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제주지역 상업계 고등학교 컴퓨터 교과교육에 관한 연구

        현진아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9791

        학교에서의 컴퓨터교육의 중요성이 제기되면서 상업고등학교에서 컴퓨터교육이 실시된 지 27년이 경과하고 있다. 미래 사회가 정보화 사회로 변천하면서 상업고등학교에서는 급변하는 정보화 사회에 적절히 대처해 나갈 수 있는 컴퓨터 교육과정과 내용을 담아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오늘날 컴퓨터의 보편화 현상이 가속화됨에 따라 컴퓨터에 대한 이해와 기초적인 조작 능력을 습득할 필요가 생기게 되었으며 정보화 사회에 능동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직업인을 양성하는 상업고등학교에서는 능동적으로 컴퓨터를 활용할 수 있는 적극적인 컴퓨터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제주지역 상업계고등학교를 중심으로 본래의 컴퓨터교육 취지와는 달리 뚜렷한 성과를 거두지 못할 수밖에 없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 즉 교과내용의 획일화와 중복의 문제, 교육내용의 연관성 부족, 교과서 내용이 구시대적이며 수업에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 실습 교과 평가가 실습 위주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 컴퓨터 전공 교사 부족의 문제 등을 살펴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보화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유능한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 목적인 상업계고등학교 컴퓨터교육의 실태를 설문조사 및 참고문헌을 통해 여러 측면에서 파악하고 살펴본 후, 상업고등학교 컴퓨터교육의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앞으로 제주지역 상업고등학교에 대한 정확한 조사가 이루어져 제주지역에 맞는 상업교과 운영, 특히 컴퓨터 교과 운영에 유연성을 보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교육부의 과감한 교육투자와 제도적인 지원이 절실히 요구되며 학교 관리자 및 컴퓨터 담당교사들의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다각적인 연구를 통해 컴퓨터교육 발전에 도모해야 할 것이다. As it raises the importance of computer education in school, commercial high school have begun teaching about computer for 27 years. As future society changes into information society. It is true that the commercial high schools have not enough taught proper computer curriculums to cope with rapidly changing information society. Especially the generalization of computer has a speed now a days, it requires to acquire the understanding on computer and the ability of the basic operation of it, commercial high schools that bring up able vocational person should teach actively computer education as a vocational education. So this study some problems shows that is, commercial high school in Cheju region fail to realize the anticipated result,-uniformity and repetition of curriculum, unsuitable correl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out-of-date and unsuitable contents of subject, the evaluation of practical subjects is not practiced on practice centered, insufficiency of teachers of computer major. Therefore this study survey the fact of computer education in commercial school that has a goal to bring up to be a competent person through many-sided questionnaire and reference bibliography, then offer the suggestion of improvement of computer education. Further it should be practiced the precise survey on computer curriculum of Commercial high school in Cheju, and proper commercial subjects particularly show a flexibility on operation computer subjects. And it should be required to invest and systematical apply by educational administration, school administration and computer teachers should have lasting interests on and add the help the development of computer education though variety of studies.

      • 현재 우리나라 상업교육의 위기 진단과 대응 방안

        조은영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775

        Recently, commercial education in Korea has shown several signs of deterioration such as decreasing number of students and schoo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commercial education crisis in Korea and to provide suggestions that can break through this hardship. The problems that cause deteriorating commercial education are investigated and grouped as (ⅰ) social and cultural, (ⅱ) institutional, and (ⅲ) internal problems. Internal problems are further investigated in several aspects such as students, teachers, vocational structure, academic and career counseling, academic and industrial cooperation, teaching materials and equipments. Until now, a number of academic researches and public discussions have suggested many ideas that can resolve existing problems in commercial education. However, these ideas have not been strongly put into practice by the governmental authorities. This study, also, points that commercial education system reform alone cannot solve current commercial education problems. College entrance system, unfavorable to commerce school students, needs to be reformed. Governmental authorities, industrial groups, commerce schools, students, parents, and all the other stakeholders must cooperate to find amicable solutions for commercial education crisis.

