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기초교양과목 개설 방안 연구

        유백열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5471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들이 대학에 입학 후 조기에 정착하여 학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외국인 유학생들에게 부족한 한국어 능력을 고려한 기초교양과목을 개설하도록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국내 주요대학의 기초교양과목 운영현황과 외국인 유학생의 요구조사, 교수의 요구조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기초교양과목 운영현황을 보면, 국내 주요대학은 건학정신과 교육목적에 따라 교양교육 전담기구를 설치하고 5,617개의 기초교양과목을 개설하여 학생들에게 교양교육을 실시하고 있었다. 반면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기초교양과목은 17개 조사대학 중 13개 대학에서 100개 과목을 개설 하여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체 기초교양과목에 비하여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기초교양과목은 1.78%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국인 유학생의 기초교양과목 개설을 위한 요구 분석결과를 보면, 전공은 상경계가 59.63%로 가장 많았고, 국적은 97.27%로 중국학생이 많았다. 유학국가 선택 요인은 한국에 대한 친근감이 35.45%로 가장 높았고, 대학 선택요인은 대학의 유명도가 50.4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생활의 적응 정도에서 한국생활의 적응은 70.35%가 별로 어려움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한국학생과 교우관계는 59.55%, 수업내용 이해는 66.67%가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조 사되었다. 생활의 어려움에서 학교생활은 70.35%가 어려움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언어문제는 51.32%, 역사인식 차이는 51.35%, 외국인에 대한 배타적 인식은 56.05%가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국문화의 이해에서 한국 일상생활문화의 이해는 84%, 한국 음식문화의 이해는 82.22%, 한국 대중문화 의 이해는 79.11%, 한국 전통문화의 이해는 68.44%, 한국 예절의 이해는 73.98%가 문제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재학 중 중도 포기 의사에서 19.64%가 재학 중 어려움으로 중도에 학업을 포기할 의사가 있었던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 이유는 언어문제(한국어 능력부족으로 수업의 어려움) > 외국인에 대한 배타적 인식 > 교우관계 > 경제적 어려움 > 생활적응의 어려움 순으로 나타났다. 휴학은 23.77%가 휴학한 경험이 있으며, 휴학 횟수는 1회가 89.66%로 조사되었다. 휴학 사유는 언어문제(한국어 능력부족으로 수업의 어려움)가 67.74%로 나타났다. 성공적인 학업수행을 위한 요구사항에서 장학금 지급이 33.64%, 한국어과목 및 교양과목 개설이 31.34%, 수업지원 제도 도입이 26.27%, 기숙사 제공이 8.76%순으로 나타났다. 기초교양과목 운영의 인식에서 기초교양과목 평가 시 한국학생과 동일하게 평가되는 것에 65%가 적절하지 못하다고 답변했는데, 그 이유는 한국학생과 언어능력의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평가는 불공평하다고 여기므로 한국학생과 별도 평가를 원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기초교양과목 개설은 84%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기초교양과목 개설시 87.89%가 수강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기초교양과목 개설 시 수강을 희망하는 과목으로 한국어 과목 > 한국사회의 이해 > 한국영화와 한류 > 대인관계 > 한국예절 > 한국의 전통문화와 한국음악의 이해 > 한국역사 순으로 조사되었다. 한국어 과목 중 어려운 영역은 읽기 > 말하기 > 어휘와 문법 > 듣기 > 쓰기 순으로 조사되었으며, 한국어 과목 개설 시 수강을 원하는 과목으로 한국어 어휘와 관용표현 > 한국어 쓰기 > 한국어 문법 > 한국어 텍스트 청해 > 한국어 텍스트 독해 순으로 나타났다. 수업을 잘 들을 수 있는 토픽 수준에 대한 학부생의 요구는 5급이 39.11%, 6급이 31.56%, 4급이 27.56%, 3급이 1.78% 순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교수자의 요구 분석 결과에서 외국인 유학생을 고려한 수업진행이 50%로 나타났으며, 외국인 유학생이 참여하는 수업진행에 대해 80%가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 이유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어 능력 부족이 79.17%, 수업내용 이해 부족이 12.5%, 수업태도(지각·결석)가 4.17%, 비적극적인 수업참여가 4.17% 순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기초교양과목 개설에서 66.66%가 개설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외국인 유학생에게 필요한 기초교양과목은 한국어 관련과목이 79.19%로 제일 높게 나타났다. 한국어 관련과목 중 개설이 필요한 순서는 듣기과목 > 읽기과목 · 쓰기과목 > 말하기과목 순으로 조사되었다. 외국인 유학생들의 성공적인 학업수행을 위한 의견에서 수학능력을 고려한 학생선발 > 기초교양과목 개설 > 수업지원제도 도입 > 대인관계 프로그램 도입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이상과 같이 국내 주요대학의 기초교양과목 운영현황과 외국인 유학생 요구사항 및 교수 요구사항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외국인 유학생의 성공적인 학업수행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기초교양과목 개설을 제안하였다.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기초교양과목을 기초과목과 교양과목으로 구분하여 개설할 수 있다. 첫째, 기초과목은 전공교육과 교양교육 이수에 기반이 되는 한국어 과목으로, 영역은 기초필수와 대학기초로 구분하여 운영할 수 있다. 기초필수는 외국인 유학생 전체가 이수해야 하는 과목이며, 대학기초는 학과에서 선택한 과목을 필수로 이수토록 한다. 개설 제안과목으로 기초필수과목은 한국어초급, 한국어중급1·2, 한국어 고급1· 2로 하고, 대학기초 과목은 한국어 어휘와 관용표현, 한국어 쓰기, 한국어 문법, 한국어 텍스트 청해, 한국어 텍스트 독해로 할 수 있다. 둘째, 교양과목은 외국인 유학생이 한국생활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조기에 적응할 수 있는 과목으로 영역은 핵심교양과 일반교양으로 구분하여 운영할 수 있다. 핵심교양은 졸업학점을 충족하기 위하여 이수해야 하며, 일반교양은 핵심교양 영역으로 지정되지 않은 교양영역으로, 졸업조건 충족을 위한 영역이 아니며 학생은 자유선택으로 교과목을 이수토록 한다. 개설 제안과목으로 핵심교양 과목은 한국문화의 이해, 한국사회의 이해, 대인관계로 하고, 일반교양 과목은 한국영화와 한류, 한국예절, 한국역사, 한국정치, 한국음악 과목으로 할 수 있다.

