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상담종결경험,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이 놀이치료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권이경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1791

        This study examines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a play therapist's counseling completion experience, social support, and self efficacy on psychological burnout, based on Bandura's(1977) self efficacy theory.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research on preventing and minimizing psychological burnout. To complete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90 play therapists working at child counseling offices, pediatric psychiatric wards, and counseling offices in welfare facilities and universities where play therapy is administered. Self-report type questionnaires were used to ident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effective counseling completion experiences of play therapists, and the MBI(Maslach Burnout Inventory) developed by Maslach and Jackson(1981a), was used to assess the psychological burnout of play therapists. The Counseling Self-Estimate Inventory(COSE) which was developed by Larson(1992) was used to measure the self efficacy of play therapists, and Park Jiwon's (1992) Social Support Questionnaire was used to evaluate social suppor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license holders and non-license holders in their counseling completion experience, counseling completion rate, self efficacy and decrease in personal fulfillment; a sub-variable of psychological burnout. Second, a route analysis of psychological burnout indicated that indirect routes existed from counseling completion experience in all types of social support; supervisor support, collegial support, and familial support. Supervisor support did not produce any routes to psychological burnout, while collegial support producted an indirect route, and familial support producted a direct route. In terms of self efficacy, all three types of support producted direct routes toward psychological burnout. Third, an analysis of the routes related to the sub-variable of a play therapist's psychological burnout indicated a significant relation only in the decrease in personal fulfillment. The route model came out to be similar to the route analysis of psychological burnout. Fourth, a comparison of the route analyses of psychological burnout between license holders and non license holders indicated that supervisor, collegial, and familial support produced indirect routes from counseling completion experience to psychological burnout for both license holders and non license holders. Among the different forms of social support, only collegial support produced an indirect route toward psychological burnout. In other words, for route models of psychological burno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license holders and non license holders. Fifth, a comparison between license holders and non license holders in terms of route models for the decrease in personal fulfillment, a sub-variable of psychological burnout, indicated a slight difference. For non license holders, a direct route existed between familial support and the decrease in personal fulfillment, while for license holders there was no direct route between familial support and the decrease in personal fulfillment. 놀이치료자는 아동의 감정에 동요되지 않으면서 아동의 감정을 공감할 수 있는 균형적인 심리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하지만 실제로 많은 치료자 및 상담자들이 의욕을 잃고 내담자들에게 냉정해지는 심리적 소진 상태를 경험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Bandura(1977)의 자기효능감 이론에 근거하여 놀이치료자의 상담 종결경험,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직, 간접영향에 대해 연구하여 이를 통해 놀이치료자의 심리적 소진을 예방하고 감소시키는데 대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놀이치료를 실시하고 있는 아동상담소, 소아정신과, 복지관내 상담소, 대학부설 상담소 등에서 놀이치료자중 설문에 응한 9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도구로는 놀이치료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효과적인 상담종결경험을 파악하기 위해서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놀이치료자의 심리적 소진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Maslach와 Jackson(1981a)에 의해 개발된 MBI(Maslach Burnout Inventory)를 최혜윤(2002)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서 Larson 등(1992)에 의해 개발된 상담자 자기평가 질문지(Counseling Self-Estimate Inventory; COSE)를 홍수현(2001)이 번안한 것을 이윤수(2001)가 놀이치료자에 맞게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사회적 지지에 관한 질문지는 박지원(1985)의 사회적지지 질문지를 기초로 윤혜정(1993)이 수정 제작한 사회적지지 지각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인구통계학적 특성파악을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 α를 구하였다. 그리고 자격증미소지자와 자격증 소지자의 상담 종결경험,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 심리적소진의 차이를 비교하기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상담종결경험,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의 심리적소진에 대한 직 간접영향력을 알고자 놀이치료자, 자격증미소지자, 자격증소지자 각각의 경우에 따른 심리적소진에 대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격증 미소지자와 소지자간에 상담 종결경험, 상담종결율, 자기효능감, 심리적소진의 하위변인인 개인적성취감감소에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상담종결경험,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심리적 소진간의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경로분석을 한 결과, 상담종결경험은 심리적 소진에 대해 수퍼바이저, 동료, 가족의 지지와의 각각의 경로 모두에서 간접경로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수퍼바이저의 지지는 심리적소진에 대해 어떠한 경로도 존재하지 않았으며, 동료의 지지는 심리적소진에 대해 간접경로, 가족의 지지는 직접경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은 세가지 경우 모두 심리적소진에 대해 직접효과가 있었다. 셋째, 놀이치료자의 심리적 소진의 하위변인들과 관련된 경로를 분석한 결과 개인적성취감감소에서만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경로모형은 심리적소진과 경로분석한 것과 마찬가지 형태로 나왔다. 넷째, 상담종결경험,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심리적 소진간의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경로분석을 자격증 미소지자와 소지자로 나누어 실시하여 비교한 결과, 자격증 미소지자, 소지자 모두 상담종결경험은 심리적 소진에 대해 수퍼바이저, 동료, 가족의 지지와의 각각의 경로 모두에서 간접경로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사회적지지 중에서는 동료의 지지만 심리적소진에 대해 간접경로가 있었다. 즉 심리적소진에 대한 경로모형에 있어서는 자격증소지자와 미소지자간에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자기효능감을 설명하는 상담종결경험과 사회적 지지의 크기는 자격증 미소지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지자가 더 컸다. 다섯째, 심리적소진의 하위변인인 개인적성취감감소와의 경로모형을 자격증 미소지자와 소지자로 나누어 비교해보면 약간의 차이가 있다. 즉, 자격증 미소지자의 경우 사회적지지 중 가족의 지지가 개인적성취감 감소에 직접경로가 있지만 대신에 자격증소지자의 경우는 가족의 지지가 개인적성취감감소에 대한 직접경로가 없었다. 이를 종합하여 볼 때, 본 연구는 놀이치료자의 심리적소진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변인을 알아보고 자기효능감을 높이며, 심리적 소진을 예방 및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자격증 여부에 따른 차이검증을 통해 자격증이 실제적으로 상담자의 전문성을 나타내는 잣대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집단치료놀이가 가정폭력 아동의 행동변화에 미치는 효과