      • 企業環境에 適應하기 위한 商業敎育의 發展方案에 관한 硏究

        박종식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75

        The objectives of commercial education are to allow a student to choose the most suitable job for the student by teaching fundamental techniques related to industry and business, adopt creatively to rapidly changing information-oriented society and to raise excellent manpower contributing to development of national economy with positive attitude. The study has conducted survey targeting administrative of domestic enterprises, whom are actual users of commercial manpower, for raising excellent industrial manpower whom can adopt to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From this survey we have deduced that improvements have to be made on commercial education for raising high school graduates to be equipped with work ability required by the industry. The result of the study has shown that the industry recognizes necessity of development in commercial education but has not seemed to be generally satisfied with work abilities required by industrial tasks for adjusting smoothly to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This clearly shows that commercial highschool should lead students to develop capabilities to respond actively against rapidly changing information technology and society during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 oriented era. In order to accomplish these, all entities in relation to commercial education such as government, local society, school, parents, students, etc., should exert efforts. Especially, teachers should raise professionalism in commercial education by acquiring diversified professional knowledges for attaining confidence from students and parents. In addition, business corporations should exert efforts in supporting commercial highschool for raising manpower desired by the industry while establishing educational environment for employees to raise work satisfaction and promote self development. Students themselves have to exert effort in areas where they can accomplish by themselves, such as foreign language and self development, etc., which have been shown to be areas with lowest satisfaction in the survey. The results of analysis conducted by the study with basis of survey conducted are as follows. First, government, local society, school, parents, students, etc., have to exert efforts in putting away prejudices with regards to external and internal perspectives of commercial educations to uplift general recognitions of the society on commercial education. Second, industrial highschool should establish industry based curriculum suitable for present industrial requirement for uplifting work abilities of manpower. With regards to the curriculum management, effects of the education will be much higher if educational instructors from respective industry deliver on job training and lectures to students. Third, innovative financial support of the government is required for improving commercial education environment by providing benefits such as tax exemption to enterprises participating in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 program, distributing job training equipments and materials, and by constructing integrated job training center suitable to the characteristic of local society. Fourth, commercial highschool should break away from development system raising manpower with only basic techniques and should diversify education system to raise superb commercial manpower with creative minds whom can adopt smoothly to rapidly evolving work field. Fifth, field training should provide more scientific and systematic program in relation to educational course than conventional field training program, to uplift work adaptation ability of students. In addition, professional education course allowing students to adapt smoothly to industrial tasks after employment should be developed in cooperation with administrative managers whom have clear understandings on requirements of respective industry. With regards to educational course management, effects of the education will be much higher if educational instructor from respective industry delivers on job training and lectures to students. Aside from improvement methods suggested by the study, content of education that should be emphasized to students, whom will be participating in production activities in advanced industrial society, is in raising manpower with problem solving ability, justifiable decision making skills and social adaptation skills. 본 연구의 결과분석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상업교육의 발전이 필요하다는 인식(64.9%)이 필요하지 않다는 인식(8.4%)에 비하면 무려 8배나 높은 평가를 함으로써 산업체 현장에서는 상업교육의 발전을 절실히 인지하고 있었다. 하지만 급변하는 기업환경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필요한 업무수행능력은 전체 응답자의 50.8%가 보통이다, 28.3%가 낮다는 응답을 하였고 업무수행능력이 높다는 20.9%로 답변함으로써 평가 시 자주 범하게 되는 중심화 오류와 관대화 오류를 고려해 볼 때 전반적으로 상업계 고등학교 졸업생에 대해 기대 수준에 미치지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상업계 고등학교는 정보화 시대를 살아가야 할 학생들이 정보기술의 발전과 사회변화에 대하여 능동적이며 다각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대응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상업교육과정은 산업발전과 국제화 시대에 있어서 기업의 국제경쟁력을 높여주며, 테크놀로지에 의해 주도되는 정보화 사회에서 개인이 능동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주는 터전이 되어야 한다. 교사도 새롭게 변하는 전문지식과 기술을 습득하여 실습위주의 교육을 통해 끊임없이 산업사회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 중요한 역할이므로 학생과 늘 접촉하여 꿈과 희망을 주고 용기를 주어 진로를 개척하도록 지원하며 올바른 인성을 가지고 바르게 성장할 수 있도록 사랑으로 보살펴야 한다. 그리고 변화하는 산업사회에 발맞추어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고 연구하여 상업계 전문교과 교사로서의 전문성을 높여 학생·학부모로부터의 신뢰를 향상시켜야 한다. 산업체에서도 학교에서 어떠한 인재를 길러 내는지에 관심을 두고 학교교육에서부터 좀더 기업이 원하는 인재로 양성하기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그리고 취업한 근로자에 대해서는 근로자가 만족을 느끼고 직무에 충실하며 자기 개발이나 자아 성장을 추구해 나갈 수 있도록 취업 후 계속적인 재교육을 실시하도록 적극 노력해야 한다. 이러한 노력들은 산업현장에서 상업계 고등학교의 졸업생들에 대한 이미지 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다. 학생스스로도 개인의 노력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부분들 특히, 본 조사결과에서 가장 낮은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는 외국어 소통능력과 자기개발능력 등에 대한 적극노력이 필요하다.

