질적 측면에서는 도관으로, 형식적 측면에서는 실체로 각각 취급하여, 합명․합자회사의 경우 법인형식을 취하더라도 이중과세의 완전조정이 가능하고, 결손이 발생한 동업기업의 동업자가 결손금을 배분받아 다른 사업소득 등과 공제 가능하며, 사업의 전체적 성과에 부합하는 과세가 이루어 지도록 하고 있는 동업기업 과세특례가 우리나라에는 법인기업의 경우 인적회사(합명회사 및 합자회사)에 한정되어 있는데, 법인체의 실체성이 약한 소규모 물적회사까지 적용범위를 확대할 것을 제시하였다.

      • 국제회계기준하의 은행업 대손충당금에 대한 사례분석

        김진영 서울시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자본시장의 급속한 세계화 추세로 인하여 2011년부터 모든 상장금융기관은 의무적으로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을 도입하여야 하며,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도입은 특히 은행업의 대손충당금 회계처리에 크게 영향을 미칠것으로 예상된다. 은행업의 대손충당금 설정방법은 종전 회계기준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의해 예상손실에 의한 대손충당금과 금융감독원이 제시하는 최저비율 중 큰 금액으로 적립하도록 하고 있으나,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서는 발생손실개념에 의하여 대손충당금을 적립하도록 함에 따라 대부분의 은행들은 대손충당금 설정액이 현재 수준보다 상당히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대손충당금의 환입으로 인하여 일시적으로 은행의 법인세 부담이 크게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2010년 8월 기획재정부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도입 첫 해 대손충당금 일시환입액을 2013년까지 과세를 유예한다는 조세특례법안을 제시하여 은행업의 일시적인 법인세 부담을 줄여주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도입으로 인하여 은행의 대손충당금 설정액 변동 내역을 2010년 12월말을 기준으로 주요 은행의 사례를 분석하고, 2011년부터 적용될 대손충당금에 대한 법인세 및 조세특례제한법 규정의 적용으로 과세당국이 제시한 대손충당금의 일시 환입액에 대한 과세유예 방안의 실효성에 대하여 시나리오 분석을 통하여 확인해 보고자 한다. 또한, 우리나라보다 앞서 국제회계기준을 도입한 주요 유럽국가의 대손충당금 설정 규정과 국제회계기준 도입후 달라진 유럽국가의 과세시스템의 변화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현행 우리나라 법인세법상 대손충당금 과세의 한계점과 이를 바탕으로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도입 따른 대손충당금의 적절한 과세방안이 무엇인지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회계기준의 변경으로 인하여 대손충당금의 설정방법이 달라지는 경우 은행의 법인세 부담도 함께 변동하게 되어 은행의 재무건전성이 급격하게 변동되고 재무안정성 및 법인세액에 대한 예측가능성이 낮아짐에 따라 이에 대한 대안으로 동 세무조정을 회계처리기준에 의존적인 결산조정사항이 아닌 회계처리기준에 독립적인 신고조정사항을 허용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주장한다. 아울러, 모든 은행에 대해 일률적인 비율의 대손실적률의 적용하기보다 각 은행의 실질을 고려하고, 종전 회계기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하의 자산건전성 분류기준에 의한 한도 기준을 대체할 동태적 대손충당금 제도의 도입의 필요함을 주장한다. 주제어 : 국제회계기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은행업, 대손충당금, 결산조정, 신고조정, 예상손실, 발생손실, 동태적 대손충당금 The listed banks should fully adopt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as adopted by the Republic of Korea in accordance with globalization of capital market from 2011 and the adoption of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as adopted by the Republic of Korea is expected to have a great impact on allowance for bad debts of the bank accounting and taxation parts. Under the former accounting standards, the banks apply the maximum amount between allowance for bad debts calculated by expected loss model and minimum rate of allowance for bad debts per loan classification provided by the banking regulations but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as adopted by the Republic of Korea established to evaluate as incurred loss model. Accordingly, the most banks expect decrease of alloance for bad debts compared with that of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as adopted by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burden of corporate tax will be highly increased by reversal of allowance for bad debts. Thus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provides the restriction of special taxation act that the taxation on the temporary reversal of allowance for bad debts in accordance with adoption of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as adopted by the Republic of Korea will be suspended by 2013 in August, 2010 in order to reduce the temporary tax burden of the banks. Accordingly, I examined the details of the major banks on the allowance for bad debts as of December 31, 2010 in accordance with adoption of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as adopted by the Republic of Korea and analyzed the cases on effectiveness of taxation suspention for temporary reversal of allowance for bad debts, of which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provided, in accordance with adoption of revised corporate tax law and the restriction of special taxation act that the taxation. I examined the accounting policy on allowance for bad debts for Europe which formerly adopted the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and taxation system since adoption of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And I suggest the adequate alternative on taxation of allowance for bad debts based on current limitation of corporate tax law. Since the adoption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as adopted by the Republic of Korea, taxation burden, financial strength and calculability has been sharply changed as the accouting policy on allowance for bad debts was changed. So I suggest to changed adjustments in settling account as adjustments for taxable income method. Additionally, I suggest to consider the actual situation of the banks rather than adoption of same rate of allowance for bad debts and to adopt the dynamic provisions which will replace the asset classification under former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as adopted by the Republic of Korea. Key words :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as adopted by the Republic of Korea, banking business, allowance for bad debts, adjustments in settling account, adjustments for taxable income method, expected loss model, incurred loss model, dynamic provisions

