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변혁모델로서 기독교 문화예술텍스트 해석 : 기독교미학을 중심으로

        박성관 장로회신학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33407

        이 논문의 제목은 ‘변혁모델로서 기독교 문화예술 텍스트 해석에 관한 연구’다. 이 글은 변혁모델을 이용한 기독교미학과 문화예술 텍스트의 해석에 관한 연구다. 기독교미학은 인간 존재(존재미학), 사회적 실재(부정미학), 하나님의 존재(신학적 미학)와 깊은 관련을 띠고 있다. 이것은 두 가지를 측면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하나는 신앙 감각을 통한 미 인식이요, 다른 하나는 문화예술 텍스트 해석에 관한 것이다. 다음으로 변혁모델을 사용하여 예술과 사회적 실재, 미와 사회문화적 현실, 복음과 문화, 미적 가치와 윤리적 가치 사이의 관계를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미 인식에 이어 다음으로 예술텍스트 해석의 문제로 넘어간다. 여기서 변혁모델의 요소로는 이미지와 상징, 거리두기와 전유가 있다. 끝으로 방법론은 변혁모델(이미지와 상징, 거리두기와 전유)을 통한 예술작품 해석에 관한 모델이다. 첫째로 연구의 기본 개념을 다루고 나서, 다음으로 초기 기독교문화예술 속에 나타난 성상 숭배문제와 성상 파괴논쟁을 통한 기독교 이미지 논쟁에 관한 연구다. 이러한 이미지 논쟁이 기독교미학과 만나는 출발점이다. 둘째로 존재미학과 부정미학과 신학적 미학을 중심으로 기독교미학을 개념화 하였다. 여기서 미(美)에는 하나님의 미가 드러나고 있는 데, 하나님의 미는 계시된 하나님의 영광이다. 여기서 신학적 미학의 선구적인 역할을 한 이는 칼 바르트와 폰 발타살이다. 이들이 말하는 신학적 미학은 삼위일체 하나님의 영광의 현현이다. 즉 하나님의 영광과 거룩함의 미다. 하나님의 미는 하나님의 영광의 해명(해석)이다. 신적 드라마의 핵심은 예수 그리스도다. 예수는 하나님의 이미지요 성상이다. 셋째로 변혁모델로서 문화예술해석 방법은 신학적 전제조건, 중층기술, 세 차원 등을 들 수 있다. 넷째로 공공영역에서 미적 실천을 다루고 있다. 문화해석 공동체로서 교회는 세상과 소통을 위한 성상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hristian Aesthetics and interpretation of Cultural Arts Text. Christian Aesthetics is closely related to human-being(Being Aesthetics), social reality(Negative Aesthetics), and being of God(Theological Aesthetics). The study is mainly focused on two issues: knowing beauty through the sense of faith, and interpreting Cultural Arts Text. Finally, the study aims to deeply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rts and social reality using transformation model. T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beauty and socio-cultural reality, between gospel and culture, and between aesthetic value and ethical value. etc. And then there comes a question of 'how to interpret the art-text?' The elements of model are the image and symbol.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propose a model for art-text interpretation through image and symbol, distanciation and appropriation. Part Ⅰ explores basic concepts for this research. Namely They are factors as transformation model; the image and symbol. The argument on the early Christian culture and arts is image, the religious and political power of images. Namely, this argument i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conophilo and Iconoclastic Controversy. The Iconoclastic Controversy was a moment in the history of both Christianity and Western art. Therefore, Iconoclasm is not necessarily anti-art. It is a reaction to and a rejection of certain images and symbols associated with ideologies, power, values and meaning. This is the point where Christian theology and aesthetics meet, more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Christianity and the arts; the Christian Aesthetics. Part Ⅱ examines Christian Aesthetics with focus on ontological aesthetics, negative aesthetics, and theological aesthetics. Christian theological aesthetics is to ponder on the beauty that saves the world from the perspective of faith. We believe that such beauty is an attribute of God, or an aspect of God's revealed glory. The beauty saves the world. Arguments of Karl Barth and Hans Urs von Balthasar shed a light in this research, illuminating the recovery of theological aesthetics in the twentieth century. The factor that links creation and eschatology via the cross is also found in Barth and Balthasar. Being transformed and made transparent in Christ. Theological aesthetics is about the self-disclosure of the glory(doxa) of God‘s trinity. The Bible speaks of the beauty of God. God's beauty is the beauty of his glory and holiness. Barth also argues that God's beauty is an explanation(revelation) of God's glory. That is the core of Christian Aesthetics in Balthalsar and John W. de Gruchy. "Jesus is the Word, the Image, the Expression, and the exegesis of God... He is what he expresses - namely, God - but he is not whom he expresses- namely, the Father. This incomparable paradox stands as the fountainhead of the Christian aesthetics, and therefore of all aesthetics!" "The drama of the incarnation is the supreme work of art, the art of the transformation of all things. In Christ, all the aesthetic categories become categories of a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faith, Jesus is the icon, the 'image of God', and 'radiance of God's glory'." Part Ⅲ provides ways of interpretation of cultural arts texts using transformation model. How should Christians interpret culture and the art texts? To understand of culture and the art text, hermeneutics of cultural-arts should be adopted in the study. In particular, four doctrines have had strong impacts on theology of aesthetics: the incarnation, general revelation, common grace, and the imago Dei. And most importantly, a common theme of pneumatology, that is, the doctrine of the Holy Spirit, penetrate all these four doctrines. The proposal advocates christian cultural-arts text on three levels in cultural hermeneutics. In addition, two distinct three-dimensional frameworks are adopted, which is so-called "general hermeneutic", and biblical-theological framework of creation-fall-redemption, which is so-called "special hermeneutic" of culture-arts. Part Ⅳ deals with aesthetics praxis in the public square. The church as community of interpreters is an agency of practical-theological aesthetics. The church, as a community agency, is to be a community of interpreters. The church is not only a building but a community of people who believe, worship and witness. The church is also a sanctuary and the public square. In this sense, the church building is an icon in the world.

