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교회 중년여성의 자아정체성 회복에 대한 여성주의 목회상담

        유관순 서울신학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한국교회 중년여성들의 자아정체성 회복을 통해 신체적·심리 정서적·사회문화적·영적위기를 극복하고 전인적으로 건강한 삶을 살도록, 즉 그리스도인들이 하나님 안에서 지금-여기에 임한 하나님의 나라를 누리며 풍성한 삶과 영생의 길로 인도하는데 돕기 위한 의도로 기획 되었다. 연구의 목적은 한국교회 중년여성들이 교회 안에서 생활하고 있으나 중년기에 이르러 신체적·심리 정서적·사회 문화적·영적의 위기임을 인식하고, 전인적 자아정체성을 회복하는데 방해가 되는 요소들을 여성주의 목회상담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을 여성주의 관점에서 제공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전인적 자아정체성은 신체적·심리 정서적·사회 문화적·영적의 위기의 회복에서 시작되며 이 위기에서 회복되기 위해서는 심리적 조건과 기독교적 자원이 필요하다. 즉 분석심리학적 관점에서 내재적 자기를 만나는 개성화의 과정과 기독교의 외재적 하나님을 만나려는 영성훈련이 필요한 것이다. 전인적 자아정체성을 위한 심리적 조건은 부정적 정서와 낮은 자존감과 병리적인 신앙의 치유와 회복과 잠재력 개발 그리고 영적 훈련을 통한 영적 성장이다. 이를 위해서는 기독교자원인 말씀과 기도, 예배와 공동체 역할의 적용과 이야기치료 여성주의 목회상담의 핵심적인 가부장적인 남성 중심적인 사회 문화 안에서 잃었던 자기목소리를 되찾으며 ‘적응이 아니라 변화’이며‘평등성의 강화’,‘수행성(성취력)과 친교성(관계성)의 균형’,‘역량강화’,‘자기양육’,‘다양성 인정하기’로 잃었던 자기를 찾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영성훈련과 심리적 접근법인 이야기치료 여성주의 목회상담을 통합적으로 사용하였다. 연구 방법은 각종 문헌을 중심으로 이론적 정립을 시도하였고, 이에 근거하여 실제적인 이야기치료 여성주의 목회상담과 기독교자원을 가지고 과정을 적용한 상담 사례를 제시 하였다. 본 연구의 여성주의 목회상담학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교회 중년여성들이 경험하는 신체적·심리 정서적·사회 문화적·영적인 갈등과 전인적 자아정체성 혼미의 원인에 대해 여성주의 목회상담학적으로 분석하고 대안을 제공하였다는 것이다. 둘째, 자아정체성의 재형성을 위해 부정적 정서와 낮은 자존감과 기복적인 병리적 신앙을 회복하여 역량강화와 잠재력개발을 통한 자아정체성의 심리학적 조건들을 제공하였다는 것이다. 셋째, 전인적 자아정체성 회복을 위해 이야기치료 여성주의 목회상담의 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따라서 추후 이야기치료 여성주의 목회상담을 활용한 다양한 치유나 성장 프로그램 연구의 기초자료로 사용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created to overcome physical·emotional·social cultural·spiritualized crisis through the recovery of middle aged Christian Korean woman's identity, to live a holistic healthy live. In other words, it is designed on purpose of contributing to the enjoyment of God's land that is here now in God, and the guidance to plentiful and eternal life.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recognize the physical·emotional·social cultural·spiritualized crisis even if Korean Christian middle aged women belong to the church, to analyze factors that obstruct the recovery of holistic identity in terms of the feminist pastoral counseling, and to offer the solutions to overcome those factors. Holistic ego identity begins with the restoration of the physical·emotional·social cultural·spiritualized crisis, and psychological condition and Christian resources are needed in order to recover this crisis. That is, the process of individualization meeting intrinsic self in the analytic psychology of view and the spiritual training to meet external God are required. The psychological condition for holistic ego identity is healing and recovery of negative emotionality, low self-esteem and pathologized faith, potential development, and spiritual growth through spiritual training. For this, the process that regains voice that has been taken by patriarchal androcentric social culture through Christian resources, words and prayer, application of role of worship and community and conversation remedy feminist pastoral counseling, and the steps to find self identity by 'not adaptaion, but change', 'reinforcement of equality', 'balance between achievement and relationship', 'strengthening of ability', 'self nurture', 'to admit variety' should be taken. Thus, this study utilizes syntagmatically conversation remedy feminist pastoral counseling that is spiritual training and psychological approach. The method of research is theoretical correction based on various references. With the grounds for that, substantive conversation remedy feminist pastoral counseling and Christian resources, applied counseling cases are suggested. The significance in the perspective of Pastoral Counseling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analyses physical·emotional·social cultural·spiritualized crisis that Korean Christian middle aged women face and reasons of confusion regarding to the holistic self identity and suggests the alternatives. Second, it recognizes negative emotion, low self-esteem and inconsistent pathological faith and provides the psychological conditions with respect to self identity by healing, strengthening of ability and potential development. Third, for the recovery of holistic self identity, direction of conversation remedy feminist pastoral counseling is guided. Therefore, this could be used as basic data of further research for the developing programs and variety of healing to be applied by conversation remedy feminist pastoral counseling.

