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청취환경에 따른 4~5세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청각적 작업기억
이아영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Auditory working memory is the ability to acquire new phonemes of a language presented in the form of auditory stimuli and to store and recall the information and form of words. In the case of low auditory working memory, it shows difficulties in daily conversation due to defects in auditory information processing, and difficulty in acquiring vocabulary and grammar morphemes and language comprehension. Most communication environments are exposed to noise, and in order to perceive speech in a noisy environment, working memory capacity is highly involved in the aspect that it is necessary to remember input information and infer information lost due to noise at the same time. In the process of acquiring and using vocabulary, a lot of auditory working memory is required.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have difficulty acquiring and using vocabulary due to low performance of working memory,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vocabulary acquisition and recognition. Therefore, identifying the auditory working memory according to the listening environment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and mediating it in an environment favorable to listening can help the acquisition of vocabulary and grammatical morphemes and language comprehen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s of auditory working memory according to the listening environment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subdomains(digit span, competing language processing task, blank filling in continuous words, single processing load condition task) of the auditory working memory task.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 total of 40 children, 20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and 20 normal children aged 4 to 5 years old living in Busan and Gyeongnam. Subjects were selected through KBIT2 and REVT. In this study, the auditory working memory task was conducted in a noise environment and a non-noise environment, and a two-way ANOVA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listening environment and each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uditory working memory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and normal childre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auditory working memory than normal children in both non-noise and noise environments, and in both group and listening environments. The interaction effect according to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normal children performed better in a noise environment than in a non-noise environment, whereas children with simple language impairment performed better in a non-noise environment than in a noise environment.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uditory working memory subdomains according to the listening environment and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all subdomains, and the interaction effect was significant in digit span, competing language processing task, and blank filling in consecutive words. However, in the case of single processing load condition task,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was shown.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auditory working memory betwee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and normal children were confirmed according to the listening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ffective language intervention can be provided if auditory working memory is checked and systematically provided for each subdomain in an environment favorable to listening during the intervention of vocabulary, grammatical morpheme and language comprehension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청각적 작업기억은 청각적 자극의 형태로 제시되는 언어의 새로운 음소를 습득하고 단어의 정보와 형태를 저장하고 회상하는 기능이다. 청각적 작업기억이 낮은 경우 청각적 정보처리의 결함으로 일상 대화에서 어려움을 보이며 어휘 및 문법 형태소의 습득과 언어이해에 어려움을 보인다. 대부분 의사소통 환경은 소음에 노출되어있으며, 소음 환경에서 말소리를 인지하기 위해서는 청각적으로 제시된 정보를 기억함과 동시에 소음의 영향으로 손실된 정보를 추론해야 한다는 측면에서 작업기억 용량과 소음의 관련성이 높다. 어휘를 습득하고 사용하는 과정에서 많은 청각적 작업기억이 요구되는데,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어휘습득과 재인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작업기억의 낮은 수행으로 인해서 어휘를 습득하고 사용함에 어려움을 나타낸다. 따라서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청취환경에 따른 청각적 작업기억을 파악하고 청취에 유리한 환경에서 중재한다면 어휘 및 문법형태소의 습득과 언어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청취환경에 따른 청각적 작업기억의 특성을 확인하고 청각적 작업기억 과제의 하위영역(숫자 따라 말하기, 문장 폭 기억하기, 연속단어 빈칸 채우기, 속성에 따라 단어 배열하기)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부산, 경남 지역에 거주하는 4∼5세 단순언어장애 아동 20명, 일반 아동 20명 총 4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KBIT2, REVT를 통하여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청각적 작업기억 과제를 소음 환경과 비소음 환경에서 실시하였으며 청취환경과 각 집단에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기 위해 이원배치분산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청각적 작업기억을 살펴본 결과, 비소음 환경과 소음 환경 모두에서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일반 아동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청각적 작업기억을 보였으며 집단 및 청취환경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일반 아동은 비소음 환경보다 소음 환경에서 과제의 수행력이 높았던 반면,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소음 환경보다 비소음 환경에서 과제의 수행력이 높았다. 