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신문의 출판 기사 보도에 관한 연구 : 7개 중앙 일간지를 중심으로

        이이라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775

        국내 출판 보도는 북 섹션화 이후 많은 발전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신문 간의 차별성이 없고 서평 수준이 낮다는 등 여러 비판을 받아 왔다. 하지만 출판 보도에 관한 학계의 실증 연구는 상대적으로 매우 부족한 형편이다. 이 연구는 한국 신문의 출판 기사 보도의 특성과 신문사 간에 나타날 수 있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보고, 그 요인을 분석해 보려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P. J. 슈메이커(P. J. Shoemaker)의 게이트키핑 모델을 기본으로 삼아, 게이트키핑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뉴스 가치 분석과 함께 살펴보았다. 이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문제로는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 1] 국내 신문의 출판 기사는 유형과 내용에 있어서 어떠한 보도 경향을 보이는가? [연구 문제 2] 국내 신문의 출판 기사는 신문사 간에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나타내는가? [연구 문제 3] 국내 신문의 출판 기사가 드러내는 공통점과 차이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7개 중앙 일간지(<경향신문>, <동아일보>, <문화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한국일보>)의 출판 기사를 내용 분석하고 출판 담당 기자들과 출판인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했다. 각 연구 문제별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국내 신문의 출판 기사는 유형과 내용에 있어 어떠한 보도 경향이 있는 지를 살펴보았다. 출판 보도(북 섹션)는 스트레이트 기사인 신간 안내와 서평이 대부분이었고 출판계 현안이나 이슈 등을 다룬 해설 기사는 그 비중이 적었다. 기명 기사보다 무기명 기사가 많았으며, 담당 기자가 주로 작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부 필진으로는 교수/강사가 비교적 많았고, 이들은 주로 서평과 칼럼을 썼다. 기사 소재는 대부분 책 자체였으며, 책을 만드는 생산 주체인 저자/번역자/편집자, 출판사의 경우� 그 비중이 낮았다. 출판 기사의 주요 정보원으로는 책, 저자/번역자/편집자, 출판 유통업체 등이었다. 다음으로 신문사 간의 출판 기사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보기 위해 출판 보도의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서평과 1면을 분석하였다. 전체적으로 신문들 간의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우선 신문들은 공통적으로 사회과학과 문학 분야의 책을 많이 다루었다. 책의 주제 유형으로는 비소설, 소설, 인문학류가 많았다. 국내 저작물보다는 외국 저작물을 더 많이 다루었고, 그 결과 저서보다는 번역서가 더 많았다. 대부분 담당 기자가 서평 기사를 다루었으며, 그 다음으로 교수/강사, 연구원, 평론가 등이었다. 긍정적 기사이거나 중립적 기사가 대부분이었고 부정적/비판적 기사는 드물었다. 서평 기사의 뉴스 가치를 시의성, 저명성, 갈등성, 인간적 흥미성, 근접성 등을 통해 알아본 결과 신문들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뉴스 가치 요소는 일반적으로 다른 뉴스들에서 높게 나타남에도 불구하고 여기서는 뉴스 가치가 없거나 애매한 정도의 낮은 경향을 보였다. 2개 신문사 이상에서 다룬 책은 전체 서평 기사에서 다룬 책의 40%를 차지했다. 서평으로는 대형 출판사의 책이 비교적 많이 선정되었다. 1면에 실린 서평 톱 기사의 경우도 담당 기자들이 대부분 다루었다. 외국 저작물이 국내 저작물보다 많았으며, 이것은 전체 서평에서 다룬 외국 저작물의 비중보다 더 높았다. 1면 서평 톱 기사에서 신문 간의 중복되는 책은 1면에서 다루는 책의 20.8%를 차지했다. 1면 서평 톱 기사는 출판사 규모와 관계없이 차별화된 기획물을 내는 출판사의 책들이 주로 선정되었지만 대형 출판사들의 책들도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했다. 문학 및 예술, 세계의 정치·사회·경제 문제, 인문적 교양 등의 이슈를 다룬 서평이 많았다. 출판 기사가 드러내는 공통점과 차이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출판 담당 기자와 출판인과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알아보았다. 각기 다른 신문의 출판 담당 기자들의 게이트키핑 과정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출판팀은 비슷한 인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같은 게재일로 인해 비슷한 일정 속에 업무가 수행되었다. 기자들은 주로 출판사가 보낸 책과 보도 자료를 통해 정보를 수집했다. 기자들과 출판인들은 속보성으로 인한 신간 위주의 보도 방식, 부족한 인력, 한정된 출판 지면, 협소한 외부 필진층, 시간 부족 등이 서평의 수준을 떨어뜨리는 원인으로 들었다. 또 책의 선정시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는 책의 내용, 참신성, 책의 완성도 등을 들었으며, 국내 저작물에 더 비중을 두고 다루고자 하지만 실제로는 외국 저작물이 더 많이 기사화되었다. 북 섹션이 신문 간에 차별성이 없는 원인으로는 기자들의 비슷한 가치관, 신간 위주의 보도 방식, 동일한 정보 채널 등을 들었다. 위와 같이 한국 신문의 출판 기사 보도를 종합적으로 살펴 볼 때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대부분 신문들의 출판 보도는 기사 유형이나 내용에 있어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원인으로는 서로 다른 미디어 조직이지만 유사한 게이트키핑 과정을 거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슈메이커가 설명한 게이트키핑에 영향을 주는 요인, 예를 들어 기사의 마감 시간이나, 게재일, 기사 유형, 정보 수집 채널, 인적 구조, 기자의 가치관 등이 신문사들 간에 거의 비슷했다. 다만 편집 정책에 따라 일부 차이를 보이는 경우(내고와 외고 비율 등)도 있다. 또한 서평 문제의 원인으로는 속보성에 따른 신간 위주의 보도 방식, 부족한 인력, 한정된 지면, 취약한 외부 필진층 등이었다. 뉴스를 선정할 때 작용하는 뉴스 가치는 신문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시의성, 갈등성, 인간적 흥미성, 저명성, 근접성 등 뉴스 가치 요소들은 대부분 없거나 애매한 경향을 보여 주었다. 이는 출판 기사가 다른 뉴스와는 다른 차원에서 다루어져야 함을 간접적으로 보여 준다. 예를 들어, 일반 뉴스처럼 ‘속보성’ 등에 너무 얽매일 필요가 없다는 점이다. 결론적으로 한국 신문의 출판 보도는 신문사들이 북 섹션을 만들면서 많은 양적 및 질적으로 발전을 했으나 그 질적 수준은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게이트키핑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차원의 요인들이 좀더 나은 방향으로 변화될 때 질적 발전을 할 수 있으리라 본다. There have been significant developments in Korean papers' reports on books and the publishing industry since the start of the book sections. However critics attack the quality of the book reviews, saying that different papers deliver almost the same reports. There have been relatively few empirical studies on this issue so far. This study aims at finding out characteristic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Korean newspapers' reports on books and the industry and analysing various factors influencing these features. Based on Shoemaker's Gatekeeping Model, the study examined the effects on the gatekeeping process along with news value analysis. The followings are the questions this study tried to answer. [Question 1] What trend Korean papers follow in reporting articles on books and the publishing industry in terms of the format and contents? [Question 2] What ar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papers in their reporting? [Question 3] What a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reports? In oder to answer the above questions, this study analysed reports on books and the industry of Korea's 7 major dailies, which are Kyunghyang Daily, the Dong-A Ilbo, the Munhwa Ilbo,the Chosun Ilbo, Joongang Daily, the Hankyoreh and the Hankook Ilbo. The in-depth interview of the reporters and major publishers was conducted. The followings are what have been found in answering those questions. When it comes to the trend among Korean papers in reporting books in terms of the format and contents, it was concluded that most articles in the book section were straight ones and they were about new books and book reviews. The reports on issues of the publishing industry was small in their proportion. A larger number of articles was without by-lines and they appeared to have written by reporters in charge of the book section. Outsider contributions were mostly made by professors to book reviews and columns. Authors, translators, editors and publishers, who are responsible for book publishing, were major sources of news rather than the subjects of reports. Next, book reviews and front pages of the book section, which account for most reports on books and the industry, were analysed to find ou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mong articles of different papers and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ose reports were similar in that they dealt with books on social science and literature. Most frequently reported categories were fiction, nonfiction and the humanities. Translated books appeared more than Korean ones. Most book reviews were made by reporters followed by professors, researchers and critics. Majority of articles had positive and neutral tones and they were rarely negative and critica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papers when it comes to news value of articles when they were analysed in terms of timelessness, prominence, conflict, human interests and proximity. However these factors influencing news value were not found strong unlike in other news articles. 40% of reviews were about books appeared in more than two newspapers. Most books for review were those published by major publishers and reviews were made by reporters in charge of the book section. The proportion of translated work was higher than that of Korean books in the review section. Books reported in 20.8% of headline article on the front pages of the book sections was shown in more than two newspapers.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publishers, books that were made to be differentiated from others were most likely to make it to the headline of the book sections. But still, books from major publishers made up a significant proportion of book reviews. Literature, the art, global politics, society and economy as well as knowledge on the humanities were most frequently dealt with issues in book reviews. In an in-depth interview of reporters and publishers, those factors that influence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reports on books and the industry were identified. Reporters of different newspapers were found to follow similar gatekeeping proces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number of people in a team responsible for the book section nor in the deadline for articles, which meant they should follow the same schedule. Reporters collected information for their articles through books and materials provided by the publishers. Reporters and publishers cited 'new book oriented reporting,' lack of personnel, limited space of the book section, lack of outsider contribution and time constraints as the reasons that adversely affect the quality of book reviews. The contents, novelty and the level of perfection we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ecision of reporters in their selection of books for review. Despite the focus on Korean books, foreign works appeared more often in papers than Korean ones. The study suggested that reporters' similar value, 'new book oriented reporting' and the same information source made most book sections of different newspapers look almost the same. Based on the analysis of reports on books and the industry of Korea's major newspapers, it was concluded as followings. Most articles on books were almost the same in terms of their type and contents in different newspapers. Reasons for this was because reporters of different papers go through the similar gatekeeping process and the factors influencing gatekeeping process of Shoemaker's Gatekeeping Model also had no difference in different papers. These factors were the deadline of articles, the day of reporting, the channel for information collection, personnel structure and reporters' value. However, there were small difference in, for example, the proportion of reporter's contribution and that of outsiders depending on the policy of editors. 'New book oriented reporting,' lack of personnel, limited space of a book section, lack of outsider contribution were among the reasons suggested to adversely affect the quality of book reviews. News value, which determined the choice of a news item,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paper to paper. However, news value factors such as timelessness and prominence, conflict, human interests and proximity were found to be non-existent or it was hard to tell whether they exist or not. This meant analysis of reports on books required different approaches than that of other reports. For example, 'promptness' was not as crucial as it was in other cases. Korean newspapers' reports on books and the publishing industry have developed significantly in terms of its volume and quality. However, the quality of the reports leaves much room for improvement. With positive changes in the factors influencing gatekeeping process, the reports on books and the industry will see an improvement in their quality.

