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AIDS에 대한 지식과 태도

        이춘신 인제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9727

        목적 : AIDS는 현재까지 치료제나 예방백신이 개발되어 있지 않으며, 개인 차원의 예방이 효과적인 관리 수단으로 인정받고 있다. 건강관리와 질병 예방을 위해 중요한 것은 AIDS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태도를 지니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성적으로 왕성한 연령층에 속하는 대학생의 AIDS에 대한 지식수준을 파악하여 추후 효과적인 예방 대책을 마련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 것이다. 방법 : 경상남도 소재 1개 대학교의 학생 852명을 대상으로 2001년 4월 일부터 5월30일까지 2개월 간 AIDS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조사하였다. 조사 도구는 문헌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직접 개발하였으며 자료 분석에는 SAS(PC용, ver 6.12)를 이용하였다. 성적 : 대상자는 신입생(52.1%)과 재학생(47.9%)이 각각 절반 정도였으며 학과별로는 의학과(19.1%), 간호학과(25.8%), 보건행정학과(9.1%), 경영학과 (11.4%), 화공학과(16.2%), 식품공학과(8.8%), 사회체육학과(9.5%) 등이었다. 대다수(89.6%)는 예방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는데 동의하였으나 절반 정도(54.7%)가 AIDS 예방교육을 받은 적이 전혀 없었으며, 절대 다수(88.1%)가 받은 교육이 충실하지 않은 것으로 답하였다. AIDS에 대한 지식은 주로 TV·신문 등의 매체(73.0%), 보건교육(16.1%)을 통해서 얻고 있었다. 이전의 성접촉 경험은 대다수(96.1%)에서 없었으나 향후 성접촉은 22.7%에서 가능하다고 답하였다. 예방적 콘돔사용은 66.7%가 '반드시 사용하겠다'는 반응이었으나 33.3%는 '불확실하다'는 입장이었다. AIDS에 대한 지식에서 '치료제 없음(94.8%)', '주로 성관계(85.7%)로 감염', 주사침 공동 사용(96.4%), 혈액(성분) 수혈(95.2%), 장기이식(89.8%), 이성과의 성접촉(86.0%), 수직 감염(88.7%) 등이 중요한 매개 행위가 되는 사실 등에 대하여는 대체로 바르게 알고 있었으나 '치료받으면 정상생활 가능(31.0%)', 감염자와 키스(46.9%), 기침, 재채기(45.8%), 식기, 수건 공동사용(49.1%), 수영장, 목욕탕 공동사용(43.4%), 모기, 곤충(49.1%), 면도기(35.4%) 등에 의한 전파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사실은 상대적으로 바르게 알고 있는 율이 낮았다.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AIDS에 대한 일반지식 수준은 평균 67.5점, AIDS의 전파 가능 행위 또는 매개체에 대한 지식 수준은 71.6점이었으며 학과별로는 의학계, 보건계, 일반계의 순이었다(p=0.0001). 예방 교육을 받은 경우와(p=0.003), 예방적 콘돔사용을 하겠다는 군에서 지식수준이 높았다(P=0.044). AIDS에 대한 견해·태도 가운데 'AIDS는 심각한 보건문제(93.7%)', '자신의 감염 사실을 알면 남에게 말하고 도움을 구할 것이다(63.4%), '부인이 감염되면 헤어지겠다(65.4%)' 등은 동의하는 경우가 많았던 반면, '스스로 검사를 받으려고 마음먹은 적이 있다(94.2%)', '감염 의심자가 내 아이와 같은 학교를 다녀도 무방하다(71.8%)', '새로이 개발된 치료제의 임상시험에 자원할 용의가 있다(74.4%)' 등은 동의하지 않는 경우가 더 많았다. AIDS 예방 교육을 받은 경험은 재학생(50.5%)이 신입생(40.5%) 보다(p=0,004), 의학계열(51.4%)이 보건계열(32.1%)과 일반계열(41.9%) 보다 많았다(p=0.001). 예방교육 경험과 향후 성접촉의 행태는 무관하였으며, 예방적 콘돔 사용을 하겠다는 군의 교육 경험이 더 많았다(p=0.001). 결론 : AIDS에 대한 지식은 교육의 정도에 비례하며 지식에 따라 견해와 태도가 영향을 받으므로 성접촉에 의한 대학생의 AIDS 감염 예방을 위하여 보다 적극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정기적으로 이를 시행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성접촉시 예방적 콘돔사용은 특히 강조되어야 하며, AIDS 전파의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알려진 기침, 재채기, 곤충 등의 매개 수단에 대하여는 불필요한 두려움이나 불안감을 지니지 않도록 지도하여야 할 것이다. Objectives: Though AIDS is one of the most serious and world-wide health problem, there have been developed no effective control measure but individually oriented preven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help preparing the