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Guideline for the development of joint prosthesis in small animals

        이한중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3 국내석사

        RANK : 248719

        인공관절은 반려동물의 평균 수명이 증가함에 따라 지속적인 개발과 연구가 필요한 분야 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의학에서 활용되는 인공관절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전체 엉덩관절 치환술과 전체 무릎관절 치환술 인공관절의 개발에 있어 필요한 비임상적 및 임상적 검사에 대한 국 내외 자료를 정리하였다. 동물용 인공관절에 관한 규격은 따로 존재하지 않으므로 국내 식약처에서 제시하는 사람 인공관절 성능 평가 가이드라인과 임상평가 가이드라인을 참고하고, 미국 FDA와 유럽에서 제시하는 사람 인공관절 성능평가 가이드라인 및 임상평가 가이드라인을 정리하였다. 인공관절 개발에 필요한 전임상 검사로는 다섯가지 항목: 생체적합성검사, 구성요소에 대한 기계적 내구성 평가, 관절 가동범위, 마모검사, 멸균검사를 제시하였고, 임상검사로는 네가지 항목: 피험자군의 수 설정과 피험자 선정 기준 및 제외기준 설정, 임상시험기간의 설정, 객관적 평가항목 설정, 임상시험 참가자에 대한 보호조치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사람 인공관절 임플란트 개발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동물용 인공관절에 대한 개발 가이드라인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필요한 전임상시험과 임상시험을 설계할 수 있다. 하지만 인체과 동물의 생체역학이 다른 점에 따른 세부 평가 항목에 대한 수정이 필요하다. 주요어 : 인공엉덩관절, 인공무릎관절, 동물용 인공관절 전임상검사, 동물용 인공관절 임상검사, 동물용 인공관절 개발 가이드 라인

      • Clinical Evaluation of a Modified Cardiac Computed Tomography Protocol in Dogs and Cats

