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의복 충동구매 경향성 유형별 특성 비교 : 20, 30대 여성을 중심으로

        차정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충동구매를 다차원적인 구조로 파악하고 충동구매 의류제품 구매결정시 제품의 속성평가를 연구함으로써 충동구매의 합리적 기저를 밝혀 충동구매에 대한 인식전환의 계기로 삼는 한편, 충동구매 유형별 인구통계적 특성, 의류제품 속성평가, 구매 후 만족 및 구매의도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문제 1 충동구매 의류제품의 일반적 특성을 밝힌다. 문제 2 충동구매와 계획구매시 의류제품의 일반적인 특성, 제품평가, 만족의 차이를 밝힌다. 문제 3 충동구매 경향성의 유형을 세분화한다. 문제 4 충동구매 경향성 유형별로 다음에 차이를 밝힌다. 4-1 인구통계적 특성 4-2 의류제품 속성평가 4-3 구매 후 만족 및 재 구매의도 문제 5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충동구매·계획구매 의류제품 속성평가의 차이를 밝힌다. 본 연구는 설문지법을 사용하였으며 20-30대 서울 거주 여성 중 여성복 충동구매자 30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의 분석을 위해 SAS 통계 Package를 이용하였으며 요인분석, 빈도, 백분율, t-test, 분할표 분석,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충동구매 의류제품에는 단품류가 주로 많았으며 그 중에서도 티셔츠류가 많이 구입되었다. 상표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충동구매 장소는 백화점이 가장 일반적이었고 일반 패션가의 거리상점과 의류 도매시장 순으로 많게 나타났다. 둘째, 충동구매와 계획구매는 상표, 구매점포, 의류 제품평가,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충동구매 경향성에 따른 충동구매 소비자는 부정적 기분형, 인지적 속성형, 주변 권유형, 디자인 속성형, 긍정적 기분형, 비 계획형으로 분류될 수 있었다. 넷째, 충동구매 경향성 유형별 인구통계적 특성에는 혼인기간, 의류제품 속성평가, 재 구매의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중 연령, 혼인기간, 학력, 월평균 의복비, 월평균 가계소득은 충동구매와 계획구매시 모두 의류제품 속성평가에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직업은 충동구매시 의류제품 속성평가에서만 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마케팅 전략 수립시 충동구매 유형별 의류 제품평가와 만족 특성에 관한 결과를 참고할 수 있게 하는 한편 충동구매에 대한 부정적 인식 전환의 계기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로 하여금 보다 현명한 구매를 위한 구매의 한 방편으로써 적극적인 활용을 할 수 있게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ange negative cognition of impulsive buying, finding reasonable base of impulsive buying through cognitive reaction on impulsive buying, on concept of mutifle substance of impulsive buying,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characteristics on impulsive buying by clas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valuation of clothing attributes, satisfaction after buying and intention of repurchase.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o find out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cloth on impulsive buying. 2. to compar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cloth, evaluation of clothing attributes, satisfaction between impulsive buying and planned purchase. 3. to classify the impulsive buying tendency factor oriented groups 4. to stud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valuation of clothing attributes and satisfaction and intention of repurchase on impulsive buying tendency factor oriented groups. 5. to stud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hich are evaluation of clothing attributes. The data used in this thesis were obtained from 302 cases, the women living in Seoul who bought impulsively woman’s wear in their 20’s or 30’s. SAS Package Program was used for analysis and various methods such as factor analysis, frequency, percent, χ^(2)-test, t-test, ANOVA, Scheffe grouping, Duncan’s grouping were followed.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of all, what people buy on impulse are usually the single item. T-shirts are most wanted. Brand name was not important. Place was generally the department store, and the second choice was stores in fashion street, wholesale markets. Second, both impulsive buying and planned purchase are different by brand name, purchase store, evaluation of the clothing attributes and satisfaction after buying. Third, The classes by impulsive buying factors are negative-mood impulsive buying tendency group, cognitive property impulsive buying tendency group, encourage-relevance impulsive buying tendency group, image-matching impulsive buying tendency group, positive-mood impulsive buying tendency group, unplanned impulsive buying tendency group. Fourth, impulsive buying tendency factor oriented groups are different by marital period, evaluation of clothing attributes, and intention of repurchase. Fifth, there are different in evaluation of clothing attributes both of impulsive buying and planned purchase, ages, marital period, educational ground, average of monthly costs for the cloth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job and average of monthly income per family are different by evaluation in clothing attributes on impulsive buying. As for the result, this study is to use, when developing a marketing strategy, impulsive buying characters with evaluation and satisfaction of clothing attributes. This study helps people to change their negative minds about the impulsive buying, and make it possible to use for more clever buying one of the way of buying.

      • 남성 캐주얼 재킷 원형 개발에 관한 연구 : 25~34세 남성을 대상으로

        김미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25세~34세 남성을 대상으로 맞음새와 활동성이 적합한 캐주얼 재킷 원형을 개발하여 다른 디자인으로 변형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성인 남성 173명을 대상으로 캐주얼 재킷 착용 실태를 조사하여 착용빈도와 착용시 불편한 점 등을 설문조사 하였고, 캐주얼 재킷을 생산하고 있는 9업체의 10개 브랜드를 대상으로 패턴제작 실태를 파악하였다. 실무에 가까운 원형을 제시하고자 조사한 업체 중 소비자의 인지도가 높고 생산율과 판매실적이 좋은 두 업체 패턴과 유럽식 패턴방법인 에스모드식 패턴을 선정하여 총 세 개의 캐주얼 재킷 원형을 비교, 분석하였다. 착의평가를 통해 패턴을 수정, 보완하여 맞음새와 동작 적합성을 높일 수 있는 패턴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 조사 결과 캐주얼 재킷의 의복 구매도와 착용빈도는 높으나 외관과 동작적합성 측면에서 불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팔을 올리거나 단추를 모두 채운 상태에서 움직임이 불편하다고 하였다. 캐주얼 재킷을 착용하는 이유는 부담 없이 편하게 입기 위함이므로 착용감 향상은 매우 중요하다. 둘째, 업체조사 결과 캐주얼 재킷은 클래식 재킷과 차이가 있으며, 가슴둘레와 진동둘레가 변하지 않으면서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는 캐주얼 재킷원형의 필요하였다. 또한, 업체에서는 자신의 브랜드 이미지에 맞는 실루엣을 만들기 위해 각기 다른 여유량으로 패턴을 제작하므로 맞음새가 좋으면서 활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당한 여유량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실험원형들을 길이항목, 너비항목, 가슴너비와 허리너비의 편차값, 어깨항목, 소매항목 등으로 분석한 결과 S사는 I형, K사는 H형, 에스모드식은 Y자형의 실루엣으로 각 패턴마다 고유의 특성이 있었다. 실험원형을 머슬린으로 제작하였고 97년 국민표준체위조사보고서를 기준에 적합한 11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착의실험을 하였다. 외관검사와 동작평가 모두 S사의 실험의류가 제일 좋은 점수를 받았다. SPSS 11.0 for windows로 Oneway ANOVA와 Duncan test를 실시하여 3개 실험의류에 대한 평균의 차를 유의수준 5% 수준에서 비교하였다. 넷째, 착의실험과 패턴분석 결과, 팔을 올리는 동작과 단추를 모두 채웠을 때 답답한 현상은 적절한 품의 여유량, 가슴너비량과 허리너비량의 편차값, 허리선의 위치, 어깨각도, 진동깊이선의 위치, 소매산높이, 소매통의 여유 등의 항목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S사의 실험의류의 경우 전체 품의 여유, 허리둘레선의 위치, 허리둘레의 여유, 재킷길이, 위팔둘레의 여유, 라펠의 꺽임점 위치, 포켓의 크기, 뒤 견갑골 주변 군주름 항목에서 낮은 점수를 받아 패턴 수정을 하였다. 다섯째, 패턴을 수정하여 연구원형을 개발하였다. 캐주얼 재킷 원형 제도법을 제시하였고 캐주얼 재킷용 소재로 연구의류를 제작하여 7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착의평가를 하였다. T-test 결과 5% 수준에서 연구의류와 실험의류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모든 항목에서 실험의류보다 연구의류가 높은 점수를 받아 개선되었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연구원형은 기본 스타일의 3버튼 재킷원형이므로 연구원형의 활용도를 확인하고자 절개가 들어간 2버튼의 재킷으로 변형하였다. 연구원형 제도법을 제시하였으며 재킷용 소재로 제작하여 7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착의실험을 하였고 외관검사와 동작평가에서 모두 우수한 점수를 받았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the basic pattern of casual jacket for men aged between 25 and 34. Compared to the tailored jackets, casual jackets are designed much more diverse form depending on the target customer, price range and moreover fashion trend.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cost and time of developing new style, pattern draft from the basic pattern is better approach rather than develop each style from the measurements every time. For men's casual jacket pattern draft, the basic pattern of fit and comfort was developed through following research procedures:- 1. 173 men were surveyed about their habit of buying and wearing of casual jackets. They buy and wear casual jackets quite often. Yet they are not too satisfied with appearance and wearing comfort. Comfort should be improved for the development of casual jacket, because its compatibility with tailor jacket is wearing comfort. 2. MDs and pattern designers of 10 casual wear brands for men were interviewed. The questions were about the use of basic pattern, design considerations, frequent alterations and measurements needed. The pattern designers agreed the need of basic pattern for casual wear. They try to develop the basic pattern which suits their own customer and style. 3. As astarting point, 3 different basic patterns were selected. 2 patterns were from the 2 interviewed brands and the last one was the pattern of ESMOD. The three patterns were made up into experimental jackets for wearing tests, i.e. appearance test and comfort test. The experimental jackets were made of muslin. 4. The 3 patterns were studied by means of comparing measurements and generalstyling. As a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pattern of S brand is featuring I, the pattern of K brand is featuring H and the pattern of ESMOD is featuring Y. The results of wearing test showed that the pattern of S brand is the best among the three. 5. With the result of the wearing tests, many improvements were tried to the S brand pattern. They were to add ease around the chest line and waist line, to relocate the waist line and the break point, to increase the jacket length and upper arm width. The improved pattern was made of woolen for the wearing test. The wearing test showed developed pattern was improved significantly. The pattern was suggested as the researched basic pattern. 6. Basic pattern could be used to develop different styleskeeping its own fit and comfort. To verify the use of developed basic pattern, two buttoned single jacket was made. The wearing test of altered design proved the use of the researched basic pattern.