efficient control program for college student who are sexually active, considered as a risk group for HIV infection. Methods: Subjects were 852 college students of one university in Gyungsangnam-do. From April to May 2001, questionnaire survey on the students' knowledge and attitude, and status of health education about AIDS(HEAIDS) was don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AS(ver 6.21) program. Results: The subjects were freshman(52.1%) and enrollment(47.9%), with department of medicine(19.1%), nursing(25.8%), health administration (9.1%), business(11.4%), Chemical(16.2%), food(8.8%), gymnastics(9.5%). Though about 90% of them agreed with the necessity of HEAIDS, half of them(54.7%) had no experience of HEAIDS and most(88.1%) of them considered it had been insufficient. The informations about AIDS was acquired mainly from TV·newspaper(73.0%), but partly from specified health education(16.1%). They have no experience of unsafe sexual contact(96.1%), however, they considered that they can have accidental sexual contact(22.7%) in the future. Response for intention to use of preventative condom use was certainly(66.7%) and questionable(33.3%). About the knowledges on HIV infection and transmission, most of them knew relatively well about no curative medicine(94.8%), infected by sexual contact(85.7%), common use of needle(96.4%), transfusion(95.2%), transplantation(89.8%), longitudinal infection(88.7%). However, the correct answer rate was relatively low in clinical spectrum; can maintain normal life with medical care(31.0%), and some transmission route; kiss(46.9%), cough·sneezing(45.8%), common use of bowl·towl(49.1%) and bath(43.4%), insect like mosquitos(49.1%), razor(35.4%). The mean level of the knowledges on HIV infection and transmission was 67.5 and 71.6 out of a possible 100, respectively. The knowledge level(p=0.003) and certainty to use of preventable condom use(p=0.001) was higher in HEAIDS experienced group. Experiences to HEAIDS was more in enrollment(50.5%) than freshman(40.5%)(p=0.004), medicine (51.4%) than health(32.1%) and general(41.9%) by department group (p=0.001). With regard to the attitudes on HIV infection, they didn't agreed with 'had intention to check themselves for HIV infection(94.2%)',' case or suspected case can attend to same school with my children(71.8%)', 'had intention to join in clinical trial of new regimen for AIDS(74.4%)'. Conclusions: This result showed that present status of HEAIDS for college students is still insufficient. Because the knowledges and attitudes about AIDS are influenced by HEAIDS, professional and efficient education program would be emphasized on the practical level for health protection, eg, preventative condom use. This study has also another meanings to reveal the positive effect and to recall the motive for individual-based prevention.

