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음악치료 전공생들의 실습교육 및 수퍼비전에 대한 만족도 조사

        박혜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863

        This study is find out the way to improve the clinical practicum training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music therapy.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117 graduate students, from second to fifth semester students who have clinical training experience. The survey result shows that most of the respondents has high satisfaction level on practical training and supervision. By category, satisfaction level on the course and curriculum were highest, followed by supervision and clinical training. However, satisfaction level on supervision showed the highest average by sub-category and the role of the supervisor was the highest among them. In general, the group who did not majored music in their undergraduate showed higher satisfaction level than the group who majored music in their undergraduate. The average gap between these two groups was significant in some part. Among supervision, clinical training p=.09(p<0.1)shows significant difference. There was also difference on satisfaction level according to students' semester. Among the role of supervisor, knowledge provision p=.016(p<.05)showed meaningful difference. Also, factors related to supervis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 both with clinical training satisfaction level and course and curriculum satisfaction level. The survey found that the supervisors' role was the most decisive factor on supervision satisfaction level and clinical training satisfaction level. Knowledge provision was exerting the strongest influence, followed by relation. In addition, in the supervision category, identity and expert of music therapy were showing correlation as well. In course and curriculum category, music therapy technical factor showed the highest impact. The survey asked to select 3 courses which were helpful for clinical training. Clinical techniques in music therapy ranked first, and improvisation ranked second with a narrow margin. However, the result was slightly different according to respondents' semester and major. This survey is meaningful as it is paving the way for more satisfactory clinical training by providing the basic data which could be used to improve the clinical training system, form the foundation to prepare diverse clinical training contents, and offer important guidelines to students in the clinical training course what kind of talent and characteristic they should develop. 본 연구는 음악치료전공 대학원생들의 만족스런 임상실습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 개선의 방향이 제시될 수 있는 의견을 알아보고자 4개의 대학원의 음악치료학과 학생들 중 실습경험이 있는 2학기 이상 5학기 이하의 학생 11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결과, 응답자 대부분이 실습교육 및 수퍼비전에 높은 만족도를 보였고 영역별로 보면 교과목 및 교과과정 만족도가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수퍼비전 만족도, 임상실습 만족도 순이었다. 하위 항목별로 가장 높은 평균을 보인 것은 수퍼비전 만족도이고 그 중 수퍼바이저 역할의 관계요소였다. 음악전공과 비음악전공 집단에서의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비음악전공이 음악전공보다 만족도가 높았다. 학기별로도 만족도의 차이가 있었고 수퍼바이저 역할 중 지식제공요소가 p=.016(p<.05)로 유의미한 수준을 나타냈다. 또한 수퍼비전 관련요소와 임상실습만족도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갖고 교과목 및 교과과정 요소와 만족도도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퍼비전 만족도와 임상실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을 한 결과 수퍼바이저의 역할이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지식제공요소가 가장 높았고 다음 관계요소가 높게 나타났다. 교과목 및 교과과정 내용 중에서는 음악치료 기술 요소가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임상실습에 도움이 되는 교과목 3가지를 작성하게 하여 선택 빈도를 알아본 결과, 음악치료기술이 가장 높은 선택을 보였고 근소한 차이로 즉흥연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기별, 전공별로 조금씩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실습교육 및 수퍼비전 만족도 결과는 만족스러운 임상실습을 위해 개선에 반영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차별적인 임상실습 교육내용을 구성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할 뿐 아니라 실습 학생들이 실습과정에서 어떤 자질과 특성을 계발하고 부각시켜야 할지에 대한 중요한 지도 방향과 지침을 제공할 수 있다.

