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파트 거실 공간의 벽 디자인 특성과 차별화 방향

        김보현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815

        현재 우리의 사회는 고도의 경제적 성장에 따라 쾌적한 공간에 대한 요구가 팽배해지면서 주택의 질적인 향상 및 실내공간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인간의 생활을 담고 있는 실내공간은 거주자의 욕구를 충분히 수용하여 편리하고 쾌적하게 그리고 개성 있게 디자인 되어야 한다. 최근에는 사람들의 주거환경에 대한 관심이 더욱 고조되고 실내구성 면에서도 개성화, 다양화 현상이 증대되고 있고 주거환경의 방향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실내구성 특성이나 실내의 전반적인 이미지에 대한 변화경향을 파악하여 실내구성 방향을 세워야 한다.대부분의 사람들은 심리적으로 편안함을 느끼기 원하고 있고 그런 환경을 요구하는 시대이다. 이에 따라 우리의 주위 환경도 인간의 정신적 요구인 편안함을 느끼도록 해 주는 환경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인간의 정신적 요구를 만족시키는 편안하고, 아름답고, 기능적인 환경을 만들고자 주거공간에서 공동공간인 거실 공간의 벽 디자인 특성과 앞으로의 차별화 방향에 대하여 논하였다.거실공간의 벽 디자인은 기능성과 심미성이 동시에 추구되어야 하며 삶의 공간이 매력적이고 개성 있는 실내이면서 품위와 개성이 강조된 거실, 인간 친화적인 거실을 통해 인간의 감성에 호소하는 이미지로 디자인해야 한다. 또한 거주자의 개성에 맞는 실내 공간 조성을 마련해주기 위해 쾌적하고 거주자 개인의 개성에 부합하는 실내주거환경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 주택이 삶의 터전으로서 삶을 담는 기능 이외에 자신의 표현과 미를 추구하고자 하는 욕구 실현의 장이 된다는 관점에서 보면 주거공간의 독창적인 실내연출에 대한 거주자의 관심의 비중은 점점 커져 가고 있지만 최근 주택의 새로운 유형으로 자리 잡고 있는 아파트와 같은 집합주택은 거주자의 이러한 욕구를 실현하기에는 거리가 멀게 획일적인 공간을 제공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부 가변화를 추구하거나 주문 제작 등의 방법으로 소비자의 선호를 반영하고는 있으나 아주 제한적인 실정이다. 이로 인해 거주자들은 리모델링을 통해 획일적인 평면에 자신의 아이덴티티를 표현하고자하는 노력들을 증가 시키고 있다. 이런 관점이 공동 공간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는 거실 공간에 요구 되고 거실 공간에서 포인트가 되는 거실 벽 디자인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과거의 획일화 되고 폐쇄적이었던 아파트의 개념에서 벗어나 다양한 주거 차별화 전략을 통해 보다 자유롭고 개방적인 공간개념을 도입하고 아파트마다 독특한 테마와 이미지를 부여하고, 여러 계층을 위한 다각적인 디자인을 하여 폭넓은 시도로 고객 요구를 만족시키는 디자인을 하여야 한다. 누가 아파트를 만들었는가라는 건설사의 신뢰도를 더욱 중시하였던 과거와는 달리 차별화된 디자인 요소와 소비자 요구에 대한 만족도를 중심으로 디자인이 되어야 한다.디자인과 브랜드 경쟁 신 개념 주거인 주택 시장의 명품 바람으로 고급 수요자를 겨냥한 신 개념 주택이 등장하고 있는데 건축가의 이름을 내건 작품 주택을 만들고 메이저 업체와 중견 업체는 기존 브랜드를 고급스러운 느낌의 브랜드로 교체하는 등 브랜드 개발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그리고 남들과 다른 주택을 위해 기존 아파트와 차별화된 시설과 컨셉, 독특한 내부 공간과 구조로 랜드마크 아파트로 자리 잡고 있다. 또한 디자인 브랜드 차별화로 교수, 연구원, 건축 디자인 전문가를 중심으로 디자인 경영에 힘쓰고 공간을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기능에 맞추어 적합하게 구성하고 사용목적에 따라 그 기능을 우선으로 하여 아름답고 쾌적한 거실 공간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최근에는 새로운 기술 및 사회변화에 대한 대응과 안전하고 편리한 생활의 보장, 에너지 및 자원절약, 쾌적한 실내 외 환경의 조성 및 이에 따른 거주자의 쾌적성 보장등과 같은 다양한 요구에 만족시킬 수 있는 지능형 주거, 디지털 홈으로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쾌적한 실내 환경에 대한 욕구와 편리한 생활추구에 대한 의식이 날로 늘어나고, 엔터테인먼트에 대한 수요도 증가되고 있는데 이에 따라 생활환경의 지능화, 환경 친화적 주거 생활에 대한 욕구가 증가되면서 삶의 질 혁신을 추구하는 지능화된 가정 내 생활환경 및 거주공간에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이런 주변 환경에 맞추어 주거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공간이라 할 수 있는 거실의 실내디자인에서, 가장 쉽게 변화를 줄 수 있는 거실 벽 디자인의 특성을 조사하여 앞으로의 차별화 방향을 모색하였다.거실공간의 벽 디자인 특성을 통해 본 디자인 변화, 거실 마감과 이미지 특성, 조명변화와 인테리어 스타일에 알맞은 차별화 방향을 연구하고 아파트 거실 벽 디자인의 차별화 방향을 제시하여 이 조사 자료가 향후 주택거실의 벽 디자인의 새로운 실내구성의 참고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se days, with the rapid economic growth in our society, demands for pleasant spaces are increasing, giving rise to interests in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houses and indoor spaces. Recently, people's interest in living environments is increasing, along with the emphasis on uniqueness and diversity in interior designs,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the direction of living environments.Most people wish for mental comfort, and this is the age when people demand such comfort. In order to create a comfortable, beautiful and functional environment that satisfies such mental demands, I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lls in living rooms, which is the common space in houses, and the direction of differentiation in the future.Wall designs in living rooms must pursue functionality and beauty at the same time, and the living room must be an attractive and unique indoor space - it must have elegance and characteristics, as well as human-friendliness, appealing to the human emotions. Also, in order to prepare interior designs that su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r, there is a need for interest and researches regarding indoor residence spaces that are pleasant and satis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As the residers' interest in unique interior design is growing, some designers are reflecting the preferences of the consumers by pursuing change or offering customization; however, these are limited trials. For this reason, residers are increasingly making efforts to express their identities on uniform level spaces through remodelling. Such aspects are required for the living room, which takes a considerable part of the commonly used spaces, and especially the wall design is becoming most important as the outstanding point of the living room.Designers must induce a more liberal and free spatial concept through various differentiation strategies, endow unique themes and images to each apartment, and conduct diversified designs for various classes, in order to satisfy the demands of the customers with a variety of trials. Not like in the past, when the credibility of the construction company that built the apartment was most important, designs should be centered on differentiated design factors and the satisfaction of the customers' demands.With the rise of high-class houses and apartments, based on superior design and brands, new-concept houses are appearing in the market; brand development competition is becoming more severe than ever, with companies building state-of-art apartments under the name of the architect, and major/big construction companies are replacing their existing brands with new ones that have further refined images. Also, these apartments are becoming landmarks with differentiated facilities, concepts, unique interior design and structure. Moreover, to differentiate the brands, companies are focusing on design promotion with the help of professors, researchers, and architects, structuring the spaces to fit the needs of the users. It is becoming important to create a beautiful and pleasant living room environment, placing priority on the function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age.Recently, demands for intelligent houses and digital homes are increasing, in order to respond to new technologies and social changes, guarantee comfortable and safe life, save energy and resources, create a pleasant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 and warrant the pleasantness of the residers. As demands for pleasant indoor environments and convenient life increase, as well as demands for entertainment, entailing the rise of people's demands for intelligent and environment-friendly living environments, consumers want intelligent houses and environments that pursue revolutionary improvement of life qualities. In response to this trend, I observed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living room walls, which is part of the most important space in the house, and can be most easily changed. On the basis of such observation, I sought methods of differentiation for the future.By studying design changes observed through living room wall designs, the finishing of living rooms, imagery characteristics, changes in lightings, and differentiation methods that suit the interior design, and propose the directions of differentiation for living room walls, I expect this research to present references and information for future living room wall designs.

