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러시아와 한국의 도시 디자인 코드에 따른 공공디자인 사례연구 : 모스크바/상트페테르부르크 및 서울/부산의 공공시각매체를 중심으로

        마리아, 폴리아코바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831

        편안한 도시 환경은 인간의 삶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도시는 역동성과 미래 지향성, 자기실현 및 창의력을 가진 사람들을 끌어들이며, 도시의 거리 배치와 디자인은 도시 환경의 이미지와 사람들과의 의사소통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도시의 외관은 환경과 인간 사이를 기반으로 한 상호작용의 결과이며 그 영향은 문화적, 정치적, 사회적 측면을 결합하여 특정 이미지를 만든다. 도시의 미적, 경제적 매력과 쾌적함을 높이기 위해서는 효과적이고 통합적인 디자인을 통해 전체적인 이미지 변화를 위한 노력이 요구되며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효과적 방법 중 하나는 도시 디자인 코드의 적용이다. 도시 디자인 코드의 적용은 ‘도시 대 인간’ (city-to-people) 커뮤니케이션과 효과적인 시각적 정보 체계로 문제를 해결하고 도시 자체의 매력을 높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러시아 4개 도시의 공공디자인을 분석하고, 이를 보존하기 위해 정부가 취한 행정적 조치와 도시 디자인 코드 원칙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 및 분석을 할 것이다. 또한 도시 디자인 코드의 개념 소개와 규정 및 요소, 현대 도시 공간에서의 시각적 방해요소 감소에 대한 긍정적 영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 할 수 있었다. 첫째, 모스크바의 경우, 도시 디자인 코드 적용 결과 공공시각매체의 타이포그래피, 형태 및 색상 계획의 통일성이 증가하고 시각적 방해요소의 수준이 감소하여 도시의 이미지가 개선되었다. 둘째, 서울에서는 여러 가지 디자인 가이드라인이 적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서울시 차원의 공공시각매체의 통제가 이루어지지 않아 공공디자인 이미지의 개선이 미약했다. 따라서 시각적 방해요소 수준이 증가했고 도시 이미지의 혼란도도 높다. 셋째, 상트페테르부르크와 부산시는 도시 디자인 코드를 적용하지 않은 도시였기 때문에 통합된 공공디자인의 부족과 관련된 몇 가지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공공시각 매체에 어울리지 않는 타이포그래피와 통일감 없는 도형 및 색상의 사용은 도시 이미지의 통일성을 떨어뜨린다. 도시 디자인 코드에 따른 공공디자인 분석을 바탕으로 향후 도시 공공디자인 발전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적용 및 활용에 대한 제안을 할 수 있다. 첫째, 본 논문에서 실시한 설문조사 및 통계 결과를 바탕으로 공공시각매체 디자인 규제를 위한 규칙 개발의 근거를 확보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주로 도시의 역사적 중심지에 초점을 맞추었으므로 사례연구의 결과는 도시의 다른 지역의 공공디자인 상태를 분석하기 위한 토대가 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통계와 여론을 통해 차후 가장 효과적인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개발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다. 셋째, 도시의 공공디자인 현황을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도시 관계자들이 신속하게 문제점을 인식하고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을 파악해 추가적인 개선이 가능하다. 도시 디자인 코드 규칙 준수는 완전한 관리 수준에서 모니터링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는, 대학의 교과과정에서 디자인 관련 전공 수업 시, 공공디자인과 공공시각매체의 그래픽 요소 및 도시 이미지와 구성원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시각적 방해요소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었으며, 앞으로는 공공시각매체의 그래픽 요소 – 타이포그래피, 형태, 색상 계획을 규제하는 과감한 조치가 필요하다. 도시는 나라와 문화의 얼굴이며 도시 디자인 코드는 ‘도시 대 인간’ 커뮤니케이션과 도시 내 시각 정보의 유통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적용되어야 하며, 도시 이미지의 매력도를 높여야 한다. Nowadays, a comfortable urban environment is an essential element in human life. The arrangement and design of city streets are an integral part of the visual image of the urban environment and its communication with people. The city's visual appearance is the result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environment and man; their mutual influence on each other creates a specific image, combining cultural, political, and social aspects. One of the means to achieve these goals is the visual design code of the city, which allows solving problems with ‘city-to-people’ communication, the distribution of visual information in the city, and increasing its attractiveness. In this paper, based on the definition of the Design Code and its elements, the image of the cities of Russia and Korea will be analyzed, and an overall assessment will be given of the actions taken to preserve the city's image based on the principles of the Design code and analysis of foreign examples. Moreover, this paper will define the concepts, regulations, and elements of the Design code and its positive impact on reducing visual disturbance in the modern urban environ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ults were revealed. First, after applying the Urban design code in Moscow, Russia, the public visual media elements such as typography, shape, and color planning became unified. The level of visual disturbance was reduced, so the city's image improved. Second, in Seoul, despite the application of various design guidelines, the public design image has deteriorated due to the lack of administrative control of the public visual media by the administration of Seoul City. Moreover, the level of visual disturbance is still high. Third, in cities without Urban design codes, some problems related to the lack of regulations on public design have been found. The public visual media's graphic elements, such as the inappropriate size of typography, the use of various forms, and incorrect color planning, have damaged the city's image. Based on the analysis of public design according to the Urban design code, the following application and utilization proposals can be made for the development of Urban public design in the future. First, based on the survey results and statistics, the basis for developing rules for regulating public visual media design can be secured. Second, since this study mainly focused only on one part of the city, the case study results can be the basis for analyzing the state of public design in other parts of the city. After that, it can become a background for developing more effective Design codes through general statistics and public opinion. Third, by systematicall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public design in cities, city officials can quickly recognize problems and identify the most problematic areas for further improvement. The Urban design code rules and recommendations should be monitored at the full management level. Finally, it is essential to study the graphic elements of public design and public visual media, its impact on the city's image, and citizens during design-related major classes in the University curriculum. Based on the survey results in this study, the problem of visual disturbance has emerged, and bold measures to regulate graphic elements of public visual media – typography, shape, and color planning are needed in the future. The city is the face of the country and its culture. The Urban design code should be applied to solving problems with ‘city-to-people’ communication and the distribution of visual information in the city, increasing its attractiveness.

      • 가치공학(Value Engineering)에 근거한 시각디자인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김지선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8831