      • 음악치료사의 전문역량에 대한 자기평가와 교육요구 분석

        김혜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831

        본 연구는 음악치료사의 자기평가를 위해서 음악치료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교과과정 이수정도, 요구되는 역량 수준, 현재 역량 수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두 역량에 대한 인식수준의 차이를 이용하여 공식을 통해 도출되는 교육요구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에 소속된 음악치료사 1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52부를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기술통계, 교차분석, 평균비교분석,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역량에 대한 음악치료사의 교육요구는 Borich(1980) 교육요구도 계산 공식을 적용하여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역량에 대한 대상자들의 교과과정 이수정도는 평균 3.04로 대상자들은 교과과정에서 역량내용을 적절하게 이수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음악치료영역 평균이 3.54, 임상기초영역 평균이 3.49로 보통 이상의 만족수준을 보인 반면, 음악기초영역 평균은 2.24로 보통에 못 미치는 수준을 보였다. 이는 국내 석사과정의 특성상 이수학점의 제한으로 음악교과가 부족하고, 학부 때 음악을 전공하지 않은 비전공자의 경우 음악기초영역을 깊이 있게 다루지 못하여 나타난 결과로 볼 수 있다. 둘째, 전문역량에 대한 자기평가에서 대상자들은 전문역량을 요구되는 역량으로 평균 4.3 수준에서 대부분 높이 평가하고 있으나 현재 역량 수준은 평균 3.5로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하여, 현재역량이 요구되는 역량 수준보다 부족함을 보여주었다. 요구되는 역량수준에서 가장 높게 평가된 역량군은 즉흥기술이며, 가장 낮게 평가된 역량군은 음악이론, 연주기술인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역량수준에서 가장 높게 평가된 역량군은 건반기술이며, 가장 낮게 평가된 역량군은 기타기술이었다. 또한 요구되는 역량 수준은 교육적 배경 중 경력(0.039*)과, 현재 역량 수준은 교육적 배경 중에서 학교(0.02*), 학위(0.02*), 경력(0.012*)과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음이 밝혀졌다. 셋째, 교과과정 이수정도와 자기평가 수준간의 비교에서 대상자들은 전반적으로 현재 역량 수준을 교과과정 이수정도 보다 높게, 요구되는 역량 수준을 현재 역량 수준보다 높게 평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장애, 치료원리, 기초와 원리, 사정, 치료계획, 치료평가, 연구방법의 하위 역량군에서 현재 역량 수준이 교과과정 이수정도 보다 낮거나 비슷한 수준을 나타내 이러한 대상자들의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부분에 대한 교과과정의 개선점을 시사하였다. 넷째, 음악치료사의 전문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는 최소값 -0.51과 최대값 9.23의 범위안에서 평균 3.55로 나타났다. 전체 25개의 하위 역량군들 중에서 종결계획에 대한 교육요구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는 학제적 협력, 연구방법, 즉흥기술, 치료계획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육요구도는 음악치료사의 교육적 배경 중 전공(0.016*)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있음이 밝혀졌다. 다섯째, 요구되는 역량, 현재 역량, 교육요구도, 교과과정 이수정도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요구되는 역량과 현재 역량, 요구되는 역량과 교육요구도, 교육과정 이수정도와 요구되는 역량, 그리고 교육과정 이수정도와 현재역량 간에는 모두 정적 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현재 역량과 교육요구도 간에는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특히 현재 역량 수준이 교과과정 이수정도와 강한 정적 상관관계(r=.579, p<.01)가 있고 교육요구도와는 비교적 강한 부적 상관관계(r=-.670**, p<.01)가 있다는 사실은 교육요구도가 높은 역량을 중심으로 한 교과과정 마련이 음악치료사의 현재 역량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요인이 됨을 확인해 주는 결과이다. 본 연구는 음악치료사가 자신의 역량에 대해 자신감을 가지고 계속적으로 성장해 나아가기 위한 작업의 기초 단계로서 역량에 대한 음악치료사의 전반적인 인식수준과 교육요구를 밝혔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연구결과에서 음악치료사들은 전문역량에 대해 요구되는 역량 수준과 현재 수행할 수 있는 수준 간에 큰 간격을 가지고 있었으며, 역량별로, 교육적 배경에 따라 분명한 차이를 나타내며 교육요구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앞으로 음악치료 교육과정에 기초 자료로 활용되어 국내 음악치료사의 전문성 질적 향상에 기여하길 기대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usic therapist's the self-evaluation and educational needs on professional competency. A survey was administerd to examine the level of curriculum achievement, their current competencies, and their percieve level of competencies needed in the clinical fields. In this study, A total of 52 music therapist participated in the survey. SPSS WIN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and depending on the study question, applie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ross analysis, comparative analysis of the average, One-way ANOVA, and/or correlation analysis. Lastly, The Borich formula(1980) was used to calculate the educational needs of music therapists on competency. A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 that, as the average of curriculum achievement level was 3.04, music therapists percieve that they moderately achieved professional competency contents in the curriculum. The averages in the domain of music therapy and clinical fundamentals were 3.54 and 3.49 respectively, showing moderately levels. As for the average observed in the domain of music fundamentals, the result was 2.24 which was not in the normal range and rather near the 2.0 average. The competency category with the highest level of curriculum achievement was observed to be music therapy basics and principles. Performance technique was the lowest catagory in curriculum achievement levels. Second, the results show that, with regard to self-evaluation of music therapists on professional competencies, the required competency evaluation level(4.3) was, in overall, higher than that of the current competency assessment level(3.5). The highest scoring category under required competency level was assessed as impromptu technique and the lowest category as music theory and performance technique. The highest scoring category under current competency level was assessed as keyboard technique and the lowest category as guitar technique. Furthermore, the required competenc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0.039*) with experience among educational background. Statistical results also revealed that current competency level had a significant relation with school(0.02*), academic degrees acquired(0.02*), and experience(0.012*) respectively. Thir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verages of curriculum achievement level and self-evaluation level, an assessment could be made that the average of current competency level(3.58) was higher than that of curriculum achievement level(3.04). The comparison also revealed that the average of required competency level (4.37) was assessed higher than the current competency level average. Forth, the educational needs on professional competency of music therapists resulted in an average of 3.55 which was within a range of -0.51 as the minimum value and 9.23 as the maximum value. Out of all the 25 subordinate competency categories, the educational need for termination planning scored the highest, followed by interdisciplinary cooperation, study methodology, impromptu techniques, and lastly, therapy planning. In particular, results in this study reveal that amongst all the music therapists' educational background, field of discipline (0.016*)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 with educational needs . Lastly, the results of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required competency, current competency, educational needs, and curriculum achievement level showed that the respective categories had normal or strong positive correlation (coefficient level: p< 0.01); required competency and current competency (.356**); required competency and level of educational needs (0.452**); level of curriculum achievement and required competency (.404**); and level of curriculum achievement and current competency (.579**). On the other hand, results showed that current competencies and educational needs had a negative correlation (-.670**) that was relatively strong at a significant level (p< 0.01).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s music therapists‘ substantial educational needs and training curriculum for music therapists. Furthermore, findings in this study has meaning in that it could be utilized as fundamental data in educational coursework that could possibly contribute to the further growth and development of professional music therapy in Korea.