둘째, 청취환경 및 집단에 따른 청각적 작업기억 하위영역을 살펴본 결과, 모든 하위영역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숫자 따라 말하기, 문장 폭 기억하기, 연속단어 빈칸 채우기에서는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속성에 따라 단어 배열하기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청취환경에 따른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청각적 작업기억의 특성 및 차이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어휘 및 문법 형태소와 언어이해 중재 시 청취에 유리한 비소음 환경에서 청각적 작업기억을 확인하고 각 하위영역 과제를 체계적으로 중재한다면 효과적인 언어 중재를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4˜6세 말소리장애아동의 작업기억 및 주의력 특성과 조음능력 간 상관
이채은 부산가톨릭대학교 언어청각치료학과 2022 국내석사
작업기억(working memory)은 정보를 저장하고 조작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작업기억의 하위요소 중 음운루프는 음운적, 음향적 정보를 일시적으로 유지 및 저장하는 역할로 언어적 작업기억을 담당하고 있으며 시공간 스케치패드는 시공간적 정보를 수집하는 비언어적 작업기억을 담당한다. 언어는 오감으로 인지된 모든 정보가 처리되는 복합적인 과정이며, 특히 조음능력은 개인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변이를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언어적 작업기억 뿐만 아니라 비언어적 작업기억과 필요한 정보를 선택하고 순차적으로 정리 및 실행하는 주의력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러한 특성이 조음능력과 상관이 있는 지를 살펴보았다. 연구의 대상은 4~6세의 말소리장애아동 15명과 일반아동 16명으로 하였다. 말소리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선정을 위해 REVT-R, OSMSE-R, U-TAP의 단어검사를 실시하였다. 각 집단의 작업기억 중 언어적 작업기억은 숫자거꾸로 따라말하기, 무의미단어 따라말하기 과제, 비언어적 작업기억은 색칠하기, 토막 두드리기 과제를 통해 살펴보았다. 각 집단의 주의력 중 선택적 주의력은 시각, 시청각, 청각 과제, 지속적 주의력은 숫자연속, 색깔연속, 방해모양, 방해색깔 과제를 통해 살펴보았다. 또한 말소리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작업기억 및 주의력이 조음능력의 하위요인과 상관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 간 언어적 작업기억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무의미단어 따라말하기 과제에서 말소리장애아동이 일반아동보다 낮게 나타났다. 숫자거꾸로 따라말하기 과제에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집단 간 비언어적 작업기억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색칠하기 과제에서 말소리장애아동이 일반아동 보다 낮게 나타났다. 토막 두드리기 과제에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집단 간 선택적 주의력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집단 간 지속적 주의력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방해모양, 방해색깔 과제에서 말소리장애아동이 일반아동 보다 낮게 나타났다. 숫자연속, 색깔연속 과제에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집단 별 작업기억과 조음능력(PCC, PMLU, PWP, PWC) 간 상관을 살펴본 결과, 말소리장애아동은 숫자거꾸로 따라말하기와 조음능력(PWC) 간, 무의미단어 따라말하기와 조음능력(PCC, PMLU, PWP) 간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일반아동은 숫자거꾸로 따라말하기와 조음능력(PMLU, PWP, PWC) 간, 무의미단어 따라말하기와 조음능력(PCC, PMLU, PWP, PWC) 간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여섯째, 집단 별 주의력과 조음능력(PCC, PMLU, PWP, PWC) 간 상관을 살펴본 결과, 말소리장애아동은 시청각주의력과 조음능력(PCC, PMLU, PWP) 간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일반아동은 청각주의력과 조음능력(PCC, PMLU, PWP, PWC) 간, 숫자연속과 조음능력(PMLU, PWP, PWC) 간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언어적 작업기억과 비언어적 작업기억의 하위과제에서 말소리장애아동이 일반아동에 비해 전반적으로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이는 언어적 작업기억 뿐만 아니라 비언어적 작업기억도 말 산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말소리장애아동은 방해자극이 있는 주의력 과제에서 일반아동에 비해 어려움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말소리장애아동이 방해자극에 저항하는 주의력이 증진되면 말 산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두 집단 모두 무의미단어 따라말하기 과제와 조음능력 간 높은 정적 상관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아동의 언어수준에 따라 중재 시 무의미단어를 구성하여 따라말하기 지도를 하는 것이 아동의 전반적인 조음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주의력에 어려움을 보이는 말소리장애아동은 시각 및 청각자극을 포함한 다중감각으로 중재를 제공하고 점차 시청각 자극, 청각자극의 수준으로 자극의 수준을 조정하여 중재를 제공한다면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말소리 습득은 조음기관의 운동능력이나 말소리 지각능력 등과 같이 말소리 발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뿐만 아니라 작업기억이나 주의력 또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임상 현장에서 아동의 작업기억 및 주의력 특성을 파악하여 작업기억 능력의 증진과 주의력을 고려한 중재활동을 실시한다면 아동의 적극적인 참여와 조음능력 증진에 도움이 될 것이다.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청각적 이름대기 특성 : 명사를 중심으로
이유정 대구가톨릭대학교 의료보건산업대학원 2024 국내석사
The development of limited vocabulary is a representative factor that can distinguish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LI) and it is also one of the most prominent problems in early language development disorders. Word retrieval difficulties involve the struggle to produce a specific word in response to a stimulus or situation, and a limited vocabulary hinders the selection of appropriate words, hindering accurate information delivery to the listener. The ability to find words can be assessed through a naming test. Word retrieval disorders in communication make it challenging to generate suitable vocabulary, especially serving as a significant indicator for evaluating language development in early childhood. To date, most of the naming tests have limitations in that the stimuli presented to the subject are limited to static visual stimuli such as the pictur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uditory naming ability and error types characteristics of SLI children by developing an auditory naming test related to the processing of auditory information in the process of language processing of children with SLI. Newly developed auditory naming test showed high content validity, criterion validity(r=.848), test-retest reliability(r=.900). A total of 45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 15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group) whose language age were 5;7-6:10, 15 normal children chronological-age matched with the SLI children (5;6- 6;10, CA controls), and 15 normal children matched on a language age with the SLI children (4;00 - 5;9, LA controls). 