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내독소와 과량의 산소투여가 신생 백서의 기관지 폐 이형성증 유발에 미치는 영향

        심재원 중앙대학교 2004 국내박사

        RANK : 233279

        기관지 폐 이형성증(BPD)은 미숙아에서 가장 흔한 만성 폐질환으로 폐 계면활성제와 새로운 인공환기 요법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만성 폐질환의 발생빈도는 최근 증가되고 있으며 이러한 만성 폐질환의 발병요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하지만 인공환기에 따른 압력손상, 과산소에 노출과 폐에 염증반응이 그 발병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최근의 연구들에 따르면 미숙아에서 생후 7일이내 인터루킨 1β, 인터루킨 6, 인터루킨 8 등과 같은 염증반응의 전구물질이 양수내 발견되는 경우 폐손상이 10배이상 증가되는 것이 보고되고 있으며 조직학적으로 융모양막염이 증명된 경우 미숙아 호흡곤란증의 발생은 감소하지만 출생후 폐손상의 위험은 높다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임상적 연구들은 미숙아에서 염증반응이 폐손상을 유발하여 만성 폐질환으로 이환되는 것을 설명하지만 염증반응을 매개로 폐발달이 촉진된다는 연구도 있다. 이에 저자들은 강력한 염증 전구물질인 내독소를 투여하여 폐발달이 촉진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연구를 시작하였다. 신생흰쥐에게 출생 1일, 3일, 5일에 대장균의 내독소(5μg/0.05 cc, intratrachealy)와 생리식염수를 투여하고 각각의 군을 무작위로 나누어 95%이상의 고농도 산소와 정상산소농도에 14일간 노출하여 그 조직학적인 변화를 측정하였다. 14일후의 생존율은 고농도 산소 단독 투여군과 내독소 단독 투여군에서 내독소와 과산소 투여군 보다 높았으나 체중의 증가는 산소 단독 투여군에서 가장 지연되었다. 생후 7일째의 조직학적 변화로 방사상 폐포 수(radial alveolar count, RAC)는 내독소 단독 투여군과 내독소 및 고농도 산소투여군에서 의미 있게 증가되어 있어 내독소가 투여되었던 경우 폐포화가 증가되어 있었고, 폐포의 크기를 측정하는 평균 선상 구분(mean linear intercept, MLI)은 고농도 산소 단독 투여군과 내독소 및 고농도 산소 투여군에서 다른 군에 비하여 증가되어 있었다. 출생 14일째의 변화는 고농도 산소 단독 투여군에서만 현저한 RAC가 감소되었고, 대조군, 고농도 산소 단독 투여군과 내독소 및 고농도 산소 투여군에서 MLI가 현저히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강력한 염증전구물질인 내독소는 고농도의 산소투여로 인한 폐 손상에 대한 방어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고 이러한 효과는 염증반응이 폐성숙을 촉진시킴으로 유발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 신장 질환이 있는 소아에서의 99mTechnetium mercaptoacetyltriglycine 신장 스캔, 혈청 크레아티닌, 혈청 cystatin C에 의한 신사구체 여과율 측정 연구

