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년여성 요통환자의 근육경직도, 통증자각도, 신체기능적 요인에 있어서 10주간의 요부 안정화 운동처치와 수동적 스트레칭 및 하지근력운동 복합처치 차이

        곽상헌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6개월 이상 요통을 겪고 있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보편적인 운동처치 방법인 요부안정화 운동처치집단과 본 연구에서 새롭게 제시하고 있는 수동적 스트레칭과 하지근력운동의 복합처치집단으로 나누어 각각의 운동처치를 10주간 적용한 후 근육경직도, 통증자각도, 요통과 관련된 신체기능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임상에서 효과적인 허리통증의 감소를 위해 논문에서 제시하는 새로운 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최근들어 허리통증이 6개월 이상 지속되고 이로인한 요통의 경험으로 병원에 내원하여 관련된 진료나 처치, 치료를 받은 경험을 가진 중년 여성들 40명을 모집하여 요부안정화 운동처치집단(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group, LSEG) 20명과 수동적 스트레칭과 하지근력운동을 결합한 복합운동처치집단(complex exercise group, CEG) 20명으로 무작위 분할(random sampling)을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들 모두는 각 집단에 맞게 운동처치를 진행하였다. 총 10주간, 주 3회씩 운동처치를 실시하였고, 대상자들은 OMNI scale을 이용한 운동자각도(rating of perceived exertion, RPE) 6(다소 힘들다)-8(힘들다)에 해당되는 강도로 개인의 체력과 근력 수준에 맞게 30분의 운동 프로그램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10주간의 운동처치 중에 LSEG에서 2명과 CEG에서 3명이 중도포기로 탈락하여 LSEG의 18명 데이터와 CEG의 17명 데이터가 결과분석에 활용되었다. 신체구성에 있어서 LSEG와 CEG 두 집단 모두에서 10주간의 운동처치에 의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근육경직도의 경우 두 집단 모두에서 right quadratus lumborum muslce, left quadratus lumborum muslce, right gluteus medius muscle, left gluteus medius muscle, right hamstring muscle, left hamstring muscle에 유의한 개선효과(p < 0.05)가 나타났다. 그러나 근육경직도 개선에 있어서 두 처치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시각적 통증척도(pain visual analogue scale, P-VAS)와 일상생활 기능적 평가(Oswestry Disability Index, ODI)에 있어서 LSEG와 CEG 모두에서 P-VAS와 ODI에서 유의한 감소 현상(p<0.05)이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개선효과는 CEG에서 LSEG 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신체 기능적 요인의 변화에 있어서 LSEG와 CEG 모두에서 모든 신체 기능적 요인에 대한 유의한 개선 효과(p<0.05)가 나타났으며, 처치에 의한 개선효과는 CEG에서 LSEG 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종합하면 10주간의 수동적 스트레칭 및 하지근력운동의 복합처치와 요부안정화 운동처치 모두는 근육경직도, P-VAS, ODI, 신체 기능적 요인의 개선에 있어서 유용하지만 이에 대한 개선효과는 LSEG 보다 CEG에서 보다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resent study compared the effects of 10 weeks of combined exercise (passive stretching and lower extremity strength exercise) intervention and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intervention on muscle stiffness, pain, and physical function in middle-aged women with low back pain. In the present study, 40 middle-aged women who had continuously experienced back pain for at least 6 months and had visited the hospital for treatment and diagnosis were recruited. And then,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sampled into a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intervention group (LSG, n = 20) and a combined exercise intervention group (CEG, n = 20) composed of passive stretching and lower extremity strength exercises. All participants performed a 30 min exercise program with a rating of perceived exertion (RPE) of 6-8 using the OMNI scale according to the level of physical fitness and low back pain for each group. Exercise intervention were performed during 30 min, 3 times a week, for 10 weeks. However, 2 patients from the LSEG and 3 patients from the CEG dropped out during the 10-week exercise treatment, and consequently, data from 18 patients from the LSEG and data from 17 patients from the CEG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dy composition by 10 weeks of exercise intervention in LSEG and CEG groups. In the muscle stiffness, significant improvement (p < 0.05) was found in both groups in right quadratus lumborum muslce, left quadratus lumborum muslce, right gluteus medius muscle, left gluteus medius muscle, right hamstring muscle, and left hamstring muscl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interventions in the improvement of muscle stiffness.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pain visual analogue scale (P-VAS) and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in both groups, and the improvement was greater in the CEG than in the LSEG. In physical function, both groups showed a significant enhancement (p < 0.05) for all parameters, and the enhancement via exercise intervention was greater in the CEG than in the LSEG. Summarizing the present study, 10 weeks of combined exercise intervention composed of passive stretching and lower extremity strength exercises and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intervention showed useful results in improving muscle stiffness, P-VAS, ODI, and physical func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improvement in muscle stiffness, P-VAS, ODI, and physical function were more effective in the CEG than in the LSEG.