      • 재난적 의료비 예방을 위한 포괄적 의료비 상한제 : 비용 추계를 통한 적용 가능성을 중심으로

        송은철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9711

        배경: 한국 건강보장제도의 낮은 보장성은 재난적 의료비의 원인이 되며, 재난적 의료비는 빈곤화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는 과도한 의료비 부담으로 인한 의료 이용의 제한과 이로 인한 건강수준의 하락 및 재난적 의료비 지출로 인한 삶의 질 하락 및 빈곤화가 서로 영향을 주며 반복되는 악순환의 과정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악순환을 멈추기 위해서 재난적 의료비와 이로 인한 빈곤화를 예방하기 위한 정책이 필요하며, 그 정책의 하나로 포괄적 의료비 상한제의 도입을 검토할 수 있다. 의료비 상한제의 기준이 재난적 의료비를 예방할 수 있는 수준으로 설정된다면, 재난적 의료비 인한 빈곤화 역시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재난적 의료비가 빈곤화의 원인이 됨을 밝히고, 재난적 의료비와 이로 인한 빈곤화를 예방하기 위한 포괄적 의료비 상한제의 기준을 설정하고 비용 추계를 통해 그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방법: 재난적 의료비는 지불능력에서 의료비가 차지하는 비율이 10%, 20%, 30%, 40% 이상 일 때로 정의하였다. 재난적 의료비가 빈곤화에 미치는 영향은 한국복지패널 2010-2012년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가구원 수를 보정한 가처분소득을 기준으로 중위소득의 50% 미만을 상대적 빈곤 상태로 정의하였으며, 의료비 지출 이전 해인 2010 비빈곤이었던 가구 중 지출 다음 해인 2012년에 빈곤 상태가 된 경우를 ’빈곤화‘로 정의하였다. 가구주 특성과 가구 특성을 모형에 포함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재난적 의료비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재난적 의료비 예방을 위한 포괄적 의료비 상한제의 기준 및 적용 가능성은 한국의료패널 2011년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가구원 수를 보정한 가구 경상소득을 기준으로 가구 소득 10분위를 구분하여, 현재의 의료비 및 재난적 의료비 발생률을 확인하였다. 재난적 의료비 예방을 위한 포괄적 의료비 상한제의 기준 설정하기 위해 재난적 의료비 발생이 없는 소득 10분위별 상한제의 기준을 재난적 의료비 기준별로 산출하고, 산출된 상한액으로 회귀 방정식을 도출하여, 소득 분위별 의료비 상한액을 추정하였다. 추정된 기준을 사용하여 포괄적 의료비 상한제 도입에 따른 재난적 의료비 발생의 감소를 확인하고, 이를 위해 투입되는 추가 비용을 산출하였다. 결과: 2010년에 빈곤하지 않았던 가구가 2012년에 빈곤화된 경우는 7.8%였고, 재난적 의료비를 지출한 경우 더 높은 빈곤화율을 보였다(relative risk 3.01 - 3.91, p<0.001). 가구주 특성과 가구 특성을 보정하여도 재난적 의료비의 모든 기준에서 재난적 의료비 지출이 빈곤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odds ratio 1.81 - 2.31. p<0.001), 가구 소득이 빈곤선 300% 이상인 경우는 유의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가구 당 평균 133만원의 의료비를 지출하여 총 23.1조원의 의료비를 가구에서 지출하였으며, 재난적 의료비의 기준이 10%, 20%, 30%, 40%인 경우 각각 23.7%, 12.6%, 8.1%, 5.9%의 가구가 재난적 의료비를 지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난적 의료비 발생이 없는 소득 10분위별 상한제의 기준을 산출한 후, 산출된 상한액으로 도출한 회귀 방정식을 통해 추정된 분위별 상한액은 재난적 의료비 기준이 10%인 경우는 0.0 - 285.0만원, 20%인 경우는 0.0 - 607.6만원, 30%인 경우는 0.0 - 1,095.2만원, 40%인 경우는 0.0 - 1,701.4만원이었다. 이 기준을 적용한 포괄적 의료비 상한제를 도입하면 재난적 의료비 발생률이 0.1 - 0.2%로 감소하며, 재난적 의료비 기준이 10%인 경우 15.9 - 26.3조원, 20%인 경우 11.9 - 19.7조원, 30%인 경우 9.3 - 15.4조원, 40%인 경우 7.8 - 12.8조원의 추가 비용이 필요한 것으로 추계되었다. 결론: 모든 기준에서 재난적 의료비가 빈곤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재난적 의료비 발생율과 이에 따른 빈곤화는 한국의 건강보장제도가 그 기능을 충분히 수행하고 있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재난적 의료비의 발생을 막고 이를 통해 빈곤화를 억제하기 위한 건강보장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이러한 개선 방안의 하나로 포괄적 의료비의 적용을 검토할 수 있다. 재난적 의료비를 예방하기 위한 포괄적 의료비 상한제의 소득 분위별 상한액은 재난적 의료비의 기준이 10%일 때, 0 - 285만원, 20%일 때 0 - 607만원, 30%일 때 0 - 1,095만원, 40%일 때 0 - 1,701만원으로 추정되었으며, 적용 시 추가로 소요되는 비용은 의료 이용 증가를 감안하여도 7.8조원에서 26.3조원으로 전 국민이 한 해 동안 민간의료보험료로 지출한 43.4조원의 18.0 - 60.6%에 불과하다. 