      •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 향상을 위한 해결중심상담 사례연구 :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 향상을 위한 해결중심상담 사례연구

        유정아 대전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27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 향상을 위한 해결중심상담 사례연구 유 정 아 대전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지도교수 김항중)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 향상을 돕기 위하여 해결중심상담을 적용한 사례연구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 Y구에 위치한 초등학교 2학년 다문화가정 남학생 1명과 여학생 1명으로 총 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해결중심상담 프로그램은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의 목적에 맞게 연구자가 보완‧재구성하여 사용하였고, 해결중심상담 활동을 주 2~3회 50분씩 10회기에 걸쳐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 관련 심리와 인식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투사적 심리검사 HTP검사, KSD검사, KFD검사, SCT검사를 사전‧사후 실시하였고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해결중심상담 회기별 정리 내용을 통해 연구 대상자의 변화 과정을 살펴 볼 수 있었다. 연구 대상자 관찰기록 및 상담일지, 회기별 활동지, 회기별 소감문과 척도질문지, 축어록을 바탕으로 자세한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사전·사후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 하위요인별 점수와 하위요인 총점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결중심상담은 다문화가정 학생의 총체적 자아존중감을 향상시켜 긍정적 자기인식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다. 둘째, 해결중심상담은 다문화가정 학생의 가정적 자아존중감을 향상시켜 자신과 가족관계에 대한 유대감과 이해를 높여주었다. 셋째, 해결중심상담은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교적 자아존중감을 향상시켜 학습에 대한 자신감을 갖게 하고 친구, 선생님과의 관계개선에 도움을 주었다. 넷째, 해결중심상담은 다문화가정 학생의 사회적 자아존중감을 향상시켜 또래 집단과 사회 적응을 돕고 구성원과의 어울림을 통해 친밀감과 사회적 존재 의식을 갖도록 도움을 주었다. 다섯째, 해결중심상담은 다문화가정 학생과 교사 간에 친밀한 교제와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고 긍정적 감정 교류가 일어날 수 있도록 하였다. 여섯째, 해결중심상담은 다문화가정 학생이 친구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갖게 하고 친구에 대한 친밀감을 형성하여 친구와의 관계개선에 도움을 주었다. 일곱째, 해결중심상담은 다문화가정 학생이 수업에 흥미를 갖게 하고 자신의 학습태도를 성찰할 수 있도록 하여 학교수업 적응력을 높여주었다. 여덟째, 해결중심상담은 다문화가정 학생이 학교에서 지켜야 할 규칙을 수용하고 자신을 적절히 통제하고 조절하여 학교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다. 본 연구 결과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다문화가정 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 능력을 향상시켜 다문화가정 학생들이 보다 만족스럽고 행복한 학교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이다.

