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에서의 게임과 놀이를 통한 영어 말하기, 듣기 신장에 관한 연구

        이병준 韓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50719

        The goal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 enlarge the chance of communication by designing various games and activities through the target language activity, Second, to effectively apply the open English teaching/learning with centered on games and plays that can induce interest and motivate the students. Third, to produce various materials that can expand the ability of communication and improve the actual teaching/learning effectiveness of the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the followings: 1. As a result of applying the play program centered on games and playing the students' listening abilities improved greatly. 2. As a result of enlarging the various chances of communication centered on games and playing, the students' speaking abilities improved greatly. 3. The class that utilized games geared towards understanding new words, practicing of replacement and guessing words by using clue information resulted in greater improvement of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new words. 4. The activity centered on games and playing resulted in a greater interest in learning English. The students' participation,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also improved greatly. 5. The researcher established a basic open English teaching/learning model and developed the class according to the students' level of English. It resulted in the progression of the class. All students became involved and participated. Even the usually reluctant or inactive students participated happily.

      • (The) Catcher in the Rye에 나타난 자아추구 양상

        이영두 韓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50671

        J. D. Salinger's The Catcher in Rye is the story of a journey, a search for truth in the world that has been dominated by dishonesty. The author's intention is to present the modern people with the value of innocence and genuine love that have been perverted by the intensive materialized society. He chose an adolescent of a keen insight for his protagonist named Holden Caulfield. Accusing the modem society of money-centered and immoral trend and human alienation, Holden finds that the mankind's last hope is the innocence of children and the warm affection of family. This paper focuses on the innocence and the mental maturity of the main character. To find his own intrinsic self, he comes to experience not only the social conflict-rebellion against a mass society to keep them typical and restricted, but also the psychological conflict - guilt and self-hatred one feels in the process of facing their true self. It is by his spiritual growth that the protagonist confronted by limits of human condition in the process of self-pursuit, overcome the urge to avoid reality and ineffectuality. The protagonist is sensitive young person. Immature Holden has double-face with both denial and curiosity. In other words, he rejects the absurd adult world, but he wishes to have some experience of adult world., Especially his attitude toward sex is a good example of it. In this novel there are two steps through which the protagonist achieve his spiritual development. The first step is that he wants to be a catcher to protect the innocence from phoniness. The second one is that he stops thinking to be a catcher. He has noticed that life has both sides; nice and phony. So he accepts the incompleteness of human beings, he misses everybody he had criticized before. It means that he makes a reconciliation with his own self and society. He comes to reach the inner maturity through his spiritual wanderings. The search for the identity of the protagonist can be prized as an awakening from ignorance to innocence and humanity in these days. Through his wanderings, we perceive how to understand life and what our attitude towards life should be. A thesis was submitted to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Hanseo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Arts in December, 2004

      • 『Death of a Salesman』에 나타난 소외의 양상

        박순자 韓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50671

        Of all modern American playwrights, Arthur Miller is one of the most sharp observer on the problems of the modern society, including alienation. He emphasizes the dominant social values and the individual's sense of himself through his plays. He explores the destructive effects of the modern society upon a vulnerable man in Death of a Salesman. The alienation Willy suffers from may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e alienation from other people, from society, and from himself. The alienation from other people can be classified into the alienation from family and from friends. Willy has two sons and wants them to be sincere when he himself is not even morally upright. This has bad influences on them and is an important cause for his being estranged from them. Linda understands and obeys Willy. But she doesn't understand him well. Willy is alienated from Linda by denying genuine communication with her. And Charley is the model of righteous life because he is practical-mined and has made success of his business. But Willy feels a sense of alienation by not approving of Charley's success. Willy's alienation from society can be subdivided into three kinds: the alienation caused by shortage of his art of living, by environment, and by company. Willy has ignored his aptitude and pursued material richness trapped in the fantasy of 'American Dream', which results in his frustration and alienation. Willy is fired from his job because he can't play his role effectively in the company. Howard, his boss, is a representative enterpriser of the modem society who is inhuman and cold-hearted. He fires Willy who has worked for his company for 34 years only because he has no economic value, which shows the cold-heartedness of the capitalistic system. Willy's alienation from himself derives from several sources: an inferiority complex for his appearance, the failure of his children's education, the weakness of mind, his delusion, and so on. He is a hard-working traveling salesman who always deludes himself into believing that he is more successful than he actually is. No longer able to keep up the pretence, he commits suicide through car accident in the hope that his son Biff will succeed with his insurance money of $ 20,000. In conclusion, Willy represents an average lower-middle-class American in the modem society. Arthur Miller intends to indict the evils of the modem society by showing us an alienated salesman Willy Loman. A thesis was submitted to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Hanseo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Arts in December, 2004

      • College students personal stories toward their English education majors : 9 students from 3 different universities

