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연구자들의 영어학과 영문학 논문 영문 초록에 대한 코퍼스 분석 : 주어-동사 연어를 중심으로

        김영훈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823

        논문 초록이란 논문의 대표이자 얼굴로서 논문 내용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요약한 문서이며 연구의 목적과 내용이 객관적으로 기술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영문 초록에서 사용된 주어와 동사의 연어표현을 중심으로 한국인 연구자들이 작성한 영어학 논문과 영문학 논문의 영문 초록 코퍼스 분석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연구 문제는 영어학과 영문학 연구의 영문 초록에 나타난 주어, 동사의 종류와 빈도수는 어떠한지, 두 집단의 영문 초록에 나타난 주어–동사의 연어표현을 비교할 때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두 집단의 영문초록에 나타난 주어, 동사의 언어적 특성이 각각의 학문영역의 특성을 나타내는지, 두 집단의 영문 초록에서 확인된 가독성과 어휘의 다양성 (Type–Token Ratio), 그리고 두 집단의 영문초록의 길이의 차이점이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영어학과 영문학 이 두 학문 분야는 학과 대분류에서는 영어를 대상으로 했다는 점에서 서로 유사하지만, 영어의 규칙 체계를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분야인 영어학은 자연과학적 학문 특성을 보이는 경우도 있고 영문학은 문학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인문학적 학문 특성을 보인다. 두 학문들의 언어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학술지 인용 색인 (KCI, Korea Citation Index)를 통해서 영어학 논문 50편과 영문학 논문 50편의 영문 초록 총 100개를 수집하여 온라인 분석 도구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수사구조의 경우 연구 목적과 연구 결과 및 논의를 서술한 문장에 집중하여 영어학 논문과 영문학 논문의 영문 초록을 비교해 보았다. 또한 영어학과 영문학 영문 초록의 전반적인 텍스트 가독성 (readability), 어휘의 다양성 (TTR) 그리고 초록의 길이 등을 비교 분석하여 어떤 대조되는 점을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영어학 영문 초록은 영문학과 비교해 고빈도수의 주어-동사 연어표현이 나타났고 수동태가 많이 나왔으며 정형화된 표현들이 사용되었다. 반면에 영문학 영문 초록은 주어-동사 사이에 자유롭고 다양한 표현과 다양한 동사가 사용되었다. 영어학 영문 초록과 영문학 영문 초록의 가독성과 어휘 다양성(TTR)은 차이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학 영문 초록의 평균 길이가 영어학 영문 초록의 평균 길이에 비해 다소 길었다. 끝으로 코퍼스 기반으로 영어학 영문 초록과 영문학 영문 초록 간의 특징 분석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것을 고려했을 때 본 연구가 이 분야의 향후 연구에서 참고자료로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abstracts of journal articles summarize the contents of research simply and precis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rpus of abstracts of English linguistics and English literature written by Korean researchers focused on subject-verb collocation. In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dealt with. Firstly, what are the types and frequencies of verbs and subjects in each abstract? Secondly, is there a difference in subject-verb collocation between English linguistics and English literature abstracts? Does the difference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cademic domain? Thirdly,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readability, type-token ratio, and length of abstract between English linguistics and English literature abstracts? English linguistics and English literature both deal with English. English linguistics is a scientific study mainly focusing on the structure system of English, so it seems close to natural science. On the other hand, English literature, one field of the humanities, is the study of the production of literary works, so it shows the academic characteristics of the humanities.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abstracts of English linguistics and English literature, 50 abstracts from each academic domain are collected through Korea Citation Index and analyzed by analysis tools that are available onlin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bstracts of English linguistics have higher frequencies of subject-verb collocation expressions, more passive sentences, and more formulaic expressions than those of English literature. Furthermore, abstracts of English literature have unconstrained and diverse expressions and use several types of verbs. The abstract readability and type-token ratio of English linguistics and English literature were found to be almost the same. The average number of words in abstracts of English literature was larger than that of English linguistics. Finally, considering that corpus based analysis to compare characteristics between abstracts of English linguistics and English literature has been conducted rarely,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referred by future researchers.

      • 영어교과서 한국 고유문화 용어 영문표기에 대한 연구

        추승희 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9775

        The development of new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re now in progress and they will be published from 2018 to 2020. It has been considered important communicative competence to be able to introduce Korean culture in English in the secondary English education since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n order to enhance students' English communicative competence on Korean cultural issues, providing students with well-organized textbooks involving enough Korean culture-related topics is an essential prerequisite. However, if the textbooks keep being developed without any authorized guidelines for English writing on proper names, they will continue to be written in unpredictable patterns as before. As a result, students who study English with textbooks written with inconsistency about those terms would feel confused when expressing Korean culture in English. To prevent such confusion, guidelines for English transcription and translation for the textbooks should be made before finalizing the development of the new textbooks. The main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suggest unified guidelines for English transcription and translation of Korean cultural terminology, mainly proper names such as names of Korean people, organizations, documents, landmarks and geographical locations, foods, cultural properties, etc. in the new textbooks.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first analyzes English writing of Korean culture-related terms from a total of 42 different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which are currently us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 that there have been various types of inconsistency ranging from a few phoneme transcriptions to a large proportion of the translation. The numerous types of inconsistency revealed in the analysis indicate that the unified guidelines for English transcription and translation of Korean culture-related terms are needed in the course of compilation of the upcoming English textbooks. Next, this research investigates six different regulations and guidelines regarding English transcription and translation by each governmental organization, which should be referred to when producing the English textbooks in accordance with the 2015 revised curriculum. Since those regulations and guidelines have been established for their own purposes, they unfortunately include defects and conflicting provisions limiting their usefulness as comprehensive guidelines for the textbooks.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s unified guidelines for writing Korean culture-related terms for the new English textbooks through modification and revision of existing governmental regulations and guidelines. Keywords: 영어교과서(English Textbooks), 한국문화(Korean Culture), 로마자표기(Romanization), 영문표기(English Translation), 2015 개정 교육과정(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英文讀解法 硏究 : 英·韓 兩語의 語順知覺을 中心으로

