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비쿼터스 및 스마트도시건설환경에서의 정보통신 사업관리 개선방안 : U-환경에서의 건축물 정보통신감리 관점

        김진용 건국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4303

        첨단화초고속광대역으로의 정보통신발전은 BCN의 통신과 방송의 융합으로 발전하고 도시와의 융합은 U-City 및 스마트시티 건설 환경으로 건축과의 융합은 스마트빌딩과 스마트 홈으로 구축발전하고 있지만, 이들 간의 연계 및 융합은 이루어지지 않고 각각 분리 발전되고 있어 체감도 및 효율성이 낮은 상태이다. 이는 정보통신공사의 설계, 시공, 감리가 특히 설계와 감리가 타 공정에 비해 정확하지 않아 안전과 품질확보가 부실한 실정이 원인의 하나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대책으로 해당법과 제도 및 업체선정, 대가 및 배치기준과 종합적인 관리상태 등을 조사. 연구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대책으로 시설의 안전과 품질향상, 일자리창출 및 나아가 해외진출에 우위를 점하여 국제경쟁력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테스트시트 제시 및 관련법제정과 제도보완 등 도구제시와 관리방법 등을 강구하여 건축물정보통신의 설계감리와 건설기술관리 및 시공감리를 최대로 활용되도록 하여 부실한 실정의 개선대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o high-speed, high-speed broadband has evolved from the convergence of communication and broadcasting in BCN. U-City and smart city convergence with the city has evolved into a smart building and a smart home. And there is no fusion or fusion between them.This is one of the reasons that the design, construction and supervis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rporation are inadequate in safety and quality assurance especially because design and supervision are not performed accurately compared to other processes.As a countermeasure to this, we investigate the applicable law, institution and company selection, price and placement standard and comprehensive management status. To provide a test sheet as a measure to improv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by taking advantage of the safety and quality improvement of the facility, job creation and further advancement into the overseas market by studying and finding out problems, and suggesting and managing tools And to suggest the improvement measures of the poor reality by making maximum use of the design supervision, construction technology management and construction supervision of the build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 그린PC 품질 특성과 전환비용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기술수용모형(TAM)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영철 건국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4287

        Recently, energy saving is one of the biggest concerns for both businesses and individuals. In the midst of the interests of the industries in trying to reduce OPEX (Operating Expenditure) for energy use, the smart energy system market applying the advanced energy control technique based o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and network is growing fast. Optimizing the amount of energy use is a key to achieving cost savings. In particular, it is essential to control the standby power of IT equipment that is wasted without being used, and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PCs and monitors used by most corporate staffs. However, since only the aspect of cost savings was stressed without reviewing the convenience of users at the introduction of green PCs, it became a cause for the rapid decline in their utilization immediately after the introduction of green PC system. Therefore, at this point, it is necessary to study how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green PC by the relationship analysis of several factors influencing the acceptance int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acceptance intention according to the quality of green PC targeting the staff who were using green PC system in the office areas of domestic large industries and to present the efficient development strategies for green PCs by conducting the empirical researches about how much impact these factors have. To this end,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which is widely used in the acceptance analysis of new technology, was presented as a research model a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corporate staff to verify this research model.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effect of green PC on autonomous operation quality, system quality, information quality, usefulness, ease of use, relationship between switching cost and influence on the acceptance of green PC. It is anticipated that it will be possible in the future to further enhance the acceptance intention for the green PC system as well as to improve the operation cost saving and usability continuously by reinforcing the functions related to the system quality and by complementing the functions related to the autonomous operation quality and information quality factors. 최근 에너지 절감은 기업과 개인 모두에게 최대 관심사 중 하나다. 에너지 사용에 대한 운영비용(OPEX: Operating Expenditure)을 절감하려는 기업들이 관심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과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향상된 에너지 제어기법을 적용한 스마트 에너지 시스템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비용절감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에너지 사용량을 최적화하는 것이 핵심이다. 특히 사용하지 못하고 낭비되는 IT기기의 대기전력 제어는 필수적이며, 기업 임직원 대부분이 사용하는 PC와 모니터 제어가 필요하다. 그러나 그린PC 도입 시 비용절감 측면만 강조되고 이용자 업무 편의성에 대한 검토는 이뤄지지 않고 있어 이는 바로 그린PC 시스템 도입 직후 활용도를 급격히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영향요인의 관계분석으로 그린PC 활용도를 높이는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국내 대기업 사무 공간에서 그린PC 시스템을 이용하는 임직원들에게 그린PC 품질 특성에 따른 수용의도에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 이들 요인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 연구하여 그린PC의 효율적인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신기술 수용분석에 널리 사용되는 기술수용모형(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을 연구모형으로 제시하였고 본 연구모형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기업 임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그린PC의 자율동작품질, 시스템품질, 정보품질, 유용성, 사용용이성, 전환비용 간의 상호 관계 및 그린PC의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향후 시스템품질과 관련된 기능들을 강화하고 자율동작품질과 정보품질의 특성 요인과 관련된 기능들을 보완한다면 그린PC 시스템의 수용의도를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며, 운영비용 절감과 활용성을 지속적으로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이다.

