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건물구조에 따른 전자파 차폐 및 적합성 해결을 위한 연구

        배진성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719

        최근 정보통신산업 및 전자 기술이 급속하게 발달되어감에 따라 전자기기에서 발생되는 전자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90년대 이후 전자파 노출에 대해 일반인들도 관심을 갖게 되어 세계 각국에서는 전자파에 대한 규준을 마련하여 전자파에 대한 규제를 가하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전자파에 대한 위험성을 자각하여 관련기준을 제정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전자파에 대한 규제 및 연구에 관한 사항이 일반인에게 알려짐에 따라 전자파의 차폐가 목적인 제품들이 다양한 형태로 등장하고 이에 따라 기존의 Shielding Room등에서 한정되어 사용되어 오던 고가의 전자파 차폐 시장이 범용화 되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는 동판, 페인트, 벽지 등이 전자파 차폐를 위해 구조물의 마감 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재료들의 낮은 시공성과 높은 가격 및 짧은 지속성으로 인해 새로운 전자파 차폐재의 개발이 시급한 현실이다. 따라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차폐재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차폐효율이 보다 우수하고 시공성 및 경제성이 우수한 차폐 재료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논문은 건물 외부로부터의 전자파 영향을 건물 안에서 최소화하기 위한 연구과정에 일부분으로써 이러한 외부 전자파를 감소시키기 위해 건물재질에 대한 차폐정도와 이에 따른 건물 내부의 신호에 대한 지연확산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Recently information communication industry and electronic technique are quick and advancement it is turning out to follow and the interest regarding the effect where the electromagnetic waves which occurs from the electromagnetic machines goes mad to the human body is augmented. After 1990's, electromagnetic waves exposure it is generality and it is had an interest and it prepares the regulation against the electromagnetic waves, it inflicts the dangerous characteristic against the electromagnetic waves even from our country and it awakes it establishes a relation standard it move and this it is actively developed the standard against the electromagnetic waves from the world-wide various nations and. The fact regarding a regulation and the research against the electromagnetic waves becomes known to the general person, consequently the electromagnetic shielding products are various. It is limited is used from the Shielding Room back of existing and the electromagnetic shielding is the high price which is come phyey it is a tendency which using generalization. Currently the copper plate, the paint and the wallpaper back the electromagnetic shielding is used with the close material of the structure. As a result, this materials high price and is caused by with short persistence give rise to develovement the 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urgently. So, currently we must develop a electromagnetic shielding that is superiority, construction ability and economic efficiency. This thesis is the portion of a course of my study that the influence of electromagnetic waves of an outer wall of a building can be minimized in that building. And, in order to minimize the influence of electromagnetic waves of an outer wall of a building, how much shielding can be attained according to the natural endowment of the building, and Delay-Spread of internal signal relative to this effect will be shown.

      • WAVE V2X 통신 시스템의 인프라 지원형 혼잡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박진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719