      • 대학 내 외국인 교원을 위한 한국어 교수요목 설계 연구

        김현수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5471

        본 연구는 대학에 재직 중인 외국인 교원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수요목 설계를 위한 연구이다. 현재 글로벌화를 내세워 국내의 많은 대학은 외국인 교원 영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고 정부도 이에 대한 지원을 늘리고 있어 외국인 교원의 수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직장에서 업무활동이나 강의활동에서 영어를 비롯한 모국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을지라도 모국어의 사용만으로는 한계를 느끼고 한국어가 요구되고 필요한 상황이 발생한다. 또한 한국인들과의 의사소통을 통해 한국인과 한국문화를 이해하고 한국인들과의 사회적 관계의 형성도 중요하므로 한국어 학습은 반드시 필요하다 하겠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현재 대학에 재직 중인 외국인 교원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어 학습에 대한 요구조사를 실시하여 일상생활과 직장생활에서의 한국어 사용의 상황과 필요성에 대해 전반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생활 속에서 이들이 요구하는 한국어 학습의 형태를 분석하고 종합하여 한국어 교육 교수요목 설계를 모색해 보았다. 이를 위해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방법, 방향을 제시하고 외국인 교원을 위한 한국어 교육을 위한 관련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2장에서는 특수목적 언어이론과 외국인 교원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 대한 이론을 찾아보고 외국인 교원을 위한 한국어 교육의 분류에 대해 정의하고 현재 외국인 교원을 위한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학습자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앞 장의 이론적인 내용을 바탕으로 외국인 교원을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습자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어 학습 경험 및 사용 현황과 그들이 필요로 하는 한국어 사용 과제에 대해 설문조사를 하였다. 외국인 교원이 일상생활과 직장생활에서 의사소통과 사회적 관계 향상을 위해 한국어 학습이 필요성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학습자의 요구분석을 위해 언어기능별 필요성의 정도를 조사하였고 수업형태, 수업시간, 수업주제 등으로 나누어 외국인 교원을 위한 한국어 교육 방안을 모색하였다. 4장에서는 3장에서의 학습자 요구 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외국인 교원을 위한 한국어 교육의 학습 단계와 목표를 설정하고 학습자 중심의 교육 내용을 선정하여 외국인 교원을 위한 한국어 교수요목의 구체적 설계를 시도하였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본 연구에 대해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의의를 확인하며 본 연구에 대한 한계점을 밝히고 앞으로 계속 연구되어야 할 과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 내 외국인 교원들은 일상생활의 의사소통과 사회적 관계 향상, 직장문화의 이해를 위해 한국어 학습에 대한 요구가 크다는 것을 우선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일상생활의 의사소통 기능과 직장생활의 사무활동 영역에 대한 한국어 사용 요구가 크고 듣기와 말하기 영역에 비해 읽기 영역에 대한 학습요구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실시된 요구조사와 그 결과를 반영한 교수요목은 대학 내 외국인 교원을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서 방향 설정을 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이를 바탕으로 보다 효율적인 외국인 교원을 위한 교육과정이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한국어' 교수요목 개발 방안