      • 상황인지기반 지능형 유비쿼터스 홈네트워크 서비스와 보안 구현을 위한 추론엔진 개발

        엄윤식 中央大學校 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185135

        어디서나 어떤 상황에서도 서비스가 가능한 모든 일과 상황을 통칭적으로 유비쿼터스라 일컬으며, 기존의 사업 시장을 활용하기도 하고 기존 사업을 기반으로 새로운 사업을 창출하기도 하며 정보통신 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을 이끌고 있다. 이러한 지능적 환경과 서비스의 구현을 위해서는 다양한 디바이스와 이동하는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context를 수집하고, 주어진 상황에 맞는 최적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추론 기능이 필요하며, 웹으로부터 정보를 추가적으로 수집하거나, 서비스의 제공에 있어서 사용자 맞춤형으로 이루어지도록 관리를 해야 한다. 유비쿼터스 환경과 상황인지적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context에 대한 수집을 위해서는, 또한 서비스의 구현과 관리에 있어서는 무엇보다 사용자에 대한 보안 뿐 아니라 서비스에 대한 보안과 정책적인 관리도 시급하다. 그리고 보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비스에 대한 conflict 해결을 위한 우선순위에 대한 체계적인 고려와 사용자 간의 권한 이양과 차등적이고 자동적인 설정 역시 중요한 사안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홈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 및 환경에 대한 context를 ontology로 구축한 것과 추론을 위한 Rule을 기반으로 상황인지적인 서비스를 추론하는 엔진의 개발 및 보안, 권한 관리, 우선순위 등 정책적인 상황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구현하고 평가하였다. 현재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장소를 이동함을 통해 기기의 동작이 발생하는 것을 측정하였으며, 접근 권한과 서비스의 conflict에 대한 측정이 이루어졌으나 다중 사용자나 무수한 서비스에 대한 delay의 고려에 부족한 면이 존재하였다. 실제적인 환경으로의 적용을 위해서는 자동적으로 온톨로지와 룰을 수정할 수 있는 방안이 고려되어져야 한다. 또한 정적 패턴화되어진 서비스나 환경에 의존하는 일차적인 서비스에 국한되지 않고 output에 기반한 재추론과 동적 상황에 대해서도 서비스가 구현될 수 있도록 추론엔진의 룰과 온톨로지를 확장해야 할 것이다.