        강지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177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oup Theraplay in the behavioral change of children exposed to family violence.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selected from the children in shelters serving women and their children experienced violence at home.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for seven children in the experiment group, totally 16 times for eight weeks. (Each session takes 40-45 minutes) Every therapy session was video-taped to observe the behavioral change of experiment group. The frequency of 10 types of behavior patterns observed during each session was recorded and evaluated through after-session analysis by one therapist and two co-therapist. The behavioral change after Group Theraplay was statistically measured with BDHI for children themselves and K/CBCL for their teachers in shelter. Major factor of measurement focused was the aggressiveness of children. The major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observation of children's behavior change during Theraplay sessions, the withdrawn conducts were presented at the early stage but diminished immediately, the aggressive and interest attracting conducts were observed at the middle stage, and the cooperative conducts gradually increased at the last stage. Second, The t-test of the results from the BDHI after Theraplay showed the diminishment of aggressiveness. :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related to the violence(t=2.328, p < .05), the indirect aggressiveness(t=2.271, p < .05), the verbal aggressiveness(t=2.719, p < .05), the irritability(t=3.425, p < .01). In addition, the teacher reported children's aggressiveness diminished also. In conclusion, the Group Theraplay Program proposed in this study turned out to be effective in promoting the children's behavior change. 우리사회에서 가정폭력의 문제는 심각한 사회문제 중 하나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가정폭력을 목격한 아동의 경우 일반적인 아동들에 비해 행동, 정서, 인지적인 문제를 가질 위험이 높으며, 가정에서의 폭력적인 상호작용은 아동의 공격행동의 학습과 강화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정폭력 아동을 위한 개입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이 가정폭력아동의 행동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구조, 도전, 개입, 양육이 포함된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을 가정폭력 쉼터에서 어머니와 함께 생활하고 있는 아동 7명을 대상으로 2004년 8월 29일부터 10월 28일까지 8주간 주 2회 매 회기 40∼45분씩 총 16회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자가 주 치료자가 되고 2명의 협력연구자의 도움을 받아 진행하였다. 가정폭력 아동의 집단치료놀이 과정 중 변화 행동을 관찰하기 위하여 매 회기마다 아동의 행동을 비디오로 녹화를 실시하였다. 녹화한 비디오테입을 매 회기 종결 후 아동 행동 관찰표를 이용하여 행동을 채점하고, 매 회기의 내용을 요약, 평가 기술하였다. 집단치료놀이 실시 후 가정폭력 아동의 행동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아동에게 아동 자기보고 행동변화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객관적인 자료의 확보를 위해 쉼터의 교사로부터 치료놀이 실시 전 · 후에 아동의 행동변화를 측정하여 각각의 결과를 통계적으로 평가하였다. 아동의 행동변화는 가정폭력 아동의 행동 중 가장 관심이 되고 있는 공격행동의 변화위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와 관련된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치료놀이 과정 중 참여한 가정폭력 아동의 행동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위축행동(A, B, C, E 아동)은 초기에 많이 관찰되었다가 급격히 감소를 보였으며, 공격행동(B, C, D, E, F아동)과 관심 끌기 행동(C, D, E, F아동)은 초기와 말기에 비해 중기에 높게 나타나는 현상이 나타났다. 협동(도움)행동(A, B, C, E, G아동)과 자기주장(긍)(A, C, E, F, G아동) 행동은 말기에 점점 증가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초기의 위축행동의 급격한 감소는 라포 형성과 상호간의 신뢰감 형성으로 좋아진 것으로 볼 수 있으나, 다른 한 편으로는 거짓수용 또는 잠정적 수용단계로도 볼 수 있다, 중기에 증가하는 부정적인 행동의 증가는 공격성의 표출이라는 활동목표에 따른 결과 일 수 도 있으나, 같은 활동을 말기에 재 반복 시 부정적인 행동이 반복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활동에 원인을 두기보다는 치료놀이의 단계에서 부정적인 반응단계로 판단되어진다. 프로그램의 말기에는 성장과 신뢰의 단계로 긍정적인 행동이 관찰되어진 것으로 보여 진다. 둘째, 집단치료놀이 실시 후 가정폭력 아동의 행동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 실시 전 · 후에 대상 아동 및 그들의 쉼터의 교사에게 실시한 아동 행동변화 평가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동 행동변화 평가는 가정폭력 아동의 행동 중 가장 중요하게 보고 되고 있는 공격행동에 초점을 두고 실시되었다. 아동의 자기보고 결과 대상 아동들의 공격행동의 평균은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에서 전반적으로 낮아졌으며, 폭행(t=2.328, p < .05), 간접공격성(t=2.271, p < .05), 언어적 공격성(t=2.719, p < .05), 흥분성(t=3.425, p < .01)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즉, 집단 치료놀이 프로그램을 실시 이후, 가정폭력 아동들의 공격행동이 낮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쉼터에서 함께 생활하는 교사의 보고에 의하면,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 의 점수가 낮아졌으며, t-test를 실시한 결과(t=2.987, p < .05) 점수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들은 집단치료놀이실시 후 아동들의 공격행동이 감소하였다고 지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집단치료놀이가 아동의 공격성을 감소시킨다는 유한규(2002)와 홍정애(2004)의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것이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이 가정폭력 아동의 공격성을 감소하고, 아동의 행동 변화를 촉진하는데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 아동의 완벽주의 성향 및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분노표현과의 관계