      • 독서 동기에 따른 도서출판 정보 이용 행태에 관한 연구

        이미혜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711

        책은 메시지의 내용이 갖는 사회, 문화적 역할 외에 도서의 판매에 따른 상품으로서의 역할도 충실히 해 낼 수 있어야 한다. 이것은 공공성과 기업성을 추구하는 출판 사업의 존립 기반이 된다. 하지만 오늘의 출판은 이 두 가지 역할을 다하기가 점점 어려워지는 환경에 놓여 있다. 다양한 매체와의 경쟁에 더하여 디지털 기술의 급격한 발달은 출판 환경 자체를 변화시키고 책과 같은 종이 매체의 대체제로서 작용하여 책의 존재를 위협하는 상황으로 발전하고 있다. 또 한국의 출판 시장 규모에 비해 지나치게 많은 출판사들이 경쟁을 가속화하는 상황은 베스트셀러 중심의 한탕주의식 출판과 상업성이 우선한 출판 기획으로 내 몰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현실에서 출판의 공공성과 기업성을 추구하는 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무엇일까? 그것은 독자 중심의 출판을 하는 것이다. 오늘의 독자는 점점 더 다양화되고 개성화 되어져서 보다 전문적이고 세분화된 독자 분석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이용과 충족 이론'의 기본 개념인 '수용자는 능동적이다'라는 이론 하에 만 18세 이상 성인 167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여 출판 매체를 능동적으로 수용하는 이들 독자의 독서 동기와, 같은 동기를 갖는 독자 집단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또 그러한 독자의 독서 동기가 변인이 되어 도서 수용 행위의 차이는 어떻게 나타나는지, 즉 도서 출판 정보 이용 행태의 차이와 동기에 따라 나타나는 독서 행태의 차이를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집단의 특성에 따라 세 개의 독서 동기 유형을 구분해 내었다. 이들은 긴장 완화의 동기, 자기 개발의 동기, 즐거움 추구의 동기이다. 독서 동기별로 나타난 도서 수용 행위의 차이를 동기집단별로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긴장 완화의 동기를 지닌 집단은 타 동기집단 보다 책을 적게 읽으며, 도서 구매량도 적다. 수필/명상집과 여행/레저관련 서적을 많이 읽으며 다른 집단에 비해 텔레비전을 출판 정보원으로 많이 활용하였다. 도서 구매 영향력도 방송의 광고와 베스트 셀러 요인이 타 동기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자기 개발의 동기를 지닌 집단은 타 동기집단과 비교할 때 독서량과 도서 구매량은 중간적 수준을 나타내며, 경제/경영, 자기 계발, 과학/기술/컴퓨터 관련 서적도 많이 읽는다. 이들은 다른 동기집단에 비해 신문을 출판 정보원으로 많이 활용하며, 신문의 책 기사에 의한 구매 영향력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즐거움 추구의 동기를 지닌 집단은 타 동기집단과 비교할 때 독서량과 도서 구매량이 가장 높으며, 인터넷 서점을 통한 도서 구매를 많이 한다. 문학, 역사/문화 관련 책을 읽는 비율이 타 집단 보다 높으며 출판 정보원으로 서점에 직접 가서 책에 대한 정보를 취하거나 인터넷 서점을 다른 동기집단 보다 많이 이용한다. 아울러 이들 정보원이 도서 구매에 미치는 영향력도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긴장을 완화하거나, 자기개발을 하거나, 즐거움을 추구하는 독서 동기를 지닌 독자 집단의 특성에 따라 독서량과 도서 구매량, 읽는 책의 종류가 차이가 나는 것을 말해준다. 또 독서 동기에 따라 책을 선택하기 위해 출판 정보원을 활용하는 종류와 정도에 차이가 나타나며, 이들 정보원은 도서 구매에 긴밀하게 연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독자의 욕구에 근접한 출판 기획과 개발을 하는 것 뿐만이 아니라 출판 홍보 및 마케팅 활동에 있어서도 효과적인 매체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하게 하여 지식 콘텐츠의 산물인 책이 독자에게 보다 적합하게 다가갈 수 있게 하기를 기대한다. Since books should be distributed, they should play the role as commodities in addition to their socio-cultural roles inherent in their messages. Such roles provides for a ground for the publishing companies pursuing the public interest and private profits to exist. Nevertheless, today's environment becomes more and more unfavorable for the publishing companies to play both roles. Needless to mention about the ever-fierce competition with other media,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digital technology serves to change the publishing environment itself, while threatening the existence of books by replacing them. Moreover, too many publishing companies compete with each other for the small market, while most of them attempt to make a big fortune at one stroke with a best seller, while planning their publications from a commercial viewpoint. Under such a circumstance, what plays the most important role in pursuing the public interest and commercialism? It is nothing other than the publication for readers. Today, readers become more diversified and individualized, which requires the publishing companies to analyze their readers in a more professional and careful way. This study aims to review readers' motives for read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aders with the same reading motives, based on the basic concept of the 'theory of utilization and fulfillment' or 'accommodators are active". To this end, 167 adult readers were sampled to be subject to a questionnaire survey.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s to determine how much different readers' reading behaviors are depending on their reading motives and how much readers' reading behaviors differ depending on their behaviors of using the publication information of books.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three different reading motives could be distinguished depending on reader groups' characteristics. They are motive for relaxation, motive for self-development and motive for amusement. The results of comparing reading behaviors among these group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group reading the books to be relieved of tension tends to read less books than the other two groups, buying less books. and they prefer to read the books such as essays, meditation, travel and leisure. Moreover, this group tends to rely on television for information sources, while being more influenced by the broadcasting advertisements and best seller images. On the other hand, the group who reads the books for self-development reads and buy books more or less compared with the other two groups, and they tend to prefer the books about such topics as economy/business administration, self-development, science/ technology/computer. They tend to rely more on newspapers for information source, being affected most by the book reviews carried on newspapers. The group reading books for amusement tends to buy the books most compared with the other two groups, especially through Internet. They like to read the books about literature, history/culture, and rely on the bookstores or Internet for information sources. Moreover, they tend to be influenced by these information sources m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readers' reading volumes, buying volumes and types of books favored differ depending on their reading motives: for relaxation, self-development or amusement. Moreover, depending on their reading motives, their information sources for buying books differ, and such information sources are closely related with their decision on buying books. Last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publication planning and development fulfilling readers' needs and development of effective media strategies for advertisement and marketing activities, and thereby, that the products of knowledge contents or books will be more familar with readers.