      • 20대 여성의 피혁의류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홍현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피혁의류의 소유자와 비소유자의 구매행동을 파악, 비교하고, 피혁의류와 직물의류에 대한 인식과 피혁의류의 수입브랜드와 국내브랜드의 인식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피혁업계에 보다 구체적이고 효과적인 마케팅 수립과 활성화 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수도권에 거주하는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1차 예비조사 단계에서는 80명을 대상으로 피혁의류 소유도와 구매·비구매 이유를 자유 기술형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기초 자료를 얻었고, 이를 바탕으로 피혁의류의 소유경향과 구매행동, 직물의류와의 비교, 수입·국내브랜드의 인식비교를 위해 60명을 대상으로 2차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본조사 문항을 확정하였다. 본조사 단계에서는 20대 여성 44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실시하여 회수된 최종 390부를 본조사의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12.0 통계 Package를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분산분석(ANOVA), 요인분석, t-test, x²-test,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피혁의류 소유경향을 알아본 결과, 전체 연구 대상자의 피혁의류 소유자는 총 273명(70.0%)이고 비소유자는 117명(30.0%)으로 나타났다. 인구통계적 변인과의 관계는 연령대는 20대 후반, 거주지역은 강남생활권, 가장의 직업이 경영관리직이고 총 월수입이 700만원 이상인 중상층 이상의 20대 여성이 피혁의류 소유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유자의 피혁의류 구매이유는 ‘예뻐서, 멋져서’의 구매이유가 가장 많았으며, 비소유자의 비구매 이유로는 ‘필요성을 못 느껴서’ 가 가장 많았다. 피혁의류 소유자들의 소유현황을 살펴보면, 소유자의 총 소유 벌 수 평균은 2.53벌로 나타났다. 소유자의 소유 스타일로는 재킷 스타일이 가장 많았으며 색상으로는 검정색, 양피, 일반적 피혁을 가장 많이 소유하고 있었다. 또한 가장 많이 구입한 구매장소는 백화점으로 나타났고, 가장 선호하는 재킷의 가격대로는 20~50만원 미만의 가격대가 가장 많았다. 마지막으로 소유자의 피혁의류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본 결과 ‘만족한다’ 가 50.2%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둘째, 피혁의류에 대한 구매행동을 알아본 결과, 연구 대상자의 57.9%가 앞으로 피혁의류를 구매할 것이라고 구매의향을 밝혔다. 피혁의류 선택기준으로는 자신에게 어울림이 가장 중요한 선택기준으로 나타난 반면 과시성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요인 별로는 심미성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었고, 비소유자가 소유자보다 피혁의류의 실용성을 더 중요하게 고려하였다. 20대 여성의 피혁의류 선호 스타일로는 재킷을 가장 많이 선호하였고, 비소유자는 재킷 스타일, 소유자는 재킷 이외의 스타일의 구매를 원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가장 선호하는 색상은 검정색으로 나타났고, 소유자보다 비소유자가 검정색을 더 선호하였다. 그리고 동물에 따른 종류로는 양피, 가공방법으로는 일반적 피혁을 가장 선호하였고, 비소유자는 일반 피혁과 스웨이드 등의 특정 종류를 선호하는 반면 소유자는 종류에 상관없음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피혁 재킷으로 가장 선호하는 가격대로는 20~50만원 미만 이였으며, 비소유자는 50만원 미만, 소유자는 50만원 이상의 가격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 구매장소는 백화점을 가장 선호하였고, 피혁의류 정보원으로는 매장 디스플레이가 가장 중요한 정보원으로 나타났고, 비소유자는 방송·인쇄매체 광고와 컴퓨터, 소유자는 과거의 구매경험이 중요한 정보원으로 이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피혁의류와 직물의류에 대한 선호도와 인식을 알아본 결과, 연구 대상자의 38.2%가 직물의류를 선호하였고 32.8%가 피혁의류를 선호하였으며, 29%가 ‘모르겠다’고 응답하여 직물의류를 피혁의류보다 더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피혁의류 소유자는 피혁의류를 선호하였고, 비소유자는 직물의류를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피혁의류에 대한 인식을 직물의류와 비교한 결과 피혁의류가 ‘가격이 비싸다’라고 생각하는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반면 ‘색상이 다양하다’ 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요인 별로 살펴본 결과, 20대 여성들은 직물의류에 비해 피혁의류가 싱징성 측면에서 더 좋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소유자가 비소유자보다 실용성, 심미성, 감각적 성능과 품질, 상징성의 모든 요인에서 피혁의류가 더 좋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피혁의류의 수입브랜드에 대한 인식을 국내브랜드와 비교한 결과, 수입브랜드가 ‘가격이 비싸다’라고 생각하는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소유자가 비소유자에 비해 수입브랜드의 피혁의류에 대한 인식이 좋게 나타난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요인 별로 살펴본 결과, 20대 여성들은 수입브랜드의 피혁의류가 상징성측면에서 가장 좋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소유자가 비소유자에 비해 실용성, 심미성, 감각적 성능과 품질 면에서 수입브랜드의 피혁의류가 더 좋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혁의류와 직물의류의 브랜드 선호도를 살펴본 결과 직물의류는 수입브랜드가 국내브랜드보다 선호도가 높았고, 피혁의류에 대한 브랜드 선호도는 ‘모르겠다’의 응답이 55.9%로 가장 많았다. 피혁의류의 브랜드 선호에 따른 인구통계적 변인과의 관계는 가장직업이 경영관리직 집단일수록 수입브랜드를 선호하고, 서비스·판매·생산관리직은 국내브랜드, 전문직과 전문기술직은 국내와 수입브랜드 모두를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인직업으로는 경영·전문·전문기술직은 국내와 수입브랜드 모두 선호, 사무직은 국내브랜드를 선호하고, 대학생은 뚜렷한 선호를 보이지 않고, 대학원생은 수입브랜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총 월수입이 500만원 미만의 집단은 국내브랜드의 피혁의류를 선호하고 700만원 이상 집단의 경우 수입브랜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00만원 이상의 집단은 수입브랜드 선호 현상이 뚜렷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사회계층은 중하류층은 국내브랜드를 선호하였고, 중류층은 국내브랜드를 선호하나 ‘모르겠다’의 응답도 유의하게 많았고, 중상층 이상의 집단은 수입브랜드를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on women in their 20’s,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leather industry with fundamental data for establishing a more specific and concrete marketing plan and vitalizing the industry by identifying and comparing purchasing behavior of leather clothing owners and non leather clothing owners, and comparing differences between awareness about leather clothing and woven clothing and between awareness about foreign brands and domestic brands of leather clothing. This study is conducted on women in their 20’s liv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first preliminary research obtained basic data about 80 women’s ownership of leather clothing and reasons for purchasing and not purchasing leather clothing, using an essay questionnaire. Based on this data, this study carried out secondary preliminary research to examine tendency of leather clothing ownership and purchasing behavior, and to compare leather clothing with woven clothing and awareness about foreign brands and domestic brands. With the results of the secondary research, the questionnaires of this research were drawn up. In the research, 440 women in their 20’s were surveyed, and the data of 390 respondents were used for analysis. Using SPSS WIN 12.0 program, this study identified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made analysis of variance (ANOVA), factor analysis, t-test, x²-test, and Duncan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273 respondents (70.0%) out of the total (390) had leather clothing and 117 (30.0%) did not have any leather clothing. When it comes to the relationship with demographical variables, women belong to the middle class were most likely to own leather clothing, who were in their late 20’s, living in Gangnam area in Seoul, whose the head of family had a managerial job, and whose household had more than monthly income of 7 million won. The most reason for purchasing leather clothing was that the clothes looked “cute or stylish,” and the most reason for not purchasing leather clothing was that respondents “did not need it.” This study found out that leather clothing owners had 2.53 pieces on the average. In terms of style, jacket style topped others, and the favorite color, material, and process method were black, sheepskin and general method. Most respondents bought their clothing at the department stores, and at prices of 200,000 to 500,000 won. In relation to satisfaction, most respondents (50.2%) said “satisfied” Second, 57.9% of respondents said that they had a mind to buy leather clothing in the future. Chose leather clothing, women most considered whether the clothing looked good on them, and least considered whether the clothing could show their wealth. The most important reason to purchase leather clothing was beauty, and non leather clothing owners thought much more of utility than leather clothing owners. Jacket style was the most favorite style of women in their 20’s, and non leather clothing owners wanted to buy jacket style leather clothing while owners wanted other styles. The favorite color was black, and owners prefer black more than non owners. Respondent preferred sheepskin and general process method, and non leather clothing owners showed preference of general type or a certain type, such as suede, while leather clothing owners did not care about process type. Most respondents wanted leather jacket of 200,000 to 500,000 won. Non leather clothing owners preferred prices fewer than 500,000 won and owners prefer prices larger than 500,000 won. The favorite shopping place was department stores, and the most important information source was displayed clothing. Non leather clothing owners used advertisements on TV commercials, the print press, and the Internet while owners past purchasing experience as their source of information. Third, about the preference and awareness of leather clothing and woven clothing, 38.2% of respondents preferred woven clothing, 32.8% leather clothing, and 29% said “no.” This means people preferred woven clothing over leather clothing. In addition, this study showed that leather clothing owners preferred leather clothing and non owners preferred woven clothing. In terms of awareness about leather clothing and woven clothing, the most awareness was “expensive” and the least was “coming in various colors.” Women in their 20’s had awareness that leather clothing was better than woven clothing in terms of symbolism, while, compared with non owners, leather clothing owners thought that leather clothing was better than woven clothing in every aspect such as utility, beauty, function, quality, and symbolism. Fourth, Comparing awareness of foreign brands and domestic brands showed that the highest awareness was that products of foreign brands were “expensive.” Leather clothing owners thought better of foreign brands than non leather clothing owners. Respondents thought products of foreign brands were better in terms of symbolism. Compared with non owners, leather clothing owners thought that leather clothing was better than woven clothing in the aspect of utility, beauty, function, and quality. In relation to woven clothing, respondents showed preference foreign brands to domestic brands. Most people (55.9%) said “no” regarding brand preference of leather clothing, When reviewing relationship between brand preferences and demographical variables, this study found out that when the head of a family had a managerial job, more women preferred foreign brands, when the job is related to service, sales, or production control, respondents preferred domestic brands, when special or professional job, women preferred both foreign and domestic brands. When a respondent herself had a managerial, professional or technical job, she preferred both brands, when she was an office worker, she preferred domestic brands, university students showed no distinctive preference, and graduate students preferred foreign brands. In addition, respondents’ family made monthly income fewer than 5 million won, they preferred domestic brands. In case of monthly income larger than 7 million won, they preferred foreign brands, while the group with monthly income over 20 million won showed distinctive preference over foreign brands. Women of the lower-middle class preferred domestic brands, those of the middle class preferred domestic brands, but they also said “ no“ as much, and those from the upper-middle and above classes preferred foreign brands.

