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여성복 브랜드의 치수설정을 위한 연구

        오설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논문은 여성복 브랜드의 소비자 특성에 적합한 치수 계획을 수립하기 위하여 생산자 측면에서는 사용하고 있는 치수규격의 문제점을 조명해 보고, 소비자 측면에서는 기성복 치수 불만족 요소를 파악함으로써, 브랜드의 특성에 맞는 합리적인 치수를 설정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적인 유통체계를 갖춘 27개의 여성복 업체를 대상으로 생산하고 있는 치수현황을 조사하였고, 18-59세의 성인여성 383명을 대상으로 여성복 치수에 관련된 소비자의 태도를 설문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여성복의 치수현황을 조사한 결과 브랜드 컨셉에서 설정한 연령과 해당 브랜드의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의 연령간에는 차이가 있었으며, 피팅모델의 연령이 해당 브랜드의 소비자 연령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여성복 치수 적합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피팅모델의 신체치수를 조사한 결과 각 브랜드의 소비자 평균 체형에 비해 너무 마른 체형으로 나타났으며 이로 인해 피팅의 정확도가 떨어질 것으로 지적되었다. 생산하고 있는 의류 치수의 종류는 브랜드의 타겟 연령과 의류품목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 타겟 연령이 증가할수록 생산하는 치수의 범위가 넓게 나타났으며, 맞음새가 중요한 의류품목 일수록 생산하는 치수의 종류가 더 많았다. 의류품목의 치수별 생산비율은 브랜드의 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 타겟 연령이 높아질수록 큰 치수에 대한 생산비율이 증가했다. 또한 업체에서 생산하고 있는 각 생산호칭과 이에 대응하는 실제 신체치수를 조사한 결과 서로 다르게 나타나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의류구매시의 주요 수선내용은 의류품목에 따라 달랐으며 자켓과 바지의 길이 수선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성인여성 소비자들이 자신의 체형으로 인지하고 있는 체형은 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20대에는 자신이 균형 잡힌 체형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30대부터 허리가 굵다거나 엉덩이가 크다고 인식하는 경향이 크게 증가하였다. 체형에 따라 선호하는 맞음새 및 각 의복부위에 대한 만족도는 다르게 나타났다. 브랜드의 타겟 연령이 높을수록 소비자의 평균연령은 높게 나타났으며, 브랜드의 제품가격이 높을수록 소비자의 평균연령이 높았다. 브랜드 타겟 연령이 증가할수록 여유있는 맞음새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나이가 든 소비자들이 젊은 연령보다 더 여유있는 품을 착용하는 경향이었다. 브랜드의 타겟 연령과 그 브랜드를 선호하는 소비자의 연령이 항상 일치하지는 않아 자신의 실제 연령보다 더 젊은 브랜드를 선호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자신의 연령과 선호 브랜드의 연령이 일치하지 않는 집단은 치수에 대해 불만족이 컸고 자신의 신체치수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복 수선, 의복 부위별 치수 만족도, 기성복이 잘 맞지 않는 이유 등을 조사한 결과 소비자의 치수 불만은 하의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엉덩이 부위에 대한 치수 적합성 부족이 지적되었다. 착용하는 의류치수의 실태 조사결과 소비자들은 아직까지도 구호칭을 통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착용하는 의류치수의 범위가 넓게 나타나는 경향이었다. 3. 본 연구결과 국내 여성복 브랜드 제품의 치수 적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피팅모델의 체형 및 연령이 소비자들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도록 조절해야 하며, 30대 이후에 일어나는 허리선의 굵어짐과 엉덩이 부위의 치수변화에 의한 소비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치수 규격을 다양하게 전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브랜드의 타겟연령이 20대이더라도 실제 해당 브랜드를 선호하는 소비자의 연령은 20대에서 30대까지 넓게 분포하고 있어, 브랜드의 감성이 20대를 지향하는 경우 20대 뿐만 아니라 30대를 위한 치수를 생산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t the reasonable size for female garments, suitabl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brand. Additionally,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fitness of ready-to-wear clothes for adult females in order to set up an appropriate size plan fo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brand. For this purpose, from the standpoint of the manufacturers, the problems of the size standards that have been used are considered. Further, from the standpoint of the consumers, the attributable factors for size dissatisfaction of ready-to-wear clothes is acknowledged. To achieve this, the present status of sizes manufactured by 27 female garment industries was researched and the general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regarding sizes was introduced among the adult females from the ages of 18 through 59.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age groups in brand concept and that of consumer purchasing of that brand item. The ages of fitting models usually does not agree with that of the consumers of the designated brands, and therefore it negatively affects the appropriateness of the sizes of ready-made clothes. In particular, the physique of fitting models was too slender compared to the average physique of consumers for each brand and as a result, the accuracy of fitting decreased. The sizes of the garment manufactured varied according to the targeted age group of the brand, as well as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garment items. As the targeted age group increases, the boundary of the sizes manufactured widens. There are more variable sizes of clothing in which fitting is critical. The production ratio of the size of the garment items varied depending on the targeted ages of the brand and the ages of the actual consumer. As the target age group ages, the production ratio in the larger sizes increase. Also,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garment size manufactured and the actual compatible physique, and that was pointed out as a problem. As for the major alteration points in the garment, there is a difference in frequency of alteration depending on the items. The alteration in the length of jackets and pants was the most frequent. 2. As an analysis of the survey among 383 adult females, the body type acknowledged by the consumer was different according to age, and the preferred fit differed in accordance with the body type. Consumers in their twenties tend to recognize themselves as being of a balanced body type, while consumers in thirties and over tend to recognize themselves with fat waists or big hip sizes. Satisfaction with the parts of the garment varied. As the targeted age increases, the average age of the consumer increases and as the price increases, the age of those consumers preferring that brand increases. As the targeted age for the particular brand increases, there was a preference for loose fitting clothes, which showed the aging of the customers. The targeted age for the brand does not always accord with the age group of the customers who prefer the brand. People tend to prefer the brands for younger people and if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age and the ages of those showing a preferential brand, the group has more dissatisfaction for the size and they become more interested in their actual physique. After investigating garment alterations, size satisfaction with the garment, and the reason for poor fit in ready-made clothes, the consumers' dissatisfaction factor was with the lower area of the clothing and especially the appropriateness of hip size was pointed out. For the actual size worn by the customers, they generally used the old-fashioned size scale and that varied according to age group. As the age increases, the size range worn by the customers widens. 3. As a result of this study, in order to improve the appropriateness, the body type and age of fitting models should be controlled not to have many discrepancies from those of practical consumers. And also, The standards of sizes should be varied to resolve the inconvenience resulting from the size change of waist line and hip sizes of consumers over thirty. Though the target age is those in their twenties, the ages of practical consumers that prefer such brands are distributed from the twenties to thirties. So, it is desirable in case the brand targets the twenties, the size for thirties as well as twenties are produced for improvement of the appropriateness of sizes.

