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패턴언어를 활용한 친환경 실내건축 재료 애플리케이션 개발 연구

        전형준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75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environmental pollution, global warming and unusual weather as urgent and important issues to address for us and descendents which seem to be closely related to excessive energy consumption. Because Korea depends on imported energy has been more than 95% since 1994, it is important to secure energy on our own for the future. In particular, it would be better to save energy in the building sector since it takes up more than 30% of the total energy consumption. As an alternative, the government has implemented the certification system for eco-friendly buildings, and it is becoming more concrete and active in the field of building. However, there has not be enough studies on eco-friendly interior architecture though it consumes a lot of energy in a short life cycle and various functions compared to building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mportance of eco-friendly material in interior architecture while there are active developments in environment-friendliness in the hope of developing the eco-friendly interior architecture material database for those who work in this field to utilize conveniently, efficiently and actively. To this end, first, study on the position of interior architecture in eco-friendly architecture is done through domestic and overseas eco-friendly certification systems and current status of domestic eco-friendly materials database. Second, classification of interior architecture materials will provide the professional understanding of environment-friendly materials. Third, a pattern language expression elements by Christopher Alexander is derived and reinterpreted in an application representation to analyze the effective information transmission visually. Findings through the theoretical review are; there is a close connection between interior and exterior design in terms of common items such as materials and resources of domestic and foreign eco-friendly certification system, and the finishing material of the space can be an important element in completing eco-friendly architecture. In addition, by analyzing domestic eco-friendly materials database,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not enough information about materials and there is no part related to interior architecture materials, so a new eco - friendly material database for indoor architecture is needed. Based on the material types suitable for interior architects that are derived by material, property, space configuration and users through the theoretical reviews and case studies, I intend to improve the completeness of the application. By examining the Pattern Language of Christopher Alexander which is the foundation of the database including the application, six expression elements of the pattern language are derived in classification, importance, connection, transition, emphasis and schematic. Based on the pattern linkage of that application, desired patterns and information are placed on each screen and the ECO M.I.D (ECO friendly Material for Interior Designers is developed as the application by utilizing the elements of expression that are appropriate for each type of information. I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co-friendly interior architecture and analyzed the expressions of pattern language in this study and suggest an application basic model for interior designers. Since there are diverse and wide ranges of eco-friendly materials as well as difficulties in their systematic handling, continuous management is very important from the point of view of practitioners. However, various methods of expressing eco-friendliness are done in this study, and the interest of eco-friendly materials of interior architects is inspired. Furthermore, I hope that eco-friendly community will be formed. 현재 전 세계적으로 환경오염, 지구온난화를 포함한 기상이변 등의 환경에 대해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우리의 건강과 후대의 안녕을 위해 해결해야 하는 시급하고도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어왔는데 많은 부분이 과도한 에너지 소비와 관련이 깊다. 우리나라의 에너지 수입의존도는 1994년부터 매년 95% 이상으로 유지되고 있기에 미래를 대비하기 위해서 스스로 에너지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전체 에너지 사용량 측면으로 보면 건물분야에서 약 30% 이상 차지하기 때문에 건축을 통한 절약이 시급하다. 이러한 대안으로 정부차원에서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를 실시하고 있고 건축분야에서는 비교적 구체화되고 활성화되고 있다. 그러나 건축에 비해 생애주기가 짧고 다양한 기능을 담고 있는 실내건축은 많은 에너지가 사용되고 있는데 아직까지 친환경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은 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모든 분야에 있어서 친환경이 대두되며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지금, 실내건축분야에서 친환경성 특히 재료의 중요성을 규명하는데 있다. 또한 실무에 종사하고 있는 실내건축가들이 친환경 재료를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친환경 실내건축 재료 데이터베이스인 애플리케이션을 개발을 하여 궁극적으로 친환경 실내건축을 활성화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첫째, 국내·외 친환경 인증제도들과 현재 운영되고 있는 국내 친환경 재료 데이터베이스 현황을 통해서 친환경 건축의 실내건축분야 위치를 살펴본다. 둘째, 실내건축가를 위해서 재료를 유형화함으로써 친환경 재료에 대한 전문적 이해를 돕는다. 셋째, 크리스토퍼 알렉산더(Christopher Alexander)의 패턴언어(A Pattern Language) 표현요소를 도출하여 애플리케이션 표현 방법으로 재해석함으로써 시각적으로 효율적인 정보전달 방식을 분석한다. 이론고찰을 통해 국내·외 친환경 인증제도의 재료 및 자원이라는 공통항목으로 인해서 실내건축분야에 밀접한 연관성이 있으며, 공간을 완성시키는 마감재인 재료는 친환경 건축을 완성시키는 중요한 요소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국내 친환경 재료 데이터베이스들을 분석하여 재료에 대한 정보가 미흡하고 실내건축 재료에 관련되어 제공되는 부분은 따로 없어서 실내건축에 대한 새로운 친환경 재료 데이터베이스가 필요함이 확인되었다. 이론고찰과 사례연구를 통해 실내건축가들에게 적합한 소재별, 물성별, 공간구성별, 사용자별 재료유형을 도출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애플리케이션의 완성도를 높이고자 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 데이터베이스의 기초라 할 수 있는 크리스토퍼 알렉산더(Christopher Alexander)의 패턴언어(A Pattern Language)를 고찰하여 패턴언어의 표현 요소로 구분, 중요성, 연계, 전이, 강조, 도식 총 6개를 도출하였으며, 표현방법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이후 애플리케이션의 패턴 연계도를 바탕으로 각 화면에 제공하고자하는 패턴과 정보를 배치하고 각각의 정보의 형태에 맞는 표현요소를 활용하여 실내건축가를 위한 친환경 재료 애플리케이션인 ECO M.I.D(ECO friendly Material for Interior Designers)를 개발하였다. 이와 같이 연구를 통하여 친환경 실내 건축에 관해서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패턴언어의 표현방법을 분석하여 실내건축가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기초 모형을 제안해보았다. 물론 친환경 재료의 종류가 워낙 다양하고 광범위하기에 지속적인 관리가 매우 중요하며 실무자 입장에서 체계적이고 전문적으로 다루어줘야 하는 어려움도 있었다. 그러나 이를 통해 친환경에 대한 다양한 표현방법들이 연구되고 실내건축가들의 친환경 재료에 대한 관심을 고취되어 더 나아가 친환경 커뮤니티가 형성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 슐츠의 실존적 공간론을 기반으로 한 현대건축 실내공간의 장소성에 관한 연구

