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문적 패러다임의 전환과 음악학의 미디어 연구

        박혜정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미디어는 사람들의 음악활동과 무관하지 않다. 매스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는 대중음악의 폭발적인 증가를 가져왔고 음원재생 기기의 발달은 사람들의 음악 청취 방식을 변화시켜왔다. 최근에는 인터넷을 통한 사이버 공간에서의 음악 저작권 문제와 같은 논의들이 새롭게 등장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음악학에서는 오랫동안 미디어 연구 자체에 대해 거의 관심을 갖지 않았다. 오히려 철학이나 커뮤니케이션과 같은 타 분야의 학문에서 미디어에 관한 이론들을 적극적으로 거론했고 라디오나 텔레비전 등의 미디어가 전하는 방송 내용들을 분석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음악 미디어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나 미디어가 음악 실제와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답을 주지 못했다. 그러다 80년대 초가 되자 포스트모더니즘의 물결과 함께 음악학도 소리 구조물로서의 음악 분석을 뛰어넘어 문화로서의 음악 연구를 향해 한 걸음 나아갔고, 음악학자들도 차츰 음악 활동과의 관계 속에서 미디어를 바라보기 시작했다. 이 같은 음악학의 미디어 연구는 미디어가 어떻게 사람들의 음악 활동에 영향을 미치고 음악 문화에 변화를 가져왔는지를 관찰하였다. 그 동안 원론적으로만 논의되어졌던 문화 속 미디어에 관한 구체적 사례들을 제시하기 시작했던 것이다. 물론 인류의 역사 가운데는 실로 다양한 음악 미디어들이 존재해 왔고 면밀히 탐구되어져야 할 사례들은 아직도 많이 남아있다. 그러나 이 같은 음악학의 미디어 연구는 그 동안 타 분야가 해 오지 못했던 음악 미디어 연구에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해 주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그렇다면 음악학의 미디어 연구가 서 있는 현 주소와 앞으로의 나가야 할 방향을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음악학이 어떠한 학문적 배경 속에서 미디어를 바라봐왔는지, 그러한 연구가 갖는 의미와 한계점은 무엇인지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The media is not irrelevant to human musical activities. Mass media led to an explosive growth in popular music, and the development of music players changed the way people listen to music. Furthermore, new issues have lately arisen, such as music copyright infringement in cyberspace. Despite these facts, musicology had for a long time shown little interest in media research. Other studies, such as philosophy and communication studies, had actively pursued theories on the media and had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radio, the television and other media. However, these studies failed to provide substantial discussions on musical media or give explan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dia and music. Then in the wave of postmodernism in the early 1980s, musicology turned into a study of music as a culture, and not merely as a sound structure. Gradually, musicologists began to analyze the media in relation to human musical activities. The musicological research on the media involved the effects of the media on human musical activities and the changes the media brought about in musical cultures. Musicologists started to provide specific cases of the media as a part of culture, which until then had only been discussed in theory. There have indeed been diverse musical media in human history, many of which still remain to be studied in detail. However, the musicological research on the media has great significance as it provided the musical media research with a new direction, something other studies have failed to achieve. In this respec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the musicological research on the media and the direction it must take in the future. Therefore, this dissertation will discuss the academic background of the musicological research on the media and explore the meaning and the limitations of the research.