      • 현대 치과의원 실내공간에 나타난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탄잉 건국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50815

        치과의원의 실내공간은 치과 의료서비스를 주요 목적으로 하는 특수한 공간이기 때문에 다른 의료공간에 비해 독특한 몰리적인 구조와 특성이 있다. 치과의원의 주요 기능은 환자들의 심신을 치료, 건강을 회복하게 하는 공간인 동시에 의사、간호사들의 작업공간인 것이다. 의료공간의 디자인은 환자들을 중심으로 하는 것외에 의사、간호사들의 작업환경의 요구도 만족시키는 환경이어야 하며 이런 요구는 실내디자이너들이 디자인을 하는데 있어 종합적인 사용 기능과 심리적, 감성적인 요인 등을 치과의원 실내공간 디자인에서 고려하면서 그 특성을 살려야 한다. 본 연구자는 치과의원 의료환경에 대하여 연구하면서 그 실내공간의 디자인 원칙과 발전 경향과 디자인 특성을 연구하였다. 우선 의료환경의 형성과 발전 및 현황을 연구하고 다음으로 현대사회에 있어 의료환경 디자인의 기본적인 원칙 등에 대해 연구를 전개하였다. 다음으로 의료서비스、환자와 동반자、의료인 등의 관점에서 치과의원 실내공간의 기능을 분석하고 그 실내공간의 공간구성에 대하여 정의를 내리면서 동시에 디자인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런 연구의 기반 위에서 치과의원 실내공간의 디자인 특성을 설명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디자인 특성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런 치과의원의 실내공간은 진료를 목적으로 하면서 작업공간이라는 특수한 기능을 가진 공간이기에 그 디자인에 있어 실내디자이너와 기타 관련된 전문가들의 협력에 의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환자와 의료진을 위한 쾌적하고 편안한 공간이면서 진료를 위한 기능적 공간인 동시에 미적인 디자인 특성이 나타난 실내공간으로 디자인을 하려면 본 논문과 같은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고객만족 경영에 따른 개인고객 마케팅을 위한 은행점포 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 S은행의 신SI적용에 의한 주거래 고객 및 직원의 만족도를 중심으로

        박영선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50815

        시중 은행의 민영화, 금리자율화, 금융산업의 자율화 조치, OECD가입으로 국제화 및 대형화, IMF 외환위기이후 국내 금융시장이 완전 개방 등으로 인한 어려운 경영환경 속에서 "고객만족의 향상과 창조"를 중심으로 한 고객 지향적 사고에 초점을 맞추는 고객만족 경영(CSM : customer satisfaction management)을 도입하고 있으며, 치열해지는 금융환경 속에서 전통적 "量위주"의 경영으로부터 탈피하여 주주의 이익과 고객만족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質위주"의 경영에 중점을 두게 되었다. 소매금융(retail banking)은 대규모자금의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조달이 가능하며, 양적으로 확대될수록 수익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처럼 불특정 다수의 넓은 시장을 대상으로 하는 소매금융은 향후 은행업의 종합금융서비스와 함께 은행의 세력판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부상할 것이며, 소매금융은 무엇보다 개인 고객들의 만족도를 재고시킴으로써 활성화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고객만족경영에 따른 개인고객 마케팅 전략의 중요성이 부각된다. 본 연구는 개인 고객에 대한 마케팅강화와 함께 다양화된 고객의 욕구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고객만족의 종합적 마케팅 관리 전략에 부흥하는 체계화되고 합리적인 은행점포 실내환경 계획의 방향을 제시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조사와 외국의 사례조사를 통하여 추출한 개인 금융 마케팅 전략에 부합되는 은행점포 실내환경디자인의 공간 계획 및 실내디자인 요소계획을 중심으로, 최근 개인금융 마케팅 전략에 의하여 진행되고 있는 S은행의 기존SI와 신SI를 비교 조사하였다. 또한, 이러한 계획들이 직원과 고객에게 어떠한 변화를 주었으며, 이러한 변화가 개인금융 마케팅 전략에 부합되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지를 통한 실증적 조사를 하였다. 설문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SPSS 10.0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통계방법으로는 빈도분석(frequency), 백분율, 평균(mean), 분포(최소-최대값)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결과 및 결론 다음과 같다. 1) 개인금융 마케팅 전략에 따르는 은행 점포 실내환경 디자인에서 퀵 서비스 공간과 슬로우 서비스 공간의 분리에 대한 고객 및 직원의 만족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개인책상과 로우 파티션으로 구획된 PB 개별 공간 제공에 대하여 고객은 프라이버시 보호에 가장 만족하였고, 차별화 된 서비스 또한 만족감이 높게 측정되었다. 직원의 경우 전문PB로서 높은 자부심을 느낌으로써 매우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3) 대여금고 제공에 대한 만족도는 고객과 직원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따라서 개인고객 중심의 마케팅 전략에 필요한 요소로 파악되었다. 4) 점포 내 화장실 설치에 대한 고객들의 요구가 높은 반면, 직원들은 고객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고객중심의 마케팅 전략 측면에서 점포 내 화장실 설치를 계획하여야 하겠다. 5) 신SI의 개인금융마케팅의 요소 중 PB개인 책상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직원의 만족도는 경우 고객보다 낮았다. 이는 개별책상에 대한 실사용자의 만족도가 낮다는 것을 의미하며, 기능적으로 재검토가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다. 6) 전반적으로 가구계열 항목에 대한 만족도가 넓게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다른 실내디자인 요소 계획인 바닥, 벽의 마감재 색과 질감에 비하여 고객과 직원들 개인적 취향이 상이한 것으로 해석된다. 조명은 매우 높게 나타났다. 7) 전반적 신SI에 대하여 고객과 직원 모두 매우 높게 평가하였으며, 따라서 개인금융 마케팅전략에 의한 S은행의 신SI는 성공적인 결과로 생각되어 진다. 앞으로는 기존의 카운터 방식의 은행점포 실내공간디자인 이외에도 홀세일형, 부띠크형, 지방은행형, 투자은행형 등의 다양한 은행점포에 대한 심층적 연구가 이루어 져야겠다. 또한, 은행점포 실내공간디자인의 만족도에 대한 영향력과 원인을 규명하는 구체적인 연구가 진행되어, 이를 통해 개인금융 마케팅전략에 적합한 점포를 개발하고 고객만족도를 높여 급변하는 금융환경 속에서 은행의 경쟁력을 높여야 하겠다. ommercial banks are being induced Customer Satisfaction Management (CSM), which is focusing to customers' inclination centering of the thought ' Improvement and Creation for Customers' satisfaction", due to the difficult situations made by as followed: privatization, self-imposed of interest, self-regulation measures of financial industry, large-scale and internationalization on affiliation OECD, and full opening of local financial markets after IMF crisis. Such a fierce financial conditions are pushing to 'Quality-oriented", maximizing stockholders' profits and customer satisfaction, from the traditional management "Quantity-oriented". Retail banking has features of stable, ability of continuous rising of ample funds, and having a feature of raising stabilization as expanding. This merit able retail banking, which is targeting a large market of such an unspecified number of the general public, will be leaped into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deciding the sphere of influence of banks by comprehensive financial services. The object of this study is offering primary reference of proposing systematic and reasonable interior design, to meet actively verified customers' desire, to firm marketing strategies for private customers, and to revive complex marketing strategies of customer satisfaction. The method of this study is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and field study to compare former Store Identity (SI) and new one for S banks. A questionnaire with Elements of interior design was distributed to employees and customers. Data collected by the questionnaire had been analyzed by SPSS 10.0 statistics package. Frequency, percentage, mean, distribution of both minimize and maximize were used for the method of statis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t has been proved that employees and customers' satisfaction is very high about divided spaces of express and regular line in bank interior design environment along private financial marketing strategy. 2) It has been proved that there is high satisfaction of private banking (PB) customers having secured privacy with personal counters and low partitions in PB individual spaces. Also, this differential service is influencing to employees very positively to have a confidence for where they are working. 3) The satisfaction of offering personal rental safe in vault is highly rated for both employee and customer. This has been proved that it is necessary element for the marketing strategy centering private customer. 4) There is a high request of customers to have a restroom in the bank. A restroom should be considered to be in the bank. 5) The satisfaction on a PB personal desk set,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new SI, is rated as the highest among elements in interior design. However, employee's satisfaction is lower than the customer's. It means that the designer of PB desk set should be reconsidered. 6) There are a variety of tastes on furniture elements including color and texture. There is a high satisfaction on the lighting plan. 7) The satisfaction of both employee and customer for the new SI of S bank appealed very positive. It can be evaluated as a successful marketing strategy to have a new SI in S bank. To get competitive edge in fierce financial environment having better satisfaction, bank branch should be developed accord with marketing strategy private finance along detailed study what searching influences and factors of satisfaction for both employee and customer.