      • 商業高等學校 EDPS敎育에 關한 硏究

        이창숙 淑明女子大學校 1986 국내석사

        RANK : 249775

        産業構造가 확대 다양화되어가고 경제과학이 급진적으로 성장 발전 됨에 따라 情報의 양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되어 이른바 정보의 홍수시대에 돌입하였다. 1960년대 후반기부터 도입하여 활용하기 시작한 컴퓨터는 이제 이용하는 관청, 기업도 증가일로를 걷고있어 우리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계에 놓이게 되었다. 學校敎育이 時代의 선구적 역할을 담당하면서 시대적 조류에 부합 되어야 한다는 것이 상식이고 오늘날과 같은 정보화 사회하에서 전자계산교육을 상업고등학교 교육과정에 도입하여 컴퓨터의 이용기술과 이에 따르는 제지식을 새롭게 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새 시대에 적응할 수 있는 能力을 배양하여 준다는 것은 오늘날의 時代性으로 보아 적절한 조치가 아닐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商業高等學校의 보다 발전된 EDPS교육 실시를 위해 현행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제 2 장에서는 商業高等學校 EDPS敎育의 必要性, 成長과정, 현행 EDPS교과목 및 내용을 알아보고 제 3 장에서는 EDPS교육의 현황을 제 4 장에서는 문제점과 EDPS교육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개선방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교원에 대한 수업시간의 경감, 특정수당·상여금 지급, 자료 연구개발비를 지원한다. 2) 정보처리기사 자격을 교사임용에 고려하고 이에 상응하는 대우를 해준다. 3) 교육교재 개발 및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해 전문가들로 구성된 연구위원회 또는 자문위원회를 구성한다. 4) Computer 공급업체에서는 상업고등학교에 보급되는 Personal Micro Computer의 특성에 맞는 행정 관리 소프트웨어(성적관리, 인사관리, 문서관리, 도서관 자료 관리등)를 개발하여 제공해야 한다. In modern society, computer system is of a great many practices, under rapid expansion, according to different kinds of purposes of each person and home, including the government, enterprises, institutions and various types of schools. Thus such a tendency of the age forces us, who are included in the membership of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to do obtain much more information and knowledge associated with the system, and it has caused larger demand of information processor and technician. To meet with the need of the times, most commercial high schools which aim at bringing up able professional workers have come to feel the necessity of EDPS education.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EDPS education in commercial high schools, to analyze difficult problems, and to suggest the remedial plans to solve the problems. The current problems related to EDPS education are as follows: I. The number of teachers who finished the professional training course of EDPS education is scanty. II. Teachers responsible for the subject of computerization have, indeed, many difficulties due to excessive class duties, in management of computer room. Teaching materials for EDPS education in commercial high schools are insufficient. The remedial plans to solve the problems are summarized as follows: I. Both effective duty control and financial support are needed, including reduction of class duties, giving special allowance and bonus, and support of R&D cost. II. When teachers are appointed, the qualification for information processor might be attached for them, together with better honor for the position. III. A society for the research, consisting of specialists, should be founded to develop full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software. IV. On the part of computer system manufacturers, they should take the efforts to develop the administration software fit for the features of personal/microcomputers which are distributed to commercial high schools.