      • 계정식의 『한국음악(Die Koreanische Musik)』에 관한 연구 : 오선악보로 소개, 해석된 17악곡에 기하여

        김성윤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6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usical significance of Korean music research by Dr. Keh. Ch. S., a Korean-born classical musician in the 1930s, which have not been much illuminated by Korean music academia. In this study, I explore Keh’s life and his research works on Korean music with a primary focus on his doctoral dissertation, 『Die Koreanische Musik-Einführung und Besprechung von 17 zum ersten Mal in die europäische Notenschrift übertragenen Kompositionen』; examin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ic perceived by western musicians; and analyze his research methodologies to introduce at that time very little known Korean music to the western world. First, Keh was born in Pyongyang in 1904 and was highly talented in music. He studied violin in Japan and Germany and earned a doctorate degree from Universität Basel, Switzerland in 1934 with a dissertation on Korean music. After returning to Korea, Keh was actively involved in various musical activities as a violinist, composer, conductor and educator, and became a pioneer of Western music in Korea. Although major in Western music, he displayed a deep affection for 1930s Korean music. Besides his doctoral dissertation on Korean music, he played <Bang-a Taryeong> and <Chwitaepyeongjigok> arranged in classical music on his recitals. Second, Keh’s doctoral dissertation, which covers almost everything on Korean music, contributed to 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Korean music as well as Korea among Europeans. He offered an outline of Korean history and culture and presented a general overview and main features of Korean music, on which the Europeans at that time had very little knowledge. He also provided musical transcriptions and analyses of seventeen Korean musical pieces by referring to gramophone records and precedent music books, allowing the readers to have a firsthand appreciation of the music he presented. Keh explained that Korea has its own distinctive culture since Gojoseon and unlike China, displays a theological perspective on musical philosophy. Korean music employs a five-tone scale without semitones. Performers of Korean music were largely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court musicians, government-employed musicians or privately-employed musicians, troubadours or wandering musicians and gisaeng, and each group played different genres of music. In his dissertation, Keh added detailed explanations on how to play Haegeum(a Korean musical instrument similar to the violin) and Janggu(an accompanying instrument in Korean music). Korean music roughly comprises two major genres—court music and folk music, and these two are played in very different manners. While court music is played in a refined manner with little display of emotions, folk music is characterized by its rhythmical and dramatic expressions. In particular, he noted the unique aspect of Korean music where even the same piece of music can be played and delivered very differently depending on performers. Keh included seventeen musical pieces in his dissertation, two of which are court music, the other two are Buddhist music and the rest thirteen are folk music. Out of thirteen folk music pieces, he included <Bamyot(Taryeong)>—the song of taffy sellers touting on the streets and <Bumoeundeokga>—the early 20th century's newly composed song. Although Keh did not reveal the sources of recordings of the five pieces—<Bamyot(Taryeong)>, <Ipal Cheongchunga>, <Dambaguya>, <Daeyangga> and <Bumoeundeokga>, I identify the sources of those five pieces by referring to the scores from Lee Sang-jun’s Music Book and André Eckardt’s 『Koreanische Musik』(1930). I also found out that Keh took the melody of Haegeum as the main melody when transcribing ensemble pieces such as <Mannyeonjanghwanjigok>. In addition to this confirmation, based on literature review it can be inferred that Keh also transcribed the Haegeum-Piri duets such as <Bang-a Taryeong>, <Yangsando>, <Young-byun Ga> and <San-yeombul> with Haegeum as the primary melody, even though the recordings of those four pieces were lost. Moreover, he analyzed history, lyrics, scales, melodies and rhythms of each seventeen pieces, and even translated lyrics and Confucian names of folk songs into German, in order to enhance appreciation of these musical pieces. Third, I assess the importance of Keh’s work from four different aspects: the academic value of 『Die Koreanische Musik』, application of comparative musicology methodologies, transcription of Korean music and violin-interpreted Korean music. 『Die Koreanische Musik』 has a significant academic value as Keh advanced the previous research which were only presented with simple introductions and music books, by conducting musical analyses as well as musical transcriptions on seventeen pieces. Moreover, 『Die Koreanische Musik』 is not only the first foreign language publication on the Korean music published by a Korean in Europe, but the first doctorate dissertation on Korean music in Korean musicology academia. Highly influenced by comparative musicology while studying in Germany and Switzerland, Keh adopted comparative musicological methods for his dissertation, as a means to better introduce Korean music to the Europeans. Comparing with other Asian countries, Keh highlighted Korea’s identity and uniqueness, analyzed the features of Korean music from the Western angle and defined “improvisation” as the most distinctive attribute of Korean music. It is noteworthy that Keh attempted to transcribe Korean music from gramophone records onto five-line staff notation. Seventeen scores of Korean music in five-line staff notation in his dissertation are invaluable resources of