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언론보도가 대학선택에 미치는 영향 연구

        윤지현 韓國外國語大學校 政治行政言論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50767

        본 연구는 대학홍보활동의 일환으로 언론 보도 접촉 유무가 대학선택에 미치는 영향과 대학 선택 시 이미지와 신뢰도에 대한 태도 연구 결과 도출을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수험생들의 대학 선택 기준이 과거처럼 전통적 서열에 의존하기보다는 미래에 대한 전망과 차별화된 대학 이미지에 따라 결정되는 경향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므로 대학의 언론 PR 역시 소비자들에게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가를 조사하고 언론 PR에 있어 효율적이고 차별화 된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실증조사를 통해서 대학홍보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특징, 대학홍보 이미지, 매체, 조직에 관한 연구, 언론 PR에 관한 연구 등에 대한 이론적 배경 등을 검토했다. 또 대학 언론보도에 따른 신뢰도, 이미지의 변화, 대학 선택시 영향에 관한 조사를 위해 2006년 개교한 특수대학의 재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그중 4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조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대학 기사는 대학의 신뢰도와 이미지에 깊은 상관관계를 갖는다. 둘째, 대학기사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사람일수록 대학 선택시 영향을 더 받는다. 셋째, 언론 신뢰도가 높은 사람일수록 부정보도가 긍정보도보다 이미지에 영향을 많이 준다. 넷째, 정보획득 경로에 따라 신뢰 매체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언론 외에 지인 등 사람을 통해 정보를 얻은 사람들의 경우는 신문의 신뢰도가 높은 반면, 언론을 통해 정보를 획득한 사람의 경우 인터넷에 대한 신뢰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 연령별로 신뢰하는 매체도 변화하고 있다. 전통적인 언론매체인 TV, 신문, 잡지, 라디오에 이어 등장한 인터넷이 높은 신뢰로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언론 PR의 전략을 제시하였다. 첫째는 대학 언론 PR의 방향은 더욱 다양화되어 효율적 통합마케팅으로 자리매김 해야 한다. 언론매체별로 교육정보면을 신설, 별도로 두는 등 강화해 나가는 측면에서 대학관련 기사는 공급자, 판매자 중심에서 벗어나야 하며 입학생의 성향에 맞춰 다양한 각도의 아이템 전개가 필요하다. 둘째, 언론보도는 대학신뢰도와 이미지와 직결되며 대학선택에 미치는 영향은 더욱 커질 것이다. 인터넷 포털이 언론으로서의 역할에 대해서는 계속 논쟁중이지만 신문, TV에 한정된 전통적 언론보도의 범위를 벗어나 입시사이트나 대학 뉴스 전문 사이트 등 좀 더 광범위한 인터넷 매체를 대상으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셋째, 수험생들을 대상으로 읽히는 기사는 주로 학생 성공스토리와 차별화된 학사 프로그램 순으로 조사됐다. 넷째, 부정보도가 긍정보도보다 이미지에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긍정보도 중심의 언론 PR전략을 다각적으로 조명해 보고 부정보도를 대비한 위기관리 시스템과 시나리오 등 사전대처전략이 필요하다. This research thesis has founded on the exploratory study about the effects of national press report access, as a part of college public relations, on choosing college, and the study about images, reliability and attitudes toward college. As the standards of choosing college among exam takers for college, are increasingly decided in accordance with future prospect and distinct college images, rather than in accordance with traditional college grade, the thesis aims to survey how college press public relations will be perceived among consumers, and produce effective and distinct methods in the process of promoting press public relations. Through the process of the positive research, this study reviews the theoretical background as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a specific related to the public relations of university , the image of public relations, media, study in respective with the organization and media PR. To also study the effect on the reliability, change of image, decision of university due to the news of media related to university, this paper surveys the sample of existing 100 students and have the intensive interview for 40 of 100 students, who are in a special college opened 2006. First, college reports have close relations with the reliability and images of college. Second, the higher reliability of college reports people have, the more they have effects on choosing college. Third, this case shows that if the reliability of media is much higher for one, the negative news has much more effect on the image of university than the positive news has. Following TV, newspaper, magazine and radio as traditional press media, internet is evolving in a high reliability. Lastly, the reliability of press media has made difference from information intake courses. Those who gathered information through their friends as well as media have had the high reliability of newspaper, while those who collected information through media have had the highest reliability of internet. These press public relations strategies can be established on the research results. One is that college public relations must be headed for a more pluralistic direction to secure the solid position of an effective integrative marketing. The articles on college need to develop exam takers -focused different items rather than suppliers and sellers, in the process of building and reinforcing new education and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press media. The another one is that press reports will have something close to do with the reliability and images of college, and it will have a greater effect on choosing college. The roles of internet portal site in press media are steadily at issue. But, the more active public relations through more extensive internet media, such as examination sites or college news site, rather than through traditional TV press reports are required. Third, this case reveals that the article that pre-students mainly are reading a success story in respective with some students and profound educational matter. Forth, this study shows that the negative news has much more effect on the image of university than the positive news has. The result of this study proposes that university should variously review the strategy of media PR that is focusing on the positive news, and shows that a pre-acting strategy need necessarily as a system of crisis management & scenario for the negative news.

      • 군 홍보영상 시청경험이 해군 신병의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다운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751

        본 연구는 군 홍보영상 시청경험이 해군 신병의 군 생활 적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입영한 병사가 군 생활에 잘 적응하는 것은 군 조직의 역량강화, 사고예방, 병사 개인의 심리적 안정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은 군 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심리적 요인이다. 사회적 학습이론에 따르면, 모델링을 통한 대리적 경험은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을 강화시킬 수 있다. 자아존중감은 사회적 비교, 사회적 지지를 통해서도 형성된다. 군 홍보영상은 병사들의 훈련 모습, 밝은 병영생활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으며, 해군 신병들이 군 홍보영상을 시청함으로써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 예측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군 홍보영상을 시청한 병사가 시청하지 않은 병사보다 군 생활에 더 잘 적응할 것이며, 시청한 병사의 경우 시청 만족도가 더 높을수록 군 생활에 잘 적응할 것이라 가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해군 신병을 대상으로 2주간 군 홍보영상 시청경험을 조작하는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340명의 병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군 홍보영상을 시청한 병사는 시청하지 않은 병사보다 군 생활에 더 잘 적응하고 있었으며, 이는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였다. 군 홍보영상 시청 만족도는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군 생활 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신병 교육훈련과정에 군 홍보영상 시청을 포함하고, 지속적으로 시청하게 하는 것이 해군 신병의 군 생활 적응에 큰 도움이 될 것임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how the watching military publicity videos affects naval recruit’s adaptation to military life. Successful adaptation is crucial in that it is associated with the overall competency of military organizations, prevention of accidents,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individual soldiers. Self-efficacy and self-esteem are important psychological factors that are known to affect one’s adjustment to military life. Social learning theory argues that self-efficacy and self-esteem can be improved through modeling and vicarious experience. Self-esteem is also formed through social comparison and social support. The military publicity video adopted in this study mainly portrayed lively military life and training routines. This study expected naval recruits’ self-efficacy and self-esteem to be enhanced as results of military publicity video watching. Thus, this study hypothesized that naval recruits who had watched the military publicity video would better adapt to military life than those who did not and ideo watching satisfaction will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outcome.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es, this study conducted experiments to manipulate the watching military publicity videos and conducted surveys. As results, naval recruits who had watched military publicity videos were found to have better adapted to military lif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was also confirmed in this process. Additionally, video watching satisfaction was found to positively affect one’s adaptation through the mediation of self-efficacy and self-esteem.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watching military publicity videos can induce military recruits’ adaptation to the military lifestyl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discussed.