      • 데이터시각화를 위한 국내 경제지의 인포그래픽 활용 및 독자 만족도 연구

        서명숙 한양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11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nd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rrent use of infographics by Korean economic newspapers and subsequent customer satisfactions for data visualizatio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literatures were review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to examine and verify the level of customer satisfactions. 150 subjects were randomly selected among the residents of Gwanak-gu and Dongjak-gu in Seoul.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9 days from April 28th to May 6th, 2016. 145 copies were retrieved from a total of 150 questionnaires that were distributed. After excluding the insufficiently filled out copies, 139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using a statistical program, SPSS WIN 18.0. The empirical analysis led to several findings. Hypothesis 1-1, "Straight news stories, which are commonly delivered in a concise manner from various types of newspaper articles, are bound to bring positive impacts on readers'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was accepted (p=.000, ß =.182, t-value=3.202). Hypothesis 1-2, "Interview stories are bound to bring positive impacts on readers' satisfac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was not accepted (p=.802>.05). Hypothesis 1-3, "Light and essay-like stories from various newspaper articles are bound to bring positive impacts on readers'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was accepted (p=.001<.05). Hypothesis 1-4, "Commentary stories accompanied by graphics from various newspaper articles are bound to bring positive impacts on readers' satisfaction,"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accepted (p=.003<.05). After conducting ANOVA Analysis to analyze hypothesis 2, "Readers' perception on the use of infographics on newspaper articles may vary depending on the newspapers", it was found that readers display different perceptions on the use of infographics within the same newspaper. Consequently, hypothesis 2 was accepted. Hypothesis 3, "The use of infographics on newspaper articles is bound to bring positive impacts on readers' satisfaction", was also accepted. Hypothesis 4, "The impacts on readers' satisfaction by the use of infographics at newspaper articles" verified tha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partially adopted. Despite the readers' satisfaction on newspapers, however, the attractiveness of the newspaper market has been gradually deteriorated as the news consumers now have more access to newspaper articles for free through internet websites. This leads to prolonged stagnation where all indexes, including circulations, advertisement volumes, and subscription rates, to fall significantly. As analyzed by this study, it is clearly revealed that the application of infographics on newspaper articles delivers satisfactions to many readers. It is necessary for the newspaper companies to find a new strategy to overcome the current turbulent environment by fully utilizing infographics. 이 연구는 데이터 시각화를 위한 국내 경제신문 인포그래픽 활용 현황과 이에 대한 독자만족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문헌 연구와 설문지 분석을 통해 독자의 만족도를 확인하였다. 설문 대상은 서울특별시 관악구와 동작구에 거주하는 주민 150명을 임의로 추출하였다. 조사기간은 2016년 4월 28일부터 5월 6일까지 9일간이었다. 설문지는 150부 중에서 145부가 회수되었으며 응답 누락 등의 설문지를 제외한 139부를 통계 프로그램 SPSS WIN 18.0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가설1-1: 신문기사의 유형 중 간결한 스트레이트 기사는 독자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유의수준 p=.000, =.182, t-value=3.202로 나타나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 1-1은 채택되었다. ‘가설 1-2: 신문기사의 유형 중 인터뷰형 기사는 독자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유의수준 p=.802>.05로 나타나 기각되었다. ‘가설 1-3: 신문기사의 유형 중 가벼운 에세이형 기사는 독자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유의수준 p=.001<.05이므로 채택되었다. ‘가설 1-4: 신문기사의 유형 중 그래프를 이용한 설명기사는 독자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역시 유의수준 p=.003<.05이므로 채택되었다. ‘가설 2: 신문기사의 인포그래픽 활용 여부에 대한 이용자들의 신문별 인식은 다를 것이다’를 분석하기 위해서 ANOVA분석을 실시한 결과 소비자들은 같은 신문 내에서도 인포그래픽의 활용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가설 2는 채택되었다. ‘가설 3: 신문기사의 인포그래픽 활용은 독자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채택되었다. ‘가설 4: 신문기사의 인포그래픽 활용이 독자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구통계적 특성은 부분적으로 채택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신문에 대한 독자만족에도 불구하고 뉴스 수용자들이 온라인 포털을 통해 무료로 신문기사를 접하게 되면서 신문시장의 매력도가 점차 저하되기 시작하였으며 발행부수, 광고 규모, 구독률 등 대부분의 지표가 하락하는 등 침체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신문기사의 인포그래픽 적용은 많은 독자들에게 만족을 주고 있다는 사실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신문사들은 인포그래픽의 활용을 통해서 지금의 어려운 환경을 벗어날 수 있도록 새로운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 무기획득에 관한 신문매체의 보도성향 연구 : 차기전투기(FX) 도입사업을 중심으로

        박병진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95

        국방부는 한국 공군의 차기전투기(FX)로 미 보잉사의 F-15K를 선정했다. 우여곡절 끝에 2002년 4월19일, 기종결정 후 모두 8차례에 걸쳐 제작사인 보잉사와 추가협상을 벌여 42억2800만달러에 F-15K 전투기 40대를 구매하기로 최종 결정한 것이다. 이 글은 시간적 범위를 차기전투기(FX) 사업이 본격화된 2001년 2월부터 2002년 4월까지로 한정해 국가안보와 직결된 무기획득사업이 국민의 알권리 충족이란 측면에서 어떤 형태로, 어느 정도의 비중을 가지고 보도되고, 그 내용에는 어떤 것들을 포함하고 있는 지, 그리고 사업추진과정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내용분석을 통해 연구한 글이다. 더불어 분석기간동안 무기획득사업과 관련, 언론통제 및 언론의 보수성은 어떤 방식으로 작용했는지, 상관관계를 살폈다. 본 논문은 형식적인 측면에서는 동일한 주제에 대해 상이한 성격을 가진 세 신문의 보도태도를 '비교분석'하였으며, 내용분석의 측면에서는 '양적분석방법(quantative analysis)'과 '질적분석방법(qualitative analysis)' 모두를 사용하였다. 이처럼 내용분석 방법을 사용한데는 신문의 보도성향 분석에서 주로 사용되는 연구방법인데다, 이번 연구에서 각 신문별 보도성향을 자세히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FX사업은 단일 사업으로는 단군이래 가장 큰 무기획득사업이다. 무기획득사업으로는 1996년 이전까지 추진됐던 '율곡사업'이 잘 알려져 있으나 대부분 국가안보와 군사기밀이란 보호막에 가려 국민들에게 올바르게 전파되지 못했다. 이로 인해 언론에서도 안보논리에 밀려 보도를 자제하거나 아예 침묵으로 일관해온 게 사실이다. 물론 간혹 로비스트의 개입으로 불거진 무기획득 비리가 언론의 집중포화를 맞은 적은 있지만, 무기획득 전반에 걸쳐 사업진행과정이 실시간으로 일반에 공개되기는 매우 드문 일이었다. 이런 점에서 보면 FX사업은 무기획득과 관련된 언론보도에서 하나의 획을 긋는 사건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언론을 통해 보도된 FX사업은 기종소개와 사업추진과정의 단편적인 일정이나 각종 문제제기에 대한 해명수준에 그쳤으며, 구체적으로 외압설과 선정 잡음에 대한 투명한 대안 제시나 평가결과의 공개 등은 이뤄지지 않아 아직도 국가안보와 국민의 알권리 사이에 상당한 대치관계가 존재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서두에 제시한 분석틀을 가지고 각 신문별로 FX를 바라본 시각을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으로 나눠 분석함으로써 무기획득이란 사업과 관련한 신문매체별 보도성향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해 분석대상이 된 조선일보와 중앙일보, 한겨레신문은 모두 저마다의 논조를 통해 독특한 보도성향을 나타냈으며, 신문매체별 차별성을 확연히 드러냈다는 점에서 이채롭다. 특히 對北관련 보도에서나 나타날 법한 '보수'와 '진보'의 시각적 차이가 무기획득사업에서도 나타났으며, 조선일보와 한겨레에서는 상반된 성향을 확연히 구분할 수 있었다. 또한 이 같은 보도성향의 이면에는 '親美'와 '反美'가 자리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여기에 중앙일보 기사에서는 '보수'와 '진보'와는 또 다른 측면이라 할 수 있는 사업의 경제성과 결부된 쪽에서 보도가 이뤄진 사례도 찾아 볼 수 있어 무기획득사업이 지니는 여러 의미를 되새기게 했다. 실제로 이 같은 분석에 대해 국방부를 출입하는 해당신문 기자들은 일부 반론을 제기하기도 했으나 대부분 긍정적인 답변을 보였다. Ministry of National Defense(MND) decide Boeing's F-15K as Republic of Korea FX(Fighter Next) winner. After many complications, In April 19th 2002, MND had 8 negotiations with F-15K maker Boeing to decide purchase of 40 F-15 Ks with 422.8 million dollar. Time range of this article is between Feb 2001 to April 2002 when FX project was on full speed. This article increase analysis of reports, specific gravity which FX project get from the press, contents of stories, How it effect the process of FX project. Arms procurement effects security of nation for that it give citizens right to know. Also, during the time of analysis I will look for the mutual reations between press control and effect of the press conservativeness on FX. This paper has compare & analysis of three different paper's reporting attitude on same subject and contents analysis. I used quantative analysis and qualitative analysis. Reason for using these analysis method is, it is commonly use for press attitude analysis. Also it can find each paper's reporting attitude. FX project is the largest single arms procurement project of our country's history. On arms procurement area, 'Yulkok' project which was done before 1996, is well known by people but due to military secret block was set up. It blocked citizen's right to know. The press was on silence in front of national security logic. But there are few exceptions, when there were lobbyist scandal which has been criticized by reporters. It was very uncommon for MND to open all the information for FX thur every step of the process. This FX project became mile-stone for reporting of arms procurement. Although, reporters only can report fighter's capability, schedule of process and explanation of questions raised. specifically, outer pressure or noise from selection have not cleared. It never gave clear answer. It shows the confrontation between people's right to know and national security. This paper will analyze the attitude of report from each company by using quantative analysis and qualitative analysis on FX. Study of Chosen Ilbo, Joongang Ilbo and Hangyorae news has shown different tone of report, reporting attitude and character of each paper. Specially,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point a view which commonly comes out in N. Korea reports again came out in FX project reports. Chosen and Hangyorae shows different point a view. Also you can see 'Pro-America' and 'Anti-America' attitude is under this reports. And Joongang shows economical side of report which is different from any other. Some of some of the MND Press Corp members have disagreed on this analysis but mostly they agreed.