        미래 자동차 기술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s)와 자동차 통신 기술은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대표적인 자동차 통신 프로토콜로는 국제 전기전자 기술자 협회인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에서 정의한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s)가 있다. WAVE 통신은 지난 수년간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고 V2X(Vehicle to Everything) 통신 프로토콜로는 가장 지속적인 발전을 이룩한 기술이다. 하지만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 방식을 채택하는 경쟁 기반 프로토콜이라는 점은 WAVE 통신의 대표적인 단점으로 꼽히고 있다. 자동차 통신의 특수성을 고려했을 때 경쟁 방식의 채널 접속으로 인한 통신 혼잡은 분명한 문제점으로 부각되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WAVE 통신 시스템의 MAC 계층에서 시도하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각 WAVE 통신 디바이스의 MAC 계층에서 혼잡 제어를 시도하는 DCC(Decentralized Congestion Control) 방식은 결국 악조건의 경쟁 상황에서 시스템이 최소한의 통신 요구사항을 보장해주지는 않는다는 분명한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각 노드에서 분산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아닌, 노변 장치가 주변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이용하여 혼잡 관리 서비스를 주변 노드에 제공하는 모델을 통해 기존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인프라 지원형 혼잡 관리 방안에서는 노변 장치가 리소스 관리자의 측면에서 주변 노드들의 상황과 과거 통신 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한다. 리소스 관리자는 통신 채널의 상황을 주시하며 주변 노드 수와 최근 통신 성공률을 통해 혼잡 상황을 감지하고, 혼잡이 발생할 경우 주변 참여 노드에게 혼잡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혼잡 관리 알고리즘의 목적은 두 가지로, 통신 환경이 나쁜 상황에서도 최소한의 통신 요구사항을 보장하는 것과 점진적으로 혼잡 상황을 해결하는 것이다. 리소스 관리자는 이를 위해 주변 노드 리스트 관리, 통신 채널 스위칭, 통신 퍼포먼스 분석 기반 전송 파라미터 조정 등의 혼잡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통신 혼잡 시나리오의 시뮬레이션 검증을 통해 인프라 지원형 혼잡 관리 방안의 성능을 검증한다. 그 결과 300개 노드가 참여하는 혼잡 상황에서 기존 대비 67%의 짧은 시간에 5배 이상의 최종 성공률을 달성하는 등 기존 WAVE 시스템에 비해 혼잡 제어 능력의 비약적인 향상을 이뤄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주로 MAC 계층에서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었던 기존의 WAVE 혼잡 제어 기법과 병행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통신 혼잡 해결 방안이라고 볼 수 있으며 차량에서 다양한 서비스가 동시에 운용되는 차세대 V2X 환경에서 이러한 통합적인 혼잡 관리 체계는 반드시 필요한 시스템 요소가 될 것이다.

      • 衛星通信을 活用한 無線移動 디지털 데이터 네트워크 構築과 應用서비스

        박동환 동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50719

        위성통신은 통신영역의 광역성, 신속한 회선구성능력, 지상망이 갖는 이동제한의 초월, 천재지변이나 물리적 공격등에 대한 내재해성, 전파의 동보성에 의한 동시 전파기능 등 다른 유·무선 통신에 비해 지휘통제를 위한 군 통신수단으로써 최상의 통신 지원방식으로 위성통신의 활용성은 계속 증대되고 있다. 지난 90년도 걸프戰을 통해서 위성통신은 군사적 측면의 전략·전술적 중요성에 대해서 입증되었으며, 미래戰의 다양한 전장환경과 국토의 2/3이상의 산악지형인 우리나라의 여건을 고려할 때 위성통신은 필수적인 통신수단이 될 것으로 판단되며, 위성통신에 대한 군 통신운용에 있어서 다양한 활용방안에 대한 장비의 획득, 관련기술 개발, 운용기술 확보 등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최근 다양한 문화활동, 통신기술 발전, 초고속 정보통신망(B-ISDN) 구축을 위한 Wireless Digital Network를 연구함으로써 현재의 통신 기반하에 차세대 디지털 이동통신의 효과적인 망 운용 및 구축이 필요하였다. 이러한 Wireless Mobile Digital Network 실현을 위해 지상망을 이용한 Network, 공중통신망을 활용한 Network 그리고 통합화된 통신망 구축을 위한 위성과 지상 통신망과의 접속, 로밍을 통하여 한국의 특성을 감안한 미래통신망 구축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따라서, 지상 유·무선 통신망, 위성통신망을 디지털 환경하에서 광케이블·PSTN, PSDN망을 이용한 무선이동 디지털 가입자망, 망 및 서비스의 기능적 통합, 접속 및 교환기술·망관리를 고려한 Network를 구성하여 효과적인 정보통신의 역할 구현을 하는 것이 本 논문의 목적이다. The satellite communication with its broadness of communication ranges, the ability of speedy circuit-formation, transcendency of limited mobility, durability from a natural disaster or a physical assault, and the ability of multi-coincided diffusioness is being more used growingly and is becoming the superior supporting communication form compared to other communications, such as wire, wireless communications by means of commanding a military communication. This satellite communication was confirmed its military-based strategical improtance during the Gulf War from August 1990 of this satellite communication which enabled us to do a real-time communication with a central station in Korea. Recently, in order to build variety cultural actives, communication technical development and high speed information network(B-ISDN),it needs efficient network operation and construction of next generation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based on current communication by researching wireless digital network. In order to realize these wireless mobile digital network, I want to contribute to constructing future network through the network using land network, using air network, access between satellite and network for integrated network building and roaming. Thus, I want to show in this article that efficient information communication's role is constructed by making network considering land wire-wireless network, fiber cable-PSTN under digital circumstance, wireless mobile digital user network using PSDN network, functional integration of network and service, access and changing technic network management.