      • 매체의 비구성적 현실에 대한 탐색 : 4대강 사업에 대한 일간지와 보도자료의 프레임 비교

        방성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719

        The press is a representative medium that indirectly delivers the substance which is called the reality. But because of the complexity and the scope of the reality, it is impossible for the press to deliver the whole information of it. For this reason, the press selectively delivers information of the reality. In domestic studies of mass communication, it is discussed that the role of delivering information of the press differs from the faction within a political party(Kim and Cheong, 2010), or the regions where the press is belonged to(Weon and Chae, 2007), eventually the press constructs images of the reatliy to recipients' thoughts diversely(Lee, 2002; Park, Han and Hong, 2007). But this study tried to discuss these press' construction of the reality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This study focused not on the constructed reality by the press, but on the unconstructed reality by the press. If the press has a limit to deliver the whole aspects of the reality, it is time to explore the parts of the reality whether the press highlights or not. For it, this study used the concepts of 'non reporting', 'unconstructed reality', not the concepts of 'reporting', 'constructed reality' are commonly used to discuss in the existing studies. The concept of non reporting is a phenomenon that the press omit or does not highlight a certain attribute when it constructs an issue. It is possible to picture the unconstructed reality that the press does not construct, when non reportings are found and gathered. This study compared the frames of daily newspapers and press releases. The press release is selected to be a comparable medium constructing the objective reality more widely than daily newspapers to identify the unconstructed reality newspapers does not deliver, but still exists in the world. The press release is an official material that sources offer the press to use(Nam, 2005), therefore it can have a limit to be a kind of the constructed reality as the newspapers. Even though it is true, the press release is selected to be the object of study. The press release constructs the reality more spaciously than the newspapers, and it is a suitable material to analyse the frames because it follows the rules that newspapers apply to make a reporting. The issue of study is selected the Four Rivers Restoration Project. That project is connected to everyone in Korea because it is set to construct the whole country's major rivers. At the same time, it is proper to be the issue of study as considering timeliness because it is a huge national project of the Lee Myung bak administration. To sum up, this research explored the non reporting frames of daily newspapers by comparing daily newspapers and press releases (of organizations or groups) on the Four Rivers Restoration Project, from this, it is a final destination to explore the unconstructed reality of daily newspapers. The non reporting frames are defined 1) zero-coverage that appears '0' time, 2) less-coverage that appears less than the press releases. From gathering zero-coverage frames, it is possible to picture the unconstructed reality of daily newspapers. From gathering less-coverages frames, it is possible to check the possibility of unconstructed reality which daily newspapers construct less than news releases. For this, this study examined daily newspapers and press releases on the Four Rivers Restoration Project from the next 3 aspects. First, frames appeared in daily newspapers and press releases were examined numbers by dividing the upper frames and the bottom frames. It is set to introduce which frames showed in daily newspapers and press releases before finding the non reporting frames of daily newspapers. Second, frames in daily newspapers and press releases were compared rank orders, numbers, and rate. It is set to check which the non reporting frame of daily newspapers appeared compared to the press releases, and to explore the unconstructed reality of daily newspapers by gathering them. At last, the non reporting frames that appeared same in the five newspapers or showed differently in the five newspapers were examined rank orders, numbers, and rate by comparing each daily newspapers and the press releases. It is set to look at something common or unusual of the non reporting frames of each daily newspapers. As a result, discussions in daily newspapers and press releases on the Four Rivers Restoration Project were mostly concentrated on political (newspapers 48.9%, press releases 58.4%) and social(newspapers 26.1%, press releases 22.9%) aspects, whereas scientific technique (newspapers 0.1%, press releases 0.2%) aspects were debated less. Though, there were diverse discussions focusing on the interests abroad(newspapers 1.5%, press releases 3.5%), or the cultural aspects(newspapers 4.9%, press releases 10.7%) like public relations, cultural assets. Next, as a result of analysing the non reporting frames of daily newspapers, zero coverage frames were not found, but less coverage frames were found. Among the upper frames, politic, international, cultural, scientific frames appeared as the non reporting frames. Among the bottom frames, policy, process, international association 1, international association 2, public relations, scientific technique frames showed as the non reporting frames. The existence of unconstructed reality on the Four Rivers Restoration Project were not proved because the non reporting frames as the zero coverage were not found. But there were a possibility checked of the unconstructed reality that daily newspapers less constructed than press releases by gathering the non reporting frames as the less coverage. At the upper frames, the international frame was analysed to capture most of the possible unconstructed reality of daily newspapers, cultural, scientific, and politic frames were checked as less reporting in order. At the bottom frames, the process frame was analysed to occupy most of the possible unconstructed reality of daily newspapers, international association 1/public relations, international associations 2, scientific technique, policy frames were checked as less reporting in order. As a result of analysing the non reporting frames of each daily newspapers that appeared same in the five newspapers or showed differently in the five newspapers, there were not non reporting frames as a zero coverage but non reporting frames as less coverage than press releases. Among the upper frames, the international frame appeared, and process, international association 1, international association 2, public relations frames appeared among the bottom frames as non reporting frames that showed same in each newspapers. As a result of analysing the non reporting frames of each daily newspapers that appeared differently in each newspapers, non reporting frames as a zero coverage were found in 3 daily newspapers(Dong-a Ilbo, Chosun Ilbo, Joongang Ilbo). That is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1 frame. It demonstrates that there existed the unconstructed reality of the part that those 3 daily newspapers did not deliver the concern of Asia association on the Four Rivers Restoration Project. This time, after searching the non reporting frames as less coverage than press releases in each newspapers, the policy frame appeared as one in 4 daily newspapers(Kyunghyang Shinmun, Dong-a Ilbo, Joongang Ilbo, Hankyoreh) except Chosun Ilbo. The lawsuit frame and cultural assets frame showed as the non reporting frame with less coverage in Chosun Ilbo and Joongang Ilbo, and the environment frame were found as one in Dong-a Ilbo and Joongang Ilbo. There was the scientific technique frame as the non reporting frame in Chosun Ilbo. To put it briefly, lawsuit, environment, cultural assets, scientific technique frames appeared as non reporting frames except the policy frame in Dong-a Ilbo, Chosun Ilbo, Joongang Ilbo. These results demonstrates there existed the unconstructed reality in each newspapers on the Four Rivers Restoration Project compared to press released, specially in Dong-a Ilbo, Chosun Ilbo and Joongang Ilbo. Also, these consequences shows the unconstructed reality on the Four Rivers Restoration Project can exist, because there were non reporting frames with less coverage than press releases found. To gather those results, this study is important because it checked the possibility of exploring the unconstructed reality on the Four Rivers Restoration Project as the early phase in the mass communication studies, even though discussion the unconstructed reality is not active. Based on these consequences, this study suggests the debate on the unconstructed reality of the press needs to be heated with diverse media and issues. 언론은 현실로 대변되는 실체를 간접적으로 전달해주는 대표적인 매체다. 그러나 현실이란 너무나 광범위하고 복잡하기 때문에 언론이 현실에 대한 정보를 다 전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언론은 현실에 대한 정보를 선별적으로 전달하게 된다. 국내 매스 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는 이러한 언론의 정보 전달 역할이 정파적인 특징을 보이거나(김수정·정연구, 2010), 지역 간의 차이를 보이며(원만해·채백, 2007), 결국 수용자의 머릿속에 현실에 대한 상을 다르게 구성한다(이건혁, 2002; 박노일·한정호·홍기훈, 2007)는 논의들이 전개되어 왔다. 그러나 이 연구는 이러한 언론의 현실 구성에 대한 논의를 조금 색다른 관점에서 접근해보았다. 언론이 구성한 현실이 아니라 언론이 구성하지 않은 현실에 초점을 두었다. 언론이 현실의 일부만을 전달할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면, 이번에는 현실이라는 실체에서 언론이 어떤 부분을 조명하고, 또 어떤 부분을 조명하지 않는지를 탐색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논의되어 온 ‘보도’, ‘구성된 현실’과 상반되는 ‘비보도’, ‘비구성적 현실’이라는 개념을 사용해보았다. 비보도 현상이란 언론이 한 이슈를 구성함에 있어서 어떤 특성이나 속성을 부각하지 않거나 누락하는 현상이다. 언론의 비보도 현상을 찾아 이들을 종합한다면, 언론이 구성하지 않은 비구성적 현실의 그림을 그려볼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국내 일간지와 보도자료를 연구 대상으로 프레임을 비교 분석해보았다. 객관적인 현실에는 존재하지만 국내 일간지가 구성하지 않은 현실을 입증하기 위해서는 신문보다 조금 더 넓은 차원에서 객관적인 현실을 구성하는 비교 대상 매체가 필요했으므로, 보도자료를 그 비교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보도자료는 신문이 사용할 수 있도록 취재원이 제공하는 공식적인 자료(남효윤, 2005)로, 신문과 같이 이미 구성된 현실의 일종일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도자료를 그 대상으로 선정한 이유는 보도자료가 신문보다는 비교적 넓은 범주에서 현실을 구성하고 있고, 신문의 작성 원칙을 따르기 때문에 프레임 분석에 있어서 비교 대상으로 적절하다는 판단에서다. 분석 이슈로는 4대강 사업을 선정하였다. 4대강 사업은 전국의 물줄기를 중심으로 시행되어 국민 모두의 삶과 연결되어 있어 중요하면서 동시에 이명박 정부 최대의 국책 사업이므로 시의성을 고려했을 때에도 적절한 이슈라고 판단하였다. 정리하면, 이 연구는 4대강 사업에 대한 국내 일간지와 (기관 및 단체의) 보도자료의 프레임을 비교하여 일간지의 비보도 프레임을 찾고, 이를 통해 국내 일간지가 구성하지 않는 비구성적 현실에 대하여 탐색해보고자 했다. 비보도 프레임은 1) ‘0’의 수치를 보이는 프레임, 2) 보도자료와 비교했을 때, 보도자료보다 작은 수치를 보이는 프레임으로 정의했다. ‘0’의 수치를 보이는 비보도 프레임이 발견된다면 일간지의 비구성적 현실이 발견될 것이고, 작은 수치를 보이는 비보도 프레임이 발견된다면 일간지가 보도자료보다 덜 구성하는 비구성적 현실에 대한 탐색이 가능하다는 결과를 얻을 것이다. 이를 위해 4대강 사업과 관련한 일간지와 보도자료를 다음 3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먼저, 일간지와 보도자료에서 나타난 전체 프레임들을 상위 프레임과 하위 프레임으로 구분하여 그 빈도수를 살펴보았다. 일간지의 비보도 프레임을 살펴보기에 앞서, 일간지와 보도자료에서 어떤 프레임들이 나타나고 있는지를 소개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일간지와 보도자료의 프레임들의 순위와 빈도수, 비율을 비교했다. 보도자료와 비교했을 때 일간지의 비보도 프레임에는 어떤 프레임들이 있었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종합하여 일간지의 비구성적 현실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개별 일간지와 보도자료의 프레임들의 순위와 빈도수, 비율 비교를 통해, 공통적으로 나타난 비보도 프레임(교집합)과 선별적으로 나타난 비보도 프레임(여집합)들을 살펴보았다. 일간지별로 나타나는 비보도 프레임들의 공통된 특징이나 특이 사항이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분석 결과, 먼저 일간지와 보도자료에서 4대강 사업과 관련한 논의는 정치적(일간지 48.9%, 보도자료 58.4%), 사회적(일간지 26.1%, 보도자료 22.9%)인 양상에 집중되고 있었고, 반면에 과학기술적인 측면(일간지 0.1%, 보도자료 0.2%)은 소홀히 다뤄지고 있었다. 그렇지만 그 외에 국제적인 관심을 조명하거나(일간지 1.5%, 보도자료 3.5%) 홍보나 문화재 등과 같이 문화적인 측면(일간지 4.9%, 보도자료 10.7%) 등에 대해서도 다양한 논의가 전개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일간지의 비보도 프레임을 분석한 결과, ‘0’의 수치를 보이는 비보도 프레임은 발견되지 않았지만, 보도자료보다 작은 수치를 보이는 비보도 프레임들은 발견되었다. 상위 프레임에서는 정치, 국제, 문화, 과학 프레임이, 하위 프레임에서는 정책, 처리, 국제연대1, 국제연대2, 홍보, 과학기술 프레임이 비보도 프레임들로 나타났다. 일간지에서 ‘0’의 수치를 보이는 비보도 프레임은 발견되지 않아 4대강 사업에 대한 비구성적 현실이 존재함을 확인하지는 못했다. 그러나 보도자료보다 작은 수치를 보이는 비보도 프레임들을 통해서 일간지가 보도자료보다 덜 구성하고 있는 비구성적 현실에 대한 탐색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가능성이 확인된 일간지의 비구성적 현실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상위 비보도 프레임은 국제 프레임이었고, 문화, 과학, 정치 프레임의 순서로 덜 보도되고 있었음을 확인했다. 하위 비보도 프레임은 처리 프레임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고, 국제연대1과 홍보, 국제연대2, 과학기술, 정책 프레임의 순서로 덜 보도되고 있었음을 확인했다. 마지막으로 개별 일간지의 공통된 비보도 프레임과 선별적으로 나타난 비보도 프레임을 분석한 결과, 5개 일간지에서 공통적으로 ‘0’의 수치를 보이는 비보도 프레임은 발견되지 않았지만, 보도자료보다 작은 수치를 보이는 비보도 프레임은 발견되었다. 상위 프레임에서는 국제 프레임이, 하위 프레임에서는 처리, 국제연대1, 국제연대2, 홍보 프레임이 공통된 비보도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개별 일간지에서 선별적으로 나타난 비보도 프레임을 분석한 결과, 3개 일간지(동아·조선·중앙일보)에서 ‘0’의 수치를 보이는 비보도 프레임이 확인되었다. 국제연대1 프레임인데, 이는 3개 일간지들이 4대강 사업에 대한 아시아권 국제 사회의 관심을 전혀 다루고 있지 않아 이 부분에 대한 비구성적 현실이 존재함을 입증하였다. 이번에는 개별 일간지에서 보도자료보다 작은 수치를 보이는 비보도 프레임들을 살펴본 결과, 조선일보를 제외한 4개 일간지(경향, 동아, 중앙, 한겨레)에서 정책 프레임이 비보도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와 중앙일보에서는 소송 프레임과 문화재 프레임이 비보도 프레임으로 나타났고, 동아일보와 중앙일보에서는 환경 프레임이 비보도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선일보에서는 과학기술 프레임이 비보도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정리하면, 정책 프레임을 제외하고는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에서 소송, 환경, 문화재, 과학기술 프레임과 같은 비보도 프레임들이 발견되었다. 이 같은 결과들은 보도자료와 비교했을 때, 개별 일간지들에서 4대강 사업과 관련한 비구성적 현실이 존재하고 있음을 발견했고, 이는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에서 대부분 확인되었다는 특징을 보였다. 또한 보도자료보다 작은 수치를 보이는 비보도 프레임들을 통해, 국내 일간지들에서 4대강 사업과 관련한 비구성적 현실이 존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위 결과를 종합하면, 이 연구는 비구성적 현실에 대한 이론적 논의가 활발하지 않은 상황에서 4대강 사업과 관련한 비구성적 현실이 탐색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한 초반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언론의 비구성적 현실에 대한 논의가 조금 더 다양한 매체와 이슈를 대상으로 다뤄져야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