        이종선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5471

        본 연구는 외국인 근로자들의 일상생활과 직업 활동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의 필요성에 주목하고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한국어' 교수요목을 개발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국내에 체류하고 있는 외국인 근로자들은 일상생활과 업무 수행을 위한 한국어 교육이 어느 학습자 집단보다 필요하나 그들을 위한 교육 과정 및 교재 개발은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그러므로 외국인 근로자들의 요구와 특성이 반영된 한국어 교수요목을 개발하는 것은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교재 발간의 지침을 제공하므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본고는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한국어' 교수요목 개발을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쳤다. 1장에서는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한국어' 교수요목 개발의 목적과 필요성을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은 단순직과 전문직 외국인 근로자가 모두 포함되며 국내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 과정과 교재의 부재를 들어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한국어' 교수요목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연구 내용과 방향을 제시했다. 2장에서는 첫째로,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은 일반 목적과 직무 수행 목적의 두 가지 학습자 요구가 있다는 점이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의 특성이 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로,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의 현황을 알아본 결과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한국어 교실에서 외국인 근로자 대상의 한국어 교재를 사용하지 않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셋째로,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 연구에 대한 진척상황을 파악하였다. 3장에서는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한국어' 교수요목 개발을 위한 기초 조사로 외국인 근로자용 교재를 분석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학습자의 요구를 파악했다. 외국인 근로자용 교재는 4종에 불과하였으며 4종을 분석한 결과 일반목적 교재와 차별화가 되지 않거나 단계 구분을 고려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나타났다. 또한 학습자의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한 결과 직무 수행과 실생활 및 가정생활에서 필요로 하는 한국어를 배우기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위의 실태 조사 및 요구 조사를 통해 나타난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의 문제점을 밝히고 개선 방안을 제시했다. 4장에서는 위에서 실시한 작업의 결과를 바탕으로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한국어' 교수요목을 개발하였다. 외국인 근로자들의 특성과 여건을 고려하여 일상생활과 직무 수행에 필요한 한국어를 핵심만 담아 초, 중, 고급의 단계별 교수요목을 완성했다. 5장에서는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고 본 연구가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한국어 교수요목을 개발함으로써 국내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제작의 지침을 마련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음을 밝혔다. This study is concentrates on the necessity to develope Korean textbooks for foreign workers with regard to their life and jobs.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Korean educational syllabus. Foreign workers in Korea need Korean education for life and jobs more than the other Korean learners' group, but the development of courses for Korean education and textbooks for foreign workers' is insufficient. So, developing a Korean educational syllabus which reflect foreign workers' needs and characteristics is important because it sets a high standard for textbooks for foreign workers. This study followed the ongoing progress for developing Korean educational syllabus for foreign workers. In section 1, I researched the objective and necessity to develope Korean educational syllabus for foreign workers which contain blue color workers and white color workers. And I suggested the way and progress of this research. In section 2, I research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education for Foreign worker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education for Foreign workers show that foreign workers have a needs language skills for general purpose for life and the special purpose for jobs in Korean education. And I researched Korean classes for foreign workers. And I discovered that they did not use the existing textbooks for foreign workers. And also I studed existing researches in this field, I discovered it was limited. In section 3, I analyzed existing textbooks for foreign workers' and I fou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Korean textbooks for students and workers. And I discovered there was only one textbook at elementary level and no textbooks for intermediate and advanced. And also as a result of survey, I understood foreign workers wanted learning Korean for job and life and also family. In section 4, I developed Korean educational syllabus for foreign workers from the results of researches I did. I completed Korean educational syllabus for elementary and intermediate and advanced for foreign workers, considering their characteristics and circumstances. It contained the essential of Korean language for foreign workers' job and life. Finally In section 5, I summari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sets the high standard for developing a Korean educational syllabus for Korean textbook for foreign workers.