        산업 혁명 이후 기계화로 인한 생산성 향상은 생산 중심의 대량생산 체제를 만들었고, 이러한 산업 발전으로 시장이 포화됨에 따라 경쟁이 격화되고 판매중심의 마케팅의 시대가 도래 하였다. 최근에는 고객 중시의 가치창조로 시장 환경이 전환함에 따라 디자인의 시대에 이르게 되었다. 디자인의 혁신적이고 창끈적인 특성은 제품을 차별화 시키는 도구로서 활용하기에 충분하기 때문에 많은 기업들은 디자인을 통하여 오늘날 소비자들의 개성적이고 불확실한 소비취향을 구체화 시킨다. 이에 있어 소비자 요구의 다양화로 촉발된 시각디자인의 필요성 인식은 디자인 수요의 증가로 이어졌다. 이는 다시 디자인 산업의 성장과 함께, 많은 디자인전문사회의 출현으로 이어졌다. 지금까지 디자인 중심적 사회는 대부분 클라이언트의 린략적인 도구로서 그 역할을 담당해 왔다. 서비스나 상품이 기능만으로 소비되지 않듯이 디자인 중심적 사회에도 디자인 능력만으로는 향후 무한경쟁 시대에 살아남는 것이 쉽지 않을 것이다. 산업이 생산중심에서 소비자의 기호 중시로 옮겨 왔듯이 디자인도 디자인만 열심히 하던 시대에서 자신의 디자인을 전략적으로 판매해야하는 시대가 온 것이다. 이에 있어 디자인의 의미는 국가나 기업 경일 전략의 핵심으로서 경쟁력을 판가름하고 나아가 국가 경쟁력을 결정것는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우수한 디자인은 제품, 기업의 경영 여건, 커뮤니케이션 및 국가나 기업 이미지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소비자들을 적극적으로 구매행위로 이끌기 위해서는 사각디자인의 활용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있어 본 연구는 시각디자인의 활용을 활성화 시키고 가치개선의 증대를 위해 경제학의 방법론인 가치공학(Value Engineering)을 도입하여 기업경영의 일환으로서 활용하기위한 방법을 모색해 보았다. 즉 시각디자인 프로레스에 가치공학 방법론을 도입함으로서 가치개선과 호율성을 높이는 것이다. 손으로 만지고 볼 수 있는 제품이 아닌 시각디자인의 능력이라는 무형의 상품을 파는 디자인의 특성에 따라 가치공학을 토대로 이를 검증하는 방법으로 가치공학 방범론적 분석틀을 통해 검토 하였다. 이를 통해 무형의 재화를 생산하는 서비스적 특성을 가진 가치공학에 근거한 시각디자인 프로세스를 제안하고, 이를 통한 시각디자인 프로세스에 있어서 실행적 구성요소를 정리해 봄으로써 시각디자인의 가치개선 항목들을 추출하였다. 과거의 시각디자인은 그 자체를 대상으로 그 형태와 구성을 연구하는데 불과하였지만, 현재는 복합적인 미더어 기반위에 시각디자인이 행동, 정보, 산업과 관련된 기획의 새로운 중심으로 부상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세각디자인의 응용은 경제적 측면에서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며 시각적 이미지의 질적 향상 및 고부가가치화를 통한 국제경쟁력 강화로 경제적 활성화를 주도하게 되었다. 또한 시각디자인은 소비 및 생산의 직접 영향을 미치는 변화 요소로서 생활문화의 장를 비롯한 모든 창조성의 원동력으로 나타내어지고 있다. 이러한 인식하에서 본 연구는 시각디자인 프로세스의 가치공학 방법론적 적용의 시도로 새로운 가치창조를 실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의의 이다. The improved productivity resulting from mechanization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created production-oriented mass production system, and the market saturated by the industrial development intensified competition and launched selling-oriented marketing era. We have recently been in the era ow design ad market environment is converted into customer-oriented value creation. Since the innovative and creative characteristics ow design are sully used ad the instrument. for discriminating products, many enterprises concretize through design modern consumers' consumptive tastes ow individuality and uncertainty. The recognized necessity ow visual communication design provoked by their diversified requests, hereupon, increased demand for design. It again promoted the design industry as well ad brought into existence many societies specializing in design. Most ow design-oriented societies have played the role as a strategic instrument for client. so far. As service or goods is not consumed only by junction, it will not be easy to survive in the future age of infinite competition only with ability to design in the society. As industrial focus had moved from production to consumers' tastes, the age of design had also transferred from devoting oneself to design to having to sell one's own design strategically. The significance ow design, hereupon, rises as an important issue for judging competitiveness ad a key strategy for nation or business administration and further determining national competitiveness. Excellent design can improve products, corporate management conditions, communication and national or corporate image. Thus, it is very important to use visual communication design in order to actively induce consumers to buy. This study, hereupon, had sought a method ow introducing value engineering ad economic methodology and using it ad part ow business administration to revitalize the use of visual communication design and increase value improvement. That is, it aimed at enhancing value improvement and efficiency by introducing value engineering methodology in visual communication design process. According to the design feature ow selling not a tangible and visible product but an intangible product of ability for visual communication design, it examined value engineering through an analytic frame of it. methodology in a method ow verifying a thing based on it. It extracted the items for improving value in visual communication design from proposing it. visual communication design process with the service feature of producing intangible goods through it and arranging the executive component. in the process through it. Past visual communication design only studied it. own form and construction, but present one rises ad a new center of planning related to behavior, information and industry on the basis of complex media. In general, the application of visual communication design which creates new demand in an economic aspect leads economic revitalization by reinforcing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through improving visual images qualitatively and providing high value-added to them. Also, the design ad a changing element of having a direct effect on consumption and production is expressed ad the motive power for all creativity including creation of life cultur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aware of it is to present a method of realizing new value creation ad an attempt at applying visual communication design process in value engineering methodology.

      • 2000년대 베스트셀러 표지디자인의 시각적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 2000~2009년을 중심으로

        이혜수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831

        Books are the records of human mental products and the most universal media of communication with which knowledge and information are shared. With the rapid growth of such radio wave media or electronic media as the Internet, TV and radio that could promptly exchange information in quantity, books that traditionally have occupied an absolute position are dwindling away together with other printing media. However, books can overcome the limitation of time of radio wave or electronic media and have spatiality of being read whenever and wherever. Because books can overcome time and space, they are valuable and should keep on their existence in the future, thus achieving their advancement continuously. Although computer-oriented design provides help to the easier design of cover, it has limits in the method of expression and is uniform and standardized, thus coming to the point at which it is difficult to attract readers' attention. In addition, as the level of education and culture enhances and the number of human beings who equip with esthetic sense increases, a diversified and higher level cover design is required. Currently, hundreds of books are published daily and limited space of the so-called excessively competitive bookstore cannot handle the deluge of books. From the books that even cannot be displayed in bookstores to the bestseller that repeats its printing of second edition, the lifespan of books is diverse. In this vein, it is necessary to study on the cover of books as visual communication that attracts readers' attention and makes them select the books. For this, it is necessary for a book to effectively deliver a connotative message in a short period of time via a limited space of cover, by breaking away the existing uniform and standardized design of cover and providing a symbolic meaning to visual language which consisting of images (illustrations, photos and paintings), layouts, typography and colors, thus helping visual communication. Since visual language can provide strong impressions visually and perceptually, it can achieve great effects of delivery in a short period of time. The visual language in the cover design can attract readers' attention and maintain it for a long time. So its persuasive power and marketing effect are great. In this vein, the investigator perceived visual components of cover design as visual language in this study and then examined the expressive technique of visual component-oriented cover via actual cases. In addition, the investigator examined the communication function of visual components of cover design as visual language. 책은 인간의 정신적 산물의 기록이며 지식과 정보를 공유하는 가장 보편적인 커뮤니케이션 매체이다. 정보와 지식전달의 절대적 위치에 있던 책은, 정보의 교환이 빠르고 대량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인터넷이나, 텔레비전, 라디오 등 전파나 전자매체의 급성장으로 현재 다른 인쇄매체와 함께 쇠퇴하고 있다. 그러나 책은 전파나 전자매체가 가진 시간성의 한계를 극복하며, 언제 어디서나 읽을 수 있는 공간성을 가지고 있어 시간과 공간을 정복했다는 점에 그 가치가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 존재하며 발전할 것이다. 컴퓨터에 의한 디자인은 표지디자인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지만, 표현 방법의 한계로 인해 획일화, 정형화되어 더 이상 독자의 눈을 사로잡기는 힘든 시점에 이르렀다. 또한 교육과 문화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깊이 있는 심미안을 갖추고 있는 사람들이 많아짐에 따라 다양하고 수준 높은 형태의 표지디자인을 요구되고 있다. 또한 하루에도 수백 권씩 책이 출판되는 현재, 판매경쟁이 과열화된 서점이라는 한정된 공간은 쏟아지는 책의 홍수를 감당하지 못하고 있다. 서점에서는 제대로 진열되지 못하는 책에서부터 재판(再版)을 거듭하는 베스트셀러에 이르기까지 책의 수명은 다양하다. 때문에 수많은 책 중에서 사람들의 시선을 사로잡아 책을 선택하게 하는 시각 커뮤니케이션으로서 표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대한 노력으로 기존의 획일화되고 정형화된 표지에서 벗어나 일러스트레이션, 사진, 회화 같은 이미지와 레이아웃, 타이포그래피, 색으로 이루어진 시각언어에 상징적인 의미를 부여함으로서 시각 커뮤니케이션을 도와 짧은 시간에 한정된 공간인 표지로 함축된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필요하다. 시각언어는 시지각적으로 강한 인상을 주어 빠른 시간 내에 전달 효과를 크게 거둘 수 있다. 표지디자인에 있어 시각언어는 독자의 시선을 집중시켜 주의를 오래 잡아둘 수 있는 특성을 지니고 있어 설득력이 크고 구매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표지디자인에 나타난 시각적 구성요소를 시각언어로 인식하고, 시각적 구성요소를 활용한 표지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그에 대한 사례를 통하여 표현 방법을 분석하고, 표지디자인에서 시각적 구성요소의 시각언어로서 시각 커뮤니케이션 기능에 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 도시 브랜드 슬로건 디자인 개발을 위한 기호학적 분석 및 제안 : 대전의 도시 브랜드 슬로건 디자인 개발을 중심으로