      • 신문간 의제설정 대립이 공론권 분열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 : 언론사 세무조사 이후 주요 신문들의 의제설정 사례를 중심으로

        최낙상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연구는 신문간 의제대립이 공론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이다. 인터넷과 영상미디어 발달에 따른 다매체 시대를 맞아 공론(公論)의 장(場)으로서 신문의 역할과 기능에도 큰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전통적으로 신문미디어는 의제설정 기능을 통해 공론의 장으로서 중추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2001년 김대중 정부의 언론사 세무조사와 언론개혁여론에 직면하면서 신문사마다 공론권 확보를 위한 의제설정기능을 자사 이념적 방어를 위한 도구로써 활용함으로써 '특정의제의 편중'에 따른 극단적인 의제대립으로 공론조성에 문제점을 드러냈다. 여기다 일반 시민단체와 지식인, 각종 이익단체들도 이념적 노선이나 지지언론에 따라 단체간, 또는 내부 구성원들까지도 서로를 적대시하는 등 남남갈등으로 발전해 국론분열과 공론권(公論圈) 붕괴위기에 직면, 심각한 정치적 사회적 가치혼란을 불러왔다. 정권이 바뀌어 노무현 정부에 들어서도 언론개혁은 여전히 일정한 방향이나 프로그램이 없이 세무조사 이후 설정된 사회적 이념지표위에서 갈등과 반목, 대립구조 속에 진행 중이다. 미디어의 기술적인 발전으로 다매체 시대가 열리면서 공론영역의 확산을 가져왔다. 그러나 여전히 신문은 기술미디어에 비해 시간적, 공간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가치미디어로서 존재의미를 뚜렷이 하고 있다. 이같은 신문의 존재의미를 새롭게 한 사건이 바로 2001년 언론사 세무조사를 출발점으로 하는 '언론전쟁'이다. 신문들은 치열하게 의제대립을 했고, 수용자들은 의제편중에도 불구하고 대립하는 매체의 의제에 더 관심을 보였다. 이는 매체의 존재이유 가운데 하나인 '무엇에 대해 생각할 것인가(What to think about)'를 제공하는 의제설정의 효과를 극명하게 확인한 것이라는 점에서 향후 매체 분화와 함께 대중들의 공론권 형성의 변화를 가늠하는 중요한 포인트가 될 수 있다 하겠다. 또, 신문간 의제대립이 한국사회 내부의 이념대립을 고착화하는 불행한 토대로 작용할 수도 있지만 언론학적인 측면에서 신문의 여론형성 기능을 새롭게 인식하는 기회가 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또 기술미디어에 주목하던 수용자들에게 뉴스가치 중심의 신문의 존재의미를 뚜렷이 함으로써 향후 한국 미디어 지형을 가늠하는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신문의 의제설정 사례를 유목별로 분류, 내용분석을 통해 의제대립을 유형화하고 객관적인 평가자료로 추출하였다. 조사 대상매체는 이념적 분류에 따라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을 정하였고, 세무조사 결과발표 시점인 2001년 6월 20일부터 검찰의 세무조사 수사결과가 발표된 시점을 전후한 동년 8월 20일까지로 잡았다. 본 연구를 통해 김대중 정권의 언론사 세무조사에 대해 조사 대상 언론들은 세무조사의 당위성에 수긍하는 언론사와 당위성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형태의 언론탄압이라며 반발하는 언론사 등 두가지 성격으로 대별되었다. 조사 대상으로 삼은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의 경우 세무조사에 대해 전혀 상반된 시각을 드러냈으며 이후 사안마다 동일한 의제를 설정하면서도 공격적 용어와 상반된 메시지로 대립, 치열한 의제공방을 벌였다. 두 신문의 이념적 성향에 따라 칼럼과 독자여론도 철저히 두 부류로 나뉘어졌으며 두 신문은 각각의 지지여론만을 자사 지면에 반영하는 의제 편중에 열중했다. 한겨레신문은 언론개혁진영과 함께 조선일보를 실명거론하며 개혁대상으로 지목했다. 이같은 의제대립은 언론개혁을 둘러싼 담론투쟁으로 이어졌고, 남북관계와 정치권 움직임까지 결합해 사회전반의 이념대립으로 발전하는 부작용을 낳았다. 이를 바탕으로 신문간 의제대립이 공론권 형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가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언론사 세무조사를 시작으로 언론개혁 담론투쟁이 본격화되었으며 담론투쟁은 신문간의 의제설정 대립으로 나타났다. 둘째, 언론사 세무조사에 대한 입장차이가 정치적 이념적 배경에 따라 언론개혁에 대한 '지지'냐 '반대'냐로 양분되면서 신문사이의 의제대립이 여론분열로 이어졌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수용자들은 신문간 대립하는 의제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나타냈다. 넷째, 하나의 매체가 공론의 장으로서 기능하기보다는 매체 스스로 공론참여자로서 공론권을 형성하고 있다는 점이다. 즉, 매체가 지향하는 이념적, 정치적 노선에 따라 '제한된 공론영역'이 생겨나고 이런 매체별 제한된 공론영역을 전체 공론화시키는 경쟁이 다매체 시대의 언론의 생존경쟁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언론개혁 담론투쟁이 시작되면서 정치권력과 언론의 전통적인 '유착'관계가 사라지고 언론사마다 정치적 이념적, 성격을 뚜렷이 하게 되었다. 여섯째, 다매체 시대에서 신문은 속보성이나 정보(fact)전달이라는 전통적인 언론기능보다는 가치(Value)판단을 통한 '분석'과 '해석'위주의 타 매체와 차별화된 매체특성이 드러났다. 이밖에 본 연구는 언론사 세무조사가 언론개혁 담론투쟁으로 발전, 나라 전체의 이념대결, '남남갈등'을 초래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김대중 정권의 '햇볕정책'으로 대표되는 남북화해 프로그램의 일환이라는 정치적 배경에서 출발했다는 점을 확인했다. 언론학적 측면에서는 신문의 의제설정 역할과 대중설득 효과이론을 재확인하는 기회가 되었다. 이와 함께 영상 및 전파, 인터넷 등 적어도 기술미디어에 의한 지배미디어의 등장 가능성은 크지 않으며 매체별 뚜렷한 특성에 따라 차별화된 매체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conflicting newspaper agendas on the public opinions. As Internet and video media develop, we greet a multi-media age when roles and functions of the newspapers as arena for public opinions are required to change. Traditionally, the newspapers have played key roles as arenas for public opinions by setting their agendas. However, as Kim Dae-jung's administration began to conduct a tax investigation on the press and therewith, the vernacular press faces a public opinion for reform of the press in 2001, each newspaper attempted to use their agendas as tools to defend themselves ideologically, and as a result, their biased agendas began to conflict with each other extremely, failing to form a public opinion. Moreover, various NGOs, intellectuals and interest groups antagonize each other by championing their ideological lines and supporting certain newspapers. Such intra-South conflicts were exacerbated to divide the public opinions and even collapse them, causing a serious chaos to the political and social value systems. When the new Roh Mu-hyun administration was inaugurated, the press reforms have been underway in no direction and with no certain programs. Thus, the ideological conflict, antagonism and confrontation still continue on the socio-ideological setting for the tax investigation on the press. Owing to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media, we enjoy a multi-media age, expanding the arenas for public opinions. Nevertheless, the newspapers are still established despite their temporal and spatial limits. The event which highlights the existence of the newspaper was nothing other than the 'press war' which started with the tax investigation on the press in 2001. Then, the vernacular newspapers confronted each other fiercely with their agendas, while readers were more interested in conflicting agendas despite they were biased. Such a confrontation provided for a clue to reflect on one of media's raison d'etre, namely 'what to think about', and therefore, it may well be an important point whereby we can review the changes of the public opinions as media are more and more specialized.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confrontation of agendas among newspapers might lead to an unhappy ending of consolidated ideological confrontation in the Korean society, it may act to reawaken us of newspapers' function of forming public opinions in view of journalism theories. Thus, the readers who pay more attention to the technological media may be reawakened of newspapers' raison d'etre, and therefore, they may be urged to think about the media topography in Korea in the future. With such backgrounds in mind, this study classified the newspapers' agendas according to their topics and thereby, analyzed their contents to categorize the conflicting agendas and suggest some objective assessment data. To this end, Chosun Ilbo and Hangyeore Daily were sampled, because their ideological lines were conflicting with each other most apparently, and thereby, their agendas set from June 20, 2001 when the results of the tax investigation were published to August 20, 2001 when the results of public prosecutors' investigation were announced were sampled. After all, one newspaper agreed to the legitimacy of the tax investigation performed by Kim Dae-jung's administration on the press, while another newspaper criticized it as new type of press oppression. In short, the sample newspapers Chosun and Hangyeore showed quite different viewpoints for the tax investigation, and thereafter, the two newspapers attacked each other with conflicting messages, although their agendas were same. According to the different ideological tendencies of the two newspapers, columnists' and readers' opinions differed widely. The two newspapers carried the public opinions supporting their positions only. Hangyeore Daily indicated Chosun as the newspaper to be reformed, garnering support from the progressive press. Such a confrontation of agendas led to the hot dispute centering around the reform of the press, and thereby, South-North relation and political policies were combined with the dispute only to develop an ideological conflict in the society at large. The effects of the conflicting newspaper agendas on the public opinion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ax investigation on the press ignited a dispute about the press reform, which in turn worsened the confrontation of the agendas between two newspapers. Second, as the public opinions about the tax investigation on the press were divided into 'support' and 'opposition' according to the politico-ideological backgrounds, the confrontation of the agendas between two newspapers led to the fission of the public opinions. Third, readers were more interested in the conflicting agendas between two newspapers. Fourth, media tended to participate in formation of the public opinions rather than lead the public opinions as arena for them. Namely, according to the politico-ideological line pursued by the media, 'a limited arena for public opinions' was formed, and thereupon, the competition to spread the limited arena for public opinions resulted in the competition for survival between two newspapers in the age of multi-media. Fifth, as the dispute about the press reform started, the traditional 'union' between political power and press began to disappear, and instead, each medium showed their own political and ideological nature clearly. Sixth, in the age of the multi-media, the traditional function of the press or speedy deliverly of facts begins to be replaced by differentiation from other media centering about 'analysis' and 'interpretation' based on judgement of values. It was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that the tax investigation on the press developed into a dispute about the press reform, which in turn led to confrontation of ideology across the nation and an intra-South conflict. In other words, the tax investigation seemed to start from the political background or South-North reconciliation program represented by the 'Sunshine Policy' of Kim Dae-jung's administration. In terms of journalism theories, this study provided for an opportunity to reconfirm newspapers' role of setting agendas and the theory of persuading the people. In addition, it was conceived that such technological media including videos, radios and Internet would not dominate the public opinions. That is, each medium is required to differentiate its roles according to its characteristics.

