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환자실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 우울 및 직무스트레스

        김하은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5423

        In this study, It seeks to provide basic date that ICU nurse' job stress levels and which is affecting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depression,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improvement the working environment and job satisfaction and stress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program development by identifying relevant factors of ICU nurse' job stress levels. Collecting date on this study was performed as investigation to research relevant factors with stress of ICU nurse' job on 195 of working ICU nurse for the university hospital(Daegu, Daejeon, GyeongGi-Do) end General Hospital(Daejeon, Taebaek,Sunchon) experienced nurse more than one year, from second of March, 2011 to twenty-seventh of April 2011. 1) The total 195 surveyed workers. twenties 48.2%, thirties 38.5% over forties 13.3. The period of service was less than 5years 22.6%, 6-10 years 51.8%, over 10 years 25.6% respectively. Also currently their position is nurse of 183, higher position than responsible nurse of 12 respectively and of them married person is 42.1%, unmarried people is 60.0% respectively. According to NIOSH standard, 31.3% have musculoskeletal symptoms, didn't have 68.7%. 2) averagely health promoting behavior is 3.02%, depression is 8.19%, job stress is 37.84%. 3) It is found the difference among health promoting behavior, depression, job stress by totally attribution. health promoting behavior appeared in forty group higher than different age group as average is 3.58(p<0.01). In working years, workers more than ten years appeared 3.64(p,0.01), higher significantly. Also, The married person appeared average 3.50, higher than unmarried person(p<0.001). Not have musculoskeletal symptoms group is appered average 3.38 higher than musculoskeletal group(p<0.001). In depression Not have musculoskeletal symptoms group is appered average 6.56 higher than musculoskeletal group(p<0.001). In job stress, Not have musculoskeletal symptoms group is appered as lower than musculoskeletal symptoms group as 42.34(P=0.001). 4) The subject's health promoting behavior, depression, job stress and the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of these are as follows. depression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are appeared -0.473(p=0.001) as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Also job stres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are appeared -0.454(p=0.001) as negative correlation significantly, but depression and job stress are appeared 0.642(p=0.001) as positive correlation significantly. 5)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s 1 of ICU nurse' job stress is appeared F=40.076(p<0.001) significantly and modified R-Squared indicates that model R-Squared is Adj R²=0.585, R-Squared of which is 58.5%. Major explanatory variable affecting ICU nurse' job stress is appeared musculoskeletal symptoms (𝛽=0.655)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𝛽=-0.252). That is, The more ICU nurses complain of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the less ICU nurses practice health promoting behavior, the more ICU nurses have job stress.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s 2 of ICU nurse' job stress is appeared F=199.332(p<0.001) significantly and modified R-Squared indicating model R-Squared is Adj R²=0.891, R-Squared of which is 89.1%. Major explanatory variable affecting ICU nurse' job stress are appeared musculoskeletal symptoms(𝛽=0.510), health promoting behavior (𝛽=-0.866) and depression(𝛽=0.857). That is, The more ICU nurses complain of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the less ICU nurses practice health promoting behavior or the higher ICU nurses feel depression, the more ICU nurses have job stress. And R-Squared of models 2 added depression in models 1is increased 29.6%. Thus, Mediated effect are appeared partially in ICU nurse' job stress.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련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중환자실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수준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근골격계 질환 및 건강증진행위, 우울 등의 관계를 연구하여, 근무환경개선 및 직무 만족도를 높이고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예방과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중환자실 간호사들의 직무스트레스 관련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4개의 대학병원(대구, 대전, 경기) 및 4개의 종합병원(대전, 태백, 순천)에 근무하는 경력 1년 이상의 중환자실 간호사 195명을 대상으로 2011년 3월2일부터 4월 27일 까지 자료수집을 시행 하였다. 1) 조사대상자는 전체 195명으로 20대 연령의 분포는 48.2%, 30대 38.5%, 40대 이상 13.3%이었고. 근무기간은 5년 이하 22.6%, 6~10년 51.8%, 10년 이상이 25.6%였으며, 현재직위는 일반간호사가93.8% 이였으며, 책임간호사 이상은 6.2%이였다. 결혼여부는 42.1% 기혼 이였으며 57.9% 미혼 이였다. 여가활동을 즐기는 사람이 40.0%였으며 그렇지 않은사람이 60.0% 이였다. NIOSH정의에 따른 근골격계 자각증상을 가진 사람은 31.3%이였고 증상이 없는 사람이 68.7%이였다. 2) 건강증진 행위는 평균 3.02%이였고, 우울은 평균 8.19%이였다. 직무스트레스는 평균 37.84% 이였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행위, 우울 및 직무스트레스의 각각의 차이를 살펴보면, 건강증진 행위에 있어서 연령이 높은군 40대에서, 평균3.58으로 유의하게 높았고(p<0.01). 근무년수에 있어서도, 10년 이상이 평균3.64로 유의하게 높았다 (p<0.01). 결혼여부에서는 기혼자가 평균 3.50으로 미혼자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p<0.001). 근골격 증상 없는 군이 근골격계 증상이 있는 군에 비해 평균3.38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01). 우울에 있어서는 근골격 증상이 없는 군이 평균 6.56으로 근골격계 증상이 없는 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p<0.001). 직무스트레스에서도 근골격 증상이 없는 군이 평균 35.78, 근골격 증상이 있는 군 평균 42.34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p=0.001). 4)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 우울, 직무스트레스의 상관관계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울과 건강증진행위 에 있어서 상관관계는 -0.473(p=0.001)으로 부적인 상관관계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와 건강증진행위와의 상관관계에서도 -0.454으로 유의하였다.(p=0.001). 우울과 직무스트레와의 상관관계에 있어서 0.642으로 정적인 상관관계로 유의하였다(p=0.001). 5)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예측 회귀모형의 모델 1에서 F=40.076 (p<0.001)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수정된 결정계수는 Adj R² = 0.585으로 설명력은 58.5%였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설명변수는 근골격계 자각증상(𝛽=0.655)과 건강증진행위(𝛽=-0.252)로 나타났다. 즉, 중환자실 간호사가 근골격계 자각증상을 호소할수록 또한 건강증진행위를 낮게 실천할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예측 회귀모형의 모델 2에서 F=199.322(p<0.001)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수정된 결정계수는 Adj R² = 0.891로 설명력은 89.1%였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설명변수는 근골격계 자각증상(𝛽=0.510), 건강증진행위(𝛽=-0.866) 및 우울(𝛽=0.857)로 나타났다. 즉, 중환자실 간호사가 근골격계 자각증상을 호소할수록 건강증진행위를 낮게 실천할수록 또한 우울을 높게 느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모델 1에서 우울을 추가로 투입한 모델 2에서 설명력이 29.6%로 증가하여 우울이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부분 매개효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건강증진행위수준과 삶의 질 간의 관련성 연구