      • 선호 노래에 대한 학령기 아동과 음악치료 전공생의 인식도 비교 연구

        장예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815

        본 연구는 아동이 선호하는 노래와 음악치료 전공생이 예상하는 아동의 선호 노래의 일치 정도를 알아보고 그 차이의 정도를 확인함으로써 음악치료 전공생들이 아동 임상에서 선호 노래를 파악하고 선곡하는데 유의해야 할 음악적 정보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 대전광역시, 울산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는 초등학교 1학년 이상 6학년 이하의 아동과 서울특별시, 경기도에 위치하고 있는 음악치료 대학원의 전공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 결과로 첫째, 저학년, 고학년 아동 모두 장르 중 가요를 가장 선호 하였으며 음악치료 전공생이 예상한 저학년 아동 선호 장르는 동요로 나타났다. 이에 실제 저학년 아동이 선호하는 노래 장르와 음악치료 전공생이 예상한 저학년 아동의 선호 장르 간에 차이를 보여주었다. 둘째, 저학년 아동은 노래의 선호 요인으로 가사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멜로디, 음색, 분위기 등의 순으로 선호 요인을 나타내었다. 고학년 아동은 노래의 선호 요인으로 멜로디에서 가장 높은 비율이 나타났으며 분위기, 음색, 가사 등의 순으로 선호 요인을 나타내었다. 반면 음악치료 전공생이 예상한 아동의 노래 선호 요인은 ‘유행하는 노래’가 현저히 높은 선호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에 아동이 선호하는 노래의 선호 요인과 음악치료 전공생이 예상한 아동의 노래 선호 요인 간에 차이를 보여주었다. 결과적으로 아동이 선호하는 노래와 음악치료 전공생이 예상하는 아동 선호 노래 간의 차이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음악치료 전공생에게 아동 선호 노래에 대한 음악적 정보를 제공하여 줌으로써 아동 임상에서 내담자에게 맞는 적절한 노래를 파악하고 선곡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coincidence between the songs that children prefer and the songs that the music therapy students expected to be chosen. Furthermore, this paper provided what the students should give heed when they select songs for music therapy sessions for childre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both lower and higher grader children’s favorite songs were K-pop. However, the music therapy students expected lower grader children would be children’s songs; Second, the reason why lower graders liked the songs was because of their lyrics followed by melody, timbre and mood. Also, melody got the highest percentage among preference factors by higher graders followed by mood, tones and lyrics. On the other hand, the music therapy students thought that children chose them because they were popular. This clearly showed that there was a gap between the children’s choices and music therapy students’. Those results provide us the basic musical information of songs which children like, and help music therapy students to choose the right songs for their therapy sessions for children.

      • 지체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음악교과의 음악치료교육적 교수·학습 지도안 개발 : 초등학교 저학년, 고학년을 대상으로