      • 한·중 TV뉴스의 비교연구 : KBS<뉴스 9>과 CCTV<신문련보>를 중심으로

        상남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719

        이 연구는 전혀 다른 방송환경에서 만들어지는 한·중 양국의 대표적인 TV뉴스인 KBS <뉴스 9>과 CCTV <신문련보>의 내용, 형식(포맷), 그리고 취재원의 활용방식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특징을 갖는지, 또 양국 뉴스프로그램 사이에 드러나는 차이점이 있는지, 그렇다면 차이는 어떠한 측면에서 두드러지며 나타나는지 등을 분석했다. 한국 TV뉴스와의 비교를 통해서 중국TV뉴스의 특징은 무엇이며 당과 국가의 여론도구로서의 기능을 어느 정도 충실히 수행하며 또한 언론의 산업화에 따라 TV뉴스의 자율성이 어느 정도 보장되는가에 대해서 파악하고자 했다. 한국 내 중국언론에 대한 연구는 중국의 언론관, 언론체제, 언론제도를 다루는 원론적 수준의 연구와 신문 중심의 매체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중국 TV뉴스에 대한 접근은 중국 위성TV의 수신조건과 언어 장벽 등의 제한으로 인해 일부 기관과 연구자를 제외하고는 접근이 현실적으로 어려우며, 결과적으로 중국 뉴스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적은 형편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좀 더 실질적이고 의미 있는 한·중 TV뉴스 비교분석을 위해서 언론관, 뉴스가치, 매체환경 등에 관한 기존문헌에 대한 연구와 구체적인 TV뉴스보도의 분석을 연결시켜 연구하고자 했다. 연구를 위해서는 한국 KBS <뉴스 9>과 중국 CCTV <신문련보>의 14일 간의 뉴스를 표집하여 내용분석을 했다. 주요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보도량에 있어서 스포츠 뉴스와 일기예보를 제외하고 KBS <뉴스 9>의 경우 하루 평균 보도시간은 41분 24초, 하루 평균 기사수는 25.71개, 기사당 평균 보도시간 1분 36초로 나타났다. CCTV<신문련보>는 하루 평균 보도시간은 28분 45초로, 하루 평균 기사수는 31개, 기사당 평균 보도시간은 55.66초로 나타났다. CCTV는 짧은 기사들을 많이 내보내고 있으며, 뉴스의 심층성에 한계가 드러나고 있다. 뉴스의 형식에서도 CCTV <신문련보>와 KBS <뉴스 9>의 차이는 분명하게 드러나고 있다. KBS <뉴스 9>의 경우는, 기자 리포트 기사가 80% 이상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어, 기자가 제작한 리프트가 <뉴스 9>의 일반화된 뉴스유형이라 볼 수 있다. 반면 CCTV <신문련보>에는 KBS<뉴스 9>과 같은 리포트 기사가 존재하지 않는다. CCTV <신문련보>의 뉴스기사는 일관되게 앵커의 진행과 그를 뒷받침하는 보도화면과 인터뷰로 구성된다. 이러한 기자의 리포팅 없이 앵커가 직접 모든 뉴스를 보도하는 방식이 중국의 대표적 보도방식이라 할 수 있다. 화면의 사용에서는 컴퓨터 그래픽 등 영상 편집 기술의 발전으로 KBS <뉴스 9>에서는 다양하고 화려한 영상 화면들이 자주 사용되는 반면에 CCTV <신문련보>의 화면 구성이나 영상의 질은 세련되지 못하며 KBS에 비해 기술적으로 미흡한 면모를 보이고 있다. 뉴스의 내용에 있어서 KBS <뉴스 9>은 시청자들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생활정보뉴스나 사회 각 영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이나 모순 또는 비리를 폭로하고 비판하는 부정적 보도를 많이 내보내고 있다. 반면 <신문련보>는 중국의 정책과 현안 문제를 국내 및 국외에 선전하고 알리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뉴스에서 당과 정부의 견해와 입장이 주요내용을 이룬다. 그리고 당과 정부의 방침이나 정책, 또는 노선을 모범적으로 실행하는 개인이나 집단을 소개, 찬양하는 모범사례 보도도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처럼 정치 의존적이라는 사실은 CCTV<신문련보>의 가장 결정적인 결함이라 할 수 있다. 취재원 활용의 측면에서 두 뉴스가 많은 유사한 점을 보이고 있다. 특히 두 뉴스가 모두 “정부”에 속한 취재원을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다는 점이 눈에 띤다. 한편 CCTV<신문련보>의 경우에는 “정부”취재원이 무려 전체 인물 취재원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신문련보>에서 등장하는 사람들 중에서 두 명 중에 한 명이 정부 관계자임을 의미한다. 이런 점들을 종합해 볼 때, 개혁개방 이후 경제발전에 따라 중국 언론매체가 급속한 발전을 거듭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중국인들에게 중요한 뉴스보도의 역할을 감당하고 있는 CCTV<신문련보>는 사회주의 원칙을 고수하고 있으며 공산당의 여론도구로서 당과 정부의 입장을 대변하는 관변뉴스로 볼 수 있다. Television is a familiar news medium which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world surrounding us. News stories offered by television journalists are so nonfictional that the stories create our way of understanding the reality. Television journalism as a major information provider has a distinctive, essential role in that process. In a word, television journalism is a 'window' mediating the world to individuals in both Korea and China. However, the political systems of Korea and China are different, so their media systems and television journalism are completely different. This thesis was planned to analyze the news formats, contents and source usage of the Chinese and Korean main evening news. Comparisons of Chinese and Korean TV news were to se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Chinese TV news and whether it is still under governmental control and fulfills the function as propaganda instrument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The method of content analysis was selected in this study. 14 days' 360 news items of KBS 'News 9' and 434 news items of CCTV 'Network News' were analyzed. The main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KBS 'News 9' is made up of 26 news items a day on average(except sports and weather) and every news item is 1 minute 36 seconds long on average. While CCTV 'Network News' broadcasts 31 news items a day and every news item is only 55 seconds. CCTV 'Network News' broadcasts more news items in shorter time. This hinders CCTV 'Network News' from providing audiences with in-depth reports. The reports which only inform the fact of superficial phenomenon lacking in-depth analysis are difficult to attract audiences' interest. Second, there is promine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TV programs in news structural type. In the case of KBS 'News 9', over 80% of the news reports are made up of anchor report, reporter's reporting and interviews. However, reporters do not report directly in CCTV 'Network News' while anchors report news with on the seen footage and interviews. With the development of computer technology KBS made more splendid computer graphics and maps than CCTV. This is largely due to the broadcasting environment of Korea, which makes Korean broadcasting companies are willing to produce news products catering to the audiences' interest and demand. Third, KBS 'News 9' focuses on social, economical and domestic political news, while pays less attention to culture and international news. In the case of CCTV 'Network News', due to the governmental control, governmental viewpoints and opinion are imposed on most of the news report. Fourth, KBS 'News 9' provides audiences with useful, accessible information and fulfills the function as a 'watchdog'. Korean television journalism contributes to enhancing free exchange of ideas on social and political agenda and to remedying fundamental problems of the society.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broadcasting principle, the Chinese broadcasting directly reflects the policy of the party and the communistic ideology. Accordingly, CCTV 'Network News' pays more attention to the admiration of exemplary officials or citizens and the emphasis of the promotion of internal economic development than public's daily lives. Finally, this study found that the reporters of both KBS and CCTV gather news materials from officials, experts, politicians and those who are in high position. It means the news sources of the two programs are not diversified. Especially, 50% of the human sources of CCTV 'Network News' are government officials.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KBS 'News 9' of Korea and CCTV 'Network News' of China. By doing so, this study ultimately found that although the Chinese mass media were greatly affected by the recent transition in China, the most important Chinese television news program CCTV 'Network News' is still under governmental control, propagandizing the policies of the party and fulfilling the political function as an ideological propaganda instrument and one of the official governing agencies. Nowadays, many Chinese TV news programs tent to follow the market logic, taking the audience-centered news strategies and actively respond to the shifting environment. The reform of CCTV 'Network News' is necessary.