      •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 교육과정 개선을 목적으로

        김향숙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5455

        최근 국내 외국인 유학생이 양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한국어 능력의 부족과 한국 문화 및 대학의 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중도에 탈락하는 외국인 유학생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교육과정 및 비교과 프로그램의 보완을 통해 학업성취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학업성취도는 대학 성적의 누적학점(GPA)으로 측정하였으며,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학습자 변인으로 한국어 능력, 수업태도, 수업만족도로 분류하고, 한국어 능력은 TOPIK 성적으로 확인하였으며, 수업태도의 하위 항목으로 수업이해도(강의내용 이해, 교재내용 이해, 강의 프레젠테이션과 판서의 이해), 수업참여도(출석, 강의집중), 과제성실도(과제제출, 예습·복습)로 분류하고, 수업만족도는 수업전반에 대한 만족도와 강의추천 의사를 하위 항목으로 분류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산에 소재한 H 대학교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 16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9.3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우선 설문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두 번째로, 학습자 변인인 한국어 능력(TOPIK 등급: 3급∼6급)과 학습자의 수업태도, 수업만족도와 학업성취도 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세 번째로, 한국어 능력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상자들이 취득한 TOPIK 등급을 독립변수로, 대학 성적을 종속변수로 하여 일원분산분석 (one-way ANOVA)과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네 번째로, 학습 관련 변인(학습자의 수업태도 및 수업만족도)과 한국어 능력(TOPIK 등급: 3급∼6급)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학습 관련 변인(학습자의 수업태도 및 수업만족도)과 한국어 능력(TOPIK 등급: 3급∼6급)을 독립 변수로, 대학 성적을 종속변수로 하여 일원분산분석과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다섯 번째로, 한국어 능력 및 학습 관련 변인(학습자의 수업태도 및 수업만족도)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한국어 능력(TOPIK)과 학업성취도는 r=.3083으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이러한 결과는 토플과 GPA 사이의 상관성에 관한 다수의 해외 연구에서 제시한 상관과 비슷한 상관도를 보여주며 한국어 능력(TOPIK)이 비교적 높은 학업 예측타당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국어 능력(TOPIK 등급)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값 5.41, p값 0.0016). TOPIK 6급인 응답자의 학업성취도가 가장 높고(M=3.6400), TOPIK 3급 응답자의 학업성취도가 가장 낮았다(M=2.9859). 또한 TOPIK 등급 간의 구체적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 3급 학생보다 6급 학생이 학업성취도가 더 높게 나온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어 능력이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한국어 능력이 높을수록 학업성취도 역시 높게 나타남을 보여준다. 안위 외(2016), 전정미(2017), 전요한(2017), 강윤이(2018), 장자추(2018) 등의 연구를 지지하는 결과이다. 2. 수업태도의 하위 항목인 수업이해도(강의내용 이해, 교재내용 이해, 강의 프레젠테이션과 판서의 이해), 수업참여도(출석, 강의집중), 과제성실도(과제제출, 예습·복습)의 상관관계에서는 수업이해도의 한 요인인 강의내용 이해도와 대학 성적은 r=.2300의 상관을 나타냈으며(p˂.001), 프레젠테이션과 판서 이해도와는 r=1812로 각각 긍정적인 상관을 나타냈다(p˂.05). 이는 수업이해도의 하위 항목 중 강의내용과 판서 등을 잘 이해할수록 대학에서 높은 성적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나 수업이해도의 하위 항목 중 교재내용 이해도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의 수업참여도의 하위항목(출석, 강의집중) 중 출석과 학업성취도와는 r=.1945로 긍정적인 상관을 나타냈다(p<.05). 출석과는 다르게 강의에 얼마나 집중하여 수업을 듣는지를 나타내는 수업집중도는 학업성취도와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제 성실도의 하위 항목인 과제제출은 r=.2215로 학업성취도와 긍정적인 상관을 나타냈으며(p<.05), 예습․복습은 학업성취도와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성적과 긍정적인 상관도를 보인 출석과 과제제출의 경우 학점 산정 항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학습자 변인간의 상관관계에서 수업태도의 하위 항목인 강의내용 이해도, 교재내용 이해도, 프레젠테이션과 판서 이해도 모두 수업태도 요인과 높은 상관을 나타냈다. 이는 강의와 교재 내용을 잘 이해하는 학생이 수업에 집중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이러한 좋은 수업태도를 가진 학생이 결국 높은 학업성취도를 달성할 수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3. 수업만족도의 하위 항목인 수업만족도와 수업추천도는 대학 성적과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강의에 만족하고 수업을 추천한다고 해서 대학 성적이 높은 것은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이상의 결과 분석을 통하여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해 보고자 한다. 1.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맞춤형 교육과정 편성을 제안한다.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결과 한국어 능력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태도와 학업성취도와의 상관관계에서는 수업이해도의 하위 항목인 강의 내용 이해도, 프레젠테이션과 판서 이해도, 과제 성실도의 하위 항목인 과제 제출과 학업성취도와의 긍정적인 상관도를 나타냈다. 외국인 유학생의 성공적인 학업수행을 위해서는 전공이수에 필요한 한국어 능력과 기초소양을 충분히 쌓은 후 전공에 진입할 수 있도록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전공별 맞춤형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제도화해야 한다. 한국어 능력에 따라 내실 있는 기초 교양과목을 단계별로 개설하고, 전공 학문을 탐구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지성인으로서 성장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교과목을 개설해야 한다. 요약하면, 1학년에는 한국어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한국어 기초 교양과목을 집중 개설하고, 2학년에는 전공에 진입할 수 있는 전공기초 과목을 개설하며, 3, 4학년에 비로소 전공과목을 이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제도적으로는 1학년에는 한국어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기초 교양과목을 필수로 지정하고 미 이수 시 강제 휴학이나 유급을 시키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 2.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비교과 프로그램 활성화를 제안한다. 유학생들은 한국어로 진행되는 수업에서 발표하기, 과제물 작성하기, 토론 하기, 강의내용 이해하기, 교재내용 이해하기 순으로 어렵다고 느끼고 있었다. 또한 교양수업의 내용을 70%이상 이해하는 학생은 33%에 불과했고, 전공수업의 내용을 70%이상 이해하는 학생도 36%로 나타났다. 외국인 유학생들이 학업 부진과 학교생활 부적응으로 인해 중도에 이탈하는 것을 막고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비교과 프로그램을 유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춰 설계하고 기획하여 많은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비교과 프로그램이 아무리 좋아도 외국인 유학생들과 내국인 학생들이 참여하지 않는다면 아무 소용이 없다. 대학은 내·외국인 학생들에게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참여하는 학생들에게 매력적인 보상을 하여 더 많은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야 한다.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교양한국어 교수요목 개발 연구