        김준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19

        As an alternative to invasive conventional angiography, multi-slice cardiac computed tomography (CT) has become the gold standard for non-invasive cardiovascular evaluation in human medicine. In veterinary medicine, several canine studies have reported the cardiovascular evaluation using non-electrocardiography (ECG)-gated or ECG-gated cardiac CT since 2011, but clinical applications and research are insufficient to date. Furthermore, non-ECG-gated or ECG-gated cardiac CT studies may be needed in feline medicine. Previous canine studies have indicated that ECG-gated CT methods are more effective in detailed imaging on the heart and coronary arteries (CAs) than non-ECG-gated CT methods due to minimizing cardiac motion artifacts. However, as small animals may have a fast heart rate and beta-blockers may exhibit limited efficacy in reducing heart rates, it may be difficult to perform ECG-gating method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differences, and limitations of non-ECG-gated and ECG-gated multi-slice cardiac CT, respectively. It may also be helpful to directly compare the clinical usefulness of non-ECG-gated and ECG-gated multi-slice cardiac CT in veterinary medicine. Therefore,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applicability and limitations of the non-ECG-gated method, as well as the advantages of using exclusively ECG-gated images. This will be done by simultaneously applying both methods to dogs and cats.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n appropriate high-slice cardiac CT scan protocol for dogs and cats, which can be utilized in the future. In Chapter 1, non-ECG-gated and ECG-gated methods using 160-slice CT equipment were applied simultaneously to six dogs (two patent ductus arteriosus, two heart base tumors, one pericardial mesothelioma, and one normal). A total of five sequential non-ECG-gated scans were performed at 5 s intervals, followed by retrospective ECG-gated scan without bolus tracking. Images were reviewed to determine the optimal scan timing in non-ECG-gated images and R-R interval in ECG-gated images for detailed CA imaging, respectively, and the visual assessment of main CA branches was performed in the selected images. In addition, the left CA branching patterns in six dogs were classified, and morphological evaluations such as the size and margination of the lesions were compared in non-ECG-gated and ECG-gated CT images in dogs with heart or pericardial tumors. The scan timing of non-ECG-gated and the R-R interval of ECG-gated images showing optimal CA visualization were identified as the second-scan timing and the end-diastole (R-R interval 70-90%), respectively. Non-ECG-gated, second-scan images showed high-grade in all main CA branches except the septal branch of dogs under 5 kg in visual CA assessment, an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ECG-gated images. In morphological evaluation of the lesions, small-sized heart or pericardial lesions in two dogs were clearly identified in ECG-gated images compared to non-ECG-gated image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non-ECG-gated high-slice CT method is capable of evaluating the main CAs in dogs. However, it also suggests that ECG-gated CT method should be preferred over non-ECG-gated method for identifying small-sized lesions in the heart or pericardium. In Chapter 2, the same cardiac CT scan method as in Chapter 1 was used to evaluate the feline CAs. A total of six cats (five normal, one hypertrophic cardiomyopathy phenotype)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five sequential non-ECG-gated CT images were described according to scan timing. The optimal scan timing in non-ECG-gated images and R-R interval in ECG-gated images for detailed CA imaging were selected, and the visual assessment of main CA branches was performed in the selected image. In addition, coronary dominance and the left CA branching types were classifie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ameter / length of each CA branch and body weight, sex, and vertebral heart scores (VHS) were evaluated as well. In non-ECG-gated method, the first-scan images exhibited good opacification of the cranial vena cava (CrVC), right ventricular outflow tract (RVOT), and pulmonary arteries in all cats. However, imaging of the left heart and CAs proved to be difficult. The second-scan images were found to be the most suitable for opacifying the left heart and CAs, although they only allowed imaging of the coronary ostium and proximal branches due to severe motion artifacts. The opacification of the left heart and CAs in the third-scan images was lower compared to the second-scan images. The fourth and fifth-scan images could not be evaluated due to contrast medium washout. On the other hand, in ECG-gated CT images, the visualization of CAs was rated as good to excellent, with a detailed course at the end-diastole. These images were significantly superior to the non-ECG-gated images in all cats. Additionally, variable patterns of coronary dominance and left CA branching types could be identified. The length and diameter of CAs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body weight and sex, but VH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right CA length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left main CA. In conclusion, the new (modified) cardiac CT scan protocol in this study was successfully performed in all cats. It is believed that this scanning method may be beneficial for the simultaneous evaluation of the CrVC, RVOT, and pulmonary arteries, as well as the left heart and CAs. This may aid in the assessment of patients with congenital cardiovascular anomalies such as pulmonic stenosis (PS) or left persistent cranial vena cava (CrVC), enabling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both sides of the heart. In Chapter 3, it was designed to identify variations in the diameter of the pulmonary vein (PV) ostium throughout the cardiac cycle and assess the benefits of utilizing ECG-gated CT images obtained with a new (modified) cardiac CT scan protocol. The ECG-gated CT images in Chapter 2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to investigate the number of PV ostium, PV drainage patterns, the diametric variations of PV ostium according to the cardiac cycle,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ize of heart / left atrium (LA) and PV ostial diameter. In all cats, 3 PV ostia, including right cranial ostium, left cranial ostium, and caudodorsal ostium, were identified, showing 2 drainage patterns into LA and the diametric variations of PV ostium according to the cardiac cycle. The maximal diameter of each PV ostium was identified at the end-systole and the minimal diameter at the end-diastole. Statistical analysis also confirm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V ostial diameter between the end-systole and end-diastole (p<0.05).