      • 종이신문과 신문사 닷컴의 이용 및 상호 작용에 관한 연구

        이경형 한양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연구는 전통적인 인쇄 매체인 종이신문과 뉴미디어시대의 인터넷 매체의 하나인 신문사 닷컴의 이용 및 상호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종이신문과 해당 신문사 닷컴과의 관계가 어떻게 설정되느냐에 따라 두 매체의 발전 전략이 달라질 수 있다. 인터넷 시대의 도래는 더 이상 종이신문이 독자적으로 발전할 수 없게 한다. 인터넷은 종이신문의 미래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 더욱 분명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주제 의식을 가지고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관련 문헌과 설문 조사를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문제1: 종이 신문과 신문사 닷컴의 이용 실태는 어떠한가. 연구문제2: 종이신문 또는 신문사 닷컴을 주로 이용하는 동기는 무 엇인가. 연구문제3: 종이신문과 신문사 닷컴의 컨텐츠 가운데 이용자들이 각기 선호하는 컨텐츠는 어떤 것들인가? 연구문제4: 종이신문과 신문사 닷컴은 상호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우선 종이신문과 신문사 닷컴 관계를 고찰하기 위해 ‘미디어 대체 가설’(Media Substitution Hypothesis)과 인터넷 사업 확장 전략(Designing Mature Internet Business Strategies) 모델인 ‘ICDT 모델’을 이 연구의 이론적 틀로 원용했다. 이 과정에서 종이신문과 닷컴과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종이신문을 읽고 또 신문사 닷컴도 이용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종이신문과 신문사 닷컴 간에는 다음과 같은 사실이 있음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종이신문과 신문사 닷컴은 두 매체가 수용자의 이용 측면에서 서로 대체되는 관계가 아니다. 이용 빈도 면에서 신문을 열독하는 사람이 신문사 닷컴도 많이 이용하는 추이를 보였다. 그러나 상관관계는 낮았다. 둘째, “신문사 닷컴은 종이신문의 이미지를 높여주고, 독자 확보에 도움을 준다.” “또 종이신문이 제기한 쟁점은 신문사 닷컴을 통해 토론이 확산 된다.” 이런 사실에 설문 응답자들이 대체로 동의했다. 이는 종이신문과 닷컴 사이에 나타나는 중요한 보완관계의 실마리가 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사실을 종합해 볼 때, 종이 신문과 그 신문의 닷컴은 상호 보완적 요소가 많으며, 온/오프라인의 보완 관계를 고도화시켜 나갈 때, 경제적 부가가치를 드높이는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종이신문과 신문사 닷컴 간의 이 같은 상호 보완 관계를 토대로 신문사 닷컴의 당면 과제를 풀어나가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할 수 있다. 첫째, 모기업인 종이신문사는 자회사인 닷컴을 종이신문사의 정보 인프라로 보는 시각이 필요하다. 당분간 경영상의 부담이 되더라도 인터넷 산업의 초기 시장 진입 단계에서는 투자가 지속되어야만 성장 단계 이후 투자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둘째, 인터넷 산업의 확장 추세 및 미디어 통합의 시대에 대비해 장기적인 안목에서 신문사 닷컴의 경영 비전을 수립해야 한다. 전통적인 인쇄매체인 종이신문사의 브랜드 파워도 이제는 닷컴과의 보완관계, 나아가 종이-닷컴 간의 결합을 통한 서비스의 고도화에 따라 크게 좌우될 것이다. 셋째, 종이신문과 닷컴이 공존하며 상호 보완적인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인쇄매체와 인터넷 매체로서 각기 독자적인 영역을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종이신문과 신문사 닷컴이 미디어 통합 차원에서 결합하기 전까지는 보완 관계를 지속시켜 나가야 한다. 결론적으로 종이신문과 닷컴 간에 보완관계를 고도화시켜 질적으로 높은 수준의 정보를 미디어 이용자에게 서비스하지 않으면 신문 산업의 미래를 담보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usage and influence between newspapers, the traditional print media, and their corresponding internet-based dotcom journals. The nature of the interrelation determines development strategies of each medium. The advent of the internet age has made it impossible for the printed journals to advance on their own. It is increasingly apparent that internet will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future of the newspapers. With this understanding, this study has developed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nd these questions were examined through studying relevant articles and conducting a survey. Research Question 1; What is the actual usage of newspapers and their dotcom counterparts ? Research Question 2; What are the motives behind users' inclination toward one medium over the other? Research Question 3; Between contents of newspapers and dotcom journals, which of the contents do users prefer? Research Question 4; How do newspapers and their dotcom counterparts influence each other? First, to study the relation between the printed journal and the corresponding dotcom journal, a media substitution hypothesis and the ICDT model, designing mature internet business strategies, are used as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is research. To empirically test the relation between newspapers and their dotcom counterparts, a survey was conducted on people who both read printed dailies and dotcom journals. As a result, following facts have been found. Print newspapers and their dotcom counterparts are not substitutable to each other. The facts revealed that the 책relation between reading print newspapers and accessing their online news sites was very low. Second, dotcom newspapers strengthen the brand image of their print counterparts and help acquiring subscribers. Furthermore, dotcom journals enable a live public discussion of issues that their traditional newspapers raise. Respondents of the survey generally concurred with this statement. The implication of such results could be that a complementary relation exists between newspapers and their online counterparts. By synthesizing these findings, it can be inferred that offline newspapers and their online counterparts have numerous complementary factors to each other. Also, by strengthening these factors, it is expected that a synergy could be gained. Based on this view, the study provides three suggestions which are helpful to solve the problems that online newspapers face. First, newspapers should view their affiliated online dotcom journals as information infrastructure. Second, a management vision of online dotcom journals need to be developed in a long-term viewpoint with regard to the expansion of e-business and the trend of media convergence. Third, the print press and the internet medium need to develop their own original domain in order to coexist in a complementary interrelation.