        윤혜령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4399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교육과 학생들의 학과 내 경험을 살펴보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그들이 영어교육과 내에서 무엇을 왜 배우며, 어떤 것을 필요로 하는지, 현재 학과 영어교과과정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에 이해함으로써 대학 영어교과과정 개선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 시내 소재의 3개 대학 9명의 영어교육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보다 자세하고 다양한 경험을 얻기 위해서 관찰, 인터뷰, 강의 계획서나 학생들의 과제와 같은 참고 자료들을 활용하였고, 약 6개월에 걸쳐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 결과는 영어 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영어 사용에 대한 경험라는 두 가지 주제로 정리할 수 있었다. 각 주제별 세부사항은 다음과 같다. 먼저 영어 교육에 관해서는, 참가자들은 영어교육과의 근본적인 목표는 훌륭한 영어 ‘교사’ 양성이라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학과에서 그러한 정체성을 살릴 수 있는 수업과 지도, 활동을 제공해야 한다고 보았다. 그러나 영어 교사 양성을 위해서 어떤 점이 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 할지에 대해서는 각자의 교육관이나 학교별 교과과정의 특성에 따라 서로 의견이 달랐다. 또한 학생들은 대학별 교과과정이 영어교육 이론 습득이나 실습에 할애하고 있는 비중이 다른데 결과적으로는 보다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한편으로 교사가 되길 희망하는 참가자들은 장기적으로 학과 내의 낮은 교사 지원율이 실제 토론이나 과제의 수준, 수업의 질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개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영어 실력 향상에 관해서 참가자들은 영어교육과 전공자로서 받는 사회적 기대와 그로 인한 부담감에 대해 인터뷰 기간 동안 가장 많이 언급하였다. 참가자들은 영어 전문가와 영어교육 전문가 사이에서 자신의 정체성에 관해서도 혼란을 느끼고 있었으며 부담감으로 인해 자신이 영어교육과라는 사실을 밝히지 않는 경우도 많았다. 또한 대부분의 참가자들은 영어에 흥미를 가지고 실력을 높이려 하였으나 일부 학생들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해야 할 지 전략을 세우지 못했고 단기적인 시도나 노력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 학생들의 경우 학과에서 추가적인 프로그램이나 지원을 통해 방향을 잡아주기를 바라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참가자들은 영어교육과 내에서의 영어 실력차이로 인한 영향에 관해 지적하였다. 외국 거주 경험이 있거나 외국어 고등학교 출신 학생들의 수가 많아지면서 학과 내부에서 많은 학생들이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거나 의욕을 상실하는 경우가 발생했고 그러한 문제는 학생들의 수업 선택이나 참여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개선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해당 연구는 실제 학과에서 제공하는 교과과정 및 학과 분위기와 실제 학생들의 이해 간의 차이를 보여주고 다양한 맥락에서 학생들의 인식에 대해 다루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실제로 학생들은 교과과정의 특정 부분을 문제 삼기 보다는 정체성이나 정서적인 부분에 대해 보다 신경 쓰고 있었으며 여기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eed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English education throughout their experiences in the English education department. The study provides ample description of why and how students learn about English education, their views of the curricula and what they hope to learn as English education majors. The study is useful in identifying gaps between the curriculum provided by a department and the actual understanding of students. For this purpose, nine college students from three universities in Seoul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To explore the participants’ views in greater depth, the study adopte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encompassing observation, interviews and a survey of related documents, such as course syllabuses and papers written by the participants. The data was collected primarily through interviews conducted over a six-month period. Two main themes emerged from the participant interviews: the students’ experiences of their English education major and their experiences of improving their English proficiency. The cas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participants reported a belief that the main goal of the English education department should be to train good English teachers and that the curriculum of an English education department ought to provide specific courses, instruction and activities in accordance with that goal. However, the participants suggested a variety of priorities for change, depending on their own image of the ideal English teacher. Moreover, their preferences in terms of curriculum characteristics also varied, with these divergences apparently related to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a of each university. Lastly, those participants intending to be English teachers expressed a concern that the low number of their peers aiming to become English teachers affected the quality of the tasks and discussions offered in the English education department. In terms of the theme of the participants’ expectations for improving their English ability, one of the primary dilemmas participants faced had to do with social expectations concerning their English proficiency. They faced a great deal of anxiety based on their being expected to be experts in English. Furthermore, whereas all the participants expressed an interest in improving their English proficiency, some were unsure as to how to develop their English skills, and expressed a desire to learn through special programs offered by the department. Lastly, a majority of the participants reported being strongly influenced by a growing gap in terms of English proficiency among students in the department—an English divide—as the number of students who had lived abroad or had graduated from foreign language high schools increased.