      • 위성 통신 시스템을 위한 향상된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 연구

        문중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719

        위성 통신 시스템은 지난 수십 년간 사용되어 왔으며, 통신 관점에서 위성 통신 시스템의 개발은 긴 역사를 가지고 있다. 위성 통신시스템은 군사적 목적에서 연구되어 졌으나, 위성통신의 여러 가지 장점으로 인하여 상용 서비스가 시작했다. 이러한 통신 환경의 변화로 고속데이터, 멀티미디어 전송 수요가 증가했다. 또한 IP 기반의 인터넷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위성 통신 체계 구축의 요구와 한정된 위성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이 필요해짐에 따라 관리 및 제어 트래픽의 최적화가 필요하게 되었다. 국외의 경우 각자의 표준을 정의하여 상용 위성 통신 시스템을 구축하고 서비스 하고 있고, SNMP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관리를 하고 있다. 위성 통신 체계에서 사용하는 SNMP는 중복된 OID(Object Identify)와 주기적인 관리 테이터 수집으로 인한 통신 트래픽이 증가된다. 본 논문에서는 위성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 중인 SNMP 최적화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성능 평가를 위하여 테스트 환경과 시나리오를 구성하였으며, 테스트 결과 분석에 있어 객관적인 성능 분석을 위한 메트릭을 설정하여 평가하였다.

      • 초등학교 컴퓨터교육의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김봉희 동국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50719

        본 연구는 초등학교 컴퓨터 교육의 실태 분석 및 개선방안에 대한 내용으로,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컴퓨터 교과의 성격 및 교육 내용을 분석해보면 지식, 원리, 구조의 습득보다 컴퓨터 활용에 의한 응용프로그램을 조작하고 컴퓨터통신을 하는 방법을 익히는 것을 위주로 편제되어 있다. 컴퓨터 교육의 본질은 컴퓨터의 원리를 이해하는 교육이 밑바탕이 되어야 하고, 컴퓨터 활용교육은 컴퓨터 원리를 이해하는 교육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수반되는 보완적 성격의 교육이 되어야 한다. 지금까지의 컴퓨터 교육은 응용프로그램을 잘 다루는 것이 컴퓨터 전체를 배우는 것으로 잘못 인식되어 왔고, 학생들로 하여금 학년이 올라갈수록 컴퓨터에 대해 식상하게 만든다. 초등학교 학생들의 현 컴퓨터 활용능력 정도를 설문조사를 통하여 분석해서 컴퓨터 활용위주의 교육에서 프로그래밍 교육의 필요성과 컴퓨터의 원리교육을 강조하고, 컴퓨터의 기본 개념교육을 바탕으로 한 초등학교 교육과정 재구조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기초개념을 통한 원리학습의 한 방법으로 알고리즘 교육과 프로그래밍 교육으로 초등학교 3학년부터 LOGO 프로그래밍 교육을 시작으로 4학년부터 알고리즘과 배우기 쉽고 다루기 쉬운 비주얼 베이직 프로그램을 배움으로 해서 인터넷이나 응용프로그램을 통한 컴퓨터 활용 중심의 교육에서 벗어나 컴퓨터 자체를 이해하고, 작동원리를 이해하며 간단한 프로그램을 학생 스스로 만들어 오류를 수정해 봄으로써 자신감과 논리적인 사고력, 문제해결력을 가질 수 있는 프로그래밍 교육의 영역을 학습모형으로 제시하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래밍 교육을 통해서 학생들의 논리적인 사고력과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 검증하였다. This research is studying about actual conditions analysis and an improvement way of elementary school computer-aided education. When it is analyzed characters and contents of computer subjects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courses, it is formed more focused on training method of manufacturing application program by computer practical use and using computer communication than acquiring knowledge, principle, structure. The essence of computer-aided education is based on understanding the computer principle and computer practical use education must become complementary education based on understanding computer principle. Computer-aided education had been recognized wrong because learning all about the computer was seen as handling well application program so far, and that makes students sick. Computer practical use, through analyzing and polling present computer practical use ability degree, and presented re-structural devices of a elementary school training courses based on basis concept education of computer. In this study, third-year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start to get LOGO programming education, one way of principle learning through basis concept using algorithm and programming education, and fourth-year students begin to learn algorithm, visual BASIC program, being learned and treated easy so escaping computer practice focused education by Internet or application program and could understand a computer itself, a moving principle and also creating simple program and modifying errors by a student, presented programming education are that could have pride and logical thinking power, problem solution ability and emphasized necessity. And verified whether can improve students' logical thinking power and problem solution ability through programming education.

