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아성향분석을 이용한 의생명과학교육 사업화

        김하나 충북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11

        The purpose of this capstone report is to present a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project, which is based on the theory of Thomas & Chess (1977), by analyzing the temperament of the infant and applying it to the life science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rogram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market, I found that there is a lack of programs emphasizing life and medicine, and that there is no science education program based on infantile disposition. Therefore, I would like to suggest ways to analyze and utilize the tendency of infants in life sciences education by emphasizing life and medical science. The analysis of infant temperament through the life scienc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is a new approach to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and can be also used for various marketing.

      • 의생명과학실험학원의 창업과정

        박형진 충북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11

        Today, the importa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is becoming greater day by day. Especially in Korea, a country that lacks natural resources, science and technology is becoming a key strategy in national development. Our everyday lives are so intertwined with science and technology that we can not imagine a day without it. Koreans understand the necessity of science education, but there is difficulty in producing continuous public education for students who want to further experiment with science. In order to supplement this point, the Act on the Promotion of Specific Education for Brilliant Children was implementer in 2002. which lead to the development and growth of the private science education sector.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following points when establishing a scientific experiment institute specializing in science education. ① Financing of scientific equipment for competitiveness ② Establishment of a creative academy for tax reduction and establishment of a private science museum ③ Attention to interior design notes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science education institute ⅰ. air conditioning and heating ⅱ. glass and iron blackboards ⅲ. Video output devices ⅳ. Teacher microscope, sound insulation of the wall, ventilation and exhaust for experiments, multi-outlet for laboratory instruments are required for each Lab. ⅳ. Space for storing experimental equipments, Biological breeding space, Air-blocked reagent storage, Discarded reagent bottle in place. ④ Retention of experimental equipment for each grade level, experiment tool ⑤ Operation as a science academy ⅰ. Preparation of documents for supervision of the Department of Education ⅱ. Lecturers’ sex crime records ⅲ. Cashbook.