        김미경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35391

        이 연구는 근로자의 건강증진행위수준과 최적의 건강상태를 파악하고, WHOQOL-BREF를 이용하여 삶의 질을 측정하여 건강증진행위수준과 삶의 질과의 관련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의정부시 공무원 92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기기입식으로 작성하였고 663부를 최종분석자료로 이용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01년 4월 11일에서 21일까지였으며, 자료분석은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백분율과 산술평균, t-test, 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수준은 총점 4점 중 평균 2.24로서, 연령이 증가할 수록, 소득이 증가할 수록, 공무원 경력이 증가할 수록, 인지한 건강상태가 더 좋을 수록 건강증진행위수준이 높았다. 2. 대상자의 최적의 건강상태는 연령이 증가할 수록, 여자에 비해 남자가, 소득수준이 올라갈 수록, 인지한 건강상태가 좋을 수록 건강상태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삶의 질 수준에 있어 영역별로 보면 전반적인 삶의 질은 3.15점이었으며, 신체적 영역이 3.44점으로 가장 높았다. 그 다음으로 사회적 영역 3.32점, 정서적 영역 3.31점, 생활환경 영역이 3.06점 순 이었으며, 전체 평균은 3.26점이었다. 4.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수준과 최적의 건강상태 및 삶의 질간에 유의한 “정(正)” 관련성이 있었으며, 최적의 건강상태와 삶의 질간에도 유의한 “정(正)” 관련성이 있었다. 5. 대상자의 삶의 질과 관련된 요인을 분석한 결과 최적의 건강상태, 건강증진행위수준, 소득수준, 연령대비 인지한 건강상태, 결혼상태가 삶의 질과 관련된 요인으로 파악되었으며, 이들 요인에 대한 삶의 질의 설명력은 37.1%이었다. 6. 각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질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정기검진, 적절한 수면, 비만관리, 스트레스 관리, 섬유질 식이, 건강관심의 행위에서 삶의 질과 관련성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최적의 건강상태, 건강증진행위수준이 삶의 질과 관련된 가장 중요한 요인이며, 특히 각 건강증진행위들이 삶의 질과 관련된 것을 고려한다면, 근로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건강증진행위에 초점을 둔 건강증진정책개발이 시급할 것이다. 나아가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한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모델개발이 필요할 것이며 이에 향후 연구에서는 조사 대상을 지역사회 및 전 국민 단위로 확대하여 확률표본추출에 의한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health promoting intervention in order to improve quality of life in the industrial worker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663 government officers in Uijonbu city, Kyonggi Province, Korea.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constructed questionnaires from 11 Apr. 01 to 21 Apr. 01 and analyzed by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mean scor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was generally low. Health promoting behavio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ge, income, and perceived health status. 2.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ptimal health status according to age, sex, income, and perceived health status. 3. The factors affecting their quality of life were measured as follows : The physical domain got the highest point of 3.44 while social domain got 3.32, the psychological domain got 3.31 and the environment domain got the lowest point of 3.06. The overall quality of life was rated to be at 3.15. 4.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optimal health status and quality of life. 5. The quality of lif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optimal health status, health promoting behavior, income and perceived health status. The combination of that variable explained 37.1% of quality of life. 6.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health promoting behavior, especially regular health check, sleep pattern, stress management, fiber food diet and reading the health information.

      • 대학생의 자원동원성과 건강증진행위

        조경임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5391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건강증진행위 실천 정도를 파악하고,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2012년 3월 19일부터 3월 25일까지 일 도시에 소재하는 2-3년제 S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481명을 대상으로 한 서술적 단면연구이다. 대상자는 남학생이 52.7%였고 나이는 19세 이하가 52.2%로 가장 많았으며 59.9%가 건강관련 강의 수강 경험이 없었다. 주거형태로는 자택에 거주하는 학생이 54.5%, 한달용돈은 30만원이상이 43.9%, 종교는 59.3%가 없다고 응답했다.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해서는 47.0%가 건강한편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유익성에 대하여는 89.6%가 긍정적으로, 장애성에 대하여는 56.6%가 부정적으로 대답했다. 대상자의 자원동원성은 평균 13.85±22.06점이었고 대상자의 성별, 연령, 학년, 건강과목 수강경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 점수는 평균 4.34점±1.20(62점/100점)으로 흡연, 운동, 간식에서 성별 건강증진행위 실천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건강증진행위 실천 점수로 좋은군(6-7점)과 보통이하군(0-5점)으로 나누어 분석한 일반적 특성에서는 전공계열, 학년, 한달용돈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인지·지각요인에서는 지각된 건강상태와 지각된 장애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자원동원성 수준에 따른 건강증진행위를 분석하기 위해, 자원동원성의 점수를 중앙값 12점을 기준으로 높은군과 낮은군으로 나누어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차이를 검정한 결과 흡연, 운동, 간식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건강증진행위의 좋은군과 보통이하군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다변량분석결과 대상자의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한달용돈, 지각된 건강상태, 지각된 장애성, 자원동원성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자원동원성이 가장 영향력 있는 예측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 예측인자로 지각된 건강상태, 지각된 장애성, 자원동원성이 확인되었으므로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를 효율적으로 증진시키기 위한 전략에 있어 대상자의 지각된 건강상태 정도에 따라 각 대상자의 건강수준을 고려한 대상자별 프로그램 개발을 고려하여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 실천에 대한 불편감이나 만족감을 감소시키는 요인들을 효과적으로 제거시키며 대상자의 자원동원성을 높일 수 있는 학습 프로그램 즉, 내적 대처 자원을 의도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능력을 개발시키는 중재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제언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evel of resourcefulnes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ir health promoting behaviors. The subjects were 481 students at 'S' college in Taegu. The data was collected b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between March 19th to March 25th, 2012. 52.7% of the subjects were male, 52.2% of the subjects were aged under 19 and 59.9% of the subjects had never taken a class related to health education. 54.5% of the subjects inhabited their own house, 43.9% of students got over three hundred thousand won as their pocket money for a month and 59.3% of students had no religious beliefs. 47.0% of the subjects had high self-perceived health status, 89.6% were positive of perceived benefit and 56.6% were negative of perceived barrier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Mean score to the resourcefulness was 13.85±22.06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ge, grade and experience of taking health education. Mean score to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was 4.34±1.20 (62points/100)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moking, exercise, snacking in gender and major, grade, pocket money for a month in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ith the Health Practice Index between 'good group'(6-7) and ' below fair group'(0-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cognitive-perceptual factors such as perceived health status and perceived barriers between 'good group' and 'below fair group'. To analyze health promoting behavior according to resourcefulness, resourcefulness based on the median score(12) was divided into high and low 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such as smoking, exercise and snacking.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s were identified as; pocket money for a month, perceived health status, perceived barriers and resourcefulness. The result of this study confirm that perceived health status, perceived barriers and resourcefulness are predictor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Thus, effective strategy for health promoting behaviors is necessary. It must develop the programs which appropriate the level of health status of each subjects and is effectively removed perceived barriers. In addition the learning program to improve the resourcefulness, that is the enhancing program to promote the ability of the intentional use of internal coping resources of each subjects, should be considered.