      • WAVE와 CAN 연동을 위한 OSEK OS기반 Gateway 설계 및 성능평가

        김주영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719

        기존의 다양한 센서, 카메라 등을 기반으로 차량 내부정보가 생성되고, 이런 정보들을 이용하는 안전시스템을 보완하기 위해서 차량의 외부정보를 수집, 이용할 수 있는 차량 외부 통신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런 필요성을 기반으로 미국의 Connected Vehicle, 유럽의 Drive C2X 등의 안전서비스들이 연구되고 있다. 또한 차량과 인프라 간 통신을 이용하여 ETC(Electronic Tolling Collection) 등 다양한 ITS 서비스들이 연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 차량 간, 차량과 노변장치 간 통신의 대표적인 프로토콜인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s)에 대한 표준이 IEEE에서 제정되고 있다. 차량 내부 네트워크 프로토콜 관련해서는 자동차의 편리한 운행을 위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전자장비들이 차량 내부에 도입되었다. 이렇게 도입된 각 장치 및 센서들의 정보를 입력받아 하나의 제어기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배선의 수가 증가하게 되어 차량 내부에서 선로의 배치설계에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연비나 접촉 불량과 같은 자동차 성능의 신뢰성 저하 및 각종 고장을 일으키는 직접적인 원인을 제공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차량 내부의 모든 통신을 단일 네트워크상에서 구동하는 통신 방식이 필요해졌고, 1983년 메르세데스 벤츠의 요구로 보쉬에서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차량 내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 간 또는 전자장치간 다중 접속 통신 프로토콜인 CAN이 개발되었다. 이렇듯 기존의 차량 내부 전자장치들을 연결하기 위한 차량 네트워크에 관련된 연구 또는 차량 외부의 정보를 활용하기 위한 차량 외부 통신에 관련된 연구는 수행되고 있다. 하지만, 차량 OS를 기반으로 차량 간, 차량과 노변장치 간 통신의 대표적인 프로토콜인 WAVE와 차량 내부 네트워크의 대표적인 프로토콜인 CAN과의 연동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WAVE와 CAN을 연동하기 위한 OSEK OS기반의 게이트웨이를 제안한다. 게이트웨이는 통신 계층, 메시지 변환 계층, 메시지 관리 계층으로 구성된다. WAVE 모듈은 IP 또는 WSM(WAVE Short Message) 기반으로 통신하지만 차량 내부 장치들은 그렇지 않기 때문에 게이트웨이 통신 계층에 WAVE 통신부를 설계하여 WAVE 모듈과 통신이 가능하게 하였다. 그리고 CAN 통신부는 CAN 시뮬레이터와 통신하며 차량 내부정보를 수신한다. 메시지 변환 계층은 다른 프로토콜의 메시지 형태로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메시지 관리 계층에서는 수신 메시지 저장, 메시지의 유효성에 대한 오류검사 기능 등을 수행한다. 이를 바탕으로 일반적인 BSM(Basic Safety Message)의 전송, 주행안전정보를 요청하는 RSE(RoadSide Equipment)에 대한 응답 수행, 특정 이벤트 발생 시 센서에서 생성된 주행안전정보를 BSM에 삽입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확인하였고, 세 가지 프로세스 흐름에 대해 처리 시간, 전송 시간을 측정하여 성능을 분석, 검증하였다.