        이영애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815

        특수학교에 다니는 대부분의 지체장애 아동들은 신체적·지적·언어적으로 일반 교육과정을 수행하는 데에 어려움을 지니고 있으며, 음악 교과의 경우에도 학생과 교사 모두는 학습이나 지도상의 문제를 겪고 있다. 음악교육은 목표를 성취하는 과정에서 정해진 목표에 도달하도록 요구하기에 많은 경우 좌절과 포기를 초래하기 쉽다. 반면, 음악치료교육적인 활동에서는 아동이 부담 없는 환경에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거나 음악활동에 참여하도록 하기 때문에 아동의 강점과 약점을 분명히 파악하여 음악교수의 목표와 방법을 수정하여 제시함으로써 성취감과 자신감, 장애로 인한 동기 저하 등에서 회복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본 연구는 음악치료적 접근을 통하여 가창영역의 활동에서는 인지 및 언어표현력 향상을, 기악활동영역에서는 대·소근육 기능 강화, 자기표현증진, 상호 작용의 기회 제공, 감상활동에서는 긴장 이완 및 정서적인 발달 도모 등과 같은 음악치료교육목표를 성취할 수 있도록 음악 수업 시간에 직접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대상은 음악교과 이해도가 40%이상, 말렛을 사용하여 리듬악기를 연주할 수 있는 상지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하지마비나 언어장애 유무와는 상관없이 상호작용이 가능한 아동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저학년 중에서 2학년과 고학년 중에서 5학년의 두 개 학년으로 한정지었다. 대상 학년 별로 각각 5차시 분량의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하였으며 각 차시의 지도안은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의 음악교과 내용을 기본으로 하여 음악치료교육 목표를 재설정하였다. 도입, 전개, 정리 단계로 구성하되 도입이나 정리 단계에서는 교과서 제재곡과 별도로 활동의 시작과 정리에 알맞은 인사 노래나 준비활동 곡을 창작하여 사용하였다. 활동 시 교과서에서 제시하는 악기를 지체장애 아동의 입장에서 보다 연주가 용이한 악기로 대체하여 사용함으로써 좀 더 음악치료적인 활동과 목표에 근접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개발된 교수·학습 지도안은 음악치료사 및 특수교사 각각 3인에게 2차에 거쳐 평가와 피드백을 받아 내용을 수정·보완하는 과정을 거쳤다. 개발된 교수·학습지도안에 대하여 평가자들은 5점 기준 리커트 척도로 수업목표, 수업내용, 지도안의 활용성이나 차별성 등의 평가 항목과 관련하여 1차 평가에서는 평균 3.6을 부여하였고, 피드백에 의한 수정·보완 후의 2차 평가에서는 평균 4.3의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항목별로 살펴보면 음악치료사들은 실제 현장에서의 활용성, 활동 내용의 구조화, 음악치료교육적인 목표 항목과 관련하여 평균 4.3 이상의 평가를 하였고, 특수교사는 기존 교사용 지도서와의 차별성, 학습자료의 적절성, 재설정된 음악치료교육 목표의 적합성에 평균 4.7이상의 평가를 하였다. 반면 평가자들은 수업활동내용과 목표와의 관련성, 악기 선택의 적절성, 결과보다는 과정지향적 성격 등의 평가항목에서 다른 항목에 비해 다소 낮은 평가를 하였다. 본 연구의 주제는 교수·학습지도안 개발로 대상 학생에게 적용하는 절차를 포함하지 않았다. 개발된 교수·학습지도안을 통하여 관련서비스로서 방과 후 활동이나 치료지원 영역에서 제공 되어지던 음악치료를 실제 정규 수업 시간에 접목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교수·학습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특수학교 특정 학년의 교수·학습 지도안 개발에 한정되었지만 향 후 개정 교육과정이 전 과정으로 확대 적용되면 이에 발맞추어 초등학교 전체 학년 대상 지도안 개발의 밑거름이 될 수 있고, 실제 적용과 관련한 현장 연구들도 이어져야 할 것이다. As most of the physical handicapped children who are attending a special school have physical, intellectual, linguistic difficulty in taking courses of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both the students and teachers are having problems learning or teaching in music curriculum. Because music education needs to reach a certain goal, it results in frustration and give-up easily. However this whole process has significance in the perspective of music therapy, the child can express their own feelings or participate in music activities freely. As a result, identifying the child's strengths and weaknesses can help to recover accomplishment and self-confidence, poor motivation due to disabilities. This research would develop a guidance plan for teaching-learning. It can be applied directly in music lessons throughout music therapeutic access to achieve educational goals of music therapy such as expressive language and perception enhancements in singing area, strengthening voluntary muscles, promoting self-expressions, providing opportunities for interactions in instrumental activities area, promoting relaxation and emotional development in appreciation activities. The target was limited two elementary classes that one is lower class(2nd grade) and the other is higher class(5th grade). It is only for the child who can understand music curriculum over 40% and interact someone regardless of language disability or paraplegia. Also, their upper extremity must be able to enables them to play rhythm instruments with mallet. Through the research, we have developed the guidance plan for teaching-learning for 5 sessions(1session is composed of 40minutes). Each guidance has been reset based on the music subject of National education for music therapy. It is composed of three stages : introduction, development, conclusion. In stages from introduction to conclusion, greeting songs or warm-up songs is used. By using instrument which is easy to play for physically disabled children, we will set a foundation for music therapeutic activities and goals. To review the validity of the guidance plan for teaching-learning, each three music therapists and special teachers modified and completed the contents for two times by evaluation and feedback. For developed guidance plan, assessors gave an average rating of 3.6(which is related to assessment such as course objectives, course contents, capabilities and distinction of guidance) based on 5 points Likert scale. In the 2nd evaluation, they modified and completed it by feedback, so they gave average rating of 4.5 on the plus side. By topic, music therapists assessed it over average 4.3 in connection with utilization in the field, structured activities, music therapy education goals. Special teachers assessed it over average 4.7 in connection with difference from the existing guidance, adequacy of learning materials, suitability of reset music therapy education goals. On the other hand, assessors gave lower ratings compared to other topic in the relevance of class activities and objectives, adequacy of selected instruments, the process-oriented rather than results. The subject of study is developing a guidance plan for teaching-learning. However, it doesn't include the procedure applied to the target students. Traditionally, the music therapy has been provided for after school activities or treatment support as related services. But through the developed guidance for teaching-learning, it enables effective teaching-learning by applying the music therapy to regular classes. Even though the study is limited in developing the guidance for particular grade of one special school, this can be the basis of developing the guidance. Field studies must be contiguous with regard to applicability.