      • 商業高等學校 簿記 敎育의 敎科運營 改善에 관한 연구

        최삼휴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 연구는 상업계고교에서의 부기 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점을 밝혀 상업교육의 발전과 활성화를 위한 효율적인 부기 교육의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업부기 관련 교사와 학생들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대상지는 광주·전남지역 내에 있는 상업고등하교 교사 81명과 학생 19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는 데, 그에 대한 검증은 Chi-square Test에 의해 유의도 0.05와 0.001수준에서 비교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제 I 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연구의 방법과 범위를 제시하였고, 제II장에서는 상업고등학교 부기 교육의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에 대해 서술하였으며, 제 III장에서는 한국과 일본 부기 교육을 상업부기와 공업부기를 통해 목차 및 서수를 비교하였으며, 제 IV장에서는 설문 조사를 통해 부기 교육의 실태를 조사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제V장에서는 설문 조사 내용의 결과에 의거하여 부기 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고, 제VI장에서는 본 연구에 대한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발견된 문제점과 이의 개선안을 보면 다음과 같다. 1. 부기 교육의 문제점 1) 부기 교과의 내용이 학생들이 이해하기에는 어렵게 되어 있다. 2) 학교의 수업으로 부족한 내용을 보충하기 위한 학원의 수강료 지출이 너무 과다하다. 3) 현행 부기 교육의 수업이 교사 위주의 주입식 수업이므로 학생들의 참여와 이해를 추구하는 데 어려움이 많다. 4) 기업회계기준이 빈번히 개정되는 데도 이에 따른 교사의 연수가 적시에 이루어지게 않고 있어 개정전의 내용으로 교육하는 경우가 많다. 2. 부기 교육의 개선안 1) 부기 교과서의 내용은 이론 중심에서 실무문제 중심으로 변경하고 그림이나 도표를 많이 삽입하여 이해하기 쉽도록 해야 한다. 2) 교사의 수업방법을 개선하여 학원에서의 강의보다 더 질높은 수업이 학교에서 이루어지도록 하여 교외에서의 추가 보충수업비를 절감시키도록 하여야 한다. 3) 학급의 학생 수가 적을 때는 수준별로 나누어 점차적으로 지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학생 수가 많을 때는 교사가 일부 설명하고 유사한 문제들을 학생들이 서로 토의해서 직접 풀어 보게 하는 것이 좋다. 4) 기업회계기준은 수시 변경되므로 부기 담당교사는 이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으며 특별한 경우 적시에 교사 연수가 시행되어야 한다. Showing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book-keeping education in commercial schools, this study is to suggest effective operation methods of book-keeping education to develop and vitalize commercial education.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inquiry method was adopted. The person in study were the 81 business teachers and the 197 students of commercial high schools in Kwangju and Chonnam province. According to Chi-square, the data were contrasted and analyzed with a standard which ranges from 0.05 to 0.001 probability. Chapter 1 presents the aim of study, its research method, and its coverage. Chapter 2 describes theoretical backgrounds of book-keeping education in commercial high schools, and chapter 3 examines actual situation of book-keeping education through surveying by qauestionaire and analzes its results. According to it, chapter 4 presents problems of book-keeping education, and the programmes for solving these problems. Chapter 5 present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discover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problems of book-keeping education. First, the contents of book-keeping are very difficult for students to understand. Second, students spend a lot of money taking extra courses-keeping in private institutes so that they can compensate for classes in schools. Third, the present cramming methods by teachers prevent students from joining classes and understanding the contents of classes. Fourth, it is frequent that teachers teach former contents because they didn't have a chance to get timely trains as accounting standards are often reformed. 2. The improvements of book-keeping education. First, the contents of book-keeping textbook must be practice-oriented rather than theory-oriented and easy to understand by inserting many pictures and charts. Second, teachers must improve their teaching methods so that the classes in schools can have a higher quality than those in institutes which can reduce the expenses for taking extra classes in institutes. Third, in small classes, teachers are required to teach students gradually according to their ability. In large classes, teachers must explain a part of the contents and lead students to discuss similar problems and solve them themselves. Fourth, teachers are required to be interested in accounting standards which are often changed. In a special case, the chances of qualifying train must be given to teachers timely.