indirect information on Korean music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Keh’s utilization of gramophone recordings as a primary source for his study as well as transcription of Korean music into five-line staff notation and analyses on scores not only opened a new chapter and facilitated the development of Korean musicology, but demonstrated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recording and transcribing Korean music. When introducing Korean music to Europe, Keh as a violist played Korean music on the violin in order to enhance Europeans’ understanding on Korean music by expressing it with their familiar instrument. As the Haegeum is a Korean instrument similar to the violin, Keh added the explanation on Haegeum and only included the Korean ensemble pieces accompanied by Haegeum. For example, Keh’s notating <Bakyeon Pokpo> and <Yangsando> in two or three melody lines implies his intention to play the pieces in a violin duet or a trio arrangement. He also displayed his own style and interpretation of the musical pieces when rearranging the Korean music for violin. After returning to Korea, Keh played <Chwitaepyeongjigok> and <Bang-a Taryeong> on the violin. This study addresses that the scores from Keh’s 『Die Koreanische Musik』 were interpreted for playing the pieces on the violin as well as that playing and rearranging Korean music into Western instrument was groundbreaking both in Korea and in Europe. The scores of Korean music in Keh’s dissertation enabled the Europeans to play the music even though they had little knowledge on Korean music. Judging from the existing research and documents, Keh is the first musician in Europe, who interpreted and played Korean music on the violin. In conclusion, Keh’s 『Die Koreanische Musik』, is of great academic significance in the field of Korean musicology for the reasons stated above, and has also greatl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musicology. 본 연구는 그동안 한국음악학계에서 조명받지 못했던 계정식의 한국음악 연구, 즉 그의 박사학위 논문인 『Die Koreanische Musik-Einführung und Besprechung von 17 zum ersten Mal in die europäische Notenschrift übertragenen Kompositionen(한국음악-유럽식 기보로 역보(譯譜)된 17개 악곡들에 대한 최초의 소개 및 논평)』(이하 "『한국음악』")의 한국음악학적 의의를 구명(究明)한 것이다. 이에 본고는 계정식의 생애 및 그의 한국음악 연구 행적과 박사학위 논문인 『한국음악』을 총체적으로 아우르고, 서양음악가의 관점에서 본 한국음악은 어떤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당시 서구에 잘 알려지지도 않았던 한국의 음악을 서구인들에게 어떠한 방법론을 가지고 연구를 전개하였는지 등 분석을 통해 계정식 논문의 한국음악학적 의의를 밝혔다. 첫째, 계정식은 1904년 평양 출생으로 음악적 재능이 매우 뛰어난 인물이었다. 일본과 독일에서 바이올린을 전공했으며, 1934년 스위스에서는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귀국 후 그는 바이올린 연주자, 교육자, 작곡가, 지휘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왕성히 활동한 우리나라 서양음악의 선구자이다. 그는 서양음악가임에도 1930년대 한국음악에도 애정을 보였다. 단연 대표적인 것은 그의 박사학위 논문 『한국음악』이며, 이외에 그의 연주회에서 선보인 서양식 편곡 <방아타령>과 <취태평지곡>이 있다. 둘째, 계정식의 논문 『한국음악』은 서구에 편찬된 한국음악서로, 한국음악과 관련한 모든 것들을 총망라하였다. 서구인들에게는 미지의 나라인 한국의 이해도를 높이고자 한국이라는 나라의 개괄부터 한국음악의 전반적 지식과 특징을 제시하였다. 이후 이를 독자들이 직접 경험할 수 있도록 그는 한국음악의 특징을 비교적 잘 담고 있는 곡, 또는 그도 알고 있거나 당시 사람들이 많이 불렀던 곡들 중 유성기 음반과 선행 악보집을 토대로 17악곡을 선별하여 채보 및 분석하였다. 그는 한국이 기원전 고조선 건국 이래로 고유의 문화를 지니며, 음악철학에 있어서도 중국의 세계관과 달리 신학적인 관점을 취한다고 설명한다. 그리고 한국음악의 음 체계는 무반음 5음으로 구성되며, 한국음악의 연행자를 궁중악사, 관아 또는 민간음악가, 떠돌이 가수, 기생으로 구분하였고, 이들이 담당하는 음악은 각기 달랐다고 기술한다. 그는 한국악기의 연주방법에 관해서 본인의 전공인 바이올린과 유사한 해금과 반주 악기인 장구만을 소개하였는데, 이 중 장구의 맨손 연주법은 지금과는 사뭇 다른 양상을 보인다. 정악은 높은 격조를 지닌 음악으로 감정을 절제하는 반면에 민속악은 경쾌하며 선율의 단락이 분명히 나누어진다는 그의 설명을 통해 그가 한국음악의 장르별 음악적 특징을 인지하고 있었음을 암시한다. 특히 계정식은 한국음악의 경우 같은 곡이라 하더라도 연주자에 따라 그 느낌이 달라진다고 덧붙였다. 『한국음악』에 수록된 17악곡은 궁중음악 2곡, 풍류음악 2곡, 민속악 13곡이다. 계정식은 민속악에 엿장수가 호객하는 소박한 거리 외침인 <밤엿(타령)> 또한 음악으로 간주하여 포함하였으며, 가슴을 파고드는 가사를 노래하는 20세기 초 새롭게 작곡된 창작곡 <부모은덕가>도 실었다. 17곡 중 출처가 불분명한 곡은 <밤엿(타령)>, <이팔청춘가>, <담바구야>, <대양가>, <부모은덕가> 총 다섯 곡이다. 연구자는 이상준의 악보집 및 안드레 에카르트(André Eckardt) 신부의 『Koreanische Musik』(1930) 등에 수록된 악보 등과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위 다섯 곡의 명확한 출처를 밝혔다. <만년장환지곡>을 통해서 계정식이 합주곡을 채보할 때, 해금 선율을 위주로 채보하였음을 확인하였다. 해금과 피리 이중주의 <방아타령>과 <양산도>, <영변가>, <산염불가>의 음원은 현재 구할 수 없으나, 이 곡들 또한 선행연구 등을 바탕으로 그가 해금을 주선율로 채보한 곡이라 추정된다. 계정식은 17개 악곡 각각의 역사와 가사, 출현음, 선율, 리듬 등을 다루었으며, 아명과 성악곡의 가사까지도 독일어로 번역하여 악곡에 대한 이해를 도왔다. 셋째, 계정식의 『한국음악』의 한국음악학적 의의를 한국음악의 학술적 연구와 비교음악학 방법론의 적용, 한국음악의 악보화, 그리고 한국음악과 바이올린의 접목 네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한국음악의 학술적 연구에서는, 그의 논문은 단편적인 개론서와 악보집 등 종전의 저술과는 차원이 다른 진일보한 연구로서 17악곡의 한국음악을 오선악보로 소개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한국인이 서구에서 외국어로 편찬한 최초의 한국음악서이자, 기존 발굴된 연구보다 앞선 한국음악학계 학술적 연구물로, 한국음악을 주제로 한 한국음악학계 최초의 박사학위 논문임을 명시하였다. 비교음악학 방법론의 적용에서는, 독일과 스위스에서 유학하던 계정식은 당시 신생 음악학 분야인 비교음악학의 영향을 받아 『한국음악』을 집필하였으며, 이러한 비교음악학 방법론은 그가 한국음악을 서구인에게 소개하는데 가장 적합한 연구방법임을 서술하였다. 따라서 그는 한국음악에 비교음악학 방법론을 적용한 장본인으로, 한국을 다른 아시아권 나라들과 비교함으로써 한국이라는 나라의 독자성과 고유성을 부각하고, 서양음악 관점에서 한국음악을 분석하여 우리 음악 고유의 특징을 “즉흥성”이라고 정의하였다. 한국음악의 악보화에서는, 당시 유성기 음반에 취입된 한국음악을 오선악보로 채보하였던 계정식의 시도 자체는 높이 평가될 가치가 충분하다는 점을 조명하였다. 『한국음악』에 실린 오선악보로 기보된 17악곡의 한국음악은 20세기 전반 우리나라 음악을 간접적으로 알려주는 귀중한 연구자료이다. 계정식은 유성기 음반을 그의 논문의 원자료로 적극 활용하여 오선악보로의 채보와 분석을 통해 본격적인 한국음악학의 포문을 연 동시에 발달을 초래하였으며, 한국음악의 기록의 중요성 및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한국음악과 바이올린의 접목은 바이올린을 전공하던 계정식이 서구인에게 친숙한 방식과 악기로 한국음악을 소개하고 연주하고자 하였음을 서술하였다. 그가 『한국음악』에 해금을 소개하고, 합주곡 중 해금이 편성된 곡들만을 취한 까닭은 해금과 유사한 바이올린에 접목하기 위해서이며, 두, 세 가지 선율을 제시한 <박연폭포>와 <양산도>는 이중주 또는 삼중주를 위한 곡으로 풀이된다. 그가 참고한 악보와는 다르게 논문에 기보한 부분은 계정식이 한국음악을 바이올린 음악으로 편곡하기 위하여 그만의 스타일을 더해 해석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는 귀국 후, 논문에 수록한 <취태평지곡>과 <방아타령>을 바이올린 음악으로 편곡하여 직접 사람들에게 연주를 선보였다. 이를 통해 그의 『한국음악』에 실린 악보는 바이올린 연주를 위하여 해석된 것이며, 한국음악을 편곡하여 서양 악기로 연주한 것은 당시 국내뿐 아니라 서구권에서도 획기적인 것임을 밝혔다. 『한국음악』에 수록된 오선악보는 한국음악에 낯선 서양음악가들도 연주할 수 있도록 가교역할을 하였으며, 20세기 초 서구권에서 계정식이 한국음악을 바이올린에 접목한 시도는 현재까지 발굴된 자료 가운데 최초라 하겠다. 이상으로 계정식의 『한국음악』은 우리 한국음악학계에 있어서 한국음악의 학술적 연구와 비교음악학 방법론의 적용, 한국음악의 악보화와 한국음악의 바이올린 접목 등의 큰 의의를 지니며, 이후 한국음악학의 발달을 초래하였기에 음악학적으로 그 가치가 충분하다.