      • 중국의류산업에서 개인Guanxi(關係)가 조직관계유형, 질 및 유통경로성과에 미치는 영향 : 제조업체와 유통업체 중심으로

        문영옥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8719

        Amid a range of planned economy and market economy, corporate governance is complicated in China. Furthermore, global competition among apparel manufactures and distributors is keen. Guanxi is a special phenomenon caused by a fusion of western relationship marketing and Chinese relationship marketing from different cultural institutional conditions. Guanxi plays an important role in Chinese business and contributes to gain an edge in relationship competitive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classify private Guanxi and organizational relationship type between apparel manufactures and distributors in China, 2) to find effects of private Guanxi on organizational relationship, quality of organizational relationship, and performance of distribution channel, and 3) to also find differences in private Guanxi and organizational relationship according to enterprise type and the class of participations´ position. Apparel manufacturers and distributors in China participated in the study. Random sampling method was used to collect the data, from April to May of 2008 based on annual sales and the number of employees in 2007. The sample frame was drawn from members of China Fashion Association. A surve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for the empirical study. Scales measuring private Guanxi (14 statements) were developed based on prior researches (Lau et al., 2005; Song & Ko, 2006; Wang & Chen, 2004; Yang & Cheng, 2003). Scales measuring organizational relationship type (16 statements) were developed based on prior researches (Kim, 2002, Kim & Oh, 2006; Shi, 2007). Scales measuring quality of organizational relationship (16 statements) were developed based on prior researches (Anderson & Narus, 1990; Moorman et al., 1993, Morgan & Hunt, 1994). All statements were measured on a five-point Likert type scales. Data from 173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coefficient,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1.0 was conduc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actor analysis resulted in following two factors of private Guanxi: affective Guanxi (α = .75) and instrumental Guanxi (α = .76). Affective Guanxi is defined that manufactures (distributors) make sacrifices and care for distributors/manufactures and they genuinely enjoy interacting each other. Instrumental Guanxi represents manufactures/distributors’ tendency to be clear about public and privateness in their business. Three factors of organizational relationship type: opportunistic relationship (α = .65), cooperative relationship (α = .68), and vertical relationship (α = .61) were identified by factor analysis. Opportunistic relationship represents manufactures/distributors’ tendency of opportunistic behavior at each other’s expense and has instability in their business. Cooperative relationship deals with manufactures/distributors’ pursuit of common goals and mutual interest and shows less opportunism in their relation. Vertical relationship represents manufactures/distributors’ tendency of acting power superiority according to manufactures/distributors’ capital, size, and capability. The sixteen statements scale of quality of relationship exhibited high reliability (α = .86). The effects of private Guanxi on opportunistic relationship (F = 22.63, p < .001), cooperative relationship (F = 38.17, p < .001), and vertical relationship (F = 22.48, p < .001) in terms of organizational relationshi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ffective Guanxi was positively effected on cooperative relationship (β = .55, p < .001) and vertical relationship (β = .21, p < .01) but negatively effected on opportunistic relationship (β = -.16, p < .05). Instrumental Guanxi was positively effected on opportunistic relationship (β = .45, p < .001) and vertical relationship (β = .37, p < .01). The effects of private Guanxi on quality of organizational relationship (F = 24.45, p < .001)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able 2). Affective Guanxi was positively effected on quality of organizational relationship (β = .43, p < .001). Therefore, the more manufactures and distributors get close, the more quality of organizational relationship increases in Chinese apparel industry.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relationship on quality of organizational relationship (F = 16.85, p < .001)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operative relationship (β = .34, p < .001) and vertical relationship (β = .23, p < .01) was positively effected on quality of organizational relationship. Therefore, quality of organizational relationship increases when manufactures and distributors have the same goal and power and tend to have long-term relationship. The effects of private Guanxi on non-financial performance (F = 23.30, p < .001) and financial performance (F = 11.99, p < .001) in terms of performance of distribution chann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ffective Guanxi was positively effected on non-financial performance (β = .45, p < .001) and financial performance (β = .20, p < .001). Instrumental Guanxi was positively effected on financial performance (β = .25, p < .001) only.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relationship on non-financial performance (F = 17.07, p < .001) and financial performance (F = 6.92, p < .05) in terms of performance of distribution chann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operative relationship in terms of organizational relationship was positively effected on non-financial performance (β = .49, p < .001) and vertical relationship was positively effected on financial performance (β = .26, p < .05). The effects of quality of organizational relationship on non-financial performance (F = 107.50, p < .01) and financial performance (F = 78.8, p < .001) in terms of performance of distribution chann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Quality of organizational relationship was positively effected on non-financial performance (β = .62, p < .001) and vertical relationship was positively effected on financial performance (β = .56, p < .001). T-test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ffective Guanxi (t = 5.28, p < .001) in terms of private Guanxi according to enterprise type (i.e., manufactures and distributors). It is indicated that distributors regard affective Guanxi as important more than manufactures. T-test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ffective Guanxi (t = 5.38, p < .001) and instrumental Guanxi (t = 4.92, p < .001) according to the class of participations´ position (i.e., employees and presidents). It is indicated that employees regard affective Guanxi and instrumental Guanxi as important more than presidents. T-test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operative relationship (t = 5.64, p < .001) in terms of organizational relationship according to enterprise type (i.e., manufactures and distributors). It is indicated that distributors regard cooperative relationship as important more than manufactures. T-test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operative relationship (t = 3.93, p < .001), opportunistic relationship (t = 3.08, p < .001) and vertical relationship (t = 3.31, p < .01) according to the class of participations´ position (i.e., employees and presidents). It is indicated that employees regard organizational relationship as important more than president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ggestive of private Gunxi effects on organizational relationship and quality of organizational relationship in Chinese apparel industry. It may give valuable information to retail merchandisers and strategists who participated in fashion business in China. In addition, manufactures and distributors have to continue affective Guanxi in terms of private Guanxi, cooperative and vertical relationship in terms of organizational relationship more steadily in order to enhance quality of organizational relationship. 현재 계획경제와 시장경제가 혼재해 있는 중국의류산업은 시장환경이 불안정하고 소유구조가 복잡하며 시장이 글로벌화함에 따라 기업경쟁이 치열하다. Guanxi는 서구적인 관계마케팅이 중국이라는 서로 다른 문화제도적인 조건과 접목하여 나타내는 특수한 현상으로서 중국비즈니스에서 중요한 작용을 일으키는 마케팅변수이다. Guanxi가 경쟁우위를 창조하는데 적극 기여함에 따라 중국 본토에서 상황조건에 어울리는 방법으로 이를 적용시켜는데 필요한 Guanxi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Guanxi를 관계마케팅과 차이가 있다고 보고 중국 의류제품유통경로에서 제조업체와 유통업체간 개인Guanxi의 구체적인 유형과 조직관계의 구체적인 유형을 파악하였다. 구체적인 Guanxi의 유형이 조직관계의 질과 유통경로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으며 업체유형과 직급에 따라 Guanxi의 유형이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중국의류산업 제조업체와 유통업체이며 중국 북경 중연 국제 유행브랜드관리 및 컨설팅회사(中硏國際時尙品牌管理咨洵集團)에 조사를 의뢰하였다. 자료수집은 설문지 조사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중연회사의 회원사 리스트에 있는 업체 중 중국의류협회에 등록이 되어 있고 매출, 종업원 수 등 면에서 규모를 갖추고 있는 의류제조업체와 유통업체를 대상으로 단순 무작위표본 추출방법을 활용하여 표집하여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하고 총173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개인Guanxi의 유형과 조직관계의 유형, 조직관계의 질, 유통경로성과는 5점 리커트 척도로 측정하였고, 응답자개인과 연구대상조직의 일반적 특성은 자율기술형으로 측정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Guanxi의 유형과 및 유통경로성과의 차원을 분류하기 위하여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응답자개인과 연구대상조직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서는 빈도와 백분율을 통해 분석하였다. 업체유형이나 직급에 따라 개인Guanxi유형과 조직관계유형이 보이는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T-test를 진행하였고 개인Guanxi의 유형과 조직관계의 유형이 조직관계의 질이나 유통경로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개인Guanxi의 유형은 감정적인 개인Guanxi와 도구적인 개인Guanxi로 나누어졌다. 감정적 개인Guanxi는 상대방의 수요가 있으면 보답을 바라지 않고 호의를 베풀어 주는 거래원칙을 지키며 서로 호형호제하는 깊은 감정몰입의 관계를 나타냈다. 도구적Guanxi는 공과 사가 명확하며 자기중심적이고 시작부터가 대가성적인 특징을 갖고 있는 관계이다. 조직관계의 유형은 협력적 관계, 시장적 관계, 수직적 관계로 나뉘어졌다. 협력적 조직관계는 공동의 목표나 상호이익을 추구하고 업무에 상호 협력적이며 기회주의 요소가 적은 관계를 나타냈고 시장적 조직관계는 기회주의 경향이 많고 관계에 대한 통제가 어려우며 불안정한 특징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직적 조직관계는 자원이나 능력, 규모의 차이로 관계에서 힘의 우위가 작용하고 기회주의 경향이 높은 특징을 나타냈다. 개인Guanxi의 유형이 조직관계유형에 미치는 영향은 감정적 개인Guanxi는 협력적 조직관계에 정의 영향을, 시장적 조직관계에는 부의 영향을, 수직적 조직관계에는 정의 영향을 미쳤다. 도구적 개인Guanxi는 시장적 조직관계와 수직적 조직관계에 정의 영향을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감정적 개인Guanxi는 조직관계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는데 이는 제조업체와 유통업체간 가까운 사이일수록 만족이나 신뢰가 증가함으로써 조직관계의 질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협력적 조직관계와 수직적조직관계도 조직관계의 질에 정의 영향을 미쳤는데 이는 제조업체와 유통업체간 공동의 목표와 장기적인 비전이 있을수록, 전문능력이나 파워가 있을수록 조직관계의 질이 향상됨을 나타낸다. 셋째, 감정적 개인Guanxi는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적 성과에 모두 정의 영향을, 도구적 Guanxi는 재무적성과에만 정의 영향을 미쳤다. 협력적조직관계는 비재무적성과에, 수직적조직관계는 재무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조직관계의 질은 재무적성과와 비재무적 성과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업체유형에 따라서는 협력적 조직관계유형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직급에 따라서는 협력적 조직관계, 시장적 조직관계, 수직적 조직관계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Guanxi의 개발 및 발전전략에 있어 업체유형이나 직급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많이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로부터 Guanxi는 기업의 경쟁우위를 확보하고 경로전체 발전의 중요한 동력으로 활용할 수 있는 중요한 마케팅변수로서 Guanxi유형에 대한 파악과 조직관계의 질이나 경로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자료가 제조업체와 유통업체간 관계관리 전략에 있어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음을 기대한다.