        강지영 한밭대학교 산업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831

        Semiotic consumption that is consumed by palatability is extended not only consumer goods in our life but also space and place. The importance of city brand building as per the needs of the times is more getting on the rise. Now, all city in global is in the age of the brand for their city place to build the independent identity for itself, and strive to increase their city brand worth for competitiveness reinforcement. Therefore, designer needs to discover new object, and plan spatiotemporal experience and relationship, then create new worth in the city beyond visualization and modeling the city. Hence, this study analyzes the design of brand slogan for top 10 cities that have high city competitiveness itself and abstracts their common elements that are able to suggest for development of the slogan design for the city brand since it is regarded that it needs to be studied for the slogan design for the city brand. And, in this progress, “Daejeon” is selected the first city for the design development. The reason is that Daejeon is struggling to build their own brand image due to low recognition of its brand between all megalopolis even it has various strengths like the city’s infrastructure and environment, etc. Accordingly, on this study, it is focused on the symbol shape and its meaning of city brand slogan as visual symbol for the development of brand slogan to increase the recognition of Daejeon. So, it seeks and suggests visual expression methods to effectively deliver the meaning of city brand slogan by analyzing the symbol shape of city brand slogan and figuring out its implied meaning. For methodology to draw the detailed visual expression element, it makes use of the case analysis utilized semiotics analysis for components of city brand slogan design. On this point, it analyzes the visual component types and its meaning structure for city brand slogan design, and this helps to analyze the series of the progress of meaning application. Based on this analysis frame, followings are the analysis result for precedence case. First, the target for city branding is wider than the target for normal branding. So, for the development for city brand slogan to cover wide range, the visual expression and its meaning needs to be composed with elements that is easily understandable and accessible. Also, it needs to be formed with short phrase less than 3 words since it needs to show the key worth of the city in concise and clear phrase. Secondly, the city slogan using source of visual element in its city is composed with symbol shape of icon and emblem, and this visual expression is intuitive and makes to identify the city’s image. Thirdly, the slogan utilizing element of non-visual element in its city is the abstract concept, so it tends to use its visual expression to derive to help interpretation of its meaning and to expand the expression. to draw the conclusion, pre-questionnaire was proceeded towards citizens in Daejeon and other area. And, it is suggested new city brand slogan unified the meaning of brand slogan with context of expression element by using the slogan phrase selected from the questionnaire. The elements of visual expression for development of city brand slogan design for Daejeon is utilized with modeling element shared by the Hangeul and the Roman alphabet. The motive of city image for Daejeon drawn from the questionnaire is formed with invisible elements like easygoing, relaxation and easement. To visualize these abstract concepts, modeling elements are used with Hangeul and punctuation mark, which are interpreted in dual meaning, and are composed with phrase less than 3 words, including city’s own name. It is able to be comprehended equally by both Korean and non-Korean and to increase visual entertainment that is gainable the point cross and sympathy since the modeling elements are interpreted in one way even it is interpreted in which direction. Below i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To develop the city brand slogan for Daejeon, the development needs to be proceeded by improving some issues like restrained spin to the meaning of thoughtless combination in english and ambiguity of slogan, Also, because invisible element in Daejeon is absent rather than other cities, the meaning for city slogan needs to make concrete by using motive of general modeling elements as part of countermeasure under the absence of invisible elements. These visible elements is applicable of tools to understand the implicative meaning of the city without any background knowledge regarding to that city. This study has significations which suggests design applied with semiotic analysis and its result as a tool and which increases objectivity of comprehension with attempt of design that is interpreted in dual meaning to decrease a gap for interpretation between Hangeul slogan and english slogan in visual expression. 기호성(嗜好性)에 의해 소비하는 기호적 소비는 일상의 소비재뿐 아니라 공간과 장소의 영역까지 확대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따른 도시 이미지 구축의 중요성은점차 대두되고 있다. 이제 세계 각 도시는 스스로의 독자적인 정체성을 구축하기 위해도시 공간 자체를 브랜드화하고 있으며, 경쟁력 강화를 위해 도시 브랜드 가치를 증진시키는데 힘쓰고 있다. 그러므로 이제 디자이너는 도시를 단순히 시각화, 조형화하는것을 넘어 도시 안에서 새로운 맥락을 발견하여 시공간적 경험과 관계를 계획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 이에 도시 브랜드 슬로건 디자인의 개발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판단된 바, 본 연구는 이를 위해 도시 경쟁력이 높은 도시 10곳을 대상으로 브랜드 슬로건의 디자인을분석하고, 공통 요소를 추출하여 도시 브랜드 슬로건 디자인 개발에 제시할 수 있는 요소를 밝히고자 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대전광역시를 디자인 개발의 1차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는 현재 대전시는 도시 인프라 및 환경이 다양한 강점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특별시 및 광역시 중, 해당 도시의 브랜드 인지도가 가장 낮게 인지되고 브랜드 이미지 구축에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전의 인지도 향상을 위한 브랜드 슬로건 개발을 위해 시각기호로서의 도시 브랜드 슬로건의 기호 유형과 그 의미에 주목하였다. 그리하여 국내·외 도시 브랜드 슬로건의 기호 유형을 분석하고, 함축된 의미를 파악하여 이를 통해도시 브랜드 슬로건의 의미가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시각적 표현 방법을 모색하고 제안하였다. 세부적인 시각적 표현요소의 도출을 위한 방법론으로는 도시 브랜드슬로건 디자인의 구성요소를 기호학적 분석틀을 활용한 사례분석을 활용하였다. 이에도시 브랜드 슬로건 디자인에 있어 기호의 시각적 요소 유형과 그 의미구조, 그리고 이를 통해 연쇄적으로 일어나는 의미작용의 과정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틀을 토대로 한 선행 사례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 브랜드의 타깃대상은 일반 브랜드의 타깃보다 그 범위가 넓다. 그러므로,넓은 범위의 타깃을 대상으로 한 도시 브랜드 슬로건 개발을 위해서는 시각적표현과 그 의미가 보편적으로 이해하기 쉬운 요소로 구성되어야 한다. 또한 이는 짧고 명료한 문구로 도시의 핵심가치를 나타내어야 하므로 도시명을 포함하여 3개 이하의 단어로 구성되는 경향을 보인다. 둘째, 도시의 가시적 요소의 자원을 활용한 도시의 슬로건은 도상과 상징의 기호 유형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이러한 시각적 표현은 직관적이며 그 도시의 이미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도시의 비가시적 요소의 자원을 활용한 슬로건은 그 의미를 직관적으로 인식하기에 어려운 추상적 개념이므로, 시각 표현을 활용하여 의미의 해석을 돕고 표현을 확장하도록 유도하는 경향을 볼 수 있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자는 대전의 도시 슬로건 디자인 개선을 위해 적절한 대전의도시이미지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전 시민과 타지역 시민들을 대상으로 사전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설문의 결과를 토대로 선정된 슬로건 문구를 사용하여 브랜드 슬로건의 의미와 표현요소의 맥락을 통일한 새로운 도시 브랜드 슬로건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대전의 도시 브랜드 슬로건 디자인 개발을 위한 시각적 표현의 요소로는 한글과 로마자가 기본적으로 공유하는 조형의 요소를 활용하였다. 설문 결과로 도출된 대전의 도시 이미지의 모티브는 느긋함, 여유, 편안함과 같은 비가시적 자원으로 형성되어 있었다. 이러한 추상적 개념의 시각화를 위해 한글과 구두점(,)의 요소로 중의적으로 해석 가능한 조형 요소를 사용하였으며, 도시명을 포함하여 3단어 이하로 구성했다. 이는 어느 방향으로 해석되어도 동일하게 해석되기에 한국인과 비한국인에게 동일하게 해석될 수 있으며, 의미 전달과 공감을 얻을 수 있는 시각적 재미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동한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대전의 도시 브랜드 슬로건 개발에 있어 현재 사용 중인 브랜드 슬로건의 모호성, 좋아 보이는 영어단어의 무분별한 조합으로 인한 억지 의미부여 등의 문제점들을 개선하여 브랜드 슬로건의 개발을 진행하여야 한다. 또한 대전은 도시의 가시적 자원이 타 도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재하기에 이에 대한 보완책의 일환으로 시각적 표현에있어 보편적인 조형 요소의 모티브를 활용하여 그 의미를 직관화시켜야 한다. 이러한 시각적 표현은 해당 도시에 대한 사전 배경지식 없이도 도시의 함축적인 의미를 해석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도시 브랜드 슬로건 디자인 개발을 위한 참고 도구로써 기호학적 분석틀 및 분석 결과를 응용한 디자인을 제안한 점, 그리고 한글과 영문 슬로건의 시각적 표현에 있어 의미 해석의 격차를 줄이기 위해 중의적 해석이 가능한 디자인의 시도로해석의 객관성을 높인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 시대변화에 따른 시각디자인교육 정립 연구 : 인쇄매체 디자인을 중심으로 한, 방향과 수준의 제안