      • 고속 전자기 컴퓨터 해석

        김형훈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박사

        RANK : 250719

        전자파 해석 기법은 안테나 및 마이크로파공학 등의 다양한 분야에 기본이 되는 매우 중요한 분야이다. 특히 전기적으로 큰 문제를 해석하고 설계하는 데는 고속 전자기 해석법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전자기 해석법을 고속화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먼저 미분방정식 해법으로 유한차분 시간영역법 (FDTD: Finite-Difference Time Domain)을 고속화 하기 위한 ADI-FDTD방법의 적용에 관해서 논 하며, 적분방정식 해법을 고속화하기 위해 그린함수 표현법에 관해 논하였다. 먼저 관심주파수의 파장에 비하여 매우 섬세한 구조의 해석에 있어서 기존의 FDTD보다 효율적인 해석이 가능한 ADI-FDTD의 차분방정식 계산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반복 구간에서 계산되는 서로 다른 계산방법을 유도하고 두 개의 상보적인 2차원 문제를 해석하여 경계조건의 적용관점에서 그 특성을 논하였다. 다음으로 무조건 안정의 특징을 갖는 ADI-FDTD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가변 분해능 시간영역 전자파 해석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해석법은 관심 주파수 영역에서 정확도를 유지하면서 분해 시간 간격을 증가시켜 계산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파수 영역(k-domain)에서 웨이블릿 변환 개념을 적용한 그린함수 표현법은 적분 방정식에 활용할 때 전자파 해석의 고속화 계산에 사용할 수 있다. 그 표현식은 기존의 표현에 비해서 매우 간결하기 때문에 전자파 해석의 방사 적분 계산 시간을 줄이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린함수의 이산 웨이블릿 개념을 이용한 수학적인 표현식을 유도하고 그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In this dissertation, several computational methods are studied to accelerate the conventional FDTD and Integral equation algorithms. Fast computational algorithms are very precious tools to investigate the various electromagnetic problems such as antennas and microwave engineerings. First, updating schemes for the alternating-direction implicit finite-difference time-domain method (ADI-FDTD) are studied, which method has the potential to considerably reduce the number of time iterations especially in case where the fine spatial lattice relative to the wavelength is used to resolve fine geometrical features. In numerical simulations for microwave structure using ADI-FDTD, time marching scheme comprises of two sub-iterations. Two different updating equation sets for ADI-FDTD simulations are presented. In order to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schemes especially in view of applying boundary conditions, we solved two complementary 2-D problems. Then, to make the best use of known characteristics of the alternating-direction-implicit finite-difference time-domain (ADI-FDTD) method such as unconditional stability and modeling accuracy, an efficient time domain solution with variable time-step size is proposed. Numerical experiment shows that a time-step size for a given mesh size can be increased preserving a desired numerical accuracy over frequencies of interest. The proposed method can be used to analyze electromagnetic problems with reduced computation time. Finally, a compact representation of Green function is proposed by applying the discrete wavelet concept in the k-domain, which can be used for the acceleration of scattered field calculations in integral equation methods. Since the representation of Green function is very compact in the joint spatio-spectral domain, it can be effectively utilized in the fast computation of radiation integral of electromagnetic problems. A mathematical expression of Green function based on the discrete wavelet concept is derived and its characteristics are discussed

      •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방법을 이용한 유기물질에서의 전자이동도 계산에 대한 연구