      • 패션상품 소비자의 관여도와 의류광고효과과정에 관한 연구

        이종명 숙명여자대학교 2001 국내박사

        RANK : 248719

        본 논문의 목적은 패션상품 소비자에게 영향을 주는 관여도를 복합적인 유형에서 의복관여도, 광고관여도, 상황관여도로 구성하여 관여도의 특성을 밝히고, 의류광고효과과정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을 규명함으로서 기존고객을 더욱 확고하게 유치함과 동시에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에 맞는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기 위한 효과적인 광고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의복관여도, 광고관여도, 상황관여도의 분포 특성과 상관관계를 밝히고, 관여 집단을 다차원적으로 재구성하여 그 특성을 규명한다. 둘째, 관여도의 하위차원을 밝히고 하위차원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한다. 셋째, 지각과정의 하위차원과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의류광고효과과정의 차이를 규명하고 각 과정간의 영향력 및 상관관계를 밝힌다. 넷째, 의류광고효과과정에 대한 단계별 관여 집단의 반응을 분석한다. 다섯째, 패션상품 소비자의 관여도와 의류광고효과과정을 경로모형화하여 전체적인 영향력과 관련성을 도출한다. 연구의 내용은 이론적 연구와 실증적 연구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이론적 연구는 관여도를 복합적인 유형에서 의복관여도, 광고관여도, 상황관여도로 구분하여 살펴보고, 지각과정, 기억과정, 태도과정, 구매행동과정으로 이어지는 의류광고효과과정으로 구성하였다. 실증적 연구는 이론적 연구를 기초로 3차례의 예비조사를 거쳐 척도를 구성하고 설문지법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수도권에 거주하는 20대에서 30대까지의 여성을 대상으로 편의 추출하였으며 2000년 8월 3일부터 8월 19일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618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의 자료는 SPSS 7.5 windows를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자료 분석방법으로는 빈도, 백분율, 기술통계, 요인분석, 분산분석, 던컨 검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적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상품 소비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관여도는 의복관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광고관여도, 상황관여도 순으로 나타났다.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관여도의 차이는 결혼여부, 연령, 학력, 직업, 월평균 의복비 지출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복관여도는 미혼이고 21세-25세의 연령층과 대학원이상의 학력을 가진 집단이, 광고관여도는 미혼이고 18세-20세의 연령층과 대학생집단, 상황관여도는 미혼이고 21세-25세, 대학생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관여도의 성향에 따라 집단을 유형화한 결과, 최고 관여 집단, 고관여 성향 집단, 저관여 성향 집단, 최저 관여 집단으로 유형화되었다. 관여도의 하위차원은 요인분석 결과, 의복관여도는 관심, 즐거움 및 상징성, 유행, 위험지각의 4개 차원, 광고관여도는 사회적 관여도, 이미지 관여도, 실리적 관여도의 3개 차원, 그리고 구매상황은 구매시점 상황, 점포 및 인적 배경, 경제 및 관리성, 지불 여건의 4개 차원으로 밝혀졌다. 이상의 관여도 하위차원들간에는 대부분의 요인간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과정의 관련변인은 품질지각, 위험지각, 가치지각으로 분류되었으며 품질지각은 유용성 품질, 외관성 품질, 성능성 품질의 3개 차원으로 밝혀졌고 위험지각은 경제적 위험, 성과적 위험, 관리적 위험, 사회적 위험의 4개 차원으로 밝혀졌다. 넷째,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라 의류광고효과과정의 지각과정, 기억과정, 태도과정, 구매행동과정에 차이가 있었다. 지각과정은 미혼이 기혼보다, 18세-20세의 연령층과 대학생집단이 의류광고의 제품을 구매하려 할 때 위험을 높게 지각하며 월평균 의복비 지출이 30-35만원 미만인 집단이 품질과 가치를 가장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억과정은 미혼이 기혼보다, 18세-20세의 연령층과 대학생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기억율이 매우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광고태도는 직장여성의 광고태도가 가장 비호의적으로 나타났으며 상표태도는 인구통계적 특성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류광고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는 월평균 의복비 지출이 25-30만원 미만인 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의사결정과정에 있어서는 직장인 집단이 광고 매체에 대한 영향을 가장 적게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의류광고효과과정 관련 변인간의 영향력은 품질지각과 위험지각, 가치지각은 모두 광고태도와 상표태도, 기억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억과정과 태도과정은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나 의류 광고를 잘 기억할수록 의류광고와 상표에 대하여 더 호의적인 태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고태도와 상표태도는 구매행동과정의 모든 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억과정은 구매행동과정에 있어 캐주얼웨어 광고에 대한 기억이 구매의도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의류광고효과과정에 대한 관여 집단의 반응을 살펴본 결과, 관여도가 높은 집단일수록 지각과정, 기억과정은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태도과정은 호의적으로, 구매의도는 높게, 의사결정과정에 있어서도 광고매체의 영향을 매우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의류광고효과과정의 대부분 관련변인에서 고관여 성향 집단과 저관여 성향 집단이 동질집단의 성격이 강하게 나타났다. 광고매체별 영향은 모든 관여 집단이 잡지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았으며 TV, 신문, 라디오 매체 순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패션상품 소비자의 관여도와 의류광고효과과정에 대한 경로모형을 분석한 결과, 관여도와 의류광고효과과정간에는 일부 변인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관련 변인간에 정적인 직접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나 서로 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of involvement which affect to consumers of fashion market, and at the viewpoint of complex style, this involvement is consists of clothing involvement, advertising involvement and situation involvement, also by verifying the consumers reaction to the effect process of clothing advertising, it will firmly detain existent customers and is to build effective advertising strategy which is satisfying the various requirement from consumers for new market developmen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s; 1. To show the distributive characteristics and correlation among the clothing involvement, advertising involvement and situation involvem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volvement groups by multi-dimensional reconstructing. 2. To show the lower dimension of involvement and the correlation of related factors. 3. To show the difference among the lower dimension of effect process of clothing advertising and the difference of effect process of clothing advertising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 of vital statistics, also the influence and correlation of each dimensions. 4. To analyze the reaction of involved group at each steps for the effect process of clothing advertising. 5. To extract the total influence and relation by process modeling between the involvement of fashion consumers and the effect process of clothing advertising.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both theoretical and empirical research as parallel and randomly selected women who live in Seoul or the Capital region and aged 20~30S were surveyed from Aug.03 to Aug.19 2000, and total 618 sheets were analyzed. SPSS package Were used to analyze the gathered data. Frequency, Percentage, Fator Analysis, ANOVA, Duncan test,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clothing involvement was the highest involvement of fashion consumers and it showed high correlation among each involvement. As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in the lower dimension of involvement, clothing involvement is consist of 4 dimensions those are interest, enjoyment and symbolism, fashion, danger perception; advertising involvement is consist of 3 dimensions those are social, image, practical; purchasing situation is situation of purchasing timing, shop and human environment, economy and managing, payment condition. Most of factors in above lower dimension involvements has a static relationship each other. 2. In the process of perception, the perception of quality is consist of 3 dimensions those are usefulness, appearance, ability and the perception of danger is consist of 4 dimension those are economic danger, outcoming danger, managing danger, social danger 3. Depends on the nature of involvement, involvement group is divided as the most involvement, high involvement, low involvement and the most lowest involvement groups. And the most highest and the most lowest involvement group showed strong homogeneous characteristics. 4. Involvement and advertising effect showed highly static relationships, and the higher involvement group has high perceptive process and memory progress, friendly attitude process, and purchasing intention is high, affects of purchasing behavior is higher than lower involvement group at the effect of advertising media. At all the groups, the effect of advertising media shows its higher affection as magazine, TV, newspaper and radio in order. 5. Since memory process and attitude process shows high correlation each other, we can see that the higher memory for clothing advertising, the more familiar at advertising and brand attitude. 6. In the vital statistics view, unmarried group, aged 21-25s and college students group showed friendly reaction through the whole process of advertising, but a working group showed the lowest reaction.