      • 한국 전통 종교문화 속의 구원관과 치유관에 대한 기독교 윤리학적 비교연구 : 죽음 이해와 영생 추구를 중심으로

        김창모 장로회신학대학교 2009 국내박사

        RANK : 233391

        Christianity has developed constantly in the world culture speaking general truth. But due to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other religions, Korean Christianity was misunderstood as a religion of the western world as it enlarged the disposition of exclusivity. Conflicts between religions start from the lack of understanding and tolerance. Therefore, training to learn how to face other religions is very necessary. We, as Christians in Korea, are living with atheists, Confucianists, and Buddhists. We must accept this fact and understand the differences to live wisely among these groups. Also, in the multi religious milieu, it is required to learn about other religions with humility. Therefore, from now, we must not only raise our voices of Christianity but understanding traditional religion in Korean culture to find the point of contact through which we can make an approach for dialogue and evangelism.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look at the key points shown through the view points on salvation, healing, and the world views focused on the cognition of death and eternal life along with characteristics of each religion. Through this, analysis of the effect caused by these moral agents will be made, along with the understanding, meaning of goodness, morality and values of each religion. Also, how these factors are brought out through their actual lives will be shown in this thesis. And observations of the possibility of creative wholistic approach will be made by looking at the good and bad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n the aspects of 'elective affinity,' which is stated by Max Weber. Chapter II surveys the ethical understanding of the view points on salvation and healing. Focusing on the Bible and Christian theology, this chapter makes contextual and co-relational approach to Christianity and culture. Before understanding the view points of human beings and death, first we must think about the concept of creation, image of God and sinners. The view point of death for the Jude and the Old Testament is ending of life on earth. Also, it is hard for them to have the hope of resurrection, but the fact that Elijah and Enoch were raised to the sky without facing death is evidential. For Christians and the New Testament, death is a process of the soul being raised to heaven. Confession of faith of Jesus Christ is extremely important in obtaining eternal life. Life can be distinguished into bios, psych and zoe, but we must strife for zoe which is the link to eternal life. Chapter III tries to grasp the view points on salvation and healing in Korean traditional religious belief of our existential context. First, I will survey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shaman when looking into the view points of salvation and healing of shamanism.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priestly' shaman and 'charismatic' shaman. This act of mysticism can be a dangerous approach to people who are living in a world of science and technology. Next, there is a concept of the spirits and the underworld based upon oriental traditional dual forces when trying to understand faith and soul in terms of shamanism. According to this, after death, the soul either goes to the underworld or it comes back to the real world and starts a new life. The future life and the notion of the underworld idea were influenced much by Buddhism. Looking at the idea of salvation and healing, shamanism feared soul. Therefore, exorcism was acted to vent the spirit’s spite and served many gods. But, shamanism, by practicing invocation techniques, has a great chance of falling into materialistic undulation faith, realistic and materialistic pursuit. Therefore, harmonizing human and nature is something we should consider adapting, but overcome any idea which leaned too much toward actual idea of salvation and healing, also careful consideration should be made toward false belief and future life. Secondly, I will survey the traditional religious belief of Buddhism. Buddhism was first founded in India. It later developed into Hinayana Buddhism and Mahayana Buddhism. In Korean society, Zen Buddhism is exerting a great influence on Mahayana Buddhism. The sutra of the lotus contains the story of the prodigal son which gets our attention, but the creation and the Christ-based faith is clearly different. Intuitive realization of Buddhism shows a great world of cognition. Next, there is YonGiBub(Truth of the Cause, 緣起法), SamBubInSul(Three Characteristcs, or Dharma Seals, 三法印說), SaSungJe(Four Noble Truths, 四聖諦), PalJungDo(Eightfold Path, 八正道) related to the understanding of death in Buddhism. Especially, YonGiBub(緣起法) combines with transmigrationism and is ironically placed with state of complete absence. The weak point to this is that eschatology and idea of creation is vague and unclear. But the problem is that materialistic underworld cognition and transmigration is still influencing many Christians in Korea. Even in primitive Buddhism based upon Sakyamuni’s teaching which focuses on self salvation, a relapse Buddhist goodness of mercy is continually practiced today. But because of over populated Buddha, polytheistic blending is becoming a problem in the aspect of Buddhist view points on salvation and healing. Also, the existence of strict hierarchy among Buddha, religious leaders, men and women, not being able to present the time of salvation nor the end of human race, and the fact that efforts toward salvation emphasizes Karma, which is focused too much on devotion and religious commandments. The third religion we should look at in the Korean traditional religious culture is Taoism. Taoism in Korea has not developed as religious teachings, but it is only hidden within other religions. Lao-tzu and Zhuang zi’s teaching of Tao is based upon the idea that Tao itself is godly. Also, Lao-tzu pursues the idea that human being should assimilate to the nature untouched. Zhuang zi pursues the fact that human should unify with the nature. This is destroying the uniqueness of humans who are created according to God’s image. Lao-tzu later becomes a godly being TaeSangNoKun(太上老君) in Taoism and Zhuang zi becomes NamWhaJinIn(南華眞人). Even though the highest god in Taoism is introduced as the Ok-Whang SangJez(King of Heaven, 玉皇上帝) and the constellation such as the polar star, SuWangMo(西王母), and Mago fairy(麻姑仙女) is also being worshipped. In Koguryo wall paintings, we can see the age-long influence of Taoism. In PoBakJa((抱朴子), the sacred book of Taoism, plain dietary method is introduced and life medicine is used to overcome death. Taoism pursues a Utopian society which is the theory of divination(Feng Shui, 風水地理說). They also had Taoistic practices to revitalize energy. Not only that, Taoism had the four Pillars and Eight Characters(四柱八字) to tell fortunes. There are some good points in adapting the idea of becoming one with nature, but there are many problems to the behavior shown in the times of crises in Korea. Also, developing excessive medications caused bad influence in building a good society. The theory of divination had badly influenced the efficient usage of the small Korean peninsula.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m to adapt the idea of family cemetery or the church cemetery for a better solution of land distribution. The fourth religion to look at is Confucianism. Confucianism has influenced the outer parts of Korean lives the most. Confucianism is different from primitive Confucianism which emphasized treatise of human nature and ethical practice which was taught by Confucius and Mencius, Neo-Confucianism and emphasizing abstract ontology. Among these, Confucianism became the main current and this is called Sung Confucianism. In Confucianism, the Sung Confucianism which is spread in Goryeo times form the main current and there has been unpleasant times when they broke into different groups due to fighting over power. Also, when looking into the concept of spirits within the Confucianism idea of afterlife and death. Confucius himself was agnostic about spirits. He barely had any concept of the afterlife that his theory of death was nearly blank. Confucianism is found to be traditional but it is a religion that strongly emphasis reality and the real world. Instead Customary and religious ceremonies are emphasized for the societal order and is linked to complicated process and ancestor worship. Also, in Choson dynasty(1392-1910), Confucianism was able to educate their ideology through Sung Gyun Kwan in the center and schools in remote areas. Next, Confucianism tried to expand the ideology of the NaeSungWeWang(內聖外王). First, after fulfilling the mission for yourself as masters, they pursued the ruling of the heaven and the earth. The governing ideal of Chong