        문성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8831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modern society has faced many sociocultural changes. The age of digital informatization, in particular, has generalized accuracy and was globalized by global network, which increased the necessity and convergence of global studies. Superficial education based on simple expression and short-term response can no longer accommodate to new changes of the ear. For this change in paradigm, education too must be restructured. So far, researches on design education have focused on specific branches or very few particular curriculums. Among the 5,794 relevant researches, none was on the efficiency of the education in terms of the organic relationship among different stages in general education system.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the direction and level of visual design education according to the goal of each grade in the education system. For it, the curriculums of each stage of education were studied and analyzed; and educators at actual schools were surveyed to find out about the level of current students and also the direction and level of the required education. The study was based on the curriculums of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specialized high school, and vocational college, and 4-year university. The compared subjects included elementary school’s ‘design’ class, middle school’s ‘understanding design’ class, specialized high school’s ‘visual design’-related subjects, courses whose titles include ‘visual design’ at vocational colleges that were located within Seoul, and the courses that include ‘visual design’ at 4-year universities in Seoul that were among those selected by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s academic evaluation as top-rated schools in design field (objective of education, curriculum, and class coverage) 2001. Also, after surveying the educators on the level of current educatees (students) and the necessity of design process education (in terms of direction and level), the data was collected by frequency analysis using SPSS 12.0K for Windows and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direction suggested according to the goal of design education in each stage of education.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4-year universities were creativity improvement, academic education (convergence), culture-oriented education, industry-academy cooperative education, and talent training. According to suggestions, academic education and industry-academy cooperative education needed plans for improvement and talent training specific organization plans.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2-year vocational college were creativity, practical skills, sense training, expression methodologies, digital culture, industry-academy cooperation, etc. There were suggestions that practical skills, industry-academy cooperation, sense training, digital culture need improvement and more efforts.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high school were personal development, use of tools, understanding of process, creative expression, and knowledge and technology. Suggestions implied that creativity and presentation skills needed improvement for higher education and overall enhancement of education, especially of creativity, for vocational education. The educational objective of middle school was fostering problem-solving and communication skills that are required for future society based on design outline, elements, and principles. The improvement should focus on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design at a common sense level improving creative problem-solving attitude and communication skills.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elementary school were discovering the value and meaning of objects, creative communication skills, application in daily life, and improving problem-solving skills. There were suggestions that improving thinking ability to solve problems from a design perspective is important. Second, the suggestions regarding the necessity of design process education according to different educational stages were as follows: ‘Planning, research, and analysis ability’ and ‘concept planning ability’ turned out to be important in professional design education. ‘Idea sketch and creativity’ was important both in general design education and professional design education. ‘Idea sketch drawing expression’ was important in professional design education. ‘Confirm and communication ability,’ ‘rough expression ability,’ ‘presentation’ (planning and data-collecting ability), ‘original design and sample analysis,’ and ‘original design making ability’ were either a little high or high in its importance.(In a context of professional design education) Presentation skills were important in professional design education. In terms of ‘original design and sample equipment specifications,’ general education required basic equipment, elementary professional education medium-level equipment, and mid- to high-level professional design education professional equipment. As for ‘production scheduling ability’ and ‘production quality management ability,’ general design education found a little low necessity, elementary professional education for specialized high schools (for employment) a little high, specialized high schools (for higher education) normal, and high-level professional design education showed high necessity for education, which means these were considered as necessary subjects for professional education. This research can be used as a guideline for design education at each educational stage when curriculum planning, textbook writing, or teaching, by providing standards for realistic and well organized design education. 산업혁명 이후 현대사회는 사회문화적으로 많은 변화에 직면하고 있다. 특히 디지털 정보화시대는 신속성과 정확성이 일반화되고 글로벌네트워크로 세계화를 이루면서 글로벌 학문의 요구가 점증되고 주변학문과의 연계를 넘어 융합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더 이상 겉치레식의 표현위주만의 교육 그리고 단기대응으로선 새로운 시대변화에 적응하기 어렵다. 이러한 패러다임의 변화에 교육계 또한 재정비해야 할 때인 것이다. 기존 디자인교육 연구내용들은 전공의 세부영역 측면에 주로 치중된 연구와 극소수의 단위 학교급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다. 관련연구가 5,794편 있었으나, 전체 학교급별의 유기적 관계에 따른 교육효율성 방안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의 연구목적은 학교급별로 시각디자인교육의 목표에 따른 방향과 수준의 제안에 두었다. 그에 따른 연구방법은 기존 각 학교급별로 교육과정을 조사, 분석하고, 학교현장의 교육자들을 대상으로 설문하여 현재 학생들의 수준파악 및 교육필요성에 대한 방향과 수준을 알아보았다. 연구범위는 초등학교, 중학교, 특성화고등학교 그리고 전문대학, 4년제 대학교의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교육과정 현황 비교조사를 하였는데 그 대상은 초등학교는 ‘디자인’ 과목, 중학교는 ‘디자인 이해’ 과목, 특성화고교는 ‘시각디자인’관련 과목, 전문대학은 서울시내에 위치한 대학 중 시각디자인 명칭을 포함하고 있는 대학의 해당(학)과가 대상이었으며, 4년제 대학교는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시행하는 학문분야평가 인정제의 2001-디자인 분야(교육목표, 교육과정 및 수업 영역) 최우수그룹선정 학교 중 서울에 위치하고 시각디자인 명칭을 포함하고 있는 대학의 학과가 대상이 되었다. 또한 학교현장의 교육자들을 대상으로 현 피교육자(학생)들의 수준을 묻는 내용과 디자인 제작과정 교육의 필요성(방향과 수준)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여 SPSS 12.0K for Windows의 기술통계량에 의한 빈도분석을 통해 집계된 데이터를 종합하고 상호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에 따른 결과는 크게 두 가지로 요약되었다. 첫째, 각 학교급별 디자인교육의 목표에 따른 방향 제시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4년제 대학교의 교육목표는 창의력 향상, 학제적 교육(융합), 문화중심 교육, 산∙학 협동교육, 인재교육 등으로 파악되었다. 개선 방향은 학제적 교육, 산∙학 협동교육 부분에 개선책 마련, 인재교육 부분의 구체적 구성 계획안 마련이 요구되었다. 2년제 전문대학의 교육목표는 창의력, 실무능력, 감각 교육, 표현 방법론, 디지털문화 관련, 산∙학 교류 등으로 파악되었다. 개선 방향은 실무능력, 산∙학 교류, 감각 교육, 디지털문화와 관련된 내용부분에 좀 더 개선책을 갖고 적극적 노력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고등학교의 교육목표는 인격을 도야, 도구의 활용, 프로세스를 이해, 창의적 표현, 지식과 기술 등을 갖추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개선 방향은 진학 교육측면에서는 창의력 증진과 프레젠테이션 발표능력 향상 부분에 강화가 필요하고 취업 교육측면에서는 제작과정 전체 영역에서 진학 교육측면 보다 한 단계씩 높은 교육의 강화로 특히 창의력 부분의 지도가 좀 더 요구되어지고 있다. 중학교의 교육목표는 디자인 개요 및 요소와 원리를 바탕으로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육성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개선 방향은 일반인들의 일상 생활수준에서의 디자인의 개념을 이해하고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의 태도와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증진 시키는데 역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초등학교의 교육목표는 사물의 가치와 의미 발견, 창의적 소통능력, 일상의 삶 속에서 적용하는 방법, 문제해결능력 신장을 시키는 것 등으로 파악되었다. 개선 방향은 일상의 문제들에 대한 디자인적 마인드로 접근하는 자세로서 창의적인 문제해결을 해나갈 수 있는 사고력 증진 교육에 중점을 두어야 하겠다. 둘째, 각 학교급별로 디자인 제작과정별 교육필요성의 수준 제안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획∙조사, 분석능력’, ‘콘셉트 기획능력’ 부분에서는 전문 디자인교육측면에서 그 중요성이 높은 결과로 나타났다. ‘아이디어스케치 창의력’ 능력 부분에서는 일반적 디자인교육과 전문 디자인교육 측면 모두에서 높은 필요성을 나타내었다. ‘아이디어스케치 드로잉 표현능력’ 부분에서는 전문 디자인교육 측면에서 그 중요성이 높은 결과로 나타났다. 그리고 ‘컨폼∙소통능력’, ‘시안표현능력’, ‘프레젠테이션’(기획력, 자료제작 능력), ‘원고와 샘플작업 분석력’, ‘원고제작 능력’ 부분에서는 전문 디자인교육 측면에서 그 중요성이 다소 높거나 높은 단계의 결과로 나타났다. ‘프레젠테이션 발표력’ 부분에서는 전문 디자인교육 측면에서 높은 단계의 결과로 나타났다. ‘원고와 샘플 기자재 사양정도’ 부분에서는 일반교육선상에서는 기초용 정도 기자재를, 초급 전문교육에서는 중급정도의 기자재를, 중∙고급 전문교육에서는 회사용 급의 기자재의 필요성이 나타났다. ‘상품화 일정관리 능력’, ‘상품화 품질관리 능력’ 부분에서는 일반 디자인교육 측면에서는 다소 낮은 정도, 초급 전문교육의 특성화고교(취업)급에서는 다소 높은 정도, 특성화고교(진학)급에서는 보통정도의 필요성을 나타냈으며, 고급 전문 디자인교육 측면에서는 모두 높은 단계의 교육 필요성이 나타나 이 부분은 전문교육 학교급에서부터 교육의 고려대상이 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연구의 의의는 앞으로 각 학교급의 디자인교육 초기단계에서의 계획을 하는 업무나 교재 집필 또는 교육현장에서 실제 교육을 진행 시 사전에 꼭 살펴보고 고려해 보아야 할 가이드라인으로서 활용되어 현실감 있고 계획적이며 가치 반영된 디자인교육을 완성해 가는데 지표적인 기준제공에 있다.