      • 현대 실내디자인에 있어 설치미술(Installation)적 경향에 관한 연구 : 상업공간을 중심으로

        나희선 건국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50783

        20세기 예술전반영역에서는 시대정신 사상 등 다차원적인 변화를 수용하고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려는 시도들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으며 각 장르와 매체의 상호텍스트성(Intertextuality)이 강조되고 있다. 그 위에 새로운 환경적 컨텍스트(Context)속에서 재구성하는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실내디자인과 회화, 조각, 사진, 영화 등 타 영역간의 경계가 점차 허물어져 가면서 상호간의 영향을 주고받는 경향이 현저하게 나타났다. 이는 점차 예술의 사회문화적 기능과 디자인, 디자이너의 역할에 대한 강조를 의미하기도 한다. 따라서 디자이너는 시대상황과의 인식 속에서 통합 예술 환경을 이루기 위한 환경예술가로서 스스로 새로움을 발견하려는 실험적 태도와 조형의지가 필요한 시기인 것이다. 따라서, 현대인들은 생활환경의 질을 높이려는 관심이 기능성이나 경제성을 초월하여, 미적인 측면과 고급화의 경향으로 나타나서 자연스럽게 실내디자인에 집중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이윤창출을 목적으로 하는 상업공간은 소비자들의 욕구와 생활패턴의 변화상이 가장 구체적으로 반영되는 공간으로, 현대의 상업공간은 개성화된 공간의 표현이 시대적 특성과 함께 상품 그 자체보다 차별화ㆍ개성화된 이미지를 파는데 주력하고 있으며, 소비자들의 요구에 따른 최적의 분위기를 제공하기 위해 시각적 새로움을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 부응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공간 구성요소로서 설치미술(Installation)적 요소를 많이 사용되고 있다. 시대변화에 따른 예술영역의 수평적 교류로 순수미술의 한 장르인 설치미술이 실내공간의 디자인 어휘로 사용되게 된 것이다. 삶의 공간과 작품의 경계가 모호한 설치적 환경으로서 삶의 일부를 작품의 구성 요소 안으로 끌어들이는 일상과 그 공간의 점유라는 점에서 설치미술을 시작으로 보고 설치미술의 개념 및 전개와 공간이 갖는 특성을 살펴보고, 현재의 설치적 표현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설치적 표현이 두드러진 시대적 특성을 고찰한다. 이상의 이론적 고찰을 배경으로, 현대에 있어 실내상업공간의 동향을 살핀 후, 상업공간을 중심으로 현대에 있어 실내공간에서 설치적 표현성향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현대 설치요소가 도입된 실내 상업공간의 사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60년대 이후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실내디자인의 설치적 표현기법은 많은 부분에 있어 자유 구축적인 해체적 양상과 상통함을 알 수 있다. 설치적 양상을 보이는 작품들은'과정'존재보다는 '변환'을 추구하는 현대 디자인 경향을 표출하는 것이며, 공간에서의 다양한 미적 체험과 새로운 언어에 의한 사고의 전이를 제시하고 있다. 둘째, 공간에서 보여 지는 설치적 표현기법은 포괄성, 적극성이 실내공간에서 좀더 본질에 더 가깝게 접근하려는 열려진 사고방식과 조형성으로 표출되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설치미술은 그 자체가 실험적이고 전위적인 예술형태로서 공간에의 적용이 사적인 성격이 강한 실내디자인, 특히 상업공간의 유행적, 소비적 성격, 비교적 소규모의 프로젝트일 경우가 많다는 점에서 그 시도가 유리하며 용이하다 할 수 있다. 따라서 실내공간에의 설치적 표현기법은 열린 공간보다, 대중적이기보다 개인적이고 사적인 기반위에서 다양한 행동과 개인적 경험, 인지를 가능케 하는 최근의 공간에의 새로운 표현어법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설치미술은 실내디자인과의 상황적 관계와 표현성을 고찰함으로써 이들의 상관적 관계를 알 수 있었고, 공간에 시각적 포인트의 역할을 하며 다른 요소에 비해 풍부한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한 강력한 디자인 어휘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디자이너 스스로 새로움을 발견하려는 실험적 태도와 조형의지가 필요한 시기에 모든 예술적 양식을 포괄하면서 단지 감각적이고 일회적인 형태적 공간적 유희로 흐르는 것이 아닌 환경과 전통을 배경으로 디자이너 스스로 정체성을 가지고 한 시도와 모색이 지속적으로 전개가 이어질 것이라고 본다. Attempts have actively been made to accept multi-dimensional changes such as the time spirit thought throughout arts in the 20th century and reflect diverse needs, and emphasis is placed on the intertextuality between genres and media. To it applies the method of recomposition in the new environmental context. With the gradual collapse of the boundary among areas such as interior design, painting, sculpture, photo and cinema and the like, the tendency for them to have a mutual effect on each other has remarkably appeared. This means emphasis on the role of designers, design and the socio-cultural function of arts. Accordingly, it is high time for designers as environmental artists to need to experimental attitude and the formative will to discover novelty themselves in order to form the integrated artistic environment in the consciousness of the situation of the times. Accordingly, contemporary people's interest in the quality of the living environment exceeds functionality and economic efficiency, appears as the tendency of aesthetic aspect and high quality and is naturally concentrated on interior design. Especially, the commercial space aimed at profit creation is the space mostly concretely reflective of the phase of the change life pattern and consumers' needs. In the contemporary commercial space, the individualized spatial expression is oriented at pursuing the differentiated and individualized image than good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Visual newness is pursued to provide the optimal atmosphere well-suited to consumers' needs. As part of conforming to the situation of the times, the element of installation is much used as the spatial component. Installation as one genre of pure arts through the horizontal exchange of artistic domains is used as the design vocabulary of interior space. This study saw installation as a beginning in that some of life was drawn into the component element of the work as the environment of ambiguous boundary between the space of life and the work and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 and space and the concept of installation. And it sought to investigate the remarkable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with the remarkable expression of installation to identify the present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installation.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above theoretical investigation,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tendency of the interior commercial space and presented the basic materials for the expressive disposition of installation in the interior space in the contemporary times with a focus on the commercial space. As to the case of the interior commercial space into which the contemporary installation element was introduced,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First, the expressive technique of installation of interior design remarkably found since the 1960s is consistent with the de-constructive aspect of free construction in many parts. The works showing the aspect of construction express the tendency of contemporary design pursuing 'transformation' than the existence of 'process'. They present diverse aesthetic experiences and a shift in thinking by new language in space. Second, in the expressive technique of installation shown in space, comprehensiveness and activity are manifested as the open way of thinking and formativeness to approach nearer to essence in the interior space. Third, installation art takes an experimental and vanguard artistic form and is favorable and easy in its attempt in that it is used in the interior design of strong private nature, the fashionable, consumption-nature and comparatively small-scale project of the commercial space in many cases. Accordingly, the expressive technique of installation in interior space can become the new expressive usage in the recent space that enables diverse behaviors and individual experience and cognition on the private and personal basis rather than the popular basis and than the open space.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situational relationship between installation art and interior design and its expressiveness, show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m. It could be found that it performed a role of the visual point in space and can become the powerful design vocabulary to construct an abundant image compared to other elements. Finally, it is high time that designers need the experimental attitude and formative will to discover newness themselves.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environment and the tradition, designers will continue to develop attempts and consideration with identity, covering all artistic styles and not leading to the spatial playfulness of sensible and one-shot form.