30 noun vocabulary words from questions 1-48 of the 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 Kim et al., 2010) were selected for developing the target vocabulary of the auditory name test. These words are converted into an Auditory Naming Test using ChatGPT-3.5 and two Korean dictionaries. Both ANT and VNT showed significant correct response scores between children with SLI and CA (p<.001) and with CA and LA (p<.001) whereas no significant different between children with SLI and LA (p>.05). In terms of ANT correct response scores,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ree groups(p<.001), specifically between children with SLI and the CA group (p<.001), as well as between the CA and LA group (p<.001). In addition, reaction time of ANT was significantly differed among the different three groups (p>.05).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uditory naming test (ANT) error, all three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errors (semantic error, auditory error, and other error). In particular,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semantic error among the groups. In conclusion, in this study, SLI children were more likely to commit semantic and auditory errors in auditory stimuli as well as withdrawal of vocabulary for visual information in their daily lives than normal language development children. Overall. ANT can be used to differentiate children with SLI from normal developing children in conjunction with VNT for the assessment of naming in children in the clinical practice.
언어재활사의 발달장애 중고등학생과 성인 대상 언어치료 인식 연구
이미진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ve difficulty in communication as well as cognition and adjustment. Moreover such difficulties last long into adulthood. Accordingly they need continuous speech and language treatment in order to improve their communication and quality of life. However, there is not enough research on the treatment of middle- and high-school students and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Korea. Therefore the primary research questions of the current study were to explore how speech-language pathologists(SLPs) in Korea perceive the treatment of middle- and high-school students and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efficient intervention of middle- and high-school students and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current study surveyed 107 SLPs in Korea. The survey items included past and current experiences of treatment of middle- and high-school students and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knowledge and confidence level on the clinical management, and SLPs perception and its inflential factors on the treatment of middle- and high-school students and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results showed that almost 86% of the participants(92/107) were providing or had previously provided treatment for middle- and high-school students and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owever they were providing or had provided treatment for more numbers of middle- and high-school students than adults. The SLPs recognized the need for treatment, knowledge and confidence level higher for middle- and high-school students than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addition the SLPs indicated that the treatment should be continuous for the middle- and high-school students and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oreover the SLPs indicated that the middle- and high-school students and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ould not receive the treatment due to financial difficulties. In addition they indicated lack of clinical support would make the treatment difficult. Such perception would be different according to clinical experiences of the SLPs; however such differences were limited. The current stud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providing social security system for middle- and high-school students and adults including providing treatment vouchers for adults. In addition re-education of the SLPs is needed especially for the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order to help them to provide effective service for people with develpmental disabilities.