        이재연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1743

        Anger is one of the fundamental element of human emotions, but in modern society, children are forced to suppress their anger rather than manage it. Children didn't have chance to learn how to recognize their anger and deal with it efficiently, thereby many children are experiencing problems such as violence, group ignorance, and depression. This research has a purpose to understand a child's psychological process thus we can prevent and treat children's unsuitable anger expression. In order to understand a child's psychological process, I examined how children's perfectionism and stress management are related to their anger expression. The survey was conducted on 592 children in Seoul and Kyung-Gi region. These children are 5th and 6th grade students from 3 different elementary school. The survey was focused on a child's anger expression method, according to Spielberger, Krasner & Solomon(1998)'s Anger Expression Scale(i.e. AX). Question sheets that were given to the students are based on AX. The AX was revised to be suitable for our culture and language by Jeoun Kyum Goo(1991). The questionnaire, which we used, was amended for elementary level usage by Kim Back Young(1997). To examine the children's perfectionism, I revised Flett, Hewitt, Boucher, Davidson & Munro(2000) so it can be used in Korean culture. This revised scale is used for a preliminary inquiry to compute reliability. The stress management level is scaled by Min and Yoo(1998)'s ordinary stress managing scale, but we used one that is revised and improved by Park(2001). The collected data is calculated in percentage by SAS statistic program to see a social population studys background for research object, then Cronbach's α factor is calculated to confirm measuring tools reliabilit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find how perfectionism and stress management are independently related to anger expression. Also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is performed to see how perfectionism and stress managing behavior affect juvenile's anger expression. Research result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f we look at a relation between juvenile's perfectionism and anger expression level, a higher self-oriented perfectionism causes an anger suppression and a higher socially-scribed perfectionism contributes to an anger expression. For each gender, the research result shows some meaningful distinction. In case of a boy, self-oriented perfectionism results in both anger suppression and expression, but for a girl socially-scribed perfectionism only causes anger expression. Second, anger suppression has to do with offensive, conservative/avoidance, positive behavior and anger expression is affected by aggressive, conservative/avoidance conduct. Aggressive but not offensive behavior have an influence on an anger suppression. Boys showed more offensive and positive behavior than girls, but it was negligible. Lastly, if we look closely on how perfectionism and stress managing behavior influence anger expression, stress managing behavior has more influences on anger expression than perfectionism. Especially, inefficient approach to stress leads to an inappropriate anger suppression or expression. In contrast, efficiently managing stresses and gentle behavior makes children to be able to control their anger. Gender has negligible effect on anger management. 현대사회의 아동들은 인간이 갖게 되는 정상적인 감정 중의 하나인 분노에 대한 잘못된 인식으로 분노에 적절하게 대처하기보다는 오히려 그것을 억압하도록 강요받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아동들은 자신의 분노를 정확히 인식하고 그것에 효율적으로 대처하는 방법을 학습할 기회가 부족했으며, 그로 인해서 오늘날 많은 아동들은 학교폭력, 집단 따돌림, 우울, 공격성 등의 다양한 부적응 문제를 경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동의 심리적인 작용을 이해하여 부적절한 분노표현을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효율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아동의 완벽주의 성향 및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분노표현과의 관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같은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아동의 완벽주의 성향과 분노표현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2.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분노표현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3. 아동의 완벽주의 성향과 스트레스 대처행동이 분노표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의 목적을 위해서 서울·경기지역에 위치한 3개 초등학교에서 5, 6학년 아동 592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아동의 분노표현을 알아보기 위하여 Spielberger, Krasner & Solomon(1988)의 분노표현척도(AX - Anger Expression Scale)를 바탕으로 전겸구(1991)가 문화적, 언어적 맥락을 고려하여 번안한 척도를 김백영(1997)이 초등학생의 수준에 맞게 개정한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또한 아동의 완벽주의 성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Flett, Hewitt, Boucher, Davidson & Munro(2000)가 개발한 아동·청소년 완벽주의 척도(CAPS: Child and Adolescent Perfectionism Scale)를 본 연구자가 한국의 문화적 실정에 맞도록 번안하여 예비조사를 통해 신뢰도를 산출하여 사용하였으며, 스트레스 대처행동을 알아보기 위하여 민하영과 유안진(1998)이 개발한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대처행동 척도를 박진아(2001)가 개정·보완한 것으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서 연구대상의 사회 인구학적 배경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아동의 완벽주의 성향과 분노표현의 관계, 그리고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분노표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아동의 완벽주의 성향과 스트레스 대처행동이 분노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완벽주의 성향과 분노표현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자기지향적 완벽주의 성향이 높을수록 분노억제에 영향을 미치고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성향이 높을수록 분노표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결과로는 남아가 자기지향적 완벽주의 성향이 높을수록 분노억제와 표출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여아는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성향이 높을수록 분노표출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서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분노표현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분노억제에는 공격적, 소극/회피적, 적극적 대처행동이 영향을 주었고, 분노표출에는 공격적, 소극/회피적인 대처행동이 영향을 주었으며, 적극적 대처행동을 많이 하고 공격적 대처행동을 하지 않을 경우에 분노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서는 남아가 여아에 비해 공격적이고 적극적인 대처행동을 많이 하였으나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셋째, 아동의 완벽주의 성향과 스트레스 대처행동이 분노표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면, 완벽주의 성향보다는 스트레스 대처행동이 아동의 분노표현에 상대적으로 많은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스트레스에 비효율적인 대처를 많이 할수록 분노를 억제하거나 표출하는 등 부적절한 방식으로 분노를 표현하였고, 이와는 대조적으로 스트레스에 효율적인 대처행동을 많이 하거나 공격적 대처행동을 하지 않는 경우에 분노를 조절하였다. 성별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 동안 국내에서는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분노의 심리적 과정을 제시하는 연구들이 부족한 실정이었으며, 분노조절 프로그램 개발과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연구들이 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분노를 사전에 예방하고 개입하는 데에는 정보가 많이 부족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동의 분노표현에 영향을 주는 개인 내적인 특성을 밝힘으로써 아동에게 부적절한 분노표현으로 인해 파생되는 어려움을 해결하고 도와줄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또한, 국내에서는 아동의 완벽주의에 대한 연구들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기 때문에 본 연구가 아동의 완벽주의에 대한 초기연구로 추후에 이루어질 연구들에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기질 및 사회적 지지가 아동기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자기상을 매개변인으로