      • 감성디자인이 적용된 미래 주거공간 연구 : Murtha and Lee의 사용자 이득기준에 따른 미래주택관 human space 사례분석

        유용우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50783

        20세기 전반을 통하여 발전해 온 인위적 환경과 공간은 인간에게 편리함과 안락함을 제공해 왔으며 그와 더불어 실내디자인에 대한 공간적 사고도 함께 발전하였다. 또한 현대 정보화 사회에 들어와 실내공간의 계획에 있어서 인간의 감성까지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새로운 공간설계의 필요성이 논의되어지고 있다. 이처럼 인간의 요구가 다양해지고 인간 지향적인 현대사회에서, 변화하는 환경에 따라 인간의 기호를 반영하는 감성공간의 형성이 21세기 실내공간 설계에 매우 중요한 디자인요소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에 대두될 감성디자인의 적용범위와 감성디자인의 과학적 분석과정을 통해 향후 개발 될 미래주거공간계획을 위한 디자인제언을 하는 것이며 미래주거공간에 대한 가치전환과 감성디자인의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의 분석방법으로는 Murtha and Lee의 환경디자인 지침인 사용자 이득기준을 분석의 틀로 활용하고 4개의 사용자이득 범주차원에서 나타난 지원성을 기준으로 D사의 미래주택관 Human space를 각 시대별, 공간별로 적용된 디자인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각 시대별로 소개된 주택에서는 사용자 이득기준인 4개의 범주 차원에서 세부 지원성 항목까지 내부공간의 감성디자인 측면들이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내용을 분석한 결과를 종합하면 지각적 유지의 차원이 제일 고르게 분포되었으며, 다음으로는 행동의 용이성, 생리적 유지, 사회적 용이성 순서로 디자인 지침이 설정되었다. 지각적 유지의 범주에서는 환경의 형태와 의미가 사용자에게 적절히 전달되느냐와 관련된 지원성으로 이는 직접적으로는 심리적 편안함과 쾌적함에 영향을 끼치고 간접적으로는 기본적인 행동이나 신체적인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 행동적 유인 차원에서는 진입을 유인하고 연계공간을 인지시켜 다닐 수 있는 기회를 증진시켜 주었으며, 지각적 일치 부분에서는 주거공간의 본질적인 기능을 모색하였다. 또한 각 공간기능별로 기대에 맞게 적용되어 연령별 거주자의 특성에 부합되게 적용되었다. 감각의 유인부분은 시각적 차단과 사물이 명료하게 보이도록 감각을 유지시켜 예술적 정서를 증진시키기 위한 유인을 모색하였다. 감각의 조화는 사용자의 흥미를 지속시켜 줄 수 있는 공간 내의 자극 요소들이 얼마나 조화롭고 적절한가에 대한 것에 대해 나타났다. 행동의 용의성 범주에서 나타난 가변성은 세대간의 프라이버시를 조절, 노인의 생애주기 변화에 따른 기능을 보완해 주는 특성으로 나타났으며, 역동성과 기능적인 다양성을 통하여 가변성의 일치가 나타났다. 기능적 일치부분에서는 다양한 공간구성 요소들이 일상생활 기능의 제반 차원들을 통해 언급되었으며 각 공간에서의 접근성을 용이하게 하기위해서 역동적인 조절 기능들을 보여주었다. 조작적 일치에서는 생활의 변화에 따라 쉽게 조작할 수 있는 특성과 좁은 공간에서 공간을 합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였고 자극의 일치 부분에서는 조명을 통한 전반적 시각에 대한 중요성을 언급했다. 생리적 유지 측면은 행동을 수행하는 동안에 사용자의 생리적, 생물학적 쾌적성이나 건강을 지속되게 해주는 환경의 지원성을 말하며 기후적 일치부분에서는 루버식문, 창문, 개구부, 재료, 설비, 공간구성 기법을 통해 기후적인 쾌적성을 추구했다. 자극의 규제 부분은 거실과 현관이 외부와 연결되어있어 각종 자극의 규제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보여주었다. 위험의 규제는 환경으로부터 상해나 위험의 원인이 될 수 있는 환경적 요소가 없는가 하는 것이며 모든 시대에 걸쳐 부엌과 욕실 등에 고르게 적용되었음을 볼 수 있다. 사회적 용이성의 범주에서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조절하여 바람직한 수준으로까지 촉진시키는 환경의 지원성을 강조한 차원이다. 사회적 유인에서는 구성원의 가사 참여를 유도하고 상호간의 사회적 관계를 개선시키기 위해 주로 부엌과 정원에서 이 기능이 중요하게 나타났고 공간의 위치와 공간의 개방을 통하여 사회적 관찰성이 나타났다. 사회적 집중성 부분은 사람들이 모일 수 있는 여건을 형성하였고 제품을 통해 공간의 구심점을 만들었다. 사회적 고립은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위해 사회적 접촉으로부터 피할 수 있게 공간이 계획되었으며 사회적 편익성은 환경특성이 사회적 상호작용과 커뮤니케이션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도록 보조해 주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 모든 내용분석 항목들이 Murtha and Lee의 사용자 이득기준 체제에 전반적으로 해당됨으로써 Murtha and Lee의 환경 지원성 체제는 환경디자인 분야뿐 만 아니라 감성디자인 분야에서도 적용될 수 있는 포괄적인 틀임이 실증적으로 확인 되었다. 결국 인간의 모든 제반분야를 세부항목으로 나누어 전반적으로 다룬 이 이론이 감성디자인의 기초가 되어야 할 것이며 사례분석을 통하여 미래주거공간의 시대적 발전과 구체적인 공간별 적용에 있어서도 모든 결과를 분석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Murtha and Lee의 사용자 이득기준이 전반적인 주거공간에 적용되는 디자인 방법론의 지침으로 정립되어 향후 개발 될 미래주거공간에서의 적용범위가 좀더 종합적이고 총체적으로 적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측면에서 감성디자인을 이해를 하려고 하는 학생들이나 디자이너, 실무 종사자들에게 하나의 중요한 지침자료로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Artificial environment and space, grown throughout the 20th century, have provided convenience and comfort to human and with that special consideration of interior design have grown. Also, in recent informative society people are even discussing the need for the new space planning that can satisfy the sensitivity of human. In human-oriented modern society where the demands of people are various and complex, understanding of human sense are rising as an important issue in interior design of 21st centu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new way of vision for sensitivity design and changing of value for future residential space through the range of sensitivity design and scientific analysis. The method of analysis uses Mutha and Lee s User Benefit Criteria which is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as supportive characteristics. Human Space in future residence pavilion of company D of each period and spaces is analyzed. The main results of analysis is that regarding the residence introduced by each period, the sides of sensitivity design of detailed indoors within four categories level of User Benefit Criteria appear to be various. Considering the results of contents analysis, perceptual maintenance level is evenly distributed and a design guide has been set in order of behavioral facilitation, physiological maintenance, and social facilitation respectively. Within the category of Perceptual Maintenance, how adequately the forms and the meaning of an environment are delivered influence, its users as it also affect its users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While it directly provide psychological comfort and vitality, indirectly it influences basic human behavior and physical health. In physical aspect, such attributes encourage entering to a space and enable a user to be aware of his/her movement through continuous space. Perceptually, it promotes fundamental function of residential space. Moreover, its usage complies to individual spatial function, accordingly applied to different age group residents. In order to keep sensitivity alert, perceptual interruption and distinct presentation of objects are included. Thus, such combination contributes to sustaining the users interest and continuously stimulates their perception accordingly.. Flexibility or changeability of behavioral facilitation can be characterized by controlling privacy of individuals and assisting varying needs for elders life cycle. In functional aspect, various spatial components have been revealed through numerous daily functions of space, and in order to make space more approachable, they promote dynamic controlling function. In terms of fabrication agreement, it enables adjustment and reconstruction of space at times of changes in lifestyle and logical usage of limited space accordingly. Regarding stimulation agreement, light is use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general perception. Physiological Maintenance aspect talks about environmental support that sustains biological vitality and health during an action. Methods involving elements such as louver door, window, opening, material, equipment, space composition are used to promote better refreshing climatic condition. By connecting both living area and entrance to outdoor stimulating effect is somewhat limited. Moreover, on safety level any possible components of danger in an environment are concerned and this can be seen at the kitchens and bathrooms of future decades. The category of Social Facilitation emphasizes environmental support that facilitates spatial of mutual interaction in order to bring it to an ideal level. Through the active involvement of the members in household duties, and their interaction at communal spaces such as kitchen and garden, mutual social relationship is improved and in thus aspect, space location and its openness greatly contributed to social observation. Hence, such social concentration enables gathering of people. For the privacy of an individual, isolated space from the outside is planned and for efficient mutual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social convenien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assisting such environment. As for the result of analysis, all the items in contents analysis are assigned comprehensively by user benefit criteria of Murtha and Lee. Therefore environmental support system of Murtha and Lee is actually confirmed for comprehensive form, which can be applied to sensitivity design as well as environmental design. Thus case analysis observes the elements of periodic development of future residential space and its explicit spatial application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Murtha and Lee s User Benefit Criteria could be used as useful material and applied overall when designing of future residence space based on organized materials. Moreover, this study expects to be used as the one of important guidelines to students, designers and practical workers.