      • 일개 군단위 지역 保健醫療서비스의 滿足度

        장해영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5375

        본 연구는 Y군의 일반주민 및 전문가를 대상으로 지역보건소 의료서비스실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보건의료서비스 활성화 방향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2008년 1월7일부터 2월 15일 기간에 우편설문 및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Y군의 일반주민 및 전문가 총 344명을 대상으로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유무와 만족도에 따라 7가지 특성(성별, 연령별, 기관별, 학력별, 경제별(상?중?하), 의료보장별, 역할별)에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 하였다. 통계처리는 데이터 코딩(data coding)과 데이터 크리닝과정을 거쳐 SPSS 12.0 for Window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 교차분석(Crosstabs)에 의한 χ2(카이제곱)과 t-검정을, 세 집단 이상으로 구분되는 연령?진료기관?학력?경제수준별로는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진료기관 이용에서 진료를 받은 경험 전체의 95.1% 그리고 만족도는 매우 높았으며. 연령과 학력만이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건강증진사업에 대한 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59.0%였으며, 만족도 역시 대체로 만족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별로는 경험 유무의 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방건강증진사업에 대한 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60.2%였으며, 만족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별로는 성별, 기관별, 학력별, 역할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염병관리사업에 대한 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83.7%였으며, 만족수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별로는 성별, 연령별, 기관별, 학력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방문보건사업 경험에 대한 분석 결과 전체응답자의 60.2%였으며, 만족수준도 대체적으로 높았다. 이를 종합해 볼 때 보건사업에 대하여 조사대상자의 일부 개인특성별로 차이가 있는 영역이나 프로그램이 있었지만, 대체적으로 보건소 진료 사업에 대한 경험은 많은 편이며, 만족도 수준도 또한 높은 편이었다. 다만, 보건기관에 근무하는 직원의 언행에 대해서는 일부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중점적으로 실시해 주기를 원하는 사업에 대한 분석결과를 보면 금연사업, 한방진료, 예방접종, 방문진료가 필요하므로, 이에 대한 방안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제언 및 시사점으로는 첫째, 직원의 언행 및 주민응대자세에 적극적인 자세에 임하도록 사기앙양 정책과 4S(Stop, Stand, Smile, See 등)운동을 제안한다. 둘째, U-health 시범사업을 보건(지,진료)소별로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만성질환관리율을 높여 건강의 형평성을 추구한다. 셋째, 보건소에서 보건지소, 보건진료소로 연계된 주민참여가 가능한 홈페이지와 정부행정전산망을 구축하여 업무의 생산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넷째, 생애주기별. 생활터별로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하며 표준화된 홍보방안 및 one-stop 서비스로 건강증진사업에 효율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다섯째, 주민 통합서비스 정보망을 인지하고 복지서비스대상자가 누락되지 않도록 보건복지연계를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끝으로 보건소 보건의료서비스 만족도에 대한 다양한 변수, 조사방법, 분석방법, 향상방법 등에 대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basic data for improving way of medical services in Yeongyang county and consider actual medical service of local health center in province against inhabitants and experts who live in Yeongyang county. To do this, differences of 7 characteristics(sex, age, service, educational background, finance(upper, middle, lower), medical service guarantee, role( inhabitants and experts) were analyzed by satisfaction rate and using or not, of health center user against all told 344 persons who were divided into inhabitants and experts in Yeongyang county in Kyungpook, South korea. Statistics process of collected data used χ2 and t-test by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Analysis, Crosstabs using by SPSS12.0 for Windows statistics package program through data coding and data cleaning and as for age, medical agency, educational background, financial level which are composed more than 3 groups, Oneway ANOVA was carried. And the results are as below. First, in case of using medical agency of the subjects, it appeared 95.1% of them are satisfied. There are som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in age and educational background but none in general characteristics. Second, in case of health promotion campaign, 59.0% have experience and satisfying rate is also higher in general. And it showed that experience or non-experience in general characteristics are not effect on statistical significance. Third, in case of oriental health promotion campaign, 60.2% have experience and satisfying rate is also higher in general. There are some statistical meaningful differences in sex, agency, educational background, and role in general characteristics. Fourth, in case of epidemic control campaign, 83.7% of them have experience and satisfying rate is also higher in general. There are some statistical meaningful differences in sex, age, agency, and educational background in general characteristics. Fifth, in case of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60.2% of them have experience and satisfying rate is also higher in general. To sum up these results, there are some fields and programs which make differences i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gainst health agency campaign, but most of them have experience of health center program and satisfying rate is also higher in general. But words and actions of center staffs need improvements a little. And results after analyzing most wanted programs are revealed as stop smoking program, oriental health care program, vaccination, visiting health care service, so it seems to provide positive solutions for these results.