      • Regulatory mechanisms of epithelial innate immunity in Drosophila

        한상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9663

        PART Ⅰ 모든 생명체의 점막 상피에서는 면역 반응 물질로 항균 펩타이드를 합성한다. 초파리에서는 감염에 의해 항균 펩타이드 발현이 유도되는 조직과, 감염 없이도 지속적으로 항균 펩타이드가 발현되는 조직이 존재한다. 감염에 의한 항균 펩타이드의 발현 유도에는 전사 인자 NF-κB가 관여하는 반면, 지속적으로 항균 펩타이드가 발현되는 데에는 전사 인자 caudal이 관여한다. 항균 펩타이드의 합성에 있어서 NF-κB의 활성화 기전에 관하여는 전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으나, caudal의 활성화 기전에 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caudal의 활성에 대한 분자적 이해를 돕기 위하여 yeast-two hybrid screening을 수행하여 caudal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핵 수송 단백질인 drosophila importin-7 (DIM-7) 을 찾아내었다. DIM-7은 caudal의 특정 핵 수송 신호 부위에 결합하여 caudal을 핵 안으로 수송함으로서 침샘에서의 지속적 항균 펩타이드 발현에 필수적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DIM-7이 caudal의 활성에 필수적으로 작용함으로써 초파리의 선천성 면역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보여 주었다. PART Ⅱ 모든 생명체에서 장은 공생 미생물과 병원성 미생물이 공존하는 장소로서, 병원성 미생물은 제거하고 공생 미생물은 유지하는 기전이 필요하다. 초파리의 장에서는 미생물을 조절하기 위하여 활성 산소를 생성하는 효소인 DUOX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DUOX의 발현은 병원성 미생물에 의해 유도되고 공생 미생물에 의해 억제되는 기전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DUOX 발현의 유도와 억제 기전은 각각 장 내에서 병원성 미생물의 제거와 공생 미생물의 유지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 DUOX 발현이 어떻게 유도 또는 억제되는지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초파리의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association factor 3 (TRAF3)가 장 내 DUOX 발현 경로에서 MEKK1 상위에 존재하여 병원성 미생물에 의해 DUOX 발현이 유도되는데 필수적 요소로 작용함을 보여 주었다. 그러나 공생 미생물의 존재 하에서는 E3 ubiquitin ligase인 no poles (NOPO)가 autophagy에 의한 단백질 분해 과정을 통해 TRAF3를 분해시킴으로써 DUOX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미생물의 성격이 병원성인지 혹은 공생적인지에 따라 NOPO에 의한 TRAF3 단백질의 분해 여부가 결정되어 DUOX 발현이 유도 또는 억제되는데, 이는 장 내 세포와 미생물간의 항상성 유지를 위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PART Ⅰ The homeobox gene, Caudal, encodes the DNA-binding nuclear transcription factor that plays a crucial role during development and innate immune response. The Drosophila homologue of importin-7 (DIM-7), encoded by moleskin, was identified as a Caudal-interacting molecule during yeast two-hybrid screening. Both mutation of the minimal region of Caudal responsible for moleskin binding and RNA interference (RNAi) of moleskin dramatically inhibited the Caudal nuclear localization. Furthermore, Caudal-mediated constitutive expression of antifungal Drosomycin gene was severely affected in the moleskin-RNAi flies, showing a local Drosomycin expression pattern indistinguishable from that of the Caudal-RNAi flies. These in vivo data suggest that DIM-7 mediates Caudal nuclear localization, which is important for the proper Caudal function necessary for regulating innate immune genes in Drosophila. PART Ⅱ Drosophila guts are in constant contact with indigenous commensal microbes and pathogens enter with foods, they need the mechanism that removes pathogens and maintains commensal microbes specific manner. Drosophila gut generates dual oxidase (DUOX)-dependent reactive oxygen species (ROS) that serve on the front line microbicidal function. DUOX produces the maximum amount of ROS possible during gut infection and maintains the low basal activity despite the omnipresence of commensal gut microbes. In this study, we showed that Drosophila TRAF3 is involved in DUOX dependent gut immunity and is upstream component of MEKK1 in DUOX-expression signaling pathway. NOPO degrades TRAF3 protein by lysosome-dependent protein degradation system and represses DUOX-expression in the presence of commensal microb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NOPO and TRAF3 regulates DUOX expression and maintains the gut-microbe homeostasis.

      •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a calmodulin binding protein, INDOLE ACETIC ACID 7 (IAA7) that is phosphorylated by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 애기장대에서 옥신 신호전달 조절자 IAA7의 MAP kinase에 의한 인산화 연구