      • 부성상실을 경험한 어린이를 위한 영성 상담 : 그리스도요법을 중심으로

        신은자 서울신학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9727

        ABSTRACT Spirituality Counseling for Children Experiencing the Loss of Paternity - Focusing on the Christotherapy- Shin Eun Ja Directed by Professor Lee, Jung Kee, Ph.D. Department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of Theology Seoul Theologica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the children who experience the relational loss of paternity because of their parent's divorce and conflict undergo the mental experiences, and to reveal how the children experience through the child spirituality counseling, and how they reconstruct and perceive the relational image about themselves and God.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help the children who live in single parent family get the psychological stability, and through christian spirituality they perceive by themselves from their feelings and experiences, it can help the children develop their life of faith. The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and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in order to understand their psychological state experienced from the loss of paternity, and to know the relational image about themselves and God after spirituality counseling. Phenomenological research is the qualitative research focusing on the subjective experience and interpretation that is different from the quantitative research and it is to explore and understand from the participants' perspective. With that perspective, researcher applied Max van Manen's method to this study. The subject for inquiry was constructed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children'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fter they undergo the divorce process of their parent? Second, what is the change of the relationship with God and God's image that the children perceive through spirituality counseling? The participants were 5 children who were living in the mother and child protection facilities and 5 children who were living in local community after finishing the life of facilities for three years. The researcher carried out the picture test and 'existential relation spirituality' test through an individual interview to assess their psychological state and try to understand the relational psychology with their family, environment, themselves, and God. The individual interviews for data collection were made of 5-7 sessions, and 10 sessions for spirituality group counseling. The result of this study looking at the children'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relational dimension is as follows. The participants showed the helplessness, awful remember that they want to forget, longing for their father though their hatred. They expressed thanks for their mother who sacrificed for them currently and also suppressive image of their mother, and the psychological pressure about their younger brother and younger sister. In the relation with others and environment, they didn't belong to the peer community augustly because of their low self esteem, and in the relation with themselves, though they often suffered from nightmares, they were concerned with exploring their talent by perceiving their feelings and living their life positively. The result from the spirituality counseling showed that they had mythological and fantastical image of God so that they projected the object relational image stuck in the development stage onto God. They felt God as horrible and punishing. However after spirituality counseling they expressed the image of God as the good shepherd looking for a stray lamb, and reconstructed the image of God newly as compassionate for their sufferings and as granting their wishes. They also expressed their feelings through role play about the bible story, and having a contemplative time looking into their inner mind they listened to God's voice and they expressed that freely. As the result of spirituality counseling they showed the attitudinal change forming healthy self esteem for themselves, and the spiritual growth in which they could talk with God for prayer in actual life.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s in the pastoral counseling. First, in the reality of high divorce rate in our country today, this study was conducted phenomenologically about the development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 undergoing their parent's divorce. This study can help the pastoral counselors deeply understand the children in the church from the pastoral counseling perspective. Second, there are few clinical resources for the child spirituality counseling in pastoral counseling in Korea, but this study applied the frame of the christotherapy to child spirituality counseling in keeping with the children's development stage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ce that it dealt with the children's spiritual aspects at the same time with the psychological aspects, their spirituality as well as their psychology, so that it will be used as a basic clinical resources for the child spirituality counseling. key words: experience of the loss of paternity, developmental psychology, child, spirituality counseling, phenomenology, christotherapy. 부성상실을 경험한 어린이를 위한 영성 상담 -그리스도요법을 중심으로- 신은자 서울신학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상담심리학전공 (지도교수 이정기 박사) 국문초록 본 연구는 부모의 갈등과 이혼으로 인하여 아버지와의 관계상실을 경험한 어린이가 일상생활을 하면서 어떠한 심리적 경험을 하고 있는지 이해하고, 어린이 영성 상담을 통하여 그들이 어떠한 체험을 하며, 그 체험을 통하여 어린이가 하나님과 자신에 대한 관계적인 이미지를 어떻게 재구성하고 지각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으로 실시된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재 한부모 가정에서 생활하는 어린이의 심리적인 안정을 도울 수 있으며, 어린이의 감정과 경험에서 스스로 인식하게 된 기독교 영성의 이해를 통하여 어린이의 신앙생활 발달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연구자는 반 구조화된 질문을 통해 어린이가 부성상실경험으로 인하여 경험되는 심리적 상태와, 영성 상담에 참여하면서 경험한 하나님과 자신에 대한 관계적 이미지를 이해하기 위해 현상학적 관점을 따르고자 하였다. 현상학 연구는 양적연구와 다르게 주관적인 체험과 해석에 중점을 두는 질적 연구이며 체험한 대상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탐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그러한 관점에서 해석학적 현상학을 주창한 밴 매넌(Max van Manen)의 연구방법을 본 연구에 적용하였다. 이에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첫째, 부모의 이혼으로 인하여 부성상실을 경험한 어린이의 심리적 현상은 무엇인가? 둘째, 영성 상담에 참여한 어린이가 지각하는 하나님 관계와 하나님 이미지에는 어떠한 변화가 있는가? 이에 본 연구는 00시 모자보호시설 내에서 생활하고 있는 어린이 5명과, 이미 모자보호시설에서 3년간의 생활을 마치고 퇴소하여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어린이 5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개별면담을 하면서 참여자 어린이들의 심리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측정도구로 그림검사와 ‘실존적 관계 영성’ 척도 검사를 실시하여 그들의 실존적 관계인 가족, 타인과 환경, 자신, 그리고 하나님과 관계적인 심리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한 개인면담은 5-7회 실시하였으며, ‘영성 상담’은 10회기를 진행하였다. 부성상실을 경험한 어린이의 심리적 특성을 관계적 차원에서 정리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여자들은 어린 유아기에 아버지와의 관계 상실을 경험하면서 무기력한 자신, 잊고 싶은 무서운 기억, 그리고 너무 밉지만 아빠를 그리워하는 심리를 나타내었다. 현재 가족관계에서는 아낌없이 자신을 위해 희생하는 엄마에 대한 고마움을 느끼면서도 자신을 억압하여 힘들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신이 보살펴야하는 동생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을 표현하였다. 타인과 환경관계에서는 낮은 자존감으로 인하여 또래 공동체에 당당하게 소속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신과의 관계에서는 가끔 악몽에 시달리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감정을 객관적으로 인식하고 긍정적으로 생활하며 자신의 재능을 탐색하는데 관심을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성 상담에서 나타난 결과는 신화적이고 환상적인 하나님의 이미지를 갖고 있기도 하고 발달단계에서 고착된 대상관계의 이미지를 하나님에게 투사하는, ‘무서운 하나님’, ‘벌주시는 하나님’ 등으로 드러나기도 하였지만 잃은 양을 찾아가는 선한목자를 하나님의 이미지로 표현하면서 자신의 아픈 마음을 헤아려주시고, 소원을 들어주시는 하나님으로 새롭게 이미지를 재구성하였다. 또한 성서의 이야기를 적용한 역할극을 하면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였으며, 내면을 들여다보는 묵상의 시간을 가지면서 직관적으로 체험되는 하나님의 음성을 듣고 자유롭게 표현하였다. 이러한 영성상담의 결과는 어린이 자신의 건강한 자아감을 형성하는 태도적 변화의 모습으로 나타났으며, 실제 삶의 현장에서 하나님과 대화식으로 기도하는 영적 성장의 모습으로 표현되었다. 본 연구가 갖는 목회상담학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의 높은 이혼율의 사회적 현실 속에서 전인적으로 가장 심리적 손상이 큰 이혼가정 자녀들의 발달 심리적 특성을 현상학적으로 접근하였다는 것으로써, 이는 교회 안에 소속된 어린 영혼들을 돌봄의 대상으로 접근하는 목회상담관점에서 그들을 더 깊이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어린이 영성 상담에 대한 임상적 자료가 부족한 한국의 목회상담학적 현실에서 영성과 심리치료의 한 접근방법인 ‘그리스도요법’의 틀을 어린이의 발달수준에 맞추어 영성상담에 적절하게 적용하였다는 것이다. 이는 어린이의 영적인 측면과 심리적인 측면을 동시에 접근하여 그들의 영과 혼을 함께 다루었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향후 어린이의 영성상담을 필요로 하는 임상적 현장에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잠재력개발 집단상담이 중학생의 자아개념성숙에 미치는 효과

        조순이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상담심리학전공 2003 국내석사

        RANK : 24972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group counseling program geared toward the development of human potentials on the self-concept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an effort to assist middle school students to develop class self, academic self and emotional self, build amicable interpersonal relations and better adjust themselves to school life, as students are likely to suffer from conflicts and get discouraged due to conflicting values and poor confidence.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below: First, does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the development of potentials bring any favorable changes to the class, academic and emotional self-concept of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does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the development of potentials bring any favorable changes to the ego-ident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Third, does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the development of potentials bring any favorable changes to the self-esteem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1 students in their first and second years from W middle school in Taean-gun, who wanted to join in a group counseling program geared toward the development of potentials, after every first and second grader was given an explanation about that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composed of these students took tests on self-concept, self-esteem and ego-identity before the experiment.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conducted 10 times for 10 weeks, one a week, about 45 minutes each. The experimental group took test again on self-concept, self-esteem and ego-identity in the same way as the pretest, one week after the program was completed, and the pretest and posttest results were compared. For data analysis, t-test was employed to see if there were any gaps between the collective averages in the pretest and posttest, and the level of significance was set at 5%. The brief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was exposed to the group counseling designed for the development of potentials underwent a positive change in self-concept.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experienced the group counseling showed a significant change in collective averages about class self and academic self, but there appear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eral self, family self and physical self. Third, the group counseling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 experimental group's ego-identity related to target orientation, uniqueness and self-assertion,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gap in security, interpersonal role expectation, self-awareness and human relations areas. Fourth, when the posttest results were taken into account and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assess the effect of the program, the group counseling for the development of potentials were fouond to be helpful for the students to understand and accept themselves, and their self- concept became more positive subsequently. Furthermore, they were able to establish their own values, build better interpersonal relations and have better ego-identity.