        박형진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9775

        실존적 관점에서 현대의 도시적 환경은 건축의 장소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따라서 현대건축의 실존적 장소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도시적 환경의 영향을 고려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슐츠는 장소론을 통해 주변세계의 의미를 폭넓게 해석함으로써 현대건축의 배경으로서 도시경관의 복합적인 의미의 해석을 가능케 하였다. 또한 주변세계의 총체적인 의미가 실존적 공간구조의 정위와 정체성으로 현시되는 것으로 봄으로써 다소 사변적인 건축의 실존성을 보다 합리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슐츠의 장소론에 나타나는 실존적 공간론을 토대로 도시적 환경을 배경으로 한 현대건축의 장소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슐츠의 실존적 공간론에 나타나는 주변세계의 의미와 그것을 반영하는 실존적 공간의 구조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슐츠의 장소론에서 주변세계는 실존적 건축의 형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건축은 존재적 의미에서 ‘주변세계’와 필연적인 관계를 맺는다. 실존적 공간은 인간과 환경 사이에서 형성된 안정된 쉐마, 환경의 이미지를 의미한다. 그는 하이데거의 ‘4중의 개념’을 토대로 주변세계를 사물, 질서, 성격, 빛 등으로 범주화하였다. 주변세계는 하늘과 대지의 자연적 경관과 인간과 정신의 인문적 경관의 총체적 의미를 지닌 것이다. 또한 그는 하이데거의 ‘사물’과 ‘모임’의 개념을 토대로 주변세계의 총체적 의미가 실존적 공간구조의 정위와 정체성으로 구체화되는 것으로 보았다. 요컨대 실존적 건축의 장소는 정위와 정체성을 통해 주변세계를 모으고 반영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며, 그는 정위와 정체성을 통해 구체적인 건축의 장소를 파악하였다. 정위는 실존적 공간의 공간적 측면이다. 정위는 주변세계를 내부적으로 구조화함으로써 실존을 구체화한다. 실존적 공간의 정위는 중심, 축, 영역의 기하학적 공간 요소를 통해 주변 자연환경의 공간적 구조를 반영한다. 또한 건축물의 경계면으로서 벽체와 개구부는 건축의 정위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 정체성은 실존적 공간의 구체적인 성격, 분위기 등을 의미한다. 실존적 건축의 정체성은 주변세계의 하늘과 대지, 인간과 정신의 총체성을 반영하여 현상을 모으고 실현하는 것이다. 건물은 기초, 지붕, 모서리, 개구부 등의 기본적인 의장적인 요소를 통해 자연적, 인문적 환경의 의미를 반영함으로써 실존성을 획득한다. 특히 실내공간의 정체성은 인간의 목적(건축물의 용도)과 관련된 인문적 요인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슐츠의 장소론에 나타나는 주변세계의 의미와 실존적 공간의 구조를 토대로 현대건축의 정위와 정체성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주요 관점 및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방법 및 범위 : 슐츠는 실존적 공간의 주변세계를 자연적, 인문적 요인의 총체적인 의미로 해석하였다. 반면에 본 연구에서는 실존적 공간의 배경으로서 도시의 근본적인 특성, 생성원리 등과 인문적 경관을 위주로 고찰하였다. 특히, 현대건축의 실내공간에 나타나는 비선형적 조형어휘, 유동적인 공간의 특성, 모호한 경계의 형성 등은 도시 하부조직의 복합성, 불확정적 특성 등과 많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대경관의 복합적 의미가 실존적 건축의 장소적 특성에 끼치는 영향을 실내공간을 중심으로 파악하였다. 슐츠는 중심, 축, 영역의 다소 기하학적인 공간 구조를 통해 자연환경을 반영하는 것으로 건물의 정위를 파악하였다. 반면에 본 연구에서는 총체적 경관의 의미가 다소 복합적인 공간 구조를 통해 현시됨으로써 현대건축의 정위가 형성된다는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또한 슐츠는 건축물 내, 외부의 정체성을 파악하기 위해 -주변세계의 총체적 의미를 반영하고 보충하는 개념에서- 의장적 측면으로 접근하였다. 반면에 현대건축의 내, 외부공간에는 전통적인 개념의 비례감이나 미적기준으로 판단할 수 없는 고유한 정체성이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정체성을 의장적 요소를 통해 파악하기 보다는 인문적 경관을 토대로 한 건축가의 프로그램의 해석이 많은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보고 접근한다. 현대건축의 정위와 정체성의 특성 : 현대건축의 실존적 정위는 도시의 총체적인 경관을 반영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현대도시의 근본적 특성, 생성 원리, 경관이 지니는 사회적, 개인적인 복합적 의미가 건축의 실존성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관을 반영한 내부지향적인 공간 구조와 외피 경계면의 다양한 표현 특성 등은 정위에 영향을 끼친다. 전자와 관련하여 현대건축은 총체적 경관에 의한 내부적 계기성에 의해 외부와 단절된 공간구조의 특성이 나타나며, 그 결과로서 내부적으로 완결된 정위를 취하게 된다. 이러한 경향의 건축물의 실내공간에 나타나는 유동성, 다중심적 공간구조, 통로의 비선형화, 탈영영화 등의 특성은 현대경관의 복합적 의미를 수용함으로써 실존성을 획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자와 관련하여 현대건축의 경계면에 나타나는 다양한 전이적 공간, 랜드스케이프적 특성, 투명한 외피를 통한 내, 외부공간의 물리적, 의미적 연결 구조 등은 건축물의 실존적 정위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건축물의 내, 외부공간에 나타나는 정체성은 도시의 물리적 경관에 절대적으로 의존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경관의 복합적 의미는 의장적인 측면으로는 이해하기 힘든 장소적 정체성의 동인(動因)이 되고 있다. 건축물의 외부형상은 감정이입에 의한 상징성을 통해 실존적 의미를 드러내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경관을 반영한 실내공간의 정체성은 투명한 외피를 통해 외부 형상의 정체성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 내부공간의 각 영역의 불분명함과 모호한 분위기, 의사 도시적 경관 등은 총체적인 경관을 반영하고 내, 외부공간을 의미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정위뿐만 아니라 정체성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특히, 현대건축의 실내공간의 정체성은 체험자의 현상학적 경험을 통해 완성됨으로써 실존성을 획득하게 된다. 현대건축의 정위와 정체성에 나타난 실존적 특성을 토대로 렘 콜하스, 다니엘 리베스킨트, 도요 이토, 스티븐 홀의 10개의 건축을 사례로 선정하여 실내공간의 장소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콜 하스의 경우 도시관과 관련된 프로그램의 해석이 건축 실내공간의 장소성에 절대적 영향을 끼치고 있다. 쥬시 도서관으로 대표되는 콜하스 건축의 실내공간에 나타나는 유동적 공간, 탈영역적 공간 구조는 작가의 도시관을 반영한 것으로 정위와 정체성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리베스킨트의 건축에는 현대경관의 사회적, 역사적 의미와 개인의 기억 등의 복합적 의미를 반영한 실존적 장소성이 나타났다. 건축물 내, 외부공간의 파편적, 탈정형적인 조형어휘는 경관의 가시적, 비가시적인 의미를 부각시킴으로써 내, 외부공간을 얽어매는 장소적 특성을 창출하고 있다. 이토의 센다이 미디어테크는 작가의 도시관과 인문적 경관을 바탕으로 한 프로그램의 해석이 건축의 장소적 특성을 결정한 대표적인 사례이다. 도시관을 바탕으로 한 내, 외부공간의 소통의 개념과 건축물의 용도와 관련한 공공건물이 지향해야할 개방성의 개념 등이 건축물 내, 외부공간의 정위와 정체성을 형성함으로써 장소를 형성하고 있다. 홀은 대지와 주변 환경의 물리적 경관을 중요시할 뿐만 아니라 인문적 배경을 토대로 한 작가의 개념을 통해 건축의 장소를 창출하고 있다. 무엇보다 그의 건축공간에는 시점에 따른 공간의 변화와 현상학적인 요소들의 결합을 통해 공감각적인 장소적 특성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슐츠가 실내공간의 현상학적인 체험을 통한 통합적인 장소성을 강조한 것과 일치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슐츠는 주변세계의 ‘장소의 혼’을 총체적인 의미로 해석함으로써 현대경관의 복합적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제시하였다. 또한 실존적 공간의 구조(정위, 정체성)를 통해 건축의 실존적 장소를 파악함으로써 현상학적인 실존적 장소를 합리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2. 슐츠의 실존적 공간론에서 정위는 쉐마의 공간적 측면으로서 주변세계를 중심, 축, 영역 등의 기하학적 요소를 통해 내부적으로 구조화함으로써 실존을 구체화한 것이다. 정체성은 주변세계의 총체적 의미를 모으고 구체화함으로써 획득되며, 이는 건축물의 외부형상과 실내공간의 분위기를 통해 현시된다. 3. 현대건축의 실존적 장소는 물리적 경관보다는 인문적 경관 및 도시성을 토대로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슐츠가 실존적 공간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언급한 사회문화적 요인, 인간의 목적 등과 관련된 ‘변주’적 요인이 현대건축에서는 ‘주제’의 역할을 하게 된다. 4. 연구사례의 현대건축에는 총체적 경관을 반영한 내부지향적 정위가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 외부 경계면의 외피의 다양한 건축적 특성을 통해 유기적인 정위가 형성된다. 내, 외부공간의 정체성은 주변의 물리적 경관에 의존하지 않으며, 인문적 경관을 반영한 감정이입적인 특성이 나타났다. 이는 이전에 볼 수 없었던 외부형상, 내부적 분위기로서 현상학적 체험을 통해 획득된다. 5. 인문적 경관을 바탕으로 한 건축가의 프로그램의 해석이 현대건축의 실존성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현대건축의 실존적 장소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그 표현적 특성과 함께 장소형성의 동인으로서 건축 프로그램의 해석 과정을 고찰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슐츠의 실존적 공간론은 주변세계와의 관계를 통해 건축을 이해함으로써 현대의 도시적 환경을 바탕으로 한 건축의 실존적 장소성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슐츠의 이론을 토대로 현대의 경관과 건축의 실존적 관계를 고찰한 결과, 현대경관의 복합적인 의미는 건축가의 프로그램의 해석을 토대로 현대건축 실내공간의 장소성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성과를 토대로 현대건축의 실존적 장소에 영향을 끼치는 다양한 동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실존적 배경으로서 경관뿐만 아니라 건축의 장소형성에 관여하는 복합적 요인들 간의 상호관계를 파악함으로써 현대건축의 장소적 특성을 더욱 명확히 규명할 수 있을 것이다. From an existential perspective, the contemporary urban environment has an impact on the place of architecture in many ways. That is, contemporary architecture is influenced by a contemporary cityscape with complex meaning much more than in the past. As Schultz broadly understands, with his place theory, the meaning of the surroundings, he permits to analyze the complex meaning of a cityscape as the background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Add to that, he presents a methodology to rationally comprehend the placeness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grasping that the whole meaning of the surroundings shows the orientation and the identity of the structure of existential space. With the existential space theory in Schultz's place theory, the study examines a characteristic of the place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based on urban environment. At the outset, it studies the meaning of surroundings in Schultz's place theory and of the structure character of existential space. Architecture is inevitably connected with the surroundings in existential meaning. Existential space means the image of surroundings, stabilized 'schema' formed between a human being and environment. In this point, the surroundings as the background for existential space have a significance on forming the place of construction. Rooted in Heidegger's 'The concept of fourfold', Schultz grasps the surroundings, dividing them into each category of an object, order, a feature, light and others. The surroundings have the whole meaning of natural and human landscape. Schultz sees that the surroundings as the whole meaning are embodied in existential space by the concepts of Heidegger's 'object' and 'gathering'. In short, the place of architecture converges and reflects the surroundings through orientation and identity, forming the structure of existential space. Orientation is the spatial side of existential space. It forms existence by structurizing the surroundings internally. By Schultz's account, the orientation in existential space shows spatial structure of the surroundings through the parts of geometrical realm like the center and an axis. With the process of forming the orientation in existential space, a wall and an opening work an important role as a boundary of a construction. Identity is the character and atmosphere of existential space. Schultz says the identity presents and actualizes all of natural and human things. With a basic decorative part like a roof, an angle, an opening and others, the identity of architecture acquires the existence by reflecting the meaning