Yag-yong(1762-1836), who wrote MongMinSimSo(Admonitions on Governing the People, 牧民心書) can be a good example of this. Chapter IV deals with an ethical dedication and responsible response between Christianity and Korean traditional religious culture in terms of elective affinity. Based upon Christianity and Korean traditional religious belief, Christian ethical decision and responsible responses are made by elective affinity. Here, we see many critical tasks. We should not only look at each religions phenomenon and look at the differences between Christianity, but also we must strive for ethical reformation. First, criticism can be made through analyzing the faith of Yi Young-do pastor, Emanuel Swedenborg, Sunda Singh who emphasized the mystic experience in the aspect of selective chemical attraction. Also, the religious experience of the primitive Buddhism was compared to the spirituality of monk named Thomas Merton and Eckhart who spoke of Christian mystic experience. In Taoism, the characteristic of religious mysticism was compared to the analysis of the church, sect and mysticism which was among the religious societal form sought by Troeltsch. The negative points in both Confucianism and Christianity, thought to be following traditional ways, hierarchy and formalism, should be overcome. This brought the idea to learn from apostle Paul who was self sufficient and truly aiming for the kingdom of God. Chapter V concludes this dissertation. From the Korean context, I hope more Christians will find various spirituality in different religions within Christian theology and Korean traditional religious culture. In that process, Korean Christians will find their own Christian theological identity and make responsible and ethical responses in terms of elective affinity. It is hoped to have true meaning when cooperation between religions is made in the field of universal ethics, that is, socal justice, respecting lives, peace, and unification process. I hope that further study of new religions, quasi-Christianity, and Muslims’ idea of salvation and healing will be made in the near future. There are more than 150,000 foreign workers from the 3rd world in Korea. Based upon this research, a more efficacious method for mission will be also employed for them. 기독교는 세계문화 속에서 보편적 진리를 주장하며 발전해왔다. 그러면서도 한국의 기독교는 다른 종교에 대한 몰이해로 말미암아 배타성 부각과 더불어 서구 중심적 종교로 잘못 인식되는 폐해를 가져왔다. 사실 종교 갈등이란 상대방에 대한 관용과 이해의 부족으로 인한 것으로 말미암는다. 따라서 상대방 종교에 대해 어떻게 대해야 할지를 스스로 미리 교육하고 훈련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우리는 이미 한국 땅에서 그리스도인으로서 무교(巫敎) 신자 및 불교·유교 신자 등과 함께 살고 있다(Sits im Leben)는 엄연한 현실을 인정하고 차이를 지혜롭게 살펴가며 공존해야 한다. 그리고 종교 다원적 상황에서 그리스도인으로서 한국 전통문화 속의 다른 종교를 깊이 아는 겸손한 자세가 요구된다고 생각한다. 즉 한국 기독교는 복음을 효율적으로 증거 하기 위해서라도 이제부터는 일방적인 포교가 아닌, 한국문화라는 큰 틀을 고려하면서 기독교와 한국 전통종교들의 상호 이해 및 지평융합 같은 접촉점의 가능성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대표적인 한국 전통 종교문화의 상황을 고려하면서 각 종교의 특징과 더불어 죽음 이해와 영생 추구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구원관과 치유관의 세계관이 보여주는 핵심을 살피려고 한다. 이것을 통해서 도덕적 행위자(moral agent)인 각 종교 신자들에게 끼친 영향을 고찰하여 각 종교의 윤리적 사고 형성과 선(善 good) 및 덕(德)의 가치관 등에 나타난 것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그런 것들이 다시 구체적으로 어떻게 개인의 외부적 행동과 삶의 행태를 나타내는데 결정적인 요소로 작용하는 지를 드러내보고자 한다. 그리고 기독교와 한국 전통 종교문화가 Max Weber 가 말한 “선택적 친화력(Elective Affinity)”을 매개로 볼 때 양자 관계의 부정적인 면과 긍정적인 면이 어떻게 나타나는 지를 함께 고찰하면서 창조적 통합으로서의 접근성과 가능성을 살피고자 한다. Chapter Ⅱ. 기독교의 규범(text)을 중심으로 본 죽음이해에 근거한 구원관과 치유관에 대한 윤리적 이해- 기독교의 규범(text)인 성경과 기독교 신학을 중심으로 한국 전통 종교문화로 접근하는 이해들은 기독교와 문화의 상관성이라는 차원에서 접근하는 것이다. 이것은 교회와 문화의 관계에서 문화의 상황화를 고려하는 것이다. 그리고 기독교 인간관과 죽음 이해를 볼 때 먼저 인간관에서 피조물·하나님의 형상·죄인의 개념을 고려해야 한다. 구약성경과 유대인들의 죽음관은 개인적인 지상에서의 삶을 마치는 것이다. 또한 부활의 소망을 가지는 형태에서는 약하지만, 분명하게도 에녹과 엘리야가 죽지 않고 하나님과 함께 하는 생명으로 옮겼다는 사실이 증언된다. 신약성경과 그리스도인의 죽음이해는 영혼이 신체를 떠나 천국으로 들어가는 과정이다.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바른 믿음의 고백은 영생을 얻기에 중요하다. 그리고 생명은 비오스(bios)·프쉬케(psyche)·조에(zoe)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종말과 영생의 소망인 하나님의 나라에까지 연결되는 영원한 생명인 조에(zoe)를 지향해야 한다. Chapter Ⅲ. 우리 삶의 현장으로서 맥락(context)의 자리인 한국 전통 종교문화 속의 구원관과 치유관- 첫 번째로 무속신앙의 구원관과 치유관을 고찰할 때 무당(shaman)의 기능적 특성을 파악해야 한다. 곧 세습무 무당(Priestly shaman)과 신병(神病)을 앓고 된 강신무(Charismatic shaman)는 차이가 있다. 이 무당의 체험적 신비주의는 과학과 기술사회를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도리어 신선하게 다가가는 위험성을 보인다. 다음으로 무속신앙의 영혼관과 죽음 이해에서는 동양 전통의 음양이론에 근거한 귀신관과 저승에 대한 개념이 있는데, 인간의 영혼은 죽음 이후에 사후세계인 저승에 가거나 다시 현세로 환생한다고 믿는다. 다분히 내세관과 지옥 관념이 불교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리고 무속신앙의 구원관과 치유관을 볼 때 무엇보다도 무속신앙은 죽은 혼령에 대한 공포심이 크기에 굿과 치성을 통해 한(恨)을 풀려고 하며 여러 신들을 섬기고 공경한다. 그렇지만 무속신앙은 자칫 인간을 초혼술과 주술신앙으로 이끌고, 비사회적이고 비역사적인 입장이 강하며, 눈앞의 현실적 이익추구와 물질적 기복사상에 빠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우리는 무속신앙의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지향하는 장점은 고려하되, 애매한 신관과 내세관 그리고 지나치게 기울어진 현실적인 구원관과 치유·회복에 관한 입장을 극복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의 전통 종교문화로 두 번째로 살필 것은 불교이다. 인도에서 출발한 불교는 소승불교와 대승불교로 발전했고 한국 사회에는 대승불교 가운데서도 선불교(禪佛敎: Zen Buddhism)가 지대한 영향을 끼치며 지금까지 전승되고 있다. 불교의『법화경(法華經)』에는 기독교의 탕자의 비유와 유사한 내용 등이 있어서 우리의 흥미를 끌기도 하지만, 창조신앙과 그리스도 중심적 신앙과는 엄격한 차이가 있다. 그리고 선불교의 직관적 깨달음은 놀라운 인식의 세계를 보여준다. 다음으로 불교의 세계관에서 죽음 이해와 연관된 연기법(緣起法)·삼법인설(三法印說)·사성제(四聖諦)·팔정도(八正道) 등이 있다. 특히 불교에서 연기법(緣起法)은 윤회설과 결합되고 무아설(無我說)과 배치되는 모순을 가지며, 분명한 창조론과 종말론이 약한 면이 약점이다. 그러면서도 불교의 물질적 지옥관의 세계와 윤회의 관념은 한국의 많은 기독교인들에게도 영향을 주고 있는 문제가 있다. 그 밖에 불교에도 원시 불교에서 석가의 본래적 가르침과 깨달음을 강조한 불교(禪佛敎)의 자력구원 주장과, 아미타불과 관세음보살·미륵불 등의 타력구원의 두 큰 흐름이 지금도 지속되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 그러나 불교의 구원관과 치유관에 대한 입장에서 문제되는 것으로는 지나치게 많은 부처들로 인해 다신관적 혼합주의를 나타내고 도리어 구원관이 애매해져 있다. 또한 불교의 신(神)적 존재인 부처들과 보살들, 성직자와 신도 및 남성과 여성 등이 엄격한 계급적 구조를 가지고 있는 점, 생사관 속에서 윤회사상은 구원의 분명한 시기와 종말을 제시해주기 어려운 것, 불교의 구원을 향한 노력들이 업(業: Karma)을 강조하며 지나치게 공로적이고 계율적인 율법적 성격을 가졌다는 점들은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밖에 없다. 한국의 전통 종교문화로 세 번째로 살피는 것은 도교이다. 그런데 한국 사회에서 도교는 교단으로 발전하지 못하고 다른 종교문화에 결합되어 나타났다. 우선 노자(老子)와 장자(莊子)의 도(道: Tao)에 대한 본질적 성격과 기능적 특성은 도(道)를 초자연적 신적인 존재로 생각한다. 또 노자가 볼 때 인간은 무위자연(無爲自然)과의 동화를 추구해야 함을 강조하고, 장자가 볼 때는 인간과 자연과의 신비적 합일의 인식을 추구한다. 이것은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 받은 인간의 고유한 특질을 간과하는 잘못이 있다. 나중에 노자는 도교에서 태상노군으로 신격화되고, 장자는 남화진인으로 승격된다. 그래도 도교의 최고신은 옥황상제로 소개되고, 북극성과 같은 별자리와 서왕모(西王母)·마고선녀(麻姑仙女)·신선 등이 숭배된다. 고구려 벽화에는 신선의 세계가 그려져 있어 이미 이 땅에서 오래된 도교의 영향력을 본다. 도교의 죽음 극복을 위한 구원의 방편으로 도교 경전인『포박자(抱朴子)』에는 이상적 대상인 신선(神仙)이 되기 위한 조식법으로의 내단법과 불사약(不死藥)을 제조하여 복용하는 외단법의 특색이 나타난다. 그리고 도교에는 무릉도원의 추구와 풍수지리설 및 도참사상을 강조한다. 또 도사와 방사들이 있어 기(氣) 수련과 무예 수련도 하였다. 그 밖에도 사주팔자와 같은 점복(占卜)의 특색과 부적 등도 무교(巫敎)와 더불어 도교적 성격이 강한 것들이다. 도교에서 자연과의 조화사상은 지금도 계승할 가치가 있으나, 한국에서 어려운 시기 도참사상으로 혹세무민하며 은둔주의적이고 현실도피적인 태도를 보인 점은 지극히 문제가 많다. 또 지나치게 많은 단약 제조 등의 방술(方術)은 바른 사회 공동체를 형성해 가는데 도리어 방해가 되는 관념들이다. 그 외에도 풍수지리설의 잘못된 영향으로 좁은 한반도에서 토지의 효율적 이용에도 방해가 되고 있다. 따라서 기독교적인 종말론에 근거한 화장한 후의 가족묘지나 교회묘지 등의 적절한 대안이 필요하다고 느껴진다. 한국의 전통 종교문화로 네 번째로 살필 것은 유교(Confucianism)이다. 유교는 실제로 현재 한국사회의 외형적인 삶의 형태에 가장 큰 영향을 끼쳤다. 그런데 유교는 원시유학사상(原始儒學思想)인 공자와 맹자 등의 인성론과 윤리적 실천을 중요시한 사상과, 신유학사상(新儒學思想: Neo-Confucianism)인 주희와 왕양명 등의 형이상학적 본체론을 강조하는 데는 큰 차이가 있다. 이 중에서도 주자를 중심으로 한 유교사상이 주류가 되었고 이것을 성리학이라고 부른다. 한국 유교에서는 고려시대 전파된 성리학이 주류를 형성하고, 권력투쟁과 예학(禮學) 의 차이로 인해 사색당파로 나뉘어 싸운 부정적 모습도 있었다. 또 유교의 천관(天觀)과 죽음관 속의 귀신관을 살필 때 유교는 공자 자신부터 귀신에 대한 불가지론의 입장이었고 사후세계에 대한 관념이 약하며, 죽음에 대한 이론이 공백상태에 가깝다. 그리고 유교에는 일부 종교적 상제관이 있기는 하나 근본적으로 지극히 현실적인 삶을 강조하는 종교문화임을 파악하게 된다. 도리어 사회질서를 위한 오례(五禮)가 강조되고 상례(喪禮)와 제례(祭禮)의 경우는 복잡한 절차와 조상숭배로까지 연결된다. 또 유교사회였던 조선시대에는 중앙에 성균관과, 지방에 서원 및 향약 등을 통해 유교의 이념을 계승하고 교육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했다. 다음으로 유교는 내성외왕(內聖外王)의 이상적 사상을 전개하려고 했다. 먼저 경학(經學)을 통해 자신과 가정을 수행하는 수신(修身)·제가(齊家) 이후에 이웃과 세상을 섬기는 경세학으로서 치국평천하(治國平天下)를 추구하고자 한 것이다. 대표적인 인물로 『목민심서(牧民心書)』를 저술한 다산 정약용의 목민사상을 모델로서 보게 된다. Chapter Ⅳ. 기독교와 전통 한국종교문화의 관계에서 선택적 친화력을 매개로 본 윤리적 결단과 책임적 응답- 기독교와 한국 전통 종교문화와의 관계에서 선택적 친화력을 매개로 기독교 윤리학적입장의 결단과 책임적 응답을 모색하며 살피고자 했다. 여기에는 비판적인 과제들이 많이 보인다. 즉 각 종교의 현상을 살피고 기독교와의 차이만을 볼 것이 아니라, 윤리적 함의와 변혁의 과제까지도 함께 노력해야 한다. 먼저 무속신앙에서 초혼술의 형태와 기독교의 직통 계시를 말하며 신비체험을 강조한 선다싱(Sundar Singh)·스베덴보리(Emanuel Swedenborg)·이용도 목사의 신앙을 선택적 친화력의 관점에서 분석하며 비판할 수 있다. 또한 선불교의 종교체험을 기독교 신비적 영성을 말한 에크하르트와 수도사 토마스 머튼의 영성과 비교했다. 도교에서는 종교적 신비주의 성격을 트뢸취가 본 종교의 사회적 형태 가운데 교회(Church)·종파(Sect)·신비주의(Mysticism)의 분석과 비교하며 보았다. 또 유교와 한국 기독교의 신앙모습에서 공통된 부정적 모습으로 나타나는 전통성 답습과 권위주의 및 형식주의를 극복할 필요성이 있다. 즉 기독교의 사도 바울처럼 자족의 비결을 배우고 하나님의 나라를 온전히 소망하는 태도로 보완해야 할 것을 생각하게 했다. ChapterⅤ. 결론 필자가 바라기는 앞으로 더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한국이라는 맥락(context)을 고려하면서 기독교 신학과 한국 전통 종교문화 속의 다른 종교의 영성을 잘 고찰하여야 한다고 믿는다. 그 과정 가운데 기독교의 신학적 정체성을 지혜롭게 지키면서 선택적 친화력을 고려하며 기독교 윤리학(Christian Ethics)적 책임과 응답의 차원으로 접근하기 바란다. 그것은 그리스도인으로서 보편윤리인 사회정의·생명존중·평화·통일의 노력 같은 외형적인 종교들 간의 협력과 더불어 진정한 의미의 상호이해와 진리를 바라보는 시각으로서 가치가 있을 것으로 여겨지는 바이다. 그리고 앞으로도 다양한 그리스도인들을 통해서 한국 사회에서 이미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여러 신흥종교들과, 유사 기독교들 및 이미 15만 명을 훌쩍 넘긴 중동 국가에서 들어오는 유학생들 및 제3세계 근로자들이라는 이슬람 사상에 물든 무슬림들의 구원관과 치유관도 분석하고 연구하여 그리스도인들의 지혜로운 선교와 윤리적 함의에 도움이 되는 수고가 지속되기를 바란다.