      • TPM을 이용한 에이전트 기반의 안전한 네트워크 자가형성 기법 연구

        권성구 中央大學校 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184911

        최근의 해킹은 단순 호기심 차원을 넘어서의 불법적인 행위를 통한 범죄적인 성향을 많이 띠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PC의 컴퓨팅 성능이 매우 우수하고 각 가정마다 초고속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으며 IT 인프라 세계 최강국임에도 불구하고, PC 사용자들의 보안 의식이 미흡하기 때문에 크래커들의 주요 공격 대상이 되고 있다. 따라서 유비쿼터스 사회 구현을 선도하고 관련 분야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바로 이러한 네트워크 보안 문제를 해결하여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상에서 악의적인 공격자의 불법적인 공격으로부터 환경에 적응적으로 자가형성할 수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기틀을 마련하기 위해서 본 논문은 P2P 네트워크, 에이전트 네트워크, Botnet 및 Honeypot-aware Botnet 등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에 대해서 알아보고 이러한 환경에서의 네트워크 자가형성 기법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또한 향후 도래할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컴퓨팅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개념으로써 현재 국제적으로 초미의 관심을 모으고 있는 Trusted Computing에 대한 개념을 소개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핵심 모듈인 TPM(Trusted Platform Module)을 소개한다. 또한 다양한 이기종의 기기와 네트워크가 존재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는 구성 개체들이 중앙 집중형의 서버-클라이언트 구조가 아니라 서로 직접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환경변화에 능동적이고 지속적으로 반응하는 구조를 띠게 되기 때문에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는 특히, 높은 수준의 보안을 강화한 효율적인 네트워크 자가 형성 기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TPM을 이용한 에이전트 기반의 안전한 네트워크 자가형성 기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고 있는 기법은 다양한 이기종 기기와 네트워크가 혼재되어 있는 동적인 유비쿼터스 환경에 적용이 가능하며 하드웨어적인 보안에서부터 소프트웨어적인 보안까지 통합적인 보안을 제공하기 때문에 네트워크의 신뢰성과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TPM을 이용한 에이전트 기반의 안전한 네트워크 자가형성 기법은 다양하고 새로운 환경을 위한 편의성과 상호작용성을 보장함으로써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환경 구현을 위한 기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홈네트워크로의 OSGi 기반 Context Aware 시스템의 적용 방안 연구 및 개발

        이준희 中央大學敎 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184911

        근래에 가장 이슈가 되고 있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기반 기술로 제일 주목 받고 있는 것이 상황인지(context-aware) 컴퓨팅 기술이다. 또한 그에 따라 상황 인지 컴퓨팅 기술과 접목되어 새로운 개념의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이 제일 먼저 구축 되고 있는 분야가 스마트 홈이다. 스마트 홈은 다양한 이종 네트워크 미디어와 디바이스들이 결합되어 홈오토메이션 환경을 구성하고 있다. 하지만 진정한 의미의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개방형 표준 기반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서비스 실행 환경이 필요하고 이러한 환경 하에서 유비쿼터스 컴퓨팅 시스템들의 상황정보(contextal information)의 관계성을 규명하고 상호 공유를 지원하여 상황에 따른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상황 인지(Context-aware)컴퓨팅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시스템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홈네트워크 환경을 위해 개방형 표준인 OSGi를 따르는 framework를 사용하고 각종 context 처리를 위해 context-aware 시스템을 OSGi 표준에 따라 bundle 형태로 구현하여 framework와 결합한 사용자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홈을 위한 OSGi 기반 상황인지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 된 구조는 컨텍스트의 학습 및 추론을 통한 사용자 별 맞춤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도록 실제 환경 및 가상공간에 구현을 했다. 기존의 홈오토메이션을 위한 기능들이 구현되어 있으며, 사용자 프로파일과 사용자 context, 집안 환경 등의 context를 인지하여 상황 인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 유비쿼터스 홈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상황 인식 서비스 미들웨어 개발 및 연구

