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적기업의 성과 영향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기술경영 활동과 정부 재정지원을 중심으로

        김호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735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echnology management activities on the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that participated in the voluntary management disclosure by the Korea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gency in 2022, as well as the moderating effect of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on such performance. The aim is to derive practical and policy improvement directions for enhancing the achievements of social enterprises. The analysis utilized voluntary management disclosure data from the Korea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gency and corporate information data from Korea Rating Data Co., Ltd. This study analyzed both the direct impact of technology management activities on the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projec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followed b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for the moderation effect.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study analyzing the influence of technology management activities (intellectual property activities, corporate innovation activities, and technological research activities) on social enterprise performance (social and economic outcomes), sub-factors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intellectual property activities, corporate innovation activities) were found to significantly affect the sub-factors of social enterprise performance (social aim re-investment, sales, operating profit), while technological research activities showed no significant impact. Second, in the study where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and technology management activities were set as independent, dependent, and moderating variables respectively, significant effects of industrial property righ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and social enterprise performance (sales, employment of vulnerable groups, social purpose reinvestment) were revealed. However, corporate innovation activities and technological research activities appeared not to exhibit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Based on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this research presen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and insights: Firstly, there is a need to consider the impact of technology management activities in the practical and policy planning, implementation, and outcomes to enhance the economic and social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It is also necessary to factor in the impact of technology management activities when applying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a key methodology for nurturing social enterprises. This study aims to complement the areas not covered in previous research by conducting an empirical analysis in more specialized fields within practical and policy discussions regarding social enterprises. Nonetheless, this research has limitations; it only analyzed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effects of technology management activitie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Therefore, further research on the specific impacts and methodologies for the enhancement of social enterprise performance is needed.

      • 천연물 소재 기술기업의 사업화 계획 및 비즈니스 모델 수립

        강보라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719

        현대사회의 의학기술 발달로 사회적으로 고령화가 심화되고 개인의 건강과 웰빙에 대한 인식이 제고됨에 따라, 높은 삶의 질을 추구하는 현상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현대인들의 웰에이징 추구에 따라 피부주름 개선, 미백 등 노화방지(안티에이징) 및 당뇨, 퇴행성 질환, 암 등 난치성, 만성적 질환에 대한 치료와 케어 중심으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특히, 소비자들은 건강, 안전, 환경을 우선순위로 고려하여 기존 화학 합성물질 기반의 식품, 화장품, 의약품을 기피하는 추세이다. 이를 대체하여 인류가 지금까지 사용하여 안전성이 확보되고 기능이 우수한 천연물을 활용하는 기능성 식의약품 및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개발 노력이 고조되고 있다. 천연물로부터 추출한 고기능 신소재 및 신물질 개발은 전통 의약분야 중심으로 외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위를 점하고 있어 세계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선점할 수 있는 분야이다. 천연물 소재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되는 유망한 분야이나 경쟁이 심화되고 있어 생리활성과 약리활성이 뛰어나고 희소성이 높은 고부가가치 바이오 소재 및 응용제품 개발에 대한 투자와 사업화가 시급한 실정이다. 전라북도는 풍부한 천연자원을 보유하고 있고 국공립연구기관, 지역특화연구소(장류, 홍삼 등), 국가식품단지 등 우수한 농생명 인프라가 집적되어 있다. 전라북도는 지역의 주력산업으로 미래 유망 바이오 소재 개발, 상용화, 기업육성 등을 통해 고부가가치 농생명 산업을 집중 육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지속가능한 농생명 산업 발전과 산업 고도화를 위해서는 천연물 관련 핵심기술 및 지역기업의 육성이 필요하고, 전북지역의 천연자원과 연구개발 역량을 수요기업으로 연계·활용을 통하여 기술개발 및 사업화 촉진을 위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본 보고서에서 다루고자 하는 메이신(유도체)은 생리 활성 능력이 뛰어나며 국제적으로도 그 희소성이 인정되는 고부가가치 천연물로 화학적 합성이 제한적이며, 오직 옥수수수염과 센티페드그라스(다년생 난지형 잔디)에만 극미량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메이신 유도체는 화학 합성 소재를 대체할 천연물 소재로 주목받으며, 피부 노화방지, 미백, 항당뇨, 항암 등 다양한 용도에 대해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메이신(유도체)을 안정적으로 추출, 동정하는 기술이 필요하여 본격적인 사업화가 미진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캡스톤 보고서는 전라북도에 소재한 정부출연연구기관(한국원자력연구원 첨단방사선연구소)이 개발한 천연물(메이신) 관련 기술을 대상으로 기술성, 시장성을 분석하고, 초기기업이 적용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수립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전후방 산업으로 파급력이 높은 천연물 기술의 사업화 전략을 제시하여 기술기업의 성공적인 사업화 및 지속성장을 위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 전기자동차에서 차량용 반도체 기술 사업화에 관한 연구 : 중국 시장을 중심으로