        김은정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5439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 유학생들을 위한 교양한국어 교수요목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외국인 유학생들이 대학 입학 후 학업 수행을 성공적으로 마치기 위해서는 일반 목적의 의사소통 능력 배양을 위한 한국어 교육과는 다른 교육 내용이 제공되어야 한다. 외국인 유학생의 부족한 한국어 능력을 고려하면서도 학문의 기초지식을 학습할 수 있는 한국어 교육이 필요하다. 이러한 한국어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대학 입학 후 대학기초교양으로 개설할 수 있는 교양한국어를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유학생을 위한 교양한국어 교수요목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3가지 사항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첫째, 국내 대학에서 대학기초과목으로 개설한 교양한국어 교과운영을 현황을 조사하였다. 둘째, 교양한국어 교재의 내용과 구성을 분석함으로써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설문조사를 통한 외국인 유학생의 요구를 도출하여 교양한국어 교수요목 유형과 내용 선정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기초 연구조사에서 분석한 결과를 통해 나타난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양한국어에서는 '말하기'와 '쓰기'의 표현 언어 기능을 강조하여 교수하여야 한다. 둘째, 교양한국어는 대학기초과목으로서 다양한 전공의 외국인 학습자에게 필요한 공통요소의 교육 내용을 주제로 삼아야 한다. 따라서 계열별 주제뿐만 아니라 한국어와 한국문화, 대학문화를 다루는 주제가 필요하다. 셋째, 교양한국어에서 표현 기능을 중심으로 교수하더라도, 이해 기능을 활용하여 표현 기능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학습활동을 구성해야 한다. 넷째, 교양한국어의 적절한 학문적 어휘 사용과 학문적 담화 구성을 통해 외국인 유학생들은 대학 수학에 필요한 학습 활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양한국어에 필요한 기능 및 기술을 선정하고 이와 관련한 주제, 과제 및 학습활동, 어휘 및 표현의 교육 내용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교양한국어 교육에서는 '말하기'와 '쓰기'의 표현 언어 기능과 이와 연관된 학습 기술을 강조하여 교수하기 위해 '교양한국어 - 말하기'와 '교양한국어 - 쓰기' 각각에 해당하는 교수요목의 실제를 제시하였다. 외국인 유학생들이 교양한국어를 통하여 대학 수학에 필요한 기본적인 한국어 능력과 학문의 기초지식을 학습할 있는 한국어 교육을 제공받아 성공적으로 학업 수행을 마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외래어 교육 방안

        박대니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5423

        본고는 여성결혼이민자에게 한국어 외래어를 쉽고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방안을 연구하여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둔다.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외래어교육은 등급별 목록 작성에서 교수학습방안에 이르기까지 아직 연구가 부족한 분야이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이 효과적으로 외래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한국어 외래어 교수·학습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한국어 수업현장에서 수행할 수 있는 외래어 수업 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한국인과 결혼하여 가정을 이루고 사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이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또 이들 여성이 한국 생활에 적응하며 살기 위해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요구가 매우 높다. 한국어를 배우기 위해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 한국어 어휘를 학습하는 것이고 한국어 어휘 중에서도 외래어의 비중이 점점 커지고 있으므로 이를 위한 교육이 필연적이라고 할 수 있다. 여성결혼이민자들이 한국어 외래어를 학습하지 않으면 기본적인 의사소통마저도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들에게 한국어 외래어를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도와줌으로써 한국생활에서 의사소통을 하는 데 어려움이 없도록 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외래어 교육에서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찾아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먼저, <결혼이민자와 함께하는 한국어> 교재와 <이민자를 위한 한국어와 한국문화> 교재에 나타난 외래어를 비교, 분석하여 각 교재의 특징을 찾고, 외래어 어휘 목록을 작성하였다. 두 교재의 어휘 목록에서 공통 어휘를 분류하고, 분류한 공통 어휘는 다음 장의 외래어 인지도 설문 조사를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였다.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외래어에 대한 인식 실태 파악 및 외래어 인지도를 측정하였다. 조사의 목적은 여성결혼이민자들이 한국어 외래어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또한 외래어는 어느 정도 인지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외래어 인식실태 조사 결과, 여성결혼이민자들은 외래어로 인해 한국 사람과의 대화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외래어에 대한 학습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외래어 인지도 조사 결과, 인지도가 낮게 나타났는데 특히 외래어 표기에 많은 오류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여성결혼이민자들이 외래어를 사용할 때 나타나는 오류 양상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설문조사와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첫째, 맞춤법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외래어 수업 방안, 둘째, 어휘장 활용을 통한 외래어 수업 방안, 셋째, 읽기 교육과 연계한 외래어 수업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영어 학습 경험이 부족한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외래어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에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외래어 교수방법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상황에서 이들을 위한 효과적인 한국어 외래어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읽기 자료 개발과 활용 방안 연구