      • 고등학교 영어 쓰기 수행평가의 실제와 교육과정 및 수업과의 연계성

        이미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4383

        2015 개정 교육과정 시행 첫 해를 맞이하여 본 연구는 고등학교 영어 쓰기 수행평가 실시 현황을 조사하고 영어 쓰기 수행평가와 교육과정 및 수업과의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해 경기도의 10개 고등학교의 영어 쓰기 수행평가 문항지 27개와 평가기준 20개를 수집하여 분석하였고, 네 명의 교사와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에서 실시되는 영어 쓰기 수행평가 과업 종류는 주제 글쓰기(논술형), 독서감상문(논술형), 영어독서일지, 수업활동지, 도표 설명하기, 어휘평가로 구분되었다. 영어 쓰기 수행평가 과업 분석에서 주목할 만한 점은 모든 학교가 공통적으로 에세이 형식의 논술형 쓰기 과업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었다. 영어 쓰기 수행평가에 적용된 교육과정 성취기준은〔10영04-03〕자신의 의견이나 감정 쓰기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는데, 이는 해당 성취기준이 모든 학교에 공통적으로 있는 논술형 쓰기 평가 과업의 성취기준이기 때문이었다. 쓰기 성취기준 중〔10영04-02〕간단히 요약하기,〔10영04-04〕대상이나 상황 묘사하기,〔10영04-05〕서식·이메일·메모 작성하기,〔10영04-06〕그림이나 도표 설명하기는 상대적으로 사용 빈도가 낮았으며, 전체적으로 영어 쓰기 수행평가 과업들은 성취기준〔10영04-01〕세부정보 기록하기와〔10영04-03〕자신의 의견이나 감정 쓰기 중심으로 개발․사용되고 있었다. 영어 쓰기 수행평가 평가기준은 NEAT 쓰기 채점기준의 영향을 받아 과제완성, 내용, 구성, 언어사용이 주요 평가요소로 사용되었고, 일회성 평가 과업에서는 분석적 채점 방식이, 상시 평가 과업에서는 총체적 채점 방식이 선호되었다. 교사들은 영어 쓰기 수행평가 문항은 주로 교과서 학습 내용에 근거하여, 채점기준은 NEAT 쓰기 채점기준이나 교육과정 평가기준 자료집을 참고하여 개발하였다. 둘째, 영어 쓰기 수행평가가 교육과정 및 수업과 어떻게 연계되어 있는 지를 살펴보면 교사들은 평소 교수학습계획을 세울 때 교육과정을 잘 참고하지 않았고, 실제 학교의 영어 쓰기 수업과 평가에서 쓰기 성취기준〔10영04-04∼06〕대상이나 상황 묘사하기, 서식·이메일·메모 작성하기, 그림이나 도표 설명하기는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었다. 교사들은 영어 쓰기 수업 및 평가를 위해 교육과정을 직접 참고하기보다는 교육과정에 근거해 개발되었다고 생각하는 교과서에 의존하고 있었다. 영어 쓰기 수업과 수행평가와의 연계성 측면에서, 영어 쓰기 수업은 주로 수행평가 준비의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었으며, 그 외의 영어 쓰기 지도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서 영어 쓰기 지도 활성화를 위한 근본적인 개선책이 필요했다. 영어 쓰기 수업에서 개별 피드백은 거의 제공되지 않았고 학급 전체를 대상으로 한 공동 피드백 중심이었으며, 영어 쓰기 평가 결과에 대해서는 개별 피드백을 제공했으나 성적 확인을 위해 채점 내용을 설명해 주려는 목적이었으며 ‘다시 쓰기’를 위한 것은 아니었다. 마지막으로, 영어 쓰기 수행평가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으로 교사들은 영어 쓰기 수행평가가 일회성 평가 중심이어서 학생들의 실질적 쓰기 능력 향상을 지속적으로 도모하기 어렵다고 주장하며 개선방안으로 수업밀착형 평가와 과정중심평가를 제안하였다. It has been twenty years since performance assessment was introduced in the field of secondary English classrooms in Korea and the year 2018 is the first year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actice of English writing assessment in high school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curriculum, instruction and assessment. The present study analyzed 27 English writing assessment sheets and 20 evaluation standards of 10 high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and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with four high school teachers. Overall finding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English writing assessment tasks used in schools were classified into topic writing (essay), book review (essay), reading log, learning worksheet, graph explanation, and vocabulary test. It was remarkable that all the 10 schools used the type of essay writing as their English writing assessment task. The English writing achievement standard 'write one's opinion or feelings' was used the most for English writing assessment, and tasks were usually devoted to the achievement standards 'write down detailed information' and 'write one's opinion or feelings'. Second,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among curriculum, instruction, and assessment shows that the English writing achievement standards 'describe objects and situations, write forms, e-mails, or memos, explain pictures or graphs' were neglected in English writing instruction and assessment, and teachers usually relied on textbooks more than the national curriculum for their instruction and assessment. Besides, English writing instruction was carried out mostly for the purpose of the preparation for writing assessment, and individual feedback for revision was not provided to students in both instruction and assessment. Lastly, as a suggestion for improving the implementation of English writing assessment in high schools, teachers claimed that English writing performance assessment should be converted to instruction-accompanying and process-oriented assessment for the improvement of students' English writing skills.