      • 주체로서의 타자, 문화로서의 음악연구를 위한 관점

        김수진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759

        소리 현상만이 음악을 설명하는 유일한 방법은 아닐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사회에서 음악에 관한 논의는 소리 현상을 중심으로 이뤄진다. 서양 음악학계에서도 이러한 양상은 크게 다르지 않았다. 그러나 음악을 한 사회의 문화로 여겨야 한다는 몇몇 학자들의 논의는 서구 음악학자들에게 조금씩 공감대를 넓혀가기 시작했다. 음악이 문화적 산물이라는 이러한 주장은 대개 타 문화를 연구하던 서구의 학자들로부터 비롯되었다. 그렇다면 음악을 한 사회의 문화적 산물로 바라보는 그들의 시각은 어떤 태도에서 나올 수 있었을까. 그것은 자문화 중심적 태도에서 벗어나고자 했던 것에서 시작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서구의 학자들에게 서구 중심적 관점을 탈피하는 일은 음악을 문화로 연구하기 위한 기본 태도가 되었다. 이 글은 서구 중심적 관점을 극복하고자 했던 음악학자들의 노력이 어떻게 이뤄지고 있는지, 그러한 태도가 음악학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를 살펴보는데 초점을 둔다. 이 논문은 이를 위해 음악학자들과 고민을 공유하는 인류학자들의 탈식민주의 논의를 그 시작으로 삼았다. 탈식민주의는 서구 중심적 관점을 극복하려는 논의이다. 음악학자들의 고민을 공유하고 있는 인류학자들의 탈식민주의 논의를 본문의 첫 번째 부분에서 살펴본다. 그리고 본문의 두 번째 세 번째 부분에서 음악학자들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서구 중심적 관점을 벗고자 했는지를 살펴본다. 음악학자 스티븐 프리슨(Steven M. Friedson), 제프 토드 티톤(Jeff Todd Titon), 데이빗 코플란(David B. Coplan)의 논의가 여기서 언급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음악학자들의 이러한 노력이 음악학 연구의 초서사 극복에 영향을 주었음을 본문의 마지막 부분에서 논의한다. 이러한 논의는 비단 타 문화 뿐만 아니라 자 문화를 연구하는 데에도 기본적인 태도와 관점을 마련해줄 수 있다. 그리고 이것은 더 나아가 음악을 문화로서 연구하고자 하는 태도를 더 확고하게 세워줄 수 있을 것이다. It is not only way to discuss music as sound phenomenon. Nevertheless, it seems to focus on sound structure when we discuss about music in Korean society. This aspect has been shown in the western academic society, too. However, some scholars who argue 'music as culture' arouse others cholars' sympathy as time goes by. The concept of 'music as culture' came from western scholars who studied other culture, expecially non-western culture. Then, how can they get those attitude which focus on 'music as culture'? It is departed that those scholars make an effort to be free from self-culture centric attitude. And these efforts become the foundation to study music as culture. This thesis focus on how musicologists, who strive to be free from western centric perspective, study music as culture and what these attitude affect on musicology. For this, this thesis starts anthropologists' postcolonial discussion which share musicologists' one. Postcolonialism is one of debate about overcoming of western-centric attitude. First part of this article is about Anthropologists's discussion of postcolonialism. These discussion is shared by musicologists. Second and third part of this thesis shows how musicologists made an effort to be free from western-centric perspective in detail. Argument of Musicologist such as Steven M. Friedson, Jeff Todd Titon, David B. Coplan is treated here. And the last part is about that these efforts affect on overcoming grand-theory or meta-narrative. These arguments can maintain basic attitude and perspective to study self-culture other than other culture. This can also maintain attitude to study music as culture firmly.