        홍윤표 檀國大學校 大學院 1995 국내박사

        RANK : 249775

        영어와 한국어의 어순은 정반대(正 反對)로 되어 있다. 영·한 두 언어가 반대인 점을 통사 구조상, 전통문법을 중심으로 비교해 보았다. 즉, 영·한 두 언어가 기저어순, 기본문형 5개 형식, 절(節) 등이 반대인 것을 검증하였다. 영어의 기저어순은 S+V+O 인 반면에 한국어의 기저어순은 S+O+V 어순이며, 영어는 동사중심의 언어로서 분석어이며, 어순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어순이 바뀌면 뜻이 통하지 않는다. 그러나 한국어는 동사후치의 어순이며 자유 뒤섞이 어순이므로 어순이 바뀌어도 부자연스럽지만 격조사가 발달되어 있기 때문에 그 내용은 통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 검토한 기본문형은 영·한 공히 4.5.6 문형 등 여러 가지 문형이 있다는 것을 제시했으며 그 중 Onions(1904,6-9)가 주장한 영문 기본 문형의 5개형식의 어순을 중심으로 한국어 어순과 비교한 결과도 상호 반대로 어순이 되어 있다는 것을 밝혔으며, 또한 전치사구, 부사, 주절과 종속절 등의 어순도 상호 반대인 것을 예증하였다. 영·한 두 언어의 어순이 반대이므로 미국인과 한국인이 영문을 독해하는 순서가 상호 반대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예컨대, 미국인은 영문을 영어 어순대로 읽어 가면서 의미집단별(sense group)로 직독 직해(直讀 直解)하고 있다는 사실을 앙케트를 통하여 증명했고, 한국인은 영문을 독해시 그 문장의 끝에서부터 해석해 올라오는 역독식(逆讀式), 즉 영어어순을 반대로 독해하는 것을 앙케이트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끝으로 한국 학생을 대상으로 직독 직해식의 학습을 시킨 후에 실험 평가한 결과 몇 가지의 장점이 도출되었다. 첫째, 미국인의 영문독해 방법인 직독 직해식(直讀 直解式) 독해가 가능하였다. 즉, 한국인은 학습을 통하여 역독식에서 탈피하여 영어 어순대로 영문 독해가 가능했다. 둘째, 독해시간이 단축되었다 그 이유는 역독시는 한 문장을 읽은 후에 문장끝에서부터 위로 번역했으나. 직독 직해는 읽으면서 번역을 하기 때문에 역독식과 같이 한번 읽어보는 시간만큼 단축된 것이다. 셋째, 의미집단(sense group)에 따라 끊어서 독해하는 방법과 단어의 수량이 역독식 학습을 받을 때보다 증가되어 독해능력이 향상되었다 예컨대 의미집단별로 독해하는 단위는 역독식 때는 「주어」, 「목적어(보어)」, 「동사」의 단위로 독해하던 것을 직독 직해시는 「주어+동사」, 「주어+동사+목적어(보어)」, 「부사(구)류」 등으로 동시에 독해하는 의미집단별 단위가 많아졌다. 넷째, 영어의 어순대로 직독 직해를 하여 숙달된 학습자는 영어어순대로 이해가 가능하므로 영어를 들을(listening comprehension) 때도 영어어순대로 들릴 것이며. 말할(speaking) 때나 쓸(writing) 때도 도움이 될것이다. 그러므로 모국어와 어순이 다른 외국어를 독해하는 교수방법은 대상 외국어의 어순에 따라 독해를 하는 「직독 직해」 학습방법을 채택시 본 논문의 연구 결과와 같은 학습효과가 증대되어 외국어 능력을 함양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믿는다. It is widely known that there are many syntactic differences between English and Korean. A major difference is that English word order is different from that of Korean: English basic word order in declaratives tends to fall into subject-verb-object order, whereas in Korean the order is subject-object-verb order. There are also differences in positions of prepositional phrases and adverbial phrases, etc. This contrast in word order between English and Korean has led to difficulties in reading comprehension for Korean learners of English. This is because Korean students must interpret English sentences in reverse order to understand English. This means that it takes Korean students longer to interpret English. To reduce the length of time requires for the given reading material, Korean teachers of English are encouraged to give lessons the same way all bilinguals interpret English; even when the bilinguals in using English and Korean interpret English into Korean, they understand sentences on the basis of English word oder, but they do not understand Korean on the basis of Korean word order. To justify this, it is necessary to show clear evidence that because the Korean language may look to the scrambling order, Korean students never have any difficulty reading and understanding Korean. If we adopt this new method in reading comprehension, Korean students are expected to promote their ability of reading comprehension further than ever so long as they, hinging upon those measures proposed by the author of this scholarly work, so ahead with the 'first read, first comprehend' method of reading.