      • 8주간의 고관절 강화 운동과 수동적 스트레칭의 복합처치가 만성요통을 가진 노인들에게 있어 통증 자각도, 근육 경직도, 신체 기능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김지환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8-week of combined exercise intervention (composed of hip and gluteal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and passive stretching of the lower extremities) vs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intervention on pain, muscle stiffness, and functional factors associated with low back pain in elderly population. Elderly people with chronic low back pain (n = 20) were randomly assigned into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group (LSEG; n = 10,), combined exercise group (CEG, n = 10). The LSEG and CEG performed 25-30 min of their respective exercise program for 8-week (3 days/week) with OMNI scale 6-8 intensity. All participants underwent body composition, muscle stiffness, pain-visual analogue scale, Oswestry disability index, physical functional factors associated with low back pain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In body compos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of fat free mass and percent body fat in CEG. In muscle stiffness, pain, function, and function disability, all parameter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both groups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ntervention. In physical function test, all parameter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both groups and YMCA sit and reach, straight leg raise, and showed greater improvement in CEG compared with LSEG. Combined exercise intervention (hip and gluteal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and passive stretching of the lower extremities) is a novel and successful method for treat chronic back pain in the elderly. 본 연구는 만성 요통을 가진 노인들에게 8주간의 복합운동(고관절 근력강화운동, 하지의 수동적 스트레칭으로 구성)과 요부안정화 운동의 통증 자각도, 근육 경직도, 신체 기능적 요인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였다. 총 20명의 대상자를 요부안정화 운동 그룹(n = 10), 복합운동 그룹(n = 10)에 무작위로 배정하여, 요부안정화운동과 복합운동을 OMNI 척도 6-8 강도로 8주(3일/주) 동안 각각의 운동 프로그램의 25-30분을 수행하였다. 모든 참가자는 신체 구성, 근육 경직도, 통증 자각도, 오스웨스트리 장애 지수, 만성 요통과 관련된 신체적 기능적 요인을 중재 전후로 평가 하였다. 체성분에서는 복합운동군 에서 제지방량과 체지방률의 현저한 개선이 있었다. 근육 경직도, 통증, 기능 및 기능장애 항목은 두 그룹 모두에서 현저한 개선을 보였으나, 두 그룹 간에 큰 차이는 없었다. 신체 기능적 평가에서는 두 그룹 모두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개선을 나타냈으며, YMCA sit and reach, straight leg raise 항목에서 복합운동군이 요부안정화운동군에 비해 더 큰 향상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았을때, 본 연구에서 제시한 복합운동(고관절 근력강화 운동, 하지 수동적 스트레칭)은 노인의 만성 요통에 적용 할 수 있는 새롭고 성공적인 운동요법으로 볼 수 있다.

      • 저압·저산소 환경에서 4주간의 인터벌 및 스프린트 훈련이 엘리트 산악 사이클 선수의 유·무산소성 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서새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저압·저산소 환경에서 인터벌 및 반복적인 스프린트 운동의 복합처치 훈련이 엘리트 산악 사이클 선수의 최대하 지속주 운동 중 대사기능 및 심장기능, 유·무산소성 운동능력, 경기기록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의 대상자들은 2022년 항저우 아시안게임을 준비하고 있는 엘리트 산악 사이클 선수의 남자운동선수 4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저압·저산소 트레이닝은 준비운동 15분, 인터벌 운동 30분, 반복적인 스프린트 운동 30분, 정리운동 15분으로 구성되었으며, 저압·저산소 환경(1-2주차: 596mmHg, 2000m 상당고도 / 3-4주차: 526mmHg, 3000m 상당고도) 조건에서 4주 동안, 주 3회, 각 회당 총 90분 동안 수행되었다. 4주간의 트레이닝 전과 후에 최대하 지속주 운동 중 대사기능 및 심장기능, 유산소성 운동능력, 무산소성 운동능력, 경기기록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대사 및 심장기능에서 산소섭취량, 이산화탄소 배출량, 심박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일회박출량, 심실이완기말용량, 심박출량, 구출분획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산소성 운동능력 관련 변인에서는 최고파워(p=0.046)가 증가하였으며, 최대산소섭취량과 운동지속시간은 개선된 경향을 보였다. 무산소성 운동능력 관련 변인에서는 상대최고파워, 상대평균파워, 운동 후 혈중젖산수치, 피로지수가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3.8km time trial 경기기 록 또한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적은 표본수에도 4주간의 IHT와 RSH로 구성된 저압·저산소 트레이닝이 최대하 지속주 운동 중 대사 및 심장기능, 유·무산소성 운동능력을 개선으로 운동경제성(exercise economy)과 혈액동역학 기능을 개선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경기기록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interval hypoxic training (IHT) and repeated sprint training in hypoxia (RSH) on metabolic and cardiac function during submaximal exercise, aerobic and anaerobic performance, and time trial performance in elite Korean national mountain bike (MTB) cyclists. The participants included elite Korean national MTB cyclists (n=4) preparing for the 19th Asian Games in angzhou 2022. The hypoxic training consisted of 15 min warm-up, 30 min interval exercise, 30 min repeated sprint exercise and 15 min cool-down, and training frequency was 90 min, 3 days per week for 4 weeks. Before and after hypoxic training, metabolic and cardiac functions during submaximal exercise, aerobic performance, anaerobic performance, and time trial performance were measured. Oxygen uptake, carbon dioxide excretion, and heart rate tended to decrease, and stroke volume, end-diastolic volume, and cardiac output tended to increase. In aerobic, anaerobic, and time trial performances, the peak torque in aerobic performance significantly increased (p = 0.046). Maximal oxygen uptake and exercise time in aerobic performance, relative peak power, relative mean power, post-exercise blood lactate level, fatigue index in anaerobic performance, and time trial performance showed an improved tendency (all p = 0.068). The 38present study confirmed that IHT and RSH have the potential to improve athletic performance in elite Korean national MTB cyclists.