        정은숙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1743

        복잡한 현대사회 속에서 스트레스에 광범위하게 노출된 아동들은 여러가지 정서적 부적응을 경험하게 되는데 그 중 증상이 겉으로 드러나지 않아 조기 치료적 개입에 어려움이 있는 아동기 우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생물학적 기반을 둔 기질과 환경적인 요소로 제공받는 사회적 지지가 자기상을 매개로 우울에 미치는 경로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으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아동의 기질, 사회적지지 및 자기상과 우울의 관계는 어떠한가? 2. 아동의 기질과 사회적 지지가 자기상을 통해 우울에 미치는 직ㆍ간접 영향은 어떠한가? 또한 성별에 따른 양상은 어떠한가? 2-1. 남자 아동의 기질과 사회적 지지가 자기상을 통해 우울에 미치는 직ㆍ간접 영향은 어떠한가? 2-2. 여자 아동의 기질과 사회적 지지가 자기상을 통해 우울에 미치는 직ㆍ간접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서울과 강원도 소재의 초등학교 5, 6학년에 재학중인 남녀 학생과 학부모 각각 47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측정도구를 살펴보면, 아동의 기질을 측정하기 위해 Buss와 Plomin(1986)의 EAS 척도를 사용했으며,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기 위해 Dubow와 Ullman(1989)의 초등학생 아동의 사회적지지 척도와 Harter(1985)의 아동용 사회적지지 척도를 종합하여 개발한 김명숙(1994)의 사회적지지 척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아동의 자기상 측정을 위해 Offer의 자기상 검사를 아동과 청소년에게 사용할 수 있도록 Petersen 등(1984)이 제작한 초기 청소년용 자기상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아동 우울을 측정하기 위해 Kovacs의 소아우울척도(CDI, 1977)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의 통계분석은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는데,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산출하고, 변인 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자기상과 우울의 남녀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문제 2를 알아보기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해 직·간접 영향력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우울 점수에는 남녀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자기상 점수는 남자 아동이 여자 아동보다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체 아동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기질, 사회적지지 및 자기상의 경로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아동의 기질 중 정서성과 활동성은 자기상을 매개로 우울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사회적지지 중 친구지지와 가족지지는 직접적으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친구지지, 가족지지, 교사지지는 자기상을 매개로 우울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남자아동의 경로를 살펴보면, 기질의 세 하위 요인인 정서성, 활동성, 사회성은 자기상을 매개하여 우울에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지지의 세 하위요인인 친구지지, 가족지지, 교사지지도 또한 자기상을 매개로 우울에 영향을 미친다. 넷째, 여자 아동의 경로를 살펴보면, 기질 중 정서성은 자기상을 매개로 우울에 영향을 미치지만, 남자 아동과는 달리 활동성과 사회성이 자기상을 매개로 우울에 미치는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친구지지는 남자 아동의 경우와는 달리 우울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는데, 여자 아동의 경우, 친구로부터 지지를 많이 받고 있다고 지각할수록 우울이 낮다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친구지지, 가족지지, 교사지지는 자기상을 매개로 우울에 영향을 미친다. 위의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아동의 우울을 설명하는데 있어 기질은 자기상을 매개로 우울에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지지의 경우 직접 효과도 있지만 자기상을 통해 우울에 영향을 준다. 즉 아동의 우울을 예측하는데 자기상은 주요한 매개변인이며 우울의 취약성을 완화시키는 데 결정적인 변인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 결과 기질과 사회적 지지는 자기상에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자기상은 우울에 영향을 준다. 즉 기질과 사회적 지지가 자기상을 매개로 우울에 미치는 경로가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emperament and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in childhood, and to examine whether self-image would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temperament/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four-hundred-seventy-four elementary school children(boys, 220, girls, 254) in the 5th and 6th grade. Children completed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Social Support Scale and Self-Image Questionnaire for Young Adolescents(SIQYA), and their mothers completed EAS temperament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t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sex difference in depression, in case of self-image, however, girls tented to be weaker than that of boys. Secondly, for girls and boys, emotionality and activity had a indirect effect on Children's depression mediated by self image. In case of social support, friend's support and family's support directly and indirectly influenced depression through self-image, but teacher's support had an direct effect on Children's depression mediated by self image. Thirdly, for boys, depression through self-image was affected by all subtypes of temperament and social support indirectly. Lastly, for girls, emotionality had an indirect influence on depression mediated by self-image. In case of social support, friend's support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ed depression, and family and teacher's support had a indirect effect on depression through self-image The finding that temperament and social support had a direct effect or indirect effect on depression through self-image suggests that self-image was important mediating variable to predict childhood depressi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provide also a clearer picture of the temperament and social support linked occurrences of depression among children as mediated by self-image. As discussed above, to weaken vulnerability to depression, it was necessary to improve self-image.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direc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부모의 반응과 아동의 사회적 적응과의 관계

        박지혜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5174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arent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and childrens social adjustment in their usual live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ree hundreds seventy 4th graders of two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their par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Childrens social adjustment was assessed by the Social Adjustment Scale developed by Lee(1994), while parent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was assessed by Kim(1994)s slightly modified version of Coping with Childrens Negative Emotions Scale(CCNES) developed by Eisenberg, Fabes & Bernzweig(199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using a statistical program SAS. To examine the reliability of instruments, Cronbachs α was calculated.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parent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and childrens social adjustment by child and parent variables, One-way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were carried out. To examine the relation of parent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and childrens social adjustment, Pearsons correlation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on childrens social adjustm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parent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according to childs and parents variables. In childs birth order, both father and mother used more supportive reactions to the only child than to the other children. In monthly income, mothers of over 2,000,000 won used more supportive reactions to their children.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childrens social adjustment according to childrens and parents variables. In childs sex, girls were higher than boys on the inner adjustment. In parents education level, the higher mothers education, the higher childs inner adjustment. Third,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parent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and childrens social adjustment. Especially, a positive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childrens inner adjustment and mothers supportive reaction. Whereas a negative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childrens inner adjustment and fathers unsupportive reaction. Forth, there were the effects of parent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on childrens social adjustment. Mothers supportive reaction was a significant variable for the inner adjustment of boys. Also, mothers supportive reaction and fathers unsupportive reaction were significant variables for the childrens inner adjustment in the monthly income group of over 2,500,000 won. 본 연구의 일차적인 목적은 부모와 아동의 상호작용 속에서 나타나는 아동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부모의 반응과 아동의 사회적 적응간의 관계를 살펴 본 후 아동의 사회적 적응에 관한 선행연구들에서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다고 보고한 아동의 성별, 출생순위, 부모의 교육수준, 소득수준에 따라 집단별로 부정적 정서에 대한 부모의 반응이 아동의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는 부정적 정서에 대한 부모의 반응을 알아봄으로써 부모 반응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아동의 사회적 적응능력을 긍정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부모교육의 기초 자료로 본 연구의 결과가 활용되는데 그 부차적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먼저,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아동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부모의 반응과 아동의 사회적 적응은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아동의 사회적 적응의 선행연구에서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다고 보인 아동의 성별, 출생순위, 부모의 교육수준, 소득수준을 각 변인의 집단별로 부정적 정서에 대한 부모의 반응이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2개 초등학교 4학년 아동 370명과 그들의 부모 370쌍으로 총 1110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부정적 정서에 대한 부모의 반응을 측정하기 위해 Eisenberg, Fabes와 Bernzweig(1990)가 제작하고 그 타당도를 검증한(Eisenberg et al., 1992; Eisenberg & Fabes, 1994) CCNES(Coping with Childrens Negative Emotions Scale)를 번안, 수정하여 사용한 김희정(1994)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아동의 사회적 적응을 측정하기 위해 정원식과 김호권(1992)의 ‘성격진단검사’ 중 아동의 사회적 적응과 관련된 문항을 추출하여 수정ㆍ보완한 윤서영(1999)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 대상자의 사회 인구학적 배경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s α 를 산출하였다. 또한 아동ㆍ부모 변인에 따라 아동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부모 반응, 아동의 사회적 적응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t-test,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했고 Duncan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아동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부모의 반응과 아동의 사회적 적응 간의 관계를 보기 위하여 상관분석(Pearsons Correlation)을, 아동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부모의 반응이 아동의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 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 문제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에 따른 아동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부모의 반응차이를 살펴 보았을 때, 아동의 출생순위 별로 어머니, 아버지 모두 다른 형제순위 보다 외동인 아동에게 지지적 반응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소득수준별로 201만원 이상인 가정의 어머니가 아동에게 지지적 반응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각 변인에 따른 아동의 사회적 적응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 아동의 성별에서 남아보다 여아에게서 내적적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교육수준에서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아동의 내적적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부모의 반응과 아동의 사회적 적응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다음의 경우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외적적응은 아버지의 비지지적 반응과 부적상관관계가 있었다. 즉, 아버지의 비지지적 반응이 높을수록 아동의 외적적응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내적적응은 어머니의 지지적 반응과는 정적상관관계가 있었고, 아버지의 비지지적 반응과는 부적상관관계가 있었다. 즉, 어머니의 지지적 반응이 높을수록 아버지의 비지지적 반응이 낮을수록 아동의 내적적응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아동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부모의 반응이 아동의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을 때, 남아 집단의 내적적응에서 어머니의 지지적 반응이 유의한 변인으로 나타났고, 부모의 소득수준이 250만원 이상인 집단에서 어머니의 지지적 반응과 아버지의 비지지적 반응이 아동의 내적적응에서 유의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서 부정적 정서에 대한 부모의 지지적인 반응이 아동의 사회적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아동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부모의 적절한 반응을 가능한 증가시켜 아동의 사회적 적응이 원만히 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아동이 부정적 정서를 표현할 때 나쁘다고 하지 말라고 중지시키기 보다 아동이 겁내지 않도록 감정 그대로를 인정해주는 지지적인 부모 반응의 중요성을 시사해 준다고 할 수 있다.