      • 시각장애인의 웹 접근성 향상을 위한 웹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경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831

        In the inside of the social environment into which it develops quickly by computerization and science, the web is not only a primary passage called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but also making the many sided duty the domain social. However, most of websites are web designing for the general web user. It is in a difficult situation that the visual-impairment people whose social activity is not free search for information by a web in spite of many strong points of the Internet. The information gap between a disabled person and a non-disabled person is larger by such reasons. Therefore, this thesis has the purpose that enables it to acquire easily the information which web users with visual impairment wish by carrying out the web design which visual-impairment people tend to use through an understanding of visual-impairment people’s general action characteristic, and the web use characteristic. All interactive media such as Website, Mobile, and Digital TVare that the design is developed with the directivity of the experience design led by a user, Although the elements of user experience are possible to approach in many viewpoints, such as an interaction, an information design, contents, an interface, an identity, usability, the vision effect, motion graphics, and a story telling, this thesis observes an interaction, an information design, an interface, and usability on a foundation at communication theory. The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as an intuitive and usable web comes out more urgently and is more important than the esthetic transfer by sensitivity-experience,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 of the visual-impairment people who communicate by leaning against a tactile sense and hearing and having a web experience. Moreover, it is also very important as a designer's duty to transmit well the visual image to other sensory organ for visual-impairment people. This research was studied the portion to visual-impairment people’s web usability intensively, and it is targeted only at the man visual-impairment people who are total blindness. At the bottom point of such a premise, I understood the action characteristic of the visual-impairment people, and drew the element of web usability of the visual-impairment people. And I consider thatthey are an interaction, an information design, an interface design in web design element, web elements as an experience design, and web accessibility, and then it combined with the element of web usability of the visual-impairment people, and offered the web design guideline for the improvement in web accessibility of visual-impairment people. The evaluation of sites was gone on by the guideline, the problem of the existing site and the portion which must be improved by the case analysis of internal and external case and a visual-impairment people interview. First, since visual-impairment people cannot do visual communication there is no judgment quickly when they face with things, we have to design so that a suitable character, a layout, navigation, graphics, etc. may be transmitted to the understanding characteristic using other feeling organizations(auditory, tactile)which are not visual. And, the alternative text about graphics, animations, and movies and the clear feedback about interaction are required. Second, although the web design in consideration of the web accessibility for reducing an information gap also on the side of universal design is very important, the designer who offers the chapter of experience has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commutative communication with visual-impairment people. Third, the accessibility solution grope to technical progress is needed. As for our having to make it visual-impairment people in a rich media environment, it is urgent to make how to approach the technology which progresses. Moreover, if the CSS what is one of a SEMANTEC web method is utilized and a logical information design is carried out, not only visual-impairment people but a non-disabled person should become a web convenient to use, and it will become the useful design of an information design which can use to replicate to the other media. From this study, a new recognition what the governments, the fellowship of web accessibility, and web designers had have the web accessibility will be required, and if the problem to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improves, the research about aesthetic experience and sensitivity transfer of vision obstacle people also must be progressed. 정보화․과학화로 인하여 급속도로 발전하는 사회 환경 속에서 웹은 정보전달이라는 1차적인 통로가 아닌 사회 전반의 영역에 다면적인 구실을 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웹 사이트들은 일반 웹 사용자 위주의 웹 디자인을 하고 있다. 이에 신체적 제약으로 사회적 활동이 자유롭지 않은 시각장애인들은 인터넷의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웹을 이용하여 정보를 구하는 것이 어려운 상황이다. 이로써 장애인과 비장애인간의 정보격차는 더욱 커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시각장애인의 일반적인 행동특성과 웹 사용 특성의 이해를 통하여 시각장애인이 사용하기 편리한 웹 디자인을 함으로써 시각장애를 가진 웹 사용자들이 원하는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웹사이트, 모바일, 디지털TV등과 같은 인터랙티브 미디어들은 모두 사용자 중심의 경험 디자인의 방향성을 갖고 디자인이 발전하고 있는데, 사용자 경험의 요소들은 상호작용, 정보설계, 컨텐츠, 인터페이스, 아이덴티티, 사용성, 시각효과, 모션그래픽, 스토리텔링 등의 많은 관점에서 그 접근이 가능하지만 본 논문은 커뮤니케이션이론을 토대로 상호작용, 정보설계, 인터페이스, 사용성에 주목한다. 이는 촉각과 청각에 의존해 웹 경험을 하고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시각장애인의 특성상, 감성적 경험에 의한 미적전달보다는 직관적이며 사용성 있는 웹으로서의 정보전달이 더 시급하고 중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시각장애인들을 위해 시각적인 이미지를 다른 감각기관으로 잘 전달하는 것도 디자이너의 역할로써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전맹인 시각장애인만을 대상으로 하여, 시각장애인의 웹 사용성에 대한 부분을 집중적으로 연구하였다. 이러한 전제아래 먼저 시각장애인의 행동특성 및 웹 사용 특성의 이해를 하고 시각장애인의 웹 사용편의성 요소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웹 디자인 요소 중에서 상호작용, 정보설계, 인터페이스 디자인, 경험 디자인으로서 웹의 요소와 웹 접근성에 대해 고찰하고 앞서 살펴본 시각장애인의 웹 사용편의성 요소에 접목시켜 시각장애인의 웹 접근성 향상을 위한 웹디자인 지침을 제시하였다. 그 지침을 통한 사이트들의 평가를 진행하고, 국내외 사례분석과 시각장애인 인터뷰를 통하여 기존의 사이트의 문제점과 개선해야 할 부분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첫째, 시각장애인은 사물을 대하는데 있어 판단이 빠르지 않고 시각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없으므로 소통 특성에 맞는 문자, 레이아웃, 내비게이션, 그래픽 등을 시각적이 아닌 다른 감각기관-청각, 촉각을 이용하여 전달될 수 있도록 디자인 하여야 한다. 그리고 그래픽, 애니메이션, 동영상에 대한 대체 텍스트 및 상호작용에 대한 명확한 피드백이 있어야 한다. 둘째, 유니버설 디자인의 측면에서도 정보격차를 줄이기 위한 웹 접근성을 고려한 웹디자인은 매우 중요한데, 경험의 장을 제공하는 디자이너는 시각장애인과의 상호적 커뮤니케이션을 고려하여야 한다. 셋째, 기술의 진보에 대한 접근성 해결책 모색이 필요하다.리치미디어 환경에서 시각장애인들에게 우리가 해주어야 하는 것은, 진보하는 기술에 다가갈 수 있는 방법을 만들어 주는 것이 시급하다. 또한 시맨틱 웹의 방법 중 하나인 CSS를 활용하여 논리적인 정보설계를 한다면, 시각장애인 뿐만 아니라 비장애인이 이용하기에도 편리한 웹이 될 것이며, 타 매체에 복제해서 쓸 수 있는 유용한 정보 설계 디자인이 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정부와 웹 접근성 관련 단체 또 웹 설계자들이 가진 웹 접근성에 대한 재인식이 필요할 것이고 정보전달에 대한 문제가 향상된다면 더 나아가서는 시각장애인들의 미적 경험과 감성 전달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도시아이덴티티 디자인에서 시각적 요소의 표현에 관한 연구 : 중국 도시아이덴티티 중심으로