      • Effect of Blood Flow Restriction with Low- Intensity Resistance Training in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and Rheumatoid Arthritis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황준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07

        Background: Osteoarthritis (OA) and rheumatoid arthritis (RA) pose common health challenges globally. Resistance training (RT) is an effective method for managing these conditions. However, it is not exempt from potential challenges posed by joint function impairments in patients. As an alternative management approach, the blood flow restriction combined with low-intensity resistance training (BFR + LIRT) seems to offer a safer and more effective strategy.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is to assess the impact of BFR+LIRT compared to RT on pain, adverse events, muscle strength, and functionality in OA and RA patients. Method: Thi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dhered to the guidelines of the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es 2020 (PRISMA 2020) and applied the A Measurement Tool to Assess Systematic Reviews 2 (AMSTAR2) standards to ensure the high quality of the systematic review. Until August 2023, a comprehensive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using four selected keywords (osteoarthritis, rheumatoid arthritis, blood flow restriction training, resistance training) across five search engines (PubMed, Embase, Web of Science, CENTRAL, PEDro). Results: Eight included studies underwent meta-analysis. The results indicate that, compared to RT, BFR+LIRT demonstrated similar effects on pain (SMD=0.05, 95%CI [-0.20, 0.30], I²=0.00%, p=0.72), the risk of adverse events (log RR=0.04, 95%CI [-0.07, 0.14], I²=41.61%, p=0.48), muscle strength (SMD=0.27, 95%CI [-0.21, 0.74], I²=80.75%, p=0.28), self- reported function (SMD=-0.13, 95%CI [-0.45, 0.20], p=0.45), and physical function (SMD=-0.01, 95%CI [-0.25, 0.24], I²=6.08%, p=0.97). Subgroup analyses were consistent with the findings of the meta-analysis. Conclusion: Thi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further assessed the impact of BFR+LIRT and RT on patients with OA and RA. According to the meta-analysis results, the application of BFR+LIRT demonstrated similarities to RT in terms of pain, risk of side effects, muscle strength, and functionality. However, due to the limited number of studies included in this analysis, more research efforts are necessary to draw more precise conclusions. Future endeavors should focus on conducting higher-quality studies to intricately evaluate the effects of BFR+LIRT and RT in these patient populations. Keyword: Osteoarthritis, rheumatoid arthritis, resistance training, blood flow restriction training, systematic review, meta-analysis 배경: 골관절염(osteoarthritis, OA) 및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RA)은 전 세계적으로 주요 건강 문제이다. 저항성 트레이닝(resistance training, RT)은 이러한 질병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이지만 과도한 부하로 인해 환자의 관절 기능 장애를 유발할 수 있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이에 대한 효과적인 대안 방법으로써 혈류 제한(blood flow restriction, BFR) 및 저강도 저항 트레이닝(light intensity resistance training, LIRT)이 제안되고 있다. 목적: 본 체계적 문헌 고찰 및 메타분석의 목적은 OA 및 RA 환자의 통증, 부작용, 근력 및 기능에 대한 BFR+LIRT와 RT의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방법: 본 체계적 문헌 고찰 및 메타분석은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es 2020 (PRISMA 2020)의 지침을 준수하였으며 A Measurement Tool to Assess Systematic Reviews 2 (AMSTAR2) 표준을 적용하여 체계적 문헌 고찰의 고품질을 보장하였다. 2023년 8월까지 4개의 검색어(osteoarthritis, rheumatoid arthritis, blood flow restriction training, resistance training)를 선정하고 5개의 검색 엔진(PubMed, Embase, Web of Science, CENTRAL, PEDro)을 사용하여 문헌 검색을 수행하였다. 결과: 본 체계적 문헌 고찰 및 메타분석에 포함된 연구는 8개에 해당되며, 메타분석 결과에 따르면 BFR+LIRT는 RT와 비교했을 때 통증, 부작용 위험, 근력, 자가 보고 기능 및 신체 기능에 미치는 영향이 유사하였으며, 하위 그룹 분석에서도 메타분석 결과와 일치하였다. 결론: 본 체계적 문헌 고찰 및 메타분석을 바탕으로 BFR+LIRT와 RT의 OA 및 RA 환자에 영향을 평가한 결과 통증, 부작용 위험, 근력 및 기능 측면에서 BFR+LIRT의 효과는 RT와 유사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에 포함된 연구 수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더 정확한 결론을 얻기 위해서는 더 많은 실험 연구가 필요하다. 추후 고품질 연구를 통해 이러한 환자군에서 BFR+LIRT와 RT의 영향을 더 정확하게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 성인 여성에게 있어 동일한 에너지소비량의 지속주, 인터벌, 분할 운동에 따른 운동 후 초과산소섭취량의 차이