        장셴처 호서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719

        친환경 에너지를 활용한 전기자동차가 급속도로 보급되면서 반도체 기술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전기자동차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있다. 중국은 차량용 반도체 기술 분야에서 높은 관심 높고 여러 분야에서의 사업 화가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Chat GPT를 활용하여 기술사업화 분야를 5가지 요청해 보았더니 기술개발 분야와 유사하게 제시하였다. 주요 사업화 분야로는 전력 및 제어 반도체로서 중국은 전기차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는 가운데, 전력 변환 및 모터 제어에 필요한 SiC(탄화규 소)와 GaN(갈륨질화물)과 같은 전력반도체 등과 같은 전력 및 제어 효 율적이고 고성능의 모터 제어를 위한 기술개발이 되고 있다. 중국은 자율 주행차 시장에서도 선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기 위해 자 율 주행용 센서와 AI 반도체 기술로 선택과 집중을 해야 한다. 또한 전 기차용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여 향후 전기차의 안정적이고 효율 적인 배터리 관리를 위한 기술을 연구를 해나가야 한다. 마지막으로 차 량 내 네트워킹을 위한 5G 통신 기술로 차량 간 통신, 차량 내부의 네트 워킹 시스템을 발전시켜 자율 주행과 연결된 차량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 임과 함께 보안과 안전성을 위한 기술로써 연결된 차량은 사이버 보안 위협에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중국은 차량 내 보안 기술을 강화해 나가 야 한다. 공급망의 현지화와 자주화에 있어서 중국은 외국의 첨단 반도체에 대한 의존을 줄이고 현지화된 생산과 기술의 자주화를 통해 공급망의 안 전성과 안정성을 확보해야 한다. 중국의 친환경 자동차는 반도체를 사용 하는 데 있어 엄청난 잠재력과 기회를 가지고 있지만, 동시에 기술적 도 전과 세계적인 경쟁 압력에 직면해 있다. 전 세계 자동차 반도체 시장에 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중국 기업이 지속적으로 연구개발과 혁 신에 투자해야 한다. 향후 AI, 5G, 클라우드 컴퓨팅 등 선진 기술의 광범위한 활용은 자동 차 지능화 수준의 향상을 통해 고성능 반도체에 대한 수요에 맞춰가야 한다. 비록 글로벌 시장 경쟁과 공급망의 도전에 직면해 있지만 중국 자 동차용 반도체 산업은 정부 주도의 정책지원과 자금 투입으로 끊임없이 성장하고 있어서 미국과 반도체 기술 격차에 대한 향후 깊은 연구를 해야 할 것으로 본다. As electric vehicles using eco-friendly energy are rapidly spreading. It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is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electric vehicles. there is. In China, there is a high level of interest in the automotive semiconductor technology field and commercialization is taking place in various fields. When we requested five areas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using Chat GPT, they presented similar areas to the technology development field. The main commercial field is power and control semiconductors. With the electric vehicle market growing rapidly in China, efficient and high-performance power and control semiconductors such as SiC (silicon carbide) and GaN (gallium nitride) required for power conversion and motor control. Technology development for motor control was developed. And with autonomous driving sensors and AI technology, China must select and focus to take a leading position in the autonomous vehicle marke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battery management system for electric vehicles and conduct research on technologies for stable and efficient battery management of electric vehicles in the future. Lastly, 5G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in-vehicle networking improves inter-vehicle communication and networking systems inside vehicles,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autonomous driving and connected vehicle systems, and as a technology for security and safety, connected vehicles are exposed to cybersecurity threats. Because this can happen, China must strengthen security technology in vehicles. In localization and independence of the supply chain, China must reduce dependence on foreign cutting-edge semiconductors and ensure the safety and stability of the supply chain through localized production and independence of technology. . From a broader perspective, China's new energy vehicles have tremendous potential and opportunities in using semiconductors, but they also face technological challenges and global competitive pressures. To maintain competitiveness in the global automotive semiconductor market, Chinese companies must continue to invest in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innovation. In the future, the widespread application of advanced technologies such as AI, 5G, and cloud computing must meet the demand for high-performance semiconductors by improving the level of automobile intelligence. Although it is facing global market competition and supply chain challenges, China's automotive semiconductor industry is constantly growing thanks to government-led policy support and capital injection, requiring future in-depth research on the gap in semiconductor technology with the United States.

