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Ultrasound examination of clustered calcifications in breast : is it necessary for diagnosis of breast carcinoma?

        김희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4319

        목적 : 유방촬영술에서 군집성 석회화를 보인 환자를 대상으로 초음파 검사를 실시하여 유방암 진단에 있어서의 부가적 초음파 검사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 2005년 9월부터 2007년 8월까지 유방촬영술에서 군집성 석회화가 보였던 총 12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표적 초음파를 실시하였다. 병리학적으로 확진된 48명 환자의 61개 병변을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하였다 (침윤성 유방암 26개, 상피내암 10개, 양성 병변 25개). 두 명의 유방 영상의학과 의사가 모든 유방촬영술과 초음파 사진을 관찰한 후 Breast Imaging Reporting and Data System (BI-RADS??)에 따라 관찰한 후 유방암 가능성을 4등급으로 평가하였다. 3과 4 등급은 영상의 진단적 성과를 평가하는데 있어서 유방암을 진단을 위한 양성 소견으로 분류하였다. 영상의 진단적 성과는 유방암을 진단하는데 있어서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 음성 예측도로 측정하였다. 영상의 진단적 성과는 병리학적 소견을 기초로 하여 유방촬영술만 시행한 경우와 유방촬영술과 부가적 유방 초음파를 같이 시행한 경우의 두 군을 비교하였고, 통계 분석은 McNemar test 또는 Fisher’s exact test를 이용하였다. 결과 : 군집성 석회화가 있는 경우 유방암 진단에 있어서 유방촬영술만 시행하였을 때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와 음성예측도는 각각 88.9%, 12.0%, 59.3%, 42.9%였다. 부가적 유방 초음파 검사를 함께 시행한 경우는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와 음성예측도는 91.7%, 60.0%, 76.7%, 83.3%였다. 부가적 유방 초음파 검사를 시행한 경우에 유방암 진단을 위한 진단적 성과가 유방촬영술보다 높았으며, 특히, 유방암을 진단하는데 있어서 특이도의 차이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했다 (p < 0.05). 종괴가 동반된 경우의 유방암 가능성은 79%였고, 유선변화가 동반된 경우는 73%였다. 종괴의 경우 91%에서 침윤성 유방암이었고, 유선변화의 경우 54%에서 상피내암이었다. 결론 : 부가적인 유방 초음파 검사는 유방암 진단의 민감도와 특이도, 양성예측도와 음성예측도를 향상시키며, 특히 특이도를 유의하게 증가시키므로 유방촬영술상 군집성 석회화를 보인 환자에서 필요하다. 유방초음파 소견은 양성과 악성 감별과 침윤성암인지 상피내암인지를 예측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World wide web을 이용한 단순흉부촬영에서의 폐 결절 진단 교육 콘텐츠의 개발 및 폐 결절의 유형 분류ㆍ적용에 대한 연구