      • 양육프로그램에 대한 기독교 문화적 관점에서의 연구

        김안식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3391

        문화는 인간과 함께 발생되었고, 인간과 떨어질 수 없는 것으로 인간이 하는 모든 활동이 바로 문화이다. 이러한 정의에 입각해서 생각해 본다면 삶이 바로 문화이다. 이러한 문화는 우리의 삶 뿐 아니라 종교에도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어서 현재 문화의 중심인 대중문화를 살펴봄을 통하여 대중문화에 대한 이해와 비판, 수용에 있어서 기독교인들이 대중문화를 어떠한 시선으로 바라보아야 하는 지와 어떠한 태도로 수용해야 하는 지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았다. 대중문화에 대한 이해와 비판, 수용에 있어서 우리는 문화를 바라보는 눈과 관점을 가지고 대중문화를 이해하고 수용해야 한다. 따라서 현재의 기독교 문화가 어떤 상태에 처해 있는가를 점검하고 문화에 대한 올바른 성경적 이해를 가져야함을 논하였다. 이러한 문화적 지식을 배경으로 문화에 대한 관점을 기독교 문화로 접근하였다. 기독교적 관점에서 문화를 성경을 토대로 확인하였다. 성경에 따르면 문화는 창조주 하나님이 피조세계에 대해 품으신 계획에서 비롯된다. 하나님은 이 계획을 성취하기 위해 인간을 자신의 형상을 따라 영적인 존재로 지으시고 문화 창조의 임무를 맡기셨다. 그러므로 문화를 기독교적으로 정의하면 하나님의 창조 행위를 모방하는 모든 인간의 활동과 그 결과들이다. 기독교 문화를 배경으로 문화와 복음의 관계를 정립하였다. 기독교 문화는 물질이나 권력 같은 우상을 섬기는 세상의 문화와 달라야 한다. 더 나아가 이들을 변혁시켜야 할 사명이 있다. 이러한 변혁의 시도는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인간과 피조계에 새로운 복음과 문화 사역의 시작이 되었다. 다시 말해서 새로이 태어난 복음 안에서의 생명은 하나님의 영광을 위한 새로운 문화적 삶에도 재창조의 실존이 되었다. 이제 복음이 문화를 통하여 신앙인의 실생활에 적용되기 위해 웨버가 주장하는 몇 가지 기독교 문화관을 살펴보았다. 분리모델과 동일시 모델, 변혁적 모델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각각의 모델이 가지는 진리를 하나로 묶은 성육신 모델을 중심으로 문화의 접촉점을 시도하였다. 예수그리스도의 성육신 사건은 계시가 문화 속에 들어온 원형적 사건이다. 계시는 문화 속에 들어와 그 문화의 옷을 입을 뿐 아니라 문화 속에 거하고 문화와 혼연일체가 되어야한다. 이러한 과점에서 복음이란 하나님의 행위이며 결정적으로 그의 성육신을 통하여 역사 속에서 드러나 하나님의 계시인 것을 알게 된다. 성육신 모델은 기독교인들에게, 세상 속으로 오신 예수님의 시각으로 문화를 인식하고 정서적으로 느끼게 한다. 본 절의 마지막에 성육신 모델이 양육프로그램에 어떻게 적용되는지에 대한 접근을 하였다. 성육신모델은 공동체와 참여를 지향한다. 또한 참여는 섬김과 소통이라는 결과가 성육신을 통하여 보여준다. 그래서 양육의 문화적인 접근의 모티브가 섬김과 소통으로 이루어짐을 보고 이 관점에서 양육프로그램에 대한 본격적인 시도를 한다. III부에서는 인간의 문화 속으로 오셔서 섬기의 그 자체이신 예수그리스도의 모습을 잘 반영한 양육프로그램 두 가지를 소개한다. 먼저 새신자의 전도와 정착, 그리고 특수한 환경에 처해있는 사람들(교도소와 같은)에게 적용되어 변화를 경험하게 하는 알파코스이다. 이 알파코스는 기독교적인 양육프로그램이 교회라는 울타리를 넘어 사회 속에서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하는 도구로 잘 활용되고 있다. 알파코스는 시작 처음부터 대중가요를 비롯한 스킷드라마와 꽁트 그리고 코미디 등을 과감하게 적용하여 처음으로 교회를 찾는 이들에게 낯설고 어색한 분위기가 아니라 쉽게 마음을 열고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섬김의 양육프로그램이다. 알파코스내의 문화적 요소를 통하여 문화와 양육은 멀리 떨어진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삶속에서 공존하는 것임을 잘 적용한 점에서 성공의 포인트를 부여한다. 그리고 교회내의 제자훈련의 개념을 문화와 상관관계로 접목하여 양육자 전원이 변화와 회복을 경험한 동성교회청년부를 중심으로 한 제자훈련을 소개한다. 이 제자훈련은 멀티미디어를 통한 감동과 대중문화를 양육코스에 과감하게 적용하여 실질적인 문화를 양육프로그램 내에 구성요소로 포함시켰다. 그리고 식탁교제, 작은 선물로 섬김, 편지쓰기 등 생활의 세심한 부분을 양육프로그램에 도입하여 섬김을 양육의 적용으로 안착시켰다. 이들 양육프로그램들의 공통점은 예수님께서 공생애 기간 동안 제자들과 함께 먹고 마시고 나누었던 식탁교제가 중심에 자리하고 있고 그리스도의 성육신으로 문화 속에서 분리된 삶이 아니었던 예수님의 이 땅의 삶이 그대로 적용된 형태라 할 수 있겠다. 그동안 비판적으로 바라만 봤던 대중문화를 과감하게 도입한 것도 좋은 예라 할 수 있겠다. IV장에서는 앞에서 양육프로그램 내의 문화적 요소를 통한 긍정적인 효과와 문화적요소의 역할에 대한 부분을 다루었다. 여기서 문화적인 대표적인 요소인 멀티미디어와 대중문화 그리고 식탁교제가 양육프로그램에서의 역할에 대하여 다루었다. 마지막으로 양육프로그램 자체에 대한 윤리적 반성과 함께 문화가 양육프로그램에 끼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살펴보았다.