      • 고객만족도 제고를 위한 증권사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 고객 서비스 공간을 중심으로

        이은경 건국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50767

        IMF 외환 위기 이후 국내 금융시장이 완전히 개방되면서 금융기관들의 구조 조정이 진행되었고, 외국의 은행, 증권 회사들이 국내 시장에 활발히 진출하면서, 경쟁이 더욱 치열하게 되었다. 이에 고객 지향적 마케팅 전략만이 고객이 살아남을 수 있다는 고객만족 경영 아래 고객과 가장 직접적으로 연계되는 곳으로서 영업장의 환경조성이 가장 구체적인 경영 전략이라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객만족 경영이라는 증권사들의 경영 전략 중에 고객편의성의 영업장 환경조성과 고객이 중시하는 디자인 요소계획에서 공간구성을 중점으로 연구한 논문이며, 고객이 자주 접하는 서비스공간에 대한 고객의 만족도를 높이는 공간 디자인에 관한 모색이다. 앞으로 더 나아가서 개인 고객에 대한 마케팅 강화와 함께 다양화된 고객의 욕구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함이고, 고객 만족의 종합적 마케팅 관리 전략에 부흥하는 체계화되고, 합리적인 증권사 실내 환경 계획의 방향을 제시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경쟁력 있는 금융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 이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현대 금융사에 있어서 고객의 개념과 고객만족 경영의 필요성에 대해서 알아본 다음, 증권사 공간계획과 인테리어 요소계획에 관해서 고찰해 본다. 고객만족 경영에 따른 고객 편의성을 중심으로 한 증권사 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인만큼, 조사대상 영업점의 현장조사와 주거래 고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병행한다. 현장조사에서는 시지각 이론을 바탕으로 시각적 개폐정도에 따른 공간적 특성을 증권사 공간 구성에 적용해 개방형과 폐쇄형 공간의 유형으로 나눠 두 공간구조 특성을 고찰해 본다. 설문지 구성은 고객의 주 출입 공간들- 주출입구, 출납 공간, 휴게 공간, 상담 공간, VIP 공간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객들이 생각하는 앞서 언급한 공간들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를 알아보고, 공간 구조의 특성에 따라 고객의 만족도 변화와 증권 업무의 특성과의 부합성, 공간의 개방성과 폐쇄성에 따른 개인 프라이버시와의 관계에 있어서 만족도, 공간 유형별에 따른 고객의 선호도, 만족도의 변화를 설문조사를 통해서 실증적 조사를 하였다. 본 설문조사에 대한 설문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유형별(공간적 폐쇄형, 공간적 개방형) 증권사, 모두 공간계획에 대한 부분은 설문지를 통해서 조사해본 결과 중요도에 비해서 만족도 또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시각적 폐쇄형과 시각적 개방형의 두 공간을 비교해보면 고객들은 시각적 폐쇄형 공간에 더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셋째, 증권사 영업공간은 고객 서비스가 더욱 강화된 모습으로 발전을 해야 할 것이다. 이에 각 실들의 연계성과 동선의 혼선이 없는 시각적인 개방감과 동시에 거래 고객의 프라이버시를 더욱 보호하는 밀폐형의 독립된 공간과 금융정보를 얻을 수 있는 다기능의 공간으로 계획되어져야 하겠다. 위의 설문 조사결과에 대한 공간별 제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출입구 공간은 독립적 공간으로 계획하되, 자연스러운 곡선과 비대칭적인 형태감을 주어, 공간에 회사의 기업 로고나 사인을 부착할 수 있는 사인 월을 조성하며, SI(Store ldentity)에 따라 색상. 디자인을 적용한다. 각 증권사들 내부 공간에 오브제를 도입함으로써 개성을 살려 차별화를 주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증권사 출납 공간은 직원과 고객의 접점 공간이다. 직원의 업무 공간이며, 동시에 고객에게는 입출금의 업무를 보는 공간이다. 급속히 발달하고 있는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로 출납공간의 규모는 앞으로 크게 축소될 것으로 보인다. 기능적인 것이 기본이 됨은 물론 더 나아가서 출납 카운터의 디자인을 살려 기능성, 소재의 다양화를 고려해서 그 공간에 있어서 강한 액센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계획되어져야겠다. 셋째, 증권사 휴게 공간은 고객의 전용공간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 중요성이 날로 높아져 별도의 독립된 공간으로 계획되어야 되며, 그 휴게 공간 안에 여러 가지 복합적인 공간들의 형태로 발전되어야 할 것이다. 문화 공간, 강의 및 상담을 위한 증권 교실, 작은 미술관을 연상케 하는 갤러리 공간, 실내 아트리움 조성, 고객 서비스의 공간으로 강화되면 고객 만족도 또한 높일 것이다. 넷째, 증권사 상담공간은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로 시세판 공간이 줄어들면서, 영업직원의 수도 다소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조사대상 설문에서도 나타났듯이 고객은 개인 프라이버시를 더욱 보호하는 반 간접, 완전 밀폐형의 독립된 공간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VIP 공간은 고객서비스가 더욱 강화된 모습으로 발전해야 할 것이다. 세계적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력셔리 트랜드의 소비시장은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으며, 이는 IT산업의 급부상을 통해 생겨난 2∼30대 신흥 부유층의 등장으로 내부계획은 더욱더 인텔리젼트한 고급화 지향으로 바뀔 것이다. 그리고 고객은 정보의 기밀유지 및 개인 프라이버시의 중요성을 높게 생각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에 VIP공간은 일반 공간과 차별화는 되어 있지만, 공간이 경직되어 있지 않고, 자유롭게 개방되도록 계획되어져야 하겠다. 앞으로 개인고객 마케팅 강화를 위해서 고객들의 심층 분석과 더불어 지리적. 입지적, 점포성향에 따른 증권사 공간계획의 심층적 연구가 진행되어야겠다. 앞으로 고객 만족도의 차이가 증권 영업장 선택의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다. As the domestic financial market has been completely opened since the IMF-supported regime, financial companies have been restructured, Competition has been cutthroat as foreign banks and securities banks have made inroads into the domestic market. Under the customer satisfaction that only the customer-oriented marketing can attract customers, it can be said that it is the most specific management strategy to foster the environment of the workplace as the place directly linked with customers the most specific management strategy. Therefore, this study was focused on fostering the customer-convenient workplace environment and the spatial composition in the design planning element to which customers attach importance for the management strategy of the securities companies adopting customer satisfaction management. It attempted to probe the spatial design that raises customer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space customers frequently visit. Furthermore,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basic materials to present the direction for the systematized and reasonable interior environment planning of securities companies cope actively with diversified needs of customers along with the reinforcement of individual customers, to respond to the comprehensive marketing management strategy and to construct the competitive financial environment. As the research method,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concept of customer and the need for customer satisfaction management and then investigate the interior element planning and spatial planning of securities companies. This study was concerned with the spatial design of securities focused on the convenience of customers with customer satisfaction management. And it used the on-spot survey on the business place and the questionnaire research for trading customers. In the on-spot survey, an attempt was made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structure by dividing the spatial characteristics into the open type and the closed type according to the degree of visual opening and closeness.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the main entrance space for customers - main entrance, telling space, resting space, counselling space and VIP space.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satisfaction with the previously mentioned spaces customers considered. And it made an empirical survey of changes in the level of preference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the type of space in relationship to privacy in accordance with the openness and closeness of the space and the match between securities affairs.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an attempt was made to investigate the spatial planning of securities companies by spatial type(spatial closed type and open type). As a result, the level of satisfaction was shown to be higher compared to the level of importance. Second, comparison of two spaces such as visual closed type and visual open type showed that customers had a higher interest in the visual closed space. Third, the business space of securities companies should develop into a more reinforced figure that customer service is more reinforced. Therefore, it should be designed to have the linkage between rooms, the visual opening sense without confusion of the moving line, the independent space to protect the privacy of trading customers more and the multi-functional space to make it possible to obtain financial informat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questionnaire research, the following proposal was made by space: First, the entrance space should be planned as the independent space, but the sign wall should be fostered on which the corporate logo or sign can be attached on the space natural curves and a sense of unsymmetrical form and color and design should be applied according to SI(Store Identity). It is important to differentiate the spaces using their personality by introducing the object into the interior space of each securities company. Second. the paying and receiving space is the one in which the bank employee and the customer meet. It is the business space for employees and the space for doing the job of paying and receiving service for customers at the same time.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the size of the tellers' space is thought to reduce greatly in the future. It should be designed to be able to play a strong accent role in the space in consideration of functionality and the diversification of materials by highlighting the design of the tellers' counter so that functionality not only becomes fundamental. Third, the resting space could be said to be the one dedicated to customers. It should be planned as the independent space as its importance is made higher, and the resting space should be developed in the form of several complex spaces. If the resting space is reinforced as the cultural space, the securities classroom for lecture and counselling, the gallery space associated with the small gallery, the interior atrium and the space for customer service. Fourth, the counseling space of securities is thought to reduce more or less as the space for the quotation board reduces and the number of business employees would be more or less reduced. And as shown in the questionnaire research, it was found that customers showed a higher preference for the independent space of semi-direct complete close type that can protect the individual's privacy. Fifth, the VIP space should be further developed into the figure that customer service is more reinforced. In spite of the worldwide economic depression, the consumers' market of luxury trends is rapidly expanded, and the interior planning will be changed into the intelligent luxury orientation with the emergence of the upstarts in their 20s and 30s generated through the rapid emergence of IT industry. And it could be found that customers thought highly of the importance of individual privacy and the maintenance of the secret of information. Therefore, the VIP space may be differentiated from the general space, but the space is not rigid but should planned to be freely opened. In the future, the future in-depth study should be made on the spatial planning of securities companies with the geographical, locational and store propensity in addition to the in-depth analysis of customers to reinforce the individual customer marketing. In the future, th difference in the level of satisfaction will act as an important factor in choosing the securities business place.