      • 전자책 창업 동기와 지속과정에 대한 사례연구

        강은영 한양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연구는 전자책 출판의 성공사례들을 대상으로 창업 동기와 지속 과정을 분석하였다. 창업가의 개인적 특질과 개인적 환경이 창업 행동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창업가는 출간하고 싶은 전자책을 지속적으로 낼 수 있다는 내적 보상과 발간한 전자책이 시장에서 인정받아 회사를 경영하게 해주는 외적 보상을 바탕으로 창업 활동을 유지하게 된다. 전자책 전문 출판사 여섯 개 업체를 사례 분석한 결과, 창업에 큰 영향을 미친 개인적 특질로서는 성취욕구, 내적 통제, 위험 감수 성향 등이었으며, 개인적 환경으로는 직장 생활 경력과 인맥 네트워크 등이었다. 창업 시점의 사업 환경 역시 영향을 미치는데, 디지털 기술 환경의 변화와 다양한 전자책 유통사 확대 등이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창업 동기로 작용하는 세 가지 요소들이 바탕이 되어 전자책 출판 창업자는 창업행동 첫 단계에서 사업 아이디어와 목표를 설정한다. 또한 경영 활동에 대한 내적·외적 보상을 평가함으로써, 사업 아이디어와 목표 설정을 재조정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고, 이렇게 하여 창업 행동을 지속시켜 나가게 된다.

      • 한국 신문의 오피니언칼럼 운용실태와 질 제고 방안 :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를 중심으로

        배인준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95

        한국의 주요 종합일간지들은 사내외 필자들의 의견과 주장을 담은 오피니언칼럼을 신문의 역할과 연계시키면서 중시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실제로 오피니언칼럼들은 정치 경제 사회 등 여러 분야의 이슈들에 대한 여론의 수렴 및 형성, 의제설정, 정책적 의사결정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고 관찰된다. 이 같은 오피니언칼럼의 역할과 영향력, 그리고 칼럼을 게재하는 신문의 역할과 영향력을 함께 감안할 때 각 신문의 칼럼 운용주체들과 칼럼니스트들은 영향력에 상응하는 책임의식을 가지고 칼럼의 질적 수준을 높이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본 연구는 이 같은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점에 주안을 두어 진행됐다. 연구문제 1: 신문 오피니언칼럼의 필진은 어떤 사람들이며, 오피니언칼럼의 필자와 주제는 누가 어떻게 선정하는가? 연구문제 2: 오피니언칼럼은 각 신문의 논조와 어떤 상관관계를 갖는가? 연구문제 3: 신문의 바람직한 역할과 관련하여 오피니언칼럼 운용상에 개선할 점은 무엇인가? 연구는 국내 신문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여론형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절대적이면서 오피니언칼럼 운용의 유형을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3개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연구방법으로는 선행연구들이 주로 채택했던 내용분석도 병행했지만, 그보다는 3개지의 편집인 주필 논설주간 등 오피니언칼럼 운용의 책임자들에 대한 심층면접에 주안을 두었다. 이를 통해 오피니언칼럼을 둘러싼 실체적이고 실제적인 문제들을 살펴보고 그 개선방안에 접근하고자 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오피니언칼럼의 필자로 사내 필자보다 사외 필자에 의존하는 정도가 다소 높고 사외 필자의 교수 편중현상도 지속되고 있지만, 필자를 다른 직종·여성·외국인 등으로 다변화하려는 노력이 강화되는 등 변화의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신문이 퍼블릭 오피니언의 공간을 넓혀가기 위해서는 사외 필자를 더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도 있다. 신문들은 필자 선정에 있어서 비판성, 뚜렷한 주의?주장, 필력 등을 중시하고 있으며 필자의 세대교체도 적극적으로 시도하고 있다. 칼럼의 주제에 있어서는 정치 우위가 여전하지만, 경제 경영 과학 문화를 비롯하여 건강 자연생태 등에까지 확장되는추세를 보이고 있다. 둘째, 각 신문의 오피니언칼럼 운용주체들은 칼럼과 신문 논조 사이의 상관성을 대체로 부인하지 않았다. 이는 ‘칼럼도 신문의 의제설정 기능 및 정책유도 기능을 강화하는 한 요소’라고 보는 관점이 반영된 결과로 파악된다. 또한 사외 필자가 쓰는 칼럼이라 하더라도 이를 게재하는 신문의 ‘컬러’와 연계해서 받아들이는 ‘칼럼에 대한 독자들의 인식경향’과도 무관하지 않다. 한편 각 신문의 칼럼 운용주체들은 이슈에 따라 신문 논조와는 상관없이 다양한 의견을 독자들에게 전하려는 노력도 병행하고 있다. 그러나 보다 폭넓게 ‘反論 칼럼’ 또는 ‘對論 칼럼’을 소화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셋째, 신문 칼럼이 갖고 있는 영향력과 독자들이 바라는 역할을 감안할때 국가 및 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와 이슈들에 대한 보다 깊이 있고 정합성 있는 고품질의 오피니언칼럼이 요망된다. 그런 점에서 오피니언칼럼이 총론적 원론적 주제에서만 맴돌지 않고, 보다 구체화되고 각론화될 필요가 있다. 또 칼럼의 주제와 내용에 있어서 세계문제를 ‘한국화’하려는 노력이 강화돼야 한다. 한편 오피니언칼럼을 자신들의 이익 추구를 위한 여론조작의 도구로 이용하려는 정부나 단체 등의 시도에도 엄격하게 대응해야 한다. 필자관리 측면에서는 사외 필자에 대한 냉철한 검증과 우수 필자에 대한 지원, 사내의 전문 칼럼니스트 발굴 및 육성을 위한 제도적 접근이 필요하다. 아울러 사내외 인사들로 구성된 칼럼검토평가위원회를 운영해 칼럼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자료와 방안들을 축적하고 활용할 필요가 있다. Korea's major newspapers tend to attach importance to opinion columns where they put internal and external opinions and ideas by relating it to the enlargement of their roles. Many opinion columns seem to hav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on collecting and creating public opinions about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issues and developing and deciding policies. Considering roles and influence of the opinion columns and those of the newspapers that are carrying them, those who are in charge of choosing columns and columnist need to make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columns with sense of responsibility corresponding to the influence of their columns. With this as a starting point, this study focuses on the following three questions: Question 1: who are these columnists, who are often called "opinion leaders," and how are they and the topics of their columns selected? Question 2: What correlations are there between the columns and the general tone of the newspapers that carry them. Question 3: For the cause of promoting the desirable roles of newspapers, what can be improved for opinion columns and what should be their goals? This study has been done mostly based on the three major Korean newspapers- the Dong-A Ilbo, Chosun Ilbo, and JoongAng Ilbo- which exert an unparalleled influence combined over the domestic newspaper industry and are regarded to provide best practices for the operation of opinion columns. Methodologies used for the study include actual analysis of the columns, which has been selected as a main method in the similar studies. However this study focuses more on in-depth interviews with managing editors, and editors in chief, who are in charge of the operation of the opinion columns. With this approach, the study aims to identify substantive and actual problems in the process of choosing and printing the opinion columns and to find solutions to them.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utside writers hold a slight lead in numbers over insiders as columnists and professors still take up a majority of those outside writers. But there is a growing tendency to diversify columnists into non-professors, women and foreigners. In order to become more of forum of public opinions, newspapers need to devote more of their space to outside columnists. Newspapers are promoting generational transition of columnists by emphasizing pursuasive criticism, clear logic, and writing skills in selecting their columnists. When it comes to topics, politics is still the most frequent theme for the opinion columns, but topics are growing more and more diverse including health and environment as well as economy, business, science, and culture. Second, those who are in charge of managing opinion columns do not deny correlation between the tone of columns and that of the newspapers. This reflects the standpoint that the column is an element to strengthen the newspaper's ability to develop and lead public agenda and policy. Even when a column is written by a external person, readers tend to relate the external opinion to the color of the newspaper that is carrying the column. Depending on issues, those who are collecting columns on newspapers try to provide various opinions to their readers. However, they need to provide space where opposite opinions and debates on the paper also can be printed. Third, considering influence of the newspaper column and its roles that readers desire for, newspapers need to improve their opinion column to present deeper, more specific and higher quality opinions on national and social issues. In order to achieve it, opinion columns need to be more specific and go into details rather than taking about theoretical and general things. There should be an effort to "koreanized (localized)" topics and contents of columns if they are about international issues. Newspapers need to cope with the government or various organizations trying to use opinion columns as a tool for their own interests. In terms of columnist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have systematic approaches to select external columnists, support expert columnists and develop internal columnists. It is also required to run a 'column review and evaluation committee' composed of internal and external people to accumulate materials and methods to improve the quality of columns.