        변혜진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47

        식물은 다양한 외부의 환경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고, 그 생명현상을 유지하기 위해 복잡한 생체내 신호전달 기작을 통하여 적절한 세포내 반응을 유발하게 된다. 세포내 칼슘이온은 이러한 신호 전달과정에서 중요한 2차 신호전달자의 하나로 작용하며, 칼모듈린과 같은 칼슘 결합 단백질들에 의해서 인지되어 다양한 세포내 반응을 유발하게 된다. 세포내 칼슘농도의 변화 외에도 다양한 외부의 환경스트레스에 반응하여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들이 활성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의 보고들에 따르면 이러한 MAPK 신호전달과정이 식물 성장 호르몬인 auxin 신호전달 경로에 관여되어지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Arabidopsis cDNA expression library의 screening을 통해 칼모듈린과 결합하는 단백질의 하나로서 auxin 신호전달과정의 억제자로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진 IAA7을 동정하여 그 기능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IAA 단백질들은 식물세포에서 auxin responsive factor(ARF)들과 결합하여 그들의 기능을 억제하고 있다가 auxin 농도가 증가하게 되면 ubiquitination에 의하여 분해되고, 그 결과 ARF단백질이 자유로워져서 auxin responsive gene들의 promoter에 결합하여 유전자 발현을 유도하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먼저, CaM overlay assay를 통해 IAA7이 칼슘 의존적으로 칼모듈린과 결합하여 아미노 말단 부위에 칼모듈린 결합 부위(CaMBD)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yeast split-ubiquitin assay를 통하여 칼모듈린이 CaMBD에 특이적으로 결합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in vitro 함으로써 kinase assay를 통해서 IAA7이 MAPK에 의해 인산화됨을 확인, IAA7과 MPK가 direct interaction 함을 yeast two-hybrid analysis와 GST pull-down assay를 통해서 확인하였다. 그리고, 식물세포 내에서도 MAPK에 의해 IAA7이 인산화됨을 in-gel kinase assay를 통하여 확인했다. 나아가서 MAPK에 의한 IAA7의 인산화는 IAA7의 26번째 serine 잔기에서 일어남을 mass spectrometry와 mutagenesis 분석으로 밝혀냈다. 다음으로 IAA7의 식물체 내에서의 기능을 알아보고자 gain of function mutant(iaa7)를 이용하여 여러가지 조건에서 표현형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짧은 hypocotyl과, 굴곡이 진 잎 모양과, root hair가 없는 표현형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실험결과 iaa7 mutant에서 식물 내병성의 marker gene인 PR-1 유전자의 발현이 병원균을 처리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일어남을 발견하였다. 또한, SA에 의해 PR-1 유전자의 발현이 wild-type에 비하여 iaa7 mutant에서 더 빠르고 강하게 증가되는 것을 Northern blot 결과를 통해 알 수 있었으며, 박테리아를 처리하였을 때 병원성 박테리아의 성장이 저해되는 증가된 병저항성을 보임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iaa7 mutant에서 SA 처리에 의한 MAPK6의 활성화 시간도 더 오랫동안 지속이 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auxin 신호전달의 억제자인 IAA7은 병원균이 침입하였을 때 활성화된 MPK6에 인산화 됨으로써 auxin signaling을 저해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식물체가 병저항성을 가지게 됨을 알 수 있었다. Plant hormone auxin regulates diverse aspects of plant growth and development. Auxin is an essential plant hormone that regulates tropisms, apical dominance, root development, and ultimately controls the architecture of adult plants. Auxin might regulate some cellular response (such as expansion or polarization) through direct effects on membrane or cytoskeletal functions, but it also regulates the expression of many genes whose products probably carry out most developmental responses. Auxin is probably made in young leaves and possibly in the root throughout the plant. This transport may result in gradients of auxin concentration, which then help to pattern embryonic, vascular, and meristem development. Proteins of two related families called Aux/IAA and ARF regulate auxin-induced gene expression. Aux/IAA genes were first isolated as members of a family of genes that were rapidly induced in response to auxin (indole-3-acetic acid, IAA). The Aux/IAA genes encode short-lived nuclear proteins, and most of them contain four highly conserved domains (domain Ⅰ, Ⅱ, Ⅲ, Ⅳ) separated by variable regions. Each domain contributes to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the protein. Domain I is a responsible for the repressing activity of the proteins, whereas domain II confers instability to the proteins. Domain Ⅲ and IV serve for homodimerization and heterodimerization with other Aux/IAA gene family members as well as for heterodimerization with the auxin response factors (ARFs). Ca^(2+) signals modulate cellular processes via high-affinity Ca^(2+)-binding proteins, such as calmodulin, which in turn regulate the activity of downstream target proteins. In recent years a number of calmodulin-related proteins have been identified that are unique to plants.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aM-binding proteins (CaMBPs) is critical to the understanding of Ca^(2+)/CaM-mediated signaling pathways. The CaM-binding domain of CaMBPs is not conserved; hence, biochemical and molecular methods based on protein-protein interaction have been used to identify CaMBPs. These methods have allowed identification of several plant CaMBPs that are involved in morphogenesis, cell division, cell elongation, ion transport, gene regulation, cytoskeletal organization, cytoplasmic streaming, pollen function, and stress tolerance.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cascades serve as important signaling pathways in all eukaryotic cells, as they link the perception of external stimuli to cellular responses. In plants MAPK-based signal transduction modules regulate a large number of physical processes, including response to environmental stresses and phytohormones. The role of MAP kinase in auxin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is not clearly understood due to contradictory reports in literature. Mockaitis and Howell et al. reported that auxin treatment led to an increase in the activity of unidentified MAPKs in Arabidopsis, while extracts from auxin-treated tobacco cells also displayed enhanced MAPK activity. On the other hand, Kovtun et al. reported that MAP kinase cascade involving the tobacco MAPKKK, NPK1 negatively regulates auxin signal transduction. The cross-talk between plant disease resistance and development is fundamental to understanding systemic physiological processes during pathogen attack. In Arabidopsis (Arabidopsis thaliana), it was shown that SA-, JA-, and ET-dependent pathways regulate defense responses that are differentially effective against specific types of attackers. The roles of salicylic acid (SA), jasmonic acid (JA) and ethylene in plant defense are well established, but these so-called 'defense hormones' also affect a multitude of developmental processes. Other plant hormones, such as gibberellin, auxin and brassinosteroid, although considered to be 'plant growth regulators', have also been associated with plant defense and microbial pathogenesis. Recent evidence suggests that the auxin and SA pathways act in a mutually antagonistic manner during plant defense, whereas auxin and JA signaling share many commonalities. Auxin also affects disease outcomes indirectly through effects on development (Figure 2). Repression of these auxin receptors, which facilitates auxin-dependent degradation of the Aux/IAA (auxin/indole acetic acid) repressors, would lead to the stabilization of Aux/IAA and the maintenance of their repressive effects on auxin response genes and inhibition of disease development. Here I isolated a CaM-binding protein, IAA7, from screening an Arabidopsis cDNA expression library using HRP-conjugated calmodulin (AtCaM2::HRP) as a probe. I showed that IAA7 can interaction with CaM. By in vitro pull-down assay and yeast two hybrid analysis, IAA7 specifically interacts with AtMAPK3, AtMAPK4, AtMAPK6. In vitro kinase assay and in-gel kinase assay indicated that IAA7 phosphorylated by MPK6. IAA7 mediated auxin signaling is transduced by not only Ca^(2+) /CaM mediated pathway but also MAPKs mediated pathway. A gain-of-function iaa7 mutant displayed enhanced resistance to P.syringae and elevated expression of pathogen-related gene. The biochem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IAA7 were studied by several assays.