      • 商業系 高等學校 打字敎育의 有效性에 관한 硏究

        김정실 淑明女子大學校 1990 국내석사

        RANK : 249775

        우리나라의 商業敎育은 1899년 5월에 관립상공학교의 설립을 효시로 계속적인 변천을 거쳐 오늘에 이르기까지 성공적인 經濟發展의 주역들을 길러내는 중대한 역할을 담당해 왔다. 이처럼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商業敎育중 打字敎育은 사회구조와 경영활동 범위의 확대에 따른 문서처리 업무에 필요한 능력을 갖춘 기능인을 양성하는데 주력해왔다. 문서처리 업무중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文書作成을 타자기로 하면 문서를 신속,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또 打字 技能은 다른 事務器機도 쉽게 조작할 수 있는 바탕이 되므로 특히 事務自動化에 따라 그 중요성이 확대되었다. 그러나 우리의 한글타자기는 1969년과 1985년의 두번에 걸친 표준글자판의 제정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글자판의 有效性의 측면에서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또한 學校에서의 타자교육은 현재의 敎育課程에 명시된 시간만으로는 打字에 대한 技能을 충분히 익힐 능력을 갖추기에 너무 부족하며, 아직도 기업체에서 사원 채용시 技能 級數 소지자를 요구하기 때문에 기능 급수의 취득을 위하여 학생들은 학원수강이나 개인연습등 많은 시간을 투자하여 과외수업을 하지 않을 수 없으며 이에 따른 時間的, 經濟的 부담은 매우 큰 실정이다. 自動化시대로 일컫는 현재에도 대부분 商業系 高等學校에서는 手動打字機만을 이용한 敎育을 실시하고 있으므로 學生들에게 打字敎育의 효과를 보다 높이기 위해서는 實務 適應 能力을 키우기 위한 방향으로 實習施設을 확충하고, 實務 중심의 敎育을 실시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硏究는 商業系 高等學校 打字敎育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效率的인 打字敎育의 方向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硏究의 目的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적 연구와 설문조사에 의한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設問調査는 전국의 상업계 고등학교 打字 擔當 敎師 90명, 인천직할시 및 경기도에 소재한 商業系 高等學校 在學生 308명, 상업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현재 企業體에 근무하고 있는 實務者 88명에게서 回收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商業系 高等學校의 打字敎育은 타자기의 이용에 관한 지식과 기능을 습득하게 하여, 실무를 정확,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데 그 目標를 두고 있으며, 1990學年度부터 종전에 없던 새로운 내용으로 컴퓨터를 이용한 打字 事務로서 널리 보급 이용되고 있는 워드 프로세서에 대한 교육이 추가 되었다. 타자 수업에 대하여 많은 學生들이 흥미를 느끼고 있는데 그 이유는 打字 科目은 취업과도 직접 關聯이 있는 科目이고, 高等學校에서 새로 배우는 과목이기 때문인 것으로 본다. 設問調査 결과 타자 수업을 10單位로 실시하는 학교가 가장 많았는데 현재의 敎育 時間에 대하여 교사와 학생 모두 效率的인 타자교육을 위하여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으며, 더구나 打字 수업시간에 한글타자와 영문타자를 동시에 습득해야 하기 때문에 실제의 수업시간은 각각 1/2로 줄어드는 셈이다. 따라서 學校의 打字 수업시간만으로는 충분한 敎育이 이루어질 수 없으며, 대부분의 企業體에서 요구하는 技能 級數의 取得을 위하여 學生들은 부득이 課外수업에 의존해야만 하고, 學校의 打字 수업도 거의 급수시험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設問調査 結果 많은 學生들이 打字를 배우는데 있어 급수 취득의 어려움을 지적하고 있으며, 敎師들도 學生들의 급수 취득을 위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商業系 高等學校에서의 打字敎育은 앞으로도 모든 事務器機(텔렉스, 워드 프로세서, 컴퓨터등)의 기초기능으로써 계속 필요할 것이라는 응답이 敎師와 實務者 공히 높은 比重의 응답율을 나타냈다. 學生들에게 충분한 敎育을 위하여 필수적으로 갖추어져야 하는 實習施設에 대해 많은 교사들이 더 補完해야 한다고 응답하여 現在의 施設로는 學生들에게 效率的인 교육을 하기에 부족한 것으로 나타냈다. 打字 技能 級數의 취득에 대해 학생과 교사의 대부분은 한글타자와 영문타자 각각 2급을 目標로 하고 있으며, 기업체에서는 한글타자 2급과, 영문타자 3급을 가장 많이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目標로 하는 급수의 취득을 위하여 필요한 시간으로는 한·영타자 각각 200時間 내외에서 가장 높은 응답율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1일 2시간씩 연습한다고 할 때 8個月에 해당되는 시간이며 學生들은 打字 技能 급수의 취득과 함께 珠算, 簿記등의 級數도 동시에 취득해야 하므로 商業系 高等學校 학생들이 기능 급수의 취득을 위해 필요로 하는 시간은 너무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현재의 打字 檢定 試驗의 평균 합격율은 20%정도이며 1년에 4회의 검정밖에 실시하지 않으므로 학생들은 技能 級數의 취득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검정 시험에 불합격할 경우 대부분의 學生들이 끝까지 응시 한다고 답하고 있으나 일부의 學生들은 어느정도 응시해보고 포기한다는 경우도 있어, 이는 敎師들의 적절한 指導가 요청되는 문제로 본다. 앞에서 살펴본 打字敎育의 문제점들에 대하여, 效率的인 打字敎育을 위한 改善 方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檢定基準 및 시행방법상의 개선 방안으로서 현재 너무 까다롭게되어 있는 검정 시험 기준을 검정 시험의 의미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완화하여 2년의 과정을 성실하게 마친 學生이면 學校의 수업만으로도 級數 取得이 가능하도록 적정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打字機 고장의 경우 현재 명확하지 않은 기준으로 되어 있으나 打字 擔當 敎師의 확인으로 타자기 고장의 여부가 인정되는 등 명확한 客觀的 기준이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검정 시험 시행 방법상의 문제점인 監督 制度에 대하여는 감독관이 타자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갖도록 하여 受驗者에게 적절한 도움을 줄 수 있는 시험 진행이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年4回 밖에 되지 않는 검정 시험 응시 기회를 확대하여 학생들에게 충분한 기회를 갖도록 해야 할 것이다. 