      • 주식의 포괄적 교환 · 이전에 대한 과세특례효과와 문제점에 관한 硏究

        나세덕 서울시립대학교 세무전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우리나라는 1997년 외환위기 이후 기업구조조정 또는 기업인수 · 합병의 활성화 방안으로 주식의 포괄적 교환 및 이전제도를 2001년 상법개정을 통하여 도입 하였다. 주식의 포괄적 교환 및 이전에 의한 지주회사의 설립 및 전환은 합병, 물적분할 및 현물출자등 기존의 방법과 비교하여 비용 및 절차적인 측면에서 매우 저렴하고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회사의 합병과 동일한 효과를 거둘 수 있으나 경제적 실질의 변동 없이 단지 주주의 구성만 변동됨에도 불구하고 완전자회사 주주들에게 양도소득세 등이 과세되는 문제점이 있어 널리 활용되지 못하였다. 이에 정부는 2010년 세제개편을 통하여 조세특례제한법 제38조 [주식의 포괄적 교환 · 이전에 대한 과세특례]를 신설하여 기업이 실정에 맞는 M&A 유형을 보다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주식의 포괄적 교환 · 이전에 대한 과세특례를 적용할 경우 완전자회사의 주주들은 주식교환 및 이전 시 발생하는 양도소득을 교환 및 이전으로 취득한 완전모회사 주식을 처분할 때 까지 과세이연을 받게 됨에 따라 그 동안 문제점으로 제기된 부분을 해소할 수가 있다. 일정한 특례요건을 충족하여야 주식의 포괄적 교환 · 이전에 대한 과세특례를 받을 수 있으며 과세특례적용 시 예상되는 문제점과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완전자회사의 주주가 과세특례를 적용 받을 경우 완전모회사는 취득하는 완전자회사주식의 시가와 장부가액의 차액을 자산조정계정으로 계상하여야 한다. 이때 자산조정계정 금액을 산정할 때 필수적인 완전자회사주식 시가의 개념이 아직 정립이 되지 않았으며, 완전자회사주식의 장부가액을 산정할 때 완전자회사의 지배주주 및 지분율 1% 이상 주주가 보유한 완전자회사주식의 실지취득가액 정보를 입수해야 함에 따라 실무상 큰 부담이 된다. 또한 자산조정계정의 존재로 인하여 완전모회사는 과세특례적용 전과 비교해볼 때 추가적인 조세부담이 발생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세부담액의 크기가 과세특례적용의 조세혜택보다 클 수 있어 다양한 조직개편방법의 선택을 목적으로 한 과세특례제도 신설의 취지를 저해할 수 있다. 따라서 주식의 포괄적 교환 및 이전에 대한 과세특례 적용할 때 계상하여야 하는 자산조정계정에 대한 추가적인 보완 및 재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과세특례요건 중 주식의 포괄적 교환ㆍ이전일 현재 1년 이상 계속하여 사업을 하던 내국법인 간의 주식의 포괄적 교환 등 일 것을 하나의 요건으로 들고 있으나 주식이전의 경우 완전모회사가 신규로 설립됨에 따라 원천적으로 충족하는 것이 불가능 하며 동 요건의 개정이 필요하다. 셋째, 주식교환 등으로 완전모회사는 완전자회사의 주식 100%를 취득하게 되므로 수입배당금의 이중과세문제는 해소되나 지분율이 하락하는 경우 일반법인에 대한 수입배당금 익금불산입규정을 적용하게 됨에 이중과세가 완전 해소 되지 않으며 주식이전으로 설립되는 완전모회사는 순수지주회사임으로 지주회사의 수입배당금액 익금불산입제도를 적용하는 것이 ‘주식의 포괄적 교환 · 이전에 대한 과세특례제도’의 신설 취지와 부합한다. 따라서 지주회사의 수입배당금액 익금불산입제도를 적용할 수 있는 지주회사의 범위를 확대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Korean government introduced the comprehensive exchange and transfer of equity shares through the amendment of the Commercial Act in 2001 to facilitate the corporate restructuring and M&A in the aftermath of the financial crisis in 1997. Incorporation of and transition to a holding company through comprehensive exchange and transfer of equity shares is very efficient and convenient in terms of cost and procedure when compared to the existing means of merger, physical division and payment in kind while actually achieving effects equivalent to the merger, but it had not been widely made use of due to the demerit of income tax imposed against shareholders of 100% subsidized companies for their transfer of previous shares even though only composition of shareholders are changed without any actual economic change. Therefore, the government made it possible, through the amendment of taxation in 2010, for companies to have more M&A options, among which they can choose the most appropriate option for their own circumstances, by providing the article 38 [the Tax Exemption on the Comprehensive Exchange and Transfer of Equity Shares] in the Act on Tax Exemption and Reduction Control. The previous demerit can be resolved by the application of the tax exemption on the comprehensive exchange and transfer of equity shares because the income tax against shareholders of 100% subsidized companies for