      • Self-monitoring에 따른 노년기 여성의 자기이미지와 의류제품평가에 관한 연구

        유강희 숙명여자대학교 2001 국내박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새로운 구매집단으로 떠오르는 여성 노년기를 대상으로 노년기 소비자들의 심리적 측면과 의류제품평가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첫째, 노년기 여성의 자기이미지와 의류제품 지각의 차원을 규명하는 것이다. 둘째, 노년기 여성 소비자들의 셀프 모니터링에 따른 인구통계적 특성, 자기이미지와 의류제품 지각의 특성간의 차이를 밝히는 것이다. 셋째, 노년기 여성의 의복 착용 상황에 따른 상표 유형별 자기이미지, 상표이미지, 의류제품 평가의 차이를 규명하는 것이다. 넷째, 노년기 여성의 착용 상황과 셀프 모니터링에 따른 의류제품 평가의 경로를 밝히는 것이다. 노년기 여성의 셀프 모니터링에 따른 자기 이미지가 의류 제품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그 경로를 밝히므로 효율적인 표적시장 접근을 위한 시장 세분화 변수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실증적 연구에서는 설문지 조사법을 사용하였다. 예비조사 실시 후 서울과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노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2001년 3월 5일-2001년 3월 15일에 걸쳐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의 분석에 사용된 표본은 594명이었다. 본 연구의 대상 품목은 외출복이며 착용상황의 구분에 따라 사적상황의 간편복과 공적상황의 예복으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노년기 여성의 자기이미지와 의류제품평가에서 노년기 여성의 실제적 자기이미지, 예복의 상황적 자기이미지, 간편복과 예복의 상표 이미지의 차원은 활동적인 이미지, 현대적인 이미지, 고상한 이미지, 젊어 보이는 이미지의 4차원으로 밝혀졌다. 노년기 여성의 간편복의 상황적 자기이미지의 차원은 활동적이고 현대적인 이미지, 고상한 이미지, 젊어 보이는 이미지의 3차원으로 밝혀졌다. 노년기 여성의 의류제품 품질 지각은 간편복과 예복 모두 외관성과 유용성의 2차원으로 밝혀졌다. 2, 노년기 여성의 셀프 모니터링 수준과 인구통계적 특성과의 관련면에서 셀프 모니터링 수준과 인구통계적 특성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셀프 모니터링 수준이 높은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연령이 낮고 교육수준이 높으며 월평균 총수입과 의복 지출비도 많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들은 경제적 수준이 높은 편이었으며 여가 선용 장소로는 백화점의 문화센터를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노년기 여성의 셀프 모니터링 수준에 따른 자기이미지의 분석한 결과 연령별차이는 60대보다 50대에서 더 유의하게 나타났다. 셀프 모니터링 점수의 평균이 60대가 5.88인데 비해 50대의 평균은 7.68로 높게 나타났으며, 50대에서 셀프 모니터링 수준에 따른 실제이미지와 상황이미지의 집단간의 차이가 분명히 나타났다. 이로써 셀프 모니터링 수준과 자기이미지의 관계는 연령과 관련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노년기 여성들은 셀프 모니터링 수준과 관계없이 의복 착용시 전반적으로 고상하고 젊어 보이는 기본적인 욕구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노년기 여성의 셀프 모니터링에 따른 자기이미지와 의류제품 지각의 특성간의 차이에서는 셀프 모니터링 수준이 높은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전반적으로 실제 자기이미지를 보다 활동적이며 현대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상황에 따라 추구하는 자기이미지의 수준도 높게 나타났다. 또한 셀프 모니터링 수준이 높은 사람들은 사교적이고 적극적으로 보이길 원하고 타인과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길 원하며 상황 대처 능력이 뛰어난데 반해 셀프 모니터링 수준이 낮은 사람들은 상황에 대한 적응력이 낮고 외부 환경보다 자신의 가치관 등에 의해 의복 행동을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셀프 모니터링 수준이 높은 사람들은 낮은 사람들보다 유명 상표의 선호도가 높고 간편복의 상황과 예복의 공적상황에 따라 각각의 유용성과 외관성을 중시하는 뚜렸한 점수차를 보임으로 의복의 품질 지각의 중요도를 달리 인식하고 있었다. 4. 노년기 여성의 의복착용 상황에 따른 상표 유형별 자기이미지, 상표이미지, 의류제품평가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간편복의 경우 외국 유명 상표를 선호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실제 이미지를 더 활동적이고 현대적이고 고상하며 젊어 보이게 평가하고 있고 간편복을 입는 상황에서도 동일하게 보이기를 원하며 그들이 선택하는 상표의 이미지도 역시 같은 이미지임을 알 수 있다. 또 이들은 의류제품의 외관적인 면과 실용적인 면의 품질지각을 더 높게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예복의 경우 외국 유명 상표를 선호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실제 이미지를 더 세련되게 평가하고 있고 예복을 입는 상황에서 활동적이고 현대적이며 고상하고 젊게 보이기를 원하며 그들이 선택하는 상표 역시 비슷한 이미지임을 알 수 있었다. 또 이들은 의류제품의 외관적인 면과 실용적인 면의 품질 지각과 제품의 가치를 더 높게 평가하고 있고 이는 구매의도로 이어짐을 알 수 있었다. 5. 노년기 여성의 착용상황과 셀프 모니터링에 따른 의류제품 평가의 경로분석결과 실제적 이미지와 상황적 이미지는 품질지각이나 가치지각을 거쳐 구매의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셀프 모니터링 수준이 낮은 사람들의 간편복의 구매의도에 대한 영향력을 볼때 상황적 자기이미지에서는 고상한 이미지, 의류제품 품질지각에서는 외관성과 가치지각이 정적인 영향력을 나타냈고 예복의 구매의도에 대한 영향력을 볼 때 의류제품 품질지각과 가치지각 모두 정적인 영향력을 보였다. 셀프 모니터링 수준이 낮은 집단은 착용 상황이 변하여도 구매의도에 영향을주는 변인의 변화가 거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셀프 모니터링 수준이 높은 사람들의 간편복의 구매의도에 대한 영향력을 볼때 의류제품 품질지각에서 외관성과 유용성, 그리고 가치지각이 정적인 영향력을 나타냈고 예복의 구매의도에 대한 영향력을 볼 때 실제적 자기이미지에서는 고상한 이미지, 상황적 자기이미지에서는 현대적 이미지, 의류제품 품질지각 에서는 유용성과 가치지각이 정적인 영향력을 미쳤다. 이상의 결과로써 노년기 여성 소비자의 의류제품 평가 경로 모형은 품질지각과 가치지각만이 구매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고 셀프 모니터링과 자기이미지는 품질지각과 가치지각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This thesis is about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evaluation of clothing products and psychological aspect of elderly female consumers who are emerging into a new cashing power group.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elf-image of elderly female class and the perceptional dimension of clothing products. Second, it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 differences of self-image, characteristic of census by self-monitoring of elderly female consumer and the perception of clothing products. Third, it is to distinguish the differences between evaluation on clothing products, brand image and self-image by the brand types that relates to situational wear of elderly female class. Fourth,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urse of clothing product evaluation by self-monitoring and the situational wear of elderly female class. It is to find out that self-image, through self-monitoring by elderly female class, has effect on factor and its course to selecting the clothing product. Furthermore, this study intends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itemized variables of clothing market and efficient approach of target market for self-image. Questionnaire was used in factual research. After carrying out the preliminary survey, subjects used for survey, performed on March 5, 2001 through March 15, 2001, were elderly females who live in Seoul and nearby metropolitan area. The number of subjects used for data analysis was 594 respondents. The selected item for this study was an outfit. By classifying situational