      • 아동이 지각한 가족관계 및 정서조절능력이 친구 간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영향

        하지원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174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family rela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on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in childrens friendship which influences on childrens social adaptation and development. Also, this study tests the independent effect of emotional regulation, finds out the importance of emotional regulation, and promotes its growth and change positivel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74 children in 5th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rea. Family relation was assessed by applying the Family Environment Scale (Moos, 1981) and emotional regulation was assessed by applying the Emotional Intelligence Inventory (Moon, 1996). A Scale on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in Friendship (Rhee, Koh & Oh, 2000) was used to measure childrens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in friendship.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AS statistical program.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to investigat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Factor analysis and Cronbachs α were calculated to investigate validity nd reliability of the measuring instruments. For the each research question, t-test, one-way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ccording to childs personal factors (sex, number of sibling, birth order and households monthly income). In th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girls used more compromising-integrating strategy than boys did. On the other hand, boys used more dominating strategy. Also it was shown that the more households monthly income used the more compromising-integrating strategies. Second, in research of the effect of childrens recognized family relation on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their friendship, cohesion, one of the family relation subscales, has a positive influence on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nd especially it predicted compromising-integrating strategies the most significantly. Also, expressiveness influenced only compromising-integrating strategies and conflict subscale influenced only dominating strategies. Third, in research of the effect of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on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in childrens friendship, emotional regulation has a positive influence on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except for others-regulation that influences dominating strategies. Especially in the cases of each subscale, self-regulation influenced avoiding and dominating strategies more, and others-regulation influenced compromising-integrating and obliging strategies more. Fourth, in research of the effect of childrens recognized family rela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on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in childrens friendship, emotional regulation without family relation showed an independent effect. Especially it predicted compromising-integrating strategies, that is the most effective solution for conflict situation, the most significantly. 아동은 일차적으로 가족과 관계를 맺고, 성장하면서 친구관계 속에서 대인관계 및 사회적 능력을 배우게 된다. 하지만 이 속에서 여러 가지 갈등상황에 직면하게 되고, 이러한 갈등을 효율적으로 대처하는 것은 아동의 적응과 발달에 있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동이 갈등상황에서 좀 더 효율적인 대처능력을 키우고 적절한 관계형성과 사회적응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일차적인 영향을 미치는 가족관계와 대인관계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는 정서조절능력이 친구 간 갈등해결전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아동의 적응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갈등해결전략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갈등해결전략에 중재적 요인이 될 수 있는 정서조절능력을 긍정적으로 성장·발전시켜 아동의 효율적인 갈등해결전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심리 치료적 개입의 기초가 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아동의 개인변인(성별, 형제순위, 부모학력, 월평균 가계수입)에 따른 친구 간 갈등해결전략에는 차이가 있는가? 2. 아동이 지각한 가족관계가 친구 간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이 친구 간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4. 아동이 지각한 가족관계 및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이 친구 간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위계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강서구, 양천구에 위치한 2개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 57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가족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Moos(1981)와 그의 동료들이 제작한 Family Environment Scale(FES)척도를 김소야자(1982)가 번안하고 다시 가족관계 문항을 김도연(1993)이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정서조절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문용린(1996)이 제작한 청소년용 정서지능검사의 5개의 하위영역 중 정서조절 영역을 사용하였으며, 아동의 친구 간 갈등해결전략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은해, 고은주, 오원정(2000)의 청소년용 갈등해결전략척도를 배선영(2000)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에게 적절하도록 문항 내용을 수정하고 본 연구자가 일부 문항을 추가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사회 인구학적 배경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각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연구의 목적인 아동의 개인변인(성별, 형제순위, 부모학력, 월평균 가계수입)에 따른 친구 간 갈등해결전략에는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t-test와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아동이 지각한 가족관계가 친구 간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영향과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이 친구 간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아동이 지각한 가족관계 및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이 친구 간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위계적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 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개인변인(성별, 형제순위, 부모학력, 월평균 가계수입)에 따른 친구 간 갈등해결전략에는 차이를 보면, 갈등해결전략에서 가장 효율적인 절충 및 협력전략은 남아보다 여아가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남아는 지배전략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월평균 가계수입이 많을수록 절충 및 협력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이 지각한 가족관계가 친구 간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가족관계의 하위 요인 중 결속은 갈등해결에 있어 모두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냈으며, 특히 절충 및 협력에 가장 큰 영향력을 나타냈다. 또한 가족관계의 하위 요인 중 표현은 절충 및 협력전략에서만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냈으며, 갈등은 지배전략에서만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냈다. 셋째,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이 친구 간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정서조절능력 중 타인조절능력이 지배전략에 미치는 영향력만 유의미하지 않았고, 정서조절능력은 친구 간 갈등해결전략 모두에 있어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각각의 하위 요인별 영향력을 살펴보면, 자기조절능력은 친구 간 갈등해결전략 중 회피와 지배전략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타인조절능력은 친구 간 갈등해결전략 중 절충 및 협력과 양보전략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동이 지각한 가족관계 및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이 친구 간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가족관계를 제거하고 정서조절능력은 갈등해결전략에 독립적 영향력을 나타냈으며, 특히 갈등상황을 가장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절충 및 협력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아동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통제소재 및 공격성과의 관계