        선예린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07

        운동의 다양한 이점에도 불구하고 성인 여성의 운동 참여율은 저조한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운동 형태를 통해 전략적인 운동 방법과 운동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지표로써 운동 후 초과산소섭취량(excess post-exercise oxygen consumption, EPOC)를 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운동 형태를 바탕으로 EPOC를 극대화하여 에너지소비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운동 방법을 찾고자 하는 연구는 많이 수행되어왔다. 그러나 운동 중 에너지소비량을 균질화해 다양한 운동 형태에 따른 EPOC의 차이를 검토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강한 여성을 대상으로 운동 중 에너지 소비를 균질화한 지속주 운동(continuous exercise, CE), 인터벌 운동(interval exercise, IE), 분할 운동(accumulated exercise, AE) 수행 시 EPOC를 포함한 총 에너지소비량과 에너지 대사 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규칙적인 운동을 하지 않는 50명의 건강한 여성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했다. 그러나 연구 진행 중 총 6명의 대상자가 중도 포기하여 44명(연령: 36.09 ± 11.73)의 데이터가 결과분석에 활용되었다. 모든 대상자는 실험기간 동안 1주 간격으로 총 4번 실험실에 방문하였다. 첫 번째 방문에서는 신체구성 검사를 실시했으며, 대상자들에게 맞는 운동 강도를 확인하기 위해 점증적 최대부하운동검사(graded exercise test, GXT)를 통해 최고산소섭취량(peak oxygen consumption, VO2peak)을 측정하였다. 두 번째부터 네 번째 방문의 경우 대상자들은 운동 중 에너지소비량이 균질화된 CE, IE, AE로 구성된 무작위 교차 측정을 수행하였다. 각각의 운동 강도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CE는 60%VO2peak로 총 30분 동안 수행하였고, IE는 2분 동안 80%VO2peak로 1회한 후 80%VO2peak로 3분과 40%VO2peak로 1분을 6번 반복해 총 26분 동안 운동을 수행하였다. AE는 60%VO2peak로 10분 운동을 2시간 이상 간격으로 하루에 3번 측정하였다. 운동 중과 운동 후 안정시로 되돌아오는 EPOC 측정시간 동안 심박수(heart rate, HR), 분당 환기량(minute ventilation, VE), 산소 섭취량(oxygen uptake, VO2), 이산화탄소 배출량(carbon dioxide excretion, VCO2), 호흡교환율(repiratory exchange rate, RER), 탄수화물 산화량(carbohydrate oxidation, CHO), 지방 산화량(fatty acid oxidation, FAO) 및 에너지소비량(energy expenditure, EE), EPOC 시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운동 동안 HR(p<.001, η2=.168), RER(p<.001, η2=.352), CHO(p<.05, η2=.092), FAO(p<.001, η2=.230)에서 유의한 주효과가 나타났다. 주효과가 나타난 변인에 대해 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IE는 HR(p<.001)과 FAO(p<.001)에서 CE보다 유의하게 낮은 값을 보였고, RER(p<.001)과 CHO(p<.05)에서 CE보다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났다. AE는 RER(p<.001)에서 IE보다 유의하게 낮은 값을 보였고, FAO(p<.001)에서 IE보다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냈다. EE는 처치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이에 운동 중 EE가 균질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EPOC 동안에는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주효과가 나타나 모든 변인에서 사후분석을 실시하였다. IE는 HR(p<.001), VE(p<.001), VO2(p<.001), VCO2(p<.001), CHO(p<.001), FAO(p<.001), EE(p<.001)에서 CE보다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냈다. AE는 모든 변인에서 CE보다 유의하게 높은 값(all p<.001)을 보였고 HR(p<.001), VE(p<.001), VO2(p<.001), VCO2(p<.001), RER(p<.001), CHO(p<.001), EE(p<.001), EPOC 시간(p<.001)에서 IE보다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냈다. EPOC를 포함한 전체 운동 동안에는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주효과가 나타나 모든 변인에서 사후분석을 실시하였다. CE는 FAO(p<.001)에서 IE보다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으며, IE는 RER(p<.001)과 CHO(p<.001)에서 CE보다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냈다. AE는 HR(p<.001), VE(p<.001), VO2(p<.001), VCO2(p<.001), RER(p<.001), CHO(p<.001), EE(p<.001)에서 CE보다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고 HR(p<.001), VE(p<.001), VO2(p<.001), VCO2(p<.001), CHO(p<.001), FAO(p<.001), EE(p<.001)에서 IE보다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냈다. 추가로 운동 처치에 따른 산소결핍 총량과 EPOC의 차이에서는 산소결핍 총량(p<.001)과 EPOC(p<.001) 모두에서 IE가 CE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AE가 CE, IE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운동 처치에 따른 산소결핍 총량과 EPOC의 상관관계를 보았을 때, CE(R=.377), IE(R=.308), AE(R=.558)에서 산소결핍 총량과 EPOC 동안의 산소섭취량에서 유의한 상관도가 나타났다. 또한 세 가지 다른 운동 처치 전체(R=.840)에서 유의한 상관도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운동 양식에 따른 운동과 EPOC를 포함한 총 에너지 소비량, 에너지 대사, EPOC 시간의 차이와 산소결핍 총량과 EPOC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운동 시, CE는 중강도로 장시간 연속적으로 운동을 수행하기 때문에 지방 산화에 있어 효과적이며, IE의 경우 고강도의 운동과 휴식을 반복하기 때문에 탄수화물 산화에 있어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회복기에 AE에서는 분할 운동에 따른 산소결핍 크기의 증가로 인해 EPOC가 누적되어 탄수화물 산화량과 지방 산화량이 가장 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AE에서 CE와 IE보다 더 큰 에너지 소비량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AE는 다양한 질환자들을 포함한 운동에 대한 순응도가 낮은 여성들에게 EPOC의 활성화를 통해 에너지 소비량를 극대화하는 방법으로서 전략적인 운동 방법이 될 수 있다. Sever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find different types of exercise to maximize the total energy consumption by exercise. However, no study has compared the excess post-exercise oxygen consumption (EPOC) associated with continuous exercise (CE), interval exercise (IE) and accumulated exercise (AE) with equalized exercise volume.