      • 학령기 여아의 기능적인 진의류 개발

        서상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학령기 여아를 대상으로 편안하고 미적인 진의류를 개발하였다. 연구의 전체적인 흐름은 크게 두 가지 부분으로 나뉘는데, 인체의 동작에 적합한 동작기능성과 미적인 외관이다. 이 두 부분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단계별로 동작기능성과 외관평가를 병행하였다. 우선 학령기 아동의 진의류 착용실태와 라이프 스타일을 알기 위해서 예비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조사는 본 조사를 포함하여 총 2회 실시하여 아동의 진의류에 대한 만족도와 불편사항을 알아보았다. 조사결과 학령기 아동의 진의류에 대한 착용 빈도가 높고, 외관에 대한 만족도가 보통 수준이었으나 동작기능성 측면에서는 불편을 호소하였다. 학령기 아동은 성인보다 움직임이 많아 동작기능적인 측면이 매우 중요한데 아동을 위한 기능적인 청바지 브랜드는 미비한 실정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아동복 진의류 전문 업체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1년 기준 아동복 매출액이 10위 안에서 업체 4곳을 선정하여 디자이너와 설문형식의 인터뷰를 하였다. 조사 결과 학령기 아동의 치수는 남녀 구분이 있었으나 대부분의 디자인은 여유량이 많기 때문에 남녀 구분이 없었다. 그러나 진의류의 경우 인체에 꼭 맞으므로 학령기 여아의 진의류는 남아와 구분하였다. 즉, 여아는 여유분이 없게, 남아는 전체적으로 헐렁하게 제작하여 여아도 남아 옷을 입을 수 있도록 하였다. 전체적으로 헐렁한 옷은 옷의 무게도 증가하고 지나친 여유는 오히려 동작을 방해하는 요소가 된다. 학령후기 아동은 외모에 관심이 많아지는 시기 이므로 여아를 위한 편하면서도 몸에 맞는 진의류를 개발하였다. 4곳의 업체 중에서 한 업체의 11세 여아 진의류 패턴(재킷, 바지)을 이용하여 옷을 제작하고 착의실험을 실시하였다. 착의실험 동작은 기본자세 에서부터 일상생활에서 자주 하는 동작, 그리고 최대한 다리를 벌리거나 양팔을 들어올리는 동작으로 하였다. 착의실험 결과 불편한 부위는 어깨를 중심으로 하는 상지, 팔꿈치, 무릎, 허벅지 등이었다. 동작기능성을 개선하고 학령기 아동이 좋아하는 디자인을 개발하기 위하여 문헌조사와 시장조사를 하여 실험의류 3가지를 개발하였다. 첫째, 절개선을 활용하는 방법으로 움직임이 불편한 부위나 인체를 압박하는 부위를 패턴에서 절개하여 인체의 형태에 맞도록 여유를 주거나 무를 삽입하여 동작기능성을 향상시켰다. 둘째, 스트레치 소재의 적절한 사용으로 동작기능성을 향상시켰다. 셋째, 움직임이 불편한 부위나 인체를 압박하는 부위를 바이어스 재단하고 라글란 소매를 이용하여 동작기능성을 향상시켰다. 이와 같이 디자인을 설정하고 기존의류와 같은 소재를 사용하였으며 부자재 연구를 통해 아동에게 가장 적절한 실험의류 3가지를 제작하였다. 3가지 실험의류는 동작기능성 실험과 외관실험, 디자인 선호도 조사를 하였다. 동작기능성 평가는 전체적으로 모든 동작에서 실험의류가 기존의류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외관평가도 향상되었다. 4가지 의류를 직접 착용하고 착의평가에 참여한 아동이 선호한 디자인은 직선적이고 팔꿈치에 무를 주어 동작을 돕고 상지의 움직임이 자유로운 절개형 구성방법 이었고 바지는 뒤 허리부터 앞 중심에 이르기까지 바이어스 방향으로 재단한 디자인이었다. 실험의류 착의실험 결과를 모두 반영하여 연구의류를 제작하여 실험의류와 동일한 조건에서 착의실험을 하였다. 착의실험 결과는 SPSS window 통계패키지 10.0 으로 one-way ANOVA와 Duncan test를 실시하여 5개 의류에 대한 평균의 차를 유의수준 0.05에서 비교하였다. 동작기능성 평가에서 21항목에 대하여 실험의류와 연구의류는 기존의류보다 유의적으로 향상된 결과를 나타냈다. 연구의류는 항목별로 비교하면 실험의류보다 높거나 같았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특히, 기존의류의 겨드랑이 신축성 부족과 허벅지 안쪽의 신축성 부족, 팔꿈치, 등의 동작기능성은 F값이 30 이상으로 월등하게 향상되었다. 외관평가도 실험의류와 연구의류가 유의적으로 향상되었다. 위의 결과로 학령기 여아의 기능적인 진의류를 개발하였다. Parents and children assume that jean jackets and pants are very practical and easy-to-move. In fact there are a lot to be done to make it really comfortable and easy-to-move, which are very important aspects of children's wear. The aim of the study is to develop a jean jacket and pants for schoolgirls of 11 years old.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as follows. 1. Survey on 182 schoolgirls to find out their wearing habit of jeans and what they found uncomfortable. 2. Interview with 4 designers of children's wear to find out the trends and current market situation of children's jean. 3. Using a manufacturer's pattern, a jean jacket and pants were made. They were tried to 10 children, whose size were match with the pattern. After wearing test, children answered the questionnaires about what they found the problem of the jeans. 4. Based on the survey, interview, and wearing test, it was decided that the followings were to be improved using various ways of design and construction methods. - A certain areas such as knee, elbow and hip should be altered to have better extensibility - The weight of the garment would be better to be reduced 5. Three trial garments were developed using following techniques, which were found in fashion magazines for kids very often. - Alter the location and the shape of the seam line so that the areas mentioned above can adjust the movement of the body better. - Match stretchable material at the areas, which require better extensibility. - Use various trimmings to make the garment more size adaptable and easy-to-move. 6. These garments were tested by 26 schoolgirls, and they answered the questionnaire focused on the design preference and easy-to-move. 7. From the results of the wearing test of three trial garments, more effective techniques were selected. Using these techniques, prototype garments was developed. The prototype garment was approved by the wearing test of 26 schoolgirls.