of natural and human environment. The identity of internal space is particularly influenced by a human factor associated with the use of a construction. Given the close connection between contemporary architecture and urban environment, this study is to present an analytic method of the place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with reinterpreting the meaning of surroundings and the structure of existential space in Schultz's place theory. The main point and findings in the study are as follow. method and scope of the study : Schultz describes the surroundings of existential space as the whole meaning of natural and human factors. Whereas this paper centers around urban fundamental characters and human landscape in urban environment. The complexity and indeterminacy of urban infrastructure are closely correlated with the features of nonlinear shape, liquid space and obscure boundary of internal space in modern architecture. This study, hereby, deals with the complex meaning of urban environment having an impact on what happens to a characteristic of the place of existential architecture, focused on internal space. On the basis of Schultz's existential theory, the study demonstrates a character of place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taking a look at orientation and identity of construction. By Schultz's account, orientation in existential space shows spatial structure of the surroundings through the parts of geometrical realm like the center and an axis. In the other hand, this article seizes orientation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with the whole meaning of landscape appeared from the structure of complex space. What is more, Schultz reveals the whole meaning of the surroundings for seeing internal and external identity of construction, and he comprehends the identity with the approach of decorative side. In internal and external space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there is its own identity that's incomprehensible with traditional ratio and an aesthetic standard. Therefore, the study sees identity of the place more with architects' program, less with decorative factors. This study considers this identity of place with the basis of the interpreting an architect's program related human landscape, rather than with decorative factors. the characters of orientation and identity in modern architecture : The existential orientation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is formed by reflecting the entire cityscapes. The social and complex meaning of contemporary cities have an impact on the existence of architecture. As a result, there are two kinds of features in modern architecture. One is inside-oriented structure of space and the other is a boundary of the exterior. Orientation is influenced by the inside-oriented structure of space and a boundary of the exterior. In the former, contemporary architecture has completed orientation cutting from the outside. Related with the later, existential orientation is influenced by various transpositional space, a boundary, landscaped characteristic, the structure of physical and meaningful connection through transparent cover. Identity shown in internal space and external shape of construction is related with other things as well as urban physical landscape. The complex meaning of contemporary landscape is an important agent of place identity. The external shape of construction tends to reveal existential meaning with symbolization by having empathy. Additionally, the identity of internal space reflecting landscape has an impact on the identity of external shape through transparent cover. Internal space is not clearly separated and that creates an ambiguous atmosphere. As its atmosphere and urban landscape reflects the whole landscape and significantly links internal space to external shape, that influences on the identity as well the orientation. As completing a person's actual experience, the identity of internal space acquires existence. With that consideration of the existential character of contemporary architect, the study chooses ten examples of Rem Koolhaas, Daniel Libeskind, Toyo Ito and Steven Holl's buildings and deals with the character of existential place of internal space. For Koolhaas, the placeness of internal space of construction is under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the interpretation of program associated with a view of urban. libraries for Jussieu is a model of Koolhaas' construction having the structure of liquid and unfixed space of internal space. That structure reflects an architect's view of urban and has an impact on orientation and identity. The complex meaning, that includes social and historical significance, and personal memory, gives existential placeness to Libeskind's construction. With fragmental and unfixed shape, the revealed and unrevealed meaning are outstanding, and they create the placeness binding up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a building. Ito‘s Sendai Media Tech is a model that architect's interpretation, based on his view of urban and human landscape, for a program forms a feature of the place. Based on a view of urban, the orientation and identity of internal and external space in a building are influenced by communication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space, and openness of public buildings moving toward. Appeared in the place theory of traditional meaning, what matters to Holl is the concept of the place that the earth and surroundings have. Add to that, he originates the place of construction rooted in human background. For a start, his construction space has a synesthetic character of place through connection between spatial change and phenomenological factors by a point of view. That accords with an integrated character of place through Schultz's highlighting a phenomenological feature of internal space. The findings in the study are as follow. 1. With Schultz understanding, ‘Genius loci' of the surroundings is the whole meaning, and he imparts a basis to comprehend the complex meaning of contemporary landscape. What is more, he suggests a methodology to rationally grasp a phenomenological character by seeing existential place of orientation and identity. 2. In Schultz's theory of existential space, orientation is the spatial side of Schema, as structuralizing the surroundings internally with the parts of geometrical realm like the center and an axis, and is to embody existence. Identity is acquired by converging and embodying the whole meaning of the surroundings, it comes out through an external shape of a building and atmosphere of internal space. 3.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existential place is formed by human landscape and urbanism rather than physical landscape. By Schultz's account, a social and cultural factor and the purpose of people have an impact on existential space. In modern architect, a variation factor related with them is a 'subject' that influences on existence. 4. In the case of the study, inside-oriented orientation reflecting the whole landscape is formed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Add to that, organic orientation is created by various characteristics of a boundary of the exterior. Identity has empathy with human landscape, without urban physical landscape. An external shape and internal atmosphere appear and are acquired by a phenomenological experience. 5. On a basis of human landscape, it finds that an architect's interpretation of program significantly influences on the existence of modern architecture. Consequently, it is inevitable that considering the process analyzing program of construction, for understanding existential placeness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In Schultz's existential space theory, he sees architecture understanding relation with the surroundings. With that, he suggests a useful point of view for comprehending existential placeness of architecture with the urban environment. Rooted in Schultz's theory, the study deals with existential relations between contemporary landscape and architecture. As a result, the complex meaning of contemporary cityscapes has an impact on the placeness of internal space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Of particular point in this process, an architect's interpretation of program has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existential place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Us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needs that researching diverse causes having an impact on existential place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As dealing with correlation among the complex factors that intervene place formation as well as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place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can be more cleary examined.