      • 수치심 이해와 치료에 관한 연구 : 기독교 상담적 관점으로

        김성애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26

        지금까지 본 연구는 인간의 가장 기본 정서인 수치심에 대한 이해와 기독교 상담적 입장에서 수치심의 치료적 방법을 모색하였다. 수치심에 대한 바른 이해와 연구들은 인간이해의 심리학적 차원과 함께 바른 기독교 신앙 형성의 정립에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이제까지 정신분석학은 영혼의 성숙이라는 측면은 외면한 채 모든 것을 정신병리적 차원에서 해결하려고 하는 시행착오를 되풀이하고 있고, 신학은 이러한 시도를 아예 무시한 채 기도와 묵상을 통하여 회심과 성화, 죄사함, 영적 성숙 등에만 치우쳐 왔기에 인간의 현실적인 생활 속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갈등이나 병리적인 현상에는 효과적인 답변을 제시하지 못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두 학문의 갈등적 요소를 상호 보완하여 수치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수치심을 경험하고 있는 내담자들에게 기독교 상담학적 접근을 통한 치료적 방법을 통하여 하나님의 형상이 회복되며 건강한 자아를 가지고 가정과 교회 그리고 사회생활에서 한층 더 성숙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그 길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제2장의 수치심의 개념 및 형성에서는 수치심의 개념정의, 수치심의 형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수치심의 개념을 모든 인간이 가지는 부가적 정서이며, 의미 있는 타자와의 대인관계에서 형성된 자아관에 의한 내적인 자아평가와 관련된 것으로서, 자신의 부족이나 결핍, 혹은 부적절함의 문제 때문에 자아의식으로부터 생겨나는 고통스러운 감정의 한 형태로 정의하였다. 특별히 성경에서는 수치심이 자기 자신의 죄악된 본성과 개인적인 죄의 결과임을 말하고 있다. 수치심은 양육자의 안아주기 실패, 내면화와 동일시, 자기의 포기를 통해서 형성된다. 수치심의 발생 시기는 언어이전의 시기부터라고 볼 수 있으며, 양육자가 환경적 침범으로부터 유아를 충분히 보호해줌으로써 유아가 전능환상 안에서 살아갈 수 있도록 돕는 ‘안아주기’에 실패했을 때 대인관계 유대에 상처를 입으면서 발생되고, 어머니의 비난이나 비교, 비일관성, 과잉기대, 과잉간섭의 양육태도로 아이는 쉽게 상처를 받고 수치심을 느끼기 쉽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수치심이 단지 감정으로서 기능할 때에는 자신을 가꾸어가고 공동체를 건강하게 세워 가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하지만 수치심이 내면화되어 그 사람의 정체성으로 자리 잡을 때에는 타자의 어떤 영향 없이도 그 자체로 자율적으로 활동하게 된다. 수치심에 취약하게 되어 마음의 중심 감정으로 자리 잡아 모든 행동을 좌우하게 된다. 수치심이 내면화되는 전형적인 경우는 참자기의 포기이며, 참자기를 포기하고 거짓 자기로 살면서 속은 텅 비고 껍데기만 남은 심리적인 자기 실종 상태가 된다. 제3장은 이러한 파괴적인 영향력을 지닌 수치심에 대한 이론적 고찰로 정신분석학과 대상관계론 그리고 자기심리학에서의 수치심을 살펴보았다. 수치심에 대한 최근의 연구들은 정신분석 계통에 기초를 두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수치심에 대한 Freud와 그의 뒤를 이은 정신분석학자들은 수치심을 경시했고 억압을 조장시키는 일종의 저항정도로 생각했으며 노출 욕구에 대한 반동 형성이라고 하였다. 대상관계이론은 수치심현상이 자기를 비롯하는 대상과의 관계에서 발생하며, 수치심의 내면화 과정에 깊은 영향을 주는 ‘유아와 양육자의 관계’가 중요하고, 수치심의 형상과정에 있어서 ‘건강한 양육자의 중요성’과 치료적 요소로서 환자와 치료자가 함께 경험하는 ‘관계의 질’을 강조하고 있는 것을 말해준다. 수치심에 대한 Kohut을 비롯한 자기심리학자들은 자기애적 분노나 수치심이 자기의 구조를 파괴시키는 요인으로 보아 이 둘의 연관성은 모두 자기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된다고 보았다. 과대한 자기상을 가진 사람은 수치심으로 고통받을 가능성이 커지고 그 감정의 강도도 무척 높아지게 된다고 하였다. 또한 수치심은 심리적인 면에서 자기 상실 혹은 나르시시즘적인 자기상실을 의미하는 것으로 수치심으로 자살을 기도하거나, 극심한 우울을 맛보게 되기도 하고 이러한 자기의 상실로까지 갈 수 있는 수치심으로부터 자기를 보호하기 위해 “극심한 분노”를 보이는 것은 수치심의 또 다른 표현이라고 말할 수 있다. 즉 수치스러운 곳을 누군가가 드러내고 지적하고 들추어내려 할 때 분노를 보이는 것은 자기보호의 본능적 차원에서 일어난다. 제4장에서는 수치심이 개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자아에 미치는 영향, 정서에 미치는 영향, 인격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자아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첫째, 자아를 분리 혹은 분열시킨다. 