        조동윤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1743

        본 연구는 아동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공격성과의 관계, 통제소재와 공격성과의 관계, 그리고 공격성에 대한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통제소재의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봄으로서 아동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통제소재 및 공격성과의 관련성을 규명하여, 아동이 공격성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가정과 학교, 사회에서 대처할 수 있는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연구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 427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대인관계 스트레스를 측정하고자 한미현·유안진(1996)이 개발한 아동 스트레스 척도 중 대인관계 스트레스 관련 문항인 부모영역 스트레스, 친구영역 스트레스, 교사·학교 영역 스트레스만을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아동의 통제소재를 측정하기 위하여 민하영(1998)이 개발한 내외 통제소재를 사용하였으며, 아동의 공격성을 측정하기 위해 Buss와 Durkee(1957)가 제작한 도구를 노안영(1983)이 번안하여 이윤경(2003)이 초등학생이 이해할 수 있게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아동의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아동의 통제소재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아동의 공격성에 대한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통제소재의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아동의 공격성은 부모관련 스트레스, 친구관련 스트레스, 교사관련 스트레스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아동의 교사관련 스트레스, 부모관련 스트레스, 친구관련 스트레스 순으로 아동의 공격성에 대하여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통제소재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아동은 내적 통제소재를 사용할수록 공격성이 낮고, 외적 통제소재를 사용할수록 공격성이 높았다. 셋째, 아동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통제소재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주효과로서 대인관계 스트레스(전체 대인관계 스트레스, 부모관련 스트레스, 친구관련 스트레스, 교사관련 스트레스)와 통제소재는 공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즉, 아동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전체 대인관계 스트레스, 부모관련 스트레스, 친구관련 스트레스, 교사관련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외적 통제소재를 사용할수록 공격성이 높다고 나타났다. 하지만 대인관계 스트레스(전체 대인관계 스트레스, 부모관련 스트레스, 친구관련 스트레스, 교사관련 스트레스)와 통제소재의 상호작용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children's interpersonal relationship stress, locus of control, and aggression.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427 children in 5th and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e research components included a children's interpersonal relationship stress measurement questionnaire, a questionnaire about locus of control on children, and a children's aggression measurement questionnaire. The children's interpersonal relationship stress consisted of 22 questions selected from 44 questions from Daily Hassles Scale for Children in Korea developed by Mi-Hyun Han and An-Jin Yoo(1996). Also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locus of control on children developed by Ha-Young Min(1998), and the children's aggression developed by Buss & Durkee(1957).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AS statistical program. For each research problem, the researcher us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ivariate regression analysis and two-way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aggression were significant different depending on teacher-related stress, parents-related stress, and friends-related stress. The higher the children's interpersonal relationship stress were, the higher the children's aggression were. Second, children's aggression were significant different depending on locus of control. The children were internal locus of control more aggressively than the children were external locus of control. Third, children's aggression were significant different depending on the children's interpersonal relationship stress and locus of control as main effect, but interaction effect were not showed between children's interpersonal relationship stress and locus of control.

      • 초등학교 과령입학 아동의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홍혜정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1743