      • 중·장거리 유·무선 융합 조명제어시스템 사례를 중심으로 한 에너지관리시스템 구현 연구

        유승진 호서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719

        최근 화석에너지 고갈이나 지구 온난화 등으로 인하여 세계 각국에서는 에너지사용에 대한 관리가 과거의 수동적인 에너지관리에서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능동적인 에너지관리로 변화 하고 있는 흐름에 따라 빌딩이나 공장시설 및 가정에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정보통신 기술기반 제어기술과 에너지 모니터링을 활용하여 에너지의 사용 현황과 그 흐름에 대한 각 기기와 설비의 스마트 제어기능과 최적화 기능을 제공하는 에너지관리시스템(EMS)이 주목을 받는다. 본 논문에서 중ˑ장거리 유ˑ무선 융합 조명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최적의 에너지관리를 위한 에너지관리시스템을 구성, 제안하였다. 에너지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제어하고 모니터링 하기 위해서는 중ˑ장거리 유ˑ무선 융합 통신 플렛폼과 중앙서버 사이에 무선통신이 필요했으며, 이를 중ˑ장거리 무선통신인 LoRa를 이용한 로컬 제어시스템과 중앙 통합관제 시스템 네트워크 구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통신 플렛폼으로는 중·장거리 무선통신(LoRa)과 일반적인 유선통신(RS-485)통신을 융합하고,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스마트 조명제어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어, 모니터링, 운영, 관리 등의 효율적으로 기능을 추가하여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구현 적용하였다. 본 논문의 중·장거리 유·무선 융합 에너지관리시스템을 활용으로 실시간으로 에너지의 사용 현황 파악이 가능하고, 과거의 에너지 사용량과 현재의 에너지 사용량 비교를 통해 더욱 효율적인 최적의 에너지관리 정책 수립이 가능하다.