        김용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184879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요구가 가장 다양하다고 생각되는 유비쿼터스 홈네트워크 환경 내에서 사용자에게 지능형 상황 인식 서비스 제공을 위한 상황 모델인 온톨로지 설계와 온톨로지 기반의 상황 인식 서비스 미들웨어 시스템(OCASS : an Ontology based Context Aware Service middleware System)의 구조를 제안한다. 즉, 본 논문은 다양한 상황 정보를 모델링하기 위하여 일관성 없는 상황 정보의 지식화 및 에이전트 혹은 시스템 간 지식 공유를 쉽게 하는 홈네트워크 환경내의 상황 모델인 HomeNet Ontologies를 설계하고, OCASS가 다양한 환경에서 다중 사용자에게 다중 서비스를 충돌 없이 잘 제공하게 하기 위한 효율적인 서비스 관리 측면에서의 서비스 및 서비스 충돌문제를 분류하고 재정의한다. 이러한 상황 모델과 서비스 관리 기법, 그리고 내부의 에이전트 기반 구조를 통해 OCASS는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상황들을 인지하고 추론, 추출하며, 어느 엑추에이터(actuator)들이 현재 상황에 적절한가를 결정하고 엑추에이터들의 동작 조합을 통하여 현재 상황에 맞는 적절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한편, OCASS는 상황 인식 서비스(context-aware services)를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용자 정보의 최소량만을 상황으로 활용하고 외부로 세어나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도 보장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는 OCASS를 java로 구현하여 시나리오 설계와 함께 실제 물리 공간(중앙대학교 홈네트워크 연구센터)과 3D 가상 공간에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 보안 상황인지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인프라 스트럭쳐 연구

        이건식 中央大學校 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184863

        차세대 홈네트워크의 핵심은 사용자가 의식하지 않고도 서비스를 제공받는 "Invisible Services"라고 할 수 있으며,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종류의 Context들이 요구되고 이로 인해 개인 프라이버시 노출의 위험도 증가한다. 따라서 Entity와 Context 간의 안전한 기능성 확보와 구현이 상황에 따라 적용하는 보안기술과 사용자가 의식하지 않고도 안전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보안 상황인지 인프라 구조에 대한 기술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보안 상황인지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하여 기존 context-aware security system과의 연동을 통한 보안 상황인지 미들웨어 인프라 구조를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미들웨어 인프라 구조는 보안의 통합적 관리, 상황 인지형 보안 인프라 구축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정의된 보안 정책 기반의 사용자 security level을 설정하고 이에 따른 차등적 서비스 제공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이 외에도 홈네트워크의 보안 취약점이 많은것을 알 수 있다. 추후 본 논문에서 살펴 본 다양한 홈네트워크에서의 보안 취약점인 네트워크, 인프라, 디바이스, 미들웨어 취약점에 대한 대응 방안을 연동한 인프라 구조로의 확장이 필요하다.

      • Pervasive computing 환경을 지원하는 안전한 P2P기반 네트워크 자가 형성 기법 연구

        황은영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184863

        Pervasive computing 환경에서는 도처에 분산되어 있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각의 Entity간 Seamless 연결을 제공하는 P2P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P2P 방식으로 Entity간 자유로운 자원 공유 및 협업을 제공하는 기술인 P2P기반 네트워크 형성 기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양하고 이질적인 기기와 네트워크가 존재하는 Pervasive computing 환경을 구성하는 네트워크 구성 개체들이 중앙 집중형의 구조가 아니라 서로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여 환경변화에 능동적이고 지속적으로 반응하는 구조를 띄고 안전한 컴퓨팅 환경을 제공하도록 보안 기능을 포함하는 P2P기반 네트워크 자가 형성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P2P기반 네트워크 자가 형성 기법에서 설명한 효율적인 플러딩 알고리즘을 다양한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성능 분석을 수행하였다. 성능 분석을 통해서 제안한 기법이 정적인 네트워킹 환경보다는 동적인 네트워킹 환경에서 기존 방식들 보다 효율적임을 확인함으로써 Pervasive computing 환경에 적합하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 논문에서 제안한 P2P 노드 기반 네트워크 자가 형성 기법은 동적인 네트워크의 적응과 보안 측면에서의 네트워크 신뢰성과 안전성, 비용 감소를 위한 잠재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P2P 기반 네트워크 자가 형성 기법은 새로운 환경을 위한 편의성.안전성.신뢰성.상호작용을 보장하여 Pervasive computing 환경 구현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스마트 홈에서의 에너지 소비 절감을 위한 경량의 적응형 상황인식 미들웨어 연구