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size of heart / LA and 3 PV ostial diameter (p>0.05). This study showed that the ECG-gated cardiac CT images are useful for providing detailed PV anatomy, including the diametric variations of the feline PV ostium according to the cardiac cycle. In addition, the present study may provide the potential research on the effects of PV ostium on variable patterns of feline pulmonary edema and atrial fibrillation, and may increase the possibility of clinical application to interventional procedures such as radiofrequency ablation in veterinary clinics in future. This study demonstrates the benefits of exclusively utilizing ECG-gated images with the new (modified) cardiac CT scan protocol, providing evidence of PV ostial changes according to the cardiac cycle. In conclusion, this new (modified) cardiac CT scan method, non-ECG-gated scan followed by subsequent ECG-gated scan without bolus tracking, allowed successful cardiac scanning in dogs and cats, showing potential benefits of reducing radiation exposure and anesthesia time. The non-ECG-gated high-slice cardiac CT scan method shows clinical utility by allowing evaluation of the main CAs in dogs. It can also be combined with imaging of the CrVC, RVOT, and pulmonary arteries, aiding in the assessment of both sides of the heart in patients with congenital cardiovascular diseases such as PS or left persistent CrVC. Additionally, the ECG-gated scan method offers advantages in identifying small-sized lesions in the heart or pericardium, as well as evaluating feline CAs and changes in the PV ostium throughout the cardiac cycle. Overall, the new (modified) cardiac CT scan protocol holds promise as a reliable and practical tool for clinical application in veterinary medicine, supporting the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various cardiovascular conditions in dogs and cats. 인의에서는 기존의 침습적 혈관 조영술을 대신하여 다중 슬라이스 심장 컴퓨터 단층 촬영이 비침습적인 심혈관계 평가의 표준이 되고 있다. 수의학에서는 2011년부터 비심전도 동기 또는 심전도 동기 심장 컴퓨터 단층 촬영을 이용한 개 심혈관계 평가가 보고되었으나, 충분한 임상 적용과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또한, 고양이에서도 비심전도 동기 혹은 심전도 동기 심장 컴퓨터 단층촬영을 이용한 임상적 적용과 연구가 필요할 수 있다. 이전의 개 연구들은 비심전도 동기 촬영 방법보다 심전도 동기 촬영 방법이 심장 운동에 의한 아티팩트를 최소화할 수 있어 심장 및 관상동맥에 대한 세부적인 영상화에 더욱 효과적이라고 보고해왔다. 하지만 소동물들은 심박수가 빠르고 심박수 감소를 위한 베타 차단제 약물이 효능을 보기 어려울 수 있어 심전도 동기 방법을 수행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비심전도 동기 및 심전도 동기 다중 슬라이스 심장 컴퓨터 단층촬영 영상의 특징과 차이점, 제한점들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수의학에서 비심전도 동기와 심전도 동기 다중 슬라이스 컴퓨터 단층 촬영의 임상적 유용성을 직접적으로 비교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심전도 동기 방법의 임상 적용 가능성과 한계, 그리고 심전도 동기 영상만을 사용하는 장점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는 두 가지 방법을 동시에 개와 고양이에게 적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연구의 궁극적인 목표는 개와 고양이에서 향후 활용할 수 있는 적절한 다중 슬라이스 심장 컴퓨터 단층촬영 프로토콜을 확립하는 것이다. 제1장에서는 6마리의 개 (동맥관 개존증 2마리, 심첨부 종양 2마리, 심막중피종 1마리, 정상 1마리)를 대상으로 160 슬라이스 컴퓨터 단층 촬영 장비를 이용한 비심전도 동기 및 심전도 동기 방법을 동시에 적용하였다. 5초 간격으로 총 5회의 비심전도 동기 촬영 후, bolus tracking 없이 연속적으로 retrospective 심전도 동기 촬영을 실시하였다. 세부적인 관상동맥 영상화에 적절한 비심전도 동기 촬영 시기와 심전도 동기 R-R 구간을 결정하고 선택된 영상에서 주요 관상동맥 가지들에 대한 시각적 평가를 하였다. 시각적 평가는 주관적인 방법으로 4단계로 등급을 결정하였다. 또한, 좌측 관상동맥 분지 패턴을 평가하였으며 심장 또는 심막 종양이 있는 개에서는 비심전도 동기 및 심전도 동기 영상에서 병변의 크기와 경계면 등 형태학적 평가를 비교하였다. 최적의 관상동맥 영상화를 보이는 비심전도 동기 촬영 시기와 심전도 동기 R-R 구간은 각각 두번째 촬영 시기와 심실 이완기 말기 (R-R 구간의 70-90%)로 확인되었다. 비심전도 동기 영상은 관상동맥에 대한 시각적 평가에서 5 kg 이하 개들의 septal 가지를 제외한 모든 주요 관상동맥 가지에서 높은 등급의 시각적 평가를 보였으며 심전도 동기 영상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병변의 형태학적 평가에서는 두 마리 개에서 작은 크기의 심장 및 심막 병변들이 비심전도 동기 영상에 비해 심전도 동기 영상에서 명확하게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비심전도 동기 다중 슬라이스 심장 컴퓨터 단층촬영 방법이 개의 주요 관상동맥을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준다. 그러나, 심장이나 심막의 작은 병변을 식별하는 데는 비심전도 동기 방법보다 심전도 동기 방법을 선호해야 함을 시사한다. 제2장에서는 제1장과 동일한 심장 컴퓨터 단층 촬영 방법을 적용하여 고양이 관상동맥을 평가하고자 실시되었다. 스캔 타이밍에 따른 5회 연속 비심전도 동기 심장 컴퓨터 단층촬영 영상들의 특징들이 묘사되었다. 총 6마리 (정상 5마리, 비대성 심근증 1마리) 고양이가 연구에 포함되었다. 적절한 관상동맥 영상화를 보이는 비심전도 동기 촬영 시기와 심전도 동기 R-R 구간을 선택하였으며 선택된 영상에서 주요 관상동맥 가지들에 대한 시각적 평가를 하였다. 시각적 평가는 제1장과 동일한 방법으로 4단계로 등급을 결정하였다. 또한, 관상동맥 우세성과 좌측 관상동맥 분지 유형을 평가하였으며 각 관상동맥 가지들의 직경과 길이를 체중, 성별, 심장 VHS와 상관관계를 평가하였다. 비심전도 동기 방법에서 첫 번째 촬영 영상은 모든 고양이의 전대정맥, 우심실 배출로, 폐동맥의 명확한 영상화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좌측 심장과 관상동맥 영상화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두 번째 촬영 영상은 좌측 심장과 관상동맥의 영상화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심한 움직임 아티팩트로 관상 동맥 ostium과 근위 가지에 대한 영상화만 가능하였다. 세 번째 촬영 영상에서 좌측 심장과 관상동맥의 영상화 정도는 두 번째 촬영보다 낮았다. 네 번째와 다섯 번째 촬영 영상은 조영제의 배출로 평가할 수 없었다. 반면, 심전도 동기 영상에서는 관상동맥의 시각화가 양호 혹은 우수하였고, 이완기 말기에 상세한 주행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영상들은 모든 고양이에서 비심전도 동기 촬영 영상보다 유의하게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추가적으로, 다양한 패턴의 관상동맥 우세성과 좌측 관상동맥 분지 유형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관상동맥 길이와 직경은 체중 및 성별과는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심장 VHS는 우측 관상동맥 길이와 양의 상관관계를, 좌측 주 관상동맥 길이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새로운 (변형된) 심장 컴퓨터 단층촬영 프로토콜은 모든 고양이에서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다. 이 촬영 방법은 전대정맥, 우심실 배출로, 폐동맥과 더불어 좌측 심장과 관상동맥에 대한 동시 평가에 유익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이 변형된 방법은 양측 심장에 대한 종합적 평가를 통해 폐동맥 협착증이나 좌측 영속성 전대정맥과 같은 선천성 심혈관 이상을 가진 환자들의 평가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제3장에서는 심장 주기 동안 폐정맥 ostium의 직경 변화를 확인하고, 새로운 (변형된) 심장 컴퓨터 단층촬영 프로토콜로 구현된 심전도 동기 영상의 장점을 평가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심전도 동기 영상으로 고양이 폐정맥 ostium 수와 배출 패턴, 심장 주기에 따른 고양이 폐정맥 ostium의 직경 변화 확인과 심장 및 좌심방 크기와 폐정맥 ostium 직경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제 2장에서의 심전도 동기 영상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폐정맥 ostium은 right cranial ostium, left cranial ostium, caudodorsal ostium 등 총 3개의 ostium이 두 가지 패턴으로 좌심방으로 유출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심장 주기에 따라 모든 폐정맥 ostium의 직경 변화가 확인되었다. 각 폐정맥 ostium의 최대 직경은 심실 수축기 말기에, 최소 직경은 심실 이완기 말기에 확인되었다. 통계 분석에서도 심실 수축기 말기와 이완기 말기 사이에 폐정맥 ostium의 유의적인 직경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p<0.05). 심장 및 좌심방 크기와 3개의 폐정맥 ostium 직경 사이에서 유의적인 상관관계는 확인되지 않았다 (p>0.05). 제3장 연구를 통해 심장 주기 따른 고양이 폐정맥 ostium 직경 변화를 포함한 세부적인 폐정맥 해부학 정보를 제공하는 데 있어 심전도 동기 심장 컴퓨터 단층 촬영 영상의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는 향후 고양이 폐정맥 ostium과 다양한 패턴의 폐수종 및 심방 세동 발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방향성에 대한 가능성을 제공해 준다. 또한, 향후 수의 임상에서도 폐정맥 평가를 통한 radiofrequency ablation 등의 중재적 시술에 대한 임상 적용 가능성도 높여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번 연구는 새로운 (변형된) 심장 컴퓨터 단층촬영 프로토콜로 얻어진 심전도 동기 영상만을 활용하는 이점을 보여주며, 심장 주기에 따른 폐정맥 ostium 변화에 대한 증거를 제공한다. 결론적으로, 이번 새로운 (변형된) 심장 컴퓨터 단층촬영 방법인 비심전도 동기 촬영 후 bolus tracking 없이 심전도 동기 촬영하는 방법은 개와 고양이에서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으며, 방사선 노출과 마취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잠재적인 장점을 보여준다. 비심전도 동기 다중 슬라이스 심장 컴퓨터 단층촬영 방법은 개의 주요 관상동맥을 평가하는 임상적 유용성을 보여준다. 또한, 전대정맥, 우심실 배출로, 폐동맥의 영상화를 혼합함으로써 폐동맥 협착증이나 좌측 영속성 전대정맥과 같은 선천성 심혈관 질환을 가진 환자들의 양측 심장 평가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추가적으로, 심전도 동기 촬영 방법은 심장이나 심막의 작은 병변 확인과 고양이의 관상동맥 평가 및 심장 주기 동안 폐정맥 ostium의 변화를 평가하는 데 장점을 제공해줄 수 있다. 전반적으로, 이번 새로운 (변형된) 심장 컴퓨터 단층촬영 프로토콜은 수의학 분야에서 임상 적용을 위한 신뢰성 있고 실용적인 도구로서의 가능성을 갖고 있으며, 개와 고양이의 다양한 심혈관 질환의 평가와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 Evaluation of the Tongue for Indirect Measurement of Arterial Blood Pressure in Dogs