        우리나라에서는 초등학교 입학연령을 만 6세로 정하고 있기는 하지만, 지나치게 발달이 늦거나 빠른 아동을 위하여 예외적으로 만 5세 아동에게 초등학교 입학을 허용하거나 만 6세 아동의 입학을 유예하는 제도를 법적·정책적으로 뒷받침하고 있어 보다 합리적으로 학생별 개인차에 부응하는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자녀에 대한 학부모들의 과도한 욕심과 막연한 불안감으로 인한 취학유예 현상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초등학교 3학년 아동들을 대상으로 하여, 초등학교 취학을 유예한 후 과령입학한 아동과 적령입학한 아동 집단간에 학교적응에 있어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이를 통해 최근 급증하고 있는 취학유예 현상에 대한 현황과 문제점 및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 고양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3학년 과령입학 아동과 적령입학 아동 각각 109명과 과령입학 아동의 학부모 105명이었다. 아동의 학교적응은 학교생활적응, 자아존중감, 학업성취로 나누어 권영복(2002)의 질문지를 김진호(2002)가 신뢰도 검사를 거쳐 수정 보완한 학교생활적응척도와 Rosenberg(1965)의 자아존중감 척도를 김충희(1995)가 수정한 척도, 국가수준 기초학력 진단 평가 결과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과령입학 아동의 현황파악을 위해 과령입학 아동의 부모들에게는 교사 1인과 아동전문가 2인에게 문항의 적절성을 검토 받은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과령입학 학부모의 취학유예와 학교적응에 대한 견해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자료의 전반적인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각 항목들의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또한, 학교 적응에 있어 아동의 입학연령 및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F-검증을 사용하였으며, 마지막으로 과령입학 아동 집단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학교 적응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과 F-검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선 과령입학 아동의 취학 유예와 학교적응에 대한 학부모들의 견해를 살펴본 결과 과령아동의 학부모는 ‘취학유예 제도’에 대해 유치원이나 초등학교 등의 교육기관이 아닌 이웃·친지와 TV·인터넷을 통해 알게 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취학유예를 위해 병원진단서를 제출하는 학부모가 많았으나, 취학을 유예한 이유는 신체적 질병이나 언어·인지 등 발달의 문제보다 주도적인 학교생활을 시키기 위해서, 학업이 뒤쳐질까봐 등의 부모들의 막연한 염려가 많았다. 그리고, 유예기간동안 병원 및 상담소를 이용한 아동은 거의 없었으며, 의사나 교사와 같은 전문가들의 의견과 상관없이 학부모 자신들의 자의적 판단에 의해 취학유예를 결정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학부모들은 모두 아동이 학교적응을 잘 한다고 응답하였으며, 과령취학에 대해서도 이와 같은 이유로 만족하고 있었다. 둘째, 입학연령에 따라 과령입학 아동과 적령입학 아동 집단 간의 학교적응 차이를 살펴본 결과 적령입학 아동집단이 과령입학 아동집단 보다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요인인 학습적응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학업성취의 하위요인 중 기초수학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다. 셋째, 성별에 따른 아동들의 학교적응 차이를 살펴본 결과 여아들이 남아들보다 전체 학교생활적응과 그 하위요인인 친구관계, 교사관계, 학습적응, 학내생활 모두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학업성취와 그 하위요인이 되는 쓰기영역과 읽기영역에서도 여아가 남아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넷째, 과령입학 아동 집단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학교적응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취학유예 기간 중 교육경험과 취학유예 결정기간은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학업성취, 자아존중감 등 학교적응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entered six years old and over six years old, and their related adjustment,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estee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9 children who entered six years old, and 109 children who entered over six years old (male 113, female 105) in the third grade of 12 elementary schools, and 105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o entered over six years old in Seoul and Goyang-City, Gyeonggi-Province. One of the measuring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as the School Adjustment Scale which was developed by Kwon, Yeong-Bok (2002) and modified by Kim, Jin-Ho (2002). The School Adjustment Scale consists of the 28 items including friendship, teacher-relationship, studying adjustment and school life. The Self-Esteem Scale developed by Rosenberg (1965) and standardized by Kim, Chung-Hui (1995) was used. It consists of nine items. The National Wide Scholastic Achievement Test (2004) was used in this study. In addition, the parents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on the present condition of their children who entered over six years old. The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ANOVA using SPSS 12.0.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arents with children who entered over six years old knew the system of postponement of schooling through television or internet; not through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a preschool or an elementary school. The reason for parents' postponed schooling for their children was not children's developmental problems, but children's higher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the parents were satisfied with the school adjustment of their children. Second, the group who entered six years old children got better scores than the delayed entrance group in studying adjustment and Mathematics. Third, as for the sex, girls were superior to boys in friendship, teacher-relationship, studying adjustment, school life, all school-related adjustment, writing and reading. Fourth, the educational experience during the period of postponement of schooling and the decision period of delayed schooling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school adjustment, self-esteem and academic achievement of children who entered over six years old.

      • 아동의 통제소재와 자아탄력성과의 관계

        안선형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1743

        현대 사회는 하루가 다르게 급변하고 있다. 이런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가장 요구되는 능력은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에 그만큼 잘 적응하고 대처해나가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여기에 필요한 능력이 바로 자아탄력성(ego-resiliency)이라고 할 수 있는데, 자아탄력성이 개인의 적응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자아탄력성이 무엇에 의해 영향을 받고, 높고 낮음이 결정되는지를 아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아동의 개인적 변인을 살펴보고, 자아탄력성과 마찬가지로 개인의 행동과 적응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그 특성에 있어서도 유사한 점이 발견되는 통제소재와 자아탄력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아동의 개인적 변인으로는 성별과 형제유무, 부모의 학력, 모의 직업 유무, 아동이 지각하는 주관적인 경제수준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아동의 또 다른 성격적 특성인 통제소재와 자아탄력성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아동의 개인적 변인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의 영향을 통제하고도 통제소재가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아동의 개인적 변인(성별, 형제유무, 부의 학력, 모의 학력, 모의 직업 유무, 주관적 경제수준)에 따라 통제소재 및 자아탄력성에 차이를 보이는가? 1-1) 아동의 개인적 변인에 따라 통제소재에 차이가 있는가? 1-2) 아동의 개인적 변인에 따라 자아탄력성에 차이가 있는가? 2) 아동의 통제소재(내적통제 · 외적통제)에 따라 자아탄력성에 차이를 보이는가? 3) 아동의 자아탄력성에 대한 개인적 변인 및 통제소재의 위계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으로 하였으며, 통제소재를 측정하기 위하여 Nowicki와 Strickland(1973)의 아동용 통제소재 척도(A Locus of Control Scale for Children)와 Wellborn, Conell과 Skinner(1989)의 학생용 통제력 지각 질문지(SPCQ: The Student Perception of Control)를 바탕으로 개발한 민하영(1999)의 내외통제소재척도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아동의 자아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Block과 Kremen(1996)의 자아탄력성 척도(Ego-Resiliency Scale; ER)를 유성경과 심혜원(2002)이 번역하고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의 분석을 위해 SA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의 일반적 사항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Cronbach's α를 구하였다. 그리고 아동의 개인적 변인에 따른 통제소재 및 자아탄력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F 검증을 하고 Duncan의 사후검증을 하였다. 마찬가지로 아동의 통제소재에 따른 자아탄력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F 검증을 실시하고 Duncan의 사후검증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자아탄력성에 대한 개인적 변인 및 통제소재의 위계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개인적 변인들을 dummy 변수 처리하여 1단계에 투입하고 2단계에 통제소재 변인을 투입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바를 연구문제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개인적 변인 중에서 형제 유무가 통제소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아동의 성별, 부모의 학력, 모의 직업 유무, 주관적인 경제수준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아동의 개인적 변인과 자아탄력성과의 관계에서 모의 학력, 모의 직업 유무, 주관적 경제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자아탄력성도 높았으며, 모가 직업이 없는 경우가 있는 경우보다 높았고, 주관적 경제수준이 하류인 집단보다 상류인 집단이 자아탄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의 통제소재에 따라 자아탄력성에 차이가 있었다. 아동이 내적통제를 할수록 자아탄력성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아탄력성에 대한 아동의 개인적 변인 및 통제소재의 위계적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아동의 개인적 변인의 영향을 통제하고도 통제소재는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locus of control and ego-resiliency. The subjects were 427 children attending 5th and 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s in Seoul. The measuring instruments used were children's locus of control developed by Min(1999) from a Locus of Control Scale for Children(Nowicki & Strickland, 1973) and the Student Perception of Control; SPCQ(Wellborn, Conell & Skinner, 1989), the ego-resiliency translated by Yu & Sim(2002) from Ego-Resiliency Scale(Block & Kremen, 1996).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AS statistical program.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to investigat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ren's locus of control and ego-resiliency.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ncerning children's locus of control and ego-resiliency, the level of ego-resiliency is higher, when children have more internal locus of control. Second, concerning personal variables and locus of control, presence of sibling influenced children's locus of control. Children without siblings showed more internal locus of control. Third, concerning personal variables and ego-resiliency, mother's academic background, mother's presence of a job and subjective income of the family influenced ego-resiliency. Children with more educated mothers showed higher ego-resiliency; children with mothers who are full-time housekeepers showed higher ego-resiliency than those with working mothers; and children with higher subjectively conceived economic level of the family showed higher ego-resiliency.