      • 나이젤 코츠의 실내공간에 나타난 내러티브 특성에 관한 연구

        임지안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75

        내러티브는 현대 시대의 다양한 의미 창출을 위한 공간 어휘 중 하나로 만화, 영화, 게임, 광고, 테마파크,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 나타나고 있다. 전반적으로 내러티브 특성을 가지는 공간은 체험공간에 주로 적용되고 있으나, 전시공간외에도 다양한 공간에서 내러티브 특성이 나타나고 있다. 내러티브적인 특성을 실내디자인을 대상으로 연구하기 위하여 내러티브를 주요한 디자인 언어로 사용하고 있는 나이젤 코츠의 실내공간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그는 건축과 도시 간에 분리된 객체로 보기보다 공간적인 체험으로 전달되는 건축적 커뮤니케이션을 표현하는 것에 비중을 두고 있으며, 그의 실내디자인 작품에서 역시 그 특성이 나타나고 있다. 나이젤 코츠는 영화적 화면기법을 통한 시간의 연속적인 장면을 실내 공간에 차용함으로써 공간을 단편적인 상황들과 사건들로 구성하여 꼴라주하는 독특한 표현으로 다양한 사건들을 공간에서 체험하게 한다. 본 연구는 체험 공간에서의 내러티브 적용 방법론뿐 만 아닌 다양한 내러티브의 적용 가능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나이젤 코츠의 작품에서 발견할 수 있는 건축 성향에 대한 연구와 함께 실내공간에서의 내러티브 표현 특성을 분석, 종합하였다. 분석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나이젤 코츠는 자신만의 디자인 언어를 정의 하면서 바로크적 고전 미학과 첨단의 기계적인 미학이 결합된 수공예적인 분위기를 조성함으로서 공간에 역동적인 추상적 오브제를 사용하여 공간에 무대디자인 같은 몽타주적 영화기법적 연출을 보이고 있다. 과거와 현재를 병치시키는 시공간적 공존으로 모호함을 이용하는 이질적인 병치로 초현실적인 공간연출을 하여 오브제의 스케일 확대로 비 일상적인 공간을 연출하고 있다. 오브제의 중첩과 혼합적 특성으로 내러티브라는 틀 안에서 사용자의 다양한 행위에 따른 개방적, 소통적인 공간으로 상호작용을 유발하고 있다. 오브제의 재료적 혼합, 중첩, 변형으로 내러티브를 표현하는 특성은 해체적인 성향으로 그만의 독특한 실내 공간을 디자인하고 있다. 프로젝트는 나이젤 코츠의 실내공간에서 나타난 해체적 내러티브적인 특성을 재해석, 그가 이야기하고자 하는 큰 맥락인 과거와 현재의 중첩성을 주제로 위안부를 위한 추모관을 계획하였다. 공간에서 말하고자 하는 내러티브는 시간성에 의존하는 전개 방식이 아닌 두 가지의 이야기가 편집되어 단편적으로 전개되는 방식인 해체적 내러티브를 공간에 적용함으로서 일반적으로 경험하지 못했던 비일상적인 공간을 제시하며 기존 공간과는 차별화되는 공간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공간의 표현과 인지에 있어서 해체적 내러티브는 다양한 공간에 적용 가능하며, 전시 연출에서도 효과적인 연출방법으로 관람자, 전시주체와의 상호작용하여 체험적 공간을 제시 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다양한 내러티브 표현특성이 실내공간에 적극적으로 적용되는 디자인 언어의 구축과 프로세스가 연구되어져야 할 것이다.