      • 초등학교 5·6학년 영어교과서의 문화 내용 분석과 문화 교육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

        강주경 부산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34383

        본 연구는 2019년도부터 현장에 도입된 개정 초등영어 5·6학년 교과서가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문화 교육을 얼마나 잘 반영했는지 분석하고, 학생과 교사의 요구와 인식을 조사하여 교과서가 얼마나 이에 부합하게 구성되어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6학년 영어 검정교과서 4종을 선정하여 문화적 배경, 문화 유형, 교육과정에 제시한 언어 소재, 교수·학습 활동에 따라 분석하였고, 실제 교사와 학생 설문을 통해 교과서에 구성된 문화 내용과 교사·학생들의 요구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교적 다양한 문화 배경을 주제로 다루고자 하였지만 등장 인물의 국적이나 인종은 다양성이 많이 반영되지 않았다. 문화 배경을 분석한 결과 ‘비영어권 국가’의 문화 중 ‘유럽’의 문화가 가장 많이 등장하였으며, ‘주요 영어권 국가’의 문화가 다음으로 높았다. ‘아프리카’의 문화와 ‘비교 문화’, ‘대조 문화’는 매우 낮은 비중으로 다루어졌다. 국가별 등장 횟수 분석에서는 ‘미국’이 가장 많았으며 서유럽의 ‘프랑스’, ‘이탈리아’도 많이 등장하였으나 학생들에게 생소한 동유럽 국가나 아프리카 국가들은 비중이 작았다. 등장인물의 인종은 아시아인이 가장 많았으며, 등장인물의 출신 국가는 ‘한국’ 다음으로 ‘캐나다’와 ‘미국’이 가장 많았다. 둘째, 문화 고정란에서 다룬 문화 내용은 눈에 보이는 ‘산물’에 관한 주제는 많았으나 ‘관점’, ‘공동체’, ‘개인’에 관한 내용은 부족하였다. 구체적인 내용인 하위범주별 분석 결과를 보면 유적지, 관광지, 국기 등과 같은 내용을 다루는 ‘국가적 상징’에 관한 내용이 15회로 가장 많았으며, ‘학교생활’에 관한 내용이 10회로 두 번째로 많았다. 셋째, 문화 내용의 소재별로 분석한 결과 ‘의사소통 방식’에 관한 내용은 미흡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언어 소재 중 문화와 관련된 4가지 소재가 얼마나 반영되었는지 분석한 결과, ‘다양한 문화권에 속한 사람들의 일상생활에 관한 내용’이 가장 높았지만 ‘영어 문화권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의사소통 방식에 관한 내용’은 1.9%로 낮았다. 이것은 교과서마다 문화 내용의 주제가 대부분 영어권 국가에 한정하지 않고 여러 나라의 문화를 다루고 있으며 의사소통에 관한 내용보다는 일상생활에 관한 내용을 더 많이 다루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넷째, 문화 내용의 교수·학습 활동 유형은 지식 전달 위주의 방법에 치우쳐 다양한 활동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교과서 문화 고정란에 제시된 교수·학습 방법을 분석한 결과 ‘교사나 CD-ROM의 설명’, ‘사진이나 그림’이 거의 모든 고정란마다 사용된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역할 놀이’, ‘극화’, ‘퀴즈’, ‘게임이나 놀이’, ‘노래, 챈트, 춤’, ‘문학 작품을 통한 활동’은 단 한 번도 활용되지 않았다. 대부분 교과서에서 매 단원의 문화 고정란 주제는 바뀌지만, 교수·학습 활동은 동일하게 반복되는 획일화된 구성을 보였다. 학생들의 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설문한 결과, 학생들은 문화 교육에 대하여 비교적 관심이 많고 문화 교육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7명 학생 모두 문화에 관하여 배운 학습 경험이 있으며 대부분 교과서나 선생님의 이야기로 문화를 학습했다. 이해하기 쉬운 학습 방법으로는 ‘동영상 자료’(30.3%)에 응답을 많이 하였고, 추가하고 싶은 학습 방법으로는 ‘게임’(51.8%)이 가장 많았다. 하지만 실제 교과서에 제시된 문화 고정란의 교수·학습 방법에는 ‘게임’이 한 번도 제시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학생들의 요구가 잘 반영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배우고 싶은 문화 내용은 ‘의식주’(67회), ‘여가 활동’(57회), ‘행사’(57회), ‘속담, 자주 쓰는 표현, 유행어’(50회) 가 응답 수가 많았다. 마지막으로 교사들의 문화 교육의 인식과 요구를 조사한 결과 모든 교사가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고 문화 지도가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였지만, 실제 문화 지도에 관한 연수 경험은 모두 없었다. 교사들 또한 교과서 분석 결과와 마찬가지로 문화 고정란의 교수·학습 활동 방법이 다양하지 않다고 생각하였으며 효과적인 지도를 위하여 교과서와 지도서에 더 많은 자료를 추가해야 한다고 하였다. 다른 의견으로는 문화 고정란을 분리하지 않더라도 주제나 본문에 문화 요소를 포함하면 좋겠다는 의견이 있었고, 문화 자체에 관한 내용과 더불어 문화를 받아들이는 태도와 같은 교육도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영어교과서에는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문화 교육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교사와 학생들의 요구도 반영하여 제작할 필요가 있다고 결론을 지을 수 있다. 이 연구를 수행하면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다양한 문화 유형의 내용으로 문화 학습 내용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학생과 교사들의 설문 조사 결과에서도 요구가 많았던 ‘속담, 자주 쓰는 표현, 유행어’와 같이 눈에 보이지 않는 것도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춰서 구성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우리 문화와 차이가 있는 행동 양식을 설명할 때는 행동 양식 자체뿐만이 아니라 차이가 비롯된 배경에 관해서도 설명이 있다면 더 좋을 것이다. 둘째, 북미와 서유럽 국가 외에 더 다양한 국가의 문화를 문화적 배경으로 골고루 다루어야 한다. 등장인물의 경우 북미 출신의 인물 외에도 ‘영국’, ‘뉴질랜드’,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같은 나라의 인물도 등장시킨다면 학생들이 영어는 미국인들이 쓰는 말이 아니라 더 많은 나라가 다양한 억양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은연중에 학습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문화 학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더 다양한 교수·학습 활동을 개발하여 제시해야 할 것이다. 학생들은 설문 조사에서 선호하는 교수·학습 활동으로 ‘게임’, ‘역할극’, ‘책 읽기’, ‘직접 참여’ 등 다양한 방법을 선호하였다. 주제별로 문화를 배울 수 있는 도서의 목록을 교사에게 제공하여 책을 이용하여 문화 지도를 하거나, 블록 타임 운영이나 토요 컬쳐 페스티벌 등의 방법을 이용한 ‘직접 참여’ 방법도 생각해 볼 수 있다. 함께 움직이며 활동하는 학습 방법이 효과적인 초등학생 학습자의 특성을 반영하여 영어 시간의 문화 학습 또한 학생들의 이해도와 흥미를 동시에 고려하여 주제에 맞게 내용을 재구성하는 교사의 노력이 무엇보다도 중요할 것이다.