      • 업무환경 시스템가구의 유니버설 디자인 특성 연구 : 선정된 글로벌 제품의 비교분석

        정재원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50767

        지난 20세기는 산업화와 자본주의의 시대로서 대량생산을 위한 규격화와 평균화, 획일화와 다수를 위한 가치만이 중시되어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를 반영하지 못한 단순히 평균적인 디자인이었다. 반면 21세기는 정보화와 세계화로 인해 다양한 지역과 계층, 문화가 서로 공존하며 살 수 있는 소수를 위한 다양한 사용자의 조건이나 요구, 개성까지도 수용하면서 편의성을 고려한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것들을 모두 수용한 디자인이 바로 유니버설 디자인이다.유니버설 디자인은 인간의 존엄성과 다양한 사용자를 포용할 수 있는 21세기의 사용자 중심적인 창조적 패러다임으로써 인간의 삶을 보다 인간 중심적으로 이끈다는 의미를 새롭게 부여하고 사용자 요구를 만족시키는 환경디자인과 제품디자인의 개발을 위해 필수 불가결한 디자인 흐름이다. 현대의 모든 사람들은 환경적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즉, 일시적 장애상황에 처한 일반인, 또는 장애를 지닐 가능성이 언제나 있는 잠재인으로서의 일반인을 포함하여 이러한 신체적 능력을 특수한 상황으로 보는 것이 아닌 사람마다 가지고 있는 개별적 특성으로 보는 시각에 기인하여 다양한 신체크기와 능력, 그에 따른 나이,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일시적 장애까지를 그대로 넓게 수용하고 인간을 평등하게 포용하는 사회적, 문화적 인간 진위적인 평등을 실현하는 ‘문화적 부흥운동’의 흐름으로 진행이 되어가고 있다. 21세기는 이로부터 인간성을 다각적으로 회복하고 그 가치를 재발견하며 증진시키는 문화적 흐름을 기대, 예상하게끔 한다. 현대의 사무 근로자는 하루 활동 시간의 70-80%를 업무공간에서 보내고 있다. 그러므로 업무 공간에서는 이제 다양한 연령과 다양한 신체 조건을 가진 사람들이 공존하게 되었고 그들의 요구 및 행위 등도 또한 전례 없는 다양성을 보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성을 고려하여 그들이 쾌적하고 효율적인 공간에서 최대한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의 필요성 또한 간과할 수 없는 문제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업무공간에 대한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은 아직은 미약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유니버설 디자인의 원리의 개발을 위한 보다 심층적인 노력을 통해 발표된 Lee’의 원리를 근거로 세계화시대에 맞게 세계적인 글로벌제품을 업무환경 시스템가구와 의자를 통하여 포괄적으로 비교 분석해보고, 유니버설 디자인 발전의 흐름에 보다 잘 적응하여 사용자 스스로 그들이 사용하고 있는 가구에 대한 전반적 평가를 통한 글로벌적 제품의 개발을 유도하며, 또한 근무자들이 쾌적하고 효율적인 공간에서 최대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전보의 지식기반을 위한 정리작업이 필요했다. 그 제품의 디자인 특성들을 포괄적으로 파악하여 이들의 디자인 특성을 구조적 틀에 맞추어 문헌적으로 고찰하고, 사용자의 사용 후 평가조사를 통하여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실측조사 대상으로는 글로벌 제품을 사용하고 있는 서울시내의 4개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방식을 통해 Lee의 최근 9가지 유니버설 디자인 원리인 Universal의 U, N ,I, V, E, R, S, A, L 의 9자, 즉, Usable(사용하기 쉬운), Normalizing(차별화가 아닌 정상화를 도모하는), Inclusive(다양성을 포용하는), Versatile(다국면성을 지닌), Enabling(가능성을 진작시키는), Respectable(존중심을 느끼게 하는), Supportive(활동을 지원하는), Accessible(접근이 용이한), Legible(이해하기 명료한)의 원리를 중심으로 각 원리를 세부항목으로 나누어 현재 사용하고 있는 글로벌 제품의 사용자 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 하에 제시된 연구결과로 업무공간 속 제품에서 나타난 유니버설 디자인적 종합적 특성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업무환경의 시스템 가구에서 가장 중점을 두어 개발된 유니버설 디자인 특성을 살펴보면 잦은 업무변화에 따른 이동을 원활히 수용하고 빠른 재조합을 통해 업무를 신속하게 대처하게하는 (Versatile) 디자인으로 스틸케이스사의 번들 콜렉션은 이러한 기능성을 잘 살린 제품으로 다양한 업무에 따른 새로운 레이 아웃을 신속하게 창출하기 쉽게 고안되었다. 간단한 컴포넌트의 재조합으로 리셉션과 같은 새로운 업무영역을 구축할 수 있는 (Inclusive), 높낮이 조절기능과 신체적 조건에 맞추어 탈•부 착하기 쉽게 재조립함으로 업무를 증진시키는 (Enabling), 그리고 조명장치나 작업대의 기울기 조절, 각종 사무용 액세서리등을 통해 활동을 지원해주는 (Supportive) 그리고 판넬과 다리를 통해 전선의 처리 방식(Legible), 작업대 어디서나 보이스 데이터, 전원의 아웃렛과 수납공간 접근이 용이한 (Accessible)을 중점적으로 개발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있는 실정이다. Usable의 경우는 전반적으로 사용이 편리하나 Legible의 항목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힌트는 아직 전반적으로 미약하나 허먼밀러사의 리졸브 시스템은 자신의 자리를 명기하는 악세서리가 잘 고안되어져 있다.둘째, 업무환경의 의자에서 가장 중점을 두어 개발된 유니버설 디자인 특성을 살펴보면 신체적 사이즈에 맞추어 크기를 선택할 수 있는 허먼밀러사의 에어론 체어와 아쿠아 체어의 사용자 중심적 특징, 신체적 조건에 맞게 의자의 깊이와 높이조절장치, 팔걸이 각도와 높이 및 좌판의 폭조절 (Normalizing), 업무능력을 배양해주는 좌판각도조절 (Enabling), 허리의 지지기능과 장력조절장치를 통한 사용자의 움직임을 원할히 지원하고, 공기의 순환적인 면을 고려하여 오랜시간 지속적인 업무를 쾌적하게 지원해주며 (Supportive), 작업이나 휴식시,. 대화시 다양한 행동을 유연하게 수용해 줄 수 있는 각도 조절 (Inclusive), 사용조절장치에 대한 접근이 용이하게 디자인 된 (Accessible), 그리고 사용하기 쉬운 (Usable)에 대한 개발이 중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개인업무나 협력업무에 관한 변용사용이 가능한 (Versatile)과 사용시 호감을 느끼는 (Respectable)과 특히,사용방법의 이해가 명료한 (Legible)등에서는 헤이워스의 룩체어에서 나타나는 손잡이 부분의 양각 지어진 버턴을 통해 시각장애인까지도 기능에 대한 이해를 도운 측면의 디자인을 찾아 볼 수 있다. Global Total Office Seating사의 의자에서는 연속적 장력조절이 되는 장치 (Synchro Tilt Adjustment)의 개발로 사용자의 움직임의 자연스럽고 부드럽게 수용하도록 디자인 되었다. 이러한 제품에서 나타난 특성을 살펴보면 각 사마다 특징지어지는 면이 있으나 고루 사용자의 편의에 중점을 두어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시 불편을 최소화하여 업무시간에 지속적인 업무의 효율을 극대화 하기위해 개발되어짐을 알 수 있다. 세째, 사용자를 통한 사용후 평가의 결과는 연구의 분석기준이 되는 아홉가지 원리중 두드러지게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항목은 Versatile과 Inclusive항목으로 조사되어 현사용자들이 사용함에 있어 Versatile면에서 높은 만족도를 느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결과에 반해 Accessable, Supportive는 시급한 보완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사용후 평가를 통해 사용자들이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시된 업무환경에서의 사무실 근무자들이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은 그들이 근무시 정상적인 근무가 될 수 있게 업무환경 기기를 보다 정확히 인지하여 다양한 기능을 원할히 사용할 수 있는 것과, 다양한 업무환경의 변화로 인한 협력 업무와 개인업무로의 회기를 순발력있게 수용대처하는 업무환경의 레이 아웃의 원할한 변형 가능 기능, 그리고 그들이 하고자 하는 일에 대한 가능성을 진작시키는 항목, 그들이 좋은 환경에서 일하고 있다는 자부심, 업무환경을 통한 그들의 활동을 지원 받는일, 그들이 사용 하고자 하는 제반 기기들에 대한 접근의 용이함, 사용하고자 할 때 사용을 명확히 알 수 있는 이해의 명료성 등이 모두 중요하다고 사용자 스스로 그들의 사용자에 대한 충분한 인지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추후 사용자 스스로 그들이 원하는 사양을 선택하고 나아가서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의 개발시 중요한 영향력을 끼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 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사회에 다변화에 따른 양상으로 문화와 디자인적 흐름에 새로운 필요성이 대두된 이래 유니버설 디자인 이론의 중요성을 업무공간 가구에 국한하여 그 제품의 기능에 따른 유니버설 디자인적 특성을 연구해 보았다. 연구자를 통한 제품의 분석은 다분히 주관적인 분석이었음을 인정하나 그 분석의 틀에 준하여 제품의 특성을 분석해 보고자 했다. Lee의9가지 원리는 서로서로가 수용 가능하고 배타적이지 않음을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각 항목에 의해서 간과 될 수 있었던 제품 안의 기능과 특성을 찾아보고 분석 함으로서 그 제품을 사용하고자 하는 예비 사용자나 기 사용자에게 그들의 필요에 따른 제품을 선정하거나 사용 할 때 필요에 따른 기능을 사용자 중심적으로 인지함으로써 사용할 때 그 기능등으로 인하여 업무적 지원을 받게 되기를 기대해 본다. 실제 조사된 제품들은 최근 개발된 Lee’의 9가지 원리에 의해 개발되어진 설정틀에 의해 제품의 특성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얻어진 노력의 결과물 들이며 조사된 사례들이 나타내는 특성을 통해 제품디자이너나 사용자를 포함한 일반인에게 그들이 원하는 제품에 대한 이해를 보다 효율적으로 돕게 될 것이며 유니버설 디자인을 업무환경 시스템 가구에 의해 이해하는데 있어서 참고적인 틀이 될 것을 기대해 본다. 