        권승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5423

        국 문 초 록 다문화사회로 변해가는 한국에서 여성결혼이민자들의 한국어 교육의 중요성은 더욱 커져가고 있다. 그동안 여성결혼이민자들을 위한 한국어 교육은 듣기와 말하기 위주의 구어 교육에 중심을 두고 이루어져왔는데, 여성결혼이민자들이 가정과 사회 안에서 당당한 구성원으로 살아가기 위해서는 구어적 의사소통뿐만이 아니라 문어적 의사소통도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 부진은 자녀의 교육 문제로 이어지기 때문에 여성결혼이민자들의 한국어 교육은 초기부터 구어와 문어의 균형을 이루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읽기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이 한국 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와 지식을 얻고 활용하는 데 중요한 기능을 한다. 실생활에서 필요한 다양한 정보와 지식을 얻기 위해서 텍스트의 목적에 따라 효율적으로 읽을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한국어 읽기 수업에서 다양한 유형의 읽기 자료를 접해보고, 텍스트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읽기 전략을 익혀서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본 연구는 현재 여성결혼이민자들을 위해 개발된 교재에 충분한 읽기 자료와 읽기 활동이 포함되지 않았다는 점을 문제로 제기하고,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교재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읽기 자료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II장에서는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읽기 교육의 특성을 학습자로서의 여성결혼이민자들의 특성, 읽기 자료의 유형과 내용, 읽기 활동 및 읽기 전략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III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용인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학습자 45명과 교사 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심층면접과 설문조사 결과와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실시한 학습자 요구 조사 결과를 합하여 여성결혼이민자들의 한국어 학습에 대한 요구를 정리하였다. 그리고 읽기 자료를 개발하는 데 기초자료로 삼기 위하여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개발된 교재인<여성결혼이민자들과 함께하는 한국어 1>~<여성결혼이민자들과 함께하는 한국어 4>를 분석하여 읽기 자료의 유형과 내용(주제와 실제성), 읽기 활동의 유형을 살펴보았다. IV장에서는 II장에서 밝힌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읽기 교육의 특성과 III장의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읽기 자료 개발의 원리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자녀 교육에 도움이 되고, 한국 사회를 이해하고 적응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주제와 내용을 담고 있는 자료를 개발해야 한다. 둘째, 실생활에서 자주 접하는 실제적인 텍스트를 사용해야 한다. 셋째, 다양한 의사소통기능을 익힐 수 있는 유형의 읽기 자료를 개발한다. 넷째, 듣기, 말하기, 쓰기로 연계될 수 있는 과제 활동을 통해 읽기 전략 연습이 가능한 자료를 개발한다. 다섯째, 다문화적 가치가 존중될 수 있는 내용과 방법으로 구성한다. 여섯째, 지역적인 특성에 따른 생활문화와 언어적 특성을 반영한 읽기 자료에 대한 고려를 한다. 그리고 실제적인 읽기 자료를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 신문, 인터넷, 아동 도서, 초등학교 저학년 교과서 등을 소개하고 그 효용성과 사용상의 유의점을 밝혔다. 위에서 정리한 개발의 원리에 따라 읽기 자료 개발의 실제와 활용 방안을 보여주기 위하여 각 단계 교재에서 여성결혼이민자들이 자주 접하는 주제의 단원을 선정하고, 다양한 출처에서 여러 가지 유형의 읽기 자료를 찾아 자료 선정의 이유와 읽기 활동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읽기 교육의 중요성과 읽기 교육이 초기부터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밝히고, 교사들이 실제 교육 현장에서 다양한 읽기 자료를 개발하여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실제적인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한 실용적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조유경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5423