      • 한국 新聞 가로짜기 編輯패턴 硏究

        안정배 漢陽大學校 言論弘報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9695

        1999년 국내 일간신문 역사에서 가장 큰 변화 중의 하나는 세로짜기 신문이 사라졌다는 것이다. 종래 세로짜기 시절의 국내 일간신문 편집패턴은 일본신문의 세로짜기 편집이론을 그대로 원용한 것이었다. 한국 일간신문의 가로짜기 편집패턴은 이제 걸음마단계로 시행착오를 거듭하며 󰡐한국식 틀󰡑을 정립해 나가고 있다. 본 논문은 일간신문의 한국식 가로짜기 편집이론을 새롭게 정립하고 바람직한 정형을 찾는 데 목적이 있으며, 국내 가로짜기 신문의 1999년 현주소도 아울러 살펴보았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硏究問題 1. 각 신문의 가로짜기 편집에는 어느 정도 차별성이 있는가? 硏究問題 2. 우리 나라 신문의 가로짜기 편집방식은 美國신문(N.Y.T.나 W.P.)이나 유럽신문의 가로짜기 방식과는 어느 정도 차이점이 있는가? 그리고 어느 정도 유사점이 있는가? 硏究問題 3. 종합1면의 레이아웃 구성요소의 분석을 통해󰡐한국식 레이아웃 패턴󰡑을 정형화한다면 어떤 형식이 될까? 이러한 연구 문제들을 서울서 발행되는 중앙 일간신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종합1면 레이아웃 패턴 정립을 위해 조선일보 동아일보 한겨레 중앙일보 한국일보 매일경제 등 6개 중앙일간지를 대상으로 종합1면 지면의 편집의 제 요소(제목, 사진, 박스, 그래픽, 레이아웃)들을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첫째, 중앙 일간지간의 가로짜기 편집의 차별성은 일부 부문에서 나타났다. 뉴스면의 段線은 조선일보와 경향신문에서 사용하고 있었다. 제호는 모든 신문이 가로쓰기로 바꿨지만, 세계일보는 세로쓰기 제호를 유지하고 있었다. 제호의 위치는 지면 맨위 중앙이 많았고 일부 신문이 지면 맨위 오른쪽에 배치했다. 대부분의 신문들이 블록편집을 선호하고 있으며, 조선일보는 뉴스면에 흘림편집을 시도했다. 지문컷은 대부분 세로폭 1㎝안팎의 작은 컷만 쓰고 있으며, 세로제목은 거의 안쓰고, 일부 박스기사에서만 한줄 제목으로 가끔 쓸 뿐이었다. 둘째, 국내 중앙 일간지와 歐美신문의 가로편집에서 유사점과 차이점을 알 수 있었다. 세로제목 안쓰기, 지문컷은 세로폭 1㎝안팎은 작은 것만 사용, 블록편집 경향, 컬러 사진과 그래픽을 중시하는 비주얼 편집 등은 국내 일간지와 구미신문의 공통된 현상이었다. 段(컬럼)수는 국내신문이 7단 위주였고, 구미신문은 6단과 8단 등 다양했다. 광고의 크기를 살펴보면 국내신문은 세로짜기 시절의 관행이 남아 신문 지면 가로폭을 꽉 채우는 󰡐통광고󰡑가 대부분이었고, 구미신문은 기사 단수에 맞춘 2~3단의 길쭉한 광고가 많았다. 또 구미신문의 종합1면에는 광고를 게재하지 않거나 크기가 작았다. 이러한 광고의 차이로 국내신문은 구미신문과 비교하면 기사지면이 옆으로 퍼져 보이게 된다. 신문 판형도 국내신문은 모든 신문이 大版이고, 구미신문은 길쭉형이 많았다. 이는 국내신문들이 판형 변화를 시도할 여지를 보여주는 것이기도 했다. 셋째, 국내 중앙 일간지 6개 신문의 종합1면 레이아웃을 비교 분석한 결과 조사기간중의 신문별 차별성이 나타났다. 제호 바로 밑의 레이아웃의 가장 큰 특징은 헤드라인 충돌을 피하는 경향이었다. 2단 이상의 제목과 󰡐2단 이상의 제목󰡑이 옆으로 나란히 서는 헤드라인 충돌을 회피한 지면이 전체 조사 대상의 82.2%를 차지했고, 신문별 차이도 뚜렷했다. 즉 동아일보는 헤드라인 충돌 기피 원칙을 100% 지키고 있었고, 조선일보는 가장 낮은 60%로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뉴스면의 段線 채택으로 제목과 제목을 선으로 막아준 때문이었고, 뉴스면의 긴장감을 조성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제목충돌이 잦으면 지면이 어지러워 보이고 독자가 읽기에 불편한 점도 생긴다.󰡐제목충돌 회피󰡑원칙을 어떻게 융통성을 갖고 지면에 반영하느냐 하는 것은 가로짜기 편집의 최대 과제중의 하나이다. 톱기사는 제호 바로 밑 왼쪽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았고, 왼쪽톱 유형은 3단톱이 42.2%, 4단톱이 33.3%의 順이었다. 기사 지면의 펑퍼짐함을 막아주기 위해 세로통단을 활용하고 있는데, 세로통단은 동아일보가 가장 많았다. 종합1면에 2단 이상 사진은 대부분 1개씩 쓰고 있었다. 2단 이상 메인사진의 위치는 동아일보와 한국일보가 조사대상 15일치 지면 중 13일치가 제호 바로 밑(기사 맨위)에 있었다. 제목충돌 회피의 결과였다. 비주얼 편집 경향을 말해주는 그래픽의 숫자는 중앙일보와 매일경제가 많았다. 이러한 종합1면 레이아웃 분석을 통해 한국식 종합1면 편집패턴을 정형화해 보았다. 7단(컬럼)제를 기준으로 종합1면 레이아웃 유형을 331형, 313형, 322형, 34형, 43형, 412형, 232형, 133형 등 대표적인 패턴 19가지로 구분하여 보았다. 구미신문과 달리 가로짜기 역사가 일천한 국내 일간신문의 가로짜기는 독자들에게 읽기 쉽고, 보기 좋은 지면을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춰 지속적인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가로짜기 편집에 관한 본연구는 전면 가로짜기 이행 초창기의 흐름을 분석하였기 때문에󰡐한국식 가로짜기 신문편집 이론󰡑을 확고하게 정립하기엔 미흡했다고 생각된다. 앞으로 국내 일간신문들의 지면 개선 노력과 함께, 제목충돌 현상과 한줄짜리 세로제목 사용 등에 대한 독자의 가독성 및 반응 조사, 신문 判型의 변화와 광고 크기의 다양화에 대비한 새로운 편집 패턴 정립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가 요구된다.