wears, the study was divided into informal situation (casual wears) and formal situation (formal wears). The results of above study are as follows: 1. In self-image of elderly female class and clothing product evaluation, the dimension of actual self-image of elderly female the situational self-image of formal wears and the brand image of casual wears and formal wears can be categorized as four dimensions; active image, modern image, elegant image and youthful image. The dimension of situational self-image of casual wears is identified as three dimensions; active and modern image, elegant image and youthful image. The perception of clothing product quality is found as two dimensions in appearance and usefulness of casual wear and formal wear. 2. In relation to self-monitoring level of elderly female and characteristic of census, there are noticeable differences. People with high level of self-monitoring are usually younger than people with low level of self-monitoring and have a high level of education, and earn more monthly income and spend more on clothing. It is noticeable that these people have higher financial standard and often use cultural center at department stores to make a use of spare time. 3. In result of analyzing self-image by self-monitoring level of elderly female, there is a noticeable differences in ages especially more in fifties than sixties. The average points of self-monitoring in fifties shows 7.68 compare to 5.88 in sixties. It is found that there are distinctive differences in-group of situational image and actual image by self-monitoring level in fifties.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monitoring level and self-image has a high relevance in age. Also, the elderly females have fundamental desire to be looked elegant and young in general when they wear clothes regardless of self-monitoring level. In the characteristic differences of clothing product perception and self-image by self-monitoring of elderly female, people with high level of self-monitoring generally cognize their actual self-image as more active and modern than people with low level of self-monitoring. It is also shown that their pursuit level of situational self-image is also higher than others. People with high level of self-monitoring intend to be more sociable, positive and want to maintain a close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have ability to cope with situation well. On the contrary, the people with low level of self-monitoring can not adjust to circumstance and rely on their value for clothing behavior not by surrounding environment. Also, people with high level of self-monitoring have higher preference of famous brand than people with low level of self-monitoring. It shows the differences clearly that they value much of appearance and usefulness of situation of casual wears and formal situation wears. They understand differently importance of quality perception of clothes. 4. In result of finding out the differences of self-image by brand type in formal wear situation, brand image and clothing product evaluation, people who prefer famous foreign brand for casual wears classify their actual image as more active, modern, elegant and youthful. They also want to have an identical image even dressed in casual wear situation and the brand they choose. It is found that they set a high value on appearance such as design and color of clothing product, practical aspect and product value. People who prefer famous foreign brand for formal wear have generally higher mark than those who prefer local famous brand or generic brand do. They also classify their actual self-image as more modernized and they want to be acknowledged as active, modern, elegant and youthful in a situation of dressed in formal wears. The brand they chose has a similar image. In addition, they set a high value on appearance such as design and color of clothing product, practical aspect and product value, and furthermore this lead them to purchasing intent. 5. In result of evaluating the course of clothing products by self-monitoring and situational wears of elderly female, it is found that actual image and situational image can influence indirectly to purchasing intent through perception of quality and value. It shows that elegant image in situational self-image, appearance in quality perception of clothing product and value perception have passive influence in regard to influence for purchasing intent of casual wears by the people with low level of self-monitoring. In addition, the quality perception of clothing product and value perception has passive influence over purchasing intent of formal wears. It is noticeable that there are nearly no changes in variable which effect to purchasing intent, though the group of people with low level of self-monitoring change the situational wears. It shows that appearance and usefulness in quality perception of clothing product, and value perception have passive influence in regard to influence for purchasing intent of casual wears by the people with high level of self-monitoring. Also elegant image in actual self-image, modern image in situational self-image, usefulness in quality perception of clothing product and value perception have passive influence over purchasing intent of formal wears. In conclusion, it is found that the pattern on course of clothing product evaluation of elderly female consumer have direct influence over purchasing intent in perception of quality and value. The self-monitoring and self-image have indirect influence through perception of quality and value.