      • 영어 동사 보충어 구조의 이해를 통한 문법교육의 개선 방안

        정인찬 동의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59

        Chomsky (1965, 1981, 1986)는 인간의 언어특성은 선천적이라고 주장하였다. 언어습득에 있어서, 모국어는 보편문법이 가지는 선천성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배우게 된다. 그러나 제 2언어로써 영어를 배울 때는 모국어와 달리 어려움을 느끼게 된다. 수년간 영어를 배운 대학생들도 마찬가지로 어려움을 겪는다. 그 이유 중의 하나는 현재의 대학생들의 영어 학습이 결정적 시기가 지난 중학교 이후에 시작되었다는 점과 유관하다고 할 수 있다. 결정적 시기란 사춘기 이전에 자연스러운 언어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 어떤 언어도 모국어처럼 의식적 노력 없이 자연스럽게 습득되지만 사춘기 이후에는 제 2언어습득이 상대적으로 어렵다는 가설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결정적 시기 이후의 제 2언어교육의 방향을 설정할 필요성에 의하여 시작되었다. 제 2언어 습득에 있어서는 선천적인 언어지식뿐만 아니라 목표언어에 관한 언어지식, 즉 메타언어지식이 동시에 제 2언어활동에 필수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두뇌 속의 이 두 언어프로그램이 상호보완적으로 작동하기 위해 메타언어지식에 관한 명시적 교육이 필요하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모국어의 언어 프로그램과 구별되는 제 2언어의 매개변항적 정보는 기본적으로 어휘부에 저장된다는 생성문법적 가정 하에 어휘정보의 핵심에 해당하는 통사적 정보를 가르치기 위하여 모든 문장의 근간이 되는 동사의 어휘정보에 대한 명시적 교육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동사의 다양한 보충어 구조에 관한 이해의 중요성을 보여주기 위하여 이론적 고찰과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보편문법, 결정적 시기, 그리고 메타문법에 관한 문헌을 고찰하였고, 문장 구조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동사용법에 관한 조사를 하였다. 현행 중고등학교교과서와 수학능력시험을 분석한 연구를 통해 다양한 동사 보충어 구조의 이해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학교에서 가르치는 기존의 5형식 문형과 기타 전통문법 관련 문헌에서 제시한 7형식 문형을 비판하고 생성문법에 의한 접근법으로 4가지 유형의 대표적 문장유형을 제시하였다. 대학생의 동사 보충어 이해에 관한 실험을 위하여 동의대학교 영어영문학과 1, 3학년을 대상으로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27개의 매우 기본적인 한국어 문장을 제시하고 동사만을 영어로 제시하여 영작하도록 지시하였다. 테스트 후 평가의 기준은 다른 오류들을 배제하고 동사의 어휘정보를 정확히 활용하고 있는가의 여부를 주요 기준으로 삼았다. 3학년은 문장구조론 수업을 통해 동사의 보충어 구조에 관한 내용을 학습한 대상 21명을 선정했고 1학년은 동사의 보충어 구조에 관한 특별한 교육을 받지 않은 51명을 선정하였다. 그 결과 3학년의 전체 정답률이 75.66%였고 1학년은 55.48%로 20.18% 의 높은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동사가 간단한 보충어를 요구하는 문장에서는 두 학년의 차이가 거의 없거나 오히려 1학년이 높은 결과를 보이는 경우도 있었지만, 동사의 보충어 구조가 조금 복잡해질수록 3학년의 정답률이 두드러지게 높았다. 물론 이러한 차이를 영어영문학과 1, 3학년 학생들이 2년간의 교육기간의 차이로 인해 영어문장구조에 관한 이해도가 다를 수밖에 없기 때문에 나온 결과로도 볼 수 있지만, 위의 간단한 보충어의 사용법에 있어 1, 3학년간의 차이가 미미하거나 오히려 1학년의 정확도가 높게 나온 경우도 있다는 것은 2년간의 학습기간이 어렵고 복잡한 영어문장의 독해 등에는 차이점을 보일 수 있으나 매우 기초적인 문장의 구사력에 있어 반드시 3학년이 더 높은 정확도를 보인다고는 할 수 없음을 반증한다. 따라서 위의 결과는 영어의 매우 기초적인 문장에 관한 정확한 사용법을 기준으로 볼 때 동사의 보충어 구조에 관한 학습을 받은 적이 있는 3학년이 영어 동사의 보충어 사용법에 있어 훨씬 더 높은 정확성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제 2언어로서의 영어 문장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동사의 어휘에 따른 정확한 보충어 구조에 관한 명시적 학습이 이루어질 때 훨씬 더 정확한 영어문장을 구사한다고 할 수 있다. Chomsky (1965, 1981, and 1986) had suggested that language characteristics of a human beings are congenital. In relation to language acquisition, one’s mother language is learnt according to inheritance of universal grammar. However, when it comes to learning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people go through difficulty unlike learning one’s mother language. Even college students who have learnt English for years feel the same difficulty. One of the reasons for that is related to the fact that current college students started to learn English after they entered middle-school, that is, the critical period for learning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was already passed. The critical period is a hypothesis that any language acquisition before adolescence can be done naturally without conscious efforts in a natural acquisition environment but not after adolescence. Therefore, this study was started with the aim of setting a direction for second language education after the critical period. For second language acquisition, language knowledge for the targeted language, which is meta-linguistic knowledge, also plays an essential role for the second language activity as well as inborn language knowledge. Explicit education about meta-linguistic knowledge is necessary in order to make these two language programs in the brain operate reciprocally and complementarily. To speak more precisely, explicit education is needed about verbs which is the foundation for all sentences in order to give the student adequate sentential information, This is based on the assumption, called the creation grammar assumption that parameter information of the second language which is differentiated from one’s mother language is basically stored in the vocabulary. This thesis presents a theoretical study and results of an experiment in order to show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verb complements. For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is study, documents about universal grammar, decisive time, and meta-language were used, and a study into verb usage playing a critical role in determining a sentence structure was carried out.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the necessity for understanding various types of verb phrases structure thorough analyzing current middle and high school text books and the national scholastic achievement examination for college entrance. After that this thesis criticizes the idea of there being 5 basic grammar structures as often found in English textbooks or the 7 basic grammar structures as found in traditional prescriptive grammars and suggested 4 representative sentence patterns with an approach based on creation grammar. For the experiment about understanding verb complement of college students, a test was performed with the freshmen and juniors majoring in English Language & Literature of Dong-eui University. After presenting 27 very basic Korean sentences and only presenting verbs in English, the test instructed student to make English sentences. the evaluation criterion was whether or not they used the verb vocabulary information accurately, with other errors were excluded from the analysis. 21 juniors who were taught about the structure of verb complements through sentence structure information were selected and 51 freshmen who had not had any related learning were selected for this test. The results showed the overall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for the juniors was 75.66%. However, the correct answer percentage for the freshmen was 55.48%, so there was a significant 20.18 percentage point difference. Furthermore, the freshmen did not show much difference or even showed higher results in simple sentences requiring simple verb complement. However, as the structure of verb complement become complicated, the juniors had much higher correct answers percentages. Of course, these results can be considered as a result of learning period (a difference of 2 years). However, when considering there was not a big difference between the freshmen and the juniors even the freshmen showed higher results for simple supplementary usage, the 2-year learning period can help to improve reading skill for complicated and difficult English sentences, but also the juniors always had higher correct percentages on basic sentence ability. Hence, results that the juniors who were taught about the structure of verb showed higher accuracy related to using verb phrase usage on the basis of correct usage of English basic sentences. In conclusion, for expressing an English sentence, students can more accurate English sentences when they receive explicit learning about correct structures of verb complements.

      • (A) rhetorical structure analysis of Korean doctoral dissertation abstracts in English