      • 멀티 플랫폼 이용자의 콘텐츠 소비 모델 연구 : 드라마와 예능 콘텐츠를 중심으로

        조은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50719

        멀티 플랫폼(Multi-platform)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방송 영상 콘텐츠 소비 행위가 달라지고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 커뮤니케이션과 모바일 기술의 발달로 인해 방송 영상 콘텐츠가 다수의 플랫폼에서 유통되고 있는 멀티 플랫폼 환경에서 방송 영상 콘텐츠 소비 행위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 주목한 멀티 플랫폼 환경은 여러 독립적인 미디어 콘텐츠들이 하나의 디지털 플랫폼 안으로 수렴되고 이러한 디지털 플랫폼이 네트워크로 서로 연결된 다층적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융합 기술로 인해 개별 플랫폼은 영상 미디어로서의 속성과 정보 미디어로서의 속성을 모두 지닌 복합적인 플랫폼으로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멀티 플랫폼 환경에서 방송 영상 콘텐츠를 소비하는 이용자는 시청 행위 외에 정보 이용 및 정보 확산 등 다양한 수용 행위로 플랫폼에 참여하게 된다. 이로 인해 방송 영상 콘텐츠 소비 행위에서도 개별적인 문화 상품의 소비 행위와 유사한 특징들이 드러나고 있다. 따라서 현재의 방송 영상 콘텐츠 소비 행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소비 차원을 밝힐 수 있는 새로운 분석 틀로 방송 영상 콘텐츠 소비 과정을 살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기존의 방송 영상 콘텐츠 수용자를 연구했던 대표적 이론적 틀인 이용과 충족 모델에 새로운 이론적 틀인 소비자 의사결정 모델을 결합시켜, 멀티 플랫폼 환경에서의 방송 영상 콘텐츠 소비 행위를 실증적으로 분석 했다. 이를 위해, 경영학의 멀티 유통채널 소비 연구와 소비자학의 소비자 의사결정에 대한 연구, 그리고 커뮤니케이션학의 이용과 충족 연구를 포괄적으로 검토하여, 멀티 플랫폼 이용자의 콘텐츠 소비 모델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멀티 플랫폼 이용자의 방송 영상 콘텐츠 소비 모델을 검증하기 위해, 멀티 플랫폼 이용자의 방송 영상 콘텐츠 소비 과정을 정보 이용 단계와 시청 단계, 정보 확산 단계로 세분화하여,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밝히고자 했다. 이에 따라 첫 번째 연구문제는 이용자의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 가운데 어떤 특성이 정보 이용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가였고, 두 번째 연구문제는 멀티 플랫폼 이용자의 정보 이용 행위가 방송 영상 콘텐츠 시청 행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가였다. 그리고 세 번째는 멀티 플랫폼 이용자의 정보 이용 행위와 시청 행위가 방송 영상 콘텐츠 정보 확산 행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가였으며, 마지막 네 번째 연구문제는 과연 정보 이용 행위가 이용자 특성과 방송 영상 콘텐츠 소비 행위를 매개하는 유의한 변인인가였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정보 이용과 영상 콘텐츠 시청이 통합된 멀티 플랫폼 소비 맥락에서 이용자의 소비 행위 특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했다. 이러한 네 가지 연구문제를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는 총 623명의 멀티 플랫폼 이용자를 대상으로 드라마와 예능 프로그램 소비 행위에 대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연구문제를 분석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송 영상 콘텐츠 정보를 이용하는 멀티 플랫폼 이용자는 의례적 정보 이용자와 목적적 정보 검색자로 구분되었다. 또한 이용자의 특성 중 본 연구에서 새롭게 검증된 멀티 플랫폼 이용자의 소비성향이 정보 이용 행위를 예측하는 영향력 있는 변인으로 검증되어, 방송 영상 콘텐츠 소비 과정에도 소비 이론을 적용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음을 지지해 주었다. 특히 4가지 소비 성향 가운데 유희적 브랜드 추구 소비성향과 다양성 추구 소비성향의 영향력이 부각되었다. 유희적 브랜드 추구 소비성향의 경우, 다양한 유형의 정보를 이용하는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다양성 추구 소비성향은 정보 플랫폼 선택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멀티 플랫폼 이용자의 정보 이용 행위가 방송 영상 콘텐츠 시청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시청량과 유료시청의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각각 차별적으로 제시되었다. 즉 시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정보 이용 방식이 의례적 정보 이용인 반면, 유료시청의사를 예측하는 정보 이용 방식은 목적적 정보 검색에 한정되었다. 또한 시청량에는 이용 정보 유형이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나, 유료시청의사에는 생산자 동영상 정보와 이용자 텍스트 정보가 유료시청의사를 높이는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셋째, 정보 이용 행위와 시청 행위가 정보 확산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모바일 정보 플랫폼의 영향력이 중요하게 확인되었다. 이와 함께 정보 공유와 정보 생산 등의 정보 확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정보 이용 행위가 이용자 텍스트 정보의 이용으로 나타나, 결국 이용자의 능동적인 정보 확산 행위는 이용자가 생산한 정보에 기반하여 발생된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넷째, 이용자 특성과 방송 영상 콘텐츠 소비를 매개하는 정보 이용 행위의 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시청량과 유료 시청의사, 정보 공유와 정보 생산 행위를 매개하는 정보 이용 경로가 각각 차별적이라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시청량에는 의례적 정보 이용과 언론사 텍스트 정보의 이용 경로만 유의한 반면, 유료시청의사에는 의례적 정보 이용과 목적적 정보 검색의 경로가 모두 유의했다. 게다가, 이용되는 정보의 형식은 생산자 동영상 정보와 이용자 텍스트 정보의 이용 경로가 유의하게 검증되었다. 그리고 정보 공유와 정보 생산 행위를 이끄는 유의한 정보 이용 방식은 의례적 정보 이용과 목적적 정보 검색이었다. 이용 정보 유형에 따라 정보 확산의 결과가 달라졌는데, 정보 공유는 언론사 텍스트 정보와 이용자 텍스트 정보가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보 생산에는 생산자 텍스트 정보와 언론사 텍스트 정보, 이용자 텍스트 정보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멀티 플랫폼에서 방송 영상 콘텐츠 이용자들의 시청 행위와 능동적인 정보 확산에 의례적 정보 이용 행위가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정보 이용 과정에서 이용자가 습관적으로 접하는 방송 영상 콘텐츠 정보의 내용이 시청 동기를 자극하여 시청 행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유료시청의사와 정보 확산이라는 적극적인 소비 행위까지 유인하고 있다는 결과를 지지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발견한 중요한 현상은, 어떤 정보를 자주 이용하는지에 따라서도 방송 영상 콘텐츠 소비의 결과가 달라진다는 점이다. 이는 다양한 형식의 방송 영상 콘텐츠 정보가 각기 다른 기능으로 콘텐츠 소비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지지해 준다. 이와 함께 다양한 특성을 지닌 이용자들의 요구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최적의 정보 플랫폼으로 모바일 플랫폼이 선택되고 있었다. 이는 모바일 플랫폼의 편재성, 편의성, 즉시성, 동시성 등의 특징이 이용자로 하여금 언제 어디서든 실시간으로 방송 영상 콘텐츠 정보에 수시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해 주기 때문이다. 더구나 모바일 플랫폼에서의 정보 이용은 유료시청의사를 높이는 중요한 행위로 예측되었는데, 주로 목적적 정보 검색 방식을 통해 생산자 동영상 정보와 이용자 텍스트 정보가 이용될 때 유료시청의사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논의를 통해 본 연구는 이론적, 산업적, 정책적 차원에서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째, 본 연구는 단일 미디어의 선형적 이용에 중심을 둔 기존 미디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다양한 플랫폼에서의 다중적인 콘텐츠 소비 행태를 포괄적으로 접근함으로써 기존의 제한적인 모형을 현재의 멀티 플랫폼 이용 환경에 적합하게 제안했다는 점에서 이론적 의의를 지닌다. 또한 새롭게 나타나고 있는 다양한 콘텐츠 소비 맥락에 대한 고찰로 방송 영상 콘텐츠 소비 과정을 정보 이용 행위와 시청 행위로 구분하는 한편, 방송 영상 콘텐츠 소비 개념을 확장시켰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능동적인 멀티 플랫폼 이용자들의 콘텐츠 소비 행위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산업적 측면에서 미래 콘텐츠 산업의 유료 비즈니스 모델을 발전시키기 위한 전략 마련에 기여한 의의가 있다. 특히 콘텐츠의 양적 팽창으로 인해 방송 영상 콘텐츠 사업자 간 경쟁이 심화되고 있고, 콘텐츠 마케팅 활동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는 시점에, 방송 영상 콘텐츠 이용자의 세부적인 정보 이용 행위와 콘텐츠 소비 맥락을 분석한 본 연구는 사업자들의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에 도움을 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다양한 정보 이용 행위의 영향 결과를 제공하는 동시에 멀티 플랫폼 이용자의 합리적인 시청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정보 이용 행위를 제시함으로써 수용자의 효과적인 콘텐츠 소비 결정에 기여한 의의를 지닌다. With the emergence of the multi-platform era, the consumption of broadcasting contents is diversifying. This study aims to conduct empirical research on how the consumption of broadcasting contents is preceded in the multi-platform environment caused by the development of digital communication and mobile technology. This study focuses on the multi-platform environment that features multi-layered structures in which several independent media contents converge in a single digital platform which are then connected in a network. Also due to the technological convergence, each platform exists as a complex platform that carries characteristics of both visual and informational media. Thus, users who consume broadcasting contents in this multi-platform environment become participants in the platform not only by viewing contents but also by using and diffusing information. This leads to the emergence of new characteristics in broadcasting contents consumption that are similarly found in consumption behavior of cultural products.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today’s consumption behavior of broadcasting contents, a new analytical framework is necessary to reveal consumption behavior of broadcasting content and its characteristics. Accordingly, this study combines Uses and Gratifications Model, a theoretical frame that is traditionally used to study broadcasting contents users, with a new theoretical frame, Consumer’s Decision-Making Process Model, to empirically analyze the consumption behavior of broadcasting contents in the multi-platform environment. To test the Content Consumption Model of multi-platform users, this study first attempted to subdivide the processes of broadcasting contents consumption into three levels (i.e. informational use, viewing, and diffusion of information) and searched for factors that influence those levels. The study asked four research questions. First research question asked whether the personal or environmental factor, which one would influence the information use behavior, second question asked whether information use behavior of multi-platform user would positively influence broadcasting contents viewing behavior. And third question asked whether multi-platform user’s information use behavior and broadcasting contents viewing behavior would positively influence broadcasting contents’ information diffusing behavior. Last question asked then whether the information use behavior would be a meaningful variable which mediates users’ characteristics and broadcasting contents consumption behavior. This research surveyed 623 multi-platform users on their consuming behaviors of television broadcasting content based on the online survey. The result of analyses is as below. First, multi-platform users who use broadcasting contents information fell into two categories, habitual browsing and goal-directed searching. And also, among users’ characteristics, the propensity to consume which this research newly proposed is verified as influential variable to foresee the information use behavior. This means while studying the process of broadcasting contents consumption, there exists a need to apply consumer theory. Second, analyzing the influence of multi-platform users’ information use behavior to broadcasting contents viewing behavior, variables which effect amount of viewing and willingness to pay for viewing were discriminately suggested. That is, the way of using information which positively influences amount of viewing was habitual browsing, while the way of using information which predicted willingness to pay for viewing was limited to goal-directed searching. Furthermore, type of information did not influence amount of viewing, however for the willingness to pay for viewing, the producer’s video information and user’s text information were affected as determining factors. Third,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influence of information use behavior and viewing behavior which affects information diffusing behavior, the influence of mobile information platform was defined as significant. And the most influential behavior which affected information diffusing as information sharing and producing was user’s text information, which confirms that user’s active information diffusing is based on information produced by user. Lastly, verifying the multiparameter effect of information use behavior mediating user’s characteristics and broadcasting contents consumption, ways of using information which mediate amount of viewing, willingness to pay for viewing, information sharing and information production were different. For amount of viewing, habitual browsing and text information of the press were significant, while for willingness to pay for viewing, habitual browsing and goal-directed searching were significant. Moreover, as form of information used, video information of the producer and text information of the user both defined as significant. And ways of using information which lead information sharing and producing were habitual browsing and goal-directed searching. Information sharing and information production differed according to the type of information used. Information sharing is shown to be mediated by the text information of the press and the text information of the user, while information production is confirmed to be the channel where the text information of the producer, the press and the user all display a remarkable increase of the production of information. Through these analyses, this study has shown that in multi-platform, the habitual browsing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viewing behavior and the active diffusion of information of the users of the broadcasting contents. This is supported by the result that the contents of the broadcasting contents information that the user habitually encounters in the process of information use motivates to view to not only positively affect the viewing behavior but also to lead to active consuming behavior such as willingness to pay for viewing and the diffusion of information. Furthermore, a meaningful phenomenon discovered by this study is that the result of the consumption of the broadcasting contents also varies on which information is frequently used. This supports the fact that various forms of broadcasting contents information discriminately influence the consumption of contents in different ways. In views of the result so far discuss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n theoretical, industrial, policy making aspects is as below. First, in theoretical aspects, this study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on media focused on the linear use of single-media and provides a comprehensive approach to multiple contents consuming behavior in diverse platforms in order to suggest the appropriate application of previous limited model to the present multi-platform use environment. Moreover, it has also divided the consuming process of broadcasting contents into information use behavior and viewing behavior while notionally expanding it through consideration on the context of emerging various contents consumption. Second, in industrial aspects, this study could assist in establishing strategies to develop a paid business model of the future contents industry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contents consuming behavior of active multi-platform users. Especially, at this time when the contents marketing activity is more emphasized as the competition in contents business intensifies due to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contents, this study which analyzes detailed information use behavior and contents consuming context of broadcasting contents users would provide assistance in developing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to those in business. Finally,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the effective decision making of consumers in contents consuming by suggesting the information use behavior that would help the users of multi-platform make a rational viewing decision by providing effects of various information use behaviors.