      • 임산부의 걷기 운동 수준과 스트레스 및 우울 간의 관련성

        정은영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5375

        본 연구는 임신 중 경험하게 되는 스트레스 및 우울증상의 수준과 관련 요인을 파악하고, 스트레스 및 우울증상에 대처하기 위한 방법으로 걷기 운동을 통한 정신건강의 증진을 제시하고자 실시되었다. 2015년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임산부 총 1,081명을 대상으로 걷기 운동 수준과 정신건강(스트레스 인지, 우울증상 경험)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임산부는 임신으로 인해 스트레스, 우울 등 감정의 변화들을 겪게 되며, 이러한 문제들은 산모와 태아에게 여러 문제점들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임신 기간 동안의 정신건강관리는 임산부 개인뿐 아니라 자녀의 건강한 삶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건강조사(2015)의 스트레스 인지 및 우울증상 경험에 관한 문항들을 이용하여 임산부의 정신건강을 연구하였다. 스트레스 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은 ‘스트레스 여부’, ‘높은 스트레스 여부’ 두 가지 정의를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스트레스 여부’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인 요인으로는 200~300만 원 사이의 월 가구 소득, 6시간 이하 및 7~8 시간의 수면시간, 특별시∙광역시의 거주 지역, 직업을 가지고 있는 경우, 걷기 운동 미실천시 스트레스 인지율이 높았다. ‘높은 스트레스 여부’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인 요인으로는 200~300만 원 사이의 월 가구 소득, 걷기 운동 미실천시 스트레스 인지율이 매우 높았다. 우울증상 경험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 요인으로는 200~300만 원 사이의 월 가구 소득과 1개의 만성질환을 보유했을 때 우울증상 경험 여부가 높았고, 걷기 운동 미실천군에서 우울증상 경험률이 다소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위의 연구를 통해 걷기 운동은 임산부의 스트레스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리라 사료되며, 우울증상에 있어서도 걷기 운동 실천시 임산부에게 더 유익함을 보였다. 따라서 임산부의 걷기 운동 참여 및 확산을 위해 임산부의 신체적, 정신적 변화에 맞는 건강관리 표준 매뉴얼과 임산부에게 가능한 다양한 걷기 방법을 소개하는 매뉴얼 개발이 필요하리라 사료되며, 임신 시 스트레스와 우울증상을 조기에 발견하고 심리적 지지를 강화할 수 있도록 지역 보건 임산부 건강프로그램이나 맞춤형 방문건강관리 등도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더불어 지역사회의 건강관리자원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국가적 차원의 관심과 지원이 제공된다면 임산부의 정신건강증진에 효율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study level of stress and depression symptoms experienced during pregnancy and related factors and provide improvement in mental health with walking exercise as a method to cope with stress and depression. 2015 Community Health Survey was analyzed for the study, and 1,081 pregnant women were analyzed of correlation between walking exercise level and mental health(cognition of stress, depression). Pregnant women are exposed to emotional alteration such as stress and depression from pregnancy and such problems may cause various troubles for not only the mother, but also for her baby. Therefore, maintaining mental health during pregnancy is very crucial for healthy life of mother and her child. This study investigated mental health of pregnant women using surveys regarding stress cognition and experience of depression symptoms in Community Health Survey(2015). Factors influential at stress cognition were evaluated under two criteria of ‘stress’ and ‘great stress’. Factors showing statistically relevant relevance to ‘stress’ were monthly income in range of 2 million to 3 million Won, 6 and shorter or 7~8 hours of sleep, address of current establishment in metropolitan cities, employment, and lack of walking exercise; factors showing statistically relevant relevance to ‘great stress’ were monthly income in range of 2 million to 3 million Won and lack of walking exercise. As for factors with statistical relevance to experience of depression symptoms, subjects with monthly income in range of 2 million to 3 million Won or 1 chronic disease had more experience of depression symptoms; subjects lacking in walking exercise did had some more experience of depression symptoms,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 study, walking exercise is considere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in reducing stress in pregnant women. As for depression symptoms, walking exercise was more beneficial for pregnant women. Therefore, for participation and spreading of walking exercise in pregnant women, a customary health care manual that reflects physical and mental alteration in pregnant women and another manual that introduces various walking exercises for pregnant women are to be developed. Also, community pregnancy health program or personal visiting health care are necessary for early diagnosis of pregnancy stress and depression and reinforcement of psychological support. Furthermore, if national level of attention and support are provided to boost health care resources in community, much efficient management of mental health care in pregnant women can be accomplished.

      • 중학교 및 고등학교 교직원의 운동습관과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최봉영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35375