        유하준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20 국내박사

        RANK : 249759

        ABSTRACT The continuous rise in the number of academic researchers worldwide, coupled with easily accessible research through the Internet, sheds light on the importance of doctoral dissertation abstracts, which were once relegated to university libraries and solely read by members of the dissertation committee. For scholars in nonEnglish speaking countries and institutions, although the dissertation may be written in their native language, an English version of the dissertation abstract must be provided as the language of academia is English. Such a transition inspired the present study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Korean doctoral dissertation authors show in writing their abstracts in English. This research analyzed three groups of 40 doctoral dissertation abstracts each in terms of their rhetorical structures using the move/step analysis based on Swales’ IMRD (Introduction, Methods, Results, and Discussion) framework. Doctoral dissertation abstracts in applied linguistics, TESOL, and adjacent fields were divided into Korean abstracts in Korean (KK), Korean abstracts in English (KE), and native English speakers’ (NES) abstracts in English (EE). The present research specifically examined the structure-internal characteristics of doctoral dissertation abstracts as manifested in the forms of moves and steps. How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rhetorical structure of abstracts are reflected on the surface through disparities in length and the use of lexical bundles comprised the other dimension of the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KE and EE doctoral dissertation authors employed analogous moves and steps to construct the rhetorical structure of their abstracts. The authors of KE abstracts, however, emphasized the R (Results) move more in proportion than their KK and EE counterparts. At the same time, the KE doctoral dissertation abstracts were found to be approximately two times longer in length than the EE abstracts. Such a disparity in length between KE and EE is speculated to be partly explained by the existence or absence of restrictions in the length of abstracts according to institutions. The differences in the use of lexical bundles as well as the patterns of move/step use between the two groups better explicates this disparity. That is, precise and succinct lexical bundles enabled NES doctoral dissertation abstracts to maintain a shorter length than the Korean counterparts’ abstracts, which were lengthier and included more steps and moves. The implication of the present research calls for enabling graduate students to analyze and apply rhetorical structures and lexical bundles in writing abstracts in English to facilitate potential readers’ understanding and to draw their attention to the components of the dissertation. Introducing writing programs to graduate school curricula could aid the NES authors as well as the NNES in producing a more effective doctoral dissertation abstract. 국문초록 한국인 박사학위논문 영문초록의 수사구조 분석 유하준 영어영문학과 이희경 교수 지도 본 연구는 정보의 홍수 속에 초록의 중요성이 점차 증대되는 현실에서 한국인 박사학위논문의 영문초록 수사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질적연구방법론 기반으로 작성된 응용언어학 및 영어교육학 분야 한국인 박사학위논문 영문초록 40편을 수집하여 수사구조 분석을 위해 관련 학계의 한국인 박사학위논문 국문초록 및 영어 원어민의 박사학위논문 영문초록 각 40편, 총 120편을 J. M. Swales가 제안한 IMRD (Introduction – Methods – Results – Discussion)구조의 무브/스텝 분석(Move/Step Analysis)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질문은 다음과 같다: 1) 한국인 박사학위논문 국문초록(KK), 한국인 박사학위논문 영문초록(KE), 영어 원어민 박사학위논문 영문초록(EE)에서 무브의 사용에 있어 어떠한 특성을 찾을 수 있는가? 2) KK, KE, EE의 수사구조상 각 무브를 형성하는 스텝의 사용에 있어 어떠한 특성을 찾을 수 있는가? 3) KE와 EE의 초록의 길이를 통해 어떠한 특성을 찾을 수 있는가? 4) KE와 EE에 사용된 어휘뭉치(Lexical Bundles)에서 찾을 수 있는 특성은 무엇인가? 분석 결과 한국인은 박사학위논문 영문초록(KE)에서 영어 원어민의 박사학위논문 영문초록(EE)에 쓰인 무브와 스텝을 마찬가지로 사용하였으나, 비율 측면에서 KE의 초록은 KK 및 EE 초록과는 달리 R (Results) 무브를 중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초록의 길이 측면에서도 한국인의 박사학위논문 영문초록은 유사한 무브와 스텝을 사용하면서도 영어원어민보다 두 배 가량 긴 것으로 나타났다. 무브분석 및 어휘뭉치분석에 따르면 이 같은 결과는 부분적으로는 한국과 영어권 국가의 대학에서 초록에 대해 분량제한을 두느냐의 차이에서 비롯되기도 하지만, 본질적으로는 한국인의 무브 및 스텝의 사용양상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표현의 차이에 기인한 바가 큰 것으로 사료된다. 즉, 구체적인 어휘뭉치와 간결한 스텝, 무브 구조가 영어 원어민이 초록을 간명하게 작성하는 데 도움이 된 반면, 한국인 박사학위논문의 영문초록은 일반적이지만 구체성이 떨어지는 어휘뭉치 사용에 더하여 구체성을 부여하기 위해 스텝과 무브를 구성하는 분량이 원어민보다 많아지게 된다. 현재는 한국의 대학은 물론이고, 많은 경우 영어권대학에서도 대학원생의 학위논문초록작성법을 따로 교육하지 않는 경우가 흔한데, 한국인의 박사학위논문 영문초록을 대상으로 수사구조 상의 특징을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는 새롭게 부각되는 초록의 중요성에 비추어 효과적인 초록 작성을 위해 수사구조와 어휘뭉치를 분석하고 적용하는 훈련이 도움이 될 것임을 시사한다.

      • Exploring Discourse Properties of English Research Article Abstracts : A Comparison between English and Korean Writers