        한기태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박사

        RANK : 234303

        Lung cancer accounts for the first place death rate in developed country including United States. In Korea, the incidence of lung cancer has been increasing, taking the second place. Lung cancer holds the first place in death rate. The detection of early lung cancer is essential for decreasing the death rate. In order to diagnose lung cancer in its early stages, diagnosis using LDCT (low-dose computed tomography) is increasing, because chest radiograph is not accurate enough to detect early lung cancer. Nonetheless a chest radiograph is the most widely used diagnostic method in pulmonary diseases. Lung cancer appears in the form of pulmonary nodules visible on chest radiographs in 60% of the disease. However, the nodules are not visible in 75-90% of the cases, and in these cases detection of lung cancer may be delayed. Therefore, it is extremely important to provide proper pulmonary nodule detection education in order to have early lung cancer be detected using chest radiographs. As of now, radiologie education has been performed by using lectures, case presentations, conferences, books, journals, compact disc programs and video tapes. However, access to these methods of education is somewhat hampered due to limitations in time and space, and this type of media cannot be targeted to specific groups and can only be a one-sided transfer of information. In order to solve such problems, this study aims to develop more effective web education contents using the internet to increase the ability to detect pulmonary nodules on chest radiograph. In addition, this study aims to construct a database of pulmonary nodule cases in various levels of difficulty to provide the trainee with various levels of experience in detection. Database was collected from two medical centers equipped with PACS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Chest PA, lateral and CT images of patients with pulmonary nodules and masses were the source of this study. Selected cases were converted from PACS to JPEG format and the width was fixed to 800 pixels using ACDsee 5.0. In addition, another copy of the image was made for use in the answer image. The answer image was made using Photoshop 7.0, and thus participants could to mark the nodules and masses on the copied images. The case and answer images were then saved using Access 2002 as the database. The cases were classified into being normal, nodule or nodule-like shadow; the difficulty was divided into being easy, intermediate or difficult. Moreover, in order for the trainee to study certain categories more carefully, the problem cases were divided into 7 categories; being normal, well-defined nodule, nodule with ill-defined or irregular margin, faint opacity, nodule overlapped over normal structure, nodules associated with other pathology and opacity mimic nodule. ASP 3.0, JAVA Script 1.2 and HTML tag 4.0 were used in programming and the program is divided into 3 sections; Study section, Test section and Record section. The test section is composed of three levels (I to III) according to there difficulty degree and each test contains 20 questions. At the end of a test, the answers the participants made and the true answers can be simultaneously viewed. The study is divided according to level of difficulty and category, and record section allows the user to check the results of the test section. In addition, participants should register to use the program, and electronic surveys about the program were put in to appear at appropriate times in order to receive inputs about the program including user satisfaction and program usefulness. In conclusion, the world wide web-based internet training program for the detection of pulmonary nodules, especially lung cancer,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an education tool allowing radiologie experience. In addition, the method and experience in developing an effective internet-based educational tool can be used inthe development of future educational programs in the field of radiology as well as other medical fields. 폐암은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에서 암 사망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암 사망 1위, 발생률 2위를 차지하고 있는 암이다. 하지만 과거 20년 동안 폐암의 5년 생존율은 14%에서 크게 나아지기 않고 있으나 IA 병기에서 수술한 경우에는 75%정도까지 좋아진다는 점을 고려 할 때 조기 폐암의 진단이 얼마나 중요 한지를 알 수 있다. 최근 저 선량 단충 촬영 등을 이용한 폐암검진이 제시되고 있으나, 아직도 일차 진료 선상에서 보편적, 일차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검사 방법은 흉부 단순촬영이고, 보고에 따르면 후향적으로 검사 했을 때 폐 결절을 놓치는 경우가 75-90%에 이르는 현실을 감안할 때 이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지금까지의 폐 결절에 대한 교육은 다른 영상의학과 영역과 다르지 않아 서적, 집담회, 영상물 등 교육자 중심이 대부분이지만, 피교육자의 수준과, 교육 항목의 선택 등을 고려한 교육 자료는 없었다. 세계적인 추세와 인터넷의 인프라가 충분한 우리나라의 환경을 고려 할 때 인터넷을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교육이 가능 할 것으로 생각되어 의과대학생, 영상의학과를 전공하지 않은 전문의, 영상의학과 전공의 등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이 연구를 시작하였다. 피교육자가 스스로 항목을 택할 수 있고, 바로 자신이 학습에 참여하여 결과를 알아볼 수 있도록 프로그램 콘텐츠를 구성하였다. 이를 위해 학습모드에서는 난이도별로 구성된 Study I section과 결절의 형태와 음영 및 위치에 따른 Study II section으로 구분하였고, 테스트 모드는 한 테스트 당 20개의 문제가 주어져 다 푼 후에 결과를 알아보고 자신의 취약부분을 다시 학습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결절의 새로운 분류를 시도하여 적용하였다. 전체적으로는 정상, 결절, 결절유사음영으로 분류하고, 결절은 크기가 1.5cm을 기준으로 결절발견율에 차이가 커지는 점을 참고하여 주로 난이도에 따른 Study I section에 적용하여 easy, intermediate, difficult로 구분하고, 정상, 위 음성, 위 양성 경우를 첨가 하였다. Study II section에서는 결절의 형태, 음영 및 놓칠 수 있는 경우를 여러 문헌과 경험을 토대로 정상을 포함한 7가지( 1) Normal, 2) well-defined Nodule, 3) Nodule with ill-defined or irregular margin, 4) Faint opacity, 5) Opacity mimic nodule, 6) Nodules associated with other pathology, 7) Nodule overlapped over normal structure) 로 구분하여 학습효과를 높이고자 시도하였다. 이 밖에 테스트 결과의 기록, 회원등록, 프로그램 콘텐츠에 대한 설문 등의 장치를 해 놓아 향후 프로그램에 대한 사용자의 평가와 유용성들을 알아 볼 수 있도록 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를 통해 만들어진 인터넷을 이용한 폐 결절 진단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과 콘텐츠들, 그리고 학습에 도움을 주기위해 만들어진 결절의 새로운 분류 등은 다양한 방사선학적 소견을 보이는 증례를 경험하게 하는 교육도구가 될 것이며, 효과적인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 도구를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술과 경험을 축적하여 방사선과학의 다른 분야 및 다양한 분야의 의학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에 이용 될 수 있을 것이다.

      • Detection of Intracranial Aneurysms: Volume Rendered Multi-Detector Row CT Angiography Compared with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차지현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34303

        뇌 동맥류 진단에 있어 고식적 혈관조영술과 Multidetector CT 혈관조영술의 진단률에 대한 비교 목적: 임상적으로 지주막하 출혈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뇌 동맥류 진단에 있어 고식적 혈관조영술과 Multidetector CT 혈관조영술의 진단률에 대해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임상적으로 지주막하 출혈이 의심되는 환자 중 고식적 혈관조영술과 Multidetector CT 혈관조영술을 모두 시행한 11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CT는 뇌-척수 이행부위에서 상방으로 9cm까지 촬영하였고 뇌 동맥류는 각각 12개의 분절로 나누어서 동맥류 유무를 판단하였고 이 결과를 고식적 혈관조영술과 비교하였다. 결과 : Multidetector CT 혈관조영술을 과 고식적 혈관조영술에서는 각각 132개, 그리고 136개의 뇌 동맥류를 발견하였고 같은 결과가 나온 경우는 114명중 92명, 그리고 상이한 결과가 나온 것은 22명 이었다.(80.7 % and 19.3 %). 고식적 혈관조영술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CT 혈관조영술의 위 양성과 위음성은 각각 13명과 9명이었다. 위양성의 경우는 혈관기시부의 확장을 동맥류로 오인한 경우가 4례였다 (n=4). 위음성의 경우는 small paraclinoidal aneurysm (n=5), 2 mm 미만의 작은 동맥류 (n=2)등이 원인이었다. 결론: CT 혈관조영술은 아직까지는 제한점이 있어 고식적 뇌 혈관 촬영술을 완전히 대체 할 수 없지만 경막하 출혈이 의심되는 환지에서 뇌 동맥류 발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