      • 특허의 가치평가 요소와 기술의 특성 및 보유기관의 특성이 기술이전에 미치는 영향 : 10개 거점 국립대학 보유 특허를 중심으로

        이창길 충북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50719

        본 연구는 기술이전 촉진요인 분석에 관한 것으로, 국내에서 대학의 기술이전 촉진요인에 대한 연구는 2000년 이후 집중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했다. 대부분의 선행연구는 대학이 보유하고 있는 인적자원, 지식재산자원, 재정자원, 전담부서의 역량을 중심으로 다양한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선행연구들은 기술이전의 대상이 되는 기술의 특성보다는 대학의 기술이전 환경 및 역량에 집중하여 특허의 가치에 대한 중요성이 반영되지 못했다. 기술이전은 기술공급자와 기술수요자간의 이해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상호 협력의 성격으로 인해 인큐베이팅 시간이라는 특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개별특허 수준에서 기술이전 성과와의 상관성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특허 가치의 계량적 평가방법을 활용하여 기술이전 촉진요인을 분석하였다. 기술이전의 실질적 대상이 되는 특허의 본질적 가치와 기술이전 성과와의 상관성을 특허 가치평가 요소와 기술이전 데이터를 이용하여 규명하였다. 전국 거점국립대학교의 2012∼2022년도의 등록 특허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특허 보유기관의 특성 및 기술적 특성을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대학의 기술이전·사업화 예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지식재산권의 관리 방법에 있어, 종전 비용 중심적 일괄 관리 방법에서 실용화 가능성이 높은 특허의 집중관리 방법으로 전향시킬 수 있는 전략 요소를 제공한 실무적 의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s about the analysis of factors that promote technology transfer, and research on factors that promote technology transfer in universities in Korea has begun to be intensively studied since 2000. Most of the preceding studies have made various attempts focusing on human resources, intellectual property resources, financial resources, and the capabilities of dedicated departments held by universities. However, previous studies did not reflect the importance of the value of patents by focusing on the university's technology transfer environment and capabilities rather tha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chnology subject to technology transfer. Technology transfer has the characteristic of incubating time due to the nature of mutual cooperation based on the understanding between technology suppliers and technology consumers. In order to reflect these characteristic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correlation with technology transfer performance at the individual patent level. In this study, the factors promoting technology transfer were analyzed using the quantitative evaluation method of patent valu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ssential value of patents subject to technology transfer and technology transfer performance was identified using patent value evaluation factors and technology transfer data. Registered patent data from 2012 to 2022 of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were used and analyz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and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patent holding institu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of practical significance in providing strategic elements that can convert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which account for more than half of the university's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budget, from the previous cost-oriented collective management method to the intensive management method of patents.

      • AHP에 의한 대학기술지주회사의 기술이전·사업화 활성화 요인 중요도 분석

        이유나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ortance of factors by deriving weights between factors through AHP analysis on factors that activate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centered on university technology holding companies. Recently, universities have increased their importance of R&D and social demands for R&D performance, expanding their functions and roles from education and research to entrepreneurial universities, but there are not many studies centered on university technology holding companies. Therefore, this study derived factors for activating university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and analyzed the importance of factors for activating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for university technology holding companies. A total of 11 factors for activating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were derived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a decision-making hierarchy model was constructed by classifying them into 'technical factors', 'environmental factors', and 'organizational factors'. As a result of the AHP analysis, 'technical factors' were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s, and among them, 'completeness of previous technologies' was analyze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evidence for suggesting measures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performance of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of university technology holding companies.