their exchange and transfer of equity shares are deferred until they sell their shares in the holding company which they acquired through the exchange and transfer of shares. They are eligible for the tax exemption regarding the comprehensive exchange and transfer of equity shares only if they satisfy certain requirements and the probable issues, that may arise during the course of application of the tax exemption, and the corresponding measures are as follows: Firstly, if the tax exemption is allowed to shareholders of the 100% subsidized company, the 100% holding company should recogni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rket value and the book value of the acquired subsidiary company as an asset adjustment account. However, the definition on the market value of the subsidiary company, which is the essential factor in the calculation of the amount of the asset adjustment account, is not officially determined yet and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out the book value of the shares of the 100% subsidized company because the information on the actual purchase prices of the shares of the subsidiary for the shareholders who owned the controlling ratio and more than 1% of the total shares needs to be found out. In addition, the tax exemption for provision of various options in change of corporate structure can be undermined because additional assumption of tax burden can be larger than the tax benefit from the application of the tax exemption due to the possibility of additional tax burden, compared to the pre-tax exemption circumstances , on the part of the 100% holding company arising from the existence of the asset adjustment account. Therefore, additional correctional measures and re-review on the asset adjustment account shall be necessary for application of the tax exemption for the comprehensive exchange and transfer of equity shares. Secondly, it is required that the comprehensive exchange and transfer of equity shares should take place between 2 domestic companies which have existed for more than 1 year as of the date of exchange and transfer, according to one of the requirements for application of the tax exemption, but it is impossible to satisfy the requirement in case of the transfer of equity shares for which the 100% holding company shall be incorporated rather than previously existing. Therefore, this requirement needs to be amended. Thirdly, the 100% holding company shall be free of double taxation on the dividend income because the company shall acquire 100% of the subsidiary company, but if the share ratio of the holding company decreases, the holding company shall not be subject to non-recognition of dividend income, just like in case of non-holding companies, leading to the issue of double taxation. It shall satisfy the purpose for provision of the tax exemption for the comprehensive exchange and transfer of equity shares to apply the stipulation of non-recognition of dividend income in case of the 100% holding companies that shall be incorporated for the purpose of transfer of equity shares since the holding company is a genuine holding compan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the holding companies that can be subject to the stipulation of non-recognition of dividend income.