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energy metabolism throughout the exercise, including EPOC, in various exercise methods including CE, IE, and AE, which consumed equal energy consumption during exercise in healthy women. Fifty healthy women, who did not participate regular exercise, were included in the present study. However six subjects gave up during the study, data from forty-four subjects(36.09 ± 11.73 years)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results. All participants visited the laboratory four times at intervals of one week during experimental period. During the first visit, they underwent body composition test and graded exercise test. On the second to fourth occasions, the participants underwent a randomized crossover experimental trial consisted of CE, IE, and AE with equalized energy expenditure. The intensity of each exercise was set as follows. CE was performed for a total 30 min at 60%VO2peak and IE was performed for total of 26 min by 80%VO2peak for 2 min once, then repeating 80%VO2peak for 3 min and 40%VO2peak for 1 min 6 times. AE was performed for 10 min with 60%VO2peak and was measured 3 times a day. Heart rate (HR), minute ventilation (VE), oxygen consumption (VO2), carbon dioxide excretion (VCO2), and respiratory exchange ratio (RER), carbohydrate oxidation (CHO), fatty acid oxidation (FAO), and energy expenditure (EE), EPOC duration were measured during exercise plus EPOC. As a result, a significant main effect was shown in HR_sum (p < .001, η2 = .168), RER (p < .001, η2 = .352), CHO (p < .05, η2 = .092) and FAO (p < .001, η 2= .230) in the exercise session, hence a post-hoc test were performed on the variable with the main effect. IE was significantly lower in HR_sum (p < .001) and FAO (p < .001) than CE, and significantly higher in RER (p < .001) and CHO (p < .05). AE was significantly lower in RER (p < .001) then IE, and significantly higher in FAO (p < .001). In ad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E between the three trial sessions, confirming that exercise volume homogenization was well performed. In the EPOC session, all variables (all p < .001, η2 > .210) showed significant main effect, hence post-hoc test were performed on all variables. I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CE in HR_sum (p < .001), VE_sum (p < .001), VO2_sum (p < .001), VCO2_sum (p < .001), CHO (p < .001), FAO(p < .001) and EE (p < .001), EPOC duration (p < .001). A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CE in all variables (all p < .001) an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E in HR_sum (p < .001), VE_sum (p < .001), VO2_sum (p < .001), VCO2_sum (p < .001), RER (p < .001), CHO (p < .001) and EE (p < .001). In total (exercise plus EPOC session), all variables (all p < .001, η2 > .167) showed significant main effect, hence post-hoc test were performed on all variables. C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E in FAO (p < .001). I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CE in RER (p < .001) and CHO (p < .001). A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CE in HR_sum (p < .001), VE_sum (p < .001), VO2_sum (p < .001), VCO2_sum (p < .001), RER (p < .001), CHO (p < .001) and EE (p < .001) an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E in HR_sum (p < .001), VE_sum (p < .001), VO2_sum (p < .001), VCO2_sum (p < .001), CHO (p < .001), FAO (p < .001) and EE (p < .001). In addition, in the difference between O2 deficit and EPOC according to exercise trial, I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CE in both O2(p < .001) deficit and EPOC(p < .001), and A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CE and IE. Therefore, when looking at the correlation between O2 deficit and EPOC according to exercise trial,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in O2 deficit and VO2 during EPOC in CE (R = .377), IE (R = .308), AE (R = .558).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in all 3 different exercise trials (R = .840). In this study, the differences in energy metabolism, energy consumption and EPOC duration during EPOC according to 3 different exercise trial, along with the correlation between O2 deficit and EPOC were confirmed. CE was effective for fatty oxidation because exercise for a relatively long time at moderate intensity. And IE was effective in carbohydrate oxidation by repeating high intensity and rest However, in AE during the recovery period, EPOC was accumulated due to the increase in O2 deficit size according to divided exercise,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amount of CHO and FAO were the largest. In particular, higher EE was confirmed in AE than in CE and IE. Therefore, AE can be a strategic exercise as a way to increase exercise compliance for women with low exercise participation and maximize energy consumption through EPOC.