      • 한국신문의 윤전인쇄기 도입 변천에 관한 연구 : 동아일보와 조선일보를 중심으로

        김영필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95

        그 동안 한국의 신문은 성장에 성장을 거듭해 왔다고 할 수 있다. 다양한 신문의 창간에서부터 시작하여 증면, 정보의 다원화․신속화, 그리고 지면의 다양한 서비스 등이 끊임없이 이뤄져 왔다. 그러나 아직도 국내 신문은 선진 서구 신문들과 비교할 때 국제적인 질적 수준에서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는 게 사실이다. 그 원인은 다양하나 대표적인 예가 신문사간 질적인 경쟁보다는 양적인 과당경쟁을 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 시점에서 한국 신문의 발전을 위해서는 신문업계의 이들 고질적 병폐들에 대한 다각적인 자구개선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그 노력 방향으로 다른 부문은 여기서 논외로 치더라도 한국언론의 신문제작시스템 ‘신문제작시스템’은 전자편집․조판 체제인 CTS(Computerized Typesetting System), 제판, 쇄판, 인쇄․발송시스템 등으로 구성된다(정희준, 1997)., 그 중에서도 인쇄시스템에 대해 주목할 필요가 있다. 신문사와 인적구성원이 아무리 좋은 신문, 좋은 상품을 만들려 해도 인쇄시스템에 문제가 있으면 이는 불가능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내 신문들의 언론환경 변화에 따라 신문 상품의 직접적 생산수단이기도한 윤전인쇄기의 확충이 어떤 의사결정 과정을 거쳐 어떻게 이뤄지고 있고, 도입선(導入線)은 어디인지, 그리고 효율적으로 가동이 이뤄지고 있는지 등을 살피는 연구작업들이 진행돼야 한다는 것은 당연하다. 바로 이러한 시대적인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이 연구는 특히, 신문 윤전인쇄기의 도입에 따른 역사적 변천과정을 살펴보고, 그 의미를 찾고자 했다. 본 연구논문의 진행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해 냈다. 첫째, 두 매체를 포함한 국내 신문업계가 보유하고 있는 윤전인쇄기는 거의가 외국으로부터 수입․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이 같은 외국산 인쇄기기 및 기술의존에 대한 종속화가 날로 심화되고 있다. 이에 관한 한 일제(日製)시대는 계속되고 있는 셈이다. 둘째, 신문들이 윤전인쇄기를 도입하는 이유와 배경에는 독자와 광고시장 등의 수요 발생에 의해서도 비롯되지만 한편으로는 매체의 무한경쟁에 의한 사회적 분위기 및 매체간의 무한경쟁심리에서 비롯됐다고 볼 수 있다. 이로 인해 일부 신문의 경우 무분별한 과잉시설투자가 이뤄졌고 그에 따른 경영부실, 자본잠식으로까지 이어지는가 하면 심지어는 법정관리에 들어가거나 도산 사태까지 이르는 등 각가지 부작용들이 유발되고 있다. 셋째, 윤전인쇄기의 도입에 따른 변화는 신문사의 공무국 조직체계의 변화는 물론 신문지면 및 발행 부수의 증감에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각 매체들은 윤전기의 보유대수와 신문의 발행 부수를 놓고 사세(社勢)를 과시하는 잣대로 서로 이용하기도 한다. 이 과정에서 여러 가지의 부작용도 나타나고 있다. 넷째, 첨단 인쇄설비의 도입과 함께 각 매체에서는 앞다퉈 지방 분공장을 경쟁적으로 설치함으로써 당장은 신문제작과 배포시간이 단축을 가져오면서 지역간 정보의 갭(gap)을 줄여주는 효과를 얻기도 했다. 그러나 이 같은 중앙지들의 과도한 지방 분공장은 특히, 전국 일일생활권의 고속철(高速鐵) 시대를 맞아 또 다른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지방신문업계에는 여전히 위협적인 존재가 되고 있다. 다섯째, 그 동안 한국의 신문들은 신문기업으로의 고속성장을 해 왔다. 그러나 그러한 성장의 이면에는 신문의 합리적 경영에 의한 성과물이라기보다는 권력(정부)과의 권언유착과 각가지 불공정행위 등에 의한 성장측면이 더 컸다고 할 수 있다. 여섯째, 디지털 인쇄시대의 도래 등 신문시장과 제작환경은 급변화하고 있는데도 신문제작에 있어서 정작 중요한 기반시설이라 할 수 있는 신문용 인쇄기기의 국산화 대체 및 개발연구에 대한 노력과 투자는 모두가 손을 놓고 있는 실정이다. 세계신문시장을 대상으로 인쇄기계를 제작보급하고 있는 선진국들의 경우 IT기술 등 신테크놀러지를 윤전인쇄기에 도입, 기능과 성능 등을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시키는 끊임없는 연구개발들이 이어지고 있다. 이와 함께 인쇄기계를 생산, 수출하는 국가간 또는 제작사들 사이의 M&A 등도 이뤄지는 등 이 분야의 환경도 급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계기로 국내 신문제작시스템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함은 물론 인쇄종주국으로서의 명예회복과 그리고, 미래의 신문을 대비하기 위한 차원에서 신문업계와 일반 인쇄업계 및 인쇄기계제작업계는 물론 학계와 정부차원의 종합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한 때라고 여겨진다. So far, vernacular newspapers have continued to grow. While a variety of new newspapers have entered into the market, the existing newspapers have continued to increase their pages, diversify news sources, herald the news more quickly and diversify the page layouts. Nevertheless, our vernacular newspapers are still less competitive in terms of international quality standard indeed, compared with advanced nations''. The causes for such a weak competitiveness seem to be diverse, but one of the most plausible ones may be the excessive competition not for quality but for quantity. At this juncture of time, it is deemed required of our newspaper companies to make efforts to improve the chronic problems in order to develop the journalism in this nation. In this vein, it may well be necessary to review the vernacular newspaper production systems, particularly, the printing system. However hard a newspaper company and its staff may endeavor to make a good newspaper, they could not make a good newspaper without a good printing system. Therefore, it may well be necessary to review the decision-making procedures for introduction of the cylinder presses, their suppliers and operational conditions in consideration of the changing environment for vernacular newspapers. In line with such efforts, this study aimed to review the history of the cylinder presses and their implications for development of the vernacular newspapers on the assumption that the printing system may be the most basic means of producing information commodities or newspapers. This study was concluded as follows; First, the two sample dailies - Dong-A Ilbo and Chosun Ilbo- imported their cylinder presses from foreign suppliers, thus being more dependent on the foreign or Japanese suppliers and their technologies. Metaphorically, as far as the newspaper production system is concerned, the Japanese colonial rule has not yet ended. Second, the dailies are operating the cylinder presses partly because they should meet the demands from readers and market but primarily because they are subject to the unlimited competition among media or the social atmosphere thereof. Thus, many newspapers have invested recklessly in their production facilities only to make their financial conditions worse or their capitals diminished, and some of them have come to be managed by court or gone bankrupt. Third,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changes due to introduction of the cylinder presses, it was found that they have not only affected not only the organization of the printing bureaus but also served to increase the newspaper pages as well as the number of copies. Often, whether a newspaper company owns a cylinder press or not is a scale of its journalism power. Of course, there have arisen various side effects. Fourth, vernacular media have competed with each other to establish printing branches in provinces only to reduce the time for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newspapers and thereby, narrowed the gap of information between regions. However, such printing branches may act as risky factors for management because they are overinvested in the age of high speed electric trains. Fifth, our newspapers have rapidly grown as journalism enterprises. However, such a rapid grown may have been attributable to a connection between political power and journalism and an unfair competition among media rather than a reasonable management. Sixth, while the newspaper market and production environment are rapidly changing as shown in the examples of digital printing or electronic paper, few studies have been focused on the printing machines for newspapers, much less investments in them. As for the advanced nations who are producing and supplying the printing machines to the world newspaper markets, they have continued to research into and develop new printing technologies such as IT technology only to upgrade their functions and performances. On the other hands, the printing machine manufacturersexporters continue to be merged and acquired, changing their industrial environment. Last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help to awaken our journalism community of the newspaper production system and thereby, encourage not only newspaper companies but also ordinary printing companies and press manufacturers to join hands with the academic circle and government to arrange some comprehensive measures for futuristic newspapers and thereby, reinstate our printing suzera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