事務管理分野의 자격 검정이 반드시 國家技術資格檢定으로만 존속될 필요는 없으며 검정 시험 횟수나 시행방법등 기능 검정에 대한 모든 사항을 고려하여 바람직한 方向으로 發展되어야 하겠다. 둘째, 實習施設의 擴充을 들 수 있다. 實務者의 거의 대부분이 學校에서의 打字 수업 시간에 電子打字機 및 워드 프로세서 敎育이 꼭 필요하다고 설문조사에서 응답했으나 현재의 상황으로 볼 때 문교부의 施設基準으로는 사회에서 요구하는 기능을 습득시키기는 너무 부족하며 아직도 대부분 手動打字機를 중심으로한 수업이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商業系 高等學校에서 충분한 敎育을 기대할 수 있을 만큼의 施設은 필수적이며 이를 위하여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先行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打字 敎科 지도상의 改善 方案으로서 현재의 타자 수업시간을 확대하여 학교의 수업만으로 실무 적응 능력을 충분히 갖출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이를 위하여 1,2학년 과정에 14단위 정도는 履修가 되어야 敎育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아울러 1990學年度부터 打字敎科에 새로 추가된 워드 프로세서의 敎育을 위하여 기존의 타자 수업시간과는 별도로 4-6단위 정도를 3學年 과정에 추가로 배정하여 학생들에게 충분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타자 수업을 거의 級數 試驗을 중심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급수 시험에 계속 불합격하는 학생들은 打字 科目 자체의 學習意慾을 상실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에 대한 敎師들의 적절한 指導가 요청된다. 아울러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檢定 制度를 校內 檢定으로 대체하거나 학교의 성적만으로 學生의 能力을 인정할 수 있는 社會的인 분위기가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현재 사용중인 표준글자판의 단점인 속도의 저조, shift key의 잦은 조작으로 인한 취약점등을 속히 보완하여 情報化 社會에 신속히 대처한다는 의미에서 이들에 대한 깊고 폭넓은 硏究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ypewriting has been considered as playing important role in industrial development since its invention in 1714. Typing education in commercial high school was first included on the curriculum as commercial exercise in 1954. After Korean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 put in operation in 1957, the typing official approval examination have contributed training of industrial workforces. Our society has been developing to the advanced industrial society and been being the development of computer. Therefore the importance of typewriter has been discussed. They have two opinions: One in that typewriter is no longer needed, replacing with the computer and the word processor. The other is that the typewriter must be used as a basic skill of all office machines. But companies demand skill qualification for students who are employed by the firm. According to them, the acquisition of skill qualification is not enough on only school hours, so students must have extracurricular typing courses. On this situ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blem of the present typing education and skill qualification system and presented following methods for in creasing the efficiency of typing education (for the sake of typing education of commercial high school) 1. Expand the typing units, so typing education must be educated fully at school for efficient typing education in order to meet actively in the office automation period. 2. Must educate urgently on the advanced electronical typewriters and word processors from the manual typewirter in order to meet the demand of industrial society the government must support the school budget steeply. 3. Typing qualification test should be possible for those students with two-years education on typing courses. On the other hand, school lesson will be change from the lesson that takes only the qualification to the lesson that brings up the practical abilities. And the typing skill examination will be substituted into school skill examination, or make up the mood that companies accept the school record as student's abilities. 4. Unify the computer keyboards and develop more efficient typewriters.