      • 조모의 지원 및 조모-손자녀 관계가 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 취업모 가정을 중심으로

        황혜영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1743

        Recently, it is reported that emotional ability which is thought important for children's sound development is influenced by parents very much. However, it is assumed that grandmothers' may have an influence on children's emotional ability since their roles in raising children are getting bigger than before due to mothers' work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from grandmother and grandmother-grandchildren relationships o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To accomplish this purpose, research questions were defined as follows; 1) Is there any difference in grandmother-grandchildren relationships by the level of social support from grandmother? 2) What effect does social support from grandmother have o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3) What effect does grandmother-grandchildren relationships have o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4) What effect does social support from grandmother and grandmother-grandchildren relationships have o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The subjects were 336 children in the fourth grade of elementary schools in Seoul. They are living with employed mother and their grandmother. The measuring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o measure social support from grandmother, 9 items developed by author and proved in content validity were used. Second, to measure grandmother-grandchildren relationships, the Grandmother-Grandchildren Solidarity by Jang Hee Kyung and Jo Byung Eun(1995) was modified and used. Third, to measur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the standardized test of EI by Moon Yong Lin(1999) was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AS statistical program. The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see the difference of grandmother-grandchildren relationships by the level of social support from grandmother. Bivariate regression was us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from grandmother o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andmother-grandchildren relationships o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Hierarchical regression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from grandmother and grandmother-grandchildren relationships o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difference in grandmother-grandchildren relationships by the level of social support from grandmother. The higher the level of perception on social support from grandmother was, the higher grandmother-grandchildren relationships in all dimensions were. Second, social support from grandmother was the predictable variable for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The higher the level of perception on social support from grandmother was, the higher all sub domains' scores i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were. Third, affectional and normative solidarity were the predictable variables for perception and expression of emotion, consensual and normative solidarity were the predictable variables for emotional facilitation of thinking, normative solidarity was the predictable variable for empathy, employing emotional knowledge and regulation of emotion. That is, the stronger affectional solidarity was, the higher scores of perception and expression of emotion were. The stronger consensual solidarity was, the higher scores of emotional facilitation of thinking was. The stronger normative solidarity was, the higher all sub domains' scores i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were. Fourth, social support from grandmother and normative solidarity in grandmother-grandchildren relationships were the predictable variables for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That is, when the level of perception on social support from grandmother was higher and normative solidarity in grandmother-grandchildren relationships was stronger,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scores in all sub domains were higher. 최근 아동의 건전하고 전인적인 발달을 위해 중시되고 있는 정서능력은 부모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다고 보고되고 있다(이병래, 1997; Salovey & Mayer, 1997; Goleman, 1997). 그러나 취업으로 인한 모의 부재로 손자녀에 대한 조모의 역할비중이 높을 경우에는 부모 못지않게 조모가 아동의 정서능력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모의 지원 및 조모-손자녀 관계가 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취업모 가정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조모의 지원수준에 따라 조모-손자녀 관계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조모의 지원이 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 조모-손자녀 관계가 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4) 조모의 지원 및 조모-손자녀 관계가 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서울 시내에 소재한 초등학교 4학년 학생 중 취업모의 자녀로서, 조모가 살아계신 336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손자녀에 대한 조모의 지원을 측정하고자 본 연구자가 선행연구(김명숙, 1994; 백문화, 조병은, 1992; 서동인, 1989)를 참고로 하여 문항을 수집 · 구성한 후 문항의 적절성을 검증받은 9문항을 사용하였고, 조모와 손자녀간의 관계를 측정하기 위해 장희경과 조병은(1995)의 조모-손자녀간 결속도 척도 중 주관적인 유대관계의 하위 영역을 수정 ·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아동의 정서지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문용린(1999)이 개발한 청소년용 정서지능검사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조모의 지원수준에 따른 조모-손자녀 관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과 사후검증으로 Duncan검증을 실시하였고, 조모의 지원이 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조모-손자녀 관계가 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조모의 지원 및 조모-손자녀 관계가 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모의 지원수준에 따라 조모-손자녀 관계의 차이검증을 실시한 결과, 조모의 지원수준에 따라 조모-손자녀 관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아동이 조모의 지원을 높게 지각할수록 조모와 손자녀간의 결속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모의 지원이 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조모의 지원은 정서지능의 모든 하위영역을 예측할 수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즉, 아동이 조모의 지원을 높게 지각할수록, 아동의 정서지능은 모든 하위영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조모-손자녀 관계가 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정서인식 및 표현에 있어서는 조모-손자녀 관계의 하위 영역 중 애정적 결속과 규범적 결속이, 사고촉진에 있어서는 가치일치적 결속과 규범적 결속이, 감정이입과 정서활용 및 정서조절에 있어서는 규범적 결속만이 유의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즉, 조모와 손자녀간의 애정적 결속이 강할수록 정서인식 및 표현 능력이 높으며, 가치일치적 결속이 강할수록 사고촉진 능력이 높으며, 규범적 결속이 강할수록 정서지능의 모든 하위영역의 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모의 지원 및 조모-손자녀 관계가 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조모의 지원과 조모-손자녀 관계의 하위영역 중 규범적 결속만이 정서지능의 모든 하위영역을 예측할 수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즉, 조모의 지원이 높을수록, 조모와 손자녀간의 규범적 결속이 강할수록 아동의 정서지능의 모든 하위영역의 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