        본 연구는 남·녀 교직원의 일반적 특성(성별, 연령별, 중고별)에 따른 건강상태와 운동습관에 따른 건강상태를 파악하여 교직원에 맞는 효율적 건강프로그램의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2000년 9월부터 11월까지 공무원 건강진단을 받은 중고교직원으로 남자교직원 314명, 여자교직원 214명으로 전체 528명을 대상자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사용한 문진표 중 과거 병력 문항(1문항), 현재 건강상태 인지(1문항), 운동여부(2문항), 질병 조기발견을 위한 문항(18문항) 등 총 22문항을 이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백분율과 카이제곱, t-test,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 528명중 남자 59.5%, 여자 40.5%이며, 연령별로는 30∼40 대가 각각 36.7%, 34.5%로 가장 많았으며, 중·고별로는 각각 34.1%, 65.9%로 분포되었다. 2. 교직원의 운동습관으로 땀이 날 정도의 운동을 일주일에 몇 번하냐는 질문에 교직원 중 58.9%가 운동을 한다고 응답하였고, 운동시간에 대한 질문에서는 30분이상 1시간미만이 35.7%로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성별에 따른 운동습관은 남자 교직원이 여자 교직원에 비해 3.36배 더 운동을 하고 있었으며, 연령별 운동습관은 60대가 78.6%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많은 교직원들이 운동을 하고 있었다. 중고별의 운동습관은 고등학교 교직원이 더 운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신체적 건강상태의 정상판정율은 여자교직원이 56.1%로 남자교직원보다 높았으며 연령별에서는 20대의 정상판정율이 높은 반면 40대부터 정상판정율이 40.7%로 현저히 낮아졌다. 5. 주관적 건강상태에서 53.2%만이 '현재 건강하다'고 인지하였고, 일반적 특성 의하면 남자교직원의 건강 인지율이 높았고 60대가 64.3%로 건강 인지율이 가장 높았다. 중고별에서는 남자교직원이 많은 고등학교에서 56.5%로 다소 높게 나타났다. 특히 운동을 하는 교직원에서는 65.5%가 '현재 건강하다'고 인지하고 있었다. 6. 신체증상 및 증후의 개수는 평균 2.65개였고, 운동습관에 따른 교직원의 신체증상 및 증후 평균 개수는 2.19개로 운동할 때 평균개수가 적었으며, 신체적 건강상태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정상군 2.69개로 불편을 호소하는 경우가 다소 많았다. 7. 건강 인지군의 신체건강상태는 58.7%로 '건강하다라고 인지하는 사람일수록 신체적 건강상태가 좋았다. 8. 운동습관과 신체적 건강상태의 변인분석 결과는 정상군이 질환의심군보다 0.97배 적게 운동하고 주관적 건강상태의 변인분석에서는 건강군이 불건강군보다 1.76배 더 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교직원의 일반적 특성(성별, 연령별, 중고별), 운동습관에 따른 건강상태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남자교직원의 운동을 많이 함에도 불구하고 여자교직원의 신체적 건강 상태가 좋다는 것은 운동뿐만 아니라 스트레스, 흡연, 음주 등을 함께 통제할 때 건강을 유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운동은 젊었을 때 하는 것이 좋고, 운동을 하면 주관적 건강상태도 좋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의 단면적 연구로 인해 운동습관과 신체적 건강상태의 관련성을 명확히 제시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으므로 차후 세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the relation between the teachers' habits of usual exercise and the health condition, physical and subjective. The targets of this study are the 528 male and female teachers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 in Seoul from twenty to sixty five years old who took physical examinations in one hospital in Seoul over a year. In collecting the data, the normal characteristics and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of the target teachers and the information about whether they exercise or not are acquired through the paperwork research. The physical health conditions of the target teachers are classified into the normal group and disease-suspected one after physical check-ups on blood, urine, chest, with the results being judged by the doctors. And the teachers were asked to give answers with 'yes' or 'no' to 18 questionnaire, and the 'yes' answers were analyzed again with each element's average points. In analysis, normal characteristics are shown by a real number and percentage, and the relation among the characteristics, health condition and exercise habits is analysed by x^2 and t-test. And to identify the variables concerning an exercise, 'simple logistic regression' was conducted with such variables as normal characteristics(sex, age, school), physical health condition and his/her sense of present health condi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Of the 528 teachers, 59.5% was male and most were from 30's to 40's and 34.1 % was from the middle school while 65.9% was from the high school. The teachers were asked how many times a week they take exercise sweating. Then 58.9% of them said they were taking exercise, with 70.7% of men and 41.6% of women answering they were taking exercise. And 35.7% of them were taking exercise over 30 minutes and within an hour. The rate of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exercise is steadily on increase and male teachers are more active than female teachers in exercise. And with age, there is a tendency that the older they are, the more eagerly they want to exercise. This is supposed to be owing to the Perceived Importance of Health that gets stronger as one gets older. This corresponds with the study of Song, Kem-Sook (2000) that says the older one is, the more responsibility of health one has. In this research, the rate of the normal physical health conditioned teachers was 51% and that of abnormal ones was 49%. The former is a little higher than that of the latter but the latter is on increase every year. And the relation between exercise habit and physical health condition turned out to be different from our expectation, showing the rate of abnormal health condition is higher than that of normal one, and this suggests that we need further study on. When asked about subjective sense of health, 53.2% of the teachers answered they are healthy while 46.9% answered the opposite. This positive answer is applied to 55% of male teachers while applied to 53.1% of female teachers. And the teachers taking exercise thought their exercise helped to keep them healthy. In the inquiries asking the symptom and sign of feeling uncomfortable about their body, 39.1%, the biggest number answered it's 'chronic fatigue syndrome', and when given 18 questions about symptoms and signs, they answered 'yes' with average 2.65. The teachers taking exercise answered with average 2.19 while those not taking exercise answered with average 3.36, which shows that exercise reduces the points. As you see in this study, the teachers' abnormal healthy condition is getting worse and worse every year. But we can also know that their life style for health activity and health enhancing has not changed much. In this situation, the teachers should change their life style in an attempt to try to live a healthy life. A regular exercise not only provides a base for an abundant life but also enhances the teachers' life quality.