      • 지각적 측면으로 접근한 빛의 연출방식에 관한 연구 : 일본 현대 실내공간을 중심으로

        고광용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 연구는 이론 이전에 근거하는 현상의 지각에 대한 문제를 다루고 있다. 물체의 지각과는 구별되는 현상의 지각은 공간과 시간 속에서 변화되어 '드러나는 것'에 대한 지각을 의미하며, 이 연구에서는 빛이라는 현상의 지각에 대해 살펴보고 '현상지각적 활성화'를 통한 공간구성방식에 대해 탐구함으로써 실내공간을 하나의 시각적 대상물로 바라보는 것에 대해서 비판을 가하고 실내건축에 있어서 물질적이며 감각적인 측면을 회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논문은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일본 현대 건축공간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일본을 대상으로 선정한 이유는 인접한 지리적 여건과 함께 고대로부터 우리와 공유된 문화를 소유하였으며 도가사상으로 인한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설정하는 등 문화의 기반에 있어서 매우 유사하면서도 실내 공간에 있어 빛의 사용이 더 활성화된 나라라는 점이다. 따라서 일본 역시 우리와 같은 동양권이라는 점을 유의하여 동양의 현대 실내공간에 내재되어 있는 지각적 현상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고 그 대상인 80년대 이후 일본의 현대 건축가와 그들의 작품에서의 실내공간에 표현된 현상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것을 위해서 여러 건축가의 건축물에서 나타나는 동양적 빛의 요소와 전통적 이미지와의 상관성에 대해 알아보고 이와 함께 일본 현대 건축공간에 나타난 빛의 '현상의 지각적 활성화' 방식을 체계적으로 분석 정리하여 빛이라는 현상적 매체를 통하여 체험적인 실내공간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고 그 사례들의 제시에 있어서는 일본 현대 건축공간에 나타나고 있는 빛이라는 공간적 요소를 분석하여 색, 방식, 재료 그리고 지각적 관점에 관한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외세의 강압적인 침략이 없었던 일본의 경우, 전통적 요소가 많은 건축가들에 의해 연구, 계승되어 현대건축에 재창조되어진 사례를 많이 발견하게 된다. 일본의 전통성과 현대의 감각을 접목시켜 융화시킨 사례로 일본 전통 건축공간에서 추출되어진 건축언어를 현대화시킨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사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해양국가라는 특성은 항상 외국의 문물을 적극적으로 받아 들였듯이 근, 현대에서도 서구의 유명건축가들의 작품을 자국 내에서 실현시킴으로 세계화와 전통의 계승 사이에서 균형 있는 현대적인 일본 문화를 창조해 내고 있다. 그리고 그 영향은 공간에 있어서의 빛의 적극적 사용을 촉발시켜 건축가들과 실내디자이너의 작품에 있어 빛의 연출과 그 방법론에 대한 관심과 실현에 대하여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실현시킨 것을 알 수 있으며 빛의 창조적 사용과 그 연출의 방법론적 측면에서 효과적 사례들을 찾아 볼 수 있다. 따라서 각 사례별로 빛의 연출기법 혹은 의미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주거, 상업, 공공 문화시설 등을 통하여 빛의 연출 특성과 형태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일본의 고대에서부터 현대건축에 이르기까지 총체적인 건축의 흐름에서 나타나는 빛의 연출수법과 기법을 다루었으며, 그로 인해 나타난 건축특성 요소들을 그 범주에 넣었다. 다만 자연의 빛, 즉 자연광을 진정한 의미의 건축적 빛으로 파악한 본 연구에서는 인공광원에 대한 연구 외에 빛의 정량(正量)적인 부분에 대한 고찰은 다루지 않았다. 연구의 진행과 구성은 전체 6장으로 구성되며 그 세부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1장에서는 연구배경과 목적, 그 방법을 설명하였고, 제 2장에서는 전반적인 주제의 인식을 위해서 현시대에 표현되고 표현하고자 하는 빛에 대한 의미와 특징 그리고 빛에 의한 실내공간의 해석에 의하여 빛의 필요성과 무한한 그 활용방안의 기본적 요소를 찾아보려 하였고, 3장에서는 인간의 지각에 의한 빛의 활성화를 설명하면서 지각 감각을 통해 공간을 고찰해보고 색, 재료, 현상으로 인한 지각의 변화와 이러한 지각과 물질로 인해 일어날 수 있는 공간의 다양성에 대해 설명하고자 하였다. 4장에서는 위에서 언급되어진 빛의 특성을 지각적 관점에서 바라보고 방법론적 의미론적 연출에 있어서 현대 일본 실내공간의 연출 사례를 들고 분석하였으며 5장에서는 결론을 도출하여 지각적 측면에서 본 다양한 공간의 무한한 기능성과 확장성을 요약 제시할 것이며, 마지막으로 6장에서는 자연채광의 연출을 통한 공간의 디자인 프로젝트를 진행시킬 것이다. This research deals with the issue of phenomenal perception based on the pre-theory. The perception of phenomenon, which is distinguished from that of an object means the changed and revealed perception in space and time. Thus, in this paper, the perception of light phenomenon was investigated, and space composition modes were explored through the utilization of phenomenal percep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criticize seeing interior space as a visual object and recover a material and sensible aspect. This paper targeted Japanese modern construction space for the above purpose. The reason why Japan was targeted is because it is adjacent in terms of geography, and Korea and Japan possessed common culture from the ancient times. Also, the relations between humans and nature were set by Taoism. Thus, Japan was very similar in the cultural base, and the use of light in the interior space was more activated than in Korea. Thus, the attitude on the perceptional phenomenon innated in the modern interior space by considering that Japan belongs to the Orient along with Korea was examined. Also, Japanese modern architects since the 1980s and their attitude expressed in the interior space in their works were investigated. To do so, the correlations between factors of oriental light and traditional image shown in the architecture of many architects were researched. By systematically analyzing and arranging the perceptional utilization of phenomenon of light shown in the Japanese modern architectural space, the possibility of experiencing interior space through phenomenal medium was presented. With regard to the presentation of such cases, the colors, modes, materials and cases from the perspective of perception were presented through the analyses of the spatial factor and light, which are shown in the modern architectural space. In the case of Japan where there were no foreign invasions, we can discover many cases that were studied and succeeded by architects with traditional factors, and thus recreated in the modern architecture. The modernization of the architectural language drawn in the traditional architectural space of Japan can be a case that mixed and harmonized the traditional and modern senses of Japan. The feature that Japan is a marine nation completely surrounded by sea enabled Japan to accept foreign civilization actively. Likewise, Japan has created the balanced and modern Japanese culture between globalization and succession of tradition by realizing famous Western architects' works within Japan in the modern age. Thus, the impacts induced the active use of light in space, and therefore, we can see architects and interior designers have been greatly interested in the presentation and methodology of light in their works as well as the realization. In terms of the creative use and methodology of its presentation, we can discover effective cases. Accordingly, the features and types of light presentation were investigated through residential, commercial and cultural facilities, which interpreted the light presenting techniques or their meaning by cases. For the purpose mentioned above, this research dealt with light presenting methods and techniques shown in the overall architectural flow from the ancient times to modern architecture in Japan. Also,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 factors were included in the category. However, the research regarding quantitative light other than the research on artificial source of light was not conducted in this paper, which identified the light of nature, in other words, natural light, as true architectural light. This research consisted of 6 Chapters, and the detailed composition is as follows: In Chapter 1, the background, purpose and method of the research were explained. In Chapter 2, Significance and features, which had been expressed and tried to express in the contemporary times for recognition of overall themes, as well as the basic factors of the needs and unlimited utilization of light through interpretation of the interior space by light were pursued. In Chapter 3, space was studied through sense perception, explaining the utilization of light through human's perception, and the change of perception, arising from the phenomena of colors, materials and phenomena, and the spatial diversity which can be generated from such perception and materials were explained. In Chapter 4, the features of light mentioned above was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perception, and the cases of presentation in the Japanese interior space in terms of presentation of methods and means were analyzed. In Chapter 5, unlimited possibility and extensionability in the diverse space viewed from the perceptional aspect were summarized through' conclusion drawing. Finally, spatial design project was conducted through the presentation of natural lighting.