      • 8주간 불안정한 지지면에서 런지 운동이 중년여성의 하지근력, 신체조성 및 신체 균형에 미치는 영향

        이지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8주간의 불안정한 지지면에서의 런지 운동이 중년여성의 하지 근력과 신체조성 그리고 신체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더 효과적인 하지근력 운동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운동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없는 중년여성 2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각 대상자들은 각 집단에 맞는 운동처치를 총 8주간, (주 3, 50분/1회)의 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각기 다른 지지면에서의 런지 운동을 실시한 결과 그룹간에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불안정한 지지면에서 운동한 실험군 그룹에서 체지방률이 유의하게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또한 하지근육량에 있어서는 두 그룹 모두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나(p<0.05) 그룹간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하지 근기능 평가 결과 그룹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두 그룹 모두에서 근기능이 개선 된 것으로 나타났다. 정적 밸런스와 동적 밸런스 결과에서는 두 그룹 모두에서 밸런스 기능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불안정한 지지면에서의 런지 운동 그룹이 안정한 지지면에서 운동 한 그룹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5).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불안정한 지지면에서의 런지 운동이 안정한 지지면에서의 런지운동 보다 중년여성의 신체조성, 근기능, 정적 밸런스 및 동적밸런스에 긍정적 개선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신체균형 및 근감소가 빠르게 진행되는 중년여성에게 있어 불안정한 지지면에서의 런지 운동이 안정적인 지지면에서의 런지 운동보다 효과적인 운동 방법일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more effective exercise for lower extremity muscle strength by evaluating the effects of 8 weeks of lunge exercise on an unstable support surface on lower extremity muscle strength, body composition, and body balance in middle-aged women. Twenty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control group [CON]: exercise on a stable support surface, n=10; and experimental group [EXP]: exercise on an unstable support surface, n=10). Each group subject performed an exercise program for a total of 8 weeks (3 times a week, 50 minutes/1 times). The results showed that body fat percentage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experimental group (p<0.01). In addition, both group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lower extremity muscle mass (p<0.05);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ce between the groups. Moreover, the muscle function was improved in both groups;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addition, the results of static balance and dynamic balance indicated that the balance was improved in both groups, and the EXP group was significantly improved than the CON group (p<0.05). Consequently,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lunge exercise on an unstable support surface could improve body composition, muscle function, and static and dynamic balance in middle-aged women.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lunge exercise on an unstable support surface would be suitable for middle-aged women.

      • 12주간의 저항성 트레이닝이 중년비만여성의 신체구성, 근비대 및 근기능, 혈중 지질 농도, 혈액유변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