      • SNS(social networks service) 시대에 대한 기독교 문화적 접근 방법 연구

        이은과 장로회신학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33375

        소셜 네트워크 세대의 포스트 모던적 특징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기독교 문화적 대응을 연구

      • 2030청년들의 교회이탈현상(가나안 성도)에 대한 문화분석 및 기독교 윤리적 대안 : -기어츠 문화 층위 이해의 틀 안에서 살펴본 유교적 종교 심성을 바탕으로-

        이재녕 장로회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3359

        본 논문은 현재까지 사회조사로 공개된 통계를 바탕으로 2030청년들의 교회이탈현상에 대한 관심과 떠났던 그들이 여전히 다시 교회로 돌아오고 싶어 하는 모습에 문제의식을 느끼고 질문으로 진행하였다. 그 질문은 3가지로 “그들을 왜 교회를 떠났는가?”, “그들은 왜 교회를 다시 다니고 싶은가?”, “그들이 가고자 하는 교회는 어떤 교회인가?” 이다. 이를 풀어가기 위해 첫째로는 다양하게 연구되고 정리된 교회이탈현상들과, 한국적 교회이탈현상인 가나안 성도에 대해서도 선행된 사회조사를 살펴보며 정리를 하며, 가나안 성도의 기본적 특성과 특이점(다시 교회로 돌아오고 싶은 비율이 높다는 점 등)에 주목한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으로 꼽히고 있는 세속화와 탈세속화에 대해서 먼저 알아보았고, 한계점들을 다루며, 한국적 맥락에서의 새로운 관점으로서, 연구의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다음으로는 성육신 신학 안에서의 문화이해에 대해서 정리하며 성육신신학 안에서 가나안 현상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체계로 기어츠의 문화중층이론을 토대로 해석적 문화분석 및 층위 분석을 소개 및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방법론으로 교회이탈현상을 해석할 수 있는 분석체계로써 유교를 택하여 유교적 종교심성을 파악해 분석을 시도하였다. 결론에서는 2030청년들이 교회를 떠난 이유, 그리고 그들은 왜 다시 돌아오고 싶은지에 대한 이유, 그리고 그들이 선호하고 싶어 하는 교회에 대해서 나름의 분석체계 안에서 미약하나마 분석을 시행하였다. 더불어 결론에는 기독교 윤리적 대안으로서의 성육신적 인간주의와 효 사상의 공동체의 한계와 대안을 삼위일체 신학을 중심으로 제안하였다. 한편 종교사회학자들에 의해 일차적으로 밝혀진 통계들을 바탕으로 심도 있게 다루지 못한 가나안 현상의 통계들이 여전히 많다. 이를 조사, 분류하고, 후에 다양한 신학적 관점으로 연구가 진행된다면, 교회이탈현상 극복을 위한 실마리가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필자는 한국적 맥락 안에서 발생하는 문화적 현상으로 바라보며 해석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한국적 맥락에서 분석과 연구는 부족하지만, 이론적으로 볼 때 우리의 신학적 대안이 한국사회의 같은 맥락에 있는 이들에게도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가나안성도, 청년, 교회이탈현상, 성육신적 인간주의, 삼위일체 신학, 클리퍼드 기어츠(Clifford Geertz), 유교, 세속화, 탈세속화, 성육신 신학 안에서의 문화이해