        이 논문에서는 다문화 사회로 변화되고 있는 한국 사회의 흐름에 따라 국제결혼을 통해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여성 결혼이민자들을 대상으로 한 실용적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1장에서는 국내 체류 외국인 비율 중 여성 결혼이민자 비율이 빠른 속도로 증가함에 따라 이들을 위한 한국어 교육의 필요성을 밝혔다. 특히 일반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과는 달리 한국인으로서 생활하게 된다는 이들의 특성상 장기적 관점에 따른 쓰기 교육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2장에서는 실제 각 지역에서 진행되고 있는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실의 현황을 살펴보았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재의 구성 및 내용을 분석하고 그 문제점을 짚어보았다. 이 논문에서 분석 대상이 된 주된 교재는 정부기관(여성가족부, 농림부)과 지역 교육기관(충청북도 교육청)에서 출간된 것으로 대부분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다는 단점이 나타났다. 또한 모든 교재가 쓰기 교육에 있어서는 단순한 문법 연습에 치중하고 있다는 점 또한 지적되었다. 이는 많은 학습자들이 중·고급 단계로 갈수록 보다 고급화되고 현실적인 내용에 대한 학습 요구가 높고, 특히 한국어 쓰기에 대한 어려움이 크다는 현실과 배치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3장에서는 서울·경기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여성 결혼이민자 12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실제 학습자들의 요구와 각 단계에 맞는 실용적 쓰기 교육을 위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번 설문조사에서는 학습자들의 한국어 학습 각 영역에 대한 관심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많은 학습자들이 한국어 쓰기 영역에 대한 관심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중·고급 학습자와 자녀가 있는 학습자일수록 그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이들이 배우고자 하는 쓰기 교육의 내용은 초급 학습자는 말하기와 연관된 실용문 쓰기, 중·고급 학습자는 실용적이고 고급화된 쓰기에 더 높은 요구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어 쓰기 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부각시킴과 동시에 단계별 쓰기 교육의 내용도 차별화 시켜야 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4장에서는 학습자의 이러한 요구를 반영하여 각 단계별 학습 목적에 따른 방법과 내용을 차별화시킨 실용적 쓰기를 위한 교수요목을 설계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실제 수업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급별 쓰기 교수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의 대상을 더 이상 초급 학습자로만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고급 학습자에게까지 그 범위를 넓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 연구를 통해 현재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다문화 사회 속에서 변화의 주체인 여성 결혼이민자들이 보다 실용적이고 고급화된 한국어를 학습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is paper suggests the methods of how to educate immigrant women who are residing in Korea after their international marriage in practical Korean writing, as Korea has been turn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In chapter one, the need for Korean education for immigrant women was examined as the rate of immigrant women increased rapidly among the foreigners staying in Korea. Specifically, different from other Korean language learners with general purposes, they have the characteristic of living in Korea as Korean citizens, so the importance of writing education in long-term was discussed. In chapter two, the present situation of Korean classes for immigrant women, which were under progress in each region, was inquired into, the organization and contents of Korean textbooks for them were analyzed and their problems were examined. The textbooks analyzed in this paper are the ones published by governmental organizations(Ministry of Gender Equality,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and local educational organizations(Chungcheongbukdo Office of Education), and had the defect that they were mainly for lower-level of learners. In addition, it was also pointed out that, in terms of writing education, all textbooks laid importance on simple grammar practices. This runs counter to the reality that many learners want more realistic and higher quality of learning contents, as their levels become advanced, and that they particularly have difficulty in writing in Korean. Therefore, in chapter three, an analysis for practical writing education that was appropriate for learners' real demands and for each level of learning was conducted, based on the questionnaire survey of 124 immigrant women resid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In this questionnaire survey, learners' interest in each area of Korean language learning was examined. The results proved that many learners were highly interested in writing in Korean, and those of intermediate or advanced level and those with children were more interested. Moreover, speaking of the contents of writing class they wanted, beginners' level of learners wanted to take a useful writing class related to speaking, and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demanded useful and sophisticated writing classes. These results mean that the importance of Korean writing education needs to be embossed, and simultaneously, the education contents of each step of writing classes should be differentiated. Accordingly, in chapter four, syllabi of lectures for practical writing, differentiated methods and contents of each step of learning purposes, were designed, reflecting these kinds of learners' needs. Also, based on these, each level of writing education methods were suggested, which could be applied to real education field. This is meaningful in that the objects of Korean education for immigrant women were not just limited to beginning level of learners, but extended to advanced learners.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immigrant women, the subjects of changes in the speedily progressing multi-cultural society, learn more practical and advanced level of Korean.

      •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교육정책의 현황과 발전 방안

        김상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5423

        국문요지 현대는 이주의 시대라고 할 수 있다.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원인에 따른 이주가 활발하기 때문이다. 앞으로의 시대는 더욱 이주가 자연스러운 현상이 될 것이며, 따라서 이민자에 대한 각 국의 정책은(특히 언어정책) 그 의미가 중요해지고 있다. 한국의 경우에도 이주노동자, 결혼이민자, 외국인 유학생, 북한이탈주민 등 체류하는 외국인의 가파른 증가로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문화권 구성원들과의 접촉이 활발해지고 있다. 이로 인해 한국은 이민자의 나라라고 할 수 있는 미국뿐만 아니라, 이민자 유입이 상당히 오래 전부터 진행되어 왔던 유럽이나 호주, 그리고 가까이 일본에 이르기까지 그 유례를 찾기 힘들 정도로 빠르게 다인종·다민족·다종교·다언어·다문화 사회로 변모하고 있다. 한국은 특히 저출산, 고령화의 문제와 맞물려 있고, 특히 급격한 노동인구의 유입, 결혼이민자의 증가와 같은 현상은 사회 전반에 걸친 다양한 변화에 직면해 있고 그에 따르는 대책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처럼 이민자들의 증가라는 세계적인 흐름과 한국의 특수성이 더해진 이민자의 급증은 한국의 중앙정부 각 부처, 지방자치단체와 시민단체에서 다양한 사회통합정책의 추진 배경이 되었다. 그렇지만 사회통합에 대한 합의된 개념이 없었기에 각기 정책 주체의 목적에 맞는 제도 시행에 초점이 맞추어 졌고, 따라서 체계적이며 일관된 정책은 기대하기 어려웠다. 본 논문은 이러한 사회통합의 다양한 정부 시책 중에서 2009년부터 시행된 법무부의 사회통합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어교육의 정책적 변화와 현황을 검토하고 한국어 교육정책의 발전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사회통합프로그램의 한국어교육 실태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미국, 호주와 같은 이민자의 비율이 높은 국가들이 시행하고 있는 다양한 언어교육 프로그램을 살펴보고, 유럽 국가들의 이민자정책의 변화에 따르는 언어교육의 의무화 추세를 국가별로 검토한다. 특히 일본이 추구하고 있는 다문화공생이라는 생활밀착형 언어교육도 조사해 본다. 이러한 비교분석을 바탕으로 한국의 사회통합프로그램이 이민자들이 빠르게 한국에 적응하도록 하고, 언어교육의 핵심 제도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제도적 보완이 필요할 것이다. 첫째, 사회통합프로그램 이수 의무화가 시행되어야 한다. 의무이수를 통해 이민자에게 실질적인 평등의 교육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사회통합관련 법제의 정비가 필요하다. 헌법을 위시하여 관련 법류의 체계적인 정비가 필요한데, 근본적으로는 이민자를 위한 통합법제, 특히 차별 방지를 위한 법제의 수립이 요구된다. 셋째, 수요자중심의 교육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교육 내용에 있어서도 수요자의 요구에 맞도록 하고, 교육 시스템도 수요자를 중심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끝으로 사회통합프로그램 정착을 위한 체계적인 거버넌스의 구축이다. 중앙부처, 지방자치단체, 시민단체간에 유기적인 협력을 통하여 미래지향적인 거버넌스를 구축해야 한다. 사회통합프로그램 Korean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KIIP) 한국어교육 정책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이민자 migrants 사회통합 Social Integration