      • 의류 생산의 재단 공정 현황 및 자동화에 대한 제안

        박상진 이화여자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국내 의류 생산 업체들의 재단 공정 현황을 파악하고 재단 공정 자동화 현황과 개발 방향을 분석함으로써 국내 의류 생산 업체에 효율적인 재단 공정 자동화를 위한 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 방법으로 첫째, 의류 제품 생산을 전반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의류 제품생산 형태와 분포, 재단 공정, 재단 공정 자동화의 단계와 특성 등을 문헌고찰을 통하여 파악하였고, 둘째, 재단 공정의 현황과 자동화 정도를 파악하여 효율적인 재단 공정 자동화 방향을 제안하기 위해 국내 의류 생산 업체를 대상으로 사례조사를 행하였으며, 셋째, 재단 공정 자동화에 대한 고찰을 위하여 재단 공정 자동화 기기의 종류와 특성 재단 공정 자동화 기기의 공급 및 개발 현황을 국내 의류생산 자동화 기기 공급 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류 생산 업체의 재단 공정에 관한 현황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업체가 자동화가 되어 있지 않고, 자동화가 되어 있는 경우도 일부 작업에서는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는 등 재단 공정의 자동화 정도가 미흡했다. 이들 업체의 대다수는 자동화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면서도 자금과 기술, 경험 등의 부족을 이유로 자동화를 미루고 있는 실정이다. 둘째, 국내에 공급되고 있는 의류 생산 자동화 기기 중에서 재단 단계의 자동화기기를 살펴보면, CAD를 통한 재단 계획과 마커 제작 Software를 비롯해서 전자동 연단기, 자동 재단기, 자동 labeling 시스템, 자동 matching 시스템 등 그 종류가 다양하며 이런 재단 자동화 기기들은 그 특성과 사이즈 가격 대에 따라 여러 모델들이 개발되고 있어서 의류 생산 업체들은 그들의 요구 사항에 맞게 필요한Software를 선택적으로 추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업체들의 자동화 기기 개발의 궁극적인 방향은 기획에서부터 완성에 이르기까지 컴퓨터에 의한 생산 제어가 가능한 컴퓨터 통합 생산 체제인 CIM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의 구축을 추구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재단 공정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하고자 할 때는 작업량과 생산 품목, 생산 형태 등 작업의 여러 특성과 공장의 규모 등을 고려하여 사전에 미리 자동화 시스템 도입의 적합성을 타진하고 철저한 계획을 세워 도입 여부를 결정하며, 도입이 결정되면 자체 분석과 재단 자동화 기기 공급 업체와의 상담을 통해 가장 적절한 자동화 기기를 구입하도록 하는데 우선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것부터 먼저 구입하여 고가의 자동화 기기를 구입하였을 경우 그 효과를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작업 환경을 만들어 주도록 한다. 의류 환경의 변화와 소비자 요구의 다양화 품질 향상과 기술력 증진 등을 위해서는 의류 생산 공정에 있어서의 자동화의 실현, 그리고 장기적인 안목으로는 CIM 체제로의 전환이 필요하며 이의 초석을 다지기 위해서는 CAD/CAM 시스템의 도입과 다양한 활용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므로 의류 생산 현황에 맞는 지속적인 연구와 개발이 필요하다. Korean clothing industry is facing up fierce competition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market. We have to manufacture garments, which is changing more frequently than ever before, at right time, right price and right quality. Works of cutting room influence the quality and cost of end products by all means. Therefore to survive in the clothing world, we have to improve cutting works someho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work processes in cutting room among various firms and give some useful suggestions for automated cutting, which we believe to be on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the future. The study was carried out as follows:- 1. In order to figure out the general work flow of clothing manufacture, product types, product systems, cutting room works, cutting room automation was studied through references. 2. Cutting room managers of various manufacturing firms were interviewed on the subjects including current work flows, problems and future plans for cutting room 3. Suppliers of automated cutting machinery and equipments were interviewed for more information about current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availability of these equipments. They informed current figure how Korean clothing industry is moving forward to automated cutting technology. The results and suggestions are as follows:- 1. Most of works in cutting rooms are processed in conventional way. Although they realised the need to adopt advanced technologies, very few firms are actually ready for that direction. It is because advanced technologies require high investment, new work process and more experienced workers. 2. The automated cutting machineries are for various processes such as cutting planning, marker making, spreading, cutting, labeling and matching. Each machine has its own target customers, so the supplier developed characteristic functions and customized models at various supplying prices for their target consumers specific needs. However their ultimate direction in system development was to build CIM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 3. For successful installation of automated machineries for cutting related works, it is prerequisite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the new system and to prepare proper plan for new work flow and its training.