      • 전시회 참관행태와 미디어 이용에 대한 연구 : 전시회 ʻ홍보마케터ʼ와 ‘참관객’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오수영 韓國外國語大學校 政治行政言論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50719

        본 연구는 매체계획(media planning)에 대한 탐구대상을 전시산업으로 확장하여 전시회 홍보를 담당하는 전시홍보마케터와 이들의 정보를 수용하여 전시회를 방문하는 전시참관객들의 미디어 이용에 대한 인식을 측정해 전시회 홍보에 필요한 최적화된 미디어채널 활용전략을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용자인 참관객의 인구학적 속성, 참관객의 유형, 전시회의 유형에 따라 전시회 관람 행태와 전시회정보획득을 위한 미디어 이용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홍보마케터의 홍보 활동과 참관객들의 정보획득 행태와 미디어 이용의 차이를 측정하여 전시회 광고홍보 전략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홍보마케터와 참관객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2013년 3월 5일부터 19일까지 진행되었으며, 홍보마케터는 국내전시컨벤션센터, 주최사, 협회, 조합, 정부기관 등의 327명을 대상으로 이메일 조사를 실시하여 97명의 설문이 분석에 사용되어 응답률은 29.7%였다. 참관객은 전문조사기관의 15만 패널 중 무작위로 1000명의 샘플링을 추출한 후 메일을 보내 그중 703명이 조사에 참여했으며, 이들 중 전국의 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전시회를 참관한 경험이 있는 309명의 설문이 유효 표본으로 분석에 사용되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참관객의 인구학적 속성에 따른 전시회 참관 행태의 차이가 드러났다. 인구학적 속성에 따른 연구결과 남성에 비해 여성이, 고연령, 고학력, 고소득 참관객일수록 미디어를 통한 참관정보획득에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참관객의 참관목표 유형별로 전시회 참관 행태에 차이가 드러났다. 본 연구의 응답자 309명은 구매탐색(25.9%), 관계구축(21.9%), 문제해결(35.6%), 정보획득유형(16.8%)으로 분류 되었다. “문제해결”, “정보획득”, “구매탐색유형”의 순으로 미디어를 통한 정보획득에 적극성을 보였으며, “관계구축유형”은 다소 소극적인 유형으로 나타났다. 전시참관객의 다수이자 미디어를 통한 정보획득에 가장 적극적인 “문제해결 유형”의 중요한 참관요인은 전시회 광고 홍보(언론 홍보와 언론 평가)로 나타났다. 셋째, 전시회의 유형(무역전시회, 일반전시회, 무역일반전시회)에 따른 전시회 참관 행태의 차이가 드러났다. 전시회에 대한 관심도, 방문계기, 전시회 방문결정 시기, 사전계획 수립여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참관객들이 동일한 조건에서 전시회 정보를 접한다고 하더라도 참관 목표나 전시회 유형에 따라서 상세한 참관 정보를 수용하는 커뮤니케이션 경로와 수용정도에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며, 유형별로 영향력이 큰 미디어를 활용하는 효율적인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넷째, 홍보마케터의 홍보활동과 참관객들의 미디어를 통한 정보획득 활동 분석에서는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다. 홍보마케터의 홍보활동이 참관객들이 정보획득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디어신뢰도에 있어서 전시참관객의 경우 TV가 가장 높았고 전시홍보마케터는 전시홍보물이 가장 높은 것으로 보고 있어 양 그룹 간 미디어 신뢰도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홍보마케터는 정보를 충분히 제공하는 것으로 인식했지만 참관객들은 부족하다고 느꼈으며, 이러한 인식의 차이를 종합해보면 광고홍보 전략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학문적 실무적 의의, 제한점 그리고 추후 연구과제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주제어 : MICE산업, 전시컨벤션산업, 전시회, 전시회유형, 참관객, 참관객유형, 홍보, 전시회홍보, 홍보미디어, 미디어특성, 미디어신뢰도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rategize the most optimized media use in exhibition marketing with regard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ehaviors and perspectives of the exhibition attendees and those of the exhibition PR marketers in exhibition media planning. In order to achieve its purpose, this study has focused to find out if the demographical features and the types of exhibition attendees, and the types of exhibitions would have any specific impact on the behaviors of exhibition attendees as well as the use of different media channels when receiving the exhibition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a survey on groups of exhibition PR marketers and exhibition attendee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romotional activities taken by the exhibition PR marketers, the behaviors of acquiring the exhibition information of exhibition attendees, and the difference in use of media channels when receiving these information in order to suggest the most suitable PR strategies for further exhibition planning. This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electronic mails which were distributed to 327 exhibition PR marketers of local Exhibition & Convention centers, exhibition organizers, associations, and government related organizations from March 5th to 19th of 2013, and 97 repli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survey. In addition, for the survey of exhibition attendees, 307 exhibition visitors who had once attended local exhibitions held at the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s were selected as the valid sample of the survey, and the followings are the brief conclusions. Firstly, the demographical features of exhibition attendees did play as one of the key factors in determining the behaviors of exhibition attendees. The results showed that attendees who are women, older, highly educated and earned are likely to be more active in receiving exhibition information through various media channels. Secondly, the purposes of visiting exhibitions seem to have effect on the different behaviors of exhibition attendees. The 309 respondents of this survey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purchase-inquiring(25.9%), network- building(21.9%), problem-solving(35.6%), and information-seeking (16.8%). The groups in orders of problem-solving, information-seeking, and purchase- inquiring showed some active gestures towards receiving the exhibition information through the use of media, whereas the networking-building group seemed to be the least interested. The problem-solving group which is the majority of the exhibition attendees and most active when receiving such information through various media had answered that the most effective motivation for making them to attend the exhibitions is the exhibition advertising and promotional activities, mainly the media PR. Thirdly, the behaviors of exhibition attendees do vary according to the different types of exhibitions (e.g., Trade shows, Mixed Shows, Public Shows). There were few elements that caused some meaningful effects on the behaviors of these attendees: the interests shown on exhibitions, the period in which the exhibition attendees decide to visit the shows, and the purposes and the pre-planning of their visits. Moreover, the results showed that if the exhibition attendees were under the same conditions when receiving the exhibition information, the methods of how and the depths of how much did they receive them varied according to the purposes of their visits, and the types of exhibitions in which they have attended.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exhibition planners and PR marketers to implement the most effective PR strategies for different aspects of these behaviors when planning for the future exhibition advertisements and promotions.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 activities of exhibition PR marketers and the media in which the exhibition attendees use to receive such relevant information to that of their behaviors on visiting exhibitions did not carry any meaningful results at all. It was founded that the PR activities undertaken by the exhibition PR marketers did not help the exhibition attendees when acquiring exhibition information, and the results for the most effective media channel of the exhibition PR marketers was the exhibition promotional materials; whereas, it was TVs for the exhibition attendees. Also, the exhibition PR marketers said that they have provided enough exhibition information to the public, but the exhibition attendees had replied just the opposite. The results of this study emphasize that the exhibition PR marketers should plan the most effective communication channels when distributing the exhibition information to the public, and therefore, they must set up proper media plans that could match to the different features of the exhibition attendees and provide the most optimized PR services to the exhibition attendees. In conclus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some tips and suggestions for the exhibition PR marketers which would enable them to plan ahead the most effective exhibition PR marketing strategies even in the times of exhibition marketing environmental changes take place due to the various media channels that are being favored in today. Finally, the future studies of exhibition industry should contain more active researches in the topics of these changes in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s of exhibition industry as a result. KeyWords: MICE(Meetings, Incentives, Conventions and Events) Industry, Convention and Exhibition Industry, Exhibitions(Tradeshows), Types of Exhibitions, Exhibition Attendees, Types of Exhibition Attendees, PR, Exhibition PR, PR Media, Media Features, Media Credibility