        양파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831

        도시의 발전 과정에서 많은 도시들이 도시아이덴티티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다. 도시아이덴티티 디자인이 생성한 이유는 도시의 정위, 도시의 가치, 도시의 기획 및 개발, 도시의 홍보, 도시의 관리 등 여러 전략과 관련이 있다. 또한 도시에 대한 가장 직접적인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은 도시아이덴티티에서 도시로고와 여러 시각적 규범 및 시각적 요소의 확장디자인이기 때문이다. 중국 도시아이덴티티의 디자인은 상대적으로 늦게 시작되었다. 따라서 도시아이덴티티 디자인 중 시각적 요소의 커뮤니케이션에는 도시 특징과의 연관성이 부족하고 도시의 여러 시각적 규범 디자인이 부족하여 도시를 인식, 기억, 홍보하는데 효과가 부족하다. 본 논문은 우선 뉴욕(New York), 런던(London), 도쿄(Tokyo), 파리(Paris), 로스앤젤레스(Los Angeles), 시드니(Sydney), 베를린(Berlin), 싱가포르(Singapore), 홍콩(Hong Kong), 토론토(Toronto) 10개 해외 도시아이덴티티 디자인 중 시각적 요소의 표현에 대해 분석하였고, 10개 해외 도시들의 시각적 요소 표현 특징을 확인하고 참고하여 중국 도시아이덴티티 디자인에서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의 시각적 요소 표현의 장점과 단점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중국 도시아이덴티티 시각적 요소 표현의 개선과 미래 발전에 도움과 참고가 되었으면 한다. 첫 번째, 도시아이덴티티와 도시아이덴티티 디자인의 차이를 구분하였다. 도시아이덴티티 디자인 중 시각적 요소의 구성을 분석하였고 도시아이덴티티 디자인 중 도시 시각적 요소의 구성 시스템과 시각적 요소 관련 5가지 요소의 표현 특징을 정리하게 되었다. 두 번째, 중국 도시아이덴티티 디자인의 시각적 요소 표현에는 아직 부족함이 많기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 도시아이덴티티 디자인 중 시각적 요소 표현과 응용의 장점과 단점을 분석하였다. 도시아이덴티티 디자인 중 시각적 요소의 표현 관련 이론적 배경 및 논문, 기간물 등 자료를 연구하고 사례 분석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2019년 중국 대륙 도시 거주 인구수의 순위와 해당 도시에서 공식적으로 발표한 도시 시각적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의거하고 도시아이덴티티를 보유하고 있는 10개 도시를 선정한 후 도시아이덴티티 디자인 중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의 지역성, 가변성, 상징성, 연관성, 차이성 등 5개 특징을 의거하여 도시의 로고, 색채, 슬로건, 마스코트, 확장디자인에 대해 분석을 진행하였다. 상기 분석들을 통해 아래와 같은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 첫 번째,중국 도시아이덴티티 디자인은 도시 시각적 요소의 표현에서 도시의 역사, 문화, 지표 건축 등 식별력이 강한 도형 요소를 선호한다. 비록 다른 도시와 완벽히 구분을 이룰 수 있지만 요소의 표현 방식은 상대적으로 전통적이고 단일적이다. 또한 시각적 규범과 시각적 요소의 확장디자인이 부족하여 다른 환경에서 도시 시각적 요소를 표현하고 홍보할 때 많은 영향을 받고 있고 도시에 대한 인상과 기억이 부족하다. 두 번째, 도시아이덴티티 디자인 중 시각적 요소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은 전통적인 서류 형식뿐만 아니라 현대의 뉴미디어 기술 수법을 사용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잡지, 디지털 티비, 터치미디어, 시각적 요소의 동태적인 표현 등이 있다. 이를 통해 수없이 많은 사람들과 상호간 동시에 개성화 교류를 이룰 수 있으며 도시에 대한 사람들의 인상과 호감을 향상할 수가 있다. 본 논문은 중국 도시아이덴티티 디자인 중 시각적 요소의 표현 관련 디자인과 응용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념과 문화의 차이로 해외 도시들이 도시아이덴티티 디자인 중 시각적 요소의 표현이 더욱 간의, 기호화, 도형화하며 시각적 요소의 응용과 표현 형식이 활력 있고 표현 방식이 풍부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중국 도시아이덴티티 디자인 중 시각적 요소의 표현은 도시의 문화와 역사를 통해 시각적 요소를 귀납하였고 총결 및 커뮤니케이션을 이루었으며 시각적 요소는 도형을 많이 사용하고 표현에는 상대적으로 전통적, 내성적, 평온하다. 그러므로 시각적 요소를 융통성 있게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분연구자의 생각으로 중국의 도시들은 도시아이덴티티 디자인 중 시각적 요소의 표현에는 도형, 색채, 문자, 형태, 확장디자인에서 요소의 다양성, 현대 느낌을 많이 응용해야 하고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추가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뉴미디어 등 기술 수법을 이용하여 도시아이덴티티 디자인 중 도시의 시각적 아이덴티티를 향상하는 것이다.

      •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의 정보 디자인 구조 연구= (A) Study on Information Design Structure of Muyedobotongji

        이현경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831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fine the characteristics on the information design structure of Muyedobotongji by analyzing its structure and graphical elements. And it is to propose Muyedobotongji as a new developed model of visual information in the Records of Joseon Dynasty. Muyedobotongji is classified as a martial arts manual which has to be considered for the readers to easily understand. For this purpose, Muyebodotongji expanded its visual information of Muyebo to Do(圖, the instructional illustrations), Chongbo(總譜, the complete notations) and Chongdo(總圖, the complete illustrations). In these three models, Chongbo and Chongdo were newly created as developed models of Do(圖) in th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So this thesis will focus on user centric structure and design of Muyedobotongji in visual communication among the elements which are information design-collecting, classifying, recording, and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It suggests that Muyedobotongji can be defined as a develped model of visual information of th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Under this premise in chapter 