      • 고등학교 생활한복 교복에 관한 연구

        김수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의 목적은 남·여 고등학생에게 적합하고 활동적인 교복인 동시에 우리옷의 전통성에 청소년들의 미의식이 접목된 생활한복 교복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실제적인 생활한복 교복 만족도 및 문제점과 각 요소별 디자인 선호도 파악을 위하여 먼저 생활한복을 교복화 하고 있는 전국의 5개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복 착용실태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구체적인 아이템별 디자인과 전통문양의 선호도 파악을 위하여 남·여 비율이 비슷한 고등학교를 선정하여 아이템별 디자인 선호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동작에 무리가 없이 신체에 맞음새가 좋은 상의 패턴 개발을 위해 생활한복 관련 문헌을 조사하여 남·여 각각 두 종류의 상의원형을 제작하였고 동작 및 외관 착의평가를 통해 각 항목별 적절한 치수를 선정하고 이를 조합하여 새로운 연구원형을 개발하였다. 아이벰별 디자인 선호 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남여 상하의 실험의류를 3 종류씩 선정하였고, 상의는 유의차 검증을 통해 그 적합성을 나타낸 상의 연구원형을 기본으로 하고, 하의는 서양구성법을 이용하여 패턴을 제작하였다. 또한 두 차례에 걸친 설문조사를 근거로 색상 및 문양을 적용하여 실물제작을 하였고 동작 및 외관평가를 실시하였으며, 피험자와 검사자에게 동일 평가지로 디자인 선호도 평가를 하였다. 이러한 평가를 중심으로 우수한 평가를 받은 실험의류를 각각 한 가지씩 선택하였으며, 이에 다른 실험의류의 우수한 항목들을 조합하고 부적합한 부위를 수정 보완하여 연구의류를 제작하였다. 첫째, 남자 상의는 실험의류2를 선정하여 목둘레 및 어깨길이를 수정하고 목판깃과 소매 부위에 배색을 하여 운문을 적용하였다. 또한 보다 손쉬운 탈착을 위해 스냅을 이용했으며 전통적인 장식적 효과로 매듭단추를 부착하였다. 둘째, 남자 하의는 실험의류2를 기본 형태로 하면서 허리의 여유량 확보를 위하여 허리둘레를 늘려주면서 턱을 사용하였고, 밑위가 길어 처지는 것을 보완하기 위하여 뒤 밑위너비를 줄여주었다. 또한 발목의 불편한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목에 고무줄을 삽입하고 대님의 너비를 넓혔으며, 운문을 적용함으로써 발목형태를 돋보이게 하였다. 셋째, 여자 상의는 실험의류A의 기본 치수 및 전체적인 실루엣은 그대로 이용하되 어깨 프린세스 라인과 더블 여밈으로 구성하였고, 둥근깃와 소매부위 배색에 운문으로 은은하게 문양을 적용하였다. 앞품이 벌어지지 않도록 앞목점을 높이고 어깨길이와 소매길이를 줄여 외관이 향상되도록 하였다. 넷째, 여자 하의는 실험의류B와 모든 부분에서 동일하게 구성하였고, 좀더 편안한 맞음새를 위하여 허리와 엉덩이둘레를 늘려주었다. 맞주름에 적용된 2개의 운문은 크기를 달리하면서 상·하로 배치하여 눈에 잘 띄이게 하였다. 제작된 연구의류는 기존의 최종 선택된 실험의류의 유의차 검증을 위해 동일한 조건에서 착의실험을 하였으며, 동작 적합성 및 외관평가에서 기존 실험의류보다 유의적으로 향상되었으며, 디자인 평가 또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에 따라 남·여 고등학생의 신체에 적합하고 미적 가치관과 전통성이 함께 반영된 생활한복 교복을 개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school uniforms, which are fit well, worn comfortably and express the traditional aesthetics of Korean clothing. Korean traditional clothing is getting ground for the use of active wear as well as formal wear such as wedding or holiday visiting. This is partly due to the adaptation of western clothing techniques into Korean style clothing for the purpose of practicality. The Korean style clothing with the adaptation is called ‘Practical Korean Clothing’. The developed school uniform could be regarded as a practical Korean school uniform. The study was carried out as follows:- 1.The first survey with 597 high school girls and boys of 5 high schools were carried out. The schools are using Korean style school uniforms. The survey was about satisfaction of the current designs, problems and design preferences of the Korean style high school uniforms. Girls are more satisfied with the Korean style uniform than boys. Yet both girls and boys are nut too satisfied with the aesthetical and fashionable aspects. 2.The second survey was about design preferences about design features of Korean style school uniform. The design features were presented to the students as a design of 10 boy’s jackets, 6 boy’s pants, 12 girl’s jacket and 11 girl’s skirts. With the results of the second survey, the designs of Korean style school uniforms were developed. 3.In order to make the test garments, block bodice pattern for Korean style school uniform was developed. 4.Using the developed bodice block pattern, the test garments of 12 designs were made of wool. The 12 test designs were 3 boy’s jackets, 3 boy’s pants, 3 girl’s jackets and 3 girl’s skirts. 5.With the most preferred design features, school boy’s and girl’s Korean style school uniform designs were develop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sign were neck line opening and its finishing, AH and sleeve shape, embroidered traditional patterns and fastenings. Keep the wearing comfort, the whole design expressed the aesthetics of Korean Clothing.

      • 판매촉진 수단이 의류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

        박진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하여, 최근 증가하고 있는 판매촉진 수단이 의류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효과적인 판매촉진 수단을 찾아냄으로써, 마케팅의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판매 촉진 수단이 소비자의 의류 제품 평가요인인 품질지각, 가치지각, 구매의도, 브랜드 태도,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둘째, 고가브랜드와 중가 브랜드에 따라 판매촉진 수단이 의류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셋째, 소비자의 특성에 따라 판매촉진 수단에 따른 제품평가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넷째, 고가제품과 중가제품 구입시 여대생들이 선호하는 판매촉진 수단과 방법의 차이를 알아본다. 본 연구는 서울시와 수도권에 거주하는 여대생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자료 수집은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최종 706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가 이용되었으며,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 평균, 빈도 분석, ANOVA, Duncan test Pearson 상관관계, t-test, 회귀분석이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대생의 의류제품 평가에 대한 요인은 품질지각, 브랜드 이미지, 가치지각, 브랜드 태도의 4요인이 추출되었다. 둘째, 판매촉진 수단은 의류 제품의 품질지각, 가치지각, 구매의도, 브랜드태도, 브랜드이미지에 각각 영향을 미쳤다. 가격관련 판매촉진 수단에 따른 의류 제품평가의 차이를 보면 판매촉진 수단은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긴하나, 품질지각과 브랜드 이미지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가격관련 판매촉진보다는 비가격관련 판매촉진이 보다 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의류제품 평가 요인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가치지각과 구매의도, 브랜드 태도와 브랜드 이미지는 0.79로 매우 높은 상관관계가 나온 반면, 품질지각과 구매의도는 0.16으로 비교적 낮게 나왔다. 넷째,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제품평가의 요인은 품질지각(β=-0.151), 가치지각(β=0.785), 브랜드 태도(β=0.084), 브랜드 이미지(β=0.036)의 네 요인에 의해 전체 변량의 64%가 설명되었으며, 가치지각, 브랜드 태도, 브랜드 이미지는 정적인 관계를 나타낸 반면, 품질지각은 부적인 관계를 나타내었다. 다섯째, 브랜드에 따른 제품평가의 차이를 살펴보면 고가브랜드는 품질지각, 브랜드 이미지에서 높게 나왔고, 중가 브랜드는 가치지각, 구매의도, 브랜드 태도가 높게 나왔다. 여섯째, 판매촉진에 따른 의류계품 평가의 차이를 브랜드별로 살펴보면 품질지각과 구매의도에 대한 판매촉진의 영향은 중가 브랜드와 고가브랜드에 따라 다르지 않게 나타났으나, 중가 브랜드의 경우 비가격 판매촉진에 의해 가치지각, 브랜드 태도, 브랜드 이미지가 낮아졌다. 특히 비가격 판매촉진 중에서 경품과 사은품의 경우 고가브랜드보다는 중가 브랜드에 부정적인 영향을 더욱 미쳤다. 일곱째, 브랜드와 가격관련 판매촉진 수단에 따른 의류제품 평가를 살펴보면, 재킷에 대한 품질지각과 브랜드 이미지는 고가브랜드이고 정상가일 때 가장 높았으나 가치지각과 구매의도는 중가브랜드이고 높은 가격할인을 할 때 가장 호의적이었다. 브랜드 태도는 다른 요인만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여덟째, 소비자 특정에 따른 제품평가의 차이를 살펴보면, 판매촉진 이용도가 높은 그룹일수록 판매촉진 제품의 평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용돈이 많은 그룹일수록 중가 브랜드에 대한 제품 평가는 낮게 나왔으며, 고가 브랜드의 평가는 높게 나타났다. 중가 브랜드에서의 비가격관련 판매촉진은 용돈이 적은 그룹에게 보다 호의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고가 브랜드에서의 가격관련 판매촉진은 용돈이 많은 그룹에게 보다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여대생이 가장 선호하는 판매촉진 수단은 가격할인이고, 가격 할인 선호도는 고가의 제품일수록 더 높게 나타났다. 선호하는 사은품 품목은 중가 제품 구입시에는 목도리, 지갑, 다이어리 등의 순으로 나왔고, 고가제품 구입시에서는 숄더백, 가방, 지갑 등의 순위로 나타났다. 사은품의 적합한 가격대는 구입 제품의 약 10%로 나타났고, 선호하는 경품 품목은 중가 제품 구입시에는 상품권, 노트북, 핸드폰 순이고, 고가 제품 구입시에는 자동차, 노트북, 상품권으로 나타났다. 선호하는 경품 유형은 중가, 고가 제품 모두 고가는 아니지만 당첨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선호하는 누적 포인트는 중가, 고가 제품 모두 구매 가격의 10%누적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geared towards female college students to find out how today increasing promotional marketing means are affecting the images of clothing products, and to find the effective Promotional marketing mean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that can be apply to the marketing field. This study selects following objectives: First examine the effect of promotional marketing means for clothing on factors of product rating; quality perception, value perception, purchase intention, brand demeanor and brand rating. Second, examine to see whether the promotional marketing means for clothing have any different effects between high-Priced brand and mid-priced brand. Third, examine to see whether the promotional marketing means for clothing have any different effects depending on consumer usage of promotional marketing. Fourth, examine the differences in means and methods of promotional marketing, which female college students prefer when purchasing high-priced brand and mid-priced brand. Seven hundred six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for the study, made-up of female college students within Seoul and its metropolitan area. Study used SPSS to analyze the data, and performed frequencies, rates, arithmetic means, Peason's correlation analysis, repression,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t-test.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quality perception, brand image, value perception and brand demeanor are four factors of clothing product rating for female college students. Second, jacket product quality perception, value perception, purchase intention, brand demeanor and brand image were each affected by promotional marketing mean. It did have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when looking at the difference in clothing product rating of price related promotional marketing means, but it had negative effect on quality perception and brand image, and compared to non-price related promotional marketing, price related promotional marketing had larger negative effect. Third, when focusing at the correlation between clothing product rating, value perception and purchase intention, and brand demeanor and brand image each had very high correlation of 0.79, yet qualify perception and purchase intention had relatively low correlation of 0.16. Fourth, 64% of total factor that affected purchase intention was explained by four factors of product rating, quality perception (=-0.151), value perception(=0.785), brand demeanor (=0.084) and brand image (=0.036).Value perception, brand demeanor and brand image showed passive relation where as quality perception showed negative relation. Fifth, when considering brand as the factor of product rating, quality perception and brand image were positive factors for high-priced brand, and value perception, purchase intention and brand demeanor were positive factors for mid-priced brand. Sixth, when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clothing product rating of promotional marketing by brand, promotional marketing effect on quality perception and purchase intention were not differentiated between mid-priced brand and high-priced brand, but non-price related promotional marketing had negative effect on value perception, brand demeanor and brand in age of mid-priced brand. Especially in the case of promotional gifts and prizes of non-price promotional marketing, more than high-priced brand, mid-priced brand had negative effect. Seventh, when looking at promotional marketing based on brand and price related means, quality perception and brand image were highest with high-priced brand and regular price, yet value perception and purchase intention were highest with mid-priced brand and big discount price. Brand demeanor did not have much disparity as others did. Eighth, when examining consumer character as the factor of product rating, student group with higher usage of promotional marketing had higher rating for the product. In addition, students with higher allowance rated products of mid-priced brand low, and highly rated products of high-priced brand. Non-price related promotional marketing of mid-priced brand products were preferred by students with lesser amount of allowance, and price related promotional marketing of high-priced brand products were preferred by students with larger amount of allowance. Ninth, most Preferred promotional marketing mean by female college students was price discount, and higher priced products yielded stronger preference by price discount. When purchasing mid-to-low-priced products, most preferred promotional gifts were in order of muffler, wallet and diary, and for high-priced products, they were shoulder bag, bag pack and wallet. Considered reasonable value of promotional gift was 10% of Purchasing product price. Most preferred promotional prizes are gift certificates, notebook computer and cellular phone for purchasing mid-priced products, and when purchasing high-priced items, car, notebook computer and gift certificate were preferred. Preferred promotional prizes were not all high-priced items, but they appeared to be better in the odds of winning. Lastly, considered reasonable value of promotional accumulating points was 10% of the purchasing price for both mid-priced and high-price items.