재난적 의료비와 이로 인한 빈곤화를 예방하기 위해 포괄적 의료비 상한제의 적용이 필요하다. Background: The low benefit coverage rate of South Korea’s health security system can cause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and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can be the cause of povertization. To prevent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and povertization, the comprehensive health expenditure ceiling system is requir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certain the effect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on povertization, and the applicability of the comprehensive health expenditure ceiling system using cost estimation. Methods: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was defined as equal to or exceeding a thresholds (10%, 20%, 30%, and 40%) of the household’s capacity to pay. The effect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on povertization was ascertained by performing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n data from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2010-2012. The applicability of the comprehensive health expenditure ceiling system to prevent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was ascertained by analysis on data from the Korea Health Panel, 2011. Ceiling limits of health expenditures that were not catastrophic were estimated by income groups. The additional costs of the comprehensive health expenditure ceiling system were also estimated. Results: The povertization rate was 7.8%, and the rate of households facing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was higher than those households not facing it (relative risk 3.01 - 3.91, p<0.001). Even after adjusting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usehold and the household head,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was found to influence povertization (odds ratio 1.81 - 2.31. p<0.001). 5.9 - 23.7% of the households are facing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The estimated ceiling limits of the comprehensive health expenditure ceiling system were 0.0 - 2.9 (T/y≥10%), 0.0 – 6.1 (T/y≥20%), 0.0 – 11.0 (T/y≥30%), and 0.0 – 17.0 million won (T/y≥40%). The estimated additional costs were 15.9 – 26.3 (T/y≥10%), 11.9 – 19.7 (T/y≥20%), 9.3 – 15.4 (T/y≥30%), and 7.8 – 12.8 trillion won (T/y≥40%). Conclusion: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was determined to be a cause of povertization. To prevent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and povertization, South Korea’s health security system should be reinforced; notably, the comprehensive health expenditure ceiling system is one of the policy measures. The additional costs of the comprehensive health expenditure ceiling system were estimated to 18.0 - 60.6% of total private health insurance premiums. There is a need for application of the comprehensive health expenditure ceiling system.