      • 존 하워드 요더의 신학적 윤리에 관한 연구 : 한국교회의 정치 참여에 대한 반성의 관점에서

        김종화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3343

        필자는 지금까지 재세례파 혹은 메노나이트의 신학과 윤리를 재탐구하고 기독교 평화주의의 선구자로 일컬어지는 존 하워드 요더의 신학적 윤리 사상과 윤리적 방법들을 고찰하였고 그것을 한국 교회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 지 다루어 보았다. 각 장별 주요한 내용을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는 요더의 생애와 배경에 대한 연구에 집중하였다. 존 하워드 요더는 1927년 오하이오 주 스미스빌에서 태어났다. 그는 고센 대학에 교수 벤더의 영향을 많이 받아 그의 신학적 정체성을 발견하였다. 그는 유럽에서 다양한 학자들에게 수학하는데, 그 중에서 쿨만과 바르트에게 깊은 영향을 받았다. 그는 그 밖에도 ‘컨선’ 그룹을 통해 메노나이트 전통에 관하여 고민하였고, NAE, NCC는 물론 WCC 및 각종 회의와 컨퍼런스를 통해 다양한 주제로 신학적 담론의 현장에 함께 했다. 그는 주로, 메노나이트 성서신학대학원, 고센 성서신학대학원, 그리고 노틀담 대학에서 교수 생활을 하면서 메노나이트 연구소 부위원장, 메노나이트 역사학회의 이사, 기독교윤리학회 회장, 종교 윤리학 저널 편집위원, 메노나이트 계간 평론, 체류자들의 객원 편집자직등 다양한 위치에서 영향력을 나타냈다. 그는 결국 1997년 12월 30일 그의 생일 다음날 그가 가르치던 노틀담 대학에서 심장 질환으로 70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난다. 요더는 『예수의 정치학』으로 대표되는 그의 사상을 통해 세속문화에서 그 기초를 찾는 대부분의 콘스탄티누스 대제 이후의 교회 윤리학이 진정한 의미의 기독교 윤리학적 성격을 잃어버린 것으로 비판하면서, 참된 기독교 윤리학이란 세속문화에 근거를 두기보다는 예수 그리스도의 정치적이었던 실제적 삶과 가르침에서 출발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요더를 구성하는 배경에는 크게 세 가지가 있는데, 첫째, 요더에게 있어 메노나이트 신학은 깊은 연관성을 가진다. 그것은 신앙의 외적인 표현으로서의 도덕적 삶을 매우 강조하며, 신학과 윤리의 통일성을 지향한다. 둘째, 요더에게 있어서 또한 중요한 배경은 복음주의인데, 그는 사상적인 측면에서 복음주의 전통과 직간접적으로 교류하였으며, 때로는 실천적인 복음 전도자로 때로는 복음주의의 대변자로 때로는 복음주의의 비평가로 그들의 세계와 대화하였다. 셋째, 요더에게 있어서 마지막 주된 관심은 에큐메니즘(Catholic Ecumenism)이었다. 요더는 기존의 에큐메니칼적 대화를 비판하는 견지에서 대안적인 에큐메니즘을 주장한다. 그것은 분파주의로 소외되어온 그의 메노나이트 신학을 주류 신학의 지도 안에 그려 넣으려는 노력의 일환이었으며 실제로 그는 노틀담에서의 수많은 세미나와 WCC와의 관계를 통해 에큐메니칼 운동에 앞장서려고 노력하였다. Ⅲ장에서는 요더의 신학적 윤리의 내용으로 세 가지를 다루었다. 첫째는, 기독론으로써 요더는 예수 그리스도를 실제적 가르침이나 윤리적 기준에서 제외하고 단지 우주적 그리스도로만 묘사하는 기독론은 우주론적 기독론이라고 말하면서, 이러한 우주론적 경향은 ‘영지주의 유혹’에 가깝고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결론적으로, 기독론은 ‘예수론(Jesusology)’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요더에 의하면, 예수는 도덕주의자도 아니었으며, 영적 삶만을 가르친 사람도, 단지 희생 제사를 준비하던 어린 양도, 그의 신성이 우리로 하여금 그의 인성을 무시하도록 만드는 그런 존재도 아니다. 예수의 모든 사역은 단 한가지 의미, 즉 정치적인 함의를 가진다. 요더는 예수의 공적 사역의 근간을 이루는 요소로서 인간 예수가 거듭하여 직면했던 유일한 유혹들은 모두 배제되었다고 말한다. 즉, 폭력적 방법들을 활용하여 정당한 혁명을 도모함으로써 사회적 책임을 감당하려는 유혹, 사회적 도피로서의 유혹, 기득권 체제에 동조하면서 보수적으로 사회 책임을 행사하려는 사두개파식의 유혹에 대한 예수의 삼중적 거부(threefold rejection)가 의미하는 것은 예수의 삶의 정치적 관련성이 궁극적으로 향하는 지점, 바로 십자가이다. 둘째는, 요더는 교회론으로써 그는 교회라는 단어 ‘에클레시아’가 공동체의 일을 다루기 위한 정치적인 모임을 의미했다고 설명한다. 오늘날 현대 용어를 빌리면, 회의, 의회, 시 위원회와도 같다. 따라서 교회는 단지 신자들의 모임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그들이 주님이신 예수로부터 배운 것을 실천하고자 하는 정치적 모임이다. 또한 이것은 모든 사람의 행동이 어떠해야 되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바로 소수 공동체의 행동에 관한 것이다. 이 소수 집단의 윤리적 태도는 세속적 삶과의 분리가 아니라 세속적인 삶의 가치와 패턴을 본받지 않고 살아가려고 하는 자들의 독특한 삶의 모습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요더에 의하면, 이러한 ‘교회의 타자성’은 연약함이 아니라 강함에 기반을 둔 태도다. 세상을 향한 교회와 제자들의 사명은 소수 공동체로써 세상과 다르게 살아갈 때 그 선교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사회의 모든 구조들을 변화시킬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복음으로 무장되어 있는 성도 공동체’라는 구조로만 가능하다. 셋째는 종말론으로써, 요더는 인간 역사를 근본적으로 반대되는 두 개의 시대들이 서로 공존하는 것으로 특징짓는다. 즉, 현 시대는 그리스도 이전의 죄에 의해 특징 지워지는 인간이 중심이 되는 시대이고 반면에 다가올 시대는 그리스도 안에서 궁극성을 찾는 그러한 구속적 실재가 펼쳐지는 역사의 시대이다. 그런데, 하나님의 새로운 시대를 연 창시자로서의 예수가 하나님 앞에서 순종의 모델이 되신다. 반역적 권세를 원칙적으로 패배시키고 새로운 시대를 시작하신 것은 바로 예수의 십자가였듯이, 기독교인들은 십자가로 인도했던 예수의 무저항적 사랑의 사회적 자세를 본받아야 한다. 종말론적인 관점에서 교회의 역사의 가장 큰 실패는 바로 콘스탄틴 대제 이후의 교회의 변화이다. 콘스탄틴 시대에 기독교가 공인된 이후로, 교회는 신약성경을 통하여 주어진 그리스도의 모델을 무시하거나 중시하지 아니해 왔으며 또는 윤리적인 삶의 모델로서의 예수의 삶과 가르침을 그대로 따르려했던 초대교회의 윤리적 모델을 버렸다. 콘스탄틴주의는 ‘이미’와 ‘아직 아님’의 이중성을 제거함으로써 하나님께 순종했던 그리스도에 대한 모방을 요구하는 기독교인의 삶을 타락시켰으며 기독교윤리를 국가에 봉사하도록 만들게 하였다. Ⅳ장에서는 주로 요더의 윤리의 방법론을 크게 두 가지 관점에서 다루었는데 첫째는 기독교 공동체의 확산이고 둘째는 기독교 평화주의이다. 첫째, 요더에 의하면 십자가는 정치적 예수가 세상의 권세에 굴복하지 아니하고, 무력함으로 거두어낸 어린 양의 승리의 상징이다. 그것은 제자도를 소유하여, 세상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삶의 패턴을 충실히 따라 살아가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한 윤리의 기준이 된다. 그런데, 어린 양이 죽임을 당하는 것의 의미, 그리고 그 후 우리가 그를 두고 “권세를 받으시기에 합당하시다”라고 찬송하는 것의 의미는 예수가 “유대인의 왕”이라는 죄패 아래 처형당하신 사건이 품고 있는 의미와 나눠질 수 없다. 사실상 역사의 의미를 결정하는 것은 칼이 아니라 십자가이며, 무자비한 힘이 아니라 고난이다. 이러한 예수의 모습을 따른다는 것은 고통만 있고 패배만 있을 것 같지만, 그러나 그것은 궁극적으로는 하나님의 어린 양의 종국적 승리에 참여하게 되는 승리적 고통이다. 그러므로 교회는 현 세상 질서의 미래적 모습이다. 교회는 현 세상에서 종말론적인 질서를 보여주고 있는 유일한 장소이고 증거자들의 공동체인데 이러한 교회는 우리는 ‘신자들의 교회(Believers' Church)’ 혹은 ‘자유 교회(Free Church)’라고 명명한다. 자유 교회가 이 시대에 대안적인 전망을 줄 수 있는데, 그들은 신자들의 공동체와 다른 공동체들, 즉 세속적인 사회적 실재에서의 계약 공동체와 그것이 존재하는 한 가운데 안에 있는 세속적인 사회적 실재 사이의 구별을 강조하는 관점을 가지기 때문이다. 둘째, 인간애적 평화주의와 실용주의적 평화주의와는 달리 기독교적 평화주의는 철저히 예수의 삶과 가르침을 따라야 하기 때문에 폭력과 전쟁을 받아 들일 수 없다는 주장이다. 4세기 전반까지의 교회의 지배적인 태도는 평화주의였다는 것이 다수의 교회사가들의 견해다. 전쟁은 하나님의 사랑의 의지에 대한 인간의 구조화된 타락의 분명한 상징이다. 물론, 모든 경우에 폭력의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자신의 합법적인 모든 목적들을 얻을 수 있다고 보지는 않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수가 세상의 폭력과 무력과 권세에 대해서 칼로 맞서지 아니하시고 권세 없는 자의 모습을 취하신 것 같이 그리스도인들에게 요구되는 제자도는 악의 힘에 악과 폭력으로 대항하지 말고 무력을 포기하는 삶의 자세를 가져야 하는데, 이것을 일컬어 혁명적인 복종(Revolutionary Subordination)”이라고 한다. 한편 요더는 누가가 기록하고 있는 물질과 소유에 대한 예수의 가르침은 구약성경의 희년에 대한 완성으로 해석한다. “네가 가진 모든 것을 팔아 그것으로 구제하라”라는 예수의 계명은 단순한 성화를 위한 조언이 아니라 지금 여기서 실행되어야 할 희년의 율례라는 것이다. 이것은 네 가지의 요구를 포함하고 있는데 그것은 땅의 휴경, 빚의 탕감, 노예의 해방, 가족 재산의 환원이라는 측면에 내포되어 있는 암시들이다. 구약성경에 나타난 하나님의 구원 역사는 팔레스타인 땅에서 이스라엘 민족에게 실제적이고 역사적인 사건으로서 일어났으며, 그러한 사고는 예수 당시에 희년 선포까지도 구체성을 가진 것으로 이해되어지게 하였다. Ⅴ장에서는 요더의 입장을 긍정적, 부정적인 관점에서 평가하고 그것을 한국 교회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먼저, 긍정적인 관점은 다음과 같은데, 첫째, 요더의 신학과 윤리의 공헌은 당시의 주류 기독교 윤리와는 다른, 새로운 개념으로서 바르트의 영향을 받아 예수의 삶과 말씀을 실천가능한 윤리적 규범으로 설정한 데 있다. 헤이스(Hays)에 의하면 요더는 1970년대 초반 성경 학계에서 접할 수 있는 최선의 통찰들을 세밀하게 활용하고 있다고 평가한다. 둘째, 요더는 니버의 고전적인 유형론에 날카로운 비판을 가함으로서 교회의 사회적 책임과 사회참여 같은 중요한 주제에 있어서의 획일적인 이해에 새로운 통찰을 제공하였다.(Hauerwas, McClendon) 셋째, 요더의 공헌은 기독교윤리에 있어서 교회 공동체의 중요성을 일관성 있게 강조한 점이다.(Hauerwas) 넷째, 요더의 신학의 공헌은 폭력과 전쟁이 난무하는 이 시대에서 예수의 제자도로서 비폭력, 무저항의 사랑을 강조한 점이다.(Hays) 또한 요더의 사상에는 부정적 관점이 나타나는데, 첫째, 요더가 진지하게 다루던 성서해석에 있어서 ‘예수의 정치학’에서 누가복음만을 주석의 대상으로 삼는 것에 첫 위험의 여지가 내포된다.(Hays) 또한 그는 ‘에클레시아’의 의미를 자의적으로 해석함으로 인해 그것이 가지고 있는 종말론적인 함의를 무시하였다.(신원하) 둘째, 예수 그리스도의 그가 지신 십자가를 일관되게 정치적인 위치에서만 이해하려는 그의 기독론에 다른 한계를 가지고 있다.(Mott, Sider) 셋째, 그가 사회의 관계에 있어서 구별된 공동체적 삶을 강조하는 선교적 영향력에 대한 부정적 관점이다. (R. Niebuhr), 넷째, 그가 가지고 있는 권력과 국가의 모든 형태를 단순히 강제나 폭력적 조정으로 환원시키는 문제점이 있다.(Hauerwas, Lemasters), 다섯째, 비폭력 무저항의 평화주의의 문제점이다. 요더의 사회윤리의 심각한 문제는 현실에서 무죄한 희생자들이 당하게 되는 현재적 고통 혹은 죽음을 묵과하게 될 수도 있다는 점이다.(Wogaman, Ramsey, Bonino, Dussel, Bennett, Hauerwas) 이와 같이 요더의 생애를 바탕으로 신학적 윤리를 소개하고, 그가 핵심적인 위치에서 주장하는 기독교 공동체의 확산과 기독교 평화주의라는 방법은 긍정적으로 또는 부정적으로 어떻게 해석될 수 있을지에 관하여 다루었다. 또한 이러한 것을 종합하여 보았을 때, 요더의 사상은 한국 교회의 정치 참여 문제에 있어서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한국 교회는 정치 참여의 문제에 있어서 보수와 진보로 대표되는 상이한 방식으로 관련을 맺어 왔는데, 주목할 것은 그 상이성에도 불구하고 공통적으로 한국 교회는 정부와 사회 참여 문제에 밀접하게 관련을 맺고 있다는 사실이며, 때로는 이러한 관련성이 지나치고 왜곡되어 교회의 정체성을 잃게 되는 현상을 초래하기도 하였다. 요더에 의하면 이러한 현상을 콘스탄틴주의라고 명명하는데, 즉 교회가 세상의 체계와 동일시되어 가는 것이다. 이러한 콘스탄틴주의 사상 근저에는 루터의 ‘두 왕국론’의 영향이 내재해 있는데, 틸리케는 이 ‘두 왕국’에 있어서 나타나는 문제를 세 가지, 이중윤리의 위험성, 세속화의 위험성, 세속권세에 대한 묵종주의 경향성으로 분석했다. 그런데, 일부 한국 교회에서도 이러한 위험성의 징후들이 나타나고 있다. 한국 교회를 향한 요더의 신학의 적용은 다음과 같다. 세 가지 관점에서 말하자면, 첫째, 한국교회에 있어서 요더의 윤리가 적용되는 영역은 교회 내부적 체계에 우선한다. ‘교회를 교회답게 하라(Let the church be the church)’는 요더의 주장은 교회와 사회 관계의 문제를 다루는 방법론적 차이들을 간주하더라도, 여전히 한국 교회에 절실한 울림으로 여겨진다. 둘째, 요더 윤리의 실천은 일치와 연합을 위한 에큐메니칼 운동의 활성화이다. 교회의 연합과 일치는 한 하나님을 주로 고백하는 사람들의 당위적인 신앙의 실천으로 이해해야 한다. 셋째, 한국 교회는 전보다 더 진지하고 심도있게 평화주의와 정당전쟁 이론에 관하여 고찰하여야 한다. 만약, 전쟁이 일어난다면 엄청난 재앙이 도래할 것이며 하나님께서 지으신 창조세계를 망가뜨리는 참혹한 비극이 나타날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어떤 형태로든지 한반도 내에서의 긴장이나 전쟁의 위험을 제거해야 하며, 평화를 유지해야 하며, 더 나아가 두 조국으로 나뉜 민족이 다시 하나 되어야 한다. 우리는 이러한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 궁극적으로 책임 윤리의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그것은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받은 피조물들을 나의 문제로 반응하게 하는 고백적인 해석이요 자기 성찰적인 실천이며, 이러한 인식이야말로 남과 북의 구성원들의 여러 가지 차이에도 불구하고 서로가 사회적인 연대를 이루어 내는 동기를 부여할 것이다. 인류 역사 속에서 전쟁과 분쟁은 끊임없이 지속되어 왔다. 게다가, 한반도는 지구상에 남은 마지막 분단국가이며, 남과 북의 관계는 냉전과 우호를 반복하며 우리에게 직접적인 긴장감을 형성케 한다. 그러나 어떤 형태든지 한반도에서의 전쟁과 분쟁을 정당화할 만한 근거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것이 한반도에서의 원칙이라면 그러한 원칙은 세계 모든 지역에서도 동일해야 한다. 궁극적으로 대다수의 인류는 전쟁이 아니라 평화를 갈망한다. 20세기 기독교 평화주의의 선구자로 여겨지는 요더는 이러한 현상들이 콘스탄틴 대제가 기독교를 공인한 이후 평화주의가 아닌 정당전쟁론을 취함으로 초래된 결과라고 분석한다. 그는 평화주의라는 주제를 기독교윤리학의 영역에 소개한 가장 대표적인 신학자이다. 또한 그는 중대한 논란을 일으켰는데, 그것은 당시 에른스트 트뢸취부터 리처드 니버까지 내려오던 주류 신학 영역에 정면으로 도전했기 때문이다. 그는 교회와 사회의 관계에 관한 유형론적 연구와 철학적인 방법으로 윤리적인 규범을 설정했던 기존의 기독교윤리학의 방법론을 비판하면서 오직 성서에서 발견되는 예수 그리스도의 삶과 사역을 기독교 윤리의 규준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사상을 담은 그의 대표작『예수의 정치학(The Politics of Jesus)』은 20세기 기독교윤리학과 신학 분야에서 가장 유명한 저서 중 하나가 되었다. 물론, 그가 급진적인 메노나이트 신학자였다는 특수성은 보편적인 신학과 기독교윤리학의 영역에서 우리가 그를 다루기에 주저하게 만드는 이유가 되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를 무성의하게 분파주의라고 규정하기 전에 혹은 반대로 성급하게 주류 신학을 비평하기 전에, 우리는 진지하게 요더가 진정으로 말하고자 했던 내용이 무엇이며, 논쟁 속에서도 여전히 빛나고 있는 그의 사상을 지금 이 자리에서 어떻게 실천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하여 진지하게 고민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통찰들은 20세기의 미국적인 상황에서 뿐만 아니라, 시대와 장소를 초월하여 지금 우리의 삶의 자리에서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 남북한 문화통합을 위한 삼위일체적 인간관 형성의 의의