      • 현대 실내공간에 나타난 공간적 가구의 특성에 관한 연구

        김현범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59

        실내공간은 무한하고 공허한 공간으로부터 그것을 에워싸고 규정하는 각각의 요소들에 의해 한정된 공간이 된다. 이는 벽, 바닥, 천장, 이라는 물리적 요소로 나타나고, 이렇게 구성된 공간에 가구를 놓음으로서 살아있는 공간으로의 존재적 가치를 지니게 된다. 그러나 공간과 가구의 명확한 조화를 찾기는 쉽지 않다. 이미 오래 전부터 공간과 가구의 관계의 조화를 위해 많은 노력이 시도되었다. 그러한 노력 속에서 나온 것이 공간적 가구라고 정의하고 연구를 시작하고자 한다. 즉, 가구가 공간 속에서 별개의 개체로 놓이는 것이 아니라, 건축과 상호작용하고 그로 인해 가구가 건축 속으로 들어가기도 하고, 건축이 가구가 되기도 하면서 가구가 공간구성의 연속선상에 있음을 말한다. 그리고 현대의 사회에서는 가구가 공간구성의 연속선상에서 더 확장되어 나타나는 경향 또한 보이고 있다. 건축으로 생겨난 일정한 형태의 공간을 가구가 이전과는 전혀 다른 형태의 공간으로 바꾸어 버리는 것이다. 이는 공간의 한 부분이 가구가 되는 예전의 공간적 가구의 모습에서 가구로 인해 공간이 형성되는 현대의 확장된 개념의 공간적 가구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현대의 사회에서는 각각 개념의 범위가 확장되어 나타나며, 하나로 통합된 모습의 경향이 두드러진다. 공간과 가구뿐만 아니라, 개념의 확장으로 인해 영화, 예술, 음악 등 서로 다른 각각의 영역에 대한 경계가 모호해지고 하나로 통합된 개념의 디자인들이 선보이고 있는 것이 지금 현대 사회의 모습이다. 이러한 개념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현대 실내공간에서 공간적 가구의 사례들을 통하여 그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실내공간을 창의적으로 해석하고, 공간적 가구를 통한 공간구성의 새로운 방식으로서의 발판을 마련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세부적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공간의 의미와 기능에 대해 알아보고, 공간과 가구의 관계에 의해 공간적 가구의 배경을 살펴본다. 다음으로 공간적 가구의 정의와 유형을 정리하여 실내 공간에서 공간적 가구의 모습을 근대와 현대로 나누어 그 의미와 변화를 알아본다. 이를 통해 현대 실내공간에서의 공간적 가구의 구축방식을 도출하여, 현대 실내공간의 공간적 가구의 특성을 제시한다. 이렇게 제시된 특성을 바탕으로 사례분석 및 프로젝트를 진행하여 결론을 도출하고자 한다. - 선행된 각장의 내용을 토대로 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간적 가구는 각각의 특성에 따라 여러 모습을 가지지만, 그 특성의 관계가 서로 상호관계에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공간적 가구로 공간 분절의 역할과 그에 따라 파생되는 형태성, 기능성, 공간성으로 보다 풍요롭고 정갈한 실내 구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러한 공간적 가구의 특성은 공간을 규정짓는 구축요소와의 결합에서 가장 명확하게 나타난다. 이는 공간적 가구가 수직, 수평적 요소와의 결합에서 나타나며, 이를 통한 확장으로 공간과 가구, 구축요소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각각의 영역이 하나로 통합되는 경향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경향은 현대 디자인에서 개념의 범위가 점차적으로 확장되어지고, 이로 인해 각각의 경계가 모호해지며, 의미가 중첩되어가는 경향과 매우 닮아 있다. 공간과 가구 또한 마찬가지로 각각 다른 개체가 아닌 하나의 통합된 개체로서 나타나고 있으며, 이것이 공간적 가구의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듯 공간적 가구는 가구가 공간 구성에서 설치되거나 놓여지는 것이 아닌 건축과의 긴밀한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건축의 일부로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공간적 구조물과 하나가 된, 건축화된 가구인 공간적 가구는 구축요소와의 결합으로 실내의 형태를 부여하며, 이동식 가구와는 달리 공간구성의 또 다른 방식으로 행해지는 의미 있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실내공간에서의 공간적 가구는 다양한 이점을 가지고 공간을 살아있는 공간으로 만들어준다. 이는 사례분석을 통해 진행한 프로젝트에서도 확인 할 수 있었다. 즉, 공간적 가구의 사용은 실내를 구성함에 있어 좀 더 적극적인 방식이 될 수 있는 것이다. 건축과 공간, 공간과 가구는 별개의 개체라기보다는 좀 더 긴밀하게 하나의 통합된 개체로서 디자인에서의 연계를 고려해야 한다는 생각이 디자이너들에게 인지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본 연구의 현대 실내공간에 나타난 공간적 가구의 특성에 의하여 좀 더 명확하고 중요한 문제로서 대두되었다. 또한 공간적 가구를 통해서 현대 실내공간과 가구의 일반적 관계에서 생겨나는 문제점과 그 차이를 해결할 방향을 모색하는 디딤돌이 될 것이다. 이 디딤돌을 발판 삼아 현대의 디자인이 각각 그 경계의 모호성을 가지고 확장된 개념으로 전 분야를 넘나들 듯이, 현대 실내공간에 나타난 공간적 가구의 특성을 통해 건축, 예술, 디자인 등의 전 분야를 넘나드는 새롭고 확장된 개념의 창의적 실내공간의 구성방식으로서 공간적 가구가 사용되는 발판이 마련되었으면 한다. Interiors are turning from unlimited, vacant spaces to restricted spaces with individual factors surrounding and stipulating them. This appears as physical factors called walls, floors, and ceilings; and it comes to bear existential value as a living space by placing furniture in a space composed this way. However, it is not easy finding a clear harmony between space and furniture. Since from long ago, many efforts have already been tried to achieve harmon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e and furniture. The research is intended to start by defining spatial furniture as the result of such efforts. That is, it is not that furniture is placed as a separate individual within space, but that it interacts with construction and accordingly, it is located on the continual spatial organization line-furniture goes into construction or construction becomes furniture. Moreover, in modern society, a tendency of furniture expanding and appearing more in the continual spatial organization line is also being revealed. It is that furniture changes the constructed, set space into another space completely different from its previous state. It can be said it is more spatial furniture with expanded concepts of modernity where space is formed by furniture rather than the previous state of spatial furniture where a part of space becomes furniture. Like the above, in modern society, the ranges of individual concepts are appearing expanded while tendencies of an image united as one are remarkable. It is the state of present modern society that boundaries regarding individually differing fields such as movie, arts, and music are becoming vague, and designs united with concepts as one are represented due to not only space and furniture but also the expansion of their concepts. Based on such concepts, this research intends to examine the specialties through examples of spatial furniture in modern interior spaces; interpret interior spaces creatively accordingly; and provide the scaffold for space organization as a new method through spatial furniture. -The following is the detailed results of the research. First, the meaning and function of space are investigated, then the background of spatial furniture is viewed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e and furniture. Next, by organizing the definition and patterns of spatial furniture, aspects of spatial furniture in interior spaces are divided into recent and modern times; examining the meaning and change. Through this, the specialties of spatial furniture in modern interior space are suggested by deducing the building methods of special furniture in modern interior spaces. An extraction of the conclusion is planned after processing case analyses and projects based on specialties suggested as such. -The results of the research founded on the contents of past individual chapters are as follows. Even though spatial furniture has various features that depend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it can be known that the relationships among them are formed mutually. That is, a more affluent and neat interior arrangement is possible through the role of spatial furniture as space segments as well as the form, function, and spatial roles derived from them. Moreover, the specialties of such spatial furniture manifest themselves the clearest in harmony with building factors which stipulate space. This is something that shows the tendency of spatial furniture appearing in the combination of vertical/horizontal factors; the boundaries of space, furniture, and building factors becoming vague through the expansion of this; and respective areas being united as one. Such tendency is very similar to tendencies in modern design of the gradual expansion of the range of concepts, boundaries of individuals becoming vague through it, and the overlapping of meaning. Also, space and furniture are appearing as individuals united as one, not respectively different individuals, and this could be said to be the specialty of spatial furniture. As noted above, one can notice that spatial furniture functions as a part of construction, formed within a tight relationship with construction, and not as furniture being installed or placed while organizing space. Spatial furniture, which became one and/or constructionalized with spatial structures, imposes the pattern of interior spaces through harmony with building factors and plays a meaningful role that is carried out as another method of spatial organization differing from movable furniture. As such, spatial furniture in interior spaces with diverse advantages transforms space into a living space. This was confirmed in the project that was processed through case analysis. Namely, the use of spatial furniture can be a more active method in organizing the interior. Designers must recognize the thought that connections in design between construction & space and space & furniture should be considered as individuals more closely united as one, rather than as separate individuals. It grew to be a more accurate and important issue through the specialties of spatial furniture seen in the modern interior spaces of this research. Also, it will become the stepping-stone for searching out a way to resolve the problems and the differences emerging from the common relationship between modern interior space and furniture through spatial furniture. By considering this stepping-stone as a scaffold, there is wish for a scaffold where spatial furniture is utilized to be provided as an organizational method of creative interior space with new and expanded concepts which enter all areas such as construction, art, and design through specialties of spatial furniture appearing in modern interior spaces; just as modern design frequents all areas as an expanded concept with the vagueness of the individual boundaries.