      • 전통음악 요소를 활용한 국악치료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연구 : 초등학교 5, 6학년을 대상으로

        우덕상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815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serious level of mental problems that have pathological consequences. In serious situations, children and adolescent mental health problems due to school maladjustment, internet addiction caused by lack of parental supervision, and school violence can lead to suicide. In addition, aspects such as maladjustment, mild depression/atrophy, interpersonal problems, and hyperactivity can often be found. If you neglect these problems, you may cause psychological problems or serious adaptational problems. Unfortunately, nowadays results depend on counseling. In the area of the contents of revision of ‘music and curriculum of 2015 Revision 5 ~ 6 grades,’ it is my intent to introduce the concept of 'music and health' for the first time to the curriculum in order to raise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the role of music therap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lementary music and curriculum of the revised elementary music in 2015 based on the content elements of 'music and heal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urriculum for teaching Korean traditional music using traditional music elements that can naturally coexist with classical Korean music therapy. For this study, the following contents were analyzed: ‘Revision of music and curriculum of 5th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music,’ ‘Curriculum of 2015 in the field of health and music revised,’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thod of classical music therapy utilizing traditional musical elements was applied to the performance criteria of Korean music area belonging to music and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rades 5 ~ 6. Converging the fore mentioned methods, developments can be made for the following: concentration goal, sociality enhancement, emotion / emotional intelligence enhancement, and creativity enhancement. We have developed the learning goal and teaching/learning processes centered on group therapy activities. I suggest a new direction of Korean classical music instruction by presenting practical teaching/learning processes that can be introduced naturally. 1. In the area of increasing concentration, I made plans about listening to the preferred music, listening to folk songs, adapting to the role given to each person, singing according to the teacher's instructions, waiting for their order in rhythm, participating in music activities, expressing body according to rhythm, expressing and drawing the melody, and learning one Korean instrument per person. 2. In the area of sociality enhancement, I made plans about playing a group musical instrument, imitation techniques of sound, imitation techniques of musical scale, playing technique of a musical instrument, therapeutic pommeling, transferring a body rhythm, mirror ego technique, rhythm improvisational playing method, playing in concert with voices, and learning beat with rhythm relay . 3. In the field of emotion / emotional intelligence enhancement, I made plans for composition, Korean classical music and composition, Korean classical dance and music, production of preferred music, appreciation of projective / reminiscent Korean classical music, song psychotherapy, relaxation method of Korean music, playing technique of Korean music, human barriers, Respiratory Retention Activities, and slow beat/soft intensity music. 4. In the area of creativity enhancement, I made a music composition activity using the 5 musical scales, human sculpting techniques, modifying lyrics, pasting chants, improvisation, musical dialogue, rhythm composition, improvised singing, and a game using Jungganbo. Through this study, I anticipate new change in 'Music and curriculum operation of 5 ~ 6th grades in 2015 revision' in the class of Korean classical music school. Music becomes one when it comes to life. Music and therapy are indispensable partners. In the future, I expect that it will be developed as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guidance program and a fusion of more various traditional Korean music therapy methods in the contents of "health and music" in daily life. Additionally, I expect that Korean traditional music therapy will be a stepping stone in the structure of daily classes. 본 연구는 2015 개정 초등 음악과 교육과정을 파악하고, 처음으로 5∼6학년 음악교육에 생활화 영역‘음악과 건강’내용요소가 도입된 것에 주목하고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음악교육 영역의 성취 기준을 중심으로 정규 음악 수업에서 자연스럽게 집단 국악치료를 병행할 수 있는 전통음악 요소를 활용한 ‘국악치료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적용하여 국악수업을 통한 국악치료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초등 음악과 교육과정 중 생활화 영역 중 ‘음악과 건강’ 부문과 국악교육 영역의 2015 개정 초등 5∼6학년 음악과 교육과정의 개정 내용을 파악하고,‘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Ⅱ’에서 제시된 성취 기준별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예시를 분석 한 후, 이를 참고하여 초등학교 5∼6학년을 대상으로 전통음악 요소와 국악치료 기법을 융합하여 집중력 증진, 사회성 증진, 정서지능 증진, 창의성 증진을 치료 목적로 설정하여 집단치료활동중심의 학습 목표와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적용하여 긍정적인 효과를 검정하고 국악치료가 초등학교 5∼6학년 음악수업 시간에 자연스럽게 도입될 수 있는 실제적인 교수-학습 과정안을 제시해 국악수업의 다음과 같은 국악치료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였다. 집중력 증진 영역에서는 선호 국악 듣기, 민요 메기고 받으며 각자에게 주어진 역할에 순응하며 노래하기, 자기순서가 될 때까지 기다리다 교사의 지시에 따라 자기 순번에 노래하기, 장단과 간단한 가락 따라 하기, 합주, 합창, 율동에 자기 순서를 기다렸다가 국악 활동에 참여하기, 장단에 맞춘 신체표현하기, 가락선 그리고 표현하기, 1인 1국악기 배우기 등을 활용하여 집중력 증진 국악치료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사회성 증진 영역에서는 집단 악기연주활동하기, 소리 모방 기법, 음계 모방 기법, 신체리듬 전달, 거울자아기법, 즉흥리듬연주법, 동작악기연주법, 치료난타, 구음으로 합주하기, 장단 릴레이로 장단 익히기 등을 활용하여 사회성 증진 국악치료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정서지능 증진영역에서는 내 노래 만들기, 국악과 글, 국악과 춤, 선호노래 부르기, 투사적·연상적 국악 감상, 노래심리치료, 국악 긴장 이완법, 국악유희기법, 인간장벽, 호흡유지 연장활동, 느린 장단, 부드러운 세기 등을 활용하여 정서지능 증진 국악치료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창의성 증진 영역에서는 작곡, 오음음계 활동, 인간조각 기법, 노래가사 바꾸기, 말붙임새 붙이기, 즉흥연주, 국악적 대화, 가락 창작, 즉흥 노래 부르기 등을 활용하여 집중력 증진 국악치료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국악치료 교수-학습 과정안을 수업에 적용하기 전과 적용한 후의 사전∙사후 비교를 통해 검증한 결과 음악교육의 효과는 별 차이가 없었으나 집중력 증진, 사회성 증진, 정서지능 증진, 창의성 증진에는 놀라울 만한 긍정적 치유효과가 있었다. 이를 통해 선행연구에서 주로 음악교과 시간 외나 창의적 체험시간을 활용해 행해졌던 국악치료 교육을 정규 음악시간을 통해 실행할 수 있는 발판을 구축했으며, 다문화가정 아동, 탈북아동, 특수아, 중증 장애학생으로 행해졌던 소수의 치료대상을 일반학생으로 전체 확산 시켜 행할 수 있게 되었고, 병리적 결과로 드러나는 심각한 수준의 정신문제 뿐만 아니라 초기 단계에서 발견 될 수 있는 수업 부적응이나 가벼운 우울 및 위축행동, 대인관계 문제, 과잉 행동 등과 같은 양상들을 그대로 방치하지 않고 담임교사나 음악 전담교사가 음악시간을 통해 5∼6학년 학생들의 유전적 DNA와 사회적 DNA를 함께 공유하는 전통음악 요소를 활용해 국악치료를 해야 하는 당위성과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악교육과 국악치료를 융합한 국악치료교육이 이제 학교 교육현장에서 음악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해 해야 할 새로운 과제로 제시할 기초 연구로 그 의미를 둔다. 국악치료의 목적은 국악적 기술향상이 아니라 국악교육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국악외적인 변화이기 때문에 삶의 질 증진으로 이어진다. 국악으로 국악교육영역 뿐만 아니라 국악외적인 영역(집중력, 사회성, 정서지능, 창의성)까지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효과가 있기에 앞으로 더욱 많은 연구가 일어나기를 기대한다.