        이진우 장로회신학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33343

        차가운 분단의 현실 속에서 민족의 염원인 통일을 염두에 두고 살아갈 때, 우리는 그리스도인으로서 기독교적 통일의 당위성에 대하여 깊이 숙고하여야 한다. 그리할 때 우리들은 통일을 위한 선행조건으로 문화의 통합을 도모하여 실천해야 할 당위성을 발견하게 된다. 서로 적대적이고 상이한 체제 속에서 살고 있는 현재의 상태를 극복하고, 하나의 민족공동체를 형성하면서 살아가는 그 날이 오도록 적극적인 교류와 협력을 도모해야 한다. 문화가 가진 가치체계와 세계관은 공유되고 전승되지만, 동시에 역동적이며, 문화간 교류를 통해 상호 보완되며, 변화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에, 남북한의 문화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문화교류의 초석을 놓은 작업은 문화의 통합을 이루는데 매우 유익하게 작용할 수 있다. 남한의 문화는 대표적으로 소비문화로 분류하였고, 북한의 문화는 주체문화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남북문화의 차이는 인간관의 차이로 극명하게 드러난다. 남한의 인간관은 소비문화를 기초로 한 인간관이기에 개성을 중시하고 탈권위적이며 민주적인 의사결정과정을 바탕으로 하는 반면에, 개인주의 이기주의 풍조를 야기시키고, 비인간적 경쟁체제 속에서 이웃과의 유대 단절을 초래한다. 반대로 북한의 인간관은 주체문화를 바탕으로 한 인간관이기에, 공동체적 유대와 상부상조를 강조하고, 협동과 인내를 촉구하며, 무한경쟁이 낳은 불신과 부정적인 갈등을 이겨낼 수 있게 한다는 긍정적 측면이 있는 반면에, 집단주의적 문화 양태 속에서 인간의 근본적 다양성과 개성을 부정하기 쉬운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남한과 북한의 인간관은 이처럼 서로 극명한 대조를 보이지만, 동시에 부족한 점을 서로 채워줌으로써 문화통합의 단초를 제공할 수 있다. 주체사상의 집단주의적 단점 가운에 잃어버린 개인의 특수성은 남한의 소비문화적 인간관으로 보완되며, 소비문화의 개인적 인간관 속에 함몰되어버린 공동체성은 북한의 주체문화적 인간관으로 보완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삼위일체신학은 남북의 이질적인 인간관을 통합할 수 있는 근본적 대안으로 기능할 수 있다. 특별히 몰트만과 라쿠나의 삼위일체론에서 보여지는 삼위일체적 인간은, 개인적 정체성이 사회적 관계에 의하여 규정되며, 그 사회성은 개인적 정체성에 의하여 보완됨으로써 다양성 속에 일치를 이루고, 일치 속에서도 다양성이 존중되는 공동체 속의 인간이다. 삼위일체 신학이 문화통합에 있어서 내재적이며 본질적 자원으로 기능한다면 문화통합의 외형적이며 표면적인 모델 역시 필요하다. 우리는 차이를 인정하고 소통을 중요시하는 다문화주의를 새로운 통일론의 기반으로 삼을 수 있고, 문화상호교류주의를 통합의 모델로 삼아, 문화통합을 시도할 수 있다. 이러한 문화통합이 개방적이며, 호혜적인 중장기교류로서 이루어진다면 남북한은 상대방에 대한 편견을 버리고 상대방이 갖고 있는 차이를 인정함으로써 조화로운 공존을 이루어가게 될 것이다. 이를 통해 한반도에 평화가 정착 정착되고, 통일을 향한 확고한 기반이 구출 될 수 있을 것이다.