1, for researching the cases of information design and finding the patterns of visual information in th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this paper will 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 information of records by dividing th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into the former, the middle and the latter. From this, the researcher derived three types of visual information design pattern of Do(圖). In Chapter 2, it considered the meaning of the features of Chongbo and Chongdo which were newly appeared by analyzing Muyedobotongji and its Muyebo considering what is the purpose of Chongbo and Chongdo. In chapter 3, it defines the functions and structure of the elements of Do, Chongbo and Chongdo which are the three visual information patterns of Muyebo by analyzing their types. Through these explanations, this thesis defined Do, Chongbo and Chongdo of Muyebo of Muyedobotongji as a multidimensional triple information design of developed visual information model in th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It also defined its information structure as a spiral information structure which successfully enabled people to re-enact the martial arts by minmizing the errors of information delivery. This thesis proposed Muyedobotongji as a new developed model of the Joseon’s information design. In conclusion, as leading consideration for the study of information design about Muyedobotongji defined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records of Joseon Dynasty as the uniqueness of the creation of information, the excellence for the condensation of information, and the objectivity for the inheritance of information. It also defined the pattern of Joseon’s Do(圖) as a realistic depiction mode, graphic disposition of word mode, and a symbolic notation mode. On the basis of this classification, by defining the information structure and design of Muyedobotongji’s Muyebo as multimensional triple information and spiral information structure, this thesis ultimately confirmed that Muyedobotongji was a developed model of th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This thesis can help us to have a broader view of the unknown Korean information design by creating a new perspective about Muyedobotogji and to continue and develop a research of information design of Joseon’s recordings. Lastly, this thesis can have a significant meaning for Jeongjo’s achievements in the tradition of information design by proposing Muyedobotongji among his other representative achievements. 이 논문은 《무예도보통지》의 〈무예보〉의 구조와 시각 요소들을 분석하여 《무예도보통지》의 정보 디자인 구조의 특성을 정의하여 《무예도보통지》를 조선시대 기록물의 시각적 정보의 발전 모형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무예도보통지》는 사용자의 쉬운 이해를 목적으로 한 무예 지침서로 분류되기 때문에 이 논문은 정보 디자인의 근간이 되는 정보의 수집, 분류, 기록, 전달 등의 요소들 중에 《무예도보통지》의 사용자 중심적 구조와 디자인에 주목한다. 이러한 목적 아래 《무예도보통지》는 〈무예보〉의 시각적 정보를 도(圖)와 총보(總譜)와 총도(總圖)로 늘렸다. 이 세 가지 유형에서 총보와 총도는 조선 시대 도(圖)의 발전된 모델로 새롭게 창안되었다. 이는 조선시대 기록물의 발전된 시각적 정보 구조를 보여주는 것으로 《무예도보통지》가 조선 시대 기록물의 시각화된 정보의 발전된 모형으로서 정의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전제 아래 〈1장〉에서는 조선시대 기록물의 정보 디자인적 사례를 조사하고 시각적 정보의 유형을 알아보기 위해 시각적 정보 위주의 조선시대 기록물을 선정하여 조선시대를 전기·중기·후기 시대별로 나눠 기록물의 시각적 정보의 기록 목적별 특성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조선시대 도(圖)의 시각적 정보 표현 유형을 3가지로 도출하였다. 〈2장〉에서는 조선 후기 무예 지침서인 《무예도보통지》와 《무예도보통지》의 〈무예보〉를 분석하며 새로 등장한 형식의 총보와 총도의 특성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고찰하였다. 〈3장〉에서는 〈무예보〉의 세 가지 시각적 정보 유형인 ‘도·총보·총도’의 구성요소의 유형적 분석을 통해 구성요소의 유형별 기능과 구조를 정의하였다. 이를 통해 이 논문은 《무예도보통지》에 관한 정보 디자인적 연구를 위해 조선시대 기록물의 시대별 기록 목적에 따른 정보 디자인적 특성을 정보의 생성을 위한 독창성, 정보의 압축을 위한 전문성, 정보의 계승을 위한 객관성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조선시대 도(圖)의 유형을 사실적 묘사 형식, 문자의 시각적 배치 형식, 기호 표기법 형식으로 정의하여 이를 바탕으로 《무예도보통지》의 〈무예보〉의 정보 구조와 그 표현을 ‘도·총보·총도’의 다차원적 3중 정보 표현의 나선형 정보 구조로 되어 있음을 정의하였다. 궁극적으로 이 논문은 《무예도보통지》가 조선시대 기록물의 발전된 모형임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조선시대 기록물의 정보 디자인적 사례를 살펴보고 《무예도보통지》를 조선후기 기록물의 시각적 정보의 발전 모형임을 드러냄으로써 잘 알려지지 않은 한국의 정보 디자인 전통에 대해 더 넓은 시각을 갖게 해 줄 수 있다. 또한 조선 시대 기록물에 대한 정보 디자인적 해석을 위한 후속 연구가 지속되고 발전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간접적으로는 정조의 기록 업적 가운데 《무예도보통지》를 또 다른 정보 디자인적 업적으로 제안함으로써 정보 디자인 전통 속에서 정조의 업적을 다시 조명했다는 데 의의를 가질 수 있다.