        김달해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87

        This study was performed 1) to prove the validity of the non-invasive (indirect) blood pressure (NIBP) measurements using an oscillometric blood pressure monitor measured from tongue under general anesthesia and to compare cuff placement sites with the NIBP values measured from the pelvic limbs and tail; 2) to prove validity of various NIBP measurements equipment using tongue and to compare with the thoracic limbs; and 3) to evaluate clinical application of the tongue for NIBP measurements. In Chapter 1, the blood pressure measurements using an oscillometric monitor measured from the tongue (OBPTONGUE) was confirmed by evaluating the degree of agreement with invasive blood pressure (IBP) measurements, and compared with oscillometric blood pressure measured from the pelvic limbs and tail, which are known as high accuracy in NIBP measurements in anesthetized dogs. Mean and diastolic OBPTONGUE showed good agreement with IBP from hypotension to hypertension, but systolic OBPTONGUE did not. In hypotension, the OBPTONGUE showed better agreement with IBP than oscillometric blood pressure measured from the pelvic limbs and tail, and the better performance from the tongue was considered that tongue is muscular organ with no bony structures, making it easier to check pulse oscillation. In Chapter 2, blood pressure was measured using Doppler ultrasound and oscillometric blood pressure method based on the tongue and thoracic limbs of anesthetized Beagle dogs. In systolic blood pressure, the Doppler ultrasound blood pressure method showed clinically interchangeable with IBP in hypotension and normotension and oscillometric blood pressure method showed clinically interchangeable with IBP only in hypotension. In mean and diastolic arterial blood pressure, oscillometric device showed clinically significant agreement with IBP regardless of cuff placement sites. In Chapter 3, clinical application of OBPTONGUE was evaluated in client owned 45 dogs under general anesthesia. The 45 dog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body weights because oscillometric blood pressure measurements are known to be less accurate at less than 5 kg. In both groups, mean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showed good agreement with IBP, and the accuracy was higher in the group of >5 kg. Systolic blood pressure showed poor agreement with IBP. Through the present studies, it was verified that the measurement of mean and diastolic NIBP based on the tongue was a clinically interchangeable with IBP measurement that could replace other NIBP measurement sites. Since the anesthetized dog's face could be easily accessed by anesthesiologists through the anesthesia window, it was judged that blood pressure measurement at the tongue could be considered when the cuff was needed to be re-attached. The agreement of systolic NIBP measurements with IBP was poor regardless of the cuff placement sites, so a careful interpretation was required. In addition, placing the cuff at the tongue might be useful for reliable detection of hypotension, compared to pelvic limbs and tail. 본 연구의 목적은 1) 전신 마취된 개의 혀에서 oscillometry 혈압계를 사용한 간접혈압 측정 방식의 타당성을 입증하고 뒷발과 꼬리에서 측정한 간접동맥혈압 값과 비교하며, 2) 다양한 간접혈압 측정 장비(oscillometry 혈압계, Doppler 초음파 혈압계)를 이용하여 혀에서의 간접혈압 측정 방식의 타당성을 확인하고 앞발에서 측정한 간접동맥혈압 값과 비교하며, 3) 혀의 간접혈압 측정 방식의 유용성을 임상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제1장에서는 전신 마취된 비글견의 혀에서 oscillometry 혈압계를 사용한 혈압 측정 방식의 가능성을 직접동맥혈압과의 일치도 평가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간접혈압 측정 시 정확도가 높은 부위인 뒷발 및 꼬리와 비교하였다. 혀에서 oscillometry 혈압 측정 방식을 통한 혈압 값은 저혈압부터 고혈압에 이르는 혈압 범위에서 평균혈압과 이완기혈압은 직접동맥혈압과 높은 일치도를 보였으나, 수축기혈압은 일치도를 보이지 않았다. 혀에서 측정한 간접혈압은 저혈압일 때 뒷발 및 꼬리에서 측정한 간접혈압보다 직접동맥혈압과의 일치도가 높았으며, 이는 혀라는 기관이 근육으로만 이루어진 장기이기 때문에 다른 위치보다 맥박의 진동 확인이 용이하여 저혈압을 보다 잘 평가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전신 마취된 비글견의 혀와 앞발에서 Doppler 초음파 혈압계와 oscillometry 혈압계를 사용한 혈압 측정을 진행하였다. 수축기혈압의 경우 Doppler 초음파 혈압계는 저혈압과 정상혈압 범위에서 직접동맥혈압과 임상적으로 의미가 있는 일치도를 보임을 확인하였고, oscillometry 혈압계는 저혈압 범위에서 임상적으로 의미가 있는 일치도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Oscillometry 혈압계에서 확인한 평균 및 이완기혈압은 cuff 위치에 상관없이 직접동맥혈압과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일치도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제3장에서는 전신마취를 진행했던 45마리의 환견의 혀에서 oscillometry 혈압계를 통한 혈압 측정방식의 임상 적용을 평가하였다. Oscillometry 혈압 측정방식은 5 kg 미만에서 정확도가 떨어진다고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45마리의 환견을 5 kg 기준으로 두 그룹으로 나누어 비교를 진행하였다. 두 그룹 모두에서 평균혈압과 이완기혈압은 직접동맥혈압과 임상적 일치도를 보였으며, 그 정확도가 5 kg 이상인 그룹에서 더 높음을 확인하였다. 수축기혈압은 두 그룹 모두에서 임상적으로 일치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들의 결과를 통하여, 마취된 개의 혀에서 평균과 이완기 간접동맥혈압을 측정하는 것은 다른 간접동맥혈압 측정 부위를 대신할 수 있는 임상적으로 타당한 혈압 측정 부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취된 개의 얼굴 부위는 마취창을 통해 마취과 수의사가 접근하기 쉬운 신체 부위에 해당하기 때문에 cuff를 재 장착하는 상황에서 혀에서의 혈압 측정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축기혈압의 경우 cuff 장착 위치에 상관없이 직접동맥혈압과 일치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임상적으로 주의 깊은 해석이 필요하며, 5 kg 이하일 경우 평균혈압과 이완기혈압의 일치도도 낮아질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저혈압일 때 혀의 일치도가 뒷발이나 꼬리에 비해 높기 때문에 저혈압이 의심되는 상황에서 이에 대한 확인 목적으로도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Clinical Outcome of Elective Cholecystectomy in Dogs with Cholelithiasis : A Retrospective Study