      •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교직원의 피로요인 탐색연구

        이희우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35375

        본 연구의 목적은 교직원이 경험하고 있는 신체 증상 및 증세 중 가장 많은 빈도를 차지하고 있는 '최근 이유 없는 피로'의 현황파악 후,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할용하여 그 관련요인과 건강상태에 대한 특성을 파악 및 평가함으로서 '이유 없는 피로'를 지각하고 있는 교직원의 건강관련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첫째, 서울시 학교보건원에서 2000년도 9월부터 11월 까지 2년마다 실시되는 공무원 및 사립학교 교직원 신체검사를 받은 초.중.고 교직원 1,147명(남자 545명, 여자 602명)의 신체검사판정결과와 설문자료를 이용하여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한 후, 둘째, 피로군과 비피로군의 인구학적특성, 신체건강상태, 현재건강인지, 신체증상에 대해 빈도분석, 카이제곱분석, t-검정 및 단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두 집단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후 전 단계에서 얻어진 유의한 변수는 데이터 마이닝의 의사결정나무분석의 입력변수로 투입하였다. 또 최적의 분류 모형을 구축하기 위해 SAS E-Miner를 이용하여 교차타당성(5 Fold Cross-Validation)방법을 통해 의사결정나무분석 중 CHAID, C4.5, CART 모형과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평가하였으며, 그 중 가장 정확률과 안정성이 높은 CART모형으로 의사결정나무를 형성 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체교직원 피로율은 41.1%(남자 35.2%, 여자 46.4%)이었고, 피로가 종속변수인 단순 로지스틱회귀분석결과 남자에 비해 여자의 교차비(odds ratio)는 1.58배로 높았고, 60대에 비해 20대는 교차비 20.67배로 매우 높았으며, 또 고등학교 교직원에 비해 중학교 교직원의 교차비는 1.86배로 높았다. 둘째, 신체검사 판정결과 남자교직원에서 '고혈압의심군'으로 판정받았을 때 피로율(18.37%)은 정상혈압군의 피로율(36.9%) 보다 오히려 낮았다. 피로군의 수축기 및 이완기혈압 평균은 남자에서 각각 비피로군 보다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세째, 현재건강인지에서 남.녀 모두 자신의 건강상태를 '건강하다'고 생각할 때 피로율이 가장 적었으며, '건강하다'고 생각할 때에 비해 '무슨 병이 있는 것 같다'고 생각할 때 교차비는 5.43배로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네째, 생활습관과 피로의 관계에서는 식사습관이 '규칙적이다'에 비해 '불규칙하다'의 교차비가 2.47배로 높았다. 흡연습관에서는 '거의 피우지 않는다'에 비해 '지금은 끊었다'의 교차비는 0.47배로 오히려 낮았다. 또한 '운동시간이 30분미만'에 비해 '1시간이상 2시간 미만' 교직원의 교차비는 0.46배로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신체증상과 피로의 관계를 살펴보면 증상이 없을 때 비해 있을 때 교차비가 각각 수면장애 3.77배, 평소 기침.가래 많음 2.09배, '운동 및 식후 혹은 흥분했을 때 가슴의 통증' 3.78배, 가슴 두근거림 2.99배, 현기증 3.94배, '운동시 숨이 심하게 참' 4.28배, 상복부 통증 가끔 2.82배, 제산제 먹으면 복부통증 감소 3.72배, '식사후 트림 및 복부 포만감' 2.73배, '목으로 시거나 쓴물이 넘어옴' 3.92배, 식욕감퇴 및 체중감소 3.74배, '대변이 짜장 같이 까맣게 나온 일 자주 있음' 2.65 배, 헛배나 장에 가스 3.09배, 무른변이나 변비 1.92배, 대변후 하복부 통증 감소2.97배로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가장 예측력이 좋은 모형은 CART이었다. 일반적인 통계분석에서 유의하면서, 서로 동질성이 없는 변수를 CART모형에 투입한 결과 '건강하다'고 생각하면서 37.5세 이상일때 피로율은 단지 19.3%로 가장 낮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건강하다'고 생각하면서 37.5세 미만인경우에 운동 30분이상, 콜레스테롤 156.5mg%이상이면서, 음식을 보통 또는 싱겁게 먹을때 피로율은 아직도 20.6%이다. 하지만 '건강하지 않다'라고 생각하면서, '운동시 숨이 심하게 찬다'라는 자각증상이 있으면서, 53.5세 미만이면서, BMI가 22.69 이상일때 피로율은 84.8% 까지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교직원의 '피로'와 관련된 요인은 단지 객관적 건강상태보다는 나이, 성별, 현재건강인지, 주관적 증상, 운동, 흡연, 식습관, 콜레스테롤, BMI, 그리고 혈압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identify general characteristics of school personnel with recent fatigue which was the most frequent among subjective symptoms, and to explore fatigue related factors by evaluating physical health status, perceived health status, life style, and symptoms through using data mining techniques. The first study made a data of the 1,147(male 545, female 602) who were elementary, middle, or high school personnel, answered a questionnaire, and received physical examination in Seoul School Health Center from September to November in 2000. The second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between fatigue group and non-fatigue group fo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hysical health status, perceived health status, symptoms, and laboratory values by frequency, chisquare, t-test, or sim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then selected significant variables as input variables of a decision tree analysis of SAS EMiner. Further more, to find the most suitable and predictable model, the study assessed CHAID, C4.5, CART, and logistic regression through a crossvalidation method.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In general characteristics, the fatigue consisted of 41.1%(male 35.2%, female 46.4%) of the 1,147 school personnel. In physical health status of male, the proportion of the fatigue of hypertensive group (18.37%) was lower than that of normotensive group (36.90%). The each mean of the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of fatigue group was also lower than that of non-fatigue group in male In simple logistic regression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ected variables and fatigue, the odds ratio of female over male was 1.58, and age 20s over 60s 20.67, middle over high school personnel 1.86. In current perceived health status including the healthy, the average, the poor, and the presence of self-reported disease, the odds ratio of the poor over the healthy was 5.43. and the average over the healthy 4.07. In life style, the odds ratio of 'irregular eating habit nearly everyday' over 'regular eating habit' was 2.47, but past-smoker over nonsmoker 0.47, 'greater than or equal to 1 hour & less than 2 hours' over 'less than 30 minutes' in exercise duration 0.46. In each odds ratio of yes over no symptom, insomnia 3.77, a lot of cough with sputum 2.09, chest pain during exercise or after eating 3.78, palpitation 2.99, dizziness 3.94, severe short of breath during exercise 4.28, occasional epigastric pain 2.82, decreased abdominal pain after antiacids ingestion 3.72, belching after eating 2.73, bitter sensation in throat 3.92, loss of appetite and weight 3.74, frequent dark colored stool 2.65, abdominal fullness 3.09, loose stool or constipation 1.92, lower abdominal pain improved after defecation 2.97. Finally, the most predictable model was CART. In CART model, if health perception was healthy, and age was greater than or equal to 37.5 years, the proportion of the fatigue was only 19.3%. If health perception was healthy, age was less than 37.5 years, exercise duration was greater than or equal to 30 minutes, cholesterol value was greater than or equal to 156.5 mg%, and eating habit was not salty, the proportion of the fatigue was still 20.6%. However, if health perception was not healthy, symptom was severe short of breath during exercise, age was less than 53.5 years, and BMI was greater than or equal to 22.69, the proportion of the fatigue was up to 84.8%. Therefore, fatigue related factors in school personnel were age, gender, perceived health status, subjective symptoms, exercise, smoking, eating habit, cholesterol, BMI, and blood pressure rather than only physical health status.