      • 충남 반도체 패키징산업 발전 및 지원 전략

        안장헌 호서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703

        반도체는 AI, 첨단로봇, IOT의 필수 품목이며 국가안보 및 기술패권 확보를 위한 중요한 국가자산이다.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은 반도체 칩을 생산하는 전공정은 대부분 경기도에 입지해 있고 충남은 삼성전자 온양사업장 등 후공정산업이 입지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매년 평균 5% 성장하는 산업의 새로운 먹거리인 반도체 패키징이 충남의 새로운 주력산업으로 준비되고 있다. 아산과 천안에 발달한 OSAT기업들이 메모리 반도체 패키징에 편중된 구조에서 차세대 반도체에 필요한 첨단 패키징 기술을 개발하고 현장에서 필요한 전문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현장 기업들의 현황과 기술개발 및 인력 양성 수요를 분석하여 충남형 반도체 패키징산업 전략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333개 호서대 MOU 기업과 반도체 기업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기업현황, 신기술 수요 및 필요한 인력 및 대학교육 요구방향 등을 파악하였다. 설문 조사 분석 결과, 패키징 신소재 개발 R&D 지원과 R&DC 시설/장비를 활용한 소부장 전문인력 집중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전력반도체는 기존 실리콘 반도체를 SiC 및 GaN반도체로 대체될 예정이며 회로 패턴의 선폭 미세화를 통한 소형화를 위해 고성능 반도체 패턴용 공정 소재 연구가 필요하다. 전자기기 소형화.경량화.슬림화을 위한 패키징 기술 수요 충족과 초고밀도 실장용 신개념 패키징을 위한 대면적 고속 몰딩 패키징 공정장비 기술, 웨이퍼 레벨 칩 반도체 소자 패키징 기술 등 8가지 핵심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즉시 현장 투입이 가능한 인력 수급을 위해 기업 R&D 프로젝트 기반의 100% 현장 실습형 양성교육을 위한 단기집중 프로그램과 클러스터 상생기반 시설을 이용한 멘토단, 후방산업 인력 양성 등이 필요하였다. 하지만 설문 조사와 분석이 전체 OSAT기업 전반이나 창업 예정자들의 목소리를 담지 못했다는 것은 본 연구의 한계이다. 충남이 주력산업으로 추가 지정한 반도체 패키징산업은 충남 뿐 아니라 대한민국의 일자리와 경제 전반에도 중요한 역할를 한다. 특히 OSAT기업들이 반도체 클러스터 내에서 기술개발에 집중하여 국제 경쟁력을 확보하고 현장에서 필요한 인력을 대학과의 연계교육을 통해 제때 수급받는다면 현재보다 매출액은 물론 이익률 제고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 방향으로는 반도체 패키징산업 발전 전략의 세부안이 마련되고 집행되는 과정을 모니터링하고 국내외 여건을 비교하여 실증 연구를 추진하고자 한다. Semiconductors are essential items for AI, high-tech robots, and IOTs and are important national assets for national security and technology hegemony. In Korea's semiconductor industry, most of the semiconductor chips that produce semiconductor chips are located in Gyeonggi-do, while post-process packaging industries such as Samsung Electronics' Onyang campus are located in Chungnam. Semiconductor packaging, a new source for the industry that grows an average of 5% annually around the world, is being prepared as a new flagship industry in Chungnam. OSAT companies developed in Asan and Cheonan need to develop advanced packaging technology needed for next-generation semiconductors in a structure that is concentrated on memory semiconductor packaging, and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professional manpower needed in the fie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field companies and the demand for technology development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to help the Chungnam semiconductor packaging industry strategy. As a research method, based on the survey of 333 Hoseo University MOU companies including semiconductor companies, the company status, demand for new technology, necessary manpower, and direction of university education were identified. As a result of the survey analysis, it was found that R & D support for the development of new packaging materials and intensive training of specialists in materials and equipment using R & DC facilities / equipment were needed. Power semiconductors will replace existing silicon semiconductors with SiC and GaN semiconductors the process for the high-end semiconductor pattern for the miniaturization through the line width miniaturization of the circuit pattern Material research is needed. Demand for packaging technology for miniaturization, light weight, and slimming of electronic devices and ultra-high density room the large area high speed molding packaging process equipment technology for the enteric new concept packaging, and the wafer And level chip semiconductor device packaging technology. For the supply and demand of manpower that can be put into the field immediately, enterprise R & D project-based Short-term intensive programs for 100% on-the-job training and cluster win-win basis Mentors using facilities and rear industry manpower training were needed. However,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survey and analysis did not include the voices of the entire OSAT companies or prospective start-ups. The semiconductor packaging industry, which Chungnam has designated as its flagship industry, plays an important role not only in Chungnam but also in Korea's jobs and economy as a whole. In particular, if OSAT companies focus on technology development within semiconductor clusters to secur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nd receive the necessary manpower in the field on time through linkage education with universities, it is expected to be of great help in increasing profit margin as well as sales. In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we will monitor the process of developing and implementing the semiconductor packaging industry development strategy and compare the domestic and overseas conditions to promote empirical research.