      • 위기 상황의 언론보도 프레이밍과 위기 커뮤니케이션이 공중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박은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703

        지금까지의 위기와 이미지회복 전략에 관련한 연구들은 대부분 정치인 및 사회 유명인들의 언변을 조사하는 분석적 차원 혹은 이미지회복 전략에 대한 수용자의 반응을 알아보는 실험 연구를 중심으로 이루어 져 왔다. 그러나, 실제 조직의 이미지회복 전략 메시지의 대부분이 결국 언론 보도를 통해 공중에게 전달되기 때문에 언론의 프레임이 수용자들의 인지에 영향을 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통합적 접근은 이루어 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위기 상황에서 조직이 내세우는 이미지회복 전략이 대부분 언론을 통해 전달된다는 점에 착안하여, 언론 보도 프레임이 공중의 이미지회복 전략에 대한 판단에 영향을 주는가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즉, 기존의 언론 프레임 효과 연구와 위기관리의 이미지회복 전략 연구를 통합적인 시각에서 바라보고자 한 것이다. 그러나, 이에 따라, 조직과 언론, 수용자가 연구의 주요 대상이 되었으며 여기서, 조직의 이미지회복 전략과 언론의 프레임은 독립변수로, 수용자의 인식은 종속변수로 설정되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위기 상황 시 언론보도를 통한 이미지회복 전략이 수용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함으로 사회 내 일어나는 다양한 위기 상황 중 하나를 선정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이를 위해, 위기 사건 중에서도 산업 전반 및 공중의 삶에 상당히 위협적으로 다가간다는 측면에서 대표적인 사회의 ‘위기’사건인 식품 관련 위기 사건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식품 관련 위기 상황에서는 조직들의 이미지회복 전략 활용이 절실함으로 본 연구에서 규명하고자 하는 이미지회복 전략의 분석 연구에도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 식품 관련 사건은 총 49건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이미지회복전략을 유출할 수 있었던 사건은 20건이었다. 이때, 이미지회복전략은 책임성의 높고 낮음과 관계없이 정당화, 변명과 같은 방어적 형태가 주로 사용되고 있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특히, 수용적인 태도는 방어적 태도에 비해 상당히 미흡한 수준이었으며 책임성이 높을 경우 오히려 수용적 태도가 적은 것으로 드러났다. 사건의 보도 프레임은 주제 프레임, 객관적 보도, 일화 프레임 순서로 나타나 식품 위기 사건에 대한 언론 보도에서는 사회적 배경 및 사건의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는 주제 프레임이 주로 사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미지회복 전략을 다룬 보도들에서는 오히려 일화프레임이 주제프레임, 객관적 보도 보다 많은 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조직의 메시지를 활용하는 기사에서는 주로 사건의 결과와 극적인 묘사를 다루는 일화 프레임을 사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사건의 책임성과 프레임 유형은 이미지회복 전략과는 각각 상호작용하여 수용자들의 인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위기 사건 보도의 프레임 유형과 이미지회복 전략에 대한 공중의 인식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어 프레임 유형이 결국 조직이 형성한 이미지회복 전략 메시지 해석에 영향을 준다는 본 연구의 주된 연구문제를 증명할 수 있었다. 위기 유형의 책임성 정도에 따른 이미지회복 전략의 수용도 에서는 기존 연구와 동일한 결과를 보여, 책임성의 높고 낮음의 차이가 이미지회복 전략의 수용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언론 보도의 프레임 유형에 따라 수용자들이 이미지회복 전략 메시지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위기 사건의 책임성 여부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프레임과 공중의 인식 사이에서 위기 유형은 뚜렷한 상호관련성을 갖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프레임 유형과 이미지회복 전략 및 위기 유형과 이미지회복 전략은 서로 상호작용성을 가지고 있으나, 프레임 유형, 이미지회복전략, 위기 유형간의 상호작용성은 없는 것이다. 위 결과를 중심으로 보면, 우선 본 연구에서 밝히고자 했던 언론보도 프레임과 이미지회복전략의 수용차이를 규명했다는 점에서 그 함의를 도출해 볼 수 있다. 이는 이미지회복전략 연구에서 언론보도 프레임을 도입했다는 의의에서 더 나아가, 그것을 증명하여 지금까지 언론의 프레임을 간과했었던 이미지회복전략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해 볼 수 있었다는 의미를 지닌다. 또한, 실제 조직이 위기 상황에서 실행하는 이미지회복전략을 분석하여 이론과 비교해 봄으로서 이론적인 논의와 실제 행위 사이의 차이점을 발견했다는 점 역시 본 연구의 함의로 들 수 있다. 이 과정을 통해 위기 상황에서 조직의 이미지회복전략이 결국 언론 보도 프레임에 영향을 받고 또한 그것을 수용하는 공중의 인식에도 영향을 준다는 결론을 이끌어 낼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공중들은 이론적 논의와 거의 부합하는 선호도를 가지고 있으나 실제 조직이 행하는 바는 이와 다름으로 위기 상황 시 조직의 전략적 차원이 변화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 볼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분석한 자료를 가지고 이끌어 낸 결론을 조직 전반적인 원으로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점은 연구의 한계로 지적될 수 있다. 3년간의 데이터를 통해 식품 위기 사건을 분석했으나, 조직의 사과문이나 이미지회복전략에 대한 공식적 자료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또한, 실제 존재하는 기업과 위기 사건을 실험 대상으로 설정하여 보다 구체적인 접근 및 실험이 가능했지만 그로 인한 선입견이나 수용자들의 인식 변화를 세밀하게 분석하기 못했다. 이는 본 연구가 이미지회복전략 분석 연구에서 언론보도 프레임을 통한 조직 메시지의 일방향적 영향력도 규명되지 않은 상황이었기에, 우선적으로 언론보도와 조직, 수용자사이의 일방향적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이들 간의 상호작용성 및 쌍방향적 흐름을 고려하기 않은 결과이기도 하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수용자의 해석적 프레임에 대한 조사를 통해 쌍방향적 흐름을 규명해 보는 시도가 필요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는 또한, 보다 다양한 프레임 유형을 가지고 연구하여 프레임 유형별로 나타나는 차이를 세밀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how media framing of crisis situation works on public perception of the image recovery message from the organization. Also, the study aimed at identifying how crisis communication strategies affected the organization's image recovery effect. To test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conducted a text analysis of newspaper coverage about food crisis cases and an experimental survey which was composed of 2 kinds of frames and crisis types. Text analysis were necessary to find out food crisis cases in our society, and to identify what kinds of frames and image recovery strategies used during the food industry crisis. At the survey, frames classified episodic frame and thematic frame, and crisis types separated transgression and terrorism type of crisis cases. In the case of crisis types, CJ food systems's school lunch accident selected for the transgression case and Coca-cola poison accident chose for the terrorism case. Therefore, the experiment was divided into 4 groups and each group had to test 4 kinds of image recovery messages-shifting the blame, defensibility, attack accuser, corrective action-of the organization. 160 people were subjects and they were divided into 4 groups considering their age and gender. Each of the survey question-frame types, crisis cases, and image recovery strategies-was manipulated. T-test and repeated measure ANOVA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meaning of the survey. Main research results and their mean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food industry's crisis case counted about 49 cases. Among these, only 20 cases included organization's image recovery strategies. Those 20 accidents were the final objets of this research and there were 247 sentences about organization's image recovery message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whole sentences, the food industry organizations used defensive strategies more than apologetic one. On the contrary, the public prefer the apologetic strategies in the crisis situation. Moreover, they trusted the organization's apologetic messages when the organizations had main responsibility of the accident. Second, the media coverage about the food crisis cases used thematic frames more than episodic one. This result showed that the media tried to find out cause of the accident and considered about social system when they report the accident to the public. However, the most of the organization's image recovery messages included in episodic frames. The image recovery strategies were not send to the public throughout objective news coverage or thematic frame. For that reason, the public could be affected by the media frame when they judged organization's message during the crisis period. Throughout the experimental survey, this hypothesis revealed. The consequences of T-test and repeated measure ANOVA, interaction between frame types and image recovery strategies were significance. Third, there was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crisis types and image recovery strategies but, there were no interactions among the frame types, crisis types and image recovery messages. This result showed that media frame affect the public's perception about the organization's message independently, and the crisis types also has the same kinds of interaction with the organization's image recovery strategies. However, the crisis type has no significant effect to the interaction of the frames and organization's messag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considered media frame as a main independent variables of the image recovery strategies study. Also, throughout this research the real interaction between frames and organization's image recovery messages were revealed.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help to make a effective strategies and plans. For this, further study have to consider the public's bias about the accident or the organization. Those kinds of effort can make the research more meaningful.