이야기 회상과제에서 나타난 학령전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제스처 산출 특성
김은영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Gesture serves a function of expressing communication intention and complementing weak spoken language.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have difficulty communicating also use gesture to complement their spoken language, as it supports them to express their intention. Thus, gesture can be a goal of language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use more gestures than children with typical development because they have difficulties in express language and finding appropriate words. They use gestures to complement their difficulties in expressive language skills. As such,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how their gesture production characteristics differ from children with typical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sture production characteristics of Korean preschool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through the task of recalling a story after seeing a wordless-carto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ixteen children aged 5∼6 years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ixteen children with typical development matched by their chronological age and sixteen children with typical development matched by their language age.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frequency of production by gestures types, proportion by modality of expression, and concordance rate of coverbal gestures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the researcher analyzed the gestures that child produced while recalling a st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frequency of production by gestures types among those 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group and chronological age matched group in deictic gesture and representational gestur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the difference in conventional gesture.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difference in proportion by modality of expression(gesture, spoken language, coverbal gesture) among those 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group and the chronological age matched group in spoken language and coverbal gestur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esture.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among those groups in the concordance rate of coverbal gesture, the highest concordance rate was found in the chronological age matched group, followed by the language age matched group, then the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group. however, thes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this study showed that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had a higher frequency of deictic and representational gestures than children with typical development, and more total gestures tha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In additio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howed the highest proportion of coverbal gesture in modality of expression. From these results, it may be interpreted that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use gestures more tha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because they rely on gestures to complement for their difficulties in expressive language ability. This suggests that to achive efficient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the use of spoken language and gestures all together may be an intervention strategy to improve their expressive language skills. In this study,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were found to produce gestures at a higher frequency tha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concordance rate of coverbal gestures. These results can be explained that ability of spoken language and gesture combination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cross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tervention is necessary to induce children with a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to use spoken language and gestures together in order to effectively improve their expressive language ability.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using spoken language and gestures rather than simply focusing on spoken language is a more efficient method of language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to improve their expressive language skills. It is clinically meaningful to suggest that this can be a teaching strategy. 제스처는 의사소통 의도를 표현하는 수단으로서의 기능과 구어 표현을 보완하기 위한 보조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표현 언어 능력의 어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일반 아동 보다 제스처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들의 제스처 산출 특성이 일반 아동들과 어떻게 다른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무발화 만화 영상을 본 후 이야기를 회상하여 말하는 과제를 통해 단순언어장애 집단의 제스처 산출 특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5∼6세 단순언어장애 아동 16명, 이들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 16명,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 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제스처 유형별 산출 빈도, 표현양식 유형 비율, 구어동반제스처 일치율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무발화 만화 영상을 보고 아동이 이야기를 회상하여 말하는 동안 산출하는 제스처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시적 제스처와 표상적 제스처에서 단순언어장애 집단과 생활연령일치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반면, 관습적 제스처에서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구어와 구어동반제스처에서 단순언어장애 집단과 생활연령일치 집단, 단순언어장애 집단과 언어연령일치 집단 사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반면, 제스처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집단 간 구어동반제스처 일치율의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단순언어장애 집단은 일반 아동 집단보다 지시적, 표상적 제스처 산출 빈도가 높았다. 또한 단순언어장애 집단은 구어동반제스처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표현 언어 능력의 어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제스처에 의존하기 때문에 일반 아동보다 제스처를 더 많이 사용하고 구어보다 구어동반제스처에 대한 선호도가 높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는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효율적인 중재를 위해서는 구어와 제스처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이들의 표현 언어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 구어동반제스처 일치율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이 구어와 제스처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능력에서 일반 아동과 비교적 차이가 없으므로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표현 언어 능력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구어와 제스처를 함께 사용하도록 중재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효과적인 표현 언어 중재를 위해 단순히 구어 표현에만 초점을 둔 중재를 하는 것 보다는 구어와 제스처를 활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표현 언어 능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지도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데 임상적 의의가 있다.
조수현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5 국내석사
Conversations used to communicate with others often convey meanings beyond their explicit content. These are referred to as indirect speech acts, which require understanding the speaker's intentions through reasoning about the conversational context and the surrounding circumstances. Dementia patients often exhibit impaired executive functions in the frontal lobe, responsible for cognitive processes such as reasoning and problem-solving. This impairment is expected to affect their ability to comprehend indirect speech acts. However, research on this topic remain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auditory indirect speech act comprehension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with dementia. The study involved 22 participants aged 65 or older residing in Gyeongbuk, Daegu, and Ulsan, consisting of 11 individuals with dementia and 11 normal elderly. They were asked to perform a newly developed indirect speech act comprehension task. The performance of the two groups was compared based on overall task scores, response times per question, sentence types, illocutionary act types, and error types. Additionally, correlations between the comprehension task and executive functions were examined.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dementia exhibit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in the indirect speech act comprehension task compared to the normal elderly, revealing difficulties in comprehending indirect speech acts. This deficit is likely due to impaired executive functions in the frontal lobe. Although significant differences in task performance scores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across sentence types, the differences based on sentence type alon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groups based on illocutionary act type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both group differences and variations in act types.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clarative and imperative acts, while the normal elderly also showed differences in requestive acts. Both groups experienced the greatest difficulty in understanding declarative, requestive, and imperative acts, in that order. In addition, The dementia exhibited slower response times across all task types compared to the normal elderly, with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This suggests inefficiencies in top-down processing among individuals with dementia.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sponse times were found based on sentence or illocutionary act types, nor were there interactions between group and sentence or illocutionary act type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comprehension and responses to indirect speech acts were not influenced by sentence or illocutionary act types. Similarly, error analysis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rror rates between the groups. However, within-group comparison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rror types, with both groups making more literal errors. This suggests a failure to suppress the literal meaning of sentences and infer their implicit meanings. Finally,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performance on the auditory indirect speech act comprehension task and the Verbal Fluency Test, an executive function measure from the Se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Core (SNSB-C). This suggests that poor performance on the comprehension task may reflect deficits in executive functions.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insights into the auditory indirect speech act comprehension abilities of individuals with dementia and serves as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treatment guidelines or therapeutic materials tailored to this population.