      • ESP cours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 action research for healthcare college students in Korea

        심수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34383

        본 연구는 특수목적영어(ESP)에 대해 소개하고 그러한 ESP 강좌, 즉 여기서는 한국의 한 보건의료 단과대학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General Healthcare English Course (GHEC, 일반 보건의료영어 강좌)를 개발하고 실행하고 평가까지 함으로써, ESP의 실행가능성을 타진해 보았다. 본 연구의 단초는 지식기반사회에 외국어로서 영어(EFL)를 배우는 한국 배경하에, 학생들의 필요?요구에 초점을 맞춰 더 흥미롭고 효과적인 대학영어교육을 위해 하나의 대안을 찾고자 한 것이다. 또한, 현재 연구자가 처한 획일적인 대학영어 교육과정의 문제점에서 탈피하여 ESP 강좌를 개발하고 실행해 볼 필요성을 인식함에 따라, 본 연구에는 교육혁신의 변화를 모색해보려는 실행연구(action research)의 해방적(emancipatory) 잠재력이 내재해 있다. 본 연구는 다섯 가지 목표로, (1) 결정권 없는 내부의 교수자로부터 상향식의 변화요구를 실행하는 것, (2) 연구자 주변의 목소리를 경청하여 소통하는 것, (3) 학생과 교수자 즉 ‘우리’의 목소리를 담은 강좌를 여는 것, (4) 문제에 대한 접근법이 아닌 해결의 실마리로써 ESP를 알리는 것, (5) 더 전문적으로 배우고 계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에 부합하는 세 가지 연구질문은 첫째, EFL 환경의 보건의료계열 학생들을 위한 맞춤형 ESP 강좌는 실행연구의 틀에서 요구조사, 강의계획서 설계 및 교수학습자료 개발과 의사결정과정을 통해 어떻게 개발되는가?, 둘째, 맞춤형 강좌를 수강한 학생들은 어떤 반응을 보이는가?, 셋째, 향후 한층 더 개선된 강좌 설계를 위해 무엇을 성찰하고 제안할 수 있는가?이다. 한국의 ESP 관련 문헌은 그 동안 요구분석 위주로 초점을 맞춰 왔으며 의학목적영어(EMP)는 주로 의사와 간호사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의사와 간호사 이외 다른 보건의료계열을 대상으로 강좌를 개발하고 실행까지 하여, 국내외 소원했던 기존 연구의 간극을 메우고자 ESP-AR (특수목적영어-실행연구) 강좌개발 연구설계 모형을 제안한다. 이 모형을 통해 실행연구 패러다임 속에서 양적?질적 통합연구 방식으로, 다차원적 요구분석을 포함하여 ESP 강좌 개발과 실행을 실행연구 나선형 순환단계(Action research spiral)에 따라 체계적으로 연계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요구분석 설문조사 대상은 작업치료학과, 병원경영학과, 안경광학과, 임상병리학과, 방사선학과, 치위생학과, 물리치료학과, 응급구조학과 총 8개 학과로 구성된 한 보건의료 단과대학으로, 1244명의 학생들과, 123명의 졸업생들과 30명의 보건의료계열 교수자들이 참여했다. 또한, 그 중에 35명의 학생들, 12명의 졸업생들과 10명의 교수자들이 인터뷰에 응했다. 다차원적 요구분석과 의사결정과정을 기반으로 일반 보건의료계열 직업목적영어(English for general healthcare occupational purposes)의 성격을 띤 GHEC가 탄생하였으며 말하기 기능 중심에 과업중심 방법을 접목한 내용중심 강의계획서를 탑재하였다. 이러한 넓은 각도(wide-angled)의 ESP로 직업중심(English for Occupational Purposes, EOP) 지향적인 선경험(pre-experience) 대학생 영어강좌는 (1) ‘보건의료 뉴스와 나의 전공공부’, (2) ‘인체와 의학 용어’, (3) ‘건강과 병원’, 그리고 (4) ‘보건의료 한국(Medical Korea)과 나의 직업’과 같이 네 개의 모듈(module)로 구성하였다. 이는 넓고 일반적인 주제에서 시작해 구체적이고 전문화된 주제로 발전하여 학습자의 향후 직업에 필요한 영어를 심화하는 구성이다. 강좌 목적은 ‘할 수 있다’라는 방식으로 서술되었고 각 모듈에서 네 개의 시범 수업에 대해 대표 교안을 작성하여 실행하였으며, 여기에는 ‘에볼라(Ebola) 포스터 프레젠테이션’, ‘해부 마이크로 티칭(anatomy micro-teaching)’, ‘병원 투어 가이드’와 ‘내 분야 일에 대한 역할극(my job field role-play)’ 과업을 기획하여 포함하였다. 교수?학습 자료는 실제진본성(authenticity), 시청각 보조자료와 실물교재(realia) 원칙을 바탕으로 준비하였고 에볼라 관련 CNN 학생뉴스와 사진, 각각 다른 여러 전공학부를 위해 맞춤형 해부관련 자료, 실제 병원 홍보물과 병원 투어, 그리고 보건의료계열 국제 영어 시험인 OET 말하기 과업 견본을 제공하였다. 24명의 학생들이 GHEC를 수강하였으며 그 결과 강좌평가조사와 교수?학습 로그, 동료 관찰을 통해 학생들의 적극적 참여와 긍정적인 반응이 나타났다. 강좌평가는 5점 척도로 진행해 평균 3.9의 만족도를 보였으며 특히 GHEC 자료에 4.21, 과업에 4.08의 높은 값을 기록했다. 학생들은 강좌를 통해 덜 지루하게 되었으며 영어에 대해 낮아진 정의적(방어) 여과기제(affective filter)와 더불어, 좀더 ‘적극적’이고 ‘자신감 있어지고’ 전공에 대해선 더 ‘전문적’이 되었다고 스스로 평가했다. 그러나, 수업 중 시간 운용이 쟁점이 되어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았다. 강좌 실행과 평가 후 실행연구 나선순환의 제 2막 1단계로써 향후 강좌 재 계획에 관해, 본 연구의 교육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1) ESP는 일반 영어 학습자들과 교사를 처음엔 당황케 하지만 신선한 도전을 준다, (2) 조력적인 교사 역할과 팀 주도적 과업중심교수법으로 ESP 학습자들은 더욱 적극적이고 활동적이 되며, (3) 맞춤형 ESP 내용으로 학습자들은 생산적으로 그들의 분야에 대한 사전 지식과 흥미유발을 끌어내어 더욱 생산적으로 영어를 발화할 수 있다. 또한, 연구의 주요결과를 망라하여 향후 GHEC 재 계획을 위해 건설적인 제안을 한다. 