        서지수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07

        배경: 비만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그 비율과 증가율은 여성에서 더 높은 경향이 있다. 비만과 관련된 질병 및 사망의 위험이 증가함에 따라 체중을 감량하거나 유지하기 위한 전략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운동은 건강상의 이점을 극대화하여 체중을 줄일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비만 치료 방법 중 하나이다. 최근 비만과 관련된 건강지표로 혈액순환, 성분흐름, 변형성 지표인 혈액유변적 기능이 주목받고 있다. 혈액유변적 기능은 미세혈관에서 조직으로의 혈류를 조절하는 인자로 적혈구 변형성 및 응집성이 대표적인 변인이다. 비만인은 정상인에 비해 적혈구 변형성이 낮고 적혈구 응집성이 더 높다. 운동은 혈액학적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대표적인 치료 방법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장기간의 저항운동에 따른 혈액유변적 기능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목적: 본 연구는 12주간의 저항운동이 중년 비만 여성의 신체구성, 혈압, 혈중 지질 수치, 근육 단면적(cross sectional area, CSA), 등속성 근기능 및 혈액유변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방법: 근골격계 손상의 병력이 없고 규칙적인 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30명의 비만 여성(50.79±5.80세)이 본 연구에 포함되었다. 모든 참가자는 대조군(n=15) 또는 실험군(n=15)에 무작위로 할당되었다. 그러나 대조군 중 2명이 개인사정으로 자발적으로 탈퇴했고, 대조군에 총 13명이 최종 참가했다. 실험군은 준비운동, 본운동(벤치프레스, 프리처벤치바이셉스컬, 바벨로잉, 덤벨숄더프레스, 데드리프트, 바벨스쿼트, 시티드 레그 익스텐션, 라이잉 레그 컬), 정리운동으로 구성된 저항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본운동은 최대근력(one repetition maximum, 1-RM)의 70-80%로 8-10회, 3세트로 하였으며, 운동처방의 점진부하 원리에 따라 3주마다 반복 및 세트의 횟수를 증가시켰다. 훈련 빈도는 12주 동안 주 3일, 80분이었다. 대조군은 훈련 없이 일상을 유지했다. 모든 참가자는 신체구성(체중, 체질량지수, 제지방량, 체지방량 및 체지방률), 혈압(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평균 동맥압 및 맥압), 혈중 지질 수치(총 콜레스테롤,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및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근육 단면적(대퇴사두근 CSA, 햄스트링 CSA 및 전체 허벅지 근육 CSA), 등속성 근기능(최대 토크, 상대 최대 토크, 평균 파워, 총 운동량) 및 혈액유변적 기능(적혈구 변형성 및 적혈구 응집성)을 12주 훈련 전후에 측정했습니다. 결과: 실험군은 12주간의 저항 훈련을 통해 체지방량의 유의한 감소(p=.018)를 보여주었다. 또한, 실험군은 대퇴사두근에서 최대토크(p<.001), 상대최대토크(p<.001), 총 일량(p<.001)이 개선되었으며, 햄스트링에서는 총 일량(p=.018)이 개선되어 전반적인 근기능이 더 크게 개선되었다. 혈액유변적 기능과 관련하여 EXP는 12주간의 저항 훈련을 통해 적혈구 응집성(p<.001), 적혈구 변형성(p<.001)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그러나 12주간의 저항 훈련을 통해 혈압과 근육 CSA에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저항성 운동프로그램이 근력과 지구력이 향상되고 체지방이 감소하며 적혈구 변형성과 같은 혈액유변적 기능이 향상됨을 확인했다. Background: Obesity is on the rise all over the world, and the proportion and rate of increase tend to be higher in women. Strategies to lose or maintain weight are very important as the risk of disease and death associated with obesity increases. Therefore, exercise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obesity treatment methods that can reduce weight by maximizing health benefits. Recently, as a health index related to obesity, hemorheological function, which is an index for blood circulation, component flow, and deformability, has received much attention. Hemorheological function is a factor that regulates blood flow from microvessels to tissues, and erythrocyte deformability and aggregation are representative variables. Obese people show lower erythrocyte deformability and higher erythrocyte aggregation compared to normal people. Exercise has been reported as a representative treatment method that can improve the hemorheological function, but studies on the hemorheological function according to long-term resistance training are very lacking. Purpose: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resistance training for 12-week on body composition, blood pressure, blood lipid level, cross sectional area (CSA) of muscles, isokinetic muscle function, and hemorheological properties in middle-aged obese women. Methods: Thirty obese women (50.79 ± 5.80 years), with no history of any injuries to the musculoskeletal system and no participating any regular exercise program, were included in the present study. All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 control group (CON, n = 15) or an experimental group (EXP, n = 15); but two participants in the CON voluntarily withdrew because of personal reasons, and thirteen participants in the CON finally participated. The EXP underwent resistance training program composed of warm-up, main resistance exercise (bench press, preacher bench biceps curl, barbell rowing, dumbbell shoulder press, dead lift, barbell squat, seated leg extension, and lying leg curl), and cool-down. Main resistance exercise was consisted of three sets of 8–10 repetitions (reps) performed with 7-80% of 1-RM, and the number of repetitions and sets was increased every 3 week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increasing load of exercise prescription. The training frequency was 80 min, 3 days per week for 12 weeks. The CON maintained their daily lifestyle without training. All participants underwent body composition (weight, body mass index, lean body mass, fat mass, and %body fat), blood pressure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arterial pressure, and pulse pressure), blood lipid level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cross sectional area (CSA) of muscles (quadriceps CSA, hamstring CSA, and total thigh muscle CSA), isokinetic muscle function (peak torque, relative peak torque, mean power, and total work), and hemorheological properties (erythrocyte deformability and erythrocyte aggregation)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12-week of training. Results: The EX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fat mass (p = .018) via 12-week of resistance training. Also, the EXP yielded more significant improved muscle function including peak torque (p < .001), relative peak torque (p < .001) in extension 60°/sec, total work (p < .001) in extension 180°/sec and total work (p = .018) in Flexion 180°/sec. Regarding hemorheological properties, the EX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erythrocyte aggregation (p < .001), erythrocyte deformability (p < .001) via 12-week of resistance training.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blood pressure and muscle CSA parameters via 12-weeks of resistance training.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verified our resistance training program shows greater muscle strength and endurance, decreasing fat mass, and improving hemorheological properties such as erythrocyte deformability.