남은하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사회의 고령화가 진행될수록 노화 과정에서의 변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필연적으로 인지기능의 저하가 나타나게 되고 이로 인해 주의집중력이 감소 및 정보의 저장과 처리 능력에 어려움이 나타난다. 노화로 인한 인지기능 저하는 언어능력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노년층의 가장 두드러진 언어능력의 저하는 의미론적 측면이다. 국내 노인 관련 연구 동향을 살펴보면 언어표현력 중 이름대기 영역에서 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하지만 이름대기 과제만으로 노인의 언어특성을 모두 반영하기 어려우며, 특히 목표어휘가 구체어로 한정된 경우 변화 양상을 파악하기 어렵다. 일반적으로 성인은 구체어에 비해 추상어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데, 구체어는 시각적, 의미적 결합이 동시에 활성화되기 때문이다. 추상어는 이미지가 구체적으로 떠오르지 않으므로 이를 이해하기 위해 보다 더 많은 정신적 노력이 요구된다. 노화로 인한 언어능력 손상은 추상어 의미 해석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또한 인지기능과 언어능력은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어 노화에 따른 인지와 언어능력 변화를 동시에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년층과 청년층의 추상어 이해능력의 차이와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노년층은 추상어 이해능력과 인지기능 관련 변인 간에 어떠한 상관이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자 선별은 노년층은 만65∼79세 이하, 초졸 이상, 한국판 몬트리올 인지평가(Korean-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K-MoCA) 23점 이상, 단축형 노인우울척도(Short form Geriatric Depression Scale: SGDS) 8점 이상으로, 인터뷰를 통해 신경학적, 정신적 질병이 없는 자로 총 13명을 선정하였다. 청년층은 만20∼34세 이하, 고졸 이상, 한국판 몬트리올 인지평가 23점 이상인 자로 총 13명을 선정하였다. 추상어 이해능력 검사는 5개로 구성되어 있는 추상어 목록을 A4 규격에 제시하고 목표추상어의 뜻을 컴퓨터 음성으로 변환하여 들려주었다. 정반응 시 1점, 오반응과 무반응은 0점 처리하였다. 반응시간은 목표어의 뜻을 들려주는 순간부터 대상자가 반응하기까지의 장면을 녹화하여 수집, 분석하여 시간(s)을 측정하였다. 인지기능 검사는 노년층을 대상으로 단축형 S-LICA를 활용하여, 8가지 소검사를 통해 인지영역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년층과 청년층 간의 추상어 이해능력의 차이를 정반응 수와 반응시간으로 비교하여 확인한 결과, 노년층이 청년층에 비해 정반응 수가 유의하게 낮았고, 반응시간도 유의하게 늦었다. 노년층 연령을 기준으로 세 집단(60대 후반, 70대 초반, 70대 후반)으로 구분하여 정반응 수와 반응시간을 비교한 결과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정반응 수가 적고 반응시간이 길어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전반적인 추상어 이해능력이 연령의 증가와 함께 지속적으로 감소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노년층과 청년층의 오반응 특성을 분석한 결과, 두 집단 모두 의미관계유사어에서 높은 오반응 수를 보였다. 또한 청년층은 무반응이 없었지만, 노년층은 무반응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노년층의 언어능력이 의미적 손상에 영향을 받아 의미적 정보보다 음운적 정보를 더 정확하게 처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리고 노화로 인한 언어능력의 변화는 음운, 의미와 같은 언어의 핵심적 요소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노년층의 추상어 이해능력(정반응 수, 반응시간)과 인지기능(시공간구성력, 기억력, 수행기능, 언어능력)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정반응 수, 반응시간과 기억력, 수행기능 간의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노년층의 추상어 이해능력은 기억력과 수행기능이 높을수록 더 잘 이해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노년층의 언어능력은 특정 인지기능의 변화를 민감하게 반영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추상어 이해능력 검사는 노화로 인한 의사소통문제 중 청각적 이해력과 의미영역의 평가 및 중재 시 유용한 과제로 사용될 수 있으며, 노화에 따른 인지기능 저하 중 기억력과 집행기능을 평가하는데 간접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음에 의의가 있다. As society progresses, interest in changes in the aging process is increasing. As aging progresses, cognitive decline inevitably occurs, resulting in a decrease in attentional power and difficulty in storing and processing information. The decline in cognitive function due to aging also affects language ability, and the most pronounced decline in language ability in the elderly is the semantic aspect. Looking at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elderly in Korea, research was mainly conducted in the area of name waiting among language expression skills. However, it is difficult to reflect all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only by naming tasks, and especially when the target vocabulary is limited to a specific language,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change pattern. In general, adults have a harder time understanding abstract words than concrete words, because the visual and semantic combinations are activated at the same time. Since abstract words do not come up with images in detail, more mental effort is required to understand them. The impairment of language ability due to aging can affect the interpretation of the meaning of abstract words. In addition, since cognitive function and language ability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it is necessary to simultaneously examine changes in cognitive and language ability