      • 객체인식 YOLOv5의 중소기업 스마트팩토리 적용과 학습정확도 향상을 위한 연구

        마상윤 호서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703

        4차산업혁명이 본격화되며 국내외 제조 기업들은 스마트팩토리를 도입하면서 경쟁력 강화에 앞장서고 있다. 우리나라 정부 기관 또한 스마트팩토리 지원 사업을 진행하며 중소기업의 스마트팩토리 구축에 힘쓰고 있다. 하지만 중소기업에 구축된 스마트팩토리의 수준은 기초수준이 대부분이며 고도화수준의 구축에는 기술적, 비용적 한계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수공업 위주의 중소 제조기업에서는 공장자동화를 도입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ICT 기술의 도입과 활용 인식이 저조한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의 현실을 반영한 기술의 도입을 통해 수준을 높여가는 것이 필요하다. 인공지능 분야는 스마트팩토리에서 활용될 수 있는 고도화된 기술 중 하나이다. 이중 객체인식 분야는 컴퓨터 비전기술 중 한가지이며 최근 컴퓨터 하드웨어 기술의 발달로 인해서 빠르게 발전중인 기술이다. 인간이 직관적으로 볼 수 있는 시각화 정보를 활용한 컴퓨터 비전기술은 활용 가치가 크지만 자동화공정에 한정되어 있고 비용적인 부담도 무시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공업 위주의 제조업에 쉽고 간편하게 도입할 수 있는 영상분석 시스템을 개발하여 중소기업의 고도화 역량 강화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개발을 위해 중소기업의 수공업 공정을 선정하였으며 부품의 이종 혼입을 방지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개발에 필요한 이미지 데이터셋 구축, 하드웨어 설치, YOLOv5 학습을 진행하였으며 학습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였다. 정확도가 가장 높은 학습모델을 선정하여 영상분석 프로그램의 개발을 진행하였다. 딥러닝 학습 모델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영상분석 프로그램에 판정 정확도 향상을 위한 기능을 추가하였다. 구축된 영상분석 프로그램과 클라우드 서버의 MES를 연동하여 시스템을 통합하였다. 구축된 영상분석 시스템은 휴먼 에러를 방지하여 불량률을 제로에 가깝게 만들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YOLOv5를 적용해 영상분석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는 기업들에게 유용한 기초자료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기존의 자동화설비 라인에 구축하는 비전시스템에 비해 간단한 장비 도입과 저렴한 비용으로 중소기업의 고도화 제조기술 구축의 진입장벽을 낮추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Wit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full swing, domestic and foreign manufacturing companies are taking the lead in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by introducing smart factories. Korean government agencies are also working on smart factory support projects to build smart factories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However, most of the smart factories built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re at the basic level, and the construction of the advanced level has difficulties due to technical and cost limitations. In particular, it is difficult to introduce factory automation in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ing companies centered on handicrafts, and the awareness of the introduction and use of ICT technology is low.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level through the introduction of technology that reflects the reality of SMEs. The field of artificial intelligence is one of the advanced technologies that can be utilized in the smart factory. Among them, the object recognition field is one of computer vision technologies, and it is a technology that is rapidly developing due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computer hardware technology. Computer vision technology using visualization information that can be easily and intuitively seen has a great value, but is limited to automated processes and the cost burden cannot be ignored. In this study, an image analysis system that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introduced to handicraft-oriented manufacturing is developed to help SMEs strengthen their advanced capabilities. A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 process was selected for development, and a system to prevent heterogeneous mixing of parts was established. The image dataset required for development, hardware installation, and YOLOv5 learning were conducted, and various methods were tried to improve the learning accuracy. An image analysis program was developed by selecting a learning model with the highest accuracy. In order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the deep learning model, a function for improving judgment accuracy was added to the image analysis program. The system was integrated by linking the condensed image analysis program and the MES of the cloud server. The built-up image analysis system prevents human errors and makes the defect rate close to zero.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ble to provide useful basic data and information to companies that want to build an image analysis system by applying YOLOv5 in the future.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lowering the entry barrier for the establishment of advanced manufacturing technology by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with simple equipment introduction and low cost compared to the vision system built in the existing automation facility line.