      • 기독교 통일 운동에 관한 공공신학적 연구

        권대익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3327

        본 논문은 공공신학의 도움을 받아 기독교 통일 운동의 방향과 관점을 진보적 기독교 통일 운동과 보수적 기독교 통일 운동 양 진영의 논쟁을 살펴보고 합의를 이끌어내어 기독교 통일 운동의 연대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 소셜미디어 세대의 집단지성에 대한 교회의 응답과 대응

        김원규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3327

        매스미디어를 통해서 교회에 대한 부정적인 면이 부각되어지고, 영화에서도 기독교의 모습이 사회악적 존재와 조롱거리로 등장하는 등의 모습은 급변하는 시대적 상황 속에서 한국교회는 적합한 응답을 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러한 상황가운데 한국 교회는 젊은 세대들이 자리하지 않는 이른바 ‘허리 없는 교회’를 고민하고 있는 상황이 되었다. 젊은 세대들은 이미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력 아래에서 성장하고 있는 사람들이다. 따라서 그들을 알기위해서는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포스트모더니즘은 다양성에 관심을 두고 있으며, 사이버 공간과 현실 세계의 경계가 모호해서 가상의 경험을 현실적 경험과 동일시하는 경향을 볼 수 있다. 또한 절대적인 것 보다 대중적인 것을 추구하고, 무엇인가 놀이를 할 수 있는 것을 갈구하며 스스로 참여하려고 하고, 현존 질서의 억압성에 대해 저항한다. 그들에게는 모든 것이 유동적인 것이다. 같은 맥락으로 이들은 종교에 대한 관심은 있는 반면 기독교의 절대성과 진리성에 대해서는 반감을 가진다. 이러한 사상적 흐름가운데 개방과 공유의 특징을 가진 소셜네트워크의 발달로 사람들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관계성을 전세계적으로 확장시켰다. 소셜미디어는 참여, 공개, 대화, 커뮤니티, 연결이라는 핵심적인 개념과 함께 새로운 가치들을 만들어 내기 시작했다. 그들은 소셜미디어를 통한 개방적 참여와 다양하고 독립적인 위치에서 기존 조직과는 다른 새로운 형태의 수평적인 조직을 형성했고, 자율적인 통제 속에 협업을 통해 집단지성을 구축하며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컨슈머, 프로추어와 같은 새로운 형태의 그룹들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집단지성을 통해 나타난 새로운 가치들과 혁신적인 결과들이 각광받으면서 집단지성은 범국가적인 차원에서 검토되어지고 있다. 이에 찰스 리드비터는 긍정적인 집단지성의 발현을 위해서는 ‘협업적 창조성’이 발휘될 수 있도록 참여와 인식, 협업이라는 세 가지 요소 간에 균형이 유지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그는 양날의 검과 같은 집단지성의 성공적 발현의 조건으로 핵심, 기여, 관계 맺기, 협업, 그리고 창의성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한국사회 속에서 이러한 집단지성은 검증되지 않은 정보를 생산하고, 기여의 불평등성, 감정적 편향성, 책임의식 결여와 같은 문제점을 드러내었다. 문제 해결을 위한 집단지성은 혁신적인 것이지만, 그 반대의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 대해서 어빙 제니스는 미국의 정책 결정 사례 연구를 통해 집단의사결정시 구성원의 강한 동질성과 응집성 등은 결함 있는 의사결정인 집단사고의 형태가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소셜미디어와 집단지성은 자연스럽게 참여문화를 형성하였다. 참여문화의 긍정적 기능을 주목하는 측면에서 핸리 젠킨스(Henry Jenkins)는 핵심 미디어 리터러시 능력(놀이, 퍼포먼스, 시뮬레이션, 전용, 멀티태스킹, 인지, 집단지성, 판단력, 네트워킹, 타협)을 향상 시키도록 요청받는다고 말한다. 이러한 소셜미디어와 집단지성, 그리고 참여문화 가운데 교회는 어떤 모습으로 응답하고 있는가? 이에 올바른 참여문화와 집단지성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참여문화를 마주하기 위한 리터러시능력이 요구되어 지며, 올바른 집단지성의 발현을 위한 규범이 필요하다. 이에 미국의 교회미래학자이며 신학자인 레너드 스윗이 제시한 포스트모던 세대의 의식인 EPIC(Experientially, Participatory, Image, Connection)을 리터러시의 개념으로 살펴보았다. 스윗은 테크놀로지에 대한 리터러시 능력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협동을 통해 교회가 이러한 형태로 변화해야 함을 말하면서, 모던교회가 탈피해야하는 특성들을 분석해 내고, 참여와 공유의 새로운 세대의 특성들을 반영하는 선교적 교회, 관계적 교회, 성육신적 교회로 변화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또한 집단지성의 규제하고 올바른 형성을 위한 규범윤리적인 측면에서 리차드 니버의 책임윤리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니버에 따르면 철저한 유일신적 신앙이야말로 이른바 다원주의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기독교인으로서의 정체성을 포기하지 않고도 대중적인 책무를 담보할 수 있도록 하여주는 돌파구라고 본다. 철저한 유일신론은 모든 존재의 상호연관성과 가치들을 상대화하지만, 동시에 모든 존재를 창조적 한 분에 근거한 생명으로 성화한다. 니버는 모든 인간은 예배하는 자아(worshiping self)로 보았고, “반성의 방법론”을 통해서 신학의 관심을 우리들의 신앙과 그 신앙의 대상과의 관계로 돌리게 한다. 이는 “간인격적인 것으로 상호간의 의사소통, 다른 사람들의 반성들로부터 확증, 수정 내지는 인도”까지 받는 것임을 강조한다. 교회가 사회변혁의 모범이 되기 위해서는 관계적 공동체의 규범으로서의 “변혁”의 모범으로서 교회와 그리스도인은 세상에서 문화적 삶에 비판적으로 참여함으로서, 하나님나라의 정신으로 당대의 지배적 가치들과 맞서야 한다. 교회는 우주적 공동체의 근원을 항상 지향해야지 그 자체가 목적이 되어서는 안 된다. 니버는 세상에 대한 책임, 즉 “철저한 유일신론”의 신앙을 가진 그리스도인과 교회공동체의 세상에 대한 태도를 책임으로 이해했다. 그것은 “문화를 변혁하는 그리스도”의 태도로 세상을 변혁하는 것이다. 개방과 공유를 바탕으로 더 많은 소통을 추구하는 소셜미디어는 기술적으로 더 쉽고 빠르고 다양한 소통과 협력의 방법을 만들어낼 것이며, 더욱 다양한 집단지성의 발현을 촉구할 것이다. 그럴수록 소셜미디어 세대들은 그 매체에 의존적 성향을 띠게 될 것이다. 교회는 이러한 소셜미디어를 유익한 도구로서 세상과 소통을 통해 하나님의 사랑을 공유해야 한다. 또한 교회는 그 소통의 영역을 공동체 안으로만 한정시킬 것이 아니라 더욱 확장함으로서 공동체성을 강화시켜나가고, 긍정적 집단지성의 발현을 위한 다양성과 독립성을 확보함으로서 균형 갖춘 사회 참여를 이루어 갈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