      • 치매환자 및 뇌졸중환자 배우자의 삶의 질

        이현주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5375

        치매환자 및 뇌졸중환자 배우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6년 지역사회건강조사자에 참여한 2,504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치매환자 배우자와 뇌졸중환자 배우자의 일반적 특성, 건강행태, 건강상태 및 의료이용특성, 삶의 질을 비교하고 이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치매환자 배우자의 삶의 질 점수는 0.78, 뇌졸중환자 배우자의 삶의 질 점수는 0.77로 두 질환자의 배우자의 삶의 질 차이는 없었다. 삶의 질을 종속변수로 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치매환자 및 뇌졸중환자 배우자군모두에서 영향을 미치는 공통요인들로는 직업, 걷기실천, 음주, 우울, 필요의료서비스 치료 유무였다. 치매환자 배우자에서는 교육수준, 만성질환 개수, 뇌졸중환자 배우자에서는 가구 소득, 흡연, 중등도 이상 신체활동, 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치매환자 배우자의 삶의 질의 경우 교육수준이 높고(β=.102, p=.020), 걷기를 실천할 경우(β=.146, p<.001), 우울하지 않을 경우(β=.152, p<.001), 필요의료서비스 치료를 받는 경우(β=.156, p<.001) 삶의 질이 높았으며, 직업이 없는 경우(β=-.207, p<.001), 음주를 하지 않는 경우(β=-.107, p=.013), 만성질환 개수가 많을수록 (β=-.152, p<.001) 삶의 질이 낮았다. 뇌졸중환자 배우자의 삶의 질의 경우 가구소득이 높고(β=.085, p<.001), 중등도 이상 신체활동과(β=.038, p=.044) 걷기를 실천할수록(β=.151, p<.001), 스트레스가 없고(β=.171, p<.001) 우울하지 않을수록(β=.193, p<.001), 필요의료서비스 치료를 받는 경우(β=.180, p<.001) 삶의 질이 높았으며, 직업이 없는 경우(β=-.222, p<.001), 흡연을 하지 않는 경우 (β=-.049, p=.010) 음주를 하지 않는 경우(β=-.137, p<.001) 삶의 질이 낮았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치매환자 배우자는 뇌졸중환자 배우자의 비슷한 수준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가지고 있어 이들을 대상으로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접근과 개입이 필요하다.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인 직업, 가구소득 수준을 적절하게 제공하기 위한 정책적 접근과 부양으로 인한 우울 및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보건의료적인 프로그램 및 서비스 제공이 우선 요구된다. 환자 배우자가 충분한 신체활동 및 걷기를 할 수 있는 여건 마련과 필수의료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접근전략도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spouses of dementia patients and stroke pati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04 people who participated in community health research in 2016.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behaviors, health status, medical use characteristics, and quality of life of the spouses of the demented patients and stroke patients were compared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ir quality of life were examined. The quality of life of the spouses of dementia patients was 0.78, and of the spouses of the stroke patients was 0.77, showing no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life of the spouses of the two pat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quality of life as a dependent variable showed that the common factors affecting both dementia and stroke patient spouses were occupation, walking, drinking, depression, and whether there is need for medical services or not. In spouses of dementia, education level and number of chronic diseases were additional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while household income, smoking, moderate physical activity, and stress were additional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in the spouses of stroke patients. In other words, the quality of life of spouses of dementia patients was higher when the level of education was higher (β=.102, p=.020), if they had a job (β=-.207, p<.001), participated in walking exercise (β=.146, p<.001), drank (β=-.107, p=.013), were not depressed (β=.152, p<.001), were not part of a group requiring medical service (β=.156, p<.001), or had fewer number of chronic diseases (β=-.152, p<.001). In other words, the quality of life of spouses of stroke patients was higher when the household income was higher (β=-.222, p<.001), smoked (β=-.049, p=.010) and drank, participated in moderate physical activity(β=.038, p=.044), walked (β=.151, p<.001), had no stress (β=.171, p<.001), were not depressed (β=.193, p<.001), or were not part of a group requiring medical service (β=.180, p<.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e spouses of dementia patients have a similar level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o the spouses of stroke patients. Based on this, approach and intervention are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life. The policy approach to providing appropriate levels of occupational and household income, which is a social determinant to health, is necessary, as well as healthcare programs and services provided as a priority to resolve depression and stress by taking care of patients. A variety of strategies are also needed to provide conditions where patient's spouses can participate in sufficient physical activity and utilize essential health services.