      •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한 부산광역시 마취통증의학과 분포 특성 분석

        정종철 인제대학교 2006 국내박사

        RANK : 249695

        목적 : 사회․인구․경제학적 지표들을 사용하여 의료서비스 이용과 관련한 마취통증의학과 의원의 분포를 지리․공간적 측면에서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지역별 환경에 따른 마취통증의학과 의료서비스 수요에 대한 공급 측면의 특성을 이해하고 지역 환경과 사회구조 등과 연결하여 의원의 입지 분포를 이해한다. 방법 : Gini 계수와 Lorenz 곡선을 이용하여 마취통증의학과 의원의 분포양상과 변화정도를 비교한다. 부산광역시 마취통증의학과 의원의 위치를 구ㆍ군별로 1:25,000 수치 지도상에 공간좌표를 사용하여 입력한다. 입력한 자료를 기준으로 부산광역시 기초 행정 통계값과 연동하여 공간분석을 시행하여 밀도함수와 진료권 등을 탐색한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마취통증의학과 의원의 수를 예측할 수 있는 요인들을 알아낸다. 결과 : 부산광역시 마취통증의학의 Gini 계수는 0.4014 로 나타나 분포의 불균형이 비교적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광역시 마취통증의학과 의원밀도를 교통신호등 지도로 나타내면 부산진구 부전 1동이 4 ~ 5 개로 가장 높은 밀도를 보였으며, 버퍼를 통해 나타내면 부산진구 부전 1동과 2동이 가장 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결과 마취통증의학과 의료서비스 요구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되는 지역은 영도구 동삼 3동, 부산진구 초읍동, 동래구 안락 2동, 남구 용호 1동, 해운대구 반송 2동, 연제구 연산 9동, 사상구 모라 2동과 주례동 등 이었다. 부산광역시 마취통증의학과 의원 수를 설명할 수 있는 변수로는 일반의원 수, 인구수, 정형외과 의원 수 등이 있었다(R2=0.86). 결론 : 마취통증의학과 의원의 입지를 이용하여 해당 과 의료서비스 공급지역과 접근 정도를 GIS를 사용하여 지리적 공간적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치분석에서 나타난 결과와 다르게 지표상으로는 문제가 없으나, 공간분석 상 접근도가 떨어지는 지역도 있었고, 공급측면에서 비교적 적절한 의료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리라 판단되는 지역도 있었다. 본 연구는 공간분석을 통해 의료시설의 입지를 통해 의료서비스의 공급자 측면에서 형평성을 높일 수 있는 지역을 찾아낼 수 있었다는 점이 가장 가치 있는 결과였고, 이를 통해 추후 의료시설의 입지를 평가할 수 있는 정밀한 방법의 개발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초등학교 입학생의 예방접종실태와 적기예방접종 관련 요인

        진선미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박사

        RANK : 249663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vaccination status and associated factors on timeliness of vaccine administration among school-entry aged children- selected Yuseong district, Daejeon 2005. This study was based on data collected in February to March 2005. The subjects of survey was total 3,748 children. The participating in survey was 3,507. Among them, 89 children suggesting timid answer was excepted and 3,458 children were selected final analysis. The parents of subjects answered the structured questionnares developed by reseacher with personal self-administr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liness of vaccinations and characteristics of parents, vaccination-related knowledge, attitudes, vaccination providers using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timeliness of DTaP3 vaccination and MMR1vaccination. The major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1. For knowledge of vaccination, 'Moderately known' was 60.7% of subjects, 'Well known' 26.7%, 'Unknown' 11.2%. For a media providing vaccination information, 'Private clinics & hospital' was 48.5%, 'Health Center 32.7%, 'Others' 17.1%. For a main utilzing vaccination provider, 'Private clinics & hopital' was 54.5%, 'Health Center' 45.0%. The 68.3% of subjects utilized vaccination provders in 5km distance. 2. The retention rates of vaccination cards in subjects was 74.1%. The group that parents have brought up children has had the highest retention rates of vaccination cards. The retention rates of vaccination cards was the highest in the group utilizing Health Center 3. Children were administered a mean of 31.8days in BCG, 19.9 days in HepB1, 55.1days in HepB2, 74.3days in DTaP1, 138.2days in DTaP2, 216.5days in DTaP3, 629.6days in DTaP4, 1,968.9days in DTaP5, 74.2days in Polio1, 138.9days in Polio2, 218.8days in Polio 3, 1,582.2days in Polio4, 431.4days in MMR1, 2,003.5days in MMR2. 4. The timeliness of vaccine administration was 80.3% in BCG, 89.5% in HepB1, 89.1% in HepB2, 92.7% in DTaP1, 86.4% in DTaP2, 74.2% in DTaP3, 68.8% in DTaP4, 93.8% in DTaP5, 92.7% in Polio1, 86.5% in Polio2, 74.1% in Polio3, 68.1% in Polio4, 67.7% in MMR1, 91.1% in MMR2. 5. Factors associated with receiving DTaP3 vaccination as recommended were utilizing private clinics and hospitals, keeping vaccination cards, having a good knowledge of vaccination, having pediatrics clinics in 1km distance, in case MMR1 vaccination were having a father younger than 40years, utilizing Health Center. This study found that the timeliness of vaccinations was associated with keeping vaccination cards, having a good knowledge of vaccination, having pediatric clinics in 1km distance, having younger parents than 40years. Vaccination providers need to educate parents or child-carer to keep vaccination cards until vaccination registry system is settled. For decreasing preventable diseases outbreak by increasing timeliness of vaccinations, Health Centers have to cooperate with private clinics for control personal vaccination records. Also, it is necessary to find and settle the socio-economical and psychosocial factors in low timeliness of vaccinations.