      • Regulatory Mechanisms of Two Transcription Factors Involved in Leaf Development in Arabidopsis

        한혜주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9647

        식물세포는 다양한 발달 또는 환경적인 신호를 인식한 후, 신호전달 과정을 거쳐서 적절한 세포 반응을 유도한다. 다양한 외부 신호에 의해서 세포질에서는 급속하고 순간적인 칼슘 농도 증가가 일어나고, 이렇게 증가된 칼슘은 칼모듈린(CaM)과 같은 칼슘 결합 단백질들에 의해서 인지된다. 칼슘과 결합한 칼모듈린은 다시 그 타깃 단백질들에 결합하여 그들의 구조적 또는 효소적 기능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외부 자극에 대한 식물체의 적절한 반응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다양한 종류의 칼모듈린 결합 단백질들이 동정되고 칼모듈린에 의한 이들의 조절 기작이 밝혀짐으로써, 식물세포의 생명현상에 관여하는 칼모듈린의 역할이 광범위하게 규명되었다. 하지만 식물체의 발달 과정에서의 칼모듈린의 역할에 대한 연구는 극히 미진한 상태이다. 본 논문에서는 분리된 수많은 칼모듈린 결합 단백질 중의 하나로, 잎 발달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ASYMMETRIC LEAVES1 (AS1)을 동정하고 칼모듈린에 의한 조절 기작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AS1 단백질은 ASYMMETRIC LEAVES2 (AS2)단백질과 함께 결합체(complex)를 이루어 KNAT1 유전자 발현의 억제자로 작용하여 잎 발달을 유도한다고 보고되었다. 따라서 잎 발달에 매우 중요한 조절자인 AS1 단백질의 기능이 칼모듈린과의 결합을 통해 조절됨으로 인해서 식물의 잎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다양한 AS1 단백질 결실(deletion) 돌연변이체들을 대장균에서 발현한 후 칼모듈린-오버레이 방법(CaM-overlay assay)을 수행하여, AS1 단백질에서 두 개의 칼슘 의존적인 칼모듈린 결합 부위들(CaMBDs)을 동정하였다. 동정된 두 칼모듈린 결합 부위들 내에서 칼모듈린과의 결합에 중요한 잔기로서, 49번 트립토판(Trp) 잔기, 81번 트립토판(Trp) 잔기와 103번 페닐알라닌(Phe) 잔기를 규명하였다. 효모와 식물체내에서 AS1 단백질과 칼모듈린과의 생체 내 상호작용을 분열-유비퀴틴(split-ubiquition)방법과 반딧불이-루시퍼레이즈 보상(firefly-luciferase complementation)방법을 통해 각각 확인하였다. 전기 영동 이동법(EMSA)을 통해 칼모듈린과 AS1 단백질 사이의 결합으로 인해서, AS1/AS2 결합체의 KNAT1 프로모터에 대한 결합하는 능력이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식물세포 내에서, AS1 단백질과 칼모듈린의 상호작용이 KNAT1 유전자 발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해 애기장대 원형질체에 일시적으로 발현시키는 방법(transient assay)과 애기장대 보상(complementation) 식물체들[AS1 WT/as1 돌연변이체와, AS1 CaMBD (-) (칼모듈린에 결합할 수 없는 형태)/as1 돌연변이체]에서 KNAT1 유전자 발현을 비교한 결과 칼모듈린이 AS1 단백질에 결합함으로 인해 잎에서의 KNAT1 유전자 발현 저해를 방해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들을 통해서 칼슘이 활성화된 상태일 때, 칼슘신호 전달 매개체인 칼모듈린이 AS1/AS2 결합체의 AS1 단백질에 결합함으로써 KNAT1 프로모터에 대한 DNA 결합력을 감소시켜 결과적으로 KNAT1 유전자 발현을 촉진하여 줄기세포가 잎으로 분화하는 것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식물의 미토젠-활성화 단백질 인산화 효소(MAPK)의 신호전달은 식물 성장과 발달 그리고 다양한 환경적인 신호들을 매개하여 적절한 반응을 유도한다. 