      • 인견 천연염색을 활용한 중년 여성의 친환경 의류제품 개발

        서태순 안동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19

        It is purposed to develop the functional clothing for middle-aged women by confirming the eco-friendly functional efficacy about the menopausal syndrome of middle-aged woman by using the artificial silk materials such as naturally dyed polygonum indigo and schizandra which are nature friendly and are naturally dyed materials with physiological and pharmacological functions. It was tried to develop the designs for summer clothes by which the middle-aged women can wear comfortably in everyday life based on their subjective reaction by using the 3D virtual clothing CAD program. The study subjects are thirty people under the menopausal syndrome, they wore an one-piece dress made with dyed artificial silk materials composed of the polygonum indigo with cool temper for the chest area and the schizandra with warm temper for the lower part for 4 weeks, and they participated in the survey using Kupperman's index weekly while wearing every week to find out the wearing sensation. The study results obtained on the basis of their subjective reactions are as follows: Firstly, the subjective menopausal symptom assessed by the Kupperman's index was mitigated as time goes by and the Kupperman's index figures were continued to decrease from the first week to the fourth week, but they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only from the first week to the third week. Secondly, the number of persons who answered that they were willing to purchase the naturally dyed clothing about the purchase intention among 30 invested subjects are 22, 73.3% showed a positive response. Thirdly, the following three clothing products were developed with reference to the results of survey to the apparel expert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functional and active compatible clothing as summer's loungewear and going out for women in their 40s and 50s was developed by using the artificial silk fabrics dyed with human-friendly polygonum indigo and schizandra. The developed clothing products showed a high satisfaction with an average level of 4.0 in an expert's sensory test. 1. For the clothing product development, it was made to wear comfortably by allowing the margin at the front part with a relaxed silhouette without pressure on the skin, and emphasized the body line by putting a rubber shirring on the high high-waisted line of back polygonum indigo and side polygonum indigo. 2. For the clothing product development II, it was designed so that the neckline is not exposed without sticking to the neck by using the collar of Hanbok, and its feminine neckline and skirt were designed with a comfortable flare by tying with a ribbon to meet the modern clothing by using the string of Hanbok. 3. For the clothing product development Ⅲ, it was designed to present a cheerful feeling by placing a horizontal cutting line on the right polygonum indigo of front plate of the top and a curved cutting line on the left polygonum indigo and also with an unbalanced length of the front apron. It gave an activity and rhythm by giving a margin to the size with adding the triangular shape down the central vibration line of back polygonum indigo. For the bottom, it was designed as a whole freely by applying the silhouette of bottom of the male Hanbok, and the overall silhouette was completed by reducing the margin for knee line. In the development of clothing product for middle-aged women with severe changes in the physical appearance of body, the development of clothing product for higher physical suitability was attempted by applying the 3D virtual clothing system. The clothing with higher physical suitability can be produced in fast and accurate by using the IT industry to the body changes of middle-aged woman integrally, it can respond to various consumer's needs as the production costs of comparatively expensive eco-friendly clothing product are reduced by reducing the demand quantity of fabric through the systematization of design process, and it is expected that it could lead to the competitiveness strengthening of industrialization of eco-friendly clothing products in the future. In this study, there wa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s the number of subjects is limited due to the requirement of production of the clothing, but if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proved by the performance of continuous study to test the effect of naturally dyed artificial silk, then it is considered that it could be used as auxiliary means although it can not expect the complete treatment. The development of naturally dyed clothing will be accelerated for menopausal syndrome as many women will be able to get help from their clothing actually, if they appeal a hot flush, rather than having a complete treatment for menopausal symptoms with natural dyeing, so I think that the naturally dyed products utilizing the natural resources will grow as a new fashion market.

      • 중국유학생의 라이프스타일과 의복쇼핑성향이 한국 의류 브랜드 체험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Zhao, Jing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4 국내석사

        RANK : 248719

        중국 경제가 지속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국내총생산이 증가하면서 이는 소비에도 영향을 미쳤다. 특히 오늘날 중국은 전 세계 최대 유학생 수출국이 되었고 이에 따라 해외 소비가 더욱 늘어나게 되었다. 중국의 젊은 소비자는 개성 있는 삶을 선호하고 삶의 도전과 변화를 즐기게 되면서 점차 전통적인 생활방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소비경향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를 신 소비층이라고 부른다. 특히 이들은 한류를 통하여 한국 패션브랜드를 시도하고 있으며 한국 패션상품 선호도의 높아짐에 따라 한국 의류브랜드에 대한 인지도와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신 소비층 특징을 보여준 젊은 중국유학생의 라이프스타일과 의복쇼핑성향을 분석하여 선호하는 한국 의류 브랜드 체험을 고찰하는 것은 한국 의류 산업의 글로벌화와 중국 신소비자를 이해하여 중국 의류 소비시장 마케팅활동의 전략 전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유학생의 라이프스타일과 의복쇼핑성향의 하위차원을 분석하여 라이프스타일과 의복쇼핑성향에 따라 한국 브랜드 체험이 어떤 차이가 있으며 그것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 대전지역의 중국 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수거하는 형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빈도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t-test, 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국 유학생 라이프스타일은 모험추구, 사교성, 개인주의, 물질지향 네 가지 요인으로 구분되었으며, 의복쇼핑성향은 쾌락적 쇼핑성향, 경제적 쇼핑성향 두 가지 요인으로 나누어졌다. 의류브랜드 체험은 인지적 체험, 감성적 체험, 관계적 체험, 감각적 체험, 행동적 체험으로 구분되었다. 쾌락적 쇼핑성향은 라이프스타일 요인 모두 서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제적 쇼핑성향은 개인주의를 제외한 라이프스타일 요인 모두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라이프스타일 요인 중 모험추구가 모두 체험의 하위차원에 영향력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물질지향이 감각적 체험을 제외하고는 모든 의류 브랜드체험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사교성은 관계적 체험, 감각적 체험에만 영향을 미치며, 개인주의가 인지적 체험, 관계적 체험, 행동적 체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복쇼핑성향이 브랜드 체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쾌락적 쇼핑성향이 모든 체험의 요인에 높은 영향력을 갖는 반면에 경제적 쇼핑성향은 인지적 체험, 감성적 체험, 감각적 체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유학생의 의류브랜드 체험이 한국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인지적 체험과 행동적 체험을 제외하고 감성적 체험, 관계적 체험, 감각적 체험이 브랜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향후 중국 신세대 소비자를 이해하고 이들과 관련된 산업 소비시장에 진출하는 때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 실버 세대를 위한 센서 기반 헬스 케어 스마트 의류의 디자인 모형