      • 고용창출투자세액공제제도 도입이 기업의 유효법인세율에 미치는 영향

        문희수 서울시립대학교 세무전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47

        고용창출투자세액공제제도는 고용증가인원에 대한 세액공제 한도를 통해 기업의 투자촉진과 더불어 고용창출을 유도하고 상대적으로 고용흡수력이 높은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기 위한 제도이다. 하지만 고용창출투자세액공제제도의 실효성에 대한 의견은 서로 엇갈리고 있다. 본 연구는 제도 도입에 따른 세부담의 변화가 상대적으로 높은 기업일수록 고용의사결정의 변화가 발생할 확률이 높을 것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2007년부터 2009년까지의 유가증권상장기업과 코스닥상장기업 중 영업이익을 실현한 제조업을 영위하는 12월 결산법인을 표본기업으로 선정하였고, 기업의 규모와 특성이 유효법인세율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기업규모, 3가지 정의에 따른 자본집약도, 기술력을 독립변수로 하고 기업의 유효법인세율의 변화를 종속변수로 하는 T 검정을 통한 차이분석 및 Pearson 상관계수를 이용한 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방법을 통한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규모와 유효법인세율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2009년에만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만 제도의 도입취지와는 달리 유효법인세율의 증가가 대기업보다 중소기업에서 더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상관관계분석에서도 기업규모와 유효법인세율의 변화는 음(-)의 상관관계를 지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자본집약도 분류에 따른 유효법인세율의 변화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자본집약도 1에 의한 분류에서는 2007년부터 2009년까지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상관관계분석에서도 자본집약도 1과 유효법인세율의 증가와의 상관관계는 양(+)의 값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술력 분류에 의한 유효법인세율의 변화의 차이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상관관계분석의 결과 기술력과 유효법인세율의 변화간의 상관계수가 양(+)의 값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투자세액공제제도 도입에 따른 효과를 살펴보면 기업의 유효법인세율은 기업규모 및 고용인원과 관련한 변수에 의한 영향을 거의 받지 아니하고, 순감가상각대상자산이 총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율과 기술력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다. 또한, 고용의사결정의 주요 요인은 기업이 생산하는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수요 증가라는 점과 고용창출투자세액공제를 적용받기 위해서는 해당년도의 납부세액이 결정되지 않은 시점에서 고용여부를 결정하여야 하는 불확실성이 존재한다는 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한다면 고용창출투자세액공제도입으로 인한 고용창출 및 중소기업 경기활성화 효과는 높지 않을 것이라고 추정된다. 따라서 고용창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직접적인 세제혜택을 부여하는 방법보다는 간접적 조세지원을 통해 기업의 제품 및 서비스 수요 증가에 의한 고용을 유도하도록 하는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 주요검색어 : 임시투자세액공제, 고용창출투자세액공제, 유효법인세율, 기업규모, 자본집약도, 기술력 The employment creation investment tax credit is a system to facilitate corporate investment and induce employment creation by offering tax credit limit for the number of increased employment to strengthen support for the small medium enterprises with relatively employment absorption. However, there are many disputes on its effectiveness. As the enterprise with relatively high tax burden due to introduction of system might have high possibility of change in employment decision, this study sampled a corporation that settles account in December to realize the profit among the securities listed companies and KOSDAQ listed companies between 2007 and 2009. To observe th effect of corporate size and characteristic on the change in effective tax rate, corporate size, capital intensity according to 3 definitions and technology were set as variables while corporate effective tax rate were set as a dependent variables to perform difference analysis by T-test and relation and relationship analysis using Pearson's correlation factor.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variation in corporate size and effective tax rat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2009. However, differently from the initial purpose of system introduction, the increase in effective tax rate showed higher in small medium enterprises than in the large enterprises. In the analysis of correlation, the changes in corporate size and effective tax rate were analyzed to have negative (-) correlation. Second, for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change in effective tax rate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capital intensit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from 2007 to 2009 in the classification of capital intensity 1. Even in correlation analysis, the correlation between capital intensity 1 and effective tax rate was observed to be positive (+). Thir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fference of change in effective tax rate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echnology. And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has positive (+) value of correlation in the change of technology and effective tax rate. Looking into the effect of Investment Tax Credit,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the corporate effective tax rate are rarely affected by the corporate size and the number of employment but by the ratio of net assets subject to depreciation to total assets and technology. Also, considering overall that the key factor for employment decision is the increase of demand for product and service that corporation is providing and that there exists uncertainty to decide whether to employee or not when the tax payable in relevant year is not determined to be eligible for employment creation investment tax credit, it is estimated that the effect of introduction of employment creation investment tax credit on the employment creation and activation of economy will not be high. Therefore, to achieve the objective of employment creation,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a systematical improvement to induce employment by the increase of demand for product and service through indirect tax support rather than granting direct tax benefit.