이상적 자아와 현실적 자아의 불일치가 드러나게 되고를 분리 혹은 분열시켜 자아가 주저하게 되고 자신감이 결여되며, 활동력이 떨어지므로 서로 불화한 상태에 놓이게 된다. 둘째, 또 다른 수치경험을 회피하려고 방어적 자아를 형성한다. Kaufman은 수치심에 대한 자아의 방어 전략들로, 경험된 수치심을 대인관계에서 전가시키기, 분노, 경멸, 권력추구, 완벽주의 추구, 비난의 전가, 내면적 철수 등을 말하고 있다. 셋째, 고갈된 자아의 문제이다. Kohut은 치료 중 만나게 되는 편만한 공허감과 점점 더 우울증이 심해진다고 호소한다고 하였다. 수치심으로 인해 생기는 이러한 자아의 문제들은 자신의 수치스러운 자아와 수치경험을 거부함으로서 자기-소외를 가져오고, 그 수치심을 투사함으로서 자신 뿐 아니라 타인에게도 파괴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는 낮은 자아존중감을 갖게하기도 한다. 정서에 미치는 영향으로 죄책감, 분노, 우울, 불안, 시기심, 자기분열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강렬한 수치심은 오히려 죄책감으로 경험되어지며, 수치심에 의해 발생된 혼란스러움이 분노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이때의 분노는 자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수치심을 전가시키는 방어 전략으로 볼 수 있다. 분노를 비롯한 부정적 정서를 억압할 때 우울해 질 수가 있는데 우울함의 모든 경우가 그런 것은 아니지만 분노의 근원에 수치심이 있는 것처럼 우울에 수치심이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불안이 높을수록 개인은 수치스러움을 느낄 가능성이 높으며, 수치심을 보다 잘 느끼는 개인일수록 불안한 느낌을 많이 경험하게 된다. 자기애적 패배를 수치심으로 경험할 경우에는 종종 시기심이 따른다. 수치심과 시기심이 결합되면 자기 파괴적인 충동과 죄책감이 뒤따를 수 있다. 부정적 정서표현이 허락되지 않았을 경우, 그 정서와 자신은 분리되었을 가능성이 크며 억압된 감정을 느낄 때 마다 수치심을 느끼게 된다. 인격장애에 미치는 영향으로 경계선 인격장애, 자기애성 인격장애, 편집성 인격장애, 반사회적 인격장애, 중독성 인격장애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성장과정에서 자신의 경계선이 끊임없이 침범 당했을 때 자신이 희생자이면서도 오히려 자신을 수치스럽게 여기며 성장해서 경계선 인격장애가 드러나는 경우가 있다. 수치심에 기초해 있는 자기애적 인격장애는 개별화를 시도하는 아동의 움직임이 공생을 유지하려는 부모의 욕구와 충돌하는데 그 기원이 있다. 편집성 인격장애 특징 중 하나가 외부를 비난하는데 있는데 수치심에 기초한 눈은 자신이 부정하고 싶은 자신에 대한 경멸이나 불만족을 외부로 투사한다. 반사회적 인격장애의 개인이나 그러한 성향을 가진 개인, 비행청소년들의 경우 수치심이 없는 것처럼 행동하지만 이들의 반사회적 행동이나 공격, 분노의 표출은 수치심에 대한방어기제로 볼 수 있다. 제5장은 수치심에 대한 치료적 접근으로 정신분석학, 자기심리학, 기독교 상담적 적 접근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정신역동적 접근에서는 Kaufman의 심리치료이론을 중심으로 수치심이 동일시를 통한 대인관계 다리의 회복을 통해 치료될 수 있음을 보았고, Kohut의 자기심학적 접근에서는 전이과정속에서 이루어지는 공감적 이해를 통해 수치심의 치료적 접근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수치심의 기독교 상담적 접근에서는 Bradshaw의 이론을 바탕으로 하나님과의 새로운 관계형성을 통한 신적자아상 회복을 통한 수치심 치료과정을 재구성해보았다. 누구나 가지고 있어야 할 건강한 자기애가 잘못 형성되어 늘 생활에 불균형을 가져오는 수치심에 빠진 사람이 수치심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많은 심리학자들은 어릴적 부모와의 관계와 성장 과정 속에서의 인간관계의 중요성을 지적하면서 치료과정에서 새로운 건강한 인간관계의 회복을 통한 치료가 요구됨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인간관계 회복을 통한 치료에서 더 나아가 사람이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된 존재이기에 창조주인 하나님의 시각으로 자기를 용납하고 이해하며, 하나님의 사랑으로 자기를 존중해주며 기대하는 신적 자아상의 회복이 수치심의 궁극적 치료임을 제안하면서 수치심에 대한 본 연구가 수치심으로 고통스러워하는 많은 사람들이 수치심의 해로운 영향으로부터 벗어나 한 인간으로서 자신을 있는 모습 그대로 인정하고 자신의 한계를 받아들여서, 자신과 대인관계 그리고 하나님과의 성숙한 관계를 가질 수 있게 되고 신적 존재로서 독특하고 존엄한 자신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하여 도전하는 삶을 시도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 학습상담 개입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학습종합클리닉센터 학습상담사를 중심으로