이에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다양한 사용자를 수용하며 그들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제품들이 업무환경가구 뿐아니라 공공, 주거, 제품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연구된다면 보다 진정한 유니버설의 이해 아래 보다 낳은 환경이 우리 곁에 있게 됨을 확신한다. As the 20th century was an industrialization and capitalism epoch, the design has been just mere and average which has not reflected various user’s needs for, but made much account of the merit of majority for mess production. However, since the 21st century is an information and globalization era, people can coexist with people with different cultural or social backgrounds, and this created a demand for Universal Design, which accommodates minority’s conditions, requirements or individuality, considering its convenience at the same time. Universal Design is an indispensable design movement for environmental and product design that grant a new meaning of leading human life to more human oriented way, and satisfy user’s needs as a creative and user oriented paradigm of the 21st , that embraces human dignity and various users. It is being progressed as a ‘Cultural Revivalism’ and actualizes the social and cultural genuine human equality which embraces human-being equally and adapts different physical size, ability, age, temporary handicap that changes depending on situation. From this, the 21st century makes us to expect a diversified recovery of humanity, and rediscover and enhance the value of it. Workers in modern society spend 70~80% of their working time. Therefore, there are people in various age and physical condition coexist at the same time, and their request and behavior show distinctive variety which have no precedent. The needs for creation of pleasant and efficient environment for the various different workers can show their maximum ability, is a matter that can not be overlooked. Though, the current application status of Universal Design in real work places is yet very feeble. Thereb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global work-place system furniture and chairs by literature examination method and questionnaire survey to evaluate the furniture which have been being used according to Lee’s 9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Universal (U, N, I, V, E, R, S, A, L : Usable, Normalizing, Inclusive, Versatile, Enabling, Respectable, Supportive, Accessible, Legible, which was stated recently with a dedicated effort in depth.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done by using SPSSPC + Statistic Package to understand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After understanding basic analysis of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based on the relation between items and the principles, F-test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were used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inciples. With above two investigation methods, needs for consolidation work for creation of nice and affective environment where people can maximize their ability, and for active induction of development of globalized products. As a survey result presented based on this study’s purpose, the specific character of Universal Design from products in working environment is as below. Firstly, with the users’ evaluation which was done by the furniture users with questionnaire, it showed that Versatile and Inclusive were highly appraised among the 9 principles, the basis of this study’s analysis. Hence, current furniture users are highly satisfied with the Versatile aspect. Whereas it was possible to interpretate that there is an urgent requirement for complementary study for Accessable and Supportive aspects. Nextly, the summary of what the users consider important through literature study and post evaluation of the furniture usersis as follow. They are acknowledgement of work environment facility for their normal duty, flexibility to adapt converting task types between cooperative and individual task due to various changes of work environment, items which promote the potential of the task, pride of working in a nice place, granting supports for the users activities by the work environment, easy access to facilities the users intent to use, clarity of understanding level for the items to use Ever since a new requirement for cultural and design-wise movement was risen as an aspect of the social diversify, the importance of theory of Universal Design was studied by examining special value of universally designed products for the functions within office place furniture only. Although it’d be possible that the product analysis through researcher could be quite subjective, it was attempted to analyze the special characters of the products by following assessment method that decently reflects the principle. It was found that the 9 principles reflect each other without being exclusive through this study. However, by searching and assessing function and specific character within product, it is expected that future users would select the product for its function and be able to use enough of the function.The studied products are result of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products based on a method developed by Lee’s 9 principles, and with distinctive character from studied cases, it would help people including product designers and users to understand the products more effectively.Also, it is expected Universal Design would become a good reference method for future system furniture development with sufficient understanding of Universal Design in work places with various employees. Therefore, it is assured better environment would be around us if there were products for various users and diversify needs not only in work places, also public, residential environment via continuous study with a genuine appreciation of Universal Design..