      • 高等學校 特別學級의 商業敎育 改善에 關한 硏究

        이묘찬 忠南大學校 1985 국내석사

        RANK : 249775

        I. The purpose of this study 1. It is very difficult for us to make a qulitative advance of education with the special conditions of a special class. 2. The present curriculum of a special class organized in high school has been managing on the basis of vocational education consequently to grasp all the problems of commercial education which is being carried out as a means of vocational education intends to explore ways` toward it's improvement. II. To manage curriculum of a special class 1. To have commercial education is much easier than any other vocational training, so that most of the special classes take commercial subject as vocational education. 2. The objectives of education in a special class organized in high school are generally much the same as those of the general high school. 3. The formation of curriculum and the standard of unit allotment can be operated and controlled them after the minister of education approval. 4. To make estimations through practical training at the actual spot of commercial education, 30 percents of them can be reflected to commercial education. III. Summary of the results on this study 1. It is desirable that we should have a commercial department as vocational education in a special class. 2. The formation of a special class must be prganized according to the labor conditions in each industry. 3. Before receiving applications of the labor gouth for a special class, we'll have to show curriculum which is suitable for them in the outline for admission. 4. In a special class we must operate the double shift school system for convenience of the labor youth. 5. We are to research and develop test-books connected with field training. 6. A special class in high school should be equipped with more abundant text-books and teaching tools needed for class that in a commercial high school. 7. We are to study and develop commercial text-books which are suitable for a special class. 8. The curriculum of a general high school should be introduced and managed to a special class. 9. With a view to securing the unit-time lacked, we must extend a period of learning. 10. We are to consider hardness and easiness of duty in valuation of field training and try not to make an error in estimation. 11. The research institutions for a special class should be established and unified with the authorities concerned. 12. We are to lay out a scheme so that teachers, students and authorities concerned may understand special conditions and related laws. 13. We must abstain from such actions caused by Q.C education, cultivating education and disposing of routine business, for they may interfere with class. 14. After graduating from the special class, they'll have to receive favors of promotion and getting a raise.

      • 상업계고등학교 회계원리 교육의 효과성 연구

        강나윤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 연구는 상업계 고등학교의 회계원리 교육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세계화, 정보화가 진전되는 상황에서 상업계고등학교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여 그 교육방법도 함께 발전하고 개선되어야 한다는 점을 가정하고 있다. 특히 상업계고등학교의 교과과정 중 회계원리 교과의 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교육 방법을 모색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범위는 다음과 같다. 우선적으로 상업계고등학교의 회계교육의 특징을 분석하였으며, 다양한 교육방법을 모색하여 실제 학교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회계원리 교육을 살펴보았다. 둘째, 상업계고등학교 회계원리의 수업이해도에 영향을 주는 연구모형을 제시하였으며, 연구가설의 유의성 검증을 위하여 서울, 경기 지역의 상업계고등학교 학생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 중심의 회계원리 교육을 실시할수록 회계원리 수업 이해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학습자 중심 교육의 교수-학습방법으로 문제 중심 학습을 수업에 적용하였을 경우 회계원리 수업에서 학생들의 수업 이해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컴퓨터를 활용한 회계원리 교육을 실시할수록 회계원리 수업 이해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컴퓨터를 활용한 회계원리 교육은 현장 실무에 도움이 줄 것이고, 수업 이해도를 높이는데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들은 회계원리 교과와 상업경제 교과는 서로 연계성이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나타났고, 회계원리와 상업경제의 연계교육을 실시할수록 회계원리 수업 이해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생들은 회계원리 교과서를 어렵다고 느끼고 있고, 교과서에 실제사례, 실습 예제가 충분하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다. 이러한 교과서가 개선된다면 회계원리 교육에 있어서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는 상업계고등학교의 회계원리교과의 수업이해도 향상과 회계원리교육의 개선방안에 제안하고자 한다. This work is about the education of accounting principle at business high schools. This study has an assumption that the social demand on business high school should be reflected in the context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ization and that, accordingly, education method should be developed and improved. Especially, the research herein would work on finding a solution to effective education method so that accounting principle teaching can be followed up among the business high school curriculums. The scope of study was covered in the following way. Firstly,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on the accounting education in business high school, and through diverse training ways, this work looked into practical accounting principle applicable to school field. Secondly, a research model was suggested which is effective to better understand the lesson about accounting principle in business high school. To verify a hypothesis with significance, a survey was done toward 350 students in business high school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from research. Frist, it appeared that the comprehension level became higher than earlier under a learner-centered education of accounting principle. Results indicated that the degree of comprehension was advanced in accounting principle class when the problem-solving lesson was applied to class with instruction-learning method with a focus on learner-oriented approach. Second, it showed that the level of understanding went up as the computer-aided education for accounting principle. There was an indication that computer-aided training of accounting principle for students was helpful in practical field tasks and effective to increase the comprehension of lesson. Third, students recognized a relationship between accounting principle curriculum and commercial economy curriculum. It revealed also that the comprehension level increased when they had a class combined with both accounting principle and commercial economy. Fourth, students felt it hard to learn an accounting principle and they considered that there are neither real cases nor practical examples enough in textbook, which implies that the comprehension level will increase further if any upgrade of textbook is realized. This study suggests that these findings would help to enhance a comprehension level in the accounting principle curriculum and provide a solution to its education improvement at business high school.