      • 여고생의 온라인·오프라인 쇼핑몰에서의 의복구매행동 : 서울 강남지역 여고생을 중심으로

        윤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19

        인터넷의 급속한 보급과 발전으로 인터넷은 생활의 일부가 되었으며, 정보화·인터넷 세대인 청소년 세대에게 인터넷은 특히 중요한 생활의 도구이기도 하다. 인터넷에서 사람들은 인터넷 쇼핑몰이라는 가상 점포 안에서 거래를 하기 시작했고, 이미 그 수는 포화상태에 이른 상황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인터넷 쇼핑몰에서 소비자의 욕구를 위한 세분화 된 연구와 다각적인 마케팅 전략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고생 소비자 집단을 통해 인터넷 쇼핑몰과 오프라인 쇼핑몰에서의 여고생들의 일반적인 의복구매행동을 알아보고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의복구매행동과의 관계를 연구함으로써 여고생의 특정 소비자 집단의 욕구를 만족 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인터넷 쇼핑몰 구축 뿐 아니라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여 오프라인에서의 전략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여고생의 인터넷 쇼핑몰 이용 현황을 알아본다. 둘째, 여고생의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의복구매행동을 알아본다. 셋째, 여고생의 오프라인 쇼핑몰의 이용 현황을 알아본다. 넷째, 여고생의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오프라인 쇼핑몰에서의 의복구매행동을 알아본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설문지법을 사용하였으며, 본 조사의 자료수집은 설문기간은 2007년 4월 19일부터 4월 28일까지 총 10일간 이루어졌으며 5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475부를 회수하였고, 이 중 응답이 불성실한 17부를 제외한 최종 458부를 통계 처리하여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14.0 통계 Package를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빈도분석, 요인분석, 교차분석, 신뢰도 검증 등이 사용되었으며, Anova와 사후검증으로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고생의 인터넷 쇼핑몰 이용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인터넷 쇼핑몰에서 최근 6개월 동안 구입한 의류제품의 횟수를 살펴 본 결과 인터넷 쇼핑몰에서 최근 6개월 동안 인터넷 쇼핑몰을 통해 의류제품을 구매한 빈도가 1~2회라고 123명이 응답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인터넷 쇼핑몰에서 구매한 품목의 1,2,3순위와 합산 가중치를 살펴 본 결과 캐쥬얼 상의, 캐쥬얼 하의, 운동화 및 가방류 순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쇼핑몰에서 구입하는 가격대를 알아 본 결과 1만원~3만원이 5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인터넷 쇼핑몰 이용 시 이용하는 지불수단은 무통장 입금으로 59.5%(203명)가, 신용카드 결제가 38.7%(132명) 순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쇼핑몰 이용 시 가장 고려되는 요인들은 디자인, 가격, 사이즈로 나타나 가격보다 디자인이 우선 순위임을 알 수 있었고 다음으로 고려 요인은 유행, 서비스 품질, 쇼핑몰의 인지도, 상표, 소재 순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쇼핑몰 이용 이유로는 이용하기 편리해서, 여러 쇼핑몰을 둘러보는 것을 좋아해서, 시간을 절약 할 수 있어서, 가격이 저렴해서, 인터넷 쇼핑 자체가 즐거워서, 최신 유행하는 의류를 구입할 수 있어서 순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쇼핑몰에서 의류제품 구매 만족도를 살펴 본 결과, 보통이 47.3%, 만족이 45.5%순으로 나타났고, 인터넷 쇼핑몰에서 의류제품 재구매 의도를 알아 본 결과 57.1%가 재구매를 한다고 응답했고, 다음으로 보통이 38.1% 순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쇼핑몰 이용 시 구매 저해 요인을 살펴 본 결과 사이트 상의 상품과 실제상품의 차이 때문에(색상, 디자인 등), 다음으로 교환/반품의 복잡함과 불확실성 때문에, 사이즈(착용감)의 문제 때문에, 신뢰할 수 있는 쇼핑몰인지 확신 할 수 없어서, 주문한 상품의 불확실성 때문에 등 순으로 나타났고, 인터넷 쇼핑몰에서 의류제품 구매 경험이 없는 사람들에게 앞으로 인터넷 쇼핑몰에서 구매 의향이 있는 품목들에 대해 알아 본 결과, 인터넷 쇼핑몰을 통해 구매 의사가 가장 높은 품목으로 캐쥬얼 상의, 캐쥬얼 하의, 점퍼, 코트, 버버리 등 아웃웨어와 운동화 및 구두류 순으로 나타냈다. 둘째, 인구 통계학적 특성과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의복구매행동을 알아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응답자의 계열과 인터넷 쇼핑몰에서 의류제품 구매 여부에 대해서 알아 본 결과 인문계 76.60%가 인터넷에서 의복상품 구매 경험이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 예·체능 계열이 72.70%로 뒤를 이었으며, 자연계에 속한 응답자들이 58.20%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가정의 월평균 소득과 응답자의 월 평균 용돈을 인터넷 쇼핑몰에서 구입하는 의류제품의 구매가격과 살펴 본 결과 가정의 월 평균 소득과 응답자의 월 평균 용돈은 인터넷 쇼핑몰에서 구입하는 의류제품의 구매가격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가정의 월 평균 소득이 높을수록 인터넷 쇼핑몰에서 구입하는 의류제품의 구매가격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의 월 평균 용돈이 높을수록 인터넷 쇼핑몰에서 의류제품 구매만족도가 높음을 나타났으며, 월 평균 의복 지출비가 높을수록 인터넷 쇼핑몰에서 구입하는 의류제품의 구매가격이 높게 나타났다. 어머니의 취업여부와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의복구매유무와의 관계를 알아 본 결과 어머니의 취업여부와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의복구매 여부와는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나타냈고, 학급 성적과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구매유무 또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오프라인 쇼핑몰에서 의복구매행동을 살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오프라인 패션매장에서 의복 구입 시 동행인에 관하여 알아 본 결과 어머니와 동행이 51.4%, 친구들과 동행 35.8%, 형제와 함께 7.1% 순으로 나타났다. 오프라인 쇼핑몰 이용 시 선호이용 점포로는 백화점, 의류도매상가, 상설 할인매장 순으로 나타났다. 오프라인 쇼핑 몰에서 의복구입 빈도를 알아 본 결과 1~2달에 1번 구매한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1달에 1번 이상 순으로 나타났다. 오프라인 쇼핑몰 이용 시 의류제품의 가격대를 알아 본 결과 3만원~5만원 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5만원~8만원 미만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오프라인 쇼핑몰에서의 의복구매행동을 알아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정의 월 평균 소득과 오프라인 쇼핑몰에서의 이용선호 점포를 알아 본 결과 월 평균 소득이 높을수록 백화점 이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정의 월 평균 소득과 월 평균 의복 지출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 평균 용돈과 오프라인 쇼핑몰에서 의류제품 구매가격을 알아 본 결과 월 평균 용돈이 높을수록 여고생들의 의류제품 구매가격이 높아짐을 나타냈다. 월 평균 의복 지출비와 오프라인 쇼핑몰에서의 의복구매 빈도를 알아 본 결과 역시 월 평균 용돈과 오프라인 쇼핑몰에서 의류제품 구매가격의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 여고생들의 월 평균 용돈과 오프라인 쇼핑몰에서의 의복구매가격, 구매빈도가 비례함을 나타냈다. 또한 의복 지출비가 높은 여고생일수록 오프라인 쇼핑몰에서 의복구매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응답자의 학급 성적과 오프라인 쇼핑몰에서 이용 빈도가 높은 점포를 알아 본 결과,응답자의 학급에서 성적이 상위권 일수록 오프라인 패션매장이 이용빈도가 높은 점포는 백화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급 성적이 상위25%인 56.3%가 백화점을 이용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의류도매상가를 이용한다는 응답이 16.7%로 나타났고, 중위 26%~75%이내에 속하는 집단은 의류도매상가는 이용한다는 응답과 백화점을 이용한다는 응답이 각각 38.4%와 38%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학급 성적이 하위 76%인 집단은 47.9%가 의류도매상가를 이용하는 반면 백화점 이용도는 15.5%로 낮게 나타났다. 의류매장 방문 시 동행자와의 관계 여부에 따른 고려 요인의 결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는데, 본인 혼자 의류매장을 방문 할 경우 구매 경험/ 매장 구매 후 서비스/품질 이미지 요인 값이 가장 높게 나왔다. 의류 제품 구매 가격대에 따른 매장 방문 시 고려요인 중 구매 후 서비스/상품 품질에서 유의 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1만원 이하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8~10만원 미만, 5~8만원 미만, 1~3만원 미만, 3~5만원 순으로 나타났다. 의류매장 방문 시 평소 이용도 높은 점포와 고려요인을 알아 본 결과 요인 값과 이용 점포간에서 구매 후 서비스/품질이 p<0.001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는데 구매 후 서비스/품질은 기타 이용 점포일 경우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다음으로 상설할인매장, 무 상표 점포, 할인점, 의류도매상가, 백화점 순으로 나타났다. As internet developed and supplied to people rapidly it took the great place in our life and became one of the important life factor of people. The internet became the part of our life and also became the important factor to the youth especially. People started trading on-line and the on-line market is already saturated. Even though Internet shopping mall has the unlimited growth possibility, the old marketing strategy and building construction are still applied to build the internet shopping mall so far and ,therefore, the subdivided research and diversified marketing strategy are needed to fulfill the consumer. A goal of this paper is to give the basic idea to provide an effective ways to establish and activate a marketing and building strategy of internet shopping mall. The study finds out a general shopping behavior of a female high school student in on and off line shopping mall and a shopp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and social trends. It is to fulfill the specific consumer group, the female high school student, through the concrete shopping mall construction and efficient marketing strategy. The specific objec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is to examine the present position of the use for an internet shopping mall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Second, it is to examine a shopping behavior in on-line shopping mall related to demographic and social trends of the female high school students Third, it is to examine the shopping behavior of the female high school students On use of off- line shopping mall. Fourth, it is to examine the shopping behavior on off-line shopping mall related to demographic and social trends of the female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survey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the survey was held for 10 days from April 19^(th) of 2007 to April 28^(th) of 2007. 