즉, 학생들의 강좌 초입 영어 숙달도 수준과 전공내용 특수성, 전공별 학생들의 반 편성 조합, 목표 병원 상황, 총체적 언어 접근법(Whole Language Approach)으로 말하기 신장, 과업중심언어교육(TBLT)/ 문제중심학습(PBL)/프로젝트중심학습(PBL)에 대한 융통성 있는 채택, 효율적인 시간 운용을 위한 이러닝 시스템 그리고 조력자와 학습자로서 역할을 하는 ESP 전문가에 관해 교수?학습 맥락에 맞춰 고려할 것을 제안한다. 한편, 실제 한 지역을 배경으로 본 실행연구를 진행 중, ESP의 개념이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들에 의해 퍼져나가게 되었고 그 결과 응급구조학과의 심폐소생술(CPR)을 영어로 하고 방학 보건의료영어캠프 제안을 받는 등 ESP를 향한 좋은 변화의 조짐이 나타났다. 이는 ESP가 일반적인 대학영어교육에 대한 대안 혹은 첨가제로서 가능성이 충분하다는 반증이며, 특히 본 ESP 강좌 연구는 그 효과와 효율성 측면에서 전공을 배우는 대학교육과 맞물려 한국의 EFL 환경에서 ESP 적용의 구체적 실현을 긍정적으로 보여줄 수 있었다. This study explored the viability of ESP and its course by introducing ESP, by conducting needs analyses (NA), by developing an ESP course or ‘GHEC’ (General Healthcare English Course) here for the students of a healthcare college in Korea, and then by implementing the tailored course accompanied by subsequent course evaluation. The incubation of this study started from seeking an alternative for a more effective and needs-focused college English education under the background of EFL Korea in a knowledge-based society. Recognizing the necessity to develop and implement GHEC as well as the problems of current uniformed college English curriculum in my local context, I had an emancipatory potential to make a change through this action research (AR) project. This study had five goals: (1) to put the need for change into action in a bottom-up way from a mere powerless inside instructor, (2) to listen to the voices around me and communicate openly, (3) to have ‘our course’ containing our voices of me and my students, (4) to spread ESP as a solutional clue not just as an approach, and (5) to learn more and develop professionally. With those goals, this study was motivated by three research questions: (1) How will the tailored ESP course for EFL healthcare students be designed through NA, subsequent syllabus design, material development and relevant decision making in the framework of an action research?, (2) How will the domain students react to the tailored ESP course after they have taken the course?, and (3) What could be reflected and suggested for the next upgraded course design? Literature on ESP in Korea has focused almost exclusively on NA and previous studies on EMP have largely dealt with medical English for doctors and nurses. To bridge this literature gap, ESP-AR course development research design model was posited. The model allowed the study to connect ESP course design with implementation systematically according to AR spiral cycle and it included multidimensional NA through a mixed method combin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ways in an AR paradigm. For the NA, I collected survey data from 1244 students, 123 graduates and 30 domain instructors, and also interview data from 35 students, 12 graduates and 10 domain instructors of the healthcare college comprising eight departments of occupational therapy, hospital management, optometry, biomedical laboratory science, radiological science, dental hygiene, physical therapy, and emergency medical service. Based on the results of multidimensional NA and decision making process, the course was created as an ESP course for general healthcare occupational purposes, GHEC which equipped content-based syllabus with speaking skill focus and task-based