      • 정권과 언론의 밀월기간(honeymoon period)에 대한 연구 :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정권 정치기사 헤드라인 분석을 중심으로

        김민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703

        This study focuses on “Honeymoon Period” which is known for certain of periods when the reporting attitude on a newly-established government from the media is shown favorable. For a case of USA, a number of studies on honeymoon period have been reported, comparing to those in Korea. It is true that rather focusing on academic studies, Korea has been at a level of mentioning about honeymoon period or its relations between the media and the government in articles or columns in newspapers. Thought the environments in Korea surrounding the government and the press are different from those in America, Korea has been used the same concept of honeymoon period as that of USA , which refers as the media sustains a favorable reporting attitude toward its counterpart government for about six months after the government launches. In fact, the field of studies on Korean politics-communications excludes such a honeymoon period for the reason that this pro-governmental reporting attitude affects the justice and objectiveness of studie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fill up the blank from the existing studies by focusing on the press reports which have been hardly dealt with so far during honeymoon period between the domestic media and the government. Three subjects for inquiry in this study are as the followings: First, at the early period of the government, in order to find out formal characteristics about the press reports on the front page of the Korean newspapers, monthly volumes of repor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each regime and publishing company and monthly and then political articles were specifically analyzed according to each topic to figure out volumes of reports. Second, at the early period of the government, changes in reporting attitudes on political articles on the front page of the Korean newspapers were analyzed under the categories of each regime, publishing company, and monthly volumes. After that, political articles were specifically analyzed according to each topic to figure out what kinds of reporting attitudes were shown. Lastly, through analyzing the preceding two results, the honeymoon period between the Korean government and the press was closely examined. In order to solve these subjects for inquiry, this study utilized content as well as quantitative analysis methods about headlines in newspapers. The target governments for analysis are Kim Young-Sam, Kim Dae-Jung, Roh Moo-Hyun and Lee Myung-bak’s administrations and the target press for analysis are the front pages of The Josun, The Joongang and The Hankoyeh. The analyzing periods are from the established day of each government to six months later. During the periods, the number of headlines in the front pages of the three press companies is added up to 5878. After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headlines, three characteristics were found. First, during the period from the first to six months after each government started, there was a trend of reduction in political article volumes. This reflects a degree of press attention to the newly-established government. In other words, the Korean press is inclined to give the highest political attention to the government at the early period of the regime while such an attention degree is shown to lower in the course of time. In addition, as each of the new government began, the press was shown to report about the new government’s politics based on the president rather than themes on the new president’s objects and plans. Through this analysis, the Korean press can be interpreted to put the reporting value more on governmental politics than the president at the first period of the government. Second, during the analysis period in all of the four governments, the number of negative reports was shown to increase whereas the number of positive reports to decrease. This result means that Korea also, similar to America, had a certain kind of reporting period from the press favorably toward the government the first period of the government. However, the sustaining period of favorable reports attitudes was different according to each government and within each regime and there was also a difference among the press companies. During the Kim Young-Sam governmental period except when the Josun Daily had a honeymoon period with at-that-time regime, there was no result which would show to sustain such a honeymoon period for the six months. This can be analyzed that the usual honeymoon period, which is recognized for six months after the new government starts, was shown to be shorter in Korea. Based on this founding, a reestablishment of a concept about honeymoon period seems to be needed in the domestic press environments, which can be applicable to those of the government and the press. Thirdly, honeymoon period between the press and the government was analyzed to be shortened by degrees as time passed from the Kim Young- Sam to Lee Myung-bak government. This was a coherent trend, regardless of political ideologies between press companies and the governments. However, after analysis of honeymoon period within each government, political ideologies between press companies and the governments were shown to affect a sustaining term of such honeymoon period to some exten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analyzed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Korean honeymoon period and considered its implications from both positive and negative perspectives. The importance of honeymoon period is recognized as a term which braces for stronger drives and prepares for the national management by the newly-established government. From this perspective, the result that the domestic honeymoon period can be criticizable. However, from other point of view, this result is also the phenomenon that various reporting attitudes coexist such as favorable and critical reports toward the government in the same honeymoon period. It can be estimated to be positive in the aspect of the press’ taking responsibility to criticize and watchdog in that freedom of speech is guaranteed. Therefore, for the desirable practices to be put during honeymoon period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press, moderate supports and constructive critical reporting attitudes on the whole can be required rather than unconditional favorable attitudes toward the government. 이 연구는 새롭게 출범한 정권에 대해 언론의 보도태도가 일정기간 호의적으로 나타난다고 알려진 ‘밀월기간(honeymoon Period)’이 한국 신문에서는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에 주목하였다. 미국의 경우 밀월기간에 대한 기존 연구는 비교적 많이 진행돼왔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학술적인 연구보다는 신문의 기사나 칼럼 등에서 정권과 언론간의 밀월기간 혹은 밀월관계에 대한 언급을 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을 뿐, 학술적인 연구는 활발하지 못했다. 또한 정권과 언론을 둘러싼 환경이 미국과는 다름에도 불구하고, 언론이 정권 출범 후 통상 6개월 정도 정권에 대한 우호적 보도태도를 유지하고 있다는 미국의 밀월기간 개념을 한국에서도 그대로 사용해오고 있었다. 한국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영역에서는 이 기간에 나타나는 우호적인 보도태도가 연구의 공정성과 객관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이유로 분석기간에서 제외하고 있기도 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이전의 연구들에서 다뤄지지 않은 국내 언론과 정권의 밀월기간 동안 나타난 언론보도에 주목함으로써, 기존 연구의 공백을 메우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크게 세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정권 초 한국 신문 1면 정치기사에서 나타난 보도의 형식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각 정권 별, 신문사별, 월별 보도 량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후, 정치기사를 다시 세분화하여 주제별로 보도 량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둘째, 정권 초 한국 신문 1면에 나타난 정치기사 보도태도의 변화를 정권 별, 신문사별, 월별로 살펴보고 정치기사를 다시 세분화 한 주제별로 어떠한 보도태도가 나타났는지를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앞의 두 가지의 연구문제 분석결과를 통해, 한국에서 정권과 언론간의 밀월기간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신문제목(headline)의 계량적 분석과 함께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대상 정권은 김영삼 정권, 김대중 정권, 노무현 정권, 이 명 박 정권이며, 분석대상 신문 및 지면은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 겨레 신문>의 1면이다. 분석기간은 위의 네 개의 정권이 출범한 날을 기점으로 6개월이 지난 시점까지이다. 분석 기간 동안 세 개 신문의 1면에 나타난 신문제목(headline)의 기사 수는 모두 5878건으로 집계됐다. 표 집 된 신문제목을 분석해 본 결과 크게 세 가지 특성을 발견했다. 첫째, 정권 출범 후 1개월째부터 6개월째까지 시간이 흐를수록 정치기사의 양은 점점 줄어드는 흐름을 보였다. 이는 새로운 정권에 대한 언론의 관심의 정도로 파악할 수 있었다. 즉, 한국의 언론은 정권 초에 가장 높은 정치적 관심도를 보이고 있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그 관심의 정도가 낮아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정권이 출범하면, 언론은 새 대통령의 목표와 계획에 관한 주제보다는 대통령을 기반으로 하는 새 정부의 정책에 대해 더 높은 비율로 보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한국의 언론은 정권 초 보도의 뉴스가치로서 대통령보다 정부정책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둘째, 분석기간 동안 네 개의 정권 전체에서 월(月)이 지남에 따라 긍정적인 보도는 감소하고 부정적인 보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미국과 마찬가지로 한국에서도 정권 초에 언론이 정권에 대해 우호적으로 보도하는 시기가 존재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긍정적인 보도태도가 지속되는 기간에는 정권 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또한 각각의 정권 내에서도 신문사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영삼 정권 시기에 조선일보가 6개월의 밀월기간을 가졌던 것을 제외하고는 어느 정권에서도 6개월 동안 정권과 밀월을 지속했다는 결과는 없었다. 분석대상의 전체 정권과 신문사를 포함한 분석결과에서도 정권 출범 후 2개월째까지만 긍정적인 보도태도가 지속되었고, 그 이후의 기간에는 부정적 보도태도가 지속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새로운 정권 출범 후 통상 6개월까지로 인식되어 있는 밀월기간이 한국에서는 더 짧게 나타나고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게끔 한다. 이를 기초로 국내에서는 정권과 언론의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밀월기간의 개념 재정립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정권과 언론의 밀월기간은 김영삼 정권에서 이 명 박 정권으로 갈수록 점점 짧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는 정권과 신문사간의 정치적 이념과는 관계없이 일관되게 나타나는 흐름이었다. 그러나 각각의 정권 내에서 신문사별로 나타난 밀월기간을 살펴본 결과, 신문과 정권의 정치적 이념 차이는 밀월의 지속기간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한국에서 나타난 밀월기간의 특성과 변화를 자세하게 살펴보고, 이 기간이 한국언론에서 갖는 함의가 무엇인지 긍정적, 부정적 관점으로 모두 고찰해 보았다. 밀월기간은 새롭게 탄생한 정권이 제대로 국가경영을 준비하고 강한 의욕을 가다듬을 수 있는 기간인 만큼 그 중요성이 인정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국내 밀월기간이 감소하고 있는 결과는 비판의 여지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한편으로 이 결과는 정권에 대한 우호적인 보도와 비판적인 보도 즉, 다양한 보도태도가 밀월기간에서도 공존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현상이기도 하다. 이는 언론의 자유 성이 보장되고 있다는 점에서, 또한 언론이 비판과 감시 기능을 충실히 하고 있다는 언론의 책임 차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정권과 언론의 바람직한 밀월기간의 관행을 위해서는 정권에 대한 무조건적인 우호적인 태도보다는 절제된 지지와 대국적인 차원에서의 건설적인 비판적 보도태도가 국내 언론에 요구된다고 할 수 있겠다.