        이제훈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1 국내석사

        RANK : 248687

        담낭 결석은 수의학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드문 질환이지만 최근 영상의학의 발달로 인하여 진단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대부분의 경우 임상증상을 보이지 않으나 담낭염, 담낭점액종, 췌장염, 감 외 담관 폐쇄 등의 이차적인 질병을 유발할 수 있으며, 간 외 담관 폐쇄와 같은 경우에는 초기에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한다면 개가 폐사 할 수 있는 응급상황이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명확한 치료 기준이나, 치료 방법 등이 연구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담낭 결석환자들의 의료 기록을 토대로, 담낭 절제술이 예방적으로 시행되었을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의 임상적 예후를 연구하여 담낭 결석에 이환 된 개에서 예방적 담낭 절제술의 치료의 기준 및 효율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충남대학교 수의과대학 부속동물병원에서 담낭결석에 이환 된 170마리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담낭결석의 유병률, 환자의 나이, 성, 임상증상, 담석의 크기, 영상진단 결과, 혈액검사 결과, 동반 질환, 생존율, 무병기간 및 임상적 예후에 대하여 부정적인 요인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총 2,667마리의 개중 170마리가 담낭결석을 가지고 있었으며 (6.17%) 과반수 이상의 개에서 (70.47%)우연히 발견되었다. 말티즈, 시츄, 요크셔 테리어 품종에서 호발하는 양상을 보였다. 담낭 결석이 이환 된 개에서 부정적인 요인을 주는 요소로는 빈혈, 혈청 빌리루빈 증가, 확장된 총담관이 있었다. 그 외 다른 혈액검사 결과나 동반 질환의 경우 인의나 기존 수의 논문과는 달리 임상적 예후에 별다른 영향이 없었으나 이 결과는 조심스럽게 받아들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예방적 담낭 절제술을 실시한 개에서, 비열등성 검정을 통하여 예방적 담낭 절제술이 다른 치료법들보다 열등한 치료법이 아니라는 것이 밝혀졌으며 무병생존률의 경우 다른 치료법들보다 우월하다고 밝혀졌다. 따라서 본 논문은 담낭결석이 진단된 개에서 예방적 담낭절제술에 대한 근거가 될 수 있으며 특히 식욕이 없는 환자의 경우 예방적 담낭절제술을 실시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이나, 실제 임상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수의 코호트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개의 전완골 성장기형의 교정절골술시 3-D 컴퓨터 보조의 임상적 유용성

        이희령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87

        각기형을 가지고 있는 전완골에서 변형의 중심축과 관절면 도입각의 측정을 포함한 수술 전(前) 계획 과정은 수의 외과 의사의 임무 중 하나이다. 전완골 성장 기형은 요골이 시위가 당겨진 활 모양으로 휘어 있으면서 동시에 완만한 나선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차원에 투영된 방사선 영상을 기반으로 3차원의 입체 구조를 평가해야 하는 태생적 한계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CORA 방법은 2006년 수의 정형외과에 소개된 후로 절골 부위와 절골 각도 결정에 독점적으로 사용되어 오고 있다. 골절 부정유합을 가진 뼈와는 다르게 요골의 성장기형은 CORA 방법론만으로는 근본적 해결에 한계가 있을 수 있고 3-D 평가를 기반으로 한 수술 전 평가가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장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3-D 의료영상을 기반으로 수술 전 계획 방법을 고안, 환자맞춤 도구를 설계와 제작, 쾌속조형기 뼈 모형과 상상골 모형에서 환자맞춤 도구를 활용하여 모의 수술을 실시, 그 환자맞춤 도구를 활용한 교정 절골술을 수술실에 적용 후 수술 결과를 보고하여 새로운 방법으로 제시한다. 전완부 성장장애가 있는 개로 부터 컴퓨터 단층 촬영 (CT) 디지털 의료 영상 전송 장치 (DICOM) 일련의 평면 영상들로 부터 전완골의 표면 정보를 추출한 후 컴퓨터 이용 설계 (CAD; Computer-Aided Design) 프로그램에서 작동가능 한 형식인 광조형 (STL; Stereolithography) 파일로 변환 및 저장하였다. 모든 삼차원 작업은 디지털 의료 영상 전송 장치 영상 정보로부터 생성된 광조형 가상 형상 생성, 삼차원 가상현실에서의 수술 전 모의수술, 쾌속조형기 뼈 모형을 제작 후 모의 수술을 실시한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환자맞춤 도구를 설계 및 제조하고 최종적으로 임상에 적용하였다. 환자맞춤 도구를 사용한 쾌속조형기 골 모형, 상상골 모형에서 실시한 생체 외 수술과 수술실에서의 생체 수술 결과를 보고하였다. 각각의 단계에서 수술 후 절단면의 목표위치 및 각도를 수술 전 계획과 비교한 결과, 상상골에 실시한 모의 수술 실험에서는 환자맞춤 도구를 사용하였을 때 절골술 위치 오류는 ± 1 mm 이하, 절골 각도 오류 ± 2.5도 이하의 기준을 만족하였다. 상상 골 모델들을 활용한 모의 수술 결과와 동일하게 임상 모델 적용 수술에서도 절골술 위치 오류는 ± 1 mm 이하, 절골 각도 오류 ± 2.5도 이하의 기준을 만족하였다. 수술 직후, 3 개월 및 6 개월의 후속 검사에서 수술한 다리의 체중부하, 보행개선 및 외관이 개선되었다 본 연구가 제시한 새로운 3-D 컴퓨터 보조 프로그램을 활용한 교정 절골술 수술계획과 환자맞춤형 도구의 수술적용은 상상 골 모델에서의 모의 수술과 수술실에서의 환자맞춤 도구의 적용 수술 평가 결과도 고무적이었다. 향후 실제 다양한 임상 적용을 통해 그 가능성을 뒷받침하는 연구가 추가되어야 할 것이다