        Ryoo, Han Lim the Graduate School of Gyeongsang National Univers 2005 국내석사

        RANK : 249759

        학술 연구 논문 초록은 논문을 신속하게 개관하고 독자가 논문을 계속 읽을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하는데 긴요하다. 오늘날 학술 연구 논문을 발간할 때에는 그것이 영어 논문이든 아니든 간에 영문 초록을 첨부하는 것이 세계적으로 관례화되어 있다. 따라서 영어 모국어 화자든 아니든 논문 전체 내용을 토대로 간결하면서도 충실한 참된 초록을 쓸려고 노력하게 된다. 이처럼 학술 논문에 있어서 초록의 중요성에 비추어 영문 초록에 관한 초기 연구는 학자 지망생이나 학생들을 위해 초록이 갖추어야 할 주요 자질, 내용 및 형식을 제시하는 제한된 수준에 머물렀다(Borko & Bernier, 1977; Collins, l971; Weil, 1970). 그러다가 l990년대에 이르러 학술 논문 초록은 여러 가지 중요한 면에서 연구 논문 자체와는 다른 독자적인 장르라는 것이 언어학계에서 인정됨에 따라 영문 초록에 대한 연구가 본격화되기 시작했다. 본 연구는 영어 모국어 화자와 비모국어 화자가 쓴 영문 초록을 담화라는 보다 넓은 시각에서 탐구한다. 이러한 접근법을 택하는 것은 초록은 그 자체가 독립된 장르일 뿐만 아니라, 담화의 다양한 도구에 의해 보다 효과적으로 연구 분석될 수 있다는 가정에 근거하고 있다. 이리하여 초록 분석은 담화분석과 장르 분석의 필수요소가 되는 네 가지 양상의 이론을 근거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두 학자 집단이 쓴 영문 초록에 차이가 있는지, 있다면 그 원인이 어디에서 연유하는지를 밝히기 위해 영어 모국어 화자와 비모국어 화자가 쓴 영문 초록을 비교 분석한다. 분석 대상 초록은 언어학과 영어 교육 분야에서 네 개의 학술지를 임의로 선정했으며, 이들 중 두개는 국제 학술지이며 다른 두개는 한국 학술지이다. 각 초록은 사용된 주제 구조, 응집 방안, 수사 구조 및 어휘-문법 자질 측면에서 분석되었다. 주제 구조 분석 결과 화제적 주제(topical theme)로는 무표적 명사군(unmarked nominal group)이 가장 많이 사용되 었으며, 대인관계 주제는 전혀 사용되지 않았다. 접속적 주제는 영어 모국어 화자가 쓴 영문 초록보다 한국인이 쓴 영문 초록에서 두 배나 많이 사용되었다. 응집 자질 사용에 있어서는 어휘적 방안이 전체의 75%를 차지한 것으로 드러났다. 주요한 차이는 접속어 사용 빈도에서 나타났는데 한국인이 영어 모국어 화자보다 두 배나 많이 사용했다. 이는 한국인 학자들이 영어권 학자들보다 문장을 논리적으로 연결해 텍스트의 통일성을 기하려 할 때 명시적인 언어 표지에 훨씬 많이 의존함을 의미한다. IMRD 구조 단위(서론, 방법, 결과 및 결론)에 근거한 수사 구조 분석에서는 모든 분석 대상 초록의 약 절반에서 네 개 구조 단위가 모두 사용되었음이 밝혀졌다. 여기서 한 가지 두드러진 사실은 한국 학술지 영문 초록의 약 30%가 서론의 단 한 가지 구조만 사용했다는 점이다. CARS(연구 공간 조성) 모형에 근거한 서론 부분의 세밀한 분석에서는 영어 모국어 화자가 쓴 초록은 이 모형의 이동들(moves)을 다양하게 사용한 반면, 한국 필자들은 연구 목적을 서술하는 제3 이동만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음이 밝혀졌다. 어휘-문법 자질과 관련된 절 유형의 분석 결과는 영어 모국어 화자는 다양한 절을 사용하는 데 반해 한국인은 주로 that 명사절에 의존함을 보여주었다. 기타 자질에 있어서도 영어권 필자들은 과거보다는 현재 시제, 수동태보다는 능동태, 및 법조동사 사용을 선호하는데 반해 한국인은 과거 시제의 높은 사용 빈도를 보여주었다. 부정 절은 두 언어 집단 어디서도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여러 가지 담화 속성과 이동 구조간의 관계에서 주제 구조와 응집 구조가 유사한 경향을 드러냈다. 즉 주제 요소, 응집 요소 및 절의 사용 빈도면에서 두 집단에게 다 같이 서론이 초록의 초점인 것으로 보였다. 어휘-문법 면에서는 두 집단 모두 서론과 결론 부분에서는 과거 시제보다는 현재 시제를 확실히 선호하였으며, 과거 시제는 방법과 결과 부분에서만 선호되었다. 수동태는 방법론에서만 한국인 필자들이 선호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위에서 논의하고 분석한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영어 화자와 한국인 화자가 쓴 영문 초록에서의 여러 차이점들은 학문적인 사실들을 인지하고 구조화하는 양식의 차이, 특히 상이한 언어적, 사회문화적 환경으로 인한 학술 담화 서술 양식의 차이에서 기인되는 것 같다. 차이를 일으키는 다른 요인으로는 초록 작성에 관한 영어 사용권 담화 사회의 관습에 관한 인식 부족과,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필자의 경우 영어 사용 능력의 문제로 볼 수 있다.I In today's world of academic research, an English abstract is a requirement neither native English writers nor non-native writers can underestimate. As a research article abstract should be an accurate representation of the contents of the whole article, the writers feel the burden to produce an abstract that is as informative and concise as possible. Naturally, interest in the nature of abstract has generated much research on the content, form and organization of a well-written abstract. However, studies up to now have been limited to focuses on rhetorical structure and lexico-grammatical features. Also lacking have been studies that compare abstracts written by native and non-native English academics from a crosscultural perspective. This study explores discoursal properties of English research article abstracts written by native English and Korean writers, taking a more broad approach. This approach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abstract constitutes a genre in its own right, and at the same time, is a type of discourse, which can be approached with various tools of discourse analysis. Thus, various levels of analysis of abstracts that include thematic structure, cohesion, rhetorical structure and lexico-grammatical features are considered. Abstracts were selected at random for analysis from four leading journals in the fields of linguistics and English education, two international, Language and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 and the other two Korean journals, Korean Journal of Linguistics and English Education. Each abstract was analyzed with respect to the four discoursal properties.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then compared between native English writers and Korean writers. Analysis of thematic structure revealed general characteristics in which topical unmarked themes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whereas no interpersonal theme was found. Frequency in the use of conjunctive themes for Korean writers was twice as high as that for the English counterparts. Among various cohesive devices, lexical cohesion accounted for 75% of all cohesive devices used, which is consistent with general tendency in the use of cohesion in texts. Substitution and ellipsis were hardly used. The main difference showed up in the use of conjunctions which Korean writers used twice as often as the native English counterparts. Analysis of the rhetorical structure based on the IMRD structural units (Introduction, Method, Results and Discussion) found that approximately half of the abstracts analysed display all four structural units. One noticeable result found in English abstracts in Korean journals was that about 30% of them consist of only one structural unit, that is the Introduction. Further analysis of the Introduction unit based on the CARS (Create a Research Space) model showed that abstracts by native English writers use more moves of the CARS model, whereas abstracts by Korean writers tend to use one single move, Move 3, which states the purpose of study. Regarding lexico-grammatical features, analysis of types of clauses used revealed that native writers are able to make use of a variety of clauses including adverbial and relative clauses, but Korean writers mainly depend on that-nominal clauses over others. Native writers showed a clear preference for the use of the present tense over the past, the active voice over the passive, and modal verbs, while Korean writers used the past tense more often in comparison with the native English writers. Negative clauses were seldom used in abstracts by either group of academics. The major source that could account for the differences between English and Korean writers found in this study appears to be different styles of perceiving and structuring academic facts or discoveries in writing, caused by different linguistic, socio-cultual environments. Other factors have to do with awareness of conventions of English speaking discourse community regarding abstract writing, and English competence itself. One important consideration suggested by this study is whether and how to fill the gap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of academics.