      • 카를로 스카르파의 실내디자인에 나타난 시공 디테일 특성에 대한 연구

        강병윤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767

        Carlo Scarpa is an Italian regionalism architect, who had worked since 1920s. While then architectural trend was mainly led by rationalism focused on functional and technical aspects, Scarpa built his own formative world with designs and materials that reflected the region of Venice and its histor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His architectures included multi-cultural factors and expressions of regionalism that reflected the urban characteristics of Venice, and artisan technique from the experiences of glass art. Based on those, his designs had the detailed expressions to build his own area of art. He continued to complete his own design philosophy by reflecting the influences from Frank Lloyd Wright and interests in Japanese culture via exhibitions with various artists and space designs and architectures. The delicate details close to craftwork that reflects those original design characteristics were alienated from the architects and critics of the times. Later, however, they were recognized of the originality and attracted the attention of many architects and interior designer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to induce the detailed characteristics of his works from the viewpoint of interior design focusing on his architectures' interior spaces, and analyze cases to make a comprehensive conclusions as well as seeking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in the modern worl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details in stairs and stabs which are shown upward are expressed by having spaces between stairs or putting in a slim support or a pole under the lifted slab. He also used various expressions with various methods of details such as expressing the flotation of the slab or the stairs by hanging on the wall or the ceiling via integrated step boards and handrails by banding steel materials. He used the appropriat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to express the flotation via visual lightness of the materials or the spaces between them, which allowed him to express the details of the design. Secondly, he used details for separation and segmentation of boundaries mainly to stress the differences. Using different materials on the joints where different materials meet together, and expressing separations and segmentations, he adopted the design of a framed metal molding or a steel plate on the outer side or stressed the design with different levels in detail. Thirdly, as per the joint details for doors and space factors, he made the design so that the door can be recognized as a part of the space to make an object of the space factors of the wall, the open part or the door, or, so that people can feel the object when they open and close the door by using fixed joints and hinged joints on the wall or the pole that contain equipment, etc. inside. Fourthly, as for the details to express orientalism, he mostly adopted the linkage of a circular form, or a pair form to express the symbolic meaning of oriental Eum-Yang(Yin-Yang) philosophy. He also used a grid pattern on a Japanese style window using a curved wooden frame to express the orientalism. In addition, he also made a design that applied geological mosaic patterns on the wall and ceiling to express the feeling that the light is reflected from the space. These characteristics showed how he designed and worked with details via the analyses of the pictures and sketches. The analysis results are reflected to the artistic details of the Carlo Scarpa school these days, too. However, there have not been many studies that could help design works. As such, I hope this study may help his details to assist the designs and works in the Korean interior designs and architectures. Scarpa's artistic details are used still nowadays via these study results and I expect work details with reinterpretations of Scarpa's detail characteristics may be variously applied to interior spaces. 카를로 스카르파(Carlo Scarpa)는 1920년대부터 활동한 이탈리아 지역주의 건축가이다. 동시대의 건축 성향은 기능적, 기술적인 측면에 치중한 합리주의 경향의 건축이 주류였다면, 그의 디자인은 베니스라는 지역과 역사, 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재료 사용과 디자인으로 독자적인 조형세계를 구축하였다. 그의 건축은 베니스의 도시적 특성을 반영한 다문화적 요소와 지역성의 표현, 유리공예를 경험한 장인 기술을 토대로 표현한 디자인이 나타난 디테일로 그만의 독자적인 영역을 구축하였다. 그는 여러 작가들의 전시와 공간디자인, 건축을 통하여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Frank Lloyd Wright)의 영향, 일본 문화에 관심 등을 디자인에 반영, 자신만의 디자인 철학을 완성해 나갔다. 이런 독자적인 디자인 특성이 반영된 공예에 가까운 섬세한 디테일은 동시대의 건축가와 비평가들로부터 소외되었지만, 후에 독자성을 인정받아 많은 건축가와 실내 디자이너들의 주목 대상이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그의 건축의 실내공간을 대상으로 실내 디자인 관점의 시공 디테일 특성을 도출, 사례를 대상으로 분석, 종합하여 현대시대에서 그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분석한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계단과 슬라브 등의 부유성의 디테일은 계단과 계단 사이 틈을 띄워서 표현하거나 슬라브를 들어 올리면서 하부에 얇은 지지대나 기둥을 세우는 방식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철재를 밴딩, 디딤판과 난간을 일체화 해서 벽이나 천정에 매다는 방식을 사용, 부유성을 표현하는 등 다양한 방식의 디테일로 시공해서 표현하게 하였다. 그는 이렇게 적절한 재료의 물성을 이용하여 틈의 이격이나 재료가 가지는 시각적인 가벼움을 통해 부유성을 표현, 디테일을 시공하게 디자인하였다. 두 번째, 재료 경계의 분리와 분절을 위한 디테일은 차이를 강조하는데 많이 사용하였다. 매스들이 만나는 조인트 부분에 다른 재료의 사용과 분리와 분절로 표현하면서 외곽의 프레임 금속 몰딩이나 철판으로 디자인하거나 레벨을 다르게 디자인한 디테일로 강조를 하는 시공을 하게 디자인하였다. 세 번째, 도어와 공간 요소의 재료 조인트 디테일로는 공간 요소인 벽 또는 개구부나 도어를 오브제화하기 위해 도어가 공간의 일부로 인식되거나 설비 등이 내장된 벽체나 기둥을 고정된 조인트, 힌지드 조인트를 사용하여 개폐했을 때, 오브제같이 느껴지게 디자인, 시공을 하게 하였다. 네 번째, 기하학, 동양 사상을 표현한 디테일로는 주로 동양의 음양 사상의 상징적인 의미를 표현하기 위해 원형의 연결이나 쌍구조의 사용으로 동양성을 표현하였다. 곡선의 목재 프레임을 이용한 일본풍의 창에 격자 패턴을 사용, 동양성을 표현하기도 하였다. 수 공간에 반사된 빛이 반영된 것 같은 느낌의 모자이크의 기하학적 패턴을 벽체와 천정에 적용시킨 디테일로 시공하게 디자인하기도 하였다. 상기한 특성들은 분석에서 사진과 스케치를 통하여 그가 어떤 방식으로 디테일을 디자인, 시공을 하게 했는지를 알게 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들이 반영된 카를로 스카르파의 장인적 디테일은 오늘날에도 나타나고 있으나, 시공에 도움이 될 만한 연구들이 많지 않았기에 이 연구를 통해서 향후 국내 실내디자인이나 건축에서 그의 디테일이 디자인뿐만 아니라 시공에도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란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스카르파의 장인적 디테일이 오늘날에도 나타나고 있고, 그의 디테일 특성을 재해석한 시공 디테일이 실내공간에 다양하게 적용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