        조하경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19

        최근 스마트 의류는 인간과 컴퓨터 상호작용,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등 다각적으로 연구, 개발되어오고 있다. 최근에는 보다 기능화 감성화 된 스마트 의류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으로 연구, 개발되어 제시되고 있다. 건강에 대한 관심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에 따라 의료기기의 소형화 및 디지털화로 인하여 웨어러블(wearaable)형 의료기기가 등장하고 있으며,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 또한 의료 분야의 발전과 의료 복지를 요구, 이에 따른 생체 센서 기반의 스마트 의류의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본 연구에서는 의복 공학적 측면, 의공학적 측면의 실증적 연구를 고찰하고 센서의 의복 적합성, 고령자 유병률 등을 고려하여 기본적인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 기반 헬스 케어 스마트 의류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스마트 의류는 기존의 의류 형태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직물 신호선을 제작, 와이어의 이물감을 없애 착용성을 높였으며, 착장시 생체 신호가 컴퓨터로 무선 전송되어 착용자의 생체 신호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기 위한 용도로 고안되었다.본 연구에서는 의류의 효용성과 생체 신호 감지 기능을 갖춘 센서 기반 헬스 케어 스마트 의류의 디자인 모형을 실버 세대를 겨냥하여 개발하였으며, 개발한 디자인 모형에 대한 사용성 평가의 정성적, 정량적 평가를 실시함으로써 스마트 의류의 평가항목과 보완점을 도출하였다. 사용성 평가 결과, 본 연구의 스마트 의류에 대한 사용성에서는‘기능의 효용성’, ‘의복편의성’,‘외관만족도’, ‘기기안정성’, ‘관리의 용이성’, ‘특이성’ 의 7개 범주가 도출되었다.본 연구에서는 사용성 평가를 통해 도출된 수정 사항을 보완함으로써 사용자 중심의 실버 세대를 위한 생체 신호 기반의 헬스 케어 스마트 의류의 최종 모형을 제시하였으며, 센서 기반 스마트 의류를 위한 7가지 측면의 사용성 평가 항목을 결과물로 제시하였다. “smart clothing” has been developed in a various way to meet the need of users and to help people more friendly interact with computers through its various designs. Recently, various applications of smart clothing concept have been presented by researchers. The demand of 'Smart Clothing' based on bio-medical sensor technology will increase due to the entry of an aging society where a high demand of development in both medical industry and medical welfare rises. In domestic market, however,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Smart Clothing'based on a bio-medical sensor technology are insufficient.This research institution has invented biometric sensors suitable for the smart clothing, and has developed a design to diagnose various diseases such as cardiac disorder and respiratory diseases. The newly developed smart clothing in this study looks similar to the previous inventions, but people can feel more comfortable in it with its fabric interaction built in it. When a person having it on, sensed vital signals are transmitted to computer in hospital through wireless transaction for a real-time monitoring process.In this research, we developed the design prototype of the bio-medical sensor based healthcare smart clothing and efficiency of clothing for silver generation. As a result of surveys with developed designed prototypes for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tests of wearability and usability, we come up with evaluation items and suppliments.Result of assessment in this study, total 7 aspects in wearability and usability such as 'usefulness', 'wearability', 'appearance', 'riskness', 'facility of management', 'perceived change', were drived thoug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test.In this study, based on result from evaluation on wearability and usability, the design prototype of sensor based healthcare smart clothing was revised. Additionally, 7 aspect of usability test for sensor based smart clothing were indicated 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 소비자의 생활주기, 의류제품 경험에 따른 주관적 지식이 정보탐색 및 속성평가에 미치는 영향

        황정인 漢陽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8719

        인간은 개개인이 속한 생활주기에 따라 유사한 행동을 하는 특성을 가지며, 이러한 특성은 소비생활에서도 나타난다. 현대의 소비자들은 경제적, 문화적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의류제품과 관련한 다양한 경험을 통해서 풍부한 정보를 얻으므로 소비자 지식의 수준은 점점 향상되고 있다. 특히 소비자들은 제품에 대해 스스로 평가한 주관적 지식을 바탕으로 의류제품을 탐색, 평가하고 구매하는 차별화된 구매행동을 한다. 따라서, 소비자의 경험과 주관적 지식을 파악하는 연구는 현대 소비자들의 구매행동을 연구하는데 반드시 필요하며, 소비자가 의류제품 구매를 위해서 정보를 탐색하고 제품속성을 평가하는 과정에 경험, 주관적 지식과 같은 소비자 특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의류제품과 관련한 소비자의 경험과 주관적 지식의 개념 차이를 파악하고 소비자의 생활주기와 의류제품 경험에 따른 소비자의 주관적 지식의 차이가 구매의사 결정과정에서의 정보탐색과 속성평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첫째, 소비자의 의류제품 경험에 따라 주관적 지식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둘째, 소비자의 생활주기에 따라 의류제품 소비자의 주관적 지식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며, 셋째, 의류제품 소비자의 주관적 지식에 따라 정보탐색 유형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넷째, 의류제품 소비자의 주관적 지식에 따라 속성평가 유형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10대 후반부터 50대까지의 남녀 소비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표본추출방법으로는 연령과 직업, 거주지역을 고려하여 할당표본추출법을 이용하였다. 자료수집은 설문지 응답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총 349부가 본 연구의 최종 분석자료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을 위해서 SPSS 12.0 for windows를 사용하였으며, 구체적인 분석방법으로는 기술통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 일원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류제품과 관련한 직간접경험이 많은 소비자들은 경험이 적은 소비자들에 비해 주관적 지식이 많으며, 특히 제품디자인에 대한 주관적 지식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디자인 지식에서 경험이 많은 소비자와 적은 소비자 간의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제품관리 지식에서 경험이 많은 소비자와 적은 소비자간의 차이가 가장 작게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의 생활주기에 따라 의류제품에 대한 주관적 지식에 부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제품관리 지식은 중년기 소비자 집단이 다른 소비자 집단들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표지식은 성년기, 청소년기, 중년기 소비자 집단 순으로 차이가 나타났다. 제품디자인 지식과 제품구매 지식은 생활주기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의류제품 소비자는 주관적 지식 정도에 따라 정보탐색 유형에 차이를 보였다. 주관적 지식이 많은 소비자는 그렇지 않은 소비자에 비해서 정보탐색과정에서 내부탐색과, 매체탐색, 점포탐색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인적 탐색에서는 주관적 지식의 정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소비자의 지식이 정보탐색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주관적 지식의 수준이 높은 소비자가 더 많은 새로운 정보를 탐색하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의류제품 소비자의 주관적 지식의 하위 차원이 정보탐색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소비자의 주관적 지식은 내부탐색과 매체탐색, 점포탐색에 영향을 미쳤으며, 인적탐색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내부탐색에는 제품디자인 지식, 상표지식, 제품구매 지식이 정의 영향을 미치고, 제품관리 지식은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매체탐색에는 제품디자인지식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점포탐색에는 제품디자인 지식, 제품구매 지식이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의류제품 소비자의 주관적 지식의 정도에 따른 속성평가의 차이를 알아보았는데, 주관적 지식이 높은 소비자는 의류제품의 외재적, 심미적, 기능적 속성 모두를 의류제품 평가시에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며, 그 중에서 심미적 속성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또한, 주관적 지식이 적은 소비자들 역시 의류제품 구입시 심미적 속성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이는 모든 소비자들은 의류제품을 구입 할 때 의류제품의 내재적 속성 가운데 심미적 속성을 가장 중요한 평가기준으로 생각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섯째, 의류제품 소비자의 주관적 지식의 하위차원이 속성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주관적 지식은 외재적 속성, 심미적 속성, 기능적 속성 모두에 영향을 미쳤다. 외재적 속성에는 상표지식, 제품구매 지식이 영향을 미쳤고, 심미적 속성에는 제품디자인 지식이 영향을 미쳤으며, 기능적 속성에는 제품디자인 지식, 제품관리 지식은 정의영향을 미쳤고, 상표지식은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비자의 의류제품 경험에 따라 주관적 지식에 차이를 보였고, 소비자의 생활주기에 따라 의류제품에 대한 주관적 지식의 하위차원에 차이를 보였으며, 소비자의 주관적 지식에 따라서 의류제품의 구매의사 결정과정에서의 정보탐색 유형과 속성평가 유형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기업이 의류제품 소비자의 생활주기와 경험, 주관적 지식과 같은 소비자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의류기업의 표적화된 고객의 구매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적절하고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청소년 소비가치가 의류제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