      • 음악치료 대학원생의 치료사 역량 훈련 필요성 인식 조사

        김소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815

        본 연구의 목적은 치료사 역량 훈련에 대한 음악치료 대학원생의 훈련 현황과 필요성 인식을 조사하기 위함이며 음악기술영역, 학술 영역, 경험적 훈련 영역에 대해 조사를 시행하였다. 조사 결과를 토대로 개인의 음악적, 교육적 배경에 따라 훈련 필요성에 차이를 보이는지 파악하고 현재 실시하고 있는 훈련 현황과 훈련 필요성이 일치하는지 알아보았다. 국내 5개 음악치료 대학원의 석사학위 재학생 중 인턴학기를 제외한 14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36부를 분석하였다. 사용된 측정도구의 내적일관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는 SAS 9.2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각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기술통계, 카이제곱검정을 실시하였다. 음악치료 대학원생들은 모든 훈련 영역에서 높은 필요성을 나타냈다. 훈련 필요성을 높게 인식한 영역은 학술영역(4.01)이었으며, 그 중 대상군의 장애 및 질병에 대한 심화된 이론 습득 훈련(4.53) 평균 점수가 가장 높았다. 음악 기술 영역(4.01)은 기타 훈련(4.29), 경험적 훈련 영역(3.98)은 재학 중 음악치료서비스를 받는 것(4.4)에 대한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였다. 각 영역의 필요성을 개인적 배경에 따라 비교 한 결과, 학부 음악 전공이 비전공보다 모든 영역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하위 문항으로는 성악 훈련, 대상군에 대한 심화 이론 습득 훈련이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특히 작곡, 피아노, 성악으로 세부 전공 비교 한 결과 다른 전공과 달리, 피아노 전공은 비전공자에 비해 관련 음악기술인 건반 기술에 대해 더 높은 필요성이 나타났다. 실제 훈련 내용을 살펴보면 음악기술에서 기타와 피아노 훈련, 학술영역에서 워크숍 및 특강, 경험적 훈련 영역에서 GIM, MI 훈련들이 조사되었고, 실제 모든 영역 훈련에 대한 높은 필요성 인식에 비하여 훈련 현황 비율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음악치료 대학원생이 인식하는 치료사 역량 훈련을 위한 추가 훈련 필요성 및 현황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개인의 역량에 따른 음악치료사 교육 및 훈련의 중요성을 제시하는데 의미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need of additional training, in to the regular music therapy curriculum, for graduate students who were majoring in music therapy. The categories were musical technique area, academic area and experiential training area. Also, we analyzed if individual's musical or educational background would lead the difference in the need of the training and if the current training met the need. The total of 142 graduate student, who were studying music therapy in the South Korea, completed questionnaires, and 136 were analyzed by SAS 9.2 program us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χ²(Chi-squar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students answered what they needed the most was training on academic area(4.01) such as the knowledge on patients' diseases(4.53); They also replied that they wanted to learn how to play the guitar(4.29) in musical technique area(4.01) and receive music therapy during the school years(4.4) as a part of experiential training(3.98); The students, majored in music in their undergraduate schools, showed their higher needs in every area compared to others. Those results provide us that the information on the need of the students' additional training which strengthens students' capability as music therapists. Furthermore, the data show the importance of education and training based on individual's performance.