      • 초등학생 치아우식 발생에 미치는 요인

        권경순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5359

        To find out the cause of elementary students' dental caries, this research made up the questionnaire about children's common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 or habit concerned with oral health, and analyzed it based on oral medical check-up report between 2011 and 2012. The result is like this. The oral medical check-up shows that dfs index decreased from 6.45±8.13 in 2011 to 4.96±7.17, and that DMFS index increased from 1.00±2.10 in 2011 to 1.23±2.38 in 2012, which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the past one year, children who didn't visit any dental clinic increased in DMFS index from 1.15±2.26 to 1.40±2.61 in 2011, whereas children who visited a dental clinic declined in DMFS index from 0.72±1.71 in 2011 to 0.89±1.83 in 2012, which sh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The DMFS index of children who take in sweet and sticky meal (which can result in caries teeth) more than 4 times a day for a week on averag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hildren below once. The higher the frequency taking in cavity-causing beverage such as sodas, sports beverage, fruit juice, etc, for one week, the higher the DMFS index becam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ose who subjectively feel that their teeth are not healthy, DMFS index of children who feel their teeth are healthy became low statistically significantly. Children who experienced toothache for the past one year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d in DMFS index than those who didn't. According to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DMFS index of fifth-grade schoolers 3.476 times more increased than that of second-grade schoolers, and in terms of their fathers' school background, fathers who graduated university or graduate school 2.940 times more increased in DMFS index, compared to those who graduated high school. On top of that, children who took in cavity-causing beverage below once 3.535 times more increased than those who ingested more than 4 times, and children whose subjective oral health condition is healthy were 0.206 times lower than those whose oral health condition isn't healthy in terms of DMFS index. To sum up, with regard to children's common trait, experience and habit concerned with oral health, the habit to brush teeth in the right way is more important than the frequency of brushing teeth, and systematic oral health education is needed in order to limit the ingestion of cavity-causing meal and beverage. Especially, children in economically vulnerable class will have to be given systematic oral health care that schools provide, because it turns out that their oral health care is not managed highly in their homes, resulting from their parents' low oral health care awareness. Accordingly, if dental hygienists continue to provide oral health care systematically in school, it is thought that a great effect will be had on improving life-long oral health, not just the prevention of elementary students' dental caries.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의 1년간 치아우식 발생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아동의 일반적인 특성과 구강건강관련 경험 및 습관을 설문조사하고 2011년과 2012년의 구강검진 기록을 바탕으로 하여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구강검진 결과 우식경험유치면지수는 2011년도 6.45±8.13에서 2012년도 4.96±7.17로 감소하였고, 우식경험영구치면지수는 2011년도 1.00±2.10에서 2012년도 1.23±2.38로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2. 지난 1년간 치과방문을 하지 않은 아동은 2011년도 1.15±2.26에서 1.40±2.61로 증가하였으며, 치과방문을 한 아동은 2011년도 0.72±1.71에서 2012년도 0.89±1.83으로 우식경험영구치면수가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3. 지난 1일주일 동안 하루평균 달거나 치아에 끈적끈적하게 달라붙는 우식성 간식을 1번 이하 섭취하는 아동보다 4번 이상 섭취하는 아동의 우식경험영구치면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4. 지난 1주일 동안 하루평균 탄산음료, 스포츠음료, 어린이 음료, 과일 주스 등 우식성 음료를 섭취하는 횟수가 많을수록 우식경험영구치면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5. 주관적으로 구강이 건강하지 않다고 느끼는 아동에 비해 보통이거나 건강하다고 느끼는 아동의 우식경험영구치면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6. 지난 1년간 치아통증을 경험한 아동이 경험하지 않은 아동보다 우식경험영구치면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7.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에 의하면, 2학년에 비해 5학년의 우식경험영구치면지수가 3.476배 증가하였고, 아버지의 교육수준이 고졸이하에 비해 대졸이상이 2.940배 증가하였다. 또한 우식성 음료를 1번 이하 섭취한 아동에 비해 4번 이상 섭취한 아동의 우식경험영구치면지수가 3.535배 증가하였고, 주관적 구강건강상태가 건강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건강한 경우의 우식경험영구치면지수가 0.206배 낮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어린이의 일반적인 특성, 구강건강관련 경험 및 습관과 관련하여 칫솔질 횟수보다는 올바른 칫솔질 습관이 중요하며, 우식성 간식과 음료의 섭취를 제한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구강보건교육을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특히, 취약계층의 아동일수록 부모의 구강건강행동에 대한 긍정적 영향력이 낮아서 가정에서의 구강건강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학교에서 제공되는 체계적 구강건강관리가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학교에 치과위생사가 상주하여 계속구강건강관리사업을 체계적으로 제공한다면, 초등학생 치아우식 예방과 더불어 평생 구강건강증진의 기틀을 다지는데 효과가 클 것으로 사료된다.

      • 도시지역 전.후기 독거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영향요인

        홍선이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5359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etween the young and old-old in vulnerable elderly. Methods: The convenient sample consisted of 220 subjects from 65 to 85 years old.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from December 5 to December 30, 2012. Chi-square, t-test, ANOVA, Duncan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eint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 old-old is higher the level of depression than the young-old. The young-old is higher the level of social-support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an the old-old. The model including variables related to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aspects of life, explained variance of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elderly differently, such as 41.4% of young-old and 47.1% of old-old. Finally, IADL depression and social-support were predictors in explaining the level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etween the young and old-old in vulnerable elderly.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nursing interventions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differences between the young and old-old in vulnerable elderly. 본 연구는 취약계층 전기와 후기 독거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영향변인 수준의 차이를 파악하고 영향변인 간의 상관관계와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규명함으로써 취약계층 독거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향상과 전 · 후기 연령에 따른 차별화된 취약계층 노인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서는 취약계층 독거노인은 전기에 비해 후기노인이 우울, 사회적 지지 및 건강관련 삶의 질의 정도가 취약하여 연령이 증가할수록 건강관련 삶의 질을 비롯하여 사회정신적 건강요인에서 부정적인 경향이 있었다. 대상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변인도 전기노인은 우울, 후기노인은 사회적 지지가 가장 주요 변수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취약계층 전기 독거노인과 상대적으로 취약한 취약계층 후기 독거노인에 대한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연령 집단별 차별화될 필요성을 제시할 수 있다. 노인의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한 간호중재 개발을 위해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측면을 포함하는 다차원적인 접근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또한 도시 취약계층 독거노인에게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사회적 지지체계 연계망을 확충해주는 일이 우선시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이해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의의가 있다고 본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일 지역에 거주하는 도시지역 독거노인만을 조사대상으로 함으로써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향후 전체 집단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최대한 반영할 수 있도록 엄격한 표집방법을 통한 연구 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에도 불구하고,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일부 요인만을 적용함으로써, 도시지역 독거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관한 통합적 정보를 제공하는데 제한성을 지녀 향후 취약계층 독거노인이 연령집단에 따라 지각하는 건강관련 삶의 질의 예측 모형 구축을 위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