      • 한국과 러시아의 대학영어교육 비교연구

        문경오 목포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9743

        <Abstract> The study has its purpose on finding it out to the reason about why Korean students majored in English feel fear and have difficulty to communicate with others in English, and also has its purpose on making the students overcome it. To do this, the study sets up a hypothesis which the difficulty is originated from a theory-based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s and the shifting to a practical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s could make it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is study selects Russia as its comparative object because Russian language structure is similar to Korean one but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of Russian university's students is better than that of Korean students. It is well-known fact that the change of teaching method makes an influence to change the curriculum. Owing to this reason, the study presents its theoretical background with the enumeration of curriculums and teaching methods periodically. In addition, the study makes an linguistic analysis about the similarity between Korean and Russian language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wo languages. This is because of getting rid of others' doubt that Russian language is totally different from Korean one and at this point of view,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curriculums and teaching methods of two nations would not make a sense. This study carries out for four English related departments; two departments of a regional university in Korea and two departments of an university in Siberia, Russia. The universities have similar size and situation. This study compares the case of English curriculums and teaching methods with the way of documentary and field survey. At the same time, the study is proceeded by an on-the-spot survey to figure it out to the Korean and Russian students'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for a curriculum, the rate of practical subject in the department of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Korea is 41.5% and the rate in the linguistic group in the major of English-German, Russia is 79.5%. In addition, the rate in the department of English education, Korea is 20.7% while the rate in the pedagogic group in the major of English-German, Russia is 59.3%. These results show that Russian curriculum is higher than Korean one for the rate of practical subjects. The difference of the rates makes a major factor to lead to the difference that Korean students still have a feeling of uneasiness to communicate in English while Russian students have no fear of practical use in English. Second, as for a teaching method, lecture-way subjects are proceeded by Korean professors with a deductive explanation in Korea, but most of all lessons are proceeded by Russian professors with an inductive method to emphasize a stern speaking practice after a deductive method. Even in the lecture-way subjects, Russian professors utilize a theory to communication, laying stress on a learning for communication. Besides, English native professor leads communication-based subjects in Korea while bilinguist leads the subject in Russia. Third, the results of the survey of Korean and Russian students' satisfaction show that the satisfaction with a practical subject is higher than that of a theoretic subject in both students, and both students' satisfaction is higher in a practical subject proceeded by an English native speaker or bilinguist than in a lecture-way subject proceeded by their own native professor. With the result of the comparative study, the study make a success to demonstrate its hypothesis. That is, it is more effective to increase students' communicative competence to the curriculum organized with practical subjects and to the education applying various teaching methods to be suitable to a practical subject. Therefore, to increase a practically communicative competence, it will be needed to, first, the increasement of a practical subject in a curriculum, second, the conversion of an organization to be utilized in a real world by an integral attempt about linguistic functions in a theoretic subject, third, a policy of professor appointment to give preferential treatment to full-time English native professor and bilinguist, and finally, a strict limitation for attending students in a linguistic subject and the conversion to the classroom size to be appropriate to learn communicative competence.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영어를 전공하는 학생들이 10여년의 오랜 기간 동안의 영어 학습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의사소통에 대한 두려움을 느끼고 있으며 동시에 실제적인 사용에 있어서도 어려움을 느끼는 원인을 찾아 이를 극복하려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에서 영어를 전공하는 학생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은 이론중심적 교육과정과 교수법에서 비롯되기 때문이며 실용적 교육과정과 교수법으로의 전환을 통해 이러한 문제를 상당부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언어적 구조는 비슷하지만 실용적 교육과정과 교수법을 사용함으로써 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이 우수한 외국인 러시아와의 사례와의 비교 연구를 통해 이러한 가설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시대에 따라 교수법이 변천하면서 교육과정 또한 변하여 왔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에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과 교수법을 시대적 흐름에 따라 열거함으로 이론적 배경을 설정하였다. 또한 한국과 러시아어와의 특징을 중심으로 한 유사성에 대해 언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러시아어는 한국어와 다르므로 두 언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학생들에게 시행되는 교육과정 및 교수법을 동등 비교하는 것에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의구심을 해소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규모와 실정이 비슷한 한국 지방의 A대학교와 러시아 시베리아에 위치한 B대학교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두 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는 영어교육과정과 영어교수법 사례를 문헌조사 및 현지조사 방법을 통해 비교하였고, 동시에 교육과정에 대한 한국 학생들과 러시아 학생들의 만족도는 설문지법을 통해 살펴보는 것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첫째, 교육과정에 있어서, 한국의 영어영문학과의 실용과목 비율은 41.5%, 러시아 영어-독일어전공 어학그룹은 79.5%로 러시아가 38.0% 높았으며, 한국의 영어교육학과는 40.7%인 반면 러시아 영어-독일어전공 교육학그룹은 59.3%로 러시아가 18.6%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용과목의 비율 차이는 한국 학생들이 영어로 의사소통하는데 여전히 불안감을 느끼는 반면 러시아 학생들은 실제 의사소통에 불편함이 없는 정도의 영어능력을 갖추게 하는 차이를 유발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었다. 둘째, 교수법에 있어서, 강의식 과목의 경우 한국에서는 한국인 교수에 의해 연역적 설명으로 진행되었으나 러시아에서는 거의 모든 수업이 연역식 수업방식 후 라도 철저한 구두 연습을 강조한 귀납적 방법으로 진행되고 있었다. 또한 러시아는 강의식으로 진행되는 과목이라고 할지라도 의사소통을 위한 학습에 중점을 두고 이론이 의사소통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덧붙여 의사소통중심 과목의 경우, 한국에서는 영어 원어민 교수가, 러시아에서는 이중모국어자가 진행하였다. 셋째, 교육과정에 대한 양국 학생들의 만족도 조사를 통해 한국과 러시아에서 이론과목보다는 실용과목에 대한 만족도가, 자국의 교수에 의해 진행되는 강의식 과목보다는 원어민이나 이중모국어자에 의해 진행되는 실용과목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이론과목보다는 실용과목으로 구성된 교육과정이, 그리고 실용과목에 적합한 다양한 교수법을 적용하여 교육하는 것이 학습자의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보다 효과적임을 증명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실질적인 의사소통능력향상을 위해서는 첫째, 교육과정에서 실용과목의 증가 둘째, 이론과목도 언어기능에 대한 통합적 시도를 통해 실제 활용 가능한 구성으로의 전환 셋째, 원어민 전임교수와 이중모국어자를 우대한 교수임용 넷째, 어학과목의 강좌당 수강 인원에 대한 철저한 제한과 의사소통능력 습득에 적합한 강의실 크기로의 전환이 필요할 것이라 여겨진다.