      • 개에서 툴라스로마이신 주사제의 임상효능 및 안전성에 관한 연구

        박종우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87

        마크로라이드 (Macrolides) 계열의 항생제인 툴라스로마이신 (Tulathromycine)은 현재 소나 돼지와 같은 산업동물에서 호흡기 질병의 치료제로 사용되어 왔다. 그렇지만 최근의 연구에서는 툴라스로마이신이 반려견에서도 지속성 항생제로써 임상 적용할 수 있음을 증명해 오고 있다. 개 감염성 기관지염은 매우 전염성이 강하고 흔하게 발생하는 감염성 호흡기 질병이다. 원인체에 감염된 보균자와 직접적인 접촉에 의한 비말 감염에 의해 전파되며 개들의 접촉이 증가하는 봄과 가을에 크게 유행하며 개들의 접촉이 많은 유기견 보호소나 도그쇼 및 펫샵과 같은 시설에서 전파가 일어난다. 개 전염성 기관지염의 원인체는 바이러스인 개 아데노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개 디스템퍼 바이러스, 개 헤르페스 바이러스 등과 세균인 보데텔라 브론키셉티카와 마이코플라즈마 등이고 보통 세균과 바이러스가 동시에 감염된다. 임상증상은 지속적인 기침, 역재채기, 콧물, 눈 충혈 등이 있으며 잠복기는 3~10일 정도이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 병력청취, 임상증상, 전혈검사, 혈청생화학검사, 흉부방사선 검사, 기관내시경 등을 수행한다. 개에서 툴라스로마이신의 임상 시험에 앞서 우리는 툴라스로마이신이 개에게 안전하며 감염성 호흡기 질병에 임상적 효과가 있을 것으로 가설하였다. 임상 시험 결과, 개에서 툴라스로마이신의 안전성이 확인 되었고 개 감염성 기관지염의 치료 임상 시험에서도 지속성 항생제로서의 치료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적으로 툴라스로마이신은 반려견의 감염성 호흡기 질병에 치료제로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 개의 요골 골절에서 회복 과정의 평가 연구: 최소침습과 개방접근법에 의한 금속판 내 고정의 적용 비교

        정형운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71

        이 연구는 실험 동물의 골절 모델과 실제 임상 환자를 이용하여, 개방접근 법에 의한 금속판 내 고정과 최소침습 법에 의한 금속판 내 고정의 수술 법을 각각 적용하였다. 수술 후 골절의 회복 과정에 대하여 몇 가지 평가지표를 활용하여 비교 하였다. 이 연구에는 실험 동물과 임상 환자 14마리를 대상으로 하였다. 6마리의 개(A 그룹: 골절 모델을 유발한 실험 동물)는 개방접근 법에 의한 금속판 내 고정 수술 방법을 적용하였고, 4마리의 개(B 그룹: 골절모델을 유발한 실험 동물)는 최소침습 법에 의한 금속판 내 고정의 수술 방법을 적용하였다. 나머지 4마리 개 (C 그룹)는 요골 몸통 골절이 있었던 임상 환자를 선별하여 이 연구에 포함시켰다. 골절의 회복 과정의 평가 방법으로는 수술 시간, 체중 부하까지의 시간, 시각 적인 보행 평가, 관절의 가동 범위, 방사선학적 평가를 통하여 실시 하였다. 평균 수술 시간은 최소침습 법에 의한 금속판 내 고정 수술 방법의 경우, 수술 시간이 짧게 소요 되는 것을 알 수 있었고(p<0.05) 이는 회복 시간에도 영향을 미쳤다. 수술 후 체중 부하까지 걸리는 시간을 비교 하였을 때 최소침습 법에 의한 금속판 내 고정 수술 방법을 적용한 그룹에서 좀 더 빠른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실제 임상 환자인 C그룹에서는 약 4주만에 완전한 체중 부하를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각적인 보행 평가와 방사선 평가에서, 최소침습 법에 의한 금속판 내 고정 수술 방법을 적용한 그룹에서 회복이 더 빠르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임상 환자인 그룹 C에서, 약 4주만에 완벽한 보행을 할 수 있었고 (p<0.05), 방사선 평가에서도 수술 후 4주동안 빠르게 회복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p<0.05). 관절 가동 범위 평가에서는 세 그룹 모두 완벽한 회복을 하지 못하였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회복 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임상 환자 그룹C에서는 실험동물 그룹 A, B들 보다 모든 평가에서 더 좋은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개의 요골 골절에서 최소침습 법에 의한 금속판 내 고정 수술 방법이 개방접근 법에 의한 금속판 내 고정 방법보다 더 좋은 예후와 임상적인 이점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초기의 빠른 회복과 합병증의 감소는 실제 임상에 있어서 매우 유용하게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호흡기 질환 반려견에서 툴라스로마이신 주사제의 임상효능 및 안전성에 관한 연구