      • 현대문화로서의 한국음악 : 2000년 이후 미국음악학의 새로운 경향

        정지윤 한국예술종합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743

        해외학계의 한국음악연구가 달라지고 있다. 고문헌에 남겨져 있는 기록들을 기반으로 하여 근대화 이전 한국음악의 장르, 형식구조, 악기분석, 인접한 지역 간의 전파경로에 제한되어 온 이전 연구 실태와 달리 오늘날 음악학자들은 다양한 방법론과 접근, 현대적 관점과 사고, 태도로 한국음악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는 세계사회, 그리고 사람들의 사고방식의 변화를 읽어내는 주요한 단서이기도 하다. 종족음악학 일반의 발전흐름과 맥을 같이 하며 이루어져 온 한국음악연구의 이러한 전환은 다양한 사회, 정치, 문화적 흐름들이 빨라진 2000년대에 들어서며 더욱 명료히 드러나고 있다. 본 논문은 2000년을 임의의 기준 시점으로 설정하여 2000년1월부터 2013년3월 현재까지 미국학계에서 발표된 음악학전공 석·박사 학위논문과 저널수록 논문을 살펴보았다. 이들 연구물에 나타나는 과거와 달라진 관점과 시각, 관심사 등을 분석하고 그 배경을 고심해 보는 것을 통해 해외의 한국음악연구의 새로운 경향들의 성격을 규명해 보고자 했다. 음악학이 한국을 연구하기 시작한 이래 ‘한국음악연구’는 줄곧 ‘한국전통음악연구’와 동일시되어 왔었다. 근대화, 식민지, 문화접촉 등을 통한 비서구 세계와 서구문명의 만남은 각 사회의 지역성을 약화시키는 서구적 동질화를 불러올 것이라 여겨졌었다. 이로 인해 해외학자들은 서구적 요소가 유입되기 이전 과거의 한국음악을 진정한 한국음악이라 믿고 그것의 이국적인 소리에 치중하여 흥미와 과거에 대한 향수를 품어왔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에서 사회구성원들의 미학과 가치관을 담고 있는 문화적 현상으로서의 음악과, 시대적 변화를 주체적으로 받아들이고 문화와 역사를 만들어 온 한국 사람들에 대한 이해가 간과되어왔었다. 그러나 20세기 중 후반에 걸쳐 이뤄진 포스트모더니즘적 사고의 논의들은 전통적 개념들과 구분 잣대들을 의심하고 재구성하기 시작했다. 서양과 동양, 고급예술과 대중문화, 전통과 현대, 세계와 지역 등의 이분법적 기준들이 재고되었고, 국가, 민족, 정체성, 문화, 음악, 비서구에 대해 이제껏 가지고 있던 믿음과 개념들이 새롭게 형성되면서 한국인들의 삶 속 한국음악이 논의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 최근의 많은 한국음악연구물들이 그러한 학문적, 사회적 변화를 반영하며 주제와 이슈의 확장, 한국 사회와 사람들을 진정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태도, 과거 방식의 개념과 담론들의 극복, 음악에 대한 관점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변화한 세계사회와 한국음악, 그리고 음악학. 그 속에서 서구 학자들이 한국음악을 한국 사람들이 빚어내는 문화로 보고 그 현장을 이야기하기 시작한 것은 의미 있는 변화다. 어느 때 보다 두드러진 변화를 보이고 있는 한국음악연구에 대한 이번 고찰이 한국사회와 음악학계의 현재 모습에 대한 이해의 실마리가 되기를 기대한다.