      • Instructors' and Students' Perceptions on English-medium Instruction : Focusing on th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Economics in Korean Universities

        Oh, Kyung-Ae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9743

        국문초록 영어로 하는 전공수업에 대한 교수와 학생의 인식조사: 한국 대학의 경제학과 학생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英語英文학과 吳 敬 愛 指 導 敎 授 朴 俊 彦 영어는 급격한 국제화의 흐름에 발맞추어 국제어로서의 위상을 갖게 되었다. 특히 국제어로서의 영어는 대학교육에서 그 위상이 명백히 보이는데 그 이유는 대학이 학생들이 졸업 후 전문적인 직업을 갖게 위해 준비하는 기관으로 그에 맞는 영어교육을 실시해야하고 영어가 학문적 언어로서 국제화 사회에서 갖는 위치가 확고해 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학에서의 영어교육은 어느 때보다 중요하게 지도해야 할 과목이 되었다. 현재 한국 대학에서는 적게는 15%에서 많게는 91%의 대학과목이 영어로 운용이 되고 있으며 그 비율은 점점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그 동안 대학교에서 영어로 진행하는 전공수업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으나 아직은 특정한 몇몇의 전공분야에 치중하고 있다. 따라서 몇 개의 소수 대학이나 과(科)의 영어로 진행하는 전공수업에 관한 연구가 주로 진행되었으나 그 결과를 일반화시키는 데에는 부족했다. 또한 영어로 진행하는 전공수업에 대한 비판적 여론도 반복적으로 나오고 있는데 그 비판은 주로 담당교수와 학생들의 영어실력, 영어수업에 대한 동기결여, 학습내용 습득의 효율성 저하, 그리고 영어수업에서의 한국어 사용 등에 관한 것이었다. 본 연구는 지난 10년간의 영어전공수업에서 다루어졌던 연구주제들을 종합하여, 비판이 학생들과 교수들의 실질적인 인식에 기초하는가를 현재 영어전공수업을 수강하는 학생들과 지도하는 교수님들의 의견 및 경험을 통해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서울 소재 다섯 개 대학에 다니는 경제학 전공의 학부생 410명의 학생들과 한국인 경제학과 교수 11명의 인식조사를 위한 설문과 면접이 실시되었다. 연구에서는 기술통계, t 검정, 분산분석, 상관관계, 단순선형 회귀분석과 면담을 통해, 교수와 학생들의 영어실력, 동기, 효율성, 어려움과 극복방법, 한국어사용, 그리고 영어로 하는 전공수업을 향상시키는 위한 요인들에 관한 인식을 논의했다. 학생들의 영어실력은 공인성적점수와 자가 평가를 통한 기준을 사용했고, 설문조사는 SPSS통계를 사용하여 분석했으며, 면접은 Soundforge를 사용하여 분류했다.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 문항은 수업참관, 면접, 설문조사를 통한 시험연구 후에 다시 재검토 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대부분의 교수는 영어전공수업을 위한 충분한 영어실력을 가지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학생들도 대략적으로 영어전공수업을 성공적으로 수강하기 위한 영어실력을 가지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수들과 학생들은 영어전공수업을 강의하고 수강하는 데 있어서 비교적 동기부여가 되어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전공지식 향상과 영어실력의 향상에 있어서 영어전공수업에 대해 대략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말하기와 쓰기 실력에 관한 만족도는 듣기와 읽기보다 낮게 나타났다. 넷째, 학생들의 만족도는 영어실력, 동기부여 정도, 학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다섯째, 학생들은 한국인 교수들의 한국어사용이 강의 이해도를 촉진시킨다고 인식했으며 부족한 영어실력 때문이라고 인식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영어전공수업을 향상시키기 위한 요인으로서는 교수와 학생들의 영어실력이 우선이었고, 부교재의 사용과 원어민 교수의 수 증대가 선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대학 교양영어 프로그램, 교수법, 그리고 행정적인 도움에 대한 교육적인 제안을 하고자 했다. 먼저 영어전공수업을 돕기 위한 대학 교양영어 수업으로는 전공수업과 같은 내용을 언어중심으로 강의하는 부수적 수업(adjunct class) 이 가장 효율적이라고 제안한다. 또한 효율적인 교수법을 위한 단계를 제안하며 새로운 교양영어수업과 교수법 개발을 위해서는 각 부서 간 협력이 필수적이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의 영어실력과 학년에 따른 영어전공수업의 개설과 영어능력이 낮은 학생들의 강의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특정 부분에 있어서 제한적인 한국어 사용의 허용에 대한 고려를 제안한다. ABSTRACT Instructors' and Students' Perceptions on English-medium Instruction: Focusing on the Students in Department of Economics in Korean Universities KYUNG-AE OH Department of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Graduate School Soongsil University This study investigates instructors' and students’ perceptions on English as a Medium of Instruction for Content (EMIC) cour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more macro-level of outlook on this subject by investigating all the key issues arising in previous studies regarding English as a medium of instruction. The key issues included instructors' and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motivation, effectiveness of EMIC and L1 among others. Data were collected from 410 economics undergraduate students and eleven instructors in the departments of economics of five universities in Seoul, Korea. Through the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with complement of interview analysis, instructors’ and students’ perceptions on English proficiency, motivation, effectiveness, L1 use, and factors for improving EMIC courses are discussed. The analyses reveal: 1) instructors perceived to have sufficient English proficiency levels to teach EMIC courses respectively, and students perceived to have sufficient English proficiency levels to be successful in EMIC courses, 2) instructors and students were found to be relatively motivated to teach and take EMIC courses, 3) instructors and students were relatively satisfied with EMIC with respect to content knowledge acquisition and English language skills development but less satisfied with acquisition of productive skills, 4) the degrees of students’ satisfaction of EMI differ based on their self-assessed English proficiency levels, motivation, and students' class year, 5) the use of L1 by Korean bilingual instructors facilitates students' content knowledge acquisition, and 6) the important factors for more effective EMIC courses include instructors' and students' higher English proficiency, additional supplements, and more native speaking instructors. The findings contain fertile educational implications concerning language prerequisite courses, steps to implement teaching strategies for EMIC, and administrative support. For language prerequisite courses designed to support EMIC, it would be most effective when it is voluntary based and directly related to the content courses students take. An adjunct course, which is linked with a content course, might be ideal in this sense. The following steps are worth considering to implement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First, define content specialists' role and language specialists' role in an adjunct course; second, determine which content and language skills students will effectively be used in their future careers; and third, develop teaching strategies based on first and second steps. Lastly, administrative support is critical. Collaboration across disciplines are desperately needed, and the collaboration will help design the adjunct course and develop teaching strategies. In addition, two suggestions are made for immediate consideration for administrators: 1) establishment of EMIC courses depending on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levels and students' class years and 2) considering code switching within limits to help students’ comprehension of lectures.