        윤인애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3279

        Introduction : The glomerular filtration rate (GFR) is an important method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renal diseases and evaluation of the renal function after kidney transplantation. The 24-hours collecting urine in children is unreliable due to difficult voiding regulation and daily variation up to 2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comparison of estimated-GFR used with creatinine clearance (CrCl), formulas with serum cystatin C and creatinine and 99mTc-mercaptoacetyltriglycine (MAG3) dynamic renal scintigraphy. Methods : A retrospective study from the medical records was performed in 103 patients younger than 20 years old who visited the pediatric clinic at Chung-Ang University Hospital from July, 2011 to August, 2012. Their GFR were estimated by 24-hour urine collection, 99mTc-mercaptoacetyltriglycine (MAG3) dynamic renal scintigraphy and the formulas using serum creatinine and cystatin C. Results : Glomerular renal diseases were 61 cases (59.2%) and non-glomerular renal diseases were 42 cases (40.8%). GFR determined by 99mTc-MAG3 renal scintigraphy had significant correlation to CrCl (r=0.392, p < 0.001). The correlations between GFR by creatinine clearance and estimated-GFR by each formula of Schwartz, Counahan-Barratt, Cockroft-Gault, Filler and Lepage and Bokencamp were 0.692 (p < 0.001), 0.467 (p < 0.001), 0.383 (p < 0.001), 0.323 (p = 0.001) and 0.323 (p=0.001), respectively. The correlations between estimated-GFR by 99mTc-MAG3 renal scintigraphy, each formula of creratinine-based Schwartz, Counahan-Barratt and Cockcroft-Gault and each formula of cystatin C-based formulas of Filler and Lepage and Bokencamp were 0.266 (p=0.007), 0.129 (p=0.045), 0.231 (p=0.020), 0.357 (p<0.001) and 0.356 (p<0.001), respectively. For the comparison of glomerual renal dieases and non-glomerular ones, GFR by 99mTc-MAG3 reanl scintigraphy was most significant reliable with creatinine clearance. As to comparison between two groups classified according to CrCl, mean GFR of group 1 (CrCl > 90mL/min/1.73m2) was 154.74±40.91 mL/min/1.73m2 and the other, group 2 (CrCl < 90 mL/min/1.73m2) was 61.73±21.48 mL/min/1.73m2. 99mTc-MAG3 reanl scintigraphy was reliable with estimated-GFR both by serum creatinine and by serum cystatin C. Conclusion : On the renal function,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confirmed of CrCl, GFR determined formulas by serum creatinin and cystatin C, and GFR by 99mTc-MAG3 renal scintigraphy. 99mTc-MAG3 renal scintigraphy was able to be replaced to creatinine clearance so as to renal diseases. Given the fact that regular 24-hour urine collection, radiologic method were time- and cost- consuming and unreliability, and the radiologic hazard was increasing, 99mTc-MAG3 renal scintigraphy may be used for evaluation of renal function, with convenience and low cost. 서론: 사구체 여과율은 신기능을 확인하고 신질환의 진단 및 치료, 추적관찰, 이식 후 평가의 확인에 사용된다. 