      • 초등학교 특수학급 음악치료에 대한 특수교사와 음악치료사의 인식 조사

        김정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50815

        미국에서는 1975년 장애아동교육법(Education for All Handicapped Children Act)이 시행되면서 특수교육 프로그램에서 일하는 음악치료사의 역할이 확대되기 시작하였고, 학령기 아동을 위한 음악치료의 역사는 반세기가 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05년에 개정된 특수교육계획에서 특수교육이 필요한 학생의 치료교육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각 지역 교육청별로 특수교육 지원센터를 두어 치료교육 교사를 배치· 시행하는 안을 발표하여 학교 현장에서의 음악치료 보급이 시작되는 단계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05년 특수교육계획이 시행된지 6개월 정도 지난 시점에서 초등학교 음악치료와 관련된 특수교사들과 음악치료사들의 의견은 어떠하며 학교 현장에서의 음악치료 현황 및 실태는 어떠한지를 알아보고 그에 따른 개선점이나 문제점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과 문헌들을 조사 검토하고, 2005년 10월 18일부터 11월 2일에 걸쳐 특수교사 65명과 음악치료사 30명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특수학급에서의 음악치료 현황과 인식도, 기대도 등과 관련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기술통계 처리하였다. 분석된 결과에 의하면 특수교사와 음악치료사는 초등학교에서의 음악치료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었고, 음악치료의 효과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질을 높이고 체계화하기 위해서는 악기 및 음악치료실의 완비가 무엇보다도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해 국가나 학교 차원에서의 적극적인 행· 재정적 지원이 있어야 한다는 지적도 있었다. 특수학교나 특수학급을 비롯한 지역사회 복지관, 조기교육 현장 등 장애아동이 있는 모든 곳에서 치료교육에 대한 학부모들의 요구는 최근 들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현장에서 치료와 교육을 접목시킨 음악치료교육에 대한 조사로서, 초등학교에서의 음악치료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It has been passed more than 50 years of the history of music therapy on school aged children since there had been enforced the 'Education for All Handicapped Children Act' in United states 1975, which had made an important role of music therapist augmented. In the case of South Korea, through reforming the law on March 2005 that therapist educator has to be allocated on the special class in general school, at least, patrol teacher is charged on that, which made possible to start music therapy as initial stage was realized in realistic way on the spot of school. This research has primary concerns as following. The one thing is intended that figuring the opinions of special educators and music therapists involved with the music therapy in elementary school. And the other thing is intended that making a investigation of actual condition on the spot of existing school, moreover, pinpointing at issue and suggesting the change for the better than now. In order to undertake theses intentions, I examined preceding researches and existing data, distributed the questionnaire involved the music therapy of elementary school to the people who are composed of special educators-65 persons and music therapists-30 persons from 18th October to second of November, and analyzed collect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ccording to the analyzed results, it says that special educator and music therapist know well about the necessity of music therapy in elementary school and its effectiveness is manifested in positive way. Moreover, in order to systemize and promote a program of music therapy, what is most urgent thing is the completion of instrument and music therapy room and there are needed strong supports at the level of nation and institution. It has become pervasive on the demand of therapy education by parents in all of the places involved with disabled children such as special school, special class, local welfare community, and early education. This research shows that how therapy and education was connected as music therapy on the spot of the elementary school, and the necessity of the education of music therapy.

      • 음악치료 전공생의 실습 역량 요인 인식 및 활용도

        김연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81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erception and application level of practicum competencies of music therapy students. A survey was conducted on 71 music therapy students currently in the clinical practice training. The questionnaires were composed of three categories: general information of the participant, the participant's perception for each practical competency, and the participant's application level of each practical competenc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first, for the perception level for each practical competency, the average score of the 'rapport' was highest, the score being 3.52 out of a likert-type scale of 4, and the average score of 'experience of countertransference' was 2.48, which was the lowest. Secondly, for the application level of each practical competency as a therapeutic factor that influence the client, the average score of 'supervision experience' was 3.29, which was the highest of all, and the average score of 'experience of countertransference' was the lowest, which was 2.53 out of 4. Further analyses indicated that in the application level of nonverbal skills as a practical competency in the clinical training,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pplication level of the students in the first semester of clinical practice and those in their third semester and interns(p<.05). Overall this study highlights the perception and application levels of practical competencies of music therapy students. Specifically, the students perceived that competencies such as 'rapport', 'supervision experience', and 'nonverbal skills' were factors that influence the client in the session, but they also had difficulties in managing countertransference.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a more systematic clinical training is needed for strengthening practical competencies, pivotal in clinical practice. 본 연구는 음악치료 전공생의 실습 역량 요인에 대한 인식 수준 및 활용 수준을 알아보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현재 음악치료 대학원에서 재학 중인 실습 과정에 있는 전공생 7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문항은 연구 참여자의 인적사항, 각 실습 역량 요인 인식 수준 및 활용 수준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설문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치료 전공생이 내담자의 치료적인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실습 역량 요인에 대한 인식 수준은 Likert 척도 4점 만점에서 라포형성이 평균 3.52점으로 가장 높았고, 역전이 경험이 평균 2.48점으로 가장 낮았다. 둘째, 음악치료 전공생의 내담자의 치료적인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실습 역량 요인을 활용하는 수준은 4점 만점에서 슈퍼비전 경험 평균 3.29점으로 가장 높았고, 역전이 경험은 평균 2.53점으로 가장 낮았다. 셋째, 음악치료 전공생의 임상 실습 단계에 따른 실습 역량 요인 활용 수준은 비언어기술에서 첫 학기 실습생과 세 번째 실습 단계 전공생 및 인턴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5).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음악치료 전공생이 인식하는 실습 역량 요인 및 활용 수준을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라포형성, 슈퍼비전 경험, 비언어기술을 중심으로 하여 내담자의 긍정적인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던 반면, 역전이 경험 관리에 대한 어려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실습 과정에서 요구되는 역량 강화를 위한 체계적인 임상 훈련에 대한 필요가 제기된다.