according to aging. Therefore, in this study, the difference and characteristics of the abstract words comprehension ability of the elderly and the young are examined. In the elderly, we would like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abstract words comprehension ability and cognitive function related variab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from the elderly 65-79 years old, Elementary school graduate or older, Korean-Montreal Cognitive Assessment(K-MoCA) 23 points or higher, Short form Geriatric Depression Scale(SGDS) A score of 8 or higher, a total of 13 people were selected as those without neurological or mental illness through interviews. Young people 20-34 years old, high school graduates or older, K-MoCA 23 points or higher, a total of 13 people were selected. The abstract words comprehension ability test presented a list of five abstract words in the A4 standard size, and the meanings of the target abstract words were converted into computer voices(text-to-speech). Each participant was given 1 point for correctly response, and 0 for otherwisehe. Reaction time was measured by recording the scene from the moment when the meaning of the target word was heard to the subject's reaction. The cognitive function test was conducted using shortened S-LICA targeting the elderly and examined the cognitive domain through 8 sub-tests.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ifference in abstract word comprehension ability between the elderly and the young with the number of correctly responses and the response time, the number of correctly responses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elderly than the young group, and the response time was significantly slower. When looking at changes in the number of positive responses and reaction time by dividing it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 age of the elderly,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positive reactions was small and the reaction time became longer as age increased. Therefore, it shows that the overall abstract word comprehension ability steadily decreases with increasing ag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incorrectly response by the elderly and the young, both groups showed a high number of false positives in semantic-like words. In addition, there was no response to the young people, but the older people did not respond. These results can be interpreted as more accurate processing of phonological information than semantic information as the language ability of the elderly is affected by semantic impairment. And it was found that the change in language ability due to aging affects the core elements of language such as phonology and meaning.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abstract word comprehension ability (number of correctly responses, reaction time) and cognitive function (spatio-temporal composition, memory, executive function , language ability) of the elderl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positive responses, reaction time and memory, and performance Show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older people's ability to understand abstract words is better understood with higher memory and performance functions. It was found that the elderly's language ability sensitively reflects changes in specific cognitive ability. As a result, the abstract language comprehension test can be used as a useful task in evaluating and treating auditory comprehension and semantic domains among communication problems caused by aging. It is meaningful that it can be.
학령전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형태통사 단서를 활용한 동사 의미 추론