      • 정보화 시대의 공간 이미지화에 관한 연구 : 커뮤니티센터의 통합정보공간을 중심으로

        송은아 建國大學校 2001 국내석사

        RANK : 249759

        건축은 그 시대정신의 용기이며, 기술정신의 반영이다. 현대는 자신이 소유하는 지식, 즉 정보의 양과 질에 의해 통제 할 수 있는 부와 권력의 크기가 결정되는 정보화사회이다. 쏟아지는 정보 속에서 이제 우리는 정보의 양이 아닌 그 질에 가치를 두게 되었고, 이에 따라 가치 기준도 기능이 아닌 내면의 개념에 주목하게 되는 시대를 살고 있다. 그것은 시대적 관심이 물질과 기능의 가치에서 인간의 정신과 마음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관심으로 전환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가치체계 안에서 오늘날의 건축과 도시공간은 전자적 매개환경으로서의 역할에 관심이 모여지고 있다. 오늘날 우리는 공간의 기능적이고 합리적인 접근을 통한 절대주의의 획일적인 공간구조가 야기한 척박함의 폐해를 이미 경험해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능적이고 이성적인 공간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한계를 극복하고, 다양한 공간체험을 가능케 하고자 공간의 이미지화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인간의 활동이 인간을 둘러싼 환경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짐을 전제로 공간을 지각하는 개인의 체험을 이해하고, 인간의 시지각을 중심으로 하여 전개되고 있는 것에 주목하면서 시대성을 담은 이미지로 표현되는 공간을 풀어 나가고자 한다. 현대의 공간은 새롭게 인식된 개별화된 인간을 중심으로 그들의 심리적 감성적인 욕구를 충족시킴으로써 보다 풍요롭고 의미 있는 생활 문화를 구현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를 위해서는 공간에서의 효용이나 가치를 생활의 차원, 문화의 차원, 사회의 차원에서 제고하고 사용자의 내면 세계를 어떠한 지각 가능한 의미와 상징으로 공간에 표출하는 것이 중요한 일이다. 현대사회에서의 공간에 대한 인식은 공간의 주체인 인간의 생활과 환경 심리적인 욕구 등과 밀접하게 교감하면서 공간의 내면적인 가치가 어떠한 유추적인 의미체 즉, 상징적인 이미지로 표출됨을 의미한다. 오늘의 시대적인 정신, 사회적인 기능, 삶의 양식, 개인적인 취향 등이 어떠한 양상으로 잘 투영되는가가 공간의 질을 결정한다고도 할 수 있다. 이에 오늘날의 가치체계가 반영된 공간을 정리하면, 현대의 비물질화 경향으로 대두된 이미지화 건축을 의미한다. 우리의 현실세계는 건축가가 도면 위에 긋는 직선 몇 가닥에 의해 질서 정연한 유토피아로 결코 탈바꿈 할 수 없다는 현실적인 인식에 바탕을 둔 상식적인 리얼리티관이 새로운 예술의 기준으로 추구되어오면서, 공간 디자인은 후기 산업사회의 의미를 건축적으로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하는 고난도의 리얼리즘 게임의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산업주의가 집착하던 '쓸모'에 대한 철학적 고찰과 재해석에 의해 이제는 디자인에 '이미지'요소를 도입하게 되었고, 이것은 이용자의 감성에 부합하여 또 다른 차원에서의 아름다움을 얻어내고 있다. 초표피에서 일어나는 형태와 이미지의 통합에 특히 주목하고 형태와 이미지가 통합적으로 나타나는 비물질화 경향의 건축은 고정된 물질성과 구축성에 근거하기보다는 정보와 환경에 대한 유기체적 감응, 유동적인 변형, 비구축적 경량성, 구축세계의 해체, 이미지의 집적과 새로운 소통체계 등을 추구함을 의미한다. 실내디자인에 있어서 공간에 대한 탐구는 시간의 경험 속에서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본질적 구조와 패턴에 근거해서 재건되어야 한다. 건축은 기존의 공간적 질서만을 부각시키는 공간개념이 아닌 인간의 주체적 인식과 정서가 연관되는 건축적 체험의 장으로서 표현하고자 한다. 이렇듯 이미지로서의 건축을 시각적 정보로서의 디자인 요소를 유추하기 위한 직관적이고 세분화된 디자인 프로세스를 개발한다. 본 연구는 실내공간을 구성하는 물적(物的) 요소를 상대주의에 입각하여 공간의 다양성을 제안하고 공간의 이미지화를 허용함으로 근대적 구축공간의 '시간-공간'개념에서 '시간-정보-공간'개념으로서의 전환을 매개하고자 한다. 이러한 디자인을 제안한다면 物 자체의 기능적이고 획일적인 개념에서 해방되어 실내환경의 미적 가치를 상승시키고 공간의 고부가가치를 형성할 수 있다는 가설을 전제로 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목적으로 진행시켜 나가려 한다. ■ 주제인식을 위한 사상적 배경의 분석을 위해 정보화 사회의 시대적 흐름 속에서 비롯된 사회 문화 현상에 주목하고, 그런 흐름 가운데 우리의 과학의 발전과 함께 하는 뉴패러다임 이론을 파악하고, 이로 인한 사회변화와 상대적 진리관을 정의하는 한편, 상대적 가치체계가 내포하고 있는 비물질성을 부각시킴으로서 앞으로의 실내디자인의 지향점을 모색한다. ■ 새롭게 부각되어지는 구축공간의 리얼리티의 문제, 개념과 물질, 관념과 경험의 의미를 구축공간의 이미지화로 규정하며 시대적 흐름과 근대건축에서의 한계와 문제점을 파악함으로써 연구의 타당성과 객관성을 확보하므로 디자인 방법론에 대한 구체적인 시각을 제시한다. ■ 이미지화 된 공간에 의해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체계화함으로써 인간환경의 미적 가치에 대한 예술적 전환의 관계를 규명하고 디자인 방법의 기본적인 방향을 설정한다. ■ 이미지를 실내공간에 접목시킴으로써 실내 공간을 하나의 감성체계로 인식하고 인간과 공간의 독특한 커뮤니케이션 미디어(Communication Media)로서 다양하고 풍부한 감성의 교감이 이루어지는 공간 제시방법을 모색한다. ■ 사례 연구를 통한 디자인 프로그래밍 과정에서는 이러한 이론적 배경과 디자인 방법론을 통합하여 수용하여 본 연구의 디자인 적용과정 프로그램과 디자인 평가 프로그램을 체계화함으로써 실내환경 디자인의 문제해결 방안을 제시한다. ■ 사례연구를 통해 실제적으로 공간디자인에 적용함으로써 상대주의 접근방법을 통한 이미지 공간디자인의 타당성을 증명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대주의에 입각하여 이미지 공간디자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공간을 이미지화 시킴으로서 기존의 건축적인 구조체계와 비가시적 기능체계를 상쇄시키는 미적 차원의 가치를 공간 전체에 반영시킬 수 있다. 2. 현대 공간디자인의 한 경향과 시대적 흐름을 반영한 공간을, 비물질화 경향 속에서 공간의 이미지화로 해석하고 이에 적극적인 탐구와 접근을 통해 실내 환경에 적용함으로써 독창성과 다양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실내공간에 있어서 상대주의 공간관을 통해 앞으로의 실내환경이 지각체험 공간으로의 다양성을 제시함에 중요한 의의를 가지며, 디지털의 테크놀러지와 정보혁명이 몰고 온 현대건축의 새로운 현상, 비물질화 된 건축의 이미지화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현대건축의 시간과 공간의 차원에서 이러한 공간이 시·공간에 구속된 고립된 공간이 인간의 감성을 끌어냄으로써 인간간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상호작용을 고무할 수 있는 열린 공간으로 존재할 수 있는 지를 입증함으로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고자 한다. o"Architecture" is a vessel to put in the spirit of the times and the reflection of the artful mind. The contemporary society is the information society that can decide the size of wealth and power how much a man has quantity and quality of the information. But in the times of over flowing information, we come to value the quality of information more than capacity. With that in mind, the standards of valuation have being changed into the internal conception. So to speak, our interest has changed from the valuation of material and function into the valuation of human spirit and mind. So today's architecture and city is close attention to function of electromagnetic intermediation's environment. Already, we have been experienced with the desolation caused by standardized space system of absolutism through functional and rational approaches. And this study suggests image of a space that is possible to provide various spaces. Also, on the assumption that human's activity is accomplished from mutual effect between environment and human, we will understand human experience and dose the space to express the spirit of the times. Contemporary space's purpose is to embody the more affluent cultural life for an individual person with satisfying mental desire. And it is important for us to express the symbol and meaning in space about user's internal life that feel effect and worth from life's, cultural and social phase. In the Contemporary society, recognition of space expresses symbolic image, exactly analogical with sympathizing closely human life and the desire of environmental psychology as the subject of space. To reflect the spirit of today, the function of society, life style and a private taste can determinate the quality of space. As I propose space to reflect the spirit of today, It means image space that raises its head from immaterial trend in modern time. Because our realistic world cannot be changed utopia in order by an architect's a few line on the plan, space design become a high realism game to analyze the last industrial society in architecture point of view. Owing to philosophical consider and re-definition about usability that industrialism has changed to, in imaginable factor is introduced to the design. So it has been obtaining different beauty. To be attracted to form and image that come from the first epidermis. Its immaterial architecture means to pursuit anew understanding, image accumulation, the deconstruction of the construct world, the lightweight of non-construction, transformation to be liquid and organic inspiration in the information and environment than a base on construction and the formal material object. From in the interior design, the study of space has to reconstructed with being based on an essential structure and a pattern. Architecture has to express a fair from experience on with human subjective recognition and emotion. The purpose is to develop the design process of intuition and subdivision for the design factor of visual information from the image architecture. This study proposes the variety of space by the principle of relativity on material factor for interior environment, and will mediate the change from 'time-space' concept to 'time-information-space' concept.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by relativity is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pace is reflected in the aesthetic value that set off the construction and the invisible functional system by the image of the space. 2. What reflects the spirit of this time and today's architecture design concept is the image of the space from the immaterial trend. So the problem of the originality and variety is solved by active researches and approaches. This study means to propose the space of the experiential perception by the point of relativity view, and deals with the image of the immaterial space , a new phenomenon from the digital technology and the revolution of information. Also,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demonstrates able to open the space of mutual action by the communication of each other, and to bring out the human emotion from the isolated space in time & space .