        김용 中央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박사

        RANK : 168479

        Green IT is the compound word of Green (environment) and IT (Information Technology). There is no defined terminology yet, but it is used as a title that includes 'Green of IT' and 'Green by IT'. Efforts for Green IT are being made all over the world in a variety of ways. The perception has expanded recently that IT has more a more positive than negative impact on the environment, and researches on energy and CO2 reduction by IT are in full swing. A key phrase in the research on energy and CO2 reduction related to `Green by IT' is 'Energy Conservation'. Namely, it is increasing energy efficiency and developing conservation plans by utilizing IT and other new technologies. However, in spite of the rapid development of IT, most research studies simply analyze the power consumption pattern of a whole nation, or they merely suggest passive and fragmentary ideas for electronic power conservation. They do not consider automatic and intelligent power conservation solutions through an analysis of users' power consumption pattern. In terms of energy conservation solutions, a context-aware system is one that properly provides services to home users, such as electronic energy cutoff or intellectual energy conservation services, as well as to energy suppliers overall with efficient energy control recommendations. This is accomplished by determining current energy consumption and predicting future energy use, based on a variety of complex, direct and indirect, contexts. At this juncture, it can be said that the application of a context-aware system is one of the methods that can most efficiently develop the system that decides the appropriate actions required for energy conservation automatically analyzing the various and complex contexts. For energy conservation, the application of a context-aware system is necessary. The context-aware system provides a service that applies the additional data found in the situation by utilizing the context-aware learning mechanism that gathers information from various sensors and transforms the information into knowledge. It is more than the levels to simply cut off electronic energy supply based on fragmentary sensor information. In terms of the paradigm shift toward network convergence and domain expansion, energy conservation, and service management, existing context-aware systems are static with excessive events occurring, or they inefficiently control energy and resources without systematic service management. Existing systems also lack interoperability and scalability, or have the shortcomings of slow processing speed due to server overload in using a centralized server or gateway. In this thesis, therefore, new requirements for context-aware systems are derived in consideration of the paradigm shift from a single to an extended domain with the development of ubiquitous access, an approach to the system design which includes the service management as well as the situation-awareness, and the energy conservation for Green IT. This thesis ascertained the strengths and weakness of the existing context-aware system through analyzing their design principles for designing new context model and context-aware system architecture. In reference to these basic design principles of existing systems, this thesis designed and proposed SOnECo (Smart Home Ontologies for Energy Conservation) which is new context model based on Ontology and ALCoM (an Adaptive Light-weight Context-aware Middleware) which is novel context-aware system architecture with layered structure based on Middleware Infrastructure and Context Server. They are achieved in response to additionally derived requirements for context-aware systems.