      • 3-6세 유아의 영역별 발달 촉진을 위한 단계별 음악치료교육 활동 연구

        이수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0815

        유아기는 발달의 가소성이 높은 시기로써, 이 시기에 적절한 발달 과정을 거쳐서 성장한 유아들은 학령기에서 성인기까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유아를 대상으로 교육을 할 때 발달 특징을 충분히 이해하고, 단계별로 진행되는 적합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유아가 균형적이며 전인적인 발달을 하게 하는 것이 증요하다. 반면, 유아를 교육할 때는 신뢰를 형성하고 유웅한 관계를 발전시키는데 있어서 즐거움을 갖게 하는 것이 중요한데 음악은 즐거운 교육 환경을 제공 하고 참여하도록 유도하며 음악의 다양한 요소를 활용한 음악 활동은 유아의 각 영역별 발달을 촉진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음악치료에서는 이러한 음악의 효을적인 사용을 통해서 대상자의 연령별 수준에 맞는 음악 활동의 과정을 단계적으로 계획하여 대상자로 하여금 긍정적인 경험을 하게 하며,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데 궁극적인 목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에 해당하는 3-6세 유아를 대상으로, 단계에 따른 음악치료 교육적 접근의 적합성을 입증하고, 유아 교육과 음악치료 현장에서의 효과적인 음악 활동을 개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크게 문헌 조사와 내용 타당도 검사를 사용하였다. 문헌 조사는 유아의 영역별 발달 특징과 음악적 접근을 모색한 션행 연구를 파악하는 단계에서 활용 되었으며, 이를 실제 유아의 발달 단계에 적용하여 적합한 음악치료 교육 활동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전문가의 검토를 받는 방법을 사웅하였다. 유아는 운동,인지, 언어, 사회성과 정서 영역에서 각각 발달의 특징을 보이며, 이의 발달을 위한 음악적 접근 방법이 선행 연구에서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선행 연구와 이론을 토대로 유아의 영역별 발탈 단계를 구분하고, 각 발달 단계에 따른 세부 목표를 설정하여 목표 달성과 발달 촉진을 위한 음악치료 교육 및 음악적 접근 방법을 적웅한 음악치료 교육 활동을 연구, 개발하였다. 개발된 활동들은 관련 영역의 전문가 5명으로부터 타당도를 검토 받았으며, 검토 분석 결과, 유아의 영역별 발달 단계와 각 단계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음악 활동의 구성이 적합하고, 현장에서 활용하기에 유용성과 효을 성이 있으며, 유아의 영역별 발달 촉진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각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음악치료 교육 활동을 수정, 보완하여 제시하였다. 이는 유아를 교육하는 현장에서 유아의 발달을 촉진하는 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음악치료를 하는 현장에서는 치료사들이 장애아를 치료하는 데 단계별 수준에 적합하게 적용하여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early development of an infant is crucial due to the enormous impact it has throughout an infant's lif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an infant and provide a high-quality educational environment so that an infant can progress at an innate pace to learn how to exercise, understand, speak, socialize, and empathize as well as having a balanced growth. When educating an infant, joy is a substantial factor in the formation of trust and development of relationship that makes education efficient. Music can be an effective means to offer a fun atmosphere to the infant in which it stimulates active participation of the infant and development of a variety of dimensions to the infant's development. Also, the purpose of music therapy education is utilized to plan for the different age groups' level of understanding of music and allow the infant to have a positive experience and develop properly.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to research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n infant' developmental steps thoroughly, to suggest some examples of using music therapy education to stimulate development of an infant, to prove that infants age 3 to 6 obtain the necessary ability and skill through the effective educational therapy through music, and finally to create a music program for educating infants or music therapy. This study has examined theories of the music approach targeting infants age 3 to 6 and made character observations of infants' Motor, Cognition, Communication, Socialization, and Emotions. With the basis of the above theory, the different levels of development has been divided, specific goals has been set up according to the levels, and various music therapy education for infants have been created. The music therapy education activity has been approved by five professionals who are renown in their specific field. They made comments that the development levels were properly divided in the paper. They also commented that the music program is adequate for achieving the goal of each developmental level and it stimulates the different levels of an infant's development. In conclusion, the study reflects that the approach of music therapy education stimulates the different levels of infant development. Music therapists can utilize this music program to help handicapped children identify characteristics of progress and develop at their own 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