      • 중국 대학교 실용음악학과 교육과정 분석연구

        KOU FAN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743

        국문 초록 실용 음악학과는 중국 대학교에 있어 새로운 개념의 학과이며 새로운 음악 교육 분야다. 실용 음악 교육은 중국의 음악 교육 발전에 있어 개활한 전망과 엄청난 도전성이 있는 분야이다. 중국 실용 음악 교육은 사회 발전에 따라 대학교에 진입하여 특히 최근 20년 동안에 실용 음악 교육은 이미 중국 국내 각 음악, 예술 대학교, 종합대학교에서 한 학과로서 점차 발전하고 있으며 중국 실용 음악 분야의 인재를 배양하는 중요한 영역이 되었다. 중국 실용 음악 학과는 자신의 끊임없는 혁신에 따라 계속 창조적,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그 중요성과 필요성은 실용 음악 전공의 정의와 개설 현황을 분석하는 것을 통해서 알 수 있다. 더욱 좋은 교육을 해야 더 훌륭한 인재를 배양할 수 있다. 이는 중국 실용 음악 연구에 있어 중요한 참고와 계시이다. 지금 대학교 실용 음악 교육은 중국 실용 음악 전공 교육에 대한 연구의 가장 중요한 연구 대상이다. 지도 사상이든 교육 시스템이든 다 중국 대학교의 실용 음악 학과가 필요로 하는 것이다. 과학적, 규범적, 독립적인 실용 음악 교육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은 실용 음악 학과의 발전에 있어 아주 깊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론 연구의 메커니즘도 보완되어야 한다. 그래야 대학교가 실용 음악이란 예술 형태의 발전을 이끌어나갈 수 있는 리더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중국 대학교 실용 음악 학과의 개설 현황부터 착수하여 진일보로 중국 실용 음악학과의 교육 현황, 교육 과정 편성, 교재 사용 그리고 교사 자원 등의 문제를 서술하였다.

      • 젠더 음악학의 역사와 전망 : 수전 맥클러리의 『여성적 종지』를 중심으로

        이한솔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727

        젠더 음악학은 음악과 음악작품, 제도, 역사 등에 내재되어있는 젠더에 관련한 일상화된 담론이나 보편적, 혹은 근본적으로 여겨지는 것들이 특정 이데올로기에 따라 그렇게 인식되도록 수행되어온 구성물이라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한다. 이는 페미니즘 음악비평에서 출발하였으며 여성의 문제에서 확장되어 가부장제도에서 소외되는 타자들에 이르기까지 음악 내에서의 폭넓은 젠더의 문제를 다룬다. 이러한 연구 방식에 현재까지 가장 유의미한 성과로 남아있는 논의는 수전 맥클러리의 저서『여성적 종지』(Feminine Endings)라고 할 수 있다. 맥클러리는 저서『여성적 종지』를 통해 음악언어, 제도, 작품 등에서 나타나는 젠더와 섹스, 섹슈얼리티의 문제를 포괄적으로 다루었으며 새로운 음악학적 해석을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음악과 음악역사에 반영된 젠더 이데올로기가 제도적으로 젠더화 되어온 수행성의 특성 때문이었음을 전제로 하며, 최근 일반 젠더 연구의 입장 중 주디스 버틀러(Judith Butler)의 수행성, 패러디, 반복복종, 우울증 등의 개념을 기초로 음악에서의 언어 수행성과 전통적 음악서사에 각인된 젠더 이데올로기, 그리고 음악이 여성성을 통제하는 방식으로 나누어 맥클러리가『여성적 종지』에서 제시한 담론을 재구성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지금까지의 젠더 음악학 연구의 지평을 살피고, 그것을 바탕으로 맥클러리의 페미니즘 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중국 장시성(江西省)의 사범대학교 음악학전공 피아노 교육의 현황 및 대책 연구