500 survey sheets were handed out and 475 papers were returned. Among the 475 surveys, 438 survey papers except 37 papers which were false to questions were used as the method to extract the analyze outcome. SPSS Win 14.0 is applied to find out the results of frequencies, percentages, means, a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reliability Verification,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Duncan test was applied as the after verification. The results of a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present position of the use for an internet shopping mall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s as follows: The visiting frequency of an internet shoppingmall related to apparel items were mostly once or twice per week. Its required time was mostly half an hour to an hour. Result shows that 72.7% which is 331 out of 455 people had a purchasing experience through the internet shopping mall. Days and time period were concentrated on Saturday and Sunday in the order. 82.5 %( 274 people) used the internet shopping mall on Saturday and Sunday. The time period of the use showed that 33.9 % (114 people) was on shopping mall from 6 to 8 of the time period and 31.5 % (106 people) was the shopping mall from 8 to 10 of the time period. G market 132 (42.2%), Auction 47(15%), Dnshop 37 (11.8%) was mostly preferred in the order and it indicated that all top 3 ranks were the variety on-line shopping mall. Also, DDM, shop girls, genzshop ranked in the order among specialty on-line, internet shopping malls. Primary factors for the preference of the internet shopping malls were 35.6% for the low price range, 28.3% of time saving, and 11.1% of item variety. By this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low price factor was the primary reason for choosing internet variety shopping mall. The route for a first visit of a preferred internet shopping mall was 34% (115) from a search tool, 28.4% (96) from communication with friends and 17.2% (58) from the internet Banner Advertising. The frequency of buying on the internet shopping mall within 6months lately showed that 123 people mostly shopped once or twice within 6months. Plus, casual top, bottom, running shoes and bags were ranked in the order according to adding up an each value. The price range from 10000 won to30000 won took 50% of all the price range that people spent on the internet shopping mall. The method of paying was deposit (59.5%) and credit card (38.7%) in the order named. Most of Factors in purchasing on internet shopping mall was design, price, and size in the order named. It indicated the design was most important factor to consider other than the price. Besides these factors mentioned popularity, service quality, reputation, brand name and a material of item ranked in the order. Reasons of using the internet shopping mall were convenience, variety, time saving, low price, enjoyment, and trend catching in the order named. Satisfaction of buying through the internet shopping mall was 45.5% of highly satisfacted and 47.3% of medial satisfacted. 57.1% had the returning intention to the shopping mall and 38.1% had a medial intention to doing it again. Obstructing factors of using the internet shopping mall were color and design differences between the item shown on the web and the item received, an uncertainty and inconvenience of refund and exchange, problems related fitting, reliance of the shopping mall and uncertainty of item. The item and intention of first buying on the internet shopping mall was a cadual top and bottom, outwear like a jumper and a coat, running shoes and dress shoes. Those were preferred in the order named. Second, the result of studying on demographic and social trends and apparel purchasing pattern in the internet shopping mall was mentioned below. The rate of buying experience and the relation between respondents' occupation and the respondent' intention of purchasing ranked high at a literature education (76.60%) art, physical education(72.20), and low at a science education( 58.20% ) in the order. The result of comparing on family monthly income and respondents monthly allowance indicated that there was a relation between the respondents' monthly allowance and the purchased item price on the internet shopping mall and the higher monthly income results in the higher price item purchasing. Also, the higher monthly allowance results in higher satisfaction on the purchased item and the higher amount spent on apparel item meant higher price range item on line. There was no relation between an employment status of mother and the purchasing status of the respondent on the internet shopping mall. Also there was no relation between the class grade and the purchasing .status Third, the results of study on purchasing pattern of off line store were as followed. Companion to the off line store was mother (51.4%),friend( 35.8%),a sibling( 7.1%) in the order. The preferred store for the off line shopping was department stores, wholesalers, outlet stores in the order named. The frequency of purchasing at the off line stores was that respondent shop once or twice per a month or two and once a moth ranked after that. The price range of the off line shopping mall was that from 30000 to 50000 won and from 50000 to 80000 in the order named. Fourth, the comparison of the demographic and social trends and the shopping behavior in the off line was followed bellow. It was found that the more monthly income they earn the more the department store was preferred and there is a high relation between the family monthly income and the amount of money spending on apparel. Also,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monthly allowance, the higher spending on the apparel item. The study on the relation of the average monthly expenses on apparel and the frequency of the shopping at the off line store was about same as the relation of the monthly allowance and the purchasing price range of the off line shopping mall. Finally, the average of the female high school students' monthly allowance and the price range of the purchasing on off line store, the frequency of buying were commensurate. Plus, the more money they spend on the apparel item, the more frequency of purchasing of the apparel. The result looking at the grade record and the frequency of the off line store use was that the higher grade the respondent had, the more off line department store she used. Students of the top 25% of the class ,that is, the 56.3% of the respondent used the department store and 16.7% of the respondent used the whole sale. The medium range ,that was, 26% to 75 % of the respondent used the whole sale at 38.4% for their shopping places and used the department store at 38% for their shopping places. The class grade of fewer than76% of the whole class number used the whole sale at 47.9% for their shopping places and 15.5% for the department store. The relation ship of the companion for visiting the off line store showed that buying experience, service quality and the store image was the highest level when visiting the store alone without the companion. The factor in visiting store according to the item price range indicated that an after service and the quality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nd it was the price of under 10000, under 80000 to 100000, under 50000 to 80000, under 10000 to 300000 and under 30000 to 50000 in the order named. The factor in high preferred store showed p<0.001 on the after service and the quality. It was non apparel related stores, the whole sale, a street store, a discount store, outlets and the department store.