        송시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719

        유기발광소자(OLED)와 유기물반도체(OBD) 등과 같은 차세대 전자 소자로서 주목 받고 있는 유기물 기반의 소자는 무기물 기반의 소자와 비교하여 가격 및 제작방법 등에서 다양한 장점을 지니고 있다. 전자소자의 개발에 있어 차세대 성장동력의 한 분야로 꼽히고 있는 유기물을 사용한 소자에 대한 연구는 소자의 동작을 예측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작업이 필수적이지만 유기물을 사용한 소자에 대한 현재의 시뮬레이션 결과는 그 수준이 아직 만족할만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몬테카를로 방법을 사용하여 여러 가지 조건을 고려한 유기물에서의 전자의 이동도를 계산하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시뮬레이션을 위한 기본 조건으로 소자의 길이는 50~ 1500사이트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이웃한 사이트간 거리는 3A 또는 6 A으로 하였다. 소자의 온도는 300K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몬테카를로 방법을 이용하여 하나의 계산 당 50번의 루프를 돌려 계산하였다. 몬테카를로 방법을 통한 유기물에서의 전자 이동도의 계산은 유기물 내의 전자들이 유기물 내에 형성된 트랩을 호핑(hopping)한다는 가정하의 트랩과 트랩간의 천이 확률을 컴퓨터에서 발생시킨 난수를 통해 얻고 이를 통계적으로 처리하여 유기물 내에서 전자의 이동도를 예측한다. 전자의 이동은 파울러-노드하임형 터널 주입이나 구조 결함에 의한 트랩 준위의 전자 주입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고 오직 LUMO 레벨에서의 에너지 상태에 대한 트랩의 분산 정도에 따른 전자의 이동만을 고려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벌크상태의 소자를 소자의 크기 별로 계산하였을 때는 크기와 이동도는 큰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실제 소자가 아닌 순수한 유기물 자체에서의 전자의 움직임을 반영하고 있다. 벌크 상태에서의 전자 이동도는 실험적인 결과와 마찬가지로 전계가 증가함에 따라 트랩 사이트에서의 전자의 포획과 이동이 반복되며 계속해서 증가하다가 어느 순간 포화되며 다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계에 증가에 따라 유기물 내부에서의 전자의 이동 속도는 변화가 거의 없는데 비해 전계는 계속 증가하기 때문에 상대적인 이동도가 줄기 때문이다. 전자의 이동도는 온도에 의한 영향이 크며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이동도는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다만 분산도가 30meV로 상대적으로 작을 때는 특정온도 이상의 온도에서 포화되어 어느 값 이상으로 이동도가 증가하지 않는 결과를 보였다. 이것은 온도의 증가에 의한 영향이 분산도 대역에 대한 영향과 맞물려 더 이상 증가하지 않고 서로 상호보완적인 결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보인다. 계면효과를 고려한 모델은 실제 소자에서의 적용을 위한 것으로 크게 소자의 크기와 전극과 유기물의 전위 장벽의 높이에 따른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전자가 장벽을 뛰어넘기 위해서는 그만큼의 외부의 힘(매우 높은 전계)을 필요로 한다. 장벽을 넘어간 전자는 계면에서 지체된 시간만큼 전자의 이동도를 줄이는 결과를 나타내고 이에 따라 장벽이 높을수록 이동도가 감소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유기물 반도체 소자 등의 제작에 있어 본 연구를 통한 소자 내부에서의 전자의 이동도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는 실제 소자의 제작 및 특성 향상에 큰 도움을 줄 것이다. 아직 많은 효과를 고려하지 않고 최소한의 조건을 적용하여 시뮬레이션을 했기 때문에 더 많은 변수를 고려해야 정확한 시뮬레이션이 될 것이다. 또한 실제 소자 제작을 통한 실험 결과를 통해 본 시뮬레이션이 가진 문제점을 개선하여야 하겠다. Organic materials have become particularly attractive because of their promising applications in flexible electronic and optoelectronic devices. Electronic parameters in electronic and optoelectronic organic devices have become very important for enhancing the device efficiencies. Among the electronic parameters, mobilities in the organic materials play an important role for understanding the carrier transport in organic devices. Even though some works concerning the ele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the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and organic memory devices have been performed, studies on the mobilities in the organic materials of the devices have not been theoretically conducted yet. This paper presents data for mobilities as functions of the electric field with different device sizes and temperatures in organic materials calculated by using a Monte-Carlo simulation method. The mobilities in the organic materials as functions of the electric field with different device sizes show that the mobilities at low electric fields decrease with an increase in the device size resulting from an increase in the site number and that those at higher electric fields are not affected by the variation of the device size. Figure 1 shows that the simulation results of the mobilities in the organic materials as functions of the electric field with different temperatures. The mobilities in the organic materials as function of the electric field show that the mobilities below a critical electric field are affected by the temperature and that those above a critical electric filed are independent of the temperature. While the mobilities below 250 K increase with increasing temperature, those above 250 K become saturated. These results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on the mobilities for organic layers used in organic devices.