        리커친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711

        중국 사범대학교의 음악 교육학과는 초등학교, 중학교 혹은 음악 관련 분야에서 종사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중국에서 음악교육 분야는 1912년에 처음 정책이 세워지면서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발전해 왔고, 문자 그대로 100년 이상의 세월 동안 역사의 변화에 발맞추어 변화하였다. 그러는 가운데 1999년 더 많은 사람이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교육 대상 확대’ 정책이 정부 차원에서 시행되면서 중국의 대학 교육은 모든 분야에서 일대 전환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의 바람을 타고 음악 분야에서도 모집 정원의 확대로 인해 전공생의 수가 늘어났으며 이는 곧 서유럽 음악에 대한 인식의 확대로 이어졌다. 중국에 있는 여러 도시 중, 장시성의 음악교육 제도에도 변화의 바람이 불었다. 그러나 오늘날 장시성의 교육 상황은 여전히 보수적이며, 시대 변화에 따라 적절히 대응하지 못한 채 침체 상태에까지 이르렀다. 필자는 장시성 사범대학교 피아노과를 졸업한 한 사람으로서 이 도시에 대한 애착과 관심이 많다. 최근 들어 대학교들의 교육과정 발전이 정체된 것을 보면서, 지역 대학교들의 회생 방안과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연구하기에 이르렀다. 본 논문을 통해 장시성에 있는 다섯 개의 사범대학교 피아노과의 교육 상황을 분석, 비교 연구하여 현실적이고 실현 가능한 해결책을 제안하고자 한다. 장시성 사범대학교들이 직면한 가장 큰 문제는 음악 교사의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 문제에 있다고 하겠다. 음악교육에 붐이 일어나면서 관련 과목에 졸업생 숫자가 대폭 늘어났지만 지역 사회는 갑작스러운 변화에 적응하지 못했고, 어느덧 수요보다 공급이 눈에 띄게 늘어나면서 음악 교사의 수는 포화상태가 되고 말았다. 또한, 졸업생 중 상당수는 교사로 활동하고 있지만, 모든 졸업생이 교사로서의 사명감 과 교육 능력을 지니고 있는지에 대해서 의문이 들 수밖에 없다. 필자는 여러 난제 앞에 서 있는 중국 대학교들의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먼저 장시성 다섯 개 사범대학교의 상황과 수강편람, 교육 목표, 교과과정, 피아노 레슨 방식, 피아노 실기 정공 시험 규정, 교수진, 교육환경 등을 비교 분석하여 장단점을 파악하였다. 또한 구체적인 세부 사항을 위해 재학생과 졸업생에게 설문 조사를 배포하였고, 교수들에게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필자는 본 논문에서 파악한 문제들에 대한 여러 가지의 해결 방안을 제시, 각 지역의 상황을 고려하여 개선책을 제안하고자 한다. 아울러 중국 전역에 있는 대학교 중, 모범적인 대학교들을 선택하여 그들의 제도와의 비교 연구를 토대로 장시성 내의 사범대학교에 적용해 보기를 제안한다. The Department of Music Education at Chinese Teachers' Colleges was established to cultivate talents who can work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or in music-related fields. Music education in China has developed since the first policy was established in 1912, and has evolved over the course of more than a century in response to historical changes. In 1999, the Chinese government implemented the policy of "expanding educational opportunities" to enable more people to receive education, leading to a transitional period for higher education in all fields. Riding the wave of change, the number of music majors increased due to the expansion of enrollment, which led to a broader awareness of Western European music. Among the various cities in China, the music education system in Jiangxi Province also experienced changes. However, today's educational situation in Jiangxi remains conservative, failing to adequately respond to changes over time and reaching a state of stagnation. As a graduate of the Piano Department of Jiangxi Teachers' College, the author has a strong attachment and interest in the city. Witnessing the stagnation of university curricula, the author aims to propose solutions and revitalization strategies for local universities through research. This thesis analyzes and compares the educational situations of the piano departments at five teachers' colleges in Jiangxi Province, with the goal of suggesting realistic and feasible solutions. The biggest issue facing Jiangxi Teachers' Colleges is the imbalance between supply and demand for music teachers. While the boom in music education has led to a significant increase in graduates in related fields, local communities have struggled to adapt to the sudden change, resulting in an oversupply of music teachers. Furthermore, it is questionable whether all graduates possess a sense of mission and educational competence as teachers. To improve the situation at Chinese universities facing various challenges, the author first identified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by comparing the circumstances, course catalogs, educational objectives, curricula, piano lesson styles, piano performance examination regulations, faculty, and educational environments of the five teachers' colleges in Jiangxi Province. Additionall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current students and graduates for detailed information,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professors. This thesis proposes various solutions for the identified problems and suggests improvements considering each region's situation. Furthermore, the author proposes selecting exemplary universities across China and applying their systems to teachers' colleges in Jiangxi Province based on a comparative study of their institutions.

      • 한·중 해금형태 개량의 원인 연구

        LI XIAOYI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711

        해금(奚琴)은 한국과 중국에서 모두 천 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한· 중 인류 문화 역사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오늘날 해금에 관 한 선행 연구는 대부분 한·중 해금과 얼후의 악기 연주 방법, 해금 악기 의 역사, 해금곡과 얼후곡의 비교 연구 등 측면에만 제한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해금의 형태 변화 원인에 관한 연구는 주로 음악적 표현 을 비롯하여 물리학, 인체공학, 음악 측면에서 그 원인을 찾고 있으며 민족 음악학의 관점에서 해금의 형태 개량을 분석한 연구는 공백인 실정이다. 그러나 인간이 창조한 악기는 바로 인간을 위해서 만든 것이기 때문에 인류 사회의 발전과 각 시기와 지역에 따른 악기는 음악적, 문화적 역할이 다르며, 민족음악학자와 문화인류학자는 모두 여러 문화의 음악과 이와 관 련된 사회적 실천을 비교하는 데 관심을 보인다. 이러한 비교는 음악의 다 양성과 여러 문화 속 음악의 중요성을 더 잘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 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해금의 형태 개량원인을 연구하기 위해 먼저 해금 의 기원과 한국 및 중국 역사 속 해금의 형태 변화를 종합적으로 고찰하였 다. 그리고 민족음악학 이론과 문학인류학을 응용하여 해금이 한국과 중국 의 형태개량에 차이가 나는 이유를 탐구하였다. 마지막으로, 향후 해금의 음악 장르 변화에 따른 개량된 형태의 가능성에 대해 논하였다. 해금의 형 태 개량 원인을 분석하여 한·중 음악 역사 문화 연구에 예술적 가치를 발 굴하고 한·중 해금의 변화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한·중 미래 문화 교 류에도 중요한 계기와 의미를 제시할 수 있기를 바란다. 악기는 역사 문화 를 담아낸 매개체일 뿐만 아니라, 인류의 정신 문명을 담아내는 매개체이 다. 주요어: 해금, 민족음악학, 형태 개량, 문화 인류학, 음악 문화