형소영 부산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본 연구는 언어발달지연 아동들이 새로운 동사의 의미를 파악할 때 조사나 논항 같은 형태통사단서를 활용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4∼5세 언어발달지연 아동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조사과제와 논항과제를 통해 새로운 동사가 포함된 문장의 의미 이해가 달라지는지를 비교하였다. 조사과제는 주격 또는 목적격 조사 중 하나만 포함된 문장을 제시하여 올바른 장면을 선택하게 하였고, 논항과제는 조사 없이 논항의 개수만을 조작한 문장을 제시하여 해당 장면을 선택하게 하였다. 연구 결과, 언어발달지연 아동은 조사과제의 주격 조사 조건에서 일반 아동과 비슷한 수행을 보인 반면 목적격 조사 조건에서는 수행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언어발달지연 아동도 일반 아동과 마찬가지로 격조사 단서를 활용한 동사 의미 추론을 할 수 있지만 목적격 조사 조건에서는 이러한 능력이 제한적으로 수행되고 있다고 설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논항과제에서는 조사가 생략된 문장을 듣고 아동이 해당한다고 선택한 장면의 비율로 두 집단 간 수행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언어발달지연 아동과 일반 아동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이는 아동들이 문장의 의미를 해석할 때 명사의 수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해석할 수 있었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으나 두 장면 중 더 많이 선택한 장면을 살펴본 결과, 두 집단 모두 새로운 동사 앞에 1개의 논항이 있을 때와 2개의 논항이 있을 때 독립적 행동 장면보다 관계적 행동 장면을 더 많이 선택하였다. 이는 문장의 기본 구조를 ‘주어-목적어-서술어’로 표현하는 한국어의 특성상 아동들은 일상에서 이중 주어의 문장보다 주어와 목적어로 이루어진 문장을 많이 듣고 사용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론을 통해 본 연구는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효과적인 어휘 및 문장이해 중재를 위해서 조사와 같은 문법형태소, 문장 구조와 같은 형태통사론적 측면의 중재가 필요하며 특히, 조사나 주어를 자주 생략하는 한국어의 특성을 고려한 중재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에서는 빠른 연결하기 및 형태통사적 자동처리와 같은 어휘 습득 전략을 활용한 후속 연구를 제안한다는 점에서 임상적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whether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 delays use morphosyntactic clues such as particles or arguments when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new verbs. We compared whether the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sentences containing new verbs changed through a survey task and an argument task targeting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 delay aged 4 to 5 years and normal children whose chronological ages were matched. In the particle task, a sentence containing only one of the nominative or accusative particles was presented to select the correct scene, and in the argument task, a sentence in which only the number of arguments was manipulated without a particle was presented and the scene was sele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 delay showed similar performance to normal children in the nominative particle condition of the probe task, while they had difficulty performing in the accusative particle condition. These results can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can infer the meaning of verbs using case clues just like regular children, but this ability is limited under the accusative particle condition. In the argument task of this study, the difference in performa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examined in terms of the proportion of scenes selected by children as applicable after hearing sentences with omitted postpositions. As a resul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 delay and normal children, which could be interpreted that children were not affected by the number of nouns when interpreting the meaning of a sentenc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ut as a result of examining which of the two scenes was selected more, both groups chose more relational action scenes than independent action scenes when there was one argument and when there were two arguments before the new verb. This can be said to be because, due to the nature of the Korean language, which expresses the basic structure of sentences as ‘subject-object-predicate’, children hear and use more sentences with a subject and an object than sentences with a double subject in their daily life. Based on these conclusions, this study concluded that for effective vocabulary and sentence understanding intervention in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 delay, intervention on morphosyntactic aspects such as grammatical morphemes such as particles and sentence structure is necessary, especially in Korean, where particles or subjects are frequently omitted. The need for intervention that takes into account characteristics is suggested. In addition, this study has clinical significance in that it suggests follow-up research using vocabulary acquisition strategies such as quick linking and automatic morphosyntactic processing.