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proposed system was performed in a real environment during 3 months. ALCoM with SOnECo was implemented and installed in 18 households in two apartment buildings. The performance was evaluated in terms of system response time and the effects of energy conservation with various system conditions. 그린 IT(Green IT)는 환경을 의미하는 녹색(Green)과 정보기술(IT)의 합성어로 아직 명확히 규정된 정의는 없으나, 'IT부문의 친환경 활동(Green of IT)'과 'IT를 활용한 친환경 활동(Green by IT)'을 포괄하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각자 나름의 그린 IT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최근 들어 IT가 환경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이 부정적 영향보다 더욱 크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IT를 활용한 에너지 절감 및 CO2 감축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IT를 활용한 친환경 활동(Green by IT)에 관련한 에너지 절감 및 CO2 감축에 관한 연구들의 핵심 키워드 중 하나는 '에너지 소비 절감(Energy Conservation)'이다. 즉, IT 및 신기술을 통해 에너지 효율성을 제고하고 절약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그러나 IT의 급격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많은 연구들이 국가 전체의 전력 소비 패턴을 분석하고 있거나 전력 소비 패턴 분석을 통한 자동화된 전력 소비 절감 솔루션이 아닌 단편적이며 수동적인 전력 소비 절감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에너지 소비 절감 솔루션 측면에서 상황인식 시스템(context-aware system)은 다양하고 복합적인 직·간접 데이터(context)를 기반으로 현재 에너지 소비 상황을 이해하고 미래의 에너지 소비를 예측함으로써, 가정 내 사용자에게는 전력 차단 또는 지능적인 에너지 소비 절감 방안을 추천하는 서비스 등을, 에너지 공급자에게는 전반적이고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 방안을 추천하는 서비스 등을 '적절히' 제공해 주는 시스템을 말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다양하고 복합적인 데이터를 자동으로 분석하여 에너지 절감에 필요한 적절한 행동을 결정하는 가장 효율적인 시스템 개발 방법 중 하나가 바로 상황인식 시스템(context-aware system)의 적용이라 하겠다. 즉, IT를 활용한 효율적인 에너지 소비 절감을 위해서는, 단편적인 센서 정보에 따른 전력 공급 차단 수준에 머물지 말고, 다양한 센서로부터 정보를 취합하고 지식(knowledge)화하며, 상황인식 학습 메커니즘(context-aware learning mechanism)을 활용하여 그 지식화된 상황에 따라 서비스를 적절히 제공하는 상황인식 시스템 적용이 필요하다. 네트워크 융합(network convergence)과 도메인의 확장으로의 패러다임 전환, 에너지 소비 절감, 그리고 시스템 행동 관리 측면에서 볼 때, 기존 연구들의 상황인식 시스템은 정적이고(static) 과도한(excessive) 이벤트(event)가 발생하거나, 비효율적인 에너지 및 리소스 관리를 하고 효율적 서비스 관리를 수행하지 않는다. 또한 기존 시스템들은, 상호연동성(interoperability) 및 확장성(scalability)이 부족하거나, 중앙 집중적인(centralized) 서버 혹은 게이트웨이(gateway)를 사용함으로써 서버의 과부하로 인한 처리 속도가 떨어진다는 단점을 안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접근(Ubiquitous access)의 발전에 따른 단일 도메인에서 확장 도메인(extended domain)으로의 패러다임(paradigm) 전환, 상황(situation)의 이해 측면 만이 아닌 서비스 관리 측면을 포함하는 시스템 설계의 접근, 그리고 그린 IT를 위한 에너지 소비 절감을 고려한 새로운 요구 사항들을 도출하였다. 본 논문은 상황 모델과 시스템 구조를 설계함에 있어, 먼저 기존 상황인식 시스템들의 기본 설계 원리들을 분석하고 각 설계 원리들의 장단점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기존 시스템들의 기본 설계 원리를 참고하여, 본 논문은, 새롭게 추가 도출한 요구 사항을 만족하도록, 온톨로지(Ontology) 기반의 상황 모델(context model)인 SOnECo (Smart Home Ontologies for Energy Conservation)와, 미들웨어 구조(Middleware Infrastructure) 및 상황정보 서버(Context Server) 기반의 계층적 구조를 가진, 새로운 형태의 상황인식 시스템 ALCoM (an Adaptive Light-weight Context-aware Middleware)을 설계하고 제안하였다. 한편,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스템 성능 평가는 실제 사람이 살고 있는 아파트 환경에서 3개월간 수행되었다. 즉, SOnECo을 포함한 ALCoM을 구현하고, 이를 아파트 내 2개동 18가구에 구성하여 다양한 실험 조건에서 서비스 응답 속도와 에너지 소비 절감 정도 측면의 시스템 성능을 평가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