      • 연령별 체질량지수에 따른 남녀노인의 혈압과 기능체력의 차이 -국민체력100을 이용하여

        홍지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국민체력 100에 참가한 65세 이상의 남녀노인 중 2015~2019년도 데이터로 노인의 연령별 체질량지수에 따른 혈압과 기능체력을 분석하였다. 체질량지수,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 맥압, 평균동맥압을 측정하였으며, 악력, 상대악력,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유연성), 의자에 앉았다 일어서기(하지근력), 2분 제자리 걷기(심폐지구력), 의자에 앉아 3m표적 돌아오기(평형성), 8자보행(협응력)을 측정하였다. 통계는 SPSS로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유의수준(α)은 .05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노인남성은 이완기 혈압(F=4.296, p<.001), 수축기 혈압(F=3.868, p<.001), 평균동맥압(F=5.146,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노인여성은 이완기 혈압(F=1.968, p<.05), 수축기 혈압(F=2.645, p<.01), 맥압(F=2.079, p<.05), 평균동맥압(F=2.421, p<.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노인남성은 유연성(F=2.637, p<.01), 하지근력(F=2.147, p<.05), 평형성(F=3.609, p<.001), 협응력(F=3.892,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노인여성은 악력(F=17.618, p<.001), 상대악력(F=16.047, p<.001), 유연성(F=13.576, p<.001), 하지근력(F=5.931, p<.001), 심폐지구력(F=7.247, p<.001), 평형성(F=7.564, p<.001), 협응력(F=5.702,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령과 체질량지수가 높을수록 혈압이 높고 기능체력은 낮았으며, 저체중의 경우에도 기능체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노인에게서 적정체중을 유지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를 위해 노인의 트레이닝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후속연구로 신체활동량과 영양소섭취량을 고려한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age-related differences in blood pressure and functional fitness among BMI in elderly men and women. This study included male and female who participated in the National Fitness Award from 2015 to 2019. SBP, DBP, PP, and MAP was measured. Functional fitness test included hand grip strength, sit-and-reach, chair stand, 2-min steps, timed up-and-go, and 8-foot up & go. The results indicate that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f age and BMI groups was found on SBP, DBP, and MAP in elderly men, an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n SBP, DBP, PP, and MAP in elderly women.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were observed in flexibility, lower body strength, balance, and coordination by age and BMI groups in elderly men, an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n hand grip strength, relative hand grip strength, flexibility, lower body strength, aerobic endurance, balance, coordination in elderly women.

      • 요부안정화 및 하지근력운동의 복합처치가 만성허리통증을 가진 중년여성의 허리통증 관련 요인 및 신체 기능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고종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의 목적은 8주간의 요부안정화운동과 요부안정화 및 하지근력운동의 복합처치가 만성허리통증을 가진 중년여성의 허리통증 관련 요인 및 신체 기능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만성허리통증을 가진 중년여성20명을 무작위로 균등분하여 복합운동군과 요부안정화운동군을 할당하였다. 각 그룹의 운동프로그램은 준비운동 10분, 본 운동 30분, 정리운동 10분으로 총 50분으로 구성되었고, OMNI scale 6-8강도로 주 3회 실시하였다. 두 운동군 모두에서 운동프로그램 후 신체구성의 큰 차이는 없었다. 좌우 햄스트링의 근육경직도는 두 운동군 모두에서 크게 감소하였지만 복합운동군에서 더 많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통증척도인 VAS는 두 운동군 모두에서 크게 감소하였지만 복합운동군에서 더 많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X-ray는 복합운동군에서만 천골너비와 장골너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지만, 요추전만각은 두 운동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지 않았다. 신체기능평가에서는 4m 보행검사는 두 운동군 모두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지만, 복합운동군에서 더 많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균형검사, 의자 일어서기 검사 그리고 유연성 검사는 두 운동군 모두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8주간의 요부안정화 및 하지근력의 복합운동이 중년여성의 만성허리통증에 있어서 효과적인 운동방법으로 제시될 수 있다. We demonstrated the hypothesis that 8-week of combined exercise (composed of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and lower extremity strength exercise) vs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improves body composition, muscle stiffness and visual analogue scale (VAS), X-ray of pelvic and lumbar spine and physical functional test in middle-aged women with low back pain. middle-aged women with low back pain (n = 20) were randomly assigned into combined exercise group (CEG; n = 10) or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group (LSEG; n = 10).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comprised of 10 min warm-up, 30 min main exercise, and cool-down with OMNI scale 6-8 intensity for 3 days/week. All dependent variable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exercise interven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dy composition via exercise intervention in both groups. Muscle stiffness of the left and right hamstrings decreased significantly in both groups, but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more in CEG. VAS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both groups, but there was a greater decrease in CEG. In X-ray of pelvic and lumbar spine, sacral ala measurement and ilium shadow measurement significantly decreased only in CEG, and lumbar lordosis angle was no significantly decreased in both groups. In physical function test, 4 metre gait speed test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both groups, but there was a greater decrease in CEG. Balance test, chair stand test, and sit and reach test decreased significantly in both groups. 8-week of combined exercise intervention (composed of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and lower extremity strength exercise) is an effective exercise method for middle-aged women with low back pa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