식물체가 외부 신호를 수용체(receptor)를 통해 인지하면, 그 하위인 층계 단백질들 MAPKKK-MAPKK-MAPK 효소의 활성이 급속하게 증가된다. 이렇게 활성화된 MAPK 효소는 타깃 단백질들을 인산화 함으로써 그들의 기능을 활성화 혹은 비활성화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애기장대에는 20개의 MAPK 효소가 존재하고, 주로 AtMAPK3, AtMAPK4과 AtMAPK6 중심으로 환경 스트레스 신호 경로 및 기작 연구가 진행이 되었으나 식물 성장과 발달에 관여하는 MAPK 경로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지 못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AtMAPK 효소의 신호전달에 관여하는 기질들을 찾기 위해서 효모 이중-하이브리드 탐색(yeast two-hybrid)을 수행하였고, 이를 통해 다양한 AtMAPK 효소의 기질들을 분리하였다. 이들 기질 중에서 옥신 신호전달의 부정적 조절자인 ASR7 (Auxin Signaling Regulator7)을 동정하였다. 따라서 옥신 신호전달의 중요한 조절자인 ASR7 단백질의 기능이 AtMAPK 효소에 의해 인산화 됨으로 인해서 식물체의 성장과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실험관 내 인산화 실험 방법(in vitro kinase assay)을 통해서 AtMAPK 효소들에 의해 인산화됨을 확인하였다. 효모와 식물체 내에서 ASR7 단백질과 AtMAPK 효소들의 생체 내 상호작용을 효모-이중 하이브리드(yeast-two hybrid)와 반딧불이-루시퍼레이즈 보상(firefly-luciferase complementation)방법을 통해 각각 확인하였다. 질량 분석법 및 돌연변이 분석을 통하여 ASR7 단백질의 26번 세린(ser) 잔기가 AtMAPK 효소에 의해 인산화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활성화된 식물의 AtMAPK 효소에 의해서도 인산화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겔 내 인산화 실험 방법(in gel kinase assay)을 수행한 결과, 살리실산(SA) 스트레스 상태에서 활성화된 AtMAPK3과 AtMAPK6 효소에 의해 ASR7 단백질이 인산화됨을 확인하였다. AtMAPK 효소에 의한 ASR7 단백질의 인산화가 식물체의 옥신 신호전달에 미치는 생리학적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여러 형태의 ASR7을 과발현 형질전환 식물체들을 구축하였다. 인산화되는 흉내(mimic) 돌연변이 ASR7 S26D 과발현체, 인산화 불가 돌연변이 ASR7 S26A 과발현체, 그리고 대조군 ASR7 WT 과발현체를 비교했을 때, ASR7 S26D 과발현체가 비정상적인 잎 표현형을 나타내었다. 즉, 작은 크기의 쭈글쭈글한 잎 모양을 보였는데 이 표현형은 옥신 신호전달의 억제자인 ASR7 단백질의 안정화로 인해 옥신 신호전달이 저해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ASR7 S26D 과발현체가 병원균에 대해서 더 향상된 저항성을 가짐을 관찰하였다. 이 결과들을 통해서 식물체가 환경적인 신호를 인지했을 때, 옥신 신호전달의 억제자인 ASR7 단백질이 활성화된 AtMAPK 효소에 의해 인산화되어 ASR7 단백질이 안정화됨으로써 옥신 신호전달을 저해하고 이는 결과적으로 식물체의 내병성을 유도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 결과를 종합해 보면, 식물은 외부 환경 변화를 인식하고 그 변화에 적응 하기 위하여 식물의 형태발달을 조절하게 되는데, 이 과정은 식물세포의 두 주요 신호전달 경로인 칼슘매개 신호전달 경로와 인산화 매개 신호전달 경로가 모두 관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과학대중화를 위한 바이오현미경사진전의 사업화 전략