      • 이주노동자를 위한 한국어 유의어 교육방안 연구

        김은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5423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에서 대단위 학습자이나 그 동안 교육으로부터 방치되어 온 이주노동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현황과 교재분석을 통하여 일반 학습자와 구별되는 특성을 파악하려고 하였다. 유의어에는 그 어휘가 지니는 단순한 뜻 이외에도 감정과 문화 등이 깃들어 있기 때문에 한국어 학습자에게 아주 중요한 학습 요소가 된다. 학습자는 유의어의 미묘한 의미 차이점을 배우면서 한국어의 정확성을 학습함은 물론 한국 사람과 한국 문화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이주노동자들 역시 일상생활에서 혹은 작업현장에서 한국인과의 의사소통을 원만하게 해나가려면 유의어에 대한 이해는 필수불가결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로 한국 외국인 근로자 지원센터에서 매주 2시간씩 한국어를 학습하고 있는 중급 이상의 이주노동자들의 유의어 오용 실태를 조사하여 유의어 사용 능력에 대한 심각성과 유의어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효과적인 유의어 교육을 위한 단계별 유의어 교육 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의 Ⅰ장에서는 국어학적 유의어 관련 선행연구 및 한국어 교육학적 유의어 관련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고에서 연구되어야 할 내용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한국어 어휘의 개념 및 특징에 대해서 살펴보고 본고에서 구체적으로 다루게 될 유의어와 유사관계 어휘에 대한 개념및 유의어의 유형에 대해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현재 이주노동자를 대상으로 출판된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여 이주노동자를 위한 기본 유의어를 선정하였다. Ⅳ장에서는 유의어 분류 기준에 따라 선정된 유의어를 가지고 평가지를 제작하였다. 설문조사 방식을 통해 한국 외국인 근로자 지원센터 중급 이상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유의어에 관한 이해 정도를 평가해 보았다. 설문조사 대상자들에 대한 평가결과 분석 및 유의어 평가결과 정답률이 낮은 문항과 정답률이 높은 문항을 분석하여 현재 유의어 학습에 대한 오용실태를 알아보았다. Ⅴ장에서는 Ⅳ장에서의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초급, 중급, 고급학습자에게 맞는 단계별 유의어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현재 국내에 유입되는 이주노동자들의 숫자가 갈수록 늘어나고 있으며, 이주노동자들의 체류기간이 갈수록 장기화 되고 있다는 통계를 감안하였을 때 체계적이고 단계에 따른 세심한 한국어교육 방안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is based on recipient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or migrant workers who have so far been neglected form proper education. Its objective is i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that differentiate them from usual learners through their status and an analysis of their materials. Synonyms contain more than just the meaning of the language, they also convey the feelings and culture, thus constituting valuable educational elements to Korean learners. By learning the delicate differences of synonyms, the learner will know not only the exactitude of the Korean language but also naturally come to accept and understand the Korean culture. For migrant workers to comfortably communicate with Koreans in their daily lives or at work, they will need to fully understand these synonyms. This study conducted researches among the weekly two-hour Korean classes provided at the Korea migrant worker's support center for upper-intermediate learners and the disuses of synonyms. We therefore present the seriousness of synonym usage and the need for appropriate education. We further suggest an efficient synonym education program by stage. In such respect, Chapter I examines the previous studies that have been conducted in synonyms of the Korean language and related education materials to look into further necessary researches. Chapter Ⅱ looks into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and into methods to organize the concepts and distinguish the meanings of synonyms that this paper will deal with. Chapter Ⅲ analyzes the Korean materials published for migrant workers and selected basic synonyms used for migrant workers. Chapter Ⅳ uses the selected synonym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and created evaluation sheets. We used the survey method among upper-intermediate students of Korean among migrant workers at the support center to evaluate their understanding level. We analyzed the status of misuses of these synonyms by analyzing the questions according to their levels of correctitude. Chapters Ⅴ and Ⅳ suggest education methods divided into various stages according to elementary,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There are more and more migrant workers in Korea and statistics show that their period of stay is increasing. Based on such facts, we are in need of a structured and delicate Korean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