      • 도시환경 데이터구축이론을 적용한 실내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김은배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743

        본 논문은 도시환경 데이터구축이론을 적용한 실내 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로서 도시환경 데이터구축이 실내 공간 구성 단계에서 중요한 요소로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에 기초한 연구이다. 즉, 현대건축에서 제시하는 도시환경적인 요소를 파악하고 데이터화된 환경적 요소들을 실내 공간 구축에 적용하는 방법적인 문제를 연구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근대 도시환경 구축의 사례와 디자인의 계보를 출발점으로 삼고 현대에서 이러한 데이터 형성을 바탕으로 디자인을 전개하는 건축가인 MVRDV, Ben Van Berkel, Kazuyo Sejima의 작품을 통해 분석 하였다. 이 연구는 도시환경 데이터 구축을 바탕으로 실질적이고 합리적인 프로그램을 형성함으로서 실내공간구성에 있어서 의미론적 형성과 형태론적 디자인적 형성에 더욱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방안을 제시 해줄 수 있다는 논리에 근거하고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의 형성 표현방법으로서 사용되어지는 다이어그램은 결과물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전달하는 재현적 도구로 사용되었다. 현실의 다양한 정보를 최대한 수용하여 현실로 전환하는 매체로 재정의 하고 현실이 담고 있는 무수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구축하여 디자인적 개념이나 프로그램적 개념을 증식하는 매체로서 사용되어 지고 있다. 실내 공간 디자인에서 디자인적 매체이자 데이터구축에서 나온 프로그램의 표현방법으로서 다이어그램은 통합적이고 합리적인 과정을 생산하고 있다. 통합적 과정이란 디자인 개념과 프로그램, 구조, 환경, 동선 등 기존의 작업과정에서 분리되었던 요소들을 통합적으로 다루려고 하는 과정이며, 이 과정에서 다이어그램은 주로 분리되었던 부분들을 압축적으로 상호 관계 맺도록 하는 도구로서 사용되고 있다. 합리적인 과정이란 현실의 다양한 요구나 조건을 모두 충족시키기 위해 디자인을 합리적으로 진행하는 과정으로, 이 과정에서 다이어그램은 다양한 정보들의 전체 구조상에서의 위상을 제공하고 디자인 각 단계를 상호 관계 맺도록 하는 도구로서 사용되고 있다. 다이어그램과 같은 도구들은 디자인과정을 유동적으로 개방시켜 새로운 유형의 디자인을 제안하도록 하며 프로세스 및 결과물을 디자인 과정과 동일하게 제공하여 데이터 베이스구축에 의한 프로그램 형성에서 합리적이며 현실적인 디자인을 만족시킬 수 있게 한다. 현대 건축가들 중에서 이러한 과정에 의한 디자인을 하는 건축가들로서 MVRDV, Ben Van Berkel, Kazuyo Sejima의 작업에 주목하여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들의 작품을 통해 건축에 나타난 결과적인 현상보다도 프로그램이 건축가에 의해 해석되고 건축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건축으로 실제화 되는 구체적인 과정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MVRDV는 통계적 데이터와 그것을 시각화 해놓은 다이어그램을, 그리고 Ben Van Berkel은 프로그램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과 환경에 의해 변화하는 다이어그램 등을 실제화 하는 방법으로 사용하고 있다. Kazuyo Sejima는 이러한 프로그램과 환경에서 오는 정보들을 논리적이면서도 감성적인 전개로써 현실화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환경적 데이터구축이론이 적용된 디자인 형성에서 프로그램과 그의 표현방식으로서 그리고 디자인적 형성 방법으로서의 다이어그램은 현대의 도시환경과 깊은 연관성을 가지며 다양한 공간디자인을 만들 수 있는 도구로 판명되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실내공간디자인에 있어서 도시환경 데이터구축은 디자인의 출발과 과정, 결론을 만들어내는 또 다른 디자인 표현방법으로 디자인의 합리성을 추구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Making a premise that urban environment data construction as important factor considerably affects the step of interior space composition, this dissertation, as a study on the interior space design to which the theory of urban environment data construction is applied, grasps the urban environmental factors presented in modern architecture, focuses on examining methodological problems which apply environmental factors in database to construct interior space, sets the case of constructing modern urban environment and genealogy of design as starting point and analyzes the works of architects based on this data formation in modern times such as MVRDV, Ben Van Berkel, Kazuyo Sejima, et al. In constructing interior space, the more concrete and realistic method can be presented for semantic formation as well as morphological and design formation by establishing practical and rational program on the basis of urban environment data construction. The diagram used to express this formation of program was used as reproductive tool to visually transmit the information on results. Accommodating various information in the actuality to the maximum so as to define it as medium that is converted into actuality and systematically constructing countless information stored in the actuality, it is used as medium that proliferates the concept of design or program. In interior space design, diagram as design medium and expressional method of program derived from data construction was producing consolidating and rational process. Consolidating process deals with the factors separated from the conventional work process such as design concept, program, structure, environment, moving line, etc. In this process, diagram was mainly used as a tool to compressively interconnect the separated parts. Rational process rationally progresses design to satisfy all of various demand or condition in the actuality. In this process, diagram was used as a tool that provided phase for overall structure of various information and interconnected each step of design. Tools like diagram attempts to propose design in new type by flexibly opening design process and equivalently provides process and results like design process so as to satisfy the rational and realistic design in forming program by constructing database. Among the modern architects, MVRDV, Ben Van Berkel and Kazuyo Sejima worked in this process. Viewing the concrete process in which program is construed by architects and materialized to architecture in the process of being accommodated by architecture rather than the resulting phenomenon shown in the architecture, for materializing method, MVRDV used statistic data and diagram that visualized it and Ben Van Berkel, diagram that indicated the image of program and diagram that was altered by environment. In conclusion, in forming design to which the theory of environmental data is applied, diagram, as program and its expressional method as well as method to form design, made various space design available, being closely associated with modern urban environment. Through this research, it was found that data construction of urban environment as a method to realize the start, process and conclusion of design, as stated above, created another design expressional method and pursued the rationality of design in interior space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