        정현정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71

        Canine infectious respiratory disease (CIRD, “kennel cough”) is a multifactorial respiratory disease affecting dogs worldwide. One of the main bacterial causes of CIRD is Bordetella bronchiseptica, and the characteristic symptom of this disease is acute tracheobronchitis marked by a cough. Secondary infection or coinfection of different etiologies in addition to B. bronchiseptica may worsen respiratory signs or cause systemic illness in dogs. B. bronchiseptica shows susceptibility to a wide range of antimicrobials including enrofloxacin, doxycycline and amoxicillin-clavulanic acid. Tulathromycin is a new antibiotic used primarily for the treatment of bovine respiratory disease (BRD) and swine respiratory disease (SRD). It is dosed once at 2.5mg/kg and has a therapeutic effect on lung tissues showing a good response in respiratory disease of livestock. Currently, the clinical effect and safety of tulathromycin in dogs have not been documented. In this study, we assessed the clinical efficacy and safety of tulathromycin in dogs with naturally occurring respiratory disease of bacterial origin. 24 dogs with naturally occurring respiratory disease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The treatment group was given one dose of tulathromycin (2.5mg/kg, subcutaneously) and the control group was given a daily dose of ampicillin (20mg/kg, subcutaneously) for 14 days. Observation of clinical signs, physical examination, complete blood count, serum chemistry and diagnostic radiology were conducted on all dogs before the administration of the drug and after the administration of the drug at days 7 and 14. Clinical signs were scored and analyzed to observe clinical efficacy of each group alongside routine diagnostic testing. The tulathromycin group showed a rapid improvement in clinical scoring compared to the ampicillin group. Results of the statistical analysis showed a significantly greater decrease of leukocytosis of the tulathromycin group compared to the ampicillin group. Adverse effects of tulathromycin were monitored by observing the injection site and for symptoms indicating adverse reactions, however, no adverse effects could be noted.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e excellent clinical efficacy and safety of tulathromycin in naturally occurring respiratory disease of dogs. An additional bronchoalveolar lavage (BAL)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ssay may be useful to identify individual respiratory pathogens. In conclusion, tulathromycin shows a good clinical effect to naturally occurring respiratory disease of bacterial origin in dogs. 개의 전염성 호흡기 질환(Canine infectious respiratory disease, CIRD)은 전세계적으로 개에서 발병하는 다인자성 호흡기 질환이다. 개의 전염성 호흡기 질환의 주요 세균 원인으로는 Bordetella bronchiseptica이며, 주요 증상으로는 기침이 동반되는 급성 만성기관지염이다. B. bronchiseptica와 함께 2차 감염이나 다른 원인체의 의해 중복감염이 있을 경우, 호흡기 증상이 악화되거나 전신질환까지 발병될 수 있다. B. bronchiseptica는 enrofloxacin, doxycycline 그리고 amoxicillin-clavulanic acid을 포함한 광범위한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을 보인다. 툴라스로마이신은 소의 호흡기 질환(bovine respiratory disease)과 돼지의 호흡기 질환(swine respiratory disease)에 주로 사용되는 신생 항생제이다. 몸무게 당 2.5mg/kg으로 한 번 투약되고 폐 조직에 축적되어 호흡기 질환에 대한 치료 효과를 보인다. 현재까지 반려견에서의 툴라스로마이신의 임상적 효능과 안정성은 보고되어 있지 않다. 이번 연구에서는 반려견의 호흡기 질환에 대한 툴라스로마이신의 임상적 효능과 안정성을 실험하였다. 호흡기 질환으로 내원한 24마리의 반려견은 두 개의 군으로 나눴다. 시험군은 툴라스로마이신(2.5mg/kg) 주사제를 피하로 한 번 투약 받고, 대조군은 암피실린(20mg/kg) 주사제를 14일 동안 피하로 매일 투약 받았다. 임상증상 모니터링, 신체검사, 전혈검사, 혈청화학검사 그리고 영상검사를 모든 반려견에 대하여 약물 투여 전, 약물 투여 후 7일째과 14일째에 진행하였다. 임상증상을 점수로 평가하였고, 다른 진단검사도 함께 진행하여 툴라스로마이신의 임상 효능을 분석하였다. 임상 증상을 점수로 평가했을 때 시험군의 증상이 대조군에 비해 빠르게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통계 분석에서 시험군의 백혈구 증가증 감소는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유의적으로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툴라스로마이신 투약 후 부작용이나 이상 증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 토대로 개의 호흡기 질환에서 툴라스로마이신의 임상 효능과 안정성이 증명되었다. Bronchoalveolar lavage (BAL) 그리고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검사를 추가적으로 진행할 경우 각 원인체와 치료 범위를 파악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툴라스로마이신은 세균성 호흡기 질환에 이환된 반려견의 치료에 유효한 것으로 평가된다.

      • A Study of Characterization of Fecal Microbiota in Dogs with Multicentric Lymphoma and Non-lymphoid tumors