      • 물적분할과 현물출자에 대한 과세제도의 비교분석

        김윤정 서울시립대학교 세무전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47

        기업의 분권화를 위한 수단으로 물적분할과 현물출자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2009년 법인세법이 개정되기 전까지는 현물출자보다는 물적분할이 조세측면에서 보다 유리하였다. 그러나 기업이 다양한 구조조정수단을 선택할 수 있도록 2009년에 현물출자에 대한 과세특례제도가 개정되었다. 이로 인하여 경제적 효과가 유사한 물적분할에 대한 과세특례제도와 현물출자에 대한 과세특례제도의 조세효과도 거의 동일하게 되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기업구조조정관련 과세제도는 처음 도입할 당시 급박한 국가경제위기를 타개하려는 정책적 목적이 우선시된 결과, 근본적인 과세이론에 대한 충분한 논의를 거치지 못한 채 입법화되었다. 따라서 물적분할제도와 현물출자제도의 운영과정에서 발생하던 과세상 문제점이 많이 부분적으로 개선되었더라도 아직까지 일부 문제점이 발견되는 바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물적분할과 현물출자의 과세특례요건 중 사업기간 5년은 사업성장을 위한 기간이다. 그러나 이는 급변하는 경제환경에 적응하기에는 너무 길어서 구조조정의 걸림돌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분할회사 및 출자법인에 대해서만 사업영위기간을 규제하고 이전되는 사업에 대해서는 아무런 제한을 두지 않고 있어 기업 간의 형평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계속사업기간에 대한 요건은 합병의 규정과 같이 1년 이상으로 하고 이전되는 사업을 1년 이상 계속 영위한 내국법인으로 개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상법의 규정으로 인하여 물적분할의 경우에는 분할시 분할신설법인 주식 100%를 보유하도록 하고 있어 분할 후 유상증자를 통해서 해외자본 등의 제3자의 투자유치를 하고 있어 절차상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해외자본 등의 투자유치를 지원할 필요가 있으므로 경영 지배력 확보차원에서 현물출자의 규정처럼 분할신설법인 주식의 80%만 보유하도록 요건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물적분할과 현물출자로 발생한 자산양도차익은 분할법인 및 출자법인뿐만 아니라 분할신설법인 및 피출자법인단계에서도 과세되는 이중과세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인적분할의 경우와 같이 과세특례요건이 충족하는 물적분할과 현물출자로 인하여 받는 양도가액은 분할등기일과 현물출자일 현재의 분할법인과 출자법인의 순자산 장부가액으로 보아 양도차익이 없는 것으로 할 수 있도록 관련 법인세규정을 개정할 필요가 있다. 넷째, 경제적 실체의 변동여부가 아닌 분할법인의 존속여부에 따라 이월결손금의 승계가능여부가 결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경제적 실체의 변동이 없는 경우에는 분할법인이 존속하더라도 이월결손금승계를 허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현물출자의 경우에도 경제적 실체의 변동이 없는 경우에 이월결손금 승계를 허용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이전되는 자산 및 부채의 세무조정사항의 승계가능여부로 인하여 물적분할이 현물출자보다 조세부담이 더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현물출자의 경우에도 이전되는 자산 및 부채의 세무조정사항승계를 허용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물적분할과 달리 현물출자의 경우에는 100% 자회사를 설립하는 경우에는 부당행위계산부인규정이 적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현물출자의 경우에도 완전자회사를 설립하더라도 부당행위계산부인규정이 적용될 필요가 있다. 일곱째, 세법상 연대납세의무가 상법상 연대책임의 범위보다 넓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연대납세의무의 범위를 상법의 규정과 일치시켜서 연대책임의 범위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 여덟째, 현물출자와 관련된 부가가치세 비과세 문제점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현행 부가가치세법에서는 국제적 기준에 맞추어 사업자의 부담완화 및 납세편의를 제고하기 위해서 사업자단위과세를 허용하고 있으므로 현물출자의 경우에도 물적분할과 같이 사업부문별로 사업양도를 하더라도 부가가치세법상 사업양도로 볼 수 있도록 개정할 필요가 있다. 아홉째, 현물출자와 관련된 농어촌특별세부과에 대한 문제점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방식의 기업 구조조정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현물출자로 이전된 자산의 취득세와 등록세감면분에 대한 농어촌특별세도 물적분할과 같이 비과세할 필요가 있다. As a way of Corporate Division, spin-off or investment in-kind has been frequently used. Prior to 2009, when the corporate tax regulations were amended, spin-off offered more tax benefits than investments in-kind did. However, Korean government made it possible for corporations to have more options for corporate restructuring by releasing amended tax regulations for special tax treatments on investments in-kind. As a result of the amendment, investments in-kind can achieve the same tax effects as spin-off. It is noteworthy, however, that the Korean tax regulations on corporate restructuring were legislated with a strong focus on ways to cope with economic turmoil Korea was facing, without much discussion on theoretical justification for the legislation. Thus, even though there have been improvements in tax issues, there are still areas for improvement in the regulations. First, one of the requirements for special tax treatments on spin-off and investment in-kind is that a divided company and a investing company should be in that business for a minimum of 5 