      • 사업장 근로자의 뇌·심혈관계 질환 예방관리를 위한 참여형 개선 프로그램의 효과

        윤성용 慶北大學校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gram applying participaty action-oriented training(PAOT) methods for the management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and conduct program directly to the workplace, to assess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817 worker's cardiovascular disease risk were assessed in the workplace, conducted periodic health examination. 64 worker's (7.8%) were selected as moderate-risk group, high risk group, and performed participatory approach program for cardiovascular disease preventive management. 64 worker's who participated in participatory approach program made a total 246 action plan, 3.8 action plan per person and 115 action plans were achieved after three months, so that the results of percentage of achieved action plans was 46.7%. In the intervention group participated program, the rate of smoking has decreased from 36.2% to 8.6%. and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ha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140.0±9.4 to 134.2±12.3, from 92.6±7.1 to 80.0±9.8 mmHg. In addition, risk factor score also decreased by 0.3, Whereas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d in the program shows,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mean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of 5.3mmHg and 6.2mmHg. regular exercise increased from 8.5% to 16.0%.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participatory approach program for the manage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need to continues implement programs and analyze the long-term effects are required. 일반 건강검진을 시행한 1개 사업장에서 뇌·심혈관계 질환 발병위험도 평가를 실시하고, 중등도 위험군, 고위험군으로 선정된 64명(7.8%)을 대상으로 뇌·심혈관계 질환 예방 관리를 위한 참여형 개선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참여형 개선 프로그램에 참여한 참가자 64명이 작성한 개선계획은 총 246개로 참가자 1명당 3.8개의 개선계획을 세웠고, 3개월 후 개선계획의 실천 여부를 확인한 결과 총 115개의 개선계획을 실천하고 있어 46.7%의 개선 실천율을 보였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었던 위험인자는 흡연율이 44.8%에서 36.2%로 8.6% 감소하였고, 수축기 혈압(SBP)과 이완기 혈압(DBP)이 각각 140.0±9.4에서 134.2±12.3로 5.8mmHg, 92.6±7.1에서 80.0±9.8로 12.6mmHg 감소하였다. 발병 위험인자 점수(Risk factor score) 또한 2.2±1.1에서 1.9±1.0으로 감소하였다. 반면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 또한 주 3회, 30분 이상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인원이 8.5%에서 24.5%로 16.0% 증가하였고, 수축기 혈압(SBP)과 이완기 혈압(DBP)이 각각 140.8±12.7에서 135.5±15.6로 5.3mmHg, 88.0±8.6에서 81.8±10.7로 6.2mmHg 감소하였다. 보다 명확한 뇌‧심혈관계 질환 예방관리를 위한 참여형 개선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서는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장기적인 효과를 분석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