사구체 여과율을 측정하는 방법에는 이눌린의 여과율, 크레아티닌 청소율, 혈청 cystatin C과 크레아티닌을 이용한 추정식을 이용하는 방법과 핵의학 영상을 통한 사구체 여과율을 측정하는 방법 등이 있다. 소아는 배뇨 조절이 잘 되지 않아 24시간 소변을 수집하는 데에 신뢰도가 떨어진다. 또한 성장 단계에 있어 신장의 구조적 이상과 기능을 확인하는 핵의학 검사를 많이 시행하게 된다. 본 연구는 소아에서 24시간 소변 수집의 단점을 대체하기 위해 단회성의 혈액 채취와 99mTc-MAG3 신장 스캔을 통한 사구체 여과율을 측정하여, 크레아티닌 청소율과 혈청 cystatin C과 크레아티닌에 의한 사구체 여과율 추정식을 각각 비교하여 연관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1년 7월부터 2012년 8월까지 중앙대학교 병원 소아청소년과를 내원한 20세 미만의 103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의무기록 후향적 조사로 실시하였다. 환자의 성별, 나이, 체중, 키를 조사하였고 공통적으로 99mTc-MAG3 신장 스캔을 시행하여 사구체 여과율을 측정하였고 24시간 소변을 수집하였으며 동일한 시기에 혈액 체취를 시행하여, 크레아티닌 청소율, 혈청 크레아티닌과 cystatin C를 이용한 추정식을 통해 사구체 여과율을 측정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version 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1) 최종적으로 연구에 포함된 환자는 남자 63명, 여자 40명이었고, 나이는 0세부터 20세까지였으며 평균나이는 각각 7.12±5.52세, 8.25±4.92세였다. 2) 기저 신질환 별로 현미경적 혈뇨가 40례 (38.8%), 신증후군 23례 (22.3%), 수신증 20례 (19.4%), 요로감염 및 방광요관역류가 12례 (11.7%), Henoch-Schöenlein 자반증 신염이 4례 (3.9%), 기타 신질환이 4례 (3.9%)로 구성되었다. 3) 크레아티닌 청소율의 평균값은 131.26± 54.85 mL/min/1.73m2 이었으며, 크레아티닌 청소율과 99mTc-MAG3 신장 스캔을 이용한 사구체 여과율의 Pearson 상관 계수는 0.392 (p < 0.001)이었다. 크레아티닌 청소율과 각 추정식과의 상관성은 Schwartz식은 0.692 (p < 0.001), Counahan-Barratt식은 0.467 (p < 0.001), MDRD식은 0.026 (p = 0.795), Cockcroft-Gault식은 0.383 (p < 0.001), Filler and Lapage식은 0.323 (p = 0.001), Bokencamp식은 0.323 (p = 0.001), BUN/C는 -0.129 (p = 0.195)로 확인되었다. 99mTc-MAG3 신장 스캔을 기준으로 하여 혈청 크레아티닌을 이용한 Schwartz 식, Counahan-Barratt 식, MDRD 식, CG 식에 의한 사구체 여과율의 Pearson 상관 계수는 각각 0.266 (p = 0.007), 0.129 (p = 0.045), 0.217 (p = 0.029), 0.231 (p = 0.020)로 확인 되었다. 마찬가지로, 99mTc-MAG3 신장 스캔을 기준으로 하여 혈청 cystatin C에 의한 Filler and Lepage 식, Bokencamp 식의 상관 계수는 각각 0.357 (p < 0.001), 0.356 (p < 0.001) 이었다. 99mTc-MAG3 신장 스캔과 BUN/Cr 비를 비교하였을 시에는 상관계수가 0.060 (p = 0.551)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크레아티닌 청소율은 99mTc-MAG3 신장 스캔에 의한 사구체 여과율 측정법으로 대체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4) 사구체 신질환과 비사구체 신질환의 비교에서 99mTc-MAG3 신장 스캔에 의한 사구체 여과율은 유의한 정확성을 가졌다. 5) 환자군의 청소율에 따른 비교에서 90 mL/min/1.73m2 이하의 군에서의 평균 값은 61.73± 21.48 mL/min/1.73m2 이었고, 90 mL/min/1.73m2 이상의 군에서 154.74±40.91 mL/min/1.73m2 이었으며, 99mTc-MAG3 신장 스캔에 의한 사구체 여과율은 크레아티닌 청소율과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으나, 신기능이 저하된 군에서는 혈청 creatinine에 의한 사구체 여과율을 측정하는 방법이 신기능이 정상인 군에서는 cystatin C에 의한 사구체 여과율을 측정하는 방법이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 신기능을 검사하는 방법으로 24시간 소변을 수집하여 검사하는 크레아티닌 청소율과 혈청 크레아티닌과 cystatin C, 99mTc-MAG3 신장 스캔에 의한 사구체 여과율 간에는 유의한 상관성이 있으며 99mTc-MAG3 신장 스캔에 의한 사구체 여과율은 신질환의 기원과 신기능의 정상 여부 모두에서 크레아티닌 청소율을 대체할 수 있는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구체 여과율 감소와 구조의 이상을 확인하기 위해 정규적인 소변 수집과 혈액 체취, 영상의학적 검사와, 핵의학 검사를 모두 시행할 시에 시간과 비용의 낭비와, 방사성 물질의 위험도가 올라가는 점과, 24시간 소변의 수집의 신뢰도가 떨어짐을 고려할 때 99mTc-MAG3 신장 스캔을 이용하여 검사를 최소화한다면 시간을 줄이고, 비용을 절감할 뿐 아니라 편리하며, 빠른 결과를 얻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소변 배양 검사에서 균이 배양되지 않은 임상적 요로 감염 환아에서 99mTc-dimercaptosuccinic acid 신 스캔의 필요성