        김현아 중앙대학교 심리서비스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11

        This study has a positive impact on their intervention by understanding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educational counselors who have many effective intervention experiences in the field of counseling and sharing them with all counseling counselors in the field. Furthermore, I tried to help my students solve their learning problems. For this purpose, I applied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conduct in-depth interviews with 9 study counselors who have more than 5 years of experience in counseling for children and 3 years of experience in counseling.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90 concepts were derived through open coding, which was again classified into 35 subcategories and 17 categories. The paradigm model was completed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of categories through axial coding. An analysis of the interrelationship among the categories revealed that the phenomenon of being tailored to the complex needs of students was followed by conditions of low academic performance and accompanying the developmental issues of the students. Participants were asked to 'personalize counseling goals or focus', 'perform cognitive educational interventions', 'perform emotional interventions', and 'engage in behavioral interventions' in accordance with the context of 'environmental conditions of educational counseling' 'And the strategy of interaction / interaction. The interventional conditions that promote or suppress the action / interaction on the central phenomenon include 'maintaining a comprehensive knowledge system', 'maintaining perspective and attitude as a educational counselor', 'mobilizing the experience of the individual', ' using a professional network'. Interventional conditions that promote or suppress interactions with central phenomena include 'maintaining a comprehensive knowledge system', 'maintaining a educational consultant's perspective and attitude', 'the mobilization of an individual's exper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limited in that the participants' counseling experience, academic background, career are somewhat biased, short - term perspective in understanding educational counselor development. Nevertheless, it is meaningful that we could explain the professional intervention and strategy of the counselor and its effectiveness. They also provided professional and developmental intervention methods for those who would like to grow into a educational counseling specialist, and provided suggestions for educational counselor education and supervision. In order to establish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the counselor by examining the identity of the counselor which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unselor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factors to be improved and supported, and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can also be used as a resource to prepare. 본 연구는 학습상담현장에서의 개입경험이 많은 학습상담사를 대상으로 그들의 경험과 의미를 이해하고, 이를 현장에서 학습상담을 진행하고 있는 모든 학습상담사와 공유함으로써 그들의 효과적인 개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더 나아가 내담학생의 학습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질적 연구방법 중 하나인 근거이론 접근방법(grounded theory approach)을 적용하여, 아동청소년 상담경력 5년 이상, 학습상담 경력 3년 이상의 경력을 가지고 있는 9명의 학습상담사와의 심층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개방코딩(open coding)을 통해 90개의 개념이 도출되었고, 이는 다시 35개의 하위범주로 분류되어 17개의 범주로 정리되었다. 축코딩(axial coding)을 통해서 범주들의 관계를 분석하여 패러다임 모형을 완성하였다. 범주들 간의 상호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학업성취도가 낮음’, ‘학생의 발달적 어려움이 동반됨’이라는 인과적 조건(causal conditions)으로 인해 ‘학생의 복합적 욕구에 맞춤형으로 대응하기’라는 중심현상(phenomenon)이 발견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학습상담의 환경적 여건’의 맥락(context)에 따라 ‘상담목표나 초점을 개별화함’, ‘인지학습적 개입을 실시함’, ‘정서적 개입을 실시함’, ‘행동적 개입을 실시함’이라는 작용/상호작용 전략(action/interaction strategies)을 수행하였다. 중심현상에 대한 작용/상호작용을 촉진하거나 억제하는 중재적 조건(intervening conditions)은 ‘포괄적인 지식체계를 유지함’, ‘학습상담사로서의 관점과 태도를 견지함’, ‘개인의 삶의 경험을 동원함’, ‘전문적 네트워크를 활용함’이다. 이러한 결과(consequences)는 ‘융합적인 접근을 시도하고 있음’, ‘내담학생에게 꼭 필요한 효과를 설계함’, ‘학습상담 효과의 지속을 위해 함께 노력함’, ‘학습상담사의 역할 수행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함’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연구참여자들의 상담 경험, 학력, 경력이 다소 편향되어 있고, 학습상담사 발달을 이해하는데 단기적 관점이라는 점과 상담환경, 내담학생의 여러가지 조건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습상담사의 전문적인 개입 및 전략과 그에 따른 효과성을 설명할 수 있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학습상담 전문가로 성장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전문적이고 발전적인 개입방법을 제시하고 학습상담사 교육과 슈퍼비전에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상담사들과는 다른 학습상담사만의 정체성을 조명함으로써 학습상담사의 전문직 정체성 확립을 위하여 개선 및 지원해야 할 요소 등을 확인하고 제도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가 무엇인지에 대한 본 연구의 제언은 향후 학습상담 관련 제도 마련을 위한 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성공적인 노화를 위한 목회상담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연구 : 현실치료와 이야기치료를 중심으로

        박순옥 서울신학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9711

        This paper studies a pastoral counseling program that can help senior citizens reflect on their lives, enjoy the kingdom of God that has come upon us here and now, and live every day full of energy. I have extended the literature on successful aging to develop,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 pastoral counseling program that applies the theories of reality-therapy and narrative-therapy. I hope this program will help the elderly members of our churches live a more successful life. This study uses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The pastoral counseling program for the aged has used narrative-therapy and reality-therapy. narrative In -therapy, the psychological storytelling was conducted with in-depth interviews on 7 items, based on the 14 questions introduced by McAdams. Reality-therapy was constructed with programs for learning desire-satisfaction actions that can use procedural characteristics to help build a successful self identity. I assume that “sense of self-integration,” “successful aging,” and “psychological storytelling” of those who have participated in “Pastoral Counseling for Successful Aging” will have positive and significant consequences. In order to test its effects, I implemented the counseling program on 8 senior members of 00 church in Seoul, all of them 60 years old or older. The counseling was conducted 3 times a week for a total of 17 sessions. The paper analyzes the psychological storytelling of the participants, given before being counseled, for an in-depth study of each participant’s unique life story. After the counseling is over, I again ask the senior members to story-tell, and compare the stories before and after the counseling to gauge the program’s efficiency. I also utilize a quantitative method to determine, in diverse ways, the program’s effects on “sense of self-integration” and “successful aging,” which are development tasks of senescence. The results show that “Pastoral Counseling for Successful Aging” increased the “sense of self-integration” of participants, enhanced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nduced a positive change in psychological storytelling.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the study of pastoral counselling. First, for a participant in the program, talking about one’s life and listening to others do so in a systematic way, and being able to laugh, cry, and sympathize with those who share similar experiences, is very healing and pastoral. Second, because the program is conducted in groups, engaging in physical activities and praising by dancing induces healing, joy, and allow the participants to move on to new emotions, perceptions, and actions. Third, the program applies reality-therapy in a biblical way, providing a biblical way of life and Christian education at each step so that participants are given a chance to reflect on their lives and reformulate their identities. Fourth, the program is significant in that it allows participants to better understand “death,” which is something they have not experienced. Faced with the possibility of death, they are led to evaluate their current ways of life and obtain new plans and hopes. 본 논문은 성공적인 노화를 위한 목회상담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로써, 노인들이 하나님 안에서 평생의 삶을 되돌아보고 지금-여기에 임한 하나님의 나라를 누리며 활력 있게 내일에 삶을 살아가는 일을 돕고자 기획 되었다. 연구의 목적은 고령화 사회를 살고 있는 교회 내 노인들이 성공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돕고자 성공적인 노화에 관한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현실치료와 이야기치료의 이론을 적용한 목회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고자 했다. 연구방법은 질적연구 방법과 양적연구를 병행해서 실시하였다. 노인목회 상담프로그램은 이야기치료와 현실치료를 활용했다. 이야기치료에서 심리전기적 이야기 진술은 맥카담스가 제시한 14가지 질문에 따라 7가지 항목을 심층면담 방식으로 했다. 현실치료는 절차적인 측면의 특징을 활용하여 성공적인 정체감을 성취하도록 돕는데 좀 더 효과적인 욕구충족 행동을 학습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구성했다. 연구의 문제는 개발된 ‘성공적인 노화를 위한 목회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노인들의 ‘자아통합감’, ‘성공적인 노화’ 및 ‘심리전기진술’이 긍정적이고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제로 하였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에 위치한 00교회에서 만 60세 이상 노인 8명을 대상으로 주 3회 씩 총 17회기로 개발 절차에 따라 진행하였다. 연구절차는 연구 문제에 따른 성공적인 노화를 위한 목회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프로그램에 참여한 노인 개인마다 가지고 있는 삶의 이야기를 심도 있게 탐구하기 위해 프로그램 참여 이전에 진술되는 심리전기를 찾아 분석한다. 프로그램 참여 이후 다시 한 번 각 참여자들의 삶의 이야기를 찾아 사전과 사후의 발견된 이야기들을 비교 분석해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또한 양적연구방법을 통해 참여한 노인들의 노년기 발달과 개인의 ‘자아통합감’과 ‘성공적인 노화’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고자 다각적 검증을 시도했다. 연구의 결과는 성공적인 노화를 위한 목회상담 프로그램에 참여자들의 자아통합감을 높이고, 심리사회적 향상에 도움을 주며, 심리전기 진술에도 중요한 변화가 촉진되었고, 심리전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가 주는 목회상담학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프로그램은 체계적으로 노인들이 자기 인생의 이야기를 진지하게 말 하고 경청하여 비슷한 경험을 가진 이들과 함께 울고 웃는 공감 과정이 치유적이며 목회적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집단 활동이므로 매 회기에 신체적인 활동과 율동찬양의 치유적인 기능들로 인해 즐거움을 더하여 새로운 정서와 인식과 행동의 변화를 촉진할 수가 있었다. 셋째, 본 프로그램은 현실치료를 성경적으로 적용하여 각 단계에 따른 성경적인 삶의 방향과 기독교 교육적인 측면을 제공하여 참여자가 스스로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고 새롭게 정체성을 가지고 재구성 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을 제공했다. 넷째, 참여자들이 가보지 않은 ‘죽음’에 대한 이해를 도와서 미래를 살게 하는 활동을 추가하여 죽음 앞에서 자신의 현재의 삶을 평가하고 새로운 계획과 소망을 가지게 했다는 의미를 가지게 한다. 따라서 추후 노인관련 목회상담 프로그램 연구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미술표현 활동을 통한 결손가정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상담사례