이미림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담화(discourse)는 다양한 사건이나 주제를 여러 가지 방식으로 산출하는 것으로 학령기에는 대화나 이야기는 물론 여러 가지 정보를 재구조화시켜 전달하는 방식인 설명담화(expository discourse)의 습득도 매우 중요해진다. 설명담화는 도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각의 규칙을 적용하여 전달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하지만 학습 능력뿐만 아니라 언어능력에도 문제를 보이는 언어학습장애아동은 설명담화를 유형에 따라 산출하는 능력이 매우 제한적일 수 있다. 설명담화 발달의 지연은 결국 교과과정에 따라 학업을 성취하는 것에 어려움이 초래되어 읽기 및 쓰기에서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을 성취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능력인 설명담화 말하기 산출 능력을 유형에 따라 살펴봄으로써 언어학습장애아동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설명담화 유형에 따라 언어학습장애아동의 말하기 특성을 살펴보았다. 부산 지역에 소재한 초등학교 3-4학년에 재학 중인 언어학습장애아동 14명과 언어학습장애아동과 학년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14명, 총 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명담화의 유형은 주제를 가장 자유롭게 구조화 하여 산출하는 수집구조 유형과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방법을 설명하는 문제/해결 유형을 선택하였다. 발화를 수집하기 위하여 수집구조에서는 ‘피구, 축구’ 주제를 제시하였고 문제/해결 유형에서는 또래갈등해결과제를 제시하여 설명하게 하였다. 수집된 발화는 총 C-unit수, 다른 낱말 수(NDW), 평균 낱말 길이(MLC-w), maze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설명담화를 산출하는 능력에서 언어학습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은 MLC-w에서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언어학습장애아동이 일반아동보다 더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하지만 총 C-unit 수, NDW, mazes 비율에서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설명담화를 수집구조, 문제/해결 유형으로 나누어서 유형에 따라 설명담화 산출 능력을 살펴본 결과 총 C-unit 수, NDW, MLC-w에서 각각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하지만 mazes 비율에서는 설명담화 유형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언어학습장애아동은 설명담화를 산출할 때 복잡한 구문을 사용하여 세련되게 문장을 구성하는 능력에는 차이를 보였지만 설명담화를 산출하는 길이나 내용을 구성하는 면에서는 일반아동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복잡한 구문을 포함하여 설명담화를 산출하는 능력이 언어학습장애아동의 특성을 드러낼 수 있는 중요한 평가 척도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설명담화를 수집구조 그리고 문제/해결 유형으로 나누어서 살펴본 결과, 설명담화 유형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설명담화 유형에 따라 언어를 산출하는 능력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언어학습장애아동에게 다양한 유형을 고려한 설명담화를 통해 언어능력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언어학습장애아동의 설명담화 산출 능력의 준거뿐만 아니라 언어학습장애아동의 특성을 고려한 언어 중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주의력 기반 나선형 그리기 수행능력과 인지능력 간 상관관계
김시내 부산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최근 치매의 조기 선별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치매 전 단계로 알려진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연구가 다수 이루어지고 있다. 치매로 진전될 가능성이 높은 경도인지장애는 치매 전 단계에서 치매 발병 기전 확인과 조기 선별을 가능하게 하여 임상적 가치가 높다. 경도인지장애 진단과 관련하여 주의력은 유용한 선별지표로 연구되어왔다. 특히 이중과제나 다중과제처럼 처리해야 할 인지적 요구가 분산된 주의력 과제일수록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주의력 결함은 더욱 두드러진다. 최근 인지장애의 예측요인으로 연구되고 있는 소근육 운동 과제로는 나선형 그리기 과제가 있다. 다수의 연구에서 나선형 그리기 과제에 디지털 기기를 기반으로 한 동적 요소(시간, 속도, 이동 등)를 변수로 적용하여, 정량적 분석을 통해 노인 환자의 인지 상태를 확인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나선형 그리기 과제에 주의력 과제를 결합하여 동시 시행하고, 각 집단의 임상적, 정량적 변수를 도출한다. 이를 통해 경도인지장애의 수행, 인지능력 특성을 확인하여 경도인지장애 선별의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만 65세 이상∼만 74세 이하인 자로 경도인지장애 노인 집단과 정상 노인 집단을 선정하되, 한국판 몬트리올 인지평가(K-MoCA) 결과 총점 30점 중 22점 이하인 자는 경도인지장애 노인 집단, 23점 이상인 자는 정상 노인 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검사 도구는 시·청각 주의력 기반의 나선형 그리기 과제이다. 이때 태블릿 PC로 나선형 그리기 과제를 제시하되, 나선형 그리기 과제와 시·청각 주의력 과제를 동시에 부여하여 과업의 인지적 난이도를 높였다. 실험 과제의 조건은 과제의 복잡성과 난이도를 기준으로 단순 나선형 그리기, 청각 주의력 나선형 그리기, 시각 주의력 나선형 그리기로 구성하였다. 이때 시·청각 주의력 나선형 그리기 과제는 나선형 그리기 과제 수행을 유지하면서 대상자에게 제시된 신호음을 듣거나, 유도 화면을 보았을 때 그리기 과제 수행을 멈추거나 시작하도록 지시하였다. 본 연구는 시·청각 주의력 기반의 나선형 그리기 과제 수행을 통해 임상적 변수와 정량적 변수를 도출하였다. 또한 정량적, 임상적 변수를 바탕으로 집단 간 과제 수행능력 차이를 비교하였고, 시·청각 주의력 기반의 나선형 그리기 수행능력과 인지능력 간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도인지장애 노인 집단과 정상 노인 집단 간 시·청각 주의력 기반 나선형 그리기 과제의 정량적, 임상적 변수를 비교하여 확인한 결과, 경도인지장애 노인 집단이 유의하게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시·청각 주의력 나선형 그리기 과제에서는 경도인지장애 노인 집단이 유의하게 느린 시작 반응시간을 보였다. 정량적 변수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시·청각 주의력 과제 조건에서 공통적으로 시작 반응시간이 집단 간 차이를 변별할 수 있는 가장 유력한 정량적 변수임을 도출하였다. 둘째, 시·청각 주의력 기반 나선형 그리기 과제의 수행능력과 경도인지장애 선별검사인 K-MoCA 총점 및 하위항목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상관관계 결과는 본 연구에서 집단 간 차이를 변별할 수 있는 가장 유력한 정량적 변수로 제시한 시·청각 시작 반응시간이 인지능력을 예측하는 유력한 정량적 변수 또한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경도인지장애 노인 집단과 정상 노인 집단을 대상으로 시·청각 주의력 기반의 나선형 그리기 과제를 제시하여 집단 간 수행능력 차이, 수행능력과 인지능력 간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선별의 지표로 활용될 수 있는 유력한 정량적, 임상적 변수를 도출하여, 노인층 인지능력 평가의 대안을 제시하였음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