        백선영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박사

        RANK : 248719

        21세기 신 소비자인 청소년 소비자들의 개인적 가치와 의복 행동에 관한 구체적 가치인 의복 소비가치가 의류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남녀 청소년의 개인적 가치와 의복 소비가치의 특성간의 차이가 있는가? 둘째, 의류제품평가시 제품 특성에 따른 품질 지각, 가치지각이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청소년의 개인적 가치 및 의복 소비가치의 집단별 유형이 제품특성에 따른 의류제품평가에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청소년의 소비가치 의식과 제품 특성에 따른 의류제품평가가 인구 통계적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이론적 연구와 실증적 연구로 나뉘어 진행되었고, 이론적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소비 특성과 가치에 관한 개념과 개인적 가치, 소비가치, 가치와 의복 행동에 관해서 살펴보았으며, 의류제품평가는 품질 지각, 가치 지각, 구매 의도 차원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실증적 연구에서는 설문지 조사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의복 소비가치 문항을 만들기 위해 Sheth 등(1991)의 이론에 접목시켜 질적 조사 기법인 초점 집단 면접 조사를 실시한 후 최종 설문지 문항을 작성하였다. 면접 조사는 45명의 남녀 중·고등학교 청소년 소비자를 대상으로 초점 집단 면접을 통해 내용을 녹취, 기록, 분석하였고, 설문지 조사는 서울과 광주에 거주하고 있는 남녀 중·고등학생 12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극물은 청바지로 조작된 가격과 상표를 사용하였다. 최종 설문지 조사는 1999년 5월중에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실측치 1085부를 빈도분석,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한 요인분석, 분산분석, Duncan-test, LSD- test, 경로분석, 군집분석, 판별분석, {{{{{chi}`^2`}}}} 분석, 정준상관분석, 회귀분석인 결정계수와 멜로우즈 Cp 통계량,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분석 등의 통계기법을 사용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개인적 가치와 의복 소비가치의 특성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청소년 소비자는 기성 세대 소비자와는 다른 가치의식과 의복 구매 행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청소년 소비자들의 의복 소비가치는 유행적 의복 소비가치와 감각적 의복 소비가치를 중요시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또한 개인적 가치는 사회적 가치를 가장 중시하여 청소년의 특징인 준거집단의 동조를 어느 정도 설득력 있게 설명하고 있다. 둘째, 의류제품평가시 제품 특성에 따른 품질 지각, 가치지각이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 자극물로 제품 유형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평가를 살펴본 결과 제품 특성에 따른 품질 지각, 가치지각이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청소년의 개인적 가치 및 의복 소비가치의 집단별 유형이 제품 특성에 따른 의류제품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치와 구매의사 결정에 따른 소비자 행동의 상호 관련성을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청소년 소비자들의 가치의식은 실제 의류제품평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가치에 관한 이론의 틀인 기대-가치 이론이 제시한 소비자 가치체계를 지지하는 결과로써, 가치와 의류제품평가에 따른 신념이 분리되거나 관계없는 요소로 존재하지 않고 추상화된 계층적 구조 아래 상호 영향을 주며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결국 경로 모형을 통해서 개인적 가치는 의복 소비가치에 영향을 미치며, 의복 소비가치는 의류제품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를 발견하였으며, 그 외 청소년 소비자의 특성 변수인 성별도 직·간접으로 의복 소비가치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넷째, 청소년의 소비가치 의식과 제품 특성에 따른 의류제품평가가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라 차이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의복 소비가치에 따라 시장 세분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하고, 구체적인 상품 특성에 따른 마케팅 촉진 전략이 가능할 것이라 생각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청소년 소비가치가 가격과 상표를 외재적 단서로 제시한 특정 제품에 대한 의류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으로써 추상적이며 계층적인 소비가치에 대한 구체화된 지표를 제시하였으며, 소비가치가 실증적인 의류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할 수 있었다. 주요용어 : 개인적 가치, 의복 소비가치, 의류제품평가, 품질지각, 가치지각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new generation adolescents personal values and clothing consumption values or clothing behaviors on their evaluation of clothing products.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set up;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 of adolescents personal values and clothing consumption values between sexes? Second, is adolescents purchasing intention affected by their perception of clothing quality and value? Third, is adolescents evaluation of clothing products affected by their personal values and their group-wise clothing consumption values? Fourth, is there any difference of adolescents consciousness of consumption values and their evaluation of product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 variables? In order to test the above hypotheses, theoretical and positive analyses were performed. In the theoretical analysis, the concepts regarding adolescents consumption characteristics and values, their personal and consumption values, and their clothing behaviors were reviewed, and thereupon, adolescents evaluation of clothing products was examined in terms of their perceptions of quality, values and purchasing intention. In the positive analys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Particularly, based on Sheths (1991) theory, a focus group interview was performed to develop the questionnaire on adolescents clothing consumption values. For the focused interview, 45 middle/high school boys and girls opinions were polled, recorded and analyzed. Then, the final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1,200 middle/high school boys and girls in Seoul and Kwangju. The stimuli used for the survey were prices and trademarks of blue jeans manipulated. The survey was conducted in May, 1999, and the collected data from 1,085 respondents were processed for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using means, standard deviations, distribution analysis, Duncan-test, LSD-test, route analysis, group-wise analysis, determination analysis, chi-square test, normal coefficients, such regression analyses as determinants and Mellows Cp statistics and Pearsons moment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found som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dolescents personal values and their clothing consumption values, which suggests that young consumers have different values and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from adults. To be specific, adolescents tended to appreciate fashionable and sensual values among clothing consumption values, and social value most among personal values. Such tendencies may well explain adolescents trait or sympathy with peer group. Second,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is that adolescents purchasing intention would be affected by their perceptions of quality and values, product types were manipulated using the stimulus samples. As a result, the hypothesis was accepted. Third, it was found that adolescents personal values and their group-wise clothing consumption values affected their evaluation of clothing products. Such a finding may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value system and purchasing decisions. Namely, adolescents evaluation of clothing products is affected by their value system. This finding supports the consumer value system suggested by th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