        정미리 충북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 purpose of this capstone is to find ways to popularize science through Bio Microscope Photography Exhibition I analyzed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domestic and foreign microscope photographs. An overseas microscope photo exhibition will be exhibited in connection with other areas, earns profit by using award-winning works. Domestic microscope photograph exhibition communicates through SNS at the time of examination, and a special present is given to the winner. Using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domestic and foreign microscope photography exhibition, it has been applied to International Bio Microscope Photography Exhibition. In addition, I examined the commercialization method through the photo exhibition of the microscope. As a commercialization method, it is necessary to make new contents by using microscope photographs and to generate revenue.

      • 천연페놀 화합물의 AXL 표적 폐암세포의 증식 억제 효과 및 항암제 내성극복에 관한 연구

        남홍안 영남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47

        AXL은 TAM subfamily에 포함되는 receptor tyrosine kinase (RTK)이며, 폐암, 유방암, 대장암, 백혈병 등에서 과발현 되어 있고 종양 형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소세포폐암 세포와 시스플라틴에 저항성 획득 비소세포폐암 세포에서 레스베라트롤, 컬큐민, 피세틴과 같은 천연 페놀 화합물의 세포 증식 억제 및 전사단계에서의 AXL 발현 저해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AXL siRNA를 이용하여 AXL 발현이 감소된 세포에서는 레스베라트롤의 세포 증식 억제효과가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AXL이 레스베라트롤의 세포증식 억제 작용의 새로운 표적임을 시사한다. 더불어 레스베라트롤은 세포주기 진행을 억제하는 p21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세포사멸 억제 기능을 가진 XIAP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본 연구는 AXL이 레스베라트롤을 포함한 천연 페놀 화합물의 새로운 표적이며, 이들 화합물은 AXL의 발현을 저해하고, 결과적으로 항암 및 항암제 내성을 극복효과를 유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담즙 정체에 의한 급성 간 손상에서 metformin의 보호 효과