      • 음악학의 정체성 연구 : 작곡가 진은숙의 재현을 중심으로

        우현주 한국예술종합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95

        국 문 초 록 음악에서의 정체성 논의는 주로 작품이라는 텍스트를 바탕으로 이야기된다. 그것은 작품이 작곡가를 이해할 수 있는 가장 믿을 만한 길이라는 오래된 믿음에 근거한다. 그러나 작품은 완결되어 있어도 그 작품의 정체성은 시대와 그것을 향유하는 사람들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정체성은 더 이상 개인이 간직한 내면의 핵이 아니며, 한 작곡가의 음악적 정체성은 그가 작곡한 작품의 악보 속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다. 재현을 통하여 주체들의 상호작용 속에서 계속적으로 재구성되는 정체성의 양상을 볼 수 있다. 이 논문은 한 작곡가의 정체성을 작품이 아닌 ‘재현’을 통하여 들여다보고자 하였다. 이 글의 목적은 서구 음악계에서 성공적인 입지를 구축한 한국 출신의 작곡가 진은숙은 누구인가, 그녀를 둘러싼 텍스트들은 그녀가 누구라고 말하는가, 그리고 그 말하기의 방식에서 드러나는 담론의 의도는 무엇인가를 탐구하는 데 있다. 진은숙은 서구에서는 동아시아 여성 작곡가로서 배척받는 이방인이었고, 한국에서는 서구에서 성공한 작곡가로 동경의 대상이면서 동시에 여성으로서 주변화되는 양가적인 인물이었다. 이러한 진은숙의 다양한 정체성이 재현을 통하여 어떻게 드러나고 구축되는지 살펴보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담론과 정체성에 관한 이론들과, 서구와 한국 음악학에서의 여성에 관한 선행연구 흐름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이론들을 바탕으로 서구와 한국에서의 진은숙 재현을 분석하고, 진은숙이라는 인물을 다양한 지점으로 위치지으려는 주체들의 상호작용 속에서 고정되지 않고 끊임없이 재구축되는 작곡가 진은숙의 정체성을 읽으려 했다. 이 연구는 작곡가 진은숙의 정체성을 ‘악보’를 통해서가 아니라 진은숙과 그녀의 음악에 관한 담론을 통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이러한 시도가 작곡가 진은숙에 대한 새로운 연구 관점과 연구 방법을 제시하고, 음악을 통하여 한국사회를 들여다보는 창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 Study on Identity in Musicology -Based on the Representation of Composer Unsuk Chin- The discussion on identity in music usually takes place based on a composer's work which is text. This is due to the old belief that a composer's work is the most reliable way to understand him/her. However, even when the work is completed, the identity of the work can vary depending on the times and the people who enjoy it. Perspectives to understand identity is changing in this modern society characterized by rapid and continuous change. Identity is no longer the inner core of the individual, and the musical identity of a composer is not fixed in his/her composition. Through representation, we can observe the various aspects of identity created by the mutual interactions between subjects. Based on this concept, this thesis aims to examine the identity of a female composer through 'representation' rather than her musical pieces. Unsuk Chin is a Korean female composer who made a successful achievement in the western music world. This study first asks the big question of who Chin is. To figure this out, it examines what the texts that surrounds her say about her. The way these texts describe her reveals the desires of the discourse, adding more dimensions to her unfixed, varying identity as a result. In the Western society, it can be said that Chin is considered as "outsider," a female composer from East Asia. In Korea, she is admired as a successful composer recognized in the West on one hand, and marginalized as a woman on the other hand. This dissertation will discuss how these various identities of Unsuk Chin are revealed and created through representation. In order to do so, this paper provides the literature review on the theories about discourse, identity, and the studies on the female musician published in the USA and Korea. Based on these theories, this research analyzes the representation of Unsuk Chin in the Western society and Korea, and attempts to understand the varying identity of Chin that is constantly re-created and re-constituted in the interactions of the subjects that try to identify her according to different points of view. This research is an attempt to see where Korean society is now concerning attitudes towards women and women composers. The attempt was made through studying the "discourses" about Chin and her music, as opposed to her "works," thus applying the theories of identity and feminism to Korean society. It is expected that this effort will present a new perspective and method to view Chin, and offer a channel to look into Korean society through mus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