      •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언론의 사회적 현실구성 연구 : 2003년~2014년의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그리고 한겨레신문을 중심으로

        Nguyen, Thi Kim Chi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703

        오늘날 한국은 다문화사회로 진입하면서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언론의 보도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에 그 동안 가장 급격한 증가의 추세를 보이는 것은 베트남에서 온 결혼이주여성들이다.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을 비롯한 동남아시아 여성들은 한국인과 피부색도 다르고 언어와 문화 격차도 많기 때문에 한국사회에 적응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그들을 둘러싼 차별과 가정폭력, 사건 등이 종종 발생하여 미디어에 논의되고 있다. 그러나 미디어는 현실을 있는 그대로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기자가 속하는 언론사조직의 지배적인 권력과 이데올로기로부터 영향을 받으며, 사회 질서와 기존 체계를 유지하기 위해 기사의 특정 부분을 부각 또는 배제 등을 통해 뉴스를 재구성하여 독자들에게 제공하는 특징이 있다. 언론은 국제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과 정부의 정책 결정에 있어 매우 중요한 전달자이며 동시에 큰 권력이다. 따라서 국제결혼을 통한 이주여성에 대한 언론의 보도를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고 의미 있는 작업이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비롯하여 본 논문은 2003년부터 2014년 현재 한국에서 가장 보편적이고 신뢰도가 높은 주요 신문인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그리고 한겨레신문이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에 대해 어떻게 보도하고 재현하는지 검토해 보았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 보도량, 기사유형, 보도태도, 보도주제, 그리고 프레임의 특징을 언론사별, 그리고 연도별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한국의 주요 언론사들의 보도를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이 몇 가지를 파악할 수 있다. 첫째, 보도량에 있어 조선일보는 4개 신문 중에 베트남에 대한 이슈와 사건 등을 가장 많이 보도하며 한-베 국제결혼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그 다음으로는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중앙일보 순이다.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보도량은 2006년부터 급증하기 시작하였으며 최근에는 줄어드는 경향을 보인다. 둘째, 기사유형에는 피처기사와 스트레이트기사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언론은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감동과 흥미 위주의 보도를 많이 하고 그들과 관련된 사건이나 이슈에 대해서 간단하게 보도하는 특징을 나타냈다. 그 중에 중앙일보는 스트레이트 형식의 짧은 기사보다 해설 기사로 내용이 길고 자세한 분석을 제공하고 전문가나 논설위원으로 인해 이루어진 의견기사를 종종 찾을 수 있다. 셋째, 보도태도에 있어 긍정적 논조의 기사보다 부정적 논조의 기사가 많았다. 최근에는 보도태도는 긍정적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는데 앞으로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수용자들의 태도 또한 긍정적인 방향으로 바꾸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넷째, 취재원에 있어 조선일보의 보도에서 결혼이주여성과 가족, 그리고 정부 및 공공기관이 가장 중요한 취재원이며 시민단체의 의견도 많이 반영되었다. 한편 중앙일보는 전문가와 기업 또한 중요한 정보원으로 신문에 등장하고, 동아일보는 다른 신문사에 비해 이주여성의 등장이 가장 많았다. 일반적으로 결혼이주여성이 가장 많이 등장한 취재원이지만 언론에서 목소리가 가장 중요하게 인식되고 많이 반영되는 계층은 역시 권력을 소유하는 정부 및 공공기관, 전문가, 그리고 기업이다. 한편 시민단체의 비율은 정부와 공공기관에 비하면 매우 낮은 숫자이다. 다섯째, 보도주제에는 복지지원, 인간적 흥미, 또는 정치정책이 대부분이다. 베트남 결혼이주여성 관련 보도는 주로 그들을 대상으로 하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그리고 시민단체, 기업 등의 지원과 복지정책을 강조하고 있으며, 그들과 그들의 자녀들을 교육하고 사회에 통합시키는 것을 중요시한다. 그들에 대한 미담과 한국생활도 신문에서 많이 다루어진다. 4개 신문 중에 조선일보의 보도는 주로 복지지원이나 미담 등과 같은 간단하고 흥미위주의 기사가 대부분인데 반해 중앙일보는 정치정책과 사회분석을 매우 중요한 주제로 보도하고 기업과도 깊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한겨레신문은 주로 결혼이주여성들의 생활과 관련된 미담, 행사, 문화교류 등을 많이 보도하고 그들이 겪는 차별, 피해 등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여섯째, 보도프레임에 있어 모든 신문에서 국가민족 프레임이 관용온정보다 높았다. 특히 중앙일보의 경우, 국가민족 프레임이 관용온정 프레임에 비해 3배 가까이 많았다. 반대로 한겨레신문의 경우 국가민족 프레임과 관용온정 프레임 간의 차이가 가장 적게 나타나 결혼이주여성에 대해 약자의 모습, 포용과 도움이 필요한 존재로 부각하였다. 중앙일보의 차별 프레임 또한 4개 신문 중에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한겨레신문은 차별의 태도가 거의 없었다. 범죄자 프레임은 조선일보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는데 이는 조선일보의 사건사고 주제가 4개 신문 중에 가장 많음과 관련이 깊다. 차별 프레임은 2003년부터 2006년까지 한-베 국제결혼이 처음 논의된 시기에는 항상 10% 이상의 비중을 차지하였으나 그 후로 감소하는 추세이다. 마지막으로 실천 프레임은 5개 프레임 유형 중에 가장 적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 주요 신문들이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에 대해 어떻게 재현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12년이라는 장기간의 분석을 진행하였다. 특히 베트남 결혼이주여성 관련 사건들이 언론에 보도되어 몇 차례 양국 간의 국제결혼 정책과 규정 변경 및 강화 등이 있었음을 보면 베트남 결혼이주여성 관련 기사를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작업이다. 나아가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 이슈에 대한 보도 패러다임의 개선 및 보다 다양한 언론의 재현 관련 연구를 제안하는 바이다. Today, as Korea is becoming more and more multi-cultural, the press is turning its attention to marriage migrant women. Among these women, we can see that the number coming from Vietnam in particular is rapidly increasing. The adjustment of Southeast Asian marriage migrant women, including those from Vietnam, to Korean society is difficult not only because their skin color, language, and culture are all different, but also because they may experience various types of discrimination, domestic violence, and other incidents. These issues attract media attention, but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media does not simply record reality as it is. Reporters have their own personal biases and the organizations they work for have their own governing authority and ideology. In order to maintain social order and the system as is, the media may add their own spin or systematically omit certain facts, thus reconstructing “the news” to offer to consumers. The press has an important role in shaping people’s awareness of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and even government policy toward them. Therefore, it is meaningful and important work to critically analyze the way the press portrays these women. Accordingly, this thesis focuses its attention specifically on the way four trusted major Korean newspapers (The Chosun Ilbo, The Joongang Ilbo, The Dong-a Ilbo, and Hankyoreh) reported on Vietnamese marriage migrant women from 2003 to 2014. Attention is given to the volume of reporting, the categorization of the articles in the paper, the attitude of the articles, the subject matter, and the way in which that subject matter was framed. This thesis further analyzes these categories by newspaper and by year.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by volume of reporting, this study shows that the Chosun Ilbo tops the list, indicating its strong interest in issues related to Korean-Vietnamese international marriages. The Dong-a Ilbo comes in second, with Hankyoreh third and the Joongang Ilbo fourth. The volume in reporting also shows a sharp increase starting in 2006, just recently tapering off. Second, as to the categorization of the articles in the paper, straight news articles and feature articles carry the greatest amount of importance. The press reports on Vietnamese marriage migrant women mainly because the subject is emotionally moving or otherwise interesting, and tends to provide only simple information about any incidents or issues. Of the four papers, the Joongang Ilbo provides the most in-depth coverage with longer, more detailed, analytical articles and opinion pieces, often including the voices of experts in the field. Third, as for the attitude of the reporting on marriage migrant women, there were more articles with a negative tone than with a positive tone, but recently the attitude has taken a more positive turn. More articles with a positive take are expected in the future. Fourth, looking at the sources represented, it is apparent that the newspapers have different tendencies in where they get their information. The Chosun Ilbo relies on the marriage migrant women, their families, and community organizations, but presents the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s as the most important sources. The Joongang Ilbo relies mainly on experts and those in the industry itself as the main informants. The Dong-a Ilbo, on the other hand, places the most emphasis on the women themselves, in comparison with the other papers, though it still predictably gives more weight to those in positions of power—the government, public institutions, experts, and the industry itself. The press generally downplays community organizations in comparison to governmental and public institutions. Fifth, in terms of subject matter, social welfare, human interest, and governmental policy constitute most of the press coverage. Articles mainly focus on how the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 community organizations, and industries are targeting Vietnamese marriage migrant women and their children through various programs or social policies, especially in terms of the children’s education and social integration. Articles also tell moving stories of what life in Korea is like for these families. Of the four newspapers studied, the Chosun Ilbo tends to include the most simple-yet-moving human interest stories and reports on their social welfare, whereas the Joongang Ilbo tends more toward political policy and societal analysis. Hankyoreh tends to focus on marriage migrant women’s lives, and the personal stories, events, and cultural exchanges connected with that, not shying away from issues like discrimination and social persecution. Sixth, in looking at the framing of the content, it is clear that in each newspaper the most salient paradigm is that of nationalism, more than paternalism. In the case of the Joongang Ilbo especially, the frame of nationalism was three times more prevalent than that of paternalism. By contrast, the frameworks of nationalism and paternalism in Hankyoreh are used with more equal frequency, as the newspaper often presents marriage migrant women as weak and in need of help and a warm embrace. As for the paradigm of discrimination, the Joongang Ilbo uses this more than the other three newspapers, and Hankyoreh barely uses it at all. The paradigm of criminalization is applied relatively more by the Chosun Ilbo, and it accordingly has more articles on incidents of crime than the other three papers. In the early years of reporting on Korean-Vietnamese international marriage (2003-2006), 10% or more of the articles were always presented under the framework of discrimination, but this percentage has become less and less in recent years. Lastly, the framework of action, which was also examined, turned out to be the least common type of paradigm used. This thesis looked at the way that four major Korean newspapers portrayed and thus reconstructed the identities of Vietnamese marriage migrant women over a 12 year period. The work of critically analyzing years-worth of reporting on these women and the incidents, policies, and regulation changes related to Korean-Vietnamese international marriages is a very meaningful endeavor indeed. It is hoped that the findings of this thesis on the currently-prevalent paradigms of reporting on marriage migrant women can become the foundation for future improvement and more variety in persp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