        황희숙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는 질적 연구의 한 방법인 사례연구로 미술표현활동을 통하여 결손가정아동이 학교생활에 적응해 가는 과정을 미술활동을 하면서 대화 내용이나 행동관찰로 작성하고 기술하였다. 특히 결손가정의 비율이 40%로 타교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상담자가 근무하는 학교의 환경측면에서 보았을 때 경제적인 환경보다는 안정된 가정환경에서의 성장이 중요하다고 생각되어 상담을 실시하였다. 미술표현활동을 구안하여 총20회기에 걸쳐 상담을 하였고 HTP검사와 K-CBCL아동행동평가 척도의 검사를 사전, 사후로 4회 실시하였으며 3개영역으로 행동관찰을 누가 기록하였다. 연구 실행 결과로 나타났던 상담의 효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표현활동은 결손가정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학습준비와 주변 정리정돈을 스스로 하게 되었고 친구들에게 인정을 받게 되자 대인관계에 자신 있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미술표현활동은 결손가정 아동의 공격성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미술활동을 통해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기 시작하면서 자신의 공격성을 조절하게 되었으며 표정이 밝아지고 웃는 행동을 보였다. 셋째, 미술표현활동을 진행하면서 아동은 공격적이며 소심한 행동에서 점차 벗어나 자신감이 생겨났고 자기중심적인 사고에서 벗어나 학습활동에 적극 참여하게 되었다. 미술표현활동 20회기가 끝나고 보니 2학기 내내 고집 한번 피운 적 없었고 친구들을 괴롭힌 횟수도 줄어들고 친구들과 교실 바닥을 뒹굴며 씨름하는 모습이 눈에 띄었다. 또 할머니께 고마워하는 마음이 생겨 있었다. 상담을 진행하면서 결손가정의 아동들이 겪는 아픔과 채워지지 않는 부모의 빈자리를 모두는 아니지만 조금이라도 어떻게 채워줄 수 있을까가 과제로 남게 되었다. This counseling case was a art-expression program which is designed to help a child from broken home to adapt to school life. Counseling had lasted for 20 sessions. To assess the effect of the counseling, HTP and K-CBCL were administrated before and after the counseling and the client's behavior was observed in the classroom. Through the counseling, The major change of the client's behavior was as followings. First, the client became more adaptive to his school life. He showed autonomy in preparing his study-materials and arranging his belongings. Second, the client became less aggressive and more expressive. Then he could control his emotions. Third, the client became more confident in his school life and engaged himself more positively in studying activities. Consequently, the art-expression program was effective in the school adjustment of the client of a broken home.