methods. This wide-angled EOP-oriented undergraduate pre-experience English course consisted of a format of four modules ? (1) ‘Healthcare news and my study’, (2) ‘Human body and medical terminology’, (3) ‘Health and hospital’, and (4) ‘Medical Korea and my job’ ? narrowing down from broad and general themes to more specific and specialized themes. Course objectives were described as ‘can-do’ statements and four representative lesson plans were constructed to implement four model units, which involved a series of tailored tasks of Ebola poster presentation, anatomy micro-teaching, hospital tour guide, and my job field role-play. In terms of materials preparation on the principles of authenticity, audio/visual aids, and realia, I provided the students with CNN Student News with authentic photos about Ebola, various anatomy parts worksheets for the micro-teaching task of several discipline-domains, genuine hospital brochures/hospital tour, and OET (Occupational English Test) speaking-task samples for role-plays. Twenty-four second-year students took GHEC and the students showed a positive reaction with their active participation through course evaluation survey, teaching/learning logs, and class observation by a colleague. The course evaluation results indicated an average satisfaction level of 3.9 out of 5 including high values on especially the GHEC materials (4.21) and tasks (4.08). Students expressed that they have become more ‘active’, ‘confident’ and ‘professional’ with less affective filters and less boredom. However, class time management has been at issue to be addressed. For future course re-planning suggestions as a beginning stage of another action-research cycle, some pedagogical implications through reflections were presented: (1) ESP can perplex general learners or a teacher, but also freshly challenge, (2) A facilitative teacher and team-directed tasks can make ESP learners more active, and (3) Tailored ESP content enabled learners to productively elicit their background domain knowledge and interest. Further, constructive suggestions for upcoming upgraded GHEC and similar courses were made: i.e., considerations of students’ entry level of English proficiency, content specificity issue, class combination of discipline departments, target hospital situation, speaking boost with the whole-language approach, flexible adoption of TBLT (Task-Based Language Teaching)/PBL (Problem-Based Learning)/PBL (Project-Based Learning), e-learning system for efficient time management, and ESP practitioner’s roles as facilitator and learner in the ESP teaching context. Meanwhile, in the course of conducting this action research in a local natural setting, the concept of ESP has been spread by means of the teacher/researcher and study participants, and then some good signs of changes toward the ESP course have appeared. Some example signs were CP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presentation in English and the request for an intensive healthcare English course during vacation. This suggests that as an alternative or an additive to general college English education, the GHEC study could open a real possibility of ESP with more needs-focused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in a higher education of the EFL setting in Korea.