      •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의류제품 구매 후 불만족 및 불평행동에 관한 연구

        조남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인터넷 쇼핑의 증가에 따른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의류제품 구매 후 불만족 및 반품을 중심으로 한 불평행동과 그 관계를 밝히고 그에 따른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의류제품 구매 행동에 대해 알아본다. 둘째,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의류제품 구매 후 불만족 및 불평행동에 대해 알아본다. 셋째,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의류제품 구매 후 반품 행동에 대해 알아본다. 본 연구의 연구 방법은 이론적 고찰과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다. 실증연구는 탐색 조사, 예비조사, 본조사의 세 단계로 나누어져 진행되었는데, 탐색 조사 단계에서는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불만족 문항을 추출하기 위하여 한국 소비자 보호원에 접수된 인터넷을 통해 구매한 의류제품 불만족 사례를 분석하였다. 예비 조사 단계에서는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의류제품 구매 후 불만족 및 불평행동 측정을 위한 문항을 개발하기 위해 의류직물학 전공 대학원생 30명에게 문항 타당도를 위한 1차 예비조사를 실시 하였고, 여대생 67명을 대상으로 2차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본조사 문항을 확정하였다. 본조사 단계에서는 남녀 대학생 580명에게 설문지법이 실시되었고, 자료 분석은 요인 분석, 신뢰도 검증, 빈도 분석, t-test, 분산분석, 회귀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응답자 중 일반 제품 구매 경험자는 전체 응답자의 66.9%였으며, 의류 제품 구매 경험자는 35.2%였다.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의류제품 구매 경험에서 남녀간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2∼3회의 구매 경험이 가장 많았다.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의류 구매 품목은 화장품, 캐주얼 상의가 가장 많았으며 남자의 경우 가방을, 여자의 경우 화장품을 가장 많이 구매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류제품을 구매하게 된 경로는 구매를 계획하고 인터넷 쇼핑몰에 접속한 경우가 68.6%로 가장 많았으며, 구매 계획이 없었으나 광고를 보고 구입한 경우가 두번째로 많았다. 인터넷 쇼핑몰에서 의류제품 구매 후의 만족도는 만족이 60.2%로 전반적인 구매 만족도가 대체로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만족도가 가장 높은 품목은 화장품이었고, 불만족도가 가장 높은 품목은 캐주얼 상의와 핸드백 및 가방류였다. 둘째, 인터넷 쇼핑몰에서 의류제품 구매 후 불만족은 7개 요인으로 추출되었으며 결제와 배송 불만족, 품질 불만족, 반품/교환/환불 불만족, 가격 불만족, 구매거래 계약 관련 불만족, 신뢰도 불만족, 서비스 불만족이라고 명명하였고, 가장 불만족이 높은 요인은 신뢰도 요인이었다. 인터넷 쇼핑몰에서 의류제품 구매 후 불평행동은 3개 요인으로 추출되었으며 사적 불평행동, 판매자 보상 추구 불평행동, 제3기관 보상추구 불평행동으로 명명하였다. 불만족은 불평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의류제품 구매 경험과 반품 경험에 따른 집단간 차이에서는 사적 불평행동에 차이가 있었고 직접 입어보고 만져보는 과정 없이 인터넷을 통해 의류를 구입하겠다는 구매 의도에 따른 집단 차이에서는 제3기관 보상추구 불평행동에서 차이가 나타났고, 인터넷 쇼핑 친숙도에 따른 집단간 차이에서는 불만족 및 불평행동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인구통계학적 변수에서 불만족은 성별, 대학, 전공, 학년, 한달용돈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고, 불평행동은 성별, 학교, 전공, 학년, 한달용돈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의류제품을 반품한 경험이 있는 집단은 의류 제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집단의 31.5%를 차지하였고, 반품 빈도가 가장 높은 품목은 신발 및 구두였으며, 주된 반품 요인은 '컴퓨터 화면상의 이미지와 실제 상품간의 차이'가 32.5%로 가장 많았고 '사이즈가 맞지 않아서'가 두번째 요인이었다. 반품 후 해결 방법은 환불을 원한다는 응답이 76,1%로 가장 많았고, 반품 요구에 대한 쇼핑몰의 문제 해결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보통이라는 응답이 33.8%로 가장 많았고, 만족 22.5%로 두번째였다. 불만족을 경험한 쇼핑몰에 대한 재이용 의도에 대해 62.0%가 다시 이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하였고, 불만족 해결 방법이 만족스럽거나 해당 쇼핑몰에서만 원하는 상품을 구매할 수 있을 경우에는 해당 쇼핑몰을 다시 이용하겠다는 응답이 29.6%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urchasing behavior, dissatisfaction and complaining behavior for apparels in internet shopping malls, and i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applicable to the various Held of marketing.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s fallows: First, we will go over purchasing behavior far apparels in internet shopping malls. Second, we will go over internet shoppers' dissatisfaction and complaining behaviors. Third, we will go over internet shoppers' returning goods behaviors. The research on former studies and survey were used as the methods of this study. Survey was consisted of 3 stages which were exploratory step, pilot study and main research. For the main research, 580 university students were given questionnaires and the sum of 529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es. Using SPSS package,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test regression ANOVA, Duncan test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urchasing experience through internet shopping malls made up to 66.9% of normal purchasing experience, and purchasing experience of apparels was 35.2%. Significant purchasing experience difference of men and women were not found. University students usually buy cosmetics and T-shirts. Men usually buy bags and women usually buy cosmetics. They are most satisfied at cosmetics and most dissatisfied at T-shirts and bags. Second, 7 factors of dissatisfaction (called payment and delivery, quality, returning/changing/refunding, price, contract, reliability) were identified after purchasing apparels font internet shopping malls. 3 factors of complaining behavior (called private action, legal action, remedial seeking action) were investigated. Complaining behavior is significantly effected by dissatisfaction. In the difference of dissatisfaction and complaining behavior, people who didn't have returning experience usually seek private complaining actions. People who have the weak will of purchasing apparels from internet shopping malls usually seek legal actions than who have the strong will. Third, returning goods experience of apparels was 31.5% in group having internet purchasing experience of apparels. People return shoes most frequently. The reason why they return goods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image of goods en computer screen and real goods. The second reason is size. They usually want to refund after returning goods than changing goods. Only 29.6% of university students who had dissatisfying experience at any internet shopping malls intend to use the shopping malls aga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