      • 현실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내적 통제력에 미치는 영향

        최화자 군산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는 현실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내적통제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설명력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현실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현실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내적통제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그리고 이러한 연구 문제에 대한 선행 연구의 결과와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현실치료 집단상담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해 자아존중감에서 의미있는 향상을 보일 것이다. 둘째, 현실치료 집단상담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해 내적통제력에서 의미있는 향상을 보일 것이다. 이러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 G시에 있는 G청소년 유관기관에서 방과후 프로그램을 이용하고 있는 중학생 1학년을 대상으로 유사실험설계를 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 각각 6명을 배정하여, 실험집단에 대해서는 6회기동안, 매회 110분씩 2018년 7월 13일부터 8월 31일까지 현실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비교집단은 G기관 내의 도서관에서 자율적으로 독서록을 기록하거나 독서를 하도록 하여 실험 효과를 검증하였다. 현실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측정도구로는 Rosenberg(1979)가 개발하여 전병재(1974)가 번안한 자아존중감 척도(self-Esteem Scale, RSE, 내적통제력 척도는 Rotter(1966)의 내외통제성척도 (Internal- External Control Scale)를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차재호, 공정자, 김철수 (1973)가 번역 수정하여 제작한 ‘내외통제성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4.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독립표본 t-test, 비모수 대체 검증으로 Mann-Whitney 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 적용한 현실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중학생들의 자아존중감과 내적통제력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집단상담 프로그램임을 확인하였다. 자신의 욕구 충족을 위해 효율적 행동을 선택하는 방법을 배우면서 내적통제력이 향상되고, 더 효율적인 행동을 선택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확신을 가지면서 자신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가지게 되어 자아존중감이 향상되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볼 때, 현실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내적통제력을 증가시켜 자신의 행동을 더 효율적인 방향으로 선택하게 하고, 자기 인생의 주인이 자신이라는 믿음을 갖게 하며, 선택의 중요성을 알게 하여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reality therapy group counseling program on the self-esteem and internal control of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is research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examined. First, what is the effect of the reality therapy group counseling program on middle school students’ self-esteem? Second, what is the effect of the reality therapy group counseling program on the internal control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and the rationale for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with reality therapy group counseling would show a meaningful improvement in self-esteem compared to the comparison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with reality therapy group counseling would show a meaningful improvement in internal control over the comparison group. In order to verify these hypothes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mprised students in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involved in after-school programs in youth-related institutions in G city, Jeollabuk-do. Six groups of studen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respectively, and a real-time therapy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conducted with the experimental group from July 13 to August 31, 2018, during six 110-minute sessions. The comparative group verified the experimental effect by autonomously reading or reading a book from the library in the respective institution.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reality therapy group counseling program, two measures were used: the Rosenberg Self-Esteem Scale (RSE) and the Internal-External Locus of Control Scale (IECS). The RSE was developed by Rosenberg (1979) and revised by Jeon Byeong-jae (1974) and the IECS was developed by Rotter (1966) and modified for the Korean context by Cha Jae Ho et al. (1973).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4.0,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s, and non-parametric substitution tests with Mann-Whitney te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reality therapy group counseling program is an effective program that improves self-esteem and internal control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s a result of the students learning how to choose effective behaviors to meet their needs, self-esteem was improved by having a positive, self-confident attitude and by being confident that they could improve their internal control and choose more efficient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reality therapy group counseling program increased the self-esteem and internal control of middle school students to make their behavior more efficient. In addition, this program contributed to help students believe in themselves and to help them live a happy life.

      •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이 아동의 정서, 행동에 미치는 임상효과

        곽현정 단국대학교 대학원(천) 2017 국내석사

        RANK : 249711

        This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 some emotional and behavioral effect of clinical treatment of school sand play group counseling for a large group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counseling had been carried out to 113 children of OO Elementary school in OO City, including 10 times within 12 weeks from March to July 2015. Each group of counseling had 10~16 counselee, a main counselor and 3-4 of sub-counselors and all they did it 40-minute each time. And it consisted of 12 sessions including a baseline assessment, 10 times of therapy, and a post-assessment. It was conducted to 56 male(49.56%) and 57 female(50.44%) students with questionnaires for their sex and age, assessing KCYP results at the point of baseline and post-therapeutic condition. We used SPSS 15.0 program for analysing the results and also used paired t-test for comparison of the pre-therapeutic result with the post one, both including the value of reasonability of KCYP and that of detailed clinical evaluation. After the therapy, it was shown that there were an statistically remarkable differences with the baseline assessment in Ego strength(t=-3.16, P=.002), Reality Distortion(t=2.35, P=.021), Tension/Anxiety(t=3.75, P=P<.001), Hypochodriasis (t=2.90, P=.005), Phobia(t=3.53, P=.001), Introversion(t=2.13, P=.035), Inattention(t=2.74, P=.007), Oppositionlity(t=2.68, P=.008), Conduct problem(3.93, P<.001) and Parent conflict(3.45, P=0.001) etc. We suspect that school sand play group counseling has clinical effect to behavioral as well as emotional problems of children. 모래놀이치료는 1950년대에 Kalff가 모래놀이를 심리치료기법으로 이용하면서 발전되었다. 그 동안 국내에서 모래놀이치료의 선행연구는 사례 위주 및 소규모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는 대규모의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이 아동의 정서 및 행동에 미치는 임상적인 효과를 KCYP를 통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OO시에 소재한 OO초등학교 4-6학년 학생 113명을 대상으로 2015년 3월부터 7월까지 12주간 10회기의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을 시행하였다. 소그룹은 아동 10명-16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주상담사 1인과 보조상담사 3-4인이 참여하였고, 치료시간은 40분이며, 회기는 Baseline 평가, 치료 10회기, 사후 평가회기 등 총 12회기로 구성되었다. 대상군은 남아 56명(49.56%), 여아 57명(50.44%)이었으며, 평가도구로는 성별, 연령 등의 역학 설문지와 한국아동청소년인성검사(Korea Child & Youth Personality Test 이하, KCYP)를 Baseline 시점과 치료 후에 각각 평가하였다. 결과분석으로는 SPSS 15.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paired t-test를 사용하여 모래놀이 시행전후에서 KCYP의 타당도 척도 및 임상영역 세부평가척도 점수를 각각 비교하였다.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 시행 후 Baseline에 비해서 KCYP상 자아강도(t=-3.16, P=.002), 현실왜곡(t=2.35, P=.021), 긴장불안(t=3.75, P=P<.001), 건강염려(t=2.90, P=.005), 공포(t=3.53, P=.001), 내향성(t=2.13, P=.035), 주의결함(t=2.74, P=.007), 반항성(t=2.68, P=.008), 품행문제(3.93, P<.001), 부모와의 갈등(3.45, P=0.001)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학교모래놀이 집단상담은 아동의 정서적 문제뿐만 아니라 행동적 문제에도 임상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