      • 주파수 효율 향상을 위한 사용자 협력통신 기법

        이창주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703

        현재 상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2G, 3G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은 기지국 단말 간 비협력 환경에서 음성위주의 서비스를 최적화 하도록 설계되었다. 한편, 4G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는 기존의 비협력 환경에서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신호 및 채널 구조 개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현재 표준화가 진행 중인 3G LTE(Long Term Evolution), IEEE 802.16, 802.20 등 여러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공통적인 개발 목표는 데이터 전송 속도를 향상시키는 것이고, 이를 위해 OFDM, MIMO, 스마트 안테나 등의 최신 기술 등이 도입되어 표준화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MIMO기법의 공간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기 위한 사용자 협력통신에 대해 다룬다. 무선 단말기에 다수의 전송 안테나를 사용하여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는 MIMO기법은 성능 향상의 이점이 있지만 안테나 이격거리와 하드웨어 크기 등을 고려할 때 많은 제약이 따른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사용자 협력통신 기법은 단일 안테나를 가진 다수 사용자들이 안테나를 서로 공유하는 방식으로 MIMO 기법의 효과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기법에서 2명의 사용자와 3명의 사용자 간 협력통신 기법의 성능 분석을 통하여 전체 전송속도가 높은 시스템 모델을 확인한다.

      • 릴레이 기반 셀룰러 시스템을 위한 자원 할당 방법

        원승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703

        Futur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ill require higher data rates and wider service coverage to satisfy the demands of users. However, the conventional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cannot support these requirements. Thus, a relay based cellular system has been introduced to provide the service that users desire. The frequency band for next communication systems is higher than the conventional system, so shadowing regions that cannot support high data rates will increase. To cope with this problem, a relay based cellular system can provide higher link data rates and can enlarge the high data rate coverage in a large cell. In a relay based cellular system, the resource management for interference avoidance is very important to ensure the high SINR link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mobile station, or the relay station and the mobile station. This thesis proposes an algorithm to avoid inter-cell interference and inter-sector interference for cellular systems with relay. By using this algorithm, we are able to easily allocate resources to all the base stations and relay stations so that interference is minimized. 통신 기술의 발달과 기존 통신시장의 포화는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사업자들과 새로운 서비스를 바라는 사용자들의 요구에 맞추어 단순한 음성통신을 넘어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앞으로 기대되는 4세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는 넓은 지역에서 매우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도록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런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선 기존 셀룰러(Cellular) 시스템만으로는 그 한계를 지니고 있다. 그 이유로 4세대 통신 시스템에서 요구 전송률은 3세대 보다 훨신 많은 데이터를 요구한다는 점과 기존의 3세대 통신시스템보다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이 높음으로 인하여 신호의 전송에 있어서 non-line-of-sight 환경에 영향을 더 많이 받게 될 것이란 점이다. 이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으로 더 기지국의 밀도를 높이거나 중계기 등을 사용하는 방법들을 고려 할 수 있다. 성능 향상 측면과 비용및 운영상의 이점 등을 고려할 때 차세대 통신에 가장 적합한 시스템으로 릴레이 중계기를 적용한 시스템이 높은 데이터 전송률과 셀 영역확장에 있어서 가장 적합한 시스템으로 고려되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기존 리피터 중계기를 이용하는 것보다 릴레이 중계기를 사용할 경우에 영역확장과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갖는 것을 시뮬레이션으로 검증한다. 릴레이 중계기를 이용할 때 좋은 성능을 갖기 위해서 간섭(Interference)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간섭을 줄이기 위한 방법들로 방향성 안테나와 송신전력 제어 및 섹터 간 또는 셀 간 자원할당 방법 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OFDMA가 적용된 셀룰러 시스템을 기반을 하여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시스템들과 3섹터 릴레이 중계기(Relay Station)를 적용한 시스템에 간섭회피 자원 할당 알고리즘을 적용한 시스템을 비교하였을 때 간섭회피 알고리즘 적용 릴레이 중계기 시스템이 높은 SINR을 가지고 높은 데이터 처리율을 지원하는 영역이 확장됨을 확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