        이치호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47

        생체 내에서 담즙 정체가 발생하면 소포체 스트레스와 염증 반응, 호중구 침윤이 발생하고 간 손상이 유발된다. Metformin은 제2형 당뇨의 1차 치료제로 혈당을 저하시키는 효과를 낸다. 혈당저하 뿐만 아니라 소포체 스트레스와 염증 반응을 감소시키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담즙 정체로 인해 발생하는 간 손상에 대한 metformin의 효과를 분자생물학 수준에서의 실험을 통해서 알아보았다. 담즙 정체를 유도하기 위해서 C57BL/6 생쥐에 BDL 수술을 진행하였고 세포 실험을 위해서는 C57BL/6 생쥐의 간 세포를 분리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정체된 담즙은 간 손상을 유도하였다. 이러한 간 손상에는 소포체 스트레스와 염증 반응 그리고 chemokine이 관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손상된 조직에는 호중구의 침윤이 관찰되었다. Metformin은 담즙에 의해 발생하는 간 손상을 감소시키며, 소포체 스트레스, 염증 및 chemokine 발현 모두를 억제하였다. 또한 호중구의 침윤을 감소시켰다. C57BL/6 생쥐에서 분리한 간세포에서도 metformin의 간세포 보호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Metformin을 대신하여 소포체 스트레스 억제제인 TUDCA를 처리하여 실험을 진행한 결과, 소포체 스트레스의 억제만으로도 염증 인자와 chemokine이 모두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metformin은 담즙에 의해 증가하는 소포체 스트레스를 억제하여 염증 반응과 chemokine을 감소시켜 간을 보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Cholestasis means that the bile duct becomes narrowed or clogged by several factors, and bile acid is not released smoothly. Bile acids-induced liver injury is mediated by ER stress, inflammation and neutrophil infiltration. Metformin is the first-line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and has the effect of reducing blood sugar. It is also known to reduce not only blood glucose but also ER stress and inflammatory respons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etformin on liver injury caused by cholestasis with bile acid-induced hepatocyte injury. In order to induce cholestasis, bile duct ligation(BDL) surgery was performed on C57BL / 6 mice, and primary hepatocyte of C57BL / 6 mice were separated for in vitro experiments. Static bile induced liver injury is thought to be related to ER stress, inflammatory response and chemokine. Neutrophil infiltration was observed in damaged tissue. Metformin reduced liver injury caused by bile acid, and suppressed ER stress, inflammation, chemokine expression, and neutrophil infiltration. The same results were obtained when metformin was administered to hepatocyte of C57BL / 6 mice exposed to bile acid. As a result of experiments with TUDCA, an ER stress inhibitor, inhibition of ER stress reduced inflammation and chemokine. In conclusion, metformin is thought to protect the liver injury by suppressing ER stress and reducing flammation and chemokine.

      • Systematic Study of the tribe Glyptini and Gynandromorph of Leptobatopsis nigricapitis (Ichneumonidae: Banchinae) from South Korea

        강규원 영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47

        한국산 Glyptini는 1955년 1종이 기록된 이후 분류학적 연구가 전무하며 현재 전 세계적으로 본 연구 대상 분류군의 전문 분류학자가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이는 나비목, 딱정벌레목 등에 기생하여 생물학적 방제기작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잠재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해당 분류군의 분류학적 연구가 필수적으로 이루어 져야 한다. 본 연구는 영남대학교 생명과학과 동물계통학연구실에 소장되어 있는 표본을 포함하여 해외연구기관의 소장표본 약 2,000여점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그 결과 이미 기록되어 있었던 Apophua속 이외에 Glypta, Glyptopimpla, Teleutaea 속이 발견되었으며 그 결과 한국산 Glyptini족에 16 미기록종, 1 신종을 추가하여 총 18종을 분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인근국가와 비교했을 때 현저히 적은 수의 종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현재까지 확인하지 못했던 표본의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또, Glypta의 분명하지 않은 분류학적체계에 관한 형태학적, 분자적, 지리적 연구가 요구되는 바이다. 뿐만 아니라 한국에서 처음으로 보고되는 Leptobatopsis 속은 총 2 미기록종, 2 신종과 함께 기록되었으며 맵시벌과내에서는 세 번째로 암수모자이크현상을 보고하였다. 암수모자이크현상은 암컷과 수컷의 형질이 동시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자연 상태에서는 극히 드물게 발생하는 현상이다. 이와 더불어 COⅠ을 이용한 계통수분석으로 통해 이전까지 기록되어 있지 않았던 L. nigricapitis의 암컷을 보고하였으며 이와 동시에 암수이형현상도 함께 보고되었다. 이를 통해 대부분 한쪽성만이 기록되어 있는 Leptobatopsis의 암수이형에 관한 추가연구가 계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