      • 제약·바이오 기업의 기술창업 활성화 과정에 대한 연구 : A사의 창업사례를 중심으로

        홍혜란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703

        The recent pharmaceutical and bio sectors are attracting attention as future growth industries. This is because the pharmaceutical and bio-industry is responsible for prolonging human life and leading medical and health sciences in the era of global low birth rates and aging. In particular, the pharmaceutical and bio industries have further expanded their areas due to the recent COVID-19. There are few systematic studies on the success factors of start-up and market settlement of pharmaceutical and bio companies. This study starts with a sense of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for new companies with original ideas and technology to enter the market and settle successful businesses in the pharmaceutical and bio industries with high growth potenti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plan to improve the success rate of start-up of pharmaceutical and bio companies with original business ideas and excellent technology by examining the start-up and growth process of Korean pharmaceutical and bio companies through case analysis of pharmaceutical and bio company A. Through previous studies, the factors that pharmaceutical bio start-ups can succeed were categorized, and through the criteria for categorization, it was intended to be applied to Company A's case and explained. The four key factors are leadership and human capital, innovation in technology, financing, and business timing. First, in leadership and human capital, they demonstrated leadership in the role of inspiring and leading executives and employees to have a willingness to succeed in development. It was found that if the team's execution ability itself is excellent with high-quality manpower and appropriate team composition, technology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can be successful even if there are not many manpower. Second, company A has technological innovation. In other words, the safety of toxicity is guaranteed through drugs verified through changes in the use of existing drugs, not through traditional new drug development methods, and the cost and time required through testing in the nonclinical stage are reduced. Third, due to the nature of pharmaceutical and bio companies in financing, huge amounts of funds are needed for a long period of time as a technology- and knowledge-intensive high value-added industry. It showed an example of Company A's growth process that was properly used through government support programs and investment attraction. Fourth is the business timing. Company A entered the market when there was no competitor in the market, seeing future value, and won the title with the approval of the first phase 1 clinical trial of a radiation sensitive drug in Korea.

      • 무인 자동 출입증 발급기 개발 사례

        고경호 충북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50703

        The main purpose of this project was to stably develop products desired by companies. In order to develop products stably, first, technology was secured through patent research and analysis. This was done to secure the necessary technology to preoccupy new markets and strengthen competitiveness. Second, the technology used for product development was transferred to the company. In addition to developing and providing products required by companies, it also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company's infrastructure by supporting the relevant technology and process. Third, the cooperation system necessary for product development was utilized. By utilizing the surrounding resources necessary for product development, we have stably developed and provided products that companies want. The project was able to proceed smoothly by mutually sharing and collaborating with the necessary information and materials. Through this project, it contributed to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company and sustainable management by providing the company with its technology and resources. 이 프로젝트의 주요 목적은 기업이 원하는 제품을 안정적으로 개발하는 것이었습니다. 제품을 안정적으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첫째, 특허 연구와 분석을 통해 기술을 확보했습니다. 이는 새로운 시장을 선점하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이루어졌습니다. 둘째, 제품 개발에 사용된 기술이 회사로 이전 되었습니다. 기업이 필요로 하는 제품을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은 물론, 관련 기술과 공정을 지원하여 기업의 인프라 구축에 기여하였습니다. 셋째, 제품개발에 필요한 외주협력체계를 활용하였습니다. 제품 개발에 필요한 주변 자원을 활용하여 기업이 원하는 제품을 안정적으로 개발하여 제공하였습니다. 프로젝트는 필요한 정보와 자료를 상호 공유하고 협업함으로써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었습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회사의 기술과 자원을 제공함으로써 회사의 경쟁력 강화와 지속 가능한 경영에 기여하였습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