        이소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3263

        서론 : 소아에서의 요로감염은 비특이적인 증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고 소변 배양 검사만으로 확신하기 어려운 경우를 다수 접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요로감염이 의심되는 환아 중 소변 배양 검사에서 요로감염이 확진되지 않은 환아에서의 DMSA 신 스캔의 필요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5년 8월부터 2007년 10월까지 요로감염이 의심되어 건국대학교병원 소아과에서 입원 치료한 환아 중 DMSA 신 스캔을 시행한 64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상기 대상 환아를 소변 배양 검사에서 단일균이 10^(5)/mL 이상 배양되어 요로감염이 확진된 환아(Group 1)과 균이 자라지 않거나 자라는 경우 10^(5)/mL으로 배양되어 소변 배양 검사로는 확진이 되지 않은 환아(Group 2)로 나누어 임상 증상 및 혈액 검사, 소변 검사 결과와 신 초음파 검사, DMSA 신 스캔, 그리고 VCUG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대상 환아 64명 중 group 1 환아가 31명, group 2 환아가 33명이었다. DMSA 신 스캔에서 이상 소견을 보인 환아는 group 1과 group 2에서 각각 14명(45.2%)와 9명(27.2%)이었다. 그리고 VCUG 검사 결과 VUR이 진단된 환아는 group 1과 group 2에서 각각 13명(41.9%)과 8명(38.0%)이었다. 그리고 DMSA 신 스캔에서 이상을 보인 환아와 정상 소견을 보인 환아로 나누어 비교하였을 때, DMSA 신 스캔에서 이상 소견을 보인 환아에서 유의하게 높은 CRP 수치를 보였으며, 항생제 치료를 시작한 이후에도 더 오랜 기간 발열이 지속되었다. 결론 : 소아에 임상적으로 요로감염이 의심되는 경우에 요로감염에 준하여 혈액 검사, 소변 검사 및 추가적인 영상의학적 검사를 시행해야 하며, 특히 요로감염의 진단 및 신 반흔 여부 확인을 위하여 DMSA 신 스캔의 시행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Introduction: We study the necessity and accuracy of ^(99m)Tc-dimercaptosuccinic acid (DMSA) scan to diagnose the urinary tract infection (UTI) in children with suspected infection but with a negative urine culture.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 records of 64 patients with suspected or definite diagnosis of UTI presented to Konkuk university hospital between August 2005 and October 2007 were reviewed in this study. The children were divided into groups 1 and 2 based on their urine culture. Clinical, laboratory and radiological [DMSA scan, voiding cystourethrography (VCUG), ultrasonography (US)] finding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Of 64 patients, 31 had a definite diagnosis of UTI (Group 1) and 33 had suspected UTI without positive culture (Group 2). Abnormal findings on DMSA scan were seen in 14 patients (45.2%) in group 1 and 9 patients (27.2%) in group 2. Vesicoureteral reflux (VUR) was detected by VCUG in 13 patients (41.9%) and 8 patients (38.0%) in groups 1 and 2, respectively. The patients with abnormal DMSA scan findings were seen high C-reactive protein (CRP) level and prolonged fever after administration of intravenous antibiotics. Conclusion: In this study, in children with a negative urine culture and abnormal urinalysis, DMSA scan is useful to diagnose UTI and VUR. We recommend that DMSA scan should be performed despite of negative urine culture and a normal ultrasonography.

      • 소아기의 정상 혈청 콜레스테롤치에 대한 연구

        황규은 충남대학교 1991 국내석사

        RANK : 233263

        The measurement of serum total cholesterol was made in 1 month to 16 years of age group(total 1505, male 700, female 805) to know the normal value on each age and sex group, and incidence of hypercholesterolemia in childre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erum total cholesterol levels were 163.12±38.01㎎/㎗ in male, 165.69±38.24㎎/㎗ in female, and 164.40±38.12㎎/㎗ in both. 2) Serum total cholesterol levels show significantly low in 1 month to 1 year of age groups and high in 10 to 12 years of age group. 3) In each sex group, there was the highest level in 10 to 11 years of age group in female and in 11 to 12 years of age group in male. 4)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serum total cholesterol level and body percentile for age. 5) The incidence of hypercholesterolemia was as follows : over 220㎎/㎗ in14.8%, over 250㎎/㎗ in 8.5%, and over 270㎎/㎗ in 2.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