      • Korean Middle School English Teachers' Perceptions and Practices of the 2015 National English Curriculum: Focusing on Core Competencies

        박세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4383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s and practices of Korean middle school English teachers’ on the 2015 national English Curriculum focusing on core competencies. Moreover, it aimed to explore the problems teachers face and what improvements can be made to build English core competencies in learners. 102 Korean middle school English teachers participated in a survey questionnaire, which was followed by in depth individual interviews of four teachers among the survey participants. The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revealed that the majority of the teachers believe the core competencies-based English curriculum is a curriculum which focuses on utilization of knowledge. Most teachers agreed that the introduction of core competencies into the national English curriculum was necessary because they thought it specifies the competencies needed in the future society and helps achieve the goal of the curriculum more effectively. However, teachers selected creative thinking competency as one of the 4 subject-specific core competencies, which was not one of the 4 English core competencies in the guidelines of the 2015 national English curriculum. This could be because the aim of the general 2015 national curriculum is to fulfill the vision of a creatively integrated person, and teachers are confused whether they should give it more importance. There was a conflict between the actual practices and perceptions on ideal practices of the teachers in instruction and assessment methods and learning materials used to build English core competencies. Individual interview showed that the difference in practices and perceptions on ideal practices in teaching methods was because teaching methods are more affected by individual teachers than the change in the curriculum. The difference in assessment methods was due to teachers’ concerns about student and parent complaints regarding the objectivity of evaluation results. Moreover, although teachers relied highly on textbooks as the main learning material they were divided on whether core competencies can be developed using them. Closed ranking scale type questions were used to examine the difficulties teachers face when planning and implementing instruction. It found that the lack of instruction time was the foremost difficulty teachers have when planning for instruction, whereas the difference in student levels was chosen as the foremost difficulty when implementing instruction. Teacher also stated that the lack of instruction preparation time was the main source of difficulty when reconstructing the curriculum to build English core competencies. The utmost difficulty that teachers faced when planning for instruction was the lack of case studies and material, and the ambiguity of rating scales and objectivity were of the main concern when implementing assessment. Despite the fact nearly all teachers believe changes are needed for building core competencies and that most teachers focus on building them in the classroom, they are doubtful whether core competencies can be developed through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The reasons for this revealed in interviews were because there is not enough classroom hours, the problems concerned with assessment, and the view that building all four core competencies is unrealistic and ideal. Therefore, this study shows that teachers are unable or hesitant in carrying out their beliefs in instruction, assessment, and curriculum reconstruction in building core competencies due to various difficulties that they face. These results will help in addressing issues that will consequently aid building English core competencies into practice and fulfill the need for a more detailed and practical approach to English core competency-based curriculum. 본 연구는 한국의 중학교 영어 선생님들을 대상으로 핵심역량기반 2015 개정 영어 교육과정에 대한 선생님들의 전반적 인식 및 실태를 살펴보았다. 또한 선생님들이 영어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 평가 및 교육과정 재구성을 준비 및 실행하는 과정에 있어서 마주하게 되는 어려움과 어떠한 개선점이 필요한지를 분석하였다. 대한민국 소재의 중학교에 재직중인 102명의 영어교사가 핵심역량기반 2015 개정 영어 교육과정에 대한 설문조사에 온라인으로 참여하였으며, 그 중 4명은 설문조사 후 연구자와 만나 설문조사에 대한 심층면담을 하였다. 설문조사 분석 결과 대다수의 선생님들은 핵심역량 기반 영어 교육과정은 무엇을 아는지가 아닌 무엇을 할 수 있는지에 초점을 둔 교육과정이라고 생각하였으며 영어 교육과정의 목표를 더욱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기 때문에 핵심역량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선생님들은 영어 교육과정을 통해 학생이 갖춰야 할 4가지 핵심역량 중에 하나를 창의적 사고 역량으로 선택하였지만 이 역량은 2015 개정 영어교육과정에서 제시한 4가지 영어 핵심역량 중 하나가 아닌 교육과정 총론에서 강조하는 역량이었다. 선생님들이 학교에서 영어 핵심역량 함양을 위해 사용하는 주된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과 선생님들이 핵심역량 함양을 위해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교수학습 및 방법에는 차이가 있었다. 득히, 선생님들은 교육과정의 변화보다는 선생님의 개인적 요인에 의해서 교수∙학습 방법의 변화가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평가하는데 있어서 결과의 객관성에 대해 학생과 학부모의 민원이 주로 염려가 된다고 하였다. 선생님들은 주요 교수∙학습 자료로 교과서를 사용하였지만 교과서를 통해 영어 핵심역량이 함양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영어 핵심역량 함양을 위해 교수∙학습을 준비할 때의 가장 큰 어려움은 교수·학습 준비 시간 부족이었으며, 실행과정에서의 가장 큰 어려움은 학생들 간의 수준 차이였다. 준비 시간 부족은 교육과정 재구성시 할 때에도 가장 큰 어려움으로 나타냈다. 영어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평가를 준비할 때의 가장 큰 어려움은 영어 교과 핵심역량 평가 방법에 대한 자료 부족이었으며, 실행과정에서의 가장 큰 어려움은 평가 척도의 모호성 및 평가 객관성 유지였다. 학교 교육에 대부분의 선생님들은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에 동의하였으며 수업에서 영어 핵심역량 함양을 위해 초점을 맞춘다고 하였지만, 중학교 영어 교육과정을 통해 영어 핵심역량이 함양 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다소 부정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이유로 영어 핵심역량을 모두 함양할 수 있는 시간 불충분하며, 평가와 관련된 염려와 문제들이 존재하고 4가지 핵심역량을 모두 함양하는 것은 현실에 맞지 않고 이상적이라는 의견들이 있었다. 영어교사가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주체이며 학교에서 학습자들의 영어 핵심역량 함양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핵심역량 기반 영어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실태 조사에 대한 분석은 영어 교육과정의 개발, 교육 정책 및 연구 과제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주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