years. However, the 5-year requirement seems to be too long in this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In addition, the 5-year requirement does not apply to a transferred business, resulting in violation of the principle of taxation equity. It is considered to be reasonable to reduce the requirement for the minimum period of transferred business operation from 5 years to 1 year. It would help ensure taxation equity as corporate planning a merger would be qualified for the special tax treatment if it has been in the business for one year. Second, in case of spin-off, Commercial Code mandates corporate to maintain 100% of the newly established enterprise founded as a result of the spin-off. In order to acquire 100% of share, corporate has to promote investment from 3rd parties involving in complicated procedures such as paid-in capital increase from overseas. Considering the fact investment in-kind is subject to 80% of share, not 100%, the requirement for spin-off should be lessened to 80% as well. It would help attract investment from overseas and enhance control. Third, there is a double-taxation issue. Transfer gains from both spin-off and investment in-kind are taxed not only at the divided company and investing company level, but also at the newly established company and the newly invested company. If the regulations changes in a way that no transfer gain is deemed to arise as a result of spin-off or investment in-kind providing that the transaction meets the requirement for special tax treatments. It can be done if the selling price collected from spin-off or investment in-kind is net book value of the surviving company (or investing company) as of date of division registration (or at the date of investment). Fourth, there is an issue involving succession of loss carry-forward. Under the current regulations, succession of loss carry-forward is allowed only if a divided company is extinguished, without considering changes in economic substance. It seems logical to allow succession of loss carry-forward if there is no change in economic substance whether the divided company is extinguished or not. The same can be said in case of investment in-kind. Fifth, as tax consequences can vary depending upon whether it is allowed to take over assets and liabilities, it required changes to the regulations so that corporate adopting investment in-kind is allowed to take over assets and liabilities for tax purposes. Sixth, unlike spin-off, investment in-kind is not subject to the Unfair Transaction Rules in case corporate sets up a 100% subsidiary. As a preventive measure, the Unfair Transaction Rules should be applied even if a 100% subsidiary is set up. Seventh, the scope of joint and several obligations for tax liability under tax regulations is broader than that of under Commercial Code. It is more rational to match the extent the scope of the liabilities under tax regulations and Commercial Code. Eighth, qualifications for VAT exemption on investment in-kind should be reviewed. Under the current VAT regulations, a company or other corporate body with business units or divisions may be able to register each of them separately for VAT. It is recommended that VAT regulations be amended in a way that divisional business transfer using investment in-kind should be deemed as business transfer under VAT regulations, the way business transfer through spin-off is treated as business transfer under VAT regulations. Ninth, it is not appropriate that investment in-kind is subject to Special Tax for Rural Development. In order to encourage various corporate restructuring methods, asset transfers through investment in-kind should be eligible for non-taxable treatment relating to Special Tax for Rural Development on the exempted portion for acquisition & registration tax, as asset transfers through spin-off is exempted for Special Tax for Rural Development.