        배현아 경상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71

        Gastrointestinal microbiome analysis has recently been in the limelight; it is a valuable diagnostic and therapeutic tool for various diseases. It is widely applied not only in cases of inflammatory, immune-mediated, and genetic diseases, but also in tumor patients. The aim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 identify differences in the clinicopathological parameters and characteristics of fecal microbiome composition in canine lymphoma and non-lymphoid tumors; second, to further analyze microbiome composition according to tumor progression, classified based on metastasis and local recurrence, response to chemotherapy or surgical intervention, and survival time. Finally, the difference in microbiome composition according to immunophenotype, known as a prognostic factor for lymphoma in dogs, was also examined. A total number of 28 dog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he dogs were divided into a tumor group and a healthy group (n = 9), and the tumor group was further divided into multicentric lymphoma (n = 8) and non-lymphoid tumor (n = 11) subgroups. In order to investigate differences according to clinical progression, the all-tumor group was reclassified into aggressive tumor and non-aggressive tumor subgroups, and the lymphoma group was subdivided into B-cell origin and T-cell origin subgroups according to immunophenotyp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ymphoma group showed significantly reduced alpha diversity compared to the healthy group. In the taxonomic composition analysis, the relative abundance of Bacteroidetes was lower in the non-lymphoid tumor group and all-tumor group compared to the healthy group at the phylum level. An increased proportion of Proteobacteria and decreased proportions of Bacteroidetes and Fusobacteria in the lymphoma group compared to the healthy group were identified, although thes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At the genus level, proportion of Faecalimonas and Bacteroides in tumor group was reduced significantly compared to healthy group, and proportion of Streptococcus increased in non-lymphoid tumor group compared to other two groups. Increased white blood cell (WBC) and neutrophil counts, decreased hematocrit and increased relative abundance of Bacteroid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dogs with aggressive tumor progression. Among the lymphoma group, the relative abundance of Proteobacteria and Bacteroides tended to be increased in the B-cell origin lymphoma subgroup, and the relative abundance of Fusobacteria and Actinobacteria tended to be increased in the T-cell origin lymphoma sub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inicopathologic parameters between the two groups according to immunophenotype. Additionally, Spearman’s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between the clinical and blood parameters and microbiome data of all tumor dogs revealed several parameters that showed moderate to strong correlations, including Klebsiella with lymphocyte count, platelet count, and globulin concentration, and Clostridium with fibrinogen concentration. These data suggest that the diversity of the gut microbiome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dogs with lymphoma compared to healthy dogs. This may serve as a basis for identifying dysbiosis status. Though the small number of dogs included in this study made it difficult to produc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a tendency was identified towards a difference in microbiom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tumor progression pattern and immunophenotype of lymphoma, which may serve as a basis for clinical prediction of prognosis in tumor patients. In addition,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changes in blood parameters and changes in microbiome composition in relation to paraneoplastic syndrome, which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long-term management of tumor patients. Given these findings, further studies are needed on the potential clinical applications of gut microbiome composition analysis.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은 소화기질환, 자가면역질환 등 다양한 질병에 의해 그 구성 및 기능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인의에서는 종양과 관련된 면역반응을 밝히고, 이를 기반으로 한 치료를 목적으로 종양과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의 영향에 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개 림프종에서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구성의 특성을 확인하고, 다양한 임상 데이터와 마이크로바이옴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첫번째로는 2019년도부터 2020년도까지 경상대학교에 내원한 림프종 개 8마리와 비림프계 종양 개 11마리, 그리고 9마리의 건강한 개를 대상으로 임상데이터와 분변 마이크로바이옴 데이터를 수집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두번째로는 공격적인 종양과 상대적으로 경미한 진행을 보이는 종양에서 임상 데이터와 분변 마이크로바이옴 데이터를 분석하였고, 마지막으로는 림프종에 이환 된 개의 면역표현형에 따라 임상 데이터와 마이크로바이옴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림프종 그룹은 건강한 그룹에 비해 장내 미생물 총의 알파 다양성이 현저하게 감소되어 있었던 반면, 비림프계 종양 그룹과 건강한 그룹, 비림프계 종양 그룹과 림프종 그룹 간에서는 미생물 총 다양성의 유의적인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Phylum 수준의 taxonomic composition 분석에서는 건강한 그룹에 비해 모든 종양 그룹과 비림프계 그룹에서 Bacteroidetes 비율의 감소가 확인되었고, genus 수준의 분석에서는 모든 종양 그룹에서 건강한 그룹에 비해 Faecalimonas, Bacteroides 비율의 유의적인 감소가 확인되었다. 종양의 진행 정도에 따른 그룹 간 비교에서는 말초 혈액의 총 백혈구 수, 호중구 수가 공격적인 양상을 보이는 그룹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반면 헤마토크리트는 낮게 관찰되었고, 이후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결과 공격적인 종양에서 Bacteroides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은 비율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림프종 환자 중 B-cell 유래의 림프종 그룹에서는 Proteobacteria, Bacteroides 군집이, T-cell 유래의 림프종 그룹에서는 Fusobacteria와 Actinobacteria 군집의 비율이 우세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추가적으로 모든 종양 환자의 임상 및 혈액 데이터와 마이크로바이옴 데이터의 상관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항목에서 중등도에서 강한 상관성을 보이는 지표들이 확인되었다. 강한 상관성을 보이는 지표들은 Klebsiella의 상대적 풍부도와 림프구 수, 혈소판 수 및 혈장 피브리노겐 농도, 그리고 Clostridium의 상대적 풍부도와 혈장 피브리노겐 농도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들을 종합했을 때, 림프종 환자에서는 건강한 개체에 비해 분변 내 미생물 종의 다양성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어 있는데, 이는 dysbiosis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하나의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연구에 포함된 개체수가 적어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기는 어려웠으나, 종양 환자의 진행 양상에 따른 부정적 임상 지표들, 그리고 림프종의 면역표현형에 따른 마이크로바이옴 구성 성분 차이가 확인되었기 때문에, 이를 기반으로 하는 임상 치료와 관련된 더 큰 규모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더불어 종양 환자의 장기간 관리에 있어 중요한 부분인 부종양증후군과 관련한 혈액 검사 수치 변화와 마이크로바이옴 조성 변화의 높은 상관도가 관찰되었으므로,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진단 및 치료의 임상적 활용 가치에 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A Novel Approach of Drug Delivery via Intrascleral Implantation of Latanoprost Imbedded Disk : 라타노프로스트가 탑재된 임플란트 물질의 상공막 삽입을 통한 약물전달과 임상에서의 적용

        문수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71

        라타노프로스트는 녹내장을 관리하는데 있어서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약물로, 임상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녹내장과 같은 만성 질환을 관리하는 데 있어서 라타노프로스트의 현 점안방법의 번거로움과 대체방안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 연구는 라타노프로스트가 함유된 디스트 임플란트 물질을 상공막 내에 삽입했을 시의 임상증상, 조직병리학 분석과 약동학적 분석을 통하여 생체 적합성과 약물 전달 시스템을 알아보고 임상에서의 적용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실험은 총 12주간의 실험기간동안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뉘어 진행되었고 총 48개의 토끼 눈이 사용되었다. 실험군은 상공막에 디스트 물질을 삽입했고 평가기간 동안 임상증상과 약동학적 평가가 진행되었고 실험이 종료된 시점인 12주차에는 조직병리학적 검사가 진행되었다. 임상증상은 안압의 변화와 결막의 충혈도를 관찰하였고 조직병리학적 검사는 부검후 분리한 조직의 염색을 통한 세포의 이상여부를 토대로 진행하였다. 약동학적 평가는 부검후 얻은 조직의 HPLC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 결과 안압은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토끼의 정상안압 범위내에 존재하였다. 그러나 실험군에서의 토끼의 안압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아진 것을 확인하였다. 결막은 실험 직후부터 10일까지는 충혈과 부종이 존재하였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감소하다가 42일이 지난 시점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하였을때 큰 차이가 없었다. 약동학적 평가 결과 임플란트 물질 삽입 다음날부터 총 실험이 진행되는 12주 동안 홍채에서 라타노프로스트가 일정 농도 이상으로 검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라타노프로스트가 함유된 디스크 물질을 상공막 내에 삽입했을 시의 생체 적합성과 약물이 표적기관에 효과적으로 전달된 것을 확인하였으므로 라타노프로스트 서방형 제제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valuates the drug delivery and biocompatibility of latanoprost imbedded disk in rabbit eye by assessing pharmacokinetics (PK), clinical signs, and histopathologic findings. During 84 days of experimental period, 48 New Zealand Rabbit (NZW) eyes were divided into control group which received no treatment and test material group which latanoprost were implanted intrasclerally. Pharmacokinetic assessment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drug delivery for 3 months. For biocompatibility, clinical signs were observed and histopathological analysis was done at 3 months post-operatively. The concentration of latanoprost in the iris tissue was maintained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and the highest level of latanoprost was found at 4 weeks. However, the latanoprost was not found in the aqueous humor. Macroscopically, there was no evidence of clinical signs except for temporary hyperemia, neovascularization and edema immediately after surgery. On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there were no abnormal findings such as hyperemia, neovascularization, and edema in the eye tissues. The latanoprost imbedded disks has effectively released the drug into the adjacent tissue with high compatibilit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drug delivery system with intrascleral latanoprost imbedded implants might be a novel approach as a treatment option for glaucom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