      • 우리나라 상업과 교육과정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권대성 京畿大學校 敎育大學院 1993 국내석사

        RANK : 249775

        This study clarifies how the curriculum of Business Education changes from establishment of syllabus to revision of the curriculum in 1989. This study lays emphasis on the educational background and content s in which the curriculum was established and revised at that time. In Chapter 1 the necessity, purpose and way of the studis described. In Chapter 2 the essence of business education and the search of curriculum is described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In Chapter 3 is considered how business education showed signs of incipient life in Korea and how the curriculum of business education has changed in the fifth revision of the curriculum since Korean Liberation. The summaries of Chapter are as follows. 1. The beginning of Business Education The business education in Korea started in 1899, when the governme nt organization on Commercial and Industrial School was established. The ordinance of Vocational School on Business School in Yunghi 3 (1909) alloted Japanese hours more than twice as many as Agricultural School and Industrial School coping with Japanese merchants' activity since the opening of a port, but it did not make better owing to the customary contempt of vocation. 2. The period of syllabus (1945-1954) In this period the education on the basis of democration principle is idealized as the foundation of a country and the U.S. Military Government issued the educational principle which emphasized the practice of knowledge suited to actual life. Business Middle School (Business High School at present) included t he contents of education which laid emphasis on functional subjects for life-centered education such as bookkeeping and abacus. 3. The Period of the first Curriculum (1954-1963) The allotment regulation on curriculum of Primary School,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Normal School in 1954 and the first curriculum in 1955 was established and issued, emphasizing the life-centered education. In humane high school business economics, bookkeeping, abacus and business calculation were assigned to connect with one another according to the grdees. In special subjects of Business High School Business practice and economic geography were newly established. 4. The period of the second curriculum (1963-1973) The second curriculum, emphasizing the improvement of productivity in all courses, laid stress on raising practicer capable of self-living through the real experience. The Humane High school taught general management and general business (commercial digest, business digest, bookkeeping and business calculation). Business high school divided special subjects and established business English newly. And the curricula of vocational high school (including of Business high school) were respectively established in 1963. 5. The period of the third curriculum (1973-1981) The basic direction of the third curriculum was to realize the idea of National Charter of Education, and the basic principle was to improve national talents, reinforce human educations and renovate technical educations. Technology (for male) was newly established as a required subject in vocation-home subjects. In middle school business subject was assigned 6.3% to 10.8%, in humane high school it was assigned 4.2% to 4.8% to humane and natural course, 27.1% to 35.2% to vocational course. In Humane High School General Commerce, general business, bookkeeping, counting were taught. and special subjects of business high school had no change about the subjects such as statistical research, marketing, date processing which were newly established in 1971 and the rest of the subjects which were revised in 1976. 6. the period of the fourth curriculum (1981-1987) In the fourth curriculum, the educational goals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was respectively established to cope with the changeable society, and the curricula of humane high school and vocational high school which were respectively organized were got together. In Humane High School General Commerce, general business, bookkeeping and counting were taught. In Business High School Business course, accounting course, trade course and Date Processing course, which were originally one course, were classified as four course and many special subjects were combined into a few. In Chapter 4 has the contents of education in business course was changing was summarized according to each period. The change of the curriculum of business education according to each period shows that the quantity of educational contents has been relatively fixed as time and unit allotment to business subject has decreased. Therefore we need to adjust it. 7. The period of the fifth curriculum (1988-the present) The purpose of revision was to bring up koreans active, creative, and voral which will lead to 21century of society that becomes informational, international and various. The basic direction of vision was forcused on the reasonableness and the realization of education curriculum. In Business High school the standard unit assignment of the whole education curriculum was leveled the before as from 204 to 216. The standard unit of each subjects was increased or decreased aptly in principal and was left the autonomy at the subject management according to school situation by principal discretion. In the aim of business and each subjects talent as an able man were made to be educated and to be learned the talent of office businessman in the education contents of dicument and office to accumalate elementary knowledge about vocation manners as an careerm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