      • 국제회계기준 도입으로 인한 유형자산 세무회계 개선방안

        이동주 서울시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31

        All listed companies and specific financial institutions are obliged to make the financial statements and make public announcements by applying the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IFRS") from 2011. Adoption of IFRS is expected to affect the Korean tax law structure that calculates income for the current year on the Corporate Income Tax from the current net profit in the financial accounting. This study was focused on tangible assets among improvement schemes of tax accounting by adoption of IFRS. The difference from the current accounting standards by adoption of IFRS and the effects on the Corporate Tax Act were analyzed and then the problems and solutions were presented. For it, by analyzing the application state of IFRS in relation to the evaluation model and depreciation of Korean companies that early adopted the IFRS, the impacts on the tax law were analyzed and the improvements were suggested. From a theoretical perspective, the tax law's taxation system was considered and the problems of positive system which is the present taxation system were mentioned. As solutions to them, there were the preparation of independent tax financial statements, separation of financial accounting and corporate income tax and a conversion from adjustment by reflecting on the books to adjustment on tax reconciliation. Each scheme'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were analyzed. Also, through comparing K-IFRS and K-GAAP for the recognition on the tangible assets, measurement as of recognition, measurement after recognition, and elimination in order,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were identified and the impacts on corporate income tax. Then, the improvement directions of corporate income tax were discussed. As the major improvements, with respect to the difference on the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and elimination of substitute assets, the adoption of deemed depreciation was suggested. In relation to the measurement after recognition, it was proved that keeping the cost model on corporate income tax through the early-adopting company's case study is adequate. The study suggested the scheme that introduces the depreciation by component for the depreciation method and accepts only equipment and machinery by utilizing the tax-incentive policies that support the early collection of invested money in relation to the fixed rate method. It also presented the scheme that reflects the actual useful years through periodic survey of economic factors and segments the very comprehensively-classified present useful years table of corporate income tax. The study proposed the scheme of accepting or rejecting the depreciation expense by group unit or useful year, and the scheme of separation the accounting and taxation in the depreciation system from the long term perspective. 2011년부터 모든 상장사 및 특정금융기관 들은 국제회계기준을 적용하여 재무제표를 작성하고 공시하도록 의무화되었다. 국제회계기준의 도입은 기업회계의 당기순이익으로부터 법인세법상 각 사업연도 소득금액을 산출하는 우리나라의 세법구조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국제회계기준 도입에 따른 법인세법 개선 방안 중에서 유형자산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국제회계기준의 도입으로 인한 현행 회계기준과 차이점 및 법인세법에 미치는 영향 등을 분석하고 그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제회계기준을 조기도입한 국내 기업의 평가모형, 감가상각 등과 관련하여 국제회계기준 적용현황을 조사하여 세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우선 이론적 측면에서 세법의 과세시스템에 대한 고찰이 있었고 현행 과세시스템인 포지티브시스템에서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이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독자적 세무재무제표작성, 기업회계와 세법의 이원화 및 결산조정의 신고조정으로 전환 등이 있었으며 각각 방안에 대하여 장·단점을 파악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유형자산의 인식, 인식시점의 측정, 인식시점 이후의 측정, 그리고 제거 순으로 K-IFRS와 K-GAAP을 비교하여 차이를 파악하고 세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그에 따른 세법의 개선방향을 논의하였다. 주요 개선 방안으로는 대체자산의 인식·제거에 대한 차이는 즉시상각의제규정의 도입을 제시하였고, 인식시점이후의 측정은 조기도입회사의 사례분석을 통하여 세법상 원가모형을 유지하는 것이 타당함을 실증하였다. 감가상각제도는 구성요소별 감가상각제도를 도입하고 정률법은 투자금액의 조기회수를 지원하는 조세유인 정책으로 활용하여 설비 및 기계장치에 대하여만 인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경제적요인 등의 주기적인 조사를 통해 실질적인 내용연수를 반영하고 지나치게 포괄적으로 분류되어 있는 세법의 현행 내용연수표를 세분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감가상각비 시부인을 그룹단위별 또는 내용연수별로 하는 방안과 장기적인 관점에서 감가상각제도를 회계와 세무를 이원화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