      • 사회적 기억의 매개로서 디자인 : 동시대적 가치와 역할

        송진원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831

        이 연구는 기억과 역사, 경험과 의식의 대립을 시대를 특징짓는 성격으로 주목하고, 디자인의 사회문화적 역할과 ‘사회적 기억’이라는 동시대적 가치의 관계 맺기를 시도한다. ‘사회적 기억’이란 다양한 맥락을 바탕으로 개인이나 집단의 기억이 공동의 기억으로 변화하는 현상에 주목한 개념이며, 이는 단일한 형태의 고정된 기억이 아닌, 사회 변화에 따라 재해석, 재구성되고, 다양한 참여와 맞물려서 작동한다. 즉, 현존하는 사회적 맥락 속에서 공유하는 기억을 의미한다. ‘디자인’과 ‘사회적 기억’을 관계 짓는 이유는 단지 역사가 사실과 얼마나 부합하고 정확한 것인지를 따지기 위한 것이 아니다. 끊임없이 변해가는 사회에서 과거의 기억들이 시대 가치와 변화에 맞춰 재구성되면서, 이를 통해 나타난 사회적 문제의식이 기존의 의식에 대해 어떤 비판과 대안을 요구하는지를 디자인의 측면에서 살피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요구는 곧 현재 우리 사회가 무엇을, 그리고 왜 기억하려 하는지를 이해하는 사회적 지표라 할 수 있고, 디자인의 사회적 역할이란 결국 우리 사회가 변하고자 하는 지향점을 디자인이 어떻게 수용하고 확산해야 하는지와 밀접하게 관계되어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런 생각이 디자인의 역할에 대한 재인식과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는 이 연구의 바탕이다. 이를 위해 기억과 디자인이 어떠한 접점을 가지며 유기적으로 관계하는지 검토했다. 먼저 〈2장〉에서는 기억을 다룬 다양한 논의 중 특히 기억의 집단성과 사회적 현상에 주목한 알박스(Maurice Halbwachs)의 이론을 바탕에 두고 베르그송(Henri Bergson)의 『물질과 기억』, 아스만(Aleida Assmann)의 『기억의 공간』, 노라(Pierre Nora)의 『기억의 장소』를 주 텍스트로 기억의 사회성과 상징적 의미에 대해 검토했다. 이를 통해 기억을 왜, 어떻게 다뤄야 하는지에 대한 필요성과 방향성을 제시했다. 〈3장〉에서는 어떤 기억을 어떻게 다뤄야 하는지에 관한 자세한 방법을 시각문화의 기능과 역할 측면에서 검토했다. 시각문화의 개념적 이해, 범주, 분류를 살피고, 시각적 측면과 문화적 측면을 분리하여 그 특성을, 인식, 재현, 기능의 측면에 대해 살폈다. 이어 시각문화에 나타난 기억은 어떻게 재현되었고, 양상은 어떠했는지 구체적 사료와 작품을 통해 검토했다. 또한, 재현의 방법으로 ‘상징’에 주목하고, 철학, 미학, 해석학 등 다양한 영역의 문헌들을 통해 상징의 개념과 기능적 측면에서 시각언어로서의 장점을 살폈다. 〈4장〉에서는 앞선 〈2장〉과 〈3장〉에서 검토한 기억의 집단적, 사회적 특성과 시각문화의 사회적 기능과 역할에 대한 논의를 토대로 오늘날 우리 사회가 지닌 ‘사회적 기억’과 디자인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실제 사건과 그로부터 발생한 디자인 사례를 통해 동시대에 나타나는 디자인의 양상과 소통 방식, 그리고 의의를 고찰했다. 고찰의 구체적 결과로 다음 3가지 양상을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대중과 함께하는 관계 지향적 양상. 둘째, 적극적 행동주의 양상이다. 이들 양상의 바탕에는 한 방향의 완결된 메시지 전달 방식이 아닌, 사회구성원의 참여를 통한 상호작용으로 만들어내는 사회적 맥락과 문화적 가치를 지향하는 진행형 소통 방식이 있었다. 또한, 공동체를 기반으로 경험의 나눔과 공유를 통해 사회적 기억의 재구성을 만들고 활성화하는 노력이 있었다. 셋째, 기억의 기록이라는 측면에서 아카이브를 창작의 도구이자 방법으로 활용하는 양상이다. 기존 아카이브의 객관성에 문제를 제기하며, 과거에 대한 표상이 아닌 현재를 중심으로 기억을 재사유, 재분할하고, 나아가 사회와 집단이 추구하는 가치에 따라 재구성하고자 하는 노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행동은 단순히 시각적 상징의 형태로 사회 문제에 개입하는 것만을 뜻하지는 않는다. 그것은 더 나아가 사회적 역할에 대해 디자이너 스스로 질문하고 실천하는 과정이었다. 디자인의 역할은 바로 이렇게 사회와 사회, 사회와 대중, 대중과 대중의 접점을 위한 계획과 매개를 만들며 관계를 잇고 형성하는 것이다. 〈5장〉에서는 연구의 결과에 대한 비판적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했다. 지금까지의 연구 내용(기억에 주목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시각문화는 기억을 어떤 방식으로 재현해왔는지, 사회적 기억과 디자인은 어떤 관계를 맺으며 동시대성을 어떠한 양상으로 담아내는지)에서 되짚어봐야 할 문제들을 비판적 관점으로 다시 살피고, 이를 통해 디자인의 동시대적 의미와 가치를 짚어보고, 그것들로부터 디자이너가 지녀야 할 태도는 무엇이며, 어떤 방법적 노력이 필요한지를 연구자의 생각과 주장을 담아 개진했다. 이 연구는 이처럼 디자인이 기억과 역사의 관계에 주목하고 ‘사회적 기억’으로 향하기 위한 시도이다. 이것은 디자인의 동시대적 가치이자 역할에 대한 ‘현실 인식’을 바탕에 둔 발언과 개입, 다양한 형태의 행동 방식에 관한 질문이자 비판적 검토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