      • A Contrastive Rhetoric Analysis on English Job Application Letters : 영문 입사지원서에 나타난 수사학적 비교 연구

        Haiyan Gao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9743

        As the importance of English as a lingua franca for communication is ever increasing in the globalized era, there is a high demand for non-native English speakers to perform real-life English writing tasks to participate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illuminate possible difficulties faced by Chinese ESL students in producing acceptable professional genres such as an English job application letter (EJAL), and to suggest ways in which they and their teachers might deal with these difficulties, a comprehensive and systemic study on rhetorical characteristics of English job application letters needs to be conducted. The purposes of the current study were to find the rhetorical characteristics of English job application letters in the aspects of invention, disposition, style, and persuasive appeals and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EJAL writing in a specific context. Contrastive Rhetoric Analysis (CRA), Genre Analysis,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SFL), and Critical Discourse Analysis (CDA) were comprehensively applied to the current study. Three groups of participa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mong them were 97 native English speakers, who were candidates applying for the position of an English teacher at one of the Korean universities, 39 Chinese graduate students, who were candidates applying for the position of an English teacher at two Chinese universities, and 93 Chinese undergraduate students, who were studying in the Department of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at three different universities in Jiangsu Province, China. Accordingly, the data included three types of English job application letters: 97 authentic EJALs from native English speakers, 39 authentic EJALs from Chinese graduate students, and 93 mock EJALs from Chinese undergraduate students, and these data were made into three corpora. Criteria of analysis on move, linguistic feature, and persuasive appeal were set and applied to the data, an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es were used to examine moves, linguistic features, and persuasive appeals. Corpus tools such as Wordsmith were utilized to examine linguistic features. Findings of the study revealed the detailed rhetorical characteristics of English job application letters in aspects of invention, disposition, linguistic feature, and persuasive appeals. As for invention, native English speakers and native Chinese speakers shared more similarities than differences. The differences mainly resulted from writing convention of Chinese job application letters, local context of job application in China, etiquette of Confucianism, and social hierarchical system of China. As for dispos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hetorical structures between EJALs written by native Chinese speakers and native English speakers which can validate Swale’s (1990) statement that the genre with the same communicative purpose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for the linguistic features, personal pronouns such as I, my, and you, modal auxiliaries such as would, will, and can, and interpersonal metaphors such as believe, feel, and think were frequently used in the three corpora. In terms of mood, declarative clause was the dominant clause in the English job application letters in the three corpora, while interrogative clause and exclamative clause did not appear in the EJALs written by native English speakers. The differences of linguistic features in these three corpora reflected the different ideologies that the native English speakers and the native Chinese speakers ha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ployer and the employee. The negative transfer of Chinese can also accounted for these differences in linguistic features. As for persuasive appeals, rational appeals were the dominant appeals adopted in the three corpora. Emotional appeals and ethical appeals were more frequently used by native Chinese speakers than native English speakers which mainly resulted from the different thinking modes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The current study not only supplied the particular genre knowledge of English job application letters to the non-native English learners, but also offered the contextual factors which should be considered when write an English job application letters in a specific context. Implications to the methodology of researches on ESP genre writing and suggestions to the future studies have been offered in this study. 오늘날 국제 시대에 영어가 의사소통을 위해 중요한 국제공용어가 된 가운데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고 있지 않는 사람들조차 국제 공동체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실생활에서 영어로 작문 과업을 수행해야만 한다. 중국의 ESL 학생들이 국제 기업에서 인정받을 수 있는 수준의 영문 입사지원서를 작성할 때 당면할 수 있는 어려움을 조명하고, ESL 학생들과 교사들이 이런 어려움을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기 위해 영문 입사지원서가 갖고 있는 수사학적 특징에 대해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 논문의 목적은 영문 입사지원서의 수사학적 특징을 쓰기 관습, 구성, 문체, 설득 전략의 네 가지 측면에서 비교하고, 특수 목적을 위한 영어(English for Special Purpose) 작문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탐구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수사학적 비교 분석, 장르 분석, 체계-기능 언어학, 비판적 담화 분석을 종합적으로 적용했다. 본 연구를 위해 대학교에서 영어를 가르치는 영어 원어민 97명, 중국의 두 개 대학교에서 영어 강사로 있는 중국인 ESL 석사 졸업자 39명, 중국 강수성에 있는 세 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ESL 학부 학생 93명이 연구 대상으로 참가하였다. 이들이 작성한 세 가지 유형의 영문 입사지원서를 분석했는데, 즉, 영어 원어민들이 작성한 97개의 영문 이력서, 중국 석사 졸업자들이 작성한 39개의 영문 이력서, 중국 학부 학생들이 작성한 모의 이력서 93개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이 이력서를 분석하기 위해 소절(move), 문체(언어적 특징), 설득 전략의 분석 기준을 세우고, Wordsmith (코퍼스 도구)를 사용하여, 이력서 자료에 대한 질적?양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영문 입사지원서에서 쓰기 관습, 구성, 언어적 특징, 설득 전략 측면에서 각 그룹 간에 차이점과 유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쓰기 관습에 있어서는 원어민의 입사지원서와 ESL 중국인의 입사지원서에서 공통점이 차이점보다 많았다. 그리고 그러한 차이점의 주요 원인은 중국어 작문 습관의 부정적 전이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구성에 있어서는 중국인과 원어민의 입사지원서에 수사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동일한 의사소통 목적을 갖고 있는 장르의 글은 구조에서 일치를 보인다는 Swales(1990)의 주장을 입증해 준다. 언어적 특징에서는 I, my, you 같은 대명사와 would, will, can 같은 조동사, believe, fell, think 같은 대인간 은유가 자주 사용되었다. 서법(mood)에 있어서는 서술문이 가장 지배적이었으며 의문문과 감탄문은 영어 원어민의 입사지원서에는 나타나지 않았다. 세 개의 코퍼스에 나타난 이러한 언어적 특징의 차이는 고용인과 피고용인의 관계에 대한 영어 원어민과 중국어 원어민들의 관념의 차이를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설득 전략에서는 세 코퍼스에서 공통적으로 합리적 전략이 지배적이었다. 중국인은 감정적 전략과 윤리적 전략을 원어